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743A -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743A
KR20200028743A KR1020180107269A KR20180107269A KR20200028743A KR 20200028743 A KR20200028743 A KR 20200028743A KR 1020180107269 A KR1020180107269 A KR 1020180107269A KR 20180107269 A KR20180107269 A KR 20180107269A KR 20200028743 A KR20200028743 A KR 20200028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assenger
output
vehicle
conve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705B1 (ko
Inventor
오진현
이규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7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3Content adaptation, e.g. replacement of unsuitable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04L51/1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는 전자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동승자를 감지하여 동승자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및 상기 동승자 감지 여부 및 상기 동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차량의 동승자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부적절한 내용이 동승자에게 그대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MESSAGE OF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전 중에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것은 운전 방해요소로 간주되어 그 사용을 교통 관련 법규로써 금지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 운전 중에 전자기기를 틈틈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운전 중 문자메시지나 이메일을 확인하는 것은 그 시간이 비록 짧더라도 그동안 운전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사고 발생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이에, 차량 운전 중에 전자기기에서 문자메시지나 이메일을 수신하였을 때, 문자메시지나 이메일에 포함된 텍스트를 특정한 조건에 따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해주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차량 운전중에 사고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차량 운전 중에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그대로 출력하게 되는 경우, 차량 내 탑승한 동승자도 출력내용이 전달되어 적절하지 못한 상황이 유발되는 한계가 있다.
예를들어, 차량 내 탑승한 동승자가 미성년자이고,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비속어가 포함된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그대로 출력할 경우 동승자에 부적절한 내용이 전달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차량의 동승자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부적절한 내용이 동승자에게 그대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는 전자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동승자를 감지하여 동승자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및 상기 동승자 감지 여부 및 상기 동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는 경우 서버 및 헤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메시지 변환을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출력 또는 미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승자가 미감지 되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그대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동승자 정보는 상기 동승자의 성별, 상기 동승자의 나이, 상기 동승자의 탑승빈도 및 상기 동승자의 탑승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 단어가 상기 동승자 정보를 기반으로 분류된 동승자에 따라 변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정 단어는 고어, 신조어, 약어 및 비속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류된 동승자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 내 포함된 상기 비속어가 변환된 표준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은 전자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동승자를 감지하여 동승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승자 감지 여부 및 상기 동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면, 서버 및 헤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메시지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면, 상기 동승자 정보를 서버 및 헤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출력 또는 미출력 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승자가 미감지 되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그대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동승자 정보는 상기 동승자의 성별, 상기 동승자의 나이, 상기 동승자의 탑승빈도 및 상기 동승자의 탑승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 단어가 상기 동승자 정보를 기반으로 분류된 동승자에 따라 변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정 단어는 고어, 신조어, 약어 및 비속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류된 동승자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 내 포함된 상기 비속어가 변환된 표준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은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차량의 동승자에 따라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부적절한 내용이 동승자에게 그대로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및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 및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는 전자기기(100)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및 노트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00)는 메신저 응용 프로그램(예, 카카오톡, 위챗(wechat), 왓츠앱(WhatsApp), 라인(Line), 스카이프(Skype) 등) 이나, SNS(트위터, 페이스북 등)를 통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는 차량 내 구비된 전자기기(100)와 연결된 경우, 전자기기(1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출력 방식은 음성이나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100)는 운전자의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승자의 전자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는 차량에 탑승한 동승자를 감지하여 동승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를 감지하여 운전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운전자 정보는 기 생성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는 차량 내 한 개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동승자의 탑승을 감지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구비하여 운전자 정보 및 동승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의 성별 및 상기 운전자의 나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동승자 정보는 동승자 정보는 동승자의 성별, 동승자의 나이, 동승자의 탑승빈도 및 동승자의 탑승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는 동승자 정보를 서버(300) 또는 차량의 헤드유닛으로 전송하여 동승자 정보에 따른 메시지 변환을 요청할 수 있다. 참고로, 헤드유닛은 텔레매틱스, 라디오,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등을 통합 관리하는 일종의 컨트롤 유닛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는 동승자 정보 및 운전자 정보에 따른 메시지 변환을 요청할 수 있다..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는 서버 또는 차량의 헤드유닛으로부터 동승자 정보(또는 동승자 정보 및 운전자 정보)에 따라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변환된 메시지를 음성 출력 또는 미출력 할 수 있다.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는 서버로부터 동승자 정보에 따라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메시지를 음성 출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는 동승자를 미감지하면, 전자기기(1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그대로 음성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시지 변환을 위해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 변환을 수행하는 동작의 주체가 서버(300)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헤드유닛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유닛에서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서버(300)의 동작이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서버(300)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로부터 동승자 정보(또는 동승자 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메시지 변환 요청을 수신하면, 메시지 내 포함된 소정 단어를 변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동승자 정보와 운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운전자와 동승자의 관계를 기반으로 메시지를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단어는 고어, 신조어, 약어 및 비속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서버(300)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로부터 동승자 정보를 수신하고, 동승자 정보를 기반으로 동승자를 분류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300)는 수신된 운전자 정보 및 동승자 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자 보다 어린 동승자를 어린이 또는 자녀로 분류할 수 있고, 운전자와 비슷한 연령이며, 운전자와 동성인 동승자를 친구로 분류할 수 있고, 운전자보다 연장자인 동승자를 부모님으로 분류할 수 있고, 운전자와 비슷한 연령이며, 이성인 동승자를 애인 또는 배우자로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300)는 동승자 정보(성별, 나이, 탑승시각, 탑승 빈도)를 기반으로 매일 아침에 탐승하는 동승자를 자녀로 분류하거나, 매 주말 오후에 탑승하는 동승자를 애인 또는 친구로 분류할 수 있다.
서버(300)는 분류된 동승자를 기반으로 수신된 메시지 내 포함된 소정 단어를 변환할 수 있다. 서버(300)는 분류된 동승자를 기반으로 고어를 현대어로, 신조어는 설명있는 용어로, 약어는 풀어쓰는 용어로, 비속어는 표준어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300)는 수신된 운전자 정보 및 동승자 정보를 기반으로 동승자가 운전자와 동일한 성별이고, 비슷한 나이인 것으로 분류하고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고어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면, 고어를 분류된 동승자에 따라 현대어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수신된 메시지가 '내 깜냥이 안돼서 총무를 맡을 수가 없다'인 경우, 서버(300)는 운전자 정보 및 동승자 정보를 기반으로 '내 능력이 안되서 총무를 맡을 수가 없다'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300)는 수신된 운전자 정보 및 동승자 정보를 기반으로 동승자가 운전자와 다른 성별이고, 운전자보다 나이가 많은 것으로 분류하고,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신조어 또는 약어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면, 신조어 또는 약어를 분류된 동승자에 따라 설명있는 용어 또는 풀어쓰는 용어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수신된 메시지가 '나 이제 혼바비언이야', '복세편살, 소확행'인 경우 서버(300)는 운전자 정보 및 동승자 정보를 기반으로 '나 이제 혼자 밥 먹는 사람이야', '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300)는 수신된 운전자 정보 및 동승자 정보를 기반으로 동승자가 운전자와 다른 성별이고, 동승자가 주말에만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면, 동승자가 연인인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버(300)는 동승자가 연인인 것으로 분류하면,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로부터 동승자의 탑승 시 설정된 목적지 리스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서버(300)는 연인이 탑승하고 수신된 메시지에 비속어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하면, 비속어를 분류된 동승자에 따라 표준어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메시지의 변환이 불가능한 경우 메시지를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로 전송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200)는 감지부(210), 출력부(220), 통신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10)는 운전자 및 동승자를 감지하여 운전자 정보 및 동승자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부(210)는 카메라(212) 및 센서(214)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12)는 촬영방향이 운전자 및 동승자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운전자 영상 및 동승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212)는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 및 보조석 또는 뒷자석에 탑승한 동승자를 촬영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212)는 획득된 운전자 영상 및 동승자 영상을 제어부(240)에 송신할 수 있다. 카메라(212)는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또는 CMOS 컬러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214)는 동승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214)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100)는 일정 대역의 주파수를 초음파 신호로 송출하고, 감지된 물체에 의한 반사파를 수신함으로써
물체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센서에서 초음파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물체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다시 초음파 센서로 돌아올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물체와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동승자가 탑승하면 초음파 신호가 반사파로 돌아오는 시간이 짧아지고, 동승자가 탑승하지 않으면 초음파 신호가 반사파로 돌아오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동승자의 탑승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초음파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214)는 동작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감지센서는 동승자의 동승자의 동작을 감지한는 PIR(Pyroelectric InfraRed)센서를 포함할 있다.
센서(214)는 무게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 감지센서는 각 좌석에 착석한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214)는 착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착석 센서는 각각의 보조석, 뒷자석 시트에 구비되어 동승자가 시트에 착석하였는지 감지할 수 있다. 착석 센서는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로드 셀(load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20)는 음성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차량의 실내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22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통신부(230)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 내의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운전자의 전자기기 및 동승자의 전자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단말 연결부를 포함하여 USB포트, AUX포트, 시가잭 등을 포함하여 전자기기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와이브로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 통신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 통신 모듈 등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통신부(230)는 차량 내의 전자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메신저 응용 프로그램(예, 카카오톡, 위챗(wechat), 왓츠앱(WhatsApp), 라인(Line), 스카이프(Skype) 등)이나, SNS(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통해 상대방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통신부(230)는 전자기기가 수신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3G(Generation), 4G, 5G 등의 통신 방식을 통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통신부(230)는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운전자 정보 및 동승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30)는 서버로부터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부(240)는 차량 내의 동승자 감지 여부, 동승자 정보(또는 동승자 정보 및 운전자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부(220)를 통한 전자기기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메시지를 음성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차량 내 전자기기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운전자의 전자기기 및 동승자의 전자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전자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는 전자기기의 메신저 응용 프로그램(예, 카카오톡, 위챗(wechat), 왓츠앱(WhatsApp), 라인(Line), 스카이프(Skype) 등) 이나, SNS(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통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센서(214)를 기반으로 동승자의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동승자가 감지되면, 카메라(212)로부터 획득된 운전자 영상 및 동승자 영상을 기반으로 운전자 정보 및 동승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정보는 운전자의 성별 및 운전자의 나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동승자 정보는 동승자의 성별, 동승자의 나이, 동승자의 탑승빈도 및 동승자의 탑승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동승자의 탑승시각에 설정된 목적지를 동승자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동승자가 감지되면 생성된 동승자 정보(또는 동승자 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서버 또는 차량의 헤드유닛으로 전송하고,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버로 메시지 변환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동승자가 미감지되면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부(220)를 통해 그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서버 또는 헤드유닛으로부터 동승자 정보(또는 동승자 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변환된 메시지를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하거나 미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변환된 메시지를 미수신한 경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메시지는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 단어가 동승자 정보를 기반으로 분류된 동승자에 따라 변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소정 단어는 고어(옛말), 신조어, 약어 및 비속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된 메시지는 고어가 변환된 현대어, 신조어가 변환된 설명있는 용어, 약어가 변환된 풀어쓰는 용어, 비속어가 변환된 표준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어부(240)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와 전자기기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전자기기는 운전자의 전자기기 또는 동승자의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차량 내 전자기기 즉 제어부(240)는 전자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S320). S320에서 수신된 메시지는 전자기기의 메신저 응용 프로그램(예, 카카오톡, 위챗(wechat), 왓츠앱(WhatsApp), 라인(Line), 스카이프(Skype) 등) 이나, SNS(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통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동승자를 감지하고 동승자 정보를 생성한다(S330). S330에서 제어부(240)는 카메라(212)가 획득한 동승자 영상을 기반으로 동승자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동승자 정보는 동승자의 성별, 동승자의 나이, 동승자의 탑승빈도 및 동승자의 탑승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330에서 제어부(240)는 운전자 정보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동승자 감지 여부 및 동승자 정보(또는 동승자 정보 및 운전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한다(S340).
도 3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은 도 4 내지 도 5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전자기기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410).
제어부(240)는 전자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S420).
제어부(240)는 차량 내 동승자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S430). S430에서 제어부(240)는 센서(214)를 기반으로 동승자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430에서 제어부(240)가 동승자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면(Y), 제어부(240)는 동승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40).
한편, 동승자를 감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N), 제어부(240)는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S480). S480에서 제어부는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440에서 제어부(240)는 카메라(212)로부터 획득된 동승자 영상을 기반으로 동승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영상을 기반으로 운전자 정보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생성된 동승자 정보(또는 동승자 정보 및 운전자 정보)와,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서버 또는 헤드유닛으로 전송하여 메시지 변환을 요청한다(S450).
제어부(240)는 서버 또는 헤드유닛으로부터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한다(S460). 여기서, 변환된 메시지는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 단어가 동승자 정보(또는 동승자 정보 및 운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분류된 동승자에 따라 변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단어는 고어(옛말), 신조어, 약어 및 비속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변환된 메시지는 고어가 변환된 현대어, 신조어가 변환된 설명있는 용어, 약어가 변환된 풀어쓰는 용어, 비속어가 변환된 표준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변환된 메시지를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 또는 미출력한다(S470). S470에서 제어부(240)는 변환된 메시지가 음성 또는 이미지로 출력 또는 미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전자기기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510).
제어부(240)는 전자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S520).
제어부(240)는 차량 내 동승자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S530). S530에서 제어부(240)는 센서(214)를 기반으로 동승자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530에서 제어부(240)가 동승자를 감지한 것으로 판단하면(Y), 제어부(240)는 동승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40). 한편, 동승자를 감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N), 제어부(240)는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한다(S580). S580에서 제어부는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음성 또는 이미지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540에서 제어부(240)는 동승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카메라(212)로부터 획득된 동승자 영상을 기반으로 동승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영상을 기반으로 운전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생성된 동승자 정보(또는 동승자 정보 및 운전자 정보)와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서버 또는 헤드유닛으로 전송하여 메시지 변환을 요청한다(S550).
제어부(240)는 서버 또는 헤드유닛으로부터 변환된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560).
S560에서 변환된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면, 변환된 메시지를 출력 또는 미출력한다(S570). 한편, 변환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N),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고 종료한다.
S570에서 제어부(240)는 변환된 메시지가 음성 또는 이미지로 출력 또는 미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자기기 100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200
감지부 210 카메라 212
센서 214 출력부 220
통신부 230 제어부 240
서버 300 컴퓨팅 시스템 1000
버스 1200 프로세서 1100
메모리 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 1500
스토리지 16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700

Claims (19)

  1. 전자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동승자를 감지하여 동승자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및
    상기 동승자 감지 여부 및 상기 동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는 경우 서버 및 헤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메시지 변환을 요청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출력 또는 미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승자가 미감지 되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그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승자 정보는
    상기 동승자의 성별, 상기 동승자의 나이, 상기 동승자의 탑승빈도 및 상기 동승자의 탑승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 단어가 상기 동승자 정보를 기반으로 분류된 동승자에 따라 변환된 것인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정 단어는
    고어, 신조어, 약어 및 비속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류된 동승자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 내 포함된 상기 비속어가 변환된 표준어를 포함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10. 전자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동승자를 감지하여 동승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동승자 감지 여부 및 상기 동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면, 서버 및 헤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메시지 변환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면, 상기 동승자 정보를 서버 및 헤드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출력 또는 미출력 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승자가 감지되고 상기 변환된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승자가 미감지 되면,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그대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동승자 정보는
    상기 동승자의 성별, 상기 동승자의 나이, 상기 동승자의 탑승빈도 및 상기 동승자의 탑승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 단어가 상기 동승자 정보를 기반으로 분류된 동승자에 따라 변환된 것인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소정 단어는
    고어, 신조어, 약어 및 비속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분류된 동승자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변환된 메시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 내 포함된 상기 비속어가 변환된 표준어를 포함하는 차량의 메시지 출력 방법.
KR1020180107269A 2018-09-07 2018-09-07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262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269A KR102621705B1 (ko) 2018-09-07 2018-09-07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269A KR102621705B1 (ko) 2018-09-07 2018-09-07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743A true KR20200028743A (ko) 2020-03-17
KR102621705B1 KR102621705B1 (ko) 2024-01-08

Family

ID=7000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269A KR102621705B1 (ko) 2018-09-07 2018-09-07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621B1 (ko) * 2020-11-26 2022-05-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377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속어 변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27362A (ko) * 2009-09-10 2011-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iptv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588190B1 (ko) * 2014-10-22 2016-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그 제어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장치
KR20180084496A (ko) * 2017-01-17 2018-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7377A (ko) * 2004-11-23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속어 변환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27362A (ko) * 2009-09-10 2011-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iptv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588190B1 (ko) * 2014-10-22 2016-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그 제어 방법 및 차량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장치
KR20180084496A (ko) * 2017-01-17 2018-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621B1 (ko) * 2020-11-26 2022-05-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사용자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705B1 (ko) 202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4389B2 (en)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checking of passenger equipment and distraction
US9608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device interaction
WO2022041671A1 (zh) 方向盘脱手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O2021042801A1 (zh) 一种信息识别方法和系统
US9514406B2 (en) Device for analyzing and classifying a mobile terminal application for a docking station of a motor vehicle
US11176389B2 (en) Non-intrusive intra-vehicular user location detection
KR102474247B1 (ko) 개인 안전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34309B1 (ko) 교통 법규 위반 신고 시스템, 단말 및 방법
KR102621705B1 (ko) 차량의 메시지 출력 장치 및 방법
US20210377383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preventing wireless communication while driving
KR20200142314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알림 정보 제공 방법
JP202400911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US11970187B2 (en) Vehicular cabin monitoring and response
US9630589B2 (en) Impairment recognition mechanism
US20200396197A1 (en) Message reception notif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20200178073A1 (en) Vehicle virtual assistance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delivering a message to a recipient based on a private content of the message
KR20190128516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907935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2115297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US202000826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 user's experience of a vehicle
CN110290046A (zh) 信息提供装置及其控制方法
US9712471B2 (en) Mail sending/receiving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US202302603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3395383B (zh) 电子装置及信息的发送方法
US2022031186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