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812A -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 Google Patents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0812A KR20200030812A KR1020180109516A KR20180109516A KR20200030812A KR 20200030812 A KR20200030812 A KR 20200030812A KR 1020180109516 A KR1020180109516 A KR 1020180109516A KR 20180109516 A KR20180109516 A KR 20180109516A KR 20200030812 A KR20200030812 A KR 202000308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tool
- connection unit
- base
- sel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4—Chair or stool bases for chairs or stools with central column, e.g. office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거나 또는 초기위치로 복원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to a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where the support frame provided between the upper base and the lower base is inclined within a set range depending on whether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restored to an initial position. It is about.
등받이가 없는 일인용 의자를 스툴이라고 부르는데, 다양한 타입의 것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단순 스툴보다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거치할 수 있는 부가적 스툴이 많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직접 착석 가능한 구조도 사용된다.A single-seat chair without a backrest is called a stool, and there are various types, and in recent years, not only these simple stools, but also a lot of additional stools for mounting the user's body parts are used, as well as a structure that can be directly seated.
특히, 이러한 스툴 중에서 단순히 수직형태의 스툴뿐만 아니라 가스실린더나 액츄에이터 등을 사용하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툴들이 개발되었다.In particular, among these stools, not only a vertical type stool, but also a gas cylinder or an actuator can be used to adjust the height, and thus various stools have been developed.
다만, 이러한 스툴들은 상판의 각도가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단순 착석 이외에는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그 경사각도의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se stools ar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angle of the top plate is fixed,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other than simple seating,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지지프레임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울어지며, 별도의 복원부재에 의해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상부베이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별다른 조작 없이 외력을 제거하는 것 만으로도 초기 위치로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 is inclin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is configured to be restorable by a separate restoring member,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upper base according to convenience. It is to provide a stool capable of regulating and restoring vertically to a position that can be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simply removing the external force without any special manipulation.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은 하면이 바닥에 접촉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면적을 가지며 전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에 별도의 상판이 결합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하부베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하방향에 따른 가상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유닛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선이 기 설정된 범위 내의 각도를 가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lf-restoreable s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surface contacting the floor, a base having a certain level or more, and supporting the whole,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ower base, and a separate upper plate on the upper side. It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unit and the lower base to be coupled, suppor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and provides a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center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unit has an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a virtual reference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n elastic support unit provided.
또한,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중심선이 상기 가상기준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틸팅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복원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support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line of the connecting unit is supported to be tilted at a constant angle based o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the restoring force is increased as the tilting angle is increased.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되고, 길히방향에 따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unit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along the direction, and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base so as to be tiltable.
또한,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일정반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연결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원부재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support unit has a predetermined radius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unit and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onnecting portion, at least a part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nnecting unit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and a restoring member to provide an upper portion on the base.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and is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restoration member, and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connection unit.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일정 반경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일정 각도이상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bracket to prevent tilting more than a certain angle can do.
또한, 상기 지지부는 둘레를 따라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도출된 복수 개의 제1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둘레를 따라 일부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기부가 형성되며, 배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가 교차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호 맞물리며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partially leading upwards along the circumference, and the support bracket is formed with a second projection partially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and is selectiv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cross-placed so that the support and the support bracke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unit is tilted.
또한,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art or the support bracket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using the virtual reference line as a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ortion or the support bracket may be configured to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by a predetermined angle using the virtual reference line as a rotation axis.
또한, 상기 복원부재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toration member has a ring shape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연결부는 돌출된 끝단부가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end portion is configured to have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connecting unit is tiltable.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은 연결유닛 하부에 구비된 탄성지지유닛에 의해 기 설정된 각도로 틸팅 가능하며, 복원력이 작용하여 연결유닛의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First, the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an elastic support unit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and has a merit that self-vertical resto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possible due to a restoring force.
둘째, 연결유닛과 탄성지지유닛에 각각 제1돌기부와 제2돌기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회전상태가 조절되어 연결유닛의 틸팅 가능여부가 조절되는 이점이 있다.Second, the connection unit and the elastic support unit, respectively, the first projection and the second projection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otational state is selectively adjusted to control whether the connection unit can be tilt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스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스툴에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스툴에서 내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스툴에서 연결유닛이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연결유닛의 틸팅에 의해 복원부재가 압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스툴에서 지지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스툴에서 조작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9는 도 7의 스툴에서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조작수단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임.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ool capable of vertical resto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ol of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is removed from the stool of FIG.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in the stool of Figure 1;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is tilted in the stool of Figure 1;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toration member is compressed by tilting the connection unit in FIG. 5;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rotated in the stool of Figure 1;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means are separated from the stool of FIG. 7; And
9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means for rotating the support in the stool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code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4, a stool capable of self-resto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ool capable of self-restor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tool of FIG. 1.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스툴에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스툴에서 내부 구성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cover is removed from the stool of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in the stool of Figure 1.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바닥에서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지지되는 상판(100)이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팅되며, 외력의 제거 시 초기위치로 복원되는 스툴에 관한 것으로, 크게 상판(100), 베이스(200), 연결유닛(300), 탄성지지유닛(400)을 포함한다.Looking at the illustrated drawing, the
상기 상판(100)은 일반적인 스툴의 상판(100)으로 상면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기 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사용자가 착석 또는 신체의 일부분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상판(100)은 후술하는 베이스(200), 연결유닛(300) 등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지지되며, 상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물품 또는 신체를 안착시킨다.Specifically,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100)은 스툴형태의 평탄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달리 등받이나 팔걸이 등을 구비하여 의자와 같이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처에 따라 특정 형태로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여기서, 상기 상판(100)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가지며, 신체와 접촉하는 경우 표면에 별도의 직물이나 합성섬유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상판(100)은 하부가 상기 연결유닛(300)의 일부를 함께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베이스(200)는 전체를 지지하며 바닥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유닛(300)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200)는 일정 면전을 가지며 바닥면 또는 설치면상에 위치하고 상부에 상기 연결유닛(300)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상판(100)이 유지되도록 지지한다.Specifically, the
이때, 상기 베이스(200)는 내부에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의 일부를 감싸며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200)는 크게 본체(210) 및 상부커버(22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210)는 외형을 이루며 하면이 바닥에 접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을 구비한다.The
이때, 상기 본체(210)의 중앙부에는 별도의 결합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2)는 상기 본체(210)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전체적인 무게 중심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21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12)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본체(210)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상기 본체(210)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며 중앙에는 상기 결합부(212)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유닛(300)이 이탈되지 않고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12)는 상기 본체(210)상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결합되며, 이를 중심으로 후술하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이 안착되며 이탈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상부커버(220)는 상기 본체(210)의 상부에서 결합되며 상기 본체(210)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210)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들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커버(2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210)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여 이와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중앙에는 별도의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이때, 상기 관통홀(222)의 크기는 상기 연결유닛(300)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기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size of the through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커버(220)는 원뿔형태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관통홀(22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22)이 상기 결합부(212)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유닛(300)이 관통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본체(210) 및 상기 상부커버(220)를 포함하여 전체를 지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s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entire body including the
한편, 상기 연결유닛(300)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하측이 상기 베이스(200)에 결합되며 상측이 상기 상판(1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유닛(300)은 긴 봉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판(100)과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서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지지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유닛(300)은 크게 수직프레임(310), 연결부(330) 및 지지브라켓(320)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베이스(200)의 상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판(100)과 베이스(200)를 연결하고 상기 상판(10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하측이 상기 베이스(200) 또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결합된다. The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에 의해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하방향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원통형태의 제1프레임(312), 상기 제1프레임(312)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프레임(314)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프레임(312) 내부에서 상기 제2프레임(314)의 끝단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즉, 상기 제1프레임(312)과 상기 제2프레임(314)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상기 베이스(200)로부터 상기 상판(100)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the overall length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신축하여 그 길이가 조절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연결부(330)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200)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212)는 상기 베이스(200) 또는 상기 수직프레임(310) 중 어느 하나와 고정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선(L2)상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부(212)상에 위치하여 고정된다.Here, the connect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결합부(212)상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며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측 끝단부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때, 상기 연결부(330)는 길이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둘레를 가지며, 일부가 상기 수직프레임(310) 내부에 배치되어 해당 부분의 둘레가 증가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이탈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특히 상기 연결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끝단부가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유닛(300)이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In particular,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의 하중 및 상판(1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배우에 별도의 보강부재(33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In this way, the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여부를 조절한다.On the other hand, the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선택적으로 접촉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결합된 상태이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는 경우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에 의해 함께 틸팅되며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접촉한다.Specifically,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둘레가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고정 결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후술하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일정 반경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측 둘레에 따른 일부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2돌기부(332)가 형성되며, 일정간격을 가지고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이는 후술하는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선택적으로 상기 탄성지지유닛(400)과 접촉여부가 조절되도록 한다.In this embodiment, as shown,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베이스(200)상에 결합된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상기 베이스(200)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틸팅 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유닛(300)은 상기 베이스(200)와 상기 상판(100)사이에서 지지하며 선택적으로 상하방향에 따른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상판(100)의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300)이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하며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틸팅되지 않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300)과 접촉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며, 선택적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제어한다.Next, the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연결유닛(300)의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212)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유닛(3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선(L2)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위치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가상기준선(L1)은 상기 베이스(200)와 상기 연결부(330)가 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연결유닛(300)의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가상선이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기준선(L1)은 상기 연결부(330)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의 연장선을 의미한다.Here,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is a virtual line based o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연결유닛(300)의 중심선(L2)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틸팅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복원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된다.Accordingly, th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크게 복원부재(410) 및 지지유닛을 포함한다.The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상기 연결유닛(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는 경우 압착됨과 동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33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복원부재(41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하방향에 따른 압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가지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가상기준선(L1)상에 배치되며, 이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시 일부가 압착될 수 있다.And the
본 발명에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베이스(200)상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212)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링 형상으로 상기 연결부(3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4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수준이상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고무 소재의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3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측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돌기부(332)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여기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며 둘레를 따라 일부 구간에는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수직프레임(310)을 지지한다.Here, the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복원부재(410)는 링 형태를 이루되 복수 개의 기둥형태로 둘레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두껍게 형성되며, 각각이 상기 베이스(200)에 형성된 상기 결합부(212)에 삽입된다. 또한, 상부는 상기 수직프레임(310)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부에 삽입 고정된다. Looking in more detail, the restoring
이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는 상기 결합부(212)상에서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부에 배치되며 각각이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고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시 상기 지지브라켓(320)에 의해 일부가 압착된다.Accordingly, the restoring
물론,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복원부재(410)는 링 형태가 아니라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33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상기 복원부재(410)가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시 압착되어 복원력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storing
여기서, 상기 복원부재(410)는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가상기준선(L1)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한편,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상기 복원부재(410)의 하부에 배치되며, 기 설정될 둘레를 가지고 상기 복원부재(41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결합부(212)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하측 둘레에 대응하는 둘레를 가지며 상기 복원부재(41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복원부재(410)를 지지한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지지부(420)는 둘레를 따라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돌기부(422)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기부(332)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420)와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상호 배치상태에 따라 상기 제1돌기부(422) 및 상기 제2돌기부(332)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Her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330)가 위치한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원부재(41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결합부(212)상에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탄성지지유닛(400)은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연결유닛(300)의 하부에서 지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300)이 틸팅됨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가 압착됨으로써 상기 연결유닛(300)의 중심선(L2)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향해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한다.Then, as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스툴은 외력의 작용하지 않는 경우 자가 수직복원리 가능하다.Accordingly, the s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f-restore vertically whe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툴이 틸팅됨에 따라 복원력이 작용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state in which the restoring force acts as the s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ilted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5는 도 1의 스툴에서 연결유닛(300)이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연결유닛(300)의 틸팅에 의해 복원부재(410)가 압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수직프레임(310)에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연결부(330)를 중심으로 틸팅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과 상기 가상기준선(L1)이 서로 교차된 상태이다.Looking at the illustrated drawing, an external force acts 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외력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 중 일부가 가압되는 상태가 된다.Specifically, the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연결부(330)와 결합된 A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틸팅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브라켓(320)도 함께 기울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지지브라켓(320)과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 배치된 상기 복원부재(410)는 일부가 압축된 상태가 된다.Here, the
이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410)는 압축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사용자에 의해 착용하는 외력과 상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만약 상기 수직프레임(310)에 작용하는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복원부재(41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초기위치로 되돌아가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도 함께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Accordingl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storing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초기위치는 사용자의 설정이나 상기 복원부재(410)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의 형상에 의해 차이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과 상기 가상기준선(L1)이 일치하는 형태가 초기 위치가 된다.Her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이와 같이 상기 복원부재(410)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320)에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초기위치로 복원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storing force acts on the
이때, 상기 복원부재(410)는 일반적인 탄성 소재로 구성되어 압축 정도에 따라 복원력도 증가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restoring
한편,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함에 있어, 상기 지지부(420)에 형성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지지브라켓(320)에 형성된 상기 제2돌기부(332)가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과 함께 틸팅되는 경우 상기 제2돌기부(332)의 일부가 상기 제1돌기부(42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교차되지 않고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상호 접촉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10)이 틸팅되지 않고 고정된다.Specifically, when the
즉,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배치 상태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 여부가 조절된다.That is, the tiltability of the
또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돌출 길이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돌출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 각도가 증가하지만, 일정 수준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과도한 토크가 작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ilting angle of the
이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ubsequently, a rotational configuration of the
도 7은 도 1의 스툴에서 지지부(420)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스툴에서 조작수단(214)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스툴에서 지지부(420)를 회전시키는 조작수단(214)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구성에 대해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베이스(200)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맞물리게 된다.Looking at the illustrated drawing, as shown in FIG.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420)와 상기 지지브라켓(320)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복수 개의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구비되며, 배치 상태에 따라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다. Looking in more detail, the
그리고 상기 지지부(420)가 회전하여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상호 접촉하는 경우 상기 수직프레임(310)은 상기 지지부(420)에 의해 틸팅이 불가능해지며 락 상태가 된다.And when the
즉,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중심선(L2)이 상기 가상기준선(L1)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접촉하여 틸팅 가능 여부가 조절된다.That is,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만약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상에서 회전 상태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가 고정되어야 하며, 회전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If the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320)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여부를 조절하여 락/언락을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가 상기 베이스(200)상에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Subsequently,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420)의 일부가 바닥을 향해 관통되도록 별도의 슬릿(216)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216)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the figure, a
이때, 상기 슬릿(216)은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420)는 바닥을 향해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424) 형성되어 상기 슬릿(216)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결합돌기(424)는 상기 슬릿(216)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슬릿(2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engaging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회전 시 상기 결합돌기(424)가 상기 슬릿(216)을 따라 이탈하지 않고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각도 및 방향을 제한한다.Accordingly,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420)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424)가 둘레를 따라 이격 형성되어 각각 상기 베이스(20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216) 역시 상기 결합돌기(424)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형성되며, 각각 상기 결합돌기(424)가 관통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슬릿(216)의 길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각도가 결정되며, 이는 상기 제1돌기부(422) 및 상기 제2돌기부(332) 각각의 돌출 간격에 대응하여 회전상태에 따라 상호 접촉여부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angl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돌기(424)가 구비되어 상기 슬릿(216)을 관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함과 동시에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의 접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특히, 상기 슬릿(216)의 길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420)의 회전 각도가 조절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결합돌기(424)가 상기 슬릿(216)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각각 상기 제1돌기부(422)와 상기 제2돌기부(332)가 서로 마주보며 접촉하거나 또는 엇갈리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otation angle of the
추가적으로, 상기 베이스(200)는 하면에서 상기 슬릿(216)을 관통한 상기 결합돌기(424)와 체결되며 상기 지지부(420)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조작수단(214)을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조작수단(214)은 상기 지지부(420)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420)와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operation means 214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the virtual reference line L1 like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부(420)는 상기 조작수단(214)에 의해 상기 가상기준선(L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선택적으로 회전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10)의 틸팅 가능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상판
200: 베이스
210: 본체
220: 상부커버
300: 연결유닛
310: 수직프레임
320: 지지브라켓
330: 연결부
400: 탄성지지유닛
410: 복원부재
420: 지지부100: top
200: base
210: main body
220: upper cover
300: connecting unit
310: vertical frame
320: support bracket
330: connection
400: elastic support unit
410: restoration member
420: support
Claims (11)
상기 하부베이스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부에 별도의 상판이 결합되는 연결유닛; 및
상기 하부베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지지하며, 상하방향에 따른 가상기준선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유닛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심선이 기 설정된 범위 내의 각도를 가지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유닛;
을 포함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When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has a certain level or more, the base supporting the whole,
A connection unit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ower base and having a separate upp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And
An elastic support unit provided inside the lower base and suppor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unit, and providing a restoring force such that the center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unit has an ang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round a virtual reference lin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Stool that can be restored vertically, including the.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중심선이 상기 가상기준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틸팅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복원력이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support unit,
A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line of the connecting unit is supported to be tilted at a constant angle based on the virtual reference line, and is configured to increase resilience as the tilting angle is increased.
상기 연결유닛은,
되고, 길히방향에 따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unit,
It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along the direction, the stool capable of self-restored vertically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to the base so as to be tiltable.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상기 연결유닛의 하부에서 일정반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연결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 및
상기 베이스상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원부재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연결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According to claim 3,
The elastic support unit,
A restoration member having a certain radius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unit and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onnection unit, wherein at least a portion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nnection unit to provide a restoration force; And
A support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and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restoration member to support the connection unit;
Self-contained vertical stool comprising a.
상기 연결유닛은,
길이방향에 따른 하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의 둘레에 대응하도록 일정 반경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일정 각도이상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on unit,
Self-vertical restoration is possible by further including a support bracket tha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and prevents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from being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by selectively contacting the support. Stool.
상기 지지부는 둘레를 따라 일부가 상부방향으로 도출된 복수 개의 제1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은 둘레를 따라 일부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기부가 형성되며,
배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돌기부와 상기 제2돌기부가 교차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호 맞물리며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partially drawn upwards along the circumference,
The support bracket is formed with a second protrusion part protruding downwardly along the circumference,
A stool capable of self-vertical resto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are alternately arrang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tate, so that the support and the support bracke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unit is tilted.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The method of claim 6,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ortion or the support bracket,
A stool capable of vertical resto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using the virtual reference line as a rotation axis.
상기 지지부는 또는 상기 지지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가상기준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기 설정된 각도만큼 왕복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The method of claim 7,
At least one of the support portion or the support bracket,
Self-vertical stool capable of reciprocating by a predetermined angle using the virtual reference line as a rotation axis.
상기 복원부재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According to claim 4,
The restoration member,
A stool that has a ring shape and is capable of self-restored vertically along a vertical direction.
상기 연결부는,
돌출된 끝단부가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연결유닛이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According to claim 3,
The connecting portion,
A self-restoreable s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end is configured to have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connecting unit is coupled to be tiltable.
상기 연결유닛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수직복원이 가능한 스툴.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unit,
A stool capable of self-restored vertically,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adjustabl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9516A KR102203145B1 (en) | 2018-09-13 | 2018-09-13 |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9516A KR102203145B1 (en) | 2018-09-13 | 2018-09-13 |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0812A true KR20200030812A (en) | 2020-03-23 |
KR102203145B1 KR102203145B1 (en) | 2021-01-14 |
Family
ID=6999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9516A KR102203145B1 (en) | 2018-09-13 | 2018-09-13 |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0314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996B1 (en) * | 2021-08-11 | 2021-11-08 | 주식회사 미도화학 | Seat module tiltable chai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124B1 (en) * | 2014-10-28 | 2015-02-12 | (주)다목생태기술 | A portable working stool |
JP2018023663A (en) * | 2016-08-12 | 2018-02-15 | 及樺實業股▲ふん▼有限公司 | Tiltable work chair |
KR20180031670A (en) * | 2016-08-18 | 2018-03-28 |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 Tiltable stool or lounge chair |
KR101869729B1 (en) * | 2018-01-31 | 2018-06-21 | (주)퍼맥스 | Chair |
-
2018
- 2018-09-13 KR KR1020180109516A patent/KR10220314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124B1 (en) * | 2014-10-28 | 2015-02-12 | (주)다목생태기술 | A portable working stool |
JP2018023663A (en) * | 2016-08-12 | 2018-02-15 | 及樺實業股▲ふん▼有限公司 | Tiltable work chair |
KR20180031670A (en) * | 2016-08-18 | 2018-03-28 |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 Tiltable stool or lounge chair |
KR101869729B1 (en) * | 2018-01-31 | 2018-06-21 | (주)퍼맥스 | Chai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1996B1 (en) * | 2021-08-11 | 2021-11-08 | 주식회사 미도화학 | Seat module tiltable chai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3145B1 (en) | 2021-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09475B2 (en) | Tiltable stool or lounge chair | |
US3206153A (en) | Tilt swivel mechanism for chairs | |
US4871208A (en) | Chair tilt control mechanism | |
KR0155397B1 (en) | Chair | |
US4709894A (en) | Slip connector for weight actuated height adjustors | |
US6209961B1 (en) | Level-adjustable and swivelable armrest assembly | |
US8931848B2 (en) | Rotating footrest assembly for a seat | |
US20030164633A1 (en) | Dynamic sitting device | |
KR950030930A (en) | Swivel armchair / rocking chair with preloaded framework assembly | |
US5222783A (en) | Chair with its backrest adjustable in its angle | |
US11439235B2 (en) | Seat tilting system | |
JP7514276B2 (en) | Chair with lumbar support | |
KR20200030812A (en) | Stool with self-vertical restoration | |
US20230083858A1 (en) | Chair device and star-shaped base thereof | |
US3817575A (en) | Rotary chair | |
US5544941A (en) | Adjustable foot rest | |
KR100747010B1 (en) | Structure of leg for swivel chair | |
KR102321996B1 (en) | Seat module tiltable chair | |
JP4383907B2 (en) | Chair armrest equipment | |
WO2020233411A1 (en) | Seat device and star-shaped base thereof | |
KR101559889B1 (en) | Hight control apparatus and chair with the same | |
KR102193566B1 (en) | Tiltable chair | |
KR100329846B1 (en) | height adjustment chair | |
US20240225294A1 (en) | Arm rest for seat | |
KR102437284B1 (en) | Chair Having Seat Enable To Tilt To Any Dir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