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236A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236A
KR20200027236A KR1020180105293A KR20180105293A KR20200027236A KR 20200027236 A KR20200027236 A KR 20200027236A KR 1020180105293 A KR1020180105293 A KR 1020180105293A KR 20180105293 A KR20180105293 A KR 20180105293A KR 20200027236 A KR20200027236 A KR 2020002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motion
unit
emotional sta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대윤
장동선
우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7236A/ko
Priority to US16/216,615 priority patent/US20200073478A1/en
Publication of KR2020002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stimating an emotional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8Instrument input by vo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7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vehicle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8Feedback, closed loop systems or details of feedback error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Psychological state; Stress level or work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반영하여 필요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상기 획득된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위 상황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및 단위 기간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장기(long-term)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상황 정보, 상기 사용자 장기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도록 차량에 마련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 내 사용자의 감정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하고 감정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하기 위해 생체 인식을 이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 사용자는 차량 주행 중 분노, 우울, 짜증 및 흥분 등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으며, 난폭 운전이나 보복 운전과 같이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에 의한 교통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감정 상태는 안전 운전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상기 획득된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위 상황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및 단위 기간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장기(long-term)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상황 정보, 상기 사용자 장기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도록 차량에 마련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은,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제1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제1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단위 상황은, 특정 시간대의 주행 상황, 특정 거리 구간에서의 주행 상황 및 특정 지역에서의 주행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는 상기 제1 감정 상태가 존재하지 않고, 현재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나타내는 제2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후 획득된 사용자 감정 정보가 나타내는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단위 상황이 다른 단위 상황으로 변경되는 경우, 변경 전 단위 상황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전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장기 정보를 제2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제3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3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감정 상태가 복수인 경우, 최대 발현 횟수 및 상기 제3 감정 상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의 제3 감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장치의 제어를 제안하는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장치는,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 음악 및 감정 해소 메시지를 재생하는 스피커, 감정 해소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측면 윈도우를 개폐하는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 및 차량 내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위 상황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및 단위 기간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장기(long-term)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상황 정보, 상기 사용자 장기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도록 차량에 마련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제1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제1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위 상황은, 특정 시간대의 주행 상황, 특정 거리 구간에서의 주행 상황 및 특정 지역에서의 주행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는 상기 제1 감정 상태가 존재하지 않고, 현재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나타내는 제2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후 획득된 사용자 감정 정보가 나타내는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더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현재의 단위 상황이 다른 단위 상황으로 변경되는 경우, 변경 전 단위 상황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전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기 정보를 제2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제3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3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감정 상태가 복수인 경우, 최대 발현 횟수 및 상기 제3 감정 상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의 제3 감정 상태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 방법은 상기 피드백 장치의 제어를 제안하는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장치는,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 음악 및 감정 해소 메시지를 재생하는 스피커, 감정 해소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측면 윈도우를 개폐하는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 및 차량 내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한 후, 이에 기초하여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단위 상황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 안내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기간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장기(long-term)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일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우(30a),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우(30b), 운전자에게 차량(100) 측면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L, 81R)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71)의 상측에는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면 윈도우(30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60)는 차량(100)이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차량(100)이 전륜 구동 방식인 경우에는 구동 장치(60)가 전륜(51)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후륜 구동 방식인 경우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또한, 차량(100)이 사륜 구동 방식인 경우에는 전륜(51)과 후륜(52)에 모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채용할 수 있고, 엔진과 모터를 모두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차량 주변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RPM을 감지하는 RPM 센서, GPS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차량의 운동 상태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210),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220), 외부 서버로부터 차량 외부 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외부 정보는 차량(100)의 주행과 관련된 모든 외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외부 정보는 현재 시간 정보, GPS 위치 정보, 지도 정보, 차량(100)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및 도로 정보 및 날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등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 서버와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으며,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0)에 블루투스 모듈, NFC 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60)는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전자 기기에 저장된 친구 또는 가족의 전화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전술한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이면, 어느 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 및 차량(100)에 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240),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스피커(250), 감지부(210)로 부터 수신한 사용자 감정 정보 및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도록 차량에 마련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260),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70)를 포함한다.
저장부(24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260)는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된 감지부(210), 저장부(240) 및 제어부(260)는 메모리나 프로세서를 공유할 수도 있고 별개의 메모리나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70)는 차량(100) 내부의 대시보드(31)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70)는 헤드 유닛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헤드 유닛과 별도로 마련된 내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헤드 유닛은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헤드 유닛은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라 지칭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부(2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표시하거나 피드백 실행을 위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해 필요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또는 전화 걸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화면을 더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2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버튼이나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고, 음성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입력부(220)는 조작부(221) 및 마이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221)는 디스플레이부(270)의 주변에 마련되는 버튼(221a), 운전석(72)과 조수석(73) 사이에 마련된 조그 셔틀(211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조작부(221)가 디스플레이부(270)의 전면에 마련된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디스플레이부(270)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70)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조작부(221)가 스티어링 휠(35)에 마련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부(211)의 종류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222)는 효과적인 음성의 입력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라이닝(34)에 장착될 수 있으나, 차량(10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시보드(31) 위에 장착되거나 스티어링 휠(3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도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기에 적합한 위치이면 어디든 제한이 없다.
차량(1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25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250)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음악 및 감정 해소 메시지를 재생할 수 있으며, 차량(100)에 발생 가능한 각종 위험에 대한 경고음,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피커(250)는 도어(71)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에는 공조 장치가 구비되어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252)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10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통풍구(252)가 운전석(72) 자리와 조수석(73) 자리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차량(100)은 헤드 유닛 외에도 엔진 컨트롤 모듈(Engine Control Module: ECM), 바디 컨트롤 모듈(Body Control Module: BCM), 트랜스미션 컨트롤 모듈(Transmission Control Module: TCM), 안티 브레이크 컨트롤 모듈(Anti-lock Brake Control Module), 도어 컨트롤 모듈, 에어백 컨트롤 모듈, 각종 센서 모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모듈들은 각 모듈의 제어를 수행하는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차량에 마련된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ECU 및 센서들은 차량 내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 때,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이더넷(Ethernet) 등의 통신 프로토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차량(100) 내 사용자는 주행 중 피로, 흥분, 분노, 우울 및 짜증 등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은 차량(100)의 주행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감지부(210)는 주행 중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획득된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할 수 있도록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주행 중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안전 운전을 보장하면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 관련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260)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부정적인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피드백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차량(100)의 운전자 및 동승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0)에는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하기 위해, 다양한 생체 인식 장치가 마련될 수 있고, 생체 인식 장치로서, 사용자의 얼굴 또는 손동작 인식을 위한 카메라(36), 심장 박동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37),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뇌파(EEG, Electroencephalogram) 측정기(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생체 인식을 위한 수단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지부(210)는 차량(100)에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감지 및 측정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제어부(260)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210)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감지하고 취득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 뇌의 활성화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근적외선 분광법(NIRS, Near Infrared Spectroscopy) 측정기, 사용자의 피부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 피부 반응(GSR, Galvanic Skin Response) 측정기,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할 수 있는 심장박동수(HR, Heart Rate) 측정기, 사용자의 안면 상태를 분석 할 수 있는 안면 분석(face analysis) 장치 및 사용자의 눈동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아이 트랙커(Eye Track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10)가 포함할 수 있는 센서들은 위에 상기된 센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람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210)는 뇌파 측정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사용자의 뇌파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10)는 측정된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감정 인자를 추출할 수 있다. 감정 인자는 사용자의 긍정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긍정 감정 인자와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정 인자는 감정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긍정 감정 인자는 즐거움 감정 인자, 기쁨 감정 인자, 유쾌 감정 인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정 감정 인자는 피로 감정 인자, 분노 감정 인자, 짜증 감정 인자, 우울 감정 인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정 인자는 상기된 감정 인자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람의 감정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감정 인자이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감지부(210)는 추출된 감정 인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감정 인자에 비해 분노 감정 인자의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 감지부(210)는 사용자의 감정이 분노임을 판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분노임을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감정 정보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감정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감지부(210)가 획득한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가 분노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분노임을 인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단위 상황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감지부(210)는 차량(100)이 주행하는 동안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제어부(260) 및 저장부(24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위 상황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위 상황은 특정 거리 구간에서의 주행 상황, 특정 지역에서의 주행 상황 및 특정 시간대의 주행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00)이 입구(420) 및 출구(430)을 포함하는 거리 구간(410)을 주행하는 상황이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남대로와 같이 대도시의 특정 대로를 주행하는 상황이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으며, 가로수길과 같이 특정 거리를 주행하는 상황이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다. 즉, 차량(100)이 특정 거리 구간을 주행하는 상황이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이 위치한 특정 지역을 주행하는 상황이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3빌딩과 같이 특정 건물 주변을 주행하는 상황이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으며, 남양읍과 같이 특정 동네를 주행하는 상황이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이 특정 시간대에 주행하는 상황이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근 시간대, 오전 시간대, 점심 시간대, 오후 시간대, 퇴근 시간대, 밤 시간대 및 심야 시간대에 주행하는 각각의 상황들이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통신부(230)가 수신한 GPS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주행하는 경우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는 거리 구간 및 지역 범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차량(100)이 주행하는 경우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는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부(240)는 차량(100)이 주행하는 경우 하나의 단위 상황이 될 수 있는 거리 구간, 지역 범위 및 시간대를 나타내는 단위 상황 구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통신부(230)가 수신한 GPS 위치 정보 및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단위 상황 구분 정보 및 차량(1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현재 단위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이 거리 구간(410)를 주행하는 경우, 제어부(260)는 차량(100)의 현재 단위 상황이 거리 구간(410)에서의 주행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통신부(230)가 수신한 현재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가 주행하는 시간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단위 상황 구분 정보 및 차량(100)가 주행하는 시간대에 기초하여 차량(100)의 현재 단위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주행하고 있는 단위 상황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차량(100)이 특정 단위 상황에서 주행하는 경우, 차량(100)이 주행하는 동안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단위 상황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의 발현 횟수를 집계하고, 특정 단위 상황이 종료하는 시점에서 사용자의 감정 상태의 발현 횟수를 기초하여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주행하는 동안 마주하는 각각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황 정보는 단위 상황 A에서는 피로의 감정 상태가 5번의 발현 횟수를 가지고, 흥분의 감정 상태가 1번의 발현 횟수를 가지고, 분노의 감정 상태가 3번의 발현 횟수를 가지고, 우울의 감정 상태가 1번의 발현 횟수를 가지고, 짜증의 감정 상태가 3번의 발현 횟수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상황 정보는 단위 상황 B, 단위 상황 C 및 단위 상황 D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감정 상태 및 단위 상황은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모든 감정 상태의 발현 횟수가 나타날 수 있으며, 차량(100)이 마주하는 모든 단위 상황에 고려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이전 주행에서 생성한 상황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전 주행에서의 상황 정보는 차량(100)의 주행에 따라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주행하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서 빈번히 발생하였던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서 빈번히 발생하였던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감정 상태를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피드백에 의해 스스로 부정적인 감정을 억제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 조절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차량(100)이 거리 구간(410)의 입구(420)로 진입한 경우, 현재의 단위 상황이 차량(100)이 거리 구간(410)을 주행하는 단위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제어부(260)는 거리 구간(410)을 주행하는 단위 상황인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임계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라 4로 설정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260)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와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단위 상황이 도 5의 단위 상황A인 경우, 임계값인 4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는 피로의 감정 상태가 있음을 판단할 수 있으며, 피로의 감정 상태가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피로의 감정 상태는 부정 감정 인자인 피로 감정 인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어부(260)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가 존재함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를 존재하는 경우,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 장치는 차량(100)의 통신부(230), 스피커(250), 디스플레이부(270)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 및 공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다양한 종류의 피드백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피드백 장치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획득한 전화번호를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족 또는 친구와의 통화를 수행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화는 통신부(230)를 통하여 수행되거나, 통신부(230)와 연결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음악의 소리의 크기, 장르, 이퀄라이저(equalizer), 음색 및 음파 영역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음악을 재생하거나 부정적인 감정의 해소를 유도하는 감정 해소 메시지를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악의 소리의 크기, 장르, 이퀄라이저(equalizer), 음색 및 음파 영역대는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감정 해소 메시지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가 분노인 경우, 클래식 음악을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가 우울인 경우, 댄스 음악을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부정적인 감정의 해소를 유도하는 감정 해소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감정 해소 이미지는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260)는 차량 내 온도를 낮추고 차량 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측면 윈도우를 개폐하도록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차량 내 온도를 낮추도록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를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하도록 감지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감지부(210)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감정 정보에 포함된 감정 상태의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가 포함하고 있는 부정 감정 인자의 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준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피드백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값이다.
부정적인 감정의 정도를 나타내는 부정 감정 인자의 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260)는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 장치는 차량(100)의 통신부(230), 스피커(250), 디스플레이부(270)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 및 공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가 피로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100)을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하고, 차량(100)이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하도록 자율 주행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가 음주로 인한 흥분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100)을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하도록 자율 주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가 분노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100)의 가속 페달 반응도를 감소시키도록 가속 페달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가속 또는 보복 운전을 방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부정 감정 인자의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감정 상태의 정도에 따라 제어되는 피드백 장치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어되는 피드백 장치의 종류 및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가 나타내는 감정 상태의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이 아닌 경우, 단위 상황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한 이후, 단위 상황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단위 상황 구분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상황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단위 상황 구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주행하고 있는 현재의 단위 상황이 다른 단위 상황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단위 상황이 차량(100)이 도 4의 거리 구간(410)을 주행하는 단위 상황인 경우, 제어부(260)는 차량(100)이 출구(430)를 통과함에 기초하여 단위 상황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단위 상황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변경 전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변경 전 단위 상황에서 감지부(210)를 통해 집계된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에 기초하여 저장되어 있는 변경 전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단위 상황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다시 획득하고,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후 측정된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가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피드백 장치를 더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 안내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의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인지한 현재의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어부(260)에 의해 판단된 현재의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분노인 경우, 디스플레이부(270)는 사용자가 현재의 감정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현재 감정 상태는 분노입니다'와 같은 감정 상태 메시지(60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판단된 현재의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출력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에 의해 판단된 현재의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분노인 경우, 스피커(250)는 사용자가 현재의 감정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현재 감정 상태는 분노입니다'와 같은 감정 상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정 상태 메시지는 디스플레이부(270) 또는 스피커(250)를 통하여 현재의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감정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판단된 현재의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 피드백 장치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판단된 현재의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분노인 경우, 클래식 음악을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판단된 현재의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우울인 경우, 댄스 음악을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되는 피드백 장치의 출력에 따라 자신의 현재 감정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후 판단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후 판단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전의 감정 상태인 분노의 감정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70)는 사용자가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전의 감정 상태가 해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분노의 감정 상태가 해소되었습니다'와 같은 감정 상태 메시지(65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후 판단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표시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후 판단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전의 감정 상태인 분노의 감정 상태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스피커(250)는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전의 감정 상태가 해소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분노의 감정 상태가 해소되었습니다'와 같은 감정 상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정 상태 메시지는 디스플레이부(270) 또는 스피커(250)를 통하여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전의 감정 상태가 해소되었음을 나타내는 감정 상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감정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기간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장기(long-term)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 받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260)는 감지부(210)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기간 동안 발현된 감정 상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집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60)는 집계된 단위 기간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장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사용자 장기 정보는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기 정보는 단위 기간 단위로 저장 또는 갱신될 수 있다. 단위 기간은 일주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260)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장기 정보는 감정 상태 별 단위 기간 동안 발현 회수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기 정보는 해당 단위 기간 동안 우울의 감정 상태가 13번의 발현 횟수를 가지고, 짜증의 감정 상태가 5번의 발현 횟수를 가지고, 산만의 감정 상태가 6번의 발현 횟수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감정 상태는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모든 감정 상태의 발현 횟수가 나타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이전 주행에서 생성한 사용자 장기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전 주행에서의 사용자 장기 정보는 차량(100)의 주행에 따라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사용자 장기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기간 동안 빈번히 발생하였던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단위 기간 동안 빈번히 발생하였던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감정 상태를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피드백에 의해 스스로 부정적인 감정을 억제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 조절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기준일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장기 정보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기준일은 사용자 장기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기간 동안 자주 발생하는 감정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특정일일 수 있다. 기준일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임계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라 10으로 설정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260)는 사용자 장기 정보와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기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기 정보가 도 7의 사용자 장기정보인 경우, 임계값인 10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는 우울의 감정 상태가 있음을 판단할 수 있으며, 우울의 감정 상태가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우울의 감정 상태는 부정 감정 인자인 우울 감정 인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어부(260)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가 존재함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 장기 정보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를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자주 발생하는 감정 상태에 대한 피드백 실행에 대해 동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하여 '피드백을 실행하시겠습니까?'와 같이 사용자에게 피드백 실행에 대해 동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 메시지(800)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확인 메시지(800)는 '예'와 같이 피드백 실행에 대해 동의를 나타내는 버튼(810)과 '아니오'와 같이 피드백 실행에 대해 거절을 나타내는 버튼(8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70)의 주변에 마련되는 버튼(221a), 운전석(72)과 조수석(73) 사이에 마련된 조그 셔틀(211b) 또는 디스플레이부(270)의 전면에 마련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확인 메시지(800) 상의 버튼(810, 820)을 선택함으로써 피드백 실행에 대한 동의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마이크(222)를 통해 음성으로 피드백 실행에 대한 동의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가 피드백 실행에 대해 동의하는 경우, 사용자 장기 정보 상의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를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로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 장기 정보 상의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가 복수인 경우, 최대 발현 회수의 감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 장기 정보 상의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가 복수이고, 최대 발현 회수의 감정 상태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최대 발현 회수의 감정 상태들 중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하여 '우울 및 짜증 중 어떤 감정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으시겠습니까?'와 같이 사용자에게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850)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850)은 '우울' 및 '짜증'과 같이 사용자 장기 정보 상의 복수의 최대 발현 회수를 갖는 감정 상태의 감정 상태 리스트(860, 8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감정 상태는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모든 감정 상태에 대한 요청 메시지(850) 및 감정 상태 리스트가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70)의 주변에 마련되는 버튼(221a), 운전석(72)과 조수석(73) 사이에 마련된 조그 셔틀(211b) 또는 디스플레이부(270)의 전면에 마련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요청 메시지(850) 상의 감정 상태 리스트 중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제공받고자 하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마이크(222)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받고자 하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선택된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 장치는 차량(100)의 통신부(230), 스피커(250), 디스플레이부(270)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 및 공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다양한 종류의 피드백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피드백 장치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획득한 전화번호를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족 또는 친구와의 통화를 수행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화는 통신부(230)를 통하여 수행되거나, 통신부(230)와 연결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음악의 소리의 크기, 장르, 이퀄라이저(equalizer), 음색 및 음파 영역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음악을 재생하거나 부정적인 감정의 해소를 유도하는 감정 해소 메시지를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악의 소리의 크기, 장르, 이퀄라이저(equalizer), 음색 및 음파 영역대는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감정 해소 메시지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가 분노인 경우, 클래식 음악을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가 우울인 경우, 댄스 음악을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부정적인 감정의 해소를 유도하는 감정 해소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감정 해소 이미지는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260)는 차량 내 온도를 낮추고 차량 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측면 윈도우를 개폐하도록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차량 내 온도를 낮추도록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일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제어부(260)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900).
제어부(260)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와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910).
제어부(260)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를 존재하는 경우(920의 예),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960).
제어부(260)는 선택된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피드백 장치는 차량(100)의 통신부(230), 스피커(250), 디스플레이부(270)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 및 공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다양한 종류의 피드백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피드백 장치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획득한 전화번호를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족 또는 친구와의 통화를 수행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화는 통신부(230)를 통하여 수행되거나, 통신부(230)와 연결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음악의 소리의 크기, 장르, 이퀄라이저(equalizer), 음색 및 음파 영역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음악을 재생하거나 부정적인 감정의 해소를 유도하는 감정 해소 메시지를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악의 소리의 크기, 장르, 이퀄라이저(equalizer), 음색 및 음파 영역대는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감정 해소 메시지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가 분노인 경우, 클래식 음악을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가 우울인 경우, 댄스 음악을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부정적인 감정의 해소를 유도하는 감정 해소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감정 해소 이미지는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260)는 차량 내 온도를 낮추고 차량 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측면 윈도우를 개폐하도록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차량 내 온도를 낮추도록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를 존재하지 않는 경우(920의 아니오),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930).
구체적으로, 감지부(210)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어부(260)는 감지부(210)로부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260)는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감정 정보가 나타내는 감정 상태의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940).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가 포함하고 있는 부정 감정 인자의 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준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감정 상태가 피드백 장치의 제어가 필요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값이다.
부정적인 감정의 정도를 나타내는 부정 감정 인자의 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950의 예), 제어부(260)는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960).
피드백 장치는 차량(100)의 통신부(230), 스피커(250), 디스플레이부(270)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 및 공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260)는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가 피로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100)을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하고, 차량(100)이 사용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하도록 자율 주행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가 음주로 인한 흥분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100)을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하도록 자율 주행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가 분노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100)의 가속 페달 반응도를 감소시키도록 가속 페달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가속 또는 보복 운전을 방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부정 감정 인자의 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감정 상태의 정도에 따라 제어되는 피드백 장치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어되는 피드백 장치의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 감정 정보가 나타내는 감정 상태의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이 아닌 경우(950의 아니오) 또는 960의 피드백 장치 제어 이후, 단위 상황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970).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단위 상황 구분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상황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단위 상황 구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주행하고 있는 현재의 단위 상황이 다른 단위 상황으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단위 상황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980의 예), 변경 전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990).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변경 전 단위 상황에서 감지부(210)를 통해 집계된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에 기초하여 저장되어 있는 변경 전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단위 상황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980의 아니오), 사용자 감정 정보를 다시 획득하고(930),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후 측정된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940),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가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피드백 장치를 더 제어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260)는 기준일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 장기 정보를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1000). 기준일은 사용자 장기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기간 동안 자주 발생하는 감정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는 특정일일 수 있다. 기준일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임계값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라 10으로 설정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260)는 사용자 장기 정보와 임계값의 비교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기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10).
제어부(260)는 사용자 장기 정보 상에서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를 존재하는 경우(1020의 예), 사용자의 자주 발생하는 감정 상태에 대한 피드백 실행에 대해 동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030).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하여 '피드백을 실행하시겠습니까?'와 같이 사용자에게 피드백 실행에 대해 동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확인 메시지는 '예'와 같이 피드백 실행에 대해 동의를 나타내는 버튼과 '아니오'와 같이 피드백 실행에 대해 거절을 나타내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70)의 주변에 마련되는 버튼(221a), 운전석(72)과 조수석(73) 사이에 마련된 조그 셔틀(211b) 또는 디스플레이부(270)의 전면에 마련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확인 메시지 상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피드백 실행에 대한 동의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마이크(222)를 통해 음성으로 피드백 실행에 대한 동의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자가 피드백 실행에 대해 동의하는 경우(1040의 예), 사용자 장기 정보 상의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 중 최대 발현 횟수의 감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1050).
구체적으로, 제어부(260)는 사용자 장기 정보 상의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 중 최대 발현 회수의 감정 상태를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60)는 사용자 장기 정보 상의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가 복수인 경우, 최대 발현 횟수의 감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기 정보 상의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가 하나인 경우, 하나의 감정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사용자 장기 정보 상의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감정 상태가 복수이고, 최대 발현 회수의 감정 상태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최대 발현 회수의 감정 상태들 중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하여 '우울 및 짜증 중 어떤 감정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으시겠습니까?'와 같이 사용자에게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은 '우울' 및 '짜증'과 같이 사용자 장기 정보 상의 복수의 최대 발현 회수를 갖는 감정 상태의 감정 상태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70)의 주변에 마련되는 버튼(221a), 운전석(72)과 조수석(73) 사이에 마련된 조그 셔틀(211b) 또는 디스플레이부(270)의 전면에 마련된 터치 패드를 이용하여 요청 메시지 상의 감정 상태 리스트 중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를 선택함으로써 제공받고자 하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마이크(222)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받고자 하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선택된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1060).
피드백 장치는 차량(100)의 통신부(230), 스피커(250), 디스플레이부(270)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 및 공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다양한 종류의 피드백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시각적, 청각적 및 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피드백 장치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획득한 전화번호를 기초하여 사용자의 가족 또는 친구와의 통화를 수행하도록 통신부(23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통화는 통신부(230)를 통하여 수행되거나, 통신부(230)와 연결된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음악의 소리의 크기, 장르, 이퀄라이저(equalizer), 음색 및 음파 영역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음악을 재생하거나 부정적인 감정의 해소를 유도하는 감정 해소 메시지를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음악의 소리의 크기, 장르, 이퀄라이저(equalizer), 음색 및 음파 영역대는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감정 해소 메시지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가 분노인 경우, 클래식 음악을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감정 상태가 우울인 경우, 댄스 음악을 재생하도록 스피커(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부정적인 감정의 해소를 유도하는 감정 해소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7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감정 해소 이미지는 부정 감정 인자에 대응되는 감정 상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260)는 차량 내 온도를 낮추고 차량 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측면 윈도우를 개폐하도록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차량 내 온도를 낮추도록 공조 장치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부정 감정 인자가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반영하여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을 예방하고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210: 감지부
220: 입력부
230: 통신부
240: 저장부
250: 스피커
260: 제어부
270: 디스플레이부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상기 획득된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위 상황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및 단위 기간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장기(long-term)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상황 정보, 상기 사용자 장기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도록 차량에 마련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제1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제1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단위 상황은, 특정 시간대의 주행 상황, 특정 거리 구간에서의 주행 상황 및 특정 지역에서의 주행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는 상기 제1 감정 상태가 존재하지 않고, 현재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나타내는 제2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후 획득된 사용자 감정 정보가 나타내는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더 제어하는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의 단위 상황이 다른 단위 상황으로 변경되는 경우, 변경 전 단위 상황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전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갱신하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장기 정보를 제2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제3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3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감정 상태가 복수인 경우, 최대 발현 횟수 및 상기 제3 감정 상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의 제3 감정 상태를 선택하는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드백 장치의 제어를 제안하는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장치는,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 음악 및 감정 해소 메시지를 재생하는 스피커, 감정 해소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측면 윈도우를 개폐하는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 및 차량 내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11.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감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위 상황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상황 정보 및 단위 기간에서의 감정 상태 별 발현 횟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장기(long-term)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상황 정보, 상기 사용자 장기 정보 및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조절하도록 차량에 마련된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현재의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제1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제1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위 상황은, 특정 시간대의 주행 상황, 특정 거리 구간에서의 주행 상황 및 특정 지역에서의 주행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는 상기 제1 감정 상태가 존재하지 않고, 현재의 사용자 감정 정보가 나타내는 제2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장치에 대한 제어 이후 획득된 사용자 감정 정보가 나타내는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부정 감정 인자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더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단위 상황이 다른 단위 상황으로 변경되는 경우, 변경 전 단위 상황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 감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전 단위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기 정보를 제2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의 발현 횟수를 갖고 상기 사용자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부정 감정 인자를 포함하는 제3 감정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3 감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상기 부정 감정 인자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감정 상태가 복수인 경우, 최대 발현 횟수 및 상기 제3 감정 상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하나의 제3 감정 상태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장치의 제어를 제안하는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피드백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장치는,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부, 음악 및 감정 해소 메시지를 재생하는 스피커, 감정 해소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측면 윈도우를 개폐하는 측면 윈도우 개폐 장치 및 차량 내 온도를 조절하는 공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80105293A 2018-09-04 2018-09-0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7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293A KR20200027236A (ko) 2018-09-04 2018-09-0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6/216,615 US20200073478A1 (en) 2018-09-04 2018-12-11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293A KR20200027236A (ko) 2018-09-04 2018-09-0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236A true KR20200027236A (ko) 2020-03-12

Family

ID=6963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293A KR20200027236A (ko) 2018-09-04 2018-09-04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073478A1 (ko)
KR (1) KR202000272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2183B2 (en) * 2017-06-30 2020-05-12 Intel Corporation Incoming communication filtering system
US10960838B2 (en) 2019-01-30 2021-03-30 Cobalt Industries Inc. Multi-sensor data fusion for automotive systems
US10967873B2 (en) 2019-01-30 2021-04-06 Cobalt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and monitoring driver physical attention
US11573995B2 (en) * 2019-09-10 2023-0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alyzing the tone of textual data
KR20210051054A (ko) * 2019-10-29 2021-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뇌파 신호를 이용한 모빌리티 탑승자의 승차감 판단 장치
CN113320537A (zh) * 2021-07-16 2021-08-31 北京航迹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和系统
DE102022107293A1 (de) * 2022-03-28 2023-09-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ssistenzsystem und Assistenzverfahren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2620B2 (en) * 2007-05-23 2011-07-1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boredom while driving
US9149236B2 (en) * 2013-02-04 2015-10-06 Intel Corpor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emotional state of a vehicle operator
EP2817176A4 (en) * 2013-04-15 2016-08-10 Autoconnect Holdings Llc USER INTERFACE AND VIRTUAL PERSONALITY PRESENTATION BASED ON USER PROFILES
US10209949B2 (en) * 2016-08-23 2019-02-19 Google Llc Automated vehicle operator stress re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73478A1 (en)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7236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0317900B2 (en) Controlling autonomous-vehicle functions and output based on occupant position and attention
CN109416733B (zh) 便携式个性化
US9956963B2 (en) Apparatus for assessing, predicting, and responding to driver fatigue and drowsiness levels
US10908677B2 (en) Vehicle system for providing driver feedback in response to an occupant's emotion
US10035518B2 (en) Gaze driven interaction for a vehicle
EP2857276B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US20170349184A1 (en) Speech-based group interactions in autonomous vehicles
US20170352267A1 (en) Systems for providing proactive infotainment at autonomous-driving vehicles
US9188449B2 (en) Controlling in-vehicle computing system based on contextual data
US20170217445A1 (en) System for intelligent passenger-vehicle interactions
EP3067827A1 (en) Driver distraction detection system
KR102574937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18062321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US11595878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wearable displays during vehicle operation
US10666901B1 (en) System for soothing an occupant in a vehicle
KR102625398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003248B2 (en) Emotion mapping method, emotion mapping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40013829A (ko) 콘텐츠 표시순위 결정 장치, 콘텐츠 표시순위 결정 장치의 제어방법 및 콘텐츠 표시순위 결정 장치를 포함한 차량
KR20190083396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03521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1383640B2 (en)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reducing annoyance levels of drivers when using driver monitoring systems
US20240115176A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utomotive stress and/or anxiety in vehicle operators and implement remediation measures via the cabin environment
JP7360916B2 (ja) 情報出力装置及び情報出力方法
WO20231268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river monitoring using in-cabin contextual aware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