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166A -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166A
KR20200034166A KR1020180113573A KR20180113573A KR20200034166A KR 20200034166 A KR20200034166 A KR 20200034166A KR 1020180113573 A KR1020180113573 A KR 1020180113573A KR 20180113573 A KR20180113573 A KR 20180113573A KR 20200034166 A KR20200034166 A KR 20200034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martphone
earphone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혜
Original Assignee
송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혜 filed Critical 송지혜
Priority to KR102018011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4166A/ko
Publication of KR2020003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스마트폰을 통하여 게임, 음악청취, 방송시청, 개인방송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고, 동일 스마트폰으로 청취와 동시에 녹음을 하고 싶을 때가 있다.
현재는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동시에 녹음를 하기 위해서는 이어폰이나 외장스피커를 사용할 수가 없다. 스마트폰내의 대부분 녹화앱들은 마이크를 통한 소리만 녹음이 가능하도록 동작을 하고, 특별히 스마트폰 내부음을 녹음할 수 있는 앱은 스피커로 소리를 내보내지 않는다. 따라서 스마트폰내에서 발생된 오디오를 동일한 스마트폰에 녹음하기 위해서는 이어폰이나 외부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녹음해야만 하고, 이 경우에는 외부에 노출된 스마트폰 내장 마이크를 이용하기에 원하지 않는 소리까지 같이 녹음되고 원음이 깨끗하지 않게 녹음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스마트폰에 이어폰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의 내장스피커와 내장마이크 대신에 이어폰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 자체 발생한 오디오를 이어폰으로 들으면서 동시에 그 동일 오디오를 마이크 신호음으로 바꾸어 동일 스마트폰의 마이크 신호로 보내 녹음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녹음(가공)가능하도록 하고, 마이크 신호를 차단가능하게 하여 스마트폰 내부음을 들으며 녹음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하여 컴퓨터나 오디오와 같은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단 하나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노래연습, 어학공부, 게임방송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 Cables and methods that allow audio from a smartphone to be recorded on the same smartphone while listening to earphone }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에서 소리(음악 등)를 이어폰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마이크음과 함께 (동일 스마트폰에서) 녹음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스마트폰 이용이 늘어남에 따라, 스마트폰으로 게임, 음악청취, 방송시청, 개인방송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폰 사용 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하고 싶을 때가 있지만,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에 녹음과 청취를 동시에 할 수 없다.
스마트폰에 이어폰잭을 연결하면, 상기 스마트폰의 내장스피커와 내장마이크 대신, 이어폰(또는 외장스피커)을 사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에서 녹음를 하기 위해서는 이어폰이나 외장스피커를 사용할 수가 없다. 스마트폰 내의 대부분 녹화/녹음앱들은 마이크를 통한 소리만 녹음이 가능하도록 동작하고, 특별히 스마트폰 내부음을 녹음할 수 있는 앱은 스피커로 소리를 내보내지 않는다.
따라서 스마트폰 내에서 발생한 오디오를 동일한 스마트폰에서 녹음하기 위해서는 이어폰이나 외부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녹음해야만 한다. 즉, 동일 스마트폰으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노출된 스마트폰 내장 마이크를 이용해야만 하고, 그 때문에 원하지 않는 외부소리까지 함께 녹음이 되어, 원음이 깨끗하지 않게 녹음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기능적인 문제 때문에, 이어폰(외장 스피커)의 유무와 관계 없이, 스마트폰 자체에서 발생한 오디오를 동일 스마트폰으로 청취와 동시에 녹음(또는 가공)을 하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 자체에서 발생한 오디오를 이어폰으로 들으면서, 동시에 그 동일 오디오를 마이크 신호음으로 바꾸어 동일 스마트폰의 마이크 신호에 더하여 녹음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녹음(가공)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마이크 신호를 차단 가능하게 하여 스마트폰 내부음만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마이크 신호는 오디오 신호에 비해 아주 미세하기 때문에 단순히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를 합해서 마이크 신호로 보내 녹음을 하면 오디오만 크게 녹음이 된다. 이 때 마이크음이 녹음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아주 작게 녹음 되어, 녹음이 되지 않는 것으로 착각하여 오디오와 마이크음을 합해서 녹음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왔다. 하지만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 신호 정도 크기로 감쇄한 후에 오디오 신호과 마이크 신호을 합하여 녹음을 하면 오디오과 마이크음이 둘 다 비슷한 크기로 녹음이 된다. 이 원리를 스마트폰 자체의 오디오 신호와 동일 스마트폰으로 보내지는 마이크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컴퓨터나 오디오와 같은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하나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노래연습, 어학공부, 게임방송 등 청취와 녹음이 동시에 필요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은 스마트폰(31)과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를 주고 받는 스마트폰연결잭(11)과; 이어폰(51)과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를 주고 받는 이어폰연결잭(12)과; 상기 스마트폰(31) 외에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고 마이크 신호 처리를 제공하는 보조폰(32)과 연결을 위한 보조폰연결잭(19)과; 상기 이어폰(51)이 존재하지 않는 때 사용을 위한 마이크장치(18)와; 상기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와; 상기 이어폰(51)과 마이크장치(18)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 신호로 바꿔주는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와; 마이크 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신호로 만드는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와; 상기 스마트폰(31)과 블루투스 통신을 하여 오디오 및 마이크 신호를 주고받는 블루투스수신장치(21)와; 상기 이어폰(51)과 블루투스 통신을 하여 오디오 및 마이크 신호를 주고받는 블루투스송신장치(22); 스마트폰연결잭(11)과 보조폰연결잭(19)과 블루투스수신장치(21)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로 보내고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와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스마트폰연결잭(11)과 보조폰연결잭(19)과 블루투스수신장치(21)와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로 보내는 스마트폰제어장치(13)와;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와 또는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연결잭(12)과 블루투스송신장치(22)로 보내고 이어폰연결잭(12)과 블루투스송신장치(22)와 마이크장치(18)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으로 보내는 이어폰제어장치(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 신호는 오디오 신호에 비해 아주 미세하기 때문에 단순히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를 합해서 마이크 신호로 보내 녹음을 하면 오디오만 크게 녹음이 된다. 이 때 마이크음이 녹음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아주 작게 녹음 되어, 녹음이 되지 않는 것으로 착각하여 오디오와 마이크음을 합해서 녹음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왔다. 하지만 오디오감쇄장치(17)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 신호 정도 크기로 감쇄한 후에 오디오와 마이크음을 합하여 녹음을 하면 오디오와 마이크음이 둘 다 비슷한 크기로 녹음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원리를 스마트폰 자체의 오디오 신호와 동일 스마트폰으로 보내지는 마이크 신호에 적용하여 본 발명의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을 고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의 핵심 기능은 이어폰(51)으로 가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한 오디오 신호가 오신호감쇄장치(17)에 의해 마이크 신호가 새롭게 생성되고 스마트폰제어장치(12)를 통해 이어폰(51)로부터의 마이크 신호와 함께 스마트폰(51)으로 보내어 이어폰(51)으로 청취하며 동일 스마트폰(31)으로 동시에 녹음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오디오를 이어폰으로 들으며 동일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에 더하여 동일 스마트폰으로 보낼 수 있어 스마트폰 하나로 동일 오디오를 녹음을 하거나 개인방송(유튜브, USTREAM, 판도라TV, 아프리카TV 등의 개인방송)을 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원하는 형태의 비중으로 조절하여 스마트폰의 마이크 신호로 보내 활용 할 수 있다. 기존에는 녹음이나 방송을 하기 위해서 스마트폰외에 별도의 PC와 같은 장비를 추가해야만 했지만, 이 장치는 별도의 장비 없이 그런 활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보조폰을 추가하면, 보조폰의 역할에 따라 이어폰으로 청취하며 편리하게 스마트폰에 녹음을 하거나 방송을 할 수 있다.
도 1은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와 이어폰(51)과 마이크장치(18)로부터 시작되는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의 흐름이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2는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에 의해 생기는 오디오 신호 및 마이크 신호가 표시되어 있다.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에 의해서 마이크 신호가 새롭게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3은 마이크장치(18)과 이어폰(51)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 신호에 의해 생기는 마이크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흐름이 표시되어 있다.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에 의해서 오디오 신호가 새롭게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본 형태 구성으로 오디오 신호 및 마이크 신호의 흐름이 표시되어 있다.
도 5는 고정저항, 가변저항, 콘덴서, 스위치, 4극암단자, 4극수단자 등의 부품으로 전원없이 동작하도록 만든 실제 테스트 발명품의 모습.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크 신호는 오디오 신호에 비해 아주 미세하기 때문에 단순히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를 합해서 마이크 신호로 보내 녹음을 하면 오디오만 크게 녹음이 된다. 이 때 마이크음이 녹음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아주 작게 녹음 되어, 녹음이 되지 않는 것으로 착각하여 오디오와 마이크음을 합해서 녹음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왔다. 하지만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 신호 정도 크기로 감쇄한 후에 오디오와 마이크음을 합하여 녹음을 하면 오디오와 마이크음이 둘 다 비슷한 크기로 녹음이 된다. 이 원리를 스마트폰 자체의 오디오 신호와 동일 스마트폰으로 보내지는 마이크 신호에 적용하면,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오디오를 이어폰으로 청취하면서 동시에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오디오와 이어폰으로부터의 마이크음 함께 마이크 신호로 만들어 동일 스마트폰에 보내 오디오와 마이크음을 동일 스마트폰에서 녹음을 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가 표시되어 있고, 오디오 신호 및 마이크 신호의 흐름이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10)은 스마트폰(31)과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를 주고 받는 스마트폰연결잭(11)과; 이어폰(51)과 연결하여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를 주고 받는 이어폰연결잭(12)과; 상기 스마트폰(31) 외에 별도의 오디오 신호를 발생시키고 마이크 신호 처리를 제공하는 보조폰(32)과 연결을 위한 보조폰연결잭(19)과; 상기 이어폰(51)이 존재하지 않는 때 사용을 위한 마이크장치(18)와; 상기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와; 상기 이어폰(51)과 마이크장치(18)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 신호로 바꿔주는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와; 마이크 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신호로 만드는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와; 상기 스마트폰(51)과 블루투스 통신을 하여 오디오 및 마이크 신호를 주고받는 블루투스수신장치(21)와; 상기 이어폰(51)과 블루투스 통신을 하여 오디오 및 마이크 신호를 주고받는 블루투스송신장치(22)와; 스마트폰연결잭(11)과 보조폰연결잭(19)과 블루투스수신장치(21)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로 보내고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와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스마트폰연결잭(11)과 보조폰연결잭(19)과 블루투스수신장치(21)와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로 보내는 스마트폰제어장치(13)와;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와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연결잭(12)과 블루투스송신장치(22)로 보내고 이어폰연결잭(12)과 블루투스송신장치(22)와 마이크장치(18)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로 보내는 이어폰제어장치(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마트폰연결잭(11), 이어폰연결잭(12), 보조폰연결잭(19)은 스마트폰(31), 이어폰(51), 보조폰(32)를 발명장치(10)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폰연결잭(19)은 보조폰(32)과 연결을 하여 상기 보조폰(32)으로부터의 오디오를 스마트폰제어장치(13)에 보내고, 스마트폰제어장치(13)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보조폰(32)에 보내는 역할을 한다. 본발명품(10)에서 보조폰(32)의 역할의 몇가지 예를 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로는 보조폰(32)의 자체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제어장치(13)에 보내 오디오 신호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이고, 둘째로는 이어폰(51) 및 마이크장치(18)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신호로 증폭하여 오디오 신호로 다시 스마트폰제어장치(13)로 보내 마이크증폭장치 역할을 하는 것이고, 세번째로는 보조폰이 다른 전화기와 연결되어 이어폰(51) 및 마이크(18)으로부터의 마이크음을 상대방에게 보내고 상대방으로 부터의 오디오를 스마트폰제어장치(13)으로 보내는 '통화하는 전화기' 역할을 하고, 네번째로는 스마트폰(31)로 보내지는 마이크 신호와 동일한 마이크 신호를 수신 증폭하여 오디오 신호로 바꾸어 별도의 이어폰을 통하여 청취할 수 있게 하는 역할 이 있다.
마이크장치(18)는 이어폰(51)이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장치이며, 이어폰제어장치(12)에서 이 마이크장치(18)의 사용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와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는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의 각각에 대한 크기를 조절하여 이어폰(51)의 오디오 신호로 보내지고 스마트폰(31)와 보조폰(32)의 마이크 신호로 보내지도록 한다.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는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 신호로 만들어주어, 스마트폰에서 마이크 신호로 받아들이도록 해 주며,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는 감쇄된 마이크 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는 스마트폰(31)으로 보내지는 마이크 신호와 동일한 마이크 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신호로 바꿔 이어폰(51)으로 직접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블루투스수신장치(21), 블루투스송신장치(22)는 각각 블루투스 통신을 하여 스마트폰(31)과 이어폰(51)을 발명장치(10)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스마트폰제어장치(13)는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 및 블루투스수신장치(21)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를 통하여 이어폰(51)과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로 보내주고, 상기 이어폰(51) 및 마이크장치(18)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와 오디오신호감쇄장정치(17)에 의한 마이크 신호(감쇄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과(31)과 상기 보조폰(32) 및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에 각각 선택하여 마이크 신호로 보내주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스마트폰제어장치(13)는 각각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 선택하여 각각의 장치에 보낼지 말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각각의 마이크 신호에 대해 선택하여 각각의 장치에 보낼지 말지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스마트폰에서 이어폰잭에 연결된 경우 실제 이어폰이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스마트폰제어장치(13)는 상기 스마트폰(51)에서 본 발명품(10)을 실제 이어폰처럼 인식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어폰제어장치(14)는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과 블루투스수신장치(21)와 마이크증폭장치(2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이어폰(51)으로 보내주고, 상기 이어폰(51)과 마이크장치(18) 및 블루투스송신장치(22)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상기 스마트폰(31)과 상기 보조폰(32)의 마이크 신호로 보내주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이어폰제어장치(14)는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와 마이크장치(18)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및 블루투스송신장치(22)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각각에 대해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에 마이크 신호로 보낼지 말지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 및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으로 부터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 이어폰(51)으로 각각 선택하여 보낼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1에 표시된 것과 같이 스마트폰제어장치(13)와 이어폰제어장치(14)에 의해서 각각의 오디오 신호 및 마이크 신호는 제어되어, 오디오 신호 및 마이크 신호는 스마트폰(31), 보조폰(32), 이어폰(51)으로 보내지게 된다.
도 2를 보면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신호의 흐름을 알 수 있다. 도 2에 표시된 오디오 신호 흐름을 살펴보면, 오디오 신호는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으로부터 생성되어 시작되고,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에 의해 새롭게 마이크 신호가 생성되고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에 의해 새롭게 오디오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스마트폰(31)과 상기 보조폰(32)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를 통하여 이어폰제어장치(14)과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로 보내지고, 상기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에 의해 마이크 신호가 생성되어 스마트폰제어장치(13)로 보내져 상기 스마트폰(31), 상기 보조폰(32),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로 각각 보내진다.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로부터 만들어진 오디오 신호는 이어폰제어장치(14)에 보내져 상기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함께 이어폰(51)으로 보내진다. 이때 상기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 신호는 오디오제어장치(13)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상기 스마트폰(31), 상기 보조폰(32),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으로 각각 보내지고, 오디오볼륨장치(15)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이어폰제어장치(14)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이어폰(51)으로 보내진다. 도 2에 보여지는 모든 마이크 신호의 흐름은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에 의해 만들어진 마이크 신호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도 2에 나타나는 마이크 신호는 모두 없어지게 된다.
도 3을 보면 마이크장치(18)과 이어폰(31)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 신호의 흐름을 알 수 있다. 도 3에 표시된 마이크 신호 흐름을 살펴보면, 마이크 신호는 마이크장치(18)과 이어폰(51)으로부터 생성되어 시작되고,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에 의해 새롭게 오디오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마이크장치(18)과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는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를 통하여 스마트폰제어장치(13)로 보내져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과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으로 각각 제어되어 보내진다. 상기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로 보내진 마이크 신호는 오디오 신호로 되어 오디오제어장치(14)로 보내져 상기 이어폰(51)으로 보내진다. 도 3에 보여지는 모든 오디오 신호의 흐름은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에 의해 만들어진 오디오 신호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가 없을 경우에 도 2에 나타나는 오디오 신호는 모두 없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과제 설명을 위해 마이크장치(18), 보조폰연결잭(19),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 블루투스수신장치(21), 블루투스송신장치(22)를 제외한 상태로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의 흐름을 표시하였다. 오디오 신호를 살펴보면, 스마트폰(31) ⇒ 스마트폰연결잭(11) ⇒ 스마트폰제어장치(13) ⇒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 ⇒ 이어폰제어장치(14) ⇒ 이어폰연결잭(12) ⇒ 이어폰(51)과 스마트폰(31) ⇒ 스마트폰연결잭(11) ⇒ 스마트폰제어장치(13) ⇒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 ⇒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의 두 흐름이 존재한다. 오디오 신호의 경우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에 의해 크기가 변하여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와 이어폰제어장치(14)로 들어간다.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로 들어온 오디오 신호는 새로운 마이크 신호로 되어 스마트폰제어장치(13)로 보내진다. 마이크 신호를 살펴보면, 이어폰(51) ⇒ 이어폰연결잭(12) ⇒ 이어폰제어장치(14) ⇒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 ⇒ 스마트폰제어장치(12) ⇒ 스마트폰연결잭(11) ⇒ 스마트폰(31)과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 ⇒ 스마트폰제어장치(12) ⇒ 스마트폰연결잭(11) ⇒ 스마트폰(31)의 두 흐름이 존재한다. 두 흐름중에서 '스마트폰제어장치(12) ⇒ 스마트폰연결잭(11)'와 '스마트폰연결잭(11) ⇒ 스마트폰(31)'의 경우에는 스마트폰(31)에 의한 오디오 신호(감쇄된 형태)와 이어폰(51)에 의한 마이크 신호를 포함한다. 스마트폰(31)에서 만들어진 오디오 신호를 A, 이어폰(51)에서 만들어진 마이크 신호를 M이라 하고 볼륨조절된 신호를 각각 a, m 이라 하면, 스마트폰(31)은 마이크 신호로서 m과 a를 받고 이어폰(51)은 오디오 신호 a을 받는다. 그리하여 이어폰(51)으로 A(a)를 청취하며 동시에 스마트폰(31)에서 A(a),M(m)을 녹음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제어장치(13)에 의해 m, a는 각각 차단되어 스마트폰(31)로 보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실제로는 스마트폰(31)과 보조폰(32)의 각각 오디오 및 마이크 신호는 스마트폰제어장치(11)에 의해 제어되어 둘의 역할이 바뀔 수 있다. 즉, 스마트폰(31)이 보조폰(32) 역할을, 보조폰(32)이 스마트폰(31)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의 그림중 위의 것은 스마트폰연결잭(11), 스마트폰제어장치(13), 이어폰연결잭(12), 이어폰제어장치(14),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로 구성된 테스트 발명품의 모습이다. 상기 테스트 발명품으로 스마트폰(31)과 이어폰(51)을 연결하여 상기 스마트폰(31)에서 나오는 음악을 상기 이어폰(51)로 청취하며 노래를 불러 상기 스마트폰(31)에서 나오는 음악과 따라 부르는 음을 동시에 녹음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의 그림중 밑의 것은 위이 것에 보조폰연결잭(19)를 추가하고 이어폰(51)을 두개로 하여 만든 테스트 발명품의 모습이다. 상기 테스트 발명품으로 두대의 스마트폰(31), 보조폰(32)과 이어폰(51)을 연결하여 보조폰(32)로는 외부의 다른 전화와 전화 통화를 하고, 스마트폰(31)에서는 유튜브로 인터넷 테스트 생방송을 하여, 유트브에서 전화통화 하는 내용을 모두 들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테스트 발명품 모두 이어폰(51)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보내지 않도록 한 상태, 즉 스마트폰(31)이나 보조포(32)로부터의 오디오음 만으로 실행한 녹음이나 유튜브방송을 한 후의 오디오음은 깨끗한 상태로 들을 수 있었다. 두 테스트 발명품의 경우 모두 별도의 전원 없이 동작이 되도록 고정저항, 가변저항, 콘덴서, 스위치(슬라이드스위치, 딥스위치)등을 이용하여 납땜으로 해서 만들었지만, 스마트폰(31)로 보내지는 마이크 신호는 만족할 만큼 깨끗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 발명품 - 본 발명품
11 : 스마트폰연결잭 - 본 발명품과 스마트폰(31)을 연결하기 위한 부분
12 : 이어폰연결잭 - 본 발명품과 이어폰(51)을 연결하기 위한 부분
13 : 스마트폰제어장치 - 스마트폰, 보조폰의 오디오 및 마이크 신호 제어
14 : 이어폰제어장치 - 이어폰의 오디오 및 마이크 신호 제어
15 : 오디오볼륨조절장치 -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조절
16 : 마이크볼륨조절장치 - 마이크 신호의 크기를 조절
17 : 오디오신호감쇄장치 -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 신호로 변환
18 : 마이크장치 - 마이크 장치
19 : 보조폰연결잭 - 본 발명품과 보조폰(32)을 연결하기 위한 부분
20 : 마이크신호증폭장치 - 마이크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
21 : 블루투스수신장치 -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
22 : 블루투스송신장치 - 이어폰과 블루투스 통신
31 : 스마트폰 - 본 발명품을 이용하여 녹음 등을 하려는 스마트폰
32 : 보조폰 - 본 발명품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추가 스마트폰
51 : 이어폰(또는 블루투스이어폰) - 본 발명품을 이용을 위한 이어폰

Claims (21)

  1. 오디오 신호 및 마이크 신호를 제어하는 스마트폰제어장치(13)와; 상기 스마트폰제어장치(13)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 신호로 바꾸어 상기 스마트폰제어장치(13)로 보내는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를;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제어장치(13)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를 통하여 마이크 신호로 감쇄하여 상기 스마트폰제어장치(13)에 마이크 신호로 보내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스마트폰(31)과 연결하여 상기 스마트폰(31)과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와 마이크 신호를 주고 받는 스마트폰연결잭(11)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1)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을 통하여 마이크 신호로 다시 상기 스마트폰(31)으로 들여보내 상기 스마트폰(11)에서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스마트폰(51)과 블루투스 통신하여 상기 스마트폰(51)과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받고 마이크 신호를 보내는 블루투스수신장치(21)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1)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감쇄장치(17)을 통하여 마이크 신호로 다시 상기 스마트폰(31)으로 들여보내 상기 스마트폰(11)에서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31)에서 발생한 오디오를 듣고 마이크를 통해 외부의 음을 상기 스마트폰(31)으로 보낼 수 있도록 이어폰(51)과 연결하는 이어폰연결잭(12)과;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제어하는 이어폰제어장치(14)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1)으로부터의 오디오를 상기 이어폰(51)으로 청취하며 동시에 동일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 신호로 보내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와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음을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31)에서 발생한 오디오를 듣고 마이크를 통해 외부의 음을 상기 스마트폰(31)으로 보낼 수 있도록 이어폰(51)과 연결하는 이어폰연결잭(12)과;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제어하는 이어폰제어장치(14)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11)으로부터의 오디오를 상기 이어폰(51)으로 청취하며 동시에 동일 오디오를 마이크 신호로 보내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와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음을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이어폰(51)과 블루투스 통신하여 상기 이어폰(51)에 오디오 신호를 보내고 마이크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송신장치(22)와;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블루투스송신장치(22)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제어하는 이어폰제어장치(14)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31)과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51)이 오디오 신호 및 마이크 신호를 주고 받아 상기 스마트폰(31)의 오디오를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51)으로 청취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31)에서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51)로부터의 마이크음을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이어폰(51)과 블루투스 통신하여 상기 이어폰(51)에 오디오 신호를 보내고 마이크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송신장치(22)와;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블루투스송신장치(22)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제어하는 이어폰제어장치(14)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31)과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51)이 오디오 신호 및 마이크 신호를 주고 받아 상기 스마트폰(31)의 오디오를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51)으로 청취함과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31)에서 상기 블루투스 이어폰(51)로부터의 마이크음을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8.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오디오볼륨조절장치(15)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크기를 조절하여 청취하며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9.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폰(32)과 연결되어 상기 보조폰(32)과 오디오 신호 및 마이크 신호를 주고 받는 보조폰연결잭(19)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이어폰(51)로부터의 마이크 신호와 상기 오디오감쇄장치(17)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상기 보조폰(32)으로 보내고 상기 보조폰(32)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마트폰제어장치(13)에 보내 상기 이어폰(51)에서 청취하고 동시에 상기 보조폰(32) 오디오를 상기 스마트폰(31)에서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10.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51)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음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장치(18)를; 추가로 포함하여, 별도의 이어폰 없이 본 발명품만으로 외부의 음도 함께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11.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31)으로 보내지는 마이크 신호와 동일한 마이크 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주는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31)으로 보내지는 마이크 신호와 동일한 마이크 신호를 증폭한 후 상기 이어폰제어장치(14)에 보내 상기 이어폰(51)에서 청취하며 동시에 동일한 음을 상기 스마트폰(31)에서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보조폰(32)과 연결되어 상기 보조폰(32)과 오디오 신호 및 마이크 신호를 주고 받는 보조폰연결잭(19)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이어폰(51)로부터의 마이크 신호와 상기 오디오감쇄장치(17)로부터의 마이크 신호를 상기 보조폰(32)으로 보내고 상기 보조폰(32)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마트폰제어장치(13)에 보내 상기 이어폰(51)에서 청취하고 동시에 상기 보조폰(32) 오디오를 상기 스마트폰(31)에서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51)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음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장치(18)를; 추가로 포함하여, 별도의 이어폰 없이 본 발명품만으로 외부의 음도 함께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51)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음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장치(18)를; 추가로 포함하여, 별도의 이어폰 없이 본 발명품만으로 외부의 음도 함께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51)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음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장치(18)를; 추가로 포함하여, 별도의 이어폰 없이 본 발명품만으로 외부의 음도 함께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31)으로 보내지는 마이크 신호와 동일한 마이크 신호를 증폭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해주는 마이크신호증폭장치(20)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31)으로 보내지는 마이크 신호와 동일한 마이크 신호를 증폭한 후 상기 이어폰제어장치(14)에 보내 상기 이어폰(51)에서 청취하며 동시에 동일한 음을 상기 스마트폰(31)에서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를 상기 이어폰(51)으로 청취하며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여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를 상기 이어폰(51)으로 청취하며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여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장치(18)와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를 상기 이어폰(51)으로 청취하며 상기 상기 마이크장치(18)와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여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장치(18)와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를 상기 이어폰(51)으로 청취하며 상기 상기 마이크장치(18)와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여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장치(18)와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는 마이크볼륨조절장치(16)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스마트폰(31)으로부터의 오디오를 상기 이어폰(51)으로 청취하며 상기 상기 마이크장치(18)와 상기 이어폰(51)으로부터의 마이크 신호 크기를 조절하여 녹음(또는 가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KR1020180113573A 2018-09-21 2018-09-21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KR20200034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73A KR20200034166A (ko) 2018-09-21 2018-09-21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573A KR20200034166A (ko) 2018-09-21 2018-09-21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166A true KR20200034166A (ko) 2020-03-31

Family

ID=7000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573A KR20200034166A (ko) 2018-09-21 2018-09-21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41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2864A (zh) * 2021-06-16 2021-09-07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音频信号处理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2864A (zh) * 2021-06-16 2021-09-07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音频信号处理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362864B (zh) * 2021-06-16 2022-08-0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音频信号处理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7338B2 (en) Audio system employing multiple mobile devices in concert
TWI528274B (zh) 用以增強行動裝置上之多媒體播放的系統、操作在一兼容助聽器功能的語音通話模式與一多媒體模式的設備以及用以操作在一多媒體模式的設備
US20050281422A1 (en) In-ea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with bidirectional channel
US9749474B2 (en) Matching reverberation in teleconferencing environments
CN105096976B (zh) 一种通过智能app以蓝牙方式控制dsp的音频系统
CN106210365B (zh) 电话会议音量调整方法及系统
CN103686516A (zh) 一种可共享音频的蓝牙耳机及其控制方法
US11877122B2 (en) Hearing aid with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US10121491B2 (en) Intelligent volume control interface
CN106792333B (zh) 电视机的音响系统
US20160112574A1 (en) Audio conferencing system for office furniture
US112100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dependently variable audio outputs
KR20200034166A (ko) 동일 스마트폰에서 청취와 녹음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및 방법
US8526589B2 (en) Multi-channel telephony
CN105072553A (zh) 音响设备的扩音方法及装置
US20190182557A1 (en) Method of presenting media
US20210306448A1 (en) Controlling audio output
US9614970B1 (en) Telephone conferencing apparatus
US20140301576A1 (en) Adjustable audio splitter
US10175934B2 (en) System for optimization of music listening
TWI706680B (zh) 手持裝置之耳機麥克風混音裝置
CN212163692U (zh) 一种免调试数字音响装置
EP4047947A1 (en) Listening device and listening system
US9699564B2 (en) Audio adaptor and method
TW201811066A (zh) 具有接聽來電功能之收音設備及收音控制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