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269A -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269A
KR20200031269A KR1020180110063A KR20180110063A KR20200031269A KR 20200031269 A KR20200031269 A KR 20200031269A KR 1020180110063 A KR1020180110063 A KR 1020180110063A KR 20180110063 A KR20180110063 A KR 20180110063A KR 20200031269 A KR20200031269 A KR 20200031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user terminal
care system
smart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훈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핏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핏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핏
Priority to KR1020180110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269A/ko
Publication of KR20200031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춤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활 습관 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생활 습관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생활 습관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정보 제공자 단말기(30) 및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 관리자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입력받는 입력부(23); 각종 정보들을 출력하여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24); 상기 정보 제공자 단말기(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25); 및 상기 통신부(21), 상기 입력부(23), 상기 출력부(24) 및 상기 저장부(25)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생활 습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설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생활 습관 정보들을 수집하며, 상기 생활 습관 정보들을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SMART CARE SYSTEM BASED ON MOBILE TIMELINE}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해 사용자의 건강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스마트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학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백세 시대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단순한 수명의 연장뿐만 아니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과 같은 다양한 경로들을 통해, 사용자들은 건강에 대한 많은 정보들을 제공받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등을 통해 제공되는 수많은 건강 정보들은, 구체적인 확인 없이 제공되고 있으며, 의학적으로 증명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또한, 의학적으로 증명된 건강 정보라고 하더라도, 각 사용자의 생활 습관 및 몸 상태에 따라, 상기 건강 정보가 각 사용자에게 동일한 효과를 제공해 줄 수는 없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춤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활 습관 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생활 습관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생활 습관 분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은, 정보 제공자 단말기(30) 및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 관리자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입력받는 입력부(23); 각종 정보들을 출력하여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24); 상기 정보 제공자 단말기(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25); 및 상기 통신부(21), 상기 입력부(23), 상기 출력부(24) 및 상기 저장부(25)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생활 습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설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생활 습관 정보들을 수집하며, 상기 생활 습관 정보들을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생활 습관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더 정확한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각종 정보들을 나타낸 예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이하, 간단히 스마트 케어 시스템이라 함)(20),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과의 업무 제휴를 통해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에 의해 사용되는 정보 제공자 단말기(30) 및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포함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 제어부(22), 입력부(23), 출력부(24) 및 저장부(25)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21)는 상기 정보 제공자 단말기(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23)는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의 관리자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입력받는다.
상기 출력부(24)는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의 운영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출력하여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25)는 상기 정보 제공자 단말기(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통신부(21), 상기 입력부(23), 상기 출력부(24) 및 상기 저장부(25)의 기능을 제어한다.
둘째, 상기 정보 제공자 단말기(30)는 의학 및 건강과 관련된 전문 지식을 가진 정보 제공자에 의해 이용된다. 상기 정보 제공자 단말기(30)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장가 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자는 예를 들어, 다양한 분야의 의사가 될 수도 있고, 약사 및 한의사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자는 의학 및 건강과 관련된 전문 지식을 가진 교수 및 전문가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제공자는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과 업무 제휴를 맺은 병원의 관리자가 될 수도 있다.
셋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PC와 같은 무선 단말기가 될 수도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유선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특히, 상기 사용자 단말기(10)가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 단말기인 경우를 일예로 하여 본 발명이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는 각종 정보들을 나타낸 예시도들이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이하, 간단히 스마트 케어 시스템이라 함)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10), 예를 들어,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에 접속할 수 있는 앱(이하, 간단히 서비스앱이라 함)(11)을 설치한다(502).
다음,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상기 서비스앱(11)을 실행시킨 후, 상기 서비스앱을 통해 자신의 로그인 정보입력하여,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에 로그인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에 가입할 때, 또는 가입을 한 이후에 건강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치료를 받고 있는 사용자는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병명, 병원, 처방전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수술을 받을 예정인 사용자는 자신의 병명, 수술날짜, 수술병원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수술을 받고 퇴원한 용자는 수술을 받은 병명, 수술날짜, 퇴원날짜, 처방전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있다.
또한, 병원 치료를 받지 않고 있으며 병원 치료가 예정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병명, 식습관, 운동 정보 및 수면 시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들은 상기 저장부(25)에 저장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병원 및 의사 등이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과 업무 제휴되어 있는 병원 및 의사(이하, 간단히 정보 제공자라 함)인 경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들은 상기 사용자의 허락에 의해, 상기 정보 제공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 예를 들어, 특별한 병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용자가 건강 음식과 관련된 정보들을 요청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건강 음식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받을 주기, 예를 들어, 매일 제공받을지, 또는 1주일에 한번 제공받을지의 여부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또는 상기에서 설정된 주기가 도달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504).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현재 병원치료를 받고 있는 사용자에게는 상기 사용자의 병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병에 유익한 운동 정보 및 음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가 약을 먹을 주기를 입력한 경우에는 약을 복용해야하는 타임에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병과 관련된 정보, 운동 정보 및 음식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 제공자, 예를 들어, 의사, 한의사, 약사, 치과의사, 의학교수 및 의학 전문가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수술을 예약한 사용자에게는, 입원 및 수술과 관련된 정보, 수술 전의 몸관리를 위한 정보 및 수술 전에 먹을 수 있는 음식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 역시, 상기 정보 제공자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수술을 예약한 사용자에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퇴원 후를 대비한 집안 정리와 관련된 정보들도 제공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또는 그 보호자가 수술전 숙지해야할 각종 정보들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건강 관리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각종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수술 후 퇴원한 사용자에게는, 수술 후 건강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들, 예를 들어, 수술 후 필요한 운동 정보, 음식정보 및 수면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약을 복용해야 하는 시간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특별한 병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상기 사용자가 제공받기를 신청한 각종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릎 운동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요청한 경우, 무릎 운동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들이 상기 정보 제공자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면,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 운동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생활 습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506).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아침 식사 시간, 점심 식사 시간, 저녁 식사 시간, 각 식사 시간에 섭취한 음식의 양, 음식의 종류, 즐겨 먹는 음식, 싫어하는 음식, 먹지 않는 음식, 운동의 종류, 운동 시간 및 취침 시간 등과 같이, 건강과 관련된 각종 생활 습관과 관련된 설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문지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된 정보는 상기 저장부(25)에 저장된다.
상기 설문지는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에서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상기 설문지들을 통해 사용자들로부터 수집된 생활 습관 정보들을 분석한다(508).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상기 분석에 따라, 각 사용자별로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상기 생활 습관 정보를 분석한 결과, 음식의 불균형이 있는 사용자에게는 음식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한 음식 종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운동의 불균형이 있는 사용자에게는 운동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한 운동 종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취침 시간이 불균형한 사용자에게는 취침 불균형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 밸런스를 맞출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상기 설문지들을 통해 분석된 정보들을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건강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들을 생성하여, 그 결과를 전체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식을 주로 먹는 사용자들에게 특별한 병이 발견되었다면, 이에 대한 정보를 모든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특정 음식을 먹지 않는 사용자들에게 특별한 증상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이와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들은 상기 정보 제공자들에 의해 확인 절차를 거친 후,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단순히 통계적으로 산출된 정보는 과학적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설문지들을 통해 수집된 결과들을 상기 정보 제공자들에게 제공한다. 상기 정보 제공자들은 상기 정보들을 분석한 후, 각종 건강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들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들을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에 제공해야 한다.
상기 스마트 케어 시스템(20)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가 뒷받침되는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들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사용자 단말기 20 : 스마트 케어 시스템
30 : 정보 제공자 단말기

Claims (2)

  1. 정보 제공자 단말기(30) 및 사용자 단말기(1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
    관리자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입력받는 입력부(23);
    각종 정보들을 출력하여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24);
    상기 정보 제공자 단말기(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되어온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25); 및
    상기 통신부(21), 상기 입력부(23), 상기 출력부(24) 및 상기 저장부(25)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정보들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생활 습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설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생활 습관 정보들을 수집하며, 상기 생활 습관 정보들을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 습관 정보들은 상기 정보 제공자 단말기로 전송되어 정보 제공자에 의해 분석되는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1020180110063A 2018-09-14 2018-09-14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20200031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063A KR20200031269A (ko) 2018-09-14 2018-09-14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063A KR20200031269A (ko) 2018-09-14 2018-09-14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269A true KR20200031269A (ko) 2020-03-24

Family

ID=70004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063A KR20200031269A (ko) 2018-09-14 2018-09-14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2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g et al. A context-aware, interactive M-health system for diabetics
Gupta et al. IoT based smart healthcare kit
Mehta et al. Effect of remote monitoring on discharge to home, return to activity, and rehospitalization after hip and knee arthroplast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Bell et al. Shortened nighttime sleep duration in early life and subsequent childhood obesity
Triantafyllidis et al. A pervasive health system integrating patient monitoring, status logging, and social sharing
Franklin et al. Beyond joint implant registries: a patient-centered research consortium for comparative effectiveness in total joint replacement
JP2004502995A (ja) 遠隔患者管理
KR20170013276A (ko) 건강상태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10050098A1 (en) Post-Operative Monitoring Via Patient Reported Outcomes
Fisch et al. Using technology to improve cancer care: social media, wearables, and electronic health records
Kuehn Resetting the circadian clock might boost metabolic health
Vianna et al. A scalable model for building context-aware applications for noncommunicable diseases prevention
Rogers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healthcare systems, wireless connected devices, and body sensor networks in COVID-19 remote patient monitoring
Ahmed et al. Intelligent healthcare services to support health monitoring of elderly
US20180032696A1 (en) Wholecare
Wakefield et al. Nursing interventions in a telemonitoring program
US118623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 health
WO2012148817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managing trusted health-user communities
AU2018342607A1 (en) Method for enhancing patient compliance with a medical therapy plan and mobile device therefor
Badr et al. Responding to COVID-19: Potential Hospital-at-Home Solutions to Re-configure the Healthcare Service Ecosystem.
KR20200031269A (ko) 모바일 타임라인 기반 스마트 케어 시스템
Bhargava et al. Mobile health technologies
KR20160007067A (ko) 소아건강관리 시스템 및 소아건강관리 방법
Peters et al. Towards a typology for telemedical services
Boulaares et al. Uncertain integration and composition approach of data from heterogeneous WoT health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