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396A - Speed-dependent system for footwear - Google Patents

Speed-dependent system for footwe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396A
KR20200028396A KR1020207001264A KR20207001264A KR20200028396A KR 20200028396 A KR20200028396 A KR 20200028396A KR 1020207001264 A KR1020207001264 A KR 1020207001264A KR 20207001264 A KR20207001264 A KR 20207001264A KR 20200028396 A KR20200028396 A KR 20200028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tether
speed
dependent
speed depen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2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카일 솔라
게스톤 프라이드레우스키
마이클 스테스진
조셉 맥밀란
피터 발로이스
피터 루에거
Original Assignee
히키스 잉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키스 잉크. filed Critical 히키스 잉크.
Publication of KR20200028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3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2Fastenings using stretchable material attached to cuts in the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을 사용자에게 고정하기 위한 속도 의존성 테더 및 속도 의존성 테더를 포함하는 신발류. 속도 의존성 테더는 전단-증점 물질 및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또는 리본으로 채워진 튜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한 정상의, 낮거나 강렬한 활동이 없는 조건에서, 속도 의존성 테더의 변형 저항은 낮아서 발의 삽입 또는 제거를 허용하도록 속도 의존성 테더가 연장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 또는 격렬한 활동에 참여하는 활동적인 수준에서, 속도 의존성 테더의 변형 저항은 높아서 속도 의존성 테더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신발을 사용자에 고정시킨다. 속도 의존성 테더는 새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 신발류를 위한 속도 의존성 깔창, 전단-증점 유체로 함침된 지지체, 속도 의존성 풋콘 및 속도 의존성 밴드가 또한 설명된다.Footwear comprising a speed-dependent tether and a speed-dependent tether to secure the shoe to the user. The speed dependent tether may include a shear-thick material and a tube filled with at least one cable or ribbon. In the absence of normal, low or intense activity by the user, the strain resistance of the speed dependent tether is low, allowing the speed dependent tether to be extended to allow insertion or removal of the foot. For example, at an active level of participation in a sporting event or strenuous activity, the strain resistance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is high, preventing the speed-dependent tether from loosening and fixing the shoes to the user. The speed-dependent tether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birds. Speed dependent insoles for footwear, supports impregnated with shear-thick fluids, speed dependent footcorns and speed dependent bands are also described.

Description

신발류를 위한 속도 의존성 시스템Speed-dependent system for footwear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Cross 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2017년 6월 20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2/522,458, 2017년 6월 20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2/522,464, 2017년 6월 20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2/522,466 및 2017년 6월 20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522,46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is filed on June 20, 2017, United State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62 / 522,458, and is filed on June 20, 2017, United State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62 / 522,464, filed on June 20, 2017, United State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Priority is given to 62 / 522,466 and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No. 62 / 522,469, filed June 20, 2017, the entirety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기술 분야Technical field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속도 의존성 시스템을 이용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속도 의존성 폐쇄 시스템, 깔창 및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generally to shoes using a speed dependent system. More specifically, this application relates to speed dependent closure systems, insoles and supports.

현재, 신발 및 다른 신발류는 통상적으로 종래의 신발끈으로 사용자의 발에 고정된다. 스포츠나 운동과 같은 고강도 활동 중에 신발끈이 느슨해지거나 풀릴 수도 있다. 사용자는 신발끈을 더 단단히 묶어 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지만,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할 수도 있으며 여전히 활동 중에 신발끈이 느슨해지거나 풀릴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삽입할 때 신발이 느슨해질 수도 있게 하지만 고강도 활동 중에는 고정될 수 있는 동적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신발 및 다른 신발류의 추가 지지 및 편안함에 대한 요구가 또한 존재한다.Currently, shoes and other footwear are typically secured to the user's foot with conventional shoelaces. Shoelaces may become loose or loose during high-intensity activities such as sports or exercise. The user may solve this problem by tying the shoelaces more tightly, but this may be inconvenient for the user and may still loosen or loosen the shoelace during the activity. Thus, there is a need for a dynamic system that allows the user to loosen the shoe when inserting the foot but can be secured during high intensity activity. There is also a need for additional support and comfort of shoes and other footwea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속도 의존성 테더를 포함할 수도 있고, 속도 의존성 테더는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1 단부는 신발에 부착되고,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2 단부는 신발에 부착되거나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2 단부를 신발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폐쇄 장치에 부착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hoe may include a speed dependent tether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speed dependent tether comprising a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and the first of the speed dependent tether The end is attached to the shoe, and the second end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is attached to the shoe or to a closing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the second end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to the sho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속도 의존성 테더를 포함할 수도 있고, 속도 의존성 테더는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물질; 및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1 단부에 연결된 새들(saddle)을 포함할 수도 있고;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2 단부는 새들, 신발, 신발끈 또는 신발 폐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hoe may include a speed-dependent tether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speed-dependent tether comprising a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And a saddle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speed dependent tether; The second end of the speed dependent tether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saddle, shoe, shoelace or shoe closure syste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용 속도 의존성 깔창은 상부 깔창 층; 하부 깔창 층; 및 상부 깔창 층과 하부 깔창 층 사이에 위치한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peed dependent insole for shoes comprises an upper insole layer; Lower insole layer; And a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according to a shear rate located between the upper insole layer and the lower insole lay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체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는 지지체를 구성하기 위한 기재; 및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기재는 이 물질로 함침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upport for supporting a body part includes a substrate for constructing the support; And a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The substrate is impregnated with this materi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속도 의존성 풋콘(footcone)을 포함할 수도 있고, 속도 의존성 테더는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제1 단부는 신발끈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hoe may include a speed-dependent footcone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speed-dependent tether comprising a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the first end Includes one or more connections for connecting to a shoelace.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다음의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일반적으로 동일, 기능적으로 유사 및/또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 의존성 테더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된 속도 의존성 테더의 외측면도이다.
도 2b는 속도 의존성 테더를 갖는 도 2a의 신발의 내측면도이다.
도 3은 속도 의존성 테더를 갖는 도 2a의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속도 의존성 테더를 갖는 도 2a의 신발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끈을 구비한 신발에 사용되는 속도 의존성 테더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도면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BOA 레이스 시스템을 갖는 신발에 사용되는 속도 의존성 테더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도면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 해제 시스템을 갖는 신발에 사용되는 속도 의존성 테더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속 해제 시스템을 갖는 신발에 사용되는 속도 의존성 테더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된 전족 새들을 갖는 속도 의존성 테더의 외측면도이다.
도 8b는 전족 새들이 있는 속도 의존성 테더를 갖는 도 8a의 신발의 내측면도이다.
도 9는 전족 새들을 갖는 속도 의존성 테더를 구비한 도 8a의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전족 새들을 갖는 속도 의존성 테더를 구비한 도 8a의 신발의 정면도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된 속도 의존성 깔창의 외측면도이다.
도 11b는 속도 의존성 깔창을 갖는 도 11a의 신발의 내측면도이다.
도 12는 신발에 사용되는 속도 의존성 깔창을 구비하고 있는 도 11a의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속도 의존성 깔창을 갖는 도 11a의 신발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증점 물질을 갖는 발목 지지체의 외측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된 속도 의존성 풋콘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된 속도 의존성 밴드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된 속도 의존성 밴드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된 속도 의존성 밴드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된 속도 의존성 밴드의 측면도이다.
도 2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된 속도 의존성 밴드의 측면도이다.
도 20b는 속도 의존성 밴드를 갖는 도 20a의 신발의 저면도이다.
도 2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에 사용된 속도 의존성 밴드의 측면도이다.
도 21b는 속도 의존성 밴드를 갖는 도 21a의 신발의 저면도이다.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figures, in which like reference numerals generally indicate identical, functionally similar and / or structurally similar elements.
1A-1C are schematic diagrams of a rate-dependent t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A is an outer side view of a speed dependent tether used in a sho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B is an inner side view of the shoe of FIG. 2A with a speed dependent tether.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of FIG. 2A with a speed dependent tether.
4 is a front view of the shoe of FIG. 2A with a speed dependent tether.
5A is a side view of a speed-dependent tether used in a shoe with a shoel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B is a diagram of a connector used in a sho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A.
6A is a side view of a speed dependent tether used in a shoe with a BOA lac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6B is a diagram of a connector used in a sho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6A.
7A is a side view of a speed dependent tether used in a shoe with a quick releas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7B is a side view of a speed dependent tether used in a shoe with a quick releas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8A is an outer side view of a speed dependent tether with forefoot birds used in sho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8B is an inner side view of the shoe of FIG. 8A with a speed dependent tether with forefoot birds.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of FIG. 8A with a speed dependent tether with forefoot birds.
10 is a front view of the shoe of FIG. 8A with a speed dependent tether with forefoot birds.
11A is an outer side view of a speed dependent insole used in sho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1B is an inner side view of the shoe of FIG. 11A with a speed dependent insol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of FIG. 11A with a speed dependent insole used in the shoe.
13 is a front view of the shoe of FIG. 11A with a speed dependent insole.
14 is an outer side view of an ankle support with a shear-thickening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ed-dependent footcon used in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6 is a partial plan view of a speed-dependent band used in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7 is a side view of a speed dependent band used in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8 is a side view of a speed dependent band used in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9 is a side view of a speed-dependent band used in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0A is a side view of a speed dependent band used in sho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0B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of FIG. 20A with a speed dependent band.
21A is a side view of a speed dependent band used in sho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21B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of FIG. 21A with a speed dependent ban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명확성을 위해 특정 용어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렇게 선택된 특정 용어로 제한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관련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등가의 부분이 이용될 수 있고 다른 방법이 개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참고 문헌은 마치 각각 개별적으로 포함된 것처럼 참조로 포함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specific terms are used for clarity. However,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terms so select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other equivalent parts may be used and other methods develop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l references cited herein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as if each were individually included.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속도 의존성 테더(10)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속도 의존성 테더의 예는 Wetzel 등의 미국 특허 9,303,717 및 Wetzel 등의 미국 출원 번호 15/057,944에서 찾을 수 있고, 이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속도 의존성 테더의 추가적인 예는 또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Nenno 등의 문헌 "전단-증점 유체를 함유하는 속도 의존성 '동적 인대'의 설계 및 특성"에서 찾을 수도 있다.1A-1C, a speed dependent tether 10 can be seen. Examples of speed dependent tethers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und in U.S. Patent No. 9,303,717 to Wetzel et al. And U.S. Application No. 15 / 057,944 to Wetzel et al.,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dditional examples of velocity dependent tethers that can be us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found in Nenno et al., "Design and properties of velocity dependent 'dynamic ligaments' containing shear-thick fluid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1a는 테더에 전단력이 인가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의 속도 의존성 테더(10)를 도시하고 있다. 속도 의존성 테더(10)는 폐쇄 단부(14)를 갖는 하우징(12)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우징(12)은 튜브, 실린더 또는 다른 세장형 중공 하우징일 수도 있다. 하우징(12)은 엘라스토머일 수도 있다. 일 예에서, 하우징(12)은 엘라스토머 튜브이다. 폐쇄 단부(14) 각각은 미늘형 플러그(16)에 의해 폐쇄될 수도 있다. 각각의 미늘형 플러그(16)는 폐쇄 단부(14)를 밀봉하여 하우징(12)의 내부(18)와 하우징(12)의 외부 사이에서 유체 또는 물질이 유동하거나 이동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하우징(12)의 폐쇄 단부(14)는 하우징(12)의 재료를 밀봉하기 위한 임의의 공지된 구조로 폐쇄될 수도 있다. 하우징(12) 또는 앨라스토머 튜브 내에는 전단-증점 물질(20) 및 하나 이상의 케이블 또는 리본(22)이 있을 수도 있다. 리본(22)은 폐쇄 단부(14) 또는 미늘형 플러그(16)에 부착될 수도 있다. 2개의 리본(22)이 도시되어 있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수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하우징(12) 또는 엘라스토머 튜브는 하우징(12)과 전단-증점 물질(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폐쇄 단부(14) 및/또는 미늘형 플러그(16)는 전단-증점 물질(20)을 하우징(12) 내에 밀봉할 수도 있다. 전단-증점 물질(20)은 전단-증점 유체, 비-뉴턴 유체, 팽창제, 또는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임의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다.1A shows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no shear force is applied to the tether.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may include a housing 12 having a closed end 14. The housing 12 may be a tube, cylinder, or other elongated hollow housing. The housing 12 may also be an elastomer. In one example, the housing 12 is an elastomeric tube. Each of the closed ends 14 may be closed by a barbed plug 16. Each barbed plug 16 may seal the closed end 14 to prevent fluid or material from flowing or moving between the interior 18 of the housing 12 and the exterior of the housing 12. Alternatively, the closed end 14 of the housing 12 may be closed with any known structure for sealing the material of the housing 12. In the housing 12 or the elastomeric tube, there may be a shear-thickening material 20 and one or more cables or ribbons 22. The ribbon 22 may be attached to the closed end 14 or barbed plug 16. Although two ribbons 22 are shown, more or fewer numbers may be provided. The housing 12 or elastomeric tube may also include a housing 12 and a shear-thickening material 20. The closed end 14 and / or barbed plug 16 may seal the shear-thickening material 20 within the housing 12. The shear-thickening material 20 may be at least one of a shear-thickening fluid, a non-Newtonian fluid, an expanding agent, or any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도 1b는 화살표(24) 방향으로 느린 변형을 겪는 속도 의존성 테더(10)를 도시하고 있다. 화살표(24)는 속도 의존성 테더(10)에 인가되는 낮은 힘을 나타낼 수도 있다. 하우징(12)이 화살표(24)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미늘형 플러그(16)에서 폐쇄 단부(14)에 부착된 리본(22)도 화살표(24) 방향으로 이동한다. 서로를 지나쳐 활주하는, 이동하는 하우징(12) 및 리본(22)에 의해 생성되는 전단 속도는 전단-증점 물질(20)의 임계 전단 속도보다 낮을 수도 있다. 이는 전단-증점 물질(20)이 낮은 점도를 나타내고 속도 의존성 테더(10)의 신장 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할 수도 있다.1B shows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undergoing slow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arrow 24. Arrow 24 may indicate a low force applied to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As the housing 12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24, the ribbon 22 attached to the closed end 14 in the barbed plug 16 also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24. The shear rate produced by the moving housing 12 and ribbon 22 sliding past each other may be lower than the critical shear rate of the shear-thick material 20. This may cause the shear-thickening material 20 to exhibit a low viscosity and the elongation resistance of the rate-dependent tether 10 to be relatively low.

도 1c는 화살표(26) 방향으로 빠른 변형을 겪는 속도 의존성 테더(10)를 도시하고 있다. 화살표(26)는 속도 의존성 테더(10)에 인가된 높은 힘을 나타낼 수도 있다. 서로를 지나쳐 활주하는, 이동하는 하우징(12) 및 리본(22)에 의해 생성되는 전단 속도는 포위된 전단-증점 물질(20)의 임계 전단 속도를 초과할 수도 있다. 이는 전단-증점 물질(20)이 높은 점도를 갖거나 고체 유사 상태가 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속도 의존성 테더(10)의 신장 저항을 크게 증가시키는 높은 전단 응력을 생성할 수도 있다.1C shows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undergoing rapid deform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26. Arrow 26 may indicate the high force applied to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The shear rates produced by the moving housing 12 and the ribbon 22 sliding past each other may exceed the critical shear rates of the enveloped shear-thick material 20. This may cause the shear-thickening material 20 to have a high viscosity or to become a solid like state. This may create a high shear stress which greatly increases the elongation resistance of the rate dependent tether 10.

도 2a 및 도 2b는 하나 이상의 테더(32)를 사용하는 신발(30)의 외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32)는 하나 이상의 속도 의존성 테더(10)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32)는 신발(30)의 연결부(34)에서 신발(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테더(32)에는 신발(30)이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테더(32)는 종래의 타이 신발끈 또는 노-타이 신발끈과 같은 기존 신발끈을 대체하기 위해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신발에 4개의 테더(32)를 도시하지만, 신발(30)에 더 많거나 더 적은 테더(32)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32)는 속도 의존성 테더(10)를 포함하거나 속도 의존성 테더(10)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발(30)의 모든 테더(32)가 속도 의존성 테더(10)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테더(32)는 종래의 신발끈 및 속도 의존성 테더(10)의 조합일 수도 있다. 또한, 속도 의존성 테더(10)는 대부분의 전단 응력을 받는 신발(30)의 영역에 전략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속도 의존성 테더(10)는 중족 레이싱 구역(36), 전족 레이싱 구역(38) 및/또는 상부 레이싱 구역(40)에 배치될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테더(10)의 위치는 사용자를 위한 신발(30)의 원하는 맞춤 및 기능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2A and 2B show an outer side view of a shoe 30 using one or more tethers 32. The one or more tethers 32 may be one or more speed dependent tethers 10. One or more tethers 32 may be coupled to the shoe 30 at the connection 34 of the shoe 30. The tether 32 may be provided with a shoe 30. Alternatively, the tether 32 may be provided separately to replace conventional shoe laces such as conventional tie shoe laces or no-tie shoe laces. 2A and 2B show four tethers 32 on the shoe, but more or fewer tethers 32 may be used on the shoe 30. The one or more tethers 32 may include a speed dependent tether 10 or may be replaced with a speed dependent tether 10. For example, all tethers 32 of shoe 30 may be speed dependent tethers 10. Alternatively, the tether 32 may be a combination of a conventional shoelace and speed dependent tether 10. Also, the speed-dependent tether 10 may be strategically placed in the area of the shoe 30 subject to most shear stress. For example,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may be disposed in the midfoot racing zone 36, the forefoot racing zone 38 and / or the upper racing zone 40. The position of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desired fit and function of the shoe 30 for the user.

도 3 및 도 4는 신발의 상단에 걸쳐 내측 측면(42)으로부터 외측 측면(44)까지 감싸는 신발(30)의 테더(32)를 도시한다. 테더(32)는 기존 아일릿을 통해 신발(30)에 부착될 수도 있다. 테더(32)는 예를 들어 아일릿, 앵커, 중공부 또는 후크로 신발(30) 및/또는 연결부(34)에 부착될 수도 있다. 테더(32)의 일 단부는 중공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테더(32)의 대향 단부는 앵커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테더(32)의 일 단부는 신발(30)의 외측 측면(44) 및 내측 측면(42) 모두에서 연결부(34)(예를 들어, 아일릿)를 통해 끼워질 수도 있다. 관통되고 나면, 앵커는 중공부와 연결되어 테더(32)를 함께 연결시킬 수도 있다.3 and 4 show the tether 32 of the shoe 30 that wraps from the inner side 42 to the outer side 44 across the top of the shoe. The tether 32 may be attached to the shoe 30 through an existing eyelet. The tether 32 may also be attached to the shoe 30 and / or connection 34 with, for example, eyelets, anchors, hollows or hooks. One end of the tether 32 may include a hollow portion, and the opposite end of the tether 32 may include an anchor portion. In this way, one end of the tether 32 may be fitted through a connection 34 (eg, eyelet) on both the outer side 44 and the inner side 42 of the shoe 30. After being pierced, the anchor may be connected to the hollow portion to connect the tethers 32 together.

대안적으로, 중공부는 신발(30)의 내측 측면(42) 또는 외측 측면(44)에 위치한 앵커부에 연결될 수도 있고, 앵커부는 신발의 내측 측면(42) 및 외측 측면(44)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테더(32)의 양 단부가 중공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중공부는 신발(30)의 외측 측면(44) 및 내측 측면(42) 상의 앵커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테더(32)의 양 단부가 앵커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앵커부는 신발(30)의 외측 측면(44) 및 내측 측면(42)의 중공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테더(32)는 신발(30)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테더(32)의 대향 단부들은 신발(30), 예를 들어 신발 갑피, 중창 또는 밑창에 재봉되거나 접합될 수도 있다. 테더(32)를 신발(30)에 부착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테더(32)는 새들, 신발, 신발끈, 도 7a 또는 도 7b의 신속 해제 시스템, 또는 다른 신발 폐쇄 시스템에 연결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hollow portion may be connected to an anchor portion located on the inner side 42 or the outer side 44 of the shoe 30, and the anchor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inner side 42 and the outer side 44 of the shoe. It may be connected. Alternatively, both ends of the tether 32 may use hollow portions. At this time, the hollow portion may be attached to the anchor portion on the outer side surface 44 and the inner side surface 42 of the shoe 30. Alternatively, both ends of the tether 32 may use an anchor portion. At this time, the anchor portion may be attached to the hollow side of the outer side 44 and the inner side 42 of the shoe 30. Alternatively, the tether 3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ootwear 30, for example, the opposite ends of each tether 32 are sewn to the footwear 30, eg shoe upper, midsole or sole Or may be joined. Other embodiments of attaching the tether 32 to the shoe 30 are also possible. For example, the tether 32 may be connected to a saddle, shoe, shoelace, quick release system of FIGS. 7A or 7B, or other shoe closing system.

도 4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테더(32)는 예를 들어 속도 의존성 테더(10)일 수도 있다. 정상 조건 하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렬하게 활동하지 않으면, 속도 의존성 테더(10)의 변형 저항이 낮다. 이는 속도 의존성 테더(10)가 신발(30)로부터 발의 삽입 또는 제거를 허용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활동적인 수준에서, 예를 들어 화살표(46)의 방향으로 움직임이 나타나는 경우, 속도 의존성 테더(10)의 변형 저항은 정상 조건에 비해 높다. 활동적인 수준은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나 강렬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테더(10)의 높은 저항은 속도 의존성 테더(1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대신에 테더(32)는 신발(30)을 사용자에게 고정시킨다.4, the one or more tethers 32 may be, for example, speed dependent tethers 10. Under normal conditions, for example, the strain resistance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10 is low if the user is not actively operating. This may allow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to be extended to allow insertion or removal of the foot from the shoe 30. However, at an active level, for example, when movement appear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46, the strain resistance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10 is higher than the normal condition. The active level may be, for example, participation in a sporting event or intense activity. The high resistance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10 prevents the speed-dependent tether 10 from loosening, and instead the tether 32 secures the shoe 30 to the user.

도 5a는 하나 이상의 신발끈(52) 및 도 1a 내지 도 1c의 속도 의존성 테더(10) 같은 하나 이상의 테더(54)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는 신발(50)을 도시하고 있다. 동일한 수의 테더(54)가 신발의 대향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보이지 않음).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테더(54)의 제1 단부(56)에는 연결부(58)가 있을 수도 있다. 연결부(58)는 신발(50) 상에 위치된 앵커부 또는 중공부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는 중공부 또는 앵커부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연결부(58)는 테더(54)가 신발(50)에 고정식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연결되도록 영구적 연결부일 수도 있다. 두 번째로, 테더(54)의 대향 단부(60)에는 연결부(62)가 있을 수도 있다. 연결부(62)는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일릿일 수도 있다. 신발끈(52)은 통상적으로 신발끈을 레이싱하는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테더(54)의 아일릿을 통해 끼워질 수도 있다.FIG. 5A shows a shoe 50 that may use both one or more shoelaces 52 and one or more tethers 54 such as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of FIGS. 1A-1C. The same number of tethers 54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hoe (not shown). 5A and 5B, the first end 56 of the tether 54 may have a connection 58. The connecting portion 58 may be a hollow portion or an anchor portion that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nchor portion or the hollow portion located on the shoe 50.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58 may be a permanent connection such that the tether 54 is fixedly or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shoe 50. Second, the opposite end 60 of the tether 54 may have a connection 62. The connection portion 62 may be an eyelet as shown in FIG. 5B. The shoelace 52 may also be fitted through the eyelet of the tether 54 in the same or a similar manner as the lacing shoelace.

도 6a는 와이어 및 크랭크 폐쇄 시스템(72) 및 도 1a 내지 도 1c의 속도 의존성 테더(10) 같은 하나 이상의 테더(74)를 모두 사용할 수도 있는 신발(70)을 도시하고 있다. 와이어 및 크랭크 폐쇄 시스템(72)은 BOA® 시스템 또는 Nike® Flywire 기술일 수도 있다. 동일한 수의 테더(74)가 신발의 대향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보이지 않음).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테더(74)의 제1 단부(76)에는 연결부(78)가 있을 수도 있다. 연결부(78)는 신발(70) 상에 위치된 앵커부 또는 중공부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는 중공부 또는 앵커부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연결부(78)는 테더(74)가 신발(70)에 고정식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연결되도록 영구적 연결부일 수도 있다. 두 번째로, 테더(74)의 대향 단부(80)에는, 도 6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일릿이 있을 수도 있다. 와이어 및 크랭크 폐쇄 시스템(72)을 위한 신발끈(82)은 통상적으로 BOA® 시스템 또는 Nike® Flywire 기술과 같은 와이어 및 크랭크 폐쇄 시스템(72)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테더(74)의 아일릿을 통해 끼워질 수도 있다.6A shows a shoe 70 that may use both wire and crank closure system 72 and one or more tethers 74 such as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of FIGS. 1A-1C. The wire and crank closure system 72 may be a BOA® system or Nike® Flywire technology. The same number of tethers 74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hoe (not shown). 6A and 6B, a connection portion 78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end 76 of the tether 74. The connecting portion 78 may be a hollow portion or an anchor portion, which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nchor portion or the hollow portion located on the shoe 70. Alternatively, the connection 78 may be a permanent connection such that the tether 74 is fixedly or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shoe 70. Second, at the opposite end 80 of the tether 74, there may be eyelets as shown in FIG. 6B. The shoelace 82 for the wire and crank closure system 72 is typically of the tether 74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using a wire and crank closure system 72, such as a BOA® system or Nike® Flywire technology. It can also be fitted through an eyelet.

대안적으로, 도 5a 및 도 5b 또는 도 6a 및 도 6b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더(54, 74)는 각각 신발(50, 70)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거나, 테더(54, 74)는 신발(50, 70)에 각각 재봉되거나 접합될 수도 있다. 단부(60, 80)에서 아일릿 대신에, 테더(54, 74) 각각은 대안적으로 신발을 레이싱하기 위한 임의의 공지된 연결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any of FIGS. 5A and 5B or FIGS. 6A and 6B, tethers 54 and 74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with shoes 50 and 70, respectively, or tethers 54 , 74) may be sewn or bonded to the shoes 50 and 70, respectively. Instead of eyelets at the ends 60, 80, each of the tethers 54, 74 may alternatively have any known connection for lacing shoes.

비록 3개의 테더(54, 74)가 도 5a 및 도 5b 및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지만, 신발(50, 70)의 각 측면에 더 많거나 더 적은 테더(54, 74)가 각각 사용될 수도 있다. 테더(54, 74) 중 하나 이상은 속도 의존성 테더(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발(50, 70)의 모든 테더(54, 74)가 속도 의존성 테더(10)일 수도 있다. 또한, 테더(54, 74) 및 속도 의존성 테더(10)는 대부분의 전단 응력을 받는 신발의 영역에 전략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테더(54, 74)는 도 2a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중족, 전족 및/또는 상부 레이싱 구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신발끈(52, 82)은 신발의 아일릿(테더(54, 74)가 생략된 경우의 위치) 및 테더(54, 74)의 아일릿(테더(54/74)가 포함된 경우의 위치)을 통해 끼워질 수도 있다.Although three tethers 54 and 74 are shown in FIGS. 5A and 5B and 6A and 6B, more or fewer tethers 54 and 74 may be used on each side of shoes 50 and 70, respectively. It might be. One or more of the tethers 54, 74 may include a speed dependent tether 10. For example, all tethers 54 and 74 of shoes 50 and 70 may be speed dependent tethers 10. Further, the tethers 54 and 74 and the speed-dependent tether 10 may be strategically placed in the area of the shoe subject to the most shear stress. For example, tethers 54 and 74 may be disposed in the midfoot, forefoot and / or upper racing zones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2A. The shoelaces 52 and 82 are provided through eyelets of the shoe (positions when tethers 54 and 74 are omitted) and eyelets of tethers 54 and 74 (positions when tethers 54/74 are included). It can be inserted.

도 7a는 신속 해제 시스템(9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 테더(92)를 포함하는 신발(90)을 도시하고 있다. 신속 해제 시스템(94)은 사용자가 신발(90)로부터 하나 이상의 테더(92)를 신속하게 해제할 수도 있게 하는 자성 폐쇄(magnetic closure) 또는 다른 신속 해제 연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속 해제 시스템(94)은 래치, 노브 또는 버클을 포함할 수도 있다. 테더(9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테더(10, 32, 54, 74) 중 임의의 것일 수도 있다. 도 7b는 신속 해제 시스템(10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 테더(102)를 포함하는 신발(100)을 도시하고 있다. 신속 해제 시스템(104)은 사용자가 신발(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테더(102)를 신속하게 해제할 수도 있게 하는 자성 폐쇄 또는 다른 신속 해제 연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속 해제 시스템(104)은 래치, 노브 또는 버클을 포함할 수도 있다. 테더(10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테더(10, 32, 54, 74) 중 임의의 것일 수도 있다.7A shows a shoe 90 that includes a tether 92 that may further include a quick release system 94. The quick release system 94 may be a magnetic closure or other quick release conne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quickly release one or more tethers 92 from the shoe 90. For example, quick release system 94 may include a latch, knob, or buckle. The tether 92 may be any of the tethers 10, 32, 54, 74 described herein. 7B shows a shoe 100 that includes a tether 102 that may further include a quick release system 104. The quick release system 104 may be a magnetic closure or other quick release connection that allows a user to quickly release one or more tethers 102 from the shoe 100. For example, quick release system 104 may include a latch, knob, or buckle. The tether 102 may be any of the tethers 10, 32, 54, 74 described herein.

도 8a 및 도 8b는 새들(116)과 함께 하나 이상의 테더(112)를 사용하는 신발(110)의 외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112)는 하나 이상의 속도 의존성 테더(10)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112)는 신발(110)의 개구(114)에서 신발(110)의 하부 부분(111)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외측 측면(120) 및 내측 측면(122)에는 각각의 개구(114)가 제공될 수도 있다. 테더(112)가 신발(110)에 제공될 수도 있거나, 또는 기존의 타이 신발끈 또는 노-타이 신발끈과 같은 기존 신발끈을 대체하기 위해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신발(110)에 더 많거나 더 적은 테더(112)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도 8a 및 도 8b는 신발(110)의 외측 측면(120) 및 내측 측면(122) 각각에 있는 3개의 테더(112)를 도시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112)는 속도 의존성 테더(10)를 포함하거나 속도 의존성 테더(10)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발(110)의 모든 테더(112)가 속도 의존성 테더(10)일 수도 있다. 또한, 속도 의존성 테더(10)는 대부분의 전단 응력을 받는 신발(110)의 영역에 전략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속도 의존성 테더는 도 2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중족, 전족 및/또는 상부 레이싱 구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8A and 8B show an outer side view of a shoe 110 using one or more tethers 112 with saddles 116. The one or more tethers 112 may be one or more speed dependent tethers 10. The one or more tethers 112 may extend from the opening 114 of the shoe 110 through the lower portion 111 of the shoe 110. Each opening 114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120 and the inner side 122. The tether 112 may be provided on the shoe 110,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to replace an existing shoelace, such as a tie shoelace or a no-tie shoelace. Although more or fewer tethers 112 may be used for the shoe 110, FIGS. 8A and 8B show three tethers 112 on each of the outer side 120 and the inner side 122 of the shoe 110. Is showing. The one or more tethers 112 may include a speed dependent tether 10 or may be replaced with a speed dependent tether 10. For example, all tethers 112 of the shoe 110 may be speed dependent tethers 10. Also, the speed-dependent tether 10 may be strategically placed in the area of the shoe 110 subject to most shear stress. For example, the speed dependent tether may be placed in the midfoot, forefoot and / or upper racing zones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2B.

계속해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신발(110)은 또한 테더(112)에 연결된 새들(11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새들(116)은 최전방 새들일 수도 있다. 새들(116)이 신발(110)의 전족 영역의 중앙에 도시되어 있지만, 새들(116)은 신발(110)의 발끝단(117), 설상부(118), 외측 측면(120) 또는 내측 측면(122) 또는 이들의 조합을 향해 오프셋될 수도 있다. 새들(116)의 위치는 활동 중에 사용자에게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새들(116)은 새들이 위치되는 신발(110)의 영역에 지지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새들(116)은 도 1a 내지 도 1c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테더(112)가 사용 동안 연장 및 수축됨에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With continued reference to FIGS. 8A and 8B, the shoe 110 may also include saddles 116 connected to the tether 112. The birds 116 may be the foremost birds. Although the saddle 116 is shown in the center of the forefoot area of the shoe 110, the saddle 116 is the tiptoe 117, the tongue 118, the outer side 120 or the inner side of the shoe 110 ( 122)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location of the saddle 116 may be selected to provide stability to the user during the activity. The saddle 116 may provide support and stability to the area of the shoe 110 in which the saddle is located. The saddle 116 may move as the tether 112 extends and contracts during use,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S. 1A-1C.

단일 새들(116)이 도시되어 있지만, 신발(110)에는 임의의 수의 새들(116)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새들(116)은 새들(116)에 의해 제공된 안정성을 요구할 수도 있는 임의의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새들(116)은 외측 측면(120) 및 내측 측면(122) 각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새들(116)은 전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 각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새들(116)은 외측 측면(120), 내측 측면(122), 전족 영역 및 뒤꿈치 영역 각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새들(116) 및 테더(112)의 수량 및 위치의 임의의 수의 조합이 신발(110)에 사용될 수도 있다.Although a single saddle 116 is shown, any number of saddles 116 may be used for the shoe 110. The saddle 116 may be placed in any area that may require the stability provided by the saddle 116. For example, the saddle 116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outer side 120 and the inner side 122. Alternatively, saddle 116 may be provided in each forefoot region and heel region. The saddle 116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lateral side 120, medial side 122, forefoot area and heel area. Any number of combinations of quantity and location of saddle 116 and tether 112 may be used in footwear 110.

도 9 및 도 10은 신발(110)의 테더(112)를 새들(116)에 연결하는 예시적인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제1 테더(112a)는 제1 테더(112a)의 제1 단부(124)에서 신발(110)의 외측 측면(120) 상의 새들(116)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어서, 제1 테더(112a)는 개구(114)를 통해 중창 구조(126)(즉, 사용자의 발 아래)로 통과하고 중창 구조(126)의 대향측에서 다른 개구(114)로 빠져나갈 수도 있다. 테더(112)의 제2 대향 단부(128)는 신발(110)의 내측 측면(122)에서 새들(116)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테더(112b) 및 제3 테더(112c)는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새들(116)과 내측 측면(122) 상의 밑창 내의 위치 사이에 테더(112)가 연결될 수도 있다. 별도의 테더(112)가 외측 측면(120)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제1 테더(112a)는 신발(110)의 각각의 부분과 새들(116) 사이에 결합된 2개의 별개의 테더(1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발(110)의 대향하는 외측 측면(120) 및 내측 측면(122) 상에 별개의 테더(112)가 제공될 수도 있고, 신발 갑피와 중창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트랩, 밴드 또는 웹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한다. 대안적으로, 단일 테더(112)가 신발(110)의 외측 측면(120) 및 내측 측면(122) 모두에서 연장될 수 있고, 신발 갑피와 중창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9 and 10 show an exemplary way of connecting the tether 112 of the shoe 110 to the saddle 116. The first tether 112a may be connected to the saddle 116 on the outer side 120 of the shoe 110 at the first end 124 of the first tether 112a. Subsequently, the first tether 112a may pass through the opening 114 to the midsole structure 126 (ie, under the user's foot) and exit from the other opening 114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idsole structure 126. . The second opposite end 128 of the tether 112 may be connected to the saddle 116 at the inner side 122 of the shoe 110. The second tether 112b and the third tether 112c may be connected in the same manner. Alternatively, a tether 112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addle 116 and a location within the sole on the inner side 122. Separate tethers 112 may be connected in the same manner at corresponding locations on the outer side 120. That is, the first tether 112a may include two separate tethers 112 coupled between each part of the shoe 110 and the saddles 11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eparate tethers 112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outer side 120 and inner side 122 of the shoe 110, and a strap, band or extension extending between the shoe upper and the midsole It can also be combined by the web. See, for example, FIG. 3. Alternatively, a single tether 112 may extend on both the outer side 120 and the inner side 122 of the shoe 110, and may extend between the shoe upper and the midsole.

테더(112)는 각각 새들(116) 상의 개구 또는 중공부(130)를 통해 새들(116)에 부착될 수도 있다. 테더(112)는 테더(112)의 제1 단부(124) 및 제2 단부(128) 각각에 앵커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테더(112)의 제2 단부(128) 상의 앵커는 새들(116) 상의 중공부(130) 내로 삽입되어 신발(110)의 내측 측면(122) 상의 테더(112)를 새들(116)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유사하게, 외측 측면(120)에서, 테더(112)의 제1 단부(124) 상의 앵커는 새들(116)의 중공부(130)에 삽입되어 테더(112)를 새들(116)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The tethers 112 may be attached to the saddles 116 through openings or hollows 130 on the saddles 116, respectively. The tether 112 may include an anchor portion at each of the first end 124 and the second end 128 of the tether 112. An anchor on the second end 128 of the tether 112 is inserted into the hollow 130 on the saddle 116 to connect the tether 112 on the inner side 122 of the shoe 110 to the saddle 116. It might be. Similarly, on the outer side 120, an anchor on the first end 124 of the tether 112 may be inserted into the hollow 130 of the saddle 116 to connect the tether 112 to the saddle 116. have.

대안적으로, 중공부는 테더(112) 상에 위치되고, 앵커가 새들(116)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테더(112)의 일 단부(제1 단부(124) 또는 제2 단부(128) 중 어느 하나)는 앵커를 가질 수도 있고 대향 단부(제1 단부(124) 또는 제2 단부(128) 중 다른 하나)는 중공부를 가질 수도 있다. 테더(112)의 앵커부는 새들(116) 상의 중공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중공부를 갖는 대향 단부는 새들(116) 상의 앵커에 연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테더(112)는 새들(116)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테더(112)는 새들(116), 신발(110), 신발끈(도시되지 않음), 도 7a 또는 도 7b의 신속 해제 시스템, 또는 다른 신발 폐쇄 시스템에 연결될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테더를 새들 및/또는 신발에 부착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hollow may be located on tether 112, and an anchor may be positioned on saddle 116. Also, one end of the tether 112 (either the first end 124 or the second end 128) may have an anchor and either an opposite end (either the first end 124 or the second end 128). The other) may have a hollow portion. The anchor portion of the tether 112 may be connected to the hollow portion on the saddle 116. The opposite end having a hollow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anchor on the saddle 116. Alternatively, tether 112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with saddle 116. The tether 112 may be connected to the saddle 116, the shoe 110, the shoelace (not shown), the quick release system of FIGS. 7A or 7B, or other shoe closing system. Other embodiments of attaching the speed dependent tether to the saddle and / or footwear are possible.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테더(112)는 예를 들어 속도 의존성 테더(10)일 수도 있다. 정상 조건 하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강렬하게 활동하지 않으면, 속도 의존성 테더(10)의 변형 저항이 낮다. 이는 속도 의존성 테더(10)가 신발(110)로부터 발의 삽입 또는 제거를 허용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활동적인 수준에서, 예를 들어 화살표(132)의 방향으로 움직임이 나타나는 경우, 속도 의존성 테더(10)의 변형 저항은 정상 조건에 비해 높다. 활동적인 수준은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나 강렬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테더(10)의 높은 저항은 속도 의존성 테더(1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대신에 속도 의존성 테더(10)는 신발(110)을 사용자에게 고정시킨다. 새들(116)은 활동 동안 안정성을 제공한다. 속도 의존성 테더(10)와 새들(116)의 조합은 외측 절단 및 방향 변화(예를 들어, 화살표(132)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의해 야기되는 전단 변형 동안 능동적 지지를 제공하면서 신발(110) 내에 발을 유지하도록 작용한다.Referring to FIG. 10, one or more tethers 112 may be, for example, speed dependent tethers 10. Under normal conditions, for example, the strain resistance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10 is low if the user is not actively operating. This may allow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to be extended to allow the insertion or removal of the foot from the shoe 110. However, at an active level, for example, when movement appear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32, the strain resistance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10 is higher than the normal condition. The active level may be, for example, participation in a sporting event or intense activity. The high resistance of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prevents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from loosening, and instead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secures the shoe 110 to the user. Saddle 116 provides stability during activity. The combination of speed dependent tether 10 and saddle 116 is within shoe 110 while providing active support during shear deformation caused by lateral cuts and directional changes (eg,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arrow 132). Works to keep the feet.

본 명세서에 설명된 테더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체결 장치의 예는 Frydlewski 등의 미국 특허 8,850,675에서 찾을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개별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속도 의존성 시스템의 다양한 조합 중 임의의 것이 조합될 수도 있다.Examples of fastening devices that may be used with the tethers described herein can also be found in US Pat. No. 8,850,675 to Frydlewski et al.,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lthough individually described, any of various combinations of speed dependent systems may be combined.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속도 의존성 깔창(142)을 사용하는 신발(140)의 외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신발(140)과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일체형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전단-증점 물질 주위로 신발 깔창의 2개의 층을 함께 부착함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신발(140)과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독립적인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신발(140)에 개장될 수도 있다. 독립적인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접착제 또는 재봉 연결과 같은 공지된 기술을 통해 신발(140)에 부착될 수도 있다.11A and 11B, an outer side view of a shoe 140 using a speed dependent insole 142 is shown. The speed-dependent insole 142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shoe 140. The integral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constructed by attaching two layers of shoe insole together around a shear-thick material. Alternatively,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shoe 140. An independent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retrofitted to the shoe 140. The independent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attached to the shoe 140 through known techniques such as adhesive or sewing connections.

도 11a 및 도 11b 및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신발(140)의 전통적인 깔창 대신에 내부적으로 또는 전통적인 깔창을 대체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전통적인 깔창에 더하여, 전통적인 깔창의 상부에 또는 아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하우징(144) 내에 전단-증점 물질(146)을 포함하는 밀봉된 하우징(144)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44)은 접착제 또는 다른 공지된 결합 기술에 의해 함께 접합되는 깔창의 상부 층(144a) 및 하부 층(144b)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단-증점 물질(146)은 깔창의 상부 층(144a)과 하부 층(144b) 사이에 수용되거나 위치될 수도 있다. 전단-증점 물질(146)은 전단-증점 유체, 비-뉴턴 유체, 팽창제, 또는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임의의 유체일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11A and 11B and FIGS. 12 and 13,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positioned internally or to replace the traditional insole of the shoe 140.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traditional insole,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insole.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configured as a sealed housing 144 that includes a shear-thickening material 146 within the housing 144. The housing 144 may be composed of an upper layer 144a and a lower layer 144b of an insole that are bonded together by adhesive or other known bonding techniques. Shear-thick material 146 may be accommodated or positioned between the top layer 144a and the bottom layer 144b of the insole. Shear-thick material 146 may be a shear-thickness fluid, a non-Newtonian fluid, an expanding agent, or any fluid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전단-증점 물질(146) 내에 적어도 하나의 리본(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본은 도 1a 내지 도 1c에 설명된 바와 같을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본은 전단-증점 물질(146)을 활성화시켜 신발(140) 내에 배치된 사용자의 발에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include at least one ribbon (not shown) in the shear-thickness material 146. The at least one ribbon may be as described in FIGS. 1A-1C. At least one ribbon may activate the shear-thickening material 146 to provide support to the user's foot disposed within the shoe 140.

단일 속도 의존성 깔창(142)이 도시되어 있지만, 신발(140)에는 하나 초과의 속도 의존성 깔창(142)이 사용될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대부분의 전단 응력을 받는 신발(140)의 영역에 전략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중족 또는 뒤꿈치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신발(140)의 외측 측면(148) 또는 내측 측면(150)에 대해 오프셋될 수도 있다.Although a single speed dependent insole 142 is shown, more than on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used for the shoe 140. The speed-dependent insole 142 may be strategically placed in the area of the shoe 140 subject to most shear stress. For example,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placed in the midfoot or heel region.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offset relative to the outer side 148 or inner side 150 of the shoe 140.

도 12는 신발(140)에 사용된 속도 의존성 깔창(142)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사용자의 발 아래에서 180도를 둘러쌀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사용자의 발 아래에서 180도를 초과하거나 그 미만으로 둘러쌀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화살표(152, 154) 방향으로의(도 13) 측방향 및 선형 방향 변화 또는 운동에 의해 활성화될 때 동적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1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used in the shoe 140.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surround 180 degrees under the user's foot. Alternatively,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wrapped above or below 180 degrees under the user's feet.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provide dynamic support when activated by lateral and linear directional changes or movements in the direction of arrows 152 and 154 (FIG. 13).

도 13을 참조하면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강한 활동이 없는 정상 조건 하에서, 속도 의존성 깔창(142)의 변형 저항은 낮다. 그러나, 활동적인 수준에서, 예를 들어 화살표(152, 154)의 방향으로 움직임이 나타나는 경우, 속도 의존성 깔창(142)의 변형 저항은 정상 조건에 비해 높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경기나 강렬한 활동에 참여할 때와 같이 발을 돌리면 활동적인 수준을 겪게 될 수도 있다. 활동적인 수준에서, 전단-증점 물질이 활성화되어 속도 의존성 깔창(142)의 높은 변형 저항이 발생한다. 이 높은 저항은 신발(140) 내의 사용자의 발에 대한 지지 및 안정성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 13,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C, for example, under normal conditions without strong activity by the user, the deformation resistance of the speed-dependent insole 142 is low. However, at an active level, for example, when movement appear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s 152 and 154, the strain resistance of the speed-dependent insole 142 may be higher than normal conditions. You may experience an active level by turning your foot, for example, when participating in a sporting event or intense activity. At an active level, the shear-thickness material is activated, resulting in a high strain resistance of the rate dependent insole 142. This high resistance provides support and stability for the user's foot in the shoe 140.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사용자 및/또는 활동에 따라 맞춤화될 수도 있다. 즉, 외측 측면(148)에서 많은 변형을 경험하는 사용자를 위해,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예컨대 강렬한 활동 동안 그 영역에서 최대의 지지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내측 측면(150)에서 많은 변형을 경험하는 사용자를 위해, 속도 의존성 깔창(142)은 예컨대 강렬한 활동 동안 그 영역에서 최대의 지지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이는 예를 들어 발목, 뒤꿈치, 아치(arch) 등과 같은 발의 다른 영역에 적용될 수도 있다.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user and / or activity. That is, for users who experience many deformations on the outer side 148,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designed to provide maximum support in that area, for example, during intense activity. Alternatively, for users who experience many deformations on the inner side 150, the speed dependent insole 142 may be designed to provide maximum support in that area, for example, during intense activity. Similarly, it may be applied to other areas of the foot, for example, ankles, heels, arches, and the like.

도 14는 도 1a 내지 도 1c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동작하는 전단-증점 물질(162)을 사용하는 지지체(160)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체(160)는 발목 지지체일 수도 있다. 지지체(160)는 전단-증점 물질(162)이 함침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질은 직조된 페브릭, 신축성 페브릭 또는 탄성 붕대 페브릭일 수도 있다. 지지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또는 모든 물질은 전단 속도에 기초하여 점도가 증가하는 전단-증점 물질(162) 또는 다른 물질 또는 유체로 함침될 수도 있다. 함침된 지지체(160)는 전단-증점 물질(162)을 지지할 영역과 접촉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물질의 슬리브 내에 캡슐화될 수도 있다.FIG. 14 shows a support 160 using a shear-thickening material 162 operating in the manner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1A-1C. The support 160 may be an ankle support. The support 160 may be made of a material impregnated with the shear-thickness material 162. The material may be a woven fabric, an elastic fabric or an elastic bandage fabric. Any or all of the materials used to construct the support may be impregnated with a shear-thickening material 162 or other material or fluid whose viscosity increases based on the shear rate. The impregnated support 160 may be encapsulated within a sleeve of material to keep the shear-thick material 162 in contact with the area to be supported.

지지체(160)는 신발류(164) 물품에 직접 통합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신발류(164)를 착용하기 전에 사용자가 착용하는 액세서리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신발류(164)를 착용하기 전에 착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지지체(160)를 도 14에서 볼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적인 지지체(160)는 예를 들어 신발류(164) 아래에 착용하기 위한 슬리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신발류 물품(164)에 직접 통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지지체(160)는 신발류(164)에 직접 부착되고 이어서 발, 발목 및/또는 종아리 주위를 둘러싸 그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전단-증점 물질(162)로 함침된 물질의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는 Vibram® Furoshiki 신발 또는 Nike® Huarache 신발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전단-증점 물질(162)이 함침된 물질은 신발류(164)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슬리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발을 슬리브 내로, 이어서, 직접적으로 신발류(164) 내로 밀어넣을 수도 있다.The support 160 may be incorporated directly into the article of footwear 164, or alternatively may be provided as an accessory worn by the user before wearing the footwear 164. An exemplary support 160 that may be worn prior to wearing footwear 164 can be seen in FIG. 14. Additional exemplary supports 160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as sleeves for wearing under footwear 164. Exemplary support 160, which may be incorporated directly into footwear article 164, is a shear-thickening material 162 that is attached directly to footwear 164 and then wraps around the foot, ankle and / or calf to provide support for it. It may contain a portion of the material impregnated with. Examples include Vibram® Furoshiki shoes or Nike® Huarache shoes. Alternatively, the material impregnated with the shear-thick material 162 may be configured as a sleeve tha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ootwear 164. In this way, the user may push the foot into the sleeve and then directly into the footwear 164.

전단-증점 물질 함침 지지체(160)는 앞서 설명한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되지 않는 정상 조건에서 낮은 전단 응력을 받을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신체 부위, 예를 들어 발목을 둘러싸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이는 사용자가 전단-증점 물질을 포함하는 신발을 쉽게 착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발목을 둘러싸기 시작하거나 신발을 착용할 때 사용자는 저항을 거의 또는 전혀 겪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가 발목을 계속 둘러싸기 위해 지지체(160)를 신장시킴에 따라, 전단-증점 물질이 활성화될 수도 있다. 전단-증점 물질(162)의 활성화는 지지체(160)가 강성화되도록 하여 발목과 같은 신체 부위에 안정성 및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shear-thick material impregnating support 160 may be subjected to low shear stress under normal conditions that are not us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ystem described above. This may allow the user to surround a desired body part, for example an ankle. Alternatively, it may allow the user to easily wear shoes comprising shear-thickness material. When starting to wrap around the ankle or wearing shoes, the user may experience little or no resistance. As the user stretches the support 160 to continue surrounding the ankle, the shear-thickness material may be activated. Activation of the shear-thickening material 162 may also cause the support 160 to be rigid, providing stability and support to body parts such as ankles.

전단-증점 물질(162)은 그 임계 전단 속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전단-증점 물질(162)은 특정 사용자 및/또는 활동에 필요에 따라 다소간의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전단-증점 물질(162)은 소량의 지지체(160)의 신장 후에 활성화되어 강성 지지체를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전단-증점 물질(162)은 지지체(160)의 더 긴 신장 후에 활성화되도록 선택되어 앞서 설명한 지지체보다 덜 강성적인 지지체(160)를 제공할 수도 있다.Shear-thick material 162 may be selected based on its critical shear rate. Shear-thickening material 162 may be selected to provide some stability as needed for a particular user and / or activity. Shear-thickening material 162 may be selected to be activated after stretching a small amount of support 160 to provide a rigid support. Alternatively, the shear-thickening material 162 may be selected to be activated after a longer elongation of the support 160 to provide a less rigid support 160 than the support described above.

지지체(160)는 활동 또는 부상 중에 사용자에게 안정성 및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단 신장된 전단-증점 물질(162)이 받는 높은 저항은 지지체(16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대신에 지지체(160)를 사용자 상에 고정하여 둘러싸여진 신체 부위를 안정화시킬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지체(160)는 느린 움직임 및/또는 작은 움직임에 대한 낮은 저항을 제공하여 높은 운동 범위를 제공하며, 또한, 급격한 움직임 및/또는 큰 움직임에 대한 높은 저항을 제공하여 충분한 지지 및 부상 방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Support 160 may provide stability and support to a user during an activity or injury. Once the high resistance received by the stretched shear-thick material 162 prevents the support 160 from loosening, it may instead secure the support 160 on the user to stabilize surrounding body parts.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support 160 provides low resistance to slow motion and / or small motion to provide a high range of motion, and also provides high resistance to rapid motion and / or large motion to provide sufficient support. And injury pre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풋콘(182)을 갖는 신발(18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풋콘(182)은 그 안에 전단-증점 물질(186)이 위치되어 있는 하우징(184)을 포함할 수도 있다. 풋콘(182)은 시트일 수도 있다. 풋콘(182)은 신발(180) 또는 사용자의 발의 형상에 일치하거나 그에 대해 굴곡될 수도 있도록 가요성일 수도 있다. 풋콘(182)은 풋콘(182)의 제1 측면(189) 상에 하나 이상의 연결부(18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부(188)는 아일릿일 수도 있다. 신발끈(190)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신발(180) 상의 연결부(188) 및 아일릿(192)을 통해 끼워질 수도 있다. 풋콘(182)은 풋콘(182)의 제2 측면(194)에서 신발(18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측면(194)은 제2 신발끈(190)을 사용하여 풋콘(182)을 신발(180)에 결합하기 위한 유사한 연결부(18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풋콘(182)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신발(180)에 포함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이는 풋콘(182)이 신발의 장축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이동되거나 및/또는 신발의 단축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게 한다. 연결부(188)는 앵커, 중공부 또는 아일릿일 수도 있다.15,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180 with a foot cone 182 is shown. The footcorn 182 may include a housing 184 in which a shear-thickening material 186 is located. The foot cone 182 may be a sheet. The foot cone 182 may be flexible to match or bend against the shape of the shoe 180 or the user's foot. The footcon 182 may include one or more connections 188 on the first side 189 of the footcon 182. The connecting portion 188 may be an eyelet. The shoelace 190 may be fit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88 and the eyelet 192 on the shoe 180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foot cone 18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oe 180 at the second side 194 of the foot cone 182. Alternatively, the second side 194 may include a similar connection 188 for coupling the footcon 182 to the shoe 180 using the second shoelace 190. Accordingly, the foot cone 182 may be included or omitted in the shoe 180 according to a user's need. In addition, this allows the foot cone 182 to move up or down along the long axis of the shoe and / or laterally along the short axis of the shoe. The connecting portion 188 may be an anchor, a hollow portion or an eyelet.

풋콘(182)은 풋콘(182)이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1c의 속도 의존성 테더(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풋콘(182)은 속도 의존성 테더(10)보다 더 넓을 수도 있다. 풋콘(182)은 도 1a 내지 도 1c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전단-증점 유체(186)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리본(보이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리본은 풋콘(182)의 수직 축(196), 풋콘(182)의 수평 축(198), 하우징(184)의 대향 코너들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하우징(184) 내에서 무작위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정렬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리본은 생략될 수도 있고 풋콘(182)은 전단-증점 물질(186)의 변화에만 기초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전단-증점 물질(186)은 전단-증점 유체, 비-뉴턴 유체, 팽창제, 또는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임의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다. 풋콘(182)은 이전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신발(180) 및/또는 사용자에게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신발끈(190)은 종래의 타이 신발끈, 노-타이 신발끈, 또는 와이어 및 크랭크 폐쇄 시스템의 와이어일 수도 있다.The foot cone 182 may be configured the same as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of FIGS. 1A-1C except that the foot cone 182 is composed of a sheet. The footcorn 182 may be wider than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Footcon 182 may include one or more ribbons (not visible) positioned within shear-thickness fluid 186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1A-1C. The one or more ribbons may be selected from the vertical axis 196 of the foot cone 182, the horizontal axis 198 of the foot cone 182, diagonally between opposing corners of the housing 184, randomly within the housing 184, or these. It may be sorted for any combination of. Alternatively, the ribbon may be omitted and the footcorn 182 may operate based only on changes in the shear-thickness material 186. Shear-thick material 186 may be at least one of a shear-thickness fluid, a non-Newtonian fluid, an expanding agent, or any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The footcorn 182 may provide support to the shoe 180 and / or the user in the same manner as previously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evious embodiment. The shoelace 190 may be a conventional tie shoelace, no-tie shoelace, or wire of a wire and crank closure system.

도 16을 참조하면, 신발(200)의 최전방에 밴드(202)를 갖는 신발(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밴드(202)는 그 안에 전단-증점 물질(206)이 위치된 하우징(20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밴드(202)는 신발(200) 또는 사용자의 발의 형상에 일치하거나 그에 대해 굴곡될 수도 있도록 가요성일 수도 있다. 밴드(202)는 밴드(202)의 대향측 상에 하나 이상의 연결부(20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부(208)는 앵커, 중공부 또는 아일릿일 수도 있다. 연결부(208)는 재봉되거나 접착된 연결부와 같은 영구적인 연결부일 수도 있다. 연결부(208)는 신발(200) 상의 하나 이상의 플랩(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플랩(210)은 신발(2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신발(200)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밴드(202)는 종래의 신발끈(212)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밴드(202)는 신발(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밴드(202) 및/또는 플랩(21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밴드(202)가 신발(200)에 포함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도록 신발(200)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는 밴드(202)이 신발(200)의 장축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이동되거나 및/또는 신발(200)의 단축을 따라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게 한다.Referring to FIG. 16,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200 having a band 202 at the forefront of the shoe 200 is shown. The band 202 may include a housing 204 in which a shear-thickening material 206 is located. The band 202 may be flexible to match or bend against the shape of the footwear 200 or the user's foot. The band 202 may include one or more connecting portions 208 on opposite sides of the band 202. The connecting portion 208 may be an anchor, a hollow portion or an eyelet. The connection 208 may be a permanent connection, such as a sewn or glued connection. The connection portion 208 may be coupled to one or more flaps 210 on the shoe 200. The flap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oe 200 or releasably coupled to the shoe 200. The band 202 can also be used with the conventional shoelace 212. The band 20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hoe 200. The band 202 and / or the flap 210 may be releasably coupled to the shoe 200 so that the band 202 may be included or omitted in the shoe 200 according to a user's need. In addition, this allows the band 202 to be moved up or down along the long axis of the shoe 200 and / or laterally along the short axis of the shoe 200.

밴드(202)는 밴드(202)가 속도 의존성 테더(10)보다 넓을 수도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1c의 속도 의존성 테더(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밴드(202)는 도 1a 내지 도 1c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전단-증점 유체(206)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리본(보이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리본은 밴드(202)의 장축, 밴드(202)의 단축, 하우징(204)의 대향 코너들 사이에서 대각선으로, 하우징(204) 내에서 무작위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해 정렬될 수도 있다. 전단-증점 물질(206)은 전단-증점 유체, 비-뉴턴 유체, 팽창제, 또는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임의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일 수도 있다. 밴드(202)는 이전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신발(200) 및/또는 사용자에게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신장될 때, 밴드(202)는 신발(200) 및/또는 사용자에게 추가된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신발끈(212)은 종래의 타이 신발끈, 노-타이 신발끈, 또는 와이어 및 크랭크 폐쇄 시스템의 와이어일 수도 있다. 밴드(202)는 종래의 최전방 스트랩을 대체할 수도 있다. 밴드(202)는 따라서 종래의 최전방 스트랩상의 D-링과 관련된 벌크를 감소시킬 수도 있고 신장될 때 지지를 추가할 수도 있다.The band 202 may be configured the same as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of FIGS. 1A-1C except that the band 202 may be wider than the speed dependent tether 10. Accordingly, the band 202 may include one or more ribbons (not shown) positioned within the shear-thickness fluid 206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1A-1C. The one or more ribbons may b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long axis of the band 202, the short axis of the band 202, diagonally between opposing corners of the housing 204, randomly within the housing 204, or any combination thereof. It might be. Shear-thickening material 206 may be at least one of a shear-thickening fluid, a non-Newtonian fluid, an expanding agent, or any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The band 202 may provide support to the shoe 200 and / or the user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That is, when stretched, the band 202 may provide added support to the shoe 200 and / or the user. The shoelace 212 may be a conventional tie shoelace, no-tie shoelace, or wire of a wire and crank closure system. The band 202 may replace a conventional frontmost strap. Band 202 may thus reduce the bulk associated with the D-ring on a conventional foremost strap or add support when stretched.

도 17을 참조하면, 신발(220)은 신발(220)의 뒤꿈치 영역의 하나 이상의 테더(222)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테더(222)는 대향 단부(224)들에서 신발(2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대향 단부(224)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연결부(예를 들어, 아일릿, 앵커, 중공부) 및 이들의 조합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이지는 않지만, 대응하는 테더(222)가 신발(220)의 대향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신발(220)의 각각의 측면에 더 많은 테더(222)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신발(230)에는 신발(230)의 뒤꿈치 부분 주위에 테더(232)가 제공될 수도 있다. 테더(222, 232)가 신장될 때, 테더(222, 232)는 신발(220, 230), 후족 영역, 및/또는 사용자의 뒤꿈치에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테더(222, 23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테더 및/또는 밴드(202) 중 임의의 것일 수도 있다. 테더(222, 23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식으로 신발(220, 230)에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테더(222, 232)는 빠른 움직임에 대해 적응하는 헬 리텐션 시스템(hell retention system)을 생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7, shoe 220 is shown with one or more tethers 222 of the heel region of shoe 220. The tether 222 may be coupled to the shoe 220 at opposite ends 224. Opposing ends 224 may include any of the connections described herein (eg, eyelets, anchors, hollows) and combinations thereof. Although not visible, a corresponding tether 222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hoe 220. Alternatively, more tethers 222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shoe 220. Referring to FIG. 18, the shoe 230 may be provided with a tether 232 around the heel portion of the shoe 230. When the tethers 222, 232 are stretched, the tethers 222, 232 may provide additional support to the shoes 220, 230, hindfoot region, and / or the user's heel. The tethers 222, 232 may be any of the tethers and / or bands 202 described herein. Tethers 222 and 232 may be coupled to shoes 220 and 230, respectively, in any manner described herein. The tethers 222 and 232 may create a hell retention system that adapts to fast movements.

도 19를 참조하면, 신발(240)은 하나 이상의 테더(242)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242)는 속도 의존성 테더(10)일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242)는 신발(240)의 내측 측면(250)으로부터 신발(240)의 외측 측면(보이지 않음)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신발(240)의 내측 측면(250)은 종래의 신발 레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아일릿을 갖는 스트랩(252)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트랩(252)은 신발(240)의 내측 측면(250)에 일체형, 재봉, 접착 또는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신발(240)의 외측 측면(보이지 않음)에는 대응하는 스트랩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242)가 2개의 스트랩(252) 사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242)는 대응하는 스트랩(252)에 결합하기 위해 대향 단부들 상에 연결부(24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부(244)는 이전 실시예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일릿, 앵커, 중공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신발(240)의 중창 구조(248)는 내측 측면(250)으로부터 외측 측면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홈(246)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테더(242)는 연결부(244)에서 스트랩(252)에 결합하고, 중창 구조(248)에서 홈(246)을 통해 연장되고, 대향측을 빠져나와 제2 연결부(244)에서 제2 스트랩(252)(보이지 않음)에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테더(242)는 사용자의 발의 아치 아래로 연장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242)는 더 편안하고 맞춤식인 맞춤을 위해 신발 갑피를 발로 당길 수도 있다. 표준 폐쇄 시스템, 예를 들어 기존 신발끈은 접근성을 허용한다. 하나 이상의 테더(242) 각각은 이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저항을 가질 수도 있거나 각각 다른 저항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간 테더(242)는 양측의 테더(242)보다 더 높거나 낮은 저항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 정의 시스템이 사용자의 발에 대한 원하는 지지 및/또는 편안함을 생성할 수도 있게 한다.Referring to FIG. 19, shoes 240 are shown with one or more tethers 242. The one or more tethers 242 may be speed dependent tethers 10. The one or more tethers 242 may extend from the inner side 250 of the shoe 240 to the outer side (not visible) of the shoe 240. The inner side 250 of the shoe 240 may include a strap 252 having one or more eyelets for use with a conventional shoe lace. The strap 252 may be integrally, sewn, glued, or removable to the inner side 250 of the shoe 240. A corresponding strap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not visible) of the shoe 240. One or more tethers 242 may extend between the two straps 252. One or more tethers 242 may include a connection 244 on opposite ends to engage the corresponding strap 252. The connection portion 244 may be an eyelet, an anchor, a hollow por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previous embodiment. The midsole structure 248 of the shoe 240 may include one or more openings or grooves 246 extending from the inner side 250 to the outer side. Each tether 242 is coupled to the strap 252 at the connection 244, extends through the groove 246 in the midsole structure 248, exits the opposite side and exits the opposite side to a second strap at the second connection 244 (252) (invisible). Thus, the tether 242 may extend under the arch of the user's foot. The one or more tethers 242 may pull the upper of the foot with the foot for a more comfortable and custom fit. Standard closed systems, eg existing shoelaces, allow accessibility. Each of the one or more tethers 242 may have the same resistance or different resistances,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For example, the intermediate tether 242 may have a higher or lower resistance than the tethers 242 on both sides. This allows the user-defined system to create the desired support and / or comfort for the user's foot.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신발(260)은 하나 이상의 테더(262)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262)는 속도 의존성 테더(10)일 수도 있다. 신발(260)은 하나 이상의 테더(262) 중 대응하는 하나에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부(266)를 포함할 수도 있다. 테더(262)의 제1 단부(268)는 앞서 설명한 방식 중 하나, 예를 들어 앵커, 중공부, 아일릿 등으로 연결부(266)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어서, 테더(262)는 신발(260)의 베이스 또는 밑창에서 대응하는 홈(264)을 통해 연장되거나 그에 의해 수용될 수도 있고 신발(260)의 대향측 상의 연결부(266)(보이지 않음)에 결합될 수도 있다. 테더(262)는 풋콘(도 15) 또는 새들(도 8a)의 대향측을 결합하기 위해 연속 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3개의 테더(262)가 도시되어 있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수가 제공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262)는 신발(260) 및/또는 사용자에게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풋콘 또는 새들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도 있다.20A and 20B, shoes 260 are shown with one or more tethers 262. The one or more tethers 262 may be speed dependent tethers 10. The shoe 260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connections 266 for coupling 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one or more tethers 262. The first end 268 of the tether 262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266 in one of the manner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nchors, hollows, eyelets, and the like. Subsequently, the tether 262 may extend through the corresponding groove 264 at the base or sole of the shoe 260 or may be received thereby, an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266 (not visibl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hoe 260. It may be. The tether 262 may provide a continuous band to engage the opposite side of the footcorn (FIG. 15) or saddle (FIG. 8A). Although three tethers 262 are shown, more or fewer numbers may be provided. The one or more tethers 262 may allow movement of the footcorn or saddle to provide support to the shoe 260 and / or the user.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신발(280)은 하나 이상의 테더(282)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테더(282)는 속도 의존성 테더(10)일 수도 있다. 신발(280)은 제1 테더(282a)를 관통 연장시키기 위한 보어 또는 연결부(28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신발(280)은 제2 테더(282b)를 관통 연장시키기 위해 신발의 대향측 상에 제2 연결부(284)(보이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신발(280)에는 하나 이상의 테더(282)를 수용하기 위해 그 베이스 또는 밑창에 홈(286)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테더(282a)는 테더(282a)의 대향 단부들에 연결부(288)를 가질 수도 있다. 하나의 연결부(288)는 제1 홈(286a) 내에서 신발(280)의 바닥에 제공된 연결부(29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테더(282a)는 제1 연결부(290)에 결합되고, 제1 홈(286a)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이어서, 제1 테더(282a)는 연결부(284)를 통해 제2 홈(286b) 내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1 테더(282a)의 대향 단부는 홈(286b) 내의 제2 연결부(290)에 결합될 수도 있는 제2 연결부(288)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테더(282b)는 테더(282b)의 대향 단부들에 연결부(288)를 가질 수도 있다. 하나의 연결부(288)는 제3 홈(286c) 내에서 신발(280)의 바닥에 제공된 연결부(29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테더(282b)는 제1 연결부(290)에 결합되고, 제3 홈(286c)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이어서, 제2 테더(282b)는 제2 연결부(284)(보이지 않음)를 통해 제4 홈(286d) 내로 연장될 수도 있다. 제2 테더(282b)의 대향 단부는 홈(286d) 내의 제2 연결부(290)에 결합될 수도 있는 제2 연결부(288)를 가질 수도 있다. 연결부(288 및 290)는 연결부가 신발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홈(286)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테더(282a) 및 제2 테더(282b)는 발을 둘러싸서 신발에 최전방 스트랩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최전방 스트랩은 도 16의 202일 수도 있다. 2개의 테더(282)가 도시되어 있지만, 더 많거나 더 적은 수가 제공될 수도 있다. 테더(282)는 신발(260) 및/또는 사용자에게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최전방 스트랩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도 있다.21A and 21B, the shoe 280 is shown with one or more tethers 282. The one or more tethers 282 may be speed dependent tethers 10. The shoe 280 may also include a bore or connection 284 for extending the first tether 282a. The shoe 28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84 (not show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hoe to extend the second tether 282b. The shoe 28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286 in its base or sole to accommodate one or more tethers 282. For example, the first tether 282a may have a connection 288 at opposite ends of the tether 282a. One connecting portion 288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90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hoe 280 within the first groove 286a. The first tether 282a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90 and may extend through the first groove 286a. Subsequently, the first tether 282a may extend into the second groove 286b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284. The opposite end of the first tether 282a may have a second connection 288 that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290 in the groove 286b. The second tether 282b may have a connection 288 at opposite ends of the tether 282b. One connecting portion 288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290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shoe 280 within the third groove 286c. The second tether 282b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290 and may extend through the third groove 286c. Subsequently, the second tether 282b may extend into the fourth groove 286d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84 (not shown). The opposite end of the second tether 282b may have a second connection 288 that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290 in the groove 286d. The connections 288 and 290 may be provided in the groove 286 so that the connec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unctioning of the shoe. The first tether 282a and the second tether 282b may surround the foot to secure the foremost strap to the shoe. The foremost strap may be 202 in FIG. 16. Although two tethers 282 are shown, more or fewer numbers may be provided. The tether 282 may allow movement of the foremost strap to provide support to the shoe 260 and / or the user.

테더(10, 32, 54, 74, 92, 102, 112, 222, 232, 242, 262 또는 282)와 같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테더는 사용자가 각각의 신발에 사용할 특정 저항 또는 저항 조합을 선택할 수도 있도록 복수의 저항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예를 들어, 테더(222a, 222b, 222c) 각각은 상이한 전단-증점 물질(226a, 226b, 226c)을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전단-증점 물질(226a)은 전단-증점 물질(226b)보다 높은 점도 및 전단-증점 물질(226c)보다 낮은 점도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정도의 지지가 요구될 때 테더(222a)를 사용하고, 테더(222a)보다 적은 지지가 요구될 때 테더(222b)를 사용하고, 테더(222a)보다 더 많은 지지가 요구될 때 테더(222c)를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신발(220)의 일 측면에 테더(222a)를 사용하고 신발(220)의 대향측에 테더(222b 또는 222c) 중 하나를 사용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활동, 사용자의 특정 신체 적성, 능력 또는 조건에 대한 원하는 수준의 지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테더 중 임의의 것은 제거 가능하고 교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테더가 마모되거나, 끊어지거나, 또는 다른 원하는 저항을 위해서 등의 경우 사용자는 테더를 제거하고 교체할 수도 있다.Any tether described herein, such as a tether (10, 32, 54, 74, 92, 102, 112, 222, 232, 242, 262, or 282),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specific resistance or combination of resistances that the user will use for each shoe. It can also be provided to the user with multiple resistors for selection. Referring again to FIG. 17, for example, each of the tethers 222a, 222b, 222c may include different shear-thickening materials 226a, 226b, 226c, respectively. The shear-thick material 226a may have a higher viscosity than the shear-thick material 226b and a lower viscosity than the shear-thick material 226c. Therefore, the user uses tether 222a when a certain degree of support is required, uses tether 222b when less support is required than tether 222a, and requires more support than tether 222a. You can also choose to use the tether 222c. In some embodiments, the user may choose to use tether 222a on one side of shoe 220 and either tether 222b or 222c on opposite side of shoe 220. In this way,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level of support for the activity, the user's specific physical aptitude, ability or condition. In addition, any of the tethers described above may be removable and replaceable. In this way, the user can also remove and replace the tether in case the tether is worn, broken, or for other desired resistance.

본 발명은 종래의 신발끈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도 있는 속도 의존성 테더에 관한 것이다. 속도 의존성 테더는 신발에 직접 통합되거나 대안적으로 신발끈을 대체하기 위해 애프터마켓 액세서리로 제공될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테더는 예를 들어 달리기, 사이클링, 스키 및 기타 스포츠 경기(농구, 축구, 골프, 배구, 미식축구 등)에 참여하는 것 같은 활동 동안 테더가 전단 변형을 받을 때 사용자에게 신발을 유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속도 의존성 테더는 동적인 노-타이 신발끈을 제공한다. 속도 의존성 테더는 전족 새들을 갖는 신발에 제공될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테더가 신발에서의 사용에 대해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지만, 속도 의존성 테더는 다른 스포츠 장비 및 의류에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ed-dependent tether that may replace or complement conventional shoelaces. Speed-dependent tethers can be integrated directly into the shoe or alternatively provided as an aftermarket accessory to replace the shoelace. The speed-dependent tether may keep the user's shoes when the tether undergoes shear deformation during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ng in running, cycling, skiing and other sporting events (basketball, football, golf, volleyball, football, etc.) . Thus, the speed-dependent tether provides a dynamic no-tie shoelace. Speed-dependent tethers may be provided for shoes with forefoot birds. While speed dependent tethers are described herein for use in footwear, it is contemplated that speed dependent tethers may be used in other sports equipment and apparel.

본 발명은 또한 신발에 제공될 수도 있는 속도 의존성 깔창에 관한 것이다. 속도 의존성 깔창은 측방향 및 선형 방향 변화에 의해 활성화될 때 동적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깔창은 예를 들어 달리기, 사이클링, 스키, 하이킹 및 기타 스포츠 경기(농구, 축구, 골프, 배구, 미식축구 등)에 참여하는 것 같은 활동 동안 깔창이 전단 변형을 받을 때 활성화될 수도 있다. 속도 의존성 깔창이 신발에서의 사용에 대해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지만, 속도 의존성 깔창은 다른 스포츠 장비 및 의류에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speed dependent insole that may be provided in a shoe. The speed dependent insole may provide dynamic support when activated by lateral and linear directional changes. The speed dependent insole may be activated when the insole undergoes shear deformation during activities such as, for example, running, cycling, skiing, hiking, and participating in other sporting events (basketball, football, golf, volleyball, football, etc.). While speed dependent insoles are described herein for use in footwear, it is contemplated that speed dependent insoles may be used in other sports equipment and clothing.

본 발명은 또한 유체와 같은 전단-증점 물질이 내부에 함침된 발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발목 지지체는 예를 들어 달리기, 사이클링, 스키 및 기타 스포츠 경기(농구, 축구, 골프, 배구, 미식축구 등)에 참여하는 것 같은 활동 동안 지지체가 전단 변형을 받을 때 사용자에게 360도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지지체가 발목에 착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손목, 팔뚝, 사두근, 등, 종아리, 무릎, 팔꿈치 등을 포함한 임의의 신체 부위를 지지하도록 지지체가 착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ankle support impregnated with a shear-thick material such as a fluid therein. The ankle support provides 360-degree support to the user when the support undergoes shear deformation during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ng in running, cycling, skiing, and other sports events (basketball, soccer, golf, volleyball, football, etc.) It might be. Although the support is described as being worn on the ankle, it is understood that the support may be worn to support any body part, including wrist, forearm, quadriceps, back, calf, knee, elbow, and the like.

본 발명은 또한 내부에 유체와 같은 전단-증점 물질이 위치되어 있는 풋콘 및 밴드에 관한 것이다. 풋콘 및 밴드는 신발에 제공될 수도 있다. 풋콘 및 밴드는 예를 들어 달리기, 사이클링, 스키, 하이킹 및 기타 스포츠 경기(농구, 축구, 골프, 배구, 미식축구 등)에 참여하는 것 같은 활동 동안 풋콘이 전단 변형을 받을 때 활성화될 수도 있다. 풋콘 및 밴드가 신발에서의 사용에 대해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지만, 풋콘은 다른 스포츠 장비 및 의류에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foot cone and a band in which a shear-thick material such as fluid is located. Foot cones and bands may be provided in the footwear. Foot cones and bands may be activated when the foot cone undergoes shear deformation during activities such as, for example, running, cycling, skiing, hiking, and participating in other sporting events (basketball, soccer, golf, volleyball, football, etc.). While foot cones and bands are described herein for use in footwear, it is contemplated that foot cones may be used in other sports equipment and clothing.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고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본 발명을 실시하고 사용하도록 알려진 최선의 방식을 가르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어떠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제시된 모든 예는 대표적이며 비제한적이다. 전술한 교시의 관점에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이해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앞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illustrated and described herein are only intended to teach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best way known to practice and use the present invention. Nothing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ll examples presented are representative and non-limiting. A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view of the foregoing teachings,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or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differently than specifically describ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26)

신발이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속도 의존성 테더를 포함하고,
속도 의존성 테더는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1 단부는 신발에 부착되고,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2 단부는 신발에 부착되거나,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2 단부를 신발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폐쇄 장치에 부착되는, 신발.
Shoes,
A speed dependent tether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rate dependent tether contains a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A shoe,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is attached to the shoe, and the second end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is attached to the shoe, or to a closing device configured to connect the second end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to the shoe.
제1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테더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리본 및
전단-증점 물질을 포함하는, 신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eed-dependent tether further comprises a housing, the housing
At least one ribbon and
Shoes comprising a shear-thick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테더는 속도 의존성 테더가 낮은 변형 저항을 나타내는 동안 사용자가 신발에 발을 삽입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신발.The shoe of claim 1, wherein the speed dependent tether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insert a foot into the shoe while the speed dependent tether exhibits low strain resistance. 제3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테더는 속도 의존성 테더를 상기 물질의 임계 전단 속도를 초과하는 전단 응력에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어 속도 의존성 테더가 나타내는 변형 저항을 증가시키고 신발을 사용자의 발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신발.The speed dependent tether is activated by exposing the speed dependent tether to a shear stress exceeding the critical shear rate of the material to increase the strain resistance exhibited by the speed dependent tether and secure the shoe to the user's foot. Shoes, configured to be. 제1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테더는 신발의 중창 구조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신발.The shoe of claim 1, wherein the speed dependent tether is configured to extend through the midsole structure of the shoe. 제1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테더는 최전방 밴드, 뒤꿈치 밴드, 언더 아치(under arch) 테더, 언더 아치 밴드, 발바닥 테더 및 발바닥 밴드 중 적어도 하나인, 신발.The shoe of claim 1, wherein the speed dependent tether is at least one of the foremost band, heel band, under arch tether, under arch band, sole tether and sole band. 제6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테더는 신발의 베이스 및 밑창 중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연장되는, 신발.7. The shoe of claim 6, wherein the speed dependent tether extend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base and sole of the shoe. 신발이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속도 의존성 테더로서, 속도 의존성 테더는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물질을 구비하는, 속도 의존성 테더; 및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1 단부에 연결된 새들을 포함하고,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2 단부는 새들, 신발, 신발끈 또는 신발 폐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신발.
Shoes,
A speed dependent tether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speed dependent tether comprising a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And
Including birds connected to the first end of the speed dependent tether,
The second end of the speed dependent tether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saddle, shoe, shoelace or shoe closure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테더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리본 및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물질은 전단-증점 유체인, 신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peed-dependent tether further comprises a housing, the housing
At least one ribbon and
A shoe comprising a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said material being a shear-thickness fluid.
제8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1 단부는 새들의 제1 측면에 연결되고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2 단부는 새들의 대향측에 연결되는, 신발.9. The shoe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speed dependent tether is connected to the first side of the saddle and the second end of the speed dependent tether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addle. 제10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1 단부는 앵커 및 중공부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새들의 제1 측면은 앵커 및 중공부 중 다른 하나이며, 속도 의존성 테더의 제2 단부는 앵커 및 중공부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새들의 대향측은 앵커 및 중공부 중 다른 하나인, 신발.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end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is at least one of the anchor and the hollow, the first side of the saddle is the other of the anchor and the hollow, and the second end of the speed-dependent tether is the anchor and the hollow. Shoe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birds is the other side of the anchor and the hollow. 제8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테더는 속도 의존성 테더를 임계 전단 속도를 초과하는 전단 응력에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어 속도 의존성 테더가 나타내는 변형 저항을 증가시키고 신발을 사용자의 발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신발.9. The speed dependent tether is activated by exposing the speed dependent tether to a shear stress exceeding a critical shear rate to increase the strain resistance exhibited by the speed dependent tether and is configured to secure the shoe to the user's foot. , shoes. 신발용 속도 의존성 깔창이며,
상부 깔창 층;
하부 깔창 층; 및
상부 깔창 층과 하부 깔창 층 사이에 위치한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속도 의존성 깔창.
It is a speed-dependent insole for shoes,
Upper insole layer;
Lower insole layer; And
A rate dependent insole comprising a material that increases in viscosity with a shear rate loc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insole layers.
제13항에 있어서, 상부 깔창 층은 하부 깔창 층에 접합되고, 상기 물질은 결합 후에 상부 깔창과 하부 깔창 층 사이에 위치되는, 속도 의존성 깔창.15. The rate dependent insole of claim 13, wherein the upper insole layer is bonded to the lower insole layer, and the material is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insole layers after bonding. 제13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깔창은 신발과 일체로 구성되는, 속도 의존성 깔창.The speed dependent insole of claim 13, wherein the speed dependent insole is integral with the shoe. 제13항에 있어서, 재료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본을 더 포함하는, 속도 의존성 깔창.The speed dependent insole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ribbon configured to activate the material. 제13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깔창은 속도 의존성 깔창을 상기 물질의 임계 전단 속도를 초과하는 전단 응력에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어 속도 의존성 깔창이 받는 변형 저항을 증가시키고 신발 내의 발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속도 의존성 깔창.The speed dependent insole is activated by exposing the speed dependent insole to a shear stress that exceeds the critical shear rate of the material to increase the strain resistance the speed dependent insole receives and to support the foot in the shoe. , Speed dependent insole. 신체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이며,
지지체를 구성하는 기재; 및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기재는 상기 물질로 함침되는, 지지체.
It is a support for supporting body parts,
A substrate constituting the support; And
Contains a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The substrate is a support impregnated with the material.
제18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신발과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체.19. The support of claim 18, wherein the suppo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hoe. 제18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슬리브 또는 붕대 중 적어도 하나로서 형성되는, 지지체.19. The support of claim 18, wherein the support is formed as at least one of a sleeve or bandage. 제18항에 있어서, 지지체는 지지체 상의 전단 변형을 증가시킴으로써 활성화되어 지지체가 받는 저항을 증가시키고 신체 부위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되는, 지지체.19. The support of claim 18, wherein the support is activated to increase shear resistance on the support and is configured to increase resistance to the support and stabilize body parts. 신발이며,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속도 의존성 풋콘을 포함하고, 속도 의존성 풋콘은 전단 속도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제1 단부는 신발끈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신발.
Shoes,
A speed dependent footcon compris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speed dependent footcon comprising a material whose viscosity increases with shear rate,
The first end includes at least one connection for connecting to a shoelace.
제22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풋콘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리본 및
전단-증점 물질을 포함하는, 신발.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speed-dependent footcon further comprises a housing, the housing
At least one ribbon and
Shoes comprising a shear-thick material.
제2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리본은 풋콘의 수직 축 및 풋콘의 수평 축 중 적어도 하나와 정렬되는, 신발.24. The shoe of claim 23, wherein the at least one ribbon is aligned with at least one of the vertical axis of the footcorn and the horizontal axis of the footcorn. 제22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풋콘은 속도 의존성 풋콘이 낮은 변형 저항을 나타내는 동안 사용자가 신발에 발을 삽입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속도 의존성 풋콘은 속도 의존성 풋콘을 상기 물질의 임계 전단 속도를 초과하는 전단 응력에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활성화되어 속도 의존성 풋콘이 나타내는 변형 저항을 증가시키고 신발을 사용자의 발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신발.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peed dependent footc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insert the foot in the shoe while the speed dependent footcon exhibits low strain resistance, the speed dependent footcon exceeding the speed of the material's critical shear rate A shoe, which is activated by exposure to shear stress to increase the strain resistance exhibited by the speed-dependent footcorn and is configured to secure the shoe to the user's foot. 제22항에 있어서, 속도 의존성 풋콘은 시트인, 신발.23. The shoe of claim 22, wherein the speed dependent footcon is a seat.
KR1020207001264A 2017-06-20 2018-06-20 Speed-dependent system for footwear KR2020002839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22458P 2017-06-20 2017-06-20
US201762522464P 2017-06-20 2017-06-20
US201762522466P 2017-06-20 2017-06-20
US201762522469P 2017-06-20 2017-06-20
US62/522,469 2017-06-20
US62/522,464 2017-06-20
US62/522,458 2017-06-20
US62/522,466 2017-06-20
PCT/US2018/038591 WO2018237071A1 (en) 2017-06-20 2018-06-20 Rate dependent systems for footwe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396A true KR20200028396A (en) 2020-03-16

Family

ID=6473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264A KR20200028396A (en) 2017-06-20 2018-06-20 Speed-dependent system for footwear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210145126A1 (en)
EP (1) EP3641705A4 (en)
JP (1) JP2020524590A (en)
KR (1) KR20200028396A (en)
CN (1) CN110913807B (en)
AU (1) AU2018288828B2 (en)
BR (1) BR112019027521A2 (en)
CA (1) CA3066467A1 (en)
MX (1) MX2019015517A (en)
PH (1) PH12019502885A1 (en)
RU (1) RU2020101658A (en)
WO (1) WO201823707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4197A1 (en) * 2022-01-26 2023-08-03 Act´Ble Gmbh Dance or sports shoe comprising a force transmission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2011A (en) * 1995-07-27 1998-01-27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Inc. Tug-resistant link
US6772541B1 (en) * 1999-11-17 2004-08-10 Deckers Outdoor Corporation Footwear securement system
CN2930368Y (en) * 2006-03-30 2007-08-08 李宁体育(上海)有限公司 Adjustable shock absorbing device of shoes
US7788826B2 (en) * 2007-02-12 2010-09-07 Pierre Senizgues Dynamically moderated shock attenuation system for footwear
EP3150260B1 (en) * 2007-10-24 2019-05-15 Head Technology GmbH System and method of using shear thickening materials in sports products
WO2010148485A1 (en) * 2009-06-22 2010-12-29 Powerdisk Development Ltd. Springs for shoes
US20110014996A1 (en) 2009-07-17 2011-01-20 Liquid Glass Technologies, Incorporated Higher performance golf club and attachment for golf club, golf ball, athletic shoes, and athletic shin guards using shear-thickening fluids
EP2467038A2 (en) * 2009-08-13 2012-06-27 Code Footwear, LLC Reconfigurable shoes and apparel and docking assembly therefor
NL2003367C2 (en) * 2009-08-20 2011-02-22 Sara Lee De Nv Cushioning element, footwear, insole, deformable filling, and envelope.
US8850675B2 (en) 2012-02-06 2014-10-07 Hickies, Inc. Fastening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DE102012011433A1 (en) * 2012-05-25 2013-11-28 Vinzenz Bichler Device with dilatant material for adaptive movement limitation
US9958023B2 (en) * 2012-07-11 2018-05-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Rate responsive, stretchable devices further improvements
US9303717B2 (en) 2012-07-11 2016-04-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Rate-responsive, stretchable devices
CN202857970U (en) * 2012-10-23 2013-04-10 陈勇军 Slippers
US9220318B2 (en) * 2013-09-27 2015-12-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djustable fitting system
US9538813B1 (en) * 2014-08-20 2017-01-10 Akervall Technologies, Inc. Energy absorbing elements for footwear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88828A1 (en) 2020-01-02
CA3066467A1 (en) 2018-12-27
WO2018237071A1 (en) 2018-12-27
US20210145126A1 (en) 2021-05-20
PH12019502885A1 (en) 2020-12-07
MX2019015517A (en) 2020-07-22
CN110913807B (en) 2023-04-04
RU2020101658A (en) 2021-07-20
EP3641705A1 (en) 2020-04-29
JP2020524590A (en) 2020-08-20
AU2018288828B2 (en) 2023-08-31
BR112019027521A2 (en) 2020-07-21
EP3641705A4 (en) 2021-02-24
CN110913807A (en)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4789B2 (en) Upper for shoes
EP3364810B1 (en) Tensile-strand enclosure system for footwear
CN110799058B (en) Article of footwear with closure system having lateral flaps with cables
CN108697200B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ensioning system
EP1753313B1 (en) Adjustable ankle support for an article of footwear
KR101759412B1 (en) Footwear with reactive layers
TWI644633B (en) Article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zonal stretch limiter
EP3153048B1 (en) Braided upper with overlays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I552690B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heel portion with knitted component
CN106820412B (en) Golf shoes with proper motion structure
EP3284362B1 (en) Upper for a shoe
EP3629810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rnal feedback elements
KR20150133812A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ensile structure
CN109068792A (en) Clamping system for footwear product
CN107105823A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braided constructions
CN104981176B (en) Article of footwear with the shoes larynx and transition shoestring that are tapered
KR20060008231A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AU2018288828B2 (en) Rate dependent systems for footwear
CN108471832A (en) With the article of footwear away from boat support element
WO2013082385A1 (en) Improved athletic shoe
KR20070057310A (en) Fight shoes equipped with ankle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