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697A - Triboelectric generators using a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 Google Patents

Triboelectric generators using a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697A
KR20200030697A KR1020180108995A KR20180108995A KR20200030697A KR 20200030697 A KR20200030697 A KR 20200030697A KR 1020180108995 A KR1020180108995 A KR 1020180108995A KR 20180108995 A KR20180108995 A KR 20180108995A KR 20200030697 A KR20200030697 A KR 20200030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ulence
electricity
vortex
frame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대길
이계홍
조건래
김민규
기현승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08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0697A/en
Priority to PCT/KR2018/016063 priority patent/WO2020054916A1/en
Publication of KR2020003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6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 H01F1/0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hard-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0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053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H01F1/055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 H01F1/05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and magnetic transition metals, e.g. SmCo5 and IIIa elements, e.g. Nd2Fe14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As a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n underwater facility by using vortices and turbulence generated in the ocea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boelectric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ices and permanent magnets, which comprises: a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ng unit generating vortices and turbulence in water; a housing mounted on a part of the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on unit and receiving external forces applied by the turbulence and the vortices generated in the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on unit; an electricity genera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electricity by using the external forces applied by the turbulence and the vortices; and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to receive and store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and generates the electricity through friction by using a repulsive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Description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TRIBOELECTRIC GENERATORS USING A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TRIBOELECTRIC GENERATORS USING A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본 발명은 마찰전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난류 및 와류를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iboelectric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iboelectric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that permanently generate electricity using turbulence and vortex at sea.

최근 해저 자원 개발 목적 및 군사, 연구적 목적으로 인한 수중 시설 및 환경 탐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수중 구조물 건설 및 해저환경 모니터링 설비 등의 다양한 수중 인프라가 증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수중 인프라에 사용되는 수온, 위치 추정, 모니터링 센서 등의 다양한 수중 기기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중 장비들은 운용 및 유지보수가 어려우며, 특히 장시간 운용을 위한 전원 공급에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Recently, as interest in underwater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exploration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submarine resources and for military and research purposes has increased, various underwater infrastructures such as underwater structure construction and sub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facilities have increased. In addition, the use of various underwater devices such as water temperature, location estimation, and monitoring sensors used in the underwater infrastructure is increasing. However, these underwater equipment are difficult to operate and maintain, and particularly have many problems in supplying power for long-term operation.

수중 환경에서 사용되는 기기들은 지상의 기기들에 비해 매우 고가이며, 설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단시간의 운용을 휘해 배터리를 이용하여 운용되거나, 장시간의 운용을 목적으로 지상과 유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해저 생태계 및 해류(조류) 측정, 해로 감시 등과 같이 지상과의 떨어진 공간에서의 장시간 운용은 유선으로 연결이 어려워 주기적인 배터리 교체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작업은 많은 비용,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며, 해저 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도 있다.Devices used in aquatic environments are very expensive compared to ground devices and are expensive and time consuming to install. Therefore, it is operated by using a battery for a short-term operation, or it is used by connecting to the ground and a wire for long-term operation. However, long-term operation in a space away from the ground, such as submarine ecosystem and ocean current (algae) measurement, sea level monitoring, etc., is difficult to connect by wire, so periodic battery replacement is required. In addition, these operations are costly, time consuming, and labor intensive, and in the case of submarine operations, workers may be at risk.

기존의 해양 장비들의 장시간 운용을 위한 공급 기술로는 1. 유선연결, 2. 주기적인 배터리 교체 방식, 3. 태양열 발전을 이용한 전원 공급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1번의 경우,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지만 작업수행 환경까지의 인프라 구축비용이 매우 비싸며, 주기적인 전선 교체가 필요하다.The supply technologies for long-term operation of existing marine equipment can be divided into 1. wired connection, 2. periodic battery replacement method, and 3. power supply method using solar power. In case 1, stable power supply is possible, but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cost to the work environment is very expensive, and periodic replacement of the wire is required.

보통 2번의 경우, 임무수행 주기에 충분한 배터리를 탑재 후 목표 지역에 진수하고 주기적인 회수 또는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종류의 센서 및 관측장비로는 수면에 떠 있는 부표에 전장부 및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부이를 제작하고 이를 교체하는 방식, 글라이더나 움직이는 부유체의 경우 1주~1달 동안 해류를 따라 임무수행 후 회수하는 방식으로 주로 사용되며, 부이 형식은 고정된 장소에 해저 센서와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전원공급 이용하는 경우 배를 이용하여 주기적인 배터리 교체 및 기기의 회수가 필요하며, 이때마다 선박 및 인력운용이 필요하다. 더욱이 해저 인프라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배터리 교체시마다 해저센서와의 재연결이 필요하며, 이때 센서 및 배터리 고장, 감전의 위험이 있다.Normally, in the case of 2, it is carried out by loading enough batteries for the duty cycle, launching them in the target area, and periodically or replacing the batteries. With this type of sensor and observation equipment, a buoy that can hold the electric field and a battery in a buoy floating on the surface and replace it, and in the case of gliders or moving floats, follow the current for 1 week to 1 month It is mainly used as a method of recovery after performance, and the buoy type is used in connection with a subsea sensor in a fixed place. In the case of using this type of power supply,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replace batteries and recover equipment using the ship, and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ship and manpower every time. Moreover, if it is connected to the submarine infrastructure, it is necessary to reconnect with the subsea sensor whenever the battery is replaced, and there is a risk of sensor and battery failure and electric shock.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3과 같이 태양열을 이용한 발전장치의 경우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 경우 부이 상단이나 글라이더 날개에 태양열판을 설치하고 주기적/상시적으로 태양열 발전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경우 해상 날씨에 따라 충전이 불가능할 수도 있으며, 태양열판이 해상의 부유물에 의하여 충전 불능 또는 파손 가능성이 크다. 또한, 발전을 위한 설비 면적이 크고 설치비가 비싸다는 단점을 가진다.As a method for solving this problem, the number of power generation devices using solar heat is increasing as shown in FIG. 3. In this case, the solar panel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uoy or on the wing of the glider, and the power is supplied through regular / regular solar power generation. However, in this case, charging may not be possible depending on the weather of the sea, and the solar panel may be incapable of charging or damaged due to floating on the sea. In addition,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facility area for power generation is large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해양에서의 마찰전기를 이용한 발전기 관련 특허는 파도를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가 있다. 이 특허는 해수면 상에 부표를 설치하고 파도에 의한 상하운동 및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마찰전기를 발생하는 장치이다. 하지만 이 장비는 해수면에 설치되어야 하여 배에 의한 유실이나 손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파도의 주기 이상의 속도로 정전기 발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파도의 크기에 따라 발전 유무가 결정될 수도 있다.A patent related to a generator using friction electricity in the ocean has a device for generating friction electricity using waves. This patent is a device that installs a buoy on the sea level and generates triboelectricity using up and down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caused by waves. However, this equipment has to be installed on the sea level, which can cause loss or damage by ships, and has the disadvantage that static electricity cannot be generated at a rate higher than the period of the wave. In addi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ower genera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aves.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880799호(발명의 명칭: 파도를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80799 (Invention name: friction electricity generator using wav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중의 난기류, 와류(소용돌이)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유도 및 이를 이용한 해양 전기 발생함으로써 장시간 임무수행이 필요한 저전력 기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long-term mission by generating frictional electricity using underwater turbulence, vortex (swirl) and permanent magnets and generating marine electricity using the same. It is to provide a triboelectric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that supply power to low-power equipment that needs to be performed.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understand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해양에서 발생하는 와류와 난류를 이용하여 수중 시설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수중에서 와류와 난류를 발생시키는 난류 및 와류 발생유닛; 상기 와류 및 난류 발생유닛에 일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난류 및 와류 발생유닛에 생성하는 난류와 와류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난류와 와류에 의해 가해진 외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기발생유닛; 및 상기 전기발생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발생유닛에서 생성된 전기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발생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영구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마찰을 통해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a device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n underwater facility using vortices and turbulence generated in the ocean,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on generating vortices and turbulence in water unit; A housing mounted on a part of the vortex and turbulence generating unit and receiving turbulence and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vortex generated in the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ng unit; An electricity genera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generate electricity by us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urbulence and vortex; And a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to receive and stor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wherein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and uses the repulsive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Electricity can be generated through friction.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부의 구조골격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응하여 하부의 구조골격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연직으로 연결하면서 결합되며, 텔레스코픽 파이프 방식으로 제작되어 외력에 의해 길이의 변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프레임; 및 신축성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을 일체로 에워싸면서 결합되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the upper frame forming the upper structural frame; A lower frame forming a lower structural frame corresponding to the upper frame; At least one connecting frame which is coupled while vertically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is manufactured by a telescopic pipe method and capable of changing the length by an external force; And a frame cover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integrally enclosing the upper frame, lower frame, and connecting frame.

또한, 상기 전기발생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의 상부에 구비되며 일면에 금속이 결합된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은 금속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상판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판부재에 대응하여 일면에 금속이 결합된 영구자석이 상기 상판부재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동일한 극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여, 금속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하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 permanent magnet is coupled to the metal is installed on one surface, the permanent magnet is a top plate member disposed in a state that the metal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permanent magnet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having a metal bonded to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member facing the same pole as the permanent magnet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member, where the metal is installed exposed to the outside. Lower plate member; may include.

또한, 상기 전기발생유닛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전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ulator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to prevent leakage of electricity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절연체의 소재는 폴리 디메틸 실록산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insulator may be poly dimethyl siloxane.

또한, 상기 전기발생유닛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은 네오디뮴 자석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manent magnet provided in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may be a neodymium magnet.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은 난류나 와류에 의해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수축되거나 이완되면서 상기 상판부재를 상기 하판부재에 접근시키거나 떨어뜨릴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frame may contract or relax in a telescopic manner by turbulence or vortex, thereby allowing the upper plate member to approach or drop the lower plate member.

또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에 구비된 각각의 금속은 상기 저장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자석들의 척력을 통해서 발생하는 마찰전기를 상기 저장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metal provided o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and transmit frictional electricity generated through the repulsive force of the magnets to the storage unit.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의 단말기와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relessly with an external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금속과 절연체를 이용한 마찰전기 유도 방식을 이용하며, 난기류, 와류 및 이에 의한 외력의 변화와 영구자석의 인력 및 척력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효율적이며 반영구적인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iction electric induction method using a metal and an insulator is used, and a faster, more efficient and semi-permanent electricity is generated by using turbulence, vortex and external force changes and permanent magnet attraction and repulsion. can do.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장시간 운용이 필요한 수중 구조물과 수중센서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마찰전기 유도 및 자석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와류 발생기에 의한 물의 와류 발생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5는 상기 마찰전기 발생장치에 조류 및 파도에 따라 외력이 발생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마찰전기 발생장치에 유속 변화에 따른 외력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마찰전기 발생장치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상기 마찰전기 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9는 상기 하우징의 구성 블록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is not limited to interpretation.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and the underwater sensor that requires a long time operation.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cept of a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riboelectric induction and magnets.
3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vortex generation of water by the vortex generator.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riboelectric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tide and waves in the triboelectric generator.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changes according to the flow rate change in the triboelectric generator.
7 is a graph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of the triboelectric generator.
8 is an overall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the triboelectric generator.
9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the housin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an effec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include the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ponents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combination is intended to be present,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pre-excluding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장시간 운용이 필요한 수중 구조물과 수중센서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마찰전기 유도 및 자석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와류 발생기에 의한 물의 와류 발생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5는 상기 마찰전기 발생장치에 조류 및 파도에 따라 외력이 발생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마찰전기 발생장치에 유속 변화에 따른 외력이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상기 마찰전기 발생장치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8은 상기 마찰전기 발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며, 도 9는 상기 하우징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underwater structure and the underwater sensor that requires a long time opera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cept of a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triboelectric induction and magnet, Figure 3 is a vortex of water by a vortex generator It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riboelectric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ternal force according to the tide and waves in the triboelectric generator FIG. 6 is a 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changes according to a flow rate change in the triboelectric generator, FIG. 7 is a graph showing experimental results of the triboelectric generator, and FIG. 8 is the It is an overall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the triboelectric generator, and FIG. 9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the housing.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에서 발생하는 와류와 난류를 이용하여 수중 시설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은 난류 및 와류 발생유닛(50), 하우징(100), 전기발생유닛(200) 및 저장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4 to 9, as an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n underwater facility using vortices and turbulence generated in the ocea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on unit 50, housing 100, electricity generation It may include a unit 200 and a storage unit 300.

난류 및 와류 발생유닛(50)은 수중에서 난류와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on unit 50 can generate turbulence and vortex in water.

하우징(100)은 난류 및 와류 발생유닛(50)의 일부분에 장착되어 난류 및 와류 발생유닛(50)에 생성하는 난류와 와류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수용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is mounted on a portion of the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on unit 50 to accommodate the external forces exerted by the turbulence and vortices generated in the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on unit 50.

와류란, 유체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주류와 반대방향으로 소용돌이치는 흐름으로, 강하게 회전하면서 흐르는 유체의 형태를 일컫는다. 흔히 수로의 불규칙성, 장애물 등으로 인하여 발생된다. 선박에서는 이러한 와류에 의한 저항을 줄이기 위해 유선형 구조를 하고 있다.Vortex is a flow swirl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stream by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fluid, and refers to the form of the fluid flowing while rotating strongly. It is often caused by irregularities and obstacles in the waterway. The ship has a streamlined structure to reduce the resistance caused by the vortex.

하우징(100)은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연결 프레임(130) 및 프레임 커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include an upper frame 110, a lower frame 120, a connecting frame 130 and a frame cover 140.

상부 프레임(110)은 상부의 구조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The upper frame 110 is a component forming the upper structural frame.

하부 프레임(120)은 상부 프레임(110)에 대응하여 하부의 구조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The lower frame 120 corresponds to the upper frame 110 and is a component that forms the lower structural skeleton.

연결 프레임(130)은 적어도 하나의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을 연직으로 연결하면서 결합되며, 텔레스코픽 파이프 방식으로 제작되어 외력에 의해 길이의 변화가 가능한 구성요소이다.The connection frame 130 is coupled while vertically connecting the at least one upper frame 110 and the lower frame 120, and is a component that is manufactured by a telescopic pipe method and capable of changing the length by an external force.

연결 프레임(130)은 난류나 와류에 의해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수축되거나 이완되면서 상판부재(210)를 하판부재(220)에 접근시키거나 떨어뜨릴 수 있다. 즉, 연결 프레임(130)이 다단의 텔레스코픽 파이프 방식으로 제작되어 외력을 받아서 길이가 줄어들거나 원상태로 이완되면서 두 자석(20)을 가깝게 하거나 멀어지게 하여 척력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서 마찰전기가 생기게 할 수 있다.The connection frame 130 may contract or relax in a telescopic manner due to turbulence or vortex, thereby allowing the upper plate member 210 to approach or drop the lower plate member 220. 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frame 130 is manufactured in a multi-stage telescopic pipe method, and receives the external force, thereby reducing the length or relaxing in the original state. have.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및 연결 프레임(130)은 강재나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봉이나 바아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frame 110, the lower frame 120 and the connecting frame 130 may be manufactured in a rod or bar shape using steel or plastic.

프레임 커버(140)는 신축성 소재로 제작되어 상부 프레임(110), 하부프레임(120) 및 연결 프레임(130)을 일체로 에워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의 외피를 신축성 소재의 프레임 커버로 제작하여 수리나 보수를 위한 탈착이 용이하며 방수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커버(140)의 재료로는 내구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합성수지의 종류로는 페놀수지, 폴리 우레탄수지, 폴리 아미드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아/멜라민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이 있다.The frame cover 14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can be combined while enclosing the upper frame 110, the lower frame 120, and the connecting frame 130 integrally. The outer shell of the housing is made of a frame cov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it can be easily detached for repair or maintenance, and can obtain effects such as waterproofing. Specifically, the material of the frame cover 140 may be manufactured using synthetic resin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elasticity. Synthetic resins include phenolic resins, polyurethane resins, polyamide resins, acrylic resins, urea / melamine resins, and silicone resins.

하우징(100)은 수중에 앵커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거나 부이 등에 연결하여 해상을 표류하면서 와류나 난류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을 받을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be fixed using an anchor in water or connected to a buoy or the like to drift the sea and receive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 vortex or turbulence.

전기발생유닛(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와류나 난류에 의해 가해진 외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0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can generate electricity us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 vortex or turbulence.

전기발생유닛(200)은 상판부재(210) 및 하판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00 may include an upper plate member 210 and a lower plate member 220.

상판부재(210)는 하우징(100) 내의 상부에 구비되며 일면에 금속(30)이 결합된 영구자석(20)이 설치되고, 영구자석(20)은 금속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top plate member 21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nd a permanent magnet 20 having a metal 30 coupled to one surface is installed, and the permanent magnet 20 can be disposed with the metal exposed to the outside. have.

하판부재(220)는 하우징(100) 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판부재(210)에 대응하여 일면에 금속(30)이 결합된 영구자석(20)이 상판부재(210)에 설치된 영구자석(20)과 동일한 극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여, 금속(30)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member 220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nd a permanent magnet 20 having a metal 30 coupled to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member 210 is installed in the upper plate member 210. In the direction facing the same pole as, the metal 30 may be installed in a state exposed to the outside.

전기발생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20)이 구비되며 영구자석(20)의 척력을 이용하여 마찰을 통해서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발생유닛(200)은 정류 다이오드 및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저장유닛(300) 즉, 배터리에 저장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0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20 and may generate electricity through friction using the repulsive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20. Specifically,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00 uses the rectifying diode and the capacitor to produce electricity by storing in the storage unit 300, that is, the battery.

정류 다이오드는 실리콘 또는 게르마늄의 단결정 속에서 PN형을 접합하여 P형 쪽에 에노드, N형 쪽에 캐소드의 두 단자로 구성되는 다이오드를 말한다. 커패시터 또는 콘덴서란 전기 회로에서 전기 용량을 전기적 퍼텐셜 에너지로 저장하는 장치이다. 축전기 내부는 두 도체판이 떨어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사이에는 보통 절연체가 들어간다. 각 판의 표면과 절연체의 경계 부분에 전하가 비축되고, 양 표면에 모이는 전하량의 크기는 같지만 부호는 반대이다. 즉, 두 도체판 사이에 전압을 걸면 음극에는 (-)전하가, 양극에는 (+)전하가 유도되는데, 이로 인해 전기적 인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 인력에 의하여 전하들이 모여있게 되므로 에너지가 저장된다.A rectifying diode is a diode composed of two terminals of an anode on the P-type side and a cathode on the N-type side by joining the PN type in a single crystal of silicon or germanium. Capacitors or capacitors are devices that store electrical capacity as electrical potential energy in electrical circuits. The inside of the capacitor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conductor plates are separated, and an insulator is usually placed between them. Electric charges are stor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rface of each plate and the insulator, and the amount of charges collected on both surfaces is the same, but the sign is opposite. That is, 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wo conductor plates, a negative charge is induced to the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charge is induc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hereby generating electrical attraction. Electric charges are gathered by this attraction, so energy is stored.

전기발생유닛(200)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0)은 네오디뮴 자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오디뮴은 주로 영구자석, 고체상태 적외선 레이저, 적자색 유리, 촉매, 커패시터 재료 등으로 사용된다. 네오디움의 가장 중요한 용도는 자석을 만드는 것이다. 네오디뮴-철-붕소(neodymium-iron-boron, NIB) 자석은 현재까지 개발된 영구자석 중에서 가장 강한 것으로, 전형적인 화학적 조성은 Nd2Fe14B이다. 네오디뮴 자석은 먼저 발명된 또 다른 희토류 자석인 사마륨-코발트(SmCo5) 자석보다 자기장의 세기는 강하면서 가격은 저렴하다. 또 그 동안 많이 사용해온 알니코(Alnico) 자석이나 페라이트 자석에 비해서도 훨씬 강한 자기장을 내며, 자기 에너지 밀도는 5~20배나 된다.The permanent magnet 20 provided in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00 may be a neodymium magnet. Specifically, neodymium is mainly used as a permanent magnet, solid state infrared laser, reddish purple glass, catalyst, and capacitor material. The most important use of neodymium is to make magnets. The neodymium-iron-boron (NIB) magnet is the strongest permanent magnet developed to date, and its typical chemical composition is Nd2Fe14B. Neodymium magnets have a stronger magnetic field strength and are cheaper than other rare earth magnets, Samarium-Cobalt (SmCo5) magnets. In addition, it produces a much stronger magnetic field than the Alnico magnet or ferrite magnet that has been used a lot, and the magnetic energy density is 5 to 20 times higher.

저장유닛(300)은 전기발생유닛(200)에 연결되어 전기발생유닛(200)에서 생성된 전기를 수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icity generation unit 200 to receive and stor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electricity generation unit 200.

상판부재(210)와 하판부재(220)에 구비된 각각의 금속(30)은 저장유닛(300)에 연결되어 영구자석(20)들의 척력을 통해서 발생하는 마찰전기를 저장유닛(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Each metal 30 provided on the upper plate member 210 and the lower plate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300 and transmits frictional electricity generated through the repulsive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s 20 to the storage unit 300. Ca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찰전기 발생장치(10)는 절연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체(400)는 전기발생유닛(200)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전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부재(210)와 하판부재(220)의 금속(30)들 사이에 삽입되어 자석(30)의 마찰을 이용하여 발생한 전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riboelectric gener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or 400. The insulator 400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00 to prevent leakage of electricity. Specifically, it is inserted between the metal 30 of the upper plate member 210 and the lower plate member 220 to prevent leakage of electricity generated by using the friction of the magnet 30 to the outside.

절연체는 전기나 열을 전하지 않는 물질로서 부도체(不導體)라고도 한다. 실제로는 전기 전도도나 열전도도가 아주 작은 것을 가리킨다. 유리, 에보나이트, 다이아몬드, 고무 등은 전기적 부도체이며, 솜, 석면, 재 등은 열적 부도체이다. 이들 물질은 열이나 전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데 쓰이기도 하기 때문에, 절연체라고 한다. 절연체(400)의 소재는 폴리 디메틸 실록산일 수 있다. Insulators are materials that do not transmit electricity or heat, and are also called non-conductors. In practice, it indicates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r thermal conductivity is very small. Glass, ebonite, diamond, and rubber are electrical insulators, and cotton, asbestos, and ash are thermal insulators. These materials are also called insulators because they are also used to prevent heat or electricity from escaping. The material of the insulator 400 may be poly dimethyl siloxane.

폴리 디메틸 실록산(PDMS)은 일반적으로 실리콘으로 지칭되는 고분자 유기 규소 화합물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폴리 디메틸 실록산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실리콘 기반의 유기 폴리머이며, 특히 유변학적 특성으로 유명하다. 폴리 디메틸 실록산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일반적으로 불활성, 비독성 및 비가 연성이다. 디메틸 폴리실록산 또는 디메 티콘이라고도 하며 여러 종류의 실리콘 오일 중 하나이다. 절연체(400)는 폴리 디메틸 실록산 이외에도 전술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Polydimethyl siloxane (PDMS) belongs to a group of high molecular organosilicon compounds, commonly referred to as silicones, and poly dimethyl siloxane is the most widely used silicone based organic polymer, and is particularly well known for its rheological properties. Poly dimethyl siloxane is optically transparent and generally inert, non-toxic and non-flammable. Also called dimethyl polysiloxane or dimethicone, it is one of several silicone oils. The insulator 400 may be manufactured using the above-described synthetic resin in addition to poly dimethyl siloxane.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40)을 구비하여 외부의 단말기와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 등과 와이파이 통신모듈, 블루투스 통신모듈 및 지그비 통신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로 연동된 외부에서 무선 단말기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작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4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0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relessly with an external terminal.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operate using a wireless terminal or a smart phone externally connected to any one of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with a mobile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has been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implement and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each of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a manner of combining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to give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intended to give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In addition, in the claims,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citation relationship may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may be included as new claims by amendment after filing.

10 : 마찰전기 발생장치
20 : 영구자석
30 : 금속
40 : 무선통신모듈
50 : 난류 및 와류 발생유닛
100 : 하우징
110 : 상부 프레임
120 : 하부 프레임
130 : 연결 프레임
140 : 프레임 커버
200 : 전기발생유닛
210 : 상판부재
220 : 하판부재
300 : 저장유닛
400 : 절연체
10: friction electricity generator
20: permanent magnet
30: metal
4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50: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on unit
100: housing
110: upper frame
120: lower frame
130: connecting frame
140: frame cover
200: electricity generating unit
210: top plate member
220: lower plate member
300: storage unit
400: insulator

Claims (9)

해양에서 발생하는 와류와 난류를 이용하여 수중 시설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수중에서 와류와 난류를 발생시키는 난류 및 와류 발생유닛;
상기 난류 및 와류 발생유닛에 일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난류 및 와류 발생유닛에 생성하는 난류와 와류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류와 와류에 의해 가해진 외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기발생유닛; 및
상기 전기발생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전기발생유닛에서 생성된 전기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발생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영구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영구자석의 척력을 이용하여 마찰을 통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
A device that supplies electricity to underwater facilities using vortices and turbulence generated in the ocean,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on units for generating vortices and turbulence in water;
A housing which is mounted on a portion of the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on units and receives external forces applied by the turbulence and vortices generated in the turbulence and vortex generation units;
An electricity generat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electricity by us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turbulence and the vortex; And
Includes; connected to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A friction electric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which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ermanent magnet and generates electricity through friction using the repulsive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의 구조골격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에 대응하여 하부의 구조골격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연직으로 연결하면서 결합되며, 텔레스코픽 파이프 방식으로 제작되어 외력에 의해 길이의 변화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프레임; 및
신축성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을 일체로 에워싸면서 결합되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An upper frame forming an upper structural skeleton;
A lower frame forming a lower structural frame corresponding to the upper frame;
At least one connecting frame which is coupled while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vertically, and is made of a telescopic pipe method to change the length by an external force; And
A friction electric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comprising: a frame cover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integrally surrounding the upper frame, lower frame, and connecting fram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생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의 상부에 구비되며 일면에 금속이 결합된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영구자석은 금속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상판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판부재에 대응하여 일면에 금속이 결합된 영구자석이 상기 상판부재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동일한 극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하여, 금속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하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It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in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is coupled to the metal on one surface, the permanent magnet is a top plate member disposed in a state that the metal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lower plate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having a metal coupled to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member facing the same pole as the permanent magnet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member, where the metal is exposed to the outside. A friction electricity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comprising: a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생유닛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전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iction electricity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further comprising an insulator provided on a part of the electricity generation unit to prevent leakage of electricit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소재는 폴리 디메틸 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material of the insulator is poly dimethyl siloxane, triboelectric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생유닛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은 네오디뮴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rmanent magnet provided in the electricity generating unit is a neodymium mag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al electricity generating apparatus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난류나 와류에 의해서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수축되거나 이완되면서 상기 상판부재를 상기 하판부재에 접근시키거나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frame is a teleelectric generating apparatus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late member approaches or drops the upper plate member while being telescopically contracted or relaxed by turbulence or vortex.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에 구비된 각각의 금속은 상기 저장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영구자석들의 척력을 통해서 발생하는 마찰전기를 상기 저장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Each metal provided on the upper plate member and the lower plate member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and transmits friction electricity generated through the repulsive force of the permanent magnets to the storage unit. Electric gener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의 단말기와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류, 와류 및 영구자석을 이용한 마찰전기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iction electricity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wirelessly with an external terminal by provi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side the housing.
KR1020180108995A 2018-09-12 2018-09-12 Triboelectric generators using a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KR2020003069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995A KR20200030697A (en) 2018-09-12 2018-09-12 Triboelectric generators using a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PCT/KR2018/016063 WO2020054916A1 (en) 2018-09-12 2018-12-18 Triboelectric generator using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995A KR20200030697A (en) 2018-09-12 2018-09-12 Triboelectric generators using a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697A true KR20200030697A (en) 2020-03-23

Family

ID=6977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995A KR20200030697A (en) 2018-09-12 2018-09-12 Triboelectric generators using a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30697A (en)
WO (1) WO202005491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2358A (en) * 2020-10-12 2021-01-08 大连海事大学 Self-powered unit and dust collector based on rain energy and wind energy
CN117118268B (en) * 2023-10-25 2024-02-06 山东科技大学 Ocean current energy nano power generation static cone penetra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799B1 (en) 2016-03-28 2018-07-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riboelectric energy generator using wav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824B1 (en) * 2009-02-12 2011-09-05 한국해양연구원 Eco-friendly Clean Energy Extraction Device
KR101188617B1 (en) * 2010-04-23 2012-10-09 한국해양연구원 Clean Energy Extraction Device Utilizing Multi-Degree-Of-Freedom Vortex-Induced Vibration
KR101309125B1 (en) * 2011-12-20 2013-09-1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Vortex-Induced Vibration by Lift-generating plant and Sliding mechanism
KR101489177B1 (en) * 2013-12-30 2015-0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Generating Apparatus for Flap type Current Turbine And Operation Method Of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799B1 (en) 2016-03-28 2018-07-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Triboelectric energy generator using wa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4916A1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5504B1 (en) Electrical power generation by coupled magnets
KR101071644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maritime floating structure
US20030197433A1 (en) Electrical power generation by coupled magnets
US20170164521A1 (en) Water-based computing system
KR20200030697A (en) Triboelectric generators using a turbulence, vortex and permanent magnets
CA3002334C (en) Power generation unit for oceanographic sensor moorings
KR101640885B1 (en) System for self generation of seesaw type using wave energy
CN106968871B (en) Multisection floats formula wave energy electromagnetic generator
KR101361628B1 (en) Floating generation apparatus
KR101566972B1 (en) Marine floating-type generator of double floating-body structure by using ion polymer metal composite
WO2018164583A1 (en) Energy harvesting buoy
CN111355403B (en) Jellyfish-shaped piezoelectric friction electric composite ocean mechanical energy collector
CN101162864A (en) Magnetic transmission fluent metal magnetofluid wave energy direct electricity generation unit device
CN109639176A (en) The multipotency amount power generation mini capsule and adopt energy array that fluid transport pipeline node is applicable in
WO2016153140A1 (en) Self-generated power system at sea, and boundary light using same
CN109296497A (en) A kind of wave energy generating set
WO2014157779A1 (en) Floating off-shore power generation apparatus using ionic polymeric metal composite
KR101380560B1 (en) Generator using magnet movement
KR100970473B1 (en) Generation for electric power system of ocean establishments
KR20170076532A (en) private power station type LED light emitting indicator
CN105071701A (en) Magnetic levitation linear generator
CN108847737A (en) A kind of Wave energy acquisition device for sonar buoy power supply
CN108167106B (en) Magnetic coupling transmission ocean current power generation device
KR20130061610A (en) System for traveling and amplifying of electric energy
US11905918B2 (en) Hydrokinetic energy based power gene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