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290A -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290A
KR20200034290A KR1020180113900A KR20180113900A KR20200034290A KR 20200034290 A KR20200034290 A KR 20200034290A KR 1020180113900 A KR1020180113900 A KR 1020180113900A KR 20180113900 A KR20180113900 A KR 20180113900A KR 20200034290 A KR20200034290 A KR 20200034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sub
pixels
dispos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096B1 (ko
Inventor
배종곤
김한여울
양병덕
한동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3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096B1/ko
Priority to US16/575,676 priority patent/US20200098835A1/en
Priority to PCT/KR2019/012129 priority patent/WO2020060218A1/en
Publication of KR2020003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the areas of the RGB subpixels being diffe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43Pixel structures with several sub-pixels for the same colour in a pixel, not specifically used to display grad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센서와 대응되는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타입 픽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2 타입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픽셀들 각각은 제1 적색 서브 픽셀,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제1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1 배열과,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2 배열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VISUAL RECOGNITION OF PARTIAL AREA OF DISPLAY}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보다 큰 화면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풀 프론트(full front) 디스플레이와 관련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풀 프론트 디스플레이가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에 실장될 경우, 전자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풀 프론트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의 정면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조도 센서, 근접 센서와 같은 각종 센서들이 전자 장치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센서들은 풀 프론트 디스플레이 배면에 배치되므로, 풀 프론트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풀 프론트 디스플레이 중 센서들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나머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픽셀들이 존재할 수 있다. 센서들은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된 영역을 통해 빛을 수신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풀 프론트 디스플레이 중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된 영역과 나머지 영역의 밝기는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된 영역은 상기 나머지 영역에 비해 어둡거나 검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된 영역을 인식할 수 있게 되고,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영역으로 인해 사용자는 이질감을 느낄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센서와 대응되는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타입 픽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2 타입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픽셀들 각각은 제1 적색 서브 픽셀,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제1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1 배열과,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2 배열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외부 센서와 대응되는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타입 픽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2 타입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픽셀들 각각은 제1 적색 서브 픽셀,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제1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1 배열과,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2 배열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비교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은 비교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은 비교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 및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교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 및 센서(예: 카메라,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디스플레이(11)는 비교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의 정면 중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센서는 디스플레이(11)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는 디스플레이(11) 배면에 배치되므로, 비교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 밖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는 디스플레이(11)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1) 중 센서에 대응되는 영역(11a)에 배치된 단위 면적 당 픽셀들의 수(또는 해상도)는 나머지 영역(11b)에 비해 적을 수 있다. 센서는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된 영역(11a)을 통해 빛을 수신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비교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1)중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된 영역(11a)과 나머지 영역(11b)의 밝기는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된 영역(11a)은 나머지 영역(11b)에 비해 어둡거나 검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된 영역(11a)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 및 센서(예: 도 2의 160)(예: 카메라,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생체 센서, 지문 센서, IR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전자 장치(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센서(160)는 디스플레이(13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160)는 디스플레이(130) 배면에 배치되어, 전자 장치(100) 밖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160)는 디스플레이(13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30) 중 센서(160)에 대응되는 영역(이하 제1 영역(130a))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160)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빛을 수신하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예: 사진을 촬영)하거나 외부 물체를 센싱(예: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130a)과 나머지 영역(이하 제2 영역(130b)의 밝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되어, 제1 영역(130a)와 제2 영역(130b)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130a)에 배치된 픽셀들의 크기는 제2 영역(130b)에 배치된 픽셀들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1 영역(130a)에 배치된 픽셀들의 크기가 제2 영역(130b)에 배치된 픽셀들의 크기보다 크므로, 제1 영역(130a)에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되더라도,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는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가 거의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제1 영역(130a)을 제2 영역(130b)과 시각적으로 다르게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예: 시각적으로 유사하게 인식).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130a)에 배치된 픽셀들의 밝기는 제2 영역(130b)에 배치된 픽셀들의 밝기보다 밝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130a)에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되더라도,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는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가 거의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제1 영역(130a)을 제2 영역(130b)과 시각적으로 다르게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예: 시각적으로 유사하게 인식).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A-A´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housing), 커버 글래스(120)(cover glass), 디스플레이(130), 인쇄 회로 기판(140), 프로세서(150), 및 센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130), 인쇄 회로 기판(140) 등이 실장될 수 있고, 하우징(110)은 상기 구성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 글래스(120)는 디스플레이(130)에 의해 생성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글래스(120) 상에서 사용자는 신체의 일부(예: 손가락)를 접촉하여 터치(전자 펜을 이용한 접촉을 포함함)를 수행할 수 있다. 커버 글래스(120)는, 예컨대, 강화 유리, 강화 플라스틱 또는 구부러질 수 있는(flexible) 고분자 소재 등을 적어도 일부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 글래스(120)는 글래스 윈도우(glass window)로도 참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전자 장치(100)의 각종 전자 부품, 소자, 인쇄회로 등을 실장(moun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140)은 AP(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 메모리(memory) 등을 실장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인쇄 회로 기판(140)은 PCB(printed circuit board), 메인보드, 또는 PBA(printed board assembly)로 참조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예: AP)는 인쇄 회로 기판(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부품들(예: 디스플레이(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160)는 프로세서(150)와 지정된 배선(예: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160)는 제1 영역(130a)을 통해 사진을 촬영하거나,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산출하거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센서(160)는 카메라,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등으로 참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편광층(131)(polarizer), 봉지층(132)(encapsulation layer), 기판(133), 제1 타입 픽셀들(134a) 또는제2 타입 픽셀들(134b)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층(131)(또는, 편광 필름)은 커버 글래스(120)를 통해 입력된 빛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층(131)은 수직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시키고 수평으로 진동하는 빛은 차단할 수 있다.
봉지층(132)은 편광층(131)과 기판(1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32)은 기판(133) 상에 배치되는 픽셀들(134a, 134b)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봉지층(132)은 박막 봉지 필름(thin film encapsulation; TFE) 또는 캡슐 글래스(encapsulation glass)로 참조될 수 있다.
기판(133)에는 복수의 배선들 및 복수의 픽셀들(134a, 134b)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33)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ate lines),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ata lines)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픽셀들(134a, 134b)은 상기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부터 공급되는 신호들에 기초하여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판(133)은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판(133)은 제1 영역(130a) 및 제2 영역(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30a)은 기판(133) 중 센서(160)에 대응되는 영역을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영역(130b)은 기판(133) 중 제1 영역(130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130a)에는 제1 타입 픽셀들(134a)이 배치될 수 있고, 제2 영역(130b)에는 제2 타입 픽셀들(134b)이 배치될 수 있다. 센서(160)는 제1 타입 픽셀들(134a) 사이로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센서(160)는 제1 타입 픽셀들(134a) 사이로 빛을 수신하여 사진을 촬영하거나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130a)과 나머지 영역(이하 제2 영역(130b))의 밝기는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타입 픽셀들(134a)의 크기는 제2 타입 픽셀들(134b)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제1 타입 픽셀들(134a)의 크기가 제2 타입 픽셀들(134b)의 크기보다 크므로, 제1 영역(130a)에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되더라도,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는 거의 유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되어, 제1 영역(130a)와 제2 영역(130b)가 시각적으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제1 타입 픽셀들(134a)이 제2 타입 픽셀들(134b) 보다 밝게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130a)에 적은 수의 픽셀들이 배치되더라도,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는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가 거의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제1 영역(130a)을 제2 영역(130b)과 시각적으로 다르게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예: 시각적으로 유사하게 인식).
본 문서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들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제1 타입 픽셀들(134a)의 구조 및 제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일부 영역(200)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계(step 1)에서 제1 영역(130a) 및 제2 영역(130b)에는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 각각은 적색 서브 픽셀(예: R2), 녹색 서브 픽셀(예: G2), 청색 서브 픽셀(예: B2), 및 녹색 서브 픽셀(예: 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30a) 및 제2 영역(130b)에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영역(130a) 중 제1 방향(①)으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이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이 제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영역(130a)에는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이 존재할 수 있다.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이 제거된 상태에서,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의 위치에 제1 타입 픽셀들(321, 322, 323, 324)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 중 일부는 적색 서브 픽셀(예: R1)로 대체되고, 각 서브 픽셀들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이 제거되면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만 존재하게 되므로 제1 영역(130a)의 색상은 청록색(cyan)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 중 일부를 적색 서브 픽셀(예: R1)로 대체함으로써 제1 영역(130a)의 색상이 청록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단계(step 2)에서 제1 타입 픽셀들(321, 322, 323, 324)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1, B1, G1)은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2, B2, G2) 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제1 타입 픽셀들(321, 322, 323, 324)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1, B1, G1)은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2, B2, G2) 보다 2배 이상 클 수 있다. 제1 타입 픽셀들(321, 322, 323, 324)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1, B1, G1)은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2, B2, G2) 보다 크므로, 제1 영역(130a)에 적은 수의 서브 픽셀들(또는 픽셀들)이 배치되더라도,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는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가 거의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제1 영역(130a)을 제2 영역(130b)과 시각적으로 다르게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예: 시각적으로 유사하게 인식).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160)는 제1 타입 픽셀들(321, 322, 323, 324)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1, B1, G1) 사이(예: 330)로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60)가 카메라일 경우, 카메라는 서브 픽셀들 사이(예: 330)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센서(160)가 근접 센서(160)일 경우, 근접 센서(160)는 서브 픽셀들 사이(예: 330)로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영역(130a)이 사각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영역(130a)의 형상은 센서(16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60)가 육각형일 경우 제1 영역(130a) 또한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서브 픽셀이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서브 픽셀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제1 타입 픽셀들(321, 322, 323, 324)에 포함되는 각각의 서브 픽셀들은 제1 적색 서브 픽셀(예: R1), 제1 청색 서브 픽셀(예: B1), 및 제1 녹색 서브 픽셀(예: G1)로 참조될 수 있다.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에 포함되는 각각의 서브 픽셀들은 제2 적색 서브 픽셀(예: R2), 제2 청색 서브 픽셀(예: B2), 및 제2 녹색 서브 픽셀(예: G2)로 참조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픽셀들(134a)의 구조 및 제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일부 영역(200)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a 단계(step a)에서 제1 영역(130a) 및 제2 영역(130b)에는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 각각은 적색 서브 픽셀(예: R2), 녹색 서브 픽셀(예: G2), 청색 서브 픽셀(예: B2), 및 녹색 서브 픽셀(예: 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30a) 및 제2 영역(130b)에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영역(130a) 중 제2 방향(②)으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이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이 제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영역(130a)에는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이 존재할 수 있다.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이 제거된 상태에서,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의 위치에 제1 타입 픽셀들(411, 412, 413, 414)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 중 일부는 청색 서브 픽셀(예: B1)로 대체되고, 각 서브 픽셀들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이 제거되면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과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만 존재하게 되므로 제1 영역(130a)의 색상은 노르스름(yellowish)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 중 일부를 청색 서브 픽셀(예: B1)로 대체함으로써 제1 영역(130a)의 색상이 노르스름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 단계(step b)에서 제1 타입 픽셀들(411, 412, 413, 414)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1, B1, G1)은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2, B2, G2) 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제1 타입 픽셀들(411, 412, 413, 414)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1, B1, G1)은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2, B2, G2) 보다 2배 이상 클 수 있다. 제1 타입 픽셀들(411, 412, 413, 414)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1, B1, G1)은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2, B2, G2) 보다 크므로, 제1 영역(130a)에 적은 수의 서브 픽셀들(또는 픽셀들)이 배치되더라도,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는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가 거의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제1 영역(130a)을 제2 영역(130b)과 시각적으로 다르게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예: 시각적으로 유사하게 인식).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160)는 제1 타입 픽셀들(411, 412, 413, 414)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1, B1, G1) 사이(예: 420)로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60)가 카메라일 경우, 카메라는 서브 픽셀들 사이(예: 420)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센서(160)가 근접 센서(160)일 경우, 근접 센서(160)는 서브 픽셀들 사이(예: 420)로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 픽셀들(134a)의 구조 및 제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일부 영역(200)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ⅰ단계에서 제1 영역(130a) 및 제2 영역(130b)에는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 각각은 적색 서브 픽셀(예: R2), 녹색 서브 픽셀(예: G2), 청색 서브 픽셀(예: B2), 및 녹색 서브 픽셀(예: 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30a) 및 제2 영역(130b)에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영역(130a) 중 제3 방향(③)으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이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이 제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영역(130a)에는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과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이 존재할 수 있다.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이 제거된 상태에서,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과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의 위치에 제1 타입 픽셀들(511, 512, 513, 514)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 및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 중 일부는 녹색 서브 픽셀들(예: G1)로 대체되고, 각 서브 픽셀들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녹색 서브 픽셀들(예: G2)이 제거되면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과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만 존재하게 되므로 제1 영역(130a)의 색상은 밝은 자주색(magenta)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색 서브 픽셀들(예: R2) 및 청색 서브 픽셀들(예: B2) 중 일부를 녹색 서브 픽셀(예: G1)로 대체함으로써 제1 영역(130a)의 색상이 밝은 자주색으로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ⅱ 단계(step ⅱ)에서 제1 타입 픽셀들(511, 512, 513, 514)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1, B1, G1)은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2, B2, G2) 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제1 타입 픽셀들(511, 512, 513, 514)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1, B1, G1)은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2, B2, G2) 보다 2배 이상 클 수 있다. 제1 타입 픽셀들(511, 512, 513, 514)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1, B1, G1)은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예: R2, B2, G2) 보다 크므로, 제1 영역(130a)에 적은 수의 서브 픽셀들(또는 픽셀들)이 배치되더라도,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는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가 거의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제1 영역(130a)을 제2 영역(130b)과 시각적으로 다르게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예: 시각적으로 유사하게 인식).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160)는 제1 타입 픽셀에 포함되는 서브 픽셀들 사이(예: 520)로 빛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60)가 카메라일 경우, 카메라는 서브 픽셀들 사이(예: 520)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센서(160)가 근접 센서(160)일 경우, 근접 센서(160)는 서브 픽셀들 사이(예: 520)로 외부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거되는 서브 픽셀들의 개수에 비례하여 남겨진 서브 픽셀들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거되는 서브 픽셀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남겨진 서브 픽셀들의 크기를 더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ⅰ단계에서 제1 영역(130a) 및 제2 영역(130b)에는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 각각은 적색 서브 픽셀(예: R2), 녹색 서브 픽셀(예: G2), 청색 서브 픽셀(예: B2), 및 녹색 서브 픽셀(예: G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30a) 및 제2 영역(130b)에 제2 타입 픽셀들(311, 312, 313)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영역(130a) 중 제3 방향(③)으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예: G2)이 제거될 수 있다. 제3 방향으로 제거된 서브 픽셀들(예: G2)의 개수가 많을수록 적색 서브 픽셀(예: R2) 및 청색 서브 픽셀(예: B2)의 크기를 증가시켜 제1 영역(130a)에 배치할 수 있다. 제거된 서브 픽셀들의 개수에 비례하여 남겨진 서브 픽셀들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제1 영역(130a)과 제2 영역(130b)의 밝기가 거의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제1 영역(130a)을 제2 영역(130b)과 시각적으로 다르게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예: 시각적으로 유사하게 인식).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센서와 대응되는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타입 픽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2 타입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픽셀들 각각은 제1 적색 서브 픽셀,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제1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1 배열과,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2 배열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 각각은 서로 다른 라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과,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과,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면적 당 상기 제1 타입 픽셀들이 배치된 개수와 상기 단위 면적 당 상기 제2 타입 픽셀들이 배치된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지정된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상기 지정된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상기 지정된 배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픽셀들이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보다 밝게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영역 중 지정된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빛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센서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빛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빛에 기반하여 외부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센서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빛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조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외부 센서와 대응되는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타입 픽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2 타입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픽셀들 각각은 제1 적색 서브 픽셀,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제1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1 배열과,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2 배열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 각각은 서로 다른 라인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과,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과,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위 면적 당 상기 제1 타입 픽셀들이 배치된 개수와 상기 단위 면적 당 상기 제2 타입 픽셀들이 배치된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지정된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상기 지정된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상기 지정된 배수 이상일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600)에서 전자 장치(6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 1 네트워크(6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6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604) 또는 서버(6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는 서버(608)를 통하여 전자 장치(6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는 프로세서(620), 메모리(630), 입력 장치(650), 음향 출력 장치(655), 표시 장치(660), 오디오 모듈(670), 센서 모듈(676), 인터페이스(677), 햅틱 모듈(679), 카메라 모듈(680), 전력 관리 모듈(688), 배터리(689), 통신 모듈(690), 가입자 식별 모듈(696), 또는 안테나 모듈(6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6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660) 또는 카메라 모듈(6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6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6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6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620)에 연결된 전자 장치(6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6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676) 또는 통신 모듈(6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6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6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6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620)는 메인 프로세서(6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6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623)은 메인 프로세서(6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623)는 메인 프로세서(6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6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6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6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6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621)와 함께, 전자 장치(6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660), 센서 모듈(676), 또는 통신 모듈(6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6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680) 또는 통신 모듈(6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630)는, 전자 장치(6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620) 또는 센서모듈(6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6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휘발성 메모리(6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6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640)은 메모리(6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642), 미들 웨어(644) 또는 어플리케이션(6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650)는, 전자 장치(6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6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6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6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6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6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6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660)는 전자 장치(6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6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6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6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670)은, 입력 장치(6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655), 또는 전자 장치(6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676)은 전자 장치(6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6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677)는 전자 장치(6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6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6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6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6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6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6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6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688)은 전자 장치(6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689)는 전자 장치(6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6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690)은 전자 장치(6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602), 전자 장치(604), 또는 서버(6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690)은 프로세서(6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690)은 무선 통신 모듈(6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6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6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692)은 가입자 식별 모듈(6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698)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6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6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6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698) 또는 제 2 네트워크(6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6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6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699)에 연결된 서버(608)를 통해서 전자 장치(601)와 외부의 전자 장치(6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602, 604) 각각은 전자 장치(6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602, 604, or 6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6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6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6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6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660)(예: 도 2의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7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DI)(7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730)는 인터페이스 모듈(731), 메모리(733)(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735), 또는 맵핑 모듈(7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7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731)을 통해 전자 장치 6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620)(예: 메인 프로세서(6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6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6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730)는 터치 회로(750) 또는 센서 모듈(6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7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7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7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7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7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737)은 이미지 처리 모듈(6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7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7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7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660)는 터치 회로(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750)는 터치 센서(7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7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7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7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7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753)는 디스플레이(7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7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6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7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7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730), 또는 디스플레이(710)의 일부로, 또는 표시 장치(6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6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660)는 센서 모듈(6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표시 장치(6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710) 또는 DDI(730)) 또는 터치 회로(7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6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6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7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표시 장치(6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6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7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751) 또는 센서 모듈(676)은 디스플레이(7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6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636) 또는 외장 메모리(6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6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6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6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센서와 대응되는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타입 픽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2 타입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픽셀들 각각은 제1 적색 서브 픽셀,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제1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1 배열과,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2 배열은 서로 다른,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 각각은 서로 다른 라인 상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과,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은 서로 다른,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과,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은 서로 다른,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위 면적 당 상기 제1 타입 픽셀들이 배치된 개수와 상기 단위 면적 당 상기 제2 타입 픽셀들이 배치된 개수는 서로 다른,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지정된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상기 지정된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상기 지정된 배수 이상인,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픽셀들이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보다 밝게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중 지정된 영역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빛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빛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빛에 기반하여 외부 물체와 상기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빛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외부 조도 값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14.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외부 센서와 대응되는 제1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1 타입 픽셀들,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중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제2 타입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 픽셀들 각각은 제1 적색 서브 픽셀,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제1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보다 작은 제2 녹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1 배열과,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들이 배치된 제2 배열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 각각은 서로 다른 라인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과,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 및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과,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이 배치된 라인은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단위 면적 당 상기 제1 타입 픽셀들이 배치된 개수와 상기 단위 면적 당 상기 제2 타입 픽셀들이 배치된 개수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픽셀들 각각은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20.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적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지정된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1 청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청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상기 지정된 배수 이상이고
    상기 제1 녹색 서브 픽셀의 크기는 상기 제2 녹색 서브 픽셀의 크기 보다 상기 지정된 배수 이상인, 디스플레이.
KR1020180113900A 2018-09-21 2018-09-21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578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900A KR102578096B1 (ko) 2018-09-21 2018-09-21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6/575,676 US20200098835A1 (en) 2018-09-21 2019-09-19 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phenomenon of visual recognition in partial area of display
PCT/KR2019/012129 WO2020060218A1 (en) 2018-09-21 2019-09-19 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phenomenon of visual recognition in partial area of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900A KR102578096B1 (ko) 2018-09-21 2018-09-21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90A true KR20200034290A (ko) 2020-03-31
KR102578096B1 KR102578096B1 (ko) 2023-09-14

Family

ID=6988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900A KR102578096B1 (ko) 2018-09-21 2018-09-21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98835A1 (ko)
KR (1) KR102578096B1 (ko)
WO (1) WO202006021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269A1 (ko) * 2021-04-19 2022-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난반사 구조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38878B2 (en) 2020-07-30 2022-1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569300B2 (en) 2021-03-23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877477B2 (en) 2020-08-26 2024-01-1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75910A1 (en) * 2015-03-20 2016-09-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20160351116A1 (en) * 2014-12-30 2016-12-0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Pixel structur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and related display apparatus
US20170193880A1 (en) * 2016-01-05 2017-07-06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device
WO2017164680A1 (ko) * 2016-03-24 201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2166B2 (ja) * 2008-03-19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5329938B2 (ja) * 2008-12-17 2013-10-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センサ部内蔵画像表示装置
US9437132B2 (en) * 2011-11-30 2016-09-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internal component
KR20150064337A (ko) * 2013-12-03 2015-06-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6717B1 (ko) * 2016-12-12 2023-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생체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51116A1 (en) * 2014-12-30 2016-12-0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Pixel structur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and related display apparatus
US20160275910A1 (en) * 2015-03-20 2016-09-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20170193880A1 (en) * 2016-01-05 2017-07-06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device
WO2017164680A1 (ko) * 2016-03-24 201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가진 전자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8878B2 (en) 2020-07-30 2022-1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758765B2 (en) 2020-07-30 2023-09-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877477B2 (en) 2020-08-26 2024-01-1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11569300B2 (en) 2021-03-23 2023-01-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2225269A1 (ko) * 2021-04-19 2022-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난반사 구조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0218A1 (en) 2020-03-26
US20200098835A1 (en) 2020-03-26
KR102578096B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2400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10916200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scan driver for driving display panel in which empty area enclosed by display area is formed
US20200342202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fingerprint using display
CN111699525B (zh) 用于补偿显示器的颜色的电子设备
US11330743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tructure for protecting display driver from static electricity
KR102578096B1 (ko) 디스플레이 중 일부 영역이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400628B1 (ko) 누설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전자 장치
US2019031209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endable display
KR20190132774A (ko) 디스플레이의 균열을 확인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00040597A (ko) 터치 입력의 종류에 기반하여 터치 입력 조건을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98474A (ko)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2171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for reducing leakage current
US1131552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brightness control of electronic device
KR102563828B1 (ko) 픽셀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867547B2 (en) Method for driving plurality of pixel lin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20111760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display burn-in
KR20200101100A (ko) 디스플레이 내에 배치된 센서에 인접한 픽셀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102555375B1 (ko) 디스플레이의 엣지 영역에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밝기를 변경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1238771B2 (en) Display driver circuit for synchronizing output timing of images in low power state
US11627211B2 (en) Electronic device for improving sensitivity of sensor
US202301141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synchronization method based on display driving signal in electronic device
KR20220164431A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