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138A -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 Google Patents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138A
KR20200033138A KR1020190060919A KR20190060919A KR20200033138A KR 20200033138 A KR20200033138 A KR 20200033138A KR 1020190060919 A KR1020190060919 A KR 1020190060919A KR 20190060919 A KR20190060919 A KR 20190060919A KR 20200033138 A KR20200033138 A KR 20200033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filter
filtration fil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현선
김성경
김주겸
전재흥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570,310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96127B2/en
Priority to CN201910886730.9A priority patent/CN110915686A/en
Priority to EP19198292.5A priority patent/EP3628149B1/en
Publication of KR2020003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1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5Wate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Provided is a water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which smoothly circulates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For this purpose, the water supply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ater tank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 pump installed in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pipe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is transferred; a water supply plate disposed at an upper side than the water tank and having an upper surface along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flows; and a cylindrical filter disposed in the water tank and filter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he pump is installed in the filter.

Description

반려동물 급수기{WATER SUPPLY DEVICE FOR PETS}WATER SUPPLY DEVICE FOR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에 담긴 물을 순환시켜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는 반려동물 급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er that provides water to a companion animal by circulating water contained in a water tank.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심 및 관심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어 반려동물을 위한 기구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s well as the growing population of pets, the attachment and interest in pets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many organizations for companion animals are being developed.

그 중에서도, 반려동물은 수시로 물을 마셔야 생체리듬이 유지되는데 대하여, 반려동물은 홀로 있는 경우도 많고 인간과의 의사소통도 어렵기 때문에, 반려동물에게 항상 청결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급수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Among them, a pet animal needs to drink water from time to time to maintain the biorhythm, but because a pet is often alone and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humans, attention to a water supply that can always provide clean water to a pet This is increasing.

유럽 특허번호 EP3315022A1(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수조와, 여과필터 및 펌프가 내장된 블록(block)과, 펌프와 연결된 급수 파이프와, 급수 파이프로부터 공급된 물이 일시 저장되는 급수 용기(bowl)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과 급수용기는 일체로 결합되어 단일의 삽입체(insert)를 형성하고, 수조 외측에 제1 인덕션 코일과 블럭 내부에 제2 인덕션 코일을 구비한 무선 전력공급장치를 포함한 '반려동물용 급수기'를 개시하고 있다.In European Patent No. EP3315022A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a water tank, a block in which a filtration filter and a pump are built,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pump, and a water supply in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is temporarily stored A wireless power supply having a bowl, the block and the water container are integrally combined to form a single insert, and the first induction coil outside the water tank and the second induction coil inside the block. We are launching a 'water supply for pets' that includes a device.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펌프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은 상기 여과필터를 거쳐 상기 블록 내로 유입되고, 상기 블록 내로 유입된 물은 상기 급수 파이프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급수 용기의 상면으로 이동된다. 반려동물은 상기 급수 용기의 상면으로 이동된 물을 마실 수 있다.In the prior art, when the pump is driven,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introduced into the block through the filtration filter, and water introduced into the block is moved upwar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Is moved. The companion animal can drink the water mov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그런데, 종래 기술은 상기 필터가 상기 블록의 일측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이 상기 블록의 일측을 통해서만 상기 블록 내로 유입되어서,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의 순환이 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filter is installed only on one side of the block,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flows into the block only through one side of the block,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irculation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not good.

또한, 상기 펌프가 상기 블록 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펌프의 고장 수리 시 상기 블록을 분해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pump is provided in the blo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lock must be disassembled when the pump is repaired.

또한, 상기 종래 기술에는 상기 급수 파이프에 UV 필터가 설치되어서, 상기 UV 필터가 상기 급수 파이프에서 상기 급수 용기로 이송되는 물을 살균할 수 있지만,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은 살균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 UV filter is installed on the water supply pipe, so that the UV filter can sterilize water transferr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water supply container, but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cannot be sterilized.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1 과제는,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의 순환이 잘되는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er having good circulation of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2 과제는, 펌프의 고장 수리가 용이한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water feeder that is easy to repair and repair the pump.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제3 과제는,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살균할 수 있는 반려동물 급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hir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water dispenser capable of sterilizing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는, 상측이 개구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개구된 상측을 덮는 이너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어셈블리의 상부는 상기 수조보다 상측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이너 어셈블리의 하부는 상기 수조 내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이너 어셈블리는 상기 수조 내로 삽입 배치되는 통형상의 여과필터와, 상기 여과필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펌프는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상기 이너 어셈블리의 상면으로 공급한다.The companion animal water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having an upper side opened and an inner assembly covering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assembly is disposed to protrude above the water tank,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The inner assembly includes a cylindrical filtration filter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and a pump installed inside the filtration filter. The pump supplies water in the water tank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assembly.

상기 이너 어셈블리의 상기 상면은 상기 이너 어셈블리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조보다 높게 배치된다. 상기 이너 어셈블리의 상기 상면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상면의 가장자리를 통해 아래로 이동되어서 상기 수조 내로 공급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assembly protrudes upwards of the inner assembly and is disposed higher than the water tank. Water su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assembly is moved down through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and is supplied into the water tank.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는, 상측이 개구된 수조 내에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물이 급수관을 따라 이송된다. 상기 수조보다 위에는 급수 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급수 플레이트의 상면을 따라 흐른다. 상기 수조 내에는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여과하는 통형상의 여과필터가 배치된다. 상기 펌프는 상기 여과필터의 내부에 설치된다.In the companion animal water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ump is installed in a water tank with an upper side opened,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is transferred along the water supply pipe. A water supply plate is disposed above the water tank, an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flows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late. A cylindrical filtration filter for filter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disposed in the water tank. The pump is installed inside the filtration filter.

상기 여과필터의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전체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ration filter.

상기 여과필터는, 통형상의 제1 여과필터와, 상기 제1 여과필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통형상의 제2 여과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제2 여과필터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ltration filter may include a cylindrical first filtration filter and a cylindrical second filtration filter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ration filter. The pump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상기 제1 여과필터의 둘레면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측에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closer to the inside as it goes from top to bottom.

상기 제1 여과필터는 상기 제1 여과필터에 형성된 통공보다 입자가 큰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제2 여과필터는 여과물질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여과물질은 상기 제2 여과필터에 형성된 통공보다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The first filtration filter may filter foreign matter having larger particles than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irst filtration filter.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may include a filtration material therein. The filtration material may filter foreign matter having smaller particles than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상기 제2 여과필터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외측벽과, 상기 외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내측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물질은 상기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 사이에 충진될 수 있고, 상기 펌프는 상기 내측벽의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filtration filter may include an outer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an inner wall spaced inward from the outer wall and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he filtering material may be fill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nd the pump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wall.

상기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may be formed vertically.

상기 제2 여과필터에는 상기 여과물질의 하측 및 상기 펌프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여과필터의 상기 외측벽은 상기 지지판보다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여과필터는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여과필터는 지지통체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통체는 상기 제1 여과필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통체는 상기 제2 여과필터의 하단부 내로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통체의 외주면에는 링형의 제1 UV 살균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UV 살균필터는 상기 제2 여과필터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A support plate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material and the lower side of the pump may be formed on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filter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er may be opened. The filtration filter may have a support cylinder therein. The support cylinder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filtration filter. The support cylinder may have an upper end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A ring-shaped first UV sterilizing filter may be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The first UV sterilization filter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상기 제2 여과필터의 하단은 상기 제1 UV 살균필터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may be se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UV sterilization filter.

상기 여과필터의 하측에는 하측 필터커버가 씌워질 수 있다. 상기 하측 필터커버의 상부는 상기 지지통체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A lower filter cover may be covered under the filtration filter.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filter cover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ed lower side of the support cylinder.

상기 하측 필터커버의 상부 외주면에는 제2 UV 살균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UV 살균필터는 상기 지지통체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A second UV sterilizing filter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filter cover. The second UV sterilization filter may be disposed below the support cylinder.

상기 수조의 바닥판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통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필터커버는 상기 바닥판의 상기 돌출부에 씌워질 수 있다.A cylindrical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tank. The lower filter cover may be cover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bottom plate.

상기 바닥판의 상기 돌출부 주위에는 링형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측 필터커버에는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A ring-shaped groove may be formed around the protrusion of the bottom plate, and a flange inserted into th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wer filter cover.

상기 제2 UV 살균필터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2 UV 살균필터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여과필터의 하단 및 상기 지지통체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다.The second UV sterilizing filter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and a lower end of the support cylinder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V sterilizing filter.

상기 돌출부 내에는 무선전력송신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통체의 상측면 및 상기 지지판 사이에는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무선전력을 송신받는 무선전력수신부가 배치될 수 있다.A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be disposed in the protrusion.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and the supporting plate.

상기 급수관의 상부에는 통형상의 제3 UV 살균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UV 살균필터는 상기 급수관의 상단이 관통할 수 있다.A third UV sterilizing filt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may pass through the third UV sterilizing filter.

상기 수조의 개방된 상측을 덮는 물받이는 상기 급수 플레이트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수조 내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물받이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ip tray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is disposed below the water supply plate, and can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late and discharge it into the water tank. The filtration filter may be disposed under the drip tray.

플레이트 서포트는 상기 급수 플레이트 및 상기 물받이를 연결할 수 있다.The plate support may connect the water supply plate and the drip tray.

상기 물받이는 외측벽과 내측벽과 바닥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의 상기 외측벽은 외측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의 상기 내측벽은 내측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의 상기 외측벽 및 상기 물받이의 상기 내측벽 사이에는 배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벽은 상기 물받이의 상기 외측벽의 하측부 및 상기 물받이의 상기 내측벽의 하측부를 이어줄 수 있다. 상기 바닥벽에는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물받이로 공급된 물을 상기 수조 내로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물받이의 상기 내측벽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drip tray may be composed of an outer wall, an inner wall and a bottom wall. The outer wall of the drip tray may form an outer rim. The inner wall of the drip tray may form an inner rim. A drainage passag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drip tray and the inner wall of the drip tray. The bottom wall may connect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drip tra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drip tray. A discharge hole for discharg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late to the drip tray into the water tank may be formed on the bottom wall. The filtration filter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drip tray.

상기 물받이의 상기 내측벽에는 돌출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턱부는 상기 물받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물받이의 바닥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턱부의 내측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여과필터의 상측에는 상측 필터커버가 씌워질 수 있다. 상기 상측 필터커버는 상기 급수관이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필터커버는 상기 돌출턱부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턱부의 개구된 내측을 차폐할 수 있다.A protruding jaw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drip tray. The protruding jaw portion may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drip tray to form a bottom wall of the drip tray.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jaw may be opened. An upper filter cover may be cover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ration filter. The water supply pipe may pass through the upper filter cover. The upper filter cover may be coupled to the protruding jaw to shield the opened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jaw.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급수기는, 펌프가 통형상의 여과필터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은 상기 여과필터의 둘레방향 전체에서 상기 여과필터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의 순환이 잘되는 효과가 있다.The companion animal water fee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ump is installed inside the tubular filtration filter,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filter in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ration filter, and thus stored in the water tank It has the effect of good circulation of water.

또한, 상기 펌프가 통형상의 여과필터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펌프의 고장 수리 시, 상기 여과필터를 제거한 후 상기 펌프를 용이하게 고장 수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mp is installed inside the cylindrical filtration filter,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pump can be easily repaired after the filter is removed when the pump is repaired.

또한, 상기 여과필터에는 제1 UV 살균필터 및 제2 UV 살균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UV 살균필터 및 상기 제2 UV 살균필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살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UV sterilization filter and the second UV sterilization filter is installed in the filtration filter. Therefore, at least one of the first UV sterilization filter and the second UV sterilization filter has an effect of steriliz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급수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 급수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너 어셈블리가 수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여과필터 및 펌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여과필터 및 펌프가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급수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조명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물받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shown in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assembly shown in Figure 2 is separated from the water tank,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 tank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ration filter and pump shown in Figure 2,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and pump shown in FIG. 2 assembled;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assembled to the water supply plate shown in Figure 2,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 and the lighting device shown in FIG. 7 are combined;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8,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p tray shown in FIG.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급수기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companion animal water dispen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급수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려동물 급수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너 어셈블리가 수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state in which the inner assembly shown in FIG. 2 is separated from the water tank It is a figure show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급수기는, 상측이 개구된 수조(10)와, 수조(10)의 개구된 상측을 덮는 이너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side open water tank 10 and an inner assembly 100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10. have.

이너 어셈블리(100)는, 상면(31)과, 상면(31)을 상측으로 돌출 배치시키는 서포트(63)를 가질 수 있다. 서포트(63)의 외주면의 상단은 상면(31)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서포트(63)의 외주면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서포트(63)의 내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면(63C)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assembly 100 may have an upper surface 31 and a support 63 for protruding the upper surface 31 upward.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63 may be located at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3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63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63C closer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63 as it goes from top to bottom.

이너 어셈블리(100)의 상부는 수조(10)보다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고, 이너 어셈블리(100)의 하부는 수조(10) 내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어셈블리(100)의 하부에는 수조(10) 내의 물을 상면(31)으로 압송하는 펌프(20)가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assembly 10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water tank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assembly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10. A pump 20 for feeding water in the water tank 10 to the upper surface 31 may be disposed under the inner assembly 100.

상면(31)으로 압송된 물은, 펌프(20)의 펌핑용량이 높으면 상면(31)의 가장자리를 통해 아래로 낙하할 수 있고, 펌프(20)의 폄핑용량이 낮으면 상면(31)의 가장자리에서 서포트(63)의 외주면을 타고 아래로 흐를 수 있다.The water pushed to the upper surface 31 may fall down through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31 when the pumping capacity of the pump 20 is high, and when the pumping capacity of the pump 20 is low,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3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63) can flow down.

반려동물은 상면(31)을 흐르는 물을 마실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동물은 상면(31)의 가장자리를 통해 아래로 낙하하는 물을 마실 수도 있다.The companion animal can drink water flow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31. 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may drink water falling down through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31.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급수기는 수조(10) 및 이너 어셈블리(100)인 두 개의 파트로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이너 어셈블리(100)를 들어 올리면, 이너 어셈블리(100)는 수조(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wo parts, the water tank 10 and the inner assembly 100, when the user lifts the inner assembly 100, the inner assembly 100 is the water tank 10 It can be separated from.

사용자는 이너 어셈블리(100) 중 수조(10)의 외측에 배치되는 부분 중에서 가장 하측 부분인 물받이(50)를 손으로 잡고 이너 어셈블리(100)를 들어 올려서, 이너 어셈블리(100)를 수조(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inner assembly 100, by holding the trough 50, which is the lowermost part of the parts disposed outside of the water tank 10, by hand, lifts the inner assembly 100, and the inner assembly 100 is placed in the water tank 10. Can be separated from.

사용자는 이너 어셈블리(100)를 수조(10)로부터 분리한 후,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을 쉽게 교환하거나 수조(10) 내를 쉽게 세척할 수 있다.After separating the inner assembly 100 from the water tank 10, the user can easily exchang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or easily wash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이너 어셈블리(100)는 펌프(20)와, 급수관(25)과, 급수 플레이트(30)와, 물받이(50)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20), 급수관(25), 급수 플레이트(30) 및 물받이(50)는 일체로 결합되어 단일의 이너 어셈블리(100)를 형성할 수 있다.The inner assembly 100 may include a pump 20, a water supply pipe 25, a water supply plate 30, and a drip tray 50. The pump 20, the water supply pipe 25,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water receiving pipe 50 may be integrally combined to form a single inner assembly 100.

펌프(20)는 수조(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펌프(20)는 수조(10) 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The pump 20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 The pump 20 may be disposed centrally in the water tank 10.

급수관(25)은 펌프(20)로부터 토출된 물이 이송될 수 있다. 급수관(25)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20 may be transferred to the water supply pipe 25. The water supply pipe 25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급수 플레이트(30)는 수조(10)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는 수조(10)의 중앙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는 급수관(25)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흐르는 상면(31)을 구비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은 이너 어셈블리(100)의 상면(31)을 형성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disposed above the water tank 10.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dispo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tank 10.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have an upper surface 31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25 flows.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form the upper surface 31 of the inner assembly 100.

급수 플레이트(30)의 중앙부에는 급수관(25)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으로 공급하는 급수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급수홀(32)은 급수관(25)의 상단과 연통할 수 있다.A water supply hole 32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25 to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water supply hole 32 may communicate with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25.

급수홀(32)을 통해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으로 이동된 물은,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를 통과한 후 서포트(63)의 외주면을 타고 물받이(50)로 흘러내릴 수 있다.The water moved to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32 may pass through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n flow down to the drip tray 5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63. have.

또한, 급수홀(32)을 통해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으로 이동된 물은,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를 통과한 후 물받이(50)로 곧바로 낙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ater moved to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32 may pass through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n fall directly to the drip tray 50.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는 급수 플레이트(30)의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에 고인 물은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를 통과한 후, 서포트(63)의 외주면을 타고 쉽게 흘러내릴 수 있다.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formed as a convex curved surface outside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refore, water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can easily flow dow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63 after passing through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물받이(50)는 수조(10)의 개방된 상측을 덮을 수 있다. 물받이(50)는 급수 플레이트(30)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물받이(50)는 급수 플레이트(30) 또는 서포트(63)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수조(10) 내로 공급할 수 있다.The drip tray 50 may cover the ope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10. The drip tray 50 may be disposed below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drip tray 50 may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late 30 or the support 63 and supply it into the water tank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급수기는,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을 펌프(20)를 이용하여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으로 공급된 물은 물받이(50)로 이동된 후 다시 수조(10) 내로 공급될 수 있다.The companion animal water fee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uppl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to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using the pump 20. T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tank 10 again after being moved to the drip tray 50.

한편, 이너 어셈블리(100)는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을 여과하는 여과필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ner assembly 100 may further include a filtration filter 40 that filters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이너 어셈블리(100)가 여과필터(40)를 더 포함하는 경우, 펌프(20), 급수관(25), 급수 플레이트(30), 물받이(50) 및 여과필터(40)는 일체로 결합되어 단일의 이너 어셈블리(100)를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inner assembly 100 further includes a filtration filter 40, the pump 20, the water supply pipe 25,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drip tray 50 and the filtration filter 40 are integrally combined to form a single Inner assembly 100 may be formed.

이너 어셈블리(100)가 여과필터(40)를 더 포함하는 경우, 펌프(20)는 여과필터(40)가 여과한 물을 펌핑할 수 있다.When the inner assembly 100 further includes a filtration filter 40, the pump 20 may pump water filtered by the filtration filter 40.

여과필터(40)는, 제1 여과필터(42)와, 제1 여과필터(4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여과필터(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ration filter 40 may include a first filtration filter 42 and a second filtration filter 44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또한, 이너 어셈블리(100)는 물을 살균하는 적어도 하나의 UV(Ultraviolet Ray) 살균필터(47,48,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어셈블리(100)가 적어도 하나의 UV 살균필터(47,48,49)를 더 포함하는 경우, 이너 어셈블리(100)는 적어도 하나의 UV 살균필터(47,48,49)가 더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assembly 10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UV (Ultraviolet Ray) sterilizing filter 47, 48, 49 that sterilizes water. When the inner assembly 10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UV sterilization filter (47,48,49), the inner assembly (100) is at least one UV sterilization filter (47,48,49) is more integrally coupled Can be formed.

즉, 이너 어셈블리(100)가 적어도 하나의 UV 살균필터(47,48,49)를 더 포함하는 경우, 펌프(20), 급수관(25), 급수 플레이트(30), 물받이(50), 여과필터(40) 및 적어도 하나의 UV 살균필터(47,48,49)는 일체로 결합되어 단일의 이너 어셈블리(100)를 형성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inner assembly 10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UV sterilization filter (47,48,49), the pump 20, the water supply pipe 25,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water receiving pipe 50, the filtration filter The 40 and at least one UV sterilization filter 47, 48, 49 may be integrally combined to form a single inner assembly 100.

적어도 하나의 UV 살균필터(47,48,49)는 UV LED(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UV LED가 생성하는 빛을 확산시킬 수 있다.At least one UV sterilization filter (47,48,49) may include a UV LED (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 it is possible to diffuse the light generated by the UV LED.

적어도 하나의 UV 살균필터(47,48,49)는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을 살균하는 UV 살균필터(47,48)와, 급수관(25)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살균하는 UV 살균필터(49)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UV sterilization filter (47,48,49) is a UV sterilization filter (47,48) for steriliz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and a UV sterilization filter (49) for steriliz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25) ).

도 3을 참조하면, 수조(10)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컨테이너(10a)와, 컨테이너(10a)의 하측에 배치되는 컨테이너 서포트(11b)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컨테이너(10a)를 반려동물 급수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ater tank 10 may include a container 10a in which an upper side is opened and water is stored therein, and a container support 11b disposed in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10a.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space the container 10a upward from a bottom surface on which a companion animal water feeder is installed.

컨테이너(10a)는 상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측벽(11,11a)과, 측벽(11,11a)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닥판(1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1,11a) 및 바닥판(12)이 이루는 내부 공간에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측벽(11,11a)은 위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10a may include a cylindrical sidewall 11 and 11a with an open top and a bottom plate 12 disposed under the sidewalls 11 and 11a. Water may be stor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side walls 11 and 11a and the bottom plate 12. The side walls 11 and 11a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smaller diameter as it goes upward.

측벽(11,11a)은, 메인 측벽(11)과, 메인 측벽(11)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측 측벽(11a)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측벽(11)은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 측벽(11a)은 불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측벽(11)은 물이 실질적으로 저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한 메인 측벽(11)의 외부에서 메인 측벽(11) 내에 담긴 물의 양 및 오염도를 육안으로 체크할 수 있다.The side walls 11 and 11a may include a main side wall 11 and an upper side wall 11a positioned above the main side wall 11. The main sidewall 1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the upper sidewall 11a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The main sidewall 11 may be a portion where water is substantially stored.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amount of water and the degree of contamination contained in the main sidewall 11 from the outside of the transparent main sidewall 11.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상단은 메인 측벽(11)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하단은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상단보다 수조의 중심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상단과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하단 사이의 외주면(116, 도 4참조)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located below the main sidewall 11.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tha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6 (see FIG. 4)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convex outward.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불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메인 측벽(11), 상측 측벽(11a) 및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각기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side wall 11, the upper side wall 11a, and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메인 측벽(11)은 바닥판(12)의 둘레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바닥판(12)의 둘레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측벽(11)은 바닥판(12)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바닥판(12)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side wall 11 may be disposed above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12. Then,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disposed under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12. The main sidewall 11 may be disposed above the bottom plate 12. In addition,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disposed below the base plate 12.

메인 측벽(11)은 상하측이 개구되어 수조(10)의 측면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바닥판(12)은 메인 측벽(11)의 개구된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side wall 11 may be open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form a side edge of the water tank 10. The bottom plate 12 may be disposed under the opened side of the main side wall 11.

물받이(50)의 하부는 수조(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고, 물받이(50)의 상부는 수조(10)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drip tray 5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rip tray 5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

물받이(50)의 외측면에는 이너 경사면(113)에 받쳐져 지지되는 아우터 경사면(514)이 형성될 수 있다.An outer inclined surface 514 supported on and supported by the inner inclined surface 11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ip tray 50.

펌프(20) 및 여과필터(40)는 물받이(50)의 하측에 배치되어, 수조(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The pump 20 and the filtration filter 40 may be disposed under the drip tray 50 and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10.

여과필터(40)는 물받이(50)의 내측벽(53)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ltration filter 4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wall 53 of the drip tray 50.

이너 어셈블리(100)는 구획판(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판(38)은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구획판(38)은 급수관이 관통할 수 있다. 구획판(38)은 물받이(50)의 상측에 형성된 홈(541)에 삽입될 수 있다. 구획판(38)은 물받이(50)의 내측벽(53)의 상측에 형성된 홈(541)에 삽입되어 내측벽(53)의 개구된 상측을 덮을 수 있다.The inner assembly 100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plate 38. The partition plate 38 may be spaced downward from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partition plate 38 may be passed through a water supply pipe. The partition plate 38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54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ip tray 50. The partition plate 38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541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inner wall 53 of the drip tray 50 to cover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inner wall 53.

급수 플레이트(30)는 물받이(5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의 하측에는 플레이트 서포트(63)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서포트(63)의 하부는 물받이(50) 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서포트(63)는 이너 어셈블리(100)의 서포트(63)를 형성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disposed above the drip tray 50. A plate support 63 may be disposed under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support 63 may be inserted into the drip tray 50. The plate support 63 may form the support 63 of the inner assembly 100.

플레이트 서포트(63)는 급수 플레이트(30) 및 물받이(50)를 연결할 수 있다.The plate support 63 may connect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drip tray 50.

급수 플레이트(30) 및 구획판(38)은 플레이트 서포트(63)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 서포트(63)는 급수 플레이트(30) 및 구획판(38)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플레이트 서포트(63)는 급수 플레이트(30)를 수조(10)보다 위에 배치시킬 수 있다.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partition plate 38 may be coupled to the plate support 63. The plate support 63 may connect between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partition plate 38. The plate support 63 may place the water supply plate 30 above the water tank 10.

플레이트 서포트(63)는 내부가 빈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서포트(63)의 내부에는 조명(61)이 배치될 수 있고, 플레이트 서포트(63)는 조명(61)이 생성하는 빛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support 63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light 61 may be disposed inside the plate support 63, and the plate support 63 may be formed of a light emitting member that is emitted by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61.

플레이트 서포트(63)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레이트 서포트(63)의 외주면의 상단은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레이트 서포트(63)의 외주면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면(63C)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support 63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upper side.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support 63 may be located below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support 63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63C that becomes closer to the inside from the top to the bottom.

플레이트 서포트(63)는 상하측이 각각 개방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는 플레이트 서포트(63)의 개방된 상측을 덮을 수 있고, 구획판(38)은 플레이트 서포트(63)의 개방된 하측을 덮을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 및 플레이트 서포트(63)는 물받이(50)의 내측벽(53)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ate support 63 may be opened at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cover the open upper side of the plate support 63, and the partition plate 38 may cover the open lower side of the plate support 63.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plate support 63 may be disposed above the inner wall 53 of the drip tray 50.

펌프(20)는 수조(10) 내에 설치되어 수조(20) 내에 저장된 물을 급수 플레이트(30)로 압송할 수 있다. 펌프(20)는 수조(10)의 바닥판(12)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는 급수관(25)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면(31)에 고였다가 가장자리를 통해 넘쳐흐를 수 있다.The pump 20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 and pressurized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0 to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pump 20 may be disposed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12 of the water tank 10. In the water supply plate 30,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25 may collect on the upper surface 31 and overflow through the edge.

물받이(50)는 수조(10)와 급수 플레이트(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drip tray 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10 and the water supply plate 30.

여과필터(40)는 수조(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과필터(40)는 수조(10) 내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여과필터(40)는 수조(10)에 저장된 물이 펌프(20)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다.The filtration filter 4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10. The filtration filter 4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in the water tank 10. The filtration filter 40 may filte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ter befor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flows into the pump 20.

또한, 상기 반려동물 급수기는 전력공급장치, 조명장치, 수위센서, 수온센서, 근접센서, 오염도센서, 수온유지장치 및 살균 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water feeder may include a power supply device, a lighting device, a water level sensor, a water temperature sensor, a proximity sensor, a pollution degree sensor, a water temperature maintenance device, and a sterilizing filter.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 tank shown in FIG. 2.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조(10)는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조(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1, 2 and 4, the water tank 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upper direction. The shape of the water tank 1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상기와 같이 수조(10)가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조(10)에 상당한 크기의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수조(10)는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반려동물이 급수기에서 물을 먹는 도중에, 상기 반려동물이 수조(10)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수조(10)는 전복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water tank 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smaller diameter as it goes upward,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considerable amount of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water tank 10, the water tank 10 can be stably positioned without being overturned. have. That is, while the companion animal eats water from the water supply, even if the companion animal impacts the water tank 10, the water tank 10 may not be overturned.

상측 측벽(11a)은 메인 측벽(1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측 측벽(11a)의 내측면에는 수조(1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벽(111,112,113)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ide wall 11a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main side wall 11,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side wall 11a may have protruding walls 111, 112 and 113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10. .

돌출벽(111,112,113)은 내측면에 이너 경사면(113)을 가질 수 있다. 이너 경사면(113)은 하측으로 갈수록 수조의 중심에 가깝게 기울질 수 있다.The protruding walls 111, 112, and 113 may have an inner inclined surface 113 on the inner surface. The inner inclined surface 113 may be inclin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toward the lower side.

돌출벽(111,112,113)은 상측 측벽(11a)의 내측면에 수조(10)의 중심을 향하여 수평하게 돌출되는 제1 돌출판(111) 및 제2 돌출판(112)을 가질 수 있다. 제1 돌출판(111) 및 제2 돌출판(112)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돌출판(111)은 제2 돌출판(112)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돌출판(112)은 제1 돌출판(111)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rotruding walls 111, 112, and 113 may have a first protruding plate 111 and a second protruding plate 112 that protrude horizontally toward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1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wall 11a. The first protrusion plate 111 and the second protrusion plate 1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protrusion plate 111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protrusion plate 112, and the second protrusion plate 112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protrusion plate 111.

따라서, 돌출벽(111,112,113)은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수조(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상측 측벽(11a)이 심미감을 가지는 고가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돌출벽(111,112,113)의 내부에 상기 빈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측 측벽(11a)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otrusion walls 111, 112, and 113 have empty spaces formed therein, so that the weight of the water tank 10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when the upper sidewall 11a is formed of an expensive material having an aesthetic sense, the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the protruding walls 111, 112, 113,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upper sidewall 11a.

제2 돌출판(112)은 제1 돌출판(111)보다 내측으로 더욱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너 경사면(113)은 제1 돌출판(111)의 내측단 및 제2 돌출판(112)의 내측단을 이을 수 있다.The second protruding plate 112 is formed to protrude more inward than the first protruding plate 111, and the inner inclined surface 113 has an inn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plate 111 and an inner end of the second protruding plate 112. It can be connected.

상측 측벽(11a)은 상측을 향해 메인 측벽(11)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메인 측벽(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upper side wall 11a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side wall 11 toward the upper side, and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main side wall 11.

다만, 상측 측벽(11a)은 메인 측벽(11)보다 반경방향으로 넓어지거나 줄어들도록, 메인 측벽(1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될 수도 있다.However, the upper sidewall 11a may extend from the main sidewall 11 upward and protrude so as to be widened or reduced in the radial direction than the main sidewall 11.

또한, 상측 측벽(11a)은 제1 돌출판(1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상향돌출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향돌출부(114)의 내측면 및 제1 돌출판(111)의 상면에는 패킹(115)이 부착될 수 있다. 물받이(50)는 패킹(115)과 밀착되도록 상측 측벽(11a)에 놓여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ide wall 11a may be formed with an upward protrusion 114 protruding upward from the first protruding plate 111. A packing 115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ward protrusion 11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plate 111. The drip tray 50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wall 11a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acking 115.

패킹(115)은 수조(10)의 측벽 내측면에 물받이(50)의 외측벽(51)과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acking 115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51 of the drip tray 50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10.

바닥판(12)의 중앙부에는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통형상의 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2)의 저면에서 보이는 상기 돌출부(121)의 내부공간에는 무선전력 송신부(72)가 설치될 수 있다.A central protrusion 121 convex toward the upper side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2.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72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rotrusion 121 see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2.

바닥판(12)은 메인 측벽(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바닥판(12)은 메인 측벽(11)과 별개로 형성되어 메인 측벽(11)과 결합될 수도 있다.The bottom plate 1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sidewall 11. Alternatively, the bottom plate 12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main sidewall 11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main sidewall 11.

바닥판(12)에는 돌출부(121) 주위에 하측으로 오목한 링형 그루브(122)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12 may have a ring-shaped groove 122 concave downward around the protrusion 121.

메인 측벽(11), 상측 측벽(11a) 및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동일재질로서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메인 측벽(11), 상측 측벽(11a) 및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다른 재질로서 별개로 제조되어 일체가 되도록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메인 측벽(11)은 상측 측벽(11a) 및 컨테이너 서포트(11b)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측 측벽(11a) 및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동일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side wall 11, the upper side wall 11a, and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integral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lternatively, the main sidewall 11, the upper sidewall 11a, and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made of separate materials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so as to be integrated. The main sidewall 11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upper sidewall 11a and the container support 11b, and the upper sidewall 11a and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상측 측벽(11a) 및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각각 심미감이 탁월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메인 측벽(11)은 투명재질로 제조되어서, 수조(10) 내의 물의 양을 수조(10)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측벽(11)은 유리로 형성되고, 상측 측벽(11a) 및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동일한 재질인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된다.The upper sidewall 11a and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made of materials having excellent aesthetics, respectively. The main side wall 11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tank 10 from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 In this embodiment, the main side wall 11 is formed of glass, and the upper side wall 11a and the container support 11b are made of stainless steel made of the same material.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외주면(116)은 메인 측벽(11)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만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6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extend from the lower edge of the main side wall 11 in a downward direction.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외주면(116)은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10)가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 수조(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져 수조(10)가 일측으로 기울어졌을 시에, 수조(10)는 외주면(116)이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어 마치 오뚜기와 같이 똑바로 설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6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formed as a convex curved surface outside the container support 11b. Therefore,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water tank 10 in a state where the water tank 10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water tank 10 is inclined to one side, the water tank 1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6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You can stand upright like Ottogi.

또한, 외주면(116)의 하단이 외주면(116)의 상단보다 수조(10)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기가 바닥면에 놓여지면, 상기 바닥면 및 외주면(116)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바닥면 및 외주면(116)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수조(10)를 들어 올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16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10 than the upp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16. Therefore, when the water supply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6, and the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6 to insert the water tank 10. Can be lifted.

또한,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주면에는 수조(1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크기의 폭을 갖는 설치부(1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formed with an installation portion 117 having a width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water tank 10.

설치부(117)는 바닥판(12)의 가장자리 부분과 겹치는 소정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설치부(117)에는 수위센서(86)가 설치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unit 117 may have a predetermined area overlapping with an edge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2. A water level sensor 86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117.

수조(10)의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설치부(117)에는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고, 수위센서(86)는 상기 요홈부에 설치될 수 있다.A recess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117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of the water tank 10, and the water level sensor 86 may be installed in the recess portion.

수위센서(86)는 수조(10)의 바닥판(12)에 가해지는 수조(10) 내의 저장된 물의 무게를 감지하는 하중센서(strain gage)일 수 있다. 제어부(C)는 상기 하중센서에서 감지하는 수조(10) 내의 물의 무게에 의하여 수조(10) 내의 수위를 판정할 수 있다.The water level sensor 86 may be a strain gage that senses the weight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applied to the bottom plate 12 of the water tank 10. The control unit C may determine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10 by the weight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sensed by the load sensor.

메인 측벽(11), 상측 측벽(11a) 및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서로 융착되어 일체로 될 수 있다.The main side wall 11, the upper side wall 11a, and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fused to each other to be integrated.

또한,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상하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개구된 상측은 바닥판(12)이 덮을 수 있고,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개구된 하측은 베이스(18)가 덮을 수 있다.Further,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The bottom top 12 may be covered with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and the base 18 may be covered with the opened lower sid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베이스(18)는 바닥판(12)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18 may be disposed spaced downward from the bottom plate 12.

베이스(18) 및 바닥판(12) 사이의 공간인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부공간에는 후술하는 각종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8)는 도킹 스테이션(71)위에 놓여질 수 있다.Various parts described below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base 18 and the bottom plate 12. The base 18 can be placed on the docking station 71.

베이스(18)는 원형의 판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18 may be formed of a circular plate body.

베이스(18)에는 통풍구(181)가 형성될 수 있다. 통풍구(181)는 상하로 통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통풍구(181)는 베이스(18)의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A vent 181 may be formed in the base 18. A plurality of vents 181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vertically. The plurality of vents 181 may be arrang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ase 18.

바닥판(12) 및 베이스(18) 사이의 공간인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각종의 부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various part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12 and the base 18, are described as follows.

컨테이너 서포트(11b)에는 상하측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서포트(11b)는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측면에는 설치부(1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부공간은 설치부(117)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An inner spac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may be formed in the container support 11b.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 installation portion 117 may be protru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defined as a space located inside the installation unit 117.

열전소자(81)는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부공간의 개구된 상측을 덮을 수 있다. 베이스(18)는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부공간의 개구된 하측을 덮을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may cover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The base 18 may cover the opened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부공간은 열전소자(81) 및 베이스(18)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may be defined as a spa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and the base 18.

설치부(117)의 상면은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상단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설치부(117)의 하면은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하단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117 may be locat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117 may be locat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설치부(117)의 상면에는 바닥판(12)의 가장자리부의 하면이 배치될 수 있고, 열전소자(81)의 상면에는 바닥판(1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부(117)의 하면에는 링형의 조명(91)이 설치될 수 있고, 조명(91)의 아래에는 베이스(18)가 배치될 수 있다.A bottom surface of the edge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2 may be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ortion 117, and a bottom plate 12 may be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In addition, a ring-shaped light 91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unit 117, and a base 18 may be disposed under the light 91.

열전소자(81)는 바닥판(12) 및 베이스(1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전소자(81)는 바닥판(12)을 냉각하여서,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을 냉각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ttom plate 12 and the base 18. 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may cool the bottom plate 12 to cool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열전소자(81)는 수조(10)의 바닥판(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열전소자(81)는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소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may be disposed under the bottom plate 12 of the water tank 10. 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can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부공간에는 방열판(84)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부공간에는 방열팬(83)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바닥판(12) 및 베이스(18) 사이에는 방열팬(83)을 회전시키는 모터(82)가 설치될 수 있다.A heat sink 84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In addition, a heat dissipation fan 83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In addition, a motor 82 for rotating the heat dissipation fan 83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plate 12 and the base 18.

방열판(84)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방열핀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열핀의 상면은 열전소자(81)의 하면에 접촉되어, 열전소자(81)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복수의 방열핀의 주변 공기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may be protruded up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heat sink 84. Th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r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s 81, and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s 81 can be exchanged with ambient air of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상기 복수의 방열핀은 방열판(84)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판(84)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방열핀은 방열판(84)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환형이 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heat radiation fins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eat radiation plate 84. In this embodiment, the heat sink 84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refore,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r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eat dissipation plate 84 so that the overall shape may be annular.

방열팬(83)은 상기 복수의 방열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방열핀은 방열팬(83)의 둘레를 감쌀 수 있다. 방열팬(83)은 모터(82)의 회전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한 후, 상기 회전축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82)의 회전축은 수직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방열팬(83)은 베이스(18)의 통풍구(181)를 통해 유동된 공기를 하측 방향에서 흡입한 후, 수평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방열핀을 향해 토출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an 83 may be disposed inside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may surround the heat dissipation fan 83. The heat dissipation fan 83 may suck air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82 and discharge i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82 is vertically arranged, the heat dissipation fan 83 sucks air flowing through the vent 181 of the base 18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n on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disposed.

방열판(84)에는 베이스(18)의 통풍구(181)와 대응되는 부분에 통풍구(181)를 통과한 공기를 방열팬(83)으로 안내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sink 84 may be formed with a hole (not shown) for guiding air passing through the vent 181 to the radiating fan 83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ent 181 of the base 18.

열전소자(81)의 중심부에는 모터(82)가 설치되는 중공부(811)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팬(83)은 모터(82)의 하측에 배치되어 모터(82)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A hollow portion 811 in which the motor 82 is installed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The heat dissipation fan 83 is disposed under the motor 82 and can be operated by the motor 82.

또한, 바닥판(12) 및 베이스(18) 사이에는 수온센서(85)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수온센서(85)는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 temperature sensor 85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bottom plate 12 and the base 18.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85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수온센서(85)는 수조(10)의 바닥판(12)의 돌출부(121)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수온센서(85)에 의하여 감지된 수조(10) 내의 물의 온도가 설정범위 내에 있지 않는 경우 열전소자(81)가 작동되어 물이 냉각되고, 열전소자(81)의 열은 방열판(84)을 통하여 복수개의 통풍구(181)로 배출될 수 있다.The water temperature sensor 85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inside the protrusion 121 of the bottom plate 12 of the water tank 10. Whe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detected by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85 is not within a set range, 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is operated to cool the water, and the he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is passed through the heat sink 84 It may be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vents (181).

열전소자(81)의 온도가 기준온도보다 높거나 방열판(84)의 온도가 소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모터(82)가 작동되어 방열팬(83)이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o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ink 84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motor 82 is operated so that the heat radiation fan 83 can be rotated.

방열팬(83)이 회전되면, 외부공기가 베이스(18)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풍구(181)를 통해 유입되어 방열판(84)을 통과한 후에, 베이스(18)에 형성된 통풍구(18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방열판(84) 및 열전소자(81)는 냉각될 수 있다.When the heat dissipation fan 83 is rotated, external air flows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s 181 formed in the base 18 and passes through the heat sink 84, and then through the vents 181 formed in the base 18 Because it is discharged to, the heat sink 84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81 can be cooled.

수온센서(85)는 바닥판(12) 중에서 수조(10)에 저장된 물과 접촉면적이 크고 펌프(20)를 향하여 물이 이동하는 부분인 돌출부(121)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Since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85 has a large contact area with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among the bottom plates 12 and is installed inside the protrusion 121 which is a portion where water moves toward the pump 20, the water tank 10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therein.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측에는 근접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설치부(117)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둘레면에 형성된 홀이나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둘레면에 설치된 신호투과막을 통해 상기 근접센서의 신호가 투과되어, 반려동물이 급수기로 접근해 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A proximity sensor (not shown) may be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support 11b. The proximity senso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stallation unit 117. The signal of the proximity sensor is transmitt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or the signal transmission membrane install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so that it is possible to sense that the companion animal is approaching the water supply.

상기 근접센서가 반려동물을 감지하면, 제어부(C)는 펌프(20)를 작동시킬 수 있다.When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companion animal, the control unit C may operate the pump 20.

상기 근접센서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는 각각 반려동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가 각각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C)는 복수의 반려동물이 급수기로 접근해왔다고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근접센서 중 하나가 반려동물을 감지하는 경우에 비해 펌프(20)의 펌핑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may be provided in plural. Each of the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can detect a companion animal. When each of the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detects a companion animal, the controller C determines that a plurality of companion animals have approached the water supply, and the pump 20 i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e of the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detects a companion animal. ) Can increase the pumping capacity.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하측부에는 조명(91)이 설치될 수 있다. 조명(91)은 수위센서(86)가 감지한 수조(10) 내의 수위에 따라 발광될 수 있다. 제어부(C)는 수위센서(86)에서 감지된 수조(10) 내의 수위가 소정값 이하인 경우, 조명(91)을 ON시켜서,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의 부족함을 외부로 알려줄 수 있다.The lighting 91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The lighting 91 may emit ligh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10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86. Whe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tank 10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86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 unit C may turn on the lighting 91 to inform the outside of the lack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to the outside.

상기 조명(91)은 링형의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조명(91)은 설치부(117)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ing 91 may be a ring-shaped light emitting diode. The lighting 91 may be installed under the installation unit 117.

한편, 상기 반려동물 급수기를 작동하기 위한 전력공급장치를 설명한다.Meanwhile, a power supply device for operating the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will be described.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반려동물 급수기의 전력공급장치는 도킹스테이션(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킹스테이션(71)은 상당한 무게를 갖는 중량체(711)와, 중량체(711)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돌출봉(712)과, 상기 돌출봉(712)에 배치되는 제1 접속단자(미도시)와, 상기 제1 접속단자로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전선(713)을 포함할 수 있다.2 and 4, the power supply device of the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may include a docking station (71). The docking station 71 includes a weight body 711 having a considerable weight, a cylindrical protruding rod 712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weight body 711, and a first connection terminal disposed on the protruding rod 712 ( And a wire 713 that applies external power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수조(10)의 베이스(18)의 저면에는 중량체(711)의 돌출봉(712)에 삽입되는 원형홈(182)이 형성될 수 있다. 원형홈(182)에는 상기 제1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제2 접속단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A circular groove 182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rod 712 of the weight body 71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8 of the water tank 10. In the circular groove 182,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not show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may be disposed.

한편, 베이스(18)는 중량체(711) 위에 회전 가능토록 놓여질 수 있고, 원형홈(182)에는 돌출봉(712)이 회전 가능토록 삽입되어, 수조(10)와 도킹스테이션(71)이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접속단자 및 상기 제2 접속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base 18 may be rotatably placed on the weight 711, and the protruding rod 712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circular groove 182, so that the water tank 10 and the docking station 71 are relatively Even when rota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may maintain an electrically connected state.

따라서, 수조(1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전선(713)은 꼬이지 않으면서 급수기를 가동하기 위한 전력공급이 유지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the water tank 10 is rotated, the electric power supply for operating the water supply can be maintained without the wire 713 being twisted.

수조(10)의 바닥판(12) 및 베이스(18) 사이 공간인 컨테이너 서포트(11b)의 내부공간에는 전력회로부(715)가 설치될 수 있다. 전력회로부(715)는 상기 제2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 power circuit unit 715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support 11b,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12 and the base 18 of the water tank 10. The power circuit unit 71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수조(10)의 바닥판(12) 하측에는 상기 전력회로부(71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전력송신부(72)가 설치될 수 있다. 수조(10) 내에는 상기 무선전력송신부(72)와 감응하여 유도전압을 일으키는 무선전력수신부(73)가 설치될 수 있다.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7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circuit unit 715 may be installed below the bottom plate 12 of the water tank 10. In the water tank 10,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73 that induces an induced voltage in response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72 may be installed.

무선전력송신부(72)는 바닥판(12)에 형성된 돌출부(121) 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무선전력수신부(73)는 돌출부(121) 상측에 위치되는 하측 필터커버(43)와 펌프(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72 may be disposed in a space in the protrusion 121 formed on the bottom plate 12,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73 may include a lower filter cover 43 and a pump (located above the protrusion 121). 20).

하측 필터커버(43)가 바닥판(12)의 돌출부(121)에 씌워진 상태가 되도록 이너 어셈블리(100)가 수조(10)에 설치되었을 경우, 무선전력수신부(73)는 무선전력송신부(72)로부터 무선전력을 전송받아 유도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함이 당연하다.When the inner assembly 100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 so that the lower filter cover 43 is covered with the protruding portion 121 of the bottom plate 12,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73 is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72 It is natural that the wireless power should be transmitted from and be placed in a location that can generate induced power.

구획판(38) 및 상측 필터커버(46) 사이 공간인 내측벽(53)의 내부공간에는 전장실(S)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S)은 수조(10)로부터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전장실(S)에는 보조 배터리(B) 및 제어부(C)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wall 53,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partition plate 38 and the upper filter cover 46, an electric field chamber S may be formed. The battlefield (S) may be a closed space from the water tank (10). An auxiliary battery B and a control unit C may be installed in the battlefield S.

무선전력수신부(73)는 전장실(S)에 배치된 배터리(B)와 전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무선전력수신부(73)는 유도전력을 발생시켜서 배터리(B)를 충전시킬 수 있다.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73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B disposed in the battlefield S through a wir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73 may generate the induced power to charge the battery B.

배터리(B)는 이너 어셈블리(100)에 구비되기 때문에, 전선(713)을 통해 공급되는 상용전력이 정전이 되더라도, 펌프(20)는 배터리(B)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이 이너 어셈블리(100)에 충격을 가해, 무선전력수신부(73)가 무선전력송신부(72)와 감응하지 못하는 위치로 이너 어셈블리(100)의 설치 위치가 살짝 흐트러지더라도, 펌프(20)는 배터리(B)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Since the battery B is provided in the inner assembly 100, even if the commerci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electric wire 713 becomes a power failure, the pump 20 can be operat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B. In addition, even if the companion animal impacts the inner assembly 100 an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73 does not respond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72,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inner assembly 100 is slightly disturbed. 20) can be operat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B).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여과필터 및 펌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여과필터 및 펌프가 조립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ter and pump shown in FIG. 2, and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and pump shown in FIG. 2 assembled.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여과필터(40)는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펌프(20)는 여과필터(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과필터(40)의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전체에 복수개의 통공(421,441)이 형성될 수 있다. 펌프(20)가 여과필터(4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펌프(20)가 여과필터(40)의 일측에 설치된 경우에 비하여, 여과성능 및 펌핑효율이 향상되고 펌프(20)를 소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가 필요 없게 된다.2, 5 and 6, the filtration filter 4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pump 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ltration filter 4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1 and 441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ration filter 40. When the pump 2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filtration filter 40,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pump 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ltration filter 40, the filtration performance and pumping efficiency are improved and the pump 20 is predetermined. There is no need for a member for fixing in position.

여과필터(40)는 통형상의 제1 여과필터(42)와 통형상의 제2 여과필터(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여과필터(44)는 제1 여과필터(4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20)는 제2 여과필터(4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여과필터(42)의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전체에 복수개의 통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여과필터(44)의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전체에 복수개의 통공(441)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ltration filter 40 may include a cylindrical first filtration filter 42 and a cylindrical second filtration filter 44.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The pump 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1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41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제1 여과필터(42)는 상당한 강성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여과필터(42)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된다. 제1 여과필터(42)의 측벽에는 다수의 통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여과필터(42)의 둘레면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측에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여과필터(42)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considerable rigidity.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21 may be formed on the sidewall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closer to the inside as it goes from top to bottom.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upper side.

제1 여과필터(42)는 제1 여과필터(42)에 형성된 통공(421)보다 입자가 큰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려동물이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에 고인 물을 핥아 먹을 때, 상기 반려동물의 입안에 있던 음식물은 낙하하여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에 섞일 수 있다. 제1 여과필터(42)는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에 섞인 상기 음식물처럼 통공(421)보다 입자가 큰 이물질을 통공(421)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서,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에서 상기 음식물을 여과할 수 있다.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may filter foreign matter having larger particles than the through holes 421 formed in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For example, when a companion animal licks and eats water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food in the mouth of the companion animal may fall and mix with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prevents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r particle size than the through hole 421 from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421, such as the above food mixed with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so that the food is stored i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Can be filtered.

제1 여과필터(42)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may be opened.

제1 여과필터(42)는 하측부에 배치되는 하측 필터커버(4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필터커버(43)는 제1 여과필터(42)와 별개로 형성되어서 제1 여과필터(42)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하측 필터커버(43)는 제1 여과필터(42)와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may include a lower filter cover 43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The lower filter cover 43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to be combined wit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However, the lower filter cover 43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wit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하측 필터커버(43)는 수조(10)의 바닥판(12)에 형성된 돌출부(121)에 씌워질 수 있다. 하측 필터커버(43)는 돌출부(121)에 씌워지도록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1)는 하측 필터커버(43)의 오목한 하측을 통해 하측 필터커버(43)로 삽입될 수 있다.The lower filter cover 43 may be covered with a protrusion 121 formed on the bottom plate 12 of the water tank 10. The lower filter cover 43 may be formed convex toward the upper side so as to cover the protrusion 121. The protrusion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filter cover 43 through the concave lower side of the lower filter cover 43.

하측 필터커버(43)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431)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431)는 도 4에 도시된 바닥판(12)의 돌출부(121) 주위에 형성된 그루브(122)에 삽입될 수 있다.A flange 431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lower filter cover 43. The flange 431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22 formed around the protrusion 121 of the bottom plate 12 shown in FIG. 4.

따라서, 제1 여과필터(42)는 돌출부(121) 및 하측 필터커버(43)에 의하여, 수조(10)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소정의 위치에 안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may be stably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being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water tank 10 by the protrusion 121 and the lower filter cover 43.

제2 여과필터(44)는 제1 여과필터(42) 내의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여과필터(44)의 내부 공간에는 펌프(20)가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may be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in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and a pump 2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제2 여과필터(44)는 필터 하우징과 여과물질(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은, 다수의 통공(441)이 형성된 외측벽(442)과, 상기 외측벽(442)과 이격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내측벽(44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여과물질(45)은 상기 외측벽(442) 및 상기 내측벽(443)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may include a filter housing and a filtration material 45. The filter housing may include an outer wall 442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41 and an inner wall 443 spaced apart from the outer wall 442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filtering material 45 may be filled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wall 442 and the inner wall 443.

외측벽(442) 및 내측벽(443)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벽(442)에는 둘레방향으로 전체에 복수개의 통공(441)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벽(443)에는 둘레방향으로 전체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wall 442 and the inner wall 443 may be formed verticall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41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wall 442.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443.

상기 여과물질(45)은 외측벽(442)에 형성된 통공(441)보다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여과물질(45)은 카본 필터일 수 있다.The filtering material 45 may filter foreign matter having smaller particles than the through holes 441 formed in the outer wall 442. The filtration material 45 may be a carbon filter.

한편, 제1 여과필터(42)의 내부에는 제2 여과필터(44)의 하측에 지지통체(44b)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통체(44b) 내에는 무선전력수신부(73)가 수용될 수 있다.Meanwhile, a support cylinder 44b may be installed under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inside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73 may be accommodated in the support cylinder 44b.

제2 여과필터(44)에는 여과물질(45)의 하측 및 펌프(2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판(4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여과필터(44)의 외측벽(442)은 지지판(444)보다 아래로 돌출되어, 제2 여과필터(44)는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제2 여과필터(44)는 상측이 개구될 수 있다.A support plate 444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material 45 and the lower side of the pump 20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The outer wall 442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protrudes below the support plate 444,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can be opene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may be opened.

지지통체(44b)는 상측이 차폐되고,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지지통체(44b)의 개구된 하측에는 하측 필터커버(43)가 삽입될 수 있다.The support cylinder 44b may be shielded at the upper side and opened at the lower side. The lower filter cover 43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ed lower side of the support cylinder 44b.

하측 필터커버(43)의 플랜지(431)의 상면에는 제1 여과필터(42)의 하단 및 제2 여과필터(44)의 외측벽(442)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431)의 상면에는 제2 UV 살균필터(48)가 안착되고, 제2 UV 살균필터(48)의 상면에는 제1 여과필터(42)의 하단 및 지지통체(44b)의 하단이 안착된다.A lowe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and a lower end of the outer wall 442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431 of the lower filter cover 43.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UV sterilizing filter 48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43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and the supporting cylinder 44b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V sterilizing filter 48. The bottom seats.

지지통체(44b)는 상단이 제2 여과필터(44)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여과필터(44)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나선이 형성되고, 지지통체(44b)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제2 여과필터(44)의 상기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여과필터(44)의 하단부 내로 지지통체(44b)의 상단부가 삽입되면서, 제2 여과필터(44)의 상기 나선과 지지통체(44b)의 상기 나선이 서로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제2 여과필터(44) 및 지지통체(44b)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cylinder 44b may have an upper e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A spiral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and a spiral that is fastened to the spiral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cylinder 44b. As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cylinder 44b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the second filtration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and the spiral of the support cylinder 44b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filter 44 and the support cylinder 44b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지지통체(44b)가 제2 여과필터(44)에 결합된 상태일 때, 무선전력수신부(73)는 지지통체(44b)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통체(44b)의 상면과 지지판(444)과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upport cylinder 44b is coupled to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73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44b,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44b and the support plate 444 It can be arranged in the space between the.

펌프(20)는 제2 여과필터(44)의 내측벽(443)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여과필터(42) 및 여과물질(45)을 통과한 물은 제2 여과필터(44)의 내측면(443)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펌프(20)내로 흡입된 후 급수관(25)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pump 20 may be disposed in the hollow portion formed inside the inner wall 443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and the filtration material 45 is sucked into the pump 20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443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 and then into the water supply pipe 25. Can be discharged.

지지통체(44b)의 상부 외주면에는, 링형의 제1 UV 살균필터(47)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UV 살균필터(47)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 UV LED(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UV 살균필터(47)는 상기 복수개의 제1 UV LED가 생성한 빛을 확산시켜서 제1 여과필터(42) 내로 유입된 물을 살균할 수 있다.A ring-shaped first UV sterilizing filter 47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44b. The first UV sterilization filter 47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UV LEDs (not show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irst UV sterilizing filter 47 may diffuse ligh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first UV LEDs to steriliz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filtering filter 42.

상기 복수개의 제1 UV LED는 제1 UV 살균필터(47)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제1 UV LED가 생성한 빛은 제1 UV 살균필터(47)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UV LEDs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UV sterilization filter 47. Therefore, the ligh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first UV LEDs may be 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UV sterilizing filter 47 in the radial direction.

또한, 제1 여과필터(42)의 하측에는 링형의 제2 UV 살균필터(48)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UV 살균필터(48)는 제1 여과필터(42)의 하부 외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UV 살균필터(48)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2 UV LED(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UV 살균필터(48)는 상기 복수개의 제2 UV LED가 생성한 빛을 확산시켜서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을 살균할 수 있다.In addition, a ring-shaped second UV sterilizing filter 48 may be installed below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The second UV sterilizing filter 48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The second UV sterilization filter 48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UV LEDs (not show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econd UV sterilization filter 48 can diffuse the ligh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second UV LEDs to steriliz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상기 복수개의 제2 UV LED는 제2 UV 살균필터(48)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제1 UV LED가 생성한 빛은 제2 UV 살균필터(48)의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cond UV LEDs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UV sterilization filter 48. Therefore, the ligh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first UV LEDs may be 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UV sterilizing filter 48 in the radial direction.

여과필터(40)는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상측 필터커버(46)는 여과필터(40)의 개구된 상측을 덮을 수 있고, 하측 필터커버(46)는 여과필터(40)의 개구된 하측을 덮을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ltration filter 40 may be opened. The upper filter cover 46 may cover the opened upper side of the filtration filter 40, and the lower filter cover 46 may cover the opened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filter 40.

제1, 2 여과필터(42, 44)의 상측에는 상측 필터커버(46)가 씌워질 수 있다. 급수관(25)은 상측 필터커버(46)를 관통할 수 있다. 상측 필터커버(46)는 펌프(20)의 상측과 제1, 2 여과필터(42,44)의 상측을 밀폐할 수 있다.An upper filter cover 46 may be covered on the upp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filters 42 and 44. The water supply pipe 25 may penetrate the upper filter cover 46. The upper filter cover 46 may seal the upper side of the pump 20 and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filters 42 and 44.

상기 제1, 2 여과필터(42, 44)와 상측 필터커버(46)는 일체가 되도록 접착 또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여과필터(42,44)는 서로 맞물리는 암 후크부재 및 수 후크부재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토록 조립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2 여과필터(42,44)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서로 분리 가능토록 조립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filters 42 and 44 and the upper filter cover 46 may be combined by a method such as adhesion or fusion so as to be integral.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filters 42 and 44 may be assembl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n arm hook member and a male hook member tha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filters 42 and 44 may be assembl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crewing.

한편, 지지통체(44b)의 하측은 하측 필터커버(43)에 의하여 씌워질 수 있다. 지지통체(44b) 및 하측 필터커버(43)는 단일체가 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ing cylinder 44b may be covered by the lower filter cover 43. The support cylinder 44b and the lower filter cover 43 may be manufactured to be unitary.

하측 필터커버(43)가 제1 여과필터(4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하측 필터커버(43)가 제1 여과필터(42)와 별개로 형성되어 제1 여과필터(42)와 결합된 경우, 지지통체(44b)는 하측 필터커버(43) 위에 놓여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하측 필터커버(43)가 지지통체(44b)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하측 필터커버(43)가 지지통체(44b)와 별개로 형성되어 지지통체(44b)와 결합된 경우, 제1 여과필터(42)는 하측 필터커버(43) 위에 놓여질 수 있다.When the lower filter cover 4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or the lower filter cover 43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to be combined with the first filtration filter 42 , The support cylinder 44b may be placed on the lower filter cover 43. On the contrary, when the lower filter cover 4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ing cylinder 44b, or the lower filter cover 43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supporting cylinder 44b and is combined with the supporting cylinder 44b, the first The filtration filter 42 may be placed on the lower filter cover 43.

지지통체(44b)의 하측부에는 바닥판(12)의 돌출부(121)에 씌워진 하측 필터커버(43)가 삽입될 수 있다.The lower filter cover 43 covered with the protrusion 121 of the bottom plate 12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cylinder 44b.

또한, 수조(10) 내에 제1, 2 여과필터(42,44) 중, 하나의 여과필터만이 구비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제3 여과필터가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ly one filtration filter among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filters 42 and 44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tank 10, or a third filtration filter (not shown) may be included.

급수관(25)의 하단에는 물 유입구(26)가 형성되고, 급수관(25)의 상단에는 출수구(27)가 형성될 수 있다. 펌프(20)로부터 토출된 물은 물 유입구(26)를 통하여 급수관(25) 내로 유입되어 급수관(25)을 따라 이동된 후, 출수구(27)를 통하여 급수관(25)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 water inlet 26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25, and an outlet 27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25.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20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pipe 25 through the water inlet 26 and moved along the water supply pipe 25,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25 through the water outlet 27. .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급수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조명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components assembled to the water supply plate shown in FIG. 2, 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shown in FIG. 7 and a lighting device are combined,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2,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급수 플레이트(30)는 평평하고 매끄러운 상면(31)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는 중앙부에 급수홀(32)이 형성될 수 있다.2, 7 to 9,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formed of a plate having a flat and smooth top surface 31.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formed with a water supply hole 32 in the central portion.

급수 플레이트(30)의 중앙부의 하면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보스부(33)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홀(32)은 보스부(33)를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A boss portion 33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water supply hole 32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boss portion 33 in the vertical direction.

급수홀(32)은 급수관(25)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hole 32 may supply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25 to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물받이(5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급수홀(32)을 통해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으로 이동된 물은,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를 통해 수조(10) 내로 공급될 수 있다.When the drip tray 50 is not provided, water moved to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32 may be supplied into the water tank 10 through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have.

본 실시예에서는 물받이(50)가 더 구비되므로, 급수홀(32)을 통해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으로 이동된 물은,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까지 흐를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로 흐른 물은, 플레이트 서포트(63)의 경사면(63C)을 타고 물받이(50)로 흐르거나,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를 통해 물받이(50)로 직접 낙하할 수 있다. 물받이(50)는, 플레이트 서포트(63)의 외주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 수조(10) 내로 공급하거나,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받아 수조(10) 내로 공급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rip tray 50 is further provided, water moved to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32 may flow to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water flowing to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flow on the inclined surface 63C of the plate support 63 and flow to the water receptacle 50 or drop directly to the water receptacle 50 through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have. The drip tray 50 can receive water flowing dow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support 63 and supply it into the water tank 10, or receive water falling from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supply it into the water tank 10. have.

급수 플레이트(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원판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급수 플레이트(30)는 사각판 형상 또는 삼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water supply plate 30 is formed in a disc shap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formed in a shape other than the disc shape. For example,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or a triangular plate shape.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은 가장자리의 높이가 높고 중앙부의 높이가 낮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은 중앙으로부터 가장자리(311)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high edge and a low center portion.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height from the center to the edge 311.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311)에는 하측으로 약간 돌출된 에지 돌출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급수홀(32)의 상부는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An edge protrusion 312 slightly protruding downward may be formed at the edge 31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hole 32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upper side.

급수홀(32)에는 노즐 마개(34)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노즐 마개(34)의 하단부는 급수홀(32)에 삽입 배치되고, 노즐 마개(34)의 상단부는 급수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nozzle stopper 34 may be inserted and disposed in the water supply hole 32. The lower end of the nozzle stopper 34 is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hole 32, and the upper end of the nozzle stopper 34 may be spaced upward from the water supply hole ().

노즐 마개(34)의 상단부의 외주면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노즐 마개(34)의 내측에 가까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관(25)의 출수구(27)로부터 토출된 물은 노즐 마개(34)의 상단부의 외주면에 부딪쳐서, 급수 플레이트(30)의 상측으로 높게 뻗지 못하고, 급수 플레이트(30)의 측면으로 퍼지면서,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nozzle stopper 34 may include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that approaches the inside of the nozzle stopper 34 as it goes from top to bottom. Therefor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7 of the water supply pipe 25 hi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nozzle stopper 34, does not extend high above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spreads to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 It can be moved to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노즐 마개(34)는, 스템(341)과, 스템(341)의 상단부에 결합된 헤드커버(34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템(341)의 하단부는 급수홀(32)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The nozzle stopper 34 may include a stem 341 and a head cover 343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tem 341. The lower end of the stem 341 may be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hole 32.

스템(341)의 둘레면에는 스템(341)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걸림편(34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ngaging pieces 34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m 341 may protrude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m 341.

스템(341)의 상측에는 헤드(342)가 형성될 수 있다. 헤드(342)에는 헤드커버(343)가 결합될 수 있다. 헤드커버(343)는, 헤드(342)와 별물로 형성되어 헤드(342)에 결합될 수도 있고, 헤드(34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A head 342 may be formed above the stem 341. A head cover 343 may be coupled to the head 342. The head cover 343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aterial from the head 342 or may be coupled to the head 342,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 342.

노즐 마개(34)의 스템(341)이 급수홀(32)에 삽입된 상태일 때, 헤드커버(343)는 급수홀(32)로부터 상측으로 약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stem 341 of the nozzle stopper 34 is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hole 32, the head cover 343 may be disposed slightly spaced upward from the water supply hole 32.

헤드커버(343)의 외주면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헤드커버(343)의 내측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관(25)의 출수구(27)로부터 토출된 물은 헤드커버(343)의 외주면에 부딪쳐서, 급수 플레이트(30)의 상측으로 높게 뻗지 못하고, 급수 플레이트(30)의 측면으로 퍼지면서,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cover 343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closer to the inside of the head cover 343 as it goes from top to bottom. Therefor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7 of the water supply pipe 25 hi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cover 343, does not extend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spreads to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It can be moved to the upper surface 31 of the plate 30.

급수관(25)은 급수홀(32)에 일단이 삽입되거나 급수홀(32)의 하측에 배치되어서, 출수구(27)는 급수홀(32)과 연통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25 has one end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hole 32 or is disposed under the water supply hole 32, so that the water outlet 27 can communicate with the water supply hole 32.

스템(341)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편(345)은 급수홀(32)의 주변의 벽면에 접촉되어서, 노즐 마개(34)는 급수홀(32)의 소정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다.The engaging piece 345 formed to protrud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m 341 contacts the wall surface around the water supply hole 32, so that the nozzle cap 34 can be suppor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hole 32.

따라서, 급수관(25)의 출수구(27)로부터 토출된 물은 노즐 마개(34)의 상부에 부딪쳐 급수홀(32)을 통해 링형상으로 분출되면서 급수 플레이트의 상면(31) 중앙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 플레이트(30)의 상면(31)의 중앙으로 공급된 물은,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311)를 향하여 상면(31)을 따라 흐를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7 of the water supply pipe 25 can be suppli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while hitting the upper part of the nozzle stopper 34 and ejecting in a ring shape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32. . Then, water suppli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3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flow along the upper surface 31 toward the edge 31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한편, 급수 플레이트(30)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발광부재로 제조될 수도 있다. 급수 플레이트(30)는 두께가 아주 얇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light emitting member.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formed to be very thin.

급수 플레이트(30)의 하측에는 급수 플레이트(30)를 받쳐주는 플레이트 지지대(36)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지지대(36)는 후술하는 조명 지지대(62)나 플레이트 서포트(63)에 받쳐져 설치될 수 있다.A plate support 36 for supporting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disposed under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plate support 36 may be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lighting support 62 or the plate support 6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플레이트 지지대(36)는, 급수 플레이트(30)의 외측부 및 에지 돌출부(312)에 접하는 외측링(361)과, 중앙에 위치되는 허브링(362)과, 상기 외측링(361) 및 허브링(362)을 이어주는 복수개의 스포우크(3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te support 36 includes an outer ring 361 contacting the outer portion and the edge protrusion 312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a hub ring 362 positioned in the center, and the outer ring 361 and the hub ring ( 362)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pokes (363).

허브링(362)의 하측에는 보스부(36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급수 플레이트(30)의 보스부(33)는 허브링(362) 및 보스부(364)에 형성된 홀(365)에 삽입될 수 있다.A boss portion 364 may be protrud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hub ring 362. The boss portion 33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365 formed in the hub ring 362 and the boss portion 364.

패킹링(37)은 급수 플레이트(30)에 형성된 보스부(33) 및 플레이트 지지대(36)에 형성된 보스부(364)의 사이에 강제 삽입될 수 있다.The packing ring 37 may be forcibly inserted between the boss portion 33 formed on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boss portion 364 formed on the plate support 36.

급수관(25)은 플레이트 지지대(36)의 하측에 위치되는 구획판(38)을 관통하여 급수 플레이트(30)의 하측에 배치되어서, 출수구(27)는 급수 플레이트(30)의 급수홀(32)과 연통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25 penetrates the partition plate 38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plate support 36 and is disposed under the water supply plate 30 so that the water outlet 27 is a water supply hole 32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Can communicate with.

한편, 급수관(25)의 주위에는 급수관(25)을 통과하거나 출수구(27)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살균시키는 제3 UV 살균필터(4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UV 살균필터(49)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급수관(25)의 상단은 제3 UV 살균필터(49)를 관통할 수 있다.Meanwhile, a third UV sterilizing filter 49 for steriliz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5 or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27 may be disposed around the water supply pipe 25.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ong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25 may penetrate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제3 UV 살균필터(49)는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3 UV LED(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UV 살균필터(49)는 상기 복수개의 제3 UV LED가 생성한 빛을 확산시켜서 급수관(25)의 출수구(27)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살균할 수 있다.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UV LEDs (not show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may diffuse ligh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third UV LEDs to sterilize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7 of the water supply pipe 25.

상기 복수개의 제3 UV LED는 제3 UV 살균필터(49)의 하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제3 UV LED가 생성한 빛은 제3 UV 살균필터(49)의 상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ird UV LEDs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Therefore, the light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third UV LEDs may be irradiated to the upper side of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급수 플레이트(30)에 형성된 보스부(33)의 하부에는, 급수홀(3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넓은 구멍(331)이 형성될 수 있다. 넓은 구멍(331)은 급수홀(32)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넓은 구멍(331)은 제3 UV 살균필터(49)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필터 삽입홀일 수 있다.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ss portion 33 formed in the water supply plate 30, a wide hole 33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water supply hole 32 may be formed. The wide hole 331 may be formed wider than the water supply hole 32. The wide hole 331 may be a filter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is inserted.

제3 UV 살균필터(49)의 상단부(491)는 나머지 부분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넓은 구멍(331)에 삽입될 수 있다. 패킹링(37)이 상단부는 나머지 부분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급수 플레이트(30)에 형성된 보스부(33) 및 플레이트 지지대(36)에 형성된 보스부(36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The upper end 491 of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rest,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wide hole 331.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acking ring 37 is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rest, so that it can be inserted between the boss portion 33 formed on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boss portion 364 formed on the plate support 36.

패킹링(37)의 상기 나머지 부분은 플레이트 지지대(36)에 형성된 보스부(364)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패킹링(37)의 상기 나머지 부분의 내부에는 제3 UV 살균필터(49)의 상기 나머지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The rest of the packing ring 37 may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boss portion 364 formed in the plate support 36.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may be inserted in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packing ring 37.

제3 UV 살균필터(49)의 하단은 구획판(38) 위에 놓여질 수 있다. 급수관(25)은 제3 UV 살균필터(49)의 내부를 관통될 수 있다.The bottom of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may be placed on the partition plate 38. The water supply pipe 25 may penetrate the inside of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제3 UV 살균필터(49)의 상단은, 급수관(25)의 상단인 출수구(27)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거나, 급수관(25)의 출수구(27)보다 높은 위치까지 커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 UV 살균필터(49)의 상단은, 출수구(27)로부터 배출되는 물에 직접 UV광을 조사하여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may be install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outlet 27 of the top of the water supply pipe 25, or may be installed to be covered to a higher position than the outlet 27 of the water supply pipe 25. The upper end of the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49 may improve the sterilization effect by irradiating UV light directly to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7.

한편, 플레이트 지지대(36)의 저면에는 보강링(39)이 배치될 수 있다. 보강링(39)은 후술하는 조명 지지대(62)의 보강리브(621)에 의해 받쳐질 수 있다.Meanwhile, a reinforcement ring 39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support 36. The reinforcing ring 39 may be supported by the reinforcing rib 621 of the lighting support 62 described later.

급수 플레이트(30)는 이너 어셈블리(10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즉,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311)를 잡고 들어 올리면, 급수 플레이트(30)는 패킹링(37)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측으로 이동하여서, 플레이트 지지대(3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급수 플레이트(30)를 플레이트 지지대(36)로부터 분리한 후, 급수 플레이트(30)를 형상이나 높이가 다른 급수 플레이트로 교체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late 30 may b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inner assembly 100. That is, when holding and lifting the edge 31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water supply plate 30 can be separated from the plate support 36 by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packing ring 37 and moving upward. The user can remove the water supply plate 30 from the plate support 36, and then replace the water supply plate 30 with a water supply plate having a different shape or height.

급수 플레이트(30) 및 플레이트 지지대(36)의 하측에는 조명장치(60)가 설치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60 may be installed under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plate support 36.

조명장치(60)는, 조명(61)과, 조명(61)이 설치되는 지지대(62)와, 조명 지지대(62)의 외곽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서포트(6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6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ing device 60 may include a lighting 61, a support 62 on which the lighting 61 is installed, and a plate support 63 disposed outside the lighting support 62. The support 6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플레이트 서포트(63)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서포트(63)의 상면(63a)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플레이트(30)의 에지돌출부(312) 및 플레이트 지지대(36)의 외부링(361)과 접촉될 수 있다. 플레이트 서포트(63)의 하면(63b)은 구획판(38)에 접촉될 수 있다.The plate support 63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upper side. The upper surface 63a of the plate support 63 may be in contact with the edge protrusion 312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the outer ring 361 of the plate support 36 as shown in FIG. 8. The lower surface 63b of the plate support 63 may contact the partition plate 38.

플레이트 서포트(63)의 외주면(631)은 급수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311)로부터 하측방향을 향하여 점차 플레이트 서포트(63)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경사면(63C)을 형성하므로,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311)로부터 낙하한 물은 플레이트 서포트(63)에 부딪히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1 of the plate support 63 forms an inclined surface 63C gradually entering the inside of the plate support 63 from the edge 311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water supply plate 30 Water dropped from the edge 311 may fall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hitting the plate support 63.

조명(61)은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LED)로 제조될 수 있고, 소정 형상의 배열을 이루도록 조명 지지대(62)에 부착되거나, 링형으로 형성되어 조명 지지대(62)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The lighting 61 may be made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and may be attached to the lighting support 62 to form an array of predetermined shapes, or formed in a ring shape to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ing support 62.

본 실시예에서 조명(61)은 링형으로 형성되어, 조명 지지대(62)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된다. 조명 지지대(62)의 상부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들어가게 오목부(62a)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61)은 오목부(62a)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ighting 61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ing support 62. A recess 6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ing support 62 to enter the inside. The lighting 61 may be inserted into and attached to the recess 62a.

조명 지지대(62)의 내주면에는 보강리브(621)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621)는 보강링(39)을 받쳐줄 수 있다.A reinforcement rib 621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ing support 62. The reinforcement rib 621 may support the reinforcement ring 39.

조명 지지대(62)의 하부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들어간 오목부(622)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622)에는 플레이트 서포트(63)의 하단부에 내측에 돌출 형성된 내향돌출부(632)가 삽입될 수 있다.A recess 622 that is inward may be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ghting support 62. Inward protrusions 632 protruding inside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ends of the plate supports 63 in the recesses 622.

조명 지지대(62)의 하부 내측에는 조명(61)의 발광을 제어하는 PCB(623)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PCB(623)는 구획판(38)의 상면에 놓여질 수 있다.A PCB 623 that controls light emission of the lighting 61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lighting support 62. The PCB 623 may be plac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38.

조명 지지대(62), 플레이트 서포트(63) 및 구획판(38)은 접합 또는 융착되어 일체가 될 수 있다. 조명 지지대(62), 플레이트 서포트(63) 및 구획판(38)은 서로 분리 가능토록 조립될 수도 있다.The lighting support 62, the plate support 63 and the partition plate 38 may be joined or fused to be integrated. The lighting support 62, the plate support 63, and the partition plate 38 may be assembl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물받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p tray shown in FIG. 2.

도 1,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물받이(50)는 급수 플레이트(30)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수조(10)의 개방된 상측을 씌워주도록 배치되어,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311)로부터 낙하된 물을 받아 수조(10)로 배출할 수 있다.1, 2 and 10, the drip tray 50 is located below the water supply plate 30, is arranged to cover the ope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10,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 311) can receive the dropped water and discharge it to the water tank (10).

물받이(50)는,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벽(51)과, 내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외측벽(51)과의 사이에 배수 통로(52)를 형성하는 내측벽(53)을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50)는 외측벽(51)의 하측부 및 내측벽(53)의 하측부를 이어주는 바닥벽(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p tray 50 may include an outer wall 51 forming an outer rim, and an inner wall 53 forming an inner rim and forming a drainage passage 52 between the outer wall 51. The drip tray 50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wall 55 connecting the lower part of the outer wall 51 an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wall 53.

바닥벽(55)에는 급수 플레이트(30) 또는 플레이트 서포트(63)로부터 물받이(50)로 공급된 물을 수조(10) 내로 배출하는 배출홀(56)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56)은 바닥벽(55)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아크형 홀, 링형 홀 또는 원형 홀로 형성될 수 있다.A discharge hole 56 for discharg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late 30 or the plate support 63 to the drip tray 50 into the water tank 10 may be formed in the bottom wall 55. The discharge hole 56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arc-shaped holes, ring-shaped holes or circular ho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55.

내측벽(53)은 플레이트 서포트(6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서포트(63)의 하단은 내측벽(53)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내측벽(53)에는 가이드(54)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54)는 외측벽(51)을 향하여 돌출되고 하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가이드(54)는 플레이트 서포트(63)의 외주면 하단보다 외측벽(51)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The inner wall 53 may be disposed under the plate support 63. The lower end of the plate support 63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wall 53. A guide 54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53. The guide 54 protrudes toward the outer wall 51 and can be inclined downward. The guide 54 may protrude toward the outer wall 51 from the bottom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support 63.

가이드(54)는 플레이트 서포트(63)의 외주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54)는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를 통해 낙하하는 물을 받아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 서포트(63)의 외주면을 타고 가이드(54)로 흘러내린 물과,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를 통해 가이드(54)로 낙하된 물은, 가이드(54)를 따라 하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The guide 54 may receive water flowing dow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support 63 and guide it downward. In addition, the guide 54 may receive water falling through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and guide it downward. That is, the water flowing dow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support 63 to the guide 54 and the water dropped into the guide 54 through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will be guided downward along the guide 54. You can.

가이드(54)의 외측면은 가이드(54)의 외측으로 볼록한 라운드면(54R)을 포함할 수 있다. 라운드면(54R)은 플레이트 서포트(63)의 하단에서 아래로 소정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서포트(63)의 외주면인 경사면(63C)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린 물은, 볼록한 라운드면(54)에 의해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바닥벽(55)에 형성된 배출홀(56)을 통해 수조(10) 내로 낙하하는 물이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에 떨어지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54 may include a round surface 54R convex outward of the guide 54. The round surface 54R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plate support 63. The water flowing down the inclined surface 63C, which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support 63, is slowed by the convex round surface 54, so that the water tank flows through the discharge hole 56 formed in the bottom wall 55. (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generated when water falling into the water drops stored in the water tank 10.

가이드(54)의 외측면은 라운드면(54R)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면(54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면(54H)은 바닥벽(55)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54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surface 54H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round surface 54R. The vertical surface 54H may be spaced upward from the bottom wall 55.

가이드(54)는 외측벽(51)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벽(51)은 급수 플레이트(30)의 가장자리를 통해 가이드(54)로 낙하된 물이 가이드(54)의 표면에 부딪쳐 수조(10)의 외측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uide 54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top of the outer wall 51. Therefore, the outer wall 51 can prevent water falling to the guide 54 through the edge of the water supply plate 30 from hitting the surface of the guide 54 and splashing out of the water tank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이드(54)는 물받이(50)의 내측벽(53)에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가이드(54)는 물받이의 외측벽(51)에 내측벽(53)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54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on the inner wall 53 of the drip tray 50, but the guide 54 protrudes toward the inner wall 53 on the outer wall 51 of the drip tray. It may be formed.

상기 가이드(54)의 상단부는 플레이트 서포트(63)의 하단부와 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54)의 상단부 내측에는 홈(541)이 형성될 수 있다. 구획판(38)의 가장자리가 상기 홈(541)에 위치된 후에, 플레이트 서포트(63)가 가이드(54)의 상단부와 구획판(38)의 가장자리 위에 놓여질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guide 54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plate support 63. A groove 541 may be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54. After the edge of the partition plate 38 is located in the groove 541, the plate support 63 can be placed over the upper end of the guide 54 and the edge of the partition plate 38.

물받이(50)는 플레이트 서포트(63) 및 구획판(38)과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물받이(50)는 플레이트 서포트(63) 및 구획판(38)과 접착 또는 융착 등의 방법으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될 수도 있다. 물받이(50)가 플레이트 서포트(63) 및 구획판(38)과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경우, 물받이(50)를 형상 또는 높이가 다른 물받이로 교체할 수 있다.The drip tray 50 may be detachably assembled with the plate support 63 and the partition plate 38. The drip tray 50 may be combined with the plate support 63 and the partition plate 38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a method such as adhesion or fusion. When the drip tray 50 is detachably assembled with the plate support 63 and the partition plate 38, the drip tray 50 may be replaced with a drip tray having a different shape or height.

물받이(50)의 외측벽(51)의 내측면에는 가이드(54)를 향하여 돌출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외측벽(51) 중 돌출부(51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내주면(512)은 상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11) 및 가이드(54) 사이에는 간격이 좁은 배수통로(521)가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5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51 of the drip tray 50 toward the guide 54.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12 of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protruding portion 511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wall 51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widening in the radial direction toward the upper side. A drainage passage 521 having a narrow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511 and the guide 54.

따라서, 급수 플레이트(30)로부터 물받이(50)로 낙하된 물은, 가이드(54)와 돌출부(511) 위에 잠시 머문 후에, 좁은 배수통로(521)를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물받이(50)의 외부에서 침투되는 이물질은 좁은 배수통로(521)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질 수 있다.Therefore, the water dropped from the water supply plate 30 to the drip tray 50 may be moved downward through the narrow drainage passage 521 after briefly staying on the guide 54 and the protrusion 511. In addition, foreign matter that penetrates from the outside of the drip tray 50 may be filter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narrow drainage passage 521.

외측벽(51) 중 돌출부(51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내주면(512)과, 돌출부(511)의 상면 및 내주면에는 피복층(59)이 형성될 수 있다. 피복층(59)은 물받이(5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54)는 물받이(5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서, 미감이 향상되거나 촉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고, 낙하되는 물이 부딪히면서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 coating layer 59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12 of the portion of the outer wall 51 extending upward from the protruding portion 511 and the upper a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rotruding portion 511. The coating layer 59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drip tray 50. The guide 54 is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drip tray 50, so that the aesthetics can be improved or the touch is softened, and the falling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while colliding.

물받이의 외측벽(51)의 상단은 내측벽(53)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50)의 외측벽(51) 중 상부는 수조(10)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top of the outer wall 51 of the drip tray may be formed to have a higher height than the inner wall 53. As shown in FIG. 2,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51 of the drip tray 50 is higher than the top of the water tank 10. It can protrude upward.

즉, 외측벽(51) 중 돌출부(51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상부를 상향 돌출벽으로 정의할 시, 상기 상향 돌출벽은 수조(10)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수조(10)의 상단보다 둘레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상측으로 갈수록 수조(10)의 상단보다 반경방향으로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51 extending upward from the protrusion 511 is defined as an upwardly projecting wall, the upwardly projecting wall protrudes upward from the top of the water tank 10, and It protrudes outward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and may be formed to be wider in the radial direction than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10 toward the upper side.

본 실시예에서 수조(10)의 상단부는 상측 측벽(11a)이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상향 돌출벽은, 상측 측벽(11a)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측 측벽(11a)의 상단보다 둘레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측 측벽(11a)의 상단보다 반경방향으로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upper side wall 11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tank 10, the upwardly projecting wall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wall 11a, and is outside the circumference tha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wall 11a. As it protrudes to the upper side, it may be formed to be wider in the radial direction than the upper end of the upper side wall 11a.

상기 상향 돌출벽은 수조(10)의 상단부와 외측으로 소정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상향 돌출벽은 상측 측벽(11a)과 외측으로 소정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소정각도(θ)는 120 일 수 있다.The upwardly projecting wall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θ to the upper end and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0. That is, the upwardly projecting wall may form a predetermined angle θ outwardly from the upper sidewall 11a. The predetermined angle θ may be 120.

물받이(50)의 외측벽(51)의 외주면에는 상측 경사면(513) 및 하측 경사면(5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측 경사면(513) 및 하측 경사면(514)은 경사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An upper inclined surface 513 and a lower inclined surface 514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wall 51 of the drip tray 50. The upper slope 513 and the lower slope 514 may have different slopes.

또한, 물받이(50)의 외측벽(51)의 외주면에는 상측 경사면(513) 및 하측 경사면(514) 사이에 스텝부(51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스텝부(515)는 돌출부(511)의 하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ep portion 515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upper inclined surface 513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514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wall 51 of the drip tray 50. The step portion 51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ortion 511.

하측 경사면(514)은 수조(10)의 이너 경사면(113)에 의해 지지되는 아우터 경사면(514)이 될 수 있다.The lower inclined surface 514 may be an outer inclined surface 514 supported by the inner inclined surface 113 of the water tank 10.

또한, 물받이(50)의 스텝부(515)는 상측 측벽(11a)에 형성된 돌출벽(111,112,113)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스텝부(515)는 상측 측벽(11a)에 형성된 제1 돌출판(111)의 상면에 걸리도록 놓여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portion 515 of the drip tray 5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ding walls 111, 112 and 113 formed on the upper side wall 11a. That is, the step portion 515 may be placed so as to engage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plate 111 formed on the upper side wall 11a.

물받이(50)의 상측 경사면(513)은 상측 측벽(11a)에 부착된 패킹(115)에 접촉되어 패킹(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upper inclined surface 513 of the drip tray 50 may be supported by the packing 115 in contact with the packing 115 attached to the upper sidewall 11a.

따라서, 물받이(50)는 수조(30)의 상측 측벽(11a)에 걸린 상태로 수조(30) 상측에 견실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drip tray 50 may be reliab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30 while being hung on the upper side wall 11a of the water tank 30.

한편, 물받이(50)의 내측벽(53)의 내주면에는 돌출턱부(55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턱부(551)는 내측벽(53)의 내주면 하측에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턱부(53)는 내측이 개구될 수 있다.Meanwhile, a protruding jaw portion 551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53 of the drip tray 50. The protruding jaw portion 551 may be formed to extend inwardly und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53. The protruding jaw portion 53 may be opened inside.

돌출턱부(551)는 물받이(50)의 내측벽(53)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물받이(50)의 하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protruding jaw portion 551 may protrude inwar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53 of the drip tray 50 to form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rip tray 50.

돌출턱부(551)는 전술한 상측 필터커버(46)의 가장자리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돌출턱부(551)의 내측은 개구될 수 있다. 상측 필터커버(46)는 돌출턱부(551)에 결합되어 돌출턱부(551)의 개구된 내측을 덮을 수 있다.The protruding jaw portion 55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edge of the upper filter cover 46 described above. The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jaw portion 551 may be opened. The upper filter cover 46 may be coupled to the protruding jaw portion 551 to cover the opened inner side of the protruding jaw portion 551.

물받이(50)의 돌출턱부(551)와 상측 필터커버(46)는 암, 수 후크 또는 나사 결합 등의 공지수단에 의하여 분리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물받이(50)의 돌출턱부(551)와 상측 필터커버(46)는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게 결합될 수도 있다.The protruding jaw portion 551 of the drip tray 50 and the upper filter cover 46 may be detachably assembled by known means such as female, male hook or screw coupling. The protruding jaw portion 551 of the drip tray 50 and the upper filter cover 46 may be combined so as not to be separated by fusion or adhesion.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과필터(40), 펌프(20), 급수관(25), 급수 플레이트(30), 조명장치(60) 및 물받이(50)는 일체가 되도록 결합 또는 조립되어서, 단일의 이너 어셈블리(100)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filtration filter 40, the pump 20, the water supply pipe 25, the water supply plate 30, the lighting device 60 and the drip tray 50 are combined or assembled so as to be integral, a single Inner assembly 100 may be formed.

따라서, 수조(10)에 단일의 이너 어셈블리(100)가 설치되므로, 수조(10)로부터 이너 어셈블리(100)를 쉽게 분리하여, 수조(10)의 물 교환을 쉽게 할 수 있고, 수조(10) 내의 세척을 쉽게 할 수 있으며, 각종 부품의 보수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a single inner assembly 100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 the inner assembly 1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water tank 10, so that the water exchange of the water tank 10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water tank 10 is provided. It is easy to clean the inside and can easily repair various parts.

그리고, 이너 어셈블리(100)가 수조(10)에 설치되는 경우, 이너 어셈블리(100)의 상부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물받이(50)는 수조(10)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즉, 이너 어셈블리(100)가 수조(10) 내에 설치되는 경우, 물받이(50)의 외측벽(51)에 형성된 아우터 경사면(514)이, 수조(30)의 상측 측벽(11a)에 형성된 이너 경사면(113)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ner assembly 100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 the drip tray 50 positioned on the upper edge of the inner assembly 100 may be supported by hanging on the water tank 10. That is, when the inner assembly 100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 the outer inclined surface 514 formed on the outer wall 51 of the drip tray 50, the inner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ide wall 11a of the water tank 30 ( 113).

또한, 이너 어셈블리(100)가 수조(10)에 설치되는 경우, 이너 어셈블리(100)의 하측 중앙에 위치되는 하측 필터커버(43)가 수조의 바닥판(12)에 형성된 돌출부(121)에 씌워질 수 있고, 플랜지(431)는 그루브(122)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ner assembly 100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 the lower filter cover 43 position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inner assembly 100 is covered with the protrusion 121 formed on the bottom plate 12 of the water tank. The flange 431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22.

따라서, 이너 어셈블리(100)가 수조(10)에 설치되는 경우, 이너 어셈블리(100)는 수조(10) 내에서 이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너 어셈블리(100)가 수조(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받이(50)의 외측벽(51)을 손으로 잡고 수조(10)의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이너 어셈블리(100)는 수조(1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nner assembly 100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 the inner assembly 100 can be stably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out being moved within the water tank 10. In addition, when the inner assembly 100 is installed in the water tank 10, when the user holds the outer wall 51 of the drip tray 50 by hand and lifts it to the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10, the inner assembly 100 is a water tank (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1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 급수기는, 펌프(20)가 통형상의 여과필터(40)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은 여과필터(40)의 둘레방향 전체에서 여과필터(4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의 순환이 잘 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anion animal water fee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ump 20 is installed inside the tubular filtration filter 40,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is of the filtration filter 40. Since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ltration filter 40 in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circulation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can be performed well.

또한, 펌프(20)가 통형상의 여과필터(40)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펌프(20)의 고장 수리 시, 여과필터(40)를 제거한 후 펌프(20)를 용이하게 고장 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ump 20 is installed inside the cylindrical filtration filter 40, when the malfunction of the pump 20 is repaired, the pump 20 can be easily repaired after the filtration filter 40 is removed. have.

또한, 여과필터(40)에는 제1 UV 살균필터(47) 및 제2 UV 살균필터(48)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UV 살균필터(47) 및 제2 UV 살균필터(48) 중 적어도 하나는 수조(10) 내에 저장된 물을 살균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UV sterilization filter 47 and the second UV sterilization filter 48 may be installed in the filtration filter 40. Therefore, at least one of the first UV sterilization filter 47 and the second UV sterilization filter 48 can steriliz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 person with knowledg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수조 12 : 바닥판
20 : 펌프 25 : 급수관
30 : 급수 플레이트 32 : 급수홀
38 : 구획판 40 : 여과필터
42 : 제1 여과필터 43 : 하측 필터커버
44 : 제2 여과필터 44b : 지지통체
45 : 여과물질 46 : 상측 필터커버
47 : 제1 UV 살균필터 48 : 제2 UV 살균필터
49 : 제3 UV 살균필터 50 : 물받이
51 : 물받이의 외측벽 53 : 물받이의 내측벽
55 : 물받이의 바닥벽 56 : 배출홀
61 : 발광체 63 : 플레이트 서포트
73 : 무선전력수신부 121 : 돌출부
122 : 링형 그루브 421 : 통공
431 : 플랜지 441 : 통공
442 : 제2 여과필터의 외측벽 443 : 제2 여과필터의 내측벽
444 : 지지판 541 : 홈
551 : 돌출턱부
10: tank 12: bottom plate
20: pump 25: water supply pipe
30: water supply plate 32: water supply hole
38: partition plate 40: filtration filter
42: first filtration filter 43: lower filter cover
44: second filtration filter 44b: support cylinder
45: filtration material 46: upper filter cover
47: first UV sterilization filter 48: second UV sterilization filter
49: third UV sterilization filter 50: drip tray
51: outer wall of the drip tray 53: inner wall of the drip tray
55: bottom wall of the drip tray 56: discharge hole
61: luminous body 63: plate support
73: wireless power receiver 121: protrusion
122: ring groove 421: through hole
431: flange 441: through hole
442: outer wall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3: inner wall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444: support plate 541: groove
551: protruding jaw

Claims (20)

상측이 개구된 수조;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물이 이송되는 급수관;
상기 수조보다 위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흐르는 상면을 구비한 급수 플레이트; 및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여과하는 통형상의 여과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여과필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A water tank with an open top;
A pump disposed in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pipe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is transferred;
A water supply plate disposed above the water tank and having an upper surfac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flows; And
Included in; a cylindrical filtration filter disposed in the water tank to filte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he pump is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installed inside the filtration fil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의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전체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ration filter,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er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통형상의 제1 여과필터와, 상기 제1 여과필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통형상의 제2 여과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2 여과필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ration filter includes a cylindrical first filtration filter and a cylindrical second filtration filter disposed inside the first filtration filter,
The pump is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installed inside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필터의 둘레면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내측에 가까워지게 경사져서 형성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is formed by being inclined to be closer to the inside from the top to the botto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필터는 상기 제1 여과필터에 형성된 통공보다 입자가 큰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제2 여과필터는 상기 제2 여과필터에 형성된 통공보다 입자가 작은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물질을 내부에 구비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filtration filter filters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r particle size tha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filtration filter,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is a companion animal water dispenser having a filtration material therein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having particles smaller tha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필터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외측벽과, 상기 외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고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물질은 상기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 사이에 충진되고,
상기 펌프는 상기 내측벽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includes an outer wall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an inner wall spaced inward from the outer wall and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he filtration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The pump is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wall.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re companion animal water dispensers formed verticall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필터에는 상기 여과물질의 하측 및 상기 펌프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여과필터의 상기 외측벽은 상기 지지판보다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여과필터는 하측이 개구되며,
상기 제1 여과필터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여과필터의 하단부 내로 상단부가 삽입되는 지지통체와,
상기 지지통체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여과필터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링형의 제1 UV 살균필터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material and the lower side of the pump is formed on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protrudes downward from the support plate, and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has a lower side opened,
A support cylinder disposed in the first filtration filter and the upper end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the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further comprises a ring-shaped first UV sterilizing filter disposed below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필터의 하단은 상기 제1 UV 살균필터의 상면에 안착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ltration filter is a companion animal waterer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V sterilization filt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의 하측을 씌워주는 하측 필터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필터커버의 상부는 상기 지지통체의 개구된 하측으로 삽입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lower filter cover covering the lower side of the filtration filter,
The upper part of the lower filter cover is a companion animal water feed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opened lower side of the support cylinder.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측 필터커버의 상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통체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링형의 제2 UV 살균필터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A companion animal water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ring-shaped second UV sterilizing filter installe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filter cover and disposed below the support cylind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바닥판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통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필터커버는 상기 바닥판의 상기 돌출부에 씌워지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A cylindrical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tank,
The lower filter cover is a companion animal water dispenser cover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bottom plat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기 돌출부 주위에는 링형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필터커버에는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A ring-shaped groove is formed around the protrusion of the bottom plate,
In the lower filter cover, a companion animal waterer having a flange inserted into the groove.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UV 살균필터는 상기 플랜지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 UV 살균필터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여과필터의 하단 및 상기 지지통체의 하단이 안착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The second UV sterilizing filter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V sterilizing filter, a companion animal waterer having a lower end of the first filtration filter and a lower end of the support cylinder.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내에 배치되는 무선전력송신부와,
상기 지지통체의 상면 및 상기 지지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무선전력송신부로부터 무선전력을 전송받는 무선전력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the protrusion,
It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and the support plate,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상단이 관통하는 통형상의 제3 UV 살균필터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mpanion animal water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cylindrical third UV sterilizing filter through which the upper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passes.
상측이 개구된 수조;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물이 이송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흐르는 상면을 구비한 급수 플레이트;
상기 수조의 개방된 상측을 덮고, 상기 급수 플레이트보다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수조 내로 배출하는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여과하는 통형상의 여과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여과필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A water tank with an open top;
A pump disposed in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pipe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is transferred;
A water supply plate having an upper surfac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flows;
A drip tray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disposed below the water supply plate,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late and discharging it into the water tank; And
Included in;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ip tray, a tubular filtration filter for filter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he pump is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installed inside the filtration filter.
상측이 개구된 수조;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펌프로부터 토출된 물이 이송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흐르는 상면을 구비한 급수 플레이트;
상기 수조의 개방된 상측을 덮고, 상기 급수 플레이트보다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수조 내로 배출하는 물받이;
상기 급수 플레이트 및 상기 물받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서포트; 및
상기 물받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여과하는 통형상의 여과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여과필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A water tank with an open top;
A pump disposed in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pipe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is transferred;
A water supply plate having an upper surface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flows;
A drip tray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water tank, disposed below the water supply plate,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late and discharging it into the water tank;
A plate support connecting the water supply plate and the drip tray; And
Included in;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ip tray, a tubular filtration filter for filter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he pump is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installed inside the filtration filter.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측벽과,
내측 테두리를 형성하고, 상기 물받이의 상기 외측벽과의 사이에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내측벽과,
상기 물받이의 상기 외측벽의 하측부 및 상기 물받이의 상기 내측벽의 하측부를 이어주고, 상기 급수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물받이로 공급된 물을 상기 수조 내로 배출하는 배출홀이 형성된 바닥벽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물받이의 상기 내측벽의 하측에 연결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7 or claim 18,
The drip tray,
An outer wall forming an outer border,
An inner wall forming an inner rim and forming a drainage passage between the outer wall of the drip tray,
A bottom wall formed by connecting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drip tray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drip tray and discharg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late to the drip tray into the water tank,
The filtration filter is a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drip tray.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의 상기 내측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물받이의 바닥벽을 형성하고 내측이 개구된 돌출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여과필터의 상측을 씌워주고 상기 급수관이 관통하는 상측 필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필터커버는 상기 돌출턱부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턱부의 개구된 내측을 차폐하는 반려동물 급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9,
On the inner wall of the drip tray, protruding inward to form a bottom wall of the drip tray and a protruding jaw portion with an inner opening is formed,
The filtration filter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filtration filter and includes an upper filter cover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pipe passes,
The upper filter cover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jaw portion of the companion animal water supply to shield the open inside of the protruding jaw portion.
KR1020190060919A 2018-09-19 2019-05-24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KR20200033138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70,310 US11596127B2 (en) 2018-09-19 2019-09-13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CN201910886730.9A CN110915686A (en) 2018-09-19 2019-09-19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EP19198292.5A EP3628149B1 (en) 2018-09-19 2019-09-19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3393P 2018-09-19 2018-09-19
US62/733,393 2018-09-19
KR1020180131636 2018-10-31
KR20180131636 2018-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138A true KR20200033138A (en) 2020-03-27

Family

ID=6995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919A KR20200033138A (en) 2018-09-19 2019-05-24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313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067226B (en) Liquid dispenser
EP3626065B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CN110915680B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EP3649854B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220122584A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200033139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US11191252B2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200048945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915683B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200033137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EP3628149B1 (en) Liquid dispenser for animals
KR20200033138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KR20200048947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42637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KR20200048948A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KR20200048946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43264A (en) Water supply device for p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