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978A -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rtifying marketaility of product or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rtifying marketaility of product or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978A
KR20200030978A KR1020180109861A KR20180109861A KR20200030978A KR 20200030978 A KR20200030978 A KR 20200030978A KR 1020180109861 A KR1020180109861 A KR 1020180109861A KR 20180109861 A KR20180109861 A KR 20180109861A KR 20200030978 A KR20200030978 A KR 20200030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tability
product
company
verifica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이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이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이비즈
Priority to KR1020180109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0978A/en
Publication of KR2020003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9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verifying marketability of a product or a service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basic information of a company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forming a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company and the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llecting opinions after use of a product or a service of the company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providing awards; analyzing the collected opinions related to the product or the service of the company; identifying a disposition of a positive group leaving a positive opinion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providing the opinion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the disposition of the positive group.

Description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RTIFYING MARKETAILITY OF PRODUCT OR SERVICE}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RTIFYING MARKETAILITY OF PRODUCT OR SERVICE

본 발명은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업의 새로운 상품 또는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에 시장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 system and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rify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or ser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verify the marketability of a company before launching a new product or service Methods, system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to secure customers.

일반적으로 기업은 이윤을 획득하기 위하여 상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시장에 판매 내지 제공한다. 현재에도 많은 기업들이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에 선보이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좋은 반응을 얻는 반면에 일부는 외면을 받기도 한다.In general, companies develop products or services to obtain profits, and sell or provide them to the market. Even now, many companies are launching new products or services on the market, some of which get a good response, while others are turned away.

기업에서 제공하는 상품 내지 서비스가 시장에서 외면을 받는 데에는 여러 원인이 있으나 이 중 가장 큰 원인은 무엇보다도 시장에서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적다는 것에 있다.There are many reasons why the products or services provided by a company are disregarded in the market, but the biggest cause is that there is less demand for the products or services in the market.

이처럼 상품에 대한 수요의 부재에 의해 제품이 시장에서 외면을 받는 경우 기업의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특히, 소규모 창업 기업의 경우에는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가 실패하게 되면 기업의 존립 자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As such, the absence of demand for a product can hinder the growth of the company if the product gets out of the marke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small start-up company, if a new product or service fails, the existence of the company may suffer.

따라서, 기업은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에 출시하기 전에 이에 대한 시장성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시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많은 기업들이 출시하려고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자료를 통계적으로 수집, 기록하고 이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소비자의 성향 등을 파악하고 수요를 예측한다.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companies to check the marketability of new products or services before launching them on the market. In order to check marketability, statistically collects and records data on products or services that many companies are trying to launch, analyzes them, and based on this, identifies consumer preferences and predicts demand.

하지만, 기존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이에 대한 시장성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으며, 더군다나 창업 기업 내지 소기업의 경우에는 관련 자료를 취득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처럼, 많은 기업, 특히 창업 기업 내지 소기업에게 있어서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장에 선보이기 전에 효과적으로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시장성을 검증하고, 나아가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의 성공에 이를 수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However, there is a limit in accurately predicting marketability through analysis of data on existing products or services, and in addition, in the case of start-ups or small businesses, it may be difficult to acquire related data. As such, many companies, especially start-ups or small businesses, can effectively verify the marketability of a given product or service before introducing it to the market, and further help to reach the success of the product or service. The system is in deman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은 기업이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에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시장성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사업 실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 system capable of accurately preventing a business failure by predicting marketability of a product or service accurately before a company releases a new product or service.

나아가, 본 발명은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의 시장성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집단을 관리하여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a customer by managing a group that shows a positive response to a product or service in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marketability of a new product or ser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representati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은, 기업의 기본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기업의 기본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시장성 검증단을 구성하는 단계, 시장성 검증단으로부터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사용 후 의견을 수집하고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수집된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의견을 분석하는 단계, 시장성 검증단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남긴 긍정 집단의 성향을 파악하는 단계 및 시장성 검증단의 의견 및 긍정 집단의 성향을 기업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thod for verify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o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llecting the basic information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of the enterprise,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of the enterprise marketability verification team Step of constructing, collecting opinions and providing compensation after the use of the company's products or services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team, analyzing the opinions of the collected companies' products or services, and positive groups that left positive feedback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team It includes identifying the tendency of the company and providing the company with the opinion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the tendency of the positive grou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장성 검증단으로부터 수집하는 의견은 기업의 상품의 디자인이나 상품 또는 서비스 품질의 만족도, 개선 사항, 적정 가격, 구매 의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inions collected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may include satisfaction of product design or product or service quality, improvement, reasonable price, and intention to purch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집된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의견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시장성 검증단으로부터 수집하는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의견 중 구매 의사에 기초하여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analyzing the opinions of the collected companies 'products or services, demand may be predicted based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among the opinions of the companies' products or services collected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긍정 집단의 성향을 파악하는 단계에서는, 긍정 집단의 선호도 해시태그, 포스팅, 고객 문의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경제적 의사 결정 성향 및 행동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tendency of the positive group, the digital information including the hashtag, posting, and customer inquiry of the positive group is analyzed and the economic decision tendency and behavior preference are determined based on the digital information. You c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은 시장성 검증단의 의견 및 긍정 집단의 성향을 토대로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verify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o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establishing a marketing plan based on the opinion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the propensity of the positive grou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스템은, 기업의 기본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기업 정보 관리부, 기업의 기본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구성된 시장성 검증단의 기본 정보를 관리하는 시장성 검증단 관리부, 시장성 검증단으로부터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사용 후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의견 관리부, 시장성 검증단에게 제공하는 보상을 관리하는 보상 관리부 및 의견 관리부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남긴 긍정 집단의 성향을 파악하여 관리하는 긍정 집단 관리부를 포함한다.A system for verify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or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rporat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basic information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of a company, and basic corporate information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Positive feedback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the comment management unit that collects and analyzes opinions of companies' products or services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the compensation management unit and comment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the compensation provided to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It includes a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that grasps and manages the tendency of the positive group who left the.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이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기 전 시장성 검증단을 통해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시장성을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기업, 특히 창업 기업 내지 소기업의 사업 실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business failure of a company, particularly a start-up company or a small business, by accurately predicting the marketability of the product or service through a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before a company releases a new product or ser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의 시장성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시장성 검증단 중 긍정적인 의견을 남긴 긍정 집단을 별도로 관리함으로써 고객을 확보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cess of verifying the marketability of a new product or service, it is possible to secure a customer by separately managing a positive group that left a positive opinion among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s, and further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성 검증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성 검증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tire system for verifying marke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flow of a method for verifying marke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배치 또는 순서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Certain compon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by changing from one embodiment to another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rrangement or order of individual components in each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taken to cover the scope claimed by the claims of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s thereto.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스템System for verifying marketability of products or ser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tire system for verifying marke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은 기업(200)의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고 이를 기초로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은 기업(200) 및 시장성 검증단(300)과 연계하여 구현된다.Referring to FIG. 1,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is a system for verifying marketability of a product or service of a company 200 and establishing a strategy for securing customers based on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It is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the company 200 and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구체적으로,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은 기업(200)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시장성 검증단(300)을 통해 기업(200)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의견을 받아, 이를 토대로 기업(200)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시장성을 검증하고 기업(200)으로 하여금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company 200 through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and receives an opinion about the product or service of the company 200 through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based on which the product or service of the company 200 Prove the marketability of the company and provide a way for the company 200 to secure customers.

이를 위하여, 기업(200)은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으로 기업정보,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 타겟 고객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는 시장 출시에 앞서 수요를 예측하고 미진한 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핵심 기능만으로 제작한 기본 모델, 시제품, 견본품, 관련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포함하고, 타겟 고객 정보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주로 소비하는 소비자의 성별, 연령, 직업, 소득 수준 등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company 200 provides company information,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arget customers to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includes basic models, prototypes, prototypes, related photos or videos created with only core functions to predict demand and improve behind-the-scenes prior to market launch, and target customer information mainly consumes products or services Consumer's gender, age, occupation, and income level.

시장성 검증단(300)은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으로부터 기업(200)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고, 이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시장성 검증단(300)은, 예를 들어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심이 있거나 체험을 희망하는 그룹,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리뷰를 제공하여 보상을 원하는 그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product or service of the company 200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and provide opinions on it.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group who is interested in or wants to experience a corresponding product or service, or provides a review for the product or service, and wants to compensate.

전술한 바와 같이, 시장성 검증단(300)은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으로부터 기업(200)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를 통해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장성 검증단(300)은 디지털 기기에 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미도시됨)을 이용하여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으로부터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얻고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의견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공지의 웹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 된 것 일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or service of the company 200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which information is a smartphone, tablet, notebook computer, PDA, and web pad. , It is possible to acquire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through a digital device equipped with a computing capability by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nd equipped with a memory means such as a mobile phone. For example,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unit 300 may obtain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using an application (not shown) pre-installed on the digital device and provide opinions regarding the product or service. Here, the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from a known web server (not shown), and the application is replaced with a hardware device or a firmwar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ubstantially the same or equivalent function as that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application. It may be.

시장성 검증단(300)은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에서 별도로 승인된 인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장성 검증단(300)은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에서 제공한 회원 가입 양식을 작성하고 가입이 승인된 인원을 대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시장성 검증단(300)의 구성을 위한 회원 가입 등은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은 시장성 검증단(300)의 구성 시 개별 구성원의 성명, 성별, 연령, 직업, 연락처, 배송을 위한 주소지, 관심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 분야 등의 기본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은 이러한 시장성 검증단(300)의 개별 구성원의 기본 정보를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에 따라 적합한 검증단을 구성하여 실효성있는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may be composed of personnel separately approved by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For example,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may fill out the membership registration form provided by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and configure targeted personnel. Membership for the composition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may be made online, and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may be configured for the name, gender, age, occupation, contact information, and delivery of individual members when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is configured. You can request basic information such as your address and the product or service area of interest.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may perform effective verification by constructing an appropriate verification group according to a product or service through basic information of individual members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성 검증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성 검증 시스템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은 기업 정보 관리부(110), 검증단 관리부(120), 의견 관리부(130), 보상 관리부(140), 긍정 집단 관리부(150), 통신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들 구성요소들은 그 중 적어도 일부와 외부 시스템(미도시)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에 포함되거나,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porat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a verification group management unit 120, an opinion management unit 130, a compensation management unit 140, a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150, and a communication unit 160 ) And the 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se components may be program modules that communicate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m and an external system (not shown), and these program modules ar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s (in the form of operating systems, application programs, and other program modules). 100), or may be physically stored on various well-known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Meanwhile, these program mod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specific tasks to be described later or execute specific abstract data types.

먼저, 기업 정보 관리부(110)는 기업(200)의 기본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업(200)의 기본 정보는 기업의 연혁, 시장에 출시한 상품 또는 서비스, 매출 규모, 주요 소비자층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는 시장성 검증을 희망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 세부 사양, 가격, 주요 타겟층(성별, 연령, 직업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업 정보 관리부(110)는 정확하고 효율적인 시장성 검증을 위하여 상기 정보들을 기업(200)으로부터 제공받아 관리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기업(200)에 상기 정보들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First, the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may manage basic information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of the enterprise 200. For exampl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company 200 may include the history of the company, products or services released to the market, sales volume, major consumer groups, etc., and the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products or services that wish to verify marketability. Types, detailed specifications, prices, and target audiences (gender, age, occupation, etc.) can be included. The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receiv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from the enterprise 200 for accurate and efficient marketability verification, and may request the enterprise 200 to update the information periodically or irregularly as necessary.

검증단 관리부(120)는 기업 정보 관리부(110)와 연계하여 기업(200)의 기본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의 시장성 검증을 위한 검증단(300)을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검증단 관리부(120)는 시장성 검증단(300) 개별 구성원의 성명, 성별, 연령, 직업, 연락처, 배송을 위한 주소지, 관심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 분야 등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The verification group management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configuring the verification group 300 for verifying the marketability of the product or service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and the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of the company 200 in connection with the company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 To this end, the verification group management unit 120 may manage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gender, age, occupation, contact information, address for delivery, and a product or service field of interest of individual members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의견 관리부(130)는 시장성 검증단(300)으로부터 기업(200)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사용 후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의견 관리부(130)는 시장성 검증단(300)이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여 제시한 기업(200)의 상품의 디자인이나 상품 또는 서비스 품질의 만족도, 개선 사항, 적정 가격, 구매 의사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의견 관리부(130)는 수집된 검증단 의견을 분석하여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예측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성별, 연령, 직업 등에 따른 수요를 파악함으로써 타겟 수요층을 분명히 할 수 있다.The opinion management unit 130 collects and analyzes opinions after using the products or services of the company 200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and analyzes them. The opinion management unit 130 collects the satisfaction of the product design or product or service quality, improvement, reasonable price, purchase intention, etc. of the product 200 provided by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by directly experiencing the product or service. You can. In addition, the opinion management unit 130 may predict the demand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or service by analyzing the collected opinions of the verification group, and can specifically identify the target demand layer by grasping the demand according to gender, age, and occupation.

보상 관리부(140)는 시장성 검증단(300)에게 보상을 제공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보상 관리부(140)는 시장성 검증에 참여한 시장성 검증단(300) 구성원을 대상으로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시 혜택을 부여하거나, 현금, 상품권 또는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제공, 시스템 내의 부가 서비스 제공 등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mpensation management unit 14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and managing compensation to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Specifically, the compensation management unit 140 provides benefits when purchas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or service for members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participating in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or provides cash, gift certificates or coupons or points that can be used separately, within the system It can provide benefits such as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긍정 집단 관리부(150)는 의견 관리부(130)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남긴 긍정 집단을 파악하여 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긍정 집단 관리부(150)는 의견 관리부(130)를 통해 수집된 의견 중 상품 또는 서비스 품질 만족도가 사전 설정된 점수 이상인 경우 또는 구매 의사가 있는 경우를 추출하고, 검증단 관리부(120)로부터 해당 의견을 제시한 시장성 검증단(300)의 기본 정보를 제공받아 관리할 수 있다.The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150 performs a function of identifying and managing a positive group that has left a positive opinion in the opinion management unit 130. For example, the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150 extracts a case in which a product or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is higher than a preset score or a purchase intention among the opinions collected through the opinion management unit 130, and is applicable from the verification unit management unit 120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manag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300 that presented the opinion.

또한, 긍정 집단 관리부(150)에서는 긍정적인 의견을 남긴 구성원들의 성향을 분석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긍정 집단의 성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긍정 집단 관리부(150)는 긍정 집단 구성원의 선호도 해시태그, 포스팅, 고객 문의 등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경제적 의사 결정 성향 및 행동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150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analyzing the tendency of members who have left a positive opinion. In order to analyze the tendency of the positive group, the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150 collects hashtags, postings, customer inquiries, etc. of preferences of the positive group members, and analyzes it to grasp economic decision making tendencies and behavior preferences.

긍정 집단 관리부(150)에서 파악한 긍정 집단 구성원은 향후 기업에서 구매 고객(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고객), 홍보 고객(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의 홍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고객), 투자 고객(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고객)으로 분류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긍정 집단 관리부(150)에서 분석한 긍정 집단의 성향은 기업에서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The positive group members identified by the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150 may be purchased customers (customers who can purchase the product or service), promotional customers (customers who can help promote the product or service), and investment customers in the future. Customers who can invest in related products or services). In addition, the tendency of the positive group analyzed by the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150 can be used to establish a marketing plan in the enterprise.

통신부(160)는 기업 정보 관리부(110), 검증단 관리부(120), 의견 관리부(130), 보상 관리부(140) 및 긍정집단 관리부(150), 기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60 enables communication with the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the verification group management unit 120, the opinion management unit 130, the compensation management unit 140, the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150, and other external devices.

제어부(170)는 기업 정보 관리부(110), 검증단 관리부(120), 의견 관리부(130), 보상 관리부(140) 및 긍정집단 관리부(15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70)는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시장성 검증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기업 정보 관리부(110), 검증단 관리부(120), 의견 관리부(130), 보상 관리부(140) 및 긍정집단 관리부(150)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low of data between the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the verification unit management unit 120, the opinion management unit 130, the compensation management unit 140, and the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150. That is, the 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data flow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external / to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or each component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00, the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The verification group management unit 120, the opinion management unit 130, the compensation management unit 140, and the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150 may control each to perform a unique function.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verify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or ser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a method for verifying the marketability of a company's products or ser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기업으로부터 기업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수집한다(S110). 이는 기업이 자사 상품 또는 서비스 중 출시 전 시장성을 검증하고 나아가 고객 확보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시장성 검증 시스템의 기업정보 관리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first, company information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are collected from a company (S110). This may be done in a manner in which a company verifies marketability before launching among its products or services and further provides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to establish a customer acquisition strategy, and may be achieved through the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기업의 기본 정보 및 시장성 검증 대상인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 등을 기초로 시장성 검증단을 구성한다(S120). 시장성 검증단은 시장성 검증 시스템에서 기 관리하고 있는 구성원 중 시장성 검증 대상인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심이 있는 구성원, 기업이 주요 타겟으로 설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구성원 등으로 선정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시장성 검증 시스템에서 기 관리하고 있는 구성원 이외에 새로운 검증원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시장성 검증단의 구성은 전술한 시장성 검증 시스템의 검증단 관리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Next, a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is formed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company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to be verified (S120).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 members already managed by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who are interested in products or services subject to marketability verification, and who meet the conditions set by the company as the main target. If necessary, it may be possible to add a new verifier in addition to the members already managed by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The composition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may be achieved through the verification group management unit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described above.

시장성 검증단이 구성되면, 시장성 검증단으로부터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한 후의 의견을 수집하고 보상을 제공한다(S130). 이를 위하여, 시장성 검증단에게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시제품, 견본품을 제공하며, 설문조사, 인터뷰 등의 방법으로 시장성 검증단으로부터 사용 후 의견을 취득한다. 예를 들어, 시장성 검증단은 상품을 사용한 후 사용자 검증 시스템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상품의 디자인이나 상품 또는 서비스 품질의 만족도, 개선 사항, 적정 가격, 구매 의사 등의 항목별로 의견을 기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의견을 시장성 검증 시스템의 의견 관리부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When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team is formed, opinions are collected and rewards are provided after using the company's products or services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team (S130). To this end, we provide prototypes and samples of the company's products or services to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team, and obtain opinions after use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team by means of surveys and interviews. For example, after using the product,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can access the application in which the user verification system is implemented, and write comments on items such as product design, product or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improvement, reasonable price, and purchase intention. However, these opinions can be managed through the opinion management department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사용 의견을 제공한 시장성 검증단 구성원들에게는 시장성 검증 시스템의 보상 관리부를 통해 다양한 방식, 예를 들어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시 혜택 부여, 현금, 상품권, 쿠폰 또는 포인트 제공 등의 방식으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To the members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that provided usage opinions, rewards can be provid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compensation management unit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for example, by providing benefits when purchasing the product or service, providing cash, gift certificates, coupons, or points. You can.

시장성 검증단으로부터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한 후의 의견을 수집하면, 수집된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의견을 분석한다(S140). 수집된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수요를 미리 예측할 수 있고, 성별, 연령, 직업 등에 따른 수요를 파악하여 타겟층을 명확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시장성 검증단 중 긍정적인 의견을 남긴 긍정 집단을 파악하고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의견 분석 과정은 시장성 검증 시스템의 의견 관리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If opinions after using a company's products or services are collected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the opinions of the collected companies' products or services are analyzed (S140). By analyzing opinions on the collected products or services of the company, the demand for the products or services can be predicted in advance, and the target layer can be clearly set by identifying demands by gender, age, and occup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and classify positive groups that left positive opinions among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teams. This opinion analysis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opinion management unit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수집된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의견을 분석하여 긍정적인 의견을 남긴 긍정 집단을 분류한 후에는, 이 긍정 집단의 성향을 파악하게 된다(S150). 예를 들어, 긍정 집단에 포함되는 구성원의 소셜 미디어(Social Media), 블로그, 홈페이지, 시스템 사용 내역 등을 통해 해시태그, 포스팅, 고객 문의 등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경제적 의사 결정 성향 및 행동 선호도 등을 파악할 수 있다.After classifying the positive groups that left positive opinions by analyzing the opinions of the collected companies' products or services, the propensity of this positive group is grasped (S150). For example, we collect hashtags, postings, customer inquiries, etc. through social media, blogs, homepages, system usage history, etc. of members included in the positive group, and analyze them to analyze economic decision making preferences and behavior preferences I can grasp the back.

이와 같이 시장성 검증단의 상품 또는 서비스 사용 후 의견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한 후에는 시장성 검증단의 의견 및 긍정 집단의 성향을 상기 기업에게 제공한다(S160). 기업은 상기 시장성 검증단의 의견 및 긍정 집단의 성향을 기초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개선 여부를 결정하고, 타겟 수요층을 명확히 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은 제공받은 긍정 집단 정보를 통해, 향후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구매 고객,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의 적극적인 홍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홍보 고객,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 관련 사업에 투자할 가능성이 있는 투자 고객 등으로 분류하여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에게 해당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 견본품 등을 제공하거나 관련 시장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이들로 하여금 구매, 홍보, 투자를 유도할 수 있다.As such, after collecting opinions after using the products or services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analyzing them, the opinions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the propensity of the positive group are provided to the companies (S160). The company can decide whether to improve products or services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the tendency of positive groups, and establish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by clarifying the target demand layer. In addition, through the positive collective information provided, companies can invest in customers who are likely to purchase the product or service in the future, promotional customers who can help actively promote the product or service, and business related to the product or service. It can be classified and used as a potential investment customer. For example, by providing them with information about a product or service, a sample product, or related market information, they can induce purchase, promotion, and investment.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장성 검증단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남긴 긍정 집단을 관리함으로써, 이들을 기업의 직접적인 고객으로 확보하거나 이들을 상품 또는 서비스의 홍보에 이용하는 등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naging a positive group that left a positive opinion by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it can be used for marketing, such as securing them as direct customers of the company or using them for the promotion of products or services.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executable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can be changed 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but it is provided to help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may seek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all ranges equivalent to or equivalent to this claim, as well as the claims described below,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ould say

100: 시장성 검증 시스템
110: 기업 정보 관리부
120: 검증단 관리부
130: 의견 관리부
140: 보상 관리부
150: 긍정 집단 관리부
160: 통신부
170: 제어부
200: 기업
300: 검증단
100: marketability verification system
110: Corporat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120: verification team management department
130: opinion management department
140: compensation management department
150: positive group management
160: communication unit
170: control unit
200: Enterprise
300: verification team

Claims (7)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업의 기본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기업의 기본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시장성 검증단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시장성 검증단으로부터 상기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사용 후 의견을 수집하고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수집된 상기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의견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시장성 검증단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남긴 긍정 집단의 성향을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시장성 검증단의 의견 및 상기 긍정 집단의 성향을 상기 기업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s a method for verify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or service,
Collecting basic company information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tructing a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company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llecting opinions after using the products or services of the company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providing compensation;
Analyzing the collected opinions of the company's products or services,
Identifying the tendency of the positive groups who left positive opinions in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Providing the opinion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the tendency of the positive group to the company
How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성 검증단으로부터 수집하는 의견은 상기 기업의 상품의 디자인이나 상품 또는 서비스 품질의 만족도, 개선 사항, 적정 가격, 구매 의사를 포함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opinion collected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includes satisfaction, improvement, reasonable price, and intention to purchase the product design or product or service quality of the company.
제2항에 있어서,
수집된 상기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의견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시장성 검증단으로부터 수집하는 상기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의견 중 구매 의사에 기초하여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2,
In the step of analyzing the collected opinions of the company's products or services, the method predicts demand based on a purchase intention among the opinions of the enterprises' products or services collected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긍정 집단의 성향을 파악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긍정 집단의 선호도 해시태그, 포스팅, 고객 문의를 포함하는 디지털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경제적 의사 결정 성향 및 행동 선호도를 파악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propensity of the positive group, a method of analyzing the digital information including the hashtag, posting, and customer inquiry of the positive group and grasping economic decision propensity and behavior preference based on the digital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장성 검증단의 의견 및 상기 긍정 집단의 성향을 토대로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further comprising establishing a marketing plan based on the opinion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and the propensity of the positive group.
제1항 내지 제5항에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기업의 기본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기업 정보 관리부,
상기 기업의 기본 정보 및 상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구성된 시장성 검증단의 기본 정보를 관리하는 시장성 검증단 관리부,
상기 시장성 검증단으로부터 상기 기업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사용 후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의견 관리부,
상기 시장성 검증단에게 제공하는 보상을 관리하는 보상 관리부 및
상기 의견 관리부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남긴 긍정 집단의 성향을 파악하여 관리하는 긍정 집단 관리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A system for verify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or service,
Corporate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that manages the basic information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of the company,
A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basic information of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company and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An opinion management unit that collects and analyzes opinions after using the products or services of the company from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group,
Compensation management unit to manage the compensation provided to the marketability verification team and
Positive group management unit that grasps and manages the tendency of positive groups that have left positive opinions
System comprising a.
KR1020180109861A 2018-09-13 2018-09-13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rtifying marketaility of product or service KR202000309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861A KR20200030978A (en) 2018-09-13 2018-09-13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rtifying marketaility of product or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861A KR20200030978A (en) 2018-09-13 2018-09-13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rtifying marketaility of product or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78A true KR20200030978A (en) 2020-03-23

Family

ID=69998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861A KR20200030978A (en) 2018-09-13 2018-09-13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rtifying marketaility of product or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097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4060A (en) * 2020-06-28 2020-11-10 杭州电子科技大学 Merchant multi-view feature extraction and model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online comment data
KR102331376B1 (en) * 2021-01-04 2021-12-01 주식회사 클릭온스페이스 Smart market platform for startup company
KR20220117425A (en) 2021-02-17 2022-08-24 김현준 Marketability analysis and commercialization methodology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4060A (en) * 2020-06-28 2020-11-10 杭州电子科技大学 Merchant multi-view feature extraction and model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online comment data
KR102331376B1 (en) * 2021-01-04 2021-12-01 주식회사 클릭온스페이스 Smart market platform for startup company
KR20220117425A (en) 2021-02-17 2022-08-24 김현준 Marketability analysis and commercialization methodology analysis system using bi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09539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Zervas et al. The rise of the sharing economy: Estimating the impact of Airbnb on the hotel industry
Luo Quantifying the long-term impact of negative word of mouth on cash flows and stock prices
Chintagunta et al. The effects of online user reviews on movie box office performance: Accounting for sequential rollout and aggregation across local markets
US11568334B2 (en) Adaptive workflow definition of crowd sourced tasks and quality control mechanisms for multiple business applications
US8626545B2 (en) Predicting future performance of multiple workers on crowdsourcing tasks and selecting repeated crowdsourcing workers
Tuzhili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Web mining: the next frontier
Chintagunta Endogeneity and heterogeneity in a probit demand model: Estimation using aggregate data
US10360568B2 (en) Customer state-based targeting
US201501616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financial condition of a merchant
Tsai et al. Customer segmentation issues and strategies for an automobile dealership with two clustering techniques
US20110231246A1 (en) Online and offline advertising campaign optimization
US20110231245A1 (en) Offline metrics in advertisement campaign tuning
US11853983B1 (en) Video revenue sharing program
US20120221388A1 (en) Value exchange of customer data
US11127023B2 (en) System for predicting optimal operating hours for merchants
Fu et al. Effects of membership tier on user content generation behaviors: Evidence from online reviews
Duan et al. Pricing and personal data collection strategies of online platforms in the face of privacy concerns
KR20200030978A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vertifying marketaility of product or service
Ballestar et al. Social networks on cashback websites
AU2019101649A4 (en) An improved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influencers on social media networks
KR20160069435A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unning online contents platform by targeting and feedback
US20150095106A1 (e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System Having a Rules Engine for Processing Sales Program Rules
US20140249898A1 (en) Sponsorship platform systems and methods
US20150186915A1 (en) Loyalty program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