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527A -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527A
KR20200028527A KR1020180106254A KR20180106254A KR20200028527A KR 20200028527 A KR20200028527 A KR 20200028527A KR 1020180106254 A KR1020180106254 A KR 1020180106254A KR 20180106254 A KR20180106254 A KR 20180106254A KR 20200028527 A KR20200028527 A KR 20200028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module
baby
unit
desi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453B1 (ko
Inventor
김재형
이경재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앤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앤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앤나
Priority to KR102018010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4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proje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2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motion-picture projection
    • G03B21/321Holders for films, e.g. reels, cassettes, spind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의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지정된 거점에 존재하는 아기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거점 내에 구비되는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점 내의 아기를 촬영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램프를 이용하여 지정된 형상, 영상,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거점 내의 천정이나 벽면에 선택적으로 투영하는 프로젝터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를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의 지정된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모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Camera Device with Projector}
본 발명은 지정된 거점에 존재하는 아기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거점 내에 구비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점 내의 아기를 촬영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램프를 이용하여 지정된 형상, 영상,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거점 내의 천정이나 벽면에 선택적으로 투영하는 프로젝터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를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의 지정된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종래에 다수개의 웹 PC 카메라가 설치된 병원 또는 조산원 또는 산후 조리원에서 회원으로 가입된 아기의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 및 신생아 정보(예컨대, 태몽, 초음파 진단 사진 등)를 인터넷을 통해 회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안된 바 있다(특허공개번호 특2001-0091236(2001년10월23일)).
그러나 종래의 서비스는 단순히 아기의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 및 신생아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것으로, 아기의 동영상을 확인할 수는 있으나, 아기가 우는 경우에는 직접 또는 다른 사람에게 연락하여 아기가 있는 곳으로 가도록 하는 방법 밖에 없었다.
최근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음성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치형 사운드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예를들어, 아마존사의 '에코', SK텔레콤사의 '누구', KT사의 '기가지니' 등의 거치형 사운드장치가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거치형 사운드장치는 음원 서비스와 음성인식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서, 단순히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음성인식을 통해 제공하거나 재생하는 서비스 위주로 동작하고 있으며, 그 외에 다른 분야에는 사용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정된 거점 내의 아기를 촬영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램프를 이용하여 지정된 형상, 영상,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거점 내의 천정이나 벽면에 선택적으로 투영하는 프로젝터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를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의 지정된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거점에 구비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는, 지정된 거점에 존재하는 아기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거점 내에 구비되는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점 내의 아기를 촬영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과 지정된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과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램프를 이용하여 지정된 형상, 영상,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거점 내의 천정이나 벽면에 선택적으로 투영하는 프로젝터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를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의 지정된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램프의 빛 방사 방향에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이 인화된 필름을 거치하는 필름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동작은, 상기 램프의 온/오프 동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이 인화된 복수의 필름을 보관하는 필름 보관부 및 상기 복수의 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필름을 상기 램프의 빛 방사 방향에 거치하는 필름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동작은, 상기 램프의 온/오프 동작과, 상기 필름 보관부에 보관된 복수의 필름 중 어느 한 필름을 선택하여 상기 필름 거치부에 거치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램프를 통해 투영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동작은, 상기 램프의 온/오프 동작과,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동영상 중 어느 한 동영상을 선택하여 투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검지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 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부 사이에서 자동초점이나 줌을 위한 지정된 기능 동작을 구현하는 액츄에이터부(Actuator)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부 사이에서 야간에도 아기를 촬영하기 위한 적외선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 케이블을 통해 통신망 연결하는 유선 통신모듈, 무선랜을 통해 통신망 연결하는 무선랜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점 내의 소리를 입력받은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사운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 데이터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지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신호 출력 강도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무선단말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 강도는, 상기 카메라장치의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하는 거점 내의 아기 위치까지 상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신호 수신 강도 범위로 도달하게 계산된 신호 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상/하/좌/우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 내로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아기(또는 아기의 안면)에 대응하거나 아기가 누워 있는 요람이나 이불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시도하고, 상기 객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만큼 이격하면서 상기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상기 객체 영역의 인식이 성공하거나 상기 이격되는 각도 범위가 전 각도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객체 영역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된 객체 영역 상의 아기 안면 영역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객체 영역이 인식된 경우 상기 아기 안면 영역의 움직임이나 이동을 추적하고, 상기 아기 안면 영역의 움직임이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제공받는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만큼 이격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제공받는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아기 안면 영역이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만큼 이격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아기 안면 영역이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거점에 존재하는 아기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거점 내에 구비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통해 원거리에서 아기가 우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아기가 우는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에 구비된 프로젝터를 통해 다양한 형상, 영상, 동영상 등을 아기가 볼 수 있도록 하여 아기의 울음을 그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이용하여 우는 아기를 달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보호자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아기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아기 울음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통해 시각적 대응 조치 및 청각적 대응 조치를 실행하여 우는 아기를 달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이용하여 우는 아기를 달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과, 프로젝터부를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2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카메라장치(100)를 통해 입력되거나 촬영된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아기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아기의 울음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울음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한 청각적 대응 조치 및/또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젝터부를 통한 시각적 대응 조치를 실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아기의 울음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울음상태에 따라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 대응조치를 실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지정된 거점에서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고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을 천정이나 벽면에 투영하는 프로젝터부를 구비하며,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아기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카메라장치(200)와, 상기 운영서버(100)와 통신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수신하는 보호자 무선단말(300)과, 상기 카메라장치(100)를 통해 입력되거나 촬영된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아기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아기의 울음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확인된 울음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한 청각적 대응 조치 및/또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젝터부를 통한 시각적 대응 조치를 실행하도록 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카메라모듈, 프로젝터부를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되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아기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특정 아기를 촬영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울음상태에 따라 사운드 출력부를 통한 청각적 대응 조치 및/또는 상기 프로젝터부를 통한 시각적 대응 조치를 실행하는 카메라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의 전송과, 상기 청각적 대응 조치 및 시각적 대응 조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기 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프로그램(255)을 설치 실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지정된 프로그램(255)을 설치한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 통신모듈, 프로젝터부를 구비한 형태의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면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은 상기 운영서버(100)와 통신하며,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수신하고자 하는 상기 특정 아기의 보호자가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알림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정된 앱(355)을 설치 실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은 지정된 앱(355)을 설치한 보호자의 이동통신단말,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면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나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기 구비된 서버에 설치되는 서버용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 실시예의 설명이나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카메라장치(100)를 통해 입력되거나 촬영된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아기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아기의 울음상태를 확인하는 기능, 상기 확인된 울음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한 청각적 대응 조치 및/또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젝터부를 통한 시각적 대응 조치를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 중 일부 기능은 운영서버(100)를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다른 일부 기능은 카메라장치(200) 및 무선단말(300)을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 상기 기능이 기기 및 단말 측 기능과 서버 측 기능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도시 설명된 기기 및 단말 측 기능 중 일부는 서버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되거나 반대로 서버 측 기능 중 일부도 기기 및 단말 측 기능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고유정보 및 특정 아기의 보호자의 무선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05)와,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110)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아기 울음상태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115)와, 울음 상태가 확인된 특정 아기에 대한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120)와, 상기 특정 아기에게 설정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확인하여 실행하는 대응조치 실행부(125)와,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하는 대응조치 반응부(130)와, 상기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의 실행을 종료하는 실행 종료부(13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지정된 운영D/B(140)에 상기 카메라장치를 이용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고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보호자에게 연락하기 위한 보호자 무선단말 정보를 지정된 운영D/B(10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105)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앱과 통신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관리부(11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아기를 촬영하여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관리부(11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과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관리부(11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제각기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과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관리부(11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제각기 수신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의 시간을 동기화시켜 지정된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확인부(115)는 상기 데이터 관리부(110)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가 지정된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후,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지정된 아기 울음소리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고 기 설정된 P(P≥1)개의 아기 울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아기 울음소리 패턴과 기 설정된 유사도 범위 내에서 매칭된 상태의 소리를 기 설정된 유지시간 이상 유지하는 아기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아기 울음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상태 확인부(115)는 상기 아기 울음소리를 인식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어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안면 영역에 존재하는 지정 개수 이상의 특징점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특정 아기의 안면 영역의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를 분석하여 아기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특징점 분포 패턴과 기 설정된 유사도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아기의 안면 영역이 인식되면, 상기 아기 울음소리를 인식한 결과와 상기 특정 아기의 안면 영역을 인식한 결과를 조합하여 아기 울음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보 확인부(120)는 상기 상태 확인부(115)를 통해 특정 아기의 울음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에 대응하여 설정된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가 지정된 운영D/B(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는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이외에 하나 이상의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120)는 상기 지정된 운영D/B(140)에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이용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종료시키기 위한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가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확인부(120)는 특정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의해 종료된 아기 울음소리의 특징을 정성화(qualification) 및 정량화(quantification)하여 생성된 울음소리 특징 정보가 상기 특정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을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로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와 연계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응 조치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보호자에게 연락하기 위한 보호자 무선단말 정보가 지정된 운영D/B(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보호자 무선단말(300)로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발송하는 알림 대응 조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응 조치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앱과 통신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지정된 운영D/B(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거나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사운드 입력부를 입력되어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보호자 연동 대응 조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자 연동 대응 조치는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카메라부를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젝터부를 통해 투영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대응 조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응조치 실행부(125)는 상기 정보 확인부(120)를 통해 상기 운영D/B(140)에 상기 특정 아기의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기 설정된 공통 대응 규칙에 따라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젝터부를 통해 f(f≥1)개의 형상이나 i(i≥0)개의 영상 중 지정된 투영 대상을 투영하는 시각적 대응 조치와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m(m≥1)개의 음악, s(s≥1)개의 소음, v(v≥1)개의 목소리 중 지정된 출력 대상을 출력하는 청각적 대응 조치 중 기 설정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일정 시간씩 순차(또는 조합)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응조치 실행부(125)는 상기 정보 확인부(120)를 통해 상기 운영D/B(140)에 상기 특정 아기의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저장된 울음상황 대응 규칙에 따라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젝터부를 통해 f개의 형상이나 i개의 영상 중 지정된 투영 대상을 투영하는 시각적 대응 조치와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m개의 음악, s개의 소음, v개의 목소리 중 지정된 출력 대상을 출력하는 청각적 대응 조치 중 상기 특정 아기에게 최우선 순위로 설정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확인하여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응조치 실행부(125)는 상기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이외에 하나 이상의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D/B(140)에 상기 특정 아기의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지정된 시간 동안 실행하면서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어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실행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반응하여 상기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응조치 실행부(125)는 지정된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실행 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다음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을 지정된 시간 동안 실행하면서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어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실행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반응하여 상기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마지막 순위까지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응조치 실행부(125)는 상기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실행 시,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아기 울음소리 외에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발화되는 보호자의 달래기 음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달래기 음성을 인식한 경우 상기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응조치 실행부(125)는 상기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실행 시,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보호자의 달래기 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달래기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대응조치 반응부(130)는 상기 대응조치 실행부(125)를 통해 특정 아기에게 설정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가 확인되어 실행된 후,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지정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된 아기 울음소리를 근거로 상기 실행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반응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응조치 반응부(13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지정된 대응 조치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된 특정 아기의 안면 영역의 특징점 간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실행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반응하는 지정된 표정 변화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된 표정 변화를 인식한 경우, 상기 아기 울음소리를 인식한 결과와 상기 표정 변화를 인식한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행 종료부(135)는 상기 대응조치 반응부(130)를 통해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되면,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행 종료부(135)는 상기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된 경우 상기 아기 울음상태를 종료시킨 특정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의 종류와 실행 시간을 포함하는 대응 조치 이력정보를 구성하여 운영D/B(140)에 저장하고, 상기 운영D/B(140)에 저장된 복수의 대응 조치 이력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종료시키기 위한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행 종료부(135)는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아기 울음소리 외에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발화되는 보호자의 달래기 음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달래기 음성을 인식한 경우 상기 대응 조치 이력정보의 저장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행 종료부(135)는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보호자의 달래기 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달래기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대응 조치 이력정보의 저장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행 종료부(135)는 상기 운영D/B(140)에 저장된 복수의 대응 조치 이력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종료시킨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분류하고 종료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가장 많이 종료시킨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로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행 종료부(135)는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이외에 하나 이상의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더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응 조치 이력정보는 각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의해 종료된 아기 울음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행 종료부(135)는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대응하는 대응 조치 이력정보의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아기 울음소리의 특징을 정성화(qualification) 및 정량화(quantification)하여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의해 종료된 최우선 순위의 울음소리 특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과 상기 생성된 최우선 순위의 울음소리 특징 정보를 연계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실행 종료부(135)는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이외에 하나 이상의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대응하는 대응 조치 이력정보의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아기 울음소리의 특징을 정성화 및 정량화하여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의해 종료된 각 순위 별 울음소리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과 상기 생성된 각 순위 별 울음소리 특징 정보를 더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사운드 입력부(220)와 사운드 출력부(225) 및 카메라모듈(210)을 구비하고 지정된 형상, 영상,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천정이나 벽면에 선택적으로 투영하는 프로젝터부(230)를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운드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모듈(210)을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아기를 촬영하여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 전송하고, 상기 특정 아기의 울음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부(230)를 통해 지정된 형상, 영상,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천정이나 벽면에 선택적으로 투영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울음을 그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는 제어모듈(205)과 메모리부(240)와 카메라모듈(210)과 구동모듈(215)과 사운드 입력부(220)와 사운드 출력부(225)와 통신모듈(235)과 프로젝터부(230)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205)은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장치(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205)은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그램(250)에 대응하는 구성을 본 제어모듈(2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205)은 상기 카메라모듈(210)을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를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235)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모듈(235)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230)의 지정된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모듈(205)을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40)는 기본적으로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그램(25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40)에는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프로젝터 제어정보, 규칙 정보 및 촬영방향 제어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210)은 거점 내의 아기를 촬영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며,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검지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이미지 센서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 신호를 상기 제어모듈(205)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210)은 상기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부 사이에서 자동초점이나 줌을 위한 지정된 기능 동작을 구현하는 액츄에이터부(Actuato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210)은 상기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부 사이에서 야간에도 아기를 촬영하기 위한 적외선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215)은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 방향을 상/하/좌/우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 내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220)는 상기 거점 내의 사운드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신호를 지정된 엔코딩(Encoding) 규칙에 따라 엔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어모듈(205)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22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가 구비된 거점의 특정 아기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예컨대, 울음소리 등)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225)는 지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신호 출력 강도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205)은 상기 통신모듈(235)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22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 출력 강도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모듈(210)을 통해 촬영하는 거점 내의 아기 위치까지 상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신호 수신 강도 범위로 도달하게 계산된 신호 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출력부(225)는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여, m(m≥1)개의 음악, s(s≥1)개의 소음, v(v≥1)개의 목소리 중 지정된 출력 대상을 출력하는 청각적 대응 조치 중 기 설정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235)은 지정된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통신망 연결하는 유선 통신모듈, 무선랜을 통해 통신망 연결하는 무선랜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모듈은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유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선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유선망을 통해 운영서버(100)와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또는 소정의 케이블 통신포트(예컨대, RS-232c, USB(Universal Serial Bus) 등)를 통해 외부 통신장치와 통신을 제공하는 케이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선랜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무선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랜 통신모듈은 무선AP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부(230)는 램프를 이용하여 지정된 형상, 영상,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거점 내의 천정이나 벽면에 선택적으로 투영하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부(230)는 운영서버(100)와 연동하여 f(f≥1)개의 형상이나 i(i≥0)개의 영상 중 지정된 투영 대상을 상기 천정이나 벽면에 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부(230)는 상기 램프의 빛 방사 방향에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이 인화된 필름을 거치하는 필름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부(230)는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이 인화된 복수의 필름을 보관하는 필름 보관부와, 상기 복수의 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필름을 상기 램프의 빛 방사 방향에 거치하는 필름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부(230)는 지정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205)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동영상 중 어느 한 동영상을 선택하여 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205)은 상기 프로젝터부(230)와 연동하여 상기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이 인화된 하나 이상의 필름 또는 상기 복수의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램프의 빛 방사 방향에 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제어모듈(205)은, 영상 신호를 엔코딩 처리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영상신호 처리부(250)와, 운영서버(100)의 프로젝터 제어정보를 통해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프로젝터 제어부(255)와, 사운드 신호를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는 사운드신호 처리부(260)와,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아기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객체영역 인식부(265)와, 객체 영역 인식에 따라 카메라모듈(210)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27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250)는 상기 카메라모듈(210)을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를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235)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255)는 기 설정된 규칙이나 프로젝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230)의 지정된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젝터 제어정보는 램프의 온/오프 동작 제어, 특정 필름 선택 제어, 특정 동영상 선택 제어, 프로젝터 동작 시간 제어, 프로젝터를 통해 투영된 영상의 크기 제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프로젝터 동작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동작의 제어에 대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255)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규칙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부(230)의 지정된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규칙정보는 상기 프로젝터가 동작하도록 설정된 특정 시간, 예약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동작의 제어에 대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255)는 상기 통신모듈(235)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230)의 지정된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동작의 제어에 대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255)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입력부(220)를 통해 수신된 특정 아기의 울음소리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230)의 지정된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동작의 제어에 대한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255)는 상기 통신모듈(235)을 통해 지정된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230)의 지정된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젝터 제어정보는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직접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255)는 상기 프로젝터부(230)가 상기 램프의 빛 방사 방향에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이 인화된 필름을 거치하는 필름 거치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램프의 온/오프 동작을 포함하는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255)는 상기 프로젝터부(230)가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이 인화된 복수의 필름을 보관하는 필름 보관부와, 상기 복수의 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필름을 상기 램프의 빛 방사 방향에 거치하는 필름 거치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램프의 온/오프 동작과, 상기 필름 보관부에 보관된 복수의 필름 중 어느 한 필름을 선택하여 상기 필름 거치부에 거치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255)는 상기 프로젝터부(230)가 상기 램프를 통해 투영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동영상 중 어느 한 동영상을 선택하여 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제어부(255)는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를 통해 특정 아기의 울음상태가 확인되면, f(f≥1)개의 형상이나 i(i≥0)개의 영상 중 지정된 투영 대상을 투영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신호 처리부(26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20)를 통해 상기 거점 내의 소리를 입력받은 사운드 신호가 획득되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신호 처리부(260)는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상기 통신모듈(235)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225)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신호 처리부(260)는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를 통해 특정 아기의 울음상태가 확인되면, m(m≥1)개의 음악, s(s≥1)개의 소음, v(v≥1)개의 목소리 중 지정된 출력 대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객체영역 인식부(265)는 상기 카메라모듈(210)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아기(또는 아기의 안면)에 대응하거나 아기가 누워 있는 요람이나 이불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객체영역 인식부(265)는 상기 객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모듈(215)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만큼 이격하면서 상기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상기 객체 영역의 인식이 성공하거나 상기 이격되는 각도 범위가 전 각도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객체영역 인식부(265)는 상기 객체 영역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된 객체 영역 상의 아기 안면 영역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방향을 제어하거나, 상기 객체 영역이 인식된 경우 상기 아기 안면 영역의 움직임이나 이동을 추적하고, 상기 아기 안면 영역의 움직임이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객체영역 인식부(265)는 상기 카메라모듈(210)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제공받는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만큼 이격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객체영역 인식부(265)는 상기 카메라모듈(210)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제공받는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아기 안면 영역이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객체영역 인식부(265)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20)를 통해 아기의 울음소리가 인식되면, 상기 카메라모듈(210)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아기(또는 아기의 안면)에 대응하거나 아기가 누워 있는 요람이나 이불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시도하고, 상기 객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만큼 이격하면서 상기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상기 객체 영역의 인식이 성공하거나 상기 이격되는 각도 범위가 전 각도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울음소리가 인식된 아기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된 객체 영역 상의 아기 안면 영역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방향을 제어하거나, 상기 아기 안면 영역의 움직임이나 이동을 추적하고, 상기 아기 안면 영역의 움직임이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방향을 제어하여 객체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객체영역 인식부(265)는 상기 카메라모듈(210)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부터 제공받는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만큼 이격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300)의 촬영방향 제어정보는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직접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객체영역 인식부(265)는 상기 카메라모듈(210)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운영서버(100)로부터 제공받는 무선단말(300)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아기 안면 영역이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촬영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단말(300)의 촬영방향 제어정보는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직접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보호자 무선단말과 앱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운영서버(100)로부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울음상태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200)로 제공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무선단말(300)의 기능과, 상기 무선단말(300)에 설치되는 앱(355)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3의 무선단말(300)은 각종 이동통신단말, 각종 휴대폰,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제어부(305)와 메모리부(350)와 화면 출력부(310)와 사용자 입력부(315)와 사운드 입력부(320)와 사운드 출력부(325)와 카메라부(330)와 무선망 통신부(335)와 근거리망 통신부(340)와 USIM 리더부(345)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5)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5)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앱(355)에 대응하는 구성을 본 제어부(3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35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50)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앱(35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화면 출력부(310)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305)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기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315)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310)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305)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5)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5)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320)는 사운드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신호를 지정된 엔코딩(Encoding) 규칙에 따라 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305)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325)는 사운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330)는 카메라 렌즈와 이미지센 및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보정 기능을 위한 액츄에이터(Actuator) 및/또는 각종 필터(예컨대, IR필터 등)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부(330)는 시선 방향의 피사체 중 지정된 화각 내의 피사체에 대한 광학 신호를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력받아 이미지센서를 통해 디지털화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305)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해 자동초점 기능이나 손떨림보정 기능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통해 상기 영상데이터의 품질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와 근거리망 통신부(340)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300)은 무선망 통신부(335)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5)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5)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30)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335)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40)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40)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345)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345)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단말(300)의 제어부(305)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3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앱(355)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300)에 다운로드 설치된 앱(355)은 설치 후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300)과 앱(355)의 조합(또는 상기 앱(355)을 설치한 무선단말(300), 또는 상기 무선단말(300)에 설치된 앱(355))을 고유한 매체로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예컨대, 디바이스토큰, UUID 등)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할당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300)과 앱(355)의 조합을 고유한 매체로 고유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300)의 앱(355)은 상기 무선단말(300)을 고유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등)를 지정된 운영서버(100)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300)의 앱(355)은 상기 앱(355)을 설치한 무선단말(300)의 사용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예컨대, 주민등록번호, 고유ID(또는 회원ID), 성명, 생년월일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앱(355)은, 운영서버(100)로부터 알림정보를 수신하는 알림정보 수신부(360)와,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데이터 처리부(365)와, 운영서버(100)로 사운드데이터를 전송하는 사운드데이터 처리부(370)와, 운영서버(100)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상데이터 처리부(375)와, 상기 운영서버(100)와 연동하는 지정된 카메라장치(200)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3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알림정보 수신부(360)는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특정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울음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데이터 처리부(365)는 상기 운영서버(100)의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데이터 처리부(37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입력되어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 또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225)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거나,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직접 통신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225)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영상데이터 처리부(375)는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젝터부를 통해 투영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제어부(380)는 지정된 카메라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아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카메라장치(200)와 직접 통신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에 구비된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젝터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에 구비된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아기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아기 울음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고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을 천정이나 벽면에 투영하는 프로젝터부를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2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카메라장치(100)를 통해 입력되거나 촬영된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아기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아기의 울음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아기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아기 울음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사운드 입력부와 사운드 출력부 및 카메라모듈을 구비하고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을 천정이나 벽면에 투영하는 프로젝터부를 구비하여 지정된 거점에 구비된 카메라장치(200)와 통신하는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운영D/B(140)에 상기 카메라장치를 이용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고유정보를 저장한다(400).
또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보호자에게 연락하기 위한 보호자 무선단말 정보를 지정된 운영D/B(105)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앱과 통신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장치(200)는 카메라모듈을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아기를 촬영하여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한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405),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410), 상기 생성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전송한다(415).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카메라모듈을 통해 상기 거점 내의 특정 아기를 촬영하여 지정된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한다(42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과정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제각기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 관리하는 과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관리부(11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제각기 수신된 상기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의 시간을 동기화시켜 지정된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가 지정된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된 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425), 지정된 아기 울음소리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고 기 설정된 P(P≥1)개의 아기 울음소리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의 아기 울음소리 패턴과 기 설정된 유사도 범위 내에서 매칭된 상태의 소리를 기 설정된 유지시간 이상 유지하는 아기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아기 울음상태를 확인한다(43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아기 울음소리를 인식하면,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어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카메라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안면 영역에 존재하는 지정 개수 이상의 특징점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특정 아기의 안면 영역의 특징점 간 기하학 관계를 분석하여 아기 울음상태에 대응하는 특징점 분포 패턴과 기 설정된 유사도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아기의 안면 영역이 인식되면, 상기 아기 울음소리를 인식한 결과와 상기 특정 아기의 안면 영역을 인식한 결과를 조합하여 아기 울음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카메라장치를 통해 시각적 대응 조치 및 청각적 대응 조치를 실행하여 우는 아기를 달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상기 카메라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아기의 울음소리를 인식하여 아기의 울음상태가 확인된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확인된 울음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한 청각적 대응 조치 및/또는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젝터부를 통한 시각적 대응 조치를 실행하여 울음상태가 확인된 아기를 달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시각적 대응 조치 및 청각적 대응 조치를 실행하여 우는 아기를 달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아기의 울음상태가 확인된 이후,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에 대응하여 설정된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가 지정된 운영D/B(140)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500). 여기서, 상기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는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이외에 하나 이상의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지정된 운영D/B(140)에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이용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고유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종료시키기 위한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가 상기 고유정보와 연계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특정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의해 종료된 아기 울음소리의 특징을 정성화(qualification) 및 정량화(quantification)하여 생성된 울음소리 특징 정보가 상기 특정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을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로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와 연계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응 조치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보호자에게 연락하기 위한 보호자 무선단말 정보가 지정된 운영D/B(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보호자 무선단말(300)로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알리는 알림정보를 발송하는 알림 대응 조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대응 조치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촬영되는 특정 아기의 보호자가 소지한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앱과 통신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가 지정된 운영D/B(14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거나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사운드 입력부를 입력되어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보호자 연동 대응 조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자 연동 대응 조치는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보호자 무선단말(300)의 카메라부를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젝터부를 통해 투영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대응 조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D/B(140)에 상기 특정 아기의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된 울음상황 대응 규칙에 따라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젝터부를 통해 f개의 형상이나 i개의 영상 중 지정된 투영 대상을 투영하는 시각적 대응 조치와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m개의 음악, s개의 소음, v개의 목소리 중 지정된 출력 대상을 출력하는 청각적 대응 조치를 확인하고(505), 상기 확인된 대응 조치 중 상기 특정 아기에게 최우선 순위로 설정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확인하여 실행한다(510).
여기서, 상기 대응 조치는 상기 우는 아기가 바라볼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장치(200)에 구비된 프로젝터를 통해 지정된 형상, 영상,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거점 내의 천정이나 벽면에 투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운영D/B(140)에 상기 특정 아기의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기 설정된 공통 대응 규칙에 따라 상기 카메라장치(200)의 프로젝터부를 통해 f(f≥1)개의 형상이나 i(i≥0)개의 영상 중 지정된 투영 대상을 투영하는 시각적 대응 조치와 상기 카메라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m(m≥1)개의 음악, s(s≥1)개의 소음, v(v≥1)개의 목소리 중 지정된 출력 대상을 출력하는 청각적 대응 조치 중 기 설정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지정된 순서에 따라 일정 시간씩 순차(또는 조합) 실행한다(51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이외에 하나 이상의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영D/B(140)에 상기 특정 아기의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지정된 시간 동안 실행하면서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어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실행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반응하여 상기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실행 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다음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을 지정된 시간 동안 실행하면서 상기 카메라장치(200)로부터 실시간 수신되어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실행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반응하여 상기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마지막 순위까지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실행 시,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아기 울음소리 외에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발화되는 보호자의 달래기 음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달래기 음성을 인식한 경우 상기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실행 시,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보호자의 달래기 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달래기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아기에게 설정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가 확인되어 실행된 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지정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아기 울음소리가 인식되면(520), 상기 인식된 아기 울음소리를 근거로 상기 실행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반응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한다(5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카메라장치(200)를 통해 지정된 대응 조치가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인식된 특정 아기의 안면 영역의 특징점 간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실행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반응하는 지정된 표정 변화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지정된 표정 변화를 인식한 경우, 상기 아기 울음소리를 인식한 결과와 상기 표정 변화를 인식한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되는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의 실행을 종료한다(53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아기 울음상태가 종료된 경우 상기 아기 울음상태를 종료시킨 특정한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의 종류와 실행 시간을 포함하는 대응 조치 이력정보를 구성하여 운영D/B(140)에 저장하고, 상기 운영D/B(140)에 저장된 복수의 대응 조치 이력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종료시키기 위한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아기 울음소리 외에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발화되는 보호자의 달래기 음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달래기 음성을 인식한 경우 상기 대응 조치 이력정보의 저장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저장매체(145)의 특정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보호자의 달래기 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달래기 동작을 인식한 경우 상기 대응 조치 이력정보의 저장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운영D/B(140)에 저장된 복수의 대응 조치 이력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종료시킨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분류하고 종료 횟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상기 특정 아기의 아기 울음상태를 가장 많이 종료시킨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로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이외에 하나 이상의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를 더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대응 조치 이력정보는 각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의해 종료된 아기 울음소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대응하는 대응 조치 이력정보의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아기 울음소리의 특징을 정성화(qualification) 및 정량화(quantification)하여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의해 종료된 최우선 순위의 울음소리 특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과 상기 생성된 최우선 순위의 울음소리 특징 정보를 연계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최우선 순위의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 이외에 하나 이상의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대응하는 대응 조치 이력정보의 오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아기 울음소리의 특징을 정성화 및 정량화하여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에 의해 종료된 각 순위 별 울음소리 특징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순위 별 대응 조치(또는 대응 조치의 조합)과 상기 생성된 각 순위 별 울음소리 특징 정보를 더 포함하는 울음상황 대응 규칙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운영D/B(140)에 저장할 수 있다.
100 : 운영서버 105 : 정보 저장부
110 : 데이터 관리부 115 : 상태 확인부
120 : 정보 확인부 125 : 대응조치 실행부
130 : 대응조치 반응부 135 : 실행 종료부
140 : 운영D/B 145 : 저장매체
200 : 카메라장치 300 : 사용자 무선단말

Claims (19)

  1. 지정된 거점에 존재하는 아기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거점 내에 구비되는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점 내의 아기를 촬영한 영상 신호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
    지정된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모듈;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램프를 이용하여 지정된 형상, 영상,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거점 내의 천정이나 벽면에 선택적으로 투영하는 프로젝터부; 및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된 영상 신호를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부터 수신된 프로젝터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프로젝터부의 지정된 프로젝터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램프의 빛 방사 방향에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이 인화된 필름을 거치하는 필름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동작은, 상기 램프의 온/오프 동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지정된 형상이나 영상이 인화된 복수의 필름을 보관하는 필름 보관부; 및
    상기 복수의 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필름을 상기 램프의 빛 방사 방향에 거치하는 필름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동작은, 상기 램프의 온/오프 동작과, 상기 필름 보관부에 보관된 복수의 필름 중 어느 한 필름을 선택하여 상기 필름 거치부에 거치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램프를 통해 투영되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동작은, 상기 램프의 온/오프 동작과, 상기 동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동영상 중 어느 한 동영상을 선택하여 투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광신호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를 검지하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
    상기 이미지 센서부를 통해 생성된 영상 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부 사이에서 자동초점이나 줌을 위한 지정된 기능 동작을 구현하는 액츄에이터부(Actuator)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부 사이에서 야간에도 아기를 촬영하기 위한 적외선 필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 케이블을 통해 통신망 연결하는 유선 통신모듈,
    무선랜을 통해 통신망 연결하는 무선랜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 내의 소리를 입력받은 사운드 신호를 획득하는 사운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 데이터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사운드 신호를 지정 방식으로 엔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지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신호 출력 강도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운영서버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지정된 무선단말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 강도는,
    상기 카메라장치의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하는 거점 내의 아기 위치까지 상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신호 수신 강도 범위로 도달하게 계산된 신호 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상/하/좌/우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 내로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아기(또는 아기의 안면)에 대응하거나 아기가 누워 있는 요람이나 이불에 대응하는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시도하고,
    상기 객체 영역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만큼 이격하면서 상기 객체 영역을 인식하는 과정을 상기 객체 영역의 인식이 성공하거나 상기 이격되는 각도 범위가 전 각도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객체 영역이 인식된 경우 상기 인식된 객체 영역 상의 아기 안면 영역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객체 영역이 인식된 경우 상기 아기 안면 영역의 움직임이나 이동을 추적하고, 상기 아기 안면 영역의 움직임이나 이동에 반응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제공받는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만큼 이격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17. 제 12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제공받는 운영서버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아기 안면 영역이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지정된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 범위만큼 이격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19. 제 12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획득 데이터를 운영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무선단말로부터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비디오 데이터 상의 지정된 영역 내에 아기 안면 영역이 존재하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 방향을 제어하는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방향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동모듈을 통해 상기 카메라모듈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KR1020180106254A 2018-09-06 2018-09-06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KR10264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254A KR102645453B1 (ko) 2018-09-06 2018-09-06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254A KR102645453B1 (ko) 2018-09-06 2018-09-06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527A true KR20200028527A (ko) 2020-03-17
KR102645453B1 KR102645453B1 (ko) 2024-03-12

Family

ID=7000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254A KR102645453B1 (ko) 2018-09-06 2018-09-06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4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401A (ko) * 2009-02-26 201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WO2015107746A1 (ja) * 2014-01-17 2015-07-23 任天堂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401A (ko) * 2009-02-26 201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WO2015107746A1 (ja) * 2014-01-17 2015-07-23 任天堂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453B1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5447B1 (ko) 카메라장치 등록 방법
KR20200028540A (ko) 프로젝터 제어형 카메라장치
KR20200028532A (ko) 영상 투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장치
KR20210081459A (ko) 애완동물 울음소리 대응을 위한 카메라장치
KR20210080701A (ko) 카메라장치를 이용한 소리내는 애완동물 달래기 방법
KR20200028527A (ko)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KR20200028531A (ko)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KR20200028530A (ko)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KR20200028528A (ko)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KR20200028538A (ko) 아기 울음소리 대응을 위한 카메라장치
KR20200028534A (ko) 영상 투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장치
KR20200028535A (ko) 영상 투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장치
KR20200028543A (ko) 프로젝터 제어형 카메라장치
KR20200028539A (ko) 아기 울음소리 대응을 위한 카메라장치
KR20200028537A (ko) 아기 울음소리 대응을 위한 카메라장치
KR20200028536A (ko) 아기 울음소리 대응을 위한 카메라장치
KR20200028542A (ko) 프로젝터 제어형 카메라장치
KR20200028533A (ko) 영상 투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장치
KR20200028541A (ko) 프로젝터 제어형 카메라장치
KR102529725B1 (ko) 카메라장치를 이용한 우는 아기 달래기 방법
KR20200028523A (ko) 카메라장치를 이용한 아기 앨범 제작 방법
KR102645462B1 (ko) 동영상 요약 제공 방법
KR20210081466A (ko) 애완동물을 위한 프로젝터가 구비된 카메라 장치
KR20210081455A (ko) 애완동물용 영상 투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장치
KR20210081461A (ko) 애완동물 울음소리 대응을 위한 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