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403A -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403A
KR20200033403A KR1020180112583A KR20180112583A KR20200033403A KR 20200033403 A KR20200033403 A KR 20200033403A KR 1020180112583 A KR1020180112583 A KR 1020180112583A KR 20180112583 A KR20180112583 A KR 20180112583A KR 20200033403 A KR20200033403 A KR 20200033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extension
user client
content
extension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근
Original Assignee
(주)오투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투팜 filed Critical (주)오투팜
Priority to PCT/KR2018/01110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59904A1/ko
Priority to KR1020180112583A priority patent/KR20200033403A/ko
Publication of KR20200033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상기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서버가 기본보드 내의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 내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확장 태그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선택된 상기 확장 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EXPANSION TAG}
본 발명은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패드와 같은 스마트 기기의 확산과 함께, 기업의 레거시 시스템과 연계하여 작업할 수 있는 EMS(Enterprise Mobility Service, 기업형 모바일 서비스) 환경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기업형 모바일 서비스 환경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기업의 다양한 현장 관리를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업무 효율을 향상시키고 시간이나 비용의 낭비 요인을 제거할 수도 있어, 특히, 영업 판매 또는 생산 라인에서의 활용도가 부각되는 추세이다.
게시물의 분류와 검색을 용이하도록 만든 일종의 메타데이터로서의 해시태그의 기능을 포함하는 기업형 모바일 서비스도 늘어나고 있다.
해시태그의 기능을 포함하는 기업형 모바일 서비스는, 동일한 해시태그가 포함된 게시물을 나열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게시물을 모아서 볼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1104호, 2017.10.12.
상술한 바와 같이, 해시태그 기능을 포함한 기업형 모바일 서비스의 경우에는, 해시태그가 포함된 게시물 전체를 나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뿐이므로, 게시물 내에서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각 게시물에서 추출한 정보를 모아 제공하는 기능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현재는 사용자가 직접 게시물 내에서 필요한 정보를 따로 작성하고 이를 취합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 게시물 내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공통 주제의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가 모아서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서버가 기본카드 내의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 내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확장 태그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선택된 상기 확장 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카드데이터 내의 전부 또는 일부의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사진 데이터, 파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태그보드는, 각 콘텐츠에 대하여 선택된 확장 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확장 태그가 동일하게 선택된 상기 각 콘텐츠를 하나의 보드에 정렬한 정보 제공 페이지로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원하는 정보만을 추출하여 새롭게 정렬함으로써 새로운 보드로 재구성되어 제시되는 것이다.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신규로 작성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미리 작성된 하나 이상의 확장 태그를 리스트로 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확장 태그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은, 복수의 확장 태그 간의 미리 정해진 상하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제1 확장 태그의 선택 및 상기 제1 확장 태그에 해당되는 상하관계에서의 상위 개념 또는 하위 개념의 제2 확장 태그 선택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먼저 선택된 상기 제1 확장 태그가 상기 제2 확장 태그보다 하위개념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제1 확장 태그가 선택된 후 상기 제2 확장 태그가 선택되기 전에, 상기 제1 확장 태그가 선택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제2 확장 태그가 선택되지 않았다는 알림 표시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은, 복수의 확장 태그 간의 미리 정해진 상하관계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복수의 확장 태그 선택 및 상기 복수의 확장 태그 간의 상하관계 지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형식으로 태그보드를 생성하되, 상기 미리 정해진 형식은, 확장 태그의 정렬 및 배치를 포함하는 상기 태그보드의 형식으로서 상기 태그보드의 생성 전에 미리 설정된 것이다.
상기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태그보드 생성 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새롭게 입력 받은 양식의 형태로 태그보드를 생성하되, 상기 입력 받은 양식의 형태는, 상기 태그보드 생성 시에 작성되는 새로운 양식의 형태로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확장 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확장 태그의 정렬 및 배치가 새롭게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이 영화 촬영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는 시나리오 내에 포함된 각각의 씬 별로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시나리오 내에 포함된 인물, 인물의 대사, 인물의 행동, 인물의 복장, 인물의 분장, 씬 제목, 씬 요약내용, 액션, 카메라 이동, 배경 묘사, 자막, 촬영 장소 위치 특성, 야외 촬영 장소 특성, 스튜디오 촬영 장소 특성, 촬영 시간, 촬영장소 실내외 여부, 촬영 날짜, 촬영 장소의 실제 주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이 영화 촬영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가 기본카드 내의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에서 기본 카드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시나리오 데이터 상에서 씬 별로 확장 태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확장 태그에 의해 분류된 하나 이상의 각 씬별 내용을 포함하는 기본 카드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기본 카드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기본 카드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선택된 씬별 기본 카드를 제공하는 단계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상기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확장 태그가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가 포함된 상기 카드데이터 상에서 날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날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확장 태그를 사용하여, 확장 태그가 입력된 콘텐츠만을 모아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게시물의 집합이 아닌,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만을 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확장 태그가 입력된 콘텐츠를 모아 제공하는 태그보드의 형식을 사용자가 직접 만들거나 제시된 형식을 선택하도록 제공하여, 사용자가 태그보드 상에서 확장태그가 포함된 콘텐츠의 정렬 및 배치를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 맞춤으로 태그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본 카드 상에서 입력된 확장 태그를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화제작분야에서 씬별로 생성된 기본카드의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화제작분야에서 기본 카드가 생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화제작분야에서 상하위 개념의 확장 태그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화제작분야에서 하위 개념의 확장 태그를 먼저 설정한 경우 확장 태그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본카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카드데이터가 보드 상에 표시되는 기본적인 포맷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카드데이터(Card Data)'는 보드 상에 표시되는 데이터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 또는 업로드된 데이터 단위이다. 예를 들어, '카드데이터'는 특정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하나의 게시글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콘텐츠'는 카드데이터 내의 전부 또는 일부의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사진 데이터, 파일 데이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확장 태그'는 콘텐츠의 단위에 태그를 입력하거나 미리 설정된 태그를 선택하는 것으로서, 향후, 확장 태그만을 선택하였을 때, 동일한 확장 태그가 입력 또는 선택된 콘텐츠를 하나로 모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확장 태그는 하나의 카드데이터에 대하여 입력되는 태그가 아닌, 콘텐츠 단위로서 입력되는 태그이다.
본 명세서에서 '태그 보드'는 각 콘텐츠에 대하여 선택된 확장 태그를 반으로 하여 확장 태그가 동일하게 선택된 각 콘텐츠를 하나의 보드에 정렬한 정보 제공 페이지이다.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원하는 정보만을 추출하여 새롭게 정렬함으로써 기존에 제시된 보드가 아닌, 새로운 보드로서 재구성되어 제시되는 것이다.
또한, 태그 보드는, 태그가 포함된 카드데이터를 나열하는 방식이 아닌, 확장 태그를 설정한 콘텐츠의 단위로서, 각 콘텐츠가 정렬되어 하나의 보드 안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태그 보드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닌, 기본카드에 작성된 데이터를 정리하여 제시하는 것으로서, 데이터를 일일이 따로 뽑아낼 필요 없이 확장 태그 기반으로 필요시에 동일한 확장 태그가 포함된 데이터를 추출해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서버가 하나 이상의 기본카드 내의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S110),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 내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30),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확장 태그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S150) 및 선택된 확장 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카드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S110)에서 카드데이터는, 다양한 형태의 카드데이터이다. 일 실시예로, 카드데이터는, 게시판의 게시글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시나리오데이터일 수 있다. 카드데이터가 시나리오데이터인 경우에는, 각 씬에 대응하는 것이 기본카드이다.
콘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30)에서 콘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은, 일 실시예로, 콘텐츠가 텍스트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텍스트의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입력한다. 텍스트의 영역을 선택하는 방식은 드래그, 길게 누르는 방식, 박스 등의 도형의 형태로 영역을 설정, 미리 정해진 횟수의 터치, 미리 정해진 횟수의 클릭 등을 포함한다.
텍스트 데이터는 글자, 단어, 문장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 콘텐츠가 사진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사진 영역을 선택하거나 사진 자체를 선택함으로써 입력한다. 사진 영역을 선택하거나 사진 자체를 선택하는 방식은 드래그, 길게 누르는 방식, 박스 등의 도형의 형태로 영역을 설정, 미리 정해진 횟수의 터치, 미리 정해진 횟수의 클릭 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콘텐츠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동영상을 선택함으로써 입력한다. 동영상을 선택하는 방식은 길게 누르는 방식, 미리 정해진 횟수의 터치, 미리 정해진 횟수의 클릭 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콘텐츠가 파일 데이터인 경우에는 해당 파일을 선택함으로써 입력한다. 파일을 선택하는 방식은 파일을 길게 누르는 방식, 미리 정해진 횟수의 터치, 미리 정해진 횟수의 클릭 등을 포함한다.
확장 태그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S150)에서 확장 태그 선택은, 복수의 확장 태그 간의 미리 정해진 상하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제1 확장 태그 선택을 포함하고, 제1 확장 태그에 해당되는 상하관계에서의 상위 개념 또는 하위 개념의 제2 확장 태그 선택을 포함한다.
만일, 먼저 선택된 제1 확장 태그가 제2 확장 태그보다 하위 개념인 경우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태그가 선택된 후, 제2 확장 태그가 선택되기 전까지, 서비스서버는 제1 확장 태그가 선택된 콘텐츠에 대하여 제2 확장 태그가 선택되지 않았다는 알림 표시를 제시한다.
복수의 확장 태그 간의 미리 정해진 상하관계가 있는 경우의 확장 태그의 선택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
하위 개념의 확장 태그가 먼저 선택된 경우에 관한 자세한 설명 또한 도 4에서 후술한다.
또한, 만일 복수의 확장 태그 간의 미리 정해진 상하관계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콘텐츠에 대한 확장 태그 선택 시에, 확장 태그 선택과 함께 복수의 확장 태그 간의 상하관계를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서비스서버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확장 태그가 선택되면, 상하관계 지정으로서 기존에 작성되어 있던 복수의 확장 태그 리스트를 상위개념 또는 하위개념의 확장 태그로서 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콘텐츠에 대한 확장 태그를 선택하면서, 미리 정해진 명령어의 입력을 통해 상하관계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장(+#등장인물)'으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현재 콘텐츠에 대한 확장 태그는 '#복장'이며, 상위개념에는 '#등장인물'로 상하관계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의 예는 예시일 뿐, 다양한 미리 정해진 명령어의 입력을 통해 상하관계를 지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서비스서버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확장 태그가 선택되면, 미리 정해진 기호(예컨대, 화살표 등)를 선택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기호를 선택하는 경우 상위개념 또는 하위개념의 확장 태그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는 객체를 제공한다.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S170)는, 미리 정해진 형식으로 태그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형식은, 확장 태그의 정렬 및 배치를 포함하는 태그보드의 형식으로서, 태그보드를 생성하기 전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형식이다.
미리 정해진 형식은 하나의 형식으로서, 확장 태그의 정렬 및 배치가 정해져 있을 수 있고, 또는, 복수의 형식으로서 복수의 미리 정해진 형식 중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선택된 형식에 따라 확장 태그의 정렬 및 배치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미리 정해진 형식이 복수의 형식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 또는 입력한 확장 태그를 기반으로 태그 보드를 생성할 때에, 서비스서버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복수의 형식 중 하나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로, 미리 정해진 형식이 복수의 형식인 경우에는, 사용자마다 통합 설정으로서 복수의 형식 중 하나의 형식을 선택하여 미리 설정하여 두고, 이후 사용자가 선택 또는 입력한 확장 태그를 기반으로 태그 보드를 생성할 때에, 미리 설정해 둔 형식으로 태그 보드가 생성된다. 이 때, 사용자가 형식을 미리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비스서버 내에서 설정된 기본 형식으로 태그 보드가 생성된다.
미리 정해진 형식이 복수의 형식인 경우에는, 서비스서버가 사용자에게 복수의 형식 중 하나의 형식을 제공할 때에 각각의 형식에 대하여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S170)는, 태그 보드 생성 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새롭게 입력 받은 양식의 형태로 태그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새롭게 입력 받은 양식의 형태는, 태그보드 생성 시에 작성되는 새로운 양식의 형태로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확장 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확장 태그의 정렬 및 배치가 새롭게 설정되는 것이다.
즉, 기존에 미리 정해진 형식을 이용하여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태그보드 생성 시에 양식까지 함께 직접 제작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태그보드 생성 시 양식을 제작하는 방법은, 코딩 또는 HTML 등과 같은 명령어의 입력 방식, 또는 확장 태그를 선택하여 태그보드 상에 직접 확장 태그를 배치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상술한 태그보드의 생성 방법으로서, 확장 태그를 먼저 선택한 후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태그보드의 형식을 먼저 지정한 후 확장태그를 선택하는 방법도 포함될 수 있다.
태그보드의 형식이 미리 설정된 하나의 형식인 경우에는, 태그보드의 형식을 따로 지정할 필요 없이 확장 태그를 선택하고, 태그보드를 바로 생성할 수 있다.
태그보드의 형식이 미리 설정된 복수의 형식인 경우에는, 태그보드의 형식을 먼저 지정한 후 확장태그를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일 실시예로, 서비스서버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복수의 형식 중 하나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형식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확장태그를 지정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마다 통합 설정으로서 복수의 형식 중 하나의 형식을 선택하여 미리 설정하여 두고, 이후 사용자가 확장 태그를 입력 또는 선택하면 미리 설정된 형식대로 태그보드가 생성된다.
이 때, 사용자가 형식을 미리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서비스서버 내에서 설정된 기본 형식으로 태그보드가 생성된다.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S170)는, 서비스서버가 확장 태그가 선택된 콘텐츠에 대하여, 콘텐츠가 포함된 카드데이터 상에서 날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콘텐츠에 대한 날짜 정보를 포함하여 태그보드를 생성한다.
즉, 확장 태그가 선택된 콘텐츠에 날짜가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해당 콘텐츠가 포함된 카드데이터 상에 날짜가 있는 경우, 해당 날짜를 추출하여 태그 보드 생성 시, 날짜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이 영화 촬영에 사용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는 시나리오 내에 포함된 각각의 씬별로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콘텐츠는, 시나리오 내에 포함된 인물, 인물의 대사, 인물의 행동, 인물의 복장, 인물의 분장, 씬 제목, 씬 요약내용, 액션, 카메라 이동, 배경 묘사, 자막, 촬영 장소 위치 특성, 야외 촬영 장소 특성, 스튜디오 촬영 장소 특성, 촬영 시간, 촬영장소 실내외 여부, 촬영 날짜, 촬영 장소의 실제 주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본 카드 상에서 입력된 확장 태그를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기본 카드(401, 402, 403), 확장 태그 데이터베이스(500), 태그 보드 템플릿(600) 및 태그 보드(70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확장 태그의 예시로서, 할일에 대하여 #todo를 입력하고, #todo 확장 태그에 대한 태그 보드를 할일 리스트로 설명하지만, 확장 태그 및 확장 태그를 입력하는 기본 카드 상의 내용은 사용자의 설정 또는 관리자의 설정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각각의 기본 카드(401, 402, 403) 상에서 할일에 대한 확장 태그로서 #todo를 각각의 할일에 대응시켜 입력한다. 이 때, 모든 할일에 대하여 전부 #todo를 입력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정리하고 싶은 내용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확장 태그를 입력한다.
사용자로부터 확장 태그가 입력되면, 확장 태그 데이터베이스(500)에 각각의 확장 태그 및 확장 태그에 대응되는 내용이 저장된다.
확장 태그 데이터베이스와는 별도로, 상술한 미리 정해진 태그 보드의 형식으로 태그 보드 템플릿(600)이 제공되며, 할일에 해당되는 내용만을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todo의 확장 태그가 선택되면, 서비스서버는 미리 정해진 태그 보드의 형식에 #todo 확장 태그에 해당되는 할일의 내용을 정리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태그 보드(700)로서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화제작분야에서 씬별로 생성된 기본카드의 예시도면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시나리오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씬별 기본카드(400)는 각 씬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씬별 기본카드(400)는 해당 씬과 관련된 여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씬별 기본카드(400)는 해당 씬의 촬영장소, 등장인물, 촬영일자, 콘티, 사용 금액 등이 입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화제작분야에서 기본 카드가 생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시나리오 데이터(200), 확장 태그 데이터베이스(510), 기본 카드 리스트(300) 및 기본 카드(404, 405, 406)를 포함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서비스서버는 하나 이상의 씬 내용이 포함된 시나리오 데이터(200)상에서, 사용자로부터 각 씬 별로 #scene의 확장 태그의 입력을 수신한다.
도 3과 같이, 확장 태그 및 확장 태그에 대응되는 내용이 확장 태그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되어, 사용자로부터 #scene에 해당하는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면, 서비스서버는 사용자에게 확장 태그 #scene에 해당하는 각 씬별 내용이 간략하게 정리된 기본 카드 리스트(300)를 제공한다.
제공된 기본 카드 리스트(300)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카드를 선택하면, 서비스서버는 사용자에게 확장 태그에 대응되는 내용이 상세하게 정리된 각각의 기본 카드(404, 405, 406)를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후, 사용자는 생성된 기본 카드(404, 405, 406) 상에서 정리가 필요한 내용에 대하여 확장 태그를 입력하여, 도 1의 설명과 같이 확장 태그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확장 태그의 상하관계를 설명하면, 도 4의 설명과 같이, 시나리오 데이터(200)는 하나 이상의 씬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씬에 대하여 시나리오 데이터(200) 상에서 #scene이라는 확장 태그를 입력하면, 각 씬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 단위로서, 시나리오 데이터(200)를 나눌 수 있다.
각 씬에 대한 내용이 #scene이라는 확장 태그로서 나누어지고, 각 씬의 내용을 포함하는 기본 카드(400, 401, 402, 403, 404, 405)가 생성되면, 각 기본 카드(400, 401, 402, 403, 404, 405) 상에서 정보 제공을 위하여 입력한 확장 태그들은 #scene의 하위 개념이 된다.
이 때, #scene의 하위 개념은 각 기본 카드(400, 401, 402, 403, 404, 405)마다 상이해지는 것이 아니라, 공통적으로 생성된다. 공통적으로 생성되어야만, 모든 씬에 해당하는 공통 주제 하나에 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았거나, 해당 내용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하나의 기본 카드에 입력된 확장 태그가 다른 기본 카드에는 입력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scene의 하위 개념에 해당되는 확장 태그 간에도 상하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기본 카드 상에서의 확장 태그 간의 상하관계는, 도 5 및 도 6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다.
상술한 확장 태그로서의 #scene은 예시일 뿐이고, 확장 태그 및 확장 태그를 입력하는 기본 카드 상의 내용은 사용자의 설정 또는 관리자의 설정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은, 확장 태그가 기본 카드 상에서 모두 입력된 후에,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서비스서버가 각 씬별 기본카드와 확장 태그가 입력된 내용을 표로서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각 기본 카드 상에서 확장 태그의 매칭 또는 입력을 한 후, 각 씬별 기본카드와 확장 태그에 대하여 입력된 내용이 매칭된 표를 요청하여 제공 받은 경우, 각 씬별 기본카드에서 확장 태그가 입력된 내용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공 받은 표를 확인한 결과, 각 씬별 기본카드에서 각 확장 태그에 해당되는 내용이 빠진 경우에는 이를 확인하여 내용이 빠진 공백을 사용자가 채울 수 있다.
공백을 채우는 방법으로는, 각 씬별 기본카드와 확장 태그 내용이 매칭된 표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내용을 작성할 수 있으며, 또는, 각 씬별 기본카드로 돌아가서 해당되는 내용에 확장 태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공백이 발생한 부분에 대하여 별도로 내용을 작성하여 저장하고, 요청 시 작성된 내용을 불러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화제작분야에서 상하위 개념의 확장 태그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화제작분야에서 하위 개념의 확장 태그를 먼저 설정한 경우 확장 태그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의 확장 태그는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의 확장 태그는 사용자 임의대로 지정이 가능하며, 또는, 서비스서버 내에서 미리 설정되어 제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확장 태그의 종류는 도 5 및 도 6의 예시와는 관계없이, 다양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상위개념의 확장 태그는 제1 확장 태그(10)로, 하위개념의 확장 태그는 제2 확장 태그(20)로 설명하나, 먼저 설정된 확장 태그가 제1 확장 태그, 나중에 설정된 확장 태그가 제2 확장 태그로서 나타낼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등장인물 A 및 B에는 제1 확장 태그(10)로서 '#등장인물'이 입력 또는 제시되어 있고, A 복장 및 B 복장에는 제2 확장 태그(20)로서 '#복장'이 입력 또는 제시되어 있다. 또한, '#복장'으로 입력 또는 제시된 제2 확장 태그(20)는 다시 A 또는 B로서 확장 태그 간의 상하관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하관계 선택 객체(30)가 제시되어 있다.
도 5는 확장 태그의 입력 또는 선택 시 상하관계를 상위에서 하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복장보다 상위인 '#등장인물'로 작성된 제1 확장 태그(10)가 먼저 입력 또는 선택된 것이고, 제1 확장 태그(10)를 선택한 후, 등장인물의 하위인 '#복장'으로 작성된 제2 확장 태그(20)가 입력 또는 선택된 것이다.
도 5와 같이, 상하관계에 대한 확장 태그를 상위에서 하위로 순차적으로 선택한 경우에는, 하위 카테고리의 제2 확장 태그(20) 선택 시, 상위 카테고리의 제1 확장 태그(10) 중 어떤 것의 하위 개념인지 선택하도록 제시하고, 해당 상위 카테고리의 확장 태그를 선택하여야만 제2 확장 태그(20)의 입력 또는 선택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6은 상위의 제1 확장 태그(10)보다 하위의 제2 확장 태그(20)가 먼저 입력 또는 선택되는 경우이다.
서비스서버가 하위의 제2 확장 태그(20)가 먼저 입력 또는 선택되었다고 인식할 수 있는 경우는, 확장 태그 간의 상하관계가 미리 설정된 경우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상위의 제1 확장 태그(10)보다 하위의 제2 확장 태그(20)가 먼저 입력 또는 선택되는 경우에는, 하위의 제2 확장 태그(20)가 입력 또는 선택되면, 제2 확장 태그(20)가 선택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위의 제1 확장 태그(10)가 선택되지 않았다는 알림 표시(22)를 제시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위의 제1 확장 태그(10)를 입력 또는 선택되고, 제1 확장 태그(10)의 입력 또는 선택에 따라, 하위의 제2 확장 태그(20)에서 상위 카테고리의 제1 확장 태그(10) 중 어떤 것의 하위 개념인지 선택이 완료되어야 알림표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서비스서버가 기본카드 내의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 내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확장 태그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선택된 상기 확장 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카드데이터 내의 전부 또는 일부의 텍스트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사진 데이터, 파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태그보드는,
    각 콘텐츠에 대하여 선택된 확장 태그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확장 태그가 동일하게 선택된 상기 각 콘텐츠를 하나의 보드에 정렬한 정보 제공 페이지로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원하는 정보만을 추출하여 새롭게 정렬함으로써 새로운 보드로 재구성되어 제시되는 것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신규로 작성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미리 작성된 하나 이상의 확장 태그를 리스트로 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확장 태그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은,
    복수의 확장 태그 간의 미리 정해진 상하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제1 확장 태그의 선택 및 상기 제1 확장 태그에 해당되는 상하관계에서의 상위 개념 또는 하위 개념의 제2 확장 태그 선택을 포함하는 것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먼저 선택된 상기 제1 확장 태그가 상기 제2 확장 태그보다 하위개념인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제1 확장 태그가 선택된 후 상기 제2 확장 태그가 선택되기 전에, 상기 제1 확장 태그가 선택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제2 확장 태그가 선택되지 않았다는 알림 표시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확장 태그 선택은,
    복수의 확장 태그 간의 미리 정해진 상하관계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복수의 확장 태그 선택 및 상기 복수의 확장 태그 간의 상하관계 지정을 포함하는 것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형식으로 태그보드를 생성하되,
    상기 미리 정해진 형식은,
    확장 태그의 정렬 및 배치를 포함하는 상기 태그보드의 형식으로서 상기 태그보드의 생성 전에 미리 설정된 것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태그보드 생성 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새롭게 입력 받은 양식의 형태로 태그보드를 생성하되,
    상기 입력 받은 양식의 형태는,
    상기 태그보드 생성 시에 작성되는 새로운 양식의 형태로서,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확장 태그를 기반으로 하는 상기 확장 태그의 정렬 및 배치가 새롭게 설정되는 것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이 영화 촬영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는 시나리오 내에 포함된 각각의 씬별로 생성되는 것이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시나리오 내에 포함된 인물, 인물의 대사, 인물의 행동, 인물의 복장, 인물의 분장, 씬 제목, 씬 요약내용, 액션, 카메라 이동, 배경 묘사, 자막, 촬영 장소 위치 특성, 야외 촬영 장소 특성, 스튜디오 촬영 장소 특성, 촬영 시간, 촬영장소 실내외 여부, 촬영 날짜, 촬영 장소의 실제 주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이 영화 촬영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가 기본카드 내의 하나 이상의 카드데이터를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에서 기본 카드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시나리오 데이터 상에서 씬 별로 확장 태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확장 태그에 의해 분류된 하나 이상의 각 씬별 내용을 포함하는 기본 카드의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기본 카드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기본 카드의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선택된 씬별 기본 카드를 제공하는 단계에 의해 생성된 것인,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서버가 상기 확장 태그가 선택된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가 포함된 상기 카드데이터 상에서 날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상기 콘텐츠에 대한 날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태그보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11.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프로그램.
KR1020180112583A 2018-09-20 2018-09-20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33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1100 WO2020059904A1 (ko) 2018-09-20 2018-09-20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180112583A KR20200033403A (ko) 2018-09-20 2018-09-20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583A KR20200033403A (ko) 2018-09-20 2018-09-20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403A true KR20200033403A (ko) 2020-03-30

Family

ID=6988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583A KR20200033403A (ko) 2018-09-20 2018-09-20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33403A (ko)
WO (1) WO202005990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104A (ko) 2016-03-25 2017-10-12 (주)네이미 해시 태그를 이용한 명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2309A (ko) * 2011-04-28 2012-11-07 주식회사 이디스넷 업무절차의 세부작업에 필요한 직무지식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온톨로지 태그 기반 직무지식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295842B1 (ko) * 2011-09-05 2013-08-12 훈 백 객체 태깅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83616B1 (ko) * 2011-10-24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를 공유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285115B1 (ko) * 2013-02-22 2013-07-17 김준석 태그를 활용한 컨텐츠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754371B1 (ko) * 2016-11-25 2017-07-05 김기선 태그 첨부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게시 콘텐츠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104A (ko) 2016-03-25 2017-10-12 (주)네이미 해시 태그를 이용한 명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9904A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26301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702484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electronic distribution of information
WO2016015432A1 (zh) 页面的构建方法、装置、系统、设备及非易失性计算机存储介质
CN107391134B (zh) 一种通用移动应用交互界面自动生成与动态变换方法与装置
CN109359280B (zh) 数据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1079987B2 (en) Creation of component templates
CN103649947A (zh) 用于支持所创建图像中包括的对象的收集的方法、终端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2770187A (zh) 店铺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9697242B (zh) 拍照搜题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设备
CN113518187A (zh) 视频编辑方法及设备
KR20200033403A (ko) 확장 태그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CN114415911B (zh) 一种数据录入的方法和装置
CN111782740A (zh) 座位数据处理方法、计算设备及存储介质
CN115220618A (zh) 一种表单生成方法和装置
CN114419194A (zh) 生成搭配图像的方法及电子设备
JP682828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1222065A (zh) 一种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1499052B1 (ko)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CN112052644A (zh) 一种文档编辑的方法、装置、计算机存储介质及终端
WO2022218286A1 (en) Method for associating a commodity and a picture thereof
KR20130019176A (ko) 전자책 상에서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 및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71041B1 (ko) 이미지를 이용한 융합 정보 제작 장치 및 방법
CN104346387A (zh) 云端服务器以及图像存储检索系统
Shepard Map-based Input with Google Fusion Tables
KR20110040209A (ko) 전자북의 생성/관리 서버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