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630A - Driving manipulation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riving manipulation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630A
KR20200037630A KR1020180117090A KR20180117090A KR20200037630A KR 20200037630 A KR20200037630 A KR 20200037630A KR 1020180117090 A KR1020180117090 A KR 1020180117090A KR 20180117090 A KR20180117090 A KR 20180117090A KR 20200037630 A KR20200037630 A KR 20200037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vehicle
mode
stage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8550B1 (en
Inventor
이승환
이국호
박우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550B1/en
Publication of KR2020003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6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5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2Range selector apparatus with different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ob provided inside a vehicle so that a first operation and a second operation can be independently performed by a user′s operation. When the knob is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by the first operation, a drive gear is selected. When the knob performs the second operation while the drive gear is selected, a drive mode is changed.

Description

차량의 주행조작장치{DRIVING MANIPULATION APPARATUS FOR VEHICLE}Vehicle driving control device {DRIVING MANIPULAT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동력을 적절한 구동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변속기가 설치된다. Generally, a transmission is installed in a vehicle to convert engine power to an appropriate driving force.

종래에 차량의 조향 및 제동 기술은 기계적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움직이거나, 변속레버를 움직이는 등의 물리적인 힘을 가할 경우 차량은 그 힘을 기계적 운동 에너지로 바꿔 구동하는 형태로 구현되었다.Conventionally, the steering and braking technology of a vehicle is composed of a mechanical system, and when a driver applies a physical force such as moving a steering wheel or moving a shift lever, the vehicle is implemented by converting the force into mechanical kinetic energy and driving it. Became.

이를 대체하기 위해 근래에는 '엑스 바이 와이어(X-By-Wire)'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엑스 바이 와이어 기술은 케이블이나 로드, 유압 등으로 전달해 조정하던 것을 와이어(전선)로 바꾸어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차량 분야에서는 조향 시스템과 제동 시스템 분야에서 주로 적용, 개발되고 있다.To replace this, 'X-By-Wire'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developed in recent years. X-by-wire technology is a cable, rod, hydraulic, etc., which is transferred and adjusted to a wire (wire) to be electrically controllable. In the vehicle field, it is mainly applied and developed in the steering system and braking system field.

최근에는 차량에 케이블을 통한 직접 변속이 아닌 시프트 바이 와이어(Shift-By-Wire)가 적용되는 차량이 늘어나고 있다. 시프트 바이 와이어 기술을 이용할 경우, 기계적 시스템으로 변속레버를 구성할 때에 비해 변속레버의 구조 및 기능의 자유도가 증가될 수 있다.Recently, more vehicles are being applied to shift-by-wire rather than direct shifting through a cable. When the shift-by-wire technology is used,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hift lever can be increased compared to when the shift lever is constructed with a mechanical system.

한편, 변속레버(또는 변속 조작부)가 설치되는 차량의 콘솔에는 변속레버 이외에도 다양한 조작부들이 마련된다. 예를 들면, 스포츠모드, 컴포터모드 등의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드라이브 모드 조작부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sole of the vehicle on which the shift lever (or shift operator) is installed, various manipulation units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shift lever. For example, a drive mode operation unit for selecting a drive mode such as a sports mode or a comforter mode may be provided.

그런데, 여러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조작부가 늘어나게 되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떨어지고, 콘솔에서 조작부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operation unit is increased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user convenience is reduced, and the volume occupied by the operation units in the console is increase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가 많이 사용하면서도 서로 기능적인 관련성이 높은 드라이브 변속단의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하나의 조작부(예를 들면, 노브)로 가능하게 하는 주행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ing control device that enables a driver to select a drive shift stage and a drive mode that are highly related to each other while being used by a driver with a single control unit (for example, a knob).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노브를 포함하여, 상기 노브가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이동되면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도록 마련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ob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such that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are independently performed by the user's operation, respectively, When the knob is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by the first operation, a drive transmission stage is selected, and when the knob performs the second operation while the drive transmission stage is selected, a drive mode is provided to be chan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하나의 조작부를 이용해 드라이브 기어단의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므로, 운전자의 조작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First, since it is possible to select a drive gear stage and a drive mode using a singl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river's operation flow.

둘째, 드라이브 기어단을 선택하는 제1 작동과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는 제2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어,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어, 사용자가 제1 작동과 제2 작동을 혼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the first operation for selecting the drive gear stage and the second operation for selecting the drive mode are configured to be independently performed by the user's operation, so that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can be provided in different ways.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confusing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셋째, 드라이브 기어단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와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를 통합하여 하나의 노브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콘솔에서 주행조작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Thir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olume occupied by the driving control device in the vehicle's console by integrating the operation part for selecting the drive gear stage and the operation part for selecting the drive mode into one knob.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operation device of FIG. 1.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operation device of FIG. 3.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operation device of FIG. 5.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nterfere with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제 1 실시예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of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노브(15)와; 노브(15)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노브 움직임 획득부(미도시)를 포함한다.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knob 15 provided in a vehicle interior such that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are independently performed by a user's operation; It includes a knob movement acquisition unit (not shown) for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knob 15.

노브(15)가 제1 작동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이동되면 드라이브 변속단(D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변속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노브(15)가 상기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도록 마련된다.When the knob 15 is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by the first operation, the drive transmission stage (D stage) is selected, and when the drive transmission stage (D stage) is selected, the knob 15 performs the second operation. It is provided to change the drive mode.

종래의 주행조작장치는 기어단의 변속을 위한 기어변속장치(gear shift device)와 주행 모드의 선택을 위한 주행모드선택장치(driving-mode selection device) 각각이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운전 중에 조작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In the conventional driving operation device, a gear shift device for shifting a gear stage and a driving-mode selection device for selecting a driving mode are separately provided, so that a user can operate while driving. There was a troublesome problem.

또한, 기어변속장치와 주행모드선택장치가 별도로 구비되므로 차량의 콘솔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커, 콘솔에 다른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배치하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gear shifting device and the driving mode selecting device are separately provided, the volume occupied by them in the console of the vehicle is larg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further limited to arrange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other functions on the console.

또한, 차량 별로 기어변속장치와 주행모드선택장치의 배치 및 구동 방식이 달라, 사용자로 하여금 일관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웠다.In addition, since the arrangement and driving method of the gear shifting device and the driving mode selection device are different for each vehicle, it has been difficult for a user to provide a consistent user experience (UX).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드라이브 변속단(D단)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와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를 통합한 주행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driving op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driving operation device incorporating an operation unit for selecting a drive shift stage (D stage) and an operation unit for selecting a drive mode.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하나의 노브(15)를 이용하여 드라이브 변속단(D단)의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노브(15)를 포함하고, 노브(15)가 제1 작동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이동되면 드라이브 변속단(D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변속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노브(15)가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도록 마련되는 것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enable selection of a drive shift stage (D stage) and selection of a drive mode using one knob 15,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are performed. A drive shift stage (D stage) is selected when the knob 15 is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by the first operation, so as to be independently performed by the user's manipulation, and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 When the drive shift stage (D stage) is selected while the knob 15 performs the second operation, the basic feature is that the drive mode is provided to be changed.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의 특징을 이하에서 보다 상술한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1을 참조하면, 주행조작장치는 베이스(10)를 포함하고, 베이스(10) 상에 기어단의 시프트를 위한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includes a base 10, and an operation unit for shifting a gear stage may be provided on the base 10.

베이스(10) 상에는 주차 기어단(P단)을 선택하기 위한 P단 버튼(11)이 구비될 수 있다. On the base 10, a P-stage button 11 for selecting a parking gear stage (P-stage) may be provided.

베이스(10) 상에는 후진 기어단(R단)을 선택하기 위한 R단 버튼(12)이 구비될 수 있다. On the base 10, an R stage button 12 for selecting a reverse gear stage (R stage) may be provided.

베이스(10) 상에는 차량이 운전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이동되는 것(예를 들면, 언덕을 오르던 차량이 정차 후 다시 출발 할 때 언덕 아래쪽으로 차량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멈춤 기능을 온(ON) 및 오프(OFF) 시키는 오토홀드 버튼(13)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base 10, an automatic stop function is turned on to prevent the vehicle from moving regardless of the driver's will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that climbed the hill is stopped and the vehicle is pushed down the hill when starting again) ON) and an auto-hold button 13 for turning off (off) may be provided.

베이스(10) 상에는 중립 기어단(N단)을 선택하기 위한 N단 버튼(14)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base 10, an N-stage button 14 for selecting a neutral gear stage (N-stage) may be provided.

베이스(10) 상에는 드라이브 기어단(D단)을 선택하기 위한 노브(15)가 구비될 수 있다.A knob 15 for selecting a drive gear stage (D stage) may be provided on the base 10.

노브(15)는 원판의 일부 또는 전부에 해당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knob 15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part or all of the original plate.

노브(15)는 도 1의 D표시 아래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노브(15)를 이동시키는 것을 통하여 드라이브 기어단(D단)을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P단 버튼(11)과 R단 버튼(12)과 오토홀드 버튼(13)과 N단 버튼(14)이 구비되는 베이스(10)의 전방에서 노브(15)가 구비되는 베이스(10)의 후방을 향하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노브(15)는 전후로 슬라이딩 무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knob 15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select a drive gear stage (D stage) by moving the knob 15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d under the D mark in FIG. 1. The rear of the base 10 with the knob 15 in front of the base 10 with the P stage button 11, the R stage button 12, the auto hold button 13 and the N stage button 14 are provided.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toward the, the knob 15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노브(15)는 D표시 아래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즉, 후측 방향)으로 노브(15)를 이동시킴으로써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knob 15 may be provided so that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is selected by moving the knob 15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d under the D mark (ie, the rear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노브(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감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노브(15)가 전후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15)에는 디텐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nob 15 may be applied with a movement preventing structure to prevent the knob 15 from moving back and forth without the user's manipulation while allowing the user to feel the feeling of manipulation. For example, a detent structure may be applied to the knob 15.

한편, 노브(15)는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브(15)는 DRIVE MODE의 좌우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knob 15 may be provided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around a rotation axis while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is selected. Referring to Figure 1, the knob 15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DRIVE MODE.

주행모드(driving-mode)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편함모드(comfort-mode), 에코모드(eco-mode), 스포츠모드(sport-mode), 스마트모드(smart-mode).The driving-mode may include, for example, the following mode. Comfort-mode, eco-mode, sport-mode, and smart-mode.

노브(15)는 노브(15)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행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knob 15 may be provided to select the driving mode by rotating the knob 15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일 실시예에서, 노브(15)는 사용자가 노브를 회전시킬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노브(15)의 외주면에 돌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nob 15 may include a protruding structu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15 to prevent slipping when the user rotates the knob.

일 실시예에서, 노브(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감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노브(15)가 회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이동 방지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15)에는 회전 방향으로 디텐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nob 15 may be applied with a rotation movement preventing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knob 15 from being rotated without the user's manipulation while allowing the user to feel the manipulation. For example, a detent structure may be applied to the knob 15 in the rotational direction.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10)는 상측에 변속단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들과 노브가 설치되고, 위와 같은 조작부들과 노브의 구동을 위한 구성품들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base 10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portion and a knob for selecting a shift stage on the upper side, and an interior space in which components for driving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knob may be accommodated. .

R단 버튼(12)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P단 버튼(11)과 오토홀드 버튼(13) 또한 R단 버튼(12)과 마찬가지로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R-stage button 12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Like the R-stage button 12, the P-stage button 11 and the auto-hold button 13 may also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N단 버튼(14)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N-stage button 14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일 실시예에서, P단 버튼(11), R단 버튼(12), 오토홀드 버튼(13), 및 N단 버튼(14)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 이후에 P단 버튼(11), R단 버튼(12), 오토홀드 버튼(13), 및 N단 버튼(14) 각각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 stage button 11, the R stage button 12, the auto hold button 13, and the N stage button 14 are P stage button 11, R stage button after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12), the auto-hold button 13, and the N-stage button 14 may each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

일 실시예에서, P단 버튼(11), R단 버튼(12), 오토홀드 버튼(13), 및 N단 버튼(14) 각각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 시 해당 기능이 동작됨을 알리기 위해, 발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부재는 LED 모듈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P-stage button 11, the R-stage button 12, the auto-hold button 13, and the N-stage button 14, the light emitting member to inform that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opera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It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member may be an LED module.

도 2를 참조하면, 노브(15)는 화살표 방향(15a)으로 이동되며 드라이브 기어단이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브(15)는 화살표 방향(15b)으로 회전되며 드라이브 모드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knob 15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5a) may be configured to select the drive gear stage. The knob 1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5b and can be configured to select a drive mode.

일 실시예에서, 노브(15)는 슬라이딩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었을 때에만 노브(15)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고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지 않았을 때에도 노브(15)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되 이 경우에는 드라이브 모드의 변경이 가능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nob 15 may be provided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of the knob 15 only when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is selected by sliding and moving, but otherwise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Even when this is not selected, rotational movement of the knob 15 is possible, but in this case, i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hange of the drive mode is not possibl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행조작장치는 노브(15)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을 선택 가능하고, 노브(15)의 회전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드라이브 기어단의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해 취하여야 하는 조작 동선이 최소화 되고, 조작방식이 통일 되므로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e driving opera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selecting a drive gear stage (D stage) by sliding movem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knob 15, and being provided to enable selection of a drive mode by rotational movement of the knob 15,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A.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since the operation movement lines to be taken for the selection of the drive gear stage and the selection of the drive mode are minimized and the operation method is uniform.

또한, 하나의 노브(15)를 이용하여 기어단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면서도, 기어단을 선택하는 작동(제1 작동)과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는 작동(제2 작동)이 방식이 서로 다르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잘 못 조작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기어단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gear stage and the drive mode by using one knob 15, while 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gear stage (first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drive mode (second operation) are mutually different. By being provided differently, since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accidentally erroneously operating, there is also an effect of safely selecting the gear stage and selecting the drive mode.

또한, 드라이브 기어단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와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를 통합하여 하나의 노브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콘솔에 주행조작장치가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고, 추가적인 기능들을 더 배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control panel for selecting the drive gear stage and the control panel for selecting the drive mode into one knob, the volume occupied by the driving control device on the console of the vehicle is reduced, and additional functions can be arranged. It also works.

제 2 실시예Example 2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of FIG. 3.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제 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por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제 1 실시예와 노브(25)의 조작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knob 25 and the first embodimen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노브(25)는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 방향(25a)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노브(25)는 상하 방향(25a)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25b)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3 and 4, in this embodiment, the knob 25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25a by a pressing operation. The knob 25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25b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25a.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드라이브 기어단(D단)의 선택을 위한 제1 작동시의 노브(25)의 궤적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제2 작동 시의 노브(25)의 궤적이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확연하게 다른 조작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드라이브 기어단(D단)의 선택을 위한 조작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조작을 혼동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driv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trajectory of the knob 25 at the first operation for selecting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and the knob at the second operation for selecting the drive mode. The trajectories of (25) are located on different planes, so that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are distinctly different, giving the user a feeling of opera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user from confusing the operation for selecting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and the operation for selecting the drive mode.

한편, 노브(25)는 누름 조작에 의한 상하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었을 때에만 노브(25)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고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지 않았을 때에도 노브(25)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되 이 경우에는 드라이브 모드의 변경이 가능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knob 25 may be provided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of the knob 25 only when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is selected by moving up and down by a pressing operation, but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knob 25, but in this case, the drive mode may not be changed.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5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주행조작장치의 단면도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of FIG.

도 5를 참조하면, 주행조작장치는 베이스(30)를 포함하고, 베이스(10) 상에 기어단의 시프트를 위한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includes a base 30, and an operation unit for shifting a gear stage may be provided on the base 10.

베이스(30) 상에는 주차 기어단(P단)을 선택하기 위한 P단 버튼(31)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base 30, a P-stage button 31 for selecting a parking gear stage (P-stage) may be provided.

베이스(30) 상에는 후진 기어단(R단), 중립 기어단(N단), 또는 드라이브 기어단(D단)으로 기어단을 시프트 하기 위한 노브(35)가 구비될 수 있다.A knob 35 for shifting the gear stage to the reverse gear stage (R stage), the neutral gear stage (N stage), or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may be provided on the base 30.

노브(35)는 원통 또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knob 35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or disc shape.

도 6을 참조하면, 노브(35)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tilting) 이동되는 것에 의해 기어단의 시프트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knob 35 may be provided to enable shifting of the gear stage by tilting movement forward or backward.

예를 들면, 노브(35)는 전방으로 틸팅되는 무빙(35a)에 의해 후진 기어단(R단)이 선택되고, 후방으로 틸팅되는 무빙(35b)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브(35)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되지 않는 위치에 정위치할 때 중립 기어단(N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knob 35 is such that the reverse gear stage (R stage) is selected by the moving 35a tilted forward and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is selected by the moving 35b tilted rearward. Can be prepared. The knob 35 may be provided such that a neutral gear stage (N stage) is selected when it is positioned in a position not tilted forward or backward.

노브(35)는 베이스(30)에 형성된 노브 수용공간에 노브(35)의 일부가 삽입되어 전후로 틸팅 무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knob 35 may be installed to enable tilting moving back and forth by inserting a part of the knob 35 into the knob receiving space formed in the base 30.

노브(35)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감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노브(15)가 틸팅되거나 틸팅된 상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틸팅이동 방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이동 방지구조는 디텐트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The knob 35 may include a tilting movement preventing structure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the manipulation feeling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the knob 15 from being tilted or tilted without the user's manipulation. The tilting movement preventing structure may be provided as a detent structure.

노브(35)는 후방으로 틸팅되는 무빙(35b)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노브(35)가 회전되는 작동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가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은 틸팅 무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The knob 35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drive mode is selectable by an operation in which the knob 35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while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is selected by the moving 35b tilted backward. have. Here, the rotating shaft may be tilted forward or backward by tilting moving.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행조작장치는 노브(35)의 전후 방향 틸팅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 중립 기어단(N단), 또는 후진 기어단(R단)을 선택 가능하고, 노브(35)의 회전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기어단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해 취하여야 하는 조작 동선이 최소화 되고, 조작방식이 통일 되므로 조작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e driving contro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selecting a drive gear stage (D stage), a neutral gear stage (N stage), or a reverse gear stage (R stage) by tilting mov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knob 35, and the knob ( The drive mode can be selected by rotational motion of 35), thereby minimizing the operation movement lines that the user should take for gear stage selection and drive mode selec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is unified,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

또한, 하나의 노브(35)를 이용하여 기어단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면서도, 기어단을 선택하는 작동(제1 작동)과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는 작동(제2 작동)이 방식이 서로 다르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잘 못 조작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기어단 선택과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즉, 제1 작동시의 노브(35)의 궤적과 제2 작동시의 노브(35)의 궤적이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므로, 둘의 조작 방식에 차이가 확연해진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gear stage and the drive mode by using one knob 35, while 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gear stage (first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drive mode (second operation) are mutually different. By being provided differently, since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accidentally erroneously operating, there is also an effect of safely selecting the gear stage and selecting the drive mode. That is, since the trajectory of the knob 35 in the first operation and the trajectory of the knob 35 in the second operation are located on different planes, the difference in the two operation methods becomes apparent.

또한, 드라이브 기어단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와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를 통합하여 하나의 노브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콘솔에 주행조작장치가 차지하는 부피가 줄어들고, 추가적인 기능들을 더 배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control panel for selecting the drive gear stage and the control panel for selecting the drive mode into one knob, the volume occupied by the driving control device on the console of the vehicle is reduced, and additional functions can be arranged. It also works.

제 4 실시예Example 4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주행조작장치는 베이스(40)를 포함하고, 베이스(40) 상에 기어단의 시프트를 위한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includes a base 40, and an operation unit for shifting a gear stage may be provided on the base 40.

베이스(40) 상에는 주차 기어단(P단)을 선택하기 위한 P단 버튼(41), 후진 기어단(R단)을 선택하기 위한 R단 버튼(42), 및 중립 기어단(N단)을 선택하기 위한 N단 버튼(44)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base 40, a P gear button 41 for selecting a parking gear stage (P gear), an R gear button 42 for selecting a reverse gear gear (R gear), and a neutral gear gear (N gear) are provided. An N-stage button 44 for selecting may be provided.

베이스(40) 상에는 드라이브 기어단(D단)을 선택하고,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노브(45)가 구비될 수 있다.A knob 45 for selecting a drive gear stage (D stage) and a drive mode may be provided on the base 40.

노브(45)는 중앙에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브 푸쉬조작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45)는 노브 푸쉬조작부(451)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knob 45 may include a knob push operation unit 451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a pressing operation in the center. The knob 45 may be provided such that a drive gear stage (D stage) is selected by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knob push operation unit 451.

노브(45)는 노브 푸쉬조작부(451)의 외주면을 감싸며,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브 회전조작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knob 45 may include a knob rotation operation portion 452 that is provided to rotate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push operation portion 451 and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노브(45)는 노브(45)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주행모드를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knob 45 may be provided to select the driving mode by rotating the knob 45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도 7을 참조하면, 노브(45)는 사용자가 노브를 회전시킬 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노브(45)의 외주면에 돌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knob 45 may include a protrusion structu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45 to prevent slippage when the user rotates the knob.

노브(45)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감을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노브(45)가 회전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이동 방지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브 푸쉬조작부(451)와 노브 회전조작부(452)의 사이에는 디텐트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Knob 45 may be applied to the rotation movement prevention structure to prevent the user from feeling the manipulation feeling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knob 45 from being rotated without the user's manipulation. For example, a detent structur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knob push manipulation unit 451 and the knob rotation manipulation unit 452.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행조작장치는 노브(45)가 베이스(40) 상에 면접하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노브의 전체적인 부분이 슬라이딩 무빙되거나 틸팅 무빙이 되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서 노브(45)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driving contro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y arranged with the knob 45 on the base 40, the entire part of the knob is sliding or tilting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45)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installed stably.

또한, 노브 푸쉬조작부(45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노브 회전조작부(452)가 회전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각각의 부재가 서로 다른 작동을 각각 담당하게 되므로, 하나의 노브가 전체로서 서로 다른 제1, 제2 작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보다 안정적인 구성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 knob push operation unit 451 is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he knob rotation operation unit 452 is provided to be rotatable, so that each member is in charge of different operations, so that one knob is mutually as a whole.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a more stable configuration is possible than when other first and second operations are possible.

또한, 노브 푸쉬조작부(451)와 노브 회전조작부(452)를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이한 조작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혼동하여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knob push operation unit 451 and the knob rotation operation unit 452 from different materials, it is possible to make the user feel a different feeling of operation, and through this, the user can be confused to prevent the operation. have.

제 5 실시예Example 5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제 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por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도 5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제 1 실시예와 노브(55)의 조작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The driv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is different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knob 55.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노브(55)는 누름 조작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고, 전후 방향 조작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가 선택되게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this embodiment, the knob 55 may be provided such that a drive gear stage (D stage) is selected by a pressing operation and a drive mode is selected by a front-rear direction operation.

노브(55)는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제1 작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노브(55)는 전후로 이동되는 제2 작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Knob 55 may be provided to enable the first operation to be moved up and down by a pressing operation. Knob 55 may be provided to enable the second operation to be moved back and forth.

일 실시예에서, 노브(55)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노브(55)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상하방향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fter the knob 55 is moved downward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knob 55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up and down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You can.

일 실시예에서, 노브(55)는 사용자의 전후 방향 푸쉬(또는 당김) 조작에 의해 이동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노브(55)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전후 방향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탄성부재가 위의 상하방향 복원력 및 전후 방향 복원력을 모두 담당할 수도 있고, 복수의 탄성부재가 각각 상하방향 복원력과 전후 방향 복원력을 담당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knob 55 is elastic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rear force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so that the knob 55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fter being moved by the user's front and rear direction push (or pulling) operation. It may include a member. At this time, one elastic member may be responsible for both the up and down direction restoring force and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restoring force, and the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may respectively be responsible for the up and down direction restoring force and the front and back direction restoring forc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행조작장치는 누름 조작에 의한 상하 이동과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만 구비되면 족하므로, 작동 방식이 이전의 실시예들에 비해 간단하여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노브는 회전 이동이 가능하거나 틸팅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다소 복잡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노브는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구조가 보다 간단해질 수 있다.Since the driving contro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needs only to be able to move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the operation method is simpler than that of the previous embodiments, and thus the structure can be easily constructed. have.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knob can be rotated or tilted so that the configuration may be somewhat complicated, but in this embodiment, the knob is provided to enable linear movement in the up and down and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fore, the structure can be made simpler.

제 6 실시예Example 6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A and 9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with respect to the driv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제 6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제 3 실시예에서의 노브의 기능에 추가로 모드 변경 기능이 더 구비되는 점에서 제 3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The driv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third embodiment in that a mode change function is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the knob in the third embodiment.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노브(65)는 제 3 실시예의 노브(35)와 마찬가지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또는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에 의해 기어단의 시프트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9A and 9B, the knob 65 may be provided to be capable of shifting the gear stage by tilting (or sliding) forward or backward as in the knob 35 of the third embodiment.

예를 들면, 노브(65)는 전방으로 틸팅(또는 슬라이딩)되는 무빙에 의해 후진 기어단(R단)이 선택되고, 후방으로 틸팅(또는 슬라이딩)되는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브(65)는 기준위치(또는, 중립 위치)에 정위치할 때 중립 기어단(N단)이 선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knob 65 has a reverse gear stage (R stage) selected by moving tilted (or sliding) forward, and a drive gear stage (D stage) by moving tilted (or sliding) rearward. It can be provided to be selected. The knob 65 may be provided to select a neutral gear stage (N stage) when it is positioned at a reference position (or a neutral position).

노브(65)는 후방으로 틸팅(또는 슬라이딩)되는 무빙에 의해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노브(65)가 회전되는 작동에 의해 드라이브 모드가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은 틸팅(또는 슬라이딩) 무빙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또는 슬라이딩)될 수 있다.Knob 65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drive mode is selectable by an operation in which the knob 65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axis while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is selected by moving the tilting (or sliding) rearward. You can. Here, the rotating shaft may be tilted (or sliding) forward or backward by tilting (or sliding) moving.

또한, 노브(65)는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knob 65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a pressing operation.

노브(65)는 노브 푸쉬조작부(651)와 노브 회전조작부(6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knob 65 may include a knob push manipulation unit 651 and a knob rotation manipulation unit 652.

노브 푸쉬조작부(651)는 중앙에 누름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knob push operation unit 651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by a pressing operation in the center.

즉, 노브(65)는 노브 푸쉬조작부(651)와 노브 회전조작부(652)를 포함하는 노브(65)가 전체적으로 틸팅 또는 슬라이딩 이동(제1 작동)되며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기어단(D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노브 회전조작부(652)가 회전(제2 작동)되며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at is, in the knob 65, the knob 65 including the knob push operation portion 651 and the knob rotation operation portion 652 is entirely tilted or slidingly moved (first operation), and a drive gear stage (D stage) is selec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drive gear stage (D stage) is selected, the knob rotation operation unit 652 is rotated (second operation) and a selection of a drive mode may be provided.

추가적으로, 노브(65)는 노브 푸쉬조작부(651)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작동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또는 제2 모드에서 제1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knob 65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second operation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or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by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knob push operation unit 651. You can.

예를 들면, 노브(65)는 노브 푸쉬조작부(651)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제3 작동)되며,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는 제1 모드(도 9b의 m1)에서 터레인 모드를 선택하는 제2 모드(도 9b의 m2)로 전환되거나 상기 제2 모드(도 9b의 m2)에서 상기 제1 모드(도 9b의 m1)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knob 65 is moved up and down (third operation) by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knob push operation unit 651, and selects a terrain mode in a first mode (m1 in FIG. 9B) for selecting a drive mode. It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o the second mode (m2 in FIG. 9B) or the second mode (m2 in FIG. 9B) to the first mode (m1 in FIG. 9B).

즉, 제1 모드(도 9b의 m1)에서 노브 회전조작부(652)를 회전시키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제2 모드(도 9b의 m2)에서 노브 회전조작부(652)를 회전시키게 되면 터레인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knob rotation operation portion 652 is rotated in the first mode (m1 in FIG. 9B), the drive mode can be selected, and when the knob rotation operation portion 652 is rotated in the second mode (m2 in FIG. 9B), Lane mode can be selected.

터레인 모드는 다양한 도로 환경에 따라 차량을 달리 제어하기 위해, 도로의 종류를 선택 가능하게 한 것으로서, 스노우모드(snow-mode), 샌드모드(sand-mode), 및 머드모드(mud-mode)를 포함할 수 있다.Terrain mode is a type of road that can be selected to control vehicles differently according to various road environments, such as snow-mode, sand-mode, and mud-mode. It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도 9b와 같이 노브(65)의 인근에 선택 가능한 드라이브 모드 및 터레인 모드가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 가능한 기능을 알아보기 쉽도록 제공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9B, selectable drive modes and terrain modes are displayed in the vicinity of the knob 65,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electable functions.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행조작장치는, 기어 변속단을 선택하기 위한 제1 작동과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작동에 더하여, 제1 작동 및 제2 작동과는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제3 작동이 가능하게 노브가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노브(65)를 이용해 기어 변속단의 선택 및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에 더해 추가적인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o the first operation for selecting the gear shift stage and the second operation for selecting the drive mode, the driving opera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third operation that can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By being provided with a knob, the additional function can be further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selection of the gear shift stage and the selection of the drive mode using one knob 65.

이를 통해, 사용자가 기어 변속단의 선택,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 및 별도의 기능의 선택(예를 들면 터레인 모드의 선택)을 위해 조작하여야 하는 조작동선을 최소화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위의 기능들을 모두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the user has to minimize the operation line to be operated for the selection of the gear shift stage, the selection of the drive mode, and the selection of a separate function (for example, the selection of the terrain mode), and the above functions can be performed with a simple operation. Since all of them can be operated,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user convenience.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보다도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노브로 구현 가능하므로, 조작부의 부피도 최소화할 수 있어, 갈수록 복잡하고 다양해져 가는 차량의 기능들을 더 많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variety of functions can be implemented with a single knob tha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volume of the operation unit can be minimized, thereby providing more and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functions of the vehicle to the user.

제 7 실시예7th embodiment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ving op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를 제 6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riving op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portion different from the driving ope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제 7 실시예에 따른 주행조작장치는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노브 푸쉬조작부(751)를 작동시킬 때 수행되는 기능에 있어서 제 6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The driving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differs from the sixth embodiment in the function performed when the knob push manipulation unit 751 operated by the pressing operation is operated.

노브(75)는 사용자의 푸쉬 조작에 의해 노브 푸쉬조작부(751)가 상하로 이동되는 제3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운전자 지원 기능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자율 주행 기능이 온(ON)되거나 오프(OFF)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knob 75 performs a third operation in which the knob push manipulation unit 751 is moved up and down by a user's push manipulation, any one of the driver assistance functions or the autonomous driving function is turned on or off. It can be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노브 푸쉬조작부(751)를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자율 주행 기능이 온(ON)되고, 자율 주행 기능이 온(ON)되어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브 푸쉬조작부(751)를 다시 푸쉬하는 동작에 의해 자율 주행 기능이 오프(OFF)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pushes the knob push operation unit 751 by an operation in which the autonomous driving function is turned on by the user pushing the knob push operation unit 751, and the user pushes the knob push operation unit 751 while the autonomous driving function is turned on. The autonomous driving function may be turned off by pushing again.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In the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and is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al scope of the claims to be made.

10, 20, 30, 40, 50, 60, 70: 베이스
11, 21, 31, 41, 51, 61, 71: P단 버튼
12, 22, 42, 52: R단 버튼
13, 23, 53: 오토홀드 버튼
14, 24, 44, 54: N단 버튼
15, 25, 35, 45, 55, 65, 75: 노브
451, 651, 751: 노브 푸쉬조작부
452, 652, 752: 노브 회전조작부
10, 20, 30, 40, 50, 60, 70: Base
11, 21, 31, 41, 51, 61, 71: P button
12, 22, 42, 52: R button
13, 23, 53: Auto hold button
14, 24, 44, 54: N-speed button
15, 25, 35, 45, 55, 65, 75: knob
451, 651, 751: knob push control
452, 652, 752: Knob rotation control

Claims (14)

제1 작동과 제2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차량의 실내에 제공되는 노브를 포함하여,
상기 노브가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특정 위치로 이동되면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도록 마련되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Including the knob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so that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are independently performed by the user's operation,
When the knob is moved to a specific position by the first operation, a drive shift stage is selected, and when the knob performs the second operation while the drive shift stage is selected, a drive mode is provided to be changed. Opera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및 상기 제2 작동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노브가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노브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y one of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s that the knob is linearly moved, and the other is that the knob is rotated and moved about the axis of rotation, the vehicle driving control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홈 위치에서 상기 특정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되고,
드라이브 변속단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작동에 의해 축회전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n the knob is slidingly moved from the home position to the specific position by the first operation, a drive shift stage is selected,
When the drive transmission stage is selected, when the knob is axially rotated by the second operation, the drive mode of the vehicle is chang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노브가 제1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제2 작동은, 상기 노브가 제2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operation, the knob is linear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The second operation is that the knob is linearly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vehicle operation control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시의 상기 노브의 궤적과 상기 제2 작동 시의 상기 노브의 궤적은 서로 다른 평면 상에 있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iving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wherein the trajectory of the knob in the first operation and the trajectory of the knob in the second operation are on different plan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노브가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제2 작동은,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상기 노브가 이동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노브가 회전 이동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irst operation, the knob is linearly moved by a pressing operation,
The second operation, the driving operation device of the vehicle, the knob is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knob is moved by the first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과 상기 제2 작동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노브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틸팅되게 이동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틸팅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노브가 회전 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s that the knob is moved to be til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is the knob is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that is til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the first operation. The driving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제1 작동 및 상기 제2 작동에 의해 선택되거나 변경되는 기능 이외의 기능을 더 수행하기 위해, 제3 작동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작동 및 상기 제2 작동과 독립적으로 수행되도록 마련되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nob,
In order to further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the function selected or changed by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a third operation is provided to be performed independently of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by a user's operation , Vehicle driving control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및 상기 제2 작동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노브가 제1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노브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제3 작동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노브가 제2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ne of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s that the knob is linear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is that the knob is rotated and moved about the rotation axis,
The third operation,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knob is moved linearly in the second dire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과 상기 제2 작동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노브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틸팅되게 이동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작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틸팅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노브가 회전 되는 것이고,
상기 제3 작동은,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노브가 제2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ne of the first opera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is that the knob is moved to be til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is the knob is rotated about a rotation axis that is til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by the first operation. Will
The third operation, the driving operation of the vehicle, the knob is moved linearly in the second direction by a pressing opera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상기 제3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운전자 지원 기능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자율 주행 기능이 온(ON)되거나 오프(OFF)되도록 마련되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n the knob performs the third operation, any one of driver assistance functions or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is provided to be turned on (ON) or off (OFF).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상기 제3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제2 작동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이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또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도록 마련되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n the knob performs the third operation, a driving operation of the vehicle is provided such that a function performed by the second operation is switched from a first mode to a second mode or from the second mode to the first mode Devic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드라이브 모드가 변경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노브가 상기 제2 작동을 수행하게 되면 터레인 모드가 변경되고,
상기 터레인 모드는, 다양한 도로 환경에 따라 차량을 달리 제어하기 위해, 도로의 종류를 선택 가능하게 한 것인,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In the first mode, when the knob performs the second operation, the drive mode is changed,
In the second mode, the terrain mode is changed when the knob performs the second operation.
The terrain mode, to control the vehicle differently according to a variety of road environments,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type of road, the vehicle operation control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노브 움직임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주행조작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knob motion acquisition unit for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knob, the vehicle operation control device.
KR1020180117090A 2018-10-01 2018-10-01 Driving manipulation apparatus for vehicle KR102518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090A KR102518550B1 (en) 2018-10-01 2018-10-01 Driving manipulation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090A KR102518550B1 (en) 2018-10-01 2018-10-01 Driving manipulation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630A true KR20200037630A (en) 2020-04-09
KR102518550B1 KR102518550B1 (en) 2023-04-07

Family

ID=7027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090A KR102518550B1 (en) 2018-10-01 2018-10-01 Driving manipulation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55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868A (en) * 2001-02-01 2002-10-03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A Division Jsj Corp Storable shifter having electronic gear shift reset
US20130220055A1 (en) * 2012-02-28 2013-08-29 Nissan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al integrated shifter
KR101349404B1 (en) * 2011-11-28 2014-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hift/tilt ro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KR20160007114A (en) * 2014-07-11 2016-01-20 에스엘 주식회사 Integrated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3868A (en) * 2001-02-01 2002-10-03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A Division Jsj Corp Storable shifter having electronic gear shift reset
KR101349404B1 (en) * 2011-11-28 2014-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hift/tilt ro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hift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US20130220055A1 (en) * 2012-02-28 2013-08-29 Nissan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al integrated shifter
KR20160007114A (en) * 2014-07-11 2016-01-20 에스엘 주식회사 Integrated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550B1 (en)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93027B (en) For the shift range conversion equipment of the vehicles
US10190675B2 (en) Shifter assembly
US1071843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system
US7107868B2 (en) Transmission operating apparatus for vehicle
US20200240515A1 (en) Shift control apparatus for electronic shift system
EP1314916A2 (en) Shift lock device
US20200063857A1 (en) Dial shift lever device for vehicle
CN106573537A (en) Rotary gear shifter
JP4373212B2 (en) Signal generator for adjus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automatic shift device
KR100604441B1 (en) Haptic shift device for auto transmission
US20180172140A1 (en) Vehicle shift lever assembly
US10704670B2 (en) Automotive transmission
AU2009205267B2 (en) Gear shifting mechanism
EP3317563B1 (en) Shift-by-wire shift unit for shifting a transmission of a vehicle
CN104847880A (en) Mono-stable rotary transmission selector
KR102557103B1 (en) One-touch control of automatic gearboxes
KR20200081764A (en) Automotive transmission
CN108506470B (en) Telescopic gear shift knob of pole dress
JP5880397B2 (en) Vehicle shift device
CN107869578A (en) Bar apparatus for electron gear shifting system
JP6003785B2 (en) Vehicle shift device
KR20200037630A (en) Driving manipulation apparatus for vehicle
CN111664244B (en) Knob type gear shifting lever device
CN210423680U (en) Electronic gear shifting mechanism and automobile
CN110886837B (en) Speed change devic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