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913A - Steering handle system - Google Patents

Steering handl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913A
KR20200028913A KR1020200026706A KR20200026706A KR20200028913A KR 20200028913 A KR20200028913 A KR 20200028913A KR 1020200026706 A KR1020200026706 A KR 1020200026706A KR 20200026706 A KR20200026706 A KR 20200026706A KR 20200028913 A KR20200028913 A KR 20200028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xpression
unit
expression unit
han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20002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8913A/en
Publication of KR2020002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9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05Mechanical indicators, e.g. in or near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9Steering assistants using warnings or proposing actions to the driver without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ring handle system which improves user conven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handle system controls a motion by a user, and comprises: a handle body unit configured to be controllable and accessible by a user and forming a main area of a steering handle system; a first expression unit formed on one area of the handle body unit, and having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formed to move to protrude in at least one direction to be detected by a user; a second expression unit formed on one area of the handle body unit, and having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formed to move to protrude in at least one direction to be detected by a user; and an expression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expression unit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to notify a user of motion target direc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rst expression unit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Description

조향 핸들 시스템{Steering handle system}      Steering handle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향 핸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invention relate to a steering handle system.

사용자들은 다양한 운동 수단을 이용하여 운동 또는 이동할 수 있다.Users can exercise or move using various exercise means.

이 때 사용자들은 조향 장치를 이용하여 운동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users can control the direction of movement using the steering device.

예를들면 자동차의 운전 시 사용자는 자동차의 조향 핸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driving a vehicle, a user can control the vehicle in a desired direction using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또한,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Hyundai can display information to users using various technologies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increases and technology advances.

일 예로, 시각적 정보 또는 청각적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고, 이와 다른 예로서 촉각적인 방법으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For example, visual information or auditory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and as another example, information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in a tactile manner.

한편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조향 핸들 시스템이 요구된다.Meanwhile, various types of steering handle systems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each user.

예를들면, 시각적인 방법을 통한 전달뿐 아니라,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For example, not only transmission through a visual method, but also a user whose specific sense is weakened, for exampl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actile sense is required when the visual ability is weak or absent.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알려주는 조향 핸들 시스템의 향상을 통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There is a limit in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informing such various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조향 핸들 시스템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steering handle system that improves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조향 핸들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제어 및 접근가능하고 조향 핸들 시스템의 주된 영역을 이루는 핸들 본체부, 상기 핸들 본체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제1 표현부, 상기 핸들 본체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제2 표현부 및 상기 제1 표현부 및 제2 표현부를 통하여 적어도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운동 목표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도록 상기 제1 표현부와 제2 표현부를 제어하는 표현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향 핸들 시스템을 개시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ring handle system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by a user, a handle body part that is controlled and accessible by a user and forms a main area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formed in one area of the handle body part and at least in one direction A first expression unit having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formed so as to be detectable by a user by moving to protrude, and one or more formed to be sensed by a user by being formed in one region of the handle body and protrud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first expression so as to notify the user of exercise target direc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expression unit including the expression member and the first expression unit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Disclosed is a steering handle system including an expre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expression unit and a second expression unit. .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현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의 정도 또는 제2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의 정도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도록 상기 제1 표현부와 제2 표현부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xpression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expression unit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to notify the user of the degree of direction change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degree of direction change in the second direc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 본체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동작의 제어 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user may be configured to sense the user's motion when controlling the operation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by controlling the handle body.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현 제어부는 상기 감지한 사용자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xpression control unit may be formed to use information on the sensed user's mo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조사하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user's location can be investigated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s location can be us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주변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고 상기 사용자의 주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examin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urroundings and us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urrounding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현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부 및 제2 표시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출발점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순차적으로 표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expression control unit may be formed to sequentially express a path from a user's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econd display uni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현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경고 표시를 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xpression control unit may be formed to notify the user of a warning display.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현 제어부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받은 정보를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xpression control unit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nd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steering hand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mprove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조향 핸들 시스템의 표현 제어부의 일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조향 핸들 시스템의 표현 제어부의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조향 핸들 시스템의 표현 제어부의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조향 핸들 시스템을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표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제2 표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제1 표현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조향 핸들 시스템을 적용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의 제1 표현부의 일 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hand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onal embodiment of the expression control unit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optional embodiment of the expression control unit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optional embodiment of the expression control unit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FIG. 1.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hand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hand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to which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FIG. 1 is applied.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expression unit of FIG. 7.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expression unit of FIG. 7.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of FIG. 7.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to which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FIG. 1 is applied.
12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to 2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n area of a first expression unit of a steering whee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not used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examples below,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meant to mean the presence of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the Cartesian coordinate system, and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them.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When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order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order.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at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hand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100)은 핸들 본체부(101), 제1 표현부(110), 제2 표현부(120) 및 표현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teering handle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handle body portion 101, a first expression portion 110, a second expression portion 120, and an expression control portion 140.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조향 핸들 시스템(100)은 자동차를 조향하는 핸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handle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operation by the user. For example, the steering handle system 100 may include a steering system for steering a vehicle.

다른 예로서 조향 핸들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을 제어하는 다양한 조향 핸들 시스템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구동 시스템의 조향 핸들 시스템일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teering handle system 100 may be various steering handle systems that control driving by a user, or as a specific example, may be a steering handle system of a driving system that performs various simulations.

핸들 본체부(101)는 사용자가 제어 및 접근가능하고 조향 핸들 시스템의 주된 영역을 이루는 부재일 수 있다.The handle body portion 101 may be a member that is controllable and accessible by a user and constitutes the main area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일 예로서 핸들 본체부(101)는 사용자가 적어도 일 영역을 한 손 또는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핸들 본체부(101)는 축을 중심으로 각 운동 또는 회전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자동차 핸들과 같은 원형 유사한 형태로 핸들 본체부(101)가 형성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handle body portion 101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where a user can grip at least one area with one or both hands. As a specific example, the handle body portion 101 may be formed to perform angular movement or rotational movement around an axis. That is, the handle body portion 101 may be formed in a circular-like shape such as an automobile handle.

선택적 실시예로서 핸들 본체부(101)는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핸들 본체부(101)의 조작, 예를들면 핸들 본체부(101)의 좌, 우 회전을 통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방향 전환을 진행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handle body portion 101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part (not shown), and left or right through manipulat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for exampl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You can proceed with the change of direction.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핸들 본체부(101)는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기둥 형태와 같이 스틱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another optional embodiment, the handle body 101 may have various shapes to be controlled by a user,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stick, for example, a pillar shape.

제1 표현부(110)는 상기 핸들 본체부(101)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and moving to protrude in at least one direction so that a user can sense it.

구체적으로 제1 표현부(110)는 복수의 표현 부재를 구비하고, 표현 부재가 일 방향, 예를들면 핸들 본체부(101)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상승 및 하강 운동하도록 형성되어 돌출 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pression members, the expression member is forme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so as to protrude to the surface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user senses when protruding It is formed to do.

예를들면 제1 표현부(110)는 핸들 본체부(101)의 영역 중 제1 방향을 향하는 영역, 구체적으로 좌측 방향을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be formed in a region facing the first direction, specifically, a region facing the left direction, among the regions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표현부(110)는 핸들 본체부(101)의 영역 중 좌측 손으로 파지하는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region gripped with the left hand among the regions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표현부(110)는 핸들 본체부(101)의 영역 중 좌측 손으로 파지하는 영역에, 핸들 본체부(10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핸들 본체부(101)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파지 시 사용자의 손의 다양한 영역에 동시 또는 상이한 시기에 제1 표현부(110)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handle body unit 101 in a region gripped with the left hand among the regions of the handle body unit 101, and the handle body unit 101 )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r the back of the device, and through this, the user may notify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t the same time or at different times in various areas of the user's hand when gripping.

제1 표현부(110)의 복수의 표현 부재의 돌출을 통하여 사용자는 감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가 촉각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다.The user may sense through the protrusion of the plurality of expression members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for example, the user may sense through tactile sense.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돌출을 시각을 통한 감지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재의 단부에 색상을 형성 또는 광을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be sensed through vision. In particular, when forming a color or light at the end of the expression member, this visual effect may be increased.

제2 표현부(120)는 상기 핸들 본체부(101)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that ar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and move so as to protrude in at least one direction so that a user can sense it.

구체적으로 제2 표현부(120)는 복수의 표현 부재를 구비하고, 표현 부재가 일 방향, 예를들면 핸들 본체부(101)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상승 및 하강 운동하도록 형성되어 돌출 시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pression members, the expression member is forme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so as to protrude to the surface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user senses when protruding It is formed to do.

예를들면 제2 표현부(120)는 핸들 본체부(101)의 영역 중 제2 방향을 향하는 영역, 구체적으로 우측 방향을 향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formed in a region facing the second direction, specifically, a region facing the right direction, among the regions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표현부(120)는 제1 표현부(110)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표현부(120)는 제1 표현부(110)와 중첩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표현 부재의 돌출 위치로 제1 표현부(110)와 구분될 수도 있다.As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form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by protruding positions of a plurality of expression members. .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표현부(120)는 핸들 본체부(101)의 영역 중 우측 손으로 파지하는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region gripped with the right hand among the regions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표현부(120)는 핸들 본체부(101)의 영역 중 우측 손으로 파지하는 영역에, 핸들 본체부(10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핸들 본체부(101)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파지 시 사용자의 손의 다양한 영역에 동시 또는 상이한 시기에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handle body unit 101 in a region gripped by a right hand among the regions of the handle body unit 101, and the handle body unit 101 )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r the back of the device, and through this, the user may notify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at the same time or at different times in various areas of the user's hand when gripping.

제2 표현부(120)의 복수의 표현 부재의 돌출을 통하여 사용자는 감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가 촉각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다.The user may sense through the protrusion of the plurality of expression members of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for example, the user may sense through tactile sense.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표현부(120)의 표현 부재의 돌출을 시각을 통한 감지일 수 있다. 특히 이 때 표현 부재의 단부에 색상을 형성 또는 광을 형성할 경우 이러한 시각적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sensed through vision. In particular, when forming a color or light at the end of the expression member, this visual effect may be increased.

표현 제어부(140)는 상기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적어도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운동 목표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도록 상기 제1 표현부(110)와 제2 표현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may notify the user of exercise target direc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controlled.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fferent directions.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방향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우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rections intersecting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toward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user,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toward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user.

예를들면 표현 제어부(140)를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좌측으로 방향을 전환하여야 하는 경우, 구체적인 예로서 교차로에서 좌회전이 필요한 경우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운동, 예를들면 돌출을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1 방향으로의 전환을 고지하고, 사용자는 이에 따라 핸들 본체부(101)를 제1 방향으로 제어하여 좌회전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needs to switch the direction to the left through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as a specific example, when a left turn is required at an intersection, movement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for example, through protrusion The user is notified of the chang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user can control the handle main body 101 in the first direction to make a left turn accordingly.

상기의 목표 방향, 예를들면 제1 방향으로의 전환은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100)은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조사할 수 있다.The target direction, for example, switching to the first direction may be based on a navigation application. As a specific example, the steering handle system 100 of this embodiment may set a destination using a navigation application, and may survey a user's real-time location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 예를들면 자동차를 구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방향을 전환 하려는 곳에서 목표 방향, 즉 상기의 예에서와 같이 교차로에서 좌회전이 필요한 경우 제1 표현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방향을 전환하게 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user moves, for example, when driving a car, when the user wants to change direction in real time, the target direction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first expressing unit 110 when a left turn is required at the intersection, as in the above example.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user.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제어 편의는 향상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지도 화면을 보지 않고도 제1 표현부(110)를 감지하여 원하는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s control convenience can be improved, and as a specific example, the user may change the desired direction by detecting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without looking at the map screen through the navigation application.

또한, 나아가 사용자가 시력이 약하거나 시력이 소멸된 경우에 전방에 대한 주시를 약하게 할 수 있거나 아예 불가한 경우에 원하는 목표로의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weaken the gaze on the front when the eyesight is weak or the eyesight is lost, or if it is impossible at all, the direction change to the desired target can be easily performed.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제어부(140)는 목적지까지의 지도를 미리 사용자에게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고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expression controller 140 may notify the user of the map to the destination in advance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예를들면 목적지까지의 지도상 제1 교차로에서 좌회전, 그다음 제2 교차로에서 우회전, 그 다음 제3 교차로에서 직진 및 제4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운동 전에 미리 순차적으로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 제2 표현부(120)의 표현 부재,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의 표현 부재,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를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내비게이션 지도를 보지 않고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미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on the map to the destination, turn left at the first intersection, then turn right at the second intersection, then go straight at the third intersection and turn left at the fourth intersection. ),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and finally through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It is possible to allow a user to check a route to a destination in advance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without looking at the navigation map.

표현 제어부(1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의 운동 목표 방향 정보를 고지하여 사용자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운동 목표 방향대로 핸들 본체부(101)를 조작할 수 있다.Through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the user may notify the user of the movement target direc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handle body portion 101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target in the direc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100)은 이러한 핸들 본체부(101)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또는 조작량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핸들 본체부(101)를 통한 구동부(미도시)의 구동 시 구동한 양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조작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는 운동하는 부재, 예를들면 자동차의 휠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teering handle system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detect information about a user's manipulation or manipulation amount with respect to the handle main body 101.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user's manipulation amount by grasping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driving when the driving unit (not shown) is driven through the handle body 101. Such a driving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of a moving member, for example, a wheel of a vehicle.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의 운동 방향이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감지부의 실시간 감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 또는 조작량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 자동차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방향 전환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실시간 전환 및 전환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user's movement direction or location may be included, and information about a user's manipulation or manipulation amount may be detected through real-time detection of the detection unit. For example, when a user drives a car, information about a user's direction change degree can be sensed in real time through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car. In addition, one or more motion sensors may be used to detect real-time switching of a user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and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switching.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조사하고, 사용자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실시간 전환 및 전환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ay be used to investigate a user's real-time location and detect information about a user's real-time switching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degree of switching.

표현 제어부(1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의 운동 목표 방향 정보를 고지하여 사용자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운동 목표 방향대로 핸들 본체부(101)를 조작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대로 이러한 조작에 대한 조작량 정보를 감지하여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제어하여 운동 방향 완료점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rough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the user may notify the user of the movement target direction informati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Operating the handle body portion 101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target in the direction, and controlling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as an optional embodiment by detecting manipulation amount information for such manipulation as described abov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completion point of the movement direction.

일 예로서, 교차로에서 표현 제어부(140)를 통하여 목표 방향, 예를들면 좌회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돌출 운동을 통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고, 사용자는 핸들 본체부(101)를 조작하여 좌회전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가 핸들 본체부(101)를 좌로 돌려 핸들 본체부(101)에 대한 각 운동을 진행할 수 있고, 좌회전이 완료되어 다시 직진 운동을 하려는 경우에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돌출 운동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a target direction, for example, a left turn, is required through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at an intersection, the user is notified through the protruding movement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user handles Left rotation may be performed by operating the main body 101.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user can turn the handle body portion 101 to the left and proceed with each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handle body portion 101, when the left rotation is completed and wants to go straight again, the expression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It is possible to stop the projecting motion of the member.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제어하여 운동 방향 임계점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motion direction threshold information.

예를들면, 교차로에서 표현 제어부(140)를 통하여 목표 방향, 일 예로 좌회전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돌출 운동을 통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고,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가 핸들 본체부(101)를 좌로 45도 정도 돌려서 운동을 좌회전을 하여야 하는 경우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target direction, for example, a left turn is required through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at an intersection, the user is notified through a protruding movement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as a specific example, the user It may be the case that the left side of the motion should be rotated by turning the handle body portion 101 about 45 degrees to the left.

사용자는 핸들 본체부(101)를 조작하여 좌회전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핸들 본체부(101)에 대한 각 운동을 진행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핸들 본체부(101)에 대한 각 운동을 지속하여 45도에 도달 후에도 계속 핸들 본체부(101)를 돌리려고 하는 경우에 표현 제어부(140)를 통하여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에 이러한 임계점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 The user may proceed to the left turn by operating the handle body 101. As a specific example, each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handle body portion 101 may be performed, and the user may continue to rotate each hand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body portion 101 to continue turning the handle body portion 101 even after reaching 45 degrees. In this case, the threshold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through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에 대한 돌출 표시 방법이 달라지게 할 수 있고, 일 예로서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돌출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As an exemplary embodiment, a method of displaying a protrusion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be changed, and as an example, the projection speed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be increased.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방향으로의 임계점에 도달 시 제2 표현부(120)의 표현 부재가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Also, as another alternative embodiment, when the critical point in the first direction is reached,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protruded.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정밀한 핸들 본체부(101)의 조작을 진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proceed with the manipulation of the precise handle body portion 101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도 2는 도 1의 조향 핸들 시스템의 표현 제어부의 일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onal embodiment of the expression control unit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조향 핸들 시스템의 표현 제어부(140)는 경로 표현 제어부(141) 및 방향 표현 제어부(142)를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shows a path expression control unit 141 and a direction expression control unit 142.

경로 표현 제어부(141)는 사용자로 하여금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route expression control unit 141 may sequentially display a route to a destination by the user.

이 때, 이러한 목적지 경로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한 결과, 예를들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것일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은 음성 입력, 터치 입력 등 다양한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이미 등록된 목적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such a destination path may be a result through a user's input, for example, through a navigation application, and the user's input may be various methods such as voice input and touch input. In addition, it may include destination information already registered.

경로 표현 제어부(141)는 사용자의 운동 전에, 예를들면 사용자가 자동차를 구동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출발전에 목적지 경로를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고지할 수 있다. 즉, 목적지까지의 교차로에서의 방향 전환 및 직진 등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한번에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The route expression control unit 141 may notify the destination route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before the user's exercise, for example, before the user drives the vehicle to the desired destination before departure. . That is,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notify the user of contents such as direction change and straightness at an intersection to a destination at a time.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운동 중에, 예를들면 상기 목적지 경로중의 일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남은 경로를 상기와 같이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고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현재 지점에서 목적지까지의 교차로에서의 방향 전환 및 직진 등의 내용을 순차적으로 한번에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user may notify the remaining route from one point in the destination route to the destination during exercise, for example,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as described above. . That is,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notify the user of contents such as direction change and straightness at an intersection from the user's current point to the destination at a time.

경로 표현 제어부(141)를 통한 고지는 사용자의 선택 없이 진행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선택이 있을 경우 진행될 수 있다.Notification through the path expression control unit 141 may proceed without a user's selection,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when there is a user's selection.

예를들면 사용자가 자동차의 운행 전에 경로에 대한 전체적인 개략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있을 경우 경로 표현 제어부(141)가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제어하여 경로를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input when the user wants to know the overall outline information about the route before driving the vehicle, the route expression control unit 141 controls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You can announce the route.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은 다양할 수 있고, 이러한 입력을 인식하는 곳은 핸들 본체부(101)에 있을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이와 별도로 배치된 영역일 수도 있다.The user's selection input may be various, and the place where the input is recognized may be in the handle body 101, or as another example, an area separately arranged.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핸들 본체부(101)의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 예를들면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의 적어도 일 영역의 표현 부재들 중의 일부가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입력, 구체적으로 가압 시 이러한 입력 정보로 인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at least one region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of the handle body unit 101, for example,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Some of the expression members of at least one area of) are formed to sense the input, and may be recognized by the user's input, specifically, such input information when pressed.

방향 표현 제어부(142)는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전환하여야 할 목표 방향을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direction expression control unit 142 may enable the user to notify the user of a target direction to be switched in real time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이러한 표시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방향으로 전환이 필요한 경우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들이 돌출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운동을 감지하여 제1 방향으로의 방향 전환이 필요함을 감지할 수 있다.The display method may be various. For example, when switching in the first direction is required, the expression members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make the projecting movement. The user may sense the motion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to detect the need to change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방향 표현 제어부(142)는 제1 방향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필요한 전환의 정도에 따라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돌출 운동의 정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방향, 구체적으로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자 기준으로 10시 방향 기준으로 좌회전이 필요한 경우와 8시 방향 기준으로 좌회전이 필요한 경우를 다르게 하여 제1 표현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irection expression control unit 142 may differently control the degree of the protruding motion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degree of switching required when switching to the first direction is required. For example, when the left direction needs to be turned at the inters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specifically,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is controlled by differently when the left turn is required based on the 10 o'clock position and the case where the left turn is required based on the 8 o'clock direction as a user standard. can do.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이동 중 사용자 기준으로 10시 방향 기준으로 좌회전이 필요한 경우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돌출된 개수와 8시 방향 기준으로 좌회전이 필요한 경우의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돌출된 개수가 상이할 수 있고,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더 많은 운동이 필요한 경우에 표현 부재의 돌출 개수가 많게 제어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needs to turn left at 10 o'clock based on the user's movement,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when the number of protrusions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ng unit 110 and the left turn based on the 8 o'clock direction are needed The number of protruding members of the expression member may be different, and as an alternative embodiment, when more movement is required, the number of protruding members of the expression member may be controlled.

또한, 다른 예로서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돌출된 개수를 제어하는 것 대신 돌출 속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Also, as another example, instead of controlling the number of protruding members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ng unit 110, the protruding speed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또한,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가 복수 개 구비되고, 돌출된 영역을 상이하게 하여, 즉 예를들면 사용자가 파지할 경우 손바닥이 감지하는 위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xpression members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be provided, and the protruding areas may be different, that is, for example, a position sensed by the palm when the user grips may be controlled.

또한,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가 한 개이고 돌출되는 타입, 즉 돌출되는 횟수를 상이하게 하거나, 한 개의 표현 부재일 경우 서로 상이한 영역을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on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have a different type of protrusion, that is, the number of protrusions, or it may be controlled to protrude different regions from each other in the case of one expression member.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방향 표현 제어부(142)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전진 또는 후진의 방향 표현을 하도록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irection expression control unit 142 may control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to express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based on the user.

예를들면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용자가 후진, 구체적으로 주차 시에 후진 방향을 고지하도록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제어할 수도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에 구비된 표현 부재들 중 돌출되는 표현 부재들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일 예로서 사용자와 근접한 영역의 표현 부재는 후진을 고지하고 사용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의 표현 부재는 전진을 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operating the vehicle may control the first expressing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ng unit 120 so as to notify the reverse direction when reversing, specifically when parking, or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expressing unit ( 110) or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expression members among the expression members provided in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controlled, and as an example, the expression member in an area close to the user may notify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area far away from the user. The absence of expression can inform progress.

도 3은 도 1의 조향 핸들 시스템의 표현 제어부의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optional embodiment of the expression control unit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FIG. 1.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의 표현 제어부(140')는 방향 전환 표현 제어부(142'), 전환 정도 표현 제어부(144') 및 전환 완료 표현 제어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irection change expression control unit 142 ′, a conversion degree expression control unit 144 ′, and a conversion completion expression control unit 146.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제어부(140')는 방향 전환 표현 제어부(142'), 전환 정도 표현 제어부(144') 및 전환 완료 표현 제어부(146) 중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 may optionally include one or more of the direction switching expression control unit 142 ′, the switching degree expression control unit 144 ′, and the switching completion expression control unit 146.

방향 전환 표현 제어부(142')는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목표 방향으로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전환을 해야 함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rection change expression control unit 142 ′ may indicate to the user that the target direction should be switched to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전환 정도 표현 제어부(144')는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목표 방향으로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전환을 해야 하는 경우에 전환의 정도에 따라 그 차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도록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version degree expression control unit 144 ′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version when the user needs to switch to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as the target direction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Accordingly,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so that the difference can be detected.

예를들면 제1 방향으로의 전환, 구체적 예로서 교차로에서 사용자가 좌회전하도록 하여야 하는 경우에 제1 표현부(110)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1 방향의 표시를 감지할 수 있고, 전환 정도 표현 제어부(144')는 제1 표현부(110)를 제어하여 좌회전의 정도, 구체적으로 30도 좌회전인지 60도 좌회전인지를 구분하여 제1 표현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needs to make a left turn at a crossroad in a first direction, for example, at an intersection, the user can sense the display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degree of conversion expression control unit ( 144 ') may control the first expressing unit 110 to control the first expressing unit 110 by distinguishing the degree of left turn, specifically, whether it is a 30-degree left or a 60-degree left turn.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표현부(110)에 구비된 표현 부재들의 돌출된 개수를 제어하거나, 복수의 표현 부재들 중 돌출된 표현 부재가 배치된 영역 등을 제어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number of protruding expression members provided in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be controlled, or an area in which the protruding expression member is disposed among a plurality of expression members may be controlled.

전환 완료 표현 제어부(146')는 사용자가 핸들 본체부(102)등을 통하여 운동을 제어 중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방향을 전환 중에 방향 전환 동작의 임계 표시를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로 하여금 하게 할 수 있다.The switching completion expression control unit 146 'displays the threshold display of the direction switching operation while the user is controll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while controlling the movement through the handle body 102 or the like. )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또한, 전환 완료 표현 제어부(146')는 사용자가 핸들 본체부(102)등을 통하여 운동을 제어 중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방향을 전환 중에 방향 전환 동작을 중지하고 원상 복귀 표시를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로 하여금 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completion expression control unit 146 'stops the direction switching operation and provides a return to the original display while the user is switching the dir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during the movement control through the handle body portion 102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make the 1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도 4는 도 1의 조향 핸들 시스템의 표현 제어부의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optional embodiment of the expression control unit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FIG. 1.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의 표현 제어부(140")는 시동 여부 표현 제어부(141"), 속도 변화 표현 제어부(143"), 경고 표현 제어부(145") 및 사용자 정보 표현 제어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tart or absence expression control unit 141 ″, a speed change expression control unit 143 ″, a warning expression control unit 145 ″, and a user information expression control unit ( 147 ").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현 제어부(140")는 시동 여부 표현 제어부(141"), 속도 변화 표현 제어부(144"), 경고 표현 제어부(145") 및 사용자 정보 표현 제어부(147") 중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expression control unit 140 "may selectively select one of the expression expression control unit 141", the speed change expression control unit 144 ", the warning expression control unit 145", and the user information expression control unit 147 ". It may also include more.

시동 여부 표현 제어부(141")는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동 여부를 고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자동차의 운행을 제어하는 경우에 시동 여부, 구체적으로 시동을 거는 경우와 끄는 경우를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동 여부는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의 제1 방향 전환 또는 제2 방향 전환 표시와는 다른 형태로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 부재의 돌출 개수, 돌출 속도, 돌출 영역 등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Whether the engine is started or not may be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the first expressing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ng unit 120. For example, when the use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ehicle, start Whether or not to start or turn off specifically,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notified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The user may be notified to the user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change or the second direction change display of 120. For example, the number of protrusions of the expression member, the protrusion speed, the protrusion area, and the like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시동 여부 표현 제어부(141")는 핸들 본체부에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와 별도로 형성된 영역을 통하여 시동 여부를 알려줄 수 있고, 예를들면 핸들 본체부의 진동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tart or absence expression control unit 141 "may notify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started through an area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in the handle bod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through vibration of the handle body.

속도 변화 표현 제어부(143")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가 운동 중에 운동의 속도 변화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규정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이를 고지할 수 있다.The speed change expression control unit 143 "allows the user to notify the user of the speed change of the movement during the exercise, for example, if the user exceeds the specified speed,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This may be notified through the expression unit 120.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가 핸들 본체부를 통한 자동차의 운행 중 사용자가 운행하는 자동차의 속도의 변화를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고지할 수 있고, 설정 속도를 초과 시 이를 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속도 변화 여부는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의 제1 방향 전환 또는 제2 방향 전환 표시와는 다른 형태로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 부재의 돌출 개수, 돌출 속도, 돌출 영역 등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user may notify a change in the speed of the vehicle that the user is driving through the first body 110 or the second body 120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rough the handle main body, and when the set speed is exceeded You can notify this. The speed change may be notified to the user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change or the second direction change display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For example, the number of protrusions of the expression member, the speed of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area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속도 변화 표현 제어부(143")는 핸들 본체부에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와 별도로 형성된 영역을 통하여 속도 변화 여부를 알려줄 수 있고, 예를들면 핸들 본체부의 진동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speed change expression control unit 143 "may notify whether the speed is changed through an area formed separately from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in the handle body, for example For example, the user may be notified through the vibration of the handle body.

경고 표현 제어부(145")는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경고 표시를 고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자동차의 운행을 제어하는 경우에 과속시 과속에 대한 경고 표시, 운동 방향이 똑바르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좌우로 바뀌는 경우,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한 방향 표시에 대하여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 등에 사용자에게 경고 표시를 고지할 수 있다.The warning expression control unit 145 "may notify the user of various warning indications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For example, when the user controls driving of the vehicle, speeding is performed. Warning warning for speeding, warning of the user when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not straight and is abnormally changed to left and right, when there is no reaction to the direction display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The notice can be posted.

이러한 경고 표시는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의 제1 방향 전환 또는 제2 방향 전환 표시와는 다른 형태로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 부재의 돌출 개수, 돌출 속도, 돌출 영역 등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warning display may notify the user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change or second direction change display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For example, the number of protrusions of the expression member, the speed of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area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고 표현 제어부(145")는 핸들 본체부에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와 별도로 경고 표시를 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핸들 본체부의 진동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warning expression control unit 145 "may display a warning separately from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in the handle body portion, for example, vibrat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etc. Through this, the user can be notified.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고 표현 제어부(145")는 외부에서 소음이나 특별한 소리들, 예를들면 다른 자동차가 과속하여 큰 소리를 내거나 다른 자동차가 급정거하는 등의 큰 소리가 나는 경우에 이러한 소음의 방향을 사용자가 표시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 기준으로 우측 또는 좌측에서 이러한 소리가 발생할 경우 그 방향을 고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warning expression control unit 145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noise when there is a loud noise such as noise or special sounds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nother vehicle speeding up, or another vehicle suddenly stops. It can be display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sound is generated on the right or left side based on the user, the direction can be announced.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고 표현 제어부(145")는 사용자가 방향 전환 시 필요한 정보, 예를들면 방향 전환등을 켜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이러한 것을 고지할 수있고, 예를들면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고지하거나, 이와 별도로 경고 표시를 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핸들 본체부의 진동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warning expression control unit 145 "may notify the user of this, if the user does not turn on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rection change, for example, the direction change light, for example,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lternatively,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notified or a warning may be displayed separately, for example, the user may be notified through vibration of the handle body.

선택적 실시예로서 경고 표현 제어부(145")는 사용자가 졸음 운전을 하는 경우 경고를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졸음 운전 여부는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는데, 핸들 본체부가 사용자의 파지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예를들면 급격하게 파지 압력이 감소한 경우를 졸음 운전의 경우로 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warning expression control unit 145 "may warn the user when he or she is drowsy. Whether the user is drowsy or not can be variously determined. The handle body portion senses the user's gripping pressure and changes the pressure. When occurs, 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gripping pressure decreases rapidly can be regarded as a case of drowsy driving.

또한, , 핸들 본체부에 또는 핸들 본체부와 별도로 구비된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머리가 갑자기 숙여지거나 사용자의 눈이 오랫동안 깜빡이지 않는 경우를 졸음 운전의 경우로 파악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ase in which the user's head suddenly bows or the user's eyes do not blink for a long time may be grasped as a drowsy driving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the handle body part or separately from the handle body part.

방향 전환 시 필요한 정보, 예를들면 방향 전환등을 켜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이러한 것을 고지할 수있고, 예를들면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고지하거나, 이와 별도로 경고 표시를 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핸들 본체부의 진동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f information necessary for direction change, for example, a direction change light is not turned 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for example,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or A warning may be displayed separately, and the user may be notified, for example, through vibration of the handle body.

시동 여부, 구체적으로 시동을 거는 경우와 끄는 경우를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동 여부는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의 제1 방향 전환 또는 제2 방향 전환 표시와는 다른 형태로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표현 부재의 돌출 개수, 돌출 속도, 돌출 영역 등을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Whether or not to start, specifically when starting and turning off may be notified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Whether or not such starting is started may notify the user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change or the second direction change display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For example, the number of protrusions of the expression member, the speed of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area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사용자 정보 표현 제어부(147")는 핸들 본체부를 통하여, 예를들면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사용자가 좌회전을 하는 경우에 제1 표현부(110)를 통하여 사용자가 좌회전하고 있음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운동 정보는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표현부(110)를 통하여 목표하는 제1 방향, 예를들면 좌회전을 표시하는 경우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expression control unit 147 "may display the user's exercise information through the handle body, for example,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As a specific example, the user turns left In the case of, it is possible to display in real time that the user is turning left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The user movement information is a first direction targeted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case of indicating a left turn.

구체적인 예로서 교차로 등에서 좌회전(예를들면 제1 방향)을 해야 하는 경우에 제1 표현부(110)를 통하여 사용자는 이를 감지하고 제1 방향, 즉 좌회전을 의도한 핸들 본체부에 대한 조작을 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운동, 즉 자동차의 좌회전의 정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의 돌출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고지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when a left turn (eg, the first direction) needs to be made at an intersection, the user senses this through the first expressing unit 110 and performs manipula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handle body part intended to turn left. At this time, this information may be notified to the us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user's manipulation, that is, through the protrusion of the expression memb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degree of left turn of the vehicle.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 때, 사용자의 운동 중에 완료점에 대한 정보를 고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한 운동 제어를 하게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at this time, the user may notify the information on the completion point during the exercise to allow the user to easily control the exercise.

구체적인 예로서 제1 표현부(110)를 통하여 목표 방향으로서의 제1 방향 표시, 사용자가 이에 따라 핸들 본체부 좌회전 조작, 제1 표현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좌회전 운동을 점진적으로 표시 및 목표한 좌회전 운동을 완료해야 하는 경우에 제1 표현부(110)를 통하여 완료점 또는 원상 복귀점을 표시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direction as a target direction is displayed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the user rotates the handle body part accordingly, and gradually displays and targets the user's left rotation movement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When a left turn motion needs to be completed, a process of displaying a completion point or an original return point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은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예를들면 사용자의 핸드폰과 블루투쓰 등의 다양한 통신을 통하여 핸드폰으로부터 온 정보를 표현 제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this embodiment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phone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such as a user's mobile phone and Bluetooth,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이는 제1 표현부 또는 제2 표현부를 이용하여 설정된 표시를 하여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표현부 또는 제2 표현부이외의 별도의 표현부를 이용하거나 핸들 본체부의 일면에 대한 돌출을 이용할 수도 있다.This may be performed by displaying the set using the first expression unit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As another example, a separate expression unit other than the first expression unit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may be used, or a protrusion on one surface of the handle body unit may be used.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은 사용자가 핸들 본체부를 통한 조작으로 다양한 구동의 제어를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사용자가 자동차를 운행 시 자동차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user to control various driving by manipulating through the handle body portion, for example, the user can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when driving the vehicle.

이 때 표현 제어부는 제1 표현부 및 제2 표현부를 제어하여 핸들 본체부에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 즉 운동 목표 방향을 표현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의 예에서 자동차를 원하는 방향, 구체적으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pression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first expression unit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to express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that is, a movement target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sense the handle body unit.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proceed in a desired direction in the above example, specifically, a left turn or a right turn.

필요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의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다.You can also set the direction of forward or reverse as needed.

다양한 사용자들이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들면 시력이 약하거나 소멸된 사용자의 경우에도 핸들 본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촉감을 통하여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한 목표 방향을 감지하여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Various users can use such a system, and fo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a user with weak eyesight or extinction, the target direction for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s sensed through the tactile feeling in the gripping state of the handle body. Can be controlled.

선택적으로 이러한 목표 방향으로 방향 전환 시 임계점등에 대한 정보를 고지할 수도 있어 사용자는 핸들 본체부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운동을 개시 또는 유지하고 중지할 수도 있다.Optionally, when the direction is switched to the target direction, information on the critical lighting may be notified, and the user may stably start or maintain and stop the movement through the handle body.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정밀도 및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ecision and accuracy of the user's motion by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mo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주변의 정보를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고지하여 사용자의 운전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user's driving by sens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urroundings and notifying the user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s.

본 실시예 및 후술하는 모든 예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모든 운동체, 예를들면 헬리콥터와 같은 비행체도 가능하고, 배나 잠수함 같은 해상 운동체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This embodiment and all examples described below may be applied not only to automobiles, but also to all vehicles, such as helicopters, and to marine vehicles such as ships and submarine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hand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200)은 핸들 본체부(201), 제1 표현부(210), 제2 표현부(220), 표현 제어부(240) 및 사용자 운동 정보 조사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steering handle system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eering wheel body unit 201, a first expressing unit 210, a second expressing unit 220, a expressing control unit 240, and a user mo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unit 260 ).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200)은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조향 핸들 시스템(200)은 자동차를 조향하는 핸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handle system 200 of this embodiment may control an operation by a user. For example, the steering handle system 200 may include a steering system for steering a vehicle.

다른 예로서 조향 핸들 시스템(200)은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을 제어하는 다양한 조향 핸들 시스템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구동 시스템의 조향 핸들 시스템일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teering handle system 200 may be various steering handle systems that control driving by a user, or as a specific example, may be a steering handle system of a driving system that performs various simulations.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핸들 본체부(201)는 사용자가 제어 및 접근가능하고 조향 핸들 시스템의 주된 영역을 이루는 부재일 수 있다.The handle body portion 201 may be a member that is controllable and accessible by a user and forms a main area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제1 표현부(210)는 상기 핸들 본체부(201)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expression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handle body 201 and moved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so that a user can sense it.

제2 표현부(220)는 상기 핸들 본체부(201)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expression unit 220 may include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201 and moved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so that a user can sense it.

표현 제어부(240)는 상기 제1 표현부(210) 및 제2 표현부(220)를 통하여 적어도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운동 목표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도록 상기 제1 표현부(210)와 제2 표현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expression control unit 240 may notify the user of exercise target direc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2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220. The first expression unit 2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220 may be controlled.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fferent directions.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방향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우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rections intersecting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toward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user,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toward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user.

사용자 운동 정보 조사부(260)는 사용자의 실시간의 위치를 조사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The user movement information investigation unit 260 may inspect a user's real-time location, and for this purpose, various systems such a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ay be used.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운동 정보 조사부(260)는 사용자의 핸들 본체부(201)에 조작 또는 조작량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운동의 정도, 운동 방향 또는 사용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user mo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unit 260 may detect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or manipulation amount on the handle body 201 of the user, thereby detecting the degree of motion, the direction of motion, or the user's posi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운동 정보 조사부(260)는 핸들 본체부(201)를 통하여 구동하는 구동부의 구동 시 구동부의 구동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운동의 정도 또는 운동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user movement information investigation unit 260 may detect information on driving of the driving unit when driving the driving unit that is driven through the handle body unit 201, and through this, the user's movement degree or direction of movement Information can be detected.

또한, 다른 예로서 사용자 운동 정보 조사부(260)는 사용자의 운동 방향이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감지부의 실시간 감지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 또는 조작량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자동차를 운전하는 경우 자동차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방향 전환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실시간 전환 및 전환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investigation unit 260 may include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user's movement direction or position, and detect information about a user's manipulation or manipulation amount through real-time detection of the detection unit. For example, when a user drives a car, information about a user's direction change degree can be sensed in real time through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car. In addition, one or more motion sensors may be used to detect real-time switching of a user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and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switching.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200)은 전술한 도 2의 일 선택적 실시예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teering handle system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selectively apply the one optional embodiment of FIG. 2 described above.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200)은 전술한 도 3의 선택적 실시예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도 4의 선택적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steering handle system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selectively apply the above-described optional embodiment of FIG. 3 and may also apply the optional embodiment of FIG. 4.

본 실시예는 사용자 운동 정보 조사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정밀도 및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improve the precision and accuracy of the user's exercise by detecting information about the user's exercise, including the user exercise information investigation unit.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hand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300)은 핸들 본체부(301), 제1 표현부(310), 제2 표현부(320), 표현 제어부(340) 및 사용자 주변 정보 조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teering handle system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steering wheel body part 301, a first expressing part 310, a second expressing part 320, a expressing control part 340, and a user surrounding information investigation part 370 ).

본 실시예의 조향 핸들 시스템(300)은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조향 핸들 시스템(300)은 자동차를 조향하는 핸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handle system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trol the operation by the user. For example, the steering handle system 300 may include a steering system for steering a vehicle.

다른 예로서 조향 핸들 시스템(300)은 사용자에 의하여 구동을 제어하는 다양한 조향 핸들 시스템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는 구동 시스템의 조향 핸들 시스템일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teering handle system 300 may be various steering handle systems that control driving by a user, or as a specific example, may be a steering handle system of a driving system that performs various simulations.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핸들 본체부(301)는 사용자가 제어 및 접근가능하고 조향 핸들 시스템의 주된 영역을 이루는 부재일 수 있다.The handle body portion 301 may be a member that can be controlled and accessed by a user and forms a main area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제1 표현부(310)는 상기 핸들 본체부(301)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expression unit 310 may include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301 and moved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so that a user can sense it.

제2 표현부(320)는 상기 핸들 본체부(301)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expression unit 320 may be provided in one reg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301 and may have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formed so as to be detectable by a user by moving to protrude in one direction.

표현 제어부(340)는 상기 제1 표현부(310) 및 제2 표현부(320)를 통하여 적어도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운동 목표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도록 상기 제1 표현부(310)와 제2 표현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The expression control unit 340 may notify the user of exercise target direc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3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320. The first expression unit 3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320 may be controlled.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상이한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fferent directions.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방향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사용자를 기준으로 우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rections intersecting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toward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user,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toward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user.

사용자 주변 정보 조사부(370)는 사용자의 주변 정보를 조사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운동하는 주변의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The user's surrounding information investigation unit 370 may inspect the user's surrounding information,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may examine the user's exercising surrounding information.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주변 정보 조사부(370)는 사용자의 주변의 도로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로의 경계선, 구체적으로 좌 또는 우측 경계선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user surrounding information investigation unit 370 may inspect information about a road around the user,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a road boundary line, specifically, a left or right boundary line.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주변 정보 조사부(370)는 사용자의 주변의 도로에 존재하는 장애물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사할 수 있고, 예를들면 도로의 경계선, 구체적으로 좌 또는 우측 경계선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user surrounding information investigation unit 370 may inspect information on obstacles existing in the road around the user in real time, for example, investigate information about a boundary line of the road, specifically, a left or right boundary line. can do.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주변 정보 조사부(370)가 조사한 정보를 이용하여 핸들 본체부(301)를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고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표현부(310) 또는 제2 표현부(320)를 통하여 고지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user may notify the user of the handle body 301 using the information surveyed by the user surrounding information investigation unit 370, for example, the first expression unit 3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 320).

본 실시예는 사용자 주변 정보 조사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안정성 및 정밀성을 향상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may improve stability and precision of a user's movement by including a user surrounding information investigation unit.

도 7은 도 1의 조향 핸들 시스템을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표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제2 표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조향 핸들 시스템을 적용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to which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FIG. 1 is applied. FIG. 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the first expression unit of FIG. 7, and FIG. 9 is a diagram for describing the second expression unit of FIG. 7. 11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to which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FIG. 1 is applied.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예시의 조향 핸들 시스템은 핸들 본체부(101),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7 to 9,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this example may include a handle body portion 101, a first expression portion 110, and a second expression portion 120.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핸들 본체부(101)는 원형 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현부(110)는 사용자 기준으로 좌측 손으로 파지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제2 표현부(120)는 사용자 기준으로 우측 손으로 파지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7 to 9, the handle body portion 101 may include a circular wheel shape.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be formed in a region gripped with the left hand based on the user,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formed in a region gripped with the right hand based on the user.

그러나 핸들 본체부(101)는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 예로서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틱 형태의 핸들 본체부(101)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1 표현부(110)는 핸들 본체부(101)의 좌측면, 제2 표현부(120)는 핸들 본체부(101)의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handle body portion 101 may have various forms that can be controlled by a user, and as an example, the handle body portion 101 may have a stick shape as illustrated in FIG. 11. In this case,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and the second expression portion 120 may be formed on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도 8을 참조하면 제1 표현부(110)는 핸들 본체부(101)의 일 영역에 형성된 개구(110a)를 통하여 돌출 운동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111 formed to protrude through an opening 110a formed in an area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도 9를 참조하면 제2 표현부(120)는 핸들 본체부(101)의 일 영역에 형성된 개구(120a)를 통하여 돌출 운동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include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121 formed to protrude through an opening 120a formed in an area of the handle body portion 101.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111) 및 제2 표현부(120)의 표현 부재(121)들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1 방향 및 이와 상이한 방향으로의 방향 표시를 하여 사용자는 이를 감지, 예를들면 촉감으로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제1 방향(예를들면 좌측)으로 핸들 본체부(101)를 조작하거나 제2 방향(예를들면 우측)으로 핸들 본체부(101)를 조작할 수 있다.Through the expression member 111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expression members 121 of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a direction is displayed to the user in a first direction and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user, and the user detects this, eg For example, it may be sensed as a touch, and accordingly, the handle body 101 may be operated in a first direction (eg, the left side) or the handle body 101 may be operated in a second direction (eg, the right side).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111) 및 제2 표현부(120)의 표현 부재(121)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각각이 별도로 제어되어 돌출되는 개수 및 위치가 제어되어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expression member 111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expression member 121 of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are provided in plural and each is separately controlled to control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protrusions. As a result, various information can be notified to the user.

도 10은 도 7의 제1 표현부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of FIG. 7.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표현부(110')는 핸들 본체부(101)의 하나의 길게 연장된 형태의 표현 부재(111')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표현 부재(111')는 제1 단부 영역(111a') 및 제2 단부 영역(111b')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 includes one long elongated expression member 111 ′ of the handle body unit 101. Specifically, the expression member 111 'may include a first end region 111a' and a second end region 111b '.

그리고 이러한 제1 단부 영역(111a') 및 제2 단부 영역(111b')는 구별되어 돌출되도록 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표현부(110')의 중심, 즉 제1 단부 영역(111a') 및 제2 단부 영역(111b')의 사이의 영역을 중심으로 상하 운동하여 사용자는 제1 단부 영역(111a') 또는 제2 단부 영역(111b')의 돌출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nd region 111a 'and the second end region 111b' may be distinguished and protruded,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 that is, the first end region 111a'. ) And the vertical movement around the area between the second end area 111b ', the user can selectively sense the protrusion of the first end area 111a' or the second end area 111b '.

또한, 필요 시 제1 단부 영역(111a') 및 제2 단부 영역(111b')이 전체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the first end region 111a 'and the second end region 111b' may be lowered or raised as a whole.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2 to 1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출발점(ST) 및 목적지(PT)를 포함하는 경로맵(NVM)을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2, a route map NVM including a user's starting point ST and a destination PT is illustrated.

이러한 경로맵(NVM)은 사용자가 실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에 도시된 것일 수 있다.Such a route map (NVM) may be shown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actually see it.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경로맵(NVM)은 설정된 후 디스플레이부에 도시되지 않고 일 저장 공간에 정보로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path map (NVM) may be present as information in a storage space, not shown in the display unit after being set.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출발점(ST)에서 목적지(PT)까지 W1도로를 출발하여 S1과의 교차로에서 제1 방향 전환(D1), W2과 S1의 교차로에서 제2 방향 전환(D2), W2과 S2의 교차로에서 제3 방향 전환(D3) 및 W3과 S2의 교차로에서 제4 방향 전환(D4)을 진행하여야 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user departs the road W1 from the starting point ST to the destination PT and changes the first direction at the intersection with S1 (D1), switches the second direction at the intersection of W2 and S1 (D2), and W2 The third direction change (D3) at the intersection of and S2 and the fourth direction change (D4) at the intersection of W3 and S2 must be performed.

즉, 출발점(ST)에서 목적지(PT)까지 전체적인 경로는 크게 우회전(D1), 좌회전(D2), 우회전(D3) 및 좌회전(D4)의 방향 전환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entire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ST to the destination PT may largely include turning directions of the right turn D1, the left turn D2, the right turn D3, and the left turn D4.

도 13은 이러한 방향 전환 시 제1 표현부(110) 및 제2 표현부(120)의 표현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13 illustrates the order of expression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여기서 예를들면 제1 표현부(110)는 제1 방향으로서 좌측 및 제2 표현부(120)는 제2 방향으로서 우측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Here, for example,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may be a left direction a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be a right direction as the second direction.

도 13을 참조하면 맨 위부터 제2 표현부(120), 제1 표현부(110), 제2 표현부(120) 및 제1 표현부(110)가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방향을 고지하여 우회전(D1), 좌회전(D2), 우회전(D3) 및 좌회전(D4)의 방향 전환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는 이에 따라 핸들 본체부를 제어하여 출발점(ST)에서 목적지(PT)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second expressing unit 120, the first expressing unit 110, the second expressing unit 120, and the first expressing unit 110 sequentially turn right by notifying the user of the direction from the top ( D1), the left turn (D2), the right turn (D3) and the left turn (D4) of the direction change is notified to the user and the user can easily move from the starting point (ST) to the destination (PT) by controlling the handle body accordingly.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러한 도 13의 표현부의 표시 내용을 사용자가 교차로에서 실제 방향 전환을 하기 전에, 예를들면 목적지가 설정되고 운행을 시작하기 전 또는 시작한 후에 한꺼번에 알려줄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isplay contents of the expression unit of FIG. 13 may be notified at a time before the user actually changes directions at an intersection, for example, before or after a destination is set and starts driving.

즉, 구체적 예로서 사용자에게 출발하기 전에 핸들 본체부(102)에 대한 파지 중에 제2 표현부(120), 제1 표현부(110), 제2 표현부(120) 및 제1 표현부(110)의 표현 부재들이 빠르게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전체적인 경로를 사용자에게 단시간에 고지할 수 있다.That is, as a specific example,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and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during gripping of the handle body unit 102 before departure to the user ), So that the expressive members protrude rapidly and sequentially, the entire path can be notified to the user in a short time.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방향 전환 목표를 고지하는 것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로(R1)에서 전진 중이고 복수의 도로(R1, R2, R3, R4)가 교차하는 교차로에서 도로(R3)로 진행하여야 하는 경우, 구체적 예로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포함된 경우 방향 전환(D1), 즉 우회전을 하여야 한다.Referring to FIG. 14, it is shown that the user is notified of a direction change target.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advancing on the road R1 and has to proceed to the road R3 at an intersection where a plurality of roads R1, R2, R3, and R4 cross, specifically included in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You must make a turn (D1), that is, make a right turn.

이 때 제2 표현부(120)의 표현 부재(121)들의 돌출을 통하여 사용자는 우회전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rough the protrusion of the expression members 121 of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the user can check in advance that right rotation is required.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와 다른 길의 구조 및 교차로를 도시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5, a structure and an intersection of a road different from FIG. 14 are illustrated.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방향 전환 목표를 고지하는 것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로(R1)에서 전진 중이고 복수의 도로(R1, R2, R3, R4, R5)가 교차하는 도로(R5)로 진행하여야 하는 경우, 구체적 예로서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포함된 경우 방향 전환(D1), 즉 우회전을 하여야 한다.Referring to FIG. 15, it is shown that the user is notified of a direction change target.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advancing on the road R1 and needs to proceed to the road R5 where a plurality of roads R1, R2, R3, R4, and R5 cross, specifically included in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You must make a turn (D1), that is, make a right turn.

이 때 제2 표현부(120)의 표현 부재(121)들의 돌출을 통하여 사용자는 우회전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rough the protrusion of the expression members 121 of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the user can check in advance that right rotation is required.

구체적으로 도 15의 우회전과 도 14의 우회전의 방향 전환의 정도는 다르다. 예를들면 사용자의 직진 기준 도 15에서의 우회전의 정도는 도 14에서의 우회전의 정도보다 작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gree of direction change between the right turn in FIG. 15 and the right turn in FIG. 14 is different. For example, the degree of right turn in FIG. 15 based on the user's straight line may be smaller than the degree of right turn in FIG. 14.

이러한 도 14와 도 15의 우회전에 대하여 제2 표현부(120)는 상이한 형태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예를들면 표현 부재(121)들의 돌출된 개수 또는 돌출된 표현 부재의 위치 등을 제어하여 이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14 and 15,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may display information in different forms, for example, to control the number of protruding expression members 121 or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expression member. To display it differently.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운동하고 있는 방향(실선)이 직진을 하지 않고 도로의 우측 경계선(R12)을 향하고 있고 이는 비정상적 운동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direction (solid line) in which the user is exercising does not go straight but faces the right boundary line R12 of the road, which may be an abnormal movement.

이 때 사용자가 정상적인 운동을 하도록 전환 방향(D1)을 고지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표현부(110)를 통하여 제1 방향, 즉 좌측으로 운동할 것으로 알려줄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may notify the switching direction D1 to perform a normal exercise, for example, through the first expressing unit 110,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o inform the user to exercise in the left direction.

전술한 대로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주변의 정보를 조사하여 이러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is information can be detected by examining the user's location or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urroundings.

또한, 사용자가 D1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정상적 직진 방향을 유지하기 시작할 때 제1 표현부(110) 또는 제2 표현부(120)를 통하여 방향 전환의 임계점 또는 원상 복귀점 등을 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changes direction in the D1 direction and starts to maintain the normal straight direction, the threshold point or the original return point of the direction change may be notified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110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120.

도 17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7 to 2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예시의 조향 핸들 시스템은 핸들 본체부(201), 제1 표현부(210) 및 제2 표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17 to 21, the steering handle system of the present example may include a handle body portion 201, a first expression portion 210, and a second expression portion 220.

도 18을 참조하면 핸들 본체부(201)를 제1 방향, 즉 좌측으로 30도 각 운동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제1 방향의 조작에 따라 도 1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표현부(210)의 표현 부재(211)의 돌출 영역(UR) 및 비돌출 영역(C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와 같이 돌출 영역(UR)은 3줄의 표현 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a case in which the handle main body 201 is angularly moved 30 degrees to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o the left is illustra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n the first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19, the protruding region UR and the non-protruding region CR of the expression member 211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210 may be included. As illustrated in FIG. 19, the protruding area UR may include three lines of expression members 211.

도 20을 참조하면 핸들 본체부(201)를 제1 방향, 즉 좌측으로 60도 각 운동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제1 방향의 조작에 따라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표현부(210)의 표현 부재(211)의 돌출 영역(VR)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과 같이 돌출 영역(VR)은 6줄의 표현 부재(2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a case in which the handle body portion 201 is angularly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60 degrees to the left, is illustra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n the first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21, the protruding area VR of the expression member 211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210 may be included. As illustrated in FIG. 21, the protruding area VR may include six lines of expression members 211.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조작에 대응하여 제1 표현부(210)는 이러한 운동 방향을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방향의 정도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그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response to the user's manipula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expressing unit 210 may express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to the user,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movement direction. You can notify.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의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조작의 정도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실시간으로 이러한 정보를 감지하여 안정적인 핸들 본체부의 조작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detect the degree of manipulation of the user in the first direction or the second direction, and as an optional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realize the manipulation of the stable handle body part by sensing such information in real time.

선택적 실시예로서 상기 도 19 및 도 21은 사용자가 핸들 본체부를 조작하기 전에 사용자가 방향을 전환하여야 하는 경우에 제1 방향으로의 전환을 고지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좌회전의 경우에도 30도 좌회전인지 60도 좌회전인지를 구분하여 제1 표현부(21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고지하여 사용자가 정밀하게 핸들 본체부를 제어하게 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FIGS. 19 and 21 may be applied even when the user notifies the change in the first direction when the user needs to change the direction before operating the handle body. For example, even in the case of a left tur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it is a 30-degree left-turn or a 60-degree left-turn, thereby notifying the user of this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210 so that the user can precisely control the handle main body.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조향 핸들 시스템의 제1 표현부의 일 영역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2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region of a first expression unit of a steering whee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를 참조하면 제1 표현부의 일 표현 부재(211')는 핸들 본체부(201)의 외면에 형성된 개구(210a')를 통하여 돌출하여 노출될 수 있는 돌출 영역(PI)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 영역(PI)은 구동 제공 영역(MU)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one expression member 211 ′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may include a projection area PI that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ing 210a ′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body unit 201. . The projecting area PI may be moved by the driving providing area MU.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제공 영역(MU)은 하나 이상의 구동원(COI)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원(COI)은 자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자석을 감싸는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providing area MU may include one or more driving sources COI, for example, a coil part. In addition, 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source COI may include a magnet. As a specific example, a coil part surrounding the magnet may be included.

선택적 실시예로서 구동 제공 영역(MU)은 구동원(COI)에 의하여 운동하는 운동 영역(DRU)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 영역(DRU)의 운동을 통하여 돌출 영역(PI)이 돌출 운동할 수 있다.As an optional embodiment, the driving providing area MU may include an exercise area DRU that is moved by the driving source COI, and the protrusion area PI may be exerted through the motion of the motion area DRU. have.

선택적 실시예로서 일 예로서 구동 제공 영역(MU)의 코일부를 포함하는 구동원(COI)의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고 이 때 발생하는 코일 주변의 자기장에 의하여 운동 영역(DRU)을 운동하게 할 수 있다.As an exemplary embodiment, as an example, a current may be applied to a coil of a driving source COI including a coil portion of the driving providing area MU, and the moving area DRU may be moved by a magnetic field around the coil generated at this time. have.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영역(DRU)은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예로서 자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As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motion area (DRU) may include a magnetic body, and may also include a magnet as another example.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제1 표현부 또는 제2 표현부의 각각에 구비된 표현 부재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the expression member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expression unit or the second expression unit can be easily controll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nfiguration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ng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illustrativ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the actual device, alternative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It can be represented as a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specifically mentioned,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especially in the claims) of the embodiment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indicating terms may correspond to both singular and plural.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as including the invention to which the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if there is no contrary description), it is the same as describing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 Finally, if there is no explicit or contradictory description of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ps may be performed in a suitable order.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described.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embodiments is merely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s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it is defined by the claims. It is not.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configured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equivalents thereof.

100, 200, 300: 조향 핸들 시스템
101, 201, 301: 핸들 본체부
110, 210, 310: 제1 표현부
120, 220, 320: 제2 표현부
140, 240, 340: 표현 제어부
100, 200, 300: steering handle system
101, 201, 301: handle body part
110, 210, 310: first expression unit
120, 220, 320: second expression unit
140, 240, 340: expression control

Claims (1)

사용자에 의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조향 핸들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제어 및 접근가능하고 조향 핸들 시스템의 주된 영역을 이루는 핸들 본체부;
상기 핸들 본체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제1 표현부;
상기 핸들 본체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운동하여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표현 부재를 구비하는 제2 표현부; 및
상기 제1 표현부 및 제2 표현부를 통하여 적어도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포함하는 운동 목표 방향 정보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도록 상기 제1 표현부와 제2 표현부를 제어하는 표현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향 핸들 시스템.
A steering handle system that controls motion by a user,
A handle body portion which is user-controllable and accessible and forms a major area of the steering handle system;
A first expression unit formed in one reg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and having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configured to detect by moving to protrude in at least one direction;
A second expression unit formed on one region of the handle body portion and having one or more expression members configured to detect by moving to protrude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An expression for controlling the first expression unit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to notify a user of exercise target direction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first expression unit and the second expression unit Steering handle system including a control.
KR1020200026706A 2020-03-03 2020-03-03 Steering handle system KR202000289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706A KR20200028913A (en) 2020-03-03 2020-03-03 Steering handl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706A KR20200028913A (en) 2020-03-03 2020-03-03 Steering handle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908A Division KR20190143227A (en) 2018-06-20 2018-06-20 Steering handl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913A true KR20200028913A (en) 2020-03-17

Family

ID=7000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706A KR20200028913A (en) 2020-03-03 2020-03-03 Steering handl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891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8894A (en) * 2022-01-11 2022-06-03 中联恒通机械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double-shaft handle from generating composite a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8894A (en) * 2022-01-11 2022-06-03 中联恒通机械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double-shaft handle from generating composite action
CN114578894B (en) * 2022-01-11 2024-05-28 中联恒通机械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double-shaft handles from generating compound a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2574B2 (en) Method of using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tor vehicle with an autopilot operating and motor vehicle
JP4650247B2 (en) Car navigation system
US10362230B2 (en) In-vehicle display device
US96456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navigating within a menu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selecting a menu entry from the menu
US10337881B2 (en) Navigation device,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6711473B2 (en) Parking assisting device
KR102067667B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JP6614573B2 (en) Automatic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automatic operation control method
WO1992021937A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navigation method
KR102035341B1 (en) Handle switching system of autonomous vehicle
WO2017072956A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KR101795059B1 (en)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drive and simulation method thereof
EP3683668A1 (en) Vehicle display device
JP2006264615A (en) Display device for vehicle
JP4502844B2 (en) Warning device and warning method
JP2016199163A (en) Automatic drive unit
KR20200028913A (en) Steering handle system
JP5074714B2 (en) Car navigation system
JP2003097964A (en) Input control device
JP7083762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3360403B2 (en) Route guidance device for vehicles
KR20190143227A (en) Steering handle system
JP7284679B2 (en) Autonomous driving system
WO2021099321A1 (en) A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JP4264018B2 (en) Navigation device, operation mode setting method in navigation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