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812A -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 Google Patents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812A
KR20200030812A KR1020180109516A KR20180109516A KR20200030812A KR 20200030812 A KR20200030812 A KR 20200030812A KR 1020180109516 A KR1020180109516 A KR 1020180109516A KR 20180109516 A KR20180109516 A KR 20180109516A KR 20200030812 A KR20200030812 A KR 20200030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ool
connection unit
bas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3145B1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도화학
Priority to KR102018010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145B1/en
Publication of KR2020003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8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1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including: a base having a bottom coming in contact with a floor, having an area of a certain level or more, and supporting the whole; a connection unit which i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lower base to be coupled to a separate upper plate, and includes a connection pa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upled to the base to allow tilting; and an elastic support unit which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base to be suppor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and provides restoring force such that a center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unit can have an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a virtual referenc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본 발명은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거나 또는 초기위치로 복원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to a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where the support frame provided between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is inclined within a set range depending on whether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restored to an initial position. It is about.

등받이가 없는 일인용 의자를 스툴이라고 부르는데, 다양한 타입의 것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단순 스툴보다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거치할 수 있는 부가적 스툴이 많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직접 착석 가능한 구조도 사용된다.A single-seat chair without a backrest is called a stool, and there are various types, and in recent years, not only these simple stools, but also a lot of additional stools for mounting the user's body parts are used, as well as a structure that can be directly seated.

특히, 이러한 스툴 중에서 단순히 수직형태의 스툴뿐만 아니라 가스실린더나 액츄에이터 등을 사용하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툴들이 개발되었다.In particular, among these stools, not only a vertical type stool, but also a gas cylinder or an actuator can be used to adjust the height, and thus various stools have been developed.

다만, 이러한 스툴들은 상판의 각도가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단순 착석 이외에는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그 경사각도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se stools ar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angle of the top plate is fixed,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other than simple seating,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지지프레임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며, 별도의 복원부재에 의해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상부베이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별다른 조작 없이 외력을 제거하는 것 만으로도 초기 위치로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 is incl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is configured to be restorable by a separate restoring member,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upper base according to convenience. It is to provide a stool capable of regulating and restoring vertically to a position that can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simply removing the external force without any special manipula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은 하면이 바닥에 접촉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면적을 가지며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에 별도의 상판이 결합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하부베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하방향에 따른 가상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유닛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선이 기 설정된 범위 내의 각도를 가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lf-restoreable s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surface contacting the floor, a base having a certain level or more, and supporting the whol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ower base, and a separate upper plate on the upper side. It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unit and the lower base to be coupled, suppor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and provides a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center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unit has an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a virtual reference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n elastic support unit provided.

또한,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중심선이 상기 가상기준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틸팅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복원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support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line of the connecting unit is supported to be tilted at a constant angle based o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restoring force is increased as the tilting angle is increased.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되고, 길히방향에 따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unit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along the direction, and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base so as to be tiltable.

또한,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일정반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연결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원부재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support unit has a predetermined radiu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unit and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onnecting portion, at least a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nnecting uni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and a restoring member to provide an upper portion on the base.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and is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restoration member, and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connection unit.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일정 반경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일정 각도이상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bracket to prevent tilting more than a certain angle can do.

또한, 상기 지지부는 둘레를 따라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도출된 복수 개의 제1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둘레를 따라 일부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기부가 형성되며, 배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가 교차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호 맞물리며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partially leading upward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he support bracket is formed with a second projection partially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s selectiv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cross-placed so that the support and the support bracke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unit is tilted.

또한,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art or the support bracket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using the virtual reference line as a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ortion or the support bracket may be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by a predetermined angle using the virtual reference line as a rotation axis.

또한, 상기 복원부재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toration member has a ring shape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연결부는 돌출된 끝단부가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end portion is configured to have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connecting unit is tiltable.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은 연결유닛 하부에 구비된 탄성지지유닛에 의해 기 설정된 각도로 틸팅 가능하며, 복원력이 작용하여 연결유닛의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First, the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an elastic support unit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and has a merit that self-vertical resto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possible due to a restoring force.

둘째, 연결유닛과 탄성지지유닛에 각각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회전상태가 조절되어 연결유닛의 틸팅 가능여부가 조절되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 connection unit and the elastic support unit, respectively,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otational state is selectively adjusted to control whether the connection unit can be til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스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스툴에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스툴에서 내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스툴에서 연결유닛이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연결유닛의 틸팅에 의해 복원부재가 압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스툴에서 지지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스툴에서 조작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도 7의 스툴에서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조작수단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ool capable of vertical rest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ol of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is removed from the stool of FIG.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in the stool of Figure 1;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is tilted in the stool of Figure 1;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toration member is compressed by tilting the connection unit in FIG. 5;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rotated in the stool of Figure 1;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means are separated from the stool of FIG. 7; And
9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means for rotating the support in the stool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code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a stool capable of self-res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ool capable of self-restor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ol of FIG. 1.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스툴에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스툴에서 내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is removed from the stool of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in the stool of Figure 1.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바닥에서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지지되는 상판(100)이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팅되며, 외력의 제거 시 초기위치로 복원되는 스툴에 관한 것으로, 크게 상판(100), 베이스(200), 연결유닛(300), 탄성지지유닛(400)을 포함한다.Looking at the illustrated drawing, the top plate 100 supported at a certain height or higher on the floor is selectively tilted by an external force, and relates to a stool that is restored to an initial position upon removal of the external force, largely the top plate 100, the base 200 ), A connecting unit 300, and an elastic support unit 400.

상기 상판(100)은 일반적인 스툴의 상판(100)으로 상면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사용자가 착석 또는 신체의 일부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top plate 100 is a top plate 100 of a general stool, an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top surface is expand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mount or mount a part of the body.

구체적으로 상기 상판(100)은 후술하는 베이스(200), 연결유닛(300) 등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지지되며,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물품 또는 신체를 안착시킨다.Specifically, the top plate 100 is support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by a base 200, a connection unit 300,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ats an article or body in a shape desired by a user on the top surfa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100)은 스툴형태의 평탄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달리 등받이나 팔걸이 등을 구비하여 의자와 같이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처에 따라 특정 형태로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op plate 100 is formed to have a flat surface in the form of a stool. Alternatively, it may be provided with a backrest or an armrest, or used as a chair, or may be formed to have a bend in a specific shape depending on the place of use. have.

여기서, 상기 상판(100)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가지며, 신체와 접촉하는 경우 표면에 별도의 직물이나 합성섬유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Here, the top plate 1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metal or plastic, and has a certain level of durability or more. When contacting the body, a separate fabric or synthetic fiber may be used on the surface.

또한 상기 상판(100)은 하부가 상기 연결유닛(300)의 일부를 함께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10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lower portion surrounds a part of the connection unit 300 together.

한편, 상기 베이스(200)는 전체를 지지하며 바닥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유닛(300)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200 supports the whole and supports the connection unit 300 so that it can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contacting the floor.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200)는 일정 면전을 가지며 바닥면 또는 설치면상에 위치하고 상부에 상기 연결유닛(300)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상판(100)이 유지되도록 지지한다.Specifically, the base 200 has a predetermined face and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r the installation surface, and the connection unit 300 is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upper portion, and supports the top plate 100 to be maintained.

이때, 상기 베이스(200)는 내부에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의 일부를 감싸며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base 200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surrounding the part of the connection unit 300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therei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200)는 크게 본체(210) 및 상부커버(22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10)는 외형을 이루며 하면이 바닥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을 구비한다.The bas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main body 210 and an upper cover 220, the main body 210 forms an outer shape and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and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therein. ).

이때, 상기 본체(210)의 중앙부에는 별도의 결합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2)는 상기 본체(21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전체적인 무게 중심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separate coupling portion 212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300. Here, the coupling part 212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210, and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entire center of gravity.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21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12)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본체(210)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2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212 is centrally located. Alternatively, the main body 21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이와 같이 상기 본체(210)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결합부(212)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유닛(300)이 이탈되지 않고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2)는 상기 본체(210)상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결합되며, 이를 중심으로 후술하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이 안착되며 이탈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210 has a certain area, and the coupling unit 212 is provided at the center so that the connection unit 300 is coupled so that the connection unit 300 is coupled without being separated. Here, the coupling portion 212 is formed recessed on the main body 210, the connection unit 300 is coupled, and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ated and maintains the coupling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Make it possible.

상기 상부커버(220)는 상기 본체(210)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본체(210)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210)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들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한다.The upper cover 220 is coupled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210 and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main body 210, and covers part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21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커버(2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210)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여 이와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중앙에는 별도의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upper cover 220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main body 210 can be fastened therewith, and a separate through hole 222 is formed in the center to penetrate the connection unit 300.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이때, 상기 관통홀(222)의 크기는 상기 연결유닛(300)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기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222 is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unit 300 so that the connection unit 300 can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커버(220)는 원뿔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관통홀(22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22)이 상기 결합부(212)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유닛(300)이 관통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cover 220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to form the through hole 222 in the center, and the through hole 222 is located above the coupling portion 212 to connect the connection unit ( 300) is penet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상부커버(220)를 포함하여 전체를 지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entire body including the main body 210 and the upper cover 220.

한편, 상기 연결유닛(300)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하측이 상기 베이스(200)에 결합되며 상측이 상기 상판(1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유닛(300)은 긴 봉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100)과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unit 300 is formed lo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base 200 and the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100. Specifically, the connection unit 3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rod and is made of at least one member in a configuration that simultaneously supports and maintains a gap between the top plate 100 and the base 200.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유닛(300)은 크게 수직프레임(310), 연결부(330) 및 지지브라켓(320)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unit 300 largely includes a vertical frame 310, a connection portion 330 and a support bracket 320.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베이스(20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판(100)과 베이스(200)를 연결하고 상기 상판(10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하측이 상기 베이스(200) 또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결합된다. The vertical frame 310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base 200 to connect the top plate 100 and the base 200 and supports the top plate 100 from the bottom. Specifically, the vertical frame 31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base 200 or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에 의해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하방향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vertical frame 310 is coupled to the tiltable angle by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it is fixed without being disengaged on the base 200. Here, the vertical frame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t least one member and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vertical frame 310 is configured to be stretchable by being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by having a separate elastic member therei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원통형태의 제1프레임(312), 상기 제1프레임(312)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프레임(314)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312) 내부에서 상기 제2프레임(314)의 끝단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vertical frame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first frame 312, at least a portion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frame 312, and optionally a second sli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ncludes a frame 314, and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frame 314 inside the first frame 312 to include a spring that provides elastic force.

즉, 상기 제1프레임(312)과 상기 제2프레임(31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베이스(200)로부터 상기 상판(100)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overall length of the vertical frame 31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liding of the first frame 312 and the second frame 314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top plate 100 from the base 200.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신축하여 그 길이가 조절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frame 3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t least one member and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selectively stretched to adjust its length.

상기 연결부(33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200)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connection part 330 is formed to be long and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and is coupled to be tiltable with the base 200.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212)는 상기 베이스(200)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310) 중 어느 하나와 고정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coupling part 212 is fixedly coupled to any one of the base 200 or the vertical frame 310, and is coupled to be tiltable with the other one, with the vertical frame 310 as the center. It is combined to be tiltable on the base 200.

여기서,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선(L2)상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부(212)상에 위치하여 고정된다.Here, the connecting portion 330 is located on the center line L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310 and is fixed on the coupling portion 21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결합부(212)상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며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측 끝단부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portion 330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n the coupling portion 212 and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i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frame 310 to be tiltable.

이때, 상기 연결부(3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둘레를 가지며, 일부가 상기 수직프레임(310) 내부에 배치되어 해당 부분의 둘레가 증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이탈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330 has a non-uniform circumfere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rt is disposed inside the vertical frame 310 and is formed to increase the circumferenc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vertical frame 310 Maintain the state.

특히 상기 연결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끝단부가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In particular, the connecting portion 3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rotruding end portion has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connecting unit 300 is tiltable.

또한,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의 하중 및 상판(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배우에 별도의 보강부재(33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onnection part 330 is combined with the vertical frame 310, a separate reinforcement member 332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actor to support the load of the user and the load of the top plate 100.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In this way, the connection part 330 i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310 and the base 200 to be coupled to enable mutual tilting.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여부를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bracket 32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310, at least a part is disposed inside the base 200, and selectively contacts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By adjusting the tilting of the vertical frame 310.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결합된 상태이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는 경우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에 의해 함께 틸팅되며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접촉한다.Specifically, the support bracket 320 is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vertical frame 310, and at least a portion selectively contacts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At this time,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is in a state coupled to the base 200, and when the vertical frame 310 is tilted, it contacts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Here,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and the support bracket 320 are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and tilted together by tilting of the vertical frame 310 to contact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고정 결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bracket 32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s formed to increase the circumference toward the bottom and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ound the vertical frame 310. At this time, the support bracket 320 is preferably disposed inside the base 200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310.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후술하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일정 반경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bracket 320 has a predetermined radius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ntactable.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측 둘레에 따른 일부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2돌기부(332)가 형성되며, 일정간격을 가지고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이는 후술하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선택적으로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접촉여부가 조절되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332 are formed in which a portion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bracket 320 protrudes downward, and ar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upport bracket 320 is selectively adjusted to contact with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even when the vertical frame 310 is not tilted.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베이스(200)상에 결합된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상기 베이스(200)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틸팅 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bracket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redetermined tilt while the vertical frame 310 coupled to the base 200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base 200. Tilt only within the rang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유닛(300)은 상기 베이스(200)와 상기 상판(100)사이에서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상하방향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상판(100)의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300)이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하며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틸팅되지 않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etween the base 200 and the top plate 100 and is selectively adjusted 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top plate 10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ilt the connecting unit 300 on the base 200 and not to tilt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300)과 접촉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제어한다.Next,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the base 20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unit 300, and is selectively controlled to be tiltable.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연결유닛(300)의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212)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유닛(3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선(L2)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위치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is support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0 a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0 arou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centered on the coupling portion 212. The center line (L2)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be posi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여기서, 상기 가상기준선(L1)은 상기 베이스(200)와 상기 연결부(330)가 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연결유닛(300)의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가상선이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기준선(L1)은 상기 연결부(330)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의 연장선을 의미한다.Here,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is a virtual line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0 is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point where the base 20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is coupled , In this embodiment,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means an extension line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part 330 is vertically arrang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연결유닛(300)의 중심선(L2)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틸팅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복원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center line L2 of the connection unit 300 to be tilted at a certain angle based on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and the restoring force increases as the tilting angle increases. It is configured to increas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크게 복원부재(410) 및 지지유닛을 포함한다.The elastic support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restoration member 410 and a support unit.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상기 연결유닛(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는 경우 압착됨과 동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33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The restoration member 410 is disposed below the connection unit 300 on the base 200 and is compressed in case the tilted vertical frame 310 is tilted, and is configured to provide at least one restoration force at the same time. It is arrang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onnecting portion 330.

구체적으로 상기 복원부재(41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에 따른 압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가지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restoration member 41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com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spaced apart to have a constant distance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330.

여기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Here, the restoration member 4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s the vertical frame 310 from the bottom.

그리고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가상기준선(L1)상에 배치되며, 이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시 일부가 압착될 수 있다.And the restoration member 410 is disposed on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it is arranged in a circle around the center of the vertical frame 310 by being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310 when tilting a portion to be compressed You can.

본 발명에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베이스(200)상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212)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링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3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수준이상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oration member 410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coupling portion 212 formed on the base 200 and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30 in a ring shape. At this time, the restoration member 41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member and is configured to have a height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고무 소재의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3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측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부(332)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estoration member 410 has a ring shape of a rubber material and is arrang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ortion 330. At this time, the restoration member 410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bracket 320 and is configured to not interfere with the second protrusion 332.

여기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며 둘레를 따라 일부 구간에는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지지한다.Here, the restoration member 410 is composed of a single member, and is formed relatively thicker in some section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supporting the vertical frame 310.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복원부재(410)는 링 형태를 이루되 복수 개의 기둥형태로 둘레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두껍게 형성되며, 각각이 상기 베이스(200)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212)에 삽입된다. 또한, 상부는 상기 수직프레임(310)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부에 삽입 고정된다. Looking in more detail, the restoring member 410 is formed in a ring shape but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a circumference in a plurality of pillar shapes, and is thickly formed, and each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212 formed in the base 200. do.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310 or the support bracket 320.

이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결합부(212)상에서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부에 배치되며 각각이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고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시 상기 지지브라켓(320)에 의해 일부가 압착된다.Accordingly, the restoring member 410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320 on the coupling portion 212, and each i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320 when tilting the vertical frame 310 without being separated. Is partially compressed.

물론,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복원부재(410)는 링 형태가 아니라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3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toration member 410 may be arrang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art 330 by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rather than a ring shape.

이와 같이 상기 복원부재(410)가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시 압착되어 복원력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storing member 410 is disposed under the support bracket 320 around the connection part 330 to be compressed when tilting the vertical frame 310 to provide restoring force.

여기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가상기준선(L1)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restoration member 410 is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and the center line (L2) of the vertical frame 310 coincide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한편,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상기 복원부재(4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기 설정될 둘레를 가지고 상기 복원부재(41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support part 420 is disposed under the restoration member 410 on the base 200, and has a circumference to be set and wraps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restoration member 410.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결합부(212)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측 둘레에 대응하는 둘레를 가지며 상기 복원부재(41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원부재(410)를 지지한다.Specifically, the support part 4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212 and has a circumference corresponding to a lower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bracket 320 and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restoration member 410 so that the restoration member 410 Support.

여기서, 상기 지지부(420)는 둘레를 따라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돌기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기부(332)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420)와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상호 배치상태에 따라 상기 제1돌기부(422) 및 상기 제2돌기부(332)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Here, the support portion 420 is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422 partially protruding upward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o selectively mesh with the second protrusions 332.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mutual arrangement of the support 420 and the support bracket 320, the first projection 422 and the second projection 332 are selectively contacted to tilt the vertical frame 310. Can be adjus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330)가 위치한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원부재(41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결합부(212)상에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art 420 is formed in a disk shape as shown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where the connection part 330 is located, and surrounding the restoration member 410 Furnace is disposed on the coupling portion 21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연결유닛(300)의 하부에서 지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support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on the base 200 and is suppor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300.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300)이 틸팅됨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가 압착됨으로써 상기 연결유닛(300)의 중심선(L2)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향해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한다.Then, as the connection unit 300 is tilted, the restoration member 410 is compressed so that the center line L2 of the connection unit 300 acts toward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툴은 외력의 작용하지 않는 경우 자가 수직복원리 가능하다.Accordingly, the s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f-restore vertically whe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툴이 틸팅됨에 따라 복원력이 작용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state in which the restoring force acts as the s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5는 도 1의 스툴에서 연결유닛(300)이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연결유닛(300)의 틸팅에 의해 복원부재(410)가 압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300 is tilted in the stool of FIG. 1,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toration member 410 is compressed by tilting the connection unit 300 in FIG. 5. .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수직프레임(310)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틸팅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과 상기 가상기준선(L1)이 서로 교차된 상태이다.Looking at the illustrated drawing,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vertical frame 310 to show a tilted state around the connection part 330, and the center line L2 a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of the vertical frame 310 are shown. These are intersecting states.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외력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 중 일부가 가압되는 상태가 된다.Specifically, the vertical frame 310 is in a state inclined at an angle to the left as shown in FIG. 6 by external force, and accordingly, a part of the restoration member 410 is pressed.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연결부(330)와 결합된 A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브라켓(320)도 함께 기울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브라켓(320)과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복원부재(410)는 일부가 압축된 상태가 된다.Here, the vertical frame 310 is in a tilted state around the A point combined with the connecting portion 330, and accordingly the support bracket 320 is also inclined. In addition, as the support bracket 320 is inclined, the restoration member 410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320 and the base 200 is partially compressed.

이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는 압축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사용자에 의해 착용하는 외력과 상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만약 상기 수직프레임(310)에 작용하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복원부재(41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초기위치로 되돌아가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도 함께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Accordingl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storing member 410 acts by compression, but is offset from the external force worn by the user so that the vertical frame 310 is inclined. If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vertical frame 310 is released, the support bracket 320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storing member 410, and accordingly, the vertical frame 310 is also at the initial position. Is restored.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초기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상기 복원부재(410)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형상에 의해 차이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과 상기 가상기준선(L1)이 일치하는 형태가 초기 위치가 된다.Her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vertical frame 310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r's setting or the shape of the restoration member 410 or the support bracket 320, but in this embodiment, the center line L2 of the vertical frame 310 ) A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coincide with the initial position.

이와 같이 상기 복원부재(410)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320)에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초기위치로 복원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storing force acts on the support bracket 320 by the restoring member 410,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vertical frame 310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이때, 상기 복원부재(410)는 일반적인 탄성 소재로 구성되어 압축 정도에 따라 복원력도 증가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restoring member 410 is made of a general elastic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pression.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함에 있어, 상기 지지부(420)에 형성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지지브라켓(320)에 형성된 상기 제2돌기부(332)가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rtical frame 310 is tilted, the first protrusion 422 formed on the support 420 and the second protrusion 332 formed on the support bracket 320 are arranged to intersect each other. do.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함께 틸팅되는 경우 상기 제2돌기부(332)의 일부가 상기 제1돌기부(42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교차되지 않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호 접촉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지 않고 고정된다.Specifically, when the support bracket 320 is tilted together with the vertical frame 310, a part of the second projection 332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rojections 422, and accordingly, the vertical frame Allow 310 to be tilted. If the first protrusions 422 and the second protrusions 332 are not intersected and arranged in a form facing each other, interference occurs due to mutual contact and the vertical frame 310 is fixed without tilting.

즉,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 여부가 조절된다.That is, the tiltability of the vertical frame 31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protrusion 422 and the second protrusion 332.

또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돌출 길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돌출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 각도가 증가하지만, 일정 수준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과도한 토크가 작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ilting angle of the vertical frame 31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otruding lengths of the first protrusion 422 and the second protrusion 332. The tiltable angle of the vertical frame 310 increases as the protruding lengths of the first protrusion 422 and the second protrusion 332 increase, but excessive torque may act when tilted over a certain level.

이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ubsequently, a rotational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art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as follows.

도 7은 도 1의 스툴에서 지지부(420)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스툴에서 조작수단(214)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스툴에서 지지부(420)를 회전시키는 조작수단(214)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420 is rotated in the stool of FIG. 1,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means 214 is separated from the stool of FIG. 7, and FIG. 9 is a stool of FIG. 7 It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means 214 for rotating the support 420 in.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맞물리게 된다.Looking at the illustrated drawing,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420 is configured to rotate selectively within the base 200. Specifically, the support part 420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by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422 and the second protrusion 332 are selectively engaged.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420)와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복수 개의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구비되며, 배치 상태에 따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Looking in more detail, the support portion 420 and the support bracket 320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first projection portion 422 and the second projection portion 332 toward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tate They are arranged to be staggered.

그리고 상기 지지부(420)가 회전하여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상호 접촉하는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지지부(420)에 의해 틸팅이 불가능해지며 락 상태가 된다.And when the support 420 is rotated so that the first projection 422 and the second projection 332 contact each other, the vertical frame 310 cannot be tilted by the support 420 and is locked. Becomes

즉,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이 상기 가상기준선(L1)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접촉하여 틸팅 가능 여부가 조절된다.That is, the first protrusion 422 and the second protrusion 332 are selectively selected while the center line L2 of the vertical frame 310 is located on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along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art 420. Is tilted by contact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4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on the base 200,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engage the first projection portion 422 and the second projection portion 332, but unlike this, the support bracket 32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만약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상에서 회전 상태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며, 회전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If the support bracket 320 is rotated on the vertical frame 310, the support bracket 320 should be fixed in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310, and configured to rotate only. Should be.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여부를 조절하여 락/언락을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420 or the support bracket 3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rou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thereby selectively locking / unlocking the vertical frame 310 by tilting or not. Can be adjusted.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Subsequently,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art 4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amin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support part 420 can reciprocate by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base 200. It is configured to.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의 일부가 바닥을 향해 관통되도록 별도의 슬릿(216)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216)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the figure, a separate slit 216 is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support 420 penetrates toward the bottom, and the slit 216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and up and down direction. Is formed through.

이때, 상기 슬릿(216)은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420)는 바닥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424) 형성되어 상기 슬릿(216)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lit 216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radius of the support part 420 arou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and the support part 420 is formed with a protruding engagement protrusion 424 toward the bottom. It is formed and configured to penetrate the slit 216.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424)는 상기 슬릿(216)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슬릿(2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engaging projection 424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slit 216 is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t 216.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회전 시 상기 결합돌기(424)가 상기 슬릿(216)을 따라 이탈하지 않고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각도 및 방향을 제한한다.Accordingly, the support part 420 rotates arou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and when rotated, the engaging projection 424 moves without deviating along the slit 216,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part 420 is rotated. And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20)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424)가 둘레를 따라 이격 형성되어 각각 상기 베이스(2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216) 역시 상기 결합돌기(424)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형성되며, 각각 상기 결합돌기(424)가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420 is a plurality of the engaging projections 424 are formed spaced along the circumference, respectively disposed through the base 200. Here, a plurality of slits 216 are also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424, and each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424 penetrating.

그리고 상기 슬릿(216)의 길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각도가 결정되며, 이는 상기 제1돌기부(422) 및 상기 제2돌기부(332) 각각의 돌출 간격에 대응하여 회전상태에 따라 상호 접촉여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part 42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lit 216, and each of the first protrusions 422 and the second protrusions 332 corresponds to the protruding intervals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tate.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contac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424)가 구비되어 상기 슬릿(216)을 관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접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coupling protrusions 424 and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slit 216,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part 420 and simultaneously the first. A contact state between the protrusion 422 and the second protrusion 332 may be adjusted.

특히, 상기 슬릿(216)의 길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 각도가 조절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돌기(424)가 상기 슬릿(216)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서로 마주보며 접촉하거나 또는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part 4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lit 216, and correspondingly,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424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slit 216, each of the first protrusions The 422 and the second protrusion 332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in a staggered form.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200)는 하면에서 상기 슬릿(216)을 관통한 상기 결합돌기(424)와 체결되며 상기 지지부(420)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조작수단(214)을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base 2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operation means 214 that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424 penetrating the slit 216 from the lower surface and rotating the support 420.

상기 조작수단(214)은 상기 지지부(420)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420)와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operation means 214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like the support portion 420, and is coupled to be rotatable simultaneously with the support portion 42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조작수단(214)에 의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선택적으로 회전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round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by the manipulation means 214, and optionally, the rotation angle is adjusted to control whether the vertical frame 310 can be tilted. You ca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상판
200: 베이스
210: 본체
220: 상부커버
300: 연결유닛
310: 수직프레임
320: 지지브라켓
330: 연결부
400: 탄성지지유닛
410: 복원부재
420: 지지부
100: top
200: base
210: main body
220: upper cover
300: connecting unit
310: vertical frame
320: support bracket
330: connection
400: elastic support unit
410: restoration member
420: support

Claims (11)

하면이 바닥에 접촉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면적을 가지며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에 별도의 상판이 결합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하부베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하방향에 따른 가상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유닛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선이 기 설정된 범위 내의 각도를 가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유닛;
을 포함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When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has a certain level or more, the base supporting the whole,
A connection unit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ower base and having a separate upp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An elastic support unit provided inside the lower base and suppor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unit, and providing a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center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unit has an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a virtual reference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Stool that can be restored vertically, including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중심선이 상기 가상기준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틸팅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복원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support unit,
A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line of the connecting unit is supported to be tilted at a constant angle based o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is configured to increase resilience as the tilting angle is incre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되고, 길히방향에 따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unit,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along the direction, the stool capable of self-restored vertically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base so as to be tiltab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일정반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연결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원부재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According to claim 3,
The elastic support unit,
A restoration member having a certain radius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unit and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onnection unit, wherein at least a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nnection unit to provide a restoration force; And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and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restoration member to support the connection unit;
Self-contained vertical stool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일정 반경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일정 각도이상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on unit,
Self-vertical restoration is possible by further including a support bracket tha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and prevents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from being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by selectively contacting the support. Stoo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둘레를 따라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도출된 복수 개의 제1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둘레를 따라 일부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기부가 형성되며,
배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가 교차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호 맞물리며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partially drawn upwards along the circumference,
The support bracket is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part protruding downwardly along the circumference,
A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alternately arr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so that the support and the support bracke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unit is til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The method of claim 6,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ortion or the support bracket,
A stool capable of vertical rest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using the virtual reference line as a rotation axi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The method of claim 7,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ortion or the support bracket,
Self-vertical stool capable of reciproc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using the virtual reference line as a rotation axi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According to claim 4,
The restoration member,
A stool that has a ring shape and is capable of self-restored vertically along a vertical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돌출된 끝단부가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ng portion,
A self-restoreable s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end is configured to have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connecting unit is coupled to be til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unit,
A stool capable of self-restored vertically,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adjust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KR1020180109516A 2018-09-13 2018-09-13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KR1022031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516A KR102203145B1 (en) 2018-09-13 2018-09-13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516A KR102203145B1 (en) 2018-09-13 2018-09-13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12A true KR20200030812A (en) 2020-03-23
KR102203145B1 KR102203145B1 (en) 2021-01-14

Family

ID=6999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516A KR102203145B1 (en) 2018-09-13 2018-09-13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1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996B1 (en) * 2021-08-11 2021-11-08 주식회사 미도화학 Seat module tiltable chai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124B1 (en) * 2014-10-28 2015-02-12 (주)다목생태기술 A portable working stool
JP2018023663A (en) * 2016-08-12 2018-02-15 及樺實業股▲ふん▼有限公司 Tiltable work chair
KR20180031670A (en) * 2016-08-18 2018-03-28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Tiltable stool or lounge chair
KR101869729B1 (en) * 2018-01-31 2018-06-21 (주)퍼맥스 Ch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124B1 (en) * 2014-10-28 2015-02-12 (주)다목생태기술 A portable working stool
JP2018023663A (en) * 2016-08-12 2018-02-15 及樺實業股▲ふん▼有限公司 Tiltable work chair
KR20180031670A (en) * 2016-08-18 2018-03-28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Tiltable stool or lounge chair
KR101869729B1 (en) * 2018-01-31 2018-06-21 (주)퍼맥스 Chai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996B1 (en) * 2021-08-11 2021-11-08 주식회사 미도화학 Seat module tiltable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145B1 (en)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9475B2 (en) Tiltable stool or lounge chair
US3206153A (en) Tilt swivel mechanism for chairs
US4871208A (en) Chair tilt control mechanism
US4709894A (en) Slip connector for weight actuated height adjustors
US6209961B1 (en) Level-adjustable and swivelable armrest assembly
KR101704526B1 (en) Seismic type leveling controller
US20030164633A1 (en) Dynamic sitting device
KR950030930A (en) Swivel armchair / rocking chair with preloaded framework assembly
US8931848B2 (en) Rotating footrest assembly for a seat
KR20200030812A (en)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GB1576011A (en) Chair supports
US20230083858A1 (en) Chair device and star-shaped base thereof
US3817575A (en) Rotary chair
CA2791131C (en) Rotating footrest assembly for a seat
KR100747010B1 (en) Structure of leg for swivel chair
KR102321996B1 (en) Seat module tiltable chair
US5544941A (en) Adjustable foot rest
JP4383907B2 (en) Chair armrest equipment
WO2020233411A1 (en) Seat device and star-shaped base thereof
KR100329846B1 (en) height adjustment chair
US11439235B2 (en) Seat tilting system
KR102437284B1 (en) Chair Having Seat Enable To Tilt To Any Direction
JP7382187B2 (en) Chair
KR101733985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backrest angle of chair
DK200400137U3 (en) Mechanism for adjusting seat and backrest on a chair, preferably for office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