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593A -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 - Google Patents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593A
KR20200036593A KR1020180116428A KR20180116428A KR20200036593A KR 20200036593 A KR20200036593 A KR 20200036593A KR 1020180116428 A KR1020180116428 A KR 1020180116428A KR 20180116428 A KR20180116428 A KR 20180116428A KR 20200036593 A KR20200036593 A KR 20200036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model
area
pap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원
구덕회
전석주
Original Assignee
크레아트봇 주식회사
전석주
구덕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아트봇 주식회사, 전석주, 구덕회 filed Critical 크레아트봇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6593A/ko
Publication of KR20200036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8Dolls of flat paper to be cut-out, folded, or clot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액추에이터와 센서가 탑재되는 제어대상체가 종이시트를 이용하여 형태로 손쉽게 제작 가능한 종이모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어대상체의 제작시간이 감소됨과 동시에 코딩교육이 연령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종이시트에 인쇄된 모형영역이 특정 형태로 접혀져 형성되는 종이모형; 상기 종이모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종이모형의 특정 동작 또는 상태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 및 코딩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입력측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코딩데이터가 저장 및 처리되는 칩형 제어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측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코딩제어보드를 포함하는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CODING TRAINING AIDS LINKED WITH PAPERCRAFT}
개시된 내용은 코딩 교육에 사용되는 코딩교육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코딩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절차에 관한 명령어 모음에 해당하는 코드를 입력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코딩은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절차와 과정에 관한 알고리즘을 작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라고도 한다.
종래의 코딩 교육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전문으로 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디지털 지식 정보화시대를 맞아 초등학교에서부터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과 과정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코딩교육의 경우에는, 우선 제시된 문제에 따라 제어대상체를 작동구조를 선정함과 동시에 컴퓨터를 통해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정 제어알고리즘에 따라 코드를 기반으로 한 코딩데이터를 만든다.
그 다음에는 과학상자 등의 프레임부재와 다양한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작동가능한 로봇 형태의 제어대상체를 만든 후, 제어대상체에 탑재되거나 연결된 컨트롤러에 컴퓨터를 연결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정 제어알고리즘에 따라 미리 짜여진 코딩데이터를 컨트롤러 내의 메로리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운로드받은 다음, 로봇 형태의 제어대상체가 컨트롤러에 다운로딩된 해당 제어알고리즘에 따라 제대로 작동되는지 확인하고 해당 오류를 수정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저학년의 경우에는 과학상자 등의 프레임부재와 다양한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작동가능한 로봇 형태의 제어대상체를 만드는 일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 또는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한정된 코딩수업시간의 대부분을 로봇 형태의 제어대상체를 조립하는 데 쓸 수 밖에 없고 실제 중요한 코딩수업에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워 제대로 된 코딩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80919호(2018.07.13.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18-00037631호(2018.04.13. 공개)
제어대상체의 제작시간이 감소됨과 동시에 코딩교육이 연령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종이시트에 인쇄된 모형영역이 특정 형태로 접혀져 형성되는 종이모형; 상기 종이모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종이모형의 특정 동작 또는 상태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 및 코딩데이터의 수신을 위한 입력측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코딩데이터가 저장 및 처리되는 칩형 제어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측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코딩제어보드를 포함하는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종이시트는 절단선에 의해 상기 모형영역이 구획되어 인쇄되고 상기 모형영역에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절취된 모형영역이 특정 형태의 종이모형으로 접혀지도록 접이선과 접착영역이 인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고정부위를 표시하는 제 1 고정영역이 인쇄된다.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종이시트의 모형영역에는 센서의 고정을 의한 제 2 고정영역이 인쇄되고, 상기 종이시트의 제 2 고정영역에는 센서가 고정되어 상기 종이모형 상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코딩제어보드의 입력측 인터페이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에 의하면, 코딩제어보드에 의해 작동되도록 액추에이터와 센서가 탑재되는 제어대상체가 종이시트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작 가능한 종이모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어대상체의 제작시간이 감소되어 코딩교육에 많은 시간이 할애될 수 있어 코딩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에 의하면, 제어대상체가 종이시트의 절취, 접기, 접착에 의해 손쉽게 제작 가능한 종이모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코딩교육이 연령에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에 있어서, 종이시트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에 있어서, 종이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에 있어서, 종이시트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의 블럭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의 사용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시트(11)에 인쇄된 모형영역(A)이 특정 형태로 접혀져 형성되는 종이모형(10); 종이모형(10) 상에 설치되어 종이모형(10)의 특정 동작 또는 상태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20); 및 코딩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측 인터페이스부(31)와, 코딩데이터가 처리되는 칩형 제어부(33)와, 액추에이터(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딩데이터의 처리에 따른 제어신호를 액추에이터(20)로 출력하는 출력측 인터페이스부(35)를 구비하는 코딩제어보드(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종이모형(10)은 코딩제어보드(30)에 의한 제어에 따라 액추에이터(20)에 의해 특정 동작 또는 상태표시를 하는 제어대상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종이시트(11)를 이용하여 특정 형태로 손쉽게 제작 가능하다.
종이모형(10)을 만들기 위한 종이시트(11)는 절취에 의해 종이시트(11)로부터 분리된 후 특정 형태의 종이모형(10)으로 접혀지는 모형영역(A)이 인쇄된 종이 재질의 시트에 해당하는 것으로, 종이모형(10)이 일정한 강도를 갖도록 일정두께를 가지는 크래프트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는 종이시트의 다양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이시트(11)에는 모형영역(A)의 절취를 위해 모형영역(A)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 절단선(12)이 인쇄된다. 절단선(12)은 예를 들어 실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모형영역(A)의 내부에는 절단선(12)을 따라 절취된 후 특정 종이모형(10)을 만들기 위해 접혀질 선을 나타내는 접이선(13)이 인쇄된다. 접이선(13)은 산 형태로 밖으로 접는 선 또는 계곡 형태로 안으로 접는 선인지 여부에 따라 점선 또는 일점쇄선으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모형영역(A)의 내부에는 모형영역(A)의 특정부분을 상호 접착고정하기 위한 접착영역(14)이 인쇄된다. 접착영역(14)은 에를 들어 회색과 같은 특정 색으로 채워지고 접착영역(14)에는 전면에 풀을 칠하는지 또는 배면에 풀을 칠하는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별도의 표지가 함께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종이시트(11)의 모형영역(A)에는 차후에 설명될 액추에이터(20)가 테이프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부착고정될 제 2 고정영역(15)이 별도 표시된다. 제 2 고정영역(15)에는 부착고정될 액추에이터(20)의 외형을 나타내는 윤곽선과 함께 액추에이터(20)의 종류가 문자로 병기되고, 테이프와 같은 고정부재의 부착위치를 나타내는 표지가 함께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액추에이터(20)의 외형을 나타내는 윤곽선은 예를 들어 청색과 같은 특정 색상의 선으로 형성되고 테이프와 같은 고정부재의 부착위치를 나타내는 표지도 윤곽선과 동일한 색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종이시트(11)의 모형영역(A)이 절취되어 접혀진 종이모형(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뱀, 호랑이, 개와 같이 아이들과 친숙한 동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종이시트(11)의 모형영역(A)이 절취되어 접혀진 종이모형(10)은 동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로봇이나 기구물일 수도 있으며, 동작과 상태표시가 가능하다면 어떠한 구조 또는 형태로도 형성 가능하다.
또한 종이시트(11)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2장 이상으로 분할되어 형성되고 각 장에 서로 접합연결될 모형영역(A)이 각각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종이시트(11)에는 모형영역(A)의 절취, 접기, 접착 등에 의해 형성될 종이모형(10)의 사시도가 모형영역(A)과 별도로 인쇄될 수 있다.
전술한 종이시트(11)의 제 2 고정영역(15)에는 액추에이터(20)가 고정되어 종이모형(10)에 설치된다. 액추에이터(20)는 종이시트(11)로부터 절취된 모형영역(A)에 의해 만들어진 종이모형(10)이 코딩제어보드(30)에 입력된 코딩데이터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서보모터, 기어모터, 진동모터, 발광소자 및 음향발생부재 중 하나로 형성 가능하다.
서보모터는 입력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각도 또는 속도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이고, 기어모터는 출력축에 전동기어박스가 구비되는 액추에이터이며, 진동모터는 편심축을 회전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이고, 발광소자는 단색 엘이디 또는 3색(RGB) 엘이디 등으로 형성 가능하며, 음향발생부재는 특정 음향을 발생시키는 부저, 스피커 또는 경보기 등으로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액추에이터(20)는 코딩제어보드(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딩제어보드(30)는 예를 들어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된 코딩데이터에 따라 액추에이터(20)로 출력하는 컨트롤러에 해당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컴퓨터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코딩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측 인터페이스부(31)와, 입력된 코딩데이터가 저장 및 처리되는 칩형 제어부(33)와, 액추에이터(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딩데이터의 처리에 따른 제어신호를 액추에이터(20)로 출력하는 출력측 인터페이스부(35)와, 컴퓨터 등으로부터 코딩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유에스비단자(37)를 포함한다.
코딩제어보드(30)로는 예를 들어 미국 카네기멜론대학(CMU) 로봇 공학연구소에서 개발된 허밍버드(HUMMING BIRD) 로봇키트 제어보드 등이 사용 가능하다.
코딩제어보드(30)의 구성 및 작용은 이미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는 종이모형(10) 상에 설치된 센서(40)의 신호가 코딩제어보드(30)로 입력되어 코딩데이터에 의해 처리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액추에이터(20)가 작동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종이시트(11)의 모형영역(A)에는 센서(40)의 고정을 의한 제 2 고정영역(16)이 인쇄됨과 동시에 종이시트(11)의 제 2 고정영역(16)에는 센서(40)가 부착고정되어 종이모형(10) 상에 설치된다.
종이시트(11)의 모형영역(A)에 인쇄되는 제 2 고정영역(16)은 센서(40)의 외형을 나타내는 윤곽선은 예를 들어 청색과 같은 특정 색상의 선으로 형성되고 테이프와 같은 고정부재의 부착위치를 나타내는 표지도 윤곽선과 동일한 색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종이시트(11)의 제 2 고정영역(16)에 부착고정되는 센서는 빛을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센서신호를 발생시키는 빛센서와, 온도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센서신호를 발생시키는 온도센서와, 소리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센서신호를 발생시키는 소리센서와, 장애물이나 기타 물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센서신호를 발생시키는 거리센서(근접센서)와, 물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그에 상응하는 센서신호를 발생시키는 접촉센서와,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와 같은 특정 가스를 감지하여 그 농도에 상응하는 센서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스센서 중 하나로 형성 가능하며, 그 외에 적외선센서, 수위감지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로 도 형성 가능하다.
센서(40)는 코딩제어보드(30)의 입력측 인터페이스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신호를 코딩제어보드(30)의 칩형 제어부(33)로 전달한다.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이모형(10) 상에 설치되는 센서(40)는 코딩제어보드(30)의 입력측 인터페이스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종이모형(11) 상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20)는 코딩제어보드(30)의 출력측 인터페이스부(3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코딩제어보드(30)의 유에스비단자(37)는 코딩데이터의 입력을 위해 코딩소프트웨어의 프로세싱이 가능한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하다. 또한 코딩제어보드(30)의 입력측 인터페이스부(31)와 코딩제어보드(30)의 출력측 인터페이스부(33)와 코딩데이터 입력을 위한 유에스비단자(37)는 코딩제어보드(30) 상에서 칩형 제어부(33)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종이시트(11)의 모형영역(A)이 절취되어 접혀진 종이모형(10)이 동물일 경우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는 코딩제어보드(30)의 제어에 따른 액추에이터(20)와 센서(40)의 작동에 의해 종이모형(10)이 해당 동물의 습성을 반영하는 동작 또는 상태표시를 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의 사용방법 및 전체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코딩소프트웨어의 프로세싱이 가능한 컴퓨터에 각 동물의 동작 및 상태표시에 알맞은 코딩데이터를 미리 짜 둔 상태에서, 해당 컴퓨터에 코딩제어보드(30)의 유에스비단자(37)를 연결하여 현재 종이시트(11)에 의해 제작될 종이모형(10)의 동물 종류에 대응되는 코딩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다.
그 다음에, 종이시트(11)로부터 절단선(12)을 따라 모형영역(A)을 절취한 후, 접이선(13)을 따라 접고 접착영역(14)을 풀 등을 통해 접착하여 서로 붙여 특정 동물 형태의 종이모형(10)을 제작한다.
이 때 제 1 고정영역(15)에 해당 액츄에이터(20)를 테이프 등으로 부착고정한 후, 해당 액츄에이터(20)를 코딩제어보드(30)의 출력측 인터페이스부(35)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또한 제 2 고정영역(16)에 해당 센서(40)를 테이프 등으로 부착고정한 후, 해당 센서(40)를 코딩제어보드(30)의 입력측 인터페이스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그 다음에, 예를 들어 빛센서, 온도센서, 소리센서, 거리센서, 접촉센서 또는 가스센서 등으로 형성되는 센서(40)에 의해 특정 물체나 상태가 감지되면, 기 다운로드된 코딩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코딩제어보드(30)의 제어에 따라, 예를 들어 서보모터, 기어모터, 진동모터, 발광소자 또는 음향발생부재 등으로 형성되는 액츄에이터(40)가 작동되면서 특정 동물 형태의 종이모형(10)이 해당 동물의 습성을 반영하는 동작 또는 상태표시를 하게 된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되는 종이시트(11)의 경우에, 컴퓨터에 코딩제어보드(30)의 유에스비단자(37)를 연결하여 뱀에 대응되는 코딩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다. 또한 종이시트(11)로부터 절단선(12)을 따라 모형영역(A)을 절취한 후, 접이선(13)을 따라 접고 접착영역(14)을 풀 등을 통해 접착하여 뱀 형상의 종이모형(10)을 제작한다.
이 때 모형영역(A) 상에 표시된 제 1 고정영역(15)에 따라 뱀 형상의 종이모형(10)의 전방 측에 적색 발광소자(LED) 형태의 액추에이터(20)를 부착고정하고 뱀 형상의 종이모형(10)의 꼬리 측에 녹색 발광소자(LED) 형태의 액추에이터(20)를 부착고정한 후, 이들 액추에이터(20)를 코딩제어보드(30)의 출력측 인터페이스부(35)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경우에 뱀에 대응되는 코딩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코딩제어보드(30)의 제어에 따라, 뱀이 배가 고플 경우에 머리측이 붉게 변하거나 점멸되고 배가 부를 경우에 꼬리측이 녹색으로 변하는 형태로 뱀의 상태표시가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3에 도시되는 종이시트(11)의 경우에, 컴퓨터에 코딩제어보드(30)의 유에스비단자(37)를 연결하여 호랑이에 대응되는 코딩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다. 또한 종이시트(11)로부터 절단선(12)을 따라 모형영역(A)을 절취한 후, 접이선(13)을 따라 접고 접착영역(14)을 등을 통해 접착하여 호랑이 형상의 종이모형(10)을 제작한다.
이 때 모형영역(A) 상에 표시된 제 1 고정영역(15)에 따라 호랑이 형상의 종이모형(10)의 배 부분에 서보모터 형태의 액추에이터(20)를 부착고정하여 머리측에 연결한 후, 이 액추에이터(20)를 코딩제어보드(30)의 출력측 인터페이스부(35)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또한 모형영역(A) 상에 표시된 제 2 고정영역(16)에 따라 호랑이 형상의 종이모형(10)의 앞다리 측에 거리 감지를 위한 센서(40)를 부착고정하고 호랑이 형상의 종이모형(10)의 엉덩이 측에 빛을 감지하는 센서(40)를 부착고정한 후, 이들 센서(40)를 코딩제어보드(30)의 입력측 인터페이스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경우에 호랑이에 대응되는 코딩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코딩제어보드(30)의 제어에 따라, 거리 감지를 위한 센서(40)에 의해 먹이가 감지되거나 또는 꼬리를 들어올리거나 내림에 따라 빛을 감지하는 센서(40)에 의해 감지되는 광량이 달라질 경우에 호랑이 형상의 종이모형(10)이 머리를 두리번거리면서 먹이를 찾는 동작을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4에 도시되는 종이시트(11)의 경우에, 컴퓨터에 코딩제어보드(30)의 유에스비단자(37)를 연결하여 개에 대응되는 코딩데이터를 다운로드받는다. 또한 종이시트(11)로부터 절단선(12)을 따라 모형영역(A)을 절취한 후, 접이선(13)을 따라 접고 접착영역(14)을 풀 등을 통해 접착하여 개 형상의 종이모형(10)을 제작한다.
이 때 모형영역(A) 상에 표시된 제 1 고정영역(15)에 따라 개 형상의 종이모형(10)의 배 부분에 서보모터 형태의 액추에이터(20)를 부착고정하고 개 형상의 종이모형(10)의 고리 부분에 삼색 발광소자(RGB LED) 형태의 액추에이터(20)를 부착고정한 후, 이들 액추에이터(20)를 코딩제어보드(30)의 출력측 인터페이스부(35)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또한 모형영역(A) 상에 표시된 제 2 고정영역(16)에 따라 개 형상의 종이모형(10)의 전방 부분에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형태의 센서(40)를 부착고정한 후, 이 센서(40)를 코딩제어보드(30)의 입력측 인터페이스부(31)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 경우에 개에 대응되는 코딩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코딩제어보드(30)의 제어에 따라,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형태의 센서(40)에 의해 화재 여부가 감지될 경우에 개 형상의 종이모형(10)이 움직임과 동시에 꼬리가 다양한 색으로 발광되면서 화재발생을 외부에 알리는 동작을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는 코딩제어보드(20)에 의해 작동되도록 액추에이터(20)와 센서(40)가 탑재되는 제어대상체가 종이시트(11)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작 가능한 종이모형(10)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어대상체의 제작시간이 감소되어 코딩교육에 많은 시간이 할애될 수 있어 코딩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코딩데이터에 따른 제어대상체가 종이시트(11)의 절취, 접기, 접착에 의해 손쉽게 제작 가능한 종이모형(10)으로 형성됨에 따라 연령에 관계없이 미취학 어린이나 저학년 어린이를 포함하여 코딩교육이 페이퍼크래프트로 인한 재미까지 동반하여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종이모형
A : 모형영역
11 : 종이시트
12 : 절단선
13 : 접이선
14 : 접착영역
15 : 제 1 고정영역
16 : 제 2 고정영역
20 : 액추에이터
30 : 코딩제어보드
31 : 입력측 인터페이스부
33 : 칩형 제어보드
35 : 출력측 인터페이스부
37 : 유에스비단자
40 : 센서

Claims (3)

  1. 종이시트에 인쇄된 모형영역이 특정 형태로 접혀져 형성되는 종이모형;
    상기 종이모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종이모형의 특정 동작 또는 상태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액추에이터; 및
    코딩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측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코딩데이터가 저장 및 처리되는 칩형 제어부와,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딩데이터의 처리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액추에이터로 출력하는 출력측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코딩제어보드를 포함하는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이시트는 절단선에 의해 상기 모형영역이 구획되어 인쇄되고 상기 모형영역에는 상기 절단선을 따라 절취된 모형영역이 특정 형태의 종이모형으로 접혀지도록 접이선과 접착영역이 인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고정부위를 표시하는 제 1 고정영역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종이시트의 모형영역에는 센서의 고정을 의한 제 2 고정영역이 인쇄되고, 상기 종이시트의 제 2 고정영역에는 센서가 고정되어 상기 종이모형 상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코딩제어보드의 입력측 인터페이스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
KR1020180116428A 2018-09-28 2018-09-28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 KR20200036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428A KR20200036593A (ko) 2018-09-28 2018-09-28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428A KR20200036593A (ko) 2018-09-28 2018-09-28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93A true KR20200036593A (ko) 2020-04-07

Family

ID=7029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428A KR20200036593A (ko) 2018-09-28 2018-09-28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659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631A (ko) 2016-10-04 2018-04-13 (주)모션블루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80919A (ko) 2017-01-05 2018-07-13 조태연 코딩 교육 장치 및 코딩 교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631A (ko) 2016-10-04 2018-04-13 (주)모션블루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80080919A (ko) 2017-01-05 2018-07-13 조태연 코딩 교육 장치 및 코딩 교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0740B1 (en) Robot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recorded medium
US201702364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interactive, three-dimensional learning tools
Blevins Building fluency: Lessons and strategies for reading success
KR19990023809A (ko) 기억 매체, 로보트, 정보 처리 장치, 및 전자 페트시스템
US9406240B2 (en) Interactive educational system
KR20190043756A (ko) 로봇의 이동을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KR20200036593A (ko) 페이퍼크래프트 연계형 코딩교육키트
KR101987119B1 (ko) 로봇의 감정변화를 이용한 코딩 교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딩 교육방법
Raucci Personal Robotics: Real Robots to Construct, Program, and Explore the World
US20190055068A1 (en) Animated Toy Box Assembly
JP4757979B2 (ja) 電子玩具
Riedmiller et al. Learning by experience from others—social learning and imitation in animals and robots
Hope Mastering primary design and technology
KR101292318B1 (ko) 교육용 로봇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로봇 컨트롤러
KR102253013B1 (ko) 어린이 영어학습이 가능한 코딩로봇 세트
Ceceri Robotics: Discover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future with 20 projects
Watts et al. Surge performance of an underwater vehicle with a biomimetic tendon drive propulsion system
Millais The Life and Letters of Sir John Everett Millais
KR101890394B1 (ko) 스마트 종이접기 교구 키트, 이를 위한 전자 모듈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제작 방법
Waldron et al. JavaScript Robotics: Building NodeBots with Johnny-Five, Raspberry Pi, Arduino, and BeagleBone
US20220167588A1 (en) Pet toy concealed in can
Musgrave Birds
MacDonald The Farmyard Jamboree
Bonnet et al. Shoaling with Fish: Using Miniature Robotic Agents to Close the Interaction Loop with Groups of Zebrafish Danio Rerio
KR20170086904A (ko) 조립식 가구의 축소 모형 전개도를 포함한 포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