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867A -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867A
KR20200028867A KR1020190110930A KR20190110930A KR20200028867A KR 20200028867 A KR20200028867 A KR 20200028867A KR 1020190110930 A KR1020190110930 A KR 1020190110930A KR 20190110930 A KR20190110930 A KR 20190110930A KR 20200028867 A KR20200028867 A KR 20200028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advertisement
payment
serv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동
Original Assignee
이윤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동 filed Critical 이윤동
Publication of KR2020002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원 가맹점은, 선택적으로 다른 회원가맹점의 등록고객에게 광고를 하되, 관리자에게 예치한 예치금에서 상기 광고료가 차감되며, 차감된 광고료 중 일부는 광고대상이된 등록고객을 보유한 회원가맹점에 입금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회원 가맹점이 요식업인 경우, 테이블에 NFC카드를 부착하고, 각 테이블마다 각기 다른 메뉴판서버주소를 등록하고, 고객이 휴대폰을 이용하여 NFC에 접근하면 해당 모바일메뉴판을 로딩하여 주며, 만약, 상기 고객이, 모바일메뉴판과 연동된 어플을 설치하면, 상기 모바일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등록고객으로, 관리자의 메인서버에 저장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은 점포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상권에서 상기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지속적인 광고, 이벤트, 포인트 등을 제공하는 관리형 밀착 영업이 가능하다. 특히, 광고가 상당히 중요한, 요식업의 회원가맹점은, 다른 회원가맹점의 등록고객, 예를들어 회원가맹점 중의 소정 마트의 등록고객들에게 광고를 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고객용의 어플을 설치시 고객전화번호와, 어플설치를 권유한 회원가맹점 번호가 메인서버로 전송되어, 어플설치를 권유한 회원가맹점의 보유 회원고객으로 등록되므로, 주소, 이름 등의 개인 상세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아, 고객은 개인정보 노출을 염려하지 않고 보다 손쉽게 어플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요식업의 회원 가맹점은 종업원의 서비스동선을 줄임으로써 인건비절감과 서비스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테이블마다 각기 다른 메뉴판서버주소를 가지므로서, 테이블에 따른 주문등에 혼선을 줄일 수 있으며, 고객용 어플을 모바일 메뉴판과 연동시킴으로써 어플설치 권유를 보다 손쉽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Small Business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회원 가맹점은, 선택적으로 다른 회원가맹점의 등록고객에게 광고를 하되, 관리자에게 예치한 예치금에서 상기 광고료가 차감되며, 차감된 광고료 중 일부는 광고대상이된 등록고객을 보유한 회원가맹점에 입금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회원 가맹점이 요식업인 경우, 테이블에 NFC카드를 부착하고, 각 테이블마다 각기 다른 메뉴판서버주소를 등록하고, 고객이 휴대폰을 이용하여 NFC에 접근하면 해당 모바일메뉴판을 로딩하여 주며, 만약, 상기 고객이, 모바일메뉴판과 연동된 어플을 설치하면, 상기 모바일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등록고객으로, 관리자의 메인서버에 저장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상공인은 소기업 중에서도 규모가 특히 작은 기업의 기업인 또는 생업적 업종을 영위하는 업자를 말하며, 소상공은, 소상공업을 나타내는 말로, 소상공인이 영위하는 업무를 말한다.
골목상권이란, 서울특별시에서 골목상권 자영업자를 위해 제공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 서비스' (golmok.seoul.go.kr)에서의 정의는, 대로변이 아닌 거주지 인근의 좁은 도로를 따라 형성되는 상업 세력의 범위로, 일정 점포 수 이상을 가지며. 골목점포의 밀집도가 높은 상권을 말한다.
지역상권(local commercial area)은 소정 지역, 예를들어, 소도시, 소정 구역의 지역의 상권을 말한다.
소상권이란, 상점과 상가가 상거래를 하는 범위 중에, 소규모인 범위의 것을 말하며. 범위가 좁기 위해, 인구도 많지 않아, 상황이 파악 가능한 반경 1~2km를 소상권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통칭하는 말로 지역상권이라는 단어를 쓰기로 한다.
지역상권은 점포의 밀집도가 높으므로, 지속적인 관리형 밀착 영업이 필요하며, 업종 특징에 맞는 이벤트 아이디어 공유 등 영업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즉, 고객에게 지속적인 광고, 이벤트, 포인트 등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고객정보를 얻는 것이 문제이다. 고객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지역상권의 가맹점들이 서로의 고객정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이때 소정 가맹점이 제공한 고객 정보를 사용할 경우, 소정 금액의 광고료가, 고객 정보를 제공한 가맹점에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트는 많은 고객이 이용하고, 고객들 간 많은 정보를 교환하는 곳으로, 지역상권에서 마트는 중요한 역활을 한다.
요식업의 경우, 입소문에 따라 번창하기도 한며, 요식업, 특히 소상공의 요식업의 경우, 광고는 상당히 중요하다. 따라서, 요식업의 회원가맹점은, 다른 회원가맹점의 등록고객, 예를들어 회원가맹점 중의 소정 마트의 등록고객들에게 광고를 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소정 회원가맹점의 광고 또는 권유로 앱을 설치한 고객을, 상기 회원가맹점의 등록고객으로 메인서버에 등록하고, 회원 가맹점은, 선택적으로 다른 회원가맹점의 등록고객에게 광고를 하되, 관리자에게 기 예치한 예치금에서 상기 광고료를 차감하며, 차감된 광고료 중 일부는 광고대상이된 등록고객을 보유한 회원가맹점에게 입금되도록 이루어지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포인트 결제 방식은, 대기업 등에서 포인트 또는 쿠폰을 발급하고, 고객이 소정 가맹점에서 포인트 또는 쿠폰을 사용할 경우, 포인트 또는 쿠폰을 받은 가맹점에게 포인트 또는 쿠폰 대금은 별도로 지불되지 않기 때문에, 가맹점의 손해로 이어져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원 가맹점은 포인트, 쿠폰, 이벤트 등을 위한 비용, 즉, 예치금을, 관리자에게 지불하며,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예치금 내에서, 포인트를 이용고객에게 발급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용고객이 회원 가맹점에서 포인트로 결제를 행하면, 포인트 결제를 받은 회원 가맹점의 단말기는 메인서버로 포인트 결제 청구를 하고, 관리자는 포인트에 대한 결제 대금을 메인서버를 통해 행하여지도록 이루어진다.
최근들어 어플(응용프로그램)을 통해 회원가입할 경우, 고객의 상세 개인정보(이름, 나이, 주소 등)를 등록해야만 하는데, 개인정보 노출 등의 보안문제 때문에 회원가입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세 개인정보를 등록하여 회원가입이 필요없이, 어플을 이용고객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화번호와, 광고수신 권유한 회원 가맹점의 번호(즉, 고객이 주로 이용하는 회원가맹점)만을 이용하여 상세 개인정보가 노출될 우려없이 회원고객으로 등록가능하며, 이 회원고객에게 광고 등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고객 자신의 주소와, 이름, 등등을 필수적으로 요청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각 가맹점에 비콘 인식기를 설치하고, 메인서버에서 발송한 앱을 설치한 고객이 각 가맹점을 방문하거나 그 주변에 있을 경우, 해당 가맹점에서 실시하고 있는 각종 이벤트 등의 해당 가맹점의 광고 및 알림이 상기 고객에게 자동전송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포인트로서, 물건 구입시 주는 구매포인트, 회원 가맹점에 머무는 시간을 계산하여 주는 타임포인트, 방문 횟수에 따라 지급되는 방문 포인트등 이 있다.
골목상권은 주로 요식업과 관련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요식업의 경우, 메뉴판, 주문서 등이 번거로운데, 이를 보다 간편이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각 요식업소마다 홈페이지를 제공하고, 각 홈페이지에 메뉴판 서비스를 하고 있다. 그러나 고객이, 소정 요식업소에서, 휴대폰에서 일일히 상기 요식업소의 홈페이지를 찾는 것이 번거로워서, 그냥 제공된 일반 메뉴판을 보는 것이 훨씬 간단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테이블에 NFC카드를 부착하고, 각 테이블마다 각기 다른 메뉴판서버주소를 등록하고, 손님이 휴대폰을 이용하여 NFC에 접근하면 해당 모바일메뉴판의 서버주소를 로딩하여 주거나, 또는 해당 모바일메뉴판을 로딩하여 주며, 스마트폰에서 결제까지 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업원의 서비스동선을 줄임으로써 인건비절감과 서비스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식사 중 맥주 1병 또는 물을 추가로 요청할 때, 종업원호출, 종업원에게 주문, 종업원 이동, 고객에게 서비스 제공이라는 과정을 통해, 종업원이동이 3번에 걸쳐 이뤄지는 반면, NFC카드 접속, 모바일메뉴판은 주문, 종업원 서비스제공이라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종업원이 1번 이동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게 된다.
현재 플레이(play) 스토어에서 모바일메뉴판은 많이 제공되고 있으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번거로움 때문으로 판단된다. 계속 사용할지도 모르는 어플을 개인 모바일에 설치하는 것을 극도로 꺼리는 것을 감안하면 개별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NFC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접속하게 함으로써 쉽게 이용을 권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모바일메뉴판에서 어플이 연동되도록 이루어지되, 쿠폰, 경품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어플설치를 권유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만약 고객이 상기 모바일메뉴판을 통해 어플을 설치하면, 상기 고객은 상기 모바일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등록고객으로, 관리자의 메인서버에 저장되도록 이루어진다.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0-0058803호는, 인터넷상을 통한 상품할인대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 상점에서 할인판매중인 상품들에 대해, 소정 상점이 상품할인 대행업체에 할인대행을 요구시, 상기 상점은 각각의 할인성 상품에 대한 할인요금을 할인대행업체에 지불하고, 할인대행업체는 다시 그 할인된 요금에 20%를 더한 금액을 할인대행업체 홈페이지에서만 통용되는 현금성 사이버 쿠폰으로 바꿔 지급하며, 상점은 고객에게 할인성 상품을 구매시 현금할인을 해 주지 않는 대신, 현금성 사이버 쿠폰으로 지급하고, 고객은 지급받은 현금성 사이버 쿠폰에 인쇄되어 있는 고유번호를 인터넷상에 입력하게 되면 일정금액의 현금성 포인트로 고객 적립금 관리 서버에 적립되게 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0-0058803호에서는, 고객에게 할인성 상품을 구매시 직접 할인해 주는 것이 아니라, 현금성 사이버 쿠폰으로 지급되어, 차후 사용가능하며, 실제 그 물품을 사는데는 정작 할인 받지는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점이 고객에게서 받은 현금성 포인트에 대한 결제는 어디서나 해주지 않기 때문에, 고객에게서 받은 현금성 포인트를 받은 상점은 손해를 볼 수밖에 없는 상태이다.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487596호는, 중소시장 활성화를 위한 고객 맞춤형 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객의 모바일 단말기, 광고주 단말기, 중앙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중앙서버는, 광고주와 하나 이상의 다른 광고주 사이에 광고대상 고객정보의 공유가 상호 가능하도록 하도록 이루어진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487596호에서와 같이, 대가없이 광고주들 사이에 광고대상 고객정보를 공유하게 한다면, 광고주들은 자신의 고객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광고대상 고객정보를 제공받은 광고주는, 광고대상 고객정보를 제공한 광고주에게 또는 그 고객에게 소정의 광고료를, 지불할 필요가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638146호는 비콘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콘을 이용하여 옥외광고매체 서버로부터 옥외광고매체 데이터 중 모바일 단말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국내 등록특허 제10-1638146호의 경우, 옥외광고매체 서버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게 맞춤 광고를 보내지는 않으며, 또한 광고를 받는 시점에, 주변에 상기 광고의 상점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바로 매출과 이어질 가능성이 적으며,그냥 일회성 광고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3335호 'NFC 패드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주문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있다. 이 발명은 스마트폰으로 NFC 패드를 태깅한 후, 스마트폰이 전용앱 설치정보를 수신하여 설치하면, 스마트폰과 NFC 패드간에 블루투스 페어링이 행하여지고, 패드제어부는 스마트폰과 메뉴 주문 서비스 서버를 중계하며, 스마트폰과 메뉴 주문 서비스 서버를 통해 주문이 이루어지며, 메뉴 주문 서비스 서버는 수신한 주문정보를 가맹점의 카운터 단말로 전송한다.
그러나,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3335호의 경우, 가맹점은, 각 NFC 패드에 따른 패드제어부를 구비하여야 하며, 또한, 메뉴 주문 서비스 서버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며, 패드제어부의 구동프로그램, 메뉴 주문 서비스 서버의 구동프로그램 등을 별도로 구비해야 한다. 이는 단가가 비싸다는 것을 반영하며, 또한 그 구성이 복잡하여, 에러 등에 대한 A/S도 상당히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른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99503호 '스마트 폰을 이용한 전자 주문 방법'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3335호는, NFC 태그가 제공하는 정보는, 웹 서버의 접속정보와 웹 서버 접속 시 로그인 동작을 위한 승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상기 승인 정보는 NFC 태그의 고유정보를 기준으로 추후 주문시 상기 웹 서버에서 어느 테이블인지를 자동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마트폰이 웹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승인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행하여만 하는 데, 이는 고객입장에서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본 발명은 각 테이블마다 각기 다른 메뉴판서버주소를 등록하고, 상기 메뉴판서버주소로 접근된 스마트폰은 소정 테이블의 고객만이므로, 로그인 등의 번잡한 동작없이, 상기 메뉴판서버주소로 접근된 스마트폰으로 해당 모바일메뉴판을 로딩하여 주게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원 가맹점이 사전에 광고료를 관리자에게 예치하되, 관리자에게 입금된 광고료의 금액은 메인서버의 회원 가맹점별 가상계좌에 예치금으로써 입금형태로 저장되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수신가능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광고료를 관리자에게 지불하되, 회원 가맹점 단말기를 통해 메인서버에 접속되어 회원 가맹점별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광고료를 출금형태로 차감하며, 상기 차감된 광고료중 소정 비율의 금액의 광고료가, 메인서버를 통해, 광고 수신가능고객 정보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입금형태로 더하여지며, 회원 가맹점은, 회원 가맹점별 가상계좌의 예치금 한도내에서, 포인트 또는 쿠폰을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이용고객에게 발급하며, 관리자는, 이용고객이 회원 가맹점에서 사용한 포인트 도는 쿠폰에 대한 결제 대금만큼, 결제대금으로 포인트 또는 쿠폰을 받은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입금형태로 더하여지도록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광고를 하고자 하는 회원가맹점이, 다른 회원 가맹점의 보유 회원 고객을 광고대상 고객으로 선택하여 광고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메인서버는 광고를 전송하고자 하는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광고료가 차감되며, 차감된 광고료중 소정 비율의 금액의 광고료를, 광고 대상고객을 회원 고객으로써 보유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입금되도록 이루어진,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회원 가맹점은 포인트, 쿠폰, 이벤트 등을 위한 비용을 관리자에게 선입금함에 따라 상기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예치금을 보유하며,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예치금 내에서, 포인트를 이용고객에게 발급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용고객이 회원 가맹점에서 포인트로 결제를 행하면, 포인트 결제를 받은 회원 가맹점의 단말기는 메인서버로 포인트 결제 청구를 하고, 관리자는 포인트에 대한 결제 대금을 메인서버를 통해 행하여지도록 이루어진,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회원 가맹점이 요식업인 경우, 테이블에 NFC카드를 부착하고, 각 테이블마다 각기 다른 메뉴판서버주소를 등록하고, 고객이 휴대폰을 이용하여 NFC에 접근하면 해당 모바일메뉴판을 로딩하여 주며, 만약, 상기 고객이, 모바일메뉴판과 연동된 어플을 설치하면, 상기 모바일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등록고객으로, 관리자의 메인서버에 저장되되, 메인서버에는 고객의 전화번호와 상기 모바일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번호가 저장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원가맹점이 예치한 금액에 따라, 메인 DB(데이터 베이스)의 해당 회원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예치금이 적립되어 있으며, 회원 가맹점 단말기가, 타 회원 가맹점들의 회원 고객을 포함하는 광고대상 선정조건 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여 광고요청을 행하며, 메인서버는, 광고대상 선정조건 정보에 따라, 타 회원 가맹점들의 회원 고객을 포함하는 광고 대상을 선정하고, 광고요청을 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광고료를 차감한 후, 선정된 광고 대상의 고객 단말기로 광고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가맹점이 요식업소인 경우, 각 고객용 테이블에 장착되어 있으며, NFC 태그를 포함하며, 근접된 고객 단말기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전송하는, NFC 카드; NFC 카드로부터 전송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이용하여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고, 금융결제서버와 연동하여, 선택된 음식 정보에 따라, 결제를 행하는, 고객 단말기; 고객 단말기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금융결제서버로부터 결제완료신호를 수신하는, 회원 가맹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NFC 카드는 QR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고객 단말기는, QR코드가 스캐닝되어 입력됨에 의해, 메뉴판 서버와 연동되어,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고, 금융결제서버와 연동하여, 선택된 음식 정보에 따라, 결제를 행할 수 있다.
NFC 카드는, 고객용 테이블 별로, 서로다른 메뉴판 서버 주소를. 근접된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며, 메뉴판 서버는 메인 서버내에 포함되어 있다.
고객용 테이블 별로, 서로 다른 QR코드를 가지며, 서로 다른 QR코드를 입력한 고객 단말기는 서로 다른 메뉴판 서버와 연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음식 정보는 음식명 또는 음식번호와, 상기 음식명 또는 음식번호에 따른 가격을 포함하며, 결제완료신호는, 메뉴판 서버 주소, 음식정보, 결제금액을 포함한다.
고객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메뉴판에는, 고객용 어플(응용프로그램)을 고객 단말기에 설치도록 하는 어플설치 버튼을 포함하며, 모바일 메뉴판에서 어플설치 버튼을 선택하여 어플을 설치시, 어플을 설치한 고객의 전화번호와, 모바일 메뉴판을 제공한 회원가맹점의 번호가 메인서버로 전송되어, 메인 DB에 저장되되, 메인서버는, 어플을 설치한 고객이, 모바일 메뉴판을 제공한 회원가맹점의 보유 회원고객으로, 메인 DB에 등록한다.
메인 서버는, 광고가 전송된 고객회원을 보유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가상계좌로, 회원 가맹점 광고 배분료를 입금한다. 또한, 메인 서버는, 광고가 전송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고객회원의 가상계좌로, 고객 광고 배분료를 입금할 수도 있다.
메인 서버는, 광고요청을 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차감된 광고료의 70% 내지 80% 내에서, 광고 대상 고객을 보유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가상계좌로, 광고 대상 고객 수에 따라, 차등으로, 회원 가맹점 광고 배분료가, 입금되게 한다. 또는 메인 서버는, 광고요청을 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차감된 광고료의 30% 내에서, 광고 대상 고객을 보유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가상계좌로, 광고 대상 고객 수에 따라, 차등으로, 회원 가맹점 광고 배분료가, 입금되게 하며, 광고요청을 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출금된 광고료의 50% 내에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고객회원들의 가상계좌로 고객 광고 배분료를 입금한다.
고객 광고 배분료는 포인트 또는 쿠폰일 수 있다.
회원 가맹점 단말기가 메인서버로, 고객번호 또는 고객 전화번호와 함께, 쿠폰 또는 포인트의 발급요청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면, 메인서버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발급요청신호를 보낸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쿠폰 또는 포인트 대금을 차감하고, 쿠폰 또는 포인트를 발급하여, 상기 고객번호 또는 고객 전화번호의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다.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쿠폰 또는 포인트가 물품대금으로 결제가 요청되면, 물품대금으로 쿠폰 또는 포인트를 결제하고, 결제된 포인트 또는 쿠폰의 발급번호를 포함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메인서버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보낸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로,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을 입금한다.
메인 DB에는 포인트 발급번호 별로 포인트 보유고객명이 저장되어 있으며, 메인서버는, 쿠폰 또는 포인트를 발급하여,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 후, 메인 DB에서, 쿠폰 또는 포인트가 발급된 고객 단말기를 가진 고객의 가상계좌에서, 상기 쿠폰 또는 포인트를 적립하고, 회원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포인트 또는 쿠폰의 발급번호를 포함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메인 DB에서, 물품대금으로 쿠폰 또는 포인트를 결제한 고객의 가상계좌에서, 상기 포인트 또는 쿠폰의 발급번호의 포인트 또는 쿠폰을 차감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 가맹점 단말기가, 광고대상으로 타 회원 가맹점들의 회원 고객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광고대상 선정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요청 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광고 요청단계; 메인서버는, 광고 요청단계에서 수신된 광고대상 선정조건 정보에 따라 타 회원 가맹점들의 회원 고객을 포함하는 광고 대상을 선정하고, 광고요청을 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광고료를 차감하는, 광고대상 선정 및 광고료 차감단계; 메인 서버는, 광고대상 선정 및 광고료 차감단계에서 선정된 광고 대상의 고객 단말기로 광고를 전송하는, 광고단계;를 포함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회원가맹점이 요식업소인 경우, 각 고객용 테이블에 장착되어 있으며 NFC 태그를 포함하는 NFC 카드가, 근접된 고객 단말기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전송하고, 고객단말기는, NFC 카드로부터 전송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이용하여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고객 단말기가, NFC 카드에 포함된 QR코드를, 스캐닝하여 읽어들이면, 고객단말기는, 메뉴판 서버와 연동되어,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는, 메뉴판 로딩단계; 메뉴판 로딩단계 후, 고객단말기에서, 고객 단말기에서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가 모바일 메뉴판에서 요청된 경우, 고객단말기는, 모바일 메뉴판에서 선택된 음식 정보에 따라, 금융결제서버와 연동하여, 결제를 행하고, 고객 단말기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금융결제서버로부터 결제완료신호를 수신하는, 결제단계;를 더 포함한다.
광고대상 선정 및 광고료 차감단계 후, 메인 서버는, 광고가 전송된 고객회원을 보유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가상계좌로, 회원 가맹점 광고 배분료를 입금하거나, 또는, 광고가 전송된 고객회원을 보유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가상계좌와, 광고가 전송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고객회원의 가상계좌로, 고객 광고 배분료를 입금하는, 광고료 배분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고객번호 또는 고객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발급요청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 발급 요청단계;메인서버는, 포인트 발급 요청단계에서 쿠폰 또는 포인트의 발급요청신호를 보낸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쿠폰 또는 포인트 대금을 차감되는, 포인트 대금 차감단계; 메인서버는, 포인트 대금 차감단계 후, 쿠폰 또는 포인트를 발급하여, 상기 고객번호 또는 고객 전화번호의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포인트 발급단계; 를 포함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회원가맹점이 요식업소인 경우, 각 고객용 테이블에 장착되어 있으며 NFC 태그를 포함하는 NFC 카드가, 근접된 고객 단말기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전송하고, 고객단말기는, NFC 카드로부터 전송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이용하여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고객 단말기가, NFC 카드에 포함된 QR코드를, 스캐닝하여 읽어들이면, 고객단말기는, 메뉴판 서버와 연동되어,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는, 메뉴판 로딩단계; 메뉴판 로딩단계 후, 고객단말기에서, 고객 단말기에서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가 모바일 메뉴판에서 요청된 경우, 고객단말기는, 모바일 메뉴판에서 선택된 음식 정보에 따라, 금융결제서버와 연동하여, 결제를 행하고, 고객 단말기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금융결제서버로부터 결제완료신호를 수신하는, 결제단계;를 더 포함한다.
포인트 발급단계 후,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쿠폰 또는 포인트가 물품대금으로 결제가 요청되면, 물품대금으로 쿠폰 또는 포인트를 결제하고, 결제된 포인트 또는 쿠폰의 발급번호를 포함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포인트 결제단계; 메인서버는, 포인트 결제단계로 부터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보낸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로,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을 입금하는, 회원가맹점의 포인트 결제 대금 적립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회원 가맹점이 사전에 광고료를 관리자에게 예치하되, 관리자에게 입금된 광고료의 금액은 메인서버의 회원 가맹점별 가상계좌에 예치금으로써 입금형태로 저장되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된 광고 수신가능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광고료를 관리자에게 지불하되, 회원 가맹점 단말기를 통해 메인서버에 접속되어 회원 가맹점별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광고료를 출금형태로 차감하며, 상기 차감된 광고료중 소정 비율의 금액의 광고료가, 메인서버를 통해, 광고 수신가능고객 정보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입금형태로 더하여지며, 회원 가맹점은, 회원 가맹점별 가상계좌의 예치금 한도내에서, 포인트 또는 쿠폰을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이용고객에게 발급하며, 관리자는, 이용고객이 회원 가맹점에서 사용한 포인트에 대한 결제 대금만큼, 결제대금으로 포인트를 받은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입금형태로 더하여지도록 한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광고를 하고자 하는 회원가맹점이, 다른 회원 가맹점의 보유 회원 고객을 광고대상 고객으로 선택하여 광고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메인서버는 광고를 전송하고자 하는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광고료가 차감되며, 차감된 광고료중 소정 비율의 금액의 광고료를, 광고 대상고객을 회원 고객으로써 보유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입금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회원 가맹점끼리 고객정보를 공유하면서, 고객정보를 제공한 가맹점은 소정의 광고료를 받을 수 있으며, 또한 점포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상권에서 상기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지속적인 광고, 이벤트, 포인트 등을 제공하는 관리형 밀착 영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 가맹점이 요식업인 경우, 테이블에 NFC카드를 부착하고, 각 테이블마다 각기 다른 메뉴판서버주소를 등록하고, 고객이 휴대폰을 이용하여 NFC에 접근하면 해당 모바일메뉴판을 로딩하여 주며, 테이블에서 고객은 휴대폰을 이용하여 결재가 가능하며, 만약, 상기 고객이, 모바일메뉴판과 연동된 어플을 설치하면, 상기 모바일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등록고객으로, 관리자의 메인서버에 저장되되, 메인서버에는 고객의 전화번호와 상기 모바일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번호가 저장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요식업의 회원 가맹점은 종업원의 서비스동선을 줄임으로써 인건비절감과 서비스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테이블마다 각기 다른 메뉴판서버주소를 가지므로서, 테이블에 따른 주문등에 혼선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은 어플을 설치하지 않고도 모바일메뉴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어플을 설치하고자 하는 고객은 손쉽게 어플을 설치하되, 주소, 이름 등의 개인 상세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아,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어플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 가맹점이 포인트, 이벤트 등을 위한 비용, 즉, 예치금을, 관리자에게 지불하며,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상기 예치금 내에서, 포인트를 이용고객에게 발급하도록 이루어지며, 이용고객이 회원 가맹점에서 포인트로 결제를 행하면, 포인트 결제를 받은 회원 가맹점의 단말기는 메인서버로 포인트 결제 청구를 하고, 관리자는 포인트에 대한 결제 대금을 메인서버를 통해 행하여지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기존의 포인트 결제 방식처럼, 포인트 또는 쿠폰의 결제를 받아들인 가맹점이 손해보는 일이 없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이 관리자 메인 서버(또는 관리자)가 베포한 어플을 설치하는 경우, 고객의 전화번호와, 회원가맹점(즉, 고객이 선택한 회원 가맹점, 또는 고객에 어플을 권유한 회원가맹점, 또는 어플을 설치하게한 모바일 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번호만 필요로 하며, 상기 회원가맹점의 보유 회원고객으로 등록된한다. 즉, 본 발명은 회원 가입시 고객의 상세 개인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며, 고객의 전화번호으로 회원 고객을 특정함으로써, 개인정보의 노출에 대한 염려를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객에 대한 위치추적이나 고객이 어플설치시 지역설정, 주소설정이 없어도, 고객이 어플설치시 선택한 회원 가맹점(고객이 주로 이용하는 회원 가맹점, 또는 고객에 어플을 권유한 회원가맹점)의 번호, 또는 어플을 설치하게 한 모바일 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번호(정보)가 고객정보로서 전화번호와 함께 저장되며, 상기 고객이 상기 회원가맹점 주변에 거주함한다고(다시말해, 상기 회원가맹점 주변에 생활권이 있다고) 추정하여, 회원 가맹점이 광고시에, 상기 회원가맹점 번호(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하고자 하는 회원가맹점(업소) 주변에 거주하는 광고수신가능 고객(즉, 소비자)을 찾아내어 타겟광고를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7)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7)에서 회원 가맹점(10)이 요식업인 경우의 주문 및 결제관련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7)에서 광고수신 가능 고객정보 제공 및 광고료 지불에 대한 흐름을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광고수신 가능 고객정보 제공 및 광고료 지불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7)에서 회원 가맹점이 요식업인 경우의 주문 및 결제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포인트의 사용 및 결제에 대한 흐름을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포인트의 사용 및 결제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회원 가맹점이, 비콘인식기(150)를 이용하여 광고를 행하는 일실시예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비콘인식기를 이용하여 광고를 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포인트 또는 쿠폰의 발급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광고 수신 가능 고객의 고객 단말기(스마트폰)의 기본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광고 수신 가능 고객의 고객 단말기의 적립포인트관련 화면의 일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회원 가맹점의 음식점에서 주문 및 결제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화면의 일예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회원 가맹점 단말기의 기본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NFC 카드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포인트는 회원 가맹점이 고객에게 부여하는 점수로, 소정 포인트 단위(예로 30포인트)로 현금화가 가능하여, 물품대금으로 정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쿠폰은 회원 가맹점이 고객에게 부여하는 일종의 상품권 또는 할인권이다.
본 발명에서 적립금은 회원 가맹점에서 현금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가상계좌에 적립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7)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회원 가맹점(10)은, 관리자(20)와 회원 가맹점(10)과의 사이에, 가맹점 계약이 이루어져, 메인서버(200)에 회원 가맹점을 등록하고, 메인서버(200)로부터 가맹점 번호를 부여받은 가맹점이다. 회원 가맹점이 등록시에, 회원 가맹점의 주소 등을 입력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메인서버(200)의 메인DB(250)에, 회원 가맹점의 정보로서 회원 가맹점의 주소 등이 저장되게 되며, 회원 가맹점별 가상계좌가 생성된다.
또한, 회원 가맹점은 사전에 광고료와, 포인트 또는 쿠폰 발급에 사용될 돈을 관리자에게 예치하되, 관리자에게 예치된 돈의 금액은 메인 DB(250)의 회원 가맹점별 가상계좌에 예치금으로써 입금형태로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가상계좌에 소정 금액이 입금형태로 기록, 저장되는 것을, 이하, 가상계좌에 입금 또는 적립된다고 표현하며, 가상계좌에 소정 금액이 출금형태로 기록, 저장되는 것을, 이하, 가상계좌에 출금 또는 차감된다고 표현한다. 상기 가상계좌의 예치금은 적립금, 포인트, 쿠폰, 할인쿠폰 등의 형태로 적립되어 있을 수 있다.
회원 가맹점(100)은, 사전에 포인트, 쿠폰, 할인쿠폰 등을 위해, 관리자에게 소정량의 포인트, 쿠폰, 할인쿠폰의 비용을 지불하고, 관리자는, 메인서버(200)를 통해 회원가맹점이 구매한 포인트, 쿠폰, 할인쿠폰을 메인 DB(250)의 가상계좌에 적립시켜준다. 즉, 회원 가맹점(100)이 소정량의 포인트, 쿠폰, 할인쿠폰을 선 구매하여, 가상계좌에 적립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회원 가맹점은 이 구매한 포인트, 쿠폰, 할인쿠폰을 메인서버(200)와 연동하여 고객들에게 발급할 수 있다.
회원 가맹점이, 메인서버(200)로 광고를 요청시 상기 가상계좌에 예치금에서 소정 광고료가 차감(출금)되며 또는 회원 가맹점이, 포인트, 쿠폰 등을 발급시에는 포인트, 쿠폰 등의 결제 대금이 상기 가상계좌에 예치금에서 차감된다. 결과적으로, 회원 가맹점은 상기 가상계좌의 예치금의 한도 내에서, 포인트, 쿠폰 등을 발급할 수 있으며, 또한, 광고를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가상계좌의 예치금은, 광고료 예치금 그리고 포인트 또는 쿠폰 또는 이벤트(예로 할인행사)를 위한 포인트 예치금으로 나눌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광고료 예치금은 광고횟수와 광고수신대상 인원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인트 예치금은 포인트 발급수 또는 쿠폰 발급수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회원 가맹점(10)이, 이용고객의 물품대금등의 결제시, 광고수신 허용에 따라 경품 등이 제공됨을 이용고객에게 알림에 따라, 광고수신 허용을 위해 이용고객이 어플을 설치하여 광고수신을 허용한 경우, 상기 이용고객의 전화번호와 함께 상기 회원가맹점의 가맹점번호가 메인서버(200)로 전송되어 메인 DB(250)에 고객정보로 저장된다. 경우에 따라서, 회원 가맹점(10)이, 이용고객의 물품대금등의 결제시, 어플을 설치하여 광고수신에 따라 경품 등이 제공됨을 이용고객에게 알림에 따라, 이용고객이 광고수신을 허용한 경우, 회원가맹점의 가맹점번호와 함께, 결제정보에서 발신자번호표시(CID), 즉, 고객의 전화번호를 캐치하여, 이를 함께 회원가맹점 단말기(100, 100a, 100b)를 통해 메인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회원 가맹점(10)이, 이용고객의 물품대금등의 결제시, 광고수신에 따라 경품 등이 제공됨을 이용고객에게 알림에 따라, 광고수신 가능 고객을 유치한 경우, 상기 유치된 광고수신가능 고객은, 메인 DB(250)에 상기 고객을 유치한 회원 가맹점(10)의 고객회원으로 등재된다. 이에 따라 각 회원 가맹점(10)은 자신이 보유한 고객회원이 있다.
차후에 회원 가맹점(10)의 고객회원에게 타 회원 가맹점(10)이 광고를 할 경우, 타 회원 가맹점(10)이 이에 대한 광고료를 관리자(20)에게 지불하게 되어, 상기 광고를 하고자 하는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상기 광고료가 차감된다.
관리자(20)는 상기 지불된 광고료중 일부를, 상기 고객회원을 보유한 회원 가맹점(10)에 지불하게 된다. 즉, 관리자에게 지불된 광고료중 일부가, 고객회원을 보유한 회원 가맹점(10)의 가상계좌에 입금되게 된다.
또는, 관리자(20)는 상기 지불된 광고료중 일부를, 상기 고객회원을 보유한 회원 가맹점(10)에 지불하고, 상기 지불된 광고료중 다른 일부를, 상기 고객회원에 지불할 수 있다.
회원 가맹점은,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와 비콘인식기(150)를 구비한다.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는, 회원 가맹점에 구비되며, 메인서버(200)에서 제공한 소정 응용프로그램을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서버(200)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단말기이다.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는 상품을 판매하는데 이용되는 회원 가맹점 판매 단말기(120)와, 회원 가맹점의 관리자가 개인적으로 사용되는 단말기(즉, 회원 가맹점의 관리자의 스마트폰)인 회원 가맹점 관리자 단말기(110)를 포함한다. 회원 가맹점 판매 단말기(120)는 POS(판매시점정보관리, point of sales) 단말기 또는 카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회원 가맹점 판매 단말기(120)와 회원 가맹점 관리자 단말기(110)가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가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을 발급할때 마다, 해당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의 대금이, 메인 DB(250)내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차감되며, 또한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가 메인서버(200)로 광고를 요청할 때마다, 소정 광고료(광고 수수료)가 메인 DB(250)내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차감(출금)된다. 결과적으로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를 통해 포인트, 쿠폰 등을 발급하거나, 광고를 요청할 경우, 회원 가맹점별 가상계좌의 예치금의 한도 내에서, 포인트, 쿠폰 등을 발급하거나 광고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메인서버(200)내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이 소진되면 회원 가맹점은 다시 관리자에게 예치금을 예치하고, 이에 따라서 메인 DB(250)의 회원 가맹점별 가상계좌에 예치금이 입금된다.
비콘인식기(150)는 회원 가맹점 내에 있는 등록 고객을 찾기 위한 수단으로, 회원 가맹점의 주변의 100m 이내의 스마트폰의 비콘ID 정보(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또는 전화번호 등의 스마트폰 신호를 수신한다. 비콘인식기(150)를 이용하여 회원 가맹점 내에 등록 고객이 얼마의 시간동안 머물렀는지, 몇회 방문했는지에 따라, 차등적으로 쿠폰을 부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콘인식기(150)는 비콘 장치에 구비된 수단으로, 비콘 장치는 고유 ID가 있으며, 고유 ID, 즉, 특정 ID신호인 비콘신호를 소정 주기로 회원 가맹점의 주변 100m 이내(바람직하게는 70m 이내)에 전송한다. 비콘 신호의 신호 도달 거리 내(회원 가맹점의 주변 100m 이내)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들어오면,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장비가 상기 비콘신호를 받게 되고, 스마트폰은 수신된 비콘신호를 인식하여 스마트폰의 비콘ID 정보(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또는 전화번호 등의 스마트폰 신호를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비콘 장치에는 비콘의 고유 ID가 있으며, 회원 가맹점에 비콘을 설치할 때 메인서버에는 회원 가맹점의 비콘 ID와 회원 가맹점을 매치시켜 저장되어 있다. 즉 메인 DB(250)에 회원 가맹점별 비콘 ID(블루투스 페어링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고객이 방문하여 고객 단말기와 비콘 장치가 교신하면 고객 단말기의 고객 어플이 비콘ID와 고객휴대폰의 정보(주로 전화번호만)를 메인서버로 전송한다. 메인서버는 이를 바탕으로 어떤 가맹점에 고객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고객이 매장내에 머문시간, 방문횟수 등을 카운트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소정 가맹점 매장내에 고객이 있음이 인정될 경우, 상기 가맹점에서 설정해놓은 광고행위, 즉 광고와 함께 포인트 또는 쿠폰을 고객에게 전송할 수 있다.
비콘의 기능은 고객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하는 기능이 아니고, 해당 업소(회원 가맹점)에 방문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주 용도이다. 이 또한, 회원가맹점이 백화점이나 아울렛과 같이 넓고 몇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업소일 경우에는, 고객이 어떤 매장으로 이동하는지를 찾아내어 서비스하는 위치추적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동네(지역상권)에서 돌아다닐 때에는 비콘의 감지범위를 매장 안으로 한정하여 업소방문이 이루어지는지만을 체크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관리자(20)은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7)을 관리하는 자로, 메인서버(200)와 메인 DB(데이터베이스)(250)을 구비한다.
메인서버(200)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관리자의 서버로,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메인 DB(250)에는 회원 가맹점별로, 회원 가맹점의 정보와, 회원 가맹점 가상계좌와, 회원 가맹점의 고객회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각 고객(즉, 광고수신 가능 고객)별로, 고객 전화번호(즉, 고객 단말기의 전화번호), 회원 가맹점의 정보 또는 회원 가맹점의 정보에서 추출한 주소정보, 블루투스 페어링에 필요한 정보, 고객 가상계좌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고객 가상계좌는 고객의 적립금, 포인트, 쿠폰등을 저장한 계좌를 말한다.
또한, 메인서버(200)는 메인DB(250)에 저장된 광고수신 가능 고객별로, 각 고객의 구매물품정보(가격, 물품명, 구매시점 등등)을 저장하고, 주기적(주단위 또는 월단위 또는 년단위 등)으로 구매성향을 판단하여 구매성향 정보를 저장한다.
메인서버(200)는, 회원 가맹점이 입금한 금액만큼,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예치금을 입금형태로 저장하고, 회원 가맹점이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 100a, 100b)를 통해 포인트 또는 쿠폰 또는 이벤트 등을 발급할 때마다, 메인 DB(250)의 회원 가맹점별 가상계좌에서 상기 포인트 또는 쿠폰 또는 이벤트에 대한 대금을 차감한다. 또한, 고객이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을 회원 가맹점에서 사용함에 의해, 고객으로부터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의 결제를 받은 회원 가맹점은 상기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의 결제대금을 메인서버(200)로 요청하며, 메인서버(200)는,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의 결제를 받은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상기 포인트 또는 쿠폰 등의 결제대금을 입금하여 준다.
메인서버(200)는, 회원 가맹점(10)이 광고를 요청한 경우, 소정 광고료를 메인 DB(250)의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차감하게 되고, 광고를 요청한 회원 가맹점의 회원고객을 제외하고, 상기 광고 대상이 된 각 회원고객을 보유한 회원 가맹점(10)의 가상계좌들로, 광고 대상이 된 회원고객수에 따라 광고 배분료를 입금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광고수신 가능 고객(30)은 고객 스스로가 본인의 고객 단말기(300)에, 관리자(20), 즉, 메인 서버(200)가 베포한 어플(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한 고객을 말한다. 고객은 최초 어플설치시, 본인에게 광고수신을 권유한 회원 가맹점 또는 본인 등록회원이 되고 싶은 회원 가맹점을 지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고객 단말기(300)에 어플을 설치한 광고수신 가능 고객(30)은, 메인 서버(200)에 소정 회원 가맹점의 회원고객으로 등록되며, 각 고객별로, 고객 전화번호, 회원 가맹점의 정보 또는 회원 가맹점의 정보에서 추출한 주소정보, 블루투스 페어링에 필요한 정보, 고객 가상계좌(즉, 적립금, 포인트, 쿠폰 등을 적립한 계좌) 등을 메인 DB(250)에 저장하고 있다. 또한 메인DB(250)에 광고수신 가능 고객별로, 각 고객의 구매물품정보(가격, 물품명, 구매시점 등등), 주기적(주단위 또는 월단위 또는 년단위 등) 구매성향이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고객에 제공된 어플은 고객이 어플을 설치할 때 또는 이후에 고객이 거주하는 지역정보를 입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고객에 제공된 어플은, 회원 가맹점(예를 들어 마트)이 중심이 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회원가맹점을 통해 광고수신을 허용한 고객의 경우, 고객 단말기(300)를 통해, 어플을 설치하게 한 회원가맹점의 가맹점 번호와 함께, 고객의 전화번호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메인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번호를 통해 상기 회원 가맹점의 주소를 알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고객이 어떤 회원 가맹점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위치하는지를 저장하게 된다. 즉, 메인서버(200)는, 고객정보로서, 고객의 전화번호와, 어플을 설치하게 한 회원가맹점의 가맹점 번호 또는 어플을 설치하게 한 회원가맹점의 주소로부터 추출된 고객의 주소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300는, 광고수신 가능 고객이 구비하며, 메인서버(200)에서 제공한 소정 응용프로그램을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서버(200)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단말기이다. 고객 단말기(300)에 메인서버(200)에서 제공한 소정 응용프로그램을 설치 시에, 고객 단말기(300)에서, 블루투스 페어링에 필요한 정보가 메인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고객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휴대폰, PDF, 컴퓨터,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회원 가맹점(100)에서 광고하고자 할 때는, 메인 DB(250)에는 회원 가맹점(100)의 고객회원 정보 뿐만아니라, 회원 가맹점(100)이 위치하는 지역의 타 회원 가맹점(100)(예를 들어 마트)의 고객회원 정보가 있으므로, 별도로 광고수신 가능 고객의 정보를 입력하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은, 가맹점에서 광고하고자 할 때는, 이미 저장된 타 회원 가맹점(100)인 마트의 정보를 가지고 해당 지역을 알 수가 있으므로 고객이 주소를 입력하지 않아도, 광고하고자 하는 가맹점에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고객만을 대상으로 타겟광고가 가능하다. 다시말해, 한 동네에서 가장 많은 DB(고객정보)를 가지고 있는 타 회원 가맹점(100)인 마트를 중심으로 고객이 별도의 정보를 입력하지않아도, 거주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주변 소상공인들이 타겟 광고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7)에서 회원 가맹점(10)이 요식업인 경우의 주문 및 결제관련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요식업의 회원 가맹점(10)의 경우, 손님용의 각 테이블에는, NFC 태그(NFC Tag)와 QR(Quick Response)코드를 구비하는 NFC카드(70)가 장착되어 있으며, 각 NFC카드(70)의 NFC 태그에는 서로 다른 메뉴판서버주소를 저장(등록)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NFC카드에 고객 단말기(즉, 고객의 스마트폰)(300)가 근접하면, NFC카드 별(다시말해, 테이블별)로 서로 다른 메뉴판서버주소를 고객 단말기(300)에 로딩한다. 또는 NFC카드(70)에 있는 QR 코드를 고객 단말기(300)의 카메라로 스캔하여 읽어들임에 의해, 메뉴판서버주소를 고객 단말기(300)에 로딩하거나, 또는 메뉴판서버와 연동되어, 메뉴판이 고객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QR 코드는 NFC카드 별(다시말해, 테이블별)로 다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매장내의 여러 테이블 중 어느 테이블인지를 알 수 있게 한다. 고객은 본인의 고객 단말기(300)에 읽혀진(즉, 로딩된) 메뉴판서버주소를 클릭함에 의해, 소정 메뉴판(즉, 소정 모바일 메뉴판)을 고객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NFC카드의 NFC 태그 또는 QR코드와, 고객 단말기(300)가 연동하여, NFC태그별 또는 QR코드별(다시말해, 테이블별)로 서로 다른 메뉴판서버주소의 모바일 메뉴판을 고객의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반적인 NFC카드(70)는 특정 칩셋 등이 내장된 NFC 태그(NFC Tag)(71)로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15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NFC카드(70)는 NFC 태그(NFC Tag)(71)외에, QR 코드(7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NFC 또는 불르투스를 사용못하는 고객이나, 스마트폰 등으로 NFC 태그의 신호전달 과정에 에러가 왕왕 발생하므로, 이러한 경우에 사용하기 위함이다.
메인서버(200)는, 회원 가맹점(10)별로, 테이블 개수에 따라, 메뉴판서버주소가 다른 다수개의 메뉴판서버를 포함한다.
고객 단말기(300)에서 메뉴판서버주소가 선택되어 메뉴판 서버가 구동됨에 따라, 고객 단말기(300)에는 해당 모바일 메뉴판이 디스플레이 되고, 고객은 상기 모바일 메뉴판 상에서 원하는 음식을 선택하고 음식선택완료버튼을 선택하면, 모바일 메뉴판은 고객으로 하여금 모바일 결제여부를 선택하게 하며, 만약 고객이 모바일 결제를 선택하면, 금융결제서버와 연동되어, 선택된 음식에 대한 결제를 행하게 되고, 결제된 결과로서, 선택된 음식명과 결제된 금액이, 고객 단말기(300) 및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금융결제서버(80)는 개인의 금융거래인증 등의 본인 인증을 통해, 신용카드, 현금카드, 은행예금 등에서 결제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 금융기관에서 운용하는 금융결제서버 또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 수단(예컨대, 온라인 PG(Payment Gateway)결제, 구글페이,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SSG페이, L페이, 애플페이, 알리페이)을 총칭하여 말한다. 이는 널리 공지된 기술로, 그 연동기술은 실시 예를 설명하지 않더라도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으로 용이하게 이해하고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만약, 고객이 모바일 결제가 아닌, 카운터에의 결제를 원하면, 카운터에의 결제를 나타내는 식별자와, 고객이 선택한 음식명과 결제될 금액이,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되고, 고객은 해당 회원 가맹점의 카운터에 가서 결제를 행하게 되며, 이는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에 저장된다.
모바일 메뉴판에는, 고객용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이하 '어플'이라 함)의 설치를 권유하는 광고와 함께, 어플과 연동되는 어플 설치 스위치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어플 설치 스위치를 클릭함에 의해, 자동으로 고객 단말기(300)에 어플이 설치된다. 상기 어플이 설치될 때, 자동으로, 고객의 전화번호와, 모바일 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정보(예를 들어 회원가맹점 번호)가 자동으로 메인서버(200)에 전송되며, 메인서버(200)는 모바일 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의 보유 등록고객으로, 어플을 설치한 고객을 등록한다. 이때, 메인 DB(250)에 상기 고객의 전화번호, 모바일 메뉴판을 제공한 회원 가맹점 정보가 저장된다.
이렇게 어플을 설치한 고객은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며, 상기 포인트를 회원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요식업의 회원가맹점은, 다른 회원가맹점의 등록고객, 예를들어 회원가맹점 중의 소정 마트의 등록고객들에게 광고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7)에서 광고수신 가능 고객정보 제공 및 광고료 지불에 대한 흐름을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도 3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광고수신 가능 고객정보 제공 및 광고료 지불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어플 설치단계로, 제1 회원 가맹점이, 이용고객의 물품대금등의 결제시 등에 또는 모바일 메뉴판을 통해, 어플을 설치함(즉, 광고수신을 허용함)에 따라 경품 등이 제공됨을 이용고객에게 알림에 따라, 고객은 메인 서버(200)에서 발급한 어플(응용프로그램)을 자신의 고객단말기(300), 즉 스마트폰에 설치한다(S110). 이때, 어플설치시, 고객은 자신의 고객단말기(300)에서, 광고수신을 권유한 회원 가맹점을 입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고객 정보 전송단계로, 어플 설치단계(S110)에서 어플이 설치되면, 상기 고객단말기(300)는 자동적으로, 고객의 전화번호와, 어플을 설치하게 한 회원가맹점의 가맹점 번호(즉, 제1회원 가맹점의 가맹점 번호), 블루투스 페어링에 필요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한다(S120).
회원고객 등록단계로, 메인서버(200)는 고객 정보 전송단계(S120)로 부터 수신된 고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고객은 어플을 설치하게 한 회원가맹점(즉, 제1회원 가맹점)의 보유 회원고객으로 등록하고, 고객정보를 메인DB(250)에 저장한다(S130). 다시말해 메인DB(250)에 어플을 설치하게 한 회원가맹점(즉, 제1회원 가맹점)의 보유 회원고객으로서 고객의 전화번호 등을 고객정보로서 저장한다.
광고 요청단계로, 제1 회원 가맹점과 같은 지역에 위치하는 회원 가맹점인, 제2회원 가맹점이, 제2회원 가맹점 단말기(100b)를 통해, 광고대상 선정조건 정보, 광고 내용(또는 광고 분량) 등으로 이루어진 광고요청 신호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한다(S140).
예를들어 광고 요청시, 제2 회원 가맹점 단말기 상에, 각 회원 가맹점의 이름 등이 제시되고, 제1 회원 가맹점은 그중에 어느 회원 가맹점의 보유 회원고객을 광고 대상으로 원하는 지에 따라, 각 회원 가맹점의 보유회원고객을 광고대상 고객으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광고 요청시, 제2 회원 가맹점 단말기 상에, ① 우리고객(자체 보유 회원고객), ② A마트 고객,③ B마트 고객, ④ 마트제외한 타 가맹점 고객, ⑤ 매출상위 000명의 고객, ⑥ 최근 3개월이내 방문 00회 이상 방문 고객 등 다양한 광고대상관련 정보가 제시되며, 제2 회원 가맹점은 이중에 복수 조건의 선택이 가능하다.
광고대상 선정 및 광고료 차감단계로, 메인 서버(200)는 메인 DB(250)에 기 저장된, 제2회원 가맹점이 위치하는 지역의 회원 가맹점들(예로 제1 회원 가맹점)의 회원고객들 중에서, 제2회원 가맹점 단말기(100b)로부터 수신된, 광고대상 선정조건 정보, 광고 내용 등으로 이루어진 광고요청 신호에 따라, 즉, 광고대상 선정조건 정보에 따라, 광고대상을 선정하며, 메인 서버(200)는 광고요청을 한 제2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광고료를 출금(차감)한다(S150).
여기서 상기 광고료는 광고인원수, 광고 내용(또는 광고 분량) 등에 따라 달리 정하여 질 수 있다. 또한 광고 내용은 메인서버(200)와 연동된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 100a) 상에서,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광고대상 선정 및 광고료 차감단계(150)에서 제2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출금된 광고료는 관리자가 받은 광고료라 할 수 있다.
광고단계로, 광고 요청단계에서 광고를 요청한 제2회원 가맹점의 광고를, 메인 서버(200)는, 선정된 각 광고 대상 고객의 고객단말기로 전송한다(S160).
광고료 배분단계로, 메인 서버(200)는 광고 대상 고객 중, 제2회원 가맹점의 회원고객을 제외하고, 각 광고 대상 고객을 보유한 각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로, 광고 배분료를 입금하고(S170), 광고 배분료가 입금된 각 회원 가맹점으로, 광고 배분료가 입금됨을 알린다(S171). 광고 배분료는, 광고 대상 고객이 소정 회원 가맹점의 회원 고객일 경우, 상기 광고 대상 고객에 따라, 소정 회원 가맹점에게 지급되는 광고 배분료이다. 즉 이는 관리자가 받은 광고료 중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소정 회원 가맹점은 광고 대상 고객 수만큼 광고 배분료를 가상계좌에 입금받을 수 있다.
예를들어, 광고료 배분단계는, 관리자가 받은 광고료의 80%에서, 광고 대상 고객을 보유한 각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로, 광고 대상 고객 수에 따라, 차등으로, 회원 가맹점의 광고 배분료를, 입금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광고료 배분단계는, 메인 서버(200)가 광고 대상 고객 중, 제2회원 가맹점의 회원고객을 제외하고, 각 광고 대상 고객을 보유한 각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로, 각 회원 가맹점의 광고 배분료를 입금하고, 또한 각 광고 대상 고객의 가상계좌로, 각 광고 대상 고객의 광고 배분료를 적립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들어, 관리자가 받은 광고료의 30%에서, 광고 대상 고객을 보유한 각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로, 광고 대상 고객 수에 따라, 차등으로, 회원 가맹점의 광고 배분료를, 입금하고, 또한, 관리자가 받은 광고료의 50%에서, 광고 대상 고객의 고객 가상계좌로, 고객의 광고 배분료를, 입금할 수 있다. 즉, 각 회원 가맹점의 광고 배분료들을 합하면 관리자가 받은 광고료의 30%이며, 고객의 광고 배분료들을 합하면 관리자가 받은 광고료의 50%일 수 있다. 고객의 광고 배분료는 적립금 또는 포인트 또는 쿠폰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각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와, 각 고객의 가상계좌로 지급되는 광고 배분료는 포인트일 수 있으며, 이를 특히 광고 포인트라 명명할 수 있다.
또한, 각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은 적립금 또는 포인트 또는 쿠폰으로 적립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고주(즉, 광고를 하고 싶은 회원 가맹점)는, 광고요청시, 회원 가맹점 단말기를 통해, 관리자가 기 설정한 광고 적용 광고료(또는 광고 적용 광고 포인트)의 하한선과 상한선 내에서, 광고 적용 광고료(또는 광고 적용 포인트)를 설정하고, 메인서버는, 광고주의 가상계좌에서, 설정된 광고 적용 광고료(또는 광고 적용 포인트)에 따라 광고료를 출금 또는 차감한다.
광고 적용 광고료는 광고주가, 광고 비용으로 적용할 금액을 말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 상기 광고에 따른 광고료를 포인트로 계산할 경우는, 광고 적용 광고 포인트)라 할 수 있다. 이는 관리자가 기 설정한 광고 적용 광고료(또는 광고 적용 광고 포인트)의 하한선과 상한선 내의 금액이다.
광고주가 설정한 광고 적용 광고료(또는 광고 적용 광고 포인트) 내에서, 각 광고 대상 고객을 보유한 각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로 지급할 비율과, 각 광고 대상 고객의 가상계좌로 지급할 비율은, 관리자가 기설정한 비율에 따라 정하여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7)에서 회원 가맹점(10)이 요식업인 경우의 주문 및 결제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메뉴판 로딩단계로, 해당 가맹점(10)의 고객용 테이블에 부착된 NFC 카드(70)의 NFC 태그에, 고객 단말기(300)를 근접시켜, NFC 카드(70)는 고객 단말기(300)가 근접됨을 인식하고, 또는 NFC 카드(70)의 QR코드를, 고객 단말기(300)로 스캐닝하여 읽어들임으로써(S710), 고객 단말기(300)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전송하고(S720), 고객 단말기(300)에서 메뉴판 서버 주소를 고객이 클릭함에 의해, 메인서버(200)내의 메뉴판 서버에 있는 모바일 메뉴판이 고객 단말기(300)에 로딩된다(S730).
음식선택단계로, 메뉴판 로딩단계에서 읽어들인 모바일 메뉴판이 고객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며, 모바일 메뉴판상에서 고객은 원하는 음식을 선택하고 음식선택완료버튼을 선택하면, 선택된 음식정보(음식명 또는 음식번호, 가격)를 고객 단말기(300)에 임시저장한다(S740).
결제단계로, 모바일 결제와 카운터 결제 중 택일을 하는 결제 문의 창이 열리고, 만약 고객이 모바일 결제를 선택하면, 금융결제서버(80)와 연동되어 선택된 음식정보(즉, 임시저장된 음식정보)에 따라 결제를 행하고, 금융결제서버(80)는, 결제된 결제완료신호(즉, 메뉴판 서버 주소, 음식정보, 결제금액)를, 가맹점 단말기(100)로 전송하고(S770), 또한, 고객 단말기(300)로도 전송한다(S775).
여기서, 금융결제서버(80)는, 금융기관에서 운용하는 금융결제서버 또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 수단(예컨대, 온라인 PG결제, 구글페이,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SSG페이, L페이, 애플페이, 알리페이)을 말한다.
결제단계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가맹점 단말기(100)는 결제완료신호에 포함된 메뉴판 서버 주소와 연동된 테이블번호를 읽어들이고, 결제완료신호에 포함된 음식정보에 따라, 해당 테이블의 주문서를 생성하고, 주문리스트에 저장하며, 또한, 해당 테이블의 주문서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터(미도시)로 출력하거나, 주방단말기로(미도시) 전송한다.
만약, 결제단계에서, 모바일 결제와 카운터 결제 중 택일을 하는 결제 문의 창에서, 고객이 카운터 결제를 선택하였다면, 고객은 고객 단말기(300)를 들고 카운터에 가서, 일반적인 방식으로 결제를 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포인트 사용 및 결제에 대한 흐름을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포인트 사용 및 결제에 대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예치금 적립단계로, 제1 회원 가맹점이 관리자의 계좌에 소정 예치금을 입금하고, 제1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a)를 통해 메인서버(200)로, 제1 회원 가맹점이 관리자의 계좌에 소정 예치금을 입금하였음을 알리는, 예치금 입금 신호를 전송하면(S210), 메인서버(S220)는 예치금 입금을 확인하고 메인 DB(250)의 제1 회원 가맹점 가상계좌에 상기 예치금을 적립하고(S220), 예치금이 제1 회원 가맹점 가상계좌에 적립됨을 알리는 예치금 적립 확인신호를 제1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a)로 전송한다(S230).
포인트 발급 요청에 따른 포인트 대금 차감단계로, 제1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a)로부터 메인서버(200)로 소정 고객에게로의 포인트 발급요청, 즉, 소정 고객번호 또는 고객 전화번호와 함께, 포인트 발급요청신호를 전송하면(S240), 메인서버(200)는 제1 회원 가맹점 가상계좌에서 포인트 대금을 차감한다(S250).
포인트 발급단계로, 메인서버(200)는 소정 포인트를 발급하여, 소정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로 전송하고(S260), 또한 상기 고객의 고객 가상계좌에 포인트를 적립하고, 포인트 발급 완료신호를 제1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a)로 전송한다(S265). 여기서 포인트들은 포인트 발급번호를 가질수 있으며, 메인 DB(250)에는 포인트 발급번호 별로 금액(또는 포인트 크기), 포인트 보유고객명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인트 발급은, 메인서버(200)가 회원가맹점이 소정 고객에게 발급요청한 포인트를 상기 고객의 고객 가상계좌에 적립하고, 상기 고객의 고객단말기로 포인트 발급사실을 알리는 것이다.
포인트 결제단계로, 고객이 제2 회원 가맹점에서 물품대금을 고객단말기(300)의 포인트로 결제요청하면(S270), 제2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b)는 물품대금으로 포인트로 결제를 행하고(S280), 메인서버(200)로 포인트 결제 대금 요청 신호(즉, 포인트 발급번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290).
고객의 포인트 차감 단계로, 포인트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수신한 메인서버(200)는 고객 가상계좌에서 상기 포인트를 차감한다(S300).
회원가맹점의 포인트 결제 대금 적립단계로, 제2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포인트 결제 대금 만큼을 적립한다(S310).
본 발명에서는, 회원 가맹점이 발급한 포인트, 쿠폰, 이벤트(할인 등)를, 고객이 다른 회원 가맹점에서 사용함에 의해 발생되는 손실, 즉, 포인트, 쿠폰, 이벤트(할인 등)의 결제금액을 위해, 사전에 각 회원 가맹점으로부터 예치금을 받는다. 그리고, 상기 예치금의 한도내에서,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관리자가, 포인트, 쿠폰, 이벤트(할인 등)의 결제를 행한다. 또한, 각 회원 가맹점은 상기 예치금 내에서 포인트, 쿠폰, 이벤트(할인 등)를 발급할 수 있다.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100a, 100b)는, 해당 회원 가맹점을 이용한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로 포인트, 쿠폰 등을 발급을 메인서버(200)로 요청하되, 상기 예치금의 한도 내에서만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인서버(200)는 포인트, 쿠폰 등을 발급하여 고객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품대금으로 받은 포인트, 쿠폰 등을 결제한 회원 가맹점으로부터, 메인서버(200)로, 포인트 결제 대금 요청이오면, 이에 따른 금액을 상기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입금하고 있으나, 이는 경우에 따라서, 현금으로, 상기 회원 가맹점의 소정계좌에 입금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포인트를 발급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차감된 금액과, 포인트를 결제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입금한 금액은 서로 다를 수 있다.
포인트를 결제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입금한 금액은, 실 금액의 소정비율일로 실 금액보다는 작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쿠폰은 2가지 종류가 있다.
첫번째로는 회원 가맹점이 자체적으로 발행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회원 가맹점에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타 회원 가맹점의 보유 회원고객에게도 보낼 수 있는 데, 이는 자신의 가게로 와서 사용하게 하려는 것이다. 이는 일종의 광고와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로, 관리자 측에서 제공하는 일반적인 쿠폰이 있다. 이것을 사용하고자하는 회원 가맹점은 미리 할인된 가격에 쿠폰을 구매하며, 구매된 이 쿠폰들은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적립되어 있다가, 회원 가맹점이 쿠폰을 발급함에 따라,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차감된다.
예를들어 관리자는 업체와의 계약에 의해 대량의 할인쿠폰에 대해 할인된 가격을 지불하고 구입하고, 회원 가맹점은 이 할인쿠폰을 사전에 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관리자로부터 쿠폰을 소정 매수 구입하여 적립하고, 차 후 고객들에게 발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회원 가맹점이, 비콘인식기(150)를 이용하여 광고를 행하는 일실시예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의 비콘인식기를 이용하여 광고를 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주변고객의 스마트폰 신호 수신단계로, 회원 가맹점의 비콘(Beacon) 인식기(150)는 회원 가맹점내에 있는 사람(고객)들의 스마트폰으로 부터 스마트폰의 비콘ID 정보(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또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신호를 수신하고(S510), 수신된 스마트폰 신호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한다(S520). 경우에 따라서, 주변고객의 스마트폰 신호 수신단계는, 회원 가맹점의 비콘 인식기(150)는 스마트폰 신호를 수신하여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 100a)를 통해 메인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말해, 회원 가맹점의 비콘 인식기(150)는 특정 ID신호인 비콘신호를 회원 가맹점의 주변으로,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비콘이 발신하는 신호 도달 거리 내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들어오면,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장비가 상기 비콘신호를 받게 되고, 스마트폰은 수신된 비콘신호를 인식하여 스마트폰의 비콘ID 정보(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또는 전화번호 등의 스마트폰 신호를 비콘인식기(150)로 전송하게 된다. 비콘 인식기(150)는, 회원 가맹점의 내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스마트폰의 비콘ID 정보(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또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한다(S520). 비콘 인식기(150)는 주변 약 30m 이내의 반경의 스마트폰을 인식한다. 주로 회원가맹점 내의 고객을 인식한다.
광고수신 가능 고객 여부 확인단계로, 메인 서버(200)는 수신된 스마트폰 신호로부터 고객 정보, 즉, 비콘ID 정보(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또는 고객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메인 DB(250)과 연동하여, 상기 고객 정보로부터 상기 고객이 광고수신 가능 고객인지 여부를 판단하며(S530), 만약 광고수신 가능 고객이라고 확인되면, 메인 DB(250)에 기 저장된 광고수신 가능 고객의 정보, 즉, 고객정보, 구매물품정보(가격, 물품명, 구매시점 등등), 구매성향 정보를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 100a)로 전송한다(S540).
다시말해, 메인서버(200)는, 수신된 스마트폰 신호와 메인DB(250)에 저장된 광고 수신 가능 고객의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광고 수신 가능 고객의 스마트폰인지를 확인하고, 광고 수신 가능 고객의 스마트폰이라면,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로 해당 광고 수신 가능 고객의 정보를 전송한다.
포인트 및 광고 요청단계로, 회원가맹점은 수신된 고객정보, 고객의 구매물품정보(가격, 물품명, 구매시점 등등), 구매성향 정보를 통해 고객별 맞춤 포인트 또는 쿠폰을 결정하며 고객별 맞춤 광고의 광고 내용도 결정하고,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 100a)는 고객별 맞춤 포인트 또는 쿠폰의 발급 신호를 메인서버(200)로 요청하고, 동시에, 고객별 맞춤 광고 내용을 포함하는 광고 요청신호도 메인서버(200)로 한다(S550).
포인트 및 광고 대금 차감단계로, 메인 서버(200)는 포인트 및 광고 요청을 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포인트 대금(또는 쿠폰 대금) 및 광고료를 출금(차감)한다(S560).
포인트 및 광고 전송 단계로, 메인 서버(200)는, 포인트 및 광고 요청단계에서 회원가맹점(100, 100a)이 요청한 고객별 맞춤 포인트 또는 쿠폰을 발급하여, 상기 광고 수신 가능 고객의 가상계좌에 적립하고, 또한 상기 광고 수신 가능 고객의 고객단말기(300)로, 포인트 및 광고 요청단계에서 요청된 광고 및 포인트 발급 알림을 전송한다.
광고료 배분단계로, 메인 서버(200)는 광고 대상 고객 중, 회원 가맹점의 자체 회원고객을 제외하고, 각 광고 대상 고객을 보유한 각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로, 광고 배분료를 입금한다(S560).
도 10은 본 발명의 포인트 또는 쿠폰의 발급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7)의 관리자는 제조사(5)들로부터 포인트 또는 쿠폰을 할인된 가격에 소정량 구매하고, 관리자(10)는 제조사(5)로부터 구매된 소정량의 한도내에서 회원 가맹점(20)들에게 판매한다.
회원 가맹점(20)이 구매한 포인트 또는 쿠폰은 메인 DB(250) 내에 회원 가맹점(20)의 가상계좌에 포인트 또는 쿠폰에 대한 예치금(예치된 포인트 또는 예치된 쿠폰이라고도 표한 할 수 있음)으로서 저장된다.
회원 가맹점(20)은 포인트 또는 쿠폰에 대한 예치금의 한도내에서 고객에게 포인트 또는 쿠폰을 발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광고 수신 가능 고객의 고객 단말기(스마트폰)의 기본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광고 수신 가능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의 기본화면에는 홈 버튼, 내정보 버튼, 알림 버튼, 가맹정 버튼, 사용법 버튼, 설정 버튼, 게시판 버튼, 상담 버튼 등을 구비한다.
홈 버튼을 클릭하면, 가맹점 리스트 버튼(미도시)과, 당첨자 실시간 현황 버튼(미도시)과, 어플(응용프로그램(앱)) 공유 버튼(미도시)의 화면이 나타난다. 가맹점 리스트 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가맹점 리스트들이 나타나며, 리스트 중 선택된 가맹점의 광고를 볼 수 있다.
당첨자 실시간 현황 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진행 중인 이벤트의 당첨자를 공지하는 알림화면이 나타난다. 어플공유 버튼(미도시)을 클릭하여, 메인서버(200)에서 베포한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다.
내정보 버튼을 클릭하면, 할인쿠폰 버튼(미도시)과, 경품 버튼(미도시)과, 적립포인트 버튼(미도시)과, 내 선호 위치 버튼(미도시)의 화면이 나타난다. 할인쿠폰 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해당 고객에게 부여되거나, 고객이 획득할 수 있는 할인쿠폰들이 나타난다. 경품 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해당 고객에게 부여되거나, 고객이 획득할 수 있는 경품들이 나타난다. 적립포인트 버튼(미도시)를 클릭하면, 현재 고객의 적립포인트를 나타낸다. 내 선호 위치 버튼(미도시)를 클릭하면, 해당 고객이 설정한 내 선호 위치(본인이 주로 활동하는 위치(영역)를 설정한 것)가 나타난다.
알림 버튼을 클릭하면, 중요 알림목록 버튼(미도시)과, 전체 알림 목록 버튼(미도시)이 화면에 나타난다. 중요 알림목록 버튼(미도시)이 클릭되면, 회원 가맹점의 이벤트들 등의 중요한 알림목록이 나타나고, 고객이 상기 중요한 알림목록 중 원하는 알림목록을 클릭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전체 알림 목록 버튼(미도시)이 클릭되면,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공지하는 전체 알림목록을 나타내고, 고객이 상기 알림목록 중 원하는 알림목록을 클릭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가맹점 버튼을 클릭하면, 업종별 찾기 버튼(미도시), 위치별(지번) 찾기 버튼(미도시), 위치별(도로명) 찾기 버튼(미도시), 나의 선호위치에서 찾기 버튼(미도시), 가맹점 이름으로 찾기 버튼(미도시)이 나타난다.
업종별 찾기 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다양한 업종명 리스트가 나오고, 상기 업종명 리스트 중 하나의 업종명을 클릭하면, 상기 업종명으로 등록된 회원 가맹점의 리스트들이 나오고, 그 중 원하는 가맹점을 클릭하면 상기 가맹점의 정보, 광고 등을 볼 수 있다.
위치별(지번) 찾기 버튼(미도시) 또는 위치별(도로명) 찾기 버튼(미도시)를 클릭하면, 상기 위치(지번 또는 도로명)에 있는 회원 가맹점의 리스트들이 나오고, 그 중 원하는 가맹점을 클릭하면 상기 가맹점의 정보, 광고 등을 볼 수 있다.
나의 선호위치에서 찾기 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기 설정된 나의 선호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반경내의 회원 가맹점의 리스트들이 나오고, 그 중 원하는 회원 가맹점을 클릭하면 상기 가맹점의 정보, 광고 등을 볼 수 있다.
가맹점 이름으로 찾기 버튼(미도시)을 클릭하고, 가맹점 이름을 입력하면 입력된 이름의 회원 가맹점의 리스트가 나오고, 그 중 원하는 회원 가맹점을 클릭하면 상기 가맹점의 정보, 광고 등을 볼 수 있다.
사용법 버튼을 클릭하면, 다운로드, 할인쿠폰/경품추첨, 포인트 적립과 관련된 사용법이 설명되어 있다.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푸쉬알림(거부) 버튼(미도시), 내 선호 위치 설정버튼(미도시), 참여한 가맹점 리스트 보기버튼(미도시)가 나타난다. 푸쉬알림(거부) 버튼(미도시)은 토굴되도록 이루어지며, 푸쉬알림을 선택하거나, 거부하는 것을 선택하게 한다. 내 선호 위치 설정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해당 고객이 주로 활동하는 위치인, 내 선호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지도상에서 설정하거나, 주소로 설정하거나, 건물명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참여한 가맹점 리스트 보기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해당 고객이 쿠폰, 포인트 등을 받기를 원한 가맹점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 선호 위치 설정버튼(미도시)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객이 어플설치시 자신에게 어플 설치를 추천한 회원 가맹점을 선택함에 의해, 상기 고객이 상기 회원가맹점 주변에 거주함으로(다시말해, 상기 회원가맹점 주변에 생활권이 있다고) 추정하며, 어플설치시에 '내 선호 위치'는 상기 회원 가맹점의 위치로 자동 저장되고, 추후, 고객이 포인트를 적립한 회원 가맹점이 생기면, 고객이 포인트를 적립한 상기 회원 가맹점을 '내 선호 위치'로 메인서버가 자동 저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고객이 위치한 지역, 즉, 고객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은, 상기 고객을 보유회원 고객으로 하는 회원가맹점이 위치한 지역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고객이 내 선호 위치 설정버튼(미도시)을 이용하여 위치를 입력하거나, 휴대폰의 위치설정을 “on”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가 없이도, 고객 단말기(휴대폰, 스마트폰)의 기본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
즉, 어느 지역이든 동네 수퍼마켓(중,대형 마켓---대형 할인양판점 제외--이마트 등)과 주변 요식업체에 포인트적립을 위해 회원으로 등록된 휴대폰은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고객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국적으로 이러한 고객에 대한 DB를 모아도,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 의한 광고 서비스는, 광고하고자 하는 가게(회원가맹점)에서 반경 1~2km 안에 거주하는 소비자(광고 수신 가능고객)를 찾아 타겟광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광고 서비스만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고객이 가장 꺼려하는 자기 위치추적기능을 설정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광고 서비스는 광고하고자하는 업체주변에 거주하는 사람을 찾아내어 타겟광고를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광고 수신 가능 고객의 고객 단말기의 적립포인트관련 화면의 일예이다.
고객 단말기에서 내정보 버튼을 클릭하고, 적립포인트 버튼(미도시)를 클릭하면, 해당 고객의 구매 포인트, 방문 포인트, 타임 포인트 들이 나타나고, 이에따른 현재 적립된 총 포인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적립포인트는 구매 포인트, 방문 포인트, 타임 포인트를 구비하여, 회원 가맹점에의 고객의 방문 횟수를 늘리고 회원 가맹점의 매출 확장에 도움이 된다.
구매 포인트는 고객이 소정 회원 가맹점에서 물품을 구매함에 따라 물품구매 대금에 따라 소정 비율로 지급되는 포인트로, 물품 대금 결제시 자동으로 고객에게 전송된다.
방문 포인트는 고객이 소정 회원 가맹점의 방문횟수(방문일 수)에 따라 지급되는 포인트이다. 소정 회원 가맹점의 비콘인식기와 회원 가맹점 단말기가 연동하여, 고객을 인식하며,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인식된 해당 고객의 방문횟수(방문일 수)를 카운트하여, 방문횟수(방문일 수)에 따라 방문 포인트를 산정하여, 자동으로 고객에게 전송한다.
타임 포인트는 고객이 소정 회원 가맹점에 머무는 시간에 따라 지급되는 포인트이다. 소정 회원 가맹점의 비콘인식기와 회원 가맹점 단말기가 연동하여, 고객을 인식하고,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인식된 해당 고객의 머무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머무는 시간에 따라 타임 포인트를 산정하여, 자동으로 고객에게 전송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회원 가맹점의 음식점에서 주문 및 결제에 따른 고객 단말기의 화면의 일예이다.
도 13의 (a)는 모바일 메뉴판을 나타내는 초기화면이다.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가 테이블의 NFC 카드(70)의 NFC태그가 근접함에 의해, NFC 카드(70)로부터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로 메뉴판 서버 주소가 전송되고, 고객이 메뉴판 서버 주소를 선택(클릭)함에 의해, 해당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와 메뉴판 웹서버가 연동되어, 도 13의 (a)에서와 같이, 회원 가맹점의 모바일 메뉴판이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고객은 원하는 소정 음식을 선택한다.
또는,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로 테이블의 NFC 카드(70)의 QR코드를 스캐닝하여 QR코드를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가 읽어들임에 의해,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로 메뉴판 서버 주소가 출력되고, 고객이 메뉴판 서버 주소를 선택(클릭)함에 의해, 해당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와 메뉴판 웹서버가 연동되어, 도 13의 (a)에서와 같이, 회원 가맹점의 모바일 메뉴판이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고객은 원하는 소정 음식을 선택한다.
또는,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로 테이블의 NFC 카드(70)의 QR코드를 스캐닝하여 읽어들임에 의해, 해당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와 메뉴판 웹서버가 연동되어, 도 13의 (a)에서와 같이, 회원 가맹점의 모바일 메뉴판이 디스플레이되고, 해당 고객은 원하는 소정 음식을 선택한다.
도 13의 (b)는 주문확인 화면을 나타낸다. 해당 고객이 소정 음식을 선택하면, 도 13의 (b)에서와 같이, 주문을 확인하기 위한 창이 해당 고객의 고객 단말기(30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고객이 주문을 확인하는 확인버튼을 선택하면 결제여부 확인 단계로 간다.
도 13의 (c)는 결제여부 확인 화면을 나타낸다. 소정 음식에 대한 주문확인이 완료되면, 도 13의 (c)에서와 같이, 주문한 소정 음식에 대한 결제여부 묻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고객이 만약 결제를 선택하는 '예' 버튼을 선택하면 결제 단계로 가며, 고객이 만약 결제를 하지않는 '아니오' 버튼을 선택하면 메뉴판을 디스플레이하는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도 13의 (d)는 결제종류 선택 화면을 나타낸다. 고객이 결제를 선택한 경우에, 도 13의 (d)에서와 같이, 모바일 결제 또는 카운터 결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버튼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만약 고객이 모바일 결제를 선택하면 금융결제서버(80)와 연동하여 결제를 행한다. 만약 고객이 카운터 결제를 선택하면, 주문확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고객은 고객 단말기(300)을 들고, 해당 회원 가맹점의 카운터에 가서 결제를 행한다.
도 13의 (e)는 결제완료 화면을 나타낸다. 모바일 결제가 완료되면, 도 13의 (e)와 같은, 결제완료 화면이 출력된다. 여기서 고객은 영수증을 확인하고자 할경우는 '영수증보기' 버튼을 선택하여 영수증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회원 가맹점 단말기의 기본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4에서, 회원 가맹점 단말기(100)는 회원 가맹점 관리자 단말기(110)의 경우를 나타내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회원 가맹점 단말기(다른 컴퓨터) 또는 회원 가맹점 판매 단말기로 동일한 화면을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원 가맹점 관리자 단말기(110)는 홈 버튼, 설정 버튼, 푸시 등록버튼, 쿠폰 경품버튼, 통계 버튼, 결제현황 버튼, 내정보 버튼, 게시판 버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홈 버튼을 클릭하면, 회원 가맹점의 관리 일정표 버튼(미도시)과 홍보 리스트 버튼(미도시)을 포함한다. 관리 일정표 버튼(미도시)은 회원 가맹점의 관리에 관한 일정표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홍보 리스트 버튼(미도시)은 회원 가맹점이 홍보하고자 하는 리스트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할인쿠폰 가이드 설정 버튼(미도시)과 당첨금액/건수/발행가 버튼(미도시)을 포함한다. 할인쿠폰 가이드 설정 버튼(미도시)을 클릭하여, 회원 가맹점 관리자는, 할인쿠폰의 가이드룰 설정할 수 있다. 당첨금액/건수/발행가 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회원 가맹점 관리자는, 고객에 공지하는 이벤트의 당첨금액, 건수, 발행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푸시 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푸시알림 올리기 버튼(미도시), 광고내용 구성버튼(미도시), 전송내역 보기버튼(미도시), 보내기 버튼(미도시), 예약 버튼(미도시), 취소 버튼(미도시) 등이 디스플레이 된다. 푸쉬 알림 올리기 버튼(미도시)을 클릭하여, 광고 수신 가능 고객, 또는 비콘 인식기와 연동으로 회원 가맹점 주변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광고수신 가능 고객 등에게, 알림을 생성하여 전송하게 한다. 광고내용 구성버튼(미도시)을 클릭하여, 회원 가맹점 관리자는, 고객에게 보낼 광고내용을 만들 수 있다. 전송내역 보기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만들어진 광고들 중 어떠한 광고들이 어떤 고객들에게 전송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전송내역이 출력된다. 보내기 버튼(미도시), 예약 버튼(미도시), 취소 버튼(미도시)은 만들어진 광고들을 고객에게 전송할 것인지, 전송을 예약할 것인지, 예약된 전송을 취소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버튼이다.
쿠폰 경품 버튼을 클릭하면, 쿠폰/경품리스트 버튼(미도시), 가맹점별 자체 버튼(미도시), 이벤트 기회구성 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쿠폰/경품리스트 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모든 회원 가맹점이 발급할 수 있는 쿠폰과 경품의 리스트들이 제공된다. 가맹점별 자체 버튼(미도시)을클릭하면, 소정 회원 가맹점이 선택적으로 자체적으로 발급할 수 있는 쿠폰과 경품의 리스트들이 제공된다. 이벤트 기획구성 버튼(미도시)을 클릭하여, 소정 회원 가맹점이 선택적으로 자체적으로 이벤트(쿠폰, 경품, 할인 등등) 만들 수 있으며, 이는 스페셜, 1주년, 창립기념 등에 따라 만들 수 있다.
통계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회원 가맹점이 발행한, 기본 쿠폰관련 통계, 포인트 관련 통계, 특별 쿠폰 및 경품관련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결제현황 버튼을 클릭하여, 당월 결제현황, 전용계좌 안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내정보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회원 가맹점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회원 가맹점 등이 제공한 포인트로, 고객은 통신요금, 휴대폰 구매비, 각종 통신상품 요금을 결제가능하다. 즉, MNO(Mobile Network Operator) /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통신사 휴대폰 요금결제 / 휴대폰 구매비 / 각종 통신상품 구매 등에 포인트로 결제가능하다.
본 발명의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서 광고수신 가능 고객은 전화번호 이외에 다른 고객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기 고객이 참여내역을 삭제하면 모든 알림 중지 및 활동 기록이 자동으로 삭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7: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10: 회원 가맹점
20: 관리자 30: 광고수신가능 고객
70: NFC 카드 80: 금융결제서버
100, 100a, 100b : 회원 가맹점 단말기 110 : 회원 가맹점 관리자 단말기
120 : 회원 가맹점 판매 단말기 150 : 비콘인식기
200 : 메인서버 250 : 메인DB
300, 300a, 300b : 고객 단말기

Claims (28)

  1. 회원가맹점이 예치한 금액에 따라, 메인 DB(데이터 베이스)의 해당 회원가맹점의 가상계좌에 예치금이 적립되어 있으며, 회원 가맹점 단말기가, 타 회원 가맹점들의 회원 고객을 포함하는 광고대상 선정조건 정보를 메인서버로 전송하여 광고요청을 행하며, 메인서버는, 광고대상 선정조건 정보에 따라, 타 회원 가맹점들의 회원 고객을 포함하는 광고 대상을 선정하고, 광고요청을 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광고료를 차감한 후, 선정된 광고 대상의 고객 단말기로 광고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회원가맹점이 요식업소인 경우,
    각 고객용 테이블에 장착되어 있으며, NFC 태그를 포함하며, 근접된 고객 단말기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전송하는, NFC 카드;
    NFC 카드로부터 전송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이용하여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고, 금융결제서버와 연동하여, 선택된 음식 정보에 따라, 결제를 행하는, 고객 단말기;
    고객 단말기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금융결제서버로부터 결제완료신호를 수신하는, 회원 가맹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NFC 카드는 QR코드를 더 포함하며,
    고객 단말기는, QR코드가 스캐닝되어 입력됨에 의해, 메뉴판 서버와 연동되어,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고, 금융결제서버와 연동하여, 선택된 음식 정보에 따라, 결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NFC 카드는, 고객용 테이블 별로, 서로다른 메뉴판 서버 주소를. 근접된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고객용 테이블 별로, 서로 다른 QR코드를 가지며,
    서로 다른 QR코드를 입력한 고객 단말기는, 서로 다른 메뉴판 서버와 연동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식 정보는 음식명 또는 음식번호와, 상기 음식명 또는 음식번호에 따른 가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결제완료신호는, 메뉴판 서버 주소, 음식정보,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메뉴판 서버는 메인 서버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메뉴판에는, 고객용 어플(응용프로그램)을 고객 단말기에 설치도록 하는 어플설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모바일 메뉴판에서 어플설치 버튼을 선택하여 어플을 설치시, 어플을 설치한 고객의 전화번호와, 모바일 메뉴판을 제공한 회원가맹점의 번호가 메인서버로 전송되어, 메인 DB에 저장되되, 메인서버는, 어플을 설치한 고객이, 모바일 메뉴판을 제공한 회원가맹점의 보유 회원고객으로, 메인 DB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광고가 전송된 고객회원을 보유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가상계좌로, 회원 가맹점 광고 배분료를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광고가 전송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고객회원의 가상계좌로, 고객 광고 배분료를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광고요청을 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차감된 광고료의 70% 내지 80% 내에서, 광고 대상 고객을 보유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가상계좌로, 광고 대상 고객 수에 따라, 차등으로, 회원 가맹점 광고 배분료가, 입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메인 서버는,
    광고요청을 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차감된 광고료의 30% 내에서, 광고 대상 고객을 보유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가상계좌로, 광고 대상 고객 수에 따라, 차등으로, 회원 가맹점 광고 배분료가, 입금되게 하며,
    광고요청을 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출금된 광고료의 50% 내에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고객회원들의 가상계좌로 고객 광고 배분료를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고객 광고 배분료는 포인트 또는 쿠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회원 가맹점 단말기가 메인서버로, 고객번호 또는 고객 전화번호와 함께, 쿠폰 또는 포인트의 발급요청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면,
    메인서버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발급요청신호를 보낸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쿠폰 또는 포인트 대금을 차감하고, 쿠폰 또는 포인트를 발급하여, 상기 고객번호 또는 고객 전화번호의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쿠폰 또는 포인트가 물품대금으로 결제가 요청되면, 물품대금으로 쿠폰 또는 포인트를 결제하고, 결제된 포인트 또는 쿠폰의 발급번호를 포함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며,
    메인서버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보낸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로,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을 입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메인 DB에는 포인트 발급번호 별로 포인트 보유고객명이 저장되어 있으며,
    메인서버는,
    쿠폰 또는 포인트를 발급하여, 고객 단말기로 전송한 후, 메인 DB에서, 쿠폰 또는 포인트가 발급된 고객 단말기를 가진 고객의 가상계좌에서, 상기 쿠폰 또는 포인트를 적립하고,
    회원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포인트 또는 쿠폰의 발급번호를 포함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메인 DB에서, 물품대금으로 쿠폰 또는 포인트를 결제한 고객의 가상계좌에서, 상기 포인트 또는 쿠폰의 발급번호의 포인트 또는 쿠폰을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18. 회원 가맹점 단말기가, 광고대상으로 타 회원 가맹점들의 회원 고객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는, 광고대상 선정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요청 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광고 요청단계;
    메인서버는, 광고 요청단계에서 수신된 광고대상 선정조건 정보에 따라 타 회원 가맹점들의 회원 고객을 포함하는 광고 대상을 선정하고, 광고요청을 한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의 예치금에서 광고료를 차감하는, 광고대상 선정 및 광고료 차감단계;
    메인 서버는, 광고대상 선정 및 광고료 차감단계에서 선정된 광고 대상의 고객 단말기로 광고를 전송하는, 광고단계;를 포함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회원가맹점이 요식업소인 경우,
    각 고객용 테이블에 장착되어 있으며 NFC 태그를 포함하는 NFC 카드가, 근접된 고객 단말기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전송하고, 고객단말기는, NFC 카드로부터 전송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이용하여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고객 단말기가, NFC 카드에 포함된 QR코드를, 스캐닝하여 읽어들이면, 고객단말기는, 메뉴판 서버와 연동되어,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는, 메뉴판 로딩단계;
    메뉴판 로딩단계 후, 고객단말기에서, 고객 단말기에서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가 모바일 메뉴판에서 요청된 경우, 고객단말기는, 모바일 메뉴판에서 선택된 음식 정보에 따라, 금융결제서버와 연동하여, 결제를 행하고, 고객 단말기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금융결제서버로부터 결제완료신호를 수신하는, 결제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
  19.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고객번호 또는 고객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발급요청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 발급 요청단계;
    메인서버는, 포인트 발급 요청단계에서 쿠폰 또는 포인트의 발급요청신호를 보낸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에서 쿠폰 또는 포인트 대금을 차감되는, 포인트 대금 차감단계;
    메인서버는, 포인트 대금 차감단계 후, 쿠폰 또는 포인트를 발급하여, 상기 고객번호 또는 고객 전화번호의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포인트 발급단계; 를 포함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회원가맹점이 요식업소인 경우,
    각 고객용 테이블에 장착되어 있으며 NFC 태그를 포함하는 NFC 카드가, 근접된 고객 단말기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전송하고, 고객단말기는, NFC 카드로부터 전송된 메뉴판 서버 주소를 이용하여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고객 단말기가, NFC 카드에 포함된 QR코드를, 스캐닝하여 읽어들이면, 고객단말기는, 메뉴판 서버와 연동되어, 메뉴판 서버로부터 모바일 메뉴판을 읽어들여 디스플레이하는, 메뉴판 로딩단계;
    메뉴판 로딩단계 후, 고객단말기에서, 고객 단말기에서 결제하는 모바일 결제가 모바일 메뉴판에서 요청된 경우, 고객단말기는, 모바일 메뉴판에서 선택된 음식 정보에 따라, 금융결제서버와 연동하여, 결제를 행하고, 고객 단말기에서 결제가 완료되면,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금융결제서버로부터 결제완료신호를 수신하는, 결제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식 정보는 음식명 또는 음식번호와, 상기 음식명 또는 음식번호에 따른 가격을 포함하며,
    결제완료신호는, 메뉴판 서버 주소, 음식정보,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메뉴판 서버는 메인 서버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
  22. 제18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모바일 메뉴판에는, 고객용 어플(응용프로그램)을 고객 단말기에 설치도록 하는 어플설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모바일 메뉴판에서 어플설치 버튼을 선택하여 어플을 설치시, 어플을 설치한 고객의 전화번호와, 모바일 메뉴판을 제공한 회원가맹점의 번호가 메인서버로 전송되어, 메인 DB에 저장되되, 메인서버는, 어플을 설치한 고객이, 모바일 메뉴판을 제공한 회원가맹점의 보유 회원고객으로, 메인 DB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광고대상 선정 및 광고료 차감단계 후,
    메인 서버는, 광고가 전송된 고객회원을 보유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가상계좌로, 회원 가맹점 광고 배분료를 입금하거나,
    또는, 광고가 전송된 고객회원을 보유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가상계좌와, 광고가 전송된, 타 회원 가맹점들의 고객회원의 가상계좌로, 고객 광고 배분료를 입금하는, 광고료 배분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포인트 발급단계 후, 회원 가맹점 단말기는, 쿠폰 또는 포인트가 물품대금으로 결제가 요청되면, 물품대금으로 쿠폰 또는 포인트를 결제하고, 결제된 포인트 또는 쿠폰의 발급번호를 포함하는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포인트 결제단계;
    메인서버는, 포인트 결제단계로 부터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 요청 신호를 보낸 회원 가맹점의 가상계좌로, 쿠폰 또는 포인트의 결제 대금을 입금하는, 회원가맹점의 포인트 결제 대금 적립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어플을 설치한 고객의 가상계좌에 소정의 포인트가 적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
  27. 제18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28. 제18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대한 스마트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190110930A 2018-09-07 2019-09-06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KR202000288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32 2018-09-07
KR20180106832 2018-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67A true KR20200028867A (ko) 2020-03-17

Family

ID=7000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930A KR20200028867A (ko) 2018-09-07 2019-09-06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88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8483B2 (en) Linking an advantage communication system to a pre-existing product
US8799065B2 (en) Methods for providing digital incentives including a digital incentives switch for matching transactions and incentives
US8738491B1 (en) System, method, and business method for settling micropayment transactions to a pre-paid instrument
US20110137717A1 (en) System for Providing Digital Incentives Including a Digital Incentives Switch for Matching Transactions and Incentives
US106289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onal validation of travel expenses
US20130032635A1 (en) E-commerce platform for extending the use of proprietary transponders and/or transponder accounts
US201400254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merchant-customer retail events
WO2005003903A2 (en) Geographic loyalty system and method
AU2015203235A1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to transmit data among a plurality of computing systems in processing benefit redemption
CN106462838B (zh) 使用通信网络在多个单独计算系统当中协调处理的系统及方法
KR20100127334A (ko) 모바일 홈쇼핑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US20160055441A1 (en) Systems and methods to coordinate resource allocation in processing among a plurality of separate computing systems
RU2674324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настройки операции на компьютерной системе, соединенной со множеством компьютерных систем через компьютерную сеть,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вусторонней связи идентификатора операции
WO2017154014A1 (en) Single platform based multi-merchant, multi-coalition system for loyalty award points
KR101600668B1 (ko) 전자 스탬프 지원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및 동작 방법
KR20190015696A (ko) 지역상권을 위한 광고 및 포인트결제의 시스템 및 방법
WO2019139124A1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方法
KR20120129574A (ko) 오프라인 가맹점에서의 할인쿠폰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방법
JP2023128863A (ja) 特典付与システム、特典付与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28867A (ko) 소상공 서비스 시스템
JP7018769B2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方法
KR20190048314A (ko) 로또 당첨번호 예측 이벤트 서비스를 이용한 가맹점 온라인 공동 프로모션 시스템
KR102351952B1 (ko) 모바일 식권 주문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380284B1 (ko) 박매니저 솔루션을 이용한 자동화 디바이스 및 그의 방법
KR101184686B1 (ko)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프로모션 광고 통합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