KR20200038041A -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041A
KR20200038041A KR1020180117644A KR20180117644A KR20200038041A KR 20200038041 A KR20200038041 A KR 20200038041A KR 1020180117644 A KR1020180117644 A KR 1020180117644A KR 20180117644 A KR20180117644 A KR 20180117644A KR 20200038041 A KR20200038041 A KR 20200038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nitus
sound
treatment
frequency ban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186B1 (ko
Inventor
진인기
허소희
오홍엽
정승엽
유제은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1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8Audiometering evaluating tinnitu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10K11/178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 G10K11/17821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input or output signals, e.g. frequency range, modes, transfer functions characterised by the analysis of the input signal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5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euro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는 사용자의 이명을 치료하기 위해 생성된 치료음을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사용자의 이명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치료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음원에서 사용자의 이명 주파수에 해당하는 음을 제거한 방식의 치료음을 생성하는 노치 필터링부, 이명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다수의 방식으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치료음 발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음은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는 주파수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ccurrence of tinnitus treatment sounds}
본 발명은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명환자의 이명 현상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시키는 것과 관련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명(tinnitus)는 라틴어 'Tinnire(울리다)'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외부로부터 소리 자극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주관적으로 소리를 지각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명은 일반적으로 객관적 이명과 주관적 이명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객관적 이명은 체내에서 생성된 소리가 실제로 들리는 것을 의미한다. 객관적이명의 경우 혈류의 격동이나 근육 수축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검사자도 환자의 이명소리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들을 수 있다.
주관적 이명은 이명을 앓고 있는 본인만이 이명을 지각할 수 있으며, 이명 소리의 특징은 귀뚜라미 소리와 같은 고주파수 형태의 이명에서부터 저주파수 형태의 이명까지 다양한 주파수적 특징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지속적 이명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간헐적 이명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객관적인 이명과는 다르게 직접적인 원인의 제거가 어려운 주관적 이명의 경우 환자들은 좌절, 짜증, 분노, 불안, 우울, 난청, 과민청각, 불면증 그리고 집중력 장애 등의 증상이 유발될 수 있어 환자들의 삶의 질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명을 치료하는 방법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소리 치료'이며, 이는 가장 효과가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소리 치료는 외부 소음을 이용하여 이명소리를 차폐함으로써 이명에 대한 환자들의 인식이나 반응을 수정하는 데 이용된다. 소리 치료 방식은 이명 소리 전체를 자극음으로 차폐하는 완전 차폐와 자극음이 이명소리를 부분적으로 덮는 부분 차폐로 나뉠 수 있다.
이처럼 이명을 치료하기 위한 주요 방식은 이명에 대한 인식을 약화시키기 위해 별도의 자극음을 청취하게 하는 방식이며, 이는 통상적으로 하루 6~8시간 정도를 할애해야 하므로 일상생활 속에서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일상생활 속에서는 주변에서 강한 소음이 발생될 가능성, 사용자의 이명 현상의 완화 가능성 등의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나, 종래에는 이러한 변수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방식의 치료음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오히려 청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명을 치료하기 위하여 치료음을 장시간 청음하도록 하는 재활치료를 진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정 방식에 의해 생성된 치료음만이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의 치료 추이, 사용자의 소음 노출 정도, 주변 상황에 대응하여 가변적인 치료음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는 사용자의 이명을 치료하기 위해 생성된 치료음을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사용자의 이명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치료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음원에서 사용자의 이명 주파수에 해당하는 음을 제거한 방식의 치료음을 생성하는 노치 필터링부, 이명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다수의 방식으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치료음 발생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음은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는 주파수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이명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재활 치료를 위한 치료음을 제공하는 데 있어, 다양한 주파수 특성음을 무작위로 생성하여 이명 주파수에 대한 집중력을 분산시키고 특정 주파수(이명 주파수)에 과도하게 민감화된 소리 체계(tonotopy)를 정상화시킬 수 있다.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료음 발생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료음 발생 조절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음 모니터링 기반의 치료음 발생 조절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성 방식에 따른 치료음의 분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형태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100는 통신부 110, 저장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오디오처리부 150, 제어부 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120는 치료음 데이터 121, 사용자 개인정보 122, 통계정보 123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160는 이명 주파수 검사부 161, 노치 필터링부 162, 치료음 발생 제어부 163, 커스터마이징 지원부 164, 이명 치료 평가부 165, 통계부 1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통신부 110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110는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의 현재 위치 즉,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 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 110는 인터넷 통신 및 타 사용자의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110는 예컨대 음원을 제공하는 웹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음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 160는 수신된 음원 파일을 대상으로 치료음을 생성할 수 있다. 그 외에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 110는 이명 치료음 발생 장치 내에서 생성된 통계 데이터 및 사용자의 치료 경과를 기록한 데이터 등을 별도의 관리 서버(예, 의료 기관측 서버)측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20는 치료음 데이터 121, 사용자 개인정보 122, 통계 정보 123을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저장부 120는 치료음이 생성되기 이전의 음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120는 임의의 음원 데이터에 대하여 치료음 생성에 적합한 음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치료음 데이터 121는 상기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에서 생성된 치료음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치료음 데이터 121는 사용자 계정 정보별로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마다 이명 증상(이명음의 주파수, 강도. 지속시간, 심각성 정도)가 다를 것이므로, 사용자별 이명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도 다르게 생성되는 것에 기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치료음 데이터 121는 사용자 계정별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치료음 데이터 121는 사용자의 이명 현상의 치료 경과에 따라 다른 특성 수치를 갖는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으므로, 기간 경과에 따라 추가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치료음 데이터 121는 월별로 구분,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환자)는 이명 현상의 치료 경과에 대응하는 적합한 치료음으로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의 초기 이명음의 강도에 비해 치료 2개월 경과 후의 이명음의 강도가 감소한 것으로 평가되는 경우, 상기 이명 치료음 발생 장치는 사용자의 현 상태에 맞추어 초기 치료음의 강도보다 2개월 경과 이후의 치료음의 강도를 낮추고 이를 통해 환자에게 지속적인 자극음의 노출로 인해 발생 가능한 난청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 122는 사용자의 이명 주파수 검사 결과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개인정보 122는 사용자의 설문 조사 정보(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 정도와 같은 질의 내용으로 구성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계 정보 123는 통계부 166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로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주변음 및 사용자 위치 패턴에 대한 통계 정보 및 시간대별 적합 치료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통계 정보 123는 사용자가 아침 7시부터 8시까지 이동하는 위치 정보 및 해당 시간대에 입력되는 주변음인 지하철 소음에 대한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130 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택 타일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력부 13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 나이, 거주지 정보 등)에 대한 정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 130는 이명 주파수 검사 등을 위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응답 정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40 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 14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치료음으로 제작할 기초 음원을 선택하기 위하여, 음원 리스트를 표시하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표시부 140는 다수 방식의 치료음을 생성하는 동작과, 다수 방식의 치료음 중 특정 치료음을 선택하는 동작, 주변음 또는 사용자 위치에 기반하여 치료음 종류를 추가하는 동작 등을 수행하는 데 있어 요구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 140는 사용자의 이명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이명 주파수 검사 자료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 150는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 15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 150는, 예를 들면, 스피커, 리시버, 이어폰, 또는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오디오 처리부 150는 스피커 151 및 마이크 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 161는 치료음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기초 음원 및 노치 필터링을 수행하여 생성된 다양한 종류의 치료음을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피커 161는 주변 소음의 정도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선택된 특정 종류의 치료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152는 주변음 모니터링을 수행을 위해 주변음을 입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 16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60는 이명 주파수 검사부 161, 노치 필터링부 162, 치료음 발생 제어부 163, 커스터마이징 지원부 164, 이명 치료 평가부 165, 통계부 166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명 주파수 검사부 161는 사용자(이명 환자)가 느끼는 이명음 주파수 정보를 비롯한 이명음 정보를 검사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명 주파수 검사부 161는 구체적으로, 이명음의 발생 주기, 이명음의 지속 시간, 이명음의 강도, 이명음의 주파수 등의 이명음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명 주파수 검사부 161는 사용자의 소음성 난청, 노화, 이경화증, 돌발성 난청, 메니에르병 등의 이과적 이명 원인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명 주파수 검사부 161는 두부외상, 경추손상, 다발성경화증 등의 신경학적 원인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명 주파수 검사부 161는 이외에도 사용자의 이명에 따른 불편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이명 주파수 검사부 161에서 수집된 사용자의 이명 관련 정보는 사용자 개인정보 122에 포함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명 주파수 검사부 161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이명 주파수는 노치 필터링부 162로 제공되어, 상기 노치 필터링부 162가 필터링할 주파수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노치 필터링부 162는 임의의 음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개인의 이명 현상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치 필터링부 162는 임의의 음원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이명 주파수에 대응하는 음을 노치 필터를 통해 제거하는 동작인 노치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노치 필터는 음원으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의미하고, 제거되는 주파수 대역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이명 현상을 치료하기 위한 소리 치료 방식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방식은 이명소리와 유사한 주파수의 자극음을 듣게 하는 방식이다. 이명 소리의 주파수 대역과 유사한 주파수 대역의 음원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명은 여전히 들리지만 이명 소리에 둔감해지거나 이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소리 치료의 두 번째 방법은 화이트 노이즈(전주파수에 동일한 에너지가 분포된 음원) 또는 음악음원을 사용하되, 이명 주파수(예, 4kHz)부분은 필터링을 통해 제거한 음원을 들려주는 방식이다. 이는 이명소리 자체를 차폐하는 방법은 아니라서 이명으로 인한 고통이 줄어드는 효과를 빠르게 볼 수는 없지만, 이명주파수 외의 다른 주파수 대역을 골고루 지속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이명주파수 대역에 집중되어 있는 대상자의 집중력을 분산시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이명 소리 자체가 사라지게 하거나 줄어드는 현상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노치 필터링부 162는 소리 치료 방식 중 두 번째 방식에 사용되는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거한 음원을 생성하기 위한 노치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노치 필터링부 16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계정에 따라 이명 주파수 값을 입력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노치 필터링부 162는 사용자 개개인의 이명 주파수에 대응하는 노치 필터링을 수행하여 치료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노치 필터링부 162는 치료음 발생 제어부 163의 제어 하에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하는 형식의 치료음을 생성할 시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치료음 발생 제어부 163는 치료음 발생과 관련된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치료음 발생 제어부 163에 관하여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스터마이징 지원부 164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특정 음원에 기반하여 치료음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스터마이징 지원부 164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생성된 사용자 개인 음원 파일에 대하여 치료음 생성용 음원으로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자 개인 음원 파일을 대상으로 이명 주파수 노치 필터링을 수행하여 치료음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스터마이징 지원부 164는 사용자 개인이 다운로드한 MP3, 직접 녹음한 자연물 소리 등과 같은 사용자 등록 음원을 대상으로 치료음 생성용 음원으로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이 때 치료음 생성용 음원으로써의 조건은 예를 들면, 전체 음원의 재생 시간,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분포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분포 여부는 예를 들어, 4kHz로만 구성된 음원에 대하여 4kHz 대역의 음을 노치 필터링하는 경우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평가 조건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명 치료 평가부 165는 사용자에게 이명의 발생 횟수, 이명음의 지속시간 및 이명음의 강도를 포함하는 평가 항목을 주기적으로 제시하고,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 및 사용자의 치료음 출력 이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치료음 출력 이력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명 현상의 변화 추이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명 치료 평가부 165는 이명 주파수 검사부 161에서 실시하는 설문조사 및 이명음 정보 획득을 위한 검사 동작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반복 주기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복 주기는 초기 평가된 사용자의 이명 증상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이명 증상이 난청을 동반하는 이명 증상인 경우, 난청을 동반하지 않는 이명 증상인 경우에 비하여 치료 추이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 주기를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명 치료 평가부 165는 사용자의 이명 치료 추이에 기반하여 치료음의 추가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명 치료 평가부 165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이명 현상이 호전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공되는 치료음의 소리 강도를 기 설정된 값만큼 감소시키거나,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추가로 노치 필터링하여 2차 치료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이명 현상의 호전 여부와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소음에 노출됨에 따라 오히려 소음성 난청의 부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계부 166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주변음 및 사용자 위치 패턴에 대한 통계를 수행하고, 시간대별 적합 치료음을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계부 166는 사용자가 아침 7시부터 8시까지 이동하는 위치 정보 및 해당 시간대에 입력되는 주변음인 지하철 소음에 대한 자료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통계부 166를 통해 산출된 정보인 통계 정보 123는 저장부 12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통계정보 123는 주변음 기반 치료음 제어부(미도시) 및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치료음 변조 동작 시에 참고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료음 발생 제어부 163의 구성에 대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치료음 발생 제어부 163는 치료음 생성부 163a, 조건 설정부 163b, 치료음 출력 제어부 16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치료음 생성부 163a는 치료음 생성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의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료음 생성부 163a는 치료음 생성 시, (1)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2)이명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3)이명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는 주파수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4)이명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치료음 생성부 163a는 (1)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치료음을 생성하는 경우와 (4)이명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에 있어서, 노치 필터링부 162를 활용한 필터링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치료음 생성부 163a는 저장부 120에 기 보유된 음원을 기반으로 상기 제시된 다양한 방식의 치료음을 모두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치료음 생성부 163a는 기 설정된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시된 4가지 방식의 치료음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조건 설정부 16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4가지의 상기 치료음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생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건 설정부 163b는 주변음 모니터링을 수행 결과와 관련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조건 설정부 163b는 주변음 모니터링부(미도시)에 의해 판단된 주변음 특성값(예, 주요 주파수, 주파수 분포 범위, 강도 등)에 기반하여 상기 주변음 특성값이 특정 값을 가질 때 (1)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에 따른 치료음을 생성하도록 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주변음 모니터링 결과 값 뿐 아니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명 현상의 중증도 등과 관련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건 설정부 163b는 예컨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관련한 조건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사용자의 주거공간인 경우에, 비교적 조용한 환경일 것을 고려하여 다양한 주파수의 음원으로 이명음을 차폐시키기 위해 (2)이명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에 따른 치료음을 생성하도록 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 설정부 163b는 예컨대, 이명 현상의 중증도에 따른 조건의 일 예로, 이명 현상의 주기가 짧고, 강도가 큰 경우, (1) 방식을 따르는 치료음 내지 (4)방식을 따르는 치료음을 모두 혼합하여 제공하도록 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건 설정부 163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1)번 방식의 치료음 내지 (4)번 방식의 치료음을 혼합하여 제공하도록 할 경우, 특정 방식의 치료음의 출력이 종료되고 다른 방식의 치료음이 시작되도록 하는 조건 또는 개별 치료음의 랜덤 출력 주기 등을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조건 설정부 163b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명 현상의 중증도, 주변음 모니터링 결과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하여 치료음 방식을 선택하도록 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건 설정부 163b는 다수 종류의 치료음 방식 중에서 특정 치료음 방식을 선택하도록 하는 조건, 다수 종류의 치료음 방식 중에서 적어도 1개의 방식을 선택하도록 하는 조건, 다수 종류의 치료음 방식을 혼합하여 출력할 경우 치료음 종류를 변경할 조건, 다수 종류의 치료음 방식을 혼합하여 출력할 경우 치료음 방식의 변경 주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치료음 출력 제어부 163c는 상기 조건 설정부 163b에 의해 설정된 조건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출력될 치료음을 선택하고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외에도,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주변음 모니터링부(미도시)에 따른 치료음의 변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변음 모니터링부(미도시)는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100 외부에서 발생되는 주변음을 입력받고 주변음의 강도 및 주파수 등의 소리 특성을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노치 필터링부 162에서 생성된 치료음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시 주변 소음이 존재하지 않거나 미미한 경우에는 의도한 대로 사용자에게 전달될 것이나, 주변 소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치료음 생성 당시 의도한 것과 다르게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노치 필터링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산출된 치료음은 4kHz대역이 제거된 음이라고 할 때, 치료음의 5kHz 대역의 음은 6의 강도로 재생되도록 설정되었으나, 주변 소음이 5kHz 대역으로 5의 강도로 발생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사용자는 실제로는 5kHz 대역이 11의 강도로 합성된 자극음을 듣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주변음과 치료음의 합성에 따라 사용자의 청각에 과도한 자극이 발생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주변음 모니터링부(미도시)는 주변음의 주파수별 소리의 강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주변음 기반 치료음 제어부(미도시)는 모니터링된 주변음 정보에 따라 치료음의 특성값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주변음 모니터링부(미도시)는 주변음의 강도(소리 크기), 주파수, 주파수별 음의 강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음 모니터링부(미도시)는 주변음에 존재하는 반복되는 소리의 유무 등에 대한 정보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변음 모니터링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이동중인지 여부를 상기 통신부 110에서 감지하는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변음 모니터링부는 사용자가 이동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며,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주변 소음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주변음 모니터링 동작을 일시적으로 OFF(Sleep기능)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변음 모니터링부는 상기 일시 OFF 동작 상태에서 사용자(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일시 OFF 상태를 종료(Awake 기능)하고 실시간 주변음 모니터링 동작을 재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변음 기반 치료음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주변음 모니터링부에서 측정한 주변음의 강도 및 주파수 등의 소리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치료음의 특성 수치(주파수별 출력 강도 등)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주변음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상기 주변음 모니터링부에서 측정한 주변 소음의 평균 강도 및 주파수별 강도 등의 특성 수치에 기반하여 기 산출된 치료음의 특성 수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변음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주변음과 치료음이 합성되는 경우의 평균 강도 및 주파수 대역별 소리 강도가 기 설정된 최댓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여부에 따라 치료음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주변음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주변음의 특성 수치(예, 평균 강도 및 주파수 대역별 소리 강도) 값에 기반하여 치료음의 변조 여부를 판단하고, 주변음의 특성 수치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치료음을 기 설정된 수준의 특성 수치값으로 변조하거나, 상기 주변음의 특성 수치에 대응하여 변조(예, 주변음에서 기 설정된 강도 이상인 주파수대역 및 기준값으로부터 초과된 수치를 판단하고, 치료음에서 해당 주파수대역의 음의 강도를 상기 초과된 수치만큼 감소하도록 변조) 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움직임 여부에 기반하여 치료음의 기반이 되는 원음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가 녹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통신부 110에서 수신한 장치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데, 웹에서 제공하는 지도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공원, 산 등의 녹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가 녹지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치료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치료음의 종류는 자연물에 기반한 소리, 인공물에 기반한 소리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 165는 사용자의 위치가 녹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할 치료음으로 자연물에 기반한 소리를 선택할 수 있고, 그 외의 경우에는 인공물에 기반한 소리로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사용자의 개인적인 취향에 기반하여 녹지에 대응하는 치료음과 녹지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치료음의 종류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가 녹지인 경우, 녹지에 대응하는 치료음을 선택하고, 녹지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녹지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치료음을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에 기반하여 녹지에서는 치료음으로 바이올린과 같은 클래식 악기 소리로 구성된 음원을 제공하고, 녹지 이외의 영역에서는 전자피아노, 드럼 등의 현대실용음악 연주음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기 제작된 다수개의 치료음 종류들 중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음을 선택할 수도 있고, 치료음으로 생성되기 이전 상태인 원음의 종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노치 필터링 이전 상태의 원음을 선택하고, 이후 사용자의 이명 주파수 정보에 따라 노치 필터링을 수행하여 최종 치료음이 생성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예 따라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사용자의 이동 여부에 따른 치료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명 치료음 발생 장치에 구비되는 센서(미도시)에 기반하여 장치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 상기 통신부 110에서 감지하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움직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중인 경우와 정지 상태인 경우 각각에 대하여 다른 종류의 치료음(또는 노치 필터링 이전의 원음)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녹지 여부 및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모두 확인하고 이에 대응하는 치료음(또는 노치 필터링 이전의 원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녹지인 공원에 정지해 있는 경우,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참새 소리만 포함된 치료음(또는 노치 필터링 이전의 원음)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공원 내에서 이동중인 경우 상기 위치 기반 치료음 제어부는 참새 외의 다양한 새소리, 곤충(예, 귀뚜라미)소리를 포함한 치료음을 선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료음 발생 조절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 제어부 160는 사용자(이명 환자)의 이명음의 주파수인 이명 주파수를 검사하는 3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명 주파수를 검사하는 동작은 사용자별 이명음의 주파수 및 강도를 비롯하여 이명음의 발생 주기, 이명음의 지속 시간 등의 이명음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검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상기 305동작은 사용자가 이명 현상으로 인해 불편한 정도, 이명 현상의 원인을 판단하기 위한 검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305동작은 사용자가 의료기관으로부터 받은 검사자료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60는 치료음을 종류별로 생성하는 3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60는 치료음을 생성하되, (1)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2)이명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3)이명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는 주파수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4)이명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따른 치료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160는 치료음 생성 시 상기 4가지 방식을 따르는 치료음 각각을 모두 종류별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 160는 각 방식을 따르는 치료음을 방식별로 하나씩 생성할 수도 있고, 음원의 분류 항목별(예, 인공물, 자연물, 음악 등)로 다양하게 생성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어부 160는 생성된 치료음에 대하여 생성 방식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60는 치료음 출력과 관련된 조건을 확인하는 3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조건은 기 설정되어 있는 상태임을 가정하기로 한다. 이 때 조건은 다수 종류의 방식에 따라 생성된 치료음들 중 특정 방식에 따른 치료음을 선택하는데 요구되는 조건일 수 있다. 상기 조건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명 현상의 중증도, 주변음 모니터링 결과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하여 치료음 방식을 선택하도록 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은 다수 종류의 치료음 방식 중에서 특정 치료음 방식을 선택하도록 하는 조건, 다수 종류의 치료음 방식 중에서 적어도 1개의 방식을 선택하도록 하는 조건, 다수 종류의 치료음 방식을 혼합하여 출력할 경우 치료음 종류를 변경할 조건, 다수 종류의 치료음 방식을 혼합하여 출력할 경우 치료음 방식의 변경 주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60는 조건에 대응하는 치료음을 선택하고 이를 출력하는 32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음 모니터링 기반의 치료음 발생 조절 동작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는 주변음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 160는 주변음 모니터링 결과에 대응하는 치료음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 160는 주변음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4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주변음 모니터링은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되는 주변음의 강도, 주파수 대역, 특정 주파수의 반복 주기, 주파수 대역의 범위(소리의 복잡함 정도)등에 관한 정보(주변음 특성 수치)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주변음 모니터링 동작은 보다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주변음의 종류가 자연음인지 여부, 음악 멜로디가 존재하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60는 주변음 특성 수치에 기반하여 치료음 선택 조건 또는 출력모드를 변경하는 4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출력 모드가 혼합 모드라고 가정할 때, 상기 제어부 160는 주변음의 특성 수치(예, 주변음의 강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출력 모드를 혼합모드에서 1종류 치료음만 출력하는 단일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이 주변음 강도에 대응하여 치료음 방식을 선택하는 조건인 경우, 상기 제어부 160는 예컨대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주변음 강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기 설정된 시간을 경과함에 따라 주변음 강도가 아닌 주변음 주파수에 대응하여 치료음 방식을 선택하는 조건으로 치료음 선택 조건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 160는 변경된 조건(또는 출력 모드)에 대응하는 방식의 치료음을 출력하는 4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성 방식에 따른 치료음의 분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510은 (1)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명주파수 대역 505 대역과 상이한 대역의 일 주파수 대역(1KHz)에서 치료음 511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520은 (2)이명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에 따라 치료음이 형성되는 것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520은 치료음 521의 대역은 이명 주파수 대역 505을 포함한 다 주파수 대역에 고루 분포하고 있다. 530은 (3)이명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는 주파수대역 505으로 형성되는 방식에 따라 생성되는 치료음 525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540은 (4)이명주파수 대역 505을 제외한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치료음 541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21 : 치료음 데이터
122 : 사용자 개인정보
123 : 통계 정보
130 : 입력부
140 : 표시부
150 : 오디오 처리부
160 : 제어부
161 : 이명 주파수 검사부
162 : 노치 필터링부
163 : 치료음 발생 제어부
164 : 커스터마이징 지원부
165 : 이명 치료 평가부
166 : 통계부
163a : 치료음 생성부
163b : 조건 설정부
163c : 치료음 출력 제어부

Claims (9)

  1. 사용자의 이명을 치료하기 위해 생성된 치료음을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사용자의 이명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치료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음원에서 사용자의 이명 주파수에 해당하는 음을 제거한 방식의 치료음을 생성하는 노치 필터링부;
    이명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다수의 방식으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치료음 발생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음은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는 주파수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음 발생 제어부는
    다수 방식으로 치료음을 생성하되,
    상기 치료음에 대하여,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는 주파수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생성하는 치료음 생성부;
    상기 치료음 생성부에서 다수 방식으로 생성된 치료음에 대한 선택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
    상기 조건 설정부에서 설정한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상황에 대응하는 종류의 치료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 설정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음 모니터링 결과 값, 이명 현상의 중증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별 이명음의 주파수 및 강도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로 산출된 이명음의 주파수 정보를 상기 노치 필터링부에 제공하는 이명 주파수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생성된 사용자 개인 음원 파일에 대하여 치료음 생성용 음원으로써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자 개인 음원 파일을 대상으로 이명 주파수 노치 필터링을 수행하여 치료음을 생성하는 커스터마이징 지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이명의 발생 횟수, 이명음의 지속시간 및 이명음의 강도를 포함하는 평가 항목을 주기적으로 제시하고,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 및 사용자의 치료음 출력 이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치료음 출력 이력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명 현상의 변화 추이를 산출하는 이명 치료 평가부; 및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주변음 및 사용자 위치 패턴에 대한 통계를 수행하고, 시간대별 적합 치료음을 도출하는 통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7. 사용자의 이명을 치료하기 위해 생성된 치료음을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사용자의 이명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치료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음원에서 사용자의 이명 주파수에 해당하는 음을 제거한 방식의 치료음을 생성하는 노치 필터링부;
    이명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다수의 방식으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치료음 발생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음 발생 제어부는
    다수 방식으로 치료음을 생성하되,
    상기 치료음에 대하여,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는 주파수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생성하는 치료음 생성부;
    상기 치료음 생성부에서 다수 방식으로 생성된 치료음에 대한 선택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
    상기 조건 설정부에서 설정한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상황에 대응하는 종류의 치료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8. 사용자의 이명을 치료하기 위해 생성된 치료음을 출력하는 오디오 처리부;
    사용자의 이명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치료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임의의 음원에서 사용자의 이명 주파수에 해당하는 음을 제거한 방식의 치료음을 생성하는 노치 필터링부;
    이명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음을 다수의 방식으로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치료음 발생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음 발생 제어부는
    다수 방식으로 치료음을 생성하되,
    상기 치료음에 대하여,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는 주파수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생성하는 치료음 생성부;
    상기 치료음 생성부에서 다수 방식으로 생성된 치료음에 대한 선택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 설정부;
    상기 조건 설정부에서 설정한 조건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상황에 대응하는 종류의 치료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건 설정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주변음 모니터링 결과 값, 이명 현상의 중증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9. 이명 치료음 발생 장치가 수행하는 이명 치료음 발생 방법에 있어서,
    이명 주파수 검사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이명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이명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 방식으로 치료음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다수 방식으로 생성된 치료음 중 특정 치료음을 선택하기 위한 조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 정보에 대응하는 치료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치료음은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일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과 일치하는 주파수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이명주파수 대역을 제외한 다 주파수 대역으로 형성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방법.
KR1020180117644A 2018-10-02 2018-10-02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2170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644A KR102170186B1 (ko) 2018-10-02 2018-10-02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644A KR102170186B1 (ko) 2018-10-02 2018-10-02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041A true KR20200038041A (ko) 2020-04-10
KR102170186B1 KR102170186B1 (ko) 2020-10-26

Family

ID=7029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644A KR102170186B1 (ko) 2018-10-02 2018-10-02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503A1 (ko) * 2022-01-17 2023-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명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85B1 (ko) * 2011-06-09 2012-11-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완화 장치 및 방법
KR20130079878A (ko) * 2012-01-03 2013-07-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명치료를 위한 실시간 주파수 리쉐이퍼 장치 및 방법
KR20150007813A (ko) * 2013-07-12 2015-01-21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이명 치료 장치 및 이명 치료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
KR20160044072A (ko) *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블루코어 주파수 조절을 통한 이명 치료 방법 및 이명 치료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85B1 (ko) * 2011-06-09 2012-11-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완화 장치 및 방법
KR20130079878A (ko) * 2012-01-03 2013-07-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명치료를 위한 실시간 주파수 리쉐이퍼 장치 및 방법
KR20150007813A (ko) * 2013-07-12 2015-01-21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이명 치료 장치 및 이명 치료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
KR20160044072A (ko) *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블루코어 주파수 조절을 통한 이명 치료 방법 및 이명 치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186B1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264B1 (ko) 주변 소음 기반의 이명 치료음 발생 장치 및 방법
US97821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US91381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f-managed sound enhancement
US7729775B1 (en) Spectral contrast enhancement in a cochlear implant speech processor
US20090124850A1 (en) Portable player for facilitating customized sound therapy for tinnitus management
CN1606970A (zh) 耳鸣康复方法
KR20160033705A (ko) 이명 치료 데이터를 추적 및 제시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057661B1 (ko) 음악을 이용한 맞춤형 이명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1984991B1 (ko) 사용자 특성 기반의 청능 훈련 장치
US103070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treatment of tinnitus
US201903440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innitus sound therapy
CN115153454A (zh) 一种助眠刺激控制方法、装置、助眠设备及存储介质
Epstein et al. Loudness and intensity coding
KR102053580B1 (ko) 사용자 청취 능력에 따라 훈련 난이도를 설정하는 청능 훈련 장치
KR102170186B1 (ko) 이명 치료음 발생 조절 장치 및 방법
CN111407286A (zh) 多通道波形复合脑电波组合声刺激的耳鸣诊断治疗系统
KR101723952B1 (ko) 주파수 조절을 통한 이명 치료 방법 및 이명 치료 시스템
EP3899925B1 (en) A noise masking device and a method for masking noise
CN110960351A (zh) 一种耳鸣治疗音乐生成方法、介质、设备及耳鸣治疗仪
WO20010701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innitus
KR102006250B1 (ko) 복합음을 활용한 이명 재활용 소리치료기
WO20020429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diagnostics and rehabilitation of tinnitus patients
Soland Does Loudness Represent Sound Intensity?(Preprint)
Soland Does loudness represent sound intensity?
AU20012421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tinni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