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491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491A
KR20200037491A KR1020180116749A KR20180116749A KR20200037491A KR 20200037491 A KR20200037491 A KR 20200037491A KR 1020180116749 A KR1020180116749 A KR 1020180116749A KR 20180116749 A KR20180116749 A KR 20180116749A KR 20200037491 A KR20200037491 A KR 20200037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source
surface light
dispos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현
장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7491A/ko
Publication of KR2020003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4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면광원부와, 상기 제1 면광원부가 모듈이 실장되고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면광원 모듈과, 상기 제1 면광원 모듈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2 면광원부와, 상기 제2 면광원부가 실장되며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면광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기판의 일부와 상기 제1 기판 표면의 수직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홀과 결합되는 결합핀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복수의 면광원 모듈을 프레스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고 이로 인해 조립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실시예는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면발광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 소자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각종 표시 장치, 실내등 또는 실외등과 같은 각종 조명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용 광원으로서, 발광 소자를 채용하는 램프가 제안되고 있다. 백열등과 비교하면, 발광 소자는 소비 전력이 작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발광 소자는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여줄 수 있고 반 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해 경제성도 있다.
이러한 차량용 조명 장치는 면광원의 조명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용 램프의 입체감 및 독특한 심미감을 창출하게 된다.
종래 차량용 조명 장치는 기판 상에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시켜 면광원을 구현한다. 요구되는 면광원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종래에는 복수의 면광원 모듈을 하네스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대면적의 면광원 조명 장치를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하네스 연결구조는 재료비 및 조립 비용이 높아 조립 단가가 상승되며, 조립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하네스 연결구조의 특성 상 쉽게 끊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면광원 모듈의 조립 불량을 발생시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는 대면적의 면광원 모듈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는 조립 단가 상승 및 조립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면광원부와, 상기 제1 면광원부가 모듈이 실장되고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면광원 모듈과, 상기 제1 면광원 모듈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2 면광원부와, 상기 제2 면광원부가 실장되며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면광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기판의 일부와 상기 제1 기판 표면의 수직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홀과 결합되는 결합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일부가 상기 제1 기판의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부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광원 모듈과 상기 제2 면광원 모듈은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기판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은 상기 연장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의 하부에는 탄성을 가지는 결합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과 중첩 배치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결합핀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내측면에는 전극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면광원부와, 상기 면광원부가 실장되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면광원 모듈과, 상기 제1 면광원 모듈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어 제2 면광원부와, 상기 제2 면광원부가 실장되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면광원 모듈과, 상기 제1 면광원부와 상기 제2 면광원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수직으로 중첩 배치된 제3 기판과, 상기 제3 기판 상에 배치된 제3 레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기판에는 상기 제1 연장부와 중첩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결합핀과, 상기 제2 연장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2 결합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에는 상기 제1 결합핀이 결합되는 제1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에는 상기 제2 결합핀과 결합되는 제2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판은 상기 제1 면광원부의 측면과 상기 제2 면광원부의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측면과 상기 제2 기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모듈의 폭은 상기 결합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면광원 모듈의 제1 광원과 상기 결합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2 면광원 모듈의 제2 광원 사이의 거리의 1/2 내지 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면광원부와, 상기 제1 면광원부가 실장되며 하부에 제1 결합핀이 배치된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면광원 모듈과, 상기 제1 면광원 모듈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2 면광원부와, 상기 제2 면광원부가 실장되어 하부에 제2 결합핀이 배치된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면광원 모듈과,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결합핀이 결합되는 제1 결합홀과 상기 제2 결합핀과 결합되는 제2 결합홀을 포함하는 제4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4 기판 사이에 베이스 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기판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성 기판의 각각은 (+) 신호 및 (-) 신호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복수의 면광원 모듈을 프레스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고 이로 인해 조립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제1 기판의 연장부를 제2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절곡 형성함으로써, 제1 면광원 모듈과 제2 면광원 모듈을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제1 기판의 연장부의 두께를 변경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면광원 모듈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제1 면광원 모듈과 제2 면광원 모듈을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결합 모듈을 복수의 면광원 모듈 사이에 배치시킴으로써, 복수의 면광원 모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면광원 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결합 모듈을 복수의 면광원 모듈 사이에 배치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모듈에 배치된 광원의 측면에서 출사되는 광의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면광원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복수의 면광원 모듈을 연결하도록 별도의 기판을 마련함으로써, 면광원 모듈의 기판의 구조 변경 없이 보다 효과적으로 면광원 모듈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복수의 면광원 모듈이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복수의 면광원 모듈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면광원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결합핀이 결합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결합핀이 결합홀에 결합된 모습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1 면광원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5는 결합핀이 결합홀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결합핀이 결합홀에 결합된 모습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복수의 면광원 모듈(100,20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면광원 모듈(100,2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면광원 모듈(100,200)은 3개 이상의 면광원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면광원 모듈(100,200)의 조립 구조를 일 실시예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상기 제1 면광원 모듈(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 면광원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광원 모듈(100)은 제1 기판(110)과, 상기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제1 면광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절연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리지드 하거나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일면에는 도전성 패턴의 전극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면광원부(120)는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광원부(120)는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광원(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광원부(120)는 복수의 제1 광원(121) 상에 배치된 제1 레진층(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광원부(120)는 제1 레진층(123) 상에 배치된 제1 형광체층(12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광체층(125)을 제1 레진층(123)의 상부에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형광체층(125)을 제1 레진층(123)의 아래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기판(110)의 장축(열) 방향으로 N개의 제1 광원(12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판(110)의 단축(행) 방향으로 M개의 제1 광원(1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장축 방향으로 배치된 N개의 제1 광원(121)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 기판(110)의 단축 방향으로 배치된 M개의 제1 광원(121)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원(121) 사이의 이격 거리는 면광원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상부에는 반사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은 제1 광원(121)에서 발생된 광을 상부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반사층은 화이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은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은 실리콘, 에폭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에는 반사 물질 예컨대 TiO2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광원(121)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121)은 청색, 녹색, 적색, 백색, 적외선 또는 자외선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121)은 예컨대, 420nm 내지 470nm 범위의 청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제1 광원(121)은 화합물 반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광원(121)은 예로서 2족-6족 또는 3족-5족 화합물 반도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광원(121)은 알루미늄(Al), 갈륨(Ga), 인듐(In), 인(P), 비소(As), 질소(N)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1 광원(121)은 제1 도전형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3족-5족 또는 2족-6족의 화합물 반도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예컨대 InxAlyGa1 -x- yN (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GaN, AlN, AlGaN, InGaN, InN, InAlGaN, AlInN, AlGaAs, GaP, GaAs, GaAsP, AlGaInP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층은 Si, Ge, Sn, Se, Te 등의 n형 도펀트가 도핑된 n형 반도체층일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반도체층은 Mg, Zn, Ca, Sr, Ba 등의 p형 도펀트가 도핑된 p형 반도체층일 수 있다.
활성층은 화합물 반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은 예로서 3족-5족 또는 2족-6족의 화합물 반도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이 다중 우물 구조로 구현된 경우, 상기 활성층은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우물층과 복수의 장벽층을 포함할 수 있고, InxAlyGa1 -x- yN (0≤x≤1, 0≤y≤1, 0≤x+y≤1)의 조성식을 갖는 반도체 재료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활성층은 InGaN/GaN, GaN/AlGaN, AlGaN/AlGaN, InGaN/AlGaN, InGaN/InGaN, AlGaAs/GaAs, InGaAs/GaAs, InGaP/GaP, AlInGaP/InGaP, InP/GaAs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진층(123)은 복수 개의 제1 광원(121)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레진층(123)은 투명한 수지 재질 예컨대, UV(Ultra violet) 레진(Resin),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수지 재질일 수 있다.
UV 레진은 예컨대, 주재료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주원료로 하는 레진(올리고머타입)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합성올리고머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주 재료에 저비점 희석형 반응성 모노머인 IBOA(isobornyl acrylate), HBA(Hydroxybutyl Acrylate), HEMA(Hydroxy Metaethyl Acrylate) 등이 혼합된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광개시제(이를 테면, 1-hydroxycyclohexyl phenyl-ketone,Diphenyl), Diphw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등 또는 산화방지제 등을 혼합할 수 있다. 상기 UV 레진은 올리고머 10~21%, 모노머 30~63%, 첨가제 1.5~6%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노머는 IBOA(isobornyl Acrylate) 10~21%, HBA(Hydroxybutyl Acrylate) 10~21%, HEMA (Hydroxy Metaethyl Acrylate) 10~21%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광개시제 1~5%를 첨가하여 광반응성을 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 0.5~1%를 첨가하여 황변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을 이용한 상기 제1 레진층(123)의 형성은 도광판 대신 UV 레진 등의 레진으로 층을 형성하여, 굴절율, 두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술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점착특성과 신뢰성 및 양산속도를 모두 충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레진층(123)을 하나의 층으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레진층(123)은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진층(123)은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는 레진층과, 확산재를 포함하는 레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형광체층(125)은 제1 레진층(12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형광체층(125)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형광체층(125)은 투명한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형광체층(125)은 실리콘 재질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화학적 결합을 가지는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실리콘은 무기물인 규소와 유기물인 탄소가 결합된 중합체로서, 무기물의 열안정성, 화학적 안정성, 내마모성, 광택성등과 유기물의 특성인 반응성, 용해성, 탄력성, 가공성 등의 물성을 갖고 있다. 실리콘을 일반 실리콘, 불소 비율을 높인 불소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불소 실리콘의 불소 비율을 높이면 방습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형광체층(125)은 상기 제1 광원(121)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입사 받고, 파장 변환된 빛을 제공하는 파장변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제1 형광체층(125)은 형광체, 양자점 등을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 또는 양자점은 청색, 녹색, 적색의 광을 발광할 수 있다.
형광체는 제1 형광체층(125) 내부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다. 형광체는 불화물(fluoride) 화합물의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MGF계 형광체, KSF계 형광체 또는 KTF계 형광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는 서로 다른 피크 파장을 발광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광원(121)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서로 다른 황색과 적색 또는 서로 다른 적색 피크 파장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가 적색 형광체일 경우, 상기 적색 형광체는 610nm에서 650nm까지의 파장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파장은 10nm 미만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색 형광체는 플루오라이트(fluoride)계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루오라이트계 형광체는, KSF계 적색 K2SiF6:Mn4 +, K2TiF6:Mn4 +, NaYF4:Mn4+, NaGdF4:Mn4 +, K3SiF7:Mn4 +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KSF계 형광체 예컨대, KaSi1-cFb:Mn4+ c의 조성식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루오라이트계 적색 형광체는 고온/고습에서의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각각 Mn을 함유하지 않는 불화물로 코팅되거나 형광체 표면 또는 Mn을 함유하지 않는 불화물 코팅 표면에 유기물 코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플루어라이트계 적색 형광체의 경우 기타 형광체와 달리 10nm 이하의 폭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 장치에 활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형광체 조성은 기본적으로 화학양론(Stoichiometry)에 부합하여야 하며, 각 원소들은 주기율표상 각 족들내 다른 원소로 치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Sr은 알카리토류(II)족의 Ba, Ca, Mg 등으로, Y는 란탄계열의 Tb, Lu, Sc, Gd 등으로 치환이 가능하다. 또한, 활성제인 Eu 등은 원하는 에너지 준위에 따라 Ce, Tb, Pr, Er, Yb 등으로 치환이 가능하며, 활성제 단독 또는 특성 변형을 위해 부활성제 등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II-VI 화합물, 또는 III-V족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예컨대, ZnS, ZnSe, ZnTe, CdS, CdSe, CdTe, GaN, GaP, GaAs, GaSb, InP, InAs, In, Sb, AlS, AlP, AlAs, PbS, PbSe, Ge, Si, CuInS2, CuInSe2 등과 같은 것들 및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제1 형광체층(125)은 내부에 적색 잉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색 잉크는 광원(121)이 점등되지 않을 시 제1 면광원 모듈(100)의 외부면은 적색으로 보일 수 있다. 즉, 제1 면광원 모듈(100)은 광이 점등되거나 점등되지 않을 경우 모두 적색으로 보여짐으로써, 색상 차에 따른 이질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면광원 모듈(200)은 제2 기판(210)과, 상기 제2 기판(210) 상에 배치된 제2 면광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210)과 제2 면광원부(220)의 구성 제1 면광원 모듈(100)의 제1 기판(110)과 제1 면광원부(12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1로 돌아가서, 제1 기판(110)에는 연장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제1 기판(110)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제1 기판(110)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제1 기판(120)의 일부의 구성일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제2 기판(2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11)의 상면은 제2 기판(12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110)의 연장부(111)와 제2 기판(2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기판(210)에는 결합핀(2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211)은 제2 기판(210)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211)은 도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연장부(111)에는 결합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1a)은 상기 결합핀(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1a)은 연장부(111)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1a)이 형성된 연장부(111)의 내측면에는 전극 패드(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패드(112)는 연장부(111)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전극 패드(112)는 연장부(111)의 내측면의 어느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기판(210)의 결합핀(211)은 제1 기판(110)의 연장부(111)에 형성된 결합홀(111a)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결합핀(211)은 결합홀(111a)의 측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112)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연장부(111)가 제2 기판(210)의 하부에 배치됨에 따라 제2 면광원부(220)의 상부면은 제1 면광원부(110)의 상부면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면광원부(220)의 상부면과 제1 면광원부(120)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는 제1 기판(110)의 연장부(111)의 두께와 대응되며, 연장부(111)의 두께는 상당히 얇기 때문에 외부에서 보았을 때 제1 면광원부(120)와 제2 면광원부(220)의 높이 차에 따른 광의 밝기 차이는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211)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211) 중 어느 하나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에 (+)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결합핀(211) 중 다른 하나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에 (-)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결합핀(211)은 전력 또는 다른 전기적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211)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211)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결합핀(211)은 제1 기판(110)의 연장부(111)에 형성된 결합홀(111a)에 삽입될 경우, 수축되어 결합홀(111a)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결합핀(211)의 측면의 일부는 상기 결합홀(111a)의 내측에 형성된 전극 패드(112)와 접촉되고 이로 인해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의 분리를 위해 결합핀(211)이 결합홀(111a)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 결합핀(211)은 팽창되도록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팽창된 결합핀(211)의 폭은 결합홀(111a)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실시예의 결합핀(211)은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의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결합핀(211)을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211)은 결합홀(111a) 내측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결합핀(211)은 탄성을 대향 배치된 제1 몸체(211a)와, 상기 제1 몸체(211a)로부터 연장부(111)의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2 몸체(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211a)는 결합홀(111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몸체(211a)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제1 몸체(111a)는 표면이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211a)는 연장부(111a)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211b)는 연장부(111)의 하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몸체(211b)는 결합핀(211)을 연장부(111)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연장부(111)의 하부면에는 결합홀(111a)의 측면으로부터 전극 패드(112)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112)는 결합핀(211)의 제2 몸체(211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안정적으로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이 결합되면,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1 면광원 모듈(100) 또는 제2 면광원 모듈(200) 중 어느 하나에 전원 또는 신호가 제공되면, 제1 면광원부(100) 및 제2 면광원부(200)는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제1 기판(110)의 연장부(111)와 제2 기판(210)이 물리적으로 접촉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기판(110)의 연장부(111)와 제2 기판(210) 사이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하네스 구조로 2개의 면광원 모듈을 조립하였다. 이로 인해 조립 비용의 향상 및 조립이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는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을 프레스 방식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고 이로 인해 조립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면발광 모듈(100)과, 상기 제1 면발광 모듈(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면광원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광원 모듈(100)은 제1 기판(110)과, 상기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제1 면광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광원 모듈(200)은 제2 기판(210)과, 상기 제2 기판(210) 상에 배치된 제2 면광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면광원부는 광원, 레진층 및 형광체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모듈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은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광원부(120)와 제2 면광원부(220)의 측면은 접촉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제2 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에는 연장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제1 기판(110)의 일부의 구성일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제2 기판(2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11)의 상면은 제2 기판(21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연장부(111)는 수직부(111-1)와 상기 수직부(111-1)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111-1)는 제1 기판(110)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직부(111-1)는 제1 기판(111)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111-1)는 제2 기판(210)의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수평부(111-2)는 제2 기판(210)의 하부를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111-2)는 수직부(111-1)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111-2)는 제1 기판(110)과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평부(111-2)는 제2 기판(21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수평부(111-2)는 제2 기판(210)의 하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수평부(111-2)에는 결합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1a)은 수평부(111-2)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1a)이 형성된 수평부(111-2)의 내측면에는 전극 패드(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패드(112)는 수평부(111-2)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전극 패드(112)는 수평부(111-2)의 내측면의 어느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수평부(111-2)와 접촉되는 제2 기판(210)의 하부에는 결합핀(2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211)은 제2 기판(210)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211)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결합핀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결합핀(211)은 수평부(111-2)에 형성된 결합홀(111a)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핀(211)은 결합홀(111a)의 측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112)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연장부(111)를 제2 기판(21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절곡 형성함으로써,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을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면발광 모듈(100)과, 상기 제1 면발광 모듈(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면광원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광원 모듈(100)은 제1 기판(110)과, 상기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제1 면광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광원 모듈(200)은 제2 기판(210)과, 상기 제2 기판(210) 상에 배치된 제2 면광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면광원부는 광원, 레진층 및 형광체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면발광 모듈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은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광원부(120)와 제2 면광원부(220)의 측면은 접촉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제2 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에는 연장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제1 기판(120)의 일부의 구성일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제2 기판(2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11)의 상면은 제2 기판(12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제1 기판(110)의 끝단으로부터 제1 기판(110)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11)의 두께는 제1 기판(1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제1 기판(110)의 끝단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1)의 하부면은 제1 기판(110)의 하부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11)는 제2 기판(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210)의 측면에는 연장부가 삽입되는 결합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15)의 폭은 연장부(111)의 폭과 대응될 수 있다. 연장부(111)의 상면은 결합홈(215)이 형성된 제2 기판(210)의 하부면과 접촉될 수 있으며 연장부(111)의 측면은 결합홈(215)이 형성된 제2 기판(210)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연장부(111)에는 결합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1a)은 연장부(111)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1a)이 형성된 연장부(111)의 내측면에는 전극 패드(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패드(112)는 연장부(111)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전극 패드(112)는 연장부(111)의 내측면의 어느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연장부(111)와 접촉되는 제2 기판(210)의 하부에는 결합핀(21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211)은 제2 기판(210)의 하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211)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결합핀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결합핀(211)은 연장부(111)에 형성된 결합홀(111a)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결합핀(211)은 결합홀(111a)의 측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112)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연장부(111)가 제1 면광원 모듈(100)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면발광 모듈(100)과, 상기 제1 면발광 모듈(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면광원 모듈(200)과, 상기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을 결합하는 결합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광원 모듈(100)은 제1 기판(110)과, 상기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제1 면광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제1 연장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111)는 제1 기판(110)의 끝단으로부터 제1 기판(110)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광원 모듈(200)은 제2 기판(210)과, 상기 제2 기판(210) 상에 배치된 제2 면광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210)은 제2 연장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211)는 제2 기판(210)의 끝단으로부터 제2 기판(210)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11)는 제1 연장부(111)의 대향하는 제2 기판(2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모듈(300)은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모듈(300)은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결합 모듈(300)은 제3 기판(310)과 상기 제3 기판(310) 상에 배치된 제3 레진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판(310)은 제1 기판(110)의 제1 연장부(111)와 제2 기판(210)의 제2 연장부(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310)은 제1 연장부(111)와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310)은 제2 연장부(211)와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310)의 일측면은 제1 면광원 모듈(100)의 제1 면광원부(1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310)의 타측면은 제2 면광원 모듈(200)의 제2 면광원부(2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310)에는 제1 결합핀(330)과 제2 결합핀(3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핀(330)은 제1 연장부(111)에 대응되는 제3 기판(3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핀(340)은 제2 연장부(211)에 대응되는 제3 기판(3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핀(330)과 제2 결합핀(34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핀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1)에는 제1 결합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111a)이 형성된 제1 연장부(111)의 내측면에는 제1 전극 패드(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111a)에는 제1 결합핀(330)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결합핀(330)은 제1 결합홀(111a)에 형성된 제1 전극 패드(112)와 접촉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11)에는 제2 결합홀(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211a)이 형성된 제2 연장부(211)의 내측면에는 제2 전극 패드(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211a)에는 제2 결합핀(340)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결합핀(340)은 제2 결합홀(211a)에 형성된 제2 전극 패드(212)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은 결합 모듈(300)의 제3 기판(31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레진층(320)은 제1 면광원부(120)와 제2 면광원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레진층(320)은 제1 면광원부(120)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제3 레진층(320)의 제2 면광원부(220)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제3 레진층(320)은 제1 면광원부(120)와 제2 면광원부(220)에서 출사되는 광을 면광원으로 유지시켜 상부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결합 모듈(300)의 폭(w)은 제1 기판(110) 상의 최외측에 배치된 제1 광원(121)과 제2 기판(210) 상의 최외측에 배치된 제2 광원(221) 사이의 거리(d)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모듈(300)의 폭(w)은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221) 사이의 거리(d)의 1/2 내지 1/4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원(121)들 사이의 거리가 6mm인 점을 고려하면,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221) 사이에 배치된 결합 모듈(300)에는 형광체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221) 사이의 거리인 6mm 보다 작게 형성해야 면 광원을 유지시키면서 광을 출사할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예의 조명 장치는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 사이에 결합 모듈(300)을 배치시킴으로써,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면광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면발광 모듈(100)과, 상기 제1 면발광 모듈(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면광원 모듈(200)과, 상기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을 결합하는 결합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광원 모듈(100)은 제1 기판(110)과, 상기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제1 면광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은 제1 연장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111)는 제1 기판(110)의 끝단으로부터 제1 기판(110)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1)는 제1 기판(1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1)는 제1 기판(110)의 끝단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1)의 하부면은 제1 기판(110)의 하부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광원 모듈(200)은 제2 기판(210)과, 상기 제2 기판(210) 상에 배치된 제2 면광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210)은 제2 연장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211)는 제2 기판(210)의 끝단으로부터 제2 기판(210)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11)는 제1 연장부(111)의 대향하는 제2 기판(2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11)는 제2 기판(2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11)는 제2 기판(210)의 끝단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11)의 하부면은 제2 기판(210)의 하부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11)의 두께는 제1 연장부(111)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결합 모듈(300)은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모듈(300)은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결합 모듈(300)은 제3 기판(310)과 상기 제3 기판(310) 상에 배치된 제3 레진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판(310)은 제1 기판(110)의 제1 연장부(111)와 제2 기판(210)의 제2 연장부(2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310)은 제1 연장부(111)와 수직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310)은 제2 연장부(211)와 수직으로 중첩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310)의 일측면은 제1 기판(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310)의 타측면은 제2 기판(2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310)에는 제1 결합핀(330)과 제2 결합핀(3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핀(330)은 제1 연장부(111)에 대응되는 제3 기판(3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핀(340)은 제2 연장부(211)에 대응되는 제3 기판(3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핀(330)과 제2 결합핀(34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핀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111)에는 제1 결합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111a)이 형성된 제1 연장부(111)의 내측면에는 제1 전극 패드(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111a)에는 제1 결합핀(330)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결합핀(330)은 제1 결합홀(111a)에 형성된 제1 전극 패드(112)와 접촉될 수 있다.
제2 연장부(211)에는 제2 결합홀(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211a)이 형성된 제2 연장부(211)의 내측면에는 제2 전극 패드(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211a)에는 제2 결합핀(340)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결합핀(340)은 제2 결합홀(211a)에 형성된 제2 전극 패드(212)와 접촉될 수 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은 결합 모듈(300)의 제3 기판(31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레진층(320)은 제1 면광원부(120)와 제2 면광원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레진층(320)의 일측면은 제1 면광원부(120)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제3 레진층(320)의 타측면은 제2 면광원부(220)의 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제3 레진층(320)은 제1 면광원부(120)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제3 레진층(320)은 제2 면광원부(220)의 두께와 대응될 수 있다.
제3 레진층(320)은 제1 면광원부(120)와 제2 면광원부(220)에서 출사되는 광을 면광원으로 유지시켜 상부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조명 장치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의 측면에서 출사되는 광의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면광원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면발광 모듈(100)과, 상기 제1 면발광 모듈(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면광원 모듈(200)과, 상기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의 하부에 배치된 제4 기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광원 모듈(100)은 제1 기판(110)과, 상기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제1 면광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광원 모듈(200)은 제2 기판(210)과, 상기 제2 기판(210) 상에 배치된 제2 면광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광원 모듈(100)의 측면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의 측면은 접촉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하부에는 제1 결합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210)의 하부에는 제2 결합핀(21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113,213)의 구조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결합핀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기판(400)은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4 기판(400)에는 제1 결합핀(113)이 삽입되는 제1 결합홀(40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400a)은 제1 결합핀(113)과 대응되는 제4 기판(4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400a)은 제4 기판(400)을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400a)이 형성된 제4 기판(400)의 내측에는 제1 전극 패드(41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핀(113)은 제1 전극 패드(410a)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 기판(400)에는 제2 결합핀(213)이 삽입되는 제2 결합홀(400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400b)은 제2 결합핀(213)과 대응되는 제4 기판(40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400b)은 제4 기판(400)을 상하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400b)이 형성된 제4 기판(400)의 내측에는 제2 전극 패드(41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핀(213)은 제2 전극 패드(410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면광원 모듈의 기판의 변경 없이 결합핀 만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면광원 모듈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2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 면발광 모듈(100)과, 상기 제1 면발광 모듈(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면광원 모듈(200)과, 상기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의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부재(500)와, 상기 베이스 부재(500)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제4 기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광원 모듈(100)은 제1 기판(110)과, 상기 제1 기판(110) 상에 배치된 제1 면광원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광원 모듈(200)은 제2 기판(210)과, 상기 제2 기판(210) 상에 배치된 제2 면광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광원 모듈(100)의 측면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의 측면은 접촉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하부에는 제1 결합핀(11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210)의 하부에는 제2 결합핀(213)이 배치될 수 있다. 결합핀(113,213)의 구조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결합핀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 부재(500)는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500)의 크기는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의 크기의 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500)는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5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 부재(500)는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P2018-A0542KR
복수의 제4 기판(400)은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기판(400)은 제1 기판(110)에 대응되는 영역과, 제2 기판(210)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에는 제1 결합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핀(113)은 제4 기판(400a)에 형성된 제1 결합홀(41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결합홀(411a)의 내측에는 제1 전극 패드(410a)가 배치되어 제1 결합핀(113)과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500)에는 제1 결합핀(113)이 관통되도록 제1 관통홀(50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판(210)에는 제2 결합핀(2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핀(213)은 제4 기판(400b)에 형성된 제2 결합홀(411b)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결합홀(411b)의 내측에는 제2 전극 패드(410b)가 배치되어 제2 결합핀(213)과 접촉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500)에는 제2 결합핀(213)이 관통되도록 제2 관통홀(500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기판(400a,400c)은 제1 기판(110)과 대응되는 영역에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기판(400b,400d)은 제2 기판(200)과 대응되는 영역에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10)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4 기판(400a,400c)은 제1 기판(110)에 (+),(-) 신호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제2 기판(210)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제4 기판(400b,400d)은 제2 기판(210)에 (+),(-) 신호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복수의 제4 기판(400)이 이격 되도록 배치되었으나, (+) 신호를 제공하는 제4 기판(400)의 일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 신호를 제공하는 제4 기판(400) 중 일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복수의 제4 기판(400)을 제1 기판(110)에 대응되는 영역과 제2 기판(210)에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배치하였으나, 제4 기판(400)을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 모두에 수직 중첩되도록 배치하고,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에 (+) 신호를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개의 제4 기판(400) 만으로도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210)에 (+) 신호, (-) 신호를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제4 기판(40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7 실시예에 다른 조명 장치는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이 장착되는 베이스 부재(500)를 마련함으로써, 제1 면광원 모듈(100)과 제2 면광원 모듈(20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제1 면광원 모듈
200: 제2 면광원 모듈
300: 결합모듈
400: 기판
500: 베이스 부재

Claims (11)

  1. 제1 면광원부와, 상기 제1 면광원부가 모듈이 실장되고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면광원 모듈; 및
    상기 제1 면광원 모듈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2 면광원부와, 상기 제2 면광원부가 실장되며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면광원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2 기판의 일부와 상기 제1 기판 표면의 수직 방향으로 중첩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하로 관통 형성된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홀과 결합되는 결합핀이 형성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일부가 상기 제1 기판의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직부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광원 모듈과 상기 제2 면광원 모듈은 동일 수평면 상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기판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2 기판의 측면은 상기 연장부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조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하부에는 탄성을 가지는 결합핀이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과 중첩 배치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결합핀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내측면에는 전극 패드가 배치되는 조명 장치.
  5. 제1 면광원부와, 상기 면광원부가 실장되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면광원 모듈;
    상기 제1 면광원 모듈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어 제2 면광원부와, 상기 제2 면광원부가 실장되며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면광원 모듈; 및
    상기 제1 면광원부와 상기 제2 면광원부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와 수직으로 중첩 배치된 제3 기판과, 상기 제3 기판 상에 배치된 제3 레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기판에는 상기 제1 연장부와 중첩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1 결합핀과, 상기 제2 연장부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된 제2 결합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에는 상기 제1 결합핀이 결합되는 제1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에는 상기 제2 결합핀과 결합되는 제2 결합홀이 형성되는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판은 상기 제1 면광원부의 측면과 상기 제2 면광원부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측면과 상기 제2 기판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모듈의 폭은 상기 결합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면광원 모듈의 제1 광원과 상기 결합 모듈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2 면광원 모듈의 제2 광원 사이의 거리의 1/2 내지 1/4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9. 제1 면광원부와, 상기 제1 면광원부가 실장되며 하부에 제1 결합핀이 배치된 제1 기판을 포함하는 제1 면광원 모듈; 및
    상기 제1 면광원 모듈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2 면광원부와, 상기 제2 면광원부가 실장되어 하부에 제2 결합핀이 배치된 제2 기판을 포함하는 제2 면광원 모듈; 및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결합핀이 결합되는 제1 결합홀과 상기 제2 결합핀과 결합되는 제2 결합홀을 포함하는 제4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4 기판 사이에 베이스 부재가 더 배치되는 조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기판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성 기판의 각각은 (+) 신호 및 (-) 신호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에 제공하는 조명 장치.
KR1020180116749A 2018-10-01 2018-10-01 조명 장치 KR20200037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49A KR20200037491A (ko) 2018-10-01 2018-10-01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749A KR20200037491A (ko) 2018-10-01 2018-10-01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491A true KR20200037491A (ko) 2020-04-09

Family

ID=7027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749A KR20200037491A (ko) 2018-10-01 2018-10-01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74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64421A (zh) * 2022-07-07 2022-11-01 深圳市朗文科技实业有限公司 植物补光灯模块及具有其的植物补光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64421A (zh) * 2022-07-07 2022-11-01 深圳市朗文科技实业有限公司 植物补光灯模块及具有其的植物补光设备
CN115264421B (zh) * 2022-07-07 2023-09-19 深圳市朗文科技实业有限公司 植物补光灯模块及具有其的植物补光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3149B1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ing unit including the same
US11566763B2 (en) Lighting device
US20240142082A1 (en) Lighting device
KR20230149284A (ko) 조명 장치
EP3851735B1 (en) Light module and light assembly including same
KR20200037491A (ko) 조명 장치
KR20200037470A (ko) 면광원 모듈,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 램프
US11415284B2 (en)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comprising same
CN112805501B (zh) 照明装置
US12000553B2 (en) Lighting device and vehicle lamp comprising same
KR20200037515A (ko) 조명 장치
KR20200014643A (ko) 조명 장치
KR20200092180A (ko) 조명 장치
KR20200035699A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