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958A -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958A
KR20200036958A KR1020180115454A KR20180115454A KR20200036958A KR 20200036958 A KR20200036958 A KR 20200036958A KR 1020180115454 A KR1020180115454 A KR 1020180115454A KR 20180115454 A KR20180115454 A KR 20180115454A KR 20200036958 A KR20200036958 A KR 20200036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nnel
port
circumferential surface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834B1 (ko
Inventor
김종우
허성규
현 최
이성희
서영혜
이예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벡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벡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벡셀
Priority to KR1020180115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8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61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for stabilising vertebrae or discs by improving the condition of their tissues, e.g. using implanted medication or fluid ex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73Valve comprising a non-deformable, movable element, e.g. ball-valve, valve with movable stopper or reciprocating element
    • A61M2039/2486Guided stem, e.g. reciprocating stop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유닛에 제3 유닛과 제2 유닛이 상호 직교되게 내장되고, 제3 유닛은 제1 방향으로 장착된 제2 유닛에 대하여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함에 따라, 제2 유닛을 관통하여 제1 유닛과 연결된 시린지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플렉시블 호스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함으로써,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 가능한 구조로부터, 조작이 간편하며 약액의 주입량 조절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ADAPTOR ASSEMBLY FOR EPIDURAL CATHETER}
본 발명은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이 간편하며 약액의 주입량 조절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은 척추 경막외강의 통증부위에 카테터의 단부를 접근시키고 외부에서 카테터를 통해 특수 약물을 주입하여 통증을 다스리는 치료법으로, 척추 신경주위의 염증과 부종 또는 신경주변의 불필요한 흉터 조직 등을 없애는 비수술적 요법이다.
전술한 경막외강 신경성형술은 경막외 카테터를 이용하여 시술하게 되는데, 경막외 카테터는 대략 30cm 내지 60cm의 얇은 플렉시블튜브와, 전술한 플렉시블튜브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주사기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을 플렉시블튜브로 유도하는 유로가 내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전술한 본체를 통해 플렉시블튜브에 끼워지는 가이드와이어로 구성된다.
전술한 가이드와이어는 플렉시블튜브에 경직도, 즉 스티프니스(stiffness)를 보강하기 위한 얇은 금속선이다.
이러한 플렉시블튜브는 가이드와이어가 끼워진 상태에서, 꼬리뼈의 열린구멍을 통과해 그 선단부가 경막외강의 유착부위 또는 흉터부위에 도달된 상태로 해당 부위에 약액을 도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공개특허 제10-2012-0087622호의 "카테터용 어댑터"(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약물을 경막외강에 주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카테터와 이 카테터가 인체에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투관침과 세트를 이루며, 카테터 중 인체 외측에 위치되는 단부에 약물을 주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불필요한 부품의 갯수가 많아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금형 제작 및 설계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조립 및 체결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은 제1 밸브와 제2 밸브를 상호 회동시켜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게 되어있는데, 이러한 회동 방식에 따른 주입량 조절은 시술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과도하게 회전하였을 경우 또는 회전이 덜 이루어졌을 경우에 약액 주입을 지속하고자 함에도 불구하고 약액 주입이 중단되거나, 약액 주입을 중지하고자 함에도 불구하고 약액이 계속하여 누설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공개특허 제10-2012-00876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조작이 간편하며 약액의 주입량 조절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약액 주입용의 시린지(syringe)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시린지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인체 내부의 통증부위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호스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2 포트를 서로 연결하는 양단 관통의 제1 채널과, 상기 제1 채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양단 관통의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채널이 형성된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양단 관통의 지지관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왕복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채널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유닛의 일측과 맞물려 상기 플렉시블 호스 및 상기 지지관의 외주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며 상기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 가능한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포트를 구성하며, 상기 시린지와 연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일측 단부에 전달될 상기 약액이 일시 수용되는 제1 연결 챔버를 형성하는 연결통과, 상기 연결통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채널을 가로막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관통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을 통하여 상기 제1 연결 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제2 포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지지관과 함께 상기 제2 유닛이 수용되는 제2 연결 챔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연결 챔버를 직교되게 관통하며 상기 제2 유닛과 교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삽입 안착되어 상기 제1 유닛에 내장되는 원통 형상의 안착블록과, 상기 안착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채널에 내장되고, 상기 안착블록에 안착된 상기 지지관을 수용하는 가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부는 상기 제3 유닛의 왕복에 따라 상기 지지관의 외주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면서 상기 지지관의 내경 및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직경을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채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채널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상기 제2 채널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3 포트 및 제4 포트로부터 노출되는 봉 형상의 조절 스템과, 상기 제2 유닛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 스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되고, 폭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점차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형성되는 가변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 스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변슬롯과 맞닿는 상기 제2 유닛의 외주면은 가압 또는 가압 해제되면서 상기 약액의 주입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포트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연결 챔버의 단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연결 챔버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 챔버를 형성하는 고정통과, 상기 고정통의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안착 챔버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유닛의 안착블록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된 결합 리브가 맞물리는 링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부는, 상기 안착블록의 일측 끝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관의 일측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지는 제1 지지편과, 상기 안착블록의 일측 끝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편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관의 타측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지는 제2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2 지지편 사이에 상기 지지관이 수용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지지편 및 상기 제2 지지편의 외측면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 유닛의 왕복에 따라 제1 지지편과 제2 지지편 각각의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는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약액 주입용의 시린지(syringe)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시린지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인체 내부의 통증부위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호스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2 포트를 서로 연결하는 양단 관통의 제1 채널과, 상기 제1 채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양단 관통의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채널이 형성된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양단 관통의 지지관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왕복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채널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유닛의 일측과 맞물려 상기 플렉시블 호스 및 상기 지지관의 외주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며 상기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 가능한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작이 간편하며 약액의 주입량 조절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술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숙련도에 관계없이 약액의 주입 및 주입 정지를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 주입량의 미세한 조정까지도 가능하게 되는 특장점을 지닌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기존의 카테터용 어댑터에 비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조립 및 체결이 매우 간편하고, 금형 제작 및 설계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적으로도 매우 효율적인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가 시린지 및 플렉시블 호스와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과 제3 유닛의 결합 관계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X-X 선 방향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
도 5는 도 3의 Y-Y 선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
도 6은 도 3의 Y-Y 선 방향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에 결합된 제3 유닛의 이동에 따른 제2 유닛의 형상 변화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가 시린지(500) 및 플렉시블 호스(4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과 제3 유닛(300)의 결합 관계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X-X 선 방향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Y-Y 선 방향에서 바라본 결합 관계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3의 Y-Y 선 방향에서 바라본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의 주요부인 제1 유닛(100)에 결합된 제3 유닛(300)의 이동에 따른 제2 유닛(200)의 형상 변화를 도시한 평단면 개념도이다.
참고로, 후술할 제1 방향은 도 1에서 화살표 A, B 방향을, 후술할 제2 방향은 도 1에서 화살표 C, D 방향을 각각 나타내며, 도면에서 투명한 화살표는 후술할 제3 유닛(300)의 조절 스템(310)이 이동하도록 힘이 가해지는 방향을 가리킨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00)에 제3 유닛(300)과 제2 유닛(200)이 상호 직교되게 내장되고, 제3 유닛(300)은 제1 방향으로 장착된 제2 유닛(200)에 대하여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왕복함에 따라, 제2 유닛(200)을 관통하여 제1 유닛(100)과 연결된 시린지(500, syringe)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플렉시블 호스(400)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함으로써,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 가능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유닛(100)은 약액 주입용의 시린지(500)가 연결되는 제1 포트(101)와 시린지(500)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인체 내부의 통증부위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호스(40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2 포트(102)를 서로 연결하는 양단 관통의 제1 채널(100a)과, 제1 채널(100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양단 관통의 제2 채널(100b)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유닛(200)은 제1 채널(100a)이 형성된 제1 방향을 따라 제1 유닛(100)에 대하여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제2 포트(102)로부터 삽입되어 플렉시블 호스(400)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양단 관통의 지지관(201)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제3 유닛(300)은 제1 방향과 직교되는 제2 방향을 따라 제1 유닛(100)에 대하여 왕복 가능하도록 제2 채널(100b)에 삽입되고, 제2 유닛(200)의 일측과 맞물려 플렉시블 호스(400) 및 지지관(201)의 외주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며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유닛(10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체(110)에 연결통(120)과 격벽(130)과 고정홀(131)과 제2 연결 챔버(122)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본체(110)는 서로 직교되게 형성되는 제1 채널(100a)과 제2 채널(100b)을 구비한 것이다.
연결통(120)은 본체(110)에 형성되고 제1 포트(101)를 구성하며, 시린지(500)와 연결되며 플렉시블 호스(400)의 일측 단부에 전달될 약액이 일시 수용되는 제1 연결 챔버(121)를 형성하는 것이다.
격벽(130)은 연결통(120)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제1 채널(100a)을 가로막는 것이며, 고정홀(131)은 플렉시블 호스(400)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도록 격벽(130)에 관통되는 것이다.
제2 연결 챔버(122)는 고정홀(131)을 통하여 제1 연결 챔버(121)와 연통되고, 제2 포트(102)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지지관(201)과 함께 후술할 제2 유닛(20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제3 유닛(300)은 제2 연결 챔버(122)를 직교되게 관통하며 제2 유닛(200)과 교차 결합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즉, 제1 채널(100a)은 격벽(130)에 의하여 후술할 안착 챔버(141)가 형성된 제2 연결 챔버(122)와 제1 연결 챔버(121)로 구획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100)은, 본체(110)에 형성되고 제2 포트(102)를 구성하며, 제2 연결 챔버(122)의 단부와 연통되고 제2 연결 챔버(122)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 챔버(141)를 형성하는 고정통(1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유닛(100)은, 고정통(140)의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함몰되어 안착 챔버(141)에 안착되는 후술할 제2 유닛(200)의 안착블록(210)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된 결합 리브(212)가 맞물리는 링 결합홈(142, 이하 도 4 참조)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링 결합홈(142)과 결합 리브(212)와의 결합 구조는 안착 블록(210)이 안착 챔버(14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하고 확실한 안착 고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닛(200)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안착블록(210)에 가변부(220)가 더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안착블록(210)은 제2 포트(102)로부터 삽입 안착되어 제1 유닛(100)에 내장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가변부(220)는 안착블록(21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채널(100a)에 내장되고, 안착블록(210)에 안착된 지지관(201)을 수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유닛(200)은, 플렉시블 호스(400)가 통과하도록 안착블록(210)의 양쪽 끝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호스 통과홀(211)을 더 구비해야 함은 물론일 것이다.
이때, 가변부(220)는 제3 유닛(300)의 왕복에 따라 지지관(201)의 외주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면서 도 6과 같이 지지관(201)의 내경 및 플렉시블 호스(400)의 직경을 가변시킴으로써,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유닛(200)은 고정단턱(213, 이하 도 3 참조)을 더 구비하여, 안착 챔버(141)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단차부(이하 미도시)에 맞물려 안착블록(210)이 안착 챔버(141) 내에서 헛돌거나 요동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가변부(220)는, 안착블록(210)의 일측 끝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관(201)의 일측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지는 제1 지지편(221)과, 안착블록(210)의 일측 끝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지지편(221)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지지관(201)의 타측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지는 제2 지지편(222)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지지편(221)과 제2 지지편(222) 사이에 지지관(201)이 수용되고, 후술할 제3 유닛(300)은 제1 지지편(221) 및 제2 지지편(222)의 외측면을 수용하게 된다.
이때, 후술할 제3 유닛(300)의 왕복에 따라 제1 지지편(221)과 제2 지지편(222) 각각의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는 도 6(a)와 같이 멀어지거나 도 6(b)와 같이 가까워지게 된다.
한편, 제3 유닛(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스템(310)에 가변슬롯(320)을 구비한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조절 스템(310)은 제2 채널(100b)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방향으로 제2 채널(100b)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제2 채널(100b)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3 포트(103) 및 제4 포트(104)로부터 노출되는 봉 형상의 부재이다.
이때, 가변슬롯(320)은 제2 유닛(20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형성하며 조절 스템(310)에 제1 방향으로 관통되고, 폭이 제2 방향을 따라 점차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 스템(310)의 이동에 따라, 가변슬롯(320)과 맞닿는 제2 유닛(200)의 외주면은 도 6과 같이 가압 또는 가압 해제되면서 약액의 주입량이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가변슬롯(320)은, 제1 직경을 가지고 조절 스템(310)에 관통된 소경부(321)와, 제1 직경과 같은 폭으로 소경부(32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게 조절 스템(310)에 관통된 연결부(322)와, 제1 직경보다 더 큰 제2 직경을 가지고 조절 스템(310)에 관통된 대경부(323)와, 연결부(322)로부터 대경부(323)측을 향하여 점차 폭이 넓어지게 조절 스템(310)에 관통된 확대부(3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약액의 주입량은 소경부(321)와 연결부(322)와 확대부(324) 및 대경부(323)로 갈수록 점차 증대되고, 대경부(323)와 확대부(324)와 연결부(322) 및 소경부(321)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고 결국엔 주입이 중지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작이 간편하며 약액의 주입량 조절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유닛
100a...제1 채널
100b...제2 채널
101...제1 포트
102...제2 포트
103...제3 포트
104...제4 포트
110...본체
120...연결통
121...제1 연결 챔버
122...제2 연결 챔버
130...격벽
131...고정홀
140...고정통
141...안착 챔버
142...링 결합홈
200...제2 유닛
201...지지관
210...안착블록
211...호스 통과홀
212...결합 리브
213...고정 단턱
220...가변부
221...제1 지지편
222...제2 지지편
300...제3 유닛
310...조절 스템
320...가변슬롯
321...소경부
322...연결부
323...대경부
324...확대부
400...플렉시블 호스
500...시린지

Claims (7)

  1. 약액 주입용의 시린지(syringe)가 연결되는 제1 포트와 상기 시린지로부터 전달받은 약액을 인체 내부의 통증부위에 전달하는 플렉시블 호스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제2 포트를 서로 연결하는 양단 관통의 제1 채널과, 상기 제1 채널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양단 관통의 제2 채널을 포함하는 제1 유닛;
    상기 제1 채널이 형성된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탈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양단 관통의 지지관을 포함하는 제2 유닛;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되는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왕복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채널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유닛의 일측과 맞물려 상기 플렉시블 호스 및 상기 지지관의 외주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며 상기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 가능한 제3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제1 채널과 상기 제2 채널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포트를 구성하며, 상기 시린지와 연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일측 단부에 전달될 상기 약액이 일시 수용되는 제1 연결 챔버를 형성하는 연결통과,
    상기 연결통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채널을 가로막는 격벽과,
    상기 격벽에 관통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일측 말단이 고정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을 통하여 상기 제1 연결 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제2 포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지지관과 함께 상기 제2 유닛이 수용되는 제2 연결 챔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연결 챔버를 직교되게 관통하며 상기 제2 유닛과 교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2 포트로부터 삽입 안착되어 상기 제1 유닛에 내장되는 원통 형상의 안착블록과,
    상기 안착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채널에 내장되고, 상기 안착블록에 안착된 상기 지지관을 수용하는 가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부는 상기 제3 유닛의 왕복에 따라 상기 지지관의 외주면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면서 상기 지지관의 내경 및 상기 플렉시블 호스의 직경을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약액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2 채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채널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상기 제2 채널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3 포트 및 제4 포트로부터 노출되는 봉 형상의 조절 스템과,
    상기 제2 유닛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주면을 형성하며 상기 조절 스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관통되고, 폭이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점차 좁아지거나 넓어지게 형성되는 가변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 스템의 이동에 따라,
    상기 가변슬롯과 맞닿는 상기 제2 유닛의 외주면은 가압 또는 가압 해제되면서 상기 약액의 주입량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포트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연결 챔버의 단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연결 챔버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 챔버를 형성하는 고정통과,
    상기 고정통의 내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안착 챔버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유닛의 안착블록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된 결합 리브가 맞물리는 링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안착블록의 일측 끝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지지관의 일측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지는 제1 지지편과,
    상기 안착블록의 일측 끝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편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관의 타측 외주면과 마주보는 내측면을 가지는 제2 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편과 상기 제2 지지편 사이에 상기 지지관이 수용되고,
    상기 제3 유닛은 상기 제1 지지편 및 상기 제2 지지편의 외측면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닛의 왕복에 따라 제1 지지편과 제2 지지편 각각의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는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KR1020180115454A 2018-09-28 2018-09-28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KR102124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454A KR102124834B1 (ko) 2018-09-28 2018-09-28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454A KR102124834B1 (ko) 2018-09-28 2018-09-28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958A true KR20200036958A (ko) 2020-04-08
KR102124834B1 KR102124834B1 (ko) 2020-06-22

Family

ID=70275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454A KR102124834B1 (ko) 2018-09-28 2018-09-28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8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7622A (ko) 2011-01-28 2012-08-07 제이엠티(주) 카테터용 어댑터
JP6033088B2 (ja) * 2010-02-24 2016-11-30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Becton, Dickinson And Company 安全薬物送達システム
KR101687199B1 (ko) * 2015-10-13 2016-12-19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액 주입기용 약액 공급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3088B2 (ja) * 2010-02-24 2016-11-30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Becton, Dickinson And Company 安全薬物送達システム
KR20120087622A (ko) 2011-01-28 2012-08-07 제이엠티(주) 카테터용 어댑터
KR101687199B1 (ko) * 2015-10-13 2016-12-19 주식회사 우영메디칼 약액 주입기용 약액 공급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834B1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032B2 (en) Socketed portal anchor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5573504A (en) Composite irrigation and suction probe and valve
US9302043B2 (en) Socketed portal anchors and methods of using same
NZ561616A (en) Safety connector assembly for preventing inadvertant connection of tubing or other conduits
BR112015017424A2 (pt) porta de acesso de baixo perfil
JP2017529966A (ja) マルチ型薬液流量制御装置及びこれを含む薬液注入器
JP2007530235A5 (ko)
KR101713939B1 (ko) 피부시술장치용 니들 유닛
CN103282077A (zh) 用于皮肤手术的模件
KR20050119625A (ko) 공압식 약물주사용 건
US20120065625A1 (en) Catheter/pump connector with guide surface and system/method for using same
CN109602524A (zh) 介入式医疗器械的固定装置
KR102124834B1 (ko) 경막외 카테터 어댑터 어셈블리
US10279128B2 (en) Systems for managing reservoir chamber pressure
CN113766941A (zh) 保持机构组装体
TW201728347A (zh) 用於皮膚治療的藥物注射裝置
US11202862B2 (en) Pressurized gas injection device and method
KR101687199B1 (ko) 약액 주입기용 약액 공급밸브
KR102251026B1 (ko) 피부 시술용 주사장치
KR101502555B1 (ko) 피부시술용 니들모듈
MX2021014661A (es) Conjunto de válvula para dispositivo de suministro de fármacos.
CN209967410U (zh) 皮肤施术用注射装置
US20210353878A1 (en) Hypodermic device with an array of hypodermic needles
CN105311711A (zh) 电动微针注射仪
CN214343774U (zh) 用于肿胀麻醉的注水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