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409A -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사이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사이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409A
KR20200030409A KR1020180109245A KR20180109245A KR20200030409A KR 20200030409 A KR20200030409 A KR 20200030409A KR 1020180109245 A KR1020180109245 A KR 1020180109245A KR 20180109245 A KR20180109245 A KR 20180109245A KR 20200030409 A KR20200030409 A KR 20200030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y
external device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561B1 (ko
Inventor
황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8010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5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 H04L67/280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81Prox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2Managing session states for stateless protocols; Signalling session states; State transitions; Keeping-state mechanism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 또는 얼라이브(Alive)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프록시 모듈, 및 프록시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발생 또는 얼라이브 정보를 보안 관리 서버에게 전달하는 프록시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보안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사이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PROXY SYSTEM FOR LINKAGE BETWEEN MANAGEMENT SERVER AND EXTERNAL DEVICE}
본 기재는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능형 영상 인식 및 감시 기능을 구현하고 고성능의 운영 효율을 제공하는 스마트 영상 관리 시스템(smart video management system, SVMS)이 개발되고 있다. SVMS는 종래 관제실로 CCTV의 영상을 전달하는 기능을 넘어, 자체적인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영상을 통해 전달되는 화면 밖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SVMS를 기존에 구축되어 있던 장비와 연동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예를 들어, 건물 외곽에 설치되어 있는 광학 센서, 장력 센서, 또는 건물의 출입 감지 센서, 화재 센서 등이 SVMS와 연동되기 위해서는 SVMS 내의 관리 서버 모듈(management server module)의 코드가 수작업으로 수정될 필요가 있다. 이때 관리 서버 모듈의 코드가 빈번하게 수행되면, 서버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고, 기존 장비의 동작이 SVMS에만 종속되게 된다.
한 실시예는 보안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프록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 또는 얼라이브(Alive)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프록시 모듈, 및 프록시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발생 또는 얼라이브 정보를 보안 관리 서버에게 전달하는 프록시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록시 시스템에서 보안 관리 서버와 프록시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규격 및 프록시 관리 장치와 프록시 모듈 사이의 통신 규격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기반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통신일 수 있다.
상기 프록시 시스템에서 프록시 모듈은, 보안 관리 서버가 외부 장치를 추가한 후, 보안 관리 서버로부터 초기 프록시 정보를 수신하고, 초기 프록시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 시스템에서 초기 프록시 정보는 외부 장치의 IP 주소 또는 포트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 시스템에서 프록시 모듈은,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의 얼라이브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프록시 관리 장치를 통해 보안 관리 서버에게 외부 장치의 얼라이브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상기 프록시 시스템에서 프록시 모듈은, 외부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면, 프록시 관리 장치를 통해 보안 관리 서버에게 이벤트를 알릴 수 있다.
상기 프록시 시스템에서 프록시 모듈은, 보안 관리 서버로부터 외부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장치에게 위치를 요청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알리는 응답을 수신하면, 프록시 관리 장치를 통해 보안 관리 서버에게 응답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 시스템에서 프록시 모듈은, 보안 관리 서버로부터 외부 장치를 삭제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하면, 외부 장치에게 이벤트 체크 정지를 지시하고,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 시스템에서 프록시 관리 장치는, 외부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면, 문제가 발생한 외부 장치에 연결된 프록시 모듈을 재시작 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록시 시스템에서 프록시 관리 장치는, 연동에 필요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장치의 정보는 연동을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및 외부 장치의 구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 시스템에서 연동을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는 외부 장치의 IP 주소 및 외부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장치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프록시 모듈을 포함하는 프록시 시스템을 통해 보안 관리 서버 등의 관리 서버가 소스 코드의 수정 없이 외부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시스템의 내부 통신 규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시스템의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기재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기재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기재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시스템의 내부 통신 규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시스템은(100), 프록시 관리 장치(110) 및 복수의 프록시 모듈(1201 내지 120n)을 포함한다.
프록시 관리 장치(110)는 관리 서버(10)와 복수의 프록시 모듈(1201 내지 120n)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한다. 프록시 관리 장치(110)는 최초 구동되면 프록시 관리 장치(110)에 연결된 복수의 프록시 모듈(1201 내지 120n)을 모두 실행시킨다. 또한, 복수의 외부 장치(20) 중 일부에 문제가 발생하면, 프록시 관리 장치(110)는 워치독(watchdog) 기능을 통해 문제가 발생한 외부 장치(20)에 연결된 프록시 모듈만을 재시작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가 오작동하더라도 SVMS 등의 관리 서버의 운용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20)들이 다른 관리 서버에 연결될 필요가 있을 때, 프록시 관리 장치(100)의 업데이트만으로 복수의 외부 장치들(20)의 다른 관리 서버 등으로의 이전이 가능하다.
복수의 프록시 모듈(1201 내지 120n)은 외부 장치(20)에 일대다 대응인 구성으로서, 각 프록시 모듈(120)은 복수의 외부 장치(20)와 통신하여 복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 또는 얼라이브(Alive)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록시 모듈(120)은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oftware development kit, SDK)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프록시 모듈(1201 내지 120n)은 장력 센서, 출입 센서, 화재 센서 등의 센서, 승강기, 및 액시스 입출력 제어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있다.
상위 솔루션에 해당하는 관리 서버(예를 들어, SVMS 등의 보안 관리 서버)(10)는 프록시 관리 기능을 사용하여, 프록시 관리 장치(110)를 통해 복수의 프록시 모듈(1201 내지 120n)에 연결된 외부 장치(20)을 관리할 수 있다. 즉, 프록시 관리 기능은 관리 서버(10)가 외부 장치(20)를 관리하기 위해 복수의 프록시 모듈(1201 내지 120n)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10), 프록시 관리 장치(110), 및 복수의 프록시 모듈(1201 내지 120n)은 서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기반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통신을 수행할수 있다. 프록시 모듈(120)과 외부 장치와의 통신 규격은 시리얼 기반 통신이거나 또는 TCP 기반 통신일 수 있으며, 외부 장치의 기능에 따른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시스템의 연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관리 서버(10)는 프록시 관리 장치(110)와 통신하여 외부 장치(2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장치(20)를 추가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생성한다. 프록시 관리 장치(110)는 외부 장치(20)와의 연동에 필요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외부 장치의 정보는 연동을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예를 들어, IP 주소 등의 외부 장치의 물리 주소, 또는 아이디(identification, ID) 등의 외부 장치의 식별자), 외부 장치의 구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외부 장치의 구조는 XML 파일의 형태로 프록시 관리 장치(1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관리 서버(10)는 프록시 관리 장치(110)로부터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장치(20)를 연동 장치 목록에 추가한다.
관리 서버(10)가 외부 장치를 추가하면, 관리 서버(10)는 프록시 관리 장치(110)를 통해 프록시 모듈(120)에게 초기 프록시 정보(initial proxy information, InitProxyInfo)를 전달한다. 관리 서버(10)가 프록시 모듈(120)에 전달하는 초기 프록시 정보는 외부 장치의 IP 주소, 포트 번호, 또는 데이터베이스 이름 등을 포함한다. 프록시 모듈(120)은 초기 프록시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ddDevice). 즉, 프록시 모듈(120)은 외부 장치(2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체크하고, 외부 장치(20)의 얼라이브 상태를 확인한다.
외부 장치(20)는 얼라이브 상태의 변화를 프록시 모듈(120)에게 알리고, 프록시 모듈(120)은 프록시 관리 장치(110)를 통해 외부 장치(20)의 얼라이브 상태를 관리 서버(10)에게 알릴 수 있다(NotifyDeviceAlive)(S100).
외부 장치(20)는 이벤트의 발생을 프록시 모듈(120)에게 알리고, 프록시 모듈(120)은 프록시 관리 장치(110)를 통해 외부 장치(20)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관리 서버(10)에게 알릴 수 있다(NotifyEvent)(S200).
관리 서버(10)는 외부 장치(2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GetCommand("Location"))을 프록시 관리 장치(110)를 통해 프록시 모듈(120)에게 전송하고, 프록시 모듈(120)은 외부 장치(120)에게 위치를 요청한다(Request Location). 이후 외부 장치(20)는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응답을 프록시 모듈(120)에게 전송하고, 프록시 모듈(120)은 프록시 관리 장치(110)를 통해 관리 서버(10)에게 외부 장치(20)의 응답을 전달할 수 있다(S300).
관리 서버(10)는 외부 장치(20)를 삭제하기 위해 프록시 관리 장치(110)를 통해 프록시 모듈(120)에게 장치 삭제를 지시할 수 있다(RemoveDevice). 장치 삭제를 수신한 프록시 모듈(120)은 외부 장치(20)에게 이벤트 체크 정지를 지시하고, 외부 장치(20)와의 통신을 중단한다. 이후 프록시 모듈(120)은 아이들 모드(idle mode)로 대기한다(S400).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한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시스템은,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컴퓨터 시스템(400)은, 버스(47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410), 메모리(4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45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460), 및 저장 장치(4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400)은 또한 네트워크에 결합된 통신 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또는 메모리(430) 또는 저장 장치(44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430) 및 저장 장치(44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프로세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이며,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 구현된 방법으로서 구현되거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본 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예, 네트워크 관리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전송 스케줄 생성 방법 등)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어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통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보안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로부터 이벤트 발생 또는 얼라이브(Alive)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프록시 모듈, 및
    상기 프록시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벤트 발생 또는 얼라이브 정보를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게 전달하는 프록시 관리 장치
    를 포함하는 프록시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보안 관리 서버와 상기 프록시 관리 장치 사이의 통신 규격 및 상기 프록시 관리 장치와 상기 프록시 모듈 사이의 통신 규격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기반의 확장성 마크업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통신인, 프록시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프록시 모듈은, 상기 보안 관리 서버가 상기 외부 장치를 추가한 후, 상기 보안 관리 서버로부터 초기 프록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 프록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프록시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초기 프록시 정보는 상기 외부 장치의 IP 주소 또는 포트 번호를 포함하는, 프록시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프록시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얼라이브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프록시 관리 장치를 통해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게 상기 외부 장치의 얼라이브 상태를 알리는, 프록시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프록시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면, 상기 프록시 관리 장치를 통해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게 상기 이벤트를 알리는, 프록시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프록시 모듈은, 상기 보안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외부 장치에게 위치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의 위치를 알리는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프록시 관리 장치를 통해 상기 보안 관리 서버에게 상기 응답을 전달하는, 프록시 시스템.
  8. 제1항에서,
    상기 프록시 모듈은, 상기 보안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를 삭제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 장치에게 이벤트 체크 정지를 지시하고,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중단하는, 프록시 시스템.
  9. 제1항에서,
    상기 프록시 관리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문제가 발생한 외부 장치에 연결된 프록시 모듈을 재시작 시키는, 프록시 시스템.
  10. 제1항에서,
    상기 프록시 관리 장치는, 상기 연동에 필요한 상기 외부 장치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외부 장치의 정보는 상기 연동을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 및 상기 외부 장치의 구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록시 시스템.
  11. 제10항에서,
    상기 연동을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는 상기 외부 장치의 IP 주소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프록시 시스템.
KR1020180109245A 2018-09-12 2018-09-12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사이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 KR10215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245A KR102155561B1 (ko) 2018-09-12 2018-09-12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사이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245A KR102155561B1 (ko) 2018-09-12 2018-09-12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사이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409A true KR20200030409A (ko) 2020-03-20
KR102155561B1 KR102155561B1 (ko) 2020-09-14

Family

ID=6995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245A KR102155561B1 (ko) 2018-09-12 2018-09-12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사이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5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25B1 (ko) * 2009-12-29 2011-04-12 주식회사 피앤피시큐어 가용성 보장을 위한 프록시 기반의 보안시스템
KR101214613B1 (ko) * 2012-09-25 2012-12-21 주식회사 피앤피시큐어 접속자의 식별 신뢰도를 높인 프록시 기반의 서버 보안방법과 보안시스템
KR101395830B1 (ko) * 2014-01-13 2014-05-16 주식회사 피앤피시큐어 프록시를 경유한 접속 세션정보 확인시스템과 이를 기반으로 한 세션정보 확인방법
KR101451115B1 (ko) * 2014-02-28 2014-10-22 (주) 네온텍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영상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25B1 (ko) * 2009-12-29 2011-04-12 주식회사 피앤피시큐어 가용성 보장을 위한 프록시 기반의 보안시스템
KR101214613B1 (ko) * 2012-09-25 2012-12-21 주식회사 피앤피시큐어 접속자의 식별 신뢰도를 높인 프록시 기반의 서버 보안방법과 보안시스템
KR101395830B1 (ko) * 2014-01-13 2014-05-16 주식회사 피앤피시큐어 프록시를 경유한 접속 세션정보 확인시스템과 이를 기반으로 한 세션정보 확인방법
KR101451115B1 (ko) * 2014-02-28 2014-10-22 (주) 네온텍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영상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561B1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773B1 (ko) 보안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안전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US11076021B2 (en) Host device for obtaining operating instructions for a barcode reader from a remote server
EP2328088A1 (en) Home network system, gateway device, and firmware update method
JP399272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セス制御方法
JP400129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サーバ
US8793651B2 (en) Remote card content management using synchronous server-side scripting
KR102155561B1 (ko) 관리 서버와 외부 장치 사이의 연동을 위한 프록시 시스템
CN115210698B (zh) 通信装置、程序、通信方法、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和通信系统
JP4550857B2 (ja) 情報処理装置の割当て方法、この方法を実行する管理サーバ及び端末
KR101399800B1 (ko) 인스턴스 호스팅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4663688B2 (ja) 端末
JP2020017821A (ja) 外部情報受配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45999B1 (ko) 이중보안 기반의 스마트폰 보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TWI818167B (zh) 通訊系統、資訊提供裝置、電腦可讀取記憶媒體及資訊提供方法
KR100998558B1 (ko) 로봇 제어기 부트로더 감시 장치
JP4950140B2 (ja) 端末
CN114049176A (zh) 车辆库存同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80000848U (ko) 내부망, 외부망 연동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