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348A -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in realtime communication of cellular device to device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in realtime communication of cellular device to device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348A
KR20200027348A KR1020180105525A KR20180105525A KR20200027348A KR 20200027348 A KR20200027348 A KR 20200027348A KR 1020180105525 A KR1020180105525 A KR 1020180105525A KR 20180105525 A KR20180105525 A KR 20180105525A KR 20200027348 A KR20200027348 A KR 20200027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ellular
pair
frequency resource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6084B1 (en
Inventor
김덕경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084B1/en
Priority to PCT/KR2018/016088 priority patent/WO2020050459A1/en
Publication of KR20200027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3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0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04W72/04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real-tim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device-to-device (D2D)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in a D2D network may comprise the steps of: generating a combination of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pair for sharing a frequency resource allocat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cellular terminal, for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D2D terminal pair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and determining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pair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based on a required band of each combination, while supporting a preset predetermined data rate, for the generated combination.

Description

셀룰러 D2D 네트워크에서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IN REALTIME COMMUNICATION OF CELLULAR DEVICE TO DEVICE NETWORK}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real-tim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D2D network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IN REALTIME COMMUNICATION OF CELLULAR DEVICE TO DEVICE NETWOR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셀룰러 D2D(Device to Device) 네트워크에서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 기술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technology for real-tim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device to device (D2D) network.

D2D 기술은 모바일 기기를 대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모바일 기기들끼리 직접 통신하는 기술을 나타낸다. 5G 이동통신에서 D2D 기술은 셀룰러 단말과 사물 인터넷(IoT) 네트워킹을 구현하는 단말들(즉, D2D 단말들)이 직접 통신하는 기술을 나타낸다.D2D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directly communicates with mobile devices that are located at close range to a mobile device. In 5G mobile communication, D2D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in which terminals (ie, D2D terminals) that implement cellular and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ing directly communicate.

이처럼, D2D 단말과 셀룰러 단말이 포함된 네트워크에서의 실시간 통신 시, 셀룰러 단말과 D2D 단말은 일정 데이터 레이트(data rate)가 유지되도록 데이터 레이트가 제한된다. 데이터 레이트를 제한하는 기술로 CBR 및 GBR이 존재한다.As described above, in real-time communication in a network including a D2D terminal and a cellular terminal, the data rate is limited so that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D2D terminal maintain a constant data rate. CBR and GBR exist as techniques to limit the data rate.

CBR(Constant Bit Rate)은 고정 비트율을 지원하는 대역폭 할당 기술로, 사용자 단말로 미리 설정된 고정 비트율로 데이터를 일정하게 전송하는 기술이다. GBR(Guaranteed Bit Rate)은 일정 비트율을 보장하는 대역폭 할당 기술로이다. CBR (Constant Bit Rate) is a bandwidth allocation technology that supports a fixed bit rate, and is a technique of constantly transmitting data at a fixed bit rate preset to a user terminal. GBR (Guaranteed Bit Rate) is a bandwidth allocation technology that guarantees a constant bit rate.

CBR 및 GBR 등과 같이 데이터 레이트가 제한되는 통신 환경에서, 기지국에 속하는 셀룰러 단말과 사물인터넷 등을 형성하는 D2D 단말 간에 주파수 자원이 공유하는 경우 간섭이 발생하고, 이에 CBR 및 GBR을 보장하기 위해서 더 많은 주파수 자원이 요구된다.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where data rates are limited, such as CBR and GBR, interference occurs when frequency resources are shared between a cellular terminal belonging to a base station and a D2D terminal forming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us more CBR and GBR are guaranteed. Frequency resources are required.

이에 따라,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이 공존하여 통신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하는 기술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efficiently allocating frequency resources in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cellular terminals and D2D terminals coexist and communicate.

한국등록특허 제10-1646433호는 셀 내의 복수의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전송률 정보를 기반으로 후보 단말기를 검색하고, 후보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셀룰러 그룹과 D2D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핑하고, 그룹별 위치를 기초로 셀룰러 그룹과 D2D 그룹을 매칭하고, 셀룰러 그룹의 후보 단말기와 D2D 그룹의 후보 단말기의 배열 순서를 이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D2D 통신 시스템의 위치 기반 주파수 자원 할당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46433 searches a candidate terminal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ssion rate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terminals in a cell, divides the group into a cellular group and a D2D group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terminal, and groups the location of each group. Disclosed is a location-based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technique of a D2D communication system that matches a cellular group and a D2D group on the basis and shares frequency resources using an arrangement order of a candidate terminal of a cellular group and a candidate terminal of a D2D group.

본 발명은 CBR 또는 GBR과 같이 일정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보장/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셀룰러 단말(cellular UE)와 D2D(Device to Device) 단말 간의 주파수 자원 공유 할당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for allocating frequency resources between a cellular terminal (Device UE) and a device to device (D2D) terminal in a network environment that provides a service that guarantees / supports a certain data rate, such as CBR or GBR. It is about.

셀룰러 D2D(Device to Device) 네트워크에서의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셀룰러 단말 및 복수의 D2D 단말 쌍을 대상으로,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셀룰러 단말 간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의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조합을 대상으로, 미리 지정된 일정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지원하되, 각 조합의 요구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resources in a cellular device to device (D2D) network,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belonging to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D2D terminal pairs are targeted to share the allocated frequency resour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cellular terminal. Generating a combination of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pair, and targeting the generated combination, to suppor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data rate, and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based on a required band of each combination And determining a pair of cellular terminals and D2D terminals.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합 중 요구 대역이 가장 작은 조합을 기반으로 상기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즉, CU-DU 쌍)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step of determining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pair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i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smallest required band among the combination,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D2D terminal pair (ie, CU-DU pair) ).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셀룰러 단말 및 상기 기지국에 속하는 D2D 단말 쌍을 대상으로, 특정 셀룰러 단말과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할 D2D 단말 쌍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는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 the generating of the combination,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and a pair of D2D terminal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are paired with a pair of D2D terminals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with a specific cellular terminal. You can create a set of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조합 중 특정 조합을 대상으로, 상기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셀룰러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셀룰러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셀룰러 단말을 기준으로 최소 요구 대역에 해당하는 D2D 쌍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ep of determining a pair of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targeting a specific combination of the generated combinations, any one of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And determining a D2D pair corresponding to a minimum required band based on the selected cellular terminal.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조합 중 특정 조합을 대상으로, 상기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D2D 단말 쌍 중 특정 D2D 단말 쌍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D2D 단말 쌍을 기준으로 최소 요구 대역에 해당하는 D2D 쌍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ep of determining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pair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is targeted to a specific combination among the generated combinations, and a specific D2D terminal pair among a plurality of D2D terminal pair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And selecting a D2D pair corresponding to a minimum required band based on the selected D2D terminal pair.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조합을 대상으로, 셀룰러 단말과 D2D 단말 쌍을 결정하기 위해 생성된 모든 쌍 중 최소 요구 대역을 갖는 쌍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D2D terminal pair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targeting the generated combination, the minimum requirement among all the pairs generated to determine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D2D terminal pair You can decide which pair has the band.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요구 대역은,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려는 셀룰러 단말의 요구 대역 및 D2D 단말의 요구 대역 중 상대적으로 더 큰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request band may indicate a relatively larger band among the request band of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request band of the D2D terminal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셀룰러 D2D(Device to Device) 네트워크에서의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셀룰러 단말 및 복수의 D2D 단말 쌍을 대상으로,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셀룰러 단말 간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의 조합을 생성하는 조합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조합을 대상으로, 미리 지정된 일정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지원하되, 각 조합의 요구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system in a cellular device to device (D2D) network,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belonging to a base station and a plurality of D2D terminal pairs are targeted to share the allocated frequency resour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cellular terminal. A combination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combination of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pair, and supports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data rate for the generated combination, but shares the frequency resource based on a required band of each combination It may include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cellular terminal and D2D terminal pair to be desired.

본원발명은, CBR 또는 GBR과 같이 일정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보장/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셀룰러 단말(cellular UE)와 D2D(Device to Device) 단말 간의 주파수 자원 공유 할당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주파수 자원의 효율성을 높이고, 풀서치(full search) 대비 상대적으로 계산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that provides a service that guarantees / supports a certain data rate, such as CBR or GBR, provides a method for allocating a frequency resource sharing between a cellular UE and a device to device (D2D) terminal. By present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efficiency of frequency resources and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relative to full search.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셀룰러 D1D 네트워크에서의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데이터 레이트를 만족하는 조건 하에 최소 요구 대역을 갖는 조합을 찾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원 공유(sharing) 시의 요구 대역 계산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의 수에 따른 복잡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의 수에 따른 요구 대역폭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1 shows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resources in a cellular D1D network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system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finding a combination having a minimum required band under conditions that satisfy a certain data rat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etwork structure provided to explain the required bandwidth calculation when sharing (sharing) resources.
6 is a graph showing complex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the size of a requested bandwid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들은 셀룰러 D2D 네트워크에서의 실시간 통신을 위한 주파수 자원 할당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룰러 단말과 D2D 단말 쌍이 미리 지정된 일정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을 지원하는(즉, 만족하는) 조건 하에 최소 요구 대역을 갖는 조합을 결정하여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주파수 자원을 공유함에 따라 D2D 단말과 셀룰러 단말 간에 발생 가능한 간섭 및 주파수 자원 공유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역폭을 사용하는 특징을 모두 고려하여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relate to a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technique for real-tim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D2D network, and in particular,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D2D terminal pair under a condition that supports (ie satisfies)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data rate. It relates to a technique for sharing a frequency resource by determining a combination having a required ban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sharing frequency resources in consideration of all characteristics of effectively using a bandwidth according to sharing of frequency resources and interference that may occur between a D2D terminal and a cellular terminal as the frequency resources are shared.

본 실시예들에서, '셀룰러 단말(Cellular User Equipment)'은 기지국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들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에 위치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노트북, 2G/3G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cellular terminal (Cellular User Equipment)' refers to user terminals belonging to a base station, for example, a smartphone (smartphone), tablet (tablet), wearable device (wearable) located in the coverage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device), a laptop, a 2G / 3G terminal, and the like.

본 실시예들에서, 'D2D 단말'은 직접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IoT(Internet of Things)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전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단말들 간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D2D terminal'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irect communication, and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forming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That is, it can represent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direct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erminals without going through a base station.

본 실시예들에서,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은 기지국에 해당할 수도 있고, 기지국에 속하는 셀룰러 단말, 또는 D2D 단말에 해당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s, the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system' may correspond to a base station, or may correspond to a cellular terminal or a D2D terminal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낼 수 있다.1 shows a network environment including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따르면, 네트워크(100)는 기지국(101)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즉, 셀룰러 단말, 102), D2D 단말 쌍 A(110) 및 D2D 단말 쌍 B(12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1, the network 100 may include a user terminal (ie, a cellular terminal, 102)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101, a D2D terminal pair A 110, and a D2D terminal pair B 120.

기지국(101)과 셀룰러 단말(102) 간에 통신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은 D2D 단말 쌍 A(110)과 공유될 수도 있고, D2D 단말 쌍 B(120)과 공유될 수도 있다.The frequency resources allocat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101 and the cellular terminal 102 may be shared with the D2D terminal pair A 110 or may be shared with the D2D terminal pair B 120.

이때, D2D 단말 쌍 B(120)에 속하는 송신 D2D 단말(121) 및 수신 D2D 단말(122)은 기지국(101) 및 셀룰러 단말(102)과 미리 지정된 간섭 거리 이내로 가깝고, D2D 단말 쌍 A(110)에 속하는 송신 D2D 단말(111) 및 수신 D2D 단말(112)은 기지국(101) 및 셀룰러 단말(102)과 미리 지정된 공유 거리보다 크게, 즉,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101)과 셀룰러 단말(102) 간에 통신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D2D 단말 쌍 B(120)와 공유되는 경우, 간섭이 발생하므로 개별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일정 데이터 레이트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기지국(101)과 셀룰러 단말(102) 간에 통신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자원이 D2D 단말 쌍 A(110)와 공유되는 경우, 일정 데이터 레이트를 만족시키면서 동일 주파수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ransmitting D2D terminal 121 and the receiving D2D terminal 122 belonging to the D2D terminal pair B 120 are close to a predetermined interferenc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101 and the cellular terminal 102, and the D2D terminal pair A 110 The transmitting D2D terminal 111 and the receiving D2D terminal 112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101 and the cellular terminal 102 may b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haring distance, that is, located farther. In other words, when the frequency resource allocat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101 and the cellular terminal 102 is shared with the D2D terminal pair B 120, interference occurs, so communication using individual frequency resources is a constant data rate. The condition can be satisfied. When the frequency resource allocat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101 and the cellular terminal 102 is shared with the D2D terminal pair A 110, bandwidth can be saved by using the same frequency resource while satisfying a certain data rate.

이에 따라,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은 기지국이 커버(cover)하는 셀(cell) 내에 N개의 셀룰러 단말(CU)과 M개의 D2D 단말 쌍(즉, 송신 D2D 단말 및 수신 D2D 단말 쌍)이 위치하는 환경에서, 경우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효과적인 조합을 결정하여 주파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system is an environment in which N cellular terminals (CU) and M D2D terminal pairs (ie, transmitting D2D terminals and receiving D2D terminal pairs) are located in a cell covered by a base station. In some cases, frequency resources may be allocated by determining an effective combination of frequency resource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셀룰러 D1D 네트워크에서의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resources in a cellular D1D network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allocating frequency resource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도 3을 참고하면,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300)은 조합 생성부(310) 및 결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의 각 단계들(210 내지 220 단계)은 도 3에 도시된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300)의 구성 요소인 조합 생성부(310) 및 결정부(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system 300 may include a combination generation unit 310 and a determination unit 320, and each of the steps (steps 210 to 220) of FIG. 2 is illustrated in FIG. 3 It may be performed by the combination generating unit 310 and the determining unit 32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system 300.

먼저, 도 2 및 도 3에서는 셀(cell) 내에 N개의 셀룰러 단말(CU)과 M개의 D2D 단말 쌍(즉, 송신 D2D 단말 및 수신 D2D 단말 쌍)이 위치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N=M임을 가정하기로 한다.First, in FIGS. 2 and 3, it is assumed that N = M in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N cellular terminals (CU) and M D2D terminal pairs (ie, transmitting D2D terminals and receiving D2D terminal pairs) are located in a cell. I will do it.

210 단계에서, 조합 생성부(310)는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셀룰러 단말 및 복수의 D2D 단말 쌍(즉, D2D 단말 쌍에 해당하는 송신 D2D 단말 및 수신 D2D 단말)을 대상으로,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셀룰러 단말 간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의 조합을 생성할 수 있다. In step 210, the combination generator 310 targets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D2D terminal pairs (that is, a transmitting D2D terminal and a receiving D2D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D2D terminal pair)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A combination of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pair that wants to share allocated frequency resources between cellular terminals can be generated.

이때, 조합 생성부(310)는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셀룰러 단말 및 기지국에 속하는 D2D 단말(즉, D2D 단말 쌍에 해당하는 송신 D2D 단말 및 수신 D2D 단말)을 대상으로, 특정 셀룰러 단말과 주파수 자원을 공유할 D2D 단말 쌍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는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bination generating unit 310 targets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and D2D terminal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ie, a transmitting D2D terminal and a receiving D2D terminal corresponding to a pair of D2D terminals), and a specific cellular terminal and frequency resources. A set of D2D terminal pairs to be shared can be generated.

220 단계에서, 결정부(320)는 생성된 조합을 대상으로, 미리 지정된 일정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지원하되, 각 조합의 요구 대역에 기초하여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결정부(320)는 생성된 조합 중 요구 대역이 가장 작은 조합을 기반으로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220, the determination unit 320 targets the generated combination, and supports a predetermined constant data rate (data rate), a pair of cellular and D2D terminals that want to share frequency resources based on the required band of each combination Can decide.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320 may determine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D2D terminal pair based on the combination having the smallest required band among the generated combinations.

일례로, 결정부(320)는 생성된 조합 중 특정 조합을 대상으로,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셀룰러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셀룰러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부(320)는 선택된 셀룰러 단말을 기준으로 최소 요구 대역에 해당하는 D2D 쌍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결정부(320)는 임의의 셀룰러 단말을 우선적으로 랜덤(random)하게 선택한 이후, 선택된 셀룰러 단말을 기준으로 요구 대역이 최소인 D2D 쌍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320 may select a cellular terminal from among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belonging to a base station, for a specific combination among the generated combinations. Then, the determination unit 320 may determine the D2D pair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required band based on the selected cellular terminal. That is, the determination unit 320 may first randomly select any cellular terminal, and then determine a D2D pair having a minimum required band based on the selected cellular terminal.

다른 예로, 결정부(320)는 생성된 상기 조합 중 특정 조합을 대상으로,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D2D 단말 쌍 중 특정 D2D 단말 쌍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부(320)는 선택된 D2D 단말 쌍을 기준으로 최소 요구 대역에 해당하는 D2D 쌍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결정부(320)는 임의의 D2D 단말 쌍을 우선적으로 랜덤(random)하게 선택한 이후, 선택된 D2D 단말 쌍을 기준으로 요구 대역이 최소인 셀룰러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320 may select a specific D2D terminal pair among a plurality of D2D terminal pairs belonging to a base station, for a specific combination among the generated combinations. Then, the determination unit 320 may determine a D2D pair corresponding to the minimum required band based on the selected D2D terminal pair. That is, the determination unit 320 may first select any D2D terminal pair randomly (random), and then determine the cellular terminal having the minimum required band based on the selected D2D terminal pair.

또 다른 예로, 결정부(320)는 생성된 상기 조합을 대상으로, 셀룰러 단말과 D2D 단말 쌍을 결정하기 위해 생성된 모든 쌍 중 최소 요구 대역을 갖는 쌍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외에, 풀서치(full search)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determination unit 320 may determine a pair having a minimum required band among all pairs generated to determine a pair of cellular terminals and D2D terminals, based on the generated combination. In addition, a full search method may be us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일정 데이터 레이트를 만족하는 조건 하에 최소 요구 대역을 갖는 조합을 찾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finding a combination having a minimum required band under conditions that satisfy a certain data rat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지국이 커버(cover)하는 셀(cell) 내에 N개의 셀룰러 단말(CU)과 M개의 D2D 단말 쌍(즉, 송신 D2D 단말 및 수신 D2D 단말 쌍)이 위치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N=M 인 경우에 모든 셀룰러 단말(CU)과 D2D 단말 쌍(즉, 송신 및 수신 D2D 단말)을 대상으로, 서로 쌍(즉, CU와 송신 및 수신 D2D 단말의 쌍)을 맺을 조합들의 집합 P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In a network environment in which N cellular terminals (CU) and M D2D terminal pairs (ie, transmitting D2D terminals and receiving D2D terminal pairs) are located in a cell covered by a base station, when N = M For all cellular terminals (CU) and D2D terminal pairs (i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2D terminals), a set of combinations P to be paired with each other (ie, a pair of CU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2D terminals) is represented by Equation 1 below. It can be expressed as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P는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셀룰러 단말(CU)과 복수의 D2D 단말 쌍을 대상으로 서로 쌍(pair)을 맺을 결정 조합의 집합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의 셀룰러 단말(CU)과 D2D 단말 쌍 간에 서로 쌍(pair, 즉, CU-DU 쌍)을 맺을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의 조합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Figure pat00004
이면
Figure pat00005
일 수 있다. 그리고,
Figure pat00006
의 엘리먼트(element)인
Figure pat00007
는 k번째 조합에서 셀룰러 단말(CU) n과 D2D 단말 쌍 m이 쌍(pair)의 결정 지시자(즉, index)를 나타낼 수 있다. 즉, k번째 조합에 속하는 셀룰러 단말(CU) n과 D2D 단말 쌍 m이 쌍(pair)을 맺을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시자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Figure pat00008
중 모든 셀룰러 단말(CU)과 D2D 쌍(pair)이 미리 지정된 일정 데이터 레이트 RT를 만족(즉, 지원)하는 조건에서의 최소 요구 대역을 갖는 조합은 아래의 수학식 2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Equation 1, P may denote a set of decision combinations to be paired with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CU) and a plurality of D2D terminal pairs in a network. here,
Figure pat00002
Is
Figure pat00003
It may correspond to a combination of indicators indicating whether to pair each other (ie, a CU-DU pair) between a cellular terminal (CU) and a D2D terminal pair. for example,
Figure pat00004
Back side
Figure pat00005
Can be And,
Figure pat00006
Element of
Figure pat00007
In the k-th combination,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the D2D terminal pair m may indicate a pair of decision indicators (that is, index). That is,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D2D terminal pair m belonging to the k-th combination may indicate an indicator indicating whether to make a pair. At this time,
Figure pat00008
Among all, a combination having a minimum required band in a condition that all cellular terminals (CU) and D2D pairs satisfy (ie, support)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data rate R T may be determined based on Equation 2 below. .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10
는 k번째 조합에서 셀룰러 단말(CU) n과 D2D 단말 쌍 m이 쌍(pair)의 결정 지시자(즉, index)를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Figure pat00011
가 1이면 쌍(pair)을 맺는 것을 나타내고, 0이면 쌍(pair)을 맺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CU와 D2D 단말 쌍 간에 쌍(pair)을 맺는 경우, 주파수 자원이 공유될 수도 있고, 별개의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1은 CU와 D2D 단말 쌍이 쌍(pair)을 맺음(pairing)을 나타내고, 0은 CU와 D2D 단말 쌍이 쌍을 맺지 않음(non pairing)을 나타낼 수 있다.In Equation 2,
Figure pat00010
In the k-th combination,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the D2D terminal pair m may indicate a pair determination indicator (that is, index). for example,
Figure pat00011
When 1 is 1, it indicates that a pair is formed, and when 0, a pair is not formed. When a pair is paired between a CU and a D2D terminal pair, frequency resources may be shared or separate resources may be allocated. Here, 1 may indicate that a pair of a CU and a D2D terminal pair (pairing), and 0 may indicate that a pair of a CU and a D2D terminal pair (non pairing).

다시 수학식 2에서,

Figure pat00012
은 셀룰러 단말(CU) n과 D2D 단말 쌍 m의 전송에 필요한 대역, 즉, 요구 대역을 나타낼 수 있으며, 자원 공유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더 작은 요구 대역의 자원 공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주파수 자원 공유(sharing) 및 주파수 자원 비공유(non sharing) 중 상대적으로 더 작은 요구 대역에 해당하는 셀룰러 단말(CU) n과 D2D 단말 쌍 m이 결정될 수 있다.Again in Equation 2,
Figure pat00012
May indicate a band required for transmission of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a D2D terminal pair m, that is, a required band, and may include sharing of resources. At this time, a resource sharing scheme of a relatively smaller required band may be used. For example, a cellular terminal (CU) n and a D2D terminal pair m corresponding to a relatively smaller required band among frequency resource sharing and non-frequency resource sharing may be determined.

도 4를 참고하면, 고정된 데이터 레이트(bps)를 요구하는 실시간 통신 서비스에서, 주파수 자원을 공유 시 자원 비공유 시 보다 요구 대역의 크기가 감소하여 주파수 효율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풀서치(full search)의 경우, 단말(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의 수가 증가할수록 셀룰러 단말(CU)과 D2D 단말 쌍의 조합을 결정하고 자원 공유 여부를 결정하는 계산 복잡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부(320)는 미리 지정된 데이터 레이트(즉, 요구 데이터 레이트)를 만족시키기 위한 요구 대역의 합의 비교를 통해 주파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요구 대역이 가장 작은 쌍(pair)을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되는 목적함수에 기초하여 요구 대역의 합이 비교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in a real-time communication service requiring a fixed data rate (bps), when the frequency resource is shared, the size of the required band is reduced and the frequency efficiency is increased than when the resource is not shared. And, in the case of full search, as the number of terminals (cellular terminal and D2D terminal pair) increase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determining the combination of the cellular terminal (CU) and the D2D terminal pair and determining whether to share resources increases. Able to know. 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unit 320 may allocate frequency resources through a comparison of sums of required bands to satisfy a predetermined data rate (that is, a requested data rate). In other words, the pair with the smallest required band can be found. To this end, the sum of the required bands may be compared based on the objective function expressed as Equation 3 below.

[수학식 3][Equation 3]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수학식 3에서, 요구 대역

Figure pat00014
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In Equation 3, the required band
Figure pat00014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4 below.

[수학식 4][Equation 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수학식 4에 따르면,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즉, CU와 D2D 단말 쌍이 쌍(pair)을 맺고 자원을 공유하는 sharing 에 해당하는 경우)와 주파수 자원을 비공유하는 경우(즉, CU와 D2D 단말 쌍이 쌍(pair)을 맺지만 자원을 공유하지 않는 non sharing에 해당하는 경우)의 요구 대역 중 상대적으로 더 작은 대역이 상기 수학식 3의 목적 함수에서 이용될 요구 대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4, when frequency resources are shared (that is, when a pair of a CU and a D2D terminal pair corresponds to sharing to share a resource) and when a frequency resource is not shared (that is, a CU and a D2D terminal) A relatively smaller band among the request bands of a pair that is paired but does not share resources) may be determined as a request band to be used in the objective function of Equation (3).

수학식 4에서,

Figure pat00016
는 CU n과 D2D 단말 쌍 m이 자원 비공유(non sharing) 시 요구 대역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17
는 CU n과 D2D 단말 쌍 m이 자원 공유(sharing) 시의 요구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In Equation 4,
Figure pat00016
Denotes a request band when CU n and D2D terminal pair m are non-shared,
Figure pat00017
May indicate a request band when resource pair sharing is performed by CU n and D2D terminal pair m.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자원 공유(sharing) 시의 요구 대역 계산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구조이다.5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etwork structure provided to explain the required bandwidth calculation when sharing (sharing) resources.

도 5를 참고하면, 기지국(501)에 속하는 셀룰러 단말(502) 그리고, 상기 기지국(510) 및 셀룰러 단말(502)과 인접한 D2D 단말 쌍(503, 504)이 주파수 자원을 공유 시 서로 간섭이 작용하는 경우, 셀룰러 단말(CU) n에서의 SINR(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은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D2D 단말 쌍 m에서의 SINR은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a cellular terminal 502 belonging to a base station 501 and a pair of D2D terminals adjacent to the base station 510 and the cellular terminal 502 share frequency resources,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works In the case of, the 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SINR) at the cellular terminal (CU) n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5 below. In addition, SINR in the D2D terminal pair m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6 below.

[수학식 5][Equation 5]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수학식 5에서,

Figure pat00019
는 셀룰러 단말(CU) n의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Figure pat00020
으로 표현되고,
Figure pat00021
는 셀룰러 단말(CU) n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이득(channel gain)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22
는 수신기에서 목표 수신 전력의 세기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23
는 잡음 전력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수신기는 CU 입장에서는 기지국인 BS를 나타내고, D2D 단말 입장에서는 D2D 단말 m(즉, DR m)을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24
는 송신 D2D 단말(즉, DT) m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Figure pat00025
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26
는 기지국이 수신하는 송신 D2D 단말(DT) m으로 부터의 간섭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27
는 송신 D2D 단말(즉, DT) m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이득(channel gain)을 나타낼 수 있다.In Equation 5,
Figure pat00019
Denote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cellular terminal (CU) n,
Figure pat00020
Is expressed as,
Figure pat00021
May represent a channel gain between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the base station.
Figure pat00022
Denotes the strength of the target received power at the receiver,
Figure pat00023
Can represent noise power. Here, the receiver may indicate a BS as a base station in the CU position, and may indicate a D2D terminal m (ie, DR m) in the D2D terminal position.
Figure pat00024
Denotes the transmit power of the transmitting D2D terminal (ie, DT) m,
Figure pat00025
It can be expressed as.
Figure pat00026
May indicate the interference strength from the transmitting D2D terminal (DT) m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Figure pat00027
Denotes a channel gain between a transmitting D2D terminal (ie, DT) m and a base station.

[수학식 6][Equation 6]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8

수학식 6에서,

Figure pat00029
는 송신 D2D 단말 m(즉, DT m)과 수신 D2D 단말 m(즉, DR m) 사이의 채널 이득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30
는 셀룰러 단말(CU) n과 수신 D2D 단말 m(즉, DR m) 사이의 채널 이득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Figure pat00031
는 수신 D2D 단말 m(즉, DR m)이 수신하는 셀룰러 단말(CU) n으로부터의 간섭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In Equation 6,
Figure pat00029
Denotes the channel gain between the transmitting D2D terminal m (ie, DT m) and the receiving D2D terminal m (ie, DR m),
Figure pat00030
Denotes a channel gain between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the receiving D2D terminal m (ie, DR m). And,
Figure pat00031
Denotes the intensity of interference from the cellular terminal (CU) n received by the receiving D2D terminal m (ie, DR m).

도 5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501)에 속하는 셀룰러 단말(502) 그리고, 상기 기지국(510) 및 셀룰러 단말(502)과 인접한 D2D 단말 쌍(503, 504)이 주파수 자원을 공유함에 따라 서로 간섭이 작용하는 경우, 셀룰러 단말(CU) n과 D2D 단말 쌍 m에서의 채널 캐패시티(channel capacity)[bps/Hz]는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In the network environment as shown in FIG. 5, a cellular terminal 502 belonging to a base station 501 and a pair of adjacent D2D terminals 503 and 504 adjacent to the base station 510 and the cellular terminal 502 share frequency resources. When interference is applied, channel capacity (bps / Hz) in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the D2D terminal pair m may be expressed as Equation 7 below.

[수학식 7][Equation 7]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2

수학식 7에서,

Figure pat00033
는 셀룰러 단말(CU) n에서의 채널 캐패시티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34
는 D2D 단말 쌍 m에서의 채널 캐패시티를 나타낼 수 있다.In Equation 7,
Figure pat00033
Denotes channel capacity at cellular terminal (CU) n,
Figure pat00034
Denotes channel capacity in the D2D terminal pair m.

도 5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지국(501)에 속하는 셀룰러 단말(502) 그리고, 상기 기지국(510) 및 셀룰러 단말(502)과 인접한 D2D 단말 쌍(503, 504)이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의 요구 대역

Figure pat00035
은 아래의 수학식 8 및 9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즉, 위의 수학식 7을 기반으로 계산된 캐패시티를 통해 요구 전송 속도
Figure pat00036
를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대역의 크기가 아래의 수학식 8 및 9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In the network environment as shown in FIG. 5, when a cellular terminal 502 belonging to a base station 501 and a pair of D2D terminals 503 and 504 adjacent to the base station 510 and the cellular terminal 502 share frequency resources Required band
Figure pat00035
Can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s 8 and 9 below. That is, the requested transmission rate through the capacity calculated based on the above equation (7)
Figure pat00036
The size of the band required to satisfy is can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s 8 and 9 below.

아래의 수학식 8은 셀룰러 단말(CU) n의 요구 대역을 나타내고, 수학식 9는 D2D 단말쌍 m의 요구 대역을 나타낼 수 있다.Equation 8 below may indicate a request band of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Equation 9 may indicate a request band of the D2D terminal pair m.

[수학식 8][Equation 8]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7

[수학식 9] [Equation 9]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8

수학식 8 및 수학식 9에서,

Figure pat00039
는 미리 지정된 요구 전송 속도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40
는 셀룰러 단말(CU) n과 D2D 단말 쌍 m이 자원을 공유 할 때의 셀룰러 단말(CU) n의 캐패시티(capacity)를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41
는 셀룰러 단말(CU) n과 D2D 단말 쌍 m이 자원을 공유 할 때의 D2D 단말 쌍 m의 캐패시티(capacity)를 나타낼 수 있다.In Equation 8 and Equation 9,
Figure pat00039
Denotes a pre-specified request transmission rate,
Figure pat00040
Denotes the capacity of cellular terminal (CU) n when a pair of cellular terminals (CU) n and a D2D terminal pair m share resources.
Figure pat00041
Denotes the capacity of the D2D terminal pair m when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the D2D terminal pair m share resources.

이때,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 즉, 기지국(501)에 속하는 셀룰러 단말(502) 그리고, 상기 기지국(510) 및 셀룰러 단말(502)과 인접한 D2D 단말 쌍(503, 504)이 주파수 자원을 공유(sharing)하는 경우, 요구 대역

Figure pat00042
은 각 단말의 요구 대역 중 상대적으로 더 큰 대역이 요구 대역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즉, 주파수 자원 공유 시 CU 및 D2D 단말 쌍 중 요구 대역이 더 큰 대역이 자원 공유를 위한 요구 대역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Figure pat00043
), 결정된 상기 더 큰 대역이 요구 대역으로 할당됨으로써, CU 및 D2D 단말 쌍의 요구 데이터 레이트가 모두 만족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sharing resources, that is, the cellular terminal 502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501, and the base station 510 and the pair of D2D terminals adjacent to the cellular terminal 502 (503, 504)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 sharing), the required band
Figure pat00042
The relatively larger band among the request bands of each terminal may be determined as the request band. That is, when a frequency resource is shared, a band having a larger requested band among CU and D2D UE pairs may be determined as a required band for resource sharing (
Figure pat00043
), The determined larger band is allocated as a required band, so that both the CU and D2D terminal pair request data rates are satisfied.

도 5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파수 자원을 비공유하는 경우(non sharing)의 요구 대역 역시 계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원 비공유시의 SINR 및 채널 캐패시티가 아래의 수학식 10 및 11에 기초하여 먼저 계산될 수 있다.In the network environment as shown in FIG. 5, a required band in the case of non-sharing frequency resources may also be calculated. To this end, SINR and channel capacity at the time of no resource sharing may be first calculated based on Equations 10 and 11 below.

[수학식 10][Equation 10]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4

수학식 10은 셀룰러 단말(CU) n과 D2D 단말 쌍 m이 자원을 공유하지 않아 서로 간섭이 없을 때의 SINR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Figure pat00045
은 기지국이 셀룰러 단말(CU) n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셀룰러 단말(CU) n의 전송 전력은
Figure pat00046
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47
은 수신 D2D 단말 m(DR m)이 송신 D2D 단말 m(DT m)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48
는 미리 지정된 목표 수신 SNR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송신 D2D 단말 m(DT m)에서의 전송 전력은
Figure pat00049
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Equation 10 represents SINR when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the D2D terminal pair m because they do not share resources,
Figure pat00045
May indicate the strength of a signal that the base station receives from the cellular terminal (CU) n. Her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cellular terminal (CU) n
Figure pat00046
It can be expressed as
Figure pat00047
Denotes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D2D terminal m (DR m) from the transmitting D2D terminal m (DT m),
Figure pat00048
May indicate a predetermined target reception SNR. And, the transmission power in the transmitting D2D terminal m (DT m)
Figure pat00049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수학식 11][Equation 11]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0

수학식 11은 셀룰러 단말(CU) n과 D2D 단말 쌍 m이 자원을 공유하지 않아 서로 간섭이 없을 때의 채널 캐패시티(bps/Hz)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Figure pat00051
는 셀룰러 단말(CU) n에서의 채널 캐패시티,
Figure pat00052
는 D2D 단말 쌍 m에서의 채널 캐패시티를 나타낼 수 있다. Equation 11 shows the channel capacity (bps / Hz) when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the D2D terminal pair m because they do not share resources,
Figure pat00051
Is the channel capacity in the cellular terminal (CU) n,
Figure pat00052
Denotes channel capacity in the D2D terminal pair m.

이처럼, 자원을 비공유(non sharing) 시 요구 대역

Figure pat00053
은 아래의 수학식 12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As such, the required bandwidth when non-sharing resources
Figure pat00053
Can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12 below.

[수학식 12][Equation 12]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4

수학식 12에서,

Figure pat00055
Figure pat00056
는 아래의 수학식 13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In Equation 12,
Figure pat00055
and
Figure pat00056
Can be calculated based on Equation 13 below.

[수학식 13][Equation 13]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7

수학식 13에서,

Figure pat00058
는 미리 지정된 요구 전송 속도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59
은 요구 전송 속도
Figure pat00060
를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셀룰러 단말(CU) n에서의 대역의 크기,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를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D2D 단말 쌍 m에서의 대역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In Equation 13,
Figure pat00058
Denotes a pre-specified request transmission rate,
Figure pat00059
Required transfer rate
Figure pat00060
The size of the band in the cellular terminal (CU) n required to satisfy the,
Figure pat00061
Is
Figure pat00062
It may indicate the size of the band in the D2D terminal pair m required to satisfy the.

수학식 12에 따르면, 자원을 비공유하는 경우(non sharing), 각 단말(셀룰러 단말(CU) n과 D2D 단말 쌍 m)의 요구 대역의 합으로서, 요구 대역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이 계산될 수 있다. 즉, 자원을 공유하지 않음에 따라, 셀룰러 단말(CU) n을 위한 요구 대역 및 D2D 단말 쌍 m)을 위한 요구 대역이 개별적으로 할당되어야 하므로, 각 단말의 요구 대역의 합으로, 요구 대역
Figure pat00065
이 계산될 수 있다.According to Equation 12, when the resource is non-shared (non sharing), as a sum of the request bands of each terminal (cellular terminal (CU) n and D2D terminal pair m), the request band
Figure pat00063
Figure pat00064
Can be calculated. That is, as the resource is not shared, the request band for the cellular terminal (CU) n and the request band for the D2D terminal pair m) must be individually allocated, so as a sum of the request bands of each terminal, the request band
Figure pat00065
Can be calcula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의 수에 따른 복잡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의 수에 따른 요구 대역폭의 크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complexit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graph showing a size of a requested bandwid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의 시뮬레이션 환경은 아래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그리고, N은 셀룰러 단말(CU)의 수를 나타내고, M은 D2D 단말 쌍의 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N=M=[2:2:10]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들은 셀(cell) 내에 유니폼 랜덤하게(uniformly random) 분포되어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The simulation environment of FIGS. 6 and 7 may be as shown in Table 1 below. In addition, N represents the number of cellular terminals (CU), M represents the number of D2D terminal pairs, and may correspond to N = M = [2: 2: 10].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 terminals are uniformly distributed in a cell.

Figure pat00066
Figure pat00066

도 6을 참고하면, 풀 서치(full search)는 최적해 기법으로서, 요구 대역의 합이 최소가 되는 셀룰러 단말 및 송/수신 D2D 단말의 쌍(즉, CU-DU 쌍) 결정 행렬을 기반으로 요구 대역의 합을 비교하여 결정함에 따라, 단말의 수가 증가할수록 알고리즘 복잡도가 급격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복잡도가 NХN!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Selection 1은 랜덤하게 선택된 셀룰러 단말(CU)을 기준으로 최소 요구 대역을 갖는 쌍(pair, 즉, CU-DU 쌍)을 우선 결정하는 것으로서, 복잡도가 N(N+1)/2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풀 서치 대비 단말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복잡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full search (full search) is an optimal solution technique, a request band based on a pair (ie, CU-DU pair) decision matrix of a cellular terminal and a transmit / receive D2D terminal in which the sum of request bands is minimum. As it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um of,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lgorithm complexity increases rapidly as the number of terminals increases. That 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lexity increases to NХN !. Selection 1 is to first determine a pair (that is, a pair of CU-DUs) having a minimum required band based on a randomly selected cellular terminal (CU), The complexity may correspond to N (N + 1) / 2. That 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lexity is relatively low even though the number of terminals increases compared to full search.

Selection 2는 랜덤하게 선택된 D2D 단말 쌍을 기준으로 최소 요구 대역을 갖는 쌍(pair, 즉, CU-DU 쌍)을 우선 결정하는 것으로서, 복잡도가 N(N+1)/2으로 Selection 1과 동일할 수 있다. Selection 2 is to first determine a pair (pair, ie, a CU-DU pair) having a minimum required band based on a randomly selected D2D terminal pair. The complexity is N (N + 1) / 2, which is the same as Selection 1 You can.

Selection 3은 생성 가능한 쌍(즉, CU-DU 쌍) 중 최소 요구 대역을 갖는 쌍을 우선 결정한 경우에 단말의 수 증가에 따른 복잡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복잡도는 N(N+1)(2N+1)/6에 해당할 수 있다. 즉, selection 3은 단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selection 1 및 selection 2보다 복잡도가 상대적으로 높지만, 도 7과 같이, 단말의 수가 증가할수록 selection 1 및 selection 2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자원할당량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Selection 3 indicates complexity according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erminals when a pair having a minimum required band is first determined from a pair that can be generated (that is, a CU-DU pair), and the complexity is N (N + 1) (2N + 1) / 6. That is, although the complexity of selection 3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selection 1 and selection 2 as the number of terminals increases, as shown in FIG. 7, it can be confirmed that as the number of terminals increases, it has a relatively smaller resource allocation than selection 1 and selection 2. have.

도 7에서, selection 1 내지 3, 풀 서치(full search)는 도 6과 동일하며, non sharing은 자원을 비공유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In FIG. 7, selections 1 to 3 and full search are the same as in FIG. 6, and non sharing may indicate a case of not sharing a resource.

도 7은, 5가지의 자원 할당 방식을 적용하였을 때의 단말 당 자원 할당량의 평균을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 7에 따르면, 자원 공유를 하지 않을 때보다 자원을 공유하는 경우에 자원 요구량이 감소하고, 해당 감소량은 사용자의 수(즉, 단말의 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주파수 효율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CU-DU 쌍을 어떻게 선택하는지에 따라 요구 대역의 평균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풀 서치에 비해 selection 1 내지 3이 낮은 복잡도를 갖지만 풀 서치와 비슷한 주파수 효율을 얻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selection 3의 경우, 풀 서치 대비 요구 대역의 평균 성능이 약 2%로 근소하게 차이남을 확인할 수 있다.FIG. 7 shows a comparison of an average of resource allocation per terminal when five resource allocation methods are applied, and according to FIG. 7, the resource demand decreases when resources are shared than when resource sharing is not performed. , It can be seen that the corresponding reduction amount increases as the number of users (ie, the number of terminals) increas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frequency efficiency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verage of the required bands varies depending on how the CU-DU pair is selecte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although selection 1 to 3 have lower complexity than full search, frequency efficiency similar to that of full search is obtain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selection 3, it can be seen that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required band compared to full search is slightly different at about 2%.

한편, 도 6에서, 복잡도 계산 기준은 CU-DU 쌍 선택 시 계산해야 하는 쌍의 수의 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Meanwhile, in FIG. 6, the complexity calculation criterion may be set as a sum of the number of pairs to be calculated when selecting a CU-DU pair.

일례로, N=2, 3, ?, N개일 때, 셀룰러 단말 1(CU 1)에서 셀룰러 단말 2(CU2), ?, 셀룰러 단말 N(CU N) 순으로 선택하는 경우, selection 1과 selection 2에서, 계산되는 복잡도는 아래의 표 2와 같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N = 2, 3,?, N, when selecting in order from cellular terminal 1 (CU 1) to cellular terminal 2 (CU2),?, Cellular terminal N (CU N), selection 1 and selection 2 In, the calculated complexity may be as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7

다른 예로, N=2, 3, ?, N개일 때, 셀룰러 단말 1(CU 1)에서 셀룰러 단말 2(CU2), ?, 셀룰러 단말 N(CU N) 순으로 선택하는 경우, selection 3에서, 계산되는 복잡도는 아래의 표 3과 같을 수 있다. Selection 3은 아래의 표 3와 같이, CU-DU 쌍 선택 시 선택 시 마다 생성 가능한 모든 CU-DU 쌍 에 대해서 요구 대역을 비교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N = 2, 3,?, N, when selecting in order from cellular terminal 1 (CU 1) to cellular terminal 2 (CU2),?, Cellular terminal N (CU N), calculation is performed in selection 3 The complexity can be as shown in Table 3 below. As shown in Table 3 below, Selection 3 can compare the required bands for all CU-DU pairs that can be generated for each selection when selecting a CU-DU pair.

Figure pat00068
Figure pat00068

풀 서치(full search)는 모든 CU-DU 쌍의 조합에 대해서 요구 대역 합을 비교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복잡도는 아래의 표 4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모든 CU-DU 쌍의 조합은 N명의 사람을 줄세우는 방법의 경우의 수(NPN)와 동일할 수 있다.Full search indicates a method of comparing the sum of required bands for all CU-DU pair combinations, and the complexity may be as shown in Table 4 below. Here, the combination of all CU-DU pairs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 N P N ) in the case of a method of counting N people.

Figure pat00069
Figure pat00069

위의 표 4에서, N은 하나의 조합 안의 CU-DU 쌍의 수를 나타내고, {N(N-1)(N-2)...1}는 발생 가능한 조합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In Table 4 above, N represents the number of CU-DU pairs in one combination, and {N (N-1) (N-2) ... 1} may represent the number of possible combinations.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the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at follow.

Claims (8)

셀룰러 D2D(Device to Device) 네트워크에서의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셀룰러 단말 및 복수의 D2D 단말 쌍을 대상으로,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셀룰러 단말 간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의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조합을 대상으로, 미리 지정된 일정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지원하되, 각 조합의 요구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
In a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resources in a cellular device to device (D2D) network,
Generating a combination of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pair for sharing a frequency resource allocat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cellular terminal for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D2D terminal pairs belonging to a base station; And
Determining a pair of cellular terminals and D2D terminals that want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based on a required band of each combination, while supporting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data rate for the generated combination.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조합 중 요구 대역이 가장 작은 조합을 기반으로 상기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D2D terminal pair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Determining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D2D terminal pair based on the combination with the smallest required band among the combinations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셀룰러 단말 및 상기 기지국에 속하는 D2D 단말 쌍을 대상으로, 특정 셀룰러 단말과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할 D2D 단말 쌍을 하나의 조합으로 하는 집합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mbination,
Generating a set of a combination of a pair of D2D terminals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with a specific cellular terminal, for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and a pair of D2D terminal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조합 중 특정 조합을 대상으로, 상기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셀룰러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셀룰러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셀룰러 단말을 기준으로 최소 요구 대역에 해당하는 D2D 쌍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D2D terminal pair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Selecting a cellular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for a specific combination among the generated combinations; And
Determining a D2D pair corresponding to a minimum required band based on the selected cellular terminal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조합 중 특정 조합을 대상으로, 상기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D2D 단말 쌍 중 특정 D2D 단말 쌍을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D2D 단말 쌍을 기준으로 최소 요구 대역에 해당하는 D2D 쌍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D2D terminal pair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Selecting a specific D2D terminal pair among a plurality of D2D terminal pairs belonging to the base station for a specific combination among the generated combinations; And
Determining a D2D pair corresponding to a minimum required band based on the selected D2D terminal pair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단계는,
생성된 상기 조합을 대상으로, 셀룰러 단말과 D2D 단말 쌍을 결정하기 위해 생성된 모든 쌍 중 최소 요구 대역을 갖는 쌍을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D2D terminal pair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Based on the generated combination, determining a pair having a minimum required band among all pairs generated to determine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pair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대역은,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려는 셀룰러 단말의 요구 대역 및 D2D 단말의 요구 대역 중 상대적으로 더 큰 대역을 나타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원 할당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quest band indicates a relatively larger band among the request band of the cellular terminal and the request band of the D2D terminal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셀룰러 D2D(Device to Device) 네트워크에서의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에 속하는 복수의 셀룰러 단말 및 복수의 D2D 단말 쌍을 대상으로,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셀룰러 단말 간에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의 조합을 생성하는 조합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조합을 대상으로, 미리 지정된 일정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를 지원하되, 각 조합의 요구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자원을 공유하고자 하는 셀룰러 단말 및 D2D 단말 쌍을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하는 주파수 자원 할당 시스템.
In the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system in a cellular device to device (D2D) network,
A combination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mbination of a cellular terminal and a D2D terminal pair that want to share a frequency resource allocat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t least one cellular terminal for a plurality of cellular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D2D terminal pairs belonging to a base station; And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pair of cellular terminals and D2D terminals that want to share the frequency resource based on the required band of each combination, while supporting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data rate for the generated combination.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system comprising a.
KR1020180105525A 2018-09-04 2018-09-04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in realtime communication of cellular device to device network KR1021560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525A KR102156084B1 (en) 2018-09-04 2018-09-04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in realtime communication of cellular device to device network
PCT/KR2018/016088 WO2020050459A1 (en) 2018-09-04 2018-12-18 Frequency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real-time communication in cellular d2d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525A KR102156084B1 (en) 2018-09-04 2018-09-04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in realtime communication of cellular device to device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48A true KR20200027348A (en) 2020-03-12
KR102156084B1 KR102156084B1 (en) 2020-09-15

Family

ID=69721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525A KR102156084B1 (en) 2018-09-04 2018-09-04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in realtime communication of cellular device to device networ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6084B1 (en)
WO (1) WO2020050459A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977B1 (en) * 2014-01-28 2015-06-0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 Device communication based on distances in cellular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20150086152A (en) * 2014-01-17 2015-07-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 Device coommunication in cellular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20150271846A1 (en) * 2014-03-18 2015-09-2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cheduling wireless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20160100294A1 (en) * 2014-10-02 2016-04-0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within a talkgroup
US20160113050A1 (en) * 2013-05-09 2016-04-21 Honggang Li Network assiste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20170034685A1 (en) * 2015-07-27 2017-02-02 Qualcomm Incorporated Lte-d2d discovery in the unlicensed ban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13050A1 (en) * 2013-05-09 2016-04-21 Honggang Li Network assiste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KR20150086152A (en) * 2014-01-17 2015-07-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 Device coommunication in cellular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101525977B1 (en) * 2014-01-28 2015-06-05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 Device communication based on distances in cellular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US20150271846A1 (en) * 2014-03-18 2015-09-2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cheduling wireless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20160100294A1 (en) * 2014-10-02 2016-04-0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within a talkgroup
US20170034685A1 (en) * 2015-07-27 2017-02-02 Qualcomm Incorporated Lte-d2d discovery in the unlicensed band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 Bagheri, F. A. M. Bonomi and M. Katz, "A low-complexity QoS aware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for multi pai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s", Wiley Trans. Emerging Telecommunications Techn* *
P. Mach and Z. Becvar, "Combined shared/dedicated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Computer Science, Mathematics Published in ArXiv(2017.) *
Y. Li, S. Su and S. Chen, "Social-aware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nderlaying cellular networks",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Letters, vol. 4, no. 3, pp.293-296(2015.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0459A1 (en) 2020-03-12
KR102156084B1 (en)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7029B2 (en) Pilot time slot allocation for a MIMO system
KR101726521B1 (en) D2D communication system that use the non-licensed band to the auxiliary band and Method of D2D system thereof
KR101257066B1 (en) Method for Resource Partition, Assignme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Inter-Cell Interference Migration in Downlink of OFDM Cellular Systems
US8514788B2 (en)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apparatus
CN105101439B (en) A kind of method and terminal of transmission
KR10159811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ffic contention resource allocation
US10721778B2 (en) Selecting radio frequency channels for carrier aggregation in an unlicens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CN110830194B (en) Indication and determination method of uplink channel resource, base station, terminal and medium
EP383113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ceiver-based sidelink resource selection
US20160255647A1 (en) Device-to-device data channel signaling
WO2014160407A1 (en)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JP2010504026A (en) Cell and resource block allocation through interference optimization
KR101630563B1 (en) Spectru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50105987A (en) Power control of neighbor discovery signals
US8259645B2 (en) Method of operating random access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16541184A (e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processing signals
JP5509054B2 (en) RADIO RESOURCE ALLOCATION DEVICE, BASE STATION DEVICE,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RADIO RESOURCE ALLOCATION PROGRAM
CN110226352A (en) A kind of resource allocation methods and first node, second node
KR101568081B1 (en) Method of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 Device communication in cellular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JP2012518957A (en) Resource scheduling method, scheduler, and base station
WO201000170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
KR102156084B1 (en)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in realtime communication of cellular device to device network
KR102135509B1 (en) Multiple access control appratus in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overlap ratio of resource
KR101611536B1 (en) Method of channel setting for establishing system based on cluster
CN111587603B (en) Network nod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unlicensed radio frequency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