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680A -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680A
KR20200034680A KR1020200031754A KR20200031754A KR20200034680A KR 20200034680 A KR20200034680 A KR 20200034680A KR 1020200031754 A KR1020200031754 A KR 1020200031754A KR 20200031754 A KR20200031754 A KR 20200031754A KR 20200034680 A KR20200034680 A KR 20200034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ervice
terminal device
user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1822B1 (ko
Inventor
이의환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1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822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Abstract

본 출원은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of terminal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실행 중인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단말기는 동시에 두 가지 기능 또는 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는 멀티 태스킹(multi-tasking) 기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멀티 태스킹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음악 파일을 청취하는 도중에 메시지를 작성하여 송신하거나 사진 앨범을 검색할 수 있다.
다만, 멀티 태스킹을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경우, 제1 서비스는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고 나머지 제2 서비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서비스를 실행하는 도중에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제2 서비스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전환하고,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가 완료되면 다시 제2 서비스를 백그라운드로 전환하여 제1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제2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히, 제1 서비스가 내비게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중일 수 있으며, 운전 중에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선이 분산되어 사고발생의 위험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실행 중인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인가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보지 않는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인가할 수 있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이 인가된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입력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동일한 위치에 대해 설정시간 이상 입력이 인가되거나, 설정압력 이상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한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를 실행하기 전에, 상기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확인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확인객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확인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실행 중인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이 인가된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입력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일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실행 중인 복수의 서비스에 대한 개별적인 제어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인가하는 간단한 터치입력을 각각 대응하는 서비스에 대한 입력으로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단말장치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인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가 실행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및 음원 재생 서비스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확인 제스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말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서비스들을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지원할 수 있다. 단말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동단말기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단말장치는 앱 스토어(App store) 또는 플레이 스토어(Play store) 등에 접속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타 기기(미도시)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내비게이션 단말,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장치가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제1 서비스가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등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서 실행되고, 나머지 제2 서비스 등은 별도로 표시되지 않은 상태로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서비스를 실행하는 도중에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종래에는 사용자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제2 서비스를 포어그라운드로 전환하여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입력을 인가하였다. 이후,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가 완료되면 다시 제2 서비스를 백그라운드로 전환하고 제1 서비스를 포어 그라운드로 복귀시켰다.
즉, 단말장치는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으나,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제2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번거로운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단말장치가 이동단말기 등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나 입력장치의 종류 등이 제한되므로,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는 복수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100)는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인가하는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발화하는 음성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10)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단말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단말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 서비스의 실행화면 정보와,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정보,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입력부(110)에 구비된 터치패널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단말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110)로 기능하는 동시에, 단말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120)로 기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피커(미도시) 등을 더 포함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음성이나 음향 등의 소리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3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다른 단말장치나 서버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신부(130) 내에 이동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위치정보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인접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등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이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단말장치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 등이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GPS 모듈을 활용하여 GPS 위성(1)이 보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단말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40)는 단말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단말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및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등의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메모리(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태스킹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어부(150)는 차량의 경로 안내를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실행하는 동시에,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가 실행하는 복수의 서비스는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일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로 다른 서비스일 수 있다.
제어부(150)가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이 복수의 서비스 중 어느 서비스에 대한 입력인지를 각각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가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과,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을 구별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1 입력과 제2 입력의 입력방식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인가하는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터치입력이 일반적인 탭(tab), 드래그(drag), 스와이프(swipe),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인 경우에는 제1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내의 동일한 위치를 설정시간 이상 터치하는 롱 탭(long tap) 입력 등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롱 탭 입력의 경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정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제2 입력을 의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롱 탭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다만, 롱 탭 입력만으로는 제2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제어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롱 탭 입력과 연계하여 인가되는 입력을 포함하여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롱 탭 입력을 완성한 후, 좌측으로 드래그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롱 탭 입력 후 좌측으로의 드래그를 포함하여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롱 탭 입력 이후 인가하는 각각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는 롱 탭 입력 후 드래그를 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입력 등이 연계되어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제2 입력은 롱 탭 입력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입력과 구별되는 입력으로, 사용자가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의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터치 스크린을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터치하는 포스터치(force touch)의 경우,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설정압력 이상을 인가하여야 하므로, 제2 입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두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멀티터치나, 사용자가 드래그를 이용하여 원형이나 삼각형 등 특정한 형상을 그리는 입력도 제2 입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150)는 제2 입력으로 판별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제2 입력에 해당함을 알릴 수 있다. 예를들어, 롱 탭 입력시 설정시간 동안 터치를 유지한 경우나, 포스터치 입력시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이 인가된 경우 등에는, 단말장치(100)가 애니메이션이나 음향, 진동 등을 출력하여 제2 입력에 해당하는 요건을 만족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롱 탭 입력시, 사용자가 터치를 유지한 유지시간과 설정시간을 나타내는 게이지 바(gauge bar)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언제까지 터치를 유지해야하는지를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50)가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위치를 구별하여, 제1 입력과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에는 제1 입력영역과 제2 입력영역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제1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제1 입력으로 인식하고, 제2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영역은 터치스크린의 일부(예를 들어 좌측 하단의 버튼 또는 하단의 일 측면에 방사형 영역 등)로 설정하고, 제2 입력영역은 제1 입력영역을 제외한 터치스크린의 나머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영역을 아이콘이나 이미지 또는 색상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영역이 제1 입력영역에 해당함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음성인식서비스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대한 입력이 많이 필요하지 않는 서비스를 제1 서비스로 설정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 형성되는 제1 입력영역을 대응시킬 수 있다. 반면에, 빈번하게 입력을 인가하는 서비스의 경우에는, 제2 서비스로 설정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제2 입력영역을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영역과 제2 입력영역은, 터치스크린을 상하 또는 좌우로 분리하여 구분하거나, 각각 터치스크린 상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도록 하는 등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1 입력영역과 제2 입력영역을 복수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1 입력영역과 제2 입력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인가하는 타이밍에 따라, 제어부(150)가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구별하여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1 서비스가 음성인식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는 음성명령을 발화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는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 상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 제2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되어 실행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제어부(150)는 터치스크린에 인가하는 터치입력을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안내가 출력된 때로부터 설정되는 소정의 제한시간 동안에는, 터치스크린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안내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제어의 실행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제2 서비스에 불구하고, 음성안내가 출력된 후 일정한 제한시간 동안에는 터치입력을 제1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의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타이밍에 따라, 제1 입력과 제2 입력을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50)는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제2 서비스에 대하여도 편리하게 제어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번거롭게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를 백그라운드로 전환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실행하는 복수의 서비스들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차량의 주행경로를 알려주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음악, 팟캐스트(pod cast), 오디오북 등의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 서비스 등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서비스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2 서비스로 음원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가 실행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단말장치(100)는 차량에 대한 주행경로를 안내해주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미리 설정된 경로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탐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탐색된 경로를 지도 상에 매핑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후, GPS 위성(1) 등을 포함하는 GPS 시스템(Global Position System)을 통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를 확인한 후, 차량의 위치에 대응하는 경로 안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외에, 음원 재생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차량의 주행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구현되는 전용의 장치이거나, 차량 내에 매립되는 매립형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GPS 수신기 등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도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단말장치(100)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에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에이션을 실행하여 이동 단말기가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단말기에 음원 재생을 위한 음원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열거된 네트워크에 국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 공지의 전화 네트워크, 공지의 유선 또는 무선 텔레비전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실시간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는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에 저장된 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서버(200)가 경로탐색을 수행하고,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가 제공하는 주행경로에 따라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목적지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서비스 서버(200)로 경로탐색을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경로를 탐색하여 단말장치(100)에 주행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등을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말장치(100)로 지도정보, 실시간 교통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지도정보에는 업데이트된 도로나 건물, 시설물 등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간 교통정보는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도로의 정체여부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가 제공하는 지도정보, 교통정보 등을 활용하여, 주행경로를 탐색하여 최적의 주행경로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의 경로 탐색 요청에 대응하여, 서비스 서버(200)가 미리 결정된 경로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간의 주행경로를 탐색할 수 있으며, 탐색된 주행경로에 관한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서버(200)가 복수개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비스 서버(20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서비스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서비스 서버(200)는 단말장치(100)로 음원 스트리밍을 제공하여, 단말장치(100)가 음원 재생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게임, 디지털북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서버(200)가 제공하는 각각의 서비스를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사용자의 주행경로 등 주행정보가 표시되는 지도영역(m)과, 예상도착시간, 도착지까지 남은 거리 등의 상태정보(s)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0)가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음성인식기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음성인식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음성인식 아이콘(v)이 미리 설정된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인식 아이콘(v)은 좌측 하단부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0)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음성인식 아이콘(v)을 터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20) 내의 특정 영역을 음성인식 기능을 활성화하는 영역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음성인식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시에, 음원 재생 서비스를 추가로 더 제공받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를 추가로 실행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음성인식기능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도3(a)의 음성인식 아이콘(v)을 터치하여 단말장치(100)의 음성인식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도3(b)와 같이 음성인식기능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애니메이션(a)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애니메이션(a)을 통하여 음성인식기능이 활성화되었음을 확인한 후, 애니메이션(a)이 표시된 상태에서 음성을 발화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의 입력부(110)에는 마이크로폰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실행요청에 대응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원 재생 서비스에서 현재 실행 중인 음원의 제목, 가수 등을 나타내는 음원재생정보(p)가 표시되고, 단말장치(100)의 스피커를 통하여 해당 음원이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음원재생정보(p)는 상태정보(s)로 대체되어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음원 재생 서비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롱 탭 입력 또는 포스터치 입력 등을 이용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실행 중에 롱 탭 입력 또는 포스터치 입력을 인가하면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들이 방사형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목록 중에서 음원 재생 서비스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음원 재생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음원 재생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한 상태에서,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제공하는 주행경로를 확인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에 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입력이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입력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입력이 제1 서비스인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인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드래그하거나, 핀치 아웃(pinch out)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도(m)의 표시지역을 변경하거나 지도에 대한 줌 인 등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입력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현재 디스플레이부(120)에서 실행 중인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하여는 일반적인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드래그, 핀치 아웃 이외에, 탭, 핀치 인, 스와이프 등의 입력은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음원 재생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하는 중에, 출력되는 음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인 제2 서비스인 음원 재생 서비스에 대한 제어이므로, 사용자는 롱 탭 입력 등 제2 입력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10)에 터치를 인가하면 링 형상의 게이지 바에 사용자가 터치를 유지한 유지시간을 나타내는 게이지가 점차 차오를 수 있다. 여기서, 설정시간은 게이지가 전체 링 형상의 게이지 바를 전부 채울때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에 해당한다. 유지시간이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게이지 바 내부의 원이 전부 채워진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음향이나 진동 등을 출력하여 설정시간의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롱 탭과 연계하여 우측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는 연계된 입력을 포함하여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롱 탭 입력을 통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음원 재생 서비스에 대한 입력임을 확인하고, 이후 우측으로의 드래그를 통하여 "다음곡 재생"에 대한 요청임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롱 탭 입력 이후에 연계되어 인가되는 각각의 입력에 따라 음원 재생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롱탭 입력 이후, 좌측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이전곡 재생", 위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음량 증가", 아래로 드래그하는 경우는 "음량 감소" 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외에도, 롱탭 입력 이후 연계되는 다양한 입력을 이용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서비스 또는 음원 재생 서비스 등에 대한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는 각각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들어,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 경유지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팝업 메시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6에서는 팝업 메시지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장치(100)가 출력하는 음성안내를 통하여 경유지의 추가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팝업 메시지의 경우, 사용자가 팝업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말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로 시선을 옮겨야하므로, 주행 중인 사용자의 시선이 분산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팝업 메시지를 대신하여 음성안내로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청각을 이용하여 팝업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주행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팝업 메시지 또는 음성안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확인 제스처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경유지 추가 등의 실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차량을 운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단말장치(100)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확인 제스처를 입력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단말장치(100)의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출력 중인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입력가능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입력가능영역 내에 확인 제스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확인 제스처의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연속으로 두번 탭을 인가하는 더블 탭을 입력하거나,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체크 표시 등 특정 형상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확인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동시에 터치하는 멀티터치나 롱탭 입력, 포스터치 입력 등을 확인 제스처로 활용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서비스 실행단계(S10), 입력인식단계(S20) 및 서비스 제어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서비스 실행단계(S10)에서는, 단말장치가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단말장치는 복수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하는 멀티태스킹을 지원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단말장치는 제1 서비스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활성화할 수 있으며, 제2 서비스는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단말장치가 실행하는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는 다양한게 설정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서비스가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2 서비스가 음원 재생 서비스일 수 있다.
한편,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제2 서비스를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는,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에 대한 실행요청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단말장치는 제1 서비스의 실행 중에 음성인식을 통하여 제2 서비스에 대한 실행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실행요청에 대응하여 제2 서비스를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음성인식 아이콘에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인가하면, 단말장치는 음성인식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음성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제2 서비스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100)는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제2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입력인식단계(S2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입력을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과,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각의 터치 입력을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제1 입력과 제2 입력의 입력방식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탭(tab), 드래그(drag), 스와이프(swipe),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의 터치입력은 제1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현재 제1 서비스가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 등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제1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인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터치 입력의 경우에는 제1 입력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제1 서비스가 내비게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내에 인가되는 탭, 드래그, 스와이프, 핀치 인 또는 핀치 아웃을 내비게이션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인가하는 것은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므로, 사용자가 실제 제2 서비스에 대한 입력을 의도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은, 사용자가 동일한 위치에 설정시간 이상 터치를 유지하거나, 터치스크린에 설정압력 이상의 압력을 인가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입력을 인가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100)는 터치스크린에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제2 입력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입력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입력인식단계(S20)에서는 이들을 각각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제2 서비스가 음원 재생 서비스인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내에 인가되는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음원 재생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만,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만으로는 제2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제어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입력인식단계(S20)에서는 롱 탭 입력 또는 포스터치 입력과 연계하여 인가되는 입력을 더 포함하여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롱 탭 입력을 완성한 후, 좌측으로 드래그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는 롱 탭 입력 후 좌측으로의 드래그를 포함하여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을 통하여 해당 입력이 제2 입력에 관한 것임을 나타내고, 이후 롱 탭 입력 또는 포스터치 입력과 연계하여 인가되는 입력을 통하여 제2 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제어 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력인식단계(S20)에서는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이 입력가능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입력가능영역 내에 인가되는 터치 입력으로부터, 사용자가 인가하는 롱 탭 입력이나 포스터치 입력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비스가 내비게이션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는 차량을 운전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을 입력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터치스크린 중 어디를 이용하더라도 입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입력인식단계(S20)에서,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위치를 구별하여, 제1 입력과 제2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에는 제1 입력영역과 제2 입력영역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제1 입력으로 인식하고, 제2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영역은 터치스크린 하단의 일 측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제2 입력영역은 제1 입력영역을 제외한 터치스크린의 나머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입력영역을 아이콘이나 이미지 또는 색상 등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영역이 제1 입력영역에 해당함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실시예에 따라서는, 입력인식단계(S20)에서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터치입력을 인가하는 타이밍에 따라, 제1 입력 및 제2 입력을 구별하여 인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제1 서비스가 음성인식 서비스인 경우, 사용자는 음성명령을 발화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단말장치는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 상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 제2 서비스가 디스플레이되어 실행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에 인가하는 터치입력을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안내가 출력된 때로부터 설정되는 소정의 제한시간 동안에는, 터치스크린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안내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제어의 실행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승인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제2 서비스에 불구하고, 음성안내가 출력된 후 일정한 제한시간 동안에는 터치입력을 제1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단계(S30)에서는, 단말장치가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서비스가 내비게이션 서비스인 경우에는 제1 입력에 대응하여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제공하는 지도의 표시지역을 변경하거나 줌 인(zoon-in) 또는 줌 아웃(zoom-out)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비스가 음원 재생 서비스인 경우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음원 재생 서비스가 제공하는 음원의 재생순서나 음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제2 서비스에 대하여 편리하게 제어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번거롭게 제1 서비스와 제2 서비스를 포어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로 전환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어단계(S30)에서는,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실제 제어를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의 의사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는 팝업 메시지 또는 음성안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확인 제스처를 입력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제어의 실행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확인 제스처는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연속으로 두번 탭을 인가하는 더블 탭을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체크 표시 등 특정 형상을 인가하는 경우에, 확인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동시에 터치하는 멀티터치나 롱탭 입력, 포스터치 입력 등이 인가되는 경우를 확인 제스처가 입력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 GPS 위성 100: 단말장치
110: 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통신부 140: 메모리
150: 제어부 200: 서비스 서버
S10: 서비스 실행단계 S20: 입력인식단계
S30: 서비스 제어단계

Claims (10)

  1.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이 인가된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입력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제1 입력영역 및 제2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각각의 입력을 구별하고, 상기 제1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입력을 상기 제1 입력, 상기 제2 입력영역에 인가되는 입력을 상기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비스는 음성인식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이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영역에 대응하는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서비스의 음성인식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음성인식기능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상기 제1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4.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동일한 위치에 대해 설정시간 이상 입력이 인가되거나, 설정압력 이상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2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되면, 애니메이션, 음향 및 진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시간 이상 입력 또는 설정압력 이상의 입력이 인가된 후, 사용자가 이에 연계하여 인가하는 입력을 상기 제2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7. 복수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상기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각각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한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를 실행하기 전에, 상기 제어의 실행여부를 확인하는 확인객체를 출력하고, 상기 확인객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확인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입력은
    단말장치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인가하는 터치입력으로, 연속으로 두번 탭을 인가하는 더블 탭, 복수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동시에 터치하는 멀티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특정 형상을 그리는 터치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9.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실행 중인 서비스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서비스 및 제2 서비스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입력의 종류를 구별하여 상기 제1 서비스에 대한 제1 입력 또는 제2 서비스에 대한 제2 입력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각각의 제1 입력 또는 제2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서비스 또는 제2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이 인가된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입력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KR1020200031754A 2020-03-16 2020-03-16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KR10222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54A KR102221822B1 (ko) 2020-03-16 2020-03-16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754A KR102221822B1 (ko) 2020-03-16 2020-03-16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319A Division KR102091650B1 (ko) 2018-03-19 2018-03-19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680A true KR20200034680A (ko) 2020-03-31
KR102221822B1 KR102221822B1 (ko) 2021-03-03

Family

ID=7000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754A KR102221822B1 (ko) 2020-03-16 2020-03-16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8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384A (ko) * 2010-07-14 201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40105340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멀티 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384A (ko) * 2010-07-14 201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40105340A (ko) * 2013-02-22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멀티 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822B1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650B1 (ko)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US11573097B2 (en) Location-based features for commute assistant
US11745585B2 (en)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using widg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6062514B (zh) 便携式装置与车辆头端单元之间的交互
KR20200067798A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677627B (zh) 在触摸装置中提供多窗口的方法和设备
US20170185373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ode conversion method and sound system for controlling volume of speaker thereof
US201201799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con through grouping
EP2648396B1 (en) In-car inform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an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WO2014199893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のプログラム、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US20140033127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26132A (ko)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75226B1 (ko) 사용자 단말과 차량 단말 간 미러링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96895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이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8034265A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384054B1 (ko) 부가 기능 실행 중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전자기기 및 그 제어방법
TWI742421B (zh) 使用者介面整合方法和車載裝置
KR102221822B1 (ko) 단말장치의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장치
KR20150108617A (ko)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814332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のプログラム、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JP6309926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制御のプログラム、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CN110018764B (zh) 控制方法以及控制装置
KR20150108591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471619B1 (ko)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JP202012599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