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520A -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520A
KR20200037520A KR1020180116830A KR20180116830A KR20200037520A KR 20200037520 A KR20200037520 A KR 20200037520A KR 1020180116830 A KR1020180116830 A KR 1020180116830A KR 20180116830 A KR20180116830 A KR 20180116830A KR 20200037520 A KR20200037520 A KR 20200037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ot
iot device
standby power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524B1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김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호 filed Critical 김창호
Priority to KR102018011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75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네트워크 대기전력(Network standby power)을 차단하는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IoT 스마트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웍크 대기전력 과 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낭비전력을 저감하는 장치로
기기 연결장치를 기존 콘센트에 연결하고 이 기기 연결장치에 IoT기기? 연결하여
기기 각각에서 낭비되는 네트워크 대기전력과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낭비전력을 저감하도록 구성한 기기연결장치와 기기들로 구성한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IoT 스마트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omitted}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이하, "IoT 스마트 시스템"이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IoT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제품 또는 기기들이 아무런 이벤트 처리도 없이 단순히 이벤트의 발생을 대기하면서 소비하는 전력인 네트워크 대기전력(Network standby power)과 IoT 시스템에 연결된 전자기기들의 전원 오프(OFF) 시에도 여전히 소모되는 기기 자체의 대기전력(Standby power)을 차단하여 낭비전력을 저감하여 전력의 낭비을 줄이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 평상시 전원을 차단하지 않는 기기들(예컨대, 냉장고, 비데, 전기레인지 등)도 소정의 제어조건을 만족하면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이고, 해당 제어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다시 전원을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개별 기기의 전력 소비를 줄이면서 네트워크 대기전력까지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현재 기사용하고 있는 비-IoT 기기(Non-IoT devices)들도 IoT 기기로 물리적으로 교체하지 않고도, 그대로 IoT 스마트 시스템에 네트워크로 연결이 가능하면서 네트워크 대기전력과 기기 자체의 대기전력을 저감하는 IoT 스마트 시스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IoT 기술이 적용되고 확산함으로써 IoT 스마트 시스템에도 IoT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이렇게 IoT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서 서로 연결된IoT 기기들이 아무런 작업이나 이벤트 처리도 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언제 데이터가 송수신될지 알 수 없어 대기하는 이른바 '네트워크 대기(Network standby)' 상태에서 항상 네트워크 대기 전력(Network standby power)을 소비하고 있어 IoT로 연결되는 전자 제품 또는 전자기기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전체적인 전력 소비는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전력 소비의 증가에 대한 대책으로서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는 각 국가에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을 찾아서 규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2020년경에는 전체적인 전력이 추가로 850TWH 정도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따라서, G20 정상회담에서는 이미 이러한 전력 소비의 절감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한 액션플랜을 선택한바 있다(2015년 1월).
그러나 현재까지도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개별적인 반도체 소자의 소비전력을 최소로 하는 방법 이외에는 뚜렷한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IoT에 연결되는 기기들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네트워크 대기 상태에서 기기의 네트워크 대기 전력과 기기 자체의 대기전력의 소비가 기하급수적으로 더욱더 증가할 것은 자명하게 예상될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발전소를 증설하고 관련 송배전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막대한 설비투자를 하여야 한다는 비용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에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5-0003210호, 제10-2015-0009076호,및 제10-2015-0028858호 에 개시된 대기전력 절감 장치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필요 시에만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전원 공급수단으로 이더넷 커넥터 또는 USB 커넥터를 별도로 구비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별도로 커넥터를 구성하고 연결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에 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18-7026007에서 네트워크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기술은 낭비전력을 완전히 차단하지만 허브에 콘트롤 기능이 추가되고 스마트콘센트, 스마트기기에 웨이크업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전용 콘센트와 전원플러그 전용 케이블이 필요하고 허브에 제어기능을 넣어야 하기 때문에 허브제조사, 콘센트 제조사 기기제조사들이 동시에 수정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업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많은 소프트웨어도 많은 수정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물인터넷으로 연결된 각종 전자제품 및/또는 전기기기들(예컨대, 냉난방 기기, TV, 냉장고, 세탁기, 전기레인지,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방범/방재 기기, 가습/제습 기기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만 한정되지는 않음)이 아무런 일(작업) 처리를 하지 않는 네트워크 대기(Network standby) 상태나 기기의 전원이 꺼져 있는(OFF) 상태에서 네트워크 대기전력(Network standby power)을 저감하여 필요 시에만 기기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그 전력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건물에도 별도의 시공 없이도 기존의 콘센트에 IoT기기 연결장치를 연결하고, 그 IoT기기 연결장치에 IoT 기기의 전원플러그를 삽입하여 스마트 콘센트에 IoT 기기를 연결함하여 IoT 스마트 시스템을 구성하고, 해당 IoT 기기의 네트워크 대기전력과 기기 자체의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저감되도록 하는 IoT 스마트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IoT 전자기기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플러그를 기존의 전원플러그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제어와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의 기기들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국가적으로는 전력량 증가에 대비한 설비투자가 필요 없게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 생산 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IoT 스마트 시스템을 더 많이 도입하면 할수록 현재 소비되는 전력보다 전력소비가 감소하면서도 개인의 생활 측면에서는 더욱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관련 IoT 산업의 발전을 촉진할 수가 있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에 별도의 시공 없이 기존의 콘센트(600), 또는 전원선에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으로 전원플러그(500)을 구비하고, 여기에 각종 IoT기기들의 전원플러그(5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구(15)를 구비한 IoT기기 연결장치(1);와
기존 전원플러그(510)과 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전원'온' 신호와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IoT기기(2)로 구성하는 IoT스마트 시스템;
상기 시스템의 IoT기기 연결장치(1)는
네트워크대기전력((Network standby power)과 기기 자체의 대기전력(Standby power)이 차단된 상태의 IoT 기기들을 연결하기 위해, 원격으로 허브를 통해 통신하는 통신부(11),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 판단, 저장, 제어하는 제어부(13), 해당 IoT기기에 전원 공급을 되도록 스위칭부(14)로 IoT기기 연결장치(1)를 구성한다
또 전원이 차단된 IoT기기(2)들에서 수동으로 또는 슬립전원 충전을 위해 전원 '온' 신호를 받아 신호변환을 하는 '온'신호변환부(132)와 마이컴으로 제어부(13)를 구성한다.
또한 IoT기기(2)의 전원 '온'신호를 기존 전원케이블로 통해 받아 '온'신호변환부(132)의 통로를 제공하고 기존 전원 케이블로 IoT기기(2)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로가 구비되도록 스위칭부(14)로 구성한다.
상기 시스템의 IoT기기(2)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전원'온' 을 하면 '온' 신호를 발생하여 기존 전원케이블을 통해 IoT기기 연결장치(1)로 전달하는 '온'신호발생부(21);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전원 '온' 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전원(26);
전원 공급 시 슬립전원(26)과 기기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
수신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 판단, 저장, 제어하는 제어부(24);
전원투입 시 전원 인 앤 플레이(power in and play) 되어 통신을 하는 통신부(25);
로 구성한다.;
IoT 스마트 시스템에 연결된 기기들의 네트워크 대기전력과 기기 자체의 대기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IoT 스마트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청구항들에서 더욱 명료하게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시스템에 연결되는 IoT기기들이 이벤트 처리 없이 대기하는 상태인 Network standby 상태에서 낭비되는 네트워크 대기전력과, 전자기기의 전원이 오프(OFF) 되었을 때 낭비되는 전력인 대기전력(standby power)을 차단하여, 전력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던 것과 같은 수의 전자제품 또는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IoT를 적용한 기기들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현재보다 전기사용량이 현저하게 줄게 되어 사용자의 전기요금을 더 줄이는 효과가 있고, 기존 건물에 별도의 설치 공사 없이도 시스템 구축이 용이하게 구현 가능하며, 그러한 IoT 기기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그러한 불필요한 전력의 생산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도 감소시켜줌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이에 다른 편안함과 부가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특징들, 측면들,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도면들 중의 같은 부호들은 그 도면들 전체에 걸쳐서 같거나 유사한 부재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이하, 'IoT 스마트 시스템'으로 지칭함)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기기인 IoT기기 연결장치(1)의 스위칭부와 제어부, IoT기기(2)의 '온' 신호발생부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하기의 설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예시 적인 실시예(들)과 그의 균등물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에 도움되는 다양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것들은 단순히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으로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기술을 갖는 사람이라면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의 여러 가지의 변경과 변형들이 본 발명의 영역과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잘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설명 중, 어느 구성요소 또는 대상물이 단수형 표현으로 되어 있을지라도, 전후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그것은 복수형 구성요소 또는 대상물들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체로, 대략, 본질적으로" 등의 용어들은, 임의의 특성, 파라미터 또는 값(들)이 반드시 정확하게 제공될 필요는 없지만, 예컨대,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알려진 어느 정도의 허용 오차, 측정 공차 또는 다소의 변동이 동일한 특성, 파라미터, 값(들)을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를 배제하지 않는 양만큼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사용된다.
다만,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한 구성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함에 있어 어떤 공지의 기능과 구성 요소(들)에 관련한 세부적인 설명은 본 개시의 명료성과 간결성을 위해 편의상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사용된 "기기"와 같은 용어는, 가정/빌딩의 입력 전원에 연결되거나 그것을 통해 충전되어 사용할 수도 있는, 예컨대, 냉난방 기기, TV, 냉장고, 세탁기, 전기레인지,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방범/방재 기기, 가습/제습기, 컴퓨터(노트북, 넷북, PDA,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단말을 포함함)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지만, 반드시 이들에만 한정되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것들을 단지 "장치" 또는 "(전기)기기"라 칭한다.
참고로, 도면에 기재된 모든 M2M(Machine-to-Machine) 관련한 기재는 본 명세서에서는 IoT(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로 해석될 수 있으며,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중 '모듈' 또는 '구성부'라는 표현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이하, 설명의 편의상, 'IoT 스마트 시스템'으로 지칭함)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스마트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는 허브(3), 그리고 IoT기기 연결장치(1);와
IoT 기기(2)들(원격 단말)을 포함하여 하나의 IoT 스마트 시스템을 구성한다.
도 2는 IoT기기 연결장치(1)의 전원과 신호를 같은 통로를 이용하여 구분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4)와 제어부(13)의 구성과
IoT기기(2)의 '온' 신호를 발생하는 '온' 신호발생부(21)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IoT 스마트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IoT 스마트 시스템의 구성은: 외부의 망과 연결하는 허브(3)와,
각종 IoT 기기(2)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IoT기기 연결장치(1)는 외부와 통신을 하기위한 통신부(11);
IoT기기 연결장치(1)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어 공급하는 전원부(12);
IoT기기(2)로부터 받은 전원 '온'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하는 '온'신호변환부(132)와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성한 마이콤(131)로 구성한 제어부(13);
전원을 공급해야 할 해당 기기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한 스위칭부(14);
IoT기기(2)의 전원플러그(510)를 연결하기 위한 전원플러그삽입구(15);
로 구성한다.
한편 IoT기기(2)의 구성은
전원이 공급되면 기기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어 공급하는 전원부(23);
전원부(23)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을 충전하여 전원차단 시 전원'온'입력부(27)와 제어부(24), 전원'온'신호발생부(21)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전원(26);
전원을 '온'/'오프'신호를 입력하는 전원'온'입력부(27);
IoT기기를 제어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성한 제어부(24);
동작 시 외부와 통신을 하는 통신부(11);
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전원'온'입력부(27)는 스위치나 IR 리모콘수신기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슬립전원(26)은 슈퍼캐패시터나 밧데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5)의 통신 방식은(WiFi 또는 Z-웨이브, 블루투스, 지그비, IR 통신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IoT기기 연결장치(1)의 전원과 신호를 같은 통로를 이용하여 구분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4)의 구성은
스위칭부(14)는 전원과 전원'온'신호의 전달통로를 공동으로 사용 가능하게 통로를 변환할 수 있도록 릴레이 K1과 트랜지스터Q1으로 구성한다.
또, IoT기기(2)로부터 받은 전원 '온'신호를 마이콤(131)이 인식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환하는 하는 '온'신호변환부(132)와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성한 마이콤(131)로 구성한 제어부(13)의 구성은
'온'신호변환부(132)는 IoT기기로부터 받은 AC신호를 정류하여 DC로 바꾸어 전압레벨을 변환하여 마이콤(131)에 공급하도록 정류부와 전압레벨 변환부로 구성한다.
또한 마이콤(131)은 메모리와 프로세서로 구성한다.
한편, IoT기기(2)의 '온' 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온' 신호발생부(21)는 AC신호를 발생시켜 트랜스포머(T1)의 2차측에 전달되도록 하여 2차측에 연결된 전원선에 연결된 전원플러그(510)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전원이 IoT기기(2)에 공급될 때 트랜스T의 2차측 에서 1차측으로 유기될 때 기기에 인가되는 역전압을 방지하기 역전압방지부(211)을 구성한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IoT 기기(2)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및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낭비전력을 줄이는 제어원리를 설명하면
IoT기기 연결장치(1)의 전원플러그삽입구(15)에 IoT기기(2)들의 전원플러그(510) 삽입하고 IoT기기 연결장치(1)의 전원플러그(500)를 콘센트(600)에 삽입하면 IoT기기 연결장치(1)의 전원부(12)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원부(12)는 IoT기기 연결장치(1)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어 공급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원이 제어부(13), 통신부(11)에 공급되어 IoT기기 연결장치(1)는 동작한다.
초기화 단계 제어
IoT기기 등록
IoT기기 연결장치(1)에 IoT기기(2)들을 등록하기 위해 허브(3)를 통해 IoT기기 연결장치(1)의 통신부(11)을 통해 등록 명령 신호가 제어부(13)에 수신되면 제어부(13)의 마이콤(131)의 출력O1을 제어하여 스위칭부(14)의 트랜지스터Q1를 제어하여 릴레이 K1이 동작되게 하여 접점a,c와 접점a1,c1이 접속되어 전원이 전원플러그삽입구(15)에 공급된다.
전원플러그삽입구(15)에 연결된 IoT기기(2)의 전원플러그(510)을 통해 IoT기기(2)의 전원부(23)에 공급되고 전원부(23)는 IoT기기(2)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어 공급한다.
이때 전원 차단 시 IoT기기(2)의 공급 전원인 슬립전원(26)은 사용슬립모드 시 전원'온'입력부(27)와 제어부(24)에 최소 전원을 공급하고 IOT기기(2)의 전원'온'을 하여야 하는 조건 일 때 '온'신호발생부(21)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인 슬립전원(26)가 충전된다.
또한 통신부(25)와 제어부(24)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통신을 통해 기기 자신의 ID등 필요한 정보 값을 제어부(24)의 메모리에 등록 저장한다.
등록이 완료되면, 슬립전원(26)이 완전히 충전되었는지 제어부(24)는 슬립전원VS를 체크하여 만 충전이 되면 통신부(25)로 통해서 전원 차단 요청을 IoT기기 연결장치(1)에 통보한다.
상기 요청이 IoT기기 연결장치(1)의 통신부(11)을 통해서 제어부(13)에 전달되면 제어부 마이콤(132)의 메모리에 해당 기기의 ID 및 스위칭부(14)의 번호 등 등록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통신부(11)를 통해 IoT기기(2)에서 보낸 전원차단 요청에 인지 응답 신호를 보내고 IoT기기(2)의 제어부(24)가 이 응답 시간을 받고 슬립모드로 수행하는 동안 시간을 충분하게 주기위한 시간 지연시간t1(예를 들어 3초)를 대기 후에 마이콤(132)는 출력O1을 제어하여 스위칭부(14)의 트랜지스터Q1을 '오프' 시켜 릴레이K1의 접점b,c와 접점b1,c1으로 접속되고 접점a,c와 접점a1,c1 이 분리되어 IoT기기(2)로 공급하던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온' 제어
원격으로 전원 '온' 제어
IoT기기(2)가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스마트폰이나 센서 또는 PDA등에서 이벤트요청이 허브(3)를 통해서 IoT연결장치(1)로 수신되면 해당 번호의 스위칭부(14)를 제어하여 해당 IoT기기(2)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이 공급되면 IoT기기(2)는 전원이 '온'되어 통신을 하며 정상 동작을 한다.
수동으로 전원'온'제어
IoT기기(2)가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전원' 온' 입력부(27)로부터 스위치 SW 나 IR 리모콘으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제어부(24)에 입력되면 제어부(24)는 출력 O2를 일정시간 t2 동안만 (예를 들어 1초) '하이' , '로우' 를 반복되게 출력하여 한다.
이때, 출력 O2가 연결된 전원' 온' 신호발생부(21)의 트랜지스터 Q2 는 턴' 온' 턴' 오프' 를 반복하여 트랜스 T1 1차측에 전류가 흐른다.
1차 측에 전류가 흐르면 트랜스 2차측에 유기되어 전압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전압은 전원플러그(510)을 통해 IoT 연결장치(1)의 스위칭부(14)의 접점 b,c 와 접점 b1,c1 를 통해 제어부(13)의 '온' 신호변환부(132) 공급되어 정류되어 전압레벨 변환을 통해 마이콤(131)입력 IN 에 입력된다.
마이콤(131)은 이 신호가 감지되면 기기에 전원 공급을 위해서 출력O1을 제어하여 스위칭부(14)를 제어하여 접점b,c는 분리되어 접점a,c로 접속되고,
접점b1,c1은 분리되어 접점a1,c1으로 접속되어 전원이 IoT기기(2)로 공급된다.
슬립전원 방전 시 전원'온'제어
IoT기기(2)가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슬립전원(26)이 방전이 너무 많이 되어 기기가 동작 불능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 슬립모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깨어나 슬립전압VS를 체크하여 임계전압VS 이상이면 다시 슬립모드로 진행하고 임계전압VS에 도달하면 충전을 하기 위해서
상기와 같이 전원'온'신호발생부(21)를 제어하여 IoT연결장치(1)에 전원'온'신호를 전달하면
IoT 연결장치(1)의 마이콤(131)은 스위칭부(14)를 제어하여 상기와 같이 IoT기기(2)에 전원을 공급한다.
정전 후 복전 시 제어
전원이 장시간 정전된 경우 Iot기기(2)들의 슬립전원(26)이 방전되어 동작이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전이 되면 IoT연결장치(1)의 마이콤(131)이 이니셜라이징 시 스위칭부(14)들을 제어하여 전원을 IoT기기(2)에 공급되도록 하여 슬립전원(26)을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전원 '오프' 제어
IoT기기(2)에 전원이 공급되어 모든 이벤트처리가 끝나면 전원'오프' 요구 신호를 통신부(25)에서 IoT기기 연결장치(1)로 송신하고 IoT기기 연결장치(1)의 통신부(11)에서 수신되면 IoT기기 연결장치(1)는 수신완료 응답신호를 IoT기기(2)로 보내고 이를 수신한 IoT기기(2)는 슬립모드로 들어간다. IoT기기 연결장치(1)은 지연시간t1 후 스위칭부(14)를 제어하여 전원을 차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개시되는 발명의 사상은 본원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에까지 확장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들은 비록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았으나 기재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제어부, 전원'온'입력부, 전원'온'신호발생부, 슬립전원, 스위칭부, 역전압방지부

Claims (1)

  1. 건물에 별도의 시공 없이 기존의 콘센트(600), 또는 전원선에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으로 전원플러그(500)을 구비하고, 여기에 각종 IoT기기들의 전원플러그(510)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구(15)를 구비한 IoT기기 연결장치(1);와
    기존 전원플러그(510)과 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전원'온' 신호와 전원을 공급 차단하는 IoT기기(2)로 구성하는 IoT스마트 시스템;
KR1020180116830A 2018-10-01 2018-10-01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6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30A KR102667524B1 (ko) 2018-10-01 2018-10-01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30A KR102667524B1 (ko) 2018-10-01 2018-10-01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20A true KR20200037520A (ko) 2020-04-09
KR102667524B1 KR102667524B1 (ko) 2024-05-20

Family

ID=7027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830A KR102667524B1 (ko) 2018-10-01 2018-10-01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75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779B1 (ko) * 2017-06-01 2017-11-20 주식회사 두남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콘센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779B1 (ko) * 2017-06-01 2017-11-20 주식회사 두남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7524B1 (ko) 202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841B1 (ko) 네트워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856566B2 (en) Standby arrangement for power supplies
US10567853B2 (en) Smart grid appliance control
US20120201062A1 (en) Standby power cut-off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wer supply
CN102598457B (zh) 控制装置和控制系统以及控制方法
US20180006492A1 (en)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121150B1 (ko)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방법
US20110153111A1 (en) Standby powe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192304A1 (ja) 被制御装置、制御装置、装置制御方法及び装置制御システム
KR100939234B1 (ko) 콘센트별로 전원관리가 가능한 홈네트워크 기반의 멀티콘센트
KR100862640B1 (ko) 전원 제어 기능 내장형 셋탑박스
KR20200037520A (ko) 사물인터넷 스마트 홈/빌딩 시스템의 네트워크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2489A (ko) 기사용 중인 전자제품을 사물인터넷을 이용하여 연결 가능하게 하는 사물인터넷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3017264A (ja) 電力供給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KR101072489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8695566B (zh) 一种提升节能效率的同步控制系统架构
TWM502197U (zh) 低待機耗能裝置
KR20110017949A (ko) 대기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KR100979259B1 (ko) 지능형 대기전력 자동 차단 방법
KR102327693B1 (ko)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KR20090129967A (ko) 절전형 콘센트 장치
CN107919817B (zh) 测温装置和电磁加热装置
WO2010020809A2 (en) Power control apparatus
KR20110080618A (ko)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JP5873966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