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566A -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tilizing mother and baby health data - Google Patents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tilizing mother and baby health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566A
KR20200037566A KR1020180116936A KR20180116936A KR20200037566A KR 20200037566 A KR20200037566 A KR 20200037566A KR 1020180116936 A KR1020180116936 A KR 1020180116936A KR 20180116936 A KR20180116936 A KR 20180116936A KR 20200037566 A KR20200037566 A KR 20200037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ice
wellness
data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동필
Original Assignee
웰니스인텔리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니스인텔리전스(주) filed Critical 웰니스인텔리전스(주)
Priority to KR1020180116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7566A/en
Publication of KR2020003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Provided is a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using health data of mother and newborn baby, to provide a customized wellness service optimized to each of a mother and a newborn bab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100) comprises: a main server (110), client devices (120-1 to 120-N), a first group of affiliated company devices (130-1 to 130-N), a second group of affiliated company devices (140-1 to 140-N), a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01), a living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02), a general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03), a database maintaining means (104), a wellness schedule generation means (105), a performance direction means (106), and a performance data collection means (107) collecting performance data including whether a user performs a wellness schedule directed by the performance direction means (106), a performance result, and user response, wherein the data collected by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means (107) is fed back to one or more of other means. Moreover, provided is a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implemented in the system (100) and using the health data of a mother and/or a newborn baby.

Description

산모 및 신생아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TILIZING MOTHER AND BABY HEALTH DATA}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using health data of mothers and newborns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TILIZING MOTHER AND BABY HEALTH DATA}

이 발명은 산모 및/또는 신생아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 자세하게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부터 육아, 그리고 때로는 그 후까지 진료, 치료, 처치, 처방, 조리, 재활 등 각급 각종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생성되는 개인화 된 의료정보, 산모와 보호자 등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개인화 된 생활정보, 및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건강에 관한 보편화 된 일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최적화된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s utilizing the health data of a mother and / or newborn, and more specifically,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prescription, pregnancy to childbirth, postpartum care to child care, and sometimes thereafter, Personalized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online or offline by various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and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such as cooking and rehabilitation, personalized living information created by users such as mothers and guardians, and health provided by health institu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It relates to a method and service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ing generalized general information about, and providing an optimized customized health care service.

2015년도 기준 국내의 전체 분만 여성 중 고위험 임산부의 비중이 46.6%(임신성 당뇨,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과체중 외 35세 이상의 비중 27.6%, 40세 이상의 비중 3.0% 포함)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고, 임산부 및 신생아의 건강 문제를 해결할 사회적 필요성이 크다.As of 2015, 46.6% of all high-risk pregnant women in Korea (including pregnant diabetes, gestational hypertension, gestational overweight, including 27.6% of those over 35 years old, and 3.0% of those over 40 years old) were surveyed. There is a great social need to address the health problems of newborns.

한편, 생활수준은 향상되고 출산문화는 적게 낳아 잘 키우자는 분위기 속에서,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의 패러다임은 보건기관이나 의료기관이 산모나 보호자에게 권장하던 형태에서 산모 또는 보호자가 주도하는 형태로 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편리하고 신뢰성 높은 고급화 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an atmosphere where the standard of living is improved and the culture of childbirth is low and nurtures well, the paradigm of health care for mothers and newborns is changing from a form recommended by a health institution or a medical institution to a mother or guardian, or a form led by a mother or guardian Accordingly, the demand for high-quality services that are convenient and reliable is rapidly increasing.

이 발명의 발명자는, 발명의 명칭이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라는, 2014년 7월 31일자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4-0098268호를 출원한 바 있다. 선행특허 기술은 사용자의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통합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4-0098268호에 기재된 내용은 이 출원에서 참고로 인용되며, 이 출원에 포함된다.The inventor of this invention filed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98268 filed on July 31, 2014, entitled “Personalized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are related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method, device and system” have. Prior patent technology relates to providing personalized pregnancy, childbirth, and postpartum care-related informatio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integrated information related to pregnancy, childbirth and postpartum care of a user. The contents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98268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is application and are included in this application.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4-0098268호에서 기술하고 있는 바에 따라 수집, 분석, 가공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각종 정보들은 의료정보, 생활정보, 및 일반정보의 형태로 이 출원에서 이용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98268,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collection, analysis, and processing of pregnancy, childbirth, and postpartum care are used in this application in the form of medical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It can form part of the data.

한편, 일례로 산후조리원에서는, 산모 또는 보호자가 작성하는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계획서, 의사, 간호사, 산후조리사 등 의료인이 작성하는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기록지“”영유아 건강기록부, “임산부 건강기록부”“신생아 관찰 기록지”등 건강 데이터가 연간 수십만 건씩 생성되고 있지만, 아쉽게도 오프라인 문서로 작성되어 후속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as an example,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the mother's or a guardian's health plan service plan, doctor, nurse, postpartum cook, etc., prepared by a medical practitioner, “Mother's Newborn Health Care Service Provision Record”, “Infant and Child Health Records,” Pregnancy Health records, such as “Newborn Observation Record”, are generating hundreds of thousands of health data annually, but unfortunately, they are written in offline documents and are not continuously used for follow-up services.

이 발명의 목적은,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생성되는 의료정보,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생활정보, 및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건강에 관한 일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개별적 산모 및 신생아를 위해 최적화된 맞춤형 웰니스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lth-related big data, which includes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and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life information generated by users directly, and general information about health provided by health institu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Is to provide customized wellness services optimized for individual mothers and newborns.

또한, 이 발명의 목적은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수집하여 육아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ild care coaching service by collecting big data related to health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child care.

또한, 이 발명의 목적은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뿐만 아니라, 그 후에 생성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까지 수집하여 더 확장된 맞춤형 웰니스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re extended customized wellness service by collecting not only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parenting, but also health-related big data generated thereafter.

이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산모 및/또는 신생아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wellness service using health data of a mother and / or newborn is provided.

이 방법은,This way,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생성되는 의료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a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생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life information directly generated by a user;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건강에 관한 일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health provided by health organiza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의료정보, 생활정보, 일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big data)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유지하는 단계;Maintaining a database that records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빅 데이터를 분석 평가 종합하여 웰니스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Generating a wellness schedule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big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And

생성된 웰니스 스케줄의 이행을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And instructing the user to fulfill the generated wellness schedule,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루는 각 단계의 수행은 메인 서버(main server)를 이루는 컴퓨터(computer) 상에서 또는 그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지며, Each step of forming a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is performed on a computer constituting a main server or under control of the computer,

의료정보 수집 단계는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device)로부터 온라인(on-line)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의료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s configured to collect medical information on a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생활정보 수집 단계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client device)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생활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The step of collecting life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collect life information on a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client device,

일반정보 수집 단계는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일반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s configured to collect general information on a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웰니스 서비스(wellness service)" 또는 “웰니스 스케줄(wellness schedule)"은, "건강관리 서비스”또는 “건강관리 스케줄"을 포함하는 의미이지만, 사용자 또는 서비스 수혜자의 쾌적하고 아늑한 느낌까지 보살피는 “생활관리 서비스”또는 “생활관리 스케줄”의 개념까지 확대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wellness service” or “wellness schedule” is meant to include “health care service” or “health care schedule,” but the user or service recipient is comfortabl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cept of “life management service” or “life management schedule” that takes care of the cozy feeling has been expanded.

여기에서, “제1군의 협력사”는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을 지칭한다.Here, the term “first-class partner” refers to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a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은, 산모 또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관찰, 진료, 치료, 처치, 처방, 조리, 재활 등 각종 의료행위 또는 유사의료행위를 하는 다양한 기관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 refers to a variety of medical or similar medical activities, such as observation,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prescription, cooking, and rehabilitation for a mother or a newborn baby. It should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the institution as a generic one.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의료정보”는,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관찰, 진료, 치료, 처치, 처방, 조리, 재활 등 각종 의료행위의 내용 및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 “medical information” used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the contents and results of various medical activities such as observation, medical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prescription, cooking, and rehabilitation for a mother or a newborn baby at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or a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various records and data including.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생활정보”는 산모 또는 보호자가 서비스 이용계획 수립, 서비스 이용신청, 서비스 이용결과 제출 등에서 기재하는 산모 또는 신생아의 연령, 체중, 신장, 혈액형, 이력, 상태, 습관, 니즈(needs) 등을 포함하는 각종 신체특징,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에 관한 각종 기록 및 데이터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As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living information” refers to the age, weight, height, blood type, history, condition, habits of a mother or newborn that the mother or guardian describes in the service use plan, service use application, and service use result submiss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various records and data related to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health conditions, including needs.

여기에서, “제2군의 협력사”는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을 지칭한다.Here, the term “secondary partner” refers to health and related organizations.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은, 보건기관뿐만 아니라, 산모 또는 신생아의 건강과 관련이 있거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를 제공하는 각종 정부기관 및 사회기관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As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health institution and related institution” includes not only a health institution, but also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social institutions that provide various records and data related to or affecting the health of the mother or newborn. It should be understood as referred to as.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일반정보”는,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 등에서 서비스 제공자에게 입수되는 정보 중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의 건강과 관련이 있거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로서, 특정한 산모 또는 신생아에게만 관련되는 개인화 된 정보가 아니라, 일반적인 산모 또는 신생아에게 적용될 수 있는 보편화 된 정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As u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general information” refers to various records and data related to or affecting the health of a mother or a newborn baby amo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 health institution and related organizations, etc., to a specific mother or newborn bab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refers to generalized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ed to a general mother or a newborn baby, not personalized information related only to.

일반정보는 보건기관뿐만 아니라 각종 정부기관 및 사회기관에서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에게 입수되는 정보 중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의 건강과 관련이 있거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일 수 있다.The general information may be various records and data related to or affecting the health of a mother or a newborn baby amo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ervice provider from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social institutions as well as a health institution.

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용어와 관련하여 기재된 복수의 항목들의 조합 또는 그러한 복수의 항목들 중의 어느 한 항목을 포함함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tem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term, or any one of those plurality of items.

이 방법은, 이행 지시 단계에서 지시된 웰니스 스케줄의 사용자 이행 여부, 이행 결과, 및 사용자 반응을 포함하는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수행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수행 데이터 수집 단계 이전의 단계 중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feedback)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collecting performance data including whether a user of the wellness schedule indicated in the fulfillment instructing step is fulfilled by a user, a fulfillment result, and a user response; And feeding back the data collected in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step to one or more of the steps prior to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step.

데이터베이스 유지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update)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base maintenance step may include regularly or irregularly updating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의료정보 수집 단계는 오프라인(off-line)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llecting medical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putting data generated off-line to the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생활정보 수집 단계는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ollecting living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putting data generated offline to the client device.

생활정보는 평소 또는 특정시기에 산모 또는 신생아의 행동 또는 상태를 모니터링(monitoring) 하는 측정기기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ving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data collected by a measuring device that monitors the behavior or condition of a mother or newborn at a normal or specific time.

일반정보 수집 단계는 입수된 서술형 정보, 영상정보, 음향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 분석, 처리하여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extracting, analyzing, and processing only necessary information from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acquired narrativ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and inputting the information to the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육아 코칭 서비스(coaching service)일 수 있다.Health-related big data may be data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child-rearing period, and 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be a child-rearing coaching service.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것뿐만 아니라, 그 후에 생성된 것까지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아동기를 지나서 확장된 시기까지 제공되는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일 수 있다.Health-related big data may be data that includes not only those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are, and childcare, but also those generated afterwards, and the wellness services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extend beyond childhood. It may be a customized health care service provided by time.

이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용어와 관련하여 기재된 복수의 항목들의 조합 또는 그러한 복수의 항목들 중의 어느 한 항목을 포함함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tem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term or any one of those plurality of items.

이 발명의 다른 한 양태에 따르면, 산모 및/또는 신생아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providing a wellness service utilizing health data of a mother and / or newborn is provided.

이 시스템은,This system,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생성되는 의료정보를 수집하는 수단;Means for collecting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and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생활정보를 수집하는 수단;Means for collecting life information generated directly by the user;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건강에 관한 일반정보를 수집하는 수단;Means for collecting general information on health provided by health organiza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의료정보, 생활정보, 일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수단;Means for maintaining a database of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빅 데이터를 분석 평가 종합하여 웰니스 스케줄을 생성하는 수단; 및 Means for generating a wellness schedule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big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And

생성된 웰니스 스케줄의 이행을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And means for instructing the user to fulfill the generated wellness schedule,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시스템을 이루는 각 수단의 작동이 메인 서버를 이루는 컴퓨터 상에서 또는 그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축되며,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operation of each means constituting the system operates on the computer constituting the main server 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mputer,

의료정보 수집 수단은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의료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is configured to collect medical information on the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생활정보 수집 수단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생활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The life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is configured to collect life information on a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client device,

일반정보 수집 수단은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일반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is configured to collect general information on a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이 시스템은, 이행 지시 수단에 의해 지시된 웰니스 스케줄의 사용자 이행 여부, 이행 결과, 및 사용자 반응을 포함하는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단; 및 수행 데이터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수행 데이터 수집 수단을 제외한 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ystem includes means for collecting performance data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performed the wellness schedule indicated by the performance indicating means, performance results, and user reactions; And feedback data collected by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means to one or more of means other than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means.

데이터베이스 유지 수단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database maintenance means may be configured to regularly or irregularly update the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의료정보 수집 수단은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put data generated offline to the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생활정보 수집 수단은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vin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put data generated offline to the client device.

생활정보는 평소 또는 특정시기에 산모 또는 신생아의 행동 또는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측정기기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ving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data collected by a measuring device that monitors the behavior or condition of a mother or newborn at normal or specific times.

일반정보 수집 수단은 입수된 서술형 정보, 영상정보, 음향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 분석, 처리하여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analyze, and process only necessary information from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acquired narrativ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and input it to the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육아 코칭 서비스일 수 있다.The health-related big data may be data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parenting, and 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may be child care coaching service.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것뿐만 아니라, 그 후에 생성된 것까지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아동기를 지나서 확장된 시기까지 제공되는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일 수 있다.Health-related big data may be data that includes not only those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are, and childcare, but also those generated afterwards. Wellness services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extend beyond childhood. It may be a customized health care service provided by time.

위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에 따르면, 산모 및/또는 신생아의 의료정보, 생활정보 및 일반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개별적 산모 또는 신생아를 위해 최적화된 맞춤형 웰니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collects and analyzes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life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of a mother and / or newborn, and provides customized wellness services optimized for individual mothers or newborns. You can.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수집하여 육아 코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child care coaching services by collecting big data related to health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childcare.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뿐만 아니라, 그 후에 생성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까지 수집하여 더 확장된 맞춤형 웰니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expanded customized wellness service by collecting not only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childcare, but also health-related big data generated thereafter.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providing a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구현하는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 발명이 예시된 양호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된 실시예에 다양한 변경, 수정 또는 치환이 있을 수 있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illustrated embodiments may hav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You ca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이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이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이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시스템을 이루는 각 수단의 작동이 메인 서버(110)를 이루는 컴퓨터 상에서 또는 그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축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operation of each means constituting the system operates on the computer constituting the main server 110 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mpu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메인 서버(110),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 120-N),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30-1, 130-2, ..., 130-N), 및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40-1, 140-2, ..., 140-N)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cludes a main server 110, a client device 120-1, 120-2, ..., 120-N, a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130 -1, 130-2, ..., 130-N), and a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140-1, 140-2, ..., 140-N.

메인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 120-N),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30-1, 130-2,..., 130-N) 및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40-1, 140-2,..., 14-N)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main server 110 includes client devices 120-1, 120-2, ..., 120-N, first-class partner devices 130-1, 130-2, ..., 130-N, an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140-1, 140-2, ..., 14-N.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의료정보 수집수단(101), 생활정보 수집수단(102), 일반정보 수집수단(103), 데이터베이스 유지수단(104), 웰니스 스케줄 생성수단(105), 및 이행지시수단(106)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cludes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01, life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02, general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03, database maintenance means 104, wellness schedule generation means 105, and implementation It may include an indicator means (106).

의료정보 수집수단(101)은,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30-1, 130-2,..., 130-N)로부터 메인 서버(110)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111)로 의료정보를 전송하여 기록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101 transmits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130-1, 130-2, ..., 130-N to the database 111 managed by the main server 110. Thu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configured to be recorded.

의료정보 수집수단(101)은,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생성되는 의료정보를 수집한다. 의료정보 수집수단(101)은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30-1, 130-2,..., 130-N)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111) 상에 의료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101 collects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a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 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101 is configured to collect medical information on the database 111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130-1, 130-2, ..., 130-N.

의료정보는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관찰, 진료, 치료, 처치, 처방, 조리, 재활 등 각종 의료행위의 내용 및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 수집 수단(101)은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30-1, 130-2,..., 130-N)에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수단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등 컴퓨팅 분야에서 일반화 된 입력장치 및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The medical information may be various records and data including contents and results of various medical activities such as observation, medical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prescription, cooking, and rehabilitation for a mother or a newborn baby at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or a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 . In addition, 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101 may be configured to input data generated offline to the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130-1, 130-2, ..., 130-N. Such input means may be composed of input devices and interfaces generalized in the computing field, such as a keyboard, mouse, and scanner.

생활정보 수집수단(102)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120-N)로부터 메인 서버(110)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111)로 생활정보를 전송하여 기록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The livin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102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ord living information from the client devices 120-1, 120-2, ..., 120-N to the database 111 managed by the main server 110. It refers to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생활정보 수집수단(102)은 산모 또는 보호자, 즉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생활정보를 수집한다. 생활정보 수집수단(102)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120-N)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111) 상에 생활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The life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102 collects life information generated directly by a mother or guardian, that is, a user. The life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102 is configured to collect life information on the database 111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client devices 120-1, 120-2, ..., 120-N.

생활정보는 산모 또는 보호자가 서비스 이용계획 수립, 서비스 이용신청, 서비스 이용결과 제출 등에서 기재하는 산모 또는 신생아의 연령, 체중, 신장, 혈액형, 이력, 상태, 습관, 니즈(needs) 등을 포함하는 각종 신체특징,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에 관한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생활정보 수집 수단은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120-N)에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Living information is various, including the age, weight, height, blood type, history, condition, habits, needs, etc. of a mother or newborn child that is described in the mother's or guardian's service use plan, service use application, and service use result submission. It may be a variety of records and data regarding physical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health status. Further, the means for collecting living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input data generated offline to the client devices 120-1, 120-2, ..., 120-N.

한편, 생활정보는 평소 또는 특정시기에 산모 또는 신생아의 행동 또는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측정기기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living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data collected by a measuring device that monitors the behavior or condition of a mother or a newborn baby at regular or specific times.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 120-N)는 이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예컨대, 산모)가 보유하고 있는 개인 단말이다. 개인 단말은,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C), PDA,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이동통신 단말 등 유무선 통신을 통해 메인 서버(11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 120-N)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미도시)와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120-N)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메인 서버(110)로 전송하고, 메인 서버(110)가 전송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 120-N)는 수신된 정보를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lient devices 120-1, 120-2, ..., 120-N are personal terminals held by a user (for example, a mother) who wants to use the health car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 terminal may include, for example,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o and from the main server 110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PDA, tablet computer, smart phon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lient devices 120-1, 120-2, ..., 120-N may hav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wearable device (not shown). The client devices 120-1, 120-2, ..., and 120-N may transmi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earable device to the main server 110 and receiv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main server 110. . The client devices 120-1, 120-2, ..., 120-N may display the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user to view, and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the user to input desired information. .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120-N)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만보계, 손목시계 형태의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측정기기는, MEMS 센서, 촉각센서(감각인지센서), 생체인식 센서(바이오인식), 모션용 가속도/자이로 센서, 환경센서(온도, 습도, 기압) 등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온, 혈압, 심박수, 이동거리, 걷는 횟수, 수면시간, 수면습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mong the client devices 120-1, 120-2, ..., 120-N, 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pedometer, a watch-type device, etc., and the measuring device includes a MEMS sensor, a tactile sensor (sensory sensor) ), Biometric sensors (bio-recognition), acceleration / gyro sensors for motion, and environmental sensors (temperature, humidity, air pressure). Through this,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heart rate, distance traveled, the number of walks, sleep time, sleep habits information can be obtained.

일반정보 수집수단(103)은,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40-1, 140-2,..., 140-N)로부터 메인 서버(110)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111)로 의료정보를 전송하여 기록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의 조합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103 transmits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140-1, 140-2, ..., 140-N to the database 111 managed by the main server 110. Thu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configured to be recorded.

일반정보 수집수단(103)은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건강에 관한 일반정보를 수집한다. 일반정보 수집수단(103)은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40-1, 140-2,..., 140-N)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111) 상에 일반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103 collects general information on health provided by health organiza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103 is configured to collect general information on the database 111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140-1, 140-2, ..., 140-N.

일반정보 수집 수단(103)은 입수된 서술형 정보, 영상정보, 음향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 분석, 처리하여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40-1, 140-2,..., 140-N)에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103 extracts, analyzes, and processes only necessary information from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acquired narrativ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to provide a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140-1, 140-2, .. ., 140-N).

데이터베이스 유지수단(104)은 의료정보, 생활정보, 일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111)를 유지하고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 유지수단(104)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database maintenance means 104 maintains and manages the database 111 that records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The database maintenance means 104 may be configured to regularly or irregularly update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웰니스 스케줄 생성수단(105)은, 데이터베이스(111)에 기록된 빅 데이터를 분석 평가 종합하여 웰니스 스케줄을 생성한다.The wellness schedule generation means 105 generates a wellness schedule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big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111.

이행지시수단(106)은 생성된 웰니스 스케줄의 이행을 사용자에게 지시한다.The execution instruction means 106 instructs the user to fulfill the generated wellness schedule.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이행지시수단(106)에 의해 지시된 웰니스 스케줄의 사용자 이행 여부, 이행 결과, 및 사용자 반응을 포함하는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행데이터 수집수단(107)을 더 포함하고, 수행데이터 수집수단(107)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수행데이터 수집수단(107)을 제외한 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further includes performance data collection means 107 for collecting performance data including whether the wellness schedule is instructed by the performance instruction means 106, user performance, performance results, and user responses. , It may be configured to feedback the data collected by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means 107 to one or more of means other than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means 107.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이용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육아 코칭 서비스일 수 있다.The health-related big data used 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be data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are, and childcare, and 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be child care coaching service. have.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이용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것뿐만 아니라, 그 후에 생성된 것까지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아동기를 지나서 확장된 시기까지 제공되는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일 수 있다.The health-related big data us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be data including not only those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are, and childcare, but also those generated thereafter, and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may be a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provided until the extended period beyond childhood.

도 2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providing a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한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상에서 구현되며, 산모 및/또는 신생아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다.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루는 각 단계의 수행은 메인 서버(110)를 이루는 컴퓨터 상에서 또는 그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진다.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is implemented o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described above, and utilizes health data of a mother and / or a newborn baby. The performance of each step constit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a wellness service is performed on a computer constituting the main server 110 or under control of the computer.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의료정보 수집 단계(S210), 생활정보 수집 단계(S220), 일반정보 수집 단계(S230), 데이터베이스 유지 단계(S240), 웰니스 스케줄 생성 단계(S250), 및 이행지시 단계(S2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s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10), lif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20), gener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30), database maintenance step (S240), wellness schedule generation step (S250), and implementation instruction step ( S260).

의료정보 수집 단계(S210)에서는,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생성되는 의료정보를 수집한다. 의료정보 수집 단계(S210)는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30-1, 130-2,..., 130-N)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111) 상에 의료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10),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a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 is collected. 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10)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medical information on the database 111 through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130-1, 130-2, ..., 130-N. have.

의료정보 수집 단계(S210)는 오프라인 데이터 입력 단계(S21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오프라인 데이터 입력 단계(S215)에서는,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30-1, 130-2,..., 130-N)에 입력한다.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10) may further include an offline data input step (S215), and in the offline data input step (S215), the offline generated data is transferred to the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130-1 and 130-. 2, ..., 130-N).

생활정보 수집 단계(S220)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생활정보를 수집한다. 생활정보 수집 단계(S22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120-N)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생활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lif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20), lif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 is collected. The life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20)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life information on a database in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client devices 120-1, 120-2, ..., 120-N.

생활정보 수집 단계(S220)는 오프라인 데이터 입력 단계(S22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오프라인 데이터 입력 단계(S225)에서는,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20-1, 120-2,..., 120-N)에 입력한다.The life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220) may further include an offline data input step (S225). In the offline data input step (S225), the offline genera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devices 120-1, 120-2, .. ., 120-N).

생활정보는 평소 또는 특정시기에 산모 또는 신생아의 행동 또는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측정기기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ving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data collected by a measuring device that monitors the behavior or condition of a mother or newborn at normal or specific times.

일반정보 수집 단계(S230)에서는,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건강에 관한 일반정보를 수집한다. 일반정보 수집 단계(S230)는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40-1, 140-2,..., 140-N)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111) 상에 일반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30), general information on health provided by a health institution and related organizations is collected. 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S230)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general information on the database 111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140-1, 140-2, ..., 140-N. have.

일반정보 수집 단계(S230)는 데이터 처리 단계(S23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오프라인 데이터 입력 단계(S235)에서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메인 서버(110)가 입수한 서술형 정보, 영상정보, 음향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 분석, 처리하여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140-1, 140-2,..., 140-N)에 입력한다.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step (S230) may further include a data processing step (S235), and in the offline data input step (S235), descriptiv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sound information, etc. obtained by the service provider or the main server 110, etc. It extracts, analyzes, and processes only necessary information from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inputs it to the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140-1, 140-2, ..., 140-N.

데이터베이스 유지 단계(S240)에서는, 의료정보, 생활정보, 일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111)를 유지한다.In the database maintenance step (S240), the database 111 that records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is maintained.

웰니스 스케줄 생성 단계(S250)에서는, 데이터베이스(111)에 기록된 빅 데이터를 분석 평가 종합하여 웰니스 스케줄을 생성한다.In the wellness schedule generation step S250, the wellness schedule is generated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big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111.

이행지시 단계(S260)에서는, 생성된 웰니스 스케줄의 이행을 사용자에게 지시한다.In step S260, the user instructs the user to execute the generated wellness schedule.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수행데이터 수집 단계(S270); 및 피드백 단계(S28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수행데이터 수집 단계(S270)에서는 이행지시 단계(S260)에서 지시된 웰니스 스케줄의 사용자 이행 여부, 이행 결과, 및 사용자 반응을 포함하는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며, 피드백 단계(S280)에서는 수행데이터 수집 단계(S27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수행데이터 수집 단계(S270) 이전의 단계 중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 한다.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includes: performing data collection step (S270); And a feedback step (S280), and in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step (S270), performance data including whether the user has performed the wellness schedule indicated in the performance instruction step (S260), performance result, and user response is collected. In the feedback step S280, the data collected in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step S270 is fed back to one or more of the steps prior to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step S270.

데이터베이스 유지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atabase maintenance step may be configured to regularly or irregularly update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데이터일 수 있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육아 코칭 서비스일 수 있다.The health-related big data may be data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childcare, and 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be child care coaching service.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것뿐만 아니라, 그 후에 생성된 것까지 포함하는 데이터일 수 있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아동기를 지나서 확장된 시기까지 제공되는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일 수 있다.Health-related big data may be data that includes not only those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are, and childcare, but also those generated afterwards, and the wellness services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extend beyond childhood. It may be a customized health care service provided by time.

이하에서는, 이 발명을 양호하게 구현하는 예시적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xemplary embodiments for satisfactorily implementing this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산모 및/또는 신생아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이며, 이 방법은,The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using health data of a mother and / or newborn, and this method comprises: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생성되는 의료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a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생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life information directly generated by a user;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건강에 관한 일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Collect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health provided by health organiza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의료정보, 생활정보, 일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Maintaining a database of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빅 데이터를 분석 평가 종합하여 웰니스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Generating a wellness schedule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big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And

생성된 웰니스 스케줄의 이행을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And instructing the user to fulfill the generated wellness schedule,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루는 각 단계의 수행은 메인 서버를 이루는 컴퓨터 상에서 또는 그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지며, Each step of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is performed on a computer constituting the main server or under control of the computer,

의료정보 수집 단계는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의료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s configured to collect medical information on the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생활정보 수집 단계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생활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The step of collecting life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collect life information on a database through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client device.

일반정보 수집 단계는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일반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llect general information on a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이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이행 지시 단계에서 지시된 웰니스 스케줄의 사용자 이행 여부, 이행 결과, 및 사용자 반응을 포함하는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Collecting performance data including whether the user of the wellness schedule indicated in the performance instruction step is implemented, performance results, and user response; And

수행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수행 데이터 수집 단계 이전의 단계 중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eeding back the data collected in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step to one or more of the steps prior to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step.

이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유지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the database maintenance step periodically or irregularly updates the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이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실시형태 내지 제3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의료정보는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관찰, 진료, 치료, 처치, 처방, 조리, 재활 등 각종 의료행위의 내용 및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의료정보 수집 단계는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wherein medical information is provided by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a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 Various records and data including the contents and results of various medical activities such as observation, medical treatment, treatment, prescription, cooking, and rehabilitation for a mother or a newborn bab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putting to the military partner device.

이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생활정보는 산모 또는 보호자가 서비스 이용계획 수립, 서비스 이용신청, 서비스 이용결과 제출 등에서 기재하는 산모 또는 신생아의 연령, 체중, 신장, 혈액형, 이력, 상태, 습관, 니즈 등을 포함하는 각종 신체특징,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에 관한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생활정보 수집 단계는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e living information is set by the mother or guardian to use the service plan, Various records and data on physical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health status, including age, weight, height, blood type, history, condition, habits, needs, etc. And, the step of collecting life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putting the data generated offline to the client device.

이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실시형태 내지 제5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생활정보는 평소 또는 특정시기에 산모 또는 신생아의 행동 또는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측정기기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liv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a mother or a newborn baby at regular or specific tim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ata collected by the measuring device to monitor the behavior or condition.

이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실시형태 내지 제6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일반정보는 보건기관뿐만 아니라 각종 정부기관 및 사회기관에서 서비스 제공자에게 입수되는 정보 중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의 건강과 관련이 있거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일반정보 수집 단계는 입수된 서술형 정보, 영상정보, 음향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 분석, 처리하여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embodiments, general information includes not only health institutions, but also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societies. Amo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rvice providers from the institution, it is various records and data related to or affecting the health of the mother or newborn, and 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s based o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the narrativ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obtain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extracting, analyzing, and processing only necessary information and inputting it to the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이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실시형태 내지 제7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데이터이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육아 코칭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es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it is data generated during the parenting period, and 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hild care coaching service.

이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실시형태 내지 제8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것뿐만 아니라, 그 후에 생성된 것까지 포함하는 데이터이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아동기를 지나서 확장된 시기까지 제공되는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wellness servic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embodiments, the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es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it is data that includes not only what was created during the childcare period, but also what is created afterwards, and 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provided until an extended period beyond childhood.

이 발명의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산모 및/또는 신생아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며, 이 시스템은,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utilizing health data of a mother and / or newborn, and the system includes: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생성되는 의료정보를 수집하는 수단;Means for collecting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and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생활정보를 수집하는 수단;Means for collecting life information generated directly by the user;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건강에 관한 일반정보를 수집하는 수단;Means for collecting general information on health provided by health organiza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의료정보, 생활정보, 일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수단;Means for maintaining a database of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ing medical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빅 데이터를 분석 평가 종합하여 웰니스 스케줄을 생성하는 수단; 및 Means for generating a wellness schedule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big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And

생성된 웰니스 스케줄의 이행을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And means for instructing the user to fulfill the generated wellness schedule,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시스템을 이루는 각 수단의 작동이 메인 서버를 이루는 컴퓨터 상에서 또는 그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축되며,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operation of each means constituting the system operates on the computer constituting the main server 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mputer,

의료정보 수집 수단은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의료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is configured to collect medical information on the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the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생활정보 수집 수단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생활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The life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is configured to collect life information on a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client device,

일반정보 수집 수단은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상에 일반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is configured to collect general information on a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이 발명의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0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이행 지시 수단에 의해 지시된 웰니스 스케줄의 사용자 이행 여부, 이행 결과, 및 사용자 반응을 포함하는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수행 데이터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수행 데이터 수집 수단을 제외한 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whether the user is performing a wellness schedule indicated by the fulfillment instructing means, a fulfillment result, and a user rea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ans for collecting performance data, and configured to feedback data collected by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means to one or more of means other than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means.

이 발명의 제12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0 실시형태 또는 제11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유지 수단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r the eleventh embodiment, the database maintenance means allows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to be updated regularly or irregularly.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이 발명의 제13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1 실시형태 내지 제12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의료정보는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관찰, 진료, 치료, 처치, 처방, 조리, 재활 등 각종 의료행위의 내용 및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의료정보 수집 수단은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eleventh to twelfth embodiments, wherein medical information is provided by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a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 Various records and data including the contents and results of various medical activities such as observation, medical treatment, treatment, prescription, cooking, and rehabilitation for a mother or a newborn bab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input to the military partner device.

이 발명의 제14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0 실시형태 내지 제13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생활정보는 산모 또는 보호자가 서비스 이용계획 수립, 서비스 이용신청, 서비스 이용결과 제출 등에서 기재하는 산모 또는 신생아의 연령, 체중, 신장, 혈액형, 이력, 상태, 습관, 니즈 등을 포함하는 각종 신체특징,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에 관한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생활정보 수집 수단은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14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enth to thirteenth embodiments, the living information is established by the mother or guardian using the service plan, Various records and data on physical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health status, including age, weight, height, blood type, history, condition, habits, needs, etc. And, the livin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put data generated in the offline to the client device.

이 발명의 제15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0 실시형태 내지 제14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생활정보는 평소 또는 특정시기에 산모 또는 신생아의 행동 또는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측정기기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f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enth to fourteenth embodiments, the living information is usually or at a specific ti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ata collected by the measuring device to monitor the behavior or condition.

이 발명의 제16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0 실시형태 내지 제15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일반정보는 보건기관뿐만 아니라 각종 정부기관 및 사회기관에서 서비스 제공자에게 입수되는 정보 중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의 건강과 관련이 있거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일반정보 수집 수단은 입수된 서술형 정보, 영상정보, 음향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 분석, 처리하여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six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enth to fifteenth embodiments, general information is not only a health institution, but also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society Amo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rvice providers from the institution, it is various records and data related to the health of the mother or newborn or affecting the health, and 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is obtained from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the narrativ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obtain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xtract only necessary information, analyze and process it and input it to the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이 발명의 제17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0 실시형태 내지 제16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데이터이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육아 코칭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17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10th to 16th embodiments,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es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the data generated during the parenting period, 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hildcare coaching service.

이 발명의 제18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0 실시형태 내지 제17 실시형태 중 어느 한 실시형태에 따른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것뿐만 아니라, 그 후에 생성된 것까지 포함하는 데이터이고,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아동기를 지나서 확장된 시기까지 제공되는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igh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enth to seventeenth embodiments,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es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it is data that includes not only what was created during the childcare period, but also what is created afterwards, and 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provided until an extended period beyond childhood.

이상, 도면과 양호한 실시예 및 예시적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실시예 또는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이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and exemplary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eant to be limited by the drawings, examples or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Claims (18)

산모 및 신생아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생성되는 의료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생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건강에 관한 일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의료정보, 상기 생활정보, 상기 일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빅 데이터를 분석 평가 종합하여 웰니스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웰니스 스케줄의 이행을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루는 각 단계의 수행은 메인 서버를 이루는 컴퓨터 상에서 또는 그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지며,
상기 의료정보 수집 단계는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에 의료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생활정보 수집 단계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에 생활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일반정보 수집 단계는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에 일반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wellness service using the health data of the mother and newborn,
Collecting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a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
Collecting life information directly generated by a user;
Collect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health provided by health organiza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Maintaining a database of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ing the medical information, the living information, and the general information;
Generating a wellness schedule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big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And
And instructing the user to fulfill the generated wellness schedule,
Each step of forming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is performed on a computer constituting the main server or under control of the computer,
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step is configured to collect medical information on the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The step of collecting life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collect life information on the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client device.
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step is configured to collect general information on the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 지시 단계에서 지시된 웰니스 스케줄의 사용자 이행 여부, 이행 결과, 및 사용자 반응을 포함하는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행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상기 수행 데이터 수집 단계 이전의 단계 중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ollecting performance data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user of the wellness schedule indicated in the fulfillment instruction step is fulfilled, a fulfillment result, and a user response; And
And feedbacking the data collected in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step to one or more of the steps prior to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ste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유지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maintaining the database comprises periodically or irregularly updating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는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관찰, 진료, 치료, 처치, 처방, 조리, 재활 등 각종 의료행위의 내용 및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상기 의료정보 수집 단계는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medical information is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such as observation,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prescription, cooking, rehabilitation for a mother or a newborn baby Various records and data including the content and result of the action, wherein 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ng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putting the data generated offline to the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는 산모 또는 보호자가 서비스 이용계획 수립, 서비스 이용신청, 서비스 이용결과 제출 등에서 기재하는 산모 또는 신생아의 연령, 체중, 신장, 혈액형, 이력, 상태, 습관, 니즈(needs) 등을 포함하는 각종 신체특징,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에 관한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상기 생활정보 수집 단계는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age, weight, height, blood type of the mother or newborn bab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iving information is described by a mother or guardian in a service use plan establishment, service use application, service use result submission, etc. Various records and data related to various body features, lifestyle, and health conditions including history, condition, habits, needs, etc., wherein the step of collecting life information includes inputting data generated offline to a cli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는 평소 또는 특정시기에 산모 또는 신생아의 행동 또는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측정기기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ving information further comprises data collected by a measuring device that monitors the behavior or condition of a mother or a newborn baby at regular or specific tim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정보는 보건기관뿐만 아니라 각종 정부기관 및 사회기관에서 서비스 제공자에게 입수되는 정보 중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의 건강과 관련이 있거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상기 일반정보 수집 단계는 입수된 서술형 정보, 영상정보, 음향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 분석, 처리하여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eneral information is related to or affects the health of a mother or a newborn baby among information obtained from service providers from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social institutions as well as health institutions. Various records and data, and 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step further includes extracting, analyzing, and processing only necessary information from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acquired narrative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audio information, and inputting it to the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o do.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데이터이고, 상기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육아 코칭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ealth-related big data is data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ooking, and childcare period, and 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is child care coaching servi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것뿐만 아니라, 그 후에 생성된 것까지 포함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웰니스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아동기를 지나서 확장된 시기까지 제공되는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wellness dat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health-related big data is data generated not only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are, and childcare, but also afterwards. 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sion method is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provided until the extended period beyond childhood. 산모 및 신생아의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생성되는 의료정보를 수집하는 수단;
사용자가 직접 생성하는 생활정보를 수집하는 수단;
보건기관 및 유관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건강에 관한 일반정보를 수집하는 수단;
상기 의료정보, 상기 생활정보, 상기 일반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관련 빅 데이터를 기록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빅 데이터를 분석 평가 종합하여 웰니스 스케줄을 생성하는 수단; 및
생성된 웰니스 스케줄의 이행을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시스템을 이루는 각 수단의 작동이 메인 서버를 이루는 컴퓨터 상에서 또는 그 컴퓨터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축되며,
상기 의료정보 수집 수단은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에 의료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생활정보 수집 수단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에 생활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일반정보 수집 수단은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로부터 온라인 통신 방식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에 일반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In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using the health data of mothers and newborns,
Means for collecting medical information generated by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and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Means for collecting life information generated directly by the user;
Means for collecting general information on health provided by health organizations and related organizations;
Means for maintaining a database that records health-related big data including the medical information, the living information, and the general information;
Means for generating a wellness schedule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big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And
And means for instructing the user to fulfill the generated wellness schedule,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operation of each means constituting the system operates on the computer constituting the main server 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mputer,
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is configured to collect medical information on the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The living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is configured to collect living information on the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client device,
And 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is configured to collect general information on the database by an online communication method from a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 지시 수단에 의해 지시된 웰니스 스케줄의 사용자 이행 여부, 이행 결과, 및 사용자 반응을 포함하는 수행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 데이터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상기 수행 데이터 수집 수단을 제외한 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2.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collecting performance data includin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performed the wellness schedule indicated by the performance indicating means, performance results, and user responses, and collected by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means And feedback data to one or more of the means other than the performance data collection mea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유지 수단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2. The system of claim 11, wherein the database maintenance means is configured to update data recorded in the database periodically or irregularly.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는 의료 서비스 기관 및 유사의료 서비스 기관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관찰, 진료, 치료, 처치, 처방, 조리, 재활 등 각종 의료행위의 내용 및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상기 의료정보 수집 수단은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제1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The medical information is a medical service institution and similar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such as observation,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prescription, cooking, rehabilitation for a mother or a newborn for various medical care And various records and data including the content and results of the action, wherein the medic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is configured to input data generated offline to a first group of partner devices.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는 산모 또는 보호자가 서비스 이용계획 수립, 서비스 이용신청, 서비스 이용결과 제출 등에서 기재하는 산모 또는 신생아의 연령, 체중, 신장, 혈액형, 이력, 상태, 습관, 니즈 등을 포함하는 각종 신체특징,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에 관한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상기 생활정보 수집 수단은 오프라인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The age, weight, height, blood type of a mother or a newborn bab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wherein the living information is described by a mother or guardian in establishing a service use plan, applying for a service, submitting a service use result, etc. Various records and data related to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health conditions including history, status, habits, needs, etc., wherein the means for collecting living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input data generated offline to a client device System.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정보는 평소 또는 특정시기에 산모 또는 신생아의 행동 또는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측정기기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living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data collected by the measuring device to monitor the behavior or condition of the mother or newborn at a specific or specific time, the system.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정보는 보건기관뿐만 아니라 각종 정부기관 및 사회기관에서 서비스 제공자에게 입수되는 정보 중에서 산모 또는 신생아의 건강과 관련이 있거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기록 및 데이터이고, 상기 일반정보 수집 수단은 입수된 서술형 정보, 영상정보, 음향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 분석, 처리하여 제2군의 협력사 디바이스에 입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wherein the general information is related to or affects the health of a mother or a newborn baby among information obtained from service providers from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social institutions as well as health institutions. It is a variety of records and data, and the general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is configured to extract, analyze and process only necessary information from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acquired narrative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and input it to the second group of partner devices. System.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데이터이고, 상기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육아 코칭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wellness service providing system is child care coaching ser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wherein the health-related big data is data generated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are, and child c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ystem.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련 빅 데이터는 임신부터 출산, 산후조리, 그리고 육아 기간 동안 생성된 것뿐만 아니라, 그 후에 생성된 것까지 포함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웰니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웰니스 서비스는 아동기를 지나서 확장된 시기까지 제공되는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The wellness data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wherein the health-related big data is data generated not only during pregnancy, childbirth, postpartum care, and childcare, but also afterwards. The wellness service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provided through an extended period beyond childhood.
KR1020180116936A 2018-10-01 2018-10-01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tilizing mother and baby health data KR202000375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936A KR20200037566A (en) 2018-10-01 2018-10-01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tilizing mother and baby health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936A KR20200037566A (en) 2018-10-01 2018-10-01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tilizing mother and baby health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66A true KR20200037566A (en) 2020-04-09

Family

ID=7027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936A KR20200037566A (en) 2018-10-01 2018-10-01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tilizing mother and baby health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756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0667A1 (en) * 2020-06-11 2021-12-16 Dna Up Communication Ltd An online health-related services platform and a method providing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0667A1 (en) * 2020-06-11 2021-12-16 Dna Up Communication Ltd An online health-related services platform and a method provid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senia et al. Wearable medical sensor-based system design: A survey
Dineshkumar et al. Big data analytics of IoT based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KR20160125543A (en)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KR20160125544A (en) User-oriented healthcare big data service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WO2021146368A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latform to optimize skill training and performance
Orsini et al. My smart age with HIV: an innovative mobile and IoMT framework for patient's empowerment
Chopade et al. Survey on sensors and smart devices for IoT enabled intelligent healthcare system
Pise et al. Enabling Ambient Intelligence of Things (AIoT) healthcare system architectures
Singh et al. Internet of Things and cloud computing
Nino et al. Coupling wearable devices and decision theory in the United States emergency department triage process: A narrative review
Vizitiu et al. Exhaustive description of the system architecture and prototype implementation of an IoT-based eHealth biometric monitoring system for elders in independent living
KR20200037566A (en) Wellness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tilizing mother and baby health data
US1081112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eveloping and using a microbiome-based action component for patient health
Stavropoulos et al. ehealth4ms: Problem detection from wearable activity trackers to support the care of multiple sclerosis
Thangaraj et al. Internet of things in healthcare: An extensive review on recent advance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US20180046772A1 (en) Predictive and interactive diagnostic system
Peters et al. Towards a typology for telemedical services
Niu et al. Toward the Internet of Medical Things: Architecture, trends and challenges
JT et al. A survey on instantaneous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Healthcare Monitoring
Yadav et al. IOT and Big Data Inter-Relation: A boom in biomedical healthcare
JG et al. Low-Cost IOT Based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In Remote Areas
Karlen et al. Design of an interactive medical guideline application for community health workers
Hassan et al. Health status from your body to the cloud: The behavioral relationship between IoT and classification techniques in abnormal situations
Petrenko et al. Generalized information with examples on the possibility of using a service-oriented approach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in the industry of e-Health
Butt et al. 5G and IoT for Intelligent Healthcare: AI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es—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