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839A -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839A
KR20200033839A KR1020200034911A KR20200034911A KR20200033839A KR 20200033839 A KR20200033839 A KR 20200033839A KR 1020200034911 A KR1020200034911 A KR 1020200034911A KR 20200034911 A KR20200034911 A KR 20200034911A KR 20200033839 A KR20200033839 A KR 20200033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user
electrical stimulation
program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9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5972B1 (en
Inventor
이후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소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9039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94294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소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소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00034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972B1/en
Publication of KR20200033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8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9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02Using electric curr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Abstract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a user′s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and a user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operating an avatar training program. The user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the avatar training program recommended on the basis of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from a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effect of the user′s rehabilitation by perform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according to a rehabilitation program suited to the user, using the wearable device and the user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웨어러블 장치 및 사용자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재활 시스템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A rehabilitation system that executes a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a wearable device and a user electronic device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재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웨어러블 장치 및 사용자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재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재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habilit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habilitation system that performs a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a wearable device and a user electronic device.

불의의 사고나 노화 등으로 인해 관절 또는 관절 주변의 근육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다리의 가동범위(ROM: range of motion)를 회복하기 위해 수술 후 재활 운동을 수행하거나 또는 수술 없이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재활 운동은 반복적이므로 지루할 수 있고 고통스러울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반복적인 재활 운동은 재활 기간이 늘어나거나 재활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Damage to the joint or the muscles around the joint may occur due to an accident or aging. In order to restore the range of motion (ROM), a rehabilitation exercise may be performed after surgery, or a rehabilitation exercise may be performed without surgery. However, existing rehabilitation exercises are repetitive and can be tedious and painful. Therefore, the existing repetitive rehabilitation exercise has a problem in that the rehabilitation period increases or the rehabilitation effect decrease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활 로봇을 이용하는 게임과 연동한 재활 운동 방법 그리고 3차원 모션 카메라를 이용하는 게임과 연동된 재활 운동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재활 로봇을 이용하는 재활 운동 방법은 가격이 비싸고 3차원 모션 카메라를 이용하는 재활 운동 방법은 환자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재활 운동 방법들은 공간상의 제약이 존재하므로, 환자가 집에서 재활 운동을 수행하지 못하고 병원과 같은 특정한 장소를 방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interlocked with a game using a rehabilitation robot and a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interlocked with a game using a 3D motion camera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using a rehabilitation robot is expensive, an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using a 3D motion camera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not accurately measure a patient's movement. In addition, since the above-mentioned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s have space limitations, the patient cannot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 at home and has to visit a specific place such as a hospital.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치 및 사용자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공간 상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재활 운동을 쉽게 할 수 있는 재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habilitation system that can easily perform a rehabilitation exercise without space constraints using a wearable device and a use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은, 사용자의 재활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재활 운동 정보를 받고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사용자 전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는, 사용자 개인 정보 및 상기 재활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된 상기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user electronic device receiv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driving an avatar training program, wherein the user electronic device rehabilitates the recommended avatar training program based on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It can be provided from a recommendation server.

실시 예로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허벅지부에 착용하는 제 1 본체부; 및 상기 제 1 본체부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고, 정강이부에 착용하는 제 2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본체부 각각은 전기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전기 자극부를 갖는다. 상기 제 1 본체부는 기능성 전기 자극(FES)을 위한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근전도(EMG)를 측정하고, 관절각의 가동범위(ROM)를 측정함으로, 상기 재활 운동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worn on a thigh portion; And a second body part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through a cable and worn on the shank par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has an electrical stimulation part for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The first body portion generate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a nerve dominant muscle f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measures electromyography (EMG), and measures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joint angle to measure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can do.

실시 예로서,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는 상기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사용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프로그램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프로그램 수행 능력이 프로그램 수준에 미달 시에 FES 신호를 생성함으로 프로그램 수준에 도달하도록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user electronic device may execute the avatar training program and evaluate a user's ability to perform the program based on user status information. The user electronic device may control the wearable device to reach the program level by generating an FES signal when the user's program performance is less than the program leve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의 다른 일면은, 사용자의 재활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재활 운동 정보를 받고 게임화된 재활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사용자 전자 장치;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 또는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 개인 정보 및 상기 재활 운동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 개인 정보 및 상기 재활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복수의 재활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게임화된 재활 프로그램을 추천하고, 상기 추천한 게임화된 재활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로 제공하는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Another aspect of the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of a user; A user electronic device receiv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driving a gamed rehabilitation program; And receiv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or the user electronic device, and recommending one or more gamed rehabilitation programs among a plurality of rehabilitation programs based on the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And, it may include a server for recommending a rehabilitation program to provide the recommended gamed rehabilitation program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실시 예로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기능성 전기 자극(FES)을 위한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근전도(EMG)를 측정하고, 관절각의 가동범위(ROM)를 측정함으로, 상기 재활 운동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wearable device generate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a nerve dominant muscle f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measures electromyography (EMG), and measures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joint angle, thereby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can be measur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치 및 사용자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재활 프로그램에 따라 재활 운동을 수행함으로 재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rease a rehabilitation effect by performing a rehabilitation exercise according to a rehabilitation program suitable for a user using a wearable device and a user electronic device.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제 1 및 제 2 본체부를 각각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사용자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도시된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의 재활 운동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exemplarily showing first and second body parts of the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respectively.
4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S. 2 and 3.
5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software structure of the user electronic device illustrated in FIG. 1.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user electronic device illustrated in FIG. 5 as an example.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illustrated in FIG. 1.
8 is a flowchart exemplarily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exemplarily show a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of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learly and in detail so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재활 시스템(1000)은 웨어러블 장치(1100), 사용자 전자 장치(1200), 및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rehabilitation system 1000 may include a wearable device 1100, a user electronic device 1200, and a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웨어러블 장치(1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자극을 가해서 재활 운동을 도울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0)는 재활 운동 이외에도 근육 강화나 기타 다른 운동에 사용될 수도 있다.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be worn on the user's body.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assis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by applying stimulation to the user's body.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be used for strengthening muscles or other exercises in addition to rehabilitation exercises.

도 1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100)는 제 1 및 제 2 본체부(1110, 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본체부(1110, 1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제 1 본체부(1110)는 허벅지에 사용되고, 제 2 본체부(1120)는 정강이에 사용되고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0)는 다리 이외의 다른 관절 부근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목, 팔꿈치, 어깨, 목, 허리, 발목 등에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10 and 1120.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10 and 1120 may be connected by wire or wireless. In the example of FIG. 1, the first body portion 1110 is used for the thigh,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20 is used for the shank.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be used in the vicinity of a joint other than the leg. For example, it can be used for wrists, elbows, shoulders, necks, waists, and ankles.

웨어러블 장치(1100)는 사용자의 재활 운동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값을 사용자 전자 장치(1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활 운동 정보는 사용자의 관절 가동범위, 관절 회동 방향, 관절 회동 속도 및 가속도, 관절에 가해지는 토크, 표면 근전도(surface electromyogram), 재활 운동 시간, 또는 사용자의 재활 반복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사용자 전자 장치(12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100 may measur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ransmit the measured value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Here,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may include a user's joint motion range, joint rotation direction, joint rotation speed and acceleration, torque applied to the joint, surface electromyogram, rehabilitation exercise time, or the number of rehabilitation repetitions of the user. have.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by wire or wireless.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웨어러블 장치(1100)로부터 재활 운동 정보를 받고,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로부터 재활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재활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재활 운동을 돕기 위한, 게임화된 재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재활 운동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재활 운동을 얼마나 수행했는지를 실시간으로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네트워크(1400)를 통해 재활 운동 정보를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receiv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1100 and receive a rehabilitation program from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Here, the rehabilitation program may be a gamed rehabilitation program to assist a user in rehabilitation exercise.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indicate in real time how much the user has performe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by referring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transmit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to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through the network 1400.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TV, PC(personal computer) 등일 수 있다.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재활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재활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a TV, or a personal computer (PC).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any type of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riving a rehabilitation program and providing a user with an interface of a rehabilitation program on a display.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네트워크(1400)를 통해 사용자 전자 장치(1200)와 연결될 수 있다.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웨어러블 장치(1100) 또는 사용자 전자 장치(1200)로부터 재활 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수신된 재활 운동 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재활 프로그램 중 사용자에 적합한 재활 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사용자에 적합한 재활 프로그램을 네트워크(1400)를 통해 사용자 전자 장치(1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through the network 1400.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receiv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1100 or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recommend a rehabilitation program suitable for a user among a plurality of rehabilitation programs stored in advance by referring to the received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transmit a rehabilitation program suitable for a user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through the network 1400.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제 1 및 제 2 본체부를 각각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 1 본체부(1110)는 허벅지부 본체이고, 제 2 본체부(1120)는 정강이부 본체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아래에 있는 도면은 허벅지 또는 정강이와 밀착되는 안쪽 부분이고, 위에 있는 도면은 착용시에 보이는 바깥쪽 부분이다.2 and 3 are views exemplarily showing first and second body parts of the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 1, respectively. The first body part 1110 may be a thigh body, and the second body 1120 may be a shank body. 2 and 3, the lower figure is the inner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gh or shin, and the upper figure is the outer part seen when worn.

제 1 및 제 2 본체부(1110, 1120)는 사용자의 무릎 관절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본체부(1110)는 허벅지를 지지하고, 제 2 본체부(1120)는 정강이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본체부(1110, 1120)는 케이블(111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113)은 제 1 본체부(1110)에 고정되어 있고, 제 2 본체부(1120)에 접속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10 and 1120 may support a user's knee joint. The first body portion 1110 may support the thigh,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120 may support the shank.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10 and 1120 may be connected through a cable 1113. As shown in FIG. 2, the cable 1113 is fix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1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1120.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본체부(1110)는 허벅지부 밴드 본체(1111), 메인 컨트롤 유닛(1112), 커넥터 및 케이블(1113), 벨트 고정부(1114a, 1114b), 제 1 전기 자극부(1115), 자극 도자 연결부(1116), 그리고 근육 움직임 측정 도자(111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body part 1110 includes a thigh band body 1111, a main control unit 1112, a connector and a cable 1113, a belt fixing part 1114a, 1114b, and a first electrical magnetic pole part. 1115, a stimulation ceramic connection unit 1116, and a muscle movement measurement ceramic 1117.

허벅지부 밴드 본체(1111)는 착용시 무릎의 위치를 표시(A)함으로, 사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 컨트롤 유닛(1112)은 제 1 및 제 2 본체부(1110, 1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 유닛(1112)은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 유닛(1112)에는 웨어러블 장치(1100)를 동작하기 위한 동작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유닛(1112)에는 웨어러블 장치(11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가 포함되거나, 표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컨트롤 유닛(1112)의 구성 및 동작 원리는 도 4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The thigh band body 1111 displays the position of the knee (A) when wor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ear it. The main control unit 1112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10 and 1120. The main control unit 1112 may be impleme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The main control unit 1112 may include an operation button for operating the wearable device 1100. Also, the main control unit 1112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wearable device 1100 or a display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main control unit 111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4.

커넥터 및 케이블(1113)은 메인 컨트롤 유닛(1112)에 연결될 수 있고, 제 2 본체부(1120)와 연결을 위한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및 케이블(1113)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및 케이블(1113)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 및 케이블(1113)은 제 2 본체부(1120)와 USB-C 타입의 연결 포트로 연결되거나, USB-C 타입의 충전 포트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 connector and the cable 1113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112, and may include a cable for connection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1120. The connector and cable 1113 may include a port for charging the battery. The connector and cable 1113 can be implemented in a number of ways. For example, the connector and the cable 111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main body 1120 and a USB-C type connection port, or may charge a battery using a USB-C type charging port.

벨트 고정부(1114a, 1114b)는 제 1 본체부(1110)를 허벅지 부위에 착용하고 고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벨트 고정부(1114a, 1114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바클(1114b)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벨트 고정부(1114a, 1114b)는 고정용 바클(1114b)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웨어러블 장치(1100)를 허벅지 부위에 고정할 수 있다.The belt fixing parts 1114a and 1114b may be used when the first body part 1110 is worn and fixed to the thigh. The belt fixing parts 1114a and 1114b may be fixed using a fixing buckle 1114b, as shown in FIG. 2. The belt fixing parts 1114a and 1114b may fix the wearable device 1100 to the thigh by other methods other than the fixing buckle 1114b.

제 1 전기 자극부(1115)는 허벅지에 전기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제 1 전기 자극부(1115)는 허벅지에 전류를 가하여 근육통을 완화하거나 근육 강화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제 1 전기 자극부(1115)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를 들면, 근전도 신호)를 수집하거나, 사용자의 근육에 전기 근육 자극(EMS)이나 신경지배근 전기 자극(NMES)을 위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15 may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thigh. The first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15 may apply an electric current to the thigh to relieve muscle pain or induc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The first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15 may collect a user's biological signal (eg, an EMG signal) or transmit a signal for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or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to the user's muscle. have.

제 1 전기 자극부(1115)는 전기 자극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극 패드는 습식의 형태로 1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전기 자극 패드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나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건식 고점착성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극 패드는 탄소 나노 소재를 이용한 전도성 건식 점착 전극 패드로 제작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15 may include an electrical stimulation pad.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can be used as a disposable in wet form. Alternatively,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may be manufactured using a dry, high-adhesive material to transmit a user's biosignal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a nerve dominant muscle. For example,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d may be made of a conductive dry adhesive electrode pad using carbon nano materials.

도 3을 참조하면, 제 2 본체부(1120)는 정강이부 밴드 본체(1121), 커넥터 연결부(1122), 벨트 고정부(1123a, 1123b), 제 2 전기 자극부(1125), 자극 도자 연결부(1126), 그리고 근육 움직임 측정 도자(112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main body part 1120 includes a shank band body 1121, a connector connection part 1122, a belt fixing part 1123a, 1123b, a second electric magnetic pole part 1125, and a magnetic pole conductor connection part ( 1126), and a muscle movement measurement ceramic 1127.

정강이부 밴드 본체(1121)는 착용시 무릎의 위치를 표시(B)함으로, 사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 연결부(1122)는 제 1 본체부(1110)의 케이블(1113)에 연결될 수 있다. 벨트 고정부(1123a, 1123b)는 제 2 본체부(1120)를 정강이 부위에 고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제 2 전기 자극부(1125)는 정강이에 전기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제 2 전기 자극부(1125)는 정강이에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제 2 전기 자극부(1125)는 전기 자극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자극 도자 연결부(1116, 1126) 및 근육 움직임 측정 도자(1117, 1127)는 허벅지나 정강이의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도자이다.The shin band body 1121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knee (B) when wor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ear it. The connector connection part 1122 may be connected to the cable 1113 of the first body part 1110. The belt fixing parts 1123a and 1123b may be used when the second body part 1120 is fixed to the shin portion. The second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25 may apply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hank. The second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25 may apply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to the shin. The second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25 may include an electrical stimulation pad. 2 and 3, the stimulation conductor connecting portions 1116 and 1126 and the muscle movement measuring conductors 1117 and 1127 are ceramics for measuring the movement of the thigh or shin.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100)는 메인 컨트롤 유닛(1112), 제 1 전기 자극부(1115), 그리고 제 2 전기 자극부(1125)를 포함한다.4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illustrated in FIGS. 2 and 3. Referring to FIG. 4, the wearable device 1100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1112, a first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15, and a second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25.

메인 컨트롤 유닛(1112)은 전원부(2210), 변환기(2220), 제어기(2230), 표시부(2240), 그리고 통신부(225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 유닛(1112)은 아답터(21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아답터(2100)는 교류 전원(예를 들면, 220V AC 전원)을 입력받고, 직류 전원(예를 들면, 5V DC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1112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2210, a converter 2220, a controller 2230, a display unit 2240, and a communication unit 2250. The main control unit 1112 may b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adapter 2100. The adapter 2100 may receive AC power (eg, 220V AC power) and output DC power (eg, 5V DC power).

전원부(2210)는 충전 회로(2211)와 배터리(2212)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회로(2211)는 아답터(2100)로부터 5V의 직류 전원을 입력받고 배터리(2212)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 회로(2211)는 과충전 보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2212)는 리튬-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배터리(2212)는 웨어러블 장치(1100)의 동작 전원으로 사용되며, 일정 레벨의 직류 전원(예를 들면, 3.7V DC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배터리(2212)는 소정의 충전량(예를 들면, 800mAh)을 가질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210 may include a charging circuit 2211 and a battery 2212. The charging circuit 2211 may receive a DC power of 5V from the adapter 2100 and charge the battery 2212. The charging circuit 2211 may have an overcharge protection function. The battery 2212 may be a lithium-polymer battery. The battery 2212 is used as an operating power of the wearable device 1100 and may provide a DC power (eg, 3.7V DC power) of a certain level. The battery 2212 may have a predetermined charge amount (eg, 800 mAh).

변환기(2220)는 배터리(2212)의 출력 전압을 +DC(a)V, -DC(a)V, +DC(b)V, +DC(c)V, -DC(c)V 등과 같이 여러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환기(2220)는 +5V, -5V, +3V, +18V, -18V의 직류 전압(DC)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된 직류 전압은 제어기(2230)의 구동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converter 2220 uses various output voltages of the battery 2212 such as + DC (a) V, -DC (a) V, + DC (b) V, + DC (c) V, -DC (c) V, etc. It can be converted to a level voltage. For example, the converter 2220 may convert the DC voltage (DC) of + 5V, -5V, + 3V, + 18V, -18V. The converted DC voltage may be used as a driving power source for the controller 2230.

제어기(2230)는 자극 신호 발생 회로(2231, 2235), 다리 움직임 측정 센싱 회로(2232, 2234), 그리고 관절각 측정 회로(2233)를 포함할 수 있다. 자극 신호 발생 회로(2231, 2235)는 기능성 전기 자극(FE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을 위한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자극 신호 발생 회로(2231, 2235)는 허벅지 근육에 기능성 전기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Q-FES 발생기(2231)와 정강이 근육에 기능성 전기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S-FES 발생기(22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230 may include stimulus signal generation circuits 2223 and 2235, leg motion measurement sensing circuits 2232 and 2234, and joint angle measurement circuit 2233. The stimul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s 2223 and 2235 may generat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s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for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The stimulation signal generation circuits 2231 and 2235 may include a Q-FES generator 2231 for apply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thigh muscles and an S-FES generator 2235 for apply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shin muscles. .

다리 움직임 측정 센싱 회로(2232, 2234)는 근전도(EMG: eledromyogram) 측정 센싱 회로일 수 있다. 다리 움직임 측정 센싱 회로(2232, 2234)는 허벅지 근전도 측정 센싱을 위한 Q-EMG 센서(2232)와 정강이 근전도 측정 센싱을 위한 S-EMG 센서(2234)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절각 측정 회로(2233)는 무릎의 가동범위(ROM: range of motion)를 측정할 수 있다.The leg motion measurement sensing circuits 2232 and 2234 may be an eledromyogram (EMG) measurement sensing circuit. The leg motion measurement sensing circuits 2232 and 2234 may include a Q-EMG sensor 2232 for thigh electromyography sensing and an S-EMG sensor 2234 for shank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sensing. The joint angle measurement circuit 2233 may measure a range of motion (ROM) of the knee.

표시부(2240)는 배터리(2212)의 충전 상태 또는 제어기(223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240)는 LED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2240)는 제어기(223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2240 may display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2212 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ler 2230. The display unit 2240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Meanwhile, the display unit 224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2230.

통신부(2250)는 사용자 전자 장치(도 1 참조, 12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2250)는 제어기(2230)에 의한 측정 정보(즉, 재활 운동 정보)를 사용자 전자 장치(1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50)는 제공한 측정 정보에 대한 피드백을 사용자 전자 장치(1200)로부터 받을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25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electronic device (see FIG. 1, 1200). The communication unit 2250 may provide measurement information (i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by the controller 2230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2250 may receive feedback on the measurement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도 4에서는 통신부(2250)가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통신부(2250)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WCDMA(Wideband CDMA), CDMA-2000,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LAN(Wireless LAN), UWB(Ultra Wide Band), WI-DI(Wireless Display), WiFi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In FIG. 4, the communication unit 2250 is illustrated as communicating through Bluetooth. However, the communication unit 2250 include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Wideband CDMA (WCDMA), CDMA-2000,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Long Term Evolution (LTE), Wimax (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LAN), Wireless LAN (WLAN),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Display (WI-DI), and WiFi can be used.

제 1 및 제 2 전기 자극부(1115, 1125) 각각은 기능성 전기 자극(FES)을 사용자의 근육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능성 전기 자극은 신경지배근 전기 자극(NMES: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일 수 있다. 제 1 전기 자극부(1115)는 Q-FES 발생기(2231)에서 생성된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허벅지 전기 자극 패드(2310)를 이용하여 허벅지 근육에 인가할 수 있다. 제 2 전기 자극부(1125)는 S-FES 발생기(2235)에서 생성된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정강이 전기 자극 패드(2410)를 이용하여 정강이 근육에 인가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timulation units 1115 and 1125 may transmi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to the user's muscle. Here, the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may be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The first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15 may apply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generated by the Q-FES generator 2231 to the thigh muscle using the thigh electrical stimulation pad 2310. The second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25 may apply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generated by the S-FES generator 2235 to the shank muscle using the shank electrical stimulation pad 2410.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는 안전을 위해 에너지 크기를 제한한 저주파 신호일 수 있다. 그러나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가 저주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주파나 고주파 신호일 수도 있다.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는 사용자의 근육을 자극하여 진통이나 근위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의 세기, 주파수, 전류 또는 파형은 사용자의 재활 정도에 맞추어 제어기(223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제어기(2230)는 전류 세기(Amplitude), 주파수(Pulse per Seconds), 동작 폭(Pulse Interval), 램프(Ramp), 전체 작동 시간(Total time) 등의 자극을 범위를 정해서 인가할 수 있다.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may be a low-frequency signal with limited energy size for safety. However,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is not limited to the low frequency, but may be a medium frequency or high frequency signal.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can stimulate the user's muscles to prevent pain or muscle atrophy. In addition, the intensity, frequency, current, or waveform of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ler 2230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habilitation of the user. The controller 2230 may apply a range of stimuli such as current intensity (Amplitude), frequency (Pulse per Seconds), operation interval (Pulse Interval), lamp (Ramp), and total operating time (Total time).

예를 들면, 전류 세기는 0~70mA (조절단위: 1/5/10mA) 범위로, 주파수는 20~999Hz (조절단위: 1/10/100Hz) 범위로, 동작 폭은 0.1~6.5s (조절단위: 1/5/10s) 범위로, 램프는 1~10000ms (조절단위: 1/10/100ms) 범위로, 그리고 전체 작동 시간은 1~59m (조절단위: 1/5/10m) 범위로 하여,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urrent strength is in the range of 0 to 70 mA (control unit: 1/5/10 mA), the frequency is in the range of 20 to 999 Hz (control unit: 1/10/100 Hz), and the operating width is 0.1 to 6.5 s (control Unit: 1/5 / 10s), the lamp is in the range of 1 to 10000 ms (control unit: 1/10/100 ms), and the total operating time is in the range of 1 to 59 m (control unit: 1/5/10 m). , It is possible to apply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허벅지 전기 자극 패드(2310)와 정강이 전기 자극 패드(2410)는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과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에 대한 반응을 감지하기 위한 전극이 어레이(array)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제어기(2230)는 어레이 형태의 전극을 통해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거나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위치를 선택하여 명령을 내릴 수 있다. The thigh electrical stimulation pad 2310 and the shank electrical stimulation pad 2410 are arranged in an array of electrodes for apply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nerve ganglion muscle and electrodes for detecting the response of the nerve ganglion muscle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Can be. The controller 2230 may measure the EMG signal through the electrode in the form of an array or issue a command by selecting a location that transmit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제 1 및 제 2 전기 자극부(1115, 1125) 각각은 EMG 센서(2320, 2420)와 IMU 센서(2330, 2430)를 포함할 수 있다. 허벅지 EMG 센서(2320)는 허벅지 근전도를 측정하고, 정강이 EMG 센서(2420)는 정강이 근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EMG 센서(2320, 2420)를 통해, 근육 신호 주파수 및 근육 피로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al stimulation units 1115 and 1125 may include EMG sensors 2320 and 2420 and IMU sensors 2330 and 2430. The thigh EMG sensor 2320 measures thigh electromyography, and the shin EMG sensor 2420 measures the shin electromyogram. Through the EMG sensors 2320 and 2420, muscle signal frequency, muscle fatigue, and the like can be analyzed.

IMU 센서(2330, 2430)는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Roll, Pitch, Yaw로 이루어진 Euler 각을 알고, 정교한 각도의 자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관절각 측정 회로(2233)는 허벅지 IMU 센서(2330)와 정강이 IMU 센서(24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다리 움직임, 즉 무릎의 가동범위(ROM: range of motion)를 측정할 수 있다.The IMU sensors 2330 and 2430 are sensors for detecting inclination, and can know the Euler angle composed of Roll, Pitch, and Yaw, and provide precise angle posture data. The joint angle measurement circuit 2233 may measure a user's leg movement, that is, a range of motion (ROM) of the knee, using the thigh IMU sensor 2330 and the shin IMU sensor 2430.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전자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도 4에서 설명한 웨어러블 장치(1100)와 통신부(12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통신부(1210)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5 is a block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software structure of the user electronic device illustrated in FIG. 1. Referring to FIG. 5,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be connected to the wearable device 11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1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210 may be connected through Bluetooth.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웨어러블 장치(1100)의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고, 웨어러블 장치(1100)의 FES 출력을 제어하거나, 무릎의 가동범위(ROM) 또는 근전도(EMG)를 측정하고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FES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프로그램(1201), 근전도(EMG)를 측정하고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1202), 그리고 무릎의 가동범위(ROM)를 측정하고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1243)을 구동할 수 있다.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sets parameters of the wearable device 1100, controls the FES output of the wearable device 1100, or programs for measuring and utilizing the range of motion (ROM) or electromyography (EMG) of the knee. It can be driven. For example,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easures and utilizes a program 1201 for setting FES parameters, a program 1202 for measuring and using EMG, and a knee range (ROM). For the program 1243.

또한,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재활 운동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다. 재활 운동 프로그램에는 근전도(EMG) 측정값과 가동범위(ROM) 측정값을 활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 프로그램(1204)과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1205)이 포함될 수 있다.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1205)은 ROM과 EMG 측정값으로 재활 운동 진행 상황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1205)은 FES 출력을 통하여 재활 프로그램의 수행 정도가 약할 경우 재활 운동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30)는 FES 파라미터들 설정값, EMG 측정값, 그리고 ROM 측정값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30)에는 게임 또는 아바타 프로그램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drive a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may include a game program 1204 and an avatar training program 1205 that perform a game using the measured electromyography (EMG) and the measured range of motion (ROM). The avatar training program 1205 may check the progress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with ROM and EMG measurements. In addition, the avatar training program 1205 may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rehabilitation exercise when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 is weak through the FES output. The display 1230 may display FES parameter setting values, EMG measurement values, and ROM measurement values. Also, a game or avatar program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30.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사용자 전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통신부(1210), 저장부(1220), 디스플레이(1230), 및 제어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user electronic device illustrated in FIG. 5 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6,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210, a storage unit 1220, a display 1230, and a control unit 1240.

통신부(1210)는 웨어러블 장치(1100)의 통신부(2250)로부터 재활 운동 정보 및 프로그램 추천 서버(도 1 참조, 1300)로부터 적합한 재활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10)는 수신된 재활 운동 정보를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10 may receive a suitable rehabilitation program from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and the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see FIG. 1, 1300) from the communication unit 2250 of the wearable device 1100. The communication unit 1210 may transmit the received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to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저장부(1220)는 재활 프로그램 또는 상태 측정 프로그램(1221), 웨어러블 장치 사용 방법(1222), 재활 운동 정보 또는 재활 목표 또는 재활 일정(1223) 등 재활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220)는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활 프로그램들, 상태 측정 프로그램, 그리고 웨어러블 장치(1100)의 사용 방법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측정 프로그램은 최초로 재활 운동을 시작하는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다만, 상태 측정 프로그램은 기존에 재활 운동을 수행하던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220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rehabilitation, such as a rehabilitation program or a state measurement program 1221, a method for using a wearable device 1222,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or a rehabilitation goal or rehabilitation schedule 1223. The storage unit 1220 may store at least one rehabilitation program received from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a state measurement program, and a method of using the wearable device 1100. Here, the state measurement program may be a program for grasping the state of a user who starts a rehabilitation exercise for the first time. However, the state measurement program may be used by a user who has previously performed a rehabilitation exercise to grasp his / her state.

저장부(1220)는 웨어러블 장치(1100)의 사용 방법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20)는 웨어러블 장치(1100)로부터 전송된 재활 운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20)는 제어부(124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정보 또는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1230) 또는 제어부(124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20 may store a method of using the wearable device 1100. Also, the storage unit 1220 may stor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earable device 1100. The storage unit 1220 may provide stored information or programs to the display 1230 or the control unit 12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40.

저장부(122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정보는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성별, 이름, 암호, 지문 등의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 키, 몸무게, 혈압, 지병, 나이 등의 건강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복적인 재활 운동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전자 장치(1200)를 이용해 게임화된 재활 프로그램(도 5 참조, 1204)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현재 사용자가 기존의 재활 운동을 수행하던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기존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참조하여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새로운 사용자가 재활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1220)에는 새로운 사용자에 대한 개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20 may stor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such as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date of birth, gender, name, password, fingerprint, and health-related information such as height, weight, blood pressure, illness, and age. According to the repetitive rehabilitation exercise, the user may perform a gamed rehabilitation program (see FIG. 5, 1204) using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At this time,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user is a user who has performed an existing rehabilitation exercise by referring to previously stored personal information. If a new user performs a rehabilitation exercise,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new user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20.

저장부(1220)는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1224)을 저장할 수 있다.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1224)은 사용자 전자 장치(1200)에 이미 설치되어 있거나,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1224)은 웨어러블 장치(1100)를 통해 무릎의 가동범위, 관절 가동 속도, 관절 토크, 표면 근전도 정보 등과 같은 트레이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1224)은 표준화 데이터 평가부, 기능성 전기 자극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자극부, 그리고 기계 학습 알고리즘 등이 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220 may store the avatar training program 1224. The avatar training program 1224 may be already installed in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or may be downloaded and installed from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The avatar training program 1224 may collect training data such as knee movement range, joint movement speed, joint torque, and surface electromyography information through the wearable device 1100. In addition, the avatar training program 1224 may use a standardized data evaluation unit, an electrical stimulation unit for provid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to a user, and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100)를 착용하면, 사용자 전자 장치(1200)의 디스플레이(1230)에 가상 트레이너와 사용자 아바타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아바타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운동을 디스플레이(1230)에 반영할 수 있다. 가상 트레이너는 관절 가동 범위, 관절 가동 속도, 관절 토크, 표면 근전도 등과 같은 트레이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얻은 트레이닝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1100, a virtual trainer and a user avata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30 of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Here, the user avatar may reflect the user's movement or movement in real time on the display 1230. The virtual trainer may provide the user with a training guide obtained using training data such as joint movement range, joint movement speed, joint torque, and surface electromyography.

가상 트레이너는 사용자에게 현실(reality)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보여주거나(AR: Augmented Reality), 현실이 아닌 가상의 이미지를 보여주거나(VR: Virtual Reality), 이 둘을 결합하여 보여줄 수 있다(MR: Mixed Reality).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230)를 통해 가상 트레이너와 사용자 아바타를 보며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다.The virtual trainer can show the user a three-dimensional virtual image overlaid on reality (AR: Augmented Reality), show a virtual image that is not real (VR: Virtual Reality), or a combination of the two ( MR: Mixed Reality). The user can perform a rehabilitation exercise while viewing the virtual trainer and the user avatar through the display 1230.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1224)은 트레이닝 데이터와 전문 의료인 혹은 의료 기관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시된 표준화 데이터를 비교 또는 대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1224)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전류 세기(Amplitude), 주파수(Pulse per Seconds), 동작 폭(Pulse Interval), 램프(Ramp), 전체 작동 시간(Total time)을 도출하거나 설정하고, 웨어러블 장치(1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다. The avatar training program 1224 may compare or contrast training data with standardized data present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a healthcare professional or medical institution. Through this, the avatar training program 1224 derives or sets the current intensity (Amplitude), frequency (Pulse per Seconds), operation interval (Pulse Interval), ramp, and total operating time optimized for the user. , The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wearable device 1100.

디스플레이(1230)는 재활 프로그램, 상태 측정 프로그램, 웨어러블 장치 사용방법, 사용자의 개인 정보 입력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30)는 사용자의 재활 운동 결과, 재활 목표, 재활 일정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얼마만큼 재활 운동을 수행하였는지, 현재 자신이 회동할 수 있는 관절의 가동범위(ROM)가 얼마나 되는지, 자신의 재활 달성도는 얼마인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The display 1230 may display a rehabilitation program, a state measurement program, a method of using a wearable device, and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user. The display 1230 may display a result of a user's rehabilitation exercise, a rehabilitation goal, and a rehabilitation schedule. Through this, the user can check how much the rehabilitation exercise has been performed, how much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joint that he or she can currently rotate, and how much he or she has achieved rehabilitation.

제어부(1240)는 사용자 전자 장치(1200)에 있는 재활 프로그램이나 상태 측정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이들 프로그램들이 디스플레이(1230)에 보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40)는 재활 운동 정보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1100)로 전송하기 위해 통신부(12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40 may drive a rehabilitation program or a status measurement program in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and control such program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3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4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210 to transmit feedback information for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to the wearable device 1100.

도 7은 도 1에서 도시된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310),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1320), 분석부(1330), 추천부(1340), 및 통신부(1350)를 포함할 수 있다.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illustrated in FIG. 1. Referring to FIG. 7,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include a user database 1310, a program database 1320, an analysis unit 1330, a recommendation unit 1340, and a communication unit 1350. .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310)는 웨어러블 장치(1100)에서 측정된 재활 운동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재활 운동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와 연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310)에 저장되는 재활 운동 정보는 분석부(1330)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분석부(1330)에 의해 개인별로 재활 운동 정보가 분류되어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310)에 저장될 수 있다. 분석부(1330)에 의해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1100)를 착용한 부위별로 재활 운동 정보가 분류되어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310)에 저장될 수 있다.The user database 1310 may stor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arable device 1100. At this tim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atabase 1310 may be classified by the analysis unit 1330.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for each individual by the analysis unit 1330 and stored in the user database 1310.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by the analysis unit 1330 for each part where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1100 and stored in the user database 1310.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1320)는 복수의 재활 프로그램, 복수의 상태 측정 프로그램, 및 웨어러블 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1320)는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The program database 132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rehabilitation programs, a plurality of state measurement programs, and a method of using the wearable device. Also, the program database 1320 may store an avatar training program.

복수의 재활 프로그램은 서로 난이도가 상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들 각각의 재활 달성도가 상이하므로, 재활 달성도에 따라 난이도가 상이한 복수의 재활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13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재활 부위마다 상이한 복수의 재활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13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콘텐츠(contents)에 따른 상이한 복수의 재활 프로그램이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1320)에 저장될 수 있다.Multiple rehabilitation programs may have different degrees of difficulty. That is, since the rehabilitation achievement degree of each user is different, a plurality of rehabilitation programs having different difficulty levels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achievement degree may be stored in the program database 1320. Also, a plurality of rehabilitation programs different for each rehabilitation site may be stored in the program database 1320. Also, a plurality of different rehabilitation programs according to game contents may be stored in the program database 1320.

복수의 상태 측정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가령, 본 발명의 재활 시스템을 처음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재활 프로그램을 추천하기 위해,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용자가 자신의 재활이 어느 정도까지 진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재활 운동을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 전자 장치(1200)에서 표시되는 상태 측정 프로그램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100)를 사용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tate measurement programs are programs for measuring the state of a user. For example, in order to recommend a rehabilitation program suitable for a user who is new to the rehabilit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gram for measuring a user's condition is required. In addition, a program for measuring the user's condition is needed so that the existing user can check to what extent his or her rehabilitation has progressed. Accordingly, the user may use the wearable device 1100 according to the state measurement program displayed on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before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분석부(1330)는 상태 측정 프로그램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100)에서 측정된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재활 목표 및 재활 일정을 모델링(modeling)할 수 있다. 분석부(133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310)에 저장된 재활 운동 정보를 참조하여 재활 달성도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1330)는 누적된 재활 운동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다음 재활 운동에 따른 예상 재활 달성도를 분석할 수도 있다. 분석부(1330)는 상태 정보 및 재활 운동 정보를 참조하여 전에 모델링된 재활 목표 및 재활 일정을 재조정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30 may model the rehabilitation target and rehabilitation schedule suitable for the user by referring to the stat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arable device 1100 according to the state measurement program. The analysis unit 1330 may analyze the degree of rehabilitation achievement by referring to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atabase 1310. The analysis unit 1330 may analyze the expected rehabilitation achievement level according to the user's next rehabilitation exercise by referring to the accumulated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The analysis unit 1330 may re-adjust the previously modeled rehabilitation goals and rehabilitation schedule with reference to state information and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분석부(133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310)에 저장된 재활 운동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석부(1330)는 사용자들의 무릎 관절 가동범위(ROM: range of motion)를 비교할 수 있다. 분석부(1330)의 비교 결과는 사용자 전자 장치(12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된 비교 결과는 디스플레이(12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30 may compar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atabase 1310. For example, the analysis unit 1330 may compare the range of motion (ROM) of users' knee joints.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analysis unit 1330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The transmitted comparison resul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1230.

분석부(133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310)에 저장된 여러 사용자들의 재활 운동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1100)의 착용 부위별로 분류할 수 있다. 분석부(1330)는 분류된 재활 운동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들의 평균 재활 진행도, 평균 재활 달성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부(1330)는 사용자들의 평균 재활 진행도, 평균 재활 달성도를 참조하여, 개인별 재활 일정 및 재활 목표를 수립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30 may classify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of various users stored in the user database 1310 for each wearing part of the wearable device 1100. The analysis unit 1330 may analyze the average rehabilitation progress and average rehabilitation of users by referring to the classified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The analysis unit 1330 may establish an individual rehabilitation schedule and rehabilitation goals by referring to the average rehabilitation progress and average rehabilitation degree of users.

추천부(1340)는 상태 측정 프로그램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100)에서 측정된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복수의 재활 프로그램 중 사용자에 적합한 재활 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추천부(1340)는 분석부(1330)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복수의 재활 프로그램 중 사용자에 적합한 재활 프로그램을 다시 추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재활 달성도에 따라, 기존에 추천된 재활 프로그램은 다른 재활 프로그램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 recommender 1340 may recommend a rehabilitation program suitable for a user among a plurality of rehabilitation programs by referring to the stat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arable device 1100 according to the state measurement program. In addition, the recommendation unit 1340 may refer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unit 1330 and recommend a rehabilitation program suitable for a user among a plurality of rehabilitation programs.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user's rehabilitation, the previously recommended rehabilitation program may be changed to another rehabilitation program.

분석부(1330)는 상술한 분석 결과들(재활 목표 및 재활 일정 모델링 또는 재조정, 비교 결과, 분류 결과, 평균 재활 진행도 분석, 평균 재활 달성도 분석, 등)을 도출하기 위해, 기계학습 알고리즘(machine learning algorithm)을 사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추천부(1340)도 추천 동작(사용자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재활 프로그램 도출)을 위해,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석부(1330) 및 추천부(1340) 각각은 CPU, AP 등을 포함할 수 있고, SoC 또는 ASIC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1330 i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machine) to derive the above-described analysis results (rehabilitation goals and rehabilitation schedule modeling or re-adjustment, comparison results, classification results, average rehabilitation progress analysis, average rehabilitation achievement analysis, etc.) learning algorithm). Similarly, the recommendation unit 1340 may use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a recommendation operation (deriving at least one rehabilitation program suitable for a user). To this end, each of the analysis unit 1330 and the recommendation unit 1340 may include a CPU, an AP, etc.,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SoC or ASIC.

통신부(1350)는 네트워크(도 1 참조, 1400)를 통해 사용자 전자 장치(12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350)는 전술한 다양한 방식의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350)는 웨어러블 장치(1100)에서 측정된 재활 운동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부(1330)의 분석 결과, 추천부(1340)의 추천 결과, 또는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사용자 전자 장치(1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35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through a network (see FIG. 1, 1400). The communication unit 1350 may support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n various way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on unit 1350 receives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wearable device 1100 and analyzes the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unit 1330, the recommendation result of the recommendation unit 1340, or the avatar training program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Can transmit.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사용자의 재활 운동에 따라, 사용자 전자 장치(1200)의 디스플레이(1230)에 게임 캐릭터나 아바타가 나타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동작이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8 is a flowchart exemplarily showing a method of operating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user's rehabilitation exercise, a game character or avatar may appear on the display 1230 of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Hereinafter, an operation in which the avatar training program is perform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S110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전술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1230)에 표시될 수 있다.In operation S110,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receive user information. The user information may refer to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described above. In step S110, an interface for receiving user's personal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30.

S115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입력 받은 사용자 정보를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향후 사용자의 재활 운동에 따른 재활 운동 정보와 연계될 수 있다.In operation S115,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transmit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to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store received user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may be linked to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rehabilitation exercise in the future.

S120 단계에서,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이하, 아바타 프로그램이라 함)을 추천할 수 있다.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사용자에 적합한 아바타 프로그램을 도출할 수 있다. 추천부(1340)는 분석부(1330)의 이전 분석 결과들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1320)에 저장된 복수의 재활 프로그램 중에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아바타 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 S125 단계에서,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추천한 아바타 프로그램을 사용자 전자 장치(12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120,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recommend an avatar training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vatar program).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derive an avatar program suitable for a user. The recommendation unit 1340 may recommend the avatar program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rehabilitation programs stored in the program database 1320 with reference to previous analysis results of the analysis unit 1330. In step S125,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transmit the recommended avatar program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S130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아바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전자 장치(1200)의 디스플레이(1230)에 가상 트레이너와 사용자 아바타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아바타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운동을 디스플레이(1230)에 반영할 수 있다. 가상 트레이너는 관절 가동 범위, 관절 가동 속도, 관절 토크, 표면 근전도 등과 같은 트레이닝 데이터를 이용하여 얻은 트레이닝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step S130,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execute the avatar program. A virtual trainer and a user avata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30 of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Here, the user avatar may reflect the user's movement or movement in real time on the display 1230. The virtual trainer may provide the user with a training guide obtained using training data such as joint movement range, joint movement speed, joint torque, and surface electromyography.

S21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100)는 아바타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되는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재활 운동에 따른 재활 운동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웨어러블 장치(11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0)는 상태 측정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의 무릎 관절의 가동범위(ROM)나 근전도(EMG) 등을 측정할 수 있다.In operation S210,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measure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performed according to the avatar program.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may be measured in real time by the wearable device 1100.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measure a range of motion (ROM) or an electromyography (EMG) of a user's knee joint according to a state measurement program.

S215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100)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사용자 전자 장치(1200)에 전달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0)는 사용자가 재활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 상태 정보를 사용자 전자 장치(12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사용자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1230)에 표시할 수 있다. In operation S215,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transmit user state information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transmit user state information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in real time while the user performs a rehabilitation exercise.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display user status information on the display 1230.

S220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사용자의 프로그램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사용자가 아바타 프로그램을 어느 정도로 수행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아바타 프로그램 수행 능력은 수치로 표시될 수 있다.In operation S220,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evaluate a user's ability to perform a program.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evaluate to what extent the user performs the avatar program. A user's ability to perform an avatar program may be displayed as a numerical value.

S230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사용자의 프로그램 수행 능력이 프로그램 수준에 미달될 때 기능성 전기 자극(FES) 신호를 인가하도록 웨어러블 장치(1100)를 제어할 수 있다. S235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프로그램 수준 도달 가능한 FES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1100)로 전달할 수 있다.In operation S230,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control the wearable device 1100 to apply a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signal when the user's ability to perform a program is less than a program level. In operation S235,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transmit a FES signal reachable at a program level to the wearable device 1100.

S240 단계에서, 웨어러블 장치(1100)는 FES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전기 자극부(1115)는 Q-FES 발생기(2231)에서 생성된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허벅지 전기 자극 패드(2310)를 이용하여 허벅지 근육에 인가할 수 있다. 제 2 전기 자극부(1125)는 S-FES 발생기(2235)에서 생성된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정강이 전기 자극 패드(2410)를 이용하여 정강이 근육에 인가할 수 있다.In operation S240,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output an FES signal.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15 may apply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generated by the Q-FES generator 2231 to the thigh muscle using the thigh electrical stimulation pad 2310. . The second electrical stimulation unit 1125 may apply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dominant muscle generated by the S-FES generator 2235 to the shank muscle using the shank electrical stimulation pad 2410.

S310 단계에서,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사용자의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FES 신호를 인가한 다음에, 사용자의 프로그램 수행 능력을 평가하고,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는 사용자 전자 장치(1200)의 저장부(12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업데이트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로 전달할 수 있다(S315). 웨어러블 장치(1100)는 측정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로 곧바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operation S310,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evaluate a user's performance. After applying the FES signal,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evaluate a user's ability to perform a program and update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The updated user statu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20 of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Alternatively,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transmit updated user status information to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S315). The wearable device 1100 may directly transmit the measured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S320 단계에서,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수신된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수행 능력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310)에는 수신된 상태 정보가 S115 단계에서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분석부(1330)는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310)에 저장된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특히, 현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분석부(1330)는 현재 사용자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1310)에 저장된 다른 사용자의 상태 정보 또는 재활 운동 정보를 참조할 수 있다. In step S320,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stor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and analyze performance. At this time,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user database 1310 in association with the user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115. The analysis unit 1330 may analyze the current user's status by referring to the user's status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database 1310. In particular, in order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current user, the analysis unit 1330 may refer to status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as well as status information or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of other users stored in the user database 1310.

S330 단계에서,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사용자에 적합한 재활 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 추천부(1340)는 분석부(1330)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1320)에 저장된 복수의 재활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를 추천할 수 있다.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1300)는 추천한 재활 프로그램을 사용자 전자 장치(1200)로 전송할 수 있다. In step S330,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recommend a rehabilitation program suitable for a user. The recommendation unit 1340 may recommend one of a plurality of rehabilitation programs stored in the program database 1320 with reference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analysis unit 1330. The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300 may transmit the recommended rehabilitation program to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의 재활 운동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사용자는 사용자 전자 장치(1200)를 통해 재활 희망 부위에 대한 현재 상태, 누적 데이터, 기능 향상도를 확인할 수 있다. 9 and 10 exemplarily show a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of a rehabilit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check the current status, cumulative data, and function improvement for the desired rehabilitation site through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사용자 재활 목적 부위에 대한 가동범위(ROM), 근전도(EMG) 및 기능성 전기 자극(FES)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가동범위와 근전도 수치는 재활 운동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되며, 재활 운동을 수행한 이후에 최신 정보로 자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a range of motion (ROM), electromyography (EMG),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for a user rehabilitation target site in real time to the user. The range of motion and EMG values are continuously measured dur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process and can be automatically updated with the latest information after perform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가동범위(ROM)와 근전도(EMG)를 선택적으로 측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전자 장치(1200)의 디스플레이(1230)에 표시되는 '측정하기(measure)'을 통해 다시 측정하고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 전자 장치(1200)는 디스플레이(1230)에 FES를 수행하기 위한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Activate' 버튼을 통해 기FES를 활성화할 수 있다.When selectively measuring the range of motion (ROM) and the electromyography (EMG), it is possible to re-measure and update the information through 'measure' displayed on the display 1230 of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may include a button unit for performing FES on the display 1230. The user can activate the existing FES through the 'Activate' butt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기능성 전기 자극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전자 장치(1200)의 디스플레이(1230)를 보면서, 전류 세기(Amplitude), 주파수(Pulse), 동작 폭(Pulse Interval), 램프(Ramp), 그리고 전체 작동 시간(Total Time)을 각각 증가 또는 감소하면서, 기능성 전기 자극을 인가할 수 있다. 즉, FES를 활성화함과 동시에 사용자 전자 장치(1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EMG 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30)에 EMG 그래프가 나타나고, EMG 그래프 위에 FES의 시작(start)과 중지(stop)가 세로 구분선으로 표시될 수 있다.10 exemplarily shows a method of using the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unction illustrated in FIG. 9. As shown in FIG. 10, the user looks at the display 1230 of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and the current intensity (Amplitude), frequency (Pulse), operating width (Pulse Interval), lamp (Ramp), and total operating time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may be applied while increasing or decreasing (Total Time), respectively. That is, the FMG is activated and the EMG signal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the user electronic device 1200. The EMG graph appears on the display 1230, and the start and stop of FES may be displayed on the EMG graph as vertical lin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 시스템(1000)은 사용자에 맞는 자극 위치를 찾고, 최적의 기능적 반응이 나오는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추천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The rehabilitation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ind a stimulation location suitable for a user, set a parameter for an optimal functional response, and provide a user-recommended recommended rehabilitation program.

재활 시스템(1000)은 목표로 설정된 기능적 반응(예를 들면, 관절각 또는 근육 활성도)이 획득될 때까지 자극 위치를 바꿈으로, 사용자 개개인마다 최적화된 자극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재활 시스템(1000)은 전류 세기(Amplitude), 주파수(Pulse per Seconds), 동작 폭(Pulse Interval), 램프(Ramp), 전체 작동 시간(Total time) 등의 파라미터를 변경해가면서 최적의 기능적 반응(예를 들면, 관절각 또는 근육 활성도)이 나오는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재활 시스템(1000)은 최적화된 전극 위치와 파라미터를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The rehabilitation system 1000 may find an optimized stimulation position for each user by changing the stimulation position until a targeted functional response (eg, joint angle or muscle activity) is obtained. The rehabilitation system 1000 changes the parameters such as current intensity (Amplitude), frequency (Pulse per Seconds), operation interval (Pulse Interval), lamp (Ramp), and total operating time (Total time) to optimize the functional response (e.g.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a parameter that indicates joint angle or muscle activity). The rehabilitation system 1000 may perform a user-specific rehabilitation exercise based on optimized electrode positions and parameters.

재활 시스템(1000)은 무릎 관절의 가동범위(ROM)를 측정함으로, 관절각 회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재활 시스템(1000)은 가동범위가 기준 미달 시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거나, 사용자 맞춤형 재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 효과적으로 관절각 회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The rehabilitation system 1000 may perform a joint angle recovery exercise by measuring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knee joint. The rehabilitation system 1000 applies an electric stimulus when the range of motion is less than a standard, or provides a user-customized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to effectively perform joint angle recovery exercise.

또한, 재활 시스템(1000)은 근전도(EMG) 측정을 통해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을 수행할 수 있다. 재활 시스템(1000)은 다리 근육에 힘을 주는 일정 시간 동안 근육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재활 시스템(1000)은 등척성 운동의 근육활성도가 기준 미달 시에 전기 자극을 인가하거나 사용자 맞춤형 재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habilitation system 1000 may perform an isometric exercise through EMG measurement. The rehabilitation system 1000 may measure muscle activity for a period of time that gives strength to the leg muscles. The rehabilitation system 1000 may apply an electrical stimulus when the muscle activity of the isometric exercise is less than a standard or provide a user-customized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 are specific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include embodiments that can be simply designed or easily chang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include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재활 시스템
1100: 웨어러블 장치
1110, 1120: 제 1 및 제 2 본체부
1200: 사용자 전자 장치
1300: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
1400: 네트워크
1000: rehabilitation system
1100: wearable device
1110, 1120: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200: user electronic device
1300: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1400: network

Claims (4)

관절 부위에 착용하고 전기 자극부를 통해 사용자의 재활 운동 정보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사용자 개인 정보 및 상기 재활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추천된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재활 프로그램 추천 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재활 운동 정보를 받고 상기 아바타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사용자 전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발생하고, 선택된 위치의 제 1 관절 부위의 근육에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제 1 기능성 전기 자극 발생기와, 선택된 위치의 제 2 관절 부위의 근육에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제 2 기능성 전기 자극 발생기를 포함하는 자극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제 1 관절 부위의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근전도 측정 센서와 상기 제 2 관절 부위의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근전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움직임 측정 센싱 회로; 및
상기 제 1 및 제 2 관절 부위의 관절각의 가동범위(ROM)을 측정하기 위한 관절각 측정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자극 신호 발생 회로의 전기 자극부는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전극과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에 대한 반응을 감지하기 위한 전극이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전기 자극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전기 자극 패드를 이용하여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인가하는 위치를 선택하여 상기 관절 부위의 근육에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을 인가하고 반응을 감지하는 재활 시스템.
A wearable device worn on a joint and meas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of a user through an electrical stimulation unit; And
A user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a recommended avatar training program based on user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from a rehabilitation program recommendation server, receiv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from the wearable device, and driving the avatar training program,
The wearable device,
A firs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a nerve dominant muscle and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of a nerve dominant muscle to a muscle at a first joint site at a selected location, and a nerve at a muscle at a second joint region at a selected location A stimulus signal generation circuit comprising a seco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generator for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dorsal muscle;
A motion measurement sensing circuit including a first EMG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EMG of the first joint site and a second EMG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EMG of the second joint site; And
Includes a joint angle measurement circuit for measuring the range of motion (ROM) of the joint angle of the first and second joint parts,
The electrical stimulation part of the stimul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includes an electrical stimulation pad in which an electrode for applying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nerve striation muscle and an electrode for sensing a response to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nerve sphincter are arranged in an array, the array A rehabilitation system that applies an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nerve ganglion muscle to the muscles of the joint site and senses a reaction by selecting a position to apply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nerve ganglion muscle us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pad arranged in the 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과충전 보호 기능을 갖는 충전 회로와 상기 충전 회로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를 갖고, 상기 배터리를 사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배터리의 동작 전압을 여러 레벨의 전압으로 변환하여 구동 전원을 생성하기 위한 변환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또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동작 상태를 표기하기 위한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 전자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의 구동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자극 신호 발생 회로, 상기 움직임 측정 센싱 회로, 그리고 상기 관절각 측정 회로를 구동하는 재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able device
A power supply unit having a charging circuit having an overcharge protection function and a battery charged by the charging circuit, and providing operating power to the wearable device using the battery;
A converter configured to convert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battery into voltages of various levels to generate driving power;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or an operation state of the wearable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user electronic device,
A rehabilitation system that drives the stimulus signal generation circuit, the motion measurement sensing circuit, and the joint angle measurement circuit using the driving power of the conver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극부는,
근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EMG 센서;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기 위한 IMU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EMG 센서를 통해 근육 신호 주파수 및 근육 피로도를 분석하고,
상기 IMU 센서를 통해 관절각의 가동범위를 측정하는 재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electrical stimulation unit,
EMG sensor for measuring EMG; And
Includes an IMU sensor to detect tilt,
Analyze muscle signal frequency and muscle fatigue through the EMG sensor,
Rehabilitation system to measure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angle through the IMU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는 전류 세기, 주파수, 동작 폭, 램프, 전체 작동 시간의 범위를 정해서 신경지배근의 전기 자극 신호를 인가하는 재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wearable device is a rehabilitation system for apply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a nerve dominant muscle by setting a range of current intensity, frequency, operating width, lamp, and total operating time.
KR1020200034911A 2018-08-02 2020-03-23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KR1023759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911A KR102375972B1 (en) 2018-08-02 2020-03-23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391A KR102094294B1 (en) 2018-08-02 2018-08-02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KR1020200034911A KR102375972B1 (en) 2018-08-02 2020-03-23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391A Division KR102094294B1 (en) 2018-08-02 2018-08-02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839A true KR20200033839A (en) 2020-03-30
KR102375972B1 KR102375972B1 (en) 2022-03-17

Family

ID=8093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911A KR102375972B1 (en) 2018-08-02 2020-03-23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97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081A (en) * 2010-11-26 2012-06-05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Intellectual exoskeleton robot system for assisting daily lif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and control method therof
JP2014042605A (en) * 2012-08-24 2014-03-13 Panasonic Corp Body-motion detection device, and electro-stimulator having the same
KR20150049145A (en) * 2013-10-29 2015-05-08 (주)젬텍 rehabilitation treatment system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method using the system
KR101801042B1 (en) * 2016-06-02 2017-11-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Rehabilitation robot using emg and f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081A (en) * 2010-11-26 2012-06-05 주식회사 바이오닉스 Intellectual exoskeleton robot system for assisting daily lif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and control method therof
JP2014042605A (en) * 2012-08-24 2014-03-13 Panasonic Corp Body-motion detection device, and electro-stimulator having the same
KR20150049145A (en) * 2013-10-29 2015-05-08 (주)젬텍 rehabilitation treatment system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method using the system
KR101801042B1 (en) * 2016-06-02 2017-11-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Rehabilitation robot using emg and f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972B1 (en)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294B1 (en)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KR101965269B1 (en) User electronic device receiving rehabilitation exercise information from wearable device
US10561881B2 (en) Dynamic proprioception
EP3273852B1 (en) Muscle activity monitoring
US96162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uro-stimulation
US20180028810A1 (en) System for controlling stimulation impulses
KR101738678B1 (en) System for evaluating the ability of physical activity
CN107427679A (en) Patient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20130123568A1 (en) Universal closed-loop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JP2001054507A (en) Motion capture device using myoelectric information, its controlling method, electric stimulator using this, force tactile present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se
US11957906B2 (en) External stimulus application system,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external stimulus condition determination support server
JP4337012B2 (e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nd force / tactile sense presentation device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US11738194B2 (en) Closed loop computer-brain interface device
CN110720908B (en) Muscle injury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based on vision-myoelectricity biofeedback an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using system
EP3938025B1 (en) Integrated device for electromyography and electrotherapy
CN111655327A (en) Muscl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Tedesco et al. A multi-sensors wearable system for remote assessment of physiotherapy exercises during ACL rehabilitation
JP4340936B2 (e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and force / tactile sense presentation device using electrical stimulation
KR20210059100A (en)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KR102375972B1 (en) Rehabilitation system performing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wearable device and user electronic device
KR20210128564A (en) Home training system
CN209203256U (en) View-based access control model-EMG biofeedback muscle damage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JP2001005601A (en) Electric stimulus device, inner force sense presenting device using electric stimul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se devices
US20170127962A1 (en) Biological-signal measurement device, biological-signal measurement method, wearable action assistance device, and action assistance method
JP2022154483A (en) Server and applica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