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238A - 다수의 이미지들 상에서 캡처된 바코드들을 판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의 이미지들 상에서 캡처된 바코드들을 판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238A
KR20200032238A KR1020207007246A KR20207007246A KR20200032238A KR 20200032238 A KR20200032238 A KR 20200032238A KR 1020207007246 A KR1020207007246 A KR 1020207007246A KR 20207007246 A KR20207007246 A KR 20207007246A KR 20200032238 A KR20200032238 A KR 20200032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adable code
relative location
stitching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469B1 (ko
Inventor
돤펑 허
Original Assignee
심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심볼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32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6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 G06K7/1491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the method including a reconstruction step, e.g. stitching two pieces of bar code together to derive the full bar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43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locating of the code in an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52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detecting bar code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aracter Input (AREA)
  • Image Input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은 다수의 이미지들에 걸쳐 캡처된 바코드들을 스티칭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그 방법은 각각의 이미지들에서 바코드의 제1 및 제2 부분들을 캡처하는 단계, 두 개의 캡처된 부분들 사이의 일치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일치에 따라 두 개의 부분들을 스티칭하는 단계, 및 참조 마크의 도움을 받아 결합된 문자열을 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이미지들 상에서 캡처된 바코드들을 판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
인코딩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머신 판독가능 표시들(즉, 심볼들)의 사용은 다양한 산업들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소매점에서, 1차원 바코드들은 다양한 제품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유니버셜 제품 코드들(Universal Product Codes)(UPC들)을 일반적으로 인코딩한다. 바코드들(1차원 및 2차원 둘 다)의 사용은 바코드들이 해당 수송품의 다양한 패싯(facet)들에 관련되는 정보를 인코딩하는 배송 업계(shipping industry)에서 또한 매우 널리 퍼져 있다.
통상적으로, 바코드 내의 인코딩된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 바코드의 이미지가 촬상기(imager)에 의해 광전기적으로 캡처되고 바코드에 의해 표현되는 패턴은 해당 이미지로부터 디코딩된다. 이는 바코드가 촬상기의 시야(field of view) 내에 충분히 그리고 명확하게 맞을 때 비교적 용이하게 성취될 수 있지만, 특정한 상황들에서 어려움들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코드가 일상적인 작업 거리에서 이미지화될 때 바코드가 너무 길어 촬상기의 시야 내에 실제로 맞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바코드가 해당 바코드의 일 부분만 판독 가능하고 나머지 부분은 충분한 시야를 벗어나도록 비 평평 아이템에 부착될 수 있다. 이들 경우들의 둘 다에서, 단일 이미지 캡처가 바코드를 적절히 디코딩할 가능성이 불충분할 수 있을 것이다. 대신, 각각의 이미지가 바코드의 부분을 캡처하는 다중 이미지 캡처들이 수행되어야 하고 바코드의 부분들은 원래의 바코드 입력을 복원하고 디코딩하기 위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서로 스티칭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이미지들 상에서 캡처된 바코드들을 판독하는 것과 그들 이미지들로부터 원래의 바코드 입력을 복원하는 것을 지향하는 개선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필요하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유사한 참조 번호들이 개별 도면들의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지칭하는 첨부 도면들은 명세서에 포함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청구된 본 발명을 포함하는 개념들의 실시예들을 더 예시하는데 역할을 하고, 그들 실시예들의 다양한 원리들 및 장점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캐너의 컴포넌트들의 일부의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 바코드를 캡처하는 제1 및 제2 이미지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코드를 스티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코드를 스티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 바코드를 캡처하는 제1 및 제2 이미지들이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도면들에서의 엘리먼트들이 단순화 및 명료화를 위해 예시되고 반드시 스케일대로 그려지지는 않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의 엘리먼트들 중 일부 엘리먼트들의 치수들은 다른 엘리먼트들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의 향상을 돕기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장치 및 방법 컴포넌트들은 도면들에서의 기존의 심볼들에 의해 적절한 곳에서 표현되어, 본 명세서의 설명의 혜택을 누리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쉽사리 명백하게 될 세부사항들로 본 개시내용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해하는데 적절한 그들 특정 세부사항들만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인코딩된 문자열을 나타내는 머신 판독가능 코드를 스티칭하는 방법이다. 그 방법은: 제1 이미지에서,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 ― 제1 부분은 제1 경계까지 연장됨 ― 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제2 이미지에서,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 ―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는 상이하며, 제2 부분은 제2 경계까지 연장됨 ― 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제1 부분의 제1 매칭 파트와 제2 부분의 제2 매칭 파트 사이의 일치의 존재 ― 제1 매칭 파트는 제1 경계에 접하고 제2 매칭 파트는 제2 경계에 접함 ― 를 결정하는 단계; 일치의 존재에 응답하여, 제1 매칭 파트와 제2 매칭 파트 사이의 중첩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중첩의 존재에 응답하여,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과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스티칭하는 단계 ― 스티칭하는 단계는 중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함 ― 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인코딩된 문자열을 나타내는 머신 판독가능 코드를 스티칭하는 방법이다. 그 방법은: 제1 이미지에서,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 ― 제1 부분은 제1 경계까지 연장됨 ― 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제2 이미지에서,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 ―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는 상이하며, 제2 부분은 제2 경계까지 연장됨 ― 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제1 부분의 제1 매칭 파트와 제2 부분의 제2 매칭 파트 사이의 일치의 존재 ― 제1 매칭 파트는 제1 경계에 접하고 제2 매칭 파트는 제2 경계에 접함 ― 를 결정하는 단계; 일치의 존재에 응답하여,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과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스티칭하는 단계 ― 상기 스티칭하는 단계는 일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스티칭된 엘리먼트를 생성함 ―; 및 제1 이미지에서 그리고 제2 이미지에서 참조 마크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제1 매칭 파트에 대한 참조 마크의 제1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제2 매칭 파트에 대한 참조 마크의 제2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을 평가하는 단계에 의해, 스티칭된 엘리먼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인코딩된 문자열을 나타내는 머신 판독가능 코드를 스티칭하는 방법이다. 그 방법은: 제1 이미지에서,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 ― 제1 부분은 제1 경계까지 연장됨 ― 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제2 이미지에서,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 ―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는 상이하며, 제2 부분은 제2 경계까지 연장됨 ― 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제1 부분의 제1 매칭 파트와 제2 부분의 제2 매칭 파트 사이의 일치의 존재 ― 제1 매칭 파트는 제1 경계에 접하고 제2 매칭 파트는 제2 경계에 접함 ― 를 결정하는 단계; 제1 매칭 파트와 제2 매칭 파트 사이의 제1 중첩 ― 제1 중첩은 완전 중첩 또는 부분적 중첩 중 하나임 ― 을 결정하는 단계; 일치의 존재에 응답하여,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과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스티칭하는 단계 ― 스티칭하는 단계는 제1 중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스티칭된 엘리먼트를 생성함 ―; 및 제1 이미지에서 그리고 제2 이미지에서 참조 마크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제1 이미지에서 참조 마크의 제1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제2 이미지에서 참조 마크의 제2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을 평가하는 단계에 의해, 스티칭된 엘리먼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제 도면들로 돌아가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이미징 스캐너(10)를 묘사한다. 이미징 스캐너(10)는 창(12)과 손잡이가 있는 하우징(14)을 갖는다. 이미징 스캐너(10)는 자신을 조리대 상에 지지하기 위한 기부(16)를 갖는다. 이미징 스캐너(10)는 조리대 상에 배치될 때 핸즈프리 모드에서 고정식 워크스테이션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징 스캐너(10)는 조리대에서 픽업되어 조작자의 손에 쥐어질 때 핸드헬드 모드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핸즈프리 모드에서, 제품들은 슬라이드되거나, 스와이프(swipe)식으로 지나가거나, 또는 창(12)에 제시될 수 있다. 핸드헬드 모드에서, 이미징 스캐너(10)는 제품 상의 바코드를 향해 이동될 수 있고, 트리거(18)가 바코드의 이미지화를 개시하기 위해 수동으로 눌러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기부(16)는 생략될 수 있고, 하우징(14)은 다른 형상들로 또한 있을 수 있다.
도 2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이미징 스캐너(1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의 이미징 스캐너(10)는 다음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1) 결상 렌즈 어셈블리(22) 뒤에 위치된 고체 상태 촬상기(20); (2) 조명 소스(26) 앞에 위치된 조명 렌즈 어셈블리(24); (3) 조준 광원(30) 앞에 위치된 조준 렌즈 어셈블리(28); 및 (4) 메모리(34)에 커플링된 제어기(32). 도 2에서, 결상 렌즈 어셈블리(22), 조명 렌즈 어셈블리(24), 및 조준 렌즈 어셈블리(28)는 창(12) 뒤에 위치된다. 고체 상태 촬상기(20)는 이미징 스캐너(10)에서 인쇄 회로 보드(36) 상에 장착된다.
고체 상태 촬상기(20)는 CCD 또는 CMOS 이미징 디바이스일 수 있다. 고체 상태 촬상기(20)는 다수의 픽셀 엘리먼트들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이들 다수의 픽셀 엘리먼트들은 단일 행으로 선형적으로 배열되는 1차원 광감성 엘리먼트 어레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다수의 픽셀 엘리먼트들은 상호 직교하는 행들 및 열들로, 임의의 다른 배열로 배열되는 광감성 엘리먼트들의 2차원 어레이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2차원 배열의 광감성 엘리먼트들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을 형성한다. 고체 상태 촬상기(60)는 창(12)을 통과하는 광경로 또는 축(38)을 따라 결상 렌즈 어셈블리(22)에 의해 캡처된 광을 검출하도록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고체 상태 촬상기(20) 및 결상 렌즈 어셈블리(22)는 바코드(40)로부터 산란된, 반사된, 또는 방출된 광을 2차원 시야(FOV)에 걸친 픽셀 데이터로서 캡처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다.
바코드(40)는 근접(close-in) 작업 거리(working distance)(WD1)와 극외(far-out) 작업 거리(WD2) 사이의 작업 거리 범위 안에서 어디든 일반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구현예에서, WD1은 창(12)으로부터 약 수 인치이고, WD2는 창(12)으로부터 약 수 피트이다. 이미징 스캐너들의 일부는 바코드(40)와 결상 렌즈 어셈블리(22)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징 스캐너들의 일부는 바코드의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이 바코드가 고체 상태 촬상기(20)로 더 명확하게 이미지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 초점 시스템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초점 시스템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결상 렌즈 어셈블리(22)의 초점 길이는 바코드의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자동 초점 시스템의 일부 다른 구현예들에서, 결상 렌즈 어셈블리(22)와 고체 상태 촬상기(20) 사이의 거리는 바코드의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도 2에서, 조명 렌즈 어셈블리(24) 및 조명 소스(26)는 조명 기간 동안 바코드(40)를 향해 조명 광을 생성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다. 조명 소스(26)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들(light emitting diodes)(LED)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소스(26)는 레이저 또는 다른 종류의 광원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조준 렌즈 어셈블리(28) 및 조준 광원(30)은 바코드(40)를 향해 가시 조준 광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조준 패턴은 바코드에 이미징 스캐너를 더 정확하게 조준하기 위해 조작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조준 광원(30)은 하나 이상의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준 광원(30)은 레이저 또는 다른 종류의 광원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제어기(32), 이를테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고체 상태 촬상기(20), 조명 소스(26), 및 조준 광원(30)에 이들 컴포넌트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동작가능하게 접속된다. 제어기(32)는 이미징 스캐너에서 다른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미징 스캐너(10)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취출(retrieving)하기 위해 제어기(32)에 의해 액세스 가능할 수 있는 메모리(34)를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제어기(32)는 이미징 스캐너(10)의 FOV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바코드들을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를 또한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바코드(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바코드의 캡처된 이미지를 디지털적으로 프로세싱함으로써 디코딩될 수 있다.
동작 시,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제어기(32)는 미리 결정된 조명 기간 동안 조명 소스(26)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커맨드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기(32)는 그 다음에 고체 상태 촬상기(20)가 바코드(40)의 이미지를 캡처하게 한다. 바코드(40)의 캡처된 이미지는 제어기(32)에 픽셀 데이터로서 전달된다. 이러한 픽셀 데이터는 바코드를 디코딩하기 위해 제어기(32)의 디코더에서 디지털적으로 프로세싱된다. 바코드(40)를 디코딩하는 것으로부터 획득된 정보는 그 다음에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메모리(34)에 저장되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캐너(10)는 다수의 이미지들을 통해 캡처된 단일 바코드의 부분들을 스티칭하고 검증하도록 구성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거기에 도시된 것은, 어떤 이유로 (예컨대, 바코드가 FOV 내에 맞추기에는 너무 크고 WD1와 WD2 사이에 여전히 남아 있을 때), 단일 이미지 내에 캡처되지 않았던 예시적인 바코드(42)이다. 이와 같이, 도 3a는 제1 이미지(44)를 묘사하고 도 3b는 제2 이미지(46)를 묘사한다. 제1 이미지(44) 내에 캡처된 것은 제1 이미지(44)의 에지(50)까지 연장하는/에 접하는 바코드(42)의 제1 부분(48)이다. 제2 이미지(46) 내에 캡처된 것은 제2 이미지(46)의 에지(54)까지 연장하는/이에 접하는 바코드(42)의 제2 부분(52)이다. 바코드(42)의 부분들을 캡처하는 것 외에도, 각각의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마크를 캡처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바와 같이, 참조 마크가 바코드와는 구별되는 임의의 엘리먼트이고, 임의의 형상 또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의 경우, 바코드(42)를 둘러싸는 글자들 및/또는 숫자들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부분이 참조 마크로 간주될 수 있다. 비슷하게, 엘리먼트들의 모음이 참조 마크인 것으로 또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미지를 참조하면, 글자 "E" 또는 그것의 임의의 파트가, 단독으로, 참조 마크로 간주될 수 있지만, 전체 단어 "CODE"가 또한 참조 마크로 간주될 수 있다. 비슷하게, 글자 "L" 및 숫자 "8"이 참조 마크들을 별개로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총괄하여 단일 참조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현재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바코드(42)의 제1 부분(48)의 파트(56)는 제2 부분(52)의 다른 파트(58)와 일치한다. 제어기(32)는 두 개의 매칭 파트들(56, 58) 사이의 이러한 일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는 바코드의 각각의 부분들에 의해 점유되는 각각의 이미지들의 적어도 일부 부분들의 픽셀 단위 비교로 성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이미지들에서 적어도 일부 바코드 엘리먼트들의 엘리먼트 단위 비교를 통해 일치가 발견될 수 있다. 1차원 바코드의 경우, 엘리먼트들은 바코드의 바들 및 공간들(이는 나머지 바들과는 상이한 컬러의 바들로서 표현될 수 있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치는 각각의 이미지들에서 적어도 일부 바코드 코드워드들의 코드워드 대 코드워드 비교를 통해 발견될 수 있다. 바코드 코드워드가 특정한 패턴들/특성을 갖는 일련의 바코드 엘리먼트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치는 각각의 이미지들에서 바코드 부분들의 적어도 일부 디코딩된 부분들의 디코딩된 문자 대 디코딩된 문자 비교에 의해 또한 발견될 수 있다.
일단 매칭 파트들(56, 58)이 제1 및 제2 부분들(48, 52)에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이들 파트들은 링킹 엘리먼트들로서 역할을 하고 원래의 바코드(42)를 획득하기 위해 두 개의 바코드 부분들을 스티칭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 프로세스 동안, 유리한 중첩 평가가 스티칭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스티치의 검증이 정확해지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적절한 중첩 평가에 대한 필요성은 다음의 보기에 관해 예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코드의 제1 부분은 제1 문자열 "123451212"를 인코딩할 수 있고 바코드의 제2 부분은 제2 문자열 "12126789"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이들 두 개의 문자열의 평가에 기초하여, "1212"는 두 개의 문자열들 사이에 공유되고, 따라서, 제1 문자열의 "1212"와 제2 문자열의 "1212"는 그들 문자열들의 매칭 파트들을 형성할 것임이 명확해진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제1 및 제2 부분들을 함께 정확히 스티칭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1212"가 양 문자열들 사이에 공유되더라도, 이는 원래의 입력이 "12345121212126789,” "123451212126789,” "1234512126789,” 또는 일부 다른 입력인 것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칭 파트들의 존재만을 아는 것은 적절한 출력에 도달하는데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사례들에서 이 문제가 전체 바코드에서 인코딩된 엘리먼트들의 총 수를 알고 스티칭 프로세스 동안 이 수를 고려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지만, 이는 바코드가 미지의 길이로 된 상황들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전체 바코드가 두 개를 초과하는 이미지들에 걸쳐 캡처되면, 전체 바코드에서 인코딩된 엘리먼트들의 총 수를 갖는 것은 여전히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엘리먼트들의 총 수를 아는 것은 스캐너가 가변하는 알려진 길이들의 바코드들을 스캔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들에서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리하게, 스캐너(10)는, 제어기(32)를 통해, 제1 부분(48)과 제2 부분(52) 사이의 적절한 중첩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마크의 존재 및 바코드(42)의 일부 구역들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조 마크의 포지션을 평가함으로써 행해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참조 마크가 비선형 2차원 마크이다. 바람직하게는, 참조 마크는 만곡된 선, 각진 라인들, 교차 라인들, 및 다른 유사한 특징들과 같은 쉽게 위치결정 가능한 특징들을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를 다시 참조하면, 각각의 이미지(44, 46)는 제1 참조 마크(60)(제1 이미지(44)에서 60a로서 그리고 제2 이미지(46)에서 60b로서 표현됨)와 제2 참조 마크(62)(제1 이미지(44)에서 62a로서 그리고 제2 이미지(46)에서 62b로서 표현됨)를 포함한다. 참조 마크(60)는 이미지들 둘 다에 존재하고 정의된 각도로 만나는 두 개의 라인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어기(32)에 의해 선택 마크로서 선택될 수 있다. 참조 마크(60)(와 특히 60a)의 검출 시, 제어기(32)는 그것의 포지션을 제1 이미지(44)에서 제1 매칭 파트(56)에 대해 결정한다. 제어기(32)는 제2 이미지(46)에서 제2 매칭 파트(58)에 대한 마크들(60)(특히 60b) 포지션을 또한 결정한다. 상대 포지션들은 벡터 값들로서 표현될 수 있고, 그것들은, 예를 들어, 종점 영역들(예컨대, 마크(60a) 및 제1 매칭 파트(56))의 도심(centroid)들에 의존하는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두 개의 상대 포지션들을 가지면, 그 다음에 바코드(42)의 제1 및 제2 부분들(48, 52) 사이에 적절한 중첩의 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어기는 하나의 상대 로케이션을 다른 상대 로케이션으로부터 감산하고 결과 값을 평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과 값은 감산 연산에 의해 획득된 변위 벡터로부터 결정되는 두 개의 로케이션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결과 값이 미리 정의된 문턱값 아래에 속하는 이벤트에서, 제어기는 두 개의 매칭 부분들(56, 58)을 바코드(42)의 동일한 구역과, 바코드(42)의 동일한 코드워드들과, 또는 바코드(24)에 의해 인코딩된 문자열의 동일한 구역과 연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로부터, 제어기는 매칭 부분들(56, 58)이 전적으로 중첩하는 제1 및 제2 부분들(48, 52) 또는 그 부분들에 캡슐화된 문자열들을 스티칭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매칭 부분들(56, 58)은 바코드의 동일한 부분을 각각이 나타낼 것이다. 결과 값이 미리 정의된 문턱값보다 위에 속하는 대체 이벤트에서, 제어기는 두 개의 매칭 부분들(56, 58)을 바코드(42)의 상이한 구역들과 또는 바코드(24)에 의해 인코딩된 문자열의 상이한 구역들과 연관시키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이한 구역들은 부분적 중첩을 가진다. 그로부터, 제어기는 매칭 부분들(56, 58)이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제1 및 제2 부분들(48, 52) 또는 그 부분들에 캡슐화된 문자열들을 스티칭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참조 마크(60)에 관해 수행되는 동일한 단계 세트는 참조 마크(62)로 또한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코드 부분들의 스티칭은 픽셀 레벨로 행해져, 상이한 부분들의 각각의 중첩 픽셀을 정렬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코드 부분들의 스티칭은 엘리먼트 단위 레벨로 행해져, 상이한 부분들의 중첩 엘리먼트들을 정렬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코드 부분들의 스티칭은 코드워드 단위 레벨로 행해져, 상이한 부분들의 중첩 코드워드들을 정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바코드 부분들의 스티칭은 디코딩된 문자 단위 레벨로 행해져, 상이한 부분들의 중첩하는 디코딩된 문자들을 정렬시킬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기(32)는 각각의 이미지들에서 캡처된 바코드의 부분들에 기초하여, 원근(perspective), 또는 다른 왜곡을 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코드가 미리 결정된 폭의 흑색 및 백색 수직 바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일반적으로 가짐을 감안하면, 캡처된 이미지에서의 그들 엘리먼트들의 왜곡은 참조 마크(들) 및 그것들의 상대 로케이션들의 결과적인 왜곡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로 참조 마크(60a 및 60b)의 상대 로케이션이 동일할 수 있지만, 바코드(42)가 촬상기(20)에 평행하지 않으면 그와 같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참조 마크(60)의 전체 외관은 이미지들 중 각각의 이미지에서 또한 왜곡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 참조). 이 경우, 제어기는, 참조 마크들을 위치결정한 후이지만 매칭 파트들에 대한 참조 마크(들)의 상대 로케이션들을 결정하기 전에, 또는 참조 마크(들)의 상대 로케이션들을 결정한 후이지만 그들 상대 로케이션들의 감산 전에, 각각의 부분(48, 52)을 평가하며, 캡처된 이미지들에서 외관상의 왜곡을 결정하고, 참조 마크(들)를 위치결정하기에 앞서 해당 왜곡을 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참조 마크(들)를 위치결정하기에 앞서 일어나는 정정은 이미지화된 참조 마크들의 형상의 정정을 포함한다. 이는 왜곡의 결과로서, 참조 마크가 충분히 상이하게 나타날 때 이미지들 둘 다에 공통인 참조 마크의 위치결정을 도울 수 있다.
실시예에 의존하여, 왜곡 정정은 전체 이미지 상에 또는, 예를 들어, 바코드의 부분을 포함하는 구역 또는 참조 마크(들) 중 임의의 참조 마크를 포함할 수 있는/포함하는 구역과 같은 이미지의 임의의 특정 구역(들)에 구현될 수 있다. 후자의 구현예는 사용되지 않는 이미지들의 구역들의 불필요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왜곡 정정은 정정된 이미지들/구역들이 왜곡을 갖지 않거나 또는 동일한 왜곡을 공유하도록 왜곡을 정정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이미지들에 걸쳐 캡처된 대상들은 촬상기에 수직이 되도록 정정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이미지에서의 대상이 다른 이미지의 원근 공간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왜곡 정정은 모든 이미지들/대상들에 걸쳐 구현되어야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구현되는 바코드를 스티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단계 70에서, 촬상기는 제1 이미지에서 바코드의 제1 부분을 캡처하고 단계 72에서 촬상기는 제2 이미지에서 바코드의 제2 부분을 캡처한다. 캡처에 뒤이어, 단계 74에서 제어기는 바코드의 제1 부분의 파트와 바코드의 제2 부분의 파트 사이에 일치가 있는지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 각각의 파트는 자신의 각각의 이미지의 에지에 접한다. 이러한 일치가 검출되지 않으면, 스티칭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76에서 제어기는 각각의 매칭 파트들에 대해 어떤 근접도 내에 있는 공통 참조 마크를 이미지들 둘 다에서 위치결정하고, 단계 78에서 제어기는, 각각의 이미지에서, 참조 마크 및 각각의 매칭 파트들의 상대 로케이션을 결정한다. 단계 76 및 78에 앞서 또는 그 동안, 제어기는 각각의 이미지들에서 다양한 엘리먼트들의 외관에서의 잠재적 왜곡 관련 차이들을 해결하기 위해 임의의 수의 왜곡 정정 절차들을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80에서, 참조 마크의 상대 로케이션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매칭 파트들 사이에 중첩량이 결정되고, 마지막으로, 단계 82에서 바코드의 제1 부분 및 바코드의 제2 부분(또는 그 안에 캡슐화된 문자열들)은 매칭 파트들 사이의 이전에 결정된 중첩이 유지되도록 함께 스티칭된다. 임의로, 단계 82 전에, 중첩량은 문턱값에 대해 검사될 수 있고 문턱값이 충족되는 경우에만 방법은 단계 82로 진행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스티칭 단계는 참조 마크(들)의 상대 로케이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수행되지만, 이미 실행된 스티칭 동작을 검정하는 수단으로서 상대 로케이션들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3a 및 3b를 다시 참조하면, 매칭 파트들(56, 58)의 검출 시, 제어기(32)는 일치된 파트들(56, 58)이 전적으로 중첩할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제1 부분(48)과 제2 부분(52)(또는 그 안에 캡슐화된 문자열들)을 스티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동작의 정확성은 그 다음에 (제1 이미지(44)의 매칭 파트(56)에 대한) 참조 마크들(60a, 62a) 중 적어도 하나의 참조 마크의 로케이션들을 그리고 (제2 이미지(46)의 매칭 파트(58)에 대한) 참조 마크들(60b, 62b) 중 적어도 하나의 참조 마크의 로케이션들을 평가하도록 제어기를 구성함으로써 검정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하나의 평가 기법은 상대 로케이션들 사이의 거리를 (예컨대, 하나의 상대 로케이션을 각각의 다른 상대 로케이션으로부터 감산하는 것을 통해) 결정하는 것과 해당 거리를 (예컨대, 감산으로부터의 결과 값이 미리 정의된 문턱값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의 결정을 통해) 평가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감산 결과를 평가하는 경우에, 결과 값이 미리 정의된 문턱값 내에 속하면, 앞서의 스티칭 동작은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고 바코드의 디코딩은 일어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앞서의 스티칭 동작은 무효한 것으로 간주되고 바코드는 적절히 판독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왜곡 정정은 스티칭 및/또는 검정 프로세스의 적절한 상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상대 로케이션들이 검정을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단계 84에서, 촬상기는 제1 이미지에서 바코드의 제1 부분을 캡처하고 단계 86에서 촬상기는 제2 이미지에서 바코드의 제2 부분을 캡처한다. 다음으로, 단계 88에서 제어기는 제1 부분의 파트와 제2 부분의 파트 사이에 일치가 있는지를 결정하며, 여기서 제 각각의 파트는 자신의 각각의 이미지의 에지에 접한다. 이러한 일치가 검출되지 않으면, 스티칭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90에서, 제어기는 (i) 매칭 파트들이 전적으로 중첩하도록, (ii) 매칭 파트들이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바코드에 의해 표현되는 바코드의 총 길이 및/또는 캐릭터들의 총 수가 미리 정의된 값에 부합하도록, 또는 (iii) 일부 다른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제1 부분과 제2 부분 (또는 그 안에 캡슐화된 문자열들)을 스티칭한다. 일단 스티칭이 단계 92에서 수행되었다면, 제어기는 각각의 매칭 파트들에 대해 어떤 근접도 내에 있는 공통 참조 마크를 이미지들 둘 다에서 위치결정하고, 단계 94에서 제어기는, 각각의 이미지에서, 참조 마크의 상대 로케이션(각각의 매칭 파트들에 대한 상대 로케이션)을 결정한다. 그 후, 단계 96에서 상대 로케이션들은 단계 90의 스티치를 검정하는데 사용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는 하나의 상대 로케이션을 다른 상대 로케이션으로부터 감산하고 그 결과 값이 미리 정의된 문턱값 내에 속하는지를 결정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스티치가 검정되면, 단계 98에서 디코딩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검정이 성공적이지 않으면, 제어기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또는 그 안에 캡슐화된 문자열들)이 매칭 파트들 사이에 부분적 중첩을 유지하기 위해서 다른 방식으로 스티칭될 수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그러한 가능성이 존재할 때, 제어기는 단계 90으로 복귀하여 스티칭 동작을 실행하고 그 후 다시 한번 (임의로 단계 92 및 94를 바이패스하고) 검정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대체 스티칭의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을 때, 제어기는 바코드가 적절히 디코딩되지 않았다는 경보를 제공하기 위한 명령을 스캐너에 내릴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제어기는 경보와 함께 또는 경보 없이 디코딩 세션을 계속하여, 가능한 스티칭 구성들에 대해 캡처된 이미지들의 적어도 일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비록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는 바코드(42)가 자신의 제1 부분(48)이 이미지 에지(50)에 접하고 자신의 제2 부분이 이미지 에지(54)에 접하도록 이미지화되었던 일 예를 제공하였지만, 그 실시예에서 설명된 개념들은 바코드의 부분이 제어기에 의해 디코딩 가능한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사례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바코드(102)의 상이한 부분들을 묘사하는 두 개의 이미지들을 각각 예시하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더 분명하게 될 수 있다.
특히, 도 6a는 제1 이미지(104)를 묘사하고 도 6b는 제2 이미지(106)를 묘사한다. 제1 이미지(104) 내에서 캡처된 것은 바코드(102)의 디코딩가능 구역의 경계에 의해 정의되는 에지(110)까지 연장하는/이에 접하는 바코드(102)의 제1 부분(108)이다. 제2 이미지(106) 내에서 캡처된 것은 바코드(102)의 디코딩가능 구역의 경계에 의해 정의되는 에지(114)까지 연장하는/이에 접하는 바코드(42)의 제2 부분(112)이다. 바코드(102)의 부분들을 캡처하는 것 외에도, 각각의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참조 마크(예컨대, 116a, 116b)를 캡처한다.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바코드(102)의 제1 부분(108)의 파트(118)가 제2 부분(112)의 다른 파트(120)와 일치하고, 제어기는 두 개의 매칭 파트들(118, 120) 사이에서 이러한 매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에 대해 이용 가능하게 되는 이들 엘리먼트들을 가지면, 위에서 열거된 스티칭/검정 동작들로 이제 진행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와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 사이의 차이는 바코드의 각각의 부분이 이미지의 에지까지 연장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개념에 있다. 대신, 이는 이미지에서 바코드의 디코딩가능 구역과 바코드의 디코딩불가능 구역을 분리하는 일부 지점(경계)으로부터/으로 연장/이에 접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에서, 참조 마크(들)를 위치결정하기에 앞서 왜곡 정정을 수행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예를 들면, 글자 "L"(이는, 전체적으로, 참조 마크로서 선택될 수 있음)이 이미지들(104 및 106) 둘 다에서 동일한 글자이지만, 그것의 외관은 두 개의 이미지들 사이에서 실린더형 표면 상의 자신의 포지션과 해당 표면이 스캐너에 의해 이미지화되는 방법으로 인해 변경된다. 이미지(104)에서, "L"은 이미지(106)에서보다 상당히 더 좁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왜곡 정정 없이는 제어기는 이미지들 둘 다에서의 "L"이 동일한 공통 참조 마크를 묘사함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왜곡 정정을 구현하면 이 문제를 해결하여, 제어기가 이미지들에 존재하는 참조 마크(들) 및 다양한 엘리먼트들 사이에 더 정확한 연관들을 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더구나, 매칭 파트들(118, 120)의 검출 전에 왜곡 정정을 구현하는 것은 검출 프로세스의 정확도를 또한 개선할 수 있다.
비록 이와 같은 경우들에서, 왜곡 정정이 이미지(들)/대상(들)의 상당한 조정을 제공할 수 있지만, 잡음 및 계산들의 부정확 같은 요인들이 왜곡 정정된 이미지(들)/대상(들)이 여전이 전적으로 동일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 로케이션들을 평가할 때 특정 문턱값을 설정하는 것은 전체 스티칭/검정 결정을 랜더링함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공차 레벨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이 두 개의 이미지들로 전체 바코드를 캡처하는 것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원리들은 두 개를 초과하는 이미지들에 걸치는 바코드들을 스티칭 및/또는 검정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초 당 30 개 프레임들(30 FPS(frames per second))으로 실행하는 촬상기를 갖는 스캐너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바코드를 완전히 캡처하기 위해서 전체 바코드에 걸쳐 스캐너를 스와이프하는데 1 초를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은 바코드가 30 개 이미지들을 통해 캡처되며, 각각의 이미지는 바코드의 일부 부분을 캡처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그러면 위에서 제공된 개념들을 적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든 30 개 바코드 부분들을 사용하여 바코드를 스티칭/검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30 개로 된 세트로부터 적어도 일부 이미지들을 빼면서도 나머지 이미지들에서 전체 바코드를 여전히 캡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대 로케이션들 및 그들 로케이션들 사이의 측정들에 의존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스티칭/검정 방법들은 이미지들의 다양한 부분들(예컨대, 참조 마크(들))의 픽셀 단위 비교를 피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특히 유리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픽셀 단위 이미지 분석이 계산 집중적일 수 있기 때문에, 더 빠르고, 더 비싼 제어기 및/또는 추가 전력 같은 것들을 요구할 수 있다(이는 배터리 전력식의 디바이스의 경우에 디바이스들의 동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집중적 이미지 분석을 피하면 바코드 스티칭 및/또는 검정에 대한 더욱 효율적인 접근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아래의 청구항들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한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제한하는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고, 모든 이러한 수정들은 본원의 교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점들, 장점들, 문제들에 대한 해법들, 및 임의의 이점, 장점, 또는 해법이 발생하거나 또는 더 많이 표명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엘리먼트(들)는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항들의 중요한, 요구된, 또는 필수적인 특징들 또는 엘리먼트들로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의 계류 중에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들과 등록되는 바와 같은 그들 청구항들의 모든 동등물들을 포함하는 첨부의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더구나 본 문서에서, 제1 및 제2, 상단 및 하단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임의의 실제적인 이러한 관계 또는 엔티티들 또는 액션들 사이의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또는 암시하는 일 없이, 하나의 엔티티 또는 액션을 다른 엔티티 또는 액션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포함한다", "포함하는", "갖는다", "갖는", "구비한다", "구비하는", "담는다", "담고 있는"이란 용어들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되어서, 엘리먼트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담고 있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그들 엘리먼트들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대해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내재하지 않은 다른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 을 포함하는", "하나의 ~ 을 갖는", "하나의 ~ 을 구비하는" 또는 "하나의 ~ 을 담고 있는"으로 말이 이어지는 엘리먼트는, 더 이상의 제약조건들 없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가지며, 구비하며, 담고 있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추가적인 동일한 엘리먼트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관사 "a" 및 "an"의 사용에 해당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으로서 정의된다. "실질적으로", "본질적으로", "대략", "약"이란 용어들 또는 그것들의 임의의 다른 버전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에 가까운 것으로서 정의되고,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그 용어는 10% 이내, 다른 실시예에서 5% 이내, 또다른 실시예에서 1% 이내 그리고 또다른 실시예에서 0.5% 이내인 것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커플링된"이란 용어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정의되지만, 반드시 직접적으로 그리고 반드시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또는 구조는 적어도 그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열거되지 않은 방식들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이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맞춤화된 프로세서들 및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PGA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일반적 또는 특수 프로세서들(또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들")과, 특정한 비-프로세서 회로들과 연계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 및/또는 장치의 기능들의 일부, 대부분, 또는 전부를 구현하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제어하는 고유한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둘 다를 포함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들은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을 갖지 않는 상태 머신에 의해, 또는 그 기능들 중 각각의 기능 또는 특정한 기능들의 일부 조합들이 사용자 지정 로직으로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들(ASIC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두 가지 접근법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청구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예컨대, 프로세서를 포함함)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를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의 예들은, 하드 디스크, CD-ROM, 광학적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게다가, 통상의 기술자는, 예를 들어, 가용 시간, 현재 기술, 및 경제적 고려사항들에 의해 동기부여되는 아마도 상당한 노력 및 많은 설계 선택사항들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개념들 및 원리들에 의해 안내될 때 최소 실험으로 이러한 소프트웨어 명령들과 프로그램들 및 IC들을 쉽사리 생성할 수 있을 것이 예상된다.
본 개시내용의 요약서는 독자가 기술적 개시내용의 특성을 빠르게 확인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것은 청구항들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 또는 제한하기 위해 그것이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와 함께 제출된다. 덧붙여서,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들은 본 개시내용을 간소화하는 목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함께 그룹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 방법은 청구된 실시예들이 각각의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된 더 많은 특징들을 요구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다음의 청구항들이 반영하는 대로, 발명적인 주제는 개시된 단일 실시예의 모든 특징들보다는 적게 존재한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항들은 상세한 설명 속에 이와 같이 포함되어, 각각의 청구항은 따로따로 청구된 요지로서 독자적으로 존립한다.

Claims (23)

  1. 인코딩된 문자열을 나타내는 머신 판독가능 코드를 스티칭하는 방법으로서,
    제1 이미지에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portion)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 상기 제1 부분은 제1 경계까지 연장됨 ―;
    제2 이미지에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는 상이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제2 경계까지 연장됨 ―;
    상기 제1 부분의 제1 매칭 파트(matching part)와 상기 제2 부분의 제2 매칭 파트 사이의 일치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매칭 파트는 상기 제1 경계에 접하고 상기 제2 매칭 파트는 상기 제2 경계에 접함 ―;
    상기 일치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매칭 파트와 상기 제2 매칭 파트 사이의 중첩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중첩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과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스티칭하는 단계 ― 상기 스티칭하는 단계는 상기 중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에지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캡처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구역(section)의 디코딩가능 파트 및 디코딩불가능 파트(non-decodable part)를 분리하는 경계 중 하나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계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에지 또는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캡처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구역의 디코딩가능 파트 및 디코딩불가능 파트를 분리하는 경계 중 하나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그리고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참조 마크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매칭 파트에 대한 상기 참조 마크의 제1 상대 로케이션(relative location)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매칭 파트에 대한 상기 참조 마크의 제2 상대 로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과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을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과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을 평가하는 단계는,
    결과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 중 하나의 상대 로케이션을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 중 다른 상대 로케이션으로부터 감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 값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중첩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에서의 제1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는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미리 정의된 특성 및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에서의 미리 정의된 특성의 수정된 존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에서의 제2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의된 특성 및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에서의 미리 정의된 특성의 수정된 존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과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스티칭하는 단계는, (i)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픽셀 단위 레벨(pixel-by-pixel level)로 스티칭하는 단계, (ii)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엘리먼트 단위 레벨(element-by-element level)로 스티칭하는 단계, (iii)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코드워드 단위 레벨(codeword-by-codeword level)로 스티칭하는 단계, 또는 (iv)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디코딩된 문자 단위 레벨(decoded character-by-decoded character level)로 스티칭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인코딩된 문자열을 나타내는 머신 판독가능 코드를 스티칭하는 방법으로서,
    제1 이미지에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 상기 제1 부분은 제1 경계까지 연장됨 ―;
    제2 이미지에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는 상이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제2 경계까지 연장됨 ―;
    상기 제1 부분의 제1 매칭 파트와 상기 제2 부분의 제2 매칭 파트 사이의 일치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매칭 파트는 상기 제1 경계에 접하고 상기 제2 매칭 파트는 상기 제2 경계에 접함 ―;
    상기 일치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과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스티칭하는 단계 ― 상기 스티칭하는 단계는 상기 일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스티칭된 엘리먼트를 생성함 ―; 및
    상기 제1 이미지에서 그리고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참조 마크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매칭 파트에 대한 상기 참조 마크의 제1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매칭 파트에 대한 상기 참조 마크의 제2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지션과 상기 제2 포지션을 평가하는 단계
    에 의해, 상기 스티칭된 엘리먼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칭 파트에 대한 상기 참조 마크의 제1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매칭 파트에 대한 상기 참조 마크의 제1 상대 로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매칭 파트에 대한 상기 참조 마크의 제2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매칭 파트에 대한 상기 참조 마크의 제2 상대 로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포지션과 상기 제2 포지션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과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과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을 평가하는 단계는,
    결과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 중 하나의 상대 로케이션을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 중 다른 상대 로케이션으로부터 감산하는 단계;
    상기 결과 값이 미리 결정된 문턱값 이내에 있을 때 상기 스티칭된 엘리먼트가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 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문턱값 외부에 있을 때 상기 스티칭된 엘리먼트가 무효하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된 엘리먼트가 무효하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매칭 파트와 상기 제2 매칭 파트 사이의 중첩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첩은 상기 스티칭된 엘리먼트에 존재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에서의 제1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는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미리 정의된 특성 및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에서의 미리 정의된 특성의 수정된 존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에서의 제2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의된 특성 및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에서의 미리 정의된 특성의 수정된 존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에지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캡처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구역의 디코딩가능 파트 및 디코딩불가능 파트를 분리하는 경계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경계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에지 또는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캡처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구역의 디코딩가능 파트 및 디코딩불가능 파트를 분리하는 경계 중 하나인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과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스티칭하는 단계는, (i)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픽셀 단위 레벨로 스티칭하는 단계, (ii)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엘리먼트 단위 레벨로 스티칭하는 단계, (iii)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코드워드 단위 레벨로 스티칭하는 단계, 또는 (iv)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디코딩된 문자 단위 레벨로 스티칭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7. 인코딩된 문자열을 나타내는 머신 판독가능 코드를 스티칭하는 방법으로서,
    제1 이미지에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 상기 제1 부분은 제1 경계까지 연장됨 ―;
    제2 이미지에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광전기적으로 캡처하는 단계 ―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는 상이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제2 경계까지 연장됨 ―;
    상기 제1 부분의 제1 매칭 파트와 상기 제2 부분의 제2 매칭 파트 사이의 일치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매칭 파트는 상기 제1 경계에 접하고 상기 제2 매칭 파트는 상기 제2 경계에 접함 ―;
    상기 제1 매칭 파트와 상기 제2 매칭 파트 사이의 제1 중첩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중첩은 완전 중첩 또는 부분적 중첩 중 하나임 ―;
    상기 일치의 존재에 응답하여,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과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스티칭하는 단계 ― 상기 스티칭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스티칭된 엘리먼트를 생성함 ―; 및
    상기 제1 이미지에서 그리고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참조 마크의 존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참조 마크의 제1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참조 마크의 제2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포지션과 상기 제2 포지션을 평가하는 단계,
    의해, 상기 스티칭된 엘리먼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는 상기 제1 이미지의 에지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캡처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구역의 디코딩가능 파트 및 디코딩불가능 파트를 분리하는 경계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경계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에지 또는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캡처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구역의 디코딩가능 파트 및 디코딩불가능 파트를 분리하는 경계 중 하나인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마크의 제1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매칭 파트에 대한 상기 참조 마크의 제1 상대 로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참조 마크의 제2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매칭 파트에 대한 상기 참조 마크의 제2 상대 로케이션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포지션과 상기 제2 포지션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과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과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을 평가하는 단계는,
    결과 값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 중 하나의 상대 로케이션을 상기 제1 상대 로케이션 또는 상기 제2 상대 로케이션 중 다른 상대 로케이션으로부터 감산하는 단계;
    상기 결과 값이 미리 결정된 문턱값 이내에 있을 때 상기 스티칭된 엘리먼트가 유효하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 값이 상기 미리 결정된 문턱값 외부에 있을 때 상기 스티칭된 엘리먼트가 무효하다고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된 엘리먼트가 무효하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완전 중첩 또는 상기 부분적 중첩 중 하나로부터 상기 완전 중첩 또는 상기 부분적 중첩 중 다른 하나로 상기 제1 중첩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에서의 제1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는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미리 정의된 특성 및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에서의 미리 정의된 특성의 수정된 존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함 ―; 및
    상기 제2 이미지에서의 제2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왜곡을 정정하는 단계는 상기 미리 정의된 특성 및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에서의 미리 정의된 특성의 수정된 존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함 ―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1 부분과 상기 머신 판독가능 코드의 제2 부분을 스티칭하는 단계는, (i)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픽셀 단위 레벨로 스티칭하는 단계, (ii)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엘리먼트 단위 레벨로 스티칭하는 단계, (iii)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코드워드 단위 레벨로 스티칭하는 단계, 또는 (iv)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디코딩된 문자 단위 레벨로 스티칭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07007246A 2017-09-12 2018-08-08 다수의 이미지들 상에서 캡처된 바코드들을 판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 KR102112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02,183 US10140497B1 (en) 2017-09-12 2017-09-12 Methods and system for reading barcodes captured on multiple images
US15/702,183 2017-09-12
PCT/US2018/045732 WO2019055158A1 (en) 2017-09-12 2018-08-08 METHODS AND SYSTEM FOR READING BAR CODES CAPTURED ON MULTIPLE IM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238A true KR20200032238A (ko) 2020-03-25
KR102112469B1 KR102112469B1 (ko) 2020-05-18

Family

ID=6431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246A KR102112469B1 (ko) 2017-09-12 2018-08-08 다수의 이미지들 상에서 캡처된 바코드들을 판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40497B1 (ko)
KR (1) KR102112469B1 (ko)
CN (1) CN111052125B (ko)
AU (1) AU2018334449B2 (ko)
DE (1) DE112018005068T5 (ko)
GB (1) GB2582066B (ko)
WO (1) WO20190551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4721S1 (en) * 2013-12-20 2016-04-26 Sanford, L.P.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s
CN108027967B (zh) * 2015-11-05 2020-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图像拼接的方法和电子设备
US20190095751A1 (en) * 2017-09-25 2019-03-28 Symbol Technologies, Llc Pattern matching
CN111768565B (zh) * 2020-05-21 2022-03-18 程功勋 一种增值税发票中发票代码识别后处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1499B2 (en) * 2014-10-09 2016-06-07 Cognex Corporation Barcode decod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1203A (en) 1992-09-25 1997-04-15 Symbol Technologies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two-dimensional bar code symbols with an elongated laser line
US5495097A (en) 1993-09-14 1996-02-27 Symbol Technologies, Inc. Plurality of scan units with scan stitching
US5241164A (en) 1990-01-05 1993-08-31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of decoding bar code symbols from partial scans
KR940002697A (ko) 1992-07-13 1994-02-19 시모야마 도시로오 바 코드 주사 스티치
US5343028A (en) * 1992-08-10 1994-08-30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decoding bar code symbols using two-dimensional digital pixel images
US5457308A (en) 1993-09-14 1995-10-10 Symbol Technologies, Inc. Bar code scan stitching
US7344080B2 (en) 2006-03-31 2008-03-18 Symbol Technologies, Inc. Imaging-based bar code reader utilizing stitching method and swipe guide
US7852519B2 (en) * 2007-02-05 2010-12-14 Hand Held Products, Inc. Dual-tasking decoder for improved symbol reading
US9734376B2 (en) * 2007-11-13 2017-08-15 Cogne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patterns using multiple image frames
US8083147B2 (en) 2008-12-17 2011-12-27 Symbol Technologies, Inc.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exposure in an imaging reader
US8678286B2 (en) * 2011-01-31 2014-03-25 Honeywell Scanning & Mobility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optical indicia using a plurality of data sources
US20150347798A1 (en) 2014-05-29 2015-12-03 Symbol Technologies, Inc. Point-of-transaction workstation for, and method of, imaging sheet-like targets
US9836635B2 (en) * 2014-10-09 2017-12-05 Cogne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optical codes
US10140496B2 (en) 2014-12-02 2018-11-27 Symbol Technologies, Llc System for and method of stitching barcode fragments of a barcode symbol to be read in an imaging-based presentation workst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1499B2 (en) * 2014-10-09 2016-06-07 Cognex Corporation Barcode deco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2002243D0 (en) 2020-04-01
WO2019055158A1 (en) 2019-03-21
CN111052125B (zh) 2021-02-02
DE112018005068T5 (de) 2020-06-10
US10140497B1 (en) 2018-11-27
AU2018334449B2 (en) 2021-05-20
GB2582066A (en) 2020-09-09
AU2018334449A1 (en) 2020-01-23
CN111052125A (zh) 2020-04-21
KR102112469B1 (ko) 2020-05-18
GB2582066B (en)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469B1 (ko) 다수의 이미지들 상에서 캡처된 바코드들을 판독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
US9202094B1 (en) Aiming pattern shape as distance sensor for barcode scanner
US8167209B2 (en) Increasing imaging quality of a bar code reader
US88640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nding target distance from barode imaging scanner
US9033237B1 (en) Decoding DPM indicia with polarized illumination
US8857719B2 (en) Decoding barcodes displayed on cell phone
US9800749B1 (e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expeditiously adjusting reading parameters of an imaging reader based on target distance
US9111163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electro-optically reading a selected target by image capture from a picklist of targets
WO2011066109A1 (en) Imaging-based scanner including border searching for image acquisition
US11009347B2 (e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determining a distance to a target to be read by image capture over a range of working distances
US8534559B2 (en) Imaging slot scanner with multiple field of view
CN112055858A (zh) 解码条形码读取器的视场中指定的条形码
US201300946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detecting orientation of free-form document using barcode
US8517272B1 (en) Method to differentiate aiming from active decoding
WO2017205065A1 (e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determining a target distance and adjusting reading parameters of an imaging reader based on target distance
KR101488629B1 (ko) 이미징 스캐너로 서식 문서를 포착하는 방법 및 장치
US8657195B2 (en) Document capture with imaging-based bar code readers
US86863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of the solid-state imager in a barcode reader
CN106462723B (zh) 使用智能线性选择列表解码条形码
US8840025B2 (e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preventing symbol misreads in electro-optical readers
US20190318145A1 (en) Optimized barcode decoding in multi-imager barcode readers and imaging engines
US201300275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detecting orientation of free-form document using oc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