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338A -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338A
KR20200027338A KR1020180105503A KR20180105503A KR20200027338A KR 20200027338 A KR20200027338 A KR 20200027338A KR 1020180105503 A KR1020180105503 A KR 1020180105503A KR 20180105503 A KR20180105503 A KR 20180105503A KR 20200027338 A KR20200027338 A KR 20200027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rvice
mounted device
access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836B1 (ko
Inventor
김증일
장진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8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탑재장치(OBE)가 DSRC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한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AP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접속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보안이 설정된 와이파이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량탑재장치에 있어서,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모드에서는 노변장치와 통신하고, 와이파이 모드에서는 AP(Access Point)와 통신하는 통신부; DSRC 모드에서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와이파이 모드에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어부; 및 상기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PROVIDING CONNECTED CAR SER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p는 차량환경에 무선 액세스(wireless access)를 추가한 IEEE 802.11 표준의 승인된 수정판으로서, 지능형교통체계(ITS)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데 필요한 802.11(와이파이로 상용화된 제품의 시초)의 개선점을 정의한다. 여기에는 5.9GHz(5.85 - 5.925GHz)의 허가된 ITS 대역에서 고속 차량 간 또는 차량과 도로 인프라 간의 데이터 교환(V2X 통신)이 포함된다.
이러한 IEEE 802.11p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MHz 대역을 가지는 7개의 채널(채널번호 172~184)를 갖는데, 이중 채널번호 178은 CCH(Control CHannel)로 긴급통신을 위해 독점 사용되며, 양끝의 채널번호 172와 184는 안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되고, 나머지 4개의 채널(174, 176, 180, 182)이 SCH(Service CHannel)로 사용된다.
IEEE 802.11p는 와이파이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인증이나 접속절차를 생략했기 때문에 모든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며, 이에 따라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로 하여금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IEEE 802.11p가 적용된 차량의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시스템은 상호 무선으로 통신하는 차량탑재장치(On-Board Equipment, OBE)와 노변장치(Road-Side Equipment, RSE)을 구비하며, 차량탑재장치와 노변장치(노변기지국) 사이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차량 주행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DSRC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속도가 27Mbps 정도로 대용량 스트리밍 서비스(동영상, 음악,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를 제공하는데 원할하지 않기 때문에 최근 300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가지는 와이파이 시스템을 통한 대용량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대용량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파이 AP(Access Point)에는 보안이 설정되어 있어, 와이파이 AP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접속정보로서 SSID(Service Set IDentifier)와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사전에 SSID 및 비밀번호를 알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SSID 및 비밀번호가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8-0049772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탑재장치(OBE)가 DSRC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한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AP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접속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보안이 설정된 와이파이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량탑재장치에 있어서,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모드에서는 노변장치와 통신하고, 와이파이 모드에서는 AP(Access Point)와 통신하는 통신부; DSRC 모드에서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와이파이 모드에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어부; 및 상기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DSRC 모드에서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로부터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된 AP 접속정보를 수신한 후 개인키로 복호화하며, 와이파이 모드에서 상기 복호화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 노변장치에 상응하는 AP 접속정보, 각 차량탑재장치의 서비스가입정보, 각 차량탑재장치의 공개키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개인키에 의해 전자서명된 가입정보에 기초하여 차량탑재장치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탑재장치로 상기 개인키에 상응하는 공개키로 암호화한 AP 접속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중에는 DSRC 모드를 활성화하고, 차량의 정차중에는 와이파이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입정보는 차량 ID 및 서비스가입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 접속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와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차량탑재장치에서의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통신부가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모드에서 노변장치로부터 AP(Access Point)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저장부가 상기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와이파이 모드에서 상기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방법은 DSRC 모드에서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로부터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된 AP 접속정보를 수신한 후 개인키로 복호화하는 단계; 및 와이파이 모드에서 상기 복호화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SRC 모드는 차량의 주행중에 활성화되고, 와이파이 모드는 차량의 정차중에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를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모드에서 브로드캐스팅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된 AP 접속정보를 수신한 후 개인키로 복호화하며, 와이파이 모드에서 상기 복호화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는 차량탑재장치; 및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수신한 전자서명된 가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탑재장치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탑재장치로 상기 개인키에 상응하는 공개키로 암호화한 AP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 노변장치에 상응하는 AP 접속정보, 각 차량탑재장치의 서비스가입정보, 각 차량탑재장치의 공개키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탑재장치(OBE)가 DSRC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한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AP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접속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보안이 설정된 와이파이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탑재장치(OBE)가 DSRC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한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AP에 접속함으로써, 접속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차량탑재장치가 별도의 입력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탑재장치(OBE)가 DSRC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한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AP에 접속함으로써, 와이파이 AP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암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암호의 노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탑재장치(OBE)가 DSRC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한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AP에 접속함으로써, 와이파이 AP 접속정보가 변경되더라도 이를 사용자가 알 필요가 없고, 아울러 그에 따른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탑재장치(OBE)가 DSRC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부터 획득한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AP에 접속함으로써, DSRC 주파수 대역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IEEE 802.11p의 각 채널을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AP(Access Point, 10), 차량탑재장치(20), 노변장치(30), 서비스 서버(40), 및 AP 접속정보 데이터베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AP(10)는 유선과 무선을 잇는 브릿지 역할을 수행하는 소출력 무선기기로서, 차량탑재장치(20)의 와이파이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참고로,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는 AP가 설치된 곳에서 전파를 이용하여 일정거리 안에서 무선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AP(1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보안이 설정되어 접속시 SS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AP와, 보안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누구나 제한없이 접속이 가능한 A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안이 설정된 AP를 통해 커넥티드카 서비스(일례로, 대용량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시, 사용자가 직접 접속정보(SS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보안이 설정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차량탑재장치(20)는 802.11p를 기반으로 DSRC를 수행하는 DSRC 모드와 802.11a/n을 기반으로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참고로, DSRC 모드는 5G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와이파이 모드의 연장선상에 있으므로 상호 간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즉, 차량탑재장치(20)는 하나의 칩셋(일례로, 802.11n 칩셋)을 이용하여 DSRC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고, 와이파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일례로, 차량탑재장치(20)는 차량이 주행중에는 DSRC 모드로 동작하여 노변장치(30)로부터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고 차량이 정차중에는 아이파이 모드로 동작하여 AP(10)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탑재장치(20)는 주행중에 DSRC 모드를 활성화한다. 즉, 차량탑재장치(20)는 DSRC 모드를 활성화하고, 차량 ID(일례로, 차대번호, 차량번호 등) 및 서비스가입정보(일례로, 대용량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들에 대한 가입 여부)에 전자서명을 한 후 상기 전자서명된 가입정보(차량 ID, 서비스가입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 즉,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는 DSRC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된다. 이러한 전자서명된 가입정보의 브로드캐스팅 과정은 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전자서명이란 서명자가 해당 전자문서에 서명하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전자문서에 첨부되거나 논리적으로 결합된 전자적 형태의 정보로서, 인감도장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자서명은 원본의 해시값을 구한 후 그 해시값에 부인 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공개키 방식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차량탑재장치(20)가 가입정보를 방송할 때 가입정보의 해시값을 구한 후 그 해시값을 자신의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보낸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40)는 노변장치(30)를 통해 수신한 암호화된 해시값을 차량탑재장치(20)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가입정보를 해시한 값과 비교한다. 이렇게 복호화한 해시값과 수신한 가입정보에서 구한 해시값이 일치하면, 수신된 가입정보가 차량탑재장치(20)로부터 온 것이 맞고 위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차량탑재장치(20)는 DSRC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노변장치(30)를 통해 서비스 서버(40)로부터 대용량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등과 같은 유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보안이 설정된 AP(10)의 접속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보안이 설정된 AP(10)의 접속정보가 차량탑재장치(20)의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차량탑재장치(20)는 자신의 개인키로 복호화할 수 있다.
차량탑재장치(20)는 차량이 정차하면 복호화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입없이 해당 AP(10)에 접속하여 유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AP 접속절차를 직접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대용량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동영상, 음악,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노변장치(30)는 DSRC를 통해 차량탑재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일종의 기지국으로서, CCH(Control CHannel)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 비콘을 전송하여 채널정보 등을 알려주기 때문에 차량탑재장치(20)가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노변장치(30)는 차량탑재장치(20)에 의해 방송된 개인키에 의해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40)로 전달하고, 서비스 서버(40)로부터 전달받은 보안이 설정된 AP의 암호화된 접속정보를 차량탑재장치(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노변장치(30)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DSRC가 가능하고 서비스 서버(4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통신장치(사업자가 별도로 구현한 통신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와이파이 모듈은 물론 DSRC 모듈을 더 구비한 AP(10)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40)는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각 노변장치(30)에 상응하는 AP 접속정보 및 차량탑재장치(20)의 서비스가입정보와 공개키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50)를 구비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50)는 서비스 서버(40)에 의해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40)는 개인키에 의해 전자서명된 가입정보(차량 ID, 서비스가입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탑재장치(20)가 서비스에 가입된 고객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 참고로,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는 암호화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누구나 읽을 수 있다.
서비스 서버(40)는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차량탑재장치(20)에게는 AP 접속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탑재장치(20)에게는 해당 공개키로 암호화한 AP 접속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차량탑재장치(20)는 별도의 접속절차 없이 보안이 설정되지 않은 AP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제한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0)는 각 노변장치(30)의 주변에 위치한 복수의 AP 정보(SSID) 및 상기 복수의 AP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정보(비밀번호)와, 차량탑재장치(20)의 서비스가입정보(차량 ID, 가입 서비스의 종류)와, 차량탑재장치(20)에 상응하는 공개키(차량탑재장치 소유자의 공개키)를 저장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차량탑재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탑재장치는 통신부(21), 제어부(22), 및 저장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각 구성요소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아울러 발명을 실시하는 방식에 따라 일부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통신부(21)는 일례로 802.11n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DSRC 모드 또는 와이파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는 DSRC 모드에서 노변장치(30)와 통신하여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와이파이 모드에서 AP(10)와 통신하여 높은 전송속도를 요구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22)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22)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22)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어부(22)는 802.11p를 기반으로 DSRC를 수행하는 DSRC 모드와 802.11a/n을 기반으로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는 하나의 칩셋(일례로, 802.11n 칩셋)을 이용하여 DSRC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고, 와이파이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어부(22)는 차량이 주행중에는 DSRC 모드로 동작하여 통신부(21)를 통해 노변장치(30)로부터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고, 차량이 정차중에는 아이파이 모드로 동작하여 통신부(21)를 통해 AP(10)에 접속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2)는 주행중에 DSRC 모드를 활성화한다. 즉, 제어부(22)는 DSRC 모드를 활성화하고, 차량 ID(일례로, 차대번호, 차량번호 등) 및 서비스가입정보(일례로, 대용량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들에 대한 가입 여부)에 전자서명을 한 후 상기 전자서명된 가입정보(차량 ID, 서비스가입정보)를 통신부(21)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한다. 즉,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는 DSRC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된다. 이러한 전자서명된 가입정보의 브로드캐스팅 과정은 와이파이 서비스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2)는 DSRC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신부(21)를 통해 서비스 서버(40)로부터 대용량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 등과 같은 유료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보안이 설정된 AP(10)의 접속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제어부(22)는 보안이 설정된 AP(10)의 접속정보가 공개키로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자신의 개인키로 복호화할 수 있다.
제어부(22)는 자신의 개인키로 복호화한 AP 접속정보를 저장부(23)에 저장한다. 이러한 이러한 저장부(23)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는 차량이 정차하면 복호화한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입없이 해당 AP(10)에 접속하여 유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AP 접속절차를 직접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대용량 데이터 스트리밍 서비스(동영상, 음악,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통신부(21)가 DSRC 모드에서 노변장치로부터 AP 접속정보를 획득한다(401).
이후, 저장부(23)가 상기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저장한다(402).
이후, 제어부(22)가 와이파이 모드에서 상기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403).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AP
20: 차량탑재장치
21: 통신부
22: 제어부
23: 저장부
30: 노변장치
40: 서비스 서버
50: 데이터베이스

Claims (12)

  1. 제1 통신모드에서는 노변장치와 통신하고, 제2 통신모드에서는 AP(Access Point)와 통신하는 통신부;
    제1 통신모드에서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제2 통신모드에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는 제어부; 및
    상기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는 차량탑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통신모드에서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로부터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된 AP 접속정보를 수신한 후 개인키로 복호화하며, 제2 통신모드에서 상기 복호화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 노변장치에 상응하는 AP 접속정보, 각 차량탑재장치의 서비스가입정보, 각 차량탑재장치의 공개키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개인키에 의해 전자서명된 가입정보에 기초하여 차량탑재장치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탑재장치로 상기 개인키에 상응하는 공개키로 암호화한 AP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중에는 제1 통신모드를 활성화하고, 차량의 정차중에는 제2 통신모드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정보는,
    차량 ID 및 서비스가입정보를 포함하는 차량탑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P 접속정보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와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차량탑재장치.
  8. 통신부가 제1 통신모드에서 노변장치로부터 AP(Access Point) 접속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저장부가 상기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제2 통신모드에서 상기 획득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탑재장치에서의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통신모드에서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로부터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된 AP 접속정보를 수신한 후 개인키로 복호화하는 단계; 및
    제2 통신모드에서 상기 복호화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탑재장치에서의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모드는 차량의 주행중에 활성화되고, 제2 통신모드는 차량의 정차중에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탑재장치에서의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전자서명된 가입정보를 제1 통신모드에서 브로드캐스팅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공개키에 의해 암호화된 AP 접속정보를 수신한 후 개인키로 복호화하며, 제2 통신모드에서 상기 복호화된 AP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AP에 접속하여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제공받는 차량탑재장치; 및
    상기 차량탑재장치로부터 수신한 전자서명된 가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탑재장치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서비스에 가입된 차량탑재장치로 상기 개인키에 상응하는 공개키로 암호화한 AP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각 노변장치에 상응하는 AP 접속정보, 각 차량탑재장치의 서비스가입정보, 각 차량탑재장치의 공개키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80105503A 2018-09-04 2018-09-04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54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503A KR102654836B1 (ko) 2018-09-04 2018-09-04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503A KR102654836B1 (ko) 2018-09-04 2018-09-04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338A true KR20200027338A (ko) 2020-03-12
KR102654836B1 KR102654836B1 (ko) 2024-04-05

Family

ID=6980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503A KR102654836B1 (ko) 2018-09-04 2018-09-04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8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467A (ko) * 2012-07-30 2014-02-10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위치 기반의 실시간 컨텐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84877A (ko) * 2012-12-27 2014-07-0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내 컴퓨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통신 수행방법
KR20170016693A (ko) * 2015-08-04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49772A (ko)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DSRC/IEEE 802.11p 와 LTE-V2X 공존을 위한 해결방법
KR20180066786A (ko) * 2016-12-09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467A (ko) * 2012-07-30 2014-02-10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위치 기반의 실시간 컨텐츠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84877A (ko) * 2012-12-27 2014-07-0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내 컴퓨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통신 수행방법
KR20170016693A (ko) * 2015-08-04 2017-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49772A (ko)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DSRC/IEEE 802.11p 와 LTE-V2X 공존을 위한 해결방법
KR20180066786A (ko) * 2016-12-09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836B1 (ko)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5352B2 (en) Establishing a secur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connection at a vehicle
EP3606124B1 (en) V2x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CN107085870B (zh) 使用加密方法调节车辆访问
US11295017B2 (en) Over-the-air updates security
US20190090174A1 (en) Vehicle as public wireless hotspot
US8972736B2 (en) Fully authenticated content transmission from a provider to a recipient device via an intermediary device
US9608808B2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of, onboard unit, control method thereof, backend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582775B2 (en) Method of securing and authenticating data using micro-certificates
US10264399B2 (en) Location-based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s
US10104547B1 (en) Automatic wireless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EP3637672B1 (en) V2x communication device and secure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11184344B2 (en) Authorization of user equipment for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that has previously been authorized by trusted traffic authority
US9867050B1 (en) Ultrasonic audio transmission of wireless LAN information
CN106465116B (zh) 无线网络的接入控制
CN111601280B (zh) 一种接入验证方法及装置
CN112994873B (zh) 一种证书申请方法及设备
JP5223625B2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CN115694891A (zh) 一种基于中央计算平台的路侧设备通信系统及方法
KR20190078154A (ko) 차량용 통합 인증 장치 및 방법
US20230141992A1 (en) Apparatus and server for v2x service
KR102654836B1 (ko) 커넥티드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802347A (zh) 车联网终端身份的认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706929A (zh) 一种车路信息交互方法、系统及相关设备
US20050075144A1 (en)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vehicle
EP3219066B1 (en) Radio device hardware security system for wireless spectrum u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