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114A - 피키아 아노말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키아 아노말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114A
KR20200026114A KR1020190105714A KR20190105714A KR20200026114A KR 20200026114 A KR20200026114 A KR 20200026114A KR 1020190105714 A KR1020190105714 A KR 1020190105714A KR 20190105714 A KR20190105714 A KR 20190105714A KR 20200026114 A KR20200026114 A KR 20200026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pichia anomala
composition
top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팡 리우-월쉬
미쉘 거레이
프리트위라지 마이트라
맨프리트 란다와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컨수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2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1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4Saccharomycetales, e.g. baker's ye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키아 아노말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ICHIA ANOMALA AND A SOY PRODUCT}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8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724807의 이득을 주장하며, 이의 완전한 개시 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피키아 아노말라(Pichia anomala)의 추출물과 대두 제품의 배합물을 피부에 국소 도포함으로써 피부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대두 제품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이 제공된다.
하이알루론산은 피부에서 콜라겐 및 엘라스틴 섬유의 주변부에 그리고 이들 섬유가 교차하는 곳에서 발견된다. 하이알루론산은, 진피뿐만 아니라 표피 세포간 공간, 특히 중간 가시층(spinous layer) 내에는 국부화되지만, 각질층(stratum corneum, SC) 또는 과립층(stratum granulosum) 내에는 국부화되지 않는다. 노화된 피부에서는, 하이알루론산의 수준이 감소하고 이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으로부터 해리된다. 감소된 수준의 하이알루론산을 함유하는 피부는 또한 감소된 수분 결합을 보여주는데, 이는 주름형성, 변경된 탄력성, 감소된 팽만성(turgidity) 및 피부의 미소혈관계를 지지하는 능력의 저하를 포함한, 노화된 피부에 나타나는 변화에 관여할 수 있다. 주요 GAG 중 하나로서, 하이알루론산은 물 중에서 그의 중량의 1000배로 결합될 수 있으며, 피부가 물을 보유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것은 모든 결합 조직에서 발견되고 피부 내의 섬유아세포 및 각질세포에 의해 주로 생성된다.
하이알루론산의 주사를 포함한, 주름살 및 잔주름에 대항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외인성 하이알루론산의 주사는 연조직 확대 절차에서 일시적 피부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주사된 하이알루론산은 제한된 수명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피부 내로의 외인성 하이알루론산의 침투는 국소 도포에 의해서는 달성되기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어 있다.
피키아는 사카로마이세타세아이(Saccharomycetaceae) 과(family)의 효모 속(genus)이다. 이러한 속의 100가지가 넘는 종이 알려져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종에는 피키아 아노말라, 피키아 구일리에르몬디이(Pichia guilliermondii), 피키아 노르베겐시스(Pichia norvegensis), 및 피키아 오메리(Pichia ohmeri)가 포함된다.
피키아 아노말라 (이전에는 한세눌라 아노말라(Hansenula anomala)로 지칭됨)는 생우유 및 치즈에서 찾을 수 있다. 피키아 속의 효모의 추출물은, 만노스 단량체로 구성된 다당류인 만난이 풍부하다. 피키아 아노말라 및 만난은 노화 피부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 특허 제2938768호, 프랑스 특허 제2906719호, 프랑스 특허 제2897266호 및 프랑스 특허 제2976490호를 참조한다.
프로-리피스킨(PRO-LIPISKIN)®은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매가능한 화장품 성분이다. 이것은 사탕수수로부터 단리된 피키아 균주에 의해 생성된다. 이것은 실라브-프랑스(Silab-France)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7/0172913A1호는 하이알루론산의 증가된 생성을 제공하는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치커리 뿌리 추출물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및 피부 노화 징후를 치료하고 피부 장벽 보호 및 피부 보습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두 제품은 잘 알려진 피부 케어 활성제이다. 전통적인 중약(Chinese medicine)은 피부 변색의 출현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천년 동안 대두를 사용해 왔다. 대두에서 발견되는 아이소플라본인 제니스테인은 형질전환된 인간 각질세포에서 하이알루론산 생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헌[Miyazaki K, Hanamizu T, Iizuka R, Chiba K. Genistein and daidzein stimulate hyaluronic acid production in transformed human keratinocyte culture and hairless mouse skin.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2002 May-Jun;15(3):175-83]).
미국 특허 제7,192,615호는 트립신 억제 활성 및 감소된 미생물 함량을 갖는 콩과(legume) 제품, 이를 함유하는 국소 조성물, 및 그러한 제품을 오염제거하는(decontaminating)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존슨 앤드 존슨 컨슈머 인크.(Johnson & Johnson Consumer Inc.)로부터 구매가능한 아비노 포지티블리 라디언트 바디 로션(AVEENO POSITIVELY RADIANT Body Lotion)은 글리신 소야(Glycine soja)(대두) 종자 추출물을 함유한다.
당업계는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추출물의 국소 사용을 제공하지만, 본 출원인들은 이들 2가지 성분의 배합물의 국소 도포가 이로부터의 피부의 하이알루론산 생성을 상승적으로(synergistically) 향상시킨다는 것을 이제 알아내었다. 이는 예기치 않게도 피부에 대한 상당한 이득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이득에는 적어도 하나의 피부 노화 징후의 출현을 개선, 감소,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것, 및 피부 장벽 보호 및 피부 보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피부 노화 징후를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이 이제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피부 노화 징후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피부 노화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부에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보습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추가로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보습성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에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국소 조성물은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의 상승적 작용에 의해 피부에서의 하이알루론산의 생성을 개선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본 명세서의 설명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나머지 부분을 어떤 방식으로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숙련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출원, 특허, 및 기타 참고 문헌은 참고로 포함된다.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성분들의 양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분율은 중량 기준 백분율 (즉, % (W/W))이다. 유사하게, 성분들의 상대적인 비율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중량 비가 또한 중량 기준 백분율을 이용하여 결정된다(즉, 중량 비는 하나의 성분의 중량 기준 백분율을 다른 것으로 나누어서 계산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모든 범위는 종점(endpoint)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4 내지 9"는 종점 4 및 9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품"은 선택적으로는 완성되고 포장된 형태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키지(package)는 조성물을 수용하는 용기,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또는 유리 튜브 또는 병(jar)이다. 제품은 그러한 용기를 보관하기 위한 플라스틱 또는 판지 상자와 같은 부가적인 패키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조성물을 피부 또는 모발에 도포하는 것을 지도하는 사용 설명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국소 도포"는, 예를 들어 손 또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예를 들어 와이프(wipe), 롤러 또는 스프레이의 사용에 의해 외부 피부, 두피, 또는 모발 상에 직접 놓거나 또는 펴 바르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화장품"은, 구체적으로 이것이 조직 또는 피부의 외관과 관련될 때, 육체의 미(bodily beauty)의 외관을 보존, 복구, 부여, 모의, 또는 증진하거나 미 또는 젊음을 증진하는 것으로 보이는 미적 물질 또는 제제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은 이 용어가 설명하는 성분들이 과도한 독성, 불상용성, 불안정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이 없이 조직 (예를 들어, 피부 또는 모발)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소정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노화의 징후를 치료하는 데 적합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 노화의 징후"는 주름(line) 및 주름살(wrinkle)의 존재, 탄력성 상실, 불균일한 피부(uneven skin), 및 반점(blotchiness)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노화의 징후는 주름 및 주름살의 존재 및/또는 탄력성 상실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 노화의 징후를 치료하는"은 상기에 기재된 피부 노화의 징후 또는 존재를 완화, 감소, 예방, 개선, 또는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주름살"은 잔주름, 잔주름살, 또는 굵은 주름살을 포함한다. 주름살의 예에는 눈 주위의 잔주름 (예를 들어, "눈가 주름"(crow's feet)), 이마 및 뺨 주름살, 미간 주름(frown-line), 및 입 주위의 웃어서 생기는 주름(laugh-line)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탄력성 상실"은 처지고, 이완되고, 느슨한 조직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피부 또는 조직의 탄력성 또는 구조적 완전성(integrity)의 상실을 포함한다. 탄력성 또는 조직 구조 완전성의 상실은 질병, 노화, 호르몬 변화, 기계적 외상, 환경적 손상, 또는 화장품 또는 의약품과 같은 제품을 조직에 도포한 결과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많은 요인들의 결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불균일한 피부"는 염증후 과색소침착과 같은 과색소침착으로 분류될 수 있는, 널리 퍼져 있거나 얼룩덜룩한 색소침착과 관련된 피부 질환(condition)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반점"은 홍조 또는 홍반과 관련된 피부 질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 견고성의 개선"은 피부의 견고성 또는 탄력성의 향상, 피부의 견고성 또는 탄력성 상실의 예방, 또는 처지고 늘어지고 느슨한 피부의 예방 또는 치료를 의미한다. 피부의 견고성 또는 탄력성은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의 사용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문헌[Handbook Of Non-Invasive Methods And The Skin, eds. J. Serup, G. Jemec & G. Grove, Chapter 66.1 (2006)]을 참조한다. 피부 탄력성 또는 견고성의 상실은 노화, 환경적 손상, 또는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한 결과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많은 요인들의 결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 결의 개선"은 피부 표면 상의 범프(bump) 또는 크레바스(crevass)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도록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에서의 주름살의 출현의 개선"은 피부에서의 주름살 및 잔주름 형성 과정의 예방, 지연, 저지, 또는 역행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원하는 효과를 유발하기에 충분하지만 심각한 부작용을 피하기에 충분히 적은 양을 의미한다. 화합물, 추출물, 또는 조성물의 안전하고 유효한 양은, 예를 들어 최종 사용자의 연령, 건강 및 환경적인 노출, 치료의 지속시간 및 성질, 사용되는 특정 추출물, 성분 또는 조성물, 이용되는 특정 담체, 및 유사한 요인들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보습성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는 수분이 결여되거나, 피지가 결여되거나, 갈라지거나, 건조하거나, 가렵거나, 인설성(scaly)이거나, 건피성이거나, 수분 부족(dehydrated) 피부이거나, 유연성이 결여되거나, 광채가 결여되거나, 칙칙하거나 또는 지질이 결여된,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피부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들은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대두 제품의 배합물의 국소 도포가 예기치 않게도 우수한 피부 장벽 기능, 피부 보습성,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본 출원인들은 또한 특히,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대두 제품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국소 도포가 피부 내의 내인성 하이알루론산 ("HA") 수준을 향상시켜, 수화 및 적어도 하나의 피부 노화 징후의 출현의 개선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러한 조성물의 국소 사용은 하이알루론산의 수준을 젊은 피부에서 발견되는 수준의 방향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에 대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여 피부 노화 징후의 출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피키아 아노말라
본 국소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특히, 그러한 추출물은, 식물의 열매 또는 다른 공중 부분으로부터 단리된 피키아 아노말라의 다양한 균주 중 하나를 사용하여 생성된 추출물일 수 있다. 피키아 아노말라의 임의의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의 일례는 실라브-프랑스로부터 구매가능한 프로-리피스킨이다. 이것은 사탕수수에 존재하는 피키아 아노말라의 균주로부터 생성된다.
피키아 아노말라의 적합한 추출물의 다른 예는 키위 식물의 열매 또는 잎에 존재하는 피키아 아노말라의 균주로부터 생성된다.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은 약 2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2 내지 10 중량%, 가장 구체적으로는 3 내지 7 중량% 범위의 건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용액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용액을 위한 용매는 물, 알코올, 글리콜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용매는 적어도 약 90 중량%의 물, 또는 적어도 약 95 중량%의 물이다.
대두 제품
국소 조성물은 또한 대두 제품을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대두 제품"은 대두로부터 유래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대두 제품은 대두유 또는 대두유 분말이다. 대두유는 대두로부터 유래되는 고형물과 물의 배합물이며, 이 혼합물은 불용성 성분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여과 제거되어 있다. 대두유 분말은 증발된 대두유로서, 이것은 일 실시 형태에서 동결건조되거나 분무-건조된 형태이다. 대두유를 제조하기 위한 절차는 하기의 3개의 절차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첫째, 대두유는 대두를 물에 넣어서 그것이 물을 흡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팽창된 콩을 분쇄한 후, 추가의 물을 첨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여과하여 임의의 불용성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둘째, 대두유는 또한 대두 분말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대두 분말을 (예를 들어, 적어도 1시간 동안) 물과 완전히 혼합하며, 이어서 여과 공정을 행하여 불용성 잔류물을 제거할 수 있다. 셋째, 대두유는 또한 물을 첨가함으로써 대두유 분말로부터 재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대두유는 대두로부터의 고형물을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예를 들어, 약 5 중량% 내지 약 20 중량%)로 포함한다.
대두와 같은 콩과 열매의 표면은 종종 고수준의 미생물을 함유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대두 제품은 그러한 미생물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도록 처리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대두 제품은 총 미생물 함량이 그램당 약 10,000 콜로니-형성 단위("cfu") 미만이다.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대두 제품은 미생물 함량이 대두 제품의 그램당 약 1,000 cfu 미만 (예컨대, 그램당 약 100 cfu 미만)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대두 제품은 총 부적절한 미생물 함량이 그램당 300 cfu 미만, 예컨대 그램당 150 cfu 미만이다.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대두 제품은 적어도 1 그램 (예를 들어, 적어도 10 그램)의 콩과 제품에 대해 검출 불가능한 양의 임의의 부적절한 미생물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대두 제품은 감마선 조사에 노출된다.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대두 제품은 약 2 내지 약 30 kGy의 감마선 조사, 예컨대 약 5 내지 약 10 kGy의 감마선 조사에 노출된다. 그러한 처리는 대두 제품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면서 그의 미생물 함량을 감소시킨다. 본 출원인들은 또한 감마선 조사에 의한 대두 제품의 처리가 대두 제품의 미적 고품질(cosmetic elegance), 예컨대 그의 천연색 및 쾌적한 냄새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단독으로 또는 감마선 조사와 조합하여 실시될 수 있는, 대두 제품의 프로테아제 억제 활성을 유지하는 다른 항미생물 공정은 X-선, 고에너지 전자 또는 양성자 빔, 자외 방사선, 정수압에 대한 노출, 및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화학적 작용제의 첨가,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생물 함량 감소를 위한 방법의 완전한 목록은 문헌[Disinfection, sterilization, and preservation 4th edition, Seymour S. Block, pp. 887-888 (1991, Lea & Febiger, Malvern, Pa.)]에 제시되어 있다.
소정 경우에, 대두 제품의 열 처리는 프로테아제 억제 활성의 실질적인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의해서 사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대두유를 단지 10분 동안 100℃로 가열함으로써 대두유의 트립신 억제 활성을 86% (4℃로 유지될 때)로부터 46%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대두유를 가열함으로써 대두 제품의 색상 또는 냄새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양의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조성물은 두 성분 모두를 안전하고 유효한 양으로 포함한다. 특히, 사용되는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의 양은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하고, 특정 질환, 예컨대 노화 징후, 감소된 장벽 기능, 또는 감소된 보습성에 대해 피부의 원하는 치료를 달성하도록 선택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0.01 내지 약 1 중량%의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26 내지 약 0.13 중량%의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의 대두 제품을 포함한다.
소정 실시 형태에서, 국소 조성물 내의 대두 제품에 대한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의 중량비는 약 1 내지 약 5, 또는 약 2.5이다.
국소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 피부 또는 모발에 국소 도포된다. 따라서, 본 조성물은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국소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조성물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예를 들어, 조성물의 약 80 중량% 내지 약 99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국소 담체는 물을 포함한다.
본 조성물은 로션, 크림, 겔, 스틱, 스프레이, 연고, 클렌징 액체 워시(cleansing liquid wash) 및 고형 바아, 샴푸 및 헤어 컨디셔너, 헤어 픽서(hair fixer), 페이스트, 폼(foam), 파우더, 무스, 면도 크림, 와이프, 패치, 하이드로겔, 필름형성 제품, 얼굴용 마스크 및 피부 마스크, 필름 및 메이크업, 예컨대 파운데이션 및 마스카라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매우 다양한 제품 유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제품 유형은 용액, 현탁액, 에멀젼, 예를 들어 마이크로에멀젼 및 나노에멀젼, 겔, 고체 및 리포좀을 포함하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는 몇몇 유형의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국소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하기는 그러한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다른 담체가 당업자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조성물은 용액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용액은 전형적으로 수성 또는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99.99% 또는 약 90% 내지 약 99%의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수성 또는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적합한 유기 용매의 예에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1,2,4-부탄트라이올, 소르비톨 에스테르, 1,2,6-헥산트라이올,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조성물은 연화제를 포함하는 용액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그러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50%의 연화제(들)를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연화제"는, 예를 들어 피부로부터의 경피적 수분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건조를 방지하거나 완화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를 말한다. 연화제의 예에는 당업계에 알려진 것들이 포함된다. 특히 적합한 연화제의 예에는 식물유, 광유, 지방 에스테르 등이 포함된다.
그러한 용액으로부터 로션이 제조될 수 있다. 로션은 전형적으로 약 1% 내지 약 20%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10%)의 연화제(들) 및 약 50% 내지 약 90% (예를 들어, 약 60% 내지 약 80%)의 물을 함유한다.
용액으로부터 제형화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제품은 크림이다. 크림은 전형적으로 약 5% 내지 약 50% (예를 들어, 약 10% 내지 약 20%)의 연화제(들) 및 약 45% 내지 약 85% (예를 들어, 약 50% 내지 약 75%)의 물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거나, 대안적으로 무수이거나, 물을 포함하지 않지만 유기 및/또는 실리콘 용매, 오일, 지질 및 왁스를 포함하는 연고일 수 있다. 연고는 동물유 또는 식물유 또는 반고체 탄화수소의 단순 베이스(simple base)를 포함할 수 있다. 연고는 약 2% 내지 약 10%의 연화제(들) + 약 0.1% 내지 약 2%의 증점제(들)를 함유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에멀젼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국소 담체가 에멀젼인 경우, 국소 담체의 약 1% 내지 약 10%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5%)가 유화제(들)를 함유한다. 유화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일 수 있다. 연화제의 예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로션 및 크림은 에멀젼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로션은 0.5% 내지 약 5%의 유화제(들)를 함유한다. 그러한 크림은 전형적으로 약 1% 내지 약 20% (예를 들어, 약 5% 내지 약 10%)의 연화제(들); 약 20% 내지 약 80% (예를 들어, 30% 내지 약 70%)의 물; 및 약 1% 내지 약 10%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5%)의 유화제(들)를 함유한다.
수중유 유형 및 유중수 유형의, 로션 및 크림과 같은 단일 에멀젼 피부 케어 제제는 화장품 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유용하다. 다상(multiphase) 에멀젼 조성물, 예를 들어 수중유중수 유형 또는 유중수중유 유형이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단일 또는 다상 에멀젼은 물, 연화제 및 유화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겔로서 (예를 들어, 적합한 겔화제(들)를 사용하여 수성, 알코올, 알코올/물 또는 오일 겔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수성 및/또는 알코올성 겔에 적합한 겔화제에는 천연 검, 아크릴산 및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셀룰로스 유도체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일 (예를 들어, 광유)용으로 적합한 겔화제에는 수소화 부틸렌/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수소화 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한 겔은 전형적으로 약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그러한 겔화제를 함유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겔 크림이다. 겔 크림의 미적 특성은 수막 파열(watery break), 반투명한 양상 및 가벼운 사용후 감촉(after-feel)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겔 크림"은 낮은 수준의 오일 방울들이 수성 겔 매트릭스 중에 현탁되어 있는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고체 제형 (예를 들어, 왁스계 스틱, 비누 바 조성물, 파우더 또는 파우더를 함유하는 와이프)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외에도, 피부 및 모발 상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매우 다양한 부가적인 유용성(oil-soluble) 재료 및/또는 수용성 재료를 이들의 기술분야에서 확립된 수준으로 함유할 수 있다.
부가적인 화장용 활성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다양한 부가적인 화장용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부가적인 활성제의 예에는 피부 라이트닝제, 다크닝제, 부가적인 노화방지제,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 콜라겐 촉진제, 항여드름제, 광택 제어제, 항미생물제, 예를 들어 항효모제, 항진균제, 및 항균제, 항염증제, 항기생충제, 외용 진통제, 선스크린, 광차단제, 항산화제, 각질용해제, 세제/계면활성제, 보습제, 영양제, 비타민, 에너지 증강제, 발한방지제, 수렴제, 탈취제, 제모제, 모발 성장 증강제, 모발 성장 지연제, 퍼밍제(firming agent), 수화 증진제(hydration booster), 효능 증진제, 굳은살 방지제(anti-callous agent), 피부 컨디셔닝제, 항셀룰라이트제, 냄새 제어제, 예를 들어 냄새 차폐제 또는 pH 변경제 등이 포함된다.
다양한 적합한 부가적인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활성제의 예에는 하이드록시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D-판테놀; 아보벤존 (파르솔(Parsol) 1789), 비스다이설리졸 다이소듐 (네오 헬리오판(Neo Heliopan) AP), 다이에틸아미노 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우비눌(Uvinul) A 플러스), 에캄술 (멕소릴(Mexoryl) SX), 메틸 안트라닐레이트, 4-아미노벤조산 (PABA), 시녹세이트, 에틸헥실 트라이아존 (우비눌 T 150), 호모살레이트, 4-메틸벤질리덴 캄퍼 (파르솔 5000),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티녹세이트(Octinoxate)), 옥틸 살리실레이트 (옥티살레이트(Octisalate)), 파디메이트 O (에스칼롤(Escalol) 507),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폰산 (엔설리졸(Ensulizole)), 폴리실리콘-15 (파르솔 SLX), 트롤라민 살리실레이트, 베모트라이지놀 (티노소르브(Tinosorb) S), 벤조페논 1-12, 다이옥시벤존, 드로메트라이졸 트라이실록산 (멕소릴 XL), 이스코트라이지놀 (우바소르브(Uvasorb) HEB), 옥토크릴렌, 옥시벤존 (에우솔렉스(Eusolex) 4360), 설리소벤존, 비소크트라이졸 (티노소르브 M),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과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UV 필터; 카로티노이드; 자유 라디칼 제거제; 스핀 트랩(spin trap); 레티노이드 및 레티노이드 전구체, 예를 들어 레티노산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 세라마이드; 다중불포화 지방산; 필수 지방산; 효소; 효소 억제제; 미네랄; 호르몬,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하이드로코르티손; 2-다이메틸아미노에탄올; 구리 염, 예를 들어 염화구리; 구리 함유 펩타이드, 코엔자임 Q10; 아미노산, 예를 들어 프롤린; 비타민; 락토비온산; 아세틸-코엔자임 A; 나이아신; 리보플라빈; 티아민; 리보스; 전자 수송물질(electron transporter), 예를 들어 NADH 및 FADH2; 및 다른 식물성 추출물, 예를 들어, 귀리, 알로에 베라, 피버퓨(Feverfew), 표고 버섯 추출물, 및 이들의 유도체 및 혼합물이 포함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대두 제품과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피부 보습 활성제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피부 케어 조성물은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대두 제품과 적어도 하나의 피부 노화 징후의 출현을 개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작용제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피부 노화 징후의 출현을 개선하는 적합한 부가적인 작용제의 예에는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 콜라겐 촉진제, 레티노이드, 하이알루론산 (가교결합된 하이알루론산을 포함함), 다이메틸아미노에탄올, N,N,N',N'-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다이아민, 알파 하이드록시산, 폴리하이드록시산, 당 아민, 및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는 트로포엘라스틴의 생성을 향상시키는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 화합물 부류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는 인체에서 트로포엘라스틴의 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든 천연 또는 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의 예에는 블랙베리 추출물, 코티너스(cotinus) 추출물, 피버퓨 추출물, 및 구리 및/또는 아연 구성성분을 갖는 2금속 착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리 및/또는 아연 구성성분을 갖는 2금속 착물은, 예를 들어 구리-아연 시트레이트, 구리-아연 옥살레이트, 구리-아연 타르타레이트, 구리-아연 말레이트, 구리-아연 석시네이트, 구리-아연 말로네이트, 구리-아연 말레에이트, 구리-아연 아스파르테이트, 구리-아연 글루타메이트, 구리-아연 글루타레이트, 구리-아연 푸마레이트, 구리-아연 글루카레이트, 구리-아연 폴리아크릴산, 구리-아연 아디페이트, 구리-아연 피멜레이트, 구리-아연 수베레이트, 구리-아연 아질레이트, 구리-아연 세바케이트, 구리-아연 도데카노에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는 블랙베리 추출물, 코티너스 추출물, 피버퓨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는 블랙베리 추출물, 피버퓨 추출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블랙베리 추출물"은 루부스(Rubus) 속의 식물, 바람직하게는 루부스 프루티코수스(Rubus fruticosus)로부터 단리된 화합물들의 블렌드를 의미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화합물은 식물의 꽃으로부터 단리된다. 추가 실시 형태에서, 화합물은 식물의 건조된 꽃으로부터 단리된다. 그러한 화합물은 식물의 하나 이상의 부분 (예를 들어, 전체 식물, 식물의 꽃, 종자, 뿌리, 근경, 줄기, 열매 및/또는 잎)으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블랙베리 추출물은 블랙베리 잎 추출물이다. 하나의 특히 적합한 블랙베리 추출물은 루부스 프루티코수스의 잎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로 추출하여 제조되며, 말토덱스트린 매트릭스와 약 5% 내지 약 10%의 활성으로 배합되고, 미국 뉴저지주 테터보로 소재의 심라이즈 인크.(Symrise Inc.)로부터 구매가능하며, 명칭 "심매트릭스(SymMatrix)"로 판매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를 화장용으로 유효한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성제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의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의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의 트로포엘라스틴 촉진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콜라겐 촉진제"는 콜라겐의 생성을 향상시키는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 화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레티노이드 콜라겐 촉진제"는, 레티노이드가 아니거나 또는 레티노이드로부터 유래되지 않으며 인체에서 콜라겐의 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든 천연 또는 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콜라겐 촉진제의 예에는 하기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티놀, 레틴알데하이드, 및 레티노산을 포함하는 레티노이드, 피버퓨 (타나세툼 파르테늄(Tanacetum parthenium))의 추출물,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의 추출물, 및 시에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Siegesbeckia orientalis)의 추출물; 콜라겐-촉진 펩타이드; 우르솔산; 및 아시아티코사이드.
리유니온 섬(Reunion Island)에서는 바이올렛 마로네(Violette marronne), 인도에서는 고투 콜라(Gotu Kola) 또는 인디언 페니워트(Indian pennywort), 북미에서는 센텔라 레판다(Centella repanda), 그리고 마다가스카에서는 탈라페트라카(Talapetraka)라고도 알려져 있는 센텔라 아시아티카는 다형태 허브(polymorphous herb)이며 움벨리페라이(Umbelliferae) (아피아세아이(Apiaceae)) 과에 속하고, 특히 하이드로코틸레(Hydrocotyle) 아과에 속한다. 이것은 열대지방 전반에 걸쳐 야생에서 자라며, 해발 고도 약 600 내지 1200 미터의 습하고 그늘진 지역을 선호한다. 센텔라 아시아티카는 3가지 변종, 즉 타이피카(Typica), 아비시니카(Abyssinica) 및 플로리다나(Floridana)를 갖는다. 이 허브는 그의 치유, 진정, 진통, 항우울, 항바이러스 및 항미생물 성질에 대해 알려져 있으며 이를 위해 사용된다. 이 허브의 생물학적 활성은 허브 내에 트라이테르펜 분자가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센텔라 아시아티카의 적합한 추출물은 스위스 바젤 소재의 바이엘 컨슈머 헬스케어(Bayer Consumer HealthCare)로부터 TECA로 입수가능하다.
"시에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의 추출물"은 세더마(Sederma)(미국 뉴저지주 에디슨 소재의 크로다 인터내셔널 그룹(Croda International Group))로부터 입수가능한 다루토사이드(Darutoside)를 포함하는, 식물 시에게스벡키아 오리엔탈리스의 임의의 다양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적합한 콜라겐-촉진 펩타이드에는 하기가 포함된다: 세더마 (미국 뉴저지주 에디슨 소재의 크로다 인터내셔널 그룹)로부터의 매트릭실(MATRIXYL)과 같은,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마트리킨(matrikine) 펩타이드 (즉, 세포외 기질 단백질 - 콜라겐, 엘라스틴, 또는 프로테오글리칸 - 의 분해로부터 유도된 펩타이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몽고메리빌 소재의 포토메덱스(Photomedex)로부터 프로사이트(PROCYTE)로 입수가능한 GHK 구리 펩타이드;세더마 (미국 뉴저지주 에디슨 소재의 크로다 인터내셔널 그룹)로부터 바이오포엡티드(Biopoeptide) CL로 구매가능한 팔미토일 GHK 펩타이드; 바이오미메틱 테트라펩타이드, 예를 들어 캐나다 퀘백주 소재의 유니펙스(Unipex)로부터 크로놀린 트라이 펩타이드(Chronoline Tri Peptide)로 입수가능한 것들; 및 스위스 바젤 소재의 디에스엠(DSM)으로부터 신-콜(Syn-Coll)로 입수가능한 팔미토일 트라이-펩타이드.
우르솔산은 5환식 트라이테르펜산, 프루놀(Prunol), 말롤(Malol), 우르손(Urson), 베타-우르솔산 및 3-베타-하이드록시-우르스-12-엔-28-오익산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로부터 구매가능하다.
화학적으로 [6-[[3,4-다이하이드록시-6-(하이드록시메틸)-5-(3,4,5-트라이하이드록시-6-메틸옥산-2-일)옥시옥산-2-일]옥시메틸]-3,4,5-트라이하이드록시옥산-2-일] 10,11-다이하이드록시-9-(하이드록시메틸)-1,2,6a,6b,9,12a-헥사메틸-2,3,4,5,6,6a,7,8,8a,10,11,12,13,14b-테트라데카하이드로-1H-피센-4a-카르복실레이트)로도 알려져 있는 아시아티코사이드는, 예를 들어 프랑스 쌩-오엔 93400 불러바드 빅토르 휴고 69 소재의 바이엘 상테 파밀리에 디비젼 세덱스
Figure pat00001
로부터 구매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용으로 유효한 양의 하나 이상의 콜라겐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활성제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의 콜라겐 촉진제,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5%의 콜라겐 촉진제,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의 콜라겐 촉진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피부 라이트닝 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피부 라이트닝 활성제의 예에는 타이로시나제 억제제, 멜라닌 분해제, PAR-2 길항제를 포함하는 멜라노좀 이동 억제제, 박피제(exfoliant), 선스크린, 레티노이드, 항산화제, 트라넥삼산, 트라넥삼산 세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피부 표백제(skin bleaching agent), 리놀레산,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다이소듐 염, 카모밀라(Chamomilla) 추출물, 알란토인, 불투명화제, 활석 및 실리카, 아연 염 등, 및 문헌[Solano et al. Pigment Cell Res. 19 (550-571)] 및 문헌[Ando et al. Int J Mol Sci 11 (2566-2575)]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다른 작용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타이로시나제 억제제의 예에는 비타민 C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코직산, 아르뷰틴, 레소르시놀, 하이드로퀴논, 플라본, 예를 들어 감초(Licorice) 플라보노이드, 감초 뿌리 추출물, 뽕나무(Mulberry) 뿌리 추출물, 디오스코레아 콤포시타(Dioscorea Composita) 뿌리 추출물, 삭시프라가(Saxifraga) 추출물 등, 엘라그산, 살리실레이트 및 유도체, 글루코사민 및 유도체, 풀러렌, 히노키티올, 다이오익산, 아세틸 글루코사민, 5,5'-다이프로필-바이페닐-2,2'-다이올 (마그노리그난(Magnolignan)), 4-(4-하이드록시페닐)-2-부탄올 (4-HPB),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타민 C 유도체의 예에는 아스코르브산 및 염,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사이드, 소듐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및 비타민 C가 풍부한 천연 추출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타민 E 유도체의 예에는 알파-토코페롤, 베타, 토코페롤, 감마-토코페롤, 델타-토코페롤, 알파-토코트라이엔올, 베타-토코트라이엔올, 감마-토코트라이엔올, 델타-토코트라이엔올 및 이들의 혼합물,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포스페이트 및 비타민 E 유도체가 풍부한 천연 추출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소르시놀 유도체의 예에는 레소르시놀, 4-치환된 레소르시놀, 예를 들어 4-알킬레소르시놀, 예컨대 4-부티레소르시놀 (루시놀), 4-헥실레소르시놀 (시노베아(Synovea) HR, 시테온(Sytheon)), 페닐에틸 레소르시놀 (심화이트(Symwhite), 심라이즈), 1-(2,4-다이하이드록시페닐)-3-(2,4-다이메톡시-3-메틸페닐)-프로판 (니비톨, 우니겐(Unigen)) 등 및 레소르시놀이 풍부한 천연 추출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살리실레이트의 예에는 4-메톡시 포타슘 살리실레이트, 살리실산, 아세틸살리실산, 4-메톡시살리실산 및 이들의 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타이로시나제 억제제에는 4-치환된 레소르시놀, 비타민 C 유도체, 또는 비타민 E 유도체가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타이로시나제 억제제에는 페닐에틸 레소르시놀, 4-헥실 레소르시놀, 또는 아스코르빌-2-글루코사이드가 포함된다.
적합한 멜라닌 분해제의 예에는 과산화물 및 효소, 예를 들어 퍼옥시다제 및 리그니나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멜라닌 억제제에는 과산화물 또는 리그니나제가 포함된다.
적합한 멜라노좀 이동 억제제의 예에는 PAR-2 길항제, 예를 들어 비타민 B3 및 유도체, 예컨대 나이아신아미드가 포함된다.
박피제의 예에는 알파-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락트산, 글리콜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또는 임의의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조합, 베타-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살리실산, 폴리하이드록시산, 예를 들어 락토비온산 및 글루콘산, 및 기계적 박피, 예를 들어 미세박피(microdermabrasion)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박피제에는 글리콜산 또는 살리실산이 포함된다.
레티노이드의 예에는 레티놀 (비타민 A 알코올), 레티날 (비타민 A 알데하이드),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레티닐 리놀레에이트, 레티노산, 레티닐 팔미테이트, 아이소트레티노인, 타자로텐, 벡사로텐, 아다팔렌(Adapalene),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레티노이드는 레티놀, 레티날,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레티닐 리놀레에이트, 및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레티노이드는 레티놀이다.
항산화제의 예에는 수용성 항산화제, 예를 들어 설프하이드릴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 (예를 들어,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및 N-아세틸-시스테인, 글루타티온), 리포산 및 다이하이드로리포산, 스틸베노이드, 예를 들어 레스베라트롤 및 유도체, 락토페린, 철 및 구리 킬레이팅제 및 아스코르브산 및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예를 들어, 아스코빌-2-글루코사이드,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르빌 폴리펩타이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용성 항산화제에는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레티노이드 (예를 들어, 레티놀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 토코페롤 (예를 들어,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트라이에놀 및 유비퀴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에는 플라보노이드 및 아이소플라보노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제니스테인 및 다이아드제인)를 함유하는 추출물,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추출물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한 천연 추출물의 예에는 포도씨, 녹차, 홍차, 백차, 소나무 껍질, 피버퓨, 파르테놀라이드(parthenolide)-무함유 피버퓨, 귀리 추출물, 블랙베리 추출물, 코티너스 추출물, 포멜로(pomelo) 추출물, 맥아 추출물, 헤스페레딘(Hesperedin), 포도 추출물, 쇠비름속(Portulaca) 추출물, 리코칼콘, 칼콘, 2,2'-다이하이드록시 칼콘, 프리물라(Primula) 추출물, 프로폴리스 등이 포함된다.
부가적인 화장용 활성제는 조성물 중에 임의의 적합한 양으로, 예를 들어 이 조성물의 약 0.0001 중량% 내지 약 20 중량%, 예를 들어 약 0.0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 예를 들어 약 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0.1% 내지 5%,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1% 내지 2%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용으로 유효한 양의 하나 이상의 항염증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항염증제의 예에는 치환된 레소르시놀, (E)-3-(4-메틸페닐설포닐)-2-프로펜니트릴 (예를 들어, "베이(Bay) 11-7082",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소재의 시그마-알드리치로부터 구매가능함),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미노이드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미노이드 CG, 미국 뉴저지주 피스카타웨이 소재의 사빈사 코포레이션(Sabinsa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하기로부터 유래된 추출물 및 물질이 포함된다: 펠로덴드론 아무렌세 피층 추출물(Phellodendron amurense Cortex Extract; PCE), 피버퓨 (타나세툼 파르테늄), 생강 (징기베르 오피시날레(Zingiber officinale)), 은행 (징코 빌로바(Gin㎏o biloba)), 마데카소사이드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 성분), 코티너스 (코티너스 코기그리아(Cotinus coggygria)), 머위(Butterbur) 추출물 (페타시테스 하이브리두스(Petasites hybridus)), 구기자(Goji Berry) (라이시움 바르바룸(Lycium barbarum)), 밀크 시슬(Milk Thistle) 추출물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 인동덩굴(Honeysuckle) (로니세라 자포니카(Lonicera japonica)), 페루 발삼(Basalm of Peru) (마이록실론 페레이라이(Myroxylon pereirae)), 세이지(Sage) (살비아 오피시날리스(Salvia officinalis)), 크랜베리(Cranberry) 추출물 (바시니움 옥시코코스(Vaccinium oxycoccos)), 아마란스유(Amaranth Oil) (아마란투스 크루엔투스(Amaranthus cruentus)), 석류(Pomegranate) (푸니카 그라나툼(Punica granatum)), 예바 마테(Yerbe Mate) (일렉스 파라구아리엔시스(Ilex paraguariensis) 잎 추출물), 하얀 백합(White Lily) 꽃 추출물 (릴리움 칸디둠(Lilium candidum)), 올리브 잎 추출물 (올레아 유로파에아(Olea europaea)), 플로레틴(Phloretin) (사과 추출물), 귀리 가루 (아비나 사티바(Aveena sativa)), 리페놀(Lifenol) (홉(Hop): 후물루스 루풀루스(Humulus lupulus)) 추출물, 부그란(Bugrane) P (오노니스 스피노사(Ononis spinosa)), 리코칼콘 (감초: 글리시리자 인플라테(Glycyrrhiza inflate) 추출물 성분), 심릴리프(Symrelief) (비사볼롤, 그리고 생강 추출물),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 등.
일 실시 형태에서, 항염증제는 레소르시놀이다. 특히 적합한 치환된 레소르시놀에는 4-헥실 레소르시놀 및 4-옥틸레소르시놀, 특히 4-헥실 레소르시놀이 포함된다. 4-헥실 레소르시놀은 미국 뉴저지주 링컨 파크 소재의 시테온으로부터 시노베아 HR로 구매가능하다. 4-옥틸레소르시놀은 미국 코네티컷주 웨스트 헤이븐 소재의 씨티 케미칼 엘엘씨(City Chemical LLC)로부터 구매가능하다.
"피버퓨 추출물"이란, 발명의 명칭이 "피버퓨(타나세툼 파르테늄)로부터의 파르테놀라이드-무함유 생물활성 성분 및 이의 제조 방법" (PARTHENOLIDE FREE BIOACTIVE INGREDIENTS FROM FEVERFEW (TANACETUM PARTHEN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196523호에 기술된 상세한 내용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식물 "타나세툼 파르테늄"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한 가지 특히 적합한 피버퓨 추출물은 미국 뉴욕주 오시닝 소재의 인티그레이티드 보태니컬 테크놀로지스(Integrated Botanical Technologies)로부터 약 20% 활성 피버퓨로서 구매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부 케어 조성물에서, 항염증성 화합물에 대한 배합된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대두 제품의 양의 비는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 및 항염증성 화합물은 약 0.001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25 내지 약 2의 중량비(이는 건조 추출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양을 항염증성 화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양으로 나누어서 결정됨)로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물질이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킬레이팅제, 연화제, 습윤제, 컨디셔너, 방부제, 불투명화제, 방향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국소 성분을 포함한다.
연화제란, (예를 들어, 윤활제로 작용하도록 피부 표면 상에 또는 각질층 내에 남아 있음으로써) 부드럽고 매끄럽고 유연한 피부 외관을 유지하도록 돕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적합한 연화제의 예에는 문헌[Chapter 35, pages 399-415 (Skin Feel Agents, by G Zocchi), in Handbook of 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edited by A. Barel, M. Paye and H. Maibach, Published in 2001 by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에 나타나 있는 것들이 포함되며, 바셀린, 헥실데실 스테아레이트, 및 식물 오일, 견과유, 및 식물유, 예를 들어 마카다미아 너트유, 미강유, 포도씨유, 팜유, 프림로즈유(prim rose oil), 수소화 땅콩유, 및 아보카도유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습윤제란, 피부의 상부 층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도록 의도된 화합물 (예를 들어, 흡습성 화합물)을 의미한다. 적합한 습윤제의 예에는 문헌[Chapter 35, pages 399-415 (Skin Feel Agents, by G Zocchi), Handbook of 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edited by A. Barel, M. Paye and H. Maibach, Published in 2001 by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에 나타나 있는 것들이 포함되며, 글리세린, 소르비톨 또는 트레할로스 (예를 들어, α,α- 트레할로스, β,β-트레할로스, α,β-트레할로스) 또는 이의 염 또는 에스테르 (예를 들어, 트레할로스 6-포스페이트)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조성물은 글리세린을 함유한다. 예를 들어, 본 조성물은 적어도 5 중량%의 글리세린을 함유한다. 본 조성물은 적어도 8 중량%의 글리세린을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pH가 6.5 이하이다. 예를 들어, 본 조성물은 pH가 5.5 이하일 수 있다.
특정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약 8 중량%의 글리세린을 함유하고 pH가 6.5 이하이다. 그러한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피부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때 하이알루론산 생성의 실질적인 증가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0.1 내지 5 중량%의 세테아릴 올리베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0.1 내지 3 중량%의 세테아릴 올리베이트를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또한 0.1 내지 5 중량%의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0.1 내지 3 중량%의 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포함한다.
세테아릴 올리베이트 및 소르비탄 올리베이트의 편리한 공급원은 할스타 이탈리(Hallstar Itali)로부터 구매가능한 올리벰(Olivem) 1000이다.
계면활성제란, 클렌징하도록 또는 유화시키도록 의도된 표면 활성제를 의미한다. 적합한 계면활성제의 예에는 문헌[Chapter 37, pages 431-450 (Classification of surfactants, by L. Oldenhove de Guertechin) in Handbook of 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edited by A. Barel, M. Paye and H. Maibach, Published in 2001 by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에 나타나 있는 것들이 포함되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황산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베타인, 양쪽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소듐 코코 글리시네이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킬레이팅제의 예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보호 및 보존할 수 있는 것들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킬레이팅제는 에틸렌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EDT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칼 컴퍼니(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상표명 "베르센(VERSENE) 100XL"로 구매가능한 테트라소듐 EDTA이다.
적합한 방부제에는, 예를 들어 파라벤, 4차 암모늄 화학종, 페녹시에탄올, 벤조에이트, DMDM 하이단토인, 유기산이 포함되며, 이는 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1% 또는 약 0.05% 내지 약 0.5%의 양으로 본 조성물에 존재한다.
모발에 광택과 같은 부가적인 속성을 부여하는 임의의 다양한 컨디셔너가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예에는 대기압 비점이 약 220℃ 미만인 휘발성 실리콘 컨디셔닝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휘발성 실리콘의 예에는 비배타적으로 폴리다이메틸실록산, 폴리다이메틸사이클로실록산, 헥사메틸다이실록산, 사이클로메티콘 유체, 예를 들어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DC-345"로 구매가능한 폴리다이메틸사이클로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메티콘 유체가 포함된다. 다른 적합한 컨디셔너에는, 폴리쿼터늄, 양이온성 구아 등을 포함하는 양이온성 중합체가 포함된다.
임의의 다양한 구매가능한 진주광택제 또는 불투명화제가 본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적합한 진주 광택제 또는 불투명화제의 예에는 (a) 약 16개 내지 약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과 (b)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중 어느 하나의 모노 또는 다이에스테르; (a) 약 16개 내지 약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산과 (b) 화학식: HO-(JO)a-H (여기서, J는 약 2 내지 약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렌 기이고; a는 2 또는 3임)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모노 또는 다이에스테르; 약 16 내지 약 2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알코올; 화학식: KCOOCH2L (여기서, K 및 L은 독립적으로 약 15 내지 약 21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함)의 지방 에스테르; 샴푸 조성물에 불용성인 무기 고형물;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부 상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방향제 조성물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재의 형태이다. 임의의 적합한 기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기재 및 기재 재료의 예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 미국 공개 출원 제2005/0226834호 및 제2009/0241242호에 개시되어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기재는 와이프, 글러브, 또는 페이셜 마스크이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실시 형태는 상기에 인용된 참고 문헌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은 수불용성 기재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 형태의 경우, 수불용성 기재는, 수불용성 기재를 마스크 기재로서 사용자의 얼굴 주위에 놓기에 용이하도록, 인간 사용자의 얼굴을 덮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불용성 마스크 기재는 사용자의 입, 코, 및/또는 눈을 위한 개방부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불용성 기재는 이러한 개구부를 갖지 않을 수 있다. 개방부가 없는 그러한 구성은, 수불용성 기재를 얼굴이 아닌 피부 영역 위에 씌우고자 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또는 수불용성 기재를 와이프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수불용성 기재는 다양한 형상, 예를 들어 각진 형상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아치형 형상,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기재는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6/0141014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글러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제품은 상이한 형상의 복수의 수불용성 기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보습성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에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대두 제품의 배합물을 도포하여,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보습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예를 들어,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보습성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에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국소 도포는 신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피부, 예를 들어 얼굴, 입술, 목, 가슴, 등, 팔, 겨드랑이, 손, 발 및/또는 다리의 피부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배합된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대두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피부 장벽 기능의 원하는 개선이 달성되게 하는 유효량으로 도포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피부 노화 징후의 출현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에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대두 제품의 배합물을 도포하여, 적어도 하나의 피부 노화 징후의 출현을 개선하는 방법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방법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피부 노화 징후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부에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국소 도포는 신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임의의 피부, 예를 들어 얼굴, 입술, 목, 가슴, 등, 팔, 겨드랑이, 손, 발 및/또는 다리의 피부에 대한 것일 수 있다.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피부 노화 징후의 출현의 원하는 개선이 달성되게 하는 유효량으로 도포된다.
필요로 하는 피부에 본 조성물을 도포하는 임의의 적합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조성물은 필요로 하는 피부에 패키지로부터 직접 도포될 수 있거나, 필요로 하는 피부에 손으로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와이프 또는 마스크와 같은 기재로부터 전달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으로 도포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조성물은 점적기, 튜브, 롤러, 스프레이, 및 패치를 통해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욕액(bath)에 또는 달리 피부에 도포될 물 등에 첨가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제한 없이, 리브-온(leave-on) 크림, 마스크, 및/또는 세럼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형태로 도포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또는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가지의 상이한 조성물 또는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방법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부에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도포한 후, 제1 조성물과는 상이한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은 독립적으로 로션, 클렌저, 마스크, 와이프, 크림, 세럼, 젤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는 클렌저, 로션, 크림, 에센스, 또는 세럼이고, 다른 것은 페이셜 마스크 또는 와이프이다. 소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는 클렌저이고, 다른 것은 로션 또는 크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형 및 제품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환원성 반점(reducing blotchiness)을 포함한 불균일한 피부, 탄력성 상실, 주름살과 같은 피부 노화를 치료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 자극이 실질적으로 부재한다.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한다.
실시예 1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또는 대두 제품으로 처리한 후에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하이알루론산 (HA) 생성을 결정하고 하기와 같이 비교하였다.
대두 제품은 글리신 소자 종자 추출물(Glycine Soja Seed Extract) (미국 일리노이주 록시티 소재의 데반소이, 인크.(Devansoy, Inc.)로부터 구매가능함)이었으며 분말이었다. 그것을 인산염 완충 식염수 (PBS) 중에 재현탁시켜 10% (중량/부피) 스톡(stock)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스톡 용액을 세포 배양 배지 중에 추가로 희석시켜 최종 시험 농도에 도달하게 하였다.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은 5% 수용액의 형태였다. 피키아 아노말라는 키위 식물에서 성장하였다. 5% 수용액을 100% 스톡 용액으로서 처리하였다.
이들 2가지 성분을 기재된 용량으로 단독으로 또는 함께 배양 배지에 첨가하고, HA 생성에 대한 이들의 결과적인 효과를 사용하여, 비처리된 것과 비교하여 HA 생성의 배수 변화를 결정하였다.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플라스크에서,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 10% 소태아 혈청, 50 단위/ml 페니실린 및 50 ㎍/ml 스트렙토마이신으로 이루어진 성장 배지 중에 유지하였다.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서 웰당 20,000개의 세포로 시딩(seeding)하였다. 24시간의 인큐베이션 후에, 세포를 DMEM + 2% FBS 중에 준비된 (대조군으로서의) 단독으로의 DMSO, 또는 DMSO 중에 용해된 시험 조성물로 처리하였다. 배양 배지를 처리한 지 48시간 후에 수집하고,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하이알루로난(Hyaluronan) ELISA 키트 (에켈론(Echelon), 카탈로그 번호 K-1200)를 사용하여 HA 분비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색 찬스(colorimetric chance)를 405 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결과는 비처리된 것과 대비하여 HA 생성의 % 증가로 표현되어 있다.
[표 1]
Figure pat00002
표 1에서의 결과는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대두 제품의 배합물에 의한 피부 세포의 처리가 세포에 의한 HA 생성에 있어서의 예기치 않게도 높고 상승적인 증가를 가져왔음을 보여준다. 모든 배합물은 HA 생성에 있어서, 성분들로부터 개별적으로 예상된 상가적(additive) 증가보다 더 큰 증가를 제공하였다.
예를 들어, 0.5 중량%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용액은 HA 생성에 있어서, 비처리된 것과 대비하여 27.34% 증가를 제공하였으며, 0.01 중량% 대두 제품은 HA 생성에 있어서, 비처리된 것과 대비하여 16.39% 증가를 제공하였다. 이들 둘의 배합에 의해 예상된 상가적 증가는 43.73%였다. 그러나, 비처리된 것 대비 실제 증가는 80.55%였는데, 이는 예상된 상가적 증가의 거의 2배였다.
실시예 2
인간 피부 외식편(explant)에 의한 하이알루론산 (HA) 생성을 결정하고, 이것을 시험 조성물 A, 조성물 B 및 조성물 C (비교용) 및 상이한 양의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을 함유하는 조성물 1 및 조성물 2 (본 발명에 따름)로 처리한 후에 비교하였다. 이들 시험 조성물은 표 2에 나타낸 성분들을 함유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3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시험 조성물들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물 중에 수산화나트륨을 용해시켜 1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제조하였다.
먼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및)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 가교중합체를 별도의 용기에 첨가하고, 이어서 다이메티콘, 다이메티코놀을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프리믹스 2를 제조하였다. 프리믹스 2를 주 용기에 첨가할 때까지 한쪽으로 치워 두었다.
별도의 용기에서 글리세린 소자 종자 추출물 (미국 일리노이주 록시티 소재의 데반소이, 인크.(Devansoy, Inc.)로부터 구매가능함)을 글리세린에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프리믹스 3을 제조하였다.
별도의 프리믹스 용기에서 운모; 물 중 이산화티타늄을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함으로써 프리믹스 4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물을 주 용기에 첨가하고, 혼합을 시작하였다. 카르보머를 주 용기 내로 서서히 뿌리고, 완전히 수화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주 용기를 70 내지 75℃로 가열하였다. 70 내지 75℃에서, 10% 수산화나트륨 용액 (pH 5.0 내지 6.0, 목표 5.5)을 사용하여 배치(batch)를 부분 중화시키고, 투명한 자유 유동 용액이 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혼합 속도를 모니터링하여 에어레이션(aeration)을 피하였다. 배치가 여전히 70 내지 75℃에 있는 동안에, 클로르페네신을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배치를 80 내지 85℃로 가열하고, 밀랍 및 세테아릴 올리베이트/소르비탄 올리베이트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배치를 15분 동안 또는 매끄러운 균일한 벌크가 형성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배치를 70℃로 냉각시키고, 폴리아크릴아미드; 라우레스-7; C13-14 아이소파라핀을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배치를 40℃로 냉각시키고, 프리믹스 2를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이어서, 다이메티콘/비닐 다이메티콘 가교중합체; C12-14 파레스-12를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페녹시에탄올을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30 내지 35℃에서, 프리믹스 3, 프리믹스 4,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용액 및 방향제를 주 배치에 첨가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pH를 5.0 내지 6.0의 범위 (목표 5.5)로 유지하였다. 10%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pH를 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매끈하고 균일해질 때까지 조성물을 균질화하였다.
3명의 공여자 (29세, 30세, 55세)로부터의 인간 피부의 정상 외식편에 대해 면역조직학을 사용하여 조성물에 의한 HA 생성을 결정하였다. 외식편으로부터 8 mm 직경의 펀치를 절단하고, 멸균 거즈 조각에 놓고, 웰당 하나의 외식편을 3 mL의 배양 배지가 담긴 6웰 플레이트 내에 넣었다. 배양 배지는 상표명 깁코(GIBCO) DMEM/F-12 (미국 매사추세츠주 월섬 소재의 서모피셔 사이언티픽(ThermoFisher Scientific), 카탈로그 번호 11514436)로 판매되는 것으로, 이는 1% 깁코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서모피셔 사이언티픽, 카탈로그 번호 11528876) 및 상표명 펀지존(FUNGIZONE) (서모피셔 사이언티픽, 카탈로그 번호 11510496)으로 판매되는 0.1% 암포테라신 B를 함유하였다.
각각의 시험 조성물에 대해, 5 ㅅl의 시험 조성물을 5일 동안 일일 1회 외식편에 도포하였다. 플라세보 조성물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일수 7에서, 외식편을 회수하고, 멸균 거즈로 닦고, 이어서 수직으로 절반으로 자르고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 (V/V) 중에 고정시켰다. 일수 8에서, 외식편을 탈수시키고 파라핀 중에 포매하였다. 각각의 시험 조성물을 3회 반복하여 시험하였다.
파라핀 처리된 슬라이드를 자일렌으로 스트립핑하고, PT 링크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 소재의 애질런트(Agilent)) 및 상표명 엔비전 플렉스, 하이 pH(ENVISION Flex, High pH) (다코(Dako), DM828, 애질런트;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 소재)로 판매되는 표적 회복 용액을 사용하여 에피토프 회복을 수행하였다. 이어서, 슬라이드를 상표명 엔비전 (다코, DM831, 애질런트;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 소재)으로 판매되는 세척 완충액으로 10분 동안 1회 헹구었다. PBS 0.3% 트리톤(Triton)/5% 염소 혈청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 소재의 다코, 카탈로그 번호 CP3418/X090710-8)로 30분 동안 투과화 및 포화를 행한 후, 하이알루론산 결합 단백질(Hyaluronic Acid Binding Protein) ("HAPB", 칼바이오켐(Calbiochem)으로부터 입수됨, 카탈로그 번호 385911, 미국 뉴저지주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밀리포어 시그마(Millipore Sigma))로 4℃에서 하룻밤 표지화하였다. 다음날, 슬라이드를 1회마다 5분씩 3회 PBS로 헹구었다. 상표명 알렉사 플루오르(ALEXA FLUOR) 488 스트렙타비딘 (인비트로겐(Invitrogen)™, 카탈로그 번호 S11223)으로 판매되는 형광 표지에 공유 부착된 비오틴-결합 단백질을 사용하여 항체를 밝혀내었으며, 주위 온도에서 30분 동안 5 ㎍/ml의 DAPI 용액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클라라 소재의 다코)을 사용하여 핵 염색을 행하였다. 이어서, 슬라이드를 PBS로 헹구고, 플루오프렙(Fluoprep) 마운팅 배지 (영국 소재의 비오메리으 유케이 리미티드(bioMerieux UK Ltd.), 카탈로그 번호 75521)를 사용하여 마운팅하였다.
이미지 분석 시스템 (NIS-Elements AR 소프트웨어, 미국 뉴욕주 멜빌 소재의 니콘 인스트루먼츠(Nikon Instruments))에 결합된 올림푸스 IX70 형광 현미경(Olympus IX70 Fluorescence microscope) (일본 소재의 올림푸스 코포레이션(Olympus Corporation))으로 피부 절편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Image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미지의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가 표 3에 나타나 있다. 결과는 진피의 평균 형광 강도 (임의의 단위 (AU))로 표현되어 있다. 형광 강도 (녹색)는 HABP의 합성에 비례한다.
[표 3]
Figure pat00004
0.13 중량%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과 2 중량% 대두 제품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2에 의한 피부 외식편의 처리는 HA 생성에 있어서, 플라세보와 대비하여 예기치 않게도 높고 상승적인 증가를 가져왔다. 이러한 배합물은 HA 생성에 있어서, 성분들로부터 개별적으로 예상된 상가적 증가보다 더 큰 증가를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0.13 중량%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는 HA 생성에 있어서, 플라세보 대비 54.6% 증가를 제공하였으며, 2 중량% 대두 제품을 함유하는 조성물 B는 HA 생성에 있어서, 플라세보 대비 17% 증가를 제공하였다. 이들 둘의 배합에 의해 예상된 상가적 증가는 71.6%이다. 그러나, HA 생성에 있어서, 플라세보와 대비하여 조성물 2에 의해 달성된 실제 증가는 95.3%였으며, 이는 예상된 상가적 증가보다 23.7% 더 증가하였다.

Claims (10)

  1. 피키아 아노말라(Pichia anomala)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이 키위 열매 또는 잎에 존재하는 피키아 아노말라의 균주로부터 제조되는 것인, 국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이 사탕 수수에 존재하는 피키아 아노말라의 균주로부터 제조되는 것인, 국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소 조성물 내의 상기 대두 제품에 대한 상기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의 중량비가 약 1 내지 약 5인 것인, 국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약 0.01 내지 약 1 중량%의 상기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국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약 0.1 내지 약 5 중량%의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것인, 국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약 5 중량%의 글리세린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국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pH가 약 6.5 이하인 것인, 국소 조성물.
  9. 피부 노화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피부에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징후를 치료하는 방법.
  10.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보습성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피부에 피키아 아노말라 추출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을 국소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장벽 기능 및 피부 보습성을 개선하는 방법.
KR1020190105714A 2018-08-30 2019-08-28 피키아 아노말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KR202000261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24807P 2018-08-30 2018-08-30
US62/724,807 2018-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114A true KR20200026114A (ko) 2020-03-10

Family

ID=67874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714A KR20200026114A (ko) 2018-08-30 2019-08-28 피키아 아노말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00069562A1 (ko)
EP (1) EP3616757A1 (ko)
JP (1) JP2020033344A (ko)
KR (1) KR20200026114A (ko)
CN (1) CN110870884A (ko)
AU (1) AU2019222867A1 (ko)
BR (1) BR102019017236A2 (ko)
CA (1) CA3050592A1 (ko)
RU (1) RU2019126809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2615B2 (en) 2001-02-28 2007-03-20 J&J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legume products
FR2897266B1 (fr) 2006-02-16 2008-05-30 Limousine D Applic Biolog Dite Utilisation cosmetique d'un extrait de pichia anomala
EP1991242B1 (en) 2006-02-21 2017-04-26 Isp Investment Inc. Parthenolide free bioactive ingredients from feverfew (tanacetum parthen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FR2906719A1 (fr) 2006-10-05 2008-04-11 Limousine D Applic Biolog Dite Utilisation de substances agissant sur le derme papillaire pour leur action anti-age.
US20090241242A1 (en) 2008-03-31 2009-10-01 Heidi Beatty Facial mask
FR2938768B1 (fr) 2008-11-21 2011-02-11 Limousine D Applic Biolog Ditesilab Soc Ind Utilisation cosmetique d'un extrait de pichia pour restructurer la peau, principe actif, procede d'obtention et compositions
FR2976490B1 (fr) 2011-06-20 2013-07-12 Silab Sa Utilisation de substances agissant sur l'igf-1 et/ou l'igf-1r pour leur activite anti-age
US20170172913A1 (en) * 2015-12-17 2017-06-22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ichia Anomala and Chicory Root Extra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9017236A2 (pt) 2020-03-10
CN110870884A (zh) 2020-03-10
EP3616757A1 (en) 2020-03-04
AU2019222867A1 (en) 2020-03-19
JP2020033344A (ja) 2020-03-05
RU2019126809A (ru) 2021-02-26
CA3050592A1 (en) 2020-02-29
US20200069562A1 (en)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1142B1 (en)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ichia anomala and chicory root extracts
US10206870B2 (en) Topical composition containing glycerin and yeast extract
CN110870880B (zh) 包含异常毕赤酵母和视黄醇的局部用组合物
US11110051B2 (en)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ichia anomala and n-acetyl glucosamine
US9173913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US9168207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US20120045492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RU2812891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МЕСТНОГО НАНЕСЕНИЯ, СОДЕРЖАЩИЕ Pichia anomala И РЕТИНОЛ
KR20200026114A (ko) 피키아 아노말라 및 대두 제품을 포함하는 국소 조성물
US9387349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
AU2016273940B2 (en)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ichia anomala and chicory root extracts
US20120045529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paulownia tomentosa wood extracts and use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