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338A -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338A
KR20200031338A KR1020180110232A KR20180110232A KR20200031338A KR 20200031338 A KR20200031338 A KR 20200031338A KR 1020180110232 A KR1020180110232 A KR 1020180110232A KR 20180110232 A KR20180110232 A KR 20180110232A KR 20200031338 A KR20200031338 A KR 20200031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module
penis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준
왕제필
이종수
김동균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338A/ko
Publication of KR20200031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7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 A61B5/4393Sexual arousal or erectile dysfunction evaluation, e.g. tumescence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61Strain gau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경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감기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기시 상기 음경의 팽창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와이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PC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밴드부를 착용한 상태에서 PC 및 스마트폰을 통하여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음경의 팽창도와 관련한 정보를 상기 PC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밴드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측정 대상자에 따라 상기 밴드부를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Appratu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impotence diagnosis}
본 발명은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기 부전은 노인 남성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고령, 흡연, 음주, 당뇨, 고혈압, 뇌혈관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발기 부전의 정도를 판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를 들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5581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음경에 착용하여 음경이 발기함에 따라 음경의 경직도를 측정하는 장치가 제안되기도 했으나, 이러한 제안 기술에 의해서는 측정 장치를 착용하고 제거하기가 불편하고, 장치의 부피가 크고 구성품이 많아 사용하기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병원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하나의 장치를 그대로 여러 환자들이 교대로 사용함으로써 위생적인 측면에서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측정을 위하여 착용해야 하는 부분을 소독 등 별도 조치 없이 여러 환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비위생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장비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측정 장비 전체를 교체해야하므로, 수리 또는 교체 비용이 월등히 많이 들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55816호(2002.10.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발기 부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발기 부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에 있어서, 음경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감기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기시 상기 음경의 팽창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와이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PC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밴드부를 착용한 상태에서 PC 및 스마트폰을 통하여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음경의 팽창도와 관련한 정보를 상기 PC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밴드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측정 대상자에 따라 상기 밴드부를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부는, 상기 측정 신호가 데이터로 저장되기 위한 메모리부와 상기 본체부의 작동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측정 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원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비되며, 스마트폰 충전기와 호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밴드부는, 인체에 무해하고 발기 여부에 따라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실리콘 소재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밴드부의 변형율을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인게이지로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밴드부에 부착되는 접착면에 나노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밴드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에 의하면, 발기 부전 진단을 위하여 음경의 팽창도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에, 음경에 밴드부를 착용하고 본체부는 허벅지, 주머니, 벨트 등에 고정하여 필요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는 보다 캠팩트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착용감이 더욱 좋아질 수 있다.
그리고, 병원 등과 같이 여러 환자들이 교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환자 별로 밴드부를 달리하여 교체해 가면서 측정을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측정을 위하여 밴드부를 소독없이 여러 환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밴드부를 환자별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와이어 및 본체부가 서로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부를 각각 구비하여 연결되므로, 센서부 및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가 손상되거나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 제거한 후 새로운 센서부 및 와이어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간편하여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측정 장비의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 측정 장비 전체를 교체해야하므로 수리비용이 월등히 많이 발생될 수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부 및 와이어만을 교체하는 방식으로 수리가 가능하므로 수리 비용이 1/40 수준으로 감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측정 장비는 적어도 2개의 센서부가 필수적인 반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센서부만으로도 발기 부전 진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에서, 음경의 발기시 밴드부 및 센서부가 변화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의 본체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를 음경의 미발기 상태를 구현하여 테스트한 모습과 음경의 미발기 상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를 음경의 발기 상태를 구현하여 테스트한 모습과 음경의 발기 상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나타내는 의미를 명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에서, 음경의 발기시 밴드부 및 센서부가 변화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의 본체부에 대한 상세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를 음경의 미발기 상태를 구현하여 테스트한 모습과 음경의 미발기 상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를 음경의 발기 상태를 구현하여 테스트한 모습과 음경의 발기 상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에서 측정된 데이터가 나타내는 의미를 명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1)는, 음경(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감기는 밴드부(11)와, 상기 밴드부(11)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기시 상기 음경(2)의 팽창도를 측정하는 센서부(12)와, 상기 센서부(12)와 와이어(14)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12)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는 본체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부(11)는 음경(2)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게 감길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11)는 인체에 무해하고 발기 여부에 따라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실리콘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부(12)는 상기 밴드부(11)의 변형율을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인게이지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2)는, 상기 밴드부(11)에 부착되는 접착면에 나노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밴드부(11)의 교체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는 상기 밴드부(11)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측정 대상자에 따라 상기 밴드부(11)를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14) 및 본체부(13)는 서로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부(미도시)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14)의 연결단자부와 상기 본체부(13)의 연결단자부가 서로 체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와이어(14)가 상기 본체부(13)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2) 및 와이어(14) 중 적어도 하나가 손상되는 경우에 상기 와이어(14)를 상기 본체부(13)로부터 분리 제거한 후에 새로운 와이어(14)를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센서부(12) 및 와이어(14)가 교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3)는, 상기 측정 신호가 데이터로 저장되기 위한 메모리부(134)와, 상기 센서부(12) 및 본체부(13)의 작동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35)와, 측정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31) 및 스피커(133)와, 상기 본체부(13)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6)와,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13)의 작동에 관련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부(135)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비되며, 스마트폰(4) 충전기와 호환 가능하게 충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3)는, PC(3), 스마트폰(4) 및 프린터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137)을 더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37)은, 예를 들면 블루투스 방식과 같이 PC(3), 스마트폰(4) 및 프린터 등과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적용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137)을 통하여 상기 음경(2)의 팽창도와 관련한 정보가 상기 PC(3) 및 스마트폰(4)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발기 부전 진단 장치(1)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PC(3) 및 스마트폰(4)을 통하여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부(13)는, USB 단자(138)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13)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옮기고자 하는 경우에 USB 메모리를 상기 USB 단자(138)에 연결하여 측정 데이터를 USB 메모리에 저장하여 옮겨 담을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3)는 종래의 발기 부전 진단 장치에 비하여 컴팩트하게 형성되어, 측정 도중 환자의 활동이 용이하도록 하며, 착용감도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발기 부전 진단 장치의 실시예를 테스트한 결과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 부전 진단장치(1)를 테스트하기 위한 실험 장치를 도 4 및 도 5의 사진에 나타난 모습과 같이 구성하였다. 즉, 음경 모형(2)에 상기 밴드부(11)를 끼워 감고 상기 센서부(12)에 의한 측정 신호가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음경 모형(2)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음경(2)의 발기 현상과 동일한 조건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상기 음경 모형(2)이 미발기한 상태에서는 상기 센서부(12)에 의한 측정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도 4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음경 모형(2)이 발기한 상태에서는 상기 센서부(12)에 의한 측정값이 유의미할 정도로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도 5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 5의 그래프에서 측정값이 크게 증가했다가 급격히 줄어든 모습도 볼 수 있는데, 이는 부풀어 오른 음경 모형(2)에 공기가 빠지면서 급격히 수축하는 과정의 측정값도 함께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1)를 이용하여 음경(2)의 발기 및 미발기 상태를 명확하게 측정 가능하며,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1)를 통한 측정값을 지속적으로 수집 및 모니터링함으로써,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값의 변화를 통하여 발기시 팽창도와 발기 지속 시간, 발기 횟수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서부(12)는 일례로, 상기 음경(2)의 발기 및 미발기 상태를 측정할 때, 상기 음경(2)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팽창정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인게이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존의 제품들과는 달리 상기 음경(2)의 팽창 및 수축 시에 상기 음경(2)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팽창정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2)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이면 상기 음경(2)의 발기 및 미발기 상태의 측정이 정확해지고, 피시험자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지 않으며, 상기 음경(2)의 발기 시 상기 음경(2)을 압박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1)에 의하면, 발기 부전 진단을 위하여 음경(2)의 팽창도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에, 음경(2)에 밴드부(11)를 착용하고 본체부(13)는 허벅지, 주머니, 벨트 등에 고정하여 필요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13)는 보다 캠팩트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착용감이 더욱 좋아지고, 환자의 활동에 있어서 간섭이나 제한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병원 등과 같이 여러 환자들이 교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환자 별로 밴드부(11)를 달리하여 교체해 가면서 측정을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발기 부전 진단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또한, 와이어(14) 및 본체부(13)가 서로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부를 각각 구비하여 연결되므로, 센서부(12) 및 와이어(14) 중 적어도 하나가 손상되거나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14)를 상기 본체부(13)로부터 분리 제거한 후 새로운 센서부(12) 및 와이어(14)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간편하여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발기 부전 진단 장치
2 : 음경
3 : PC
4 : 스마트폰
11 : 밴드부
12 : 센서부
13 : 본체부
14 : 와이어
131 : 디스플레이부
132 : 입력부
133 : 스피커
134 : 메모리부
135 : 전원부
136 : 제어부
137 : 무선통신모듈
138 : USB단자

Claims (5)

  1. 음경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감기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기시 상기 음경의 팽창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와이어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의 측정 신호를 입력받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PC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밴드부를 착용한 상태에서 PC 및 스마트폰을 통하여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음경의 팽창도와 관련한 정보를 상기 PC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밴드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측정 대상자에 따라 상기 밴드부를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측정 신호가 데이터로 저장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본체부의 작동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측정 신호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비되며, 스마트폰 충전기와 호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인체에 무해하고 발기 여부에 따라 용이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실리콘 소재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밴드부의 변형율을 측정할 수 있는 스트레인게이지로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밴드부에 부착되는 접착면에 나노테이프를 구비하여, 상기 밴드부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KR1020180110232A 2018-09-14 2018-09-14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KR20200031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32A KR20200031338A (ko) 2018-09-14 2018-09-14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32A KR20200031338A (ko) 2018-09-14 2018-09-14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338A true KR20200031338A (ko) 2020-03-24

Family

ID=7000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232A KR20200031338A (ko) 2018-09-14 2018-09-14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3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9639A (zh) * 2021-10-09 2021-12-03 湖南揽月医疗科技有限公司 阴茎硬度测量装置的线形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816B1 (ko) 2000-04-21 2002-10-19 주식회사 메디칼써프라이 음경의 축방향 팽창도/경직도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816B1 (ko) 2000-04-21 2002-10-19 주식회사 메디칼써프라이 음경의 축방향 팽창도/경직도 측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9639A (zh) * 2021-10-09 2021-12-03 湖南揽月医疗科技有限公司 阴茎硬度测量装置的线形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4340B2 (en) Limb volume accommodation in people with limb amputation
TWI587837B (zh) 胎動量測裝置
KR101592154B1 (ko) 음경 발기력 측정장치
WO2018097617A1 (ko) 손목 혈압계
KR101680795B1 (ko) 성기보조장치
JP2014217707A (ja) 生体情報計測装置及び生体情報計測システム
US20150164344A1 (en) Omnisign medical device systems
JPWO2017149688A1 (ja) 膀胱尿動態測定装置
KR20130024468A (ko) 센서의 탈부착이 가능한 생체신호 발신기
KR20190139127A (ko) 의료 진단 장치
KR100800075B1 (ko) 심박수 산출 방법 및 심박수 측정 장치
KR101784484B1 (ko) 손목 밴드형 혈압 측정 장치
KR20180055150A (ko) 음경 발기 측정용 기구 및 발기 측정용 속옷
KR20170023440A (ko) 흡수용품의 교체시기 알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림 방법
WO2017026552A1 (ko) 손목 혈압계
JP6437138B2 (ja) センサユニット
KR101511052B1 (ko) 손목착용형 생체신호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KR20200031338A (ko)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 발기부전 진단 장치
WO2016068495A1 (ko) 손목 혈압계
ITFI20130061A1 (it) Apparato indossabile per la diagnosi e la terapia di disfunzioni sessuali
JP6436767B2 (ja) 膀胱尿動態測定装置
KR20190040660A (ko) 발기 부전 진단 장치
KR101549109B1 (ko) 스마트와치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US20180353347A1 (en) Wrap and method to provide compression, and protection to body part of user
CN211658140U (zh) 一种手腕式动态血压监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