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747A - 함체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 Google Patents

함체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747A
KR20200027747A KR1020180105946A KR20180105946A KR20200027747A KR 20200027747 A KR20200027747 A KR 20200027747A KR 1020180105946 A KR1020180105946 A KR 1020180105946A KR 20180105946 A KR20180105946 A KR 20180105946A KR 20200027747 A KR20200027747 A KR 20200027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nclosure
rack
computer
electronic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투알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투알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투알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105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7747A/ko
Publication of KR2020002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89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characterized by the mounting of blades therein, e.g. brackets, rails, tr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체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전산 장비 또는 전자 장비의 전면 뿐만 아니라 후면에 대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이 개방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함체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함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함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적어도 그 일부가 함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함체에 대해서 상대 회동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함체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A rack for computer device or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frame movable with respect to a box }
본 발명은 함체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전산 장비 또는 전자 장비의 전면 뿐만 아니라 후면에 대한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고출력 전자기파(HEMP: High Electro-Magnetics Power)는 높은 에너지를 갖는 순간적인 전자기파를 의미하며, HEMP에 노출된 전자기기는 오동작 혹은 물리적으로 파괴되고, HEMP 공격이 발생했을 경우 전력망, 통신망 등 국가 기간시설들을 한순간에 마비시켜 엄청난 피해와 혼란을 야기한다.
전산장비 또는 전자장비를 이러한 고출력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방호용 랙을 사용하는데, 기존 제품은 복수의 외곽 패널을 프레임에 조립하는 방식 사용하여 고출력 전자기파의 침입에 취약하다.
또한, 기존 제품은 상하, 좌우, 전후면 6개의 패널과 랙 프레임 조립시 EMP 차폐 가스켓을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전자기파의 침입에 취약하여 국제규격 10GHz@80dB의 성능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기존 제품은 6개의 복수 패널로 제작하여, 고출력 전자기파 차폐를 위한 고가의 차폐 부품을 5배이상 사용해야 하고, 고출력 전자기파 차폐를 위하여 전, 후면 도어를 무거운 중량의 전, 후면 도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17472호 (2014. 7. 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으로서, 함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프레임이 외부로 인출된 후 함체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게 하여 함체의 전면 방향에서 프레임의 전면 뿐만 아니라 후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이 개방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함체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함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함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적어도 그 일부가 함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함체에 대해서 상대 회동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 후단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함체 입구에 가까운 영역에 있는 함체의 일측 내벽 에는 상기 걸림부와 간섭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부와 지지부가 상호 접촉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상대 회전운동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이 상기 함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프레임의 일측면에만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마련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부는 함체의 일측 내벽에만 마련되고, 타측 내벽에는 마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는 회동 안내 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회동 안내 롤러와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 안내 롤러에 의하여 구름운동을 하면서 걸림부 및 프레임의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안내 롤러와, 상기 안내롤러가 지지되며 안내 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함체의 양 내부측면에 마련되는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체의 양 내부측면에 마련되는 안내 레일과,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마련되어 안내 레일에 지지되는 안내 롤러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레일 및 상기 안내 레일의 위치와,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지지부의 위치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이 함체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프레임이 함체가 지지되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하강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퀴부는 선택적으로 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마련되는 구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구름부가 지지되며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제1연결부와, 제1연결부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EMP방호용 랙과 같이 전방을 제외한 모든 영역이 차폐되어 있는 함체를 갖는 랙 내부에 장착된 장비의 후방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게 됨으로써, 유지 보수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프레임이 인출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프레임을 함체에 대해서 상대 회전운동 시킬 수 있음으로써 프레임의 배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인출시, 프레임의 하부에 있는 바퀴부가 지면에 닿아서 구름운동을 유발함으로써, 프레임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프레임의 이동을 작은 힘으로도 유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랙의 사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랙의 도어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랙의 도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랙의 안내 레일 및 안내 롤러의 사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랙의 측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랙의 정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랙에서 프레임이 함체 내부에 수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랙에서 프레임이 함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랙에서 프레임이 함체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어 회동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랙에서 바퀴부의 제1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랙에서 바퀴부의 제2실시예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산 장비 또는 전자 장비용 랙(이하, '랙' 이라고 한다)(1)은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이 개방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일체화 되는 구조를 갖는 함체(100)와, 함체(100)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200)와, 함체(100)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예를 들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랙(1)은 EMP 방호용 랙이 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전산 또는 전자 장비를 탑재할 수 있는 랙이 될 수도 있다. 다만, EMP방호용 랙의 경우, 함체가 전면을 제외하고 모두 막혀 있어야 되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함체 전방에서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한 구조가 사용상 큰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이 EMP 차폐 랙이 되는 경우, MIL-STD-188-125 요건 10GHz@80dB의 차폐성능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EMP 차폐 랙은 EMP 단일 패널형 구조로서 MIL-STD-188-125 요건을 충족하는 10GHz@80dB의 차폐성능 과 국제 전산랙 규격 EIA-310D을 충족하는 설계 및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파 차폐 기능 구현을 위해서 차폐도어, 전원필터, 환기구, 관통구 등의 부품 제공하며, 온습도, 팬동작 유무, 도어개방, 전원상태 감시 및 보고 IoT기반 특수 환경 감시 시스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함체(100)는 전방을 제외하고, 후방/상하/좌우가 모두 막혀 있는 구조가 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레임(300)은 서버나 기타 전산 장비, 또는 전자 장비를 탑재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 방향으로 그러한 장비들이 장착될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어는 3단계의 제작 공정을 통해서 제작되며, 이 과정은 도2에 표시하였다. 즉, ① 특수합금 분말 표면 도장 ② 특수 차폐판 ③ 날개형 EMP차폐 가스켓을 적용하여 제작된다.
1단계인 특수합금 분말을 분체도장으로 도어와 본체 접촉부 표면에 분사, 2단계인 특수 차폐판 + 전도성 고무 가스켓으로 도어와 본체 접촉면 차폐, 3단계인날개형 EMP 차폐 가스켓 접촉부 사이드 부분에 적용의 과정을 거쳐서 제작된다.
한편, 전면도어 EMP차폐부를 구성하는 것은 도3(a)에 나타난다. 즉,전면 도어에 장착되는 EMP 차폐부는, 테두리 단면이 "U"형으로 구성되며, 특수차폐판을 전도성 가스켓에 접착함으로써, 함체 전면에 마련되는 개구부의 테두리의 튀어나온 곳(일명 '나이프'라 한다)과 밀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그리고, 도3(b)와 같이, 도어에 장착되는 EMP 차폐부의 양측면에는 EMP 전용 가스켓을 부착하여 함체 전면에 마련되는 개구부의 테두리의 튀어나온 곳(나이프)이 EMP차폐부에 삽입될 때 양 측면에서 EMP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랙은 도어를 제외한 외함(100) 전체를 단일 패널로 제작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서, 외함(100) 제작시, 일체형 절곡 용접 방식이 사용되어 외함(100) 전체가 틈이 없는 일체화된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내부에 프레임(300) 및 19인치 앵글 등의 부속품을 장착하여 원천적으로 전자기파의 침입을 최소화한다.
프레임(300)은 함체(100)에 대해서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1과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0) 또는 함체(100) 중 어느 하나에는 안내 롤러(410)가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안내 롤러(410)를 지지하며 안내 롤러(410)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하면서 프레임(300)이 함체에 대한 상대적인 전후 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 레일(420)이 마련된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300)의 양 외측면에 안내 롤러(410)가 배치되고, 함체(100) 양 내측면벽에 안내 롤러(410)의 위치에 대응되게 안내 레일(420)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뒤바뀌어도 무방하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롤러(410)는 프레임(300)의 양 측면 상부, 중앙부, 하부에 위치하고, 안내 레일(420)은 함체(100) 양 내측면 벽의 상부, 중앙부, 하부에 위치하나, 그 배치상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롤러(410)는 프레임(300)을 구성하는 수평 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서 복수개로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다.
한편,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레일(420)은 함체(100)의 내측면에서 안쪽으로 돌출되는 레일 지지부(430)에 연결되어 있으며, 안내 레일(420)은 레일 지지부(430)의 측면에 마련되어 'ㄷ'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방과 내측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롤러(410)는 안내 레일(420) 내부에 안착되어 안내 레일(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0)의 하부에는 바퀴부(500)가 마련된다. 프레임(300)이 함체(100) 내부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면, 안내 롤러(410)의 상당수가 안내 레일(420)을 벗어나기 때문에 프레임(300)이 앞으로 넘어질 수 있다.
특히, 프레임(300)이 함체(100) 내부에 수용된다는 의미는 프레임(300)의 최하단면이 함체(100)가 지지되는 지면과 이격되어 있어서 함체(100) 내부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으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의미인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프레임(300)의 대부분이 함체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프레임(300)이 지면에 지지되어야 앞으로 함체에서 절반 이상이 인출된 상태에서 앞으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위해서 바퀴부(500)를 마련하였다. 바퀴부(500)는 프레임(300)이 함체(100)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에는 프레임(300)의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프레임(300)이 함체(100) 외부로 나오면, 하강하여 지면에 닿아서 프레임(300)이 직접 지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게 한다.
바퀴부(500)는 프레임(300)에 장착되는 연결부(510)와, 연결부(510)에 마련되어 지면과 접촉하면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는 구름부(520)를 포함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겠다.
도 5는 도어(200)를 제거한 상태에서 랙(1)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함체(100) 내부에는 프레임(300)이 수용되어 있으며, 프레임(300)의 양 외측면의 상, 중, 하부에는 각각 안내 롤러(410)가 위치하고, 이에 대응되는 함체(300)의 내벽면의 상, 중, 하부에는 안내 롤러(410)를 지지하는 안내 레일(420)과 안내 레일(420)을 지지하는 레일 지지부(430)가 위치한다.
한편, 안내 레일(420)(또는 안내 롤러(410))와 그 아래 있는 안내 레일(420)(또는 안내 롤러(410)) 사이에는 걸림부(600)가 마련된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100) 입구의 근처의 내벽면에는 프레임(300)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경우, 걸림부(600)와 간섭될 수 있는 지지부(700)가 마련된다.
걸림부(600)는 프레임(30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만 마련되고, 나머지 타측면에는 마련되지 않아야 하며, 마찬가지로 지지부(700)도 함체(100) 내측면 일측에만 마련되고, 나머지 타측면에는 마련되지 않아야 한다.
이는 프레임(300)이 함체(100)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지지부(700)와 걸림부(700)가 만나서 간섭되고, 이 지점을 중심으로 프레임이 함체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걸림부(600)는 프레임(300)의 외측면 후방에 위치해야 하고, 지지부(700)는 함체(100)의 내측면 전방에 위치해야 프레임(300)이 거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이를 회동시켜서, 프레임(300)의 후면에 접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도 6과 같이 전방에서 봤을때, 안내레일(420)/안내 롤러(410)의 위치는 걸림부(600)(및 지지부(700))와 상하 방향으로 간섭되지 말아야 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부(600)는 프레임(300)의 외측 일측면의 후방에 옆으로 돌출된 상태로 마련되며, 'ㄴ'자 또는 'ㄷ'자 형태로 절곡되는 브라켓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걸림부(600)에는 지지부(7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맞물려져서 궁극적으로 지지부(700)에 대해서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안내 공간(610)이 마련된다.
지지부(700)는 함체 전방 입구 근처의 내벽면의 일측 전방에 옆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ㄴ'자 또는 'ㄷ'자 형태로 절곡되는 브라켓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편, 지지부(700)의 내측단부에는 회동 안내 롤러(71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 안내 롤러(710)는 걸림부(600)의 안내 공간(610)에 수용되고 구름 접촉함으로써, 걸림부(600)의 회동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0)이 함체(100) 내부에 완전하게 수용된 상태에서는 지지부(700)와 걸림부(600)가 현격하게 이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에서 나타난 바퀴부(500)는 점선과 같이 프레임(300)의 하부 위측에 배열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300)을 전방으로 잡아당겨서 인출하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0)의 대부분이 함체(100) 바깥으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700)와 걸림부(600)는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지지부(700)의 회동 안내 롤러(710)는 걸림부(600)의 안내 공간(610)에 수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바퀴부(500)는 프레임(300)의 하부에서 하강하여, 지면과 접촉하여 프레임(300)이 지면에 대해서 직접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300)을 일측으로(도 9에서는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프레임(300)의 일측(좌측)면 후단부에 있는 걸림부(600)가, 지지부(700)와 접촉한 상태에서, 프레임(300)이 그 접촉된 영역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바퀴부(500)가 지면에 접촉하고, 바퀴부(500)의 구름부(510)가 구름접촉운동을 하기 때문에, 프레임(300)의 회동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프레임(300)의 타측(우측)면은 함체(100)로부터 완전하게 이탈된다. 이 때, 프레임(100)에 마련되는 안내 롤러(410)들은 모두 함체에 있는 안내 레일(420)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안내레일(420)/안내 롤러(410)가 걸림부(600) 및 지지부(700)의 위치가 서로 다른 위치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프레임(300)을 더 회동시키면, 프레임(300)의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은 함체(100)의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거의 직교되는 수준까지 될 수 있다. 이 상태가 되면, 함체(100)의 전방에 위치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프레임(300)의 후면에 접근하여, 배선을 정리하거나, 기타 수리/정리/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300)의 전면 방향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레임(3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프레임(300)을 다시 함체에 넣는 과정이 필요하다. 도 9과 같은 상태에서 프레임(300)을 함체(100) 전면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안내 롤러(410)가 안내 레일(420)에 삽입되도록 조정하면서, 프레임(300)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프레임(300)의 하부가 함체(100)의 바닥부에 올라가는 경우, 바퀴부(500)는 다시 프레임(300)의 하부의 상부 영역으로 올라간다. 이는 바퀴부(500)가 함체(100)의 바닥부 전단부와 간섭되어 기구적으로 자연스럽게 올라가는 구조이거나 또는 바퀴부(500)에 전자석과 영구자석 구조가 있어서, 전자석의 동작에 의하여 영구 자석이 있는 영역이 전자석에 부착됨으로써 바퀴부(500)가 밀착되어 바퀴부(500)가 프레임(300)의 하부의 상부 영역으로 올라갈 수 있다.
즉, 도 10과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부(500)는 복수개로 마련되는데, 경첩 형태의 연결부(520)와, 연결부(520)에 마련되는 구름부(510)로 구성되는 경우를 하나의 실시예로 생각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4개가 상호 이격되어 2*2로 배치되는 것이 나타나는데, 수량과 배치상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름부(510)는 캐스터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퀴와 이를 지지하는 브라켓 형태의 홀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홀더는 연결부(5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연결부(520)는 구름부(510)를 지지하는 제1연결부(521)와, 제1연결부(521)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레임(300)의 하부(320)에 설치되는 제2연결부(5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여기서 제1연결부(521)와 제2연결부(522)는 상호 경사지게 또는 직교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임(300)을 함체(100) 바깥으로 인출하는 경우, 구름부(510)의 무게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구름부(510)가 하강하여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300)을 함체(100) 안쪽으로 미는 경우, 구름부(510) 및 제1연결부(521)가 함체(100)의 바닥면과 간섭되어 외력을 받아서 자연스럽게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2과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부(500)가, 경첩 형태이면서 자성을 이용할 수 있는 연결부(540)와, 연결부(540)에 마련되는 구름부(530)로 구성되는 경우를 다른 실시예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540)는 구름부(530)를 지지하면서 영구자석(541a)을 갖는 제1연결부(541)와, 제1연결부(541)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레임(300)의 하부(320)에 설치되며 전자석(542a)으로 구성되는 제2연결부(542)를 포함한다.
한편 바퀴부는 제1연결부(541)에 마련되는 홀더와, 홀더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연결부(541)와 제2연결부(542)는 상호 경사지게 또는 직교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프레임(300)을 함체(100) 바깥으로 인출하면서, 영구자석(541a)과 맞닿는 전자석(542a)을 영구자석(541a)의 대응면과 동일한 극성으로 동작시키면, 척력에 의하여 제1,2연결부(541, 542)가 떨어지고 자연스럽게 구름부(530)가 하강하여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300)을 함체(100) 안쪽으로 밀면서, 영구자석(541a)과 맞닿는 전자석(542a)을 영구자석(541a)의 대응면과 반대 극성으로 동작시키면, 인력에 의하여 제1,2연결부(541, 542)가 밀착되고, 자연스럽게 구름부(530)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IOT기반의 특수 환경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에 대한 개략도는 도 14에서 나타난다.
이를 위해서 랙의 온습도 및 전원상태, 도어개폐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LED램프에 표시하고 수집된 센서 정보를 원격 모니터링 지원하는 통신 포트를 지원하며, FMS와 연동이 가능한 오픈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그리고,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EMP 차폐 랙에서 수집한 정보를 가공하여 실시간으로 상황을 보여준다.
또한, 랙 내부의 방열과 환기를 위해서 고출력전자파를 방호하는 동시에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벌집모양으로 제작되는 환기구(Honeycomb)를 하부에 설치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장비에서 발열된 열은 상부에 설치된 방열팬에 의해 강제 배출되는 구조를 도입하였다.
따라서, 랙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장비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순환하는 시스템으로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구성은 도 15에서 개략적으로 개시된다.
그리고, EMP 차폐용 전기 필터링(전기적 POE에 대한 EMP 차단)이 필요하다.
EMP 차폐용 전기필터(도 16참조)는 EMP 발생 시 약 5,000 A의 강력한 전기용량이 발생되고 신호 특성 펄스의 상승시간이 약 10 ns 이하이므로 기존의 EMI 필터의 기능과 고출력 전자파의 방호가 가능하도록 응답속도가 빠른 과전압보호소자를 적용하여 회로를 구성하였다.
과전압보호소자는 서지어레스트(surge arrester)와 고압세라믹콘덴서(varistor)를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과전압보호소자 손상 시 수리가 가능하도록 필터와 분리형으로 사용하는 것이 향후 교체가 용이하며 본체와 조립 시 충분한 면접촉이 되도록 설계한다.
전원용 EMP 필터는 전원공급선에 과전압보호소자와 EMP 필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신호용 EMP 필터는 데이터와 신호선에 과전압보호소자와 EMP 필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삽입손실은 80 dB 또는 100 dB이상이다.
MIL-STD-188-125를 만족하는 차폐성능은 주파수대역 150 KHz에서 1 GHz까지 80 dB이상이며 IEEE-STD-299를 만족하는 차폐성능은 주파수대역 14 KHz에서 18 GHz까지 주파수 100 dB 이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함체 200: 도어
300: 프레임 410: 안내 롤러
420: 안내 도어 500: 바퀴부
600: 걸림부 700: 지지부

Claims (10)

  1. 전방이 개방되며 일체화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함체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함체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함체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적어도 그 일부가 함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함체에 대해서 상대 회동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 후단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함체 입구에 가까운 영역에 있는 함체의 일측 내벽 에는 상기 걸림부와 간섭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부와 지지부가 상호 접촉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상대 회전운동 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이 상기 함체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대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프레임의 일측면에만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마련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부는 함체의 일측 내벽에만 마련되고, 타측 내벽에는 마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는 회동 안내 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회동 안내 롤러와 접촉 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 안내 롤러에 의하여 구름운동을 하면서 걸림부 및 프레임의 회동운동을 안내하는 안내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마련되는 안내 롤러와, 상기 안내롤러가 지지되며 안내 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함체의 양 내부측면에 마련되는 안내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양 내부측면에 마련되는 안내 레일과,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마련되어 안내 레일에 지지되는 안내 롤러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 및 상기 안내 레일의 위치와, 상기 걸림부 및 상기 지지부의 위치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이 함체 외부로 인출되는 경우, 프레임이 함체가 지지되는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하강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선택적으로 프레임의 하부에 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는 연결부와, 연결부에 마련되는 구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장비용 랙.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구름부가 지지되며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제1연결부와,
    제1연결부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KR1020180105946A 2018-09-05 2018-09-05 함체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KR20200027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46A KR20200027747A (ko) 2018-09-05 2018-09-05 함체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46A KR20200027747A (ko) 2018-09-05 2018-09-05 함체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747A true KR20200027747A (ko) 2020-03-13

Family

ID=6993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946A KR20200027747A (ko) 2018-09-05 2018-09-05 함체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77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472B1 (ko) 2012-12-13 2014-07-09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내진성이 향상된 전자기펄스 방호용 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472B1 (ko) 2012-12-13 2014-07-09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내진성이 향상된 전자기펄스 방호용 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6748B1 (en) Adjustable blanking panel
US8678524B2 (en) Spring-loaded door device for server rack
EP2887138A1 (en) Camera tampering protection
EP1391800B1 (en) Server rack
CN111972053B (zh) 用于网络设备的外部机架安装式过滤器
CN107889440A (zh) 一种具有高低频电磁屏蔽功能且节能安全的电子设备舱
CN111050227A (zh) 一种智能云机柜及使用方法
CN205016879U (zh) 组装式散热配电箱
KR20200027747A (ko) 함체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전산 또는 전자 장비용 랙
CN111918517A (zh) 一种计算机网络架构用服务器堆叠式安装结构
US20170150632A1 (en) Rack mountable security enclosures
KR102200539B1 (ko) 개량형 서버랙 및 이를 이용한 서버랙 배치구조
CN112788899A (zh) 通信网络综合业务集成机柜
CN221081711U (en) Electronic information terminal
KR101920339B1 (ko) 통신장비용 랙의 누수방지장치
CN217721660U (zh) 一种用于放置服务器的装置
CN218649101U (zh) 一种方便打开柜门的服务器机柜
CN219371817U (zh) 应用于碳纤维生产环境下的电器设备保护装置
CN220732790U (zh) 一种具有安全保护结构的隔离网闸
CN213069909U (zh) 一种在线式智能型故障监测车道控制器
CN213662219U (zh) 一种服务器机柜
CN213024168U (zh) 一种降尘防尘效果好的计算机机箱
CN215419254U (zh) 一种具有防护组件的钢厂生产用电控设备
CN215991507U (zh) 数据采集移动平台柜
CN219499678U (zh) 一种门禁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