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194A - 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 Google Patents

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194A
KR20200027194A KR1020180105209A KR20180105209A KR20200027194A KR 20200027194 A KR20200027194 A KR 20200027194A KR 1020180105209 A KR1020180105209 A KR 1020180105209A KR 20180105209 A KR20180105209 A KR 20180105209A KR 20200027194 A KR20200027194 A KR 20200027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movement position
pedal
brak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2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9437B1 (en
Inventor
김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437B1/en
Publication of KR2020002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1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4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3/00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 F16D63/004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rakes combining more than one of the types of groups F16D49/00 - F16D61/00 comprising a rotor engaged both axially and radially by braking members, e.g. combined drum and dis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re a braking device of a vehicle and a braking control method. The braking device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master cylinder that forms hydraulic pressure as a brake pedal is pressed; a second master cylinder that forms braking hydraulic pressure through a piston pressed by a nut mov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a motor and the hydraulic pressure formed by the first master cylinder; and a control unit that calculates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based on the pedal stroke of the brake pedal to control the motor, wherein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is divided into a first half section and a second half section and the slope of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to the pedal stroke is differently set in the first half section and the second half section to control the motor.

Description

차량의 제동 장치 및 제동 제어 방법{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Vehicle braking system and braking control method {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 장치 및 제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페달 시뮬레이터가 장착되지 않은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적절한 페달감을 제공하여 감성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차량의 제동 장치 및 제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device and a braking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More specifically, in an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that is not equipped with a pedal simulator, a vehicle braking device and braking system to secure an emotional quality by providing an appropriate pedal feeling to a driver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최근, 연비 개선을 위한 Vacuum-free Brake System을 구현하고, 긴급 제동 시스템(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과 같은 능동 제동 액추에이터 및 전기 자동차의 회생 제동 협조 제어를 구현하기 위해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Recently, the electric-powered brake system has been expanded to implement a vacuum-free brake system for improving fuel efficiency, and to implement active braking actuators such as an emergency braking system (AEB) and regenerative braking cooperative control of electric vehicles. to be.

일반적으로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은 기존의 진공 부스터의 제동 메카니즘을 대부분 유지하되, 진공 부스터와 같이 공기압과 진공압(Vacuum Pressure) 간의 차압으로 제동 유압을 배력하는 대신,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전동 부스터(즉, 모터)의 힘으로 제동 유압을 배력하는 점에서 진공 부스터와 그 배력 메카니즘 상의 차이점이 존재한다.In general, the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maintains most of the braking mechanism of the existing vacuum booster, but instead of boosting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with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air pressure and vacuum pressure like vacuum booster, electric booster using electric energy (that is,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vacuum booster and its boosting mechanism in that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is boosted by the power of the motor).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은 페달 시뮬레이터의 장착 여부에 따라 두 가지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페달 시뮬레이터가 장착된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의 경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하여 발생하는 운전자의 페달력을 차단하고 전동 부스터의 힘만으로 제동을 수행하며, 운전자의 페달감에 있어서는 페달 시뮬레이터의 고무 댐퍼 또는 스프링에 의한 반력을 통해 운전자로 하여금 기존의 진공 부스터 방식의 제동 시스템이 제공하였던 페달감과 유사한 페달감을 느끼도록 한다.The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whether a pedal simulator is installed. In the case of the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equipped with a pedal simulator, the driver cuts off the pedal force of the driver generated by putting in the brake pedal and performs braking with only the power of the electric booster.For th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the rubber damper of the pedal simulator or The reaction force by the spring allows the driver to feel the pedal feeling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vacuum booster braking system.

반면, 페달 시뮬레이터가 장착되지 않은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의 경우, 제동력 중 일부를 운전자의 페달 답력이 부담하는 방법으로 운전자의 페달감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전동 부스터의 배력비가 10:1이라면 전체 제동력 중 10%는 운전자의 페달 답력이 부담하는 제동력이고 90%는 전동 부스터가 부담하는 제동력이 된다. 즉, 페달 시뮬레이터가 장착되지 않은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의 경우에는 전체 제동력 중 일부를 운전자의 페달 답력이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페달감을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not equipped with a pedal simulator, a part of the braking force is formed by the driver's pedal effort to form the driver's pedal feeling. For example, if the booster ratio of the electric booster is 10: 1, 10% of the total braking force is the braking force of the driver's pedal effort, and 90% is the braking force of the electric booster. That is, in the case of the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without the pedal simulator, a portion of the entire braking force is applied to the pedal pedal force of the driver to form a pedal feeling of the driver.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4300호(2008.05.20 공개, 자동차 제동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44300 (2008.05.20 published, automotive braking system).

페달 시뮬레이터가 장착된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의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추가적인 부품이 요구되기 때문에 원가 및 사이즈 측면에서는 단점이 존재하지만 운전자의 페달감을 형성하기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In the case of an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equipped with a pedal simulator, there are disadvantages in terms of cost and size because additional parts such as a solenoid valve are required, but have an advantage of easily forming a pedal feeling of the driver.

반면, 페달 시뮬레이터가 장착되지 않은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의 경우, 운전자의 적절한 페달감을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적절한 페달감은 기존의 진공 부스터 방식의 제동 시스템이 제공하였던 페달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기존의 진공 부스터 방식의 제동 시스템이 제공하였던 제동감 및 페달감에 익숙해져 있으나, 전술한 것과 같이 진공 부스터의 배력 메카니즘과 전동 부스터의 배력 메카니즘은 상이하기 때문에, 페달 시뮬레이터가 장착되지 않은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에 대하여 기존의 진공 부스터 방식의 제동 시스템이 제공하였던 페달감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without a pedal simulat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form an appropriat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An appropriate pedal feeling here may mean a pedal feeling provided by a conventional vacuum booster braking system. That is, the driver is accustomed to the braking feeling and pedal feeling provided by the conventional vacuum booster type braking system, but 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booster has a different power boosting mechanism from the electric booster, so a pedal simulator is not installed. For the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pedal feeling provided by the conventional vacuum booster braking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달 시뮬레이터가 장착되지 않은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적절한 페달감을 제공하여 감성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차량의 제동 장치 및 제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aspect is a vehicle for securing an emotional quality by providing an appropriate pedal feeling to a driver in an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without a pedal simulator. It is to provide a braking device and a brak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됨에 따라 유압을 형성하는 제1 마스터 실린더; 제1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형성된 유압과 모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너트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을 통해 제동 유압을 형성하는 제2 마스터 실린더; 및 브레이크 페달의 페달 스트로크를 토대로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를 산출하여 모터를 제어하되, 제1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으로 구분하고,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에서의 페달 스토로크와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의 기울기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aster cylinder that forms a hydraulic pressure when a brake pedal is pressed; A second master cylinder forming a braking hydraulic pressure through a hydraulic pressure formed by the first master cylinder and a piston pressed by a nut mov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controlling the motor by calculating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based on the pedal stroke of the brake pedal, but classify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into a first half section and a second half section, and pedal stroking in the first half section and the second half sec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tor by setting the inclination of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differently.

본 발명에서 전반구간은, 제2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스트로크 구간과 캘리퍼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 무효 스트로크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alf section is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in the system includ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and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caliper.

본 발명에서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라 전반구간의 기울기는 급경사로 설정하고,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완경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pe of the first half is set to steep slope and the slope of the second half is set to slow slope according to the change speed of the pedal stroke.

본 발명에서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급제동인 경우 전반구간의 기울기와 후반구간의 기울기의 부호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pe of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 of the slope of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s opposite in case of sudden braking.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페달 스트로크가 제1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벗어나는 시점인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의 이동 위치에 근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quired moving position is updated based o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which is the time when the pedal stroke leaves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발명에서 제어부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의 이동 위치가 기준 요구 이동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되, 기준 요구 이동 위치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요구 이동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when the nut movement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but the referenc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is a requested movement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Is done.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by updating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요구 이동 위치에서 차이값을 감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is updated by subtracting the difference value from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요구 이동 위치에서 임계치를 감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ifference value exceeds a preset threshold,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is updated by subtracting the threshold from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브레이크 페달의 페달 스트로크가 미리 설정된 임계 스트로크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페달 스트로크가 임계 스트로크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가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를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가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라 제1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으로 구분하고,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에서의 페달 스토로크와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의 기울기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페달 스트로크에 대한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를 기반으로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raking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pedal stroke of a brake ped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strok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al strok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itical stroke, the control unit determining a change speed of the pedal stroke;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into a first half section and a second half section according to the speed of change of the pedal stroke, and sets differently the slope of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pedal stoke and the nut in the first half section and the second half section. step; And controlling the motor based on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with respect to the pedal stroke.

본 발명에서 전반구간은, 제2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스트로크 구간과 캘리퍼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 무효 스트로크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alf section is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in the system includ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and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caliper.

본 발명에서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라 전반구간의 기울기는 급경사로 설정하고,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완경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pe of the first half is set to steep slope and the slope of the second half is set to slow slope according to the change speed of the pedal stroke.

본 발명에서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급제동인 경우 전반구간의 기울기와 후반구간의 기울기의 부호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ope of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 of the slope of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s opposite in case of sudden braking.

본 발명에서 제어부가, 페달 스트로크가 제1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 스트로크가 종료되는 지점인 무효 스트로크 종료 지점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페달 스트로크가 무효 스트로크 종료 지점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가 페달 스트로크가 무효 스트로크 종료 지점에 도달한 시점인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의 이동 위치에 근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pedal stroke has reached an invalid stroke end point, which is a point at which the invalid stroke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ends;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al stroke has reached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based on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which is the time when the pedal stroke has reached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본 발명에서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의 이동 위치가 기준 요구 이동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되, 기준 요구 이동 위치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요구 이동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tep of updating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when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but the referenc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ends the invalid strok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e required moving position at the time point.

본 발명에서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updating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nut moving position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본 발명에서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요구 이동 위치에서 차이값을 감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tep of updating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by subtracting the difference value from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본 발명에서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요구 이동 위치에서 임계치를 감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step of updating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fference value exceeds a preset threshold,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by subtracting the threshold from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 및 제동 제어 방법은 페달 시뮬레이터와 같은 추가적인 부품 없이 운전자의 페달감을 개선함으로써 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터의 전류 제어가 아닌 위치 제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제동 장치의 내부 부재 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운전자의 페달감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페달감을 최적화함으로써 감성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The braking device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cost competitiveness by improving a driver's pedal feeling without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a pedal simulator, and braking by applying a position control method rather than a motor current control The problem that th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is lowered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internal members of the device can be solved, and the emotional quality can be secured by optimizing th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페달 스트로크 및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 간의 관계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운전자의 페달감이 느껴지지 않는 경우의 너트의 이동 위치, 및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를 비교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 너트가 기준 요구 이동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절대 기준에서의 거동 및 실제 거동을 각각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른 무효 스트로크 구간에서의 페달 스트로크에 대한 요구 이동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요구 이동 위치가 갱신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요구 이동 위치가 갱신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에서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edal stroke and a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a nut in a brak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a moving position of a nut and a required moving position of a nut when a driver's pedal feeling is not felt in a brak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behavior in the absolute reference and the actual behavior, respectively, when the nut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required movement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in the brak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quired moving position for a pedal stroke in an invalid stroke section according to a change speed of a pedal stroke in a brak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requested movement position is updated in a brak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is updat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exceeds the threshold in the brak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rak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for specifically explaining a step of updating a required moving position in a brak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 및 제동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braking device and a brak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페달 스트로크 및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 간의 관계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운전자의 페달감이 느껴지지 않는 경우의 너트의 이동 위치, 및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를 비교한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 너트가 기준 요구 이동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절대 기준에서의 거동 및 실제 거동을 각각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른 무효 스트로크 구간에서의 페달 스트로크에 대한 요구 이동 위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요구 이동 위치가 갱신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에서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요구 이동 위치가 갱신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a pedal stroke and a required moving position of a nut in a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comparing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and the required moving position of the nut when the driver's pedal feeling is not felt in the brak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behavior in the absolute reference and the actual behavior, respectively, when the nut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required movement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in the brak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a pedal stroke in an invalid stroke section according to a change speed of a pedal stroke in a vehicl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requested movement position is updated in a braking apparatu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is updated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in the braking device of the vehic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장치는, 브레이크 페달(10)이 가압됨에 따라 유압을 형성하는 제1 마스터 실린더(20), 제1 마스터 실린더(20)에 의해 형성된 유압 및 모터(30)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가압되는 푸쉬로드(45)를 통해 제2 마스터 실린더(50)로 제동력을 전달하는 제동력 전달부(40), 푸쉬로드(45)에 의해 가압되는 내부 피스톤(51)을 통해 제동 유압을 형성하는 제2 마스터 실린더(50), 및 페달 센서(미도시)로부터 입력된 브레이크 페달(10)의 페달 스트로크를 토대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를 산출하여 모터(3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brak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and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to form a hydraulic pressure as the brake pedal 10 is pressed The hydraulic power and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30 are converted to linear motion, and the braking force transmission unit 40 and the push rod 45 transmit braking force to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through the push rod 45 that is pressurized. Request of the nut 43 based on the pedal stroke of the brake pedal 10 input from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and the pedal sensor (not shown), which forms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through the internal piston 51 that is pressed by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60 for controlling the motor 30 by calculating the movement position.

본 실시예에서 피스톤이라 함은 제동력 전달부(40)의 푸쉬로드(45) 및 제2 마스터 실린더(50)의 내부 피스톤(51)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한다. 또한 내부 피스톤(51)은 실린더 바디(미도시)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내부 피스톤 및 제2 내부 피스톤을 포함하며, 제1 내부 피스톤 및 제2 내부 피스톤은 상호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실린더 바디 내부에 복수의 유압실(53)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iston is defined as a meaning including the push rod 45 of the braking force transmission unit 40 and the inner piston 51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In addition, the inner piston 51 includes a first inner piston and a second inner piston that are movably inserted inside a cylinder body (not shown), and the first inner piston and the second inner piston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cylinder body. A plurality of hydraulic chambers 53 may be formed therein.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0)을 가압함에 따라 발생된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유압은 제동력 전달부(40)의 푸쉬로드(45)를 가압하며, 가압된 푸쉬로드(45)의 이동에 따라 제2 마스터 실린더(50)의 내부 피스톤(51)이 가압된다. 푸쉬로드(45)에 작용하는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유압은 제2 마스터 실린더(50)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제동력(즉, 제동 유압) 중 운전자의 페달 답력이 부담하는 제동력을 의미한다.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generated when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10 presses the push rod 45 of the braking force transmission unit 40, 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ressurized push rod 45 The inner piston 51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is pressurized.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acting on the push rod 45 means the braking force that is applied by the pedal pedal force of the driver among the total braking force (ie, braking hydraulic pressure) formed by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유압에 의해 가압되는 푸쉬로드(45)는 모터(30)의 회전 운동이 스크류(41) 및 너트(43)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기어 또는 벨트(미도시) 등의 동력 전달 부재를 통해 모터(30) 및 스크류(41)를 연결하여 모터(3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스크류(41)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너트(43)에 의해서도 가압되며, 가압된 푸쉬로드(45)의 이동에 따라 제2 마스터 실린더(50)의 내부 피스톤(51)이 가압된다. 푸쉬로드(45)에 대한 너트(43)의 가압력은 제2 마스터 실린더(50)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제동력 중 모터(30)가 부담하는 제동력을 의미한다.The push rod 45, which is pressurized by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30 into a linear motion by a screw 41 and a nut 43 (gear or belt (not shown). ) The motor 30 and the screw 41 are connected through a power transmission member such as) to conver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otor 30 into a linear motion) Nut 43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crew 41 It is also pressurized by, and the inner piston 51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is pressuriz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ush rod 45 pressed. The pressing force of the nut 43 against the push rod 45 means the braking force that the motor 30 bears among the total braking force formed by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따라서 제2 마스터 실린더(50)에 의해 형성되는 제동력은 수학식 1에 따라 모터(30)의 힘과 운전자의 페달 답력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braking force formed by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may be determined as the sum of the force of the motor 30 and the pedal effort of the driver according to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10:1의 배력비를 갖는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을 예시로서 설명하면, 제어부(60)가 페달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페달 스트로크에 근거하여 산출한 전체 제동력이 100%인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제어부(60)가 푸쉬로드(45)에 대한 너트(43)의 가압력이 전체 제동력의 90%가 되도록 모터(30)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면 운전자의 페달 답력은 전체 제동력의 10%가 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동 장치는 10:1의 배력비를 갖는 진공 부스터처럼 거동될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When an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having a power ratio of 10: 1 is described as an exampl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total braking force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60 based on the pedal stroke received from the pedal sensor is 100%, the controller 60 If th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30 is controlled such that the pressing force of the nut 43 against the push rod 45 is 90% of the total braking force, the pedal effort of the driver becomes 10% of the total braking force, so in this embodiment The resulting braking device can be considered to behave like a vacuum booster with a power ratio of 10: 1.

다만, 전동식 부스터 제동 시스템의 실제 거동에 있어서, 제동 시스템의 내부 마찰의 영향, 이를테면 피스톤, 및 피스톤을 실링하는 실링 부재 사이의 마찰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수학식 1은 수학식 2로 표현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However, in the actual behavior of the electric booster braking system, since the influence of internal friction of the braking system, such as friction between the piston and the sealing member sealing the piston, etc., must be taken into account, Equation 1 is more accurately expressed by Equation 2. Do.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이때, 수학식 2의 마찰력은 일정한 값, 또는 페달 스트로크에 비례하는 값을 갖는 것이 아닌, 스틱-슬립(Stick-Slip) 거동에 따라 수시로 가변하는 값을 갖게 된다. At this time, the frictional force of Equation 2 does not have a constant value or a value proportional to the pedal stroke, but has a value that varies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stick-slip behavior.

예를 들어, 제어부(60)가 전체 제동력 100% 중 90%를 모터(30)가 부담하도록 모터(30)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더라도, 운전자가 항상 10%의 제동력을 부담하는 것이 아닌, 마찰력의 크기에 따라 더 큰 제동력을 부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예를 들어, 마찰력이 5%인 경우 운전자는 15%의 힘을 부담해야 한다). 즉, 모터(30)의 전류 제어 방식에 있어서는 마찰력의 크기에 따라 운전자의 페달 답력이 수시로 가변하는 값을 갖게 되어 운전자의 페달감이 저하된다. For example, even if the controller 60 controls the current applied to the motor 30 so that the motor 30 bears 90% of the total braking force 100%, the driver does not always bear the braking force of 10%, but the friction forc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vehicle,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a greater braking force is applied (for example, if the friction force is 5%, the driver must bear 15% of the force). That is, in the current control method of the motor 30, the pedal pedal force of the driver has a variable value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decreases.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모터(30)의 전류 제어가 아닌 위치 제어 방법을 적용하여 제동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60)는 브레이크 페달(10)의 페달 스트로크를 토대로 제2 마스터 실린더(50)에 구비되는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요구 이동 위치를 너트(43)가 추종하도록 모터(30)를 제어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ler 60 applies the position control method, not the current control of the motor 30, to perform braking. That is, the control unit 60 calcul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provided in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based on the pedal stroke of the brake pedal 10, and the nut 43 calculates the calculated requested movement position. The motor 30 is controlled to follow.

제어부(60)가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in which the control unit 60 calculates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제동 시스템의 강성은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의 이동량 및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유압과의 관계를 의미하며, 시스템 사양에 따라 그 강성 특성은 미리 정의되어 있다. 페달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페달 스트로크를 토대로 제어부(60)에 의해 목표 제동 유압이 결정되면, 제동 시스템의 강성 특성은 미리 확보되어 있으므로 제어부(60)는 마스터 실린더의 피스톤의 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The rigidity of the braking system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piston of the master cylinder and the hydraulic pressure generated by the movement of the piston, and its rigidity characteristics are predefined according to the system specifications. When the target braking hydraulic pressure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60 based on the pedal stroke input from the pedal sensor, the rigidity characteristic of the braking system is secured in advance, so the control unit 60 can calculate the movement amount of the piston of the master cylinder.

운전자의 페달 답력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유압, 및 푸쉬로드(45) 간의 전달계에도 강성이 존재하며(실링(sealing) 재질의 강성 등),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유압, 및 푸쉬로드(45)의 이동량의 비를 1차 강성으로 정의하면, 내부 피스톤(51)의 위치 제어를 위해 수학식 3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formed by the pedal effort of the driver, and the rigidity also exist in the transmission system between the push rods 45 (such as the rigidity of the sealing material),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When the ratio of the hydraulic pressure and the movement amount of the push rod 45 is defined as the primary rigidity, it can be derived as in Equation 3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internal piston 5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학식 3에서 운전자의 페달 답력은 너트(43)의 이동량이 많으면 감소하고 너트(43)의 이동량이 작으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Equation 3, it can be seen that the pedal effort of the driver decreases when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nut 43 is large and increases when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nut 43 is small.

수학식 3에서 '운전자의 페달 답력 / 1차 강성' 값은 페달 스트로크에서 페달비를 나눈 값과 동일하고, 페달비는 차량에 따라 특정 값을 갖기 때문에 '운전자의 페달 답력 / 1차 강성' 값은 페달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페달 스트로크에 비례하는 값이 된다. 따라서, 수학식 3은 수학식 4로 표현될 수 있다.In Equation 3, the value of 'driver's pedal effort / primary stiffness' is the same as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edal ratio in the pedal stroke, and the pedal ratio has a specific value depending on the vehicle, so the value of 'driver's pedal effort / primary stiffness' Is a value proportional to the pedal stroke received from the pedal sensor. Accordingly, Equation 3 may be expressed by 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 4에서 '이동량'은 '이동 위치'와 동일한 개념이며, 내부 피스톤(51)의 요구 이동량(이동 위치)은 최종 제동력(즉, 제동 유압)을 형성하기 위해 제어부(60)가 페달 스트로크에 근거하여 산출하는 파라미터이기 때문에, 수학식 4는 결국 페달 스트로크에 대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의 함수가 된다. In Equation 4, the 'movement amount' is the same concept as the 'movement position', and the required movement amount (movement position) of the internal piston 5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60 to the pedal stroke to form the final braking force (ie, braking hydraulic pressure). Since it is a parameter calculated based on this, Equation 4 eventually becomes a function of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relative to the pedal stroke.

따라서, 제어부(60)는 페달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페달 스트로크를 토대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즉 브레이크 페달(10)의 페달 스트로크를 토대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를 산출하여 모터(30)를 제어함으로써, 제2 마스터 실린더(50)를 통해 제동 유압이 형성되도록 하는 위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60 may calculate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based on the pedal stroke received from the pedal sensor, that is,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based on the pedal stroke of the brake pedal 10. By calculating and controlling the motor 30, it is possible to perform position control such that a braking hydraulic pressure is formed through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이상에서는 제어부(60)의 위치 제어, 즉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를 산출하여 모터(30)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제2 마스터 실린더(50)의 무효 스트로크에 따라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In the above,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60, that is, calculating the required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to control the motor 30, has been described below. In the following, the nu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valid stroke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The process of updating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in 43) will be described.

우선 무효 스트로크 구간에 대하여 설명하면, 무효 스트로크 구간은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피스톤의 실링부가 초기 위치(즉,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0)을 가압하지 않았을 때의 초기 위치)로부터 씰컵과 같은 실링부재를 통과할 때까지의 구간을 의미한다. 페달 스트로크가 무효 스트로크 구간에 존재하는 동안은 운전자의 페달 답력이 푸쉬로드(45)를 이동시키지 못하여 제동 유압이 형성되지 않고, 페달 스트로크가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벗어난 후 비로소 제동 유압이 형성된다. First, when the invalid stroke section is described, the invalid stroke section is the same as the seal cup from the initial sealing position of the pist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that is, when the driver does not press the brake pedal 10). It means the section until passing through the sealing member. While the pedal stroke is present in the invalid stroke section, the driver's pedal effort cannot move the push rod 45, so that no braking hydraulic pressure is formed, and only after the pedal stroke leaves the invalid stroke section, braking hydraulic pressure is formed.

즉, 수학식 4에 따른 위치 제어에 의한 페달감이 발생하는 시점은 페달 스트로크가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벗어난 이후이며, 무효 스트로크 구간에서는 습동 마찰력 또는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리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만 페달감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the point in time when the pedal feeling due to the position control according to Equation 4 occurs is after the pedal stroke is out of the invalid stroke section, and in the invalid stroke section only by the sliding friction force or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Pedal feeling is generated.

페달 스트로크, 및 수학식 4에 따라 산출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가 도 2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은 관계를 갖는 경우, 페달 스트로크가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벗어나는 시점(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으로 정의한다)에서 너트(43)의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d1에 있어야 한다. When the pedal stroke and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4 have the same relationship as the graph shown in FIG. 2, the pedal stroke is out of the invalid stroke section (defined as an invalid stroke end point) ), The position of the nut 43 should be at d1 shown in FIG. 2.

그러나 급제동시 모터(30)의 응답성 부족 문제로 인해, 페달 스트로크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지점에 도달한 반면, 너트(43)가 d1에 못미치는 d0에 위치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순간적으로 무거운 페달감을 느끼게 되고, 모터(30)는 무효 스트로크 구간에서 형성된 너트(43)의 위치차, 즉 d1 - d0를 회복하기 위해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벗어난 후에는 빠르게 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페달감은 매우 가벼워짐으로써 운전자의 페달 위화감을 유발할 수 있다. However, due to a problem of insufficient responsiveness of the motor 30 during sudden braking, a case where the pedal stroke reaches the end point of the invalid stroke, while the nut 43 is located at d0 that is less than d1 may occur. Therefore, the driver instantly feels a heavy pedal feeling, and the motor 30 operates quickly after leav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to recover the position difference of the nut 43 formed in the invalid stroke section, that is, d1-d0, Accordingly, th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is very light, which may cause the pedal discomfort of the driver.

운전자의 페달감에 대한 가시적인 이해를 위해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 제어에 의한 운전자의 페달감이 느껴지지 않는 경우의 너트(43)의 이동 위치가 도 3의 ①번 그래프로 표현되고, 수학식 4에 따라 산출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가 ②번 그래프로 표현되는 경우, ①번 그래프 및 ②번 그래프 간의 차이가 운전자가 느끼는 페달감이 된다. For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for a visual understanding of th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when th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by the position control is not felt is shown in FIG. 3. When expressed by the graph No. 1 and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4 is expressed by the graph No. 2,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aph No. 1 and the graph No. 2 becomes a pedal feeling felt by the driver.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즉, 도 2의 d1)를 기준 요구 이동 위치로 정의한다.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가 기준 요구 이동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를 가정하면, 도 4에 도시된 ①번 그래프와 같은 절대 기준에서의 거동과 대비하여(즉, 도 4의 ①번 그래프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 d0에 위치한 너트(43)가 도 3의 ②번 그래프와 같은 기울기에 따라 거동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너트(43)의 실제 거동은 도 5의 ②번 그래프와 같이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부터 d1 - d0를 회복하기 위해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벗어난 후 빠르게 작동되는 모터(30)에 의해 그 이동 위치가 빠르게 증가함으로써 운전자의 페달감이 훨씬 가벼워지게 된다.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i.e., d1 in Fig. 2) is defined as the referenc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Assuming that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required movement position, in contrast to the behavior at the absolute reference, such as graph 1 in FIG. 4 (that is, FIG. 4) Graph ① is a graph showing the case where the nut 43 located at d0 behaves according to the same slope as graph ② in FIG. 3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and the actual behavior of the nut 43 is As shown in the graph of ② in 5, to move d1 to d0 from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after moving out of the invalid stroke section, the moving position is rapidly increased by the motor 30 that is operated quickly, so that the driver's pedal feeling becomes much lighter. .

일반적인 진공 부스터 방식의 제동 시스템에서는 급제동시, 기구적 밸브를 통해 대기압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으로 인해 운전자의 페달감이 무거워진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를 때 운전자는 제동 초기에는 무거운 페달감을 느끼게 되지만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벗어난 후에는 더 긴 구간을 통해 가벼운 페달감을 느끼게 되며, 이러한 페달감은 BAS(Brake Assist System)가 적용된 진공 부스터 방식의 제동 시스템 보다 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In a typical vacuum booster type braking system, the driver's pedal feels heavy due to a time delay occurring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tmospheric pressure through a mechanical valve during sudden braking.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river feels a heavy pedal feeling at the beginning of braking, but after leav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the driver feels a light pedal feeling through a longer section, and this pedal feeling is a vacuum booster to which a BAS (Brake Assist System) is applied. It can occur more frequently than the braking system of the way.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브레이크 페달(10)의 페달 스트로크를 토대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를 산출하여 모터(30)를 제어하되,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변화속도 판단구간,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으로 구분하고,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에서의 페달 스토로크와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의 기울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모터(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motor 30 by calculating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based on the pedal stroke of the brake pedal 10, but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tor 30 by differentiating the change speed determination section, the first half section and the second half section, and differently setting the slope of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pedal stoke and the nut 43 in the first half section and the second half section.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에 대해 변화속도 판단구간,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으로 구분하여 변화속도 판단구간에서 판단한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라 전반구간의 기울기는 급경사로 설정하고,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완경사로 설정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first stroke section is divided into the change speed determination section, the first half section and the second half section of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and according to the change speed of the pedal stroke determined in the change speed determination section. The slope of can be set to steep slope, and the slope of the second half can be set to steep slope.

여기서, 전반구간은 제2 마스터 실린더(50)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과 각 휠에 장착된 캘리퍼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 무효 스트로크 구간으로 설정하여, 요구 이동 위치가 급격하게 변하더라도 운전자가 제동감을 느끼지 않는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half section is set as an invalid stroke section in the system includ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and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caliper mounted on each wheel, so that the driver can be operated even if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changes rapidly. It is desirable to set it to a section that does not feel sympathetic.

시스템 내 무효 스트로크 구간은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무효 스토로크와 무관하며 제2 마스터 실린더(50)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과 각 휠에 장착된 캘리퍼(미도시)의 무효 스트로크가 반영된 제동압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의미한다. The invalid stroke section in the system is independent of the invalid stoke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and the braking pressure reflect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and the invalid stroke of the caliper (not shown) mounted on each wheel. It means the invalid stroke section.

따라서 전반구간은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라 급제동인 경우 기울기를 더욱 크게 설정하고, 후반구간은 기울기를 더욱 완만하게 설정하여 음의 값이 갖도록 함으로써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의 기울기의 부호가 반대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sudden braking according to the speed of change of the pedal stroke, the first section is set to a larger slope, and the latter section is set more gently to have a negative value, so that the sign of the slope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is reversed. Can be set.

예를 들어, 도 6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급제동인 경우에는 A 그래프와 같이 페달 스토로크에 대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 기울기가 전반구간에서는 급경사를 이루고, 후반구간에는 기울기가 반대로 완만하게 감소하게 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graph of FIG. 6, in the case of sudden braking, the slope of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with respect to the pedal stoke forms a steep slope in the first half, and in the latter half, the slope is gradually reduced as shown in the A graph. Is done.

또한, B 그래프는 다소 빠른 제동인 경우를 나타내고, C 그래프는 일반적인 제동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In addition, the B graph shows the case of a slightly faster braking, and the C graph shows the case of a normal braking.

따라서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페달 스트로크에 대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를 적용하면 실제 거동(actual value)은 오히려 원래의 요구 이동 위치와 유사한 거동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효 스트로크 구간의 종료 지점에서 요구 이동 위치와 실제 거동의 차이도 최소화 된다. Therefore, in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if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with respect to the pedal stroke is applied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ual value is rather similar to the original required movement position. You can expect behavior.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quired moving position and the actual behavior at the end point of the invalid stroke section is also minimized.

전반구간에서의 요구 기울기에서는 요구 이동 위치와 실제거동의 차이가 커져서 최대한 빠르게 응답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며, 후반구간에서의 요구 기울기에서는 급제동일 경우더라도 기울기 자체가 완만하여 마치 완제동과 유사해지도록 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required slope in the first se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quired moving position and the actual behavior is increased, so that it can respond and operate as quickly as possible. In the required slope in the second section, even in the case of sudden braking, the slope itself is gentle and it is similar to complete braking. You can expect the effect that makes you los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수학식 4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10)의 페달 스트로크를 토대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를 산출하여 모터(30)를 제어하되, 페달 스트로크가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벗어나는 시점인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에 근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가 기준 요구 이동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motor 30 by calculating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based on the pedal stroke of the brake pedal 10 according to Equation 4, but the pedal stroke is the first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can be updated based on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which is the time beyond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master cylinder 20, specifically, the nut 43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When the moving position of) has not reache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can be updated.

이와 같이 제어부(60)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즉, 너트(43)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만큼 요구 이동 위치를 평행이동시켜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60 may update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That is,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can be updated by parallelly moving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도 7을 참조하면, 위치 제어에 의한 운전자의 페달감이 느껴지지 않는 경우의 너트(43)의 이동 위치가 도 7의 ①번 그래프로 표현되고, 수학식 4에 따라 산출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가 ②번 그래프로 표현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라 갱신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는 ②번 그래프에서 차이값만큼 평행 이동된 ③번 그래프(실선 부분)로 표현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when the driver's feeling of pedaling is not felt by the position control is represented by the graph ① in FIG. 7, and of the nut 43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4). When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is represented by the graph ②,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upd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represented by the graph ③ (solid line) moved parallel to the difference value in the graph ②.

따라서, 위치 제어에 의한 운전자의 페달감이 느껴지지 않는 경우의 너트(43)의 이동 위치, 및 요구 이동 위치를 추종하는 너트(43)의 이동 위치 간의 차이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원래 의도했던 페달감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and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following the required moving position when the driver's feeling of pedaling by the position control is not felt is formed as shown in FIG. 8.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driver with a pedal feeling originally intended as shown in FIG. 2.

즉,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 너트(43)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 d1 - d0 만큼의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요구 이동 위치에서 차이값을 감산하여 원래의 요구 이동 위치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함으로써, d1 - d0를 회복하기 위해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벗어난 후 빠르게 작동되는 모터(30)로 인해 운전자의 페달감이 가벼워지는 페달 위화감을 제거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of d1-d0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the difference from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is subtracted to give the same slope as the original requested moving position. By updating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to have d1-d0,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pedal discomfort that causes the driver's pedal feeling to become lighter due to the motor 30 operating quickly after leav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to recover d1-d0.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만 위와 같이 요구 이동 위치에서 상기 차이값을 감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 subtracts the difference value from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as above only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By doing so,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can be updated.

그리고,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60)는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지 않거나 요구 이동 위치에서 임계치를 감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할 수도 있다.Then,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exceeds a preset threshold, the control unit 60 does not update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or the threshold at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can also be updated by subtracting.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d1은 기준 요구 이동 위치이고, d2는 d1 - d2가 전술한 임계치가 되는 너트(43)의 이동 위치이며, d3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실측 이동 위치인 경우,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d1 - d3)이 임계치(d1 - d2)를 초과하므로, 제어부(60)는 요구 이동 위치에서 임계치를 감산한 ③번 그래프로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d1 shown in FIG. 9 is a reference request movement position, d2 is a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where d1-d2 are the above-mentioned threshold values, and d3 is a nut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In the case of the actual moving position of (43), since the difference value (d1-d3)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exceeds the threshold values d1-d2, the control unit 60 ) Can update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with the graph of ③ which subtracts the threshold from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이는 요구 이동 위치 갱신을 위한 감산량을 임계치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제어부(60)의 동작은, 요구 이동 위치의 잦은 갱신에 따라 차량의 제동 성능이 변경되어 제동 안정성이 저감될 수 있는 점, 및 일반적인 제동 시스템에 있어서 급제동시에는 페달감이 일반적인 경우와 달라질 수 있다는 통상적인 관점에 근거한다. 임계치는 제동 시스템의 사양 및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어 제어부(6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is means that the amount of subtraction for updating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is limited to a threshold, and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60 may change the braking performan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frequent updating of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thereby reducing braking stability. It is based on the point, and the conventional view that the pedal feeling may be different from the normal case during sudden braking in the general braking system. The threshold may be variously design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braking system and the designer's intention, and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6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제동 장치에 따르면, 페달 시뮬레이터와 같은 추가적인 부품 없이 운전자의 페달감을 개선함으로써 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터의 전류 제어가 아닌 위치 제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제동 장치의 내부 부재 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운전자의 페달감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페달감을 최적화함으로써 감성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raking devi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competitiveness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feeling of the pedal of the driver without additional parts such as a pedal simula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position rather than controlling the current of the motor By apply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decreases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internal members of the braking device, and to ensure the emotional quality by optimizing th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에서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specifically illustrates a step of updating a required moving position in a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for explana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제동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60)는 브레이크 페달(10)의 페달 스트로크가 미리 설정된 임계 스트로크 이상인지 판단한다(S10). 임계 스트로크는 차량의 제동 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페달 스트로크의 하한값을 의미하며, 제동 시스템의 사양 및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되어 제어부(6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9, when a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first, the controller 60 determines whether the pedal stroke of the brake pedal 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stroke (S10). . The critical stroke means a lower limit value of the pedal stroke for starting braking control of the vehicle, and may be variously designed and preset in the control unit 60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braking system and the designer's intention.

이어서, 페달 스트로크가 임계 스트로크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60)는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를 판단한다(S20). Subsequent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al strok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itical stroke,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the speed of change of the pedal stroke (S20).

S20 단계에서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를 판단한 후 제어부(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에 대해 변화속도 판단구간,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으로 구분하여 변화속도 판단구간에서 판단한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라 전반구간의 기울기는 급경사로 설정하고,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완경사로 설정한다(S30). After determining the change speed of the pedal stroke in step S20, the control unit 60 changes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into a change speed determination section, a first half section and a second half section as shown in FIG. The slope of the first half is set to steep slope and the slope of the second half is set to slow slope according to the change speed of the pedal stroke determined in the speed judgment section (S30).

여기서, 전반구간은 제2 마스터 실린더(50)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과 각 휠에 장착된 캘리퍼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 무효 스트로크 구간으로 설정하여, 요구 이동 위치가 급격하게 변하더라도 운전자가 제동감을 느끼지 않는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half section is set as an invalid stroke section in the system includ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and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caliper mounted on each wheel, so that the driver can be operated even if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changes rapidly. It is desirable to set it to a section that does not feel sympathetic.

시스템 내 무효 스트로크 구간은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무효 스토로크와 무관하며 제2 마스터 실린더(50)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과 각 휠에 장착된 캘리퍼(미도시)의 무효 스트로크가 반영된 제동압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의미한다. The invalid stroke section in the system is independent of the invalid stoke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and the braking pressure reflecting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50 and the invalid stroke of the caliper (not shown) mounted on each wheel. It means the invalid stroke section.

따라서 전반구간은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라 급제동인 경우 기울기를 더욱 크게 설정하고, 후반구간은 기울기를 더욱 완만하게 설정하여 음의 값이 갖도록 함으로써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의 기울기의 부호가 반대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sudden braking according to the speed of change of the pedal stroke, the first section is set to a larger slope, and the latter section is set more gently to have a negative value, so that the sign of the slope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is reversed. Can be set.

이후 제어부는 S30 단계에서 설정한 기울기에 따라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의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에서 페달 스토로크를 토대로 너트(43)의 요구 이동 위치를 산출하여 모터(30)를 제어한다(S40). Thereafter,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based on the pedal stroking in the first half and second half of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according to the slope set in step S30 to calculate the motor 30. It is controlled (S40).

S40 단계에서 모터(30)를 제어한 후 제어부(60)는 페달 스트로크가 제1 마스터 실린더(20)의 무효 스트로크가 종료되는 지점인 무효 스트로크 종료 지점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S50).After controlling the motor 30 in step S40,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the pedal stroke has reached the end point of the invalid stroke, which is the end point of the invalid stroke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20 (S50).

S50 단계에서 페달 스트로크가 무효 스트로크 종료 지점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60)는 페달 스트로크가 무효 스트로크 종료 지점에 도달한 시점인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에 근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한다(S6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 that the pedal stroke has reached the end point of the invalid stroke, the control unit 60 is based o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which is the time when the pedal stroke has reached the end point of the invalid stroke. Then,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is updated (S60).

이때, 제어부(60)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가 기준 요구 이동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60 may update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when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43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specifically, the nut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can be updated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43)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도 11을 참조하여 S60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60)는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S61), 요구 이동 위치에서 상기 차이값을 감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한다(S63).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너트(43)의 이동 위치 및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S61), 요구 이동 위치에서 임계치를 감산하여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한다(S65).Referring to FIG. 11, step S6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S61),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is updated by subtracting the difference value from the moving position (S63).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43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exceeds the threshold (S61), the threshold is subtracted from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to update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S65).

S60 단계가 수행된 이후, 또는 S40 단계에서 페달 스트로크가 무효 스트로크 종료 지점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60)는 페달 스트로크가 임계 스트로크 미만인지 판단하고(S70), 페달 스트로크가 임계 스트로크 미만으로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동 제어를 종료하고, 페달 스트로크가 임계 스트로크 이상인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S20 단계부터 재 수행한다.After the step S60 is performed, or when the pedal stroke has not reached the end point of the invalid stroke in step S40, the control unit 60 determines whether the pedal stroke is less than the critical stroke (S70), and the pedal stroke is reduced to less than the critical strok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raking control is terminated, and the state where the pedal strok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itical stroke, it is performed again from step S2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제동 방법에 따르면, 페달 시뮬레이터와 같은 추가적인 부품 없이 운전자의 페달감을 개선함으로써 원가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모터의 전류 제어가 아닌 위치 제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제동 장치의 내부 부재 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운전자의 페달감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페달감을 최적화함으로써 감성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raking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t competitiveness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feeling of the pedal of the driver without additional parts such as a pedal simula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position rather than controlling the current of the motor By apply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decreases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internal members of the braking device, and to ensure the emotional quality by optimizing the pedal feeling of the driv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from this.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브레이크 페달 20: 제1 마스터 실린더
30: 모터 40: 제동력 전달부
41: 스크류 43: 너트
45: 푸쉬로드 50: 제2 마스터 실린더
51: 내부 피스톤 53: 유압실
60: 제어부
10: brake pedal 20: first master cylinder
30: motor 40: braking force transmission
41: screw 43: nut
45: push rod 50: second master cylinder
51: internal piston 53: hydraulic chamber
60: control unit

Claims (18)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됨에 따라 유압을 형성하는 제1 마스터 실린더;
상기 제1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형성된 유압과 모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너트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을 통해 제동 유압을 형성하는 제2 마스터 실린더;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페달 스트로크를 토대로 상기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를 산출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되, 상기 제1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전반구간과 상기 후반구간에서의 상기 페달 스토로크와 상기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의 기울기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장치.
A first master cylinder that forms hydraulic pressure as the brake pedal is pressed;
A second master cylinder forming a braking hydraulic pressure through a hydraulic pressure formed by the first master cylinder and a piston pressed by a nut mov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Based on the pedal stroke of the brake pedal,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is calculated to control the motor, but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is divided into a first half section and a second half section, and in the first half section and the second half s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motor by setting the inclinations of the pedal stoke and the nut to different posi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구간은, 상기 제2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스트로크 구간과 캘리퍼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 무효 스트로크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장치.
The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alf section is set to an invalid stroke section in a system including an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and an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calip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구간과 상기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상기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라 상기 전반구간의 기울기는 급경사로 설정하고, 상기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완경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lope of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lope of the first half is set to steep slope according to the change speed of the pedal stroke, and the slope of the second half is set to full slope. Vehicle braking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구간과 상기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급제동인 경우 상기 전반구간의 기울기와 상기 후반구간의 기울기의 부호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장치.
The brak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lope of the first half section and the second half section has opposite signs of a slope of the first half section and a slope of the second half section in case of sudden brak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달 스트로크가 상기 제1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벗어나는 시점인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상기 너트의 이동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based on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which is the time when the pedal stroke leaves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Vehicle braking syste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상기 너트의 이동 위치가 기준 요구 이동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되, 상기 기준 요구 이동 위치는 상기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요구 이동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when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wherein the referenc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is the invalid stroke A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required moving position at the end poin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상기 너트의 이동 위치 및 상기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장치.
7. The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based on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ing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요구 이동 위치에서 상기 차이값을 감산하여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장치.
The brak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by subtracting the difference value from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요구 이동 위치에서 상기 임계치를 감산하여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장치.
The brak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by subtracting the threshold from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when the difference value exceeds a preset threshold.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됨에 따라 유압을 형성하는 제1 마스터 실린더; 및 상기 제1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형성된 유압과 모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너트에 의해 가압되는 피스톤을 통해 제동 유압을 형성하는 제2 마스터 실린더;를 포함하는 제동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가 브레이크 페달의 페달 스트로크가 미리 설정된 임계 스트로크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페달 스트로크가 상기 임계 스트로크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라 상기 제1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전반구간과 후반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전반구간과 상기 후반구간에서의 상기 페달 스토로크와 상기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의 기울기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페달 스트로크에 대한 상기 너트의 요구 이동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
A first master cylinder that forms hydraulic pressure as the brake pedal is pressed; And a second master cylinder that forms a braking hydraulic pressure through a piston that is pressurized by a nut that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hydraulic pressure formed by the first master cylinder. ,
Determin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a pedal stroke of the brake ped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strok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al strok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stroke, the control unit determining a change speed of the pedal stroke;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into a first half section and a second half section according to the change speed of the pedal stroke, and the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pedal stoke and the nut in the first half section and the second half section. Setting each of the slopes differently; And
And controlling, by the controller, the motor based on a required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with respect to the pedal strok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구간은, 상기 제2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스트로크 구간과 캘리퍼의 무효 스트로크 구간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 무효 스트로크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half section is set to an invalid stroke section in a system including an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second master cylinder and an invalid stroke section of the calip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구간과 상기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상기 페달 스트로크의 변화속도에 따라 상기 전반구간의 기울기는 급경사로 설정하고, 상기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완경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lope of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s set according to the change speed of the pedal stroke, the slope of the first half is set to steep slope, and the slope of the second half is set to full slope.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구간과 상기 후반구간의 기울기는, 급제동인 경우 상기 전반구간의 기울기와 상기 후반구간의 기울기의 부호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lope of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s a braking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udden braking, the sign of the slope of the first half and the slope of the second half are reverse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페달 스트로크가 상기 제1 마스터 실린더의 무효 스트로크가 종료되는 지점인 무효 스트로크 종료 지점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페달 스트로크가 상기 무효 스트로크 종료 지점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페달 스트로크가 상기 무효 스트로크 종료 지점에 도달한 시점인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상기 너트의 이동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edal stroke has reached the end point of the invalid stroke that is the end point of the invalid stroke of the first master cylinde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dal stroke has reached the end point of the invalid strok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pedal stroke has reached the end point of the invalid stroke, based on the moving position of the nut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And updating the requested moving position.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상기 너트의 이동 위치가 기준 요구 이동 위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되, 상기 기준 요구 이동 위치는 상기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요구 이동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step of updating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when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does not reach the reference request movement position, The reference request movement position is a braking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효 스트로크 종료 시점에서의 상기 너트의 이동 위치 및 상기 기준 요구 이동 위치 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
16.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in the step of updating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based on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nut and the referenc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at the end of the invalid stroke. The braking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요구 이동 위치에서 상기 차이값을 감산하여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in the step of updating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by subtracting the difference value from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when the differenc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ehicle braking control method.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요구 이동 위치에서 상기 임계치를 감산하여 상기 요구 이동 위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제동 제어 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in the updating of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the control unit updates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by subtracting the threshold from the requested movement position when the difference value exceeds a preset threshold value. A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of a vehicle.
KR1020180105209A 2018-09-04 2018-09-04 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KR1025594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209A KR102559437B1 (en) 2018-09-04 2018-09-04 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209A KR102559437B1 (en) 2018-09-04 2018-09-04 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194A true KR20200027194A (en) 2020-03-12
KR102559437B1 KR102559437B1 (en) 2023-07-25

Family

ID=6980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209A KR102559437B1 (en) 2018-09-04 2018-09-04 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43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8011A (en) * 2012-06-08 2013-1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reducing speed using electric booster brake device and control device thereof
KR20150012636A (en) * 2013-07-25 2015-02-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lectronic hydraulic brake device
KR20160028043A (en) * 2014-09-02 2016-03-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lectronic hydraulic brake device
KR20160134833A (en) * 2014-04-24 2016-11-23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Brake control device, braking system, and brake hydraulic pressure generation method
KR20190001238A (en) * 2017-06-27 2019-01-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8011A (en) * 2012-06-08 2013-1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ontrol method of reducing speed using electric booster brake device and control device thereof
KR20150012636A (en) * 2013-07-25 2015-02-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lectronic hydraulic brake device
KR20160134833A (en) * 2014-04-24 2016-11-23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Brake control device, braking system, and brake hydraulic pressure generation method
KR20160028043A (en) * 2014-09-02 2016-03-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Electronic hydraulic brake device
KR20190001238A (en) * 2017-06-27 2019-01-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437B1 (en)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2414B1 (en) 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US9254827B2 (en) Operation of a brake booster as a pedal simulator
JP6383959B2 (en) Booster, stroke simulator and resistance applying device
US20090115242A1 (en) Electrically Actuated Booster
CN107646001B (en) Method for providing braking force in a vehicle
US9840244B2 (en) Electromechanical brake booster
JP6138869B2 (en) Brak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brake system
JP5653512B2 (en) Brake boos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16529162A (en)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booster, control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and brake system comprising a brake booster and a control device
KR102183953B1 (en) Apparatus for braking used electric boos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218608B (en) A kind of hydraulic booster
JP2004115006A (en) Vacuum servo brake for booster brake system for vehicle with prime motor
KR102559437B1 (en) Braking apparatus and brak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KR10246085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brake of vehicle
US20090188385A1 (en) Quick booster
JP4672716B2 (en) brake
US20060055241A1 (en) Brake system
US8029073B2 (en) Motor vehicle rapid braking brake booster
EP2716513B1 (en) Stroke simulator, master cylinder having stroke simulator, and brake system using master cylinder
KR20230031535A (en)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braking inconvenience electric booster
CN111186426B (en) Electric brake booster
CN111907503B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and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JP7013584B2 (en) Brake boost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brake booster
JP4491827B2 (en) Brake device for vehicle
CN113242822B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brake system, and brak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