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673A - Air conditioner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673A
KR20200037673A KR1020180117158A KR20180117158A KR20200037673A KR 20200037673 A KR20200037673 A KR 20200037673A KR 1020180117158 A KR1020180117158 A KR 1020180117158A KR 20180117158 A KR20180117158 A KR 20180117158A KR 20200037673 A KR20200037673 A KR 20200037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ir conditioner
recognition device
speech recognition
conditioner equi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9566B1 (en
Inventor
문성국
박수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566B1/en
Priority to CN201920022129.0U priority patent/CN210050953U/en
Publication of KR20200037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6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voice recognition device.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includes a sound output device and a voice input device. The sound output device is configured to output sound toward the inside of a panel and the voice input device is configured to collect voi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panel toward the panel, thereby improving a voice recognition rate.

Description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Air conditioner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Air conditioner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Air conditioner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본 발명은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having a speech recognition device.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공기 조화기에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며,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될 수 있다.An air conditioner is a household appliance for maintaining indoor air in the most suitable state according to purposes and purposes. For example, in the summer, the room is cooled to a cool state, and in the winter, the room is adjusted to a warm heating state, and the humidity of the room is adjusted, and the air in the room is adjusted to a pleasant clean state. The air conditioner is driven by a refrigeration cycle, and may include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최근 공기 조화기와 사용자간에 음성을 통한 인터페이스가 구현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가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장치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면, 공기 조화기는 입력된 음성정보를 해석하여 공기 조화기의 작동명령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기는 인식된 작동명령에 따라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구동부, 일례로 모터 또는 압축기를 운전한다. Recently, a technology for implementing an interface through voice between an air conditioner and a user has been developed. When a user inputs predetermined information through a voice input device such as a microphone, the air conditioner interprets the input voice information and recognizes it as an operation command of the air conditioner.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drives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for example, a motor or a compressor, according to the recognized operation command.

또한, 공기 조화기는 스피커와 같은 음성 출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기 조화기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성입력 및 출력을 통하여 사용자와 공기 조화기 간에 인터페이스가 구현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may inform the user of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rough a voice output device such as a speaker. In this way, the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y implementing an interface between the user and the air conditioner through voice input and output.

특히, 사용자가 공기 조화기에 접근하여 물리적 입력장치, 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조작할 필요가 없다. In particular,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access the air conditioner and operate a physical input device, such as a button or touch screen.

그리고, 리모컨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의 경우, 리모컨을 분실하였을 때 공기 조화기의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리모컨 또한 소정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하여야 하는 바,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컨을 분실하였을 때에는 원거리에서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air conditioner controlled using a remote control, when the remote control is lost,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solved, and the remote control also needs to input a command through a predetermined input device. You can solve the trouble. And, when the remote control is los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limit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rom a long distance.

도 21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음성 입력장치 및 음성 출력장치를 보여준다.21 shows a voice input device and a voice output device provided in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도 2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공기 조화기(P)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1) 및 상기 패널(1)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원(2)이 포함된다. 상기 진동원(2)에는, 공기 조화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일례로 모터 또는 압축기) 또는 회전체 (일례로 팬)등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P includes a panel 1 forming an exterior and a vibration source 2 provided inside the panel 1. The vibration source 2 may include a driving unit (eg, a motor or compressor) or a rotating body (eg, a fan) for driving the air conditioner.

상기 공기 조화기(P)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3) 및 공기 조화기(P)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4)가 포함된다. 상기 마이크(3) 및 스피커(4)는 패널(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널(1)의 일면은 공기 조화기(P)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P includes a microphone 3 for collecting a user's voice and a speaker 4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P. The microphone 3 and the speaker 4 may be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panel 1. In one example, one surface of the panel 1 may constitute the front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P.

상기 스피커(4)는 공기 조화기(P)의 전방으로 전자음과 같은 소리(S)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3)는 공기 조화기(P)의 전방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집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The speaker 4 may output a sound S such as an electronic sound in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P. Then, the microphone 3 is configured to collect and recognize a user's voice transmitted from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P.

상기 패널(1)의 일면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전달되는 마이크 홀(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3)는 상기 마이크 홀(5)로부터 설정거리(So)만큼 상기 패널(1)의 내부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는, 상기 마이크(3)가 상기 패널(1)의 일면에 밀착되는 경우, 공기 조화기(P)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패널(1)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On one surface of the panel 1, a microphone hole 5 through which a user's voice is transmitted is formed. Then, the microphone 3 is positioned away from the microphone hole 5 by the set distance So to the inside of the panel 1. This is to prevent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P)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3) through the panel (1) when the microphone (3)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panel (1). to be.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ollowing problems may occur.

첫째, 상기 마이크(3)가 상기 패널(1)의 일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공기 조화기(P)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원이 상기 마이크(3)에 입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First, the microphone 3 is arranged to be spaced inward from one surface of the panel 1, so that a noise source generat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P through the spaced space is input to the microphone 3 There was a problem.

상기 소음원에는, 상기 진동원(2) 자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원(2)에서 발생되는 진동(Vo)에 의하여 마이크(3)와 주변 부품간에 충돌이 발생하고, 이러한 충돌에 따른 소음이 상기 소음원을 구성할 수 있다 (N1).The noise source may include noise generated from the vibration source 2 itself. In addition, a collision occurs between the microphone 3 and the surrounding components due to the vibration Vo generated from the vibration source 2, and noise caused by the collision may constitute the noise source (N1).

둘째, 상기 스피커(4)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울림(howling, 하울링)이 상기 마이크(3)를 향하여 전달되고, 상기 패널(1)의 일면과 상기 마이크(3)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3)에 수집되어 노이즈로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N2).Second, howling (howling) of sound generated from the speaker 4 is transmitted toward the microphone 3, and the microphone is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panel 1 and the microphone 3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collected in (3) and acted as noise (N2).

셋째, 상기 스피커(4)에서 발생되는 소리(S)가 공기 조화기(P)의 전방으로 직접 출력되고, 상기 소리(S)가 스피커(4)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마이크(3)로 입력되어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노이즈로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N3).Third, the sound S generated by the speaker 4 is directly output to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P, and the sound S is input to the microphone 3 located at a distance adjacent to the speaker 4 There was a problem acting as noise for the user's voice (N3).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10-2014-0136199 (2014년 11월 28일)1.Public number (public date): 10-2014-0136199 (November 28, 2014) 2. 발명의 명칭 : 공기 조화기2. Name of inventio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가 구비되는 음성인식 장치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having a voice recognition device equipped with a voice input device and a sound output device.

또한, 음성 입력장치를 통하여 수집되는 음성 전달경로와, 소리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소리 전달경로를 구획하여, 상기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 노이즈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dividing the sound transmission path collected through the voice input device and the sound transmission path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devic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eventing the output sound from acting as noise on the voice input device It aims to provide.

특히, 상기 음성 전달경로는, 사용자의 음성이 공기 조화기의 외부로부터 전면 패널을 향하여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소리 전달경로는, 소리가 전면 패널의 후방으로 출력된 후 전달 플레이트를 통하여 전면 패널의 전방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리가 음성 입력장치의 노이즈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voice transmission path allows the user's voice to b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toward the front panel, and the sound transmission path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plate after sound is output to the rear of the front panel. By being transmitted t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und from acting as noise of the voice input device.

예를 들어,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는 전후방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각 장치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소리의 전달경로를 용이하게 구획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or examp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is arranged so that the voice in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are overlapped in front and rear, and can easily divide the transmission path of voice / sound input or output from each device.

다른 예로서,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각 장치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소리의 전달경로를 용이하게 구획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s another examp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at can easily partition a transmission path of voice / sound input or output from each device.

또한, 음성 입력장치는 복수 개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음성 인식율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improving a user's speech recognition rat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voice input devices.

또한, 소리 출력장치는 음성인식 장치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 배치되고 음성 입력장치는 상기 중심선의 좌우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리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 불균일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device is disposed on the center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the voice input device is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line, so that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is unevenly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eventing this.

또한,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는 바디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각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고 컴팩트 한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is integrally formed with a body part and is capable of assembling each device and having a compact voice recognition device.

또한, 음성인식 장치에는,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의 사이에 구비되는 격벽이 구비되어, 소리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음성 입력장치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provided between the voice in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eventing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device. The purpose.

또한, 음성 입력장치를 전면 패널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음성 입력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can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front panel to prevent noise generat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device.

또한, 음성 입력장치에는 전면 패널의 후면에 접촉되는 실링부재가 포함되도록 하여, 공기 조화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패널을 통하여 음성 입력장치의 마이크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includes a seal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to reduce vibration generated by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panel to be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of the voice input device. do.

또한, 전면 패널에 형성되는 패널 홀과, 상기 실링부재의 개구부 및 마이크의 마이크 홀이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어, 음성 입력장치에서의 음성 수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panel hole formed in the front panel, an opening of the sealing member, and a microphone hole of the microphone are alig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voice collection in the voice input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

특히, 상기 실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패널 홀 및 상기 마이크 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패널 홀의 크기는 상기 마이크 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음성 입력장치의 조립시 조립 오차로 인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설치위치가 정위치에서 이격되더라도 음성 전달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opening of the sealing member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anel hole and the microphone hole, and the size of the panel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microphone hole,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 is due to assembly errors when assembling the voice input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sufficiently securing a voice transmission path even when spaced apart from a fixed position.

또한, 음성 입력장치에는, 마이크의 후방부에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마이크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reducing noise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by providing a cover to a rear portion of the microphone.

또한, 음성 입력장치는 공기 조화기의 전면 패널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소음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음원이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 전달되는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oice input devic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to be positioned relatively far from the noise source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thereby providing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reducing the size of the noise source being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device. It is aimed a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패널 홀이 형성되는 전면 패널이 구비되어 공기 조화기의 전방에서 음성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 패널 홀로의 사용자 접근이 용이하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ront panel on which a panel hole is formed, so that voice input is possible from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and user access to the panel hole is easy.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가 구비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포함되어, 음성 및 소리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A voice recognition device equipped with a voice input device and a sound output device is inclu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to implement a user interface through voice and sound.

상기 음성 입력장치는 소리 출력장치와 전면 패널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voice input devi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ound output device and the front panel.

상기 소리 출력장치는 전면 패널의 후방을 향하여 소리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음성 입력장치는 전면 패널의 외부로부터 전면 패널을 향하여 전달되는 음성을 수집하도록 구성되어 음성 인식율을 개선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is configured to output sound toward the rear of the front panel, and the voice input device is configured to collect voi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front panel toward the front panel, thereby improving the speech recognition rate.

상기 소리 출력장치는 음성인식 장치의 상하방향 중심선 상에 위치되고, 2개의 음성입력 장치는 상기 중심선의 양측에 배치되어, 음성인식 장치의 무게중심이 상기 중심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is located on the center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the two voice input device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line,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can be formed on the center line.

상기 음성 입력장치와 상기 소리 출력장치는 하나의 바디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음성 인식장치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The voice in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are integrally provided in one body part, and assembling performance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can be improved.

상기 음성 입력장치와 상기 소리 출력장치의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어, 소리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음성 입력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artition wall for partitioning between the audio in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is provided, so that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audio input device.

상기 격벽에는 격벽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개구부의 전후방으로 음성 입력장치 및 소리 출력장치가 설치되어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A partition wall opening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nd an audio input device and a sound output device ar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artition opening portion to improve assembly.

상기 격벽은 전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음성 인식장치의 바디부로 구성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may be composed of a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front panel and a body part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상기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는 전후방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음성 인식장치의 설치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The voice in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are arranged to overlap in front and rear, so that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can be reduced.

상기 음성 입력장치와 상기 소리 출력장치는 좌우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The voice in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may be arranged in a left-right direction.

상기 소리 출력장치는 2개의 음성 입력장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may be disposed between two audio input devices.

상기 음성 입력장치는 상기 소리 출력장치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음성 입력장치로 수집되는 음성의 전달경로와, 상기 소리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전달경로를 구분할 수 있다.The voice input device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r a lower side of the sound output device to distinguish a transmission path of voice collected by the voice input device and a transmission path of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는, 마이크 홀을 가지는 PCB 및 상기 PCB에 설치되는 마이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 홀과 연통된다.The audio input device includes a PCB having a microphone hole and a microphone installed on the PCB. Then, the microphon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microphone hole.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는, 상기 마이크를 상기 패널측으로 가압하는 커버가 포함된다.The audio input device includes a cover that presses the microphone toward the panel.

상기 커버는 상기 PCB 및 상기 마이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전면 패널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The cover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PCB and the microphone. In addition, the cover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상기 커버는 바디부의 장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The cover may be seated on the body portion.

상기 음성 입력장치는 상기 전면 패널에 접촉한다.The voice input device contacts the front panel.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는, 상기 PCB로부터 전면 패널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널에 밀착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패널 홀 주변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노이즈가 음성 입력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audio input device is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PCB toward the front panel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nel, so that the space around the panel hole can be seal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noise transmitted from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device.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패널 홀의 주변에서,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밀착된다.The seal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around the panel hole.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패널 홀에 연통하는 실링 개구부를 형성한다.The sealing member forms a sealing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panel hole.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패널 홀 및 상기 마이크 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실링부재의 설치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패널 홀 또는 상기 마이크 홀을 차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sealing member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panel hole and the microphone ho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ling member from blocking the panel hole or the microphone hole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

상기 정면 패널의 후방에는, 상기 소리 출력장치에서 출력된 소리에 의하여 울림이 발생하는 울림판이 구비된다.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a ringing plate for generating ringing by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is provided.

상기 울림판은, 상기 전면 패널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 1,2 사이드 패널의 패널 플랜지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sonant plate may be configured by panel flanges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nel.

상기 울림판은 V 형상으로 절곡되며, 상기 소리 출력장치에서 출력된 소리가 상기 울림판에서 반사되어 전면 패널의 전방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sounding plate is bent in a V shape, and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may be reflected from the sounding plate and transmitted to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상기 음성인식 장치의 바디부의 상부는 전면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판에 지지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is supported by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panel.

상기 바디부의 하부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front panel by a fastening member.

상기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에는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가 구비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포함되므로, 음성/소리를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현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voice recognition device equipped with a voice input device and a sound output device, so that a user interface can be implemented through voice / sound.

또한, 음성 입력장치를 통하여 수집되는 음성 전달경로와, 소리 출력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소리 전달경로가 구획되므로, 상기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 노이즈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oice transmission path collected through the voice input device and the sound transmission path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device are partition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put sound from acting as noise in the voice input device.

또한, 상기 음성 전달경로는, 사용자의 음성이 공기 조화기의 외부로부터 전면 패널을 향하여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소리 전달경로는, 소리가 전면 패널의 후방으로 출력된 후 전달 플레이트를 통하여 패널의 외부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리가 음성 입력장치의 노이즈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ice transmission path, so that the user's voice is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toward the front panel, the sound transmission path, after the sound is output to the rear of the front panel to the outside of the panel through the transmission plate By transmit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und from acting as noise of the voice input device.

상기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는 전후방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각 장치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소리의 전달경로를 용이하게 구획할 수 있다.Since the voice in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are arranged to overlap in front and rear, it is possible to easily divide a transmission path of voice / sound input or output from each device.

상기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각 장치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소리의 전달경로를 용이하게 구획할 수 있다.The voice in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a transmission path of voice / sound input or output from each device can be easily divided.

또한, 음성 입력장치는 복수 개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음성 인식율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oice input devices are provided to improve a user's speech recognition rate.

또한, 소리 출력장치는 음성인식 장치의 상하 방향 중심선에 배치되고 음성 입력장치는 상기 중심선의 좌우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되므로, 상기 소리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 불균일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und output device is disposed on the center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the voice input device is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center line,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is unevenly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device. Can be prevented.

또한,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는 바디부에 일체로 구성되므로, 각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고 컴팩트 한 음성인식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voice in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assembly of each device is easy and a compact voice recognition device can be provided.

또한, 음성인식 장치에는, 음성 입력장치와 소리 출력장치의 사이에 구비되는 격벽이 구비되어, 소리 출력장치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음성 입력장치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provided between the voice input dev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device.

또한, 음성 입력장치를 전면 패널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설치하여,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음성 입력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voice input devi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front pane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ise generat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device.

또한, 음성 입력장치에는 전면 패널의 후면에 접촉되는 실링부재가 포함되도록 하여, 공기 조화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전면 패널을 통하여 음성 입력장치의 마이크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ice input device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so that vibration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can be reduc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of the voice input device through the front panel.

또한, 전면 패널에 형성되는 패널 홀과, 상기 실링부재의 개구부 및 마이크의 마이크 홀이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어, 음성 입력장치에서의 음성 수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anel hole formed in the front panel, the opening of the sealing member and the microphone hole of the microphone are alig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voice collection in the voice input device can be easily performed.

특히, 상기 실링부재의 개구부는 상기 패널 홀 및 상기 마이크 홀의 크기보다 크고, 상기 패널 홀의 크기는 상기 마이크 홀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음성 입력장치의 조립시 조립 오차로 인하여 상기 실링부재의 설치위치가 정위치에서 이격되더라도 음성 전달경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음성 전달경로가 막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opening of the sealing member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anel hole and the microphone hole, and the size of the panel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microphone hole,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 is due to assembly errors when assembling the voice input device. Even if they are separated from the fixed position, the voice transmission path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oice transmission path from being blocked.

또한, 음성 입력장치에는, 마이크의 후방부에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마이크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cover to the rear portion of the microphone in the audio input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ransmission of noise generat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to the microphone.

또한, 음성 입력장치는 전면 하부에 구비되어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소음원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소음원이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 전달되는 크기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voice input devic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to be positioned relatively far from the noise source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noise source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캐비닛과, 전면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 및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의 후방에 음성인식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후방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전방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XI-X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의 XII-X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횡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와 전면 패널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격벽(B)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에 케이블(C)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H)가 전면패널의 후방 공간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음성 입력장치 및 음성 출력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binet and a front panel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ront panel and a voic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voice recognition devic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ech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rear configuration of a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ech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XI 'of FIG. 1.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XII 'of FIG. 1.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rear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a fro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VI-XVI 'of FIG. 15.
FIG. 17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16.
18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partition wall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showing a cable (C) is coupled to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rness (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the rear space of the front panel.
21 is a view showing a voice input device and a voice output device provided in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asily propose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캐비닛과, 전면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binet and the front panel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a voice recognit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캐비닛(100) 및 상기 캐비닛(100)에 결합되는 패널(130,140,150)이 포함된다.The air conditioner 10 includes a cabinet 100 and panels 130, 140, and 150 coupled to the cabinet 100.

상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진동 또는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부, 일례로 팬 모터 및 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류는 토출장치(110)를 통하여 공기 조화기(10)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Inside the cabinet 100, a driving unit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 or noise, for example, a fan motor and a fan may be included. The airflow generated by driving the fan may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10 through the discharge device 110.

상기 토출장치(11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방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토출장치(110)에는, 조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그릴(115)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토출장치(110)에는 2개의 토출그릴(115)이 포함되며, 상기 2개의 토출그릴(115)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discharge device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0). The discharge device 110 includes a discharge grill 115 for discharging harmonized air. For example, the discharge device 110 includes two discharge grills 115, and the two discharge grills 115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공기 조화기(1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20)는 상기 2개의 토출그릴(11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0 further includes a display 120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 on a screen. The display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wo discharge grills 115.

상기 패널(130,140,150)은 상기 토출장치(110) 및 디스플레이(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130,140,150)에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방 양측에 배치되는 2개의 사이드 패널(130,140) 및 상기 2개의 사이드 패널(130,14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 패널(150)이 포함된다. 상기 2개의 사이드 패널(130,140)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 1 사이드 패널(130) 및 상기 전면 패널(15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 2 사이드 패널(140)이 포함된다.The panels 130, 140, and 150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charge device 110 and the display 120. The panels 130, 140 and 150 include two side panels 130 and 140 dispos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cabinet 100 and a front panel 150 disposed between the two side panels 130 and 140. The two side panels 130 and 140 include a first side panel 130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panel 150 and a second side panel 140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nel 150. .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하면을 구성하는 베이스(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기 베이스(50)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120)까지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면 중앙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10 further includes a base 50 constitu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10. The front panel 150 may extend upward from the base 50 to the display 120. The front panel 150 may form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front central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외부의 음성(V1, 도 12 참조)을 수집하기 위한 패널 홀(152)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 홀(152)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널 홀(152)은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front panel 150, a panel hole 152 for collecting external voices (V1, see FIG. 12) is formed. The panel hole 152 may be located under the front panel 150. In one example, the panel hole 152 may have a circular shape.

그리고, 상기 패널 홀(152)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패널 홀(152)에는 서로 이격되는 제 1 패널홀(152a) 및 제 2 패널홀(152b)이 포함된다. 상기 제 1,2 패널홀(152a,152b)은 가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panel holes 152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anel holes 152 include first panel holes 152a and second panel holes 152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panel holes 152a and 152b may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세히,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하단부, 즉 베이스(50)의 하단부로부터 공기 조화기(10)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를 제 1 높이(H1)라 하고, 상기 베이스(50)의 하단부로부터 전면 패널(150)의 상단부까지의 높이를 제 2 높이(H2)라 정의할 때, 상기 제 1 높이(H1)는 상기 제 2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In detail, the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air conditioner 10, that is,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50 to the upper end of the air conditioner 10 is referred to as a first height H1, and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50 When defining the height to the upper end of the panel 150 as the second height H2, the first height H1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height H2.

상기 베이스(5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패널 홀(152)까지의 높이를 제 3 높이(H3)라 정의할 때, 상기 H3는 1/2*H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패널 홀(152)은 상기 전면 패널(150)의 하부, 즉 상하방향 중심부(Cp)를 기준으로 그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음성을 수집하는 패널 홀(152)이 상기 토출장치(110)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토출장치(110)에서 토출되는 기류 소음이 상기 패널 홀(15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defining the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base 50 to the panel hole 152 as the third height H3, the H3 may be formed smaller than 1/2 * H2. In detail, the panel hole 152 may be disposed below the front panel 150, that is, below the center of the vertical direction Cp.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anel hole 152 for collecting sound may be located far away from the discharge device 110, airflow nois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device 110 is transmitted to the panel hole 152 Can be prevented.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사이드 패널(130) 및 제 2 사이드 패널(140)은 공기 조화기(10)의 전면부 양측 외관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제 1,2 사이드 패널(130,140)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전면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st side panel 130 and the second side panel 140 form external appearances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air conditioner 10.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130 and 140 may have a front surface protruding roundly forward.

상기 제 1,2 사이드 패널(130,14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사이드 패널(13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면 중앙부에 위치되며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제 1 패널플랜지(135)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패널플랜지(135)는 "V"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130 and 140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detail, the first side panel 130 includes a first panel flange 135 position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air conditioner 10 and having a bent shape. For example, the first panel flange 135 may be bent in a “V” shape.

상기 제 2 사이드 패널(14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전면 중앙부에 위치되며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제 2 패널플랜지(145)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패널플랜지(145)는 "V"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panel 140 includes a second panel flange 145 positioned at the front center of the air conditioner 10 and having a bent shape. For example, the second panel flange 145 may be bent in a “V” shape.

상기 제 1 패널플랜지(135)와 상기 제 2 패널플랜지(145)는 전후 방향으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패널 플랜지(145)는 상기 제 1 패널플랜지(135)의 전면에 배치되며, 각 패널 플랜지(135,145)의 절곡된 V 형상은 서로 매칭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패널 플랜지(145)는 상기 제 1 패널플랜지(135)의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first panel flange 135 and the second panel flange 145 may be disposed to abut in the front-rear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panel flange 145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panel flange 135, and the bent V shapes of each panel flange 135 and 145 can be matched with each other. have. Of course, the second panel flange 145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panel flange 135.

상기 제 1,2 패널플랜지(135,145)에 의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중앙부는 후방으로 함몰된 함몰부(138)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2 패널플랜지(135,145)의 절곡된 형상에 의하여, 상기 함몰부(138)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V 형상으로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By the first and second panel flanges 135 and 145, the central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 may form a recessed portion 138 recessed in the rear. For example, by the bent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 flanges 135 and 145, the recessed portion 138 may have a shape recessed backward in a V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상기 제 1,2 사이드 패널(130,140)에는, 패널(130,140)을 서로 결합하는 결합장치(132,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132,142)는 상기 제 1,2 패널플랜지(135,145)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130 and 140 may be provided with coupling devices 132 and 142 for coupling the panels 130 and 140 to each other. The coupling devices 132 and 142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panel flanges 135 and 145.

상기 결합장치(132,142)에는, 상기 제 1,2 패널플랜지(135,145)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후크(132) 및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132)에 결합되는 후크 결합부(142)가 포함된다. 일례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후크(132)는 상기 제 1 패널플랜지(135)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 결합부(142)는 상기 제 2 패널플랜지(145)에 구비될 수 있다.The coupling devices 132 and 142 include a hook 132 provid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 flanges 135 and 145 and a hook coupling portion 142 provided on the other and coupled to the hook 132. do. As an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hook 132 is provided on the first panel flange 135 and the hook coupling portion 142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panel flange 145.

상기 함몰부(138)의 전방에는, 상기 전면 패널(15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은 얇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138)의 전방에 상기 전면 패널(150)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2 사이드 패널(130,140)의 함몰부(138) 및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은 음성인식 장치(200)의 설치공간을 정의한다.The front panel 15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depression 138. The front panel 150 may have a thin rectangular plate shape. The front panel 15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epression 138, so that the depression 138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130 and 140 and the rear of the front panel 150 are speech recognition devices 200. ) To define the installation space.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마이크 홀(152)이 형성되는 패널 본체(151)이 포함된다. 상기 패널 본체(151)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홀(152)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하부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panel 150 includes a panel body 151 in which a microphone hole 152 is formed. The panel body 151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microphone hole 152 may be form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body 151.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상기 패널 본체(1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폐부(15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차폐부(153)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5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함몰부(138)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판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153)에 의하여, 외부의 이물이 상기 함몰부(138)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front panel 150 further includes a shield 15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anel body 151. The shielding portion 153 may be understood as a shielding plate for preventing the recessed portion 138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gap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panel body 151 and the base 50. By the shielding portion 153,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recessed portion 138, and has an advantage that the appearance can be beautiful.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필름(155)이 더 포함된다. 상기 필름(155)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전면에 부착되며 상기 패널 본체(151)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155)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155)은 상기 마이크 홀(152)을 차폐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필름(155)의 하단부는 상기 마이크 홀(15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150 further includes a film 155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panel body 151. The film 155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panel body 151 and may extend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panel body 151. Further, the film 155 may be formed of a translucent or opaque material. The film 155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shield the microphone hole 152. In detail, the lower end of the film 155 may be located above the microphone hole 152.

상기 전면 패널(150)에는,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측에 결합되는 지지판(16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판(16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평판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부(161) 및 상기 플레이트부(161)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 본체(151)에 결합되는 플랜지부(165)가 포함된다. 상기 플랜지부(165)는 접착제 또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패널 본체(151)에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panel 150 further includes a support plate 160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panel body 151. The support plate 160 includes plate portions 16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flange portions 165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portion 161 and coupled to the panel body 151. . The flange portion 165 may be coupled to the panel body 151 by an adhesive or a fastening member.

상기 지지판(160)에는, 상기 플레이트부(161)로부터 상기 플랜지부(165)를 향하여 연장되는 판 연장부(167, 도 5 참조)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판 연장부(167)는 상기 플레이트부(161)의 양단으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플랜지부(165)에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60 further includes a plate extension portion 167 (see FIG. 5) extending from the plate portion 161 toward the flange portion 165. The plate extension portion 167 may be inclined forward from both ends of the plate portion 161 to be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165.

상기 지지판(160)에는, 상기 플레이트부(161)의 하부에 형성되며 음성인식 장치(200)의 지지돌기(212e)가 결합되는 기구 결합부(163)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60)에는, 상하방향 기준 상기 플레이트부(161)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며 캡(170)이 결합되는 캡 결합부(162)가 더 포함된다. The support plate 160 further includes a mechanism coupling portion 163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161 to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212e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200 is coupled.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160 further includes a cap coupling portion 162 formed o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portion 16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upled with the cap 170.

상기 캡(170)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구성이며,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170)의 상측에는, 케이블 홀더(1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홀더(175)는 상기 플레이트부(161)의 후면에 결합되며, 상기 캡(170)을 경유하여 연장되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 홀(176)을 가질 수 있다. 음성인식 장치(20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은 상기 캡(170) 및 상기 케이블 홀더(175)를 경유하여 캐비닛(10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The cap 17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cable, and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In addition, a cable holder 175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p 170. The cable holder 175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161 and may have an insertion hole 176 into which a cable extending via the cap 170 is inserted. The cable extending from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may extend into the interior of the cabinet 100 via the cap 170 and the cable holder 175.

상기 지지판(160)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방에서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음성 입력장치(230)와 소리 출력장치(250)를 전후방으로 구획하는 격벽(B, 도 18 참조)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60 extends from the rear of the panel main body 151 to the front and rear and constitutes at least a part of the partition wall B (see FIG. 18) that divides the audio input device 23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n front and rear. can do.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 및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의 후방에 음성인식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ront panel and a voic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in which a voice recognition device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면 패널(150)의 후측에는, 음성 또는 소리를 통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음성인식 장치(200)가 구비될 수 있다. 5 and 6, a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for implementing an interface with a user through voice or sound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1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는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를 상기 전면 패널(150)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브라켓(180)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브라켓(180)은 상기 패널 본체(151)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패널 홀(15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브라켓(180)은 상기 기구 결합부(16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detail, a fastening bracket 180 for coupling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to the front panel 15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The fastening bracket 18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panel body 151 and may be located above the panel hole 152. In addition, the fastening bracket 180 may be disposed under the mechanism coupling portion 163.

상기 공기 조화기(10)에는 상기 체결브라켓(180) 및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90)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재(290)는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브라켓(18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0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member 290 coupled to the fastening bracket 180 and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For example, the fastening member 290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racket 180 by penetrating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의 상부는 상기 지지돌기(212e)에 의하여 상기 기구 결합부(163)에 결합되며, 상하방향 기준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의 대략 중앙부는 상기 체결 브라켓(180)을 통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는 상기 전면 패널(15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mechanism coupling portion 163 by the support protrusion 212e,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20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fastening bracket 180. Through it can be fastened to the front panel 150. By such a structure,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may be firmly supported by the front panel 150.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에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파트(200a) 및 공기 조화기(1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소리를 출력하는 오디오 파트(200b)가 포함된다. 상기 소리에는, 전자음 또는 기계음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includes an audio part 200b that outputs sound to inform a user of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 and the voice part 200a that receives voice from the user. . The sound may include electronic sounds or mechanical sounds.

일례로, 상기 음성파트(200a)는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디오 파트(200b)는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voice part 200a may be disposed under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and the audio part 200b may be disposed above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상기 음성파트(200a)와 상기 오디오 파트(200b)는 하나의 몸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에는, 상기 음성파트(200a)에 구비되는 음성 입력장치(230) 및 상기 오디오 파트(200b)에 구비되는 소리 출력장치(250)가 포함된다.The voice part 200a and the audio part 200b may be integrally provided in one body. In detail,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includes a voice input device 230 provided in the voice part 200a and a sound output device 250 provided in the audio part 200b.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에는,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 및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가 장착되는 바디부(2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바디부(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바디부(2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body portion 210 on which the voice input device 23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re mounted. The body portion 21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oice input device 230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Can be.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90)는 상기 음성파트(200a)에 체결되며, 상기 지지돌기(212e)는 상기 오디오 파트(200b)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160)에 결합되므로, 상기 음성파트(200a) 및 오디오 파트(200b)는 상기 전면 패널(150)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 290 is fastened to the voice part 200a, and the support protrusion 212e is provided in the audio part 200b and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60, so that the voice part 200a And the audio part 200b can be easily supported by the front panel 150.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바디부(210)의 좌우방향 기준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2개가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210)의 하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의 무게 중심이 상기 바디부(2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body part 210, and two voice input devices 230 may be provided and dispos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body part 210. With this configuration, a center of gravity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20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210.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후방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전방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7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ar por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ech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ront portion of a speech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200)의 바디부(210)에는, 음성 입력장치(230)가 설치되는 로어 바디(211) 및 소리 출력장치(250)가 설치되는 어퍼 바디(212)가 포함된다. 상기 로어 바디(211)와 상기 어퍼 바디(212)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7 to 10, the body unit 210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ody 211 and a sound output device in which a voice input device 230 is installed. The upper body 212 on which the 250 is installed is included. The lower body 211 and the upper body 212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상기 로어 바디(211)에는, 상기 체결 브라켓(180)이 결합되는 브라켓 결합부(214)가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214)에는 상기 로어 바디(211)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수용홈(214a)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214a)에는 상기 체결 브라켓(180)이 삽입될 수 있다. The lower body 211 includes a bracket coupling portion 214 to which the fastening bracket 180 is coupled.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214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214a that is recessed rearward from the front of the lower body 211. The fastening bracket 18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4a.

상기 브라켓 결합부(214)의 후면부에는, 상기 체결부재(290)가 결합되는 체결부(214b)가 포함된다. 상기 체결부(214b)는 좌우방향 기준 상기 로어 바디(21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14b)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복수 개의 체결부(214b)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214a)은 상기 복수의 체결부(214b)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The rear portion of the bracket coupling portion 214 includes a coupling portion 214b to which the coupling member 290 is coupled. The fastening portion 214b may be dispos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11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214b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214b may be arrang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n, the receiving groove 214a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214b.

상기 로어 바디(211)의 중앙부에는, 다수의 공간부(217b,218b)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공간부(217b,218b)는 상기 로어 바디(211)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body 211, a plurality of space portions 217b and 218b are formed. The plurality of space portions 217b and 218b may be configured to be recessed fo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body 211.

상기 다수의 공간부(217b,218b)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디부(210)의 질량이 작아지게 되어 상기 체결부재(290)가 상기 로어 바디(211)에 체결될 때 발생되는 응력이 상기 로어 바디(211)에 크게 작용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로어 바디(211)를 제조할 때 필요한 재료비가 줄어들 수 있다.By forming the plurality of space portions 217b and 218b, the mass of the body portion 210 is reduced, and stress generated when the fastening member 290 is fastened to the lower body 211 is the lower body. It can be prevented from acting largely on (211). In addition, the material cost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lower body 211 may be reduced.

상기 다수의 공간부(217b,218b)에는, 상기 체결부(214b)가 위치되는 제 1 공간부(217b) 및 상기 제 1 공간부(217b)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 공간부(218b)가 포함된다. The plurality of space portions 217b and 218b include a first space portion 217b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 214b is located, and a second space portion 218b formed under the first space portion 217b. Is included.

상기 로어 바디(211)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판(211a)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공간부(217b)는 상기 가로 판(211a)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간부(218b)는 상기 가로 판(211a)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body 211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plate 211a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space portion 217b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211a,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218b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late 211a.

상기 로어 바디(211)에는, 상기 로어 바디(211)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217a,218a)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보강리브(217a,218a)에는, 상기 가로 판(211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보강리브(217a)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보강리브(217a)는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214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body 211 further includes reinforcing ribs 217a and 218a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lower body 211. The reinforcing ribs 217a and 218a include a first reinforcing rib 217a extending upward from the horizontal plate 211a. The first reinforcing rib 217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214b.

상기 보강리브(217a,218a)에는, 상기 가로 판(211a)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보강리브(218a)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보강리브(218a)는 상기 로어 바디(211)의 하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ribs 217a and 218a further include a second reinforcing rib 218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late 211a. The second reinforcing rib 218a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11.

상기 체결 브라켓(180)이 상기 수용홈(214a)에 삽입되도록 바디부(210)가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위치되고, 체결부재(290)는 상기 체결부(214b)를 관통하여 상기 체결 브라켓(180)에 체결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21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150 so that the fastening bracket 18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4a, and the fastening member 290 penetrates the fastening portion 214b to fasten the fastening It may be fastened to the bracket 180.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로어 바디(211)의 양측에 구비되며 음성 입력장치(230)가 설치되는 장착부(213)가 포함된다. 상기 장착부(213)는 상기 로어 바디(211)의 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210 includes mounting portions 21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11 and on which the voice input device 230 is installed. The mounting portion 213 may be provided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body 211.

상기 장착부(213)는 상기 바디부(21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제 1 장치안착부(213a)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장치안착부(213a)에는 음성 입력장치(230)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장치안착부(213a)는 상기 수용홈(214a)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213 includes a first device seating portion 213a that is recessed rear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body portion 210. A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seated on the first device seating portion 213a. In addition, the first device seating portion 213a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214a.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에는, 2개의 장착부(21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제 1 입력장치(230a) 및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 2 입력장치(230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입력장치(230a)와 상기 제 2 입력장치(230b)는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입력장치(230a)는 상기 제 1 패널홀(152a)의 후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입력장치(230b)는 상기 제 2 패널홀(152b)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는 동일한 높이에서 설치될 수 있다.The audio input device 230 includes a first input device 230a installed on one of the two mounting units 213 and a second input device 230b installed on the other. The first input device 230a and the second input device 230b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lso, the first input device 230a may b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first panel hole 152a, and the second input device 230b may b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second panel hole 152b.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 and 230b may b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에는, 마이크(233)가 설치되는 기판(232) 및 상기 기판(232)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에 접촉되는 실링부재(235)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실링부재(235)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voice input device 230 includes a substrate 232 on which the microphone 233 is installed and a sealing member 235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substrate 232 and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do.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235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상기 기판(232)에는, 상기 패널 홀(152)을 통하여 전달되는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홀(232a)이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마이크 홀(232a)은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232)의 후면부에는, 상기 마이크 홀(232a)과 연통하여 음성을 수집하는 상기 마이크(233)가 설치될 수 있다. A microphone hole 232a into which a voice transmitted through the panel hole 152 is input is formed on the substrate 232. For example, the microphone hole 232a may have a circular shape. In addition, the microphone 233 may be installed at a rear portion of the substrate 232 to communicate with the microphone hole 232a and collect voice.

상기 실링부재(235)는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와 상기 전면패널(150)의 사이 공간을 밀폐하여 공기 조화기(10) 내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마이크(233)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aling member 235 seals the space between the voice input device 230 and the front panel 150 to prevent the noise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1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233. Can be.

그리고,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상기 실링부재(235)를 통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중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와 전면패널(150) 간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링부재(235)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nel 150 through the sealing member 235, even if vibration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0, the voice input device 23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pact between the front panel 150 and.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235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상기 실링부재(235)는 다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링부재(235)는 전후 방향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235)에는, 상기 전면패널(150)의 패널 홀(152)과 연통하는 실링 개구부(235a)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 개구부(235a)는 상기 실링부재(235)의 중앙부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링 개구부(235a)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실링 개구부(235a)의 크기는 상기 패널 홀(15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235 may have a polyhedron shape.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235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 relatively small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a sealing opening 235a communicating with the panel hole 152 of the front panel 150 is formed in the sealing member 235. The sealing opening 235a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aling member 235 in the front-rear direction.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sealing opening 235a may be circular. The size of the sealing opening 235a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panel hole 152.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에는, 상기 장치안착부(213a)에 안착되며 상기 기판(232)의 후면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커버(234)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34)는 상기 기판(232)의 측면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voice input device 230 further includes a cover 234 seated on the device seating portion 213a and disposed to surround a rear portion of the substrate 232. In addition, the cover 234 may be disposed to support a side portion of the substrate 232.

상기 커버(234)는 상기 마이크(233)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를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234)는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ver 234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rear of the microphone 233, it is possible to press the voice input device 230 forward. Accordingly, the voice input device 230 can be easily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In one example, the cover 234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에는, 상기 기판(232)에 연결되는 케이블(C)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C)은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함께 음성인식 장치(200)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further include a cable C connected to the substrate 232. The cable (C) is extended upward, and may be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200 together with the cable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device 250.

상기 어퍼 바디(212)는 상기 로어 바디(2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210)를 상기 지지판(160)에 결합하기 위한 걸림돌기(212e)는 상기 어퍼 바디(212)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body 212 may extend upward from the lower body 211. A locking protrusion 212e for coupling the body portion 210 to the support plate 16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body 212.

상기 어퍼 바디(212)에는, 스피커 홀(215)이 형성되는 후면부(212a) 및 상기 후면부(212a)의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부(212b)가 포함된다. 상기 스피커 홀(215)은 스피커(255)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피커 홀(215)은 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한다.The upper body 212 includes a rear portion 212a in which a speaker hole 215 is formed, and two side portions 212b extending forward from an edge of the rear portion 212a. The speaker hole 215 may be formed to be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peaker 255. In one example, the speaker hole 215 forms a circular opening.

상기 후면부(212a) 및 상기 2개의 측면부(212b)에 의하여, 소리 출력장치(250)가 설치되는 제 2 장치안착부(212c)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장치안착부(212c)는 상기 어퍼 바디(212)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장치안착부(212c)에는 스피커가 수용될 수 있는 점에서, "스피커 수용부"라 이름할 수 있다. A second device seating portion 212c in which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installed may be defined by the rear portion 212a and the two side portions 212b. The second device seating portion 212c may be understood as a space recessed from the front of the upper body 212 to the rear. Since the speaker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device seating portion 212c, it may be called a “speaker receiving portion”.

상기 2개의 측면부(212b)에는,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를 지지하는 장치후크(212d)가 더 포함된다. 상기 장치후크(212d)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장치후크(212d) 중 2개의 장치후크는 2개의 측면부(212b) 중 일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2개의 장치후크는 타 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two side portions 212b further include a device hook 212d supporting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 plurality of device hooks 212d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wo of the plurality of device hooks 212d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two side parts 212b. And, the other two device hooks can be arranged on the other side.

상기 장치후크(212d)는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의 전면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가 상기 어퍼 바디(212)에 장착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장치안착부(212c)에 안착될 때, 상기 2개의 측면부(212a) 및 각 측면부(212a)에 위치된 장치후크(212d)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할 수 있다. The device hook 212d may support the front portion of the sound output device 250. Briefly explaining the process in which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mounted on the upper body 212, when the sound output device 250 moves to the rear and is seated on the second device seating portion 212c, The two side portions 212a and the device hook 212d positioned on each side portion 212a may be de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가 상기 제 2 장치안착부(212c)에 안착되면, 상기 2개의 측면부(212b)는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 개의 장치후크(212d)는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의 전면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n, when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seated on the second device seating portion 212c, the two side parts 212b move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restoring force, and the plurality of device hooks 212d are A jam may be made in front of the sound output device 25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und output device 250 from coming off.

상기 2개의 측면부(212b)에는, 상기 장치후크(212d)가 변형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개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23)는 상기 장치후크(212d)의 상측 및 하측에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후크(212d)는 2개의 절개부(223)의 사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In the two side portions 212b, an incision portion 223 may be formed to facilitate deformation of the device hook 212d. Two incision parts 223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device hook 212d. The device hook 212d may be deform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between the two incisions 223.

상기 후면부(212a)에는 하나 이상의 본체 관통홀(216)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 관통홀(216)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본체 관통홀(216)은 상기 다수 개의 장치후크(212d)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관통홀(216)은 상기 장치후크(212d) 또는 상기 절개부(223)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가공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홀로서 이해될 수 있다.One or more body through holes 216 are formed in the rear portion 212a. A plurality of body through holes 216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body through holes 216 may b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device hooks 212d. The body through hole 216 may be understood as a hole into which a processing tool can be inserted 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device hook 212d or the incision 223.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에는, 스피커개구부(251a)를 가지는 출력장치 본체(251) 및 상기 스피커개구부(251a)에 구비되어 설정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255)가 포함된다. 상기 출력장치 본체(25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피커개구부(251a)는 상기 출력장치 본체(251)의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55)는 상기 스피커개구부(251a)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250 includes an output device main body 251 having a speaker opening 251a and a speaker 255 provided in the speaker opening 251a for outputting a set sound. The output device main body 251 is configur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peaker opening 251a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output device main body 251. The speaker 255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opening 251a.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에는, 상기 출력장치 본체(251)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스지지부(252)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보스지지부(252)는 상기 어퍼 바디(212)에 구비되는 보스(221)에 결합된다. 상기 보스(221)는 상기 후면부(21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스 지지부(252)는 일부분이 절개된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스(22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250 further includes a boss support portion 252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utput device body 251. The boss support portion 252 is coupled to the boss 221 provided on the upper body 212. The boss 221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rear portion 212a. For example, the boss support portion 252 may have a ring shape in which a portion is cut, and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ss 221.

도 11은 도 1의 XI-X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XI 'of FIG. 1.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에는, 전면 패널(150)의 후방에 소리 출력장치(2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는 지지판(160)이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160)의 후면에는 음성인식 장치(200)의 어퍼 바디(212)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installed behind the front panel 150. In detail, a support plate 160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and an upper body 212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60.

상기 지지판(160)에는, 상기 어퍼 바디(212)가 결합되는 플레이트부(161)와, 상기 플레이트부(15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판 연장부(167) 및 상기 판 연장부(167)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접촉되는 플랜지부(165)가 포함된다. The support plate 160 includes a plate portion 161 to which the upper body 212 is coupled, a plate extension portion 167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front from the plate portion 151, and the plate extension portion 167. It includes a flange portion 165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ontacting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상기 플레이트부(161)와 상기 판 연장부(167)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판 연장부(167)와 상기 플랜지부(165)는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플레이트부(161)와 상기 판 연장부(167)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161)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The plate portion 161 and the plate extension portion 167 have a bent shape, and the plate extension portion 167 and the flange portion 165 have a bent shape. The plate portion 161 and the plate extension portion 167 may be spaced fo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In addition, the plate portion 161 may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플레이트부(161)에 지지되므로,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에 구비되는 스피커(255)는 상기 전면 패널(150)로부터 공기 조화기의 내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Since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supported by the plate unit 161, the speakers 255 provided in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r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anel 150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에는, 상기 플랜지부(165)의 단부를 지지하는 판 돌기(157)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판 돌기(157)는 상기 플랜지부(165)의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판 돌기(157)는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a plate protrusion 157 is provided to support the end of the flange portion 165. In one example, the plate projection 157 may be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lange portion 165. The plate protrusion 157 may protrude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에는, 스피커(255)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51b)을 형성하는 출력장치 본체(251)가 포함되며, 상기 출력장치 본체(251)의 후면부에는 상기 스피커(255)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후방으로 전달하는 스피커개구부(251a)가 형성된다. 상기 스피커개구부(251a)는 상기 수용공간(251b)과 연통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250 includes an output device body 251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251b for receiving the speaker 255, and the speaker 255 is provided at a rear portion of the output device body 251. A speaker opening 251a for transmitting the output sound to the rear is formed. The speaker opening 251a may communicate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251b.

상기 스피커개구부(251a)는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의 후방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피커개구부(251a)는 상기 제 1,2 사이드 패널(130,140)의 제 1,2 패널플랜지(135,145)를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패널플랜지(135,145)는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피커개구부(251a)의 후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peaker opening 251a may be opened toward the rear of the sound output device 250. That is, the speaker opening 251a may be opened toward the first and second panel flanges 135 and 145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130 and 140. The first and second panel flanges 135 and 145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150 and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speaker opening 251a.

상기 어퍼 바디(212)에는, 상기 스피커개구부(251a)의 후측에 배치되는 스피커 홀(215)이 포함된다. 상기 스피커개구부(251a)와 상기 스피커홀(215)는 전후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255)에서 출력되는 소리는 상기 스피커개구부(251a)를 지나, 상기 스피커 홀(215)을 통하여 후방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upper body 212 includes a speaker hole 215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speaker opening 251a. The speaker opening 251a and the speaker hole 215 may be alig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refore,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255 may be transmitted to the rear through the speaker opening 251a and through the speaker hole 215.

상기 제 1,2 사이드 패널(130,140)은 상기 스피커(255)에서 출력되는 소리에 의하여 울림이 발생하는 울림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2 패널플랜지(135,145)는 상기 스피커(255)의 후측에 위치되며, V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ide panels 130 and 140 may perform a function of a ringing plate in which ringing occurs due to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255. In detail, the first and second panel flanges 135 and 145 are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speaker 255 and may have a shape bent in a V shape.

상기 스피커(255)에서 출력된 소리는 상기 제 1 패널플랜지(135) 또는 상기 제 2 패널플랜지(145)의 절곡된 부분에 부딪혀 반사되고 전방을 향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2 패널플랜지(135,145)는 소리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255 may be reflected by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panel flange 135 or the second panel flange 145 and reflected and transmitted toward the front. In this process, the first and second panel flanges 135 and 145 may be resonated while vibrating by sound.

그리고, 상기 제 1,2 패널플랜지(135,145)의 전방으로 반사된 소리는 상기 제 1,2 패널플랜지(135,145)와 상기 지지판(160)의 사이 공간, 그리고 상기 제 1,2 플랜지(135,145)와 상기 전면패널(150)의 사이 공간을 통하여 공기 조화기(10)의 전방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스피커(255)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인지할 수 있다.And, the sound reflected in the front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 flanges 135 and 145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nel flanges 135 and 145 and the support plate 160, and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35 and 145.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front of the air conditioner 10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ront panel 150. Therefore, the user can recognize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255.

도 12는 도 1의 XII-X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횡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XII 'of FIG. 1,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oice input device according to.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장치(230)는 바디부(210)의 로어 바디(211)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voice input device 2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body 211 of the body portion 210.

상세히, 상기 로어 바디(211)의 양측에는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가 장착되는 장착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3)는 상기 로어 바디(211)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 특히 커버(234)는 상기 장착부(213)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In detail,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11, mounting portions 213 on which the voice input devices 230 are mounted may be provided. The mounting part 213 may be recessed from the front of the lower body 211 to the rear,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rear of the front panel 150. In addition, the voice input device 230, in particular, the cover 234 may be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13.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세히,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패널 홀(152)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입력장치(230a)는 제 1 패널홀(152a)의 후측에 배치되고, 제 2 입력장치(230b)는 제 2 패널홀(152b)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voice input device 230 is located behind the front panel 150. In detail, 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panel hole 152. The first input device 230a may be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first panel hole 152a, and the second input device 230b may be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second panel hole 152b.

상기 제 1,2 패널홀(152a,152b)은 사용자의 음성(V1)이 용이하게 인식되고 인식된 정보의 오차가 작을 수 있도록, 설정거리(S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2 패널홀(152a,152b)은 약 3.5~4.5cm 만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패널홀(152a,152b)의 직경은 1.5~2.5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panel holes 152a and 152b may be separated by a set distance S1 so that the user's voice V1 is easily recognized and the error of the recognized information is small.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panel holes 152a and 152b may be spaced apart by about 3.5 to 4.5 cm.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first and second panel holes 152a and 152b may be formed in a range of 1.5 to 2.5 mm.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의 커버(234)는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에 접촉 또는 밀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234)에는, 상기 마이크(233) 또는 상기 PCB(232)의 후방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커버본체(234a) 및 상기 커버본체(234a)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에 접촉하는 커버플랜지(234b)가 포함된다. 상기 커버본체(234a)는 상기 마이크(233) 또는 상기 PCB(232)의 측방을 감쌀 수도 있다.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In detail, the cover 234 of 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in contact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In detail, the cover 234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cover body 234a and the cover body 234a arranged to surround the rear of the microphone 233 or the PCB 232 and the front panel 150 ) Includes a cover flange 234b that contacts the rear surface. The cover body 234a may wrap around the side of the microphone 233 or the PCB 232.

상기 커버(234)의 내부공간에는 PCB(232), 마이크(233) 및 실링부재(235)가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234)는 상기 마이크(233) 또는 상기 PCB(232)의 후방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마이크(233) 및 상기 PCB(232)를 상기 전면패널(150)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이크(233)의 후면은 상기 커버(234)의 내면에 안착될 수 있다. A PCB 232, a microphone 233, and a sealing member 235 may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234. In particular, the cover 234 is disposed to surround the rear of the microphone 233 or the PCB 232, and can press the microphone 233 and the PCB 232 toward the front panel 150 side. . For example, the rear surface of the microphone 233 may be s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234.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의 실링부재(235)는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에 접촉 또는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235)는 상기 패널홀(152)에 연통되는 실링 개구부(235a)가 형성된다. 상기 패널 홀(152)과 상기 실링 개구부(235a)는 전후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은 상기 패널홀(152)을 지나 상기 실링 개구부(235a)를 통하여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235 of 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in contact or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The sealing member 235 is formed with a sealing opening 235a communicating with the panel hole 152. The panel hole 152 and the sealing opening 235a may be alig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user's voice may be transmitted to the interior of the voice input device 230 through the sealing opening 235a after passing through the panel hole 152.

상기 PCB(232)에는, 상기 실링 개구부(235a)와 연통되는 마이크 홀(232a)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 개구부(235a)와 상기 마이크 홀(232a)은 전후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실링 개구부(235a)를 통하여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의 내부로 전달된 사용자의 음성은 상기 마이크 홀(232a)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233)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홀(232a)과 상기 마이크(233)는 연통될 수 있다.A microphone hole 232a communicating with the sealing opening 235a is formed in the PCB 232. The sealing opening 235a and the microphone hole 232a may be alig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user's voice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voice input device 230 through the sealing opening 235a may be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233 through the microphone hole 232a. The microphone hole 232a and the microphone 233 may communicate.

상기 패널 홀(152)과, 상기 실링 개구부(235a) 및 상기 마이크 홀(232a)은 전후 방향으로 정렬되며,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anel hole 152, the sealing opening 235a, and the microphone hole 232a are alig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상세히, 상기 실링 개구부(235a)의 직경(D2)은 상기 패널 홀(152)의 직경(D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홀(152)의 직경(D1)은 상기 마이크 홀(232a)의 직경(D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직경(D1)은 1.8~2.2mm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상기 직경(D2)는 2.4~2,6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경(D3)는 0.5~1.0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diameter D2 of the sealing opening 235a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D1 of the panel hole 152. In addition, the diameter D1 of the panel hole 152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D3 of the microphone hole 232a. In one example, the diameter (D1) is formed in the range of 1.8 ~ 2.2mm, the diameter (D2)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2.4 ~ 2,6mm. Then, the diameter (D3)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0.5 ~ 1.0mm.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음성 입력장치(230)를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설치할 때, 상기 실링부재(235)의 설치위치에 오차가 발생하거나 상기 실링부재(235)가 전면 패널(150)에 밀착되는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실링부재(235)가 상기 패널 홀(152) 또는 상기 마이크 홀(232a)을 차폐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233)로 전달되는 음성 전달경로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voice input device 23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an error occurs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 235 or the sealing member 235 is attached to the front panel 150. Even if deformation occurs in the process of being in close contac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ling member 235 from blocking the panel hole 152 or the microphone hole 232a. Accordingly, a voice transmission path through which the user's voice is delivered to the microphone 233 can be easily secured.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와 전면 패널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후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XVI-XV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격벽(B)의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15 is a rear view showing a combined view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and the front pan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XVI-XVI 'of FIG. 15, and FIG.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and FIG. 18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partition wall B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200)는 전면 패널(150)의 후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의 상부는 지지판(160)에 지지되며, 하부는 체결부재(290)에 의하여 상기 전면 패널(150)에 체결될 수 있다. 15 to 17, the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150. The upper portion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60,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fastened to the front panel 150 by a fastening member 290.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음성인식 장치(200)의 상하방향 중심선(ℓ1)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중심선(ℓ1)은 상기 어퍼 바디(212)의 제 2 장치안착부(212c)의 중심을 지나고, 스피커(255)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on the center line (L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200. That is, the center line 1 may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device seating portion 212c of the upper body 212 and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speaker 255.

상세히,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지지판(160)에 지지되며,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60)은 플레이트부(161)와, 판 연장부(167) 및 플랜지부(165)가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65)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접촉되며, 상기 플레이트부(161)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설정거리(S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정거리(S2)는 6~7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60 and may be spaced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The support plate 160 may include a plate portion 161, a plate extension portion 167, and a flange portion 165 bent. The flange portion 165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and the plate portion 16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by a set distance (S2). In one example, the set distance (S2)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6 ~ 7mm.

상기 설정거리(S2)에 의하여 정의되는,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과 상기 플레이트부(161) 사이의 공간은 음성 입력장치(23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C1) 및 소리 출력장치(25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C2)이 통과하는 케이블 통로를 형성한다.The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and the plate portion 161, defined by the set distance S2, extends from the audio input device 23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 cable passage through which the cable C2 extending from is formed.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의 후면, 특히 출력장치 본체(251)의 후면은 상기 지지판(160)의 플레이트부(161)로부터 후방으로 설정거리(S3)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정거리(S3)는 1~2mm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n particular, the rear surface of the output device body 251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plate portion 161 of the support plate 160 by a set distance S3. In one example, the set distance (S3) may be formed in the range of 1 ~ 2mm.

상기 공기 조화기(10)가 운전될 때 공기 조화기(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플레이트부(161)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력장치 본체(251)가 상기 플레이트부(161)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진동은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에 전달되어 스피커(255)에 떨림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스피커(255)의 출력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출력장치 본체(251)는 상기 플레이트부(161)로부터 이격된다.When the air conditioner 10 is operated, vibration generated in the air conditioner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plate portion 161. Accordingly, when the main body 251 of the output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plate portion 161,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ound output device 250, causing vibration in the speaker 255, and accordingly, the speaker 255. Output performance may deteriorate. To prevent this, the output device body 251 is spaced apart from the plate portion 161.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음성인식 장치(200)의 상하방향 중심선(ℓ1)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based on the center line 1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의 전방 및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밀착되며, 상기 지지판(1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nd behind the front panel 150. In detail, the voice input device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and may be disposed under the support plate 160.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까지의 거리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으로부터 마이크(233)까지의 거리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스피커(255)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a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to 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smaller than a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to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n other words, the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to the microphone 233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to the speaker 255.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장치(230)와 소리 출력장치는 바디부(210)에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8, the voice input device 23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10 to form one body.

상세히, 음성인식 장치(200)에는,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와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B)은 지지판(160)의 적어도 일부분 및 바디부(210)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상기 격벽(B)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격벽(B)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In detail,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B disposed between the voice input device 23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The partition wall B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6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partition B,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located behind the partition B.

그리고,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상기 격벽(B)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격벽(B)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2개의 입력장치(230a,230b)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입력장치(230a,230b)는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located below the partition B,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partition B. In addition, the voice input device 230 includes two input devices 230a and 230b, and the two input devices 230a and 230b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격벽(B)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음성 입력장치(230)와,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출력장치(250)를 구획하여, 각 장치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음성/소리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255)를 통하여 전면패널(150)의 후방으로 출력되는 소리가 전면패널(150)의 전방으로부터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233)로 직접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B divides the voice input device 230 for inputting a user's voice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for outputting a sound, and separates the voice / sound input or output from each device. can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sound output to the rear of the front panel 150 through the speaker 255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icrophone 233 collecting voice from the front of the front panel 150.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에 케이블(C)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H)가 전면패널의 후방 공간에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9 is a view showing a cable (C) is coupled to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harness (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of the front panel It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of being located in space.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200)에는, 음성 입력장치(23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C1) 및 소리 출력장치(25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C2)을 고정하는 고정부재(F)가 포함된다.19 and 20,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le C1 extending from the voice input device 230 and a cable extending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 fixing member (F) for fixing (C2) is included.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에는, 상기 케이블(C1,C2)이 바디부(2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몰딩부(M)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몰딩부(M)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C1,C2)은 어퍼 바디(212)의 케이블공간부(212f, 도 9 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공간부(212f)은 상기 어퍼 바디(212)의 하부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스피커(255)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may be provided with a molding part M so that the cables C1 and C2 are fixed to the body part 210. By the molding part M, the cables C1 and C2 may be fixed to the cable space part 212f of the upper body 212 (see FIG. 9). The cable space portion 212f is a space recessed rearward from the lower front surface of the upper body 212 and may be formed below the speaker 255.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에는, 음성 입력장치(23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C1) 및 소리 출력장치(25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C2)을 잡아주는 하네스(H)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네스(H)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C1,C2)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C1,C2)을 외부 충격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cable C1 extending from the voice input device 230 and a harness H holding the cable C2 extending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250. The harness (H)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ables (C1, C2),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cables (C1, C2) against external impact.

상기 케이블(C1,C2)는 상기 몰딩부(M)에 의하여 몰딩된 후, 상기 하네스(H)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네스(H)는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과 상기 플레이트부(161) 사이의 공간에 놓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네스(H)는 테이프(T)를 통하여 상기 지지판(160)에 부착되므로, 하네스(H)의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After the cables C1 and C2 are molded by the molding part M, they may extend into the inside of the harness H. In addition, the harness H extends upward from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200 and may be placed in a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and the plate portion 161. In addition, since the harness H is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160 through the tape T, fluctuation of the harness H can be prevented.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2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ech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ech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200')에는, 전후방으로 중첩(overlap)된 위치에 배치되는 음성 입력장치(230) 및 소리 출력장치(250)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S. 21 and 22,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input device 230 and a sound output device 250 disposed at positions overlapping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 Is included.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의 상세 구성, 즉 기판(232), 마이크(233), 커버(234) 및 실링부재(235)에 관한 설명과, 상기 실링부재(235)가 전면 패널의 후면에 밀착되는 구성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oice input device 230, that is, the description of the substrate 232, microphone 233, cover 234 and sealing member 235, and the sealing member 23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front panel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to be used is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그리고,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의 상세 구성, 즉 스피커개구부(251a)를 가지는 출력장치 본체(251) 및 스피커(255)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그리고,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음성인식 장치(200')의 바디부(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다.In addition,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ound output device 250, that is, the description of the output device main body 251 and the speaker 255 having the speaker opening 251a is used as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n,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 which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는 상기 전면패널(150)의 후면과 지지판(160a)이 이루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60a)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161a)와, 상기 플레이트부(161a)의 양측에 구비되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결합되는 플랜지부(165a) 및 상기 플레이트부(161a)로부터 상기 플랜지부(167a)로 연장되는 연장부(167a)가 포함된다.The voice input device 230 may be installed in a space formed by the back of the front panel 150 and the support plate 160a. The support plate 160a includes plate portions 161a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lange portions 165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late portion 161a, and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and the plate portion ( An extension portion 167a extending from 161a to the flange portion 167a is included.

상기 플레이트부(161a)의 전면에는 장착부(2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213')의 양측에는, 제 1 입력장치(230a) 및 제 2 입력장치(230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3')에는, 상기 장착부(213')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는 2개의 제 1 장치안착부(213a')가 포함되며,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는 상기 2개의 제 1 장치안착부(213a')에 설치될 수 있다.A mounting portion 21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161a. In addition, the first input device 230a and the second input device 230b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unit 213 '. The mounting portion 213 'includes two first device seating portions 213a' recessed from the front of the mounting portion 213 'to the rear, and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 and 230b are the It may be installed on the two first device seating portion (213a ').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플레이트부(161b)의 후면에 설치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부(161a)는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와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를 구획하는 격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161b. That is, the plate portion 161a may function as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voice input device 23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상기 플레이트부(161a)에는, 격벽개구(166a)가 형성된다. 상기 격벽개구(166a)를 통하여, 상기 장착부(213')와 바디부(210)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210)에는, 소리 출력장치(250)가 결합된다. 즉, 상기 격벽개구(166a)를 통하여,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와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바디부(21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와 소리 출력장치(250)의 바디부(210)에 대한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다.A partition wall opening 166a is formed in the plate portion 161a. Through the partition opening 166a, the mounting portion 213 'and the body portion 210 may be detachably coupled. In addition, a sound output device 250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10. That is, through the partition opening 166a, the voice input device 23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10. By such a configuration, assembling properties of the body 210 of the voice input device 23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improved.

제 1 입력장치(230a)를 지나는 전후 방향의 제 1 연장선(ℓ2)은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와 만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입력장치(230b)를 지나는 전후 방향의 제 2 연장선(ℓ2')은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와 만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line L2 in the front-rear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first input device 230a may be formed to meet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lso, the second extension line L2 ′ in the front-rear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put device 230b may be configured to meet the sound output device 250.

특히, 상기 제 1 연장선(ℓ2)은 상기 제 1 입력장치(230a)의 마이크(233) 및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의 스피커(255)와 만나며, 상기 제 2 연장선(ℓ2')은 상기 제 2 입력장치(230b)의 마이크(233)와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의 스피커(255)와 만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입력장치(230a)의 마이크(233)와 상기 스피커(255), 그리고 상기 제 2 입력장치(230a)의 마이크(233)와 스피커(255)는 전후방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extension line (ℓ2) meets the microphone 233 of the first input device (230a) and the speaker (255) of the sound output device 250, the second extension line (ℓ2 ') is the first 2 can be configured to meet the microphone 233 of the input device 230b and the speaker 255 of the sound output device 250. That is, the microphone 233 and the speaker 255 of the first input device 230a, and the microphone 233 and speaker 255 of the second input device 230a may be arranged to overlap in front and rear. .

그리고, 패널 홀(152a)을 지나는 전후 방향의 연장선(ℓ3)은 제 1 입력장치(230a)의 상하방향 기준 중심부와, 소리 출력장치(250)의 상하방향 기준 중심부를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입력장치(230a)와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 2 입력장치(230b) 또한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nsion line L3 in the front-rear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panel hole 152a may be configured to pass the vertical reference center of the first input device 230a and the vertical reference center of the sound output device 250. That is, the first input device 230a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input device 230b may also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ound output device 250.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와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가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위치되더라도,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와 소리 출력장치(250)는 플레이트부(160a)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음성 입력장치(230)가 음성을 입력받는 방향과,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가 소리를 출력하는 방향은 모두 후방을 향하므로 음성 입력장치(230)를 통한 음성 인식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lthough the voice input device 23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re relatively located at a short distance, the voice input device 23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re partitioned by the plate unit 160a, and the voice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put device 230 receives the voic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ound output device 250 outputs the sound are directed toward the rear, the speech recognition rate through the voice input device 2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

도 2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eech recogni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200'')에는, 음성 입력장치(230a)와 소리 출력장치(250)를 구획하는 지지판(160b)이 포함된다. 상기 지지판(160b)에는, 전면 패널(150)의 후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부(161b)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플레이트부(161b)는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a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input device 230a and a support plate 160b that partitions the sound output device 250. The support plate 160b includes a plate portion 161b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In one example, the plate portion 161b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상기 지지판(160b)에는, 상기 플레이트부(161b)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장부(167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연장부(167b)는 "ㄷ"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50)의 후면과 상기 연장부(167b)는 제 1 입력장치(230a) 및 제 2 입력장치(230b)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다.The support plate 160b further includes an extended portion 167b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both sides of the plate portion 161b. The extension portion 167b may be bent in a “c” shape.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and the extension portion 167b may define an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first input device 230a and the second input device 230b are installed.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 and 230b are spaced apa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가 안착되는 장착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는 상기 장착부(213'')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In the installation space, mounting units 213 ″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 and 230b are seated may be provided.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 and 230b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13 ″.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의 전후 방향기준 중심을 가로지르는 연장선(ℓ4)은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를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arranged to be align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 and 230b. For example, 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 and 230b. In detail, an extension line (L4) crossing the center of the front-rear direction reference of 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230b.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와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는 상기 지지판(160b)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와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의 사이에는, 상기 연장부(167b)가 위치될 수 있다. 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 and 230b.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nd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 and 230b may be separated by the support plate 160b. In detail, between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nd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 and 230b, the extension part 167b may be locat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판(160b)은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와 상기 제 1,2 입력장치(230a,230b) 사이의 격벽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음성 입력장치(23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upport plate 160b can function as a partition wall between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nd the first and second input devices 230a and 230b, and thus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voice input device 230.

한편,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를 수용하는 바디부(210)의 하부는 상기 지지판(160b)의 하부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부(213'')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부 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accommodating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located below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60b, and the mounting portion 213 ″ is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It can be connected to both sides.

도 2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와 전면 패널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24 is a rear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a front pane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장치(200''')에는, 바디부(210)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어 음성을 입력받는 2개의 입력장치(230a,230b) 및 상기 2개의 입력장치(230a,230b)의 하측에 배치되는 소리 출력장치(250)가 포함된다.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로어 바디(211)에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입력장치(230a,230b)는 어퍼 바디(212)에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in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200 ′ ″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input devices 230a and 230b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210 to receive voice. And a sound output device 250 disposed below the two input devices 230a and 230b. 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body 211, and the two input devices 230a and 230b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body 212.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음성인식 장치(200''')의 상하방향 중심선(ℓ1')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중심선(ℓ1')은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에 구비되는 스피커(255)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입력장치(230a,230b)는 상기 중심선(ℓ1')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ound output device 250 may be arranged to be positioned on the center line (L1 ')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200' ''. That is, the center line L1 ′ may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speaker 255 provided in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n addition, the two input devices 230a and 230b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the center line L1 '.

그리고, 상기 2개의 입력장치(230a,230b)는 전면패널(150)의 후면과 지지판(160)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는 상기 지지판(160)의 후측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wo input devices 230a and 230b ar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50 and the support plate 16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plate 160. You ca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 및 2개의 입력장치(230a.230b)이 중심선(ℓ1')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므로, 음성인식 장치(200''')의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nd the two input devices 230a.230b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l1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200' '' is It can be stably formed.

그리고, 상기 지지판(160)이 소리 출력장치(250) 및 2개의 입력장치(230a.230b)의 사이에서 격벽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기 소리 출력장치(25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음성 입력장치(230)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late 160 functions as a partition wall between the sound output device 250 and the two input devices 230a.230b,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device 250 is a voice input device ( 230) can be prevented.

10 : 공기 조화기 100 : 캐비닛
130 : 제 1 사이드패널 135 : 제 1 패널플랜지
140 : 제 2 사이드패널 145 : 제 2 패널플랜지
150 : 전면 패널 152 : 패널 홀
153 : 차폐부 155 : 필름
160 : 지지판 161 : 플레이트부
165 : 플랜지부 167 : 판 연장부
170 : 캡 180 : 체결 브라켓
200 : 음성인식 장치 200a : 음성 파트
200b : 오디오 파트 210 : 바디부
211 : 로어 바디 212 : 어퍼 바디
215 : 스피커 홀 230 : 음성 입력장치
232 : PCB 233 : 마이크
234 : 커버 235 : 실링부재
235a : 실링개구부 250 : 소리 출력장치
251 : 출력장치 본체 251a : 스피커개구부
255 : 스피커 290 : 체결부재
10: air conditioner 100: cabinet
130: first side panel 135: first panel flange
140: second side panel 145: second panel flange
150: front panel 152: panel hole
153: shield 155: film
160: support plate 161: plate portion
165: flange portion 167: plate extension
170: cap 180: fastening bracket
200: voice recognition device 200a: voice parts
200b: Audio part 210: Body part
211: Lower body 212: Upper body
215: speaker hall 230: voice input device
232: PCB 233: microphone
234: cover 235: sealing member
235a: sealing opening 250: sound output device
251: output device body 251a: speaker opening
255: speaker 290: fastening member

Claims (27)

패널 홀이 형성되는 전면 패널;
상기 전면 패널의 후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플레이트부가 포함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음성인식 장치에는,
상기 지지판에 설치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대향하는 장착부를 가지는 로어 바디 및 후방을 향하여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는 어퍼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부;
상기 어퍼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에 정렬되는 스피커가 구비되는 소리 출력장치; 및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접촉하며, 마이크가 구비되는 음성 입력장치가 포함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A front panel on which a panel hole is formed;
A support plate provided on a rear side of the front panel and including a plat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ront panel; And
A voice recognition device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is included,
In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A body portion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and including a lower body having a mounting portion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and an upper body having an opening opened toward the rear side;
A sound output device installed in the upper body and having a speaker aligned with the opening; And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on the mounting portion and is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front panel, and is equipped with a voice recognition device including a voice input device equipped with a microph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에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의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부; 및
상기 후면부 및 상기 2개의 측면부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소리 출력장치가 설치되는 스피커 수용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pper body,
A rear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Two side portions extending forward from the rim of the rear portion; And
An air conditioner forming an inner space of the rear portion and the two side portions, and including a speaker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sound output device is install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수용부는 상기 음성인식 장치의 상하방향 중심선(ℓ1)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According to claim 2,
The speaker accommodating portion is dispos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center line (1)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로어 바디의 양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장착부는 상기 중심선(ℓ1)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moun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mounting parts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line (L1) in the left-right directio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착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음성 입력장치는 상기 소리 출력장치의 하측에 배치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audio input device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ounting units are disposed below the sound output devic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바디와 상기 어퍼 바디는 일체로 구성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are configured integrally,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수용부 및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을 바라보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speaker receiv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be recessed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looking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장치는 상기 지지판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소리 출력장치는 상기 지지판의 후방에 위치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udio input device is located in front of the support plate, the sound output device is located in the rear of the support plat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면 패널을 향하여 연장되는 판 연장부; 및
상기 판 연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내면에 접촉되는 플랜지부가 더 포함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On the support plate,
A plate extension portion bent from the plate portion and extending toward the front panel; And
A flan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plate extension portion and contacting an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is further include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는,
상기 패널 홀에 연통하는 마이크 홀이 형성되는 PCB; 및
상기 PCB에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 홀에 연통하는 마이크가 포함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audio input device,
A PCB in which a microphon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anel hole is formed; And
It is installed on the PCB, and includes a microphone communicating with the microphone hol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는,
상기 PCB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패널의 후면에 접촉하며, 상기 패널 홀의 둘레에 배치되는 실링부재가 더 포함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audio input device,
Is installed on the PCB in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front panel, the sealing member is further disposed around the panel hol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에는,
상기 패널 홀 및 상기 마이크 홀에 연통하는 실링 개구부가 형성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aling member,
A sealing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panel hole and the microphone hole is forme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개구부는 상기 패널 홀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패널 홀은 상기 마이크 홀보다 크게 형성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aling opening is formed larger than the panel hole, the panel hole is formed larger than the microphone hol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개구부의 직경은 2.4~2.6mm의 범위에서 형성되며,
상기 패널 홀의 직경은 1.8~2.2mm의 범위에서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 홀의 직경은 0.5~1.0mm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3,
The diameter of the sealing opening is formed in the range of 2.4 ~ 2.6mm,
The diameter of the panel hole is formed in the range of 1.8 ~ 2.2mm,
The diameter of the microphone hole is formed in the range of 0.5 ~ 1.0mm,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장치에는,
상기 PCB의 외측을 둘러싸며,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는 커버가 더 포함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audio input device,
A cover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PCB and seated on the mounting portion is further include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마이크 및 상기 PCB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커버본체; 및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패널에 접촉하는 커버플랜지가 포함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5,
On the cover,
A cover body disposed to surround the microphone and the PCB; And
A cover flang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rom the cover body to contact the front panel is include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PCB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에 접촉하며,
상기 마이크는 상기 PCB의 후면에 설치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al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CB to contact the panel,
The microphone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PCB,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의 양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사이드 패널이 더 포함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ide pan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panel is further include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드 패널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위치되는 패널 플랜지가 더 포함되고,
상기 패널 플랜지는 상기 음성 인식장치가 수용되는 함몰부를 형성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8,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 panels is provided, a panel flange locat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nel is further included,
The panel flange forms a depression in which the speech recognition device is accommodated,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바디의 개구부는 상기 함몰부를 대향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9,
The opening of the upper body opposes the depressio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패널 홀은,
상하방향 기준 상기 패널의 중심부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anel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anel hole,
Located in the lower side than the center of the panel in the vertical directio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는, 패널 본체 및 상기 패널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필름이 포함되며,
상기 패널 홀은 상기 필름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21,
The panel includes a panel body and a film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anel body,
The panel hole is locat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film,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홀은 2개가 포함되며,
상기 2개의 패널 홀은 가로 방향으로 설정거리(S1)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The panel hole includes two,
The two panel holes are arrange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S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거리(S1)는 3.5~4.5cm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23,
The set distance (S1) is formed in the range of 3.5 ~ 4.5cm,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홀의 직경은 1.5~2.5mm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24,
The diameter of the panel hole is formed in the range of 1.5 to 2.5mm,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출력장치에는,
상기 바디부의 개구부와 연통하는 스피커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스피커가 설치되는 출력장치 본체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스피커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ound output device,
It has a speaker opening for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of the body portion, the output device body is further included is installed, the speaker,
The speak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opening and the opening,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내면에 구비되는 체결브라켓;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와 상기 체결브라켓을 결합시키는 체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음성인식 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According to claim 1,
A fastening bracket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And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for coupl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astening bracket,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peech recognition device.
KR1020180117158A 2018-10-01 2018-10-01 Air conditioner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KR102179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158A KR102179566B1 (en) 2018-10-01 2018-10-01 Air conditioner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CN201920022129.0U CN210050953U (en) 2018-10-01 2019-01-07 Air conditioner with speech recogni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158A KR102179566B1 (en) 2018-10-01 2018-10-01 Air conditioner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673A true KR20200037673A (en) 2020-04-09
KR102179566B1 KR102179566B1 (en) 2020-11-17

Family

ID=6937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158A KR102179566B1 (en) 2018-10-01 2018-10-01 Air conditioner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9566B1 (en)
CN (1) CN210050953U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788A (en) * 1996-04-22 1997-11-18 Samsung Electron Co Ltd Speaker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
KR19980066756A (en) * 1997-01-28 1998-10-15 조규군 Air conditioner vo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9990046113A (en) * 1999-03-24 1999-06-25 유항근 A dressing table for opening and shutting door by speech recognition
KR100339397B1 (en) * 2000-03-30 2002-06-01 구자홍 refrigerator
JP2004343668A (en) * 2003-05-13 2004-12-02 Sony Corp Microphone-loudspeaker integral type two-way speech apparatus
KR20060097455A (en) * 2005-03-09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 playing melody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KR20080029042A (en) * 2006-09-28 2008-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080055464A (en)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140136199A (en) 2013-05-20 2014-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JP2017011583A (en) * 2015-06-24 2017-01-12 アイホン株式会社 Intercom equipment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788A (en) * 1996-04-22 1997-11-18 Samsung Electron Co Ltd Speaker system for television receiver
KR19980066756A (en) * 1997-01-28 1998-10-15 조규군 Air conditioner vo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9990046113A (en) * 1999-03-24 1999-06-25 유항근 A dressing table for opening and shutting door by speech recognition
KR100339397B1 (en) * 2000-03-30 2002-06-01 구자홍 refrigerator
JP2004343668A (en) * 2003-05-13 2004-12-02 Sony Corp Microphone-loudspeaker integral type two-way speech apparatus
KR20060097455A (en) * 2005-03-09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 playing melody with voice recognition function
KR20080029042A (en) * 2006-09-28 2008-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20080055464A (en)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140136199A (en) 2013-05-20 2014-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air conditioner
JP2017011583A (en) * 2015-06-24 2017-01-12 アイホン株式会社 Intercom equipm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 발명의 명칭 :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050953U (en) 2020-02-11
KR102179566B1 (en) 202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370734B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US6578658B2 (en) Accoustic chamber integrated with vehicle door
EP3733954B1 (en) User-interface system for a laundry appliance
KR102210146B1 (en) Appliance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JP7245822B2 (en) refrigerator
KR20200037673A (en) Air conditioner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CN211823004U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0625095U (en) Door body for refrigerating and freezing device and refrigerating and freezing device
KR20070077657A (en) Wall tapestry television furniture
US11114102B2 (en) Appliance including voice recognition device
EP4212806A1 (en) Refrigerator
JP4270227B2 (en) Speaker system and speaker system mounting method
JPH10243488A (en) Speaker box unit
KR20230116591A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CN216057392U (en) Bar-shaped sound box and display device
CN217235841U (en) Hanging air conditioner
JP2007194846A (en) Fitting structure of speaker
JPH0394598A (en) Speaker device and television set utilizing the same
KR200165122Y1 (en) Speaker on television
JP3179027U (en) Display device
CN113639498A (en) Knocking automatic door-opening refrigerator
JP2001169209A (en) Television receiver
CN111023469A (en) Display box subassembly and window air conditioner
JPH08336195A (en) Acoustic equipment
JP2015041833A (en) Speak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