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837A -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837A
KR20200030837A KR1020180109582A KR20180109582A KR20200030837A KR 20200030837 A KR20200030837 A KR 20200030837A KR 1020180109582 A KR1020180109582 A KR 1020180109582A KR 20180109582 A KR20180109582 A KR 20180109582A KR 20200030837 A KR20200030837 A KR 2020003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curriculum
development
s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호민
우규하
이범구
홍광표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0837A/ko
Publication of KR2020003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여 원자력 분야와 관련된 직무 목록을 제공하는 직무 선택 요청부; 상기 직무 목록에서 상기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직무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된 상기 직무에 관한 정보 및 SAT(Systematic Approach to Training) 필수적용 기준자료를 제공하는 직무 정보 제공부; 상기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판단하고, 필수교육내용 확정 여부를 판단하며, 단기간 내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교육내용 판단부;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로부터 상기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필수교육내용 확정 직무자료를 제공하는 확정 직무자료 제공부; 및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election of curriculum model}
본 발명은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직무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교육과정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분야의 교육은 SAT(Systematic Approach to Training, 체계적 교육훈련기법)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지의 여부, 필수 교육내용이 확정되었는지에 대한 여부 및 직무수행능력 영향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교육과정 개발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특히, SAT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은 법, 규정에 따라 필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에 직결되는 일부 직무에 한하여 교육의 필요성을 분석하고, 직무분석부터 최종 교육 프로그램 평가까지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하는 특성이 있다.
이렇게 SAT에 기반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은 다른 교육과정 개발모델보다 자세하고 체계적인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SAT에 기반하여 교육과정을 실시할 시에는 직무에 관한 전문가 등 다수의 인력이 장기간 참여해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모든 교육과정을 SAT 기반으로 개발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SAT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은 시간과 인력이 상당히 투입되므로 원자력 안전과 관련하여 법이나 규정에 따라 필수적으로 적용해야만 하는 현업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에만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결과적으로, 모든 교육과정의 개발은 SAT 기반으로 하는 것뿐만 아니라 직무에 따라 시간과 비용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반영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미국 등록특허 US7974569B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자력 분야의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교육과정 개발모델을 직무에 따라 선정하여 교육에 대한 인력,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는 제1단말로부터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여 원자력 분야와 관련된 직무 목록을 상기 제1단말로 제공하는 직무 선택 요청부; 상기 직무 목록에서 상기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직무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선택된 상기 직무에 관한 정보 및 SAT(Systematic Approach to Training) 필수적용 기준자료를 제2단말로 제공하는 직무 정보 제공부; 상기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하여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수교육내용 확정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하여 필수교육내용 확정 여부를 판단하며, 단기간 내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단기간 내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교육내용 판단부;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로부터 상기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로 필수교육내용 확정 직무자료를 제공하는 확정 직무자료 제공부; 및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로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는, 상기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에 해당되면 상기 템플릿 제공부가 SAT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모델에 관한 템플릿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지 않는 직무에 해당되면 상기 확정 직무자료 제공부가 상기 필수교육내용 확정 직무자료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는 상기 필수교육내용 확정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필수교육내용이 확정되어 있지 않으면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는 상기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템플릿 제공부에 포함된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부가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는 상기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하면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지 여부를 수신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가 판단하여 상기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경우 상기 템플릿 제공부에 포함된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부가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가 판단하여 상기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부가 상기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로부터 필수교육내용이 확정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직무에 해당하는 계열화 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상기 템플릿 제공부에 포함된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가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는, 상기 직무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필수 교육내용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상기 필수 교육내용을 상기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에 자동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육과정 선정 방법은 직무 선택 요청부가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요청을 제1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단말로 원자력 분야와 관련된 직무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직무 정보 제공부가 상기 직무 목록에서 상기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직무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선택된 상기 직무에 관한 정보 및 SAT(Systematic Approach to Training) 필수적용 기준자료를 제2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교육내용 판단부가 상기 제2단말로부터 상기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인지 여부, 필수교육내용 확정 여부,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의 여부 및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 제공부가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로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교육과정에 대한 인력,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는 직무의 특성을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원자력 분야에서 모든 교육과정을 SAT에 기반하여 개발하는 것은 교육 시 인력, 시간 및 비용이 불필요하게 투입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SAT에 기반하여 교육과정이 실시되어야 하는 직무와 그렇지 않은 직무를 구분하여 교육과정 개발모델을 선정함으로써,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에 대한 인력,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교육체계를 강화할 수 있다. 원자력 분야의 교육과정 개발에서 중심이 되는 것은 원자력 안전과 직결된 SAT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이다. 따라서 가장 체계화된 SAT 기반의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타 교육과정 개발모델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원자력 분야에 대한 교육의 체계성과 확장성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원자력 발전소의 대국민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원자력 안전과 직결된 직무 교육과정이 SAT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이에 따라 SAT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하는 분야에 대한 누락을 사전에 방지하며, 궁극적으로 법, 규정 준수를 통해 원자력 안전과 대국민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 선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에서 교육과정 개발모델을 선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5는 도4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 전문가 단말 및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의 개략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는 사용자 단말(2), 전문가 단말(3), 과정책임자 단말(4) 및 데이터베이스(5)와 연동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2)은 교육과정을 제공받는 사용자 또는 현업부서의 일원이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에 교육과정을 요청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은 단수 혹은 복수로 구비되어 교육이 필요할 시 교육과정 개발을 요청할 수 있다.
전문가 단말(3)은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를 통해 사용자 단말(2)이 선택한 직무에 대해 SAT가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지 선택하고, 필수교육내용에 대한 확정 여부를 선택하며,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선택하는 등 사용자 단말(2)이 교육과정 개발을 요청한 직무에 대해 자문을 실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문가 단말(3)은 직무교육을 담당하는 교수, 강사 및 그 밖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그룹을 이루어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개발된 교육과정에 따라 각 교육과정을 시행할 수 있다.
과정책임자 단말(4)은 각각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받아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과정책임자 단말(4)은 각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복수의 과정책임자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는 원자력 분야와 관련된 직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구성이다.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는 이러한 데이터베이스(5)에 저장되어 있는 직무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2) 및 전문가 단말(3)에게 직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5)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고, 외부에 구비되어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가 네트워크를 통해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는 직무 선택 요청부(100), 직무 정보 제공부(110), 교육내용 판단부(120), 확정 직무자료 제공부(130) 및 템플릿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무 선택 요청부(100)는 사용자 단말(2)에서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5)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직무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2)에서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직무를 선택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직무 정보 제공부(110)는 사용자 단말(2)에서 선택한 직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5)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전문가 단말(3)에 직무 정보 및 SAT 필수적용 기준자료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직무 정보에는 선택된 직무와 관련된 교과목, 학습목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SAT 필수적용 기준자료는 선택된 직무가 필수적으로 SAT를 기반으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되는 자료이다.
교육내용 판단부(120)는 선택된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판단하고, 필수교육내용 확정 여부를 판단하며, 단기간 내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확정 직무자료 제공부(130)는 SAT 필수적용 직무에 해당되지 않을 시 필수교육내용 확정 직무자료를 전문가 단말(3)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필수교육내용 확정 직무자료는 특정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필수교육내용이 명시되어 있는 자료를 의미한다.
템플릿 제공부(140)는 교육내용 판단부(1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복수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템플릿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부(141),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부(142),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부(143) 및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은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교육과정에 대한 계획을 작성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부(141)는 교육내용 판단부(120)로부터 선택된 직무가 SAT 필수적용 직무에 해당되는 것으로 정보를 수신하면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여 SAT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한다.
또한,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부(141)는 선택된 직무가 필수교육내용 확정에 해당하지 않고,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에 해당하며,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정보를 수신하면,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여 SAT를 기반으로 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한다.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부(142)는 교육내용 판단부(120)에서 선택된 직무가 SAT 필수적용 직무에 해당하지 않으며, 필수교육내용 확정에 해당하지 않고,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에 해당하며,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정보를 수신하면,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여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한다.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부(143)는 교육내용 판단부(120)에서 선택된 직무가 SAT 필수적용 직무에 해당하지 않으며, 필수교육내용 확정에 해당하지 않고, 직무능력향상 직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정보를 수신하면,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템플릿을 제공하여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한다.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144)는 교육내용 판단부(120)에서 선택된 직무가 SAT 필수적용 직무에 해당하지 않으며, 필수교육내용이 확정된 것으로 정보를 수신하면, 직무에 해당하는 필수교육내용을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여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이 개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 선정에 관한 흐름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에서 교육과정 개발모델을 선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5는 도4에 도시된 순서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2), 전문가 단말(3), 과정책임자 단말(4) 및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1)가 동작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3,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에 직무 선택 요청부(100)가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여 원자력 분야와 관련된 직무 목록을 제공한다.<S40>
현업부서의 일원 또는 사용자는 교육과정에 대한 수요가 있을 시 사용자 단말(2)을 통해 교육과정 개발을 요청하고, 직무 선택 요청부(100)에서는 이러한 요청을 수신하여 직무 목록을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2)에서 선택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현업부서의 일원 또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을 통해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직무를 선택한다.
이후 직무 정보 제공부(110)가 직무 목록에서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직무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된 직무에 관한 정보 및 SAT(Systematic Approach to Training) 필수적용 기준자료를 제공한다.<S41>
이러한 직무에 관한 정보 및 SAT 필수적용 기준자료는 전문가 단말(3)에 전달되고, 전문가 단말(3)을 통해 전문가 그룹은 현업부서의 일원 또는 사용자가 교육을 희망하는 직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 그룹은 직무 정보 제공부(110)가 제공한 직무에 관한 정보 및 SAT 필수적용 기준자료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인지 여부를 선택하여 전문가 단말(3)을 통해 교육내용 판단부(120)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교육내용 판단부(120)가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인지 여부, 필수교육내용 확정 여부,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의 여부 및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판단한다.<S42>
여기서, 선택된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문가 그룹이 선택하여 교육내용 판단부(120)가 이를 수신하면, 교육내용 판단부(120)는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부(141)가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전달한다.
만약, 선택된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전문가 단말(3)이 선택한다면, 교육내용 판단부(120)는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여 확정 직무자료 제공부(130)가 필수교육내용 확정 직무자료를 제공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여기서, 필수교육내용 확정 직무자료는 특정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필수교육내용이 명시되어 있는 자료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문가 단말(3)에서는 확정 직무자료 제공부(130)가 제공한 자료를 활용하여 필요한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직무가 필수교육내용이 확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선택한다.
이 때 선택된 직무가 필수교육내용이 확정되어 있는 것으로 교육내용 판단부(120)가 수신하면, 교육내용 판단부(120)는 선택된 직무에 해당하는 필수교육내용을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이 진행되도록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144)가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 전문가 단말(3)에서 선택한 직무에 해당하는 필수교육내용은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 내의 교육내용 해당칸에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만약, 직무에 해당하는 필수교육내용이 확정되어 있지 않는다면, 전문가 단말(3)은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에 해당 하는지 여부를 선택한다.
따라서 선택된 직무가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교육내용 판단부(120)가 수신하면, 교육내용 판단부(120)는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부(143)가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선택된 직무가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에 해당된다면, 교육내용 판단부(120)는 선택된 직무에 관한 교육과정이 단기간 내 개발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사용자 단말(2)에 요청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이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선택한다면, 다수의 인력이 장기간 참여가 필수적인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은 적합하지 않으므로 교육내용 판단부(120)는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부(142)가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이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선택한다면, 교육내용 판단부(120)는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부(141)가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전달한다.
마지막으로, 템플릿 제공부(140)가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1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한다.<S43>
교육내용 판단부(120)는 이와 같은 정보의 수신에 따른 판단에 의해 템플릿 제공부(140)에 신호를 전달하여 최종적으로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부(141)가 과정책임자 단말(4)로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거나,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부(142)가 과정책임자 단말(4)로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거나,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부(143)가 과정책임자 단말(4)로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거나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144)가 과정책임자 단말(4)로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한다.
여기서,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144)가 제공하는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은 추가적인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에서 교육과정 요청에 따라 선택된 직무가 계열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발될 것을 교육내용 판단부(120)가 결정하게 되면,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144)는 직무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필수 교육내용을 자동으로 선별한다. 이후 필수 교육내용은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에 자동으로 입력되어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전문가 단말(3)로 제공한다.
또한, 전문가 단말(3)에서는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에 제시된 필수 교육내용이 직무와 적합한지 확인하여 확정하고, 필수 교육내용들 사이의 교육순서를 결정하며, 계열화된 교육내용별 학습목표 및 학습방법을 선정하여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144)로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144)는 학습방법이 강의실로 선정된 교육내용 및 학습목표 정보를 과정책임자 단말(4)로 제공한다.
이후 과정책임자 또는 전문가 그룹은 동종의 교육내용 위주로 교과목 및 교육과정을 확정하고, 교육내용 및 학습목표를 활용하여 교보재를 개발함으로써 교육과정을 준비 및 시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교육과정 개발모델로 설명한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모델,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 및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모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은 직무분석에 기반한 교육훈련기법으로, 전통적인 ADDIE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분석, 설계, 개발, 시행 및 평가 순서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법이다. 이는 미연방법 10CFR50 등 법 및 규정에 필수로 SAT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하는 직무가 지정되어 있다.
세부단계를 살펴보면, 분석단계에서는 필요점 분석, 직무분석, 업무분석 및 학습내용을 도출한다.
설계단계에서는 학습목표, 학습방법, 평가방법 선정, 평가항목 개발 및 교과목/교육과정을 확정한다.
개발단계에서는 교보재 개발, 시범강의를 진행한다. 즉, 차시별 학습내용, 학습목표, 학습방법을 결정하였으면 실제 학습이 진행되기 위한 교보재를 개발한다. 여기서, 교보재는 학습과 관련된 영역, 평가, 보조자료, 정보 등이 포함되어야 하고, 시범강의를 통하여 교육과정이 제대로 개발되었는지 확인한다.
시행단계에서는 교육과정 준비, 시행 및 학습 평가를 진행한다. 교육과정에 대한 시간표 작성 등 각종 준비가 이행되며, 교육과정 중에는 교보재를 중심으로 전문 강사의 수업이 진행된다.
평가단계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진행된다.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 평가는 Kirkpatrick의 프로그램 평가 모형 4단계의 만족도 평가, 학습능력 평가, 현업 적용도 평가 및 비용대비 효과성 평가 등으로 구성된다.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모델은 전통적인 ADDIE 교육모델의 분석단계에서 직무분석을 직무 혹은 업무수준으로 간략히 진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내용을 도출하는 방법이다. 이는 교육요청 내용과 관련 분야의 내용전문가, 교수요원 등으로 구성된 교육훈련 소위원회에서 직무분석을 직무 혹은 업무수준에서 통합 혹은 간략한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필요한 학습내용을 도출해야 하므로 교육과정 개발 참여자의 역량이 중요하다. 이후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목표, 학습방법, 교보재 개발, 과정 준비, 시행 및 평가 등은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유사하다.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모델은 교육요청이 발생하였을 때 법, 규정에 따른 SAT 필수 적용대상이 아니고 필수교육내용이 확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며, 직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인 경우에 해당한다.
직무수행능력 향상(직무수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위해서는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과 같이 철저하고, 최대한 자세히 직무분석이 필요할 수 있으나, 모든 교육에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을 적용하는 것은 비용 및 시간 그리고 효율성 측면에서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 개발의 효율성을 위하여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에서 분석과 설계를 통합적으로 실시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이에 따라, 후속 단계인 개발, 시행 및 평가는 동일한 내용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모델을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과 비교하면, 교육과정 개발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 SAT 기반 교육과정 모델의 분석과 설계를 직무분석을 간략히 시행하여 통합적으로 진행되고, 이 과정에서 통합 분석 및 설계에 내용전문가 및 교수 요원의 역량 및 역할이 중요하다.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은 현업 직무수행능력 향상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리더쉽, 안전문화, 인적오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전사 차원의 기 개발된 표준모델(리더쉽 모델, 안전문화 원칙, 인적오류 예방기법)을 기반으로 세부 학습내용을 도출 후 교육과정 설계로 진행한다. 학습평가 시 기존의 직무와 관련된 필기 및 실습평가 위주의 평가가 아닌 학습자 의식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토의, 토론 및 발표 등 질적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세부 단계를 살펴보면, 먼저 표준모델 기반 설계단계에서는 전사 공통자료 혹은 관련분야 전문가, 현업 전문가 등이 제시한 표준모델을 확인 후 제시된 표준모델에서 세부 학습내용을 도출한다. 즉, 개념적이고 선언적인 내용을 지식을 단계별 차시별로 학습하기 위한 구체적인 학습내용을 결정한다. 학습내용에는 학습목표, 학습방법, 평가방법 선정, 평가항목 개발 및 교과목/교육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세부 단계인 개발, 시행 및 평가 단계는 전반적으로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과 동일하여 설명은 생략하나, 개발 다음의 단계인 시행 단계에서는 교육생의 교육성취도 확인을 위하여 토의, 토론 및 발표 위주의 질적 평가가 진행되는 것이 추가된다.
결과적으로,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을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과 비교하면,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은 직무분석부터 진행되는 것에 반해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은 이미 전사 차원이나 관련분야 전문가에 의하여 학습해야 할 내용이 선언적으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분석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다만, 개념적이거나 선언적으로 제시된 내용이 실제 수업으로 구현되기 위하여 구체적인 학습내용으로 정리되는 단계가 필요하다.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모델은 일부 직무의 수행을 위해서 법 또는 규정에 의한 자격 취득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사전에 필수 학습내용이 확정되어 있다. 따라서 필수 학습내용이 확정되어 있으므로, 직무수행능력 향상에 해당하더라도 별도의 직무분석은 필요치 않다. 다만, 제시된 다수의 학습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순차적인 배열은 필요하고, 이후 필수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목표, 학습방법 선정, 교보재 개발, 과정 준비 시행 및 평가 등은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과 유사하다.
세부 단계를 살펴보면, 먼저 계열화 설계 단계에서는 확정된 학습내용을 확인하고 전체 학습내용 순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품질"이나 "비파괴 검사" 등과 같이 자격을 부여해야 하거나 직무수행을 우하여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 학습의 경우 이미 학습내용이 확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다만, 순서적으로 먼저 학습을 진행해야 이후 내용이 학습되는 경우 등이 존재할 수 있고, 이를 절차적 지식이라고 한다. 따라서 절차적 지식이 명확하게 순서화 되어 있으면 현재 학습내용이 무엇인지, 다음 학습할 내용은 무엇인지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해진다.
이후 개발, 시행 및 평가는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결과적으로,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모델을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모델과 비교하면, 학습해야 할 내용이 사전에 이미 결정되어 있으므로 필요성 분석, 직무분석 업무분석 등을 통한 학습내용 도출의 단계, 즉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의 분석단계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첫 단계는 반드시 학습해야 할 내용을 확인하여 확정하고, 다수의 학습내용 간의 학습순서를 결정하는 일이 핵심이다. 도출된 학습내용 작성 수준인 학습목표, 학습방법 사전제공 등에 따라 설계 단계도 간략히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현업부서의 일원 또는 사용자의 직무 선택에 따라 복수의 교육과정 개발모델을 통해 직무에 대한 교육과정을 개발할 시 교육과정 개발 선정 장치가 각 교육과정 개발모델에 따라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여 교육과정을 원활히 개발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100 : 직무 선택 요청부
110 : 직무 정보 제공부
120 : 교육내용 판단부
130 : 확정 직무자료 제공부
140 : 템플릿 제공부
141 :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부
142 :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부
143 :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부
144 :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
2 : 사용자 단말
3 : 전문가 단말
4 : 과정책임자 단말
5 :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에 있어서,
    제1단말로부터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요청을 수신하여 원자력 분야와 관련된 직무 목록을 상기 제1단말로 제공하는 직무 선택 요청부;
    상기 직무 목록에서 상기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직무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선택된 상기 직무에 관한 정보 및 SAT(Systematic Approach to Training) 필수적용 기준자료를 제2단말로 제공하는 직무 정보 제공부;
    상기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하여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수교육내용 확정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하여 필수교육내용 확정 여부를 판단하며, 단기간 내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한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단기간 내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교육내용 판단부;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로부터 상기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로 필수교육내용 확정 직무자료를 제공하는 확정 직무자료 제공부; 및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로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는,
    상기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에 해당되면 상기 템플릿 제공부에 포함된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부가 SAT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모델에 관한 템플릿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지 않는 직무에 해당되면 상기 확정 직무자료 제공부가 상기 필수교육내용 확정 직무자료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는 상기 필수교육내용 확정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필수교육내용이 확정되어 있지 않으면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는 상기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템플릿 제공부에 포함된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부가 표준모델기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는 상기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의 해당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하면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지 여부를 수신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가 판단하여 상기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한 경우 상기 템플릿 제공부에 포함된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부가 Rapid Prototyping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가 판단하여 상기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부가 상기 SAT 기반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로부터 필수교육내용이 확정되었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직무에 해당하는 계열화 중심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도록 상기 템플릿 제공부에 포함된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가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부는,
    상기 직무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필수 교육내용을 자동으로 선별하여 상기 필수 교육내용을 상기 계열화 중심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에 자동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10.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방법에 있어서,
    직무 선택 요청부가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요청을 제1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1단말로 원자력 분야와 관련된 직무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직무 정보 제공부가 상기 직무 목록에서 상기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직무의 선택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선택된 상기 직무에 관한 정보 및 SAT(Systematic Approach to Training) 필수적용 기준자료를 제2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교육내용 판단부가 상기 제2단말로부터 상기 직무가 SAT를 필수적으로 적용하는 직무인지 여부, 필수교육내용 확정 여부, 직무수행능력 향상 직무의 여부 및 단기간 내 교육과정 개발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 제공부가 상기 교육내용 판단부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단말로 교육과정 개발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방법.
KR1020180109582A 2018-09-13 2018-09-13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 KR20200030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582A KR20200030837A (ko) 2018-09-13 2018-09-13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582A KR20200030837A (ko) 2018-09-13 2018-09-13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967A Division KR20200070188A (ko) 2020-06-10 2020-06-10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37A true KR20200030837A (ko) 2020-03-23

Family

ID=6999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582A KR20200030837A (ko) 2018-09-13 2018-09-13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08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0008A (zh) * 2021-03-31 2021-07-23 何军伟 一种中职教育的选课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4569B2 (en) 2004-11-17 2011-07-05 The New England Center For Childre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lesson pla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4569B2 (en) 2004-11-17 2011-07-05 The New England Center For Childre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lesson pla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0008A (zh) * 2021-03-31 2021-07-23 何军伟 一种中职教育的选课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guimbal et al. Level of awareness of the maritime students on the outcomes-based education
Yang et al. A method for improving production management training by integrating an industry 4.0 innovation center in China
Polezhaev et al.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eaching physics at the Technical University
Gudyanga et al. Teachers' implementation of laboratory practicals in the South African physical sciences curriculum
US20190080296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esting schedules for standarized tests
Dumbiri et al. Challenges Facing Application of E-learning Facilities i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Program in South Nigeria Universities
Mishra et al. Exploring and expanding students’ success in software testing
Sullivan Making the graduate curriculum explicit
KR20200030837A (ko)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
Hošpesová Formative assessment in inquiry-based elementary mathematics
Albion Designing for explicit TPACK development: Evolution of a preservice design and technology course
Bowen K-12 teacher internship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and STEM learning
CN108614771B (zh) 一种数学建模教学学习系统
Lyublinskaya Evolution of a cours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integrating technology into math and science
KR20200070188A (ko) 교육과정 개발모델 선정 장치 및 방법
Elmaleh et al. A visual analytics tool for personalized competency feedback
Branyon Using Mentoring and Cohort Collaboration: Enhancing Teacher Quality in Pre-service Teachers.
Love et al.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elementary educators can teach coding
Becnel et al. Powerful partnerships: The worth of embedding masters level library science students in undergraduate classes
Michael Expanding the role of technical communication through assessment: A case presentation of ABET assessment
Brennan et al. CDIO as an enabler for graduate attributes assessment: a Canadian case study
El_Rahman et al. Course and stude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ABET computing criteria
Smart et al. ACEC2012-It’s Time To Technological Pedagogical Reason
US20210004925A1 (en) Teaching method system for connecting and applying research needs with a teaching method
Hall et al. E-Portfolios in Teacher Education Using TaskStr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