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924A -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924A
KR20200025924A KR1020180103945A KR20180103945A KR20200025924A KR 20200025924 A KR20200025924 A KR 20200025924A KR 1020180103945 A KR1020180103945 A KR 1020180103945A KR 20180103945 A KR20180103945 A KR 20180103945A KR 20200025924 A KR20200025924 A KR 20200025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data
data
detection
valid
w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597B1 (ko
Inventor
전진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5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관련하여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여, 이상감지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구축(생성)하기 위한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PRODUCING APPARATUS FOR RADIO MAP,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수의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관련하여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 기술과 스마트 기기의 발전에 힘입어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가 급속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 길 찾기 지도서비스,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등은 일상 속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더욱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적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외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실내 장소에서는 위성 신호의 손실이 크게 일어나 측위 정밀도가 매우 낮아지거나 측위가 불가능한 취약점이 있다.
최근 보통 사람의 일상생활에서 실내 공간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이러한 실내 공간은 점점 대형화되고 복잡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실내 공간에서도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스마트폰(이하, '단말장치'라 칭함)을 위한 주요 실내 측위 기술로는 무선랜(Wi-Fi), 센서, 비콘 등을 기반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이 중 무선랜 기반의 실내 측위 기법인 핑거프린팅 측위는 높은 정밀도를 보장하는 가장 보편적인 기술 중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무선랜 기반의 핑거프린팅 측위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자는, 실내나 실외의 무선랜 AP로부터 송출된 무선랜신호에 기반하여 무선랜 지문을 획득하고, 획득한 무선랜 지문에 해당 지점의 좌표를 연계시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구축하는 방식을 통해 위치 인식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게 되며, 이 경우 서비스 가입자는 임의의 지점에서 무선랜신호를 수신했을 때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참조하여 해당 지점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핑거프린팅 측위에 기반한 위치 인식 서비스 환경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은 어떠한 방식으로 신뢰성 있는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구축할 것인 가인 반면, 종래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구축과 이 후 갱신 과정의 경우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많은 노동력과 시간 비용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신뢰성 있는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생성(구축)을 위한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다수의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관련하여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여, 이상감지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구축(생성)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는,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 생성과 관련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다수의 단말장치로부터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특정 위치와 관련된 유효감지데이터가 선별되면, 설정기간 동안의 상기 유효감지데이터를 누적한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명령; 및 상기 데이터 윈도우의 누적백분율을 기초로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 중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는 이상탐지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 중 상기 이상감지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하는 맵생성명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상탐지명령은,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Quartile)를 산출하여, 특정 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상탐지명령은, 상기 유효감지데이터에 포함되는 2 이상의 감지속성 중 적어도 일부 감지속성에 대해, 나머지 감지속성과는 별도의 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일부 감지속성에는, 무선랜감지데이터의 감지와 관련하여, 단말장치가 동일한 위치에 머문 시간인 체류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이상탐지명령은, 상기 체류시간에 대해서,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 중 제1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단말장치로부터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특정 위치와 관련된 유효감지데이터가 선별되면, 설정기간 동안의 상기 유효감지데이터를 누적한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단계; 및 상기 데이터 윈도우의 누적백분율을 기초로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 중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는 이상탐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 중 상기 이상감지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하는 맵생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상탐지단계는,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Quartile)를 산출하여, 특정 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상탐지단계는, 상기 유효감지데이터에 포함되는 2 이상의 감지속성 중 적어도 일부 감지속성에 대해, 나머지 감지속성과는 별도의 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어도 일부 감지속성에는, 무선랜감지데이터의 감지와 관련하여, 단말장치가 동일한 위치에 머문 시간인 체류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이상탐지단계는, 상기 2 이상의 감지속성 중 상기 체류시간에 대해서,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 중 제1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다수의 단말장치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관련하여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여, 이상감지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구축(생성)함으로써,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구축(생성)에 있어서 신뢰성 및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은, 무선랜신호에 대한 리포팅정보를 제공하는 단말장치(10), 및 리포팅정보를 기반으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RM, Fingerprint Radio Map)을 생성(구축)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리포팅정보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일컫는 것으로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무선랜신호에 대한 리포팅정보를 라디오맵생성장치(2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장치(10)에 탑재된 GPS 센서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및 측위된 위치 주변의 무선랜 AP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랜신호(Wi-Fi 신호)를 감지(스캔)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장치(10)의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의 상시 구동을 지원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라디오맵생성장치(20)와 연계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거나, 단말장치(10)내 별도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GPS 센서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및 측위된 위치 주변의 무선랜 AP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랜신호를 감지(스캔)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불특정 다수의 단말장치(10)로부터 수집되는 리포팅정보를 이용하여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 내 각 구성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무선랜신호에 대한 리포팅정보를 활용하여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은 실내나 실외의 무선랜 AP로부터 송출된 무선랜신호에 기반하여 무선랜 지문을 획득하고, 획득한 무선랜 지문에 해당 지점의 좌표를 연계시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구축하는 방식을 통해 위치 인식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인식 서비스 환경을 통해서 서비스 가입자는 임의의 지점에서 무선랜신호를 수신했을 때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참조하여 해당 지점의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로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핑거프린팅 측위에 기반한 위치 인식 서비스 환경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것은 어떠한 방식으로 신뢰성 있는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구축할 것인 반면, 종래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구축과 이 후 갱신 과정의 경우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많은 노동력과 시간 비용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구축(생성)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단말장치(10), 및 라디오맵생성장치(2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무선랜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11),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12), 및 리포팅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1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감지부(11), 생성부(12), 및 제공부(13)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특히, 감지부(11)는 단말장치(10)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라디오맵생성장치(20)와의 실질적인 통신을 위한 RF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14)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통신부(14)의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통신부(1310)에 해당하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전술한 구성을 기반으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일부를 선별하여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생성하기 위한 리포팅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단말장치(10) 내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감지부(11)는 무선랜신호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는 GPS 센서를 이용한 위치 측위 결과에 해당하는 특정 위치에서, 주변의 무선랜 AP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랜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에는, 예컨대, SSID(Service Set Identifier),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및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등의 정보가 포함되며, 이러한 무선랜신호는 측위된 위치와 함께 리스트의 형태로 로깅(Logging)된다.
생성부(12)는 무선랜신호에 대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성부(12)는 특정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다만, 생성부(12)는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동안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해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 위치가 변동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는, 해당 위치에서 일정 주기마다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의 감지상태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즉, 생성부(12)는 일정 주기마다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의 감지상태를 기초로 각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와 해당 주기와 이웃한 다음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 간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상태가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여, 해당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해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각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와 해당 주기와 이웃한 다음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 간의 차이란, 각 주기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의 변화 즉, 특정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가 이웃한 다음 주기에서도 동일하게 감지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한다는 것은, 리스트 형태로 로깅되는 무선랜신호를 단말장치(10)에 저장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랜감지데이터는, 무선랜신호가 감지된 감지위치정보, 무선랜명칭정보(SSID, Service Set Identifier), 무선랜주소정보(BSSID, Basic Service Set Identifier), 무선랜신호가 감지된 감지횟수, 및 무선랜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포함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무선랜감지데이터의 생성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이내에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확인되는 경우라면, 해당 위치에서 로깅중이던 무선랜신호에 대한 정보는 모두 삭제 처리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동안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서 해당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해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을 통해,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동일한 위치라 하더라도 일시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무선랜신호(예: 이동형 AP)를 배제시킬 수 있으므로, 신뢰성 있는 무선랜감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제공부(13)는 리포팅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부(13)는 특정 위치에서 생성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생성을 위한 리포팅정보로서 라디오맵생성장치(2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제공부(13)는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에서 최소유지시간(예: 3분)이 경과된 이후 해당 위치로부터 위치 변동이 확인되는 경우, 기 생성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생성을 위한 리포팅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리포팅정보는, 기 생성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무선랜신호의 감지횟수, 및 무선랜신호의 수신신호세기의 중앙값(Median) 중 적어도 하나가 타 무선랜감지데이터보다 많거나 큰 N개의 무선랜감지데이터로 선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 위치에서 생성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무선랜신호의 감지횟수, 및 무선랜신호의 수신신호세기의 중앙값(Median)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상위 N개의 무선랜감지데이터가 리포팅정보로서 선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단말장치(1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실제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을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될 내용은 앞서 설명한 단말장치(10) 내 각 구성을 하드웨어 시스템(1000)으로 구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부(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부(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를 통해 메모리부(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부(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부(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장치(10) 내 구성인 감지부(11), 생성부(12), 및 제공부(13)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OS)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부(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는 프로세서부(1100)와 주변장치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변장치의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부(1310), 및 입출력부(13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제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132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의 위치 측위를 위한 GPS 센서의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서 메모리부(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부(110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형태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를 매개로 통신부(1310)와 입출력부(132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함으로써,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일부를 선별하여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생성하기 위한 리포팅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라디오맵생성장치(2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선별하는 선별부(21),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부(22), 및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는 이상탐지부(2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핑거프린트라디오맵을 생성하는 맵생성부(24)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선별부(21), 데이터생성부(22), 이상탐지부(23), 및 맵생성부(24)를 포함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2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라디오맵생성장치(2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라디오맵생성장치(2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20)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단말장치(10)과의 실질적인 통신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2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통신부(25)의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통신부(2310)과 대응하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전술한 구성에 따라 다수의 단말장치(10)로부터 리포팅정보로서 수집되는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라디오맵생성장치(20) 내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선별부(21)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별부(21)는 다수의 단말장치(10)의 리포팅정보로서 무선랜감지데이터가 수집되는 경우,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관련된 유효감지데이터를 선별한다.
이때, 선별부(21)는 각 무선랜감지데이터에 포함된 무선랜명칭정보(SSID, Service Set Identifier)를 확인하여, 무선랜명칭정보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의 명칭과 관련하여 기 정의된 에일리어스(Alias) 관계가 확인되는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유효감지데이터로서 선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에일리어스(Alias) 관계 확인을 위한 에일리어스(Alias) DB가 구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일리어스(Alias) DB는 예컨대, 영문 변환(예: 스타벅스 -> starbucks, starbucks_xxx, ?), 음차 변환(예: 가마로강정 -> gamaro, gamaro gangjeong, ?), 및 한글 명(예 : S-Oil 주유소 -> 에스오일, 에쓰오일, ?) 등을 이용하여 무선랜명칭정보(예: starbucks _5G)를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의 명칭(스타벅스)과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유효감지데이터, 무선랜명칭정보뿐만 아니라 무선랜주소정보(BSSID, 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선별부(21)는 이처럼 유효감지데이터가 선별되는 경우, 유효감지데이터 내 감지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유효감지데이터를 확정하게 된다.
즉, 선별부(21)는 유효감지데이터로 선별된 각 무선랜감지데이터 각각에 대한 감지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의 위치(위도/경도)와 유효거리(예: 100m) 이내의 감지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무선랜감지데이터만을 유효감지데이터로서 확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선별부(21)는 유효감지데이터가 확정되면, 확정된 유효감지데이터 중 신뢰성이 높은 유효감지데이터를 유효감지데이터그룹으로 결정하게 된다.
즉, 유효감지데이터로 선별된 무선랜감지데이터의 경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의 전체 공간에 분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 내의 특정 지점에서 가장 많이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가 보다 더 신뢰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선별부(21)는 유효감지데이터 간 유사도를 확인하여,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유효감지데이터를 유효감지데이터그룹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때, 선별부(21)는 각 유효감지데이터의 무선랜주소정보를 기준으로 감지횟수 및 수신신호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점수로 환산한 결과를 이용하여 유효감지데이터 간 유사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선별부(21)는 유효감지데이터의 점수 환산 결과에 기초한 유효감지데이터 간 카티전(Cartesian) 연산 결과에 따라 유사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유효감지데이터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데이터생성부(22)는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생성부(22)는 유효감지데이터그룹이 결정되면, 유효감지데이터그룹 내 유효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생성부(22)는 설정기간(예: 1개월) 동안의 유효감지데이터그룹 내 유효감지데이터를 누적하여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탐지부(23)는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상탐지부(23)는 데이터 윈도우가 생성되면, 데이터 윈도우에 누적되어 있는 유효감지데이터 중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게 된다.
이때, 이상탐지부(23)는 데이터 윈도우 내 유효감지데이터의 누적상태 즉, 누적백분율을 이용하여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되어 있는 유효감지데이터 중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할 수 있다.
즉, 이상탐지부(23)는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Quartile)를 산출하고, 특정 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서 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 각각에는 2 이상의 감지속성이 포함되며, 이러한 감지속성으로는, 예컨대, 단말장치(10)에서 위치정보 획득 시 얻을 수 있는 정확도에 관한 Accuracy 값,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 시점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의 위치 즉,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위치정보 간의 거리인 이격거리 값, 및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가 동일한 위치에 머문 시간인 체류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탐지부(23)는 Accuracy 값과 이격거리 값에 대해서는,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 중 제4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게 되며, 다만 체류시간에 해당하는 감지속성의 경우 나머지 감지속성과는 다르게 제1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게 된다.
맵생성부(24)는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맵생성부(24)는 유효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탐지데이터가 탐지되면,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감지데이터를 제거하게 되며, 이상감지데이터가 제거된 나머지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맵생성부(24)는 상감지데이터가 제거된 나머지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해 각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좌표를 연계시키는 방식을 통해서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라디오맵생성장치(20) 내 각 구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실제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20)를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될 내용은 앞서 설명한 라디오맵생성장치(20) 내 각 구성을 하드웨어 시스템(2000)으로 구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2000)은, 프로세서부(2100),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부(2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를 통해 메모리부(2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부(2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부(2210)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라디오맵생성장치(20) 내 각 구성인 선별부(21), 데이터생성부(22), 이상탐지부(23), 및 맵생성부(24)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OS)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부(2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는 프로세서부(2100)와 주변장치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변장치의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부(2310) 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제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서 메모리부(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라디오맵생성장치(2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부(210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형태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를 매개로 통신부(231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단말장치(10)로부터 리포팅정보로서 수집되는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 및 시스템 내 각 구성에 따르면, 다수의 단말장치(10)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관련하여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여, 이상감지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구축(생성)함으로써,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구축(생성)에 있어서 신뢰성 및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 및 시스템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단말장치(10)는 리포팅정보의 전송을 위해 GPS 센서를 이용한 위치 측위 결과에 해당하는 특정 위치에서, 주변의 무선랜 AP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랜신호를 감지한다(S11).
이때,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에는, 예컨대, SSID(Service Set Identifier),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및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등의 정보가 포함되며, 이러한 무선랜신호는 측위된 위치와 함께 리스트의 형태로 로깅(Logging)된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는 특정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한다(S12).
이때, 단말장치(10)는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동안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해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 위치가 변동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는, 해당 위치에서 일정 주기마다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의 감지상태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는 일정 주기마다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의 감지상태를 기초로 각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와 해당 주기와 이웃한 다음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 간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상태가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여, 해당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해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각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와 해당 주기와 이웃한 다음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 간의 차이란, 각 주기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의 변화 즉, 특정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가 이웃한 다음 주기에서도 동일하게 감지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한다는 것은, 리스트 형태로 로깅되는 무선랜신호를 단말장치(10)에 저장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랜감지데이터는, 특정 위치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의 식별정보(예: SSID, BSSID)에 대해 해당 위치에서의 무선랜신호의 감지횟수, 및 각 감지 시점마다 확인되는 무선랜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가 매칭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무선랜감지데이터의 생성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이내에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확인되는 경우라면, 해당 위치에서 로깅중이던 무선랜신호에 대한 정보는 모두 삭제 처리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동안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서 해당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해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을 통해,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동일한 위치라 하더라도 일시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무선랜신호(예: 이동형 AP)를 배제시킬 수 있으므로, 신뢰성 있는 무선랜감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단말장치(10)는 특정 위치에서 생성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생성을 위한 리포팅정보로서 라디오맵생성장치(20)에 제공한다(S13-S14).
이때, 단말장치(10)는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에서 최소유지시간(예: 3분)이 경과된 이후 해당 위치로부터 위치 변동이 확인되는 경우, 기 생성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생성을 위한 리포팅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다수의 단말장치(10)의 리포팅정보로서 무선랜감지데이터가 수집되는 경우,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관련된 유효감지데이터를 선별한다(S15).
이때,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각 무선랜감지데이터에 포함된 무선랜명칭정보(SSID, Service Set Identifier)를 확인하여, 무선랜명칭정보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의 명칭과 관련하여 기 정의된 에일리어스(Alias) 관계가 확인되는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유효감지데이터로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이처럼 유효감지데이터가 선별되는 경우, 유효감지데이터 내 감지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유효감지데이터를 확정하게 된다.
즉,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유효감지데이터로 선별된 각 무선랜감지데이터 각각에 대한 감지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의 위치(위도/경도)와 유효거리(예: 100m) 이내의 감지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무선랜감지데이터만을 유효감지데이터로서 확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유효감지데이터가 확정되면, 확정된 유효감지데이터 중 신뢰성이 높은 유효감지데이터를 유효감지데이터그룹으로 결정한다.
즉, 유효감지데이터로 선별된 무선랜감지데이터의 경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의 전체 공간에 분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 내의 특정 지점에서 가장 많이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가 보다 더 신뢰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유효감지데이터 간 유사도를 확인하여,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유효감지데이터를 유효감지데이터그룹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때,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각 유효감지데이터의 무선랜주소정보를 기준으로 감지횟수 및 수신신호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점수로 환산한 결과를 이용하여 유효감지데이터 간 유사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유효감지데이터의 점수 환산 결과에 기초한 유효감지데이터 간 카티전(Cartesian) 연산 결과에 따라 유사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유효감지데이터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유효감지데이터그룹이 결정되면, 유효감지데이터그룹 내 유효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한다(S16).
이때,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설정기간(예: 1개월) 동안의 유효감지데이터그룹 내 유효감지데이터를 누적하여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데이터 윈도우가 생성되면, 데이터 윈도우에 누적되어 있는 유효감지데이터 중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한다(S17).
이때,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데이터 윈도우 내 유효감지데이터의 누적상태 즉, 누적백분율을 이용하여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되어 있는 유효감지데이터 중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할 수 있다.
즉,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Quartile)를 산출하고, 특정 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서 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 각각에는 2 이상의 감지속성이 포함되며, 이러한 감지속성으로는, 예컨대, 단말장치(10)에서 위치정보 획득 시 얻을 수 있는 정확도에 관한 Accuracy 값,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 시점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의 위치 즉,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위치정보 간의 거리인 이격거리 값, 및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가 동일한 위치에 머문 시간인 체류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Accuracy 값과 이격거리 값에 대해서는,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 중 제4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게 되며, 다만 체류시간에 해당하는 감지속성의 경우 나머지 감지속성과는 다르게 제1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게 된다.
이후,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유효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탐지데이터가 탐지되면,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감지데이터를 제거하게 되며, 이상감지데이터가 제거된 나머지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한다(S18).
이때, 라디오맵생성장치(20)는 상감지데이터가 제거된 나머지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해 각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좌표를 연계시키는 방식을 통해서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단말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감지부(11)는 GPS 센서를 이용한 위치 측위 결과에 해당하는 특정 위치에서, 주변의 무선랜 AP로부터 송출되는 무선랜신호를 감지한다(S21).
이때,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에는, 예컨대, SSID(Service Set Identifier),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er), 및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등의 정보가 포함되며, 이러한 무선랜신호는 측위된 위치와 함께 리스트의 형태로 로깅(Logging)된다.
그리고 나서, 생성부(12)는 특정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한다(S22-S24).
이때, 생성부(12)는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동안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해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 위치가 변동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는, 해당 위치에서 일정 주기마다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의 감지상태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즉, 생성부(12)는 일정 주기마다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의 감지상태를 기초로 각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와 해당 주기와 이웃한 다음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 간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상태가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여, 해당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해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각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와 해당 주기와 이웃한 다음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 간의 차이란, 각 주기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의 변화 즉, 특정 주기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가 이웃한 다음 주기에서도 동일하게 감지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한다는 것은, 리스트 형태로 로깅되는 무선랜신호를 단말장치(10)에 저장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랜감지데이터는, 특정 위치에서 감지된 무선랜신호의 식별정보(예: SSID, BSSID)에 대해 해당 위치에서의 무선랜신호의 감지횟수, 및 각 감지 시점마다 확인되는 무선랜신호의 수신신호세기(RSSI)가 매칭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무선랜감지데이터의 생성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이내에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확인되는 경우라면, 해당 위치에서 로깅중이던 무선랜신호에 대한 정보는 모두 삭제 처리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 설정된 최소유지시간(예: 3분) 동안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로부터의 위치 변동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서 해당 위치에서 감지되는 무선랜신호 각각에 대해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을 통해,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동일한 위치라 하더라도 일시적으로 감지될 수 있는 무선랜신호(예: 이동형 AP)를 배제시킬 수 있으므로, 신뢰성 있는 무선랜감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공부(13)는 특정 위치에서 생성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생성을 위한 리포팅정보로서 라디오맵생성장치(20)에 제공한다(S25-S27).
이때, 제공부(13)는 무선랜신호가 감지되는 특정 위치에서 최소유지시간(예: 3분)이 경과된 이후 해당 위치로부터 위치 변동이 확인되는 경우, 기 생성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생성을 위한 리포팅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리포팅정보는, 기 생성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무선랜신호의 감지횟수, 및 무선랜신호의 수신신호세기의 중앙값(Median) 중 적어도 하나가 타 무선랜감지데이터보다 많거나 큰 N개의 무선랜감지데이터로 선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 위치에서 생성된 무선랜감지데이터를 무선랜신호의 감지횟수, 및 무선랜신호의 수신신호세기의 중앙값(Median)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상위 N개의 무선랜감지데이터가 리포팅정보로서 선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라디오맵생성장치(2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맵생성장치(2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선별부(21)는 다수의 단말장치(10)의 리포팅정보로서 무선랜감지데이터가 수집되는 경우,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관련된 유효감지데이터를 선별한다(S31-S32).
이때, 선별부(21)는 각 무선랜감지데이터에 포함된 무선랜명칭정보(SSID, Service Set Identifier)를 확인하여, 무선랜명칭정보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의 명칭과 관련하여 기 정의된 에일리어스(Alias) 관계가 확인되는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유효감지데이터로서 선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에일리어스(Alias) 관계 확인을 위한 에일리어스(Alias) DB가 구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에일리어스(Alias) DB는 예컨대, 영문 변환(예: 스타벅스 -> starbucks, starbucks_xxx, ?), 음차 변환(예: 가마로강정 -> gamaro, gamaro gangjeong, ?), 및 한글 명(예 : S-Oil 주유소 -> 에스오일, 에쓰오일, ?) 등을 이용하여 무선랜명칭정보(예: starbucks _5G)를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의 명칭(스타벅스)과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유효감지데이터, 무선랜명칭정보뿐만 아니라 무선랜주소정보(BSSID, Basic Service Set Identifier)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선별부(21)는 이처럼 유효감지데이터가 선별되는 경우, 유효감지데이터 내 감지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유효감지데이터를 확정하게 된다.
즉, 선별부(21)는 유효감지데이터로 선별된 각 무선랜감지데이터 각각에 대한 감지위치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의 위치(위도/경도)와 유효거리(예: 100m) 이내의 감지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무선랜감지데이터만을 유효감지데이터로서 확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선별부(21)는 유효감지데이터가 확정되면, 확정된 유효감지데이터 중 신뢰성이 높은 유효감지데이터를 유효감지데이터그룹으로 결정하게 된다.
즉, 유효감지데이터로 선별된 무선랜감지데이터의 경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의 전체 공간에 분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 내의 특정 지점에서 가장 많이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가 보다 더 신뢰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선별부(21)는 유효감지데이터 간 유사도를 확인하여,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유효감지데이터를 유효감지데이터그룹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때, 선별부(21)는 각 유효감지데이터의 무선랜주소정보를 기준으로 감지횟수 및 수신신호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점수로 환산한 결과를 이용하여 유효감지데이터 간 유사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선별부(21)는 유효감지데이터의 점수 환산 결과에 기초한 유효감지데이터 간 카티전(Cartesian) 연산 결과에 따라 유사도가 가장 높은 그룹을 유효감지데이터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데이터생성부(22)는 유효감지데이터그룹이 결정되면, 유효감지데이터그룹 내 유효감지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한다(S33).
이때, 데이터생성부(22)는 설정기간(예: 1개월) 동안의 유효감지데이터그룹 내 유효감지데이터를 누적하여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이상탐지부(23)는 데이터 윈도우가 생성되면, 데이터 윈도우에 누적되어 있는 유효감지데이터 중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한다(S34).
이때, 이상탐지부(23)는 데이터 윈도우 내 유효감지데이터의 누적상태 즉, 누적백분율을 이용하여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되어 있는 유효감지데이터 중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할 수 있다.
즉, 이상탐지부(23)는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Quartile)를 산출하고, 특정 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서 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 각각에는 2 이상의 감지속성이 포함되며, 이러한 감지속성으로는, 예컨대, 단말장치(10)에서 위치정보 획득 시 얻을 수 있는 정확도에 관한 Accuracy 값,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 시점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의 위치 즉,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위치정보 간의 거리인 이격거리 값, 및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가 동일한 위치에 머문 시간인 체류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탐지부(23)는 Accuracy 값과 이격거리 값에 대해서는,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 중 제4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게 되며, 다만 체류시간에 해당하는 감지속성의 경우 나머지 감지속성과는 다르게 제1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게 된다.
이후, 맵생성부(24)는 유효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탐지데이터가 탐지되면,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감지데이터를 제거하게 되며, 이상감지데이터가 제거된 나머지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한다(S35-S36).
이때, 맵생성부(24)는 상감지데이터가 제거된 나머지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해 각 유효감지데이터의 감지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좌표를 연계시키는 방식을 통해서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프린팅 측위 시스템 내 각 구성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단말장치(10)로부터 특정 위치(예: 오프라인매장)와 관련하여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로부터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여, 이상감지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무선랜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구축(생성)함으로써,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 구축(생성)에 있어서 신뢰성 및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부,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부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부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구매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의 단말장치(예: 스마트폰)로부터 수집되는 무선랜신호 기반의 리포팅정보를 활용하여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을 구축(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단말장치
11: 감지부 12: 생성부
13: 제공부
20: 라디오맵생성장치
21: 선별부 22: 데이터생성부
23: 이상탐지부 24: 맵생성부

Claims (10)

  1.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Fingerprint Radio Map) 생성과 관련된 연산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다수의 단말장치로부터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특정 위치와 관련된 유효감지데이터가 선별되면, 설정기간 동안의 상기 유효감지데이터를 누적한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명령; 및
    상기 데이터 윈도우의 누적백분율을 기초로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 중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는 이상탐지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 중 상기 이상감지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하는 맵생성명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탐지명령은,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Quartile)를 산출하여, 특정 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탐지명령은,
    상기 유효감지데이터에 포함되는 2 이상의 감지속성 중 적어도 일부 감지속성에 대해, 나머지 감지속성과는 별도의 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 감지속성에는,
    무선랜감지데이터의 감지와 관련하여, 단말장치가 동일한 위치에 머문 시간인 체류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이상탐지명령은,
    상기 체류시간에 대해서,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 중 제1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
  6. 다수의 단말장치로부터 수집된 무선랜감지데이터 중 특정 위치와 관련된 유효감지데이터가 선별되면, 설정기간 동안의 상기 유효감지데이터를 누적한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하는 데이터생성단계; 및
    상기 데이터 윈도우의 누적백분율을 기초로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 중 이상감지데이터를 탐지하는 이상탐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 중 상기 이상감지데이터를 제외한 나머지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위치에 대한 핑거프린트 라디오 맵을 생성하는 맵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탐지단계는,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Quartile)를 산출하여, 특정 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탐지단계는,
    상기 유효감지데이터에 포함되는 2 이상의 감지속성 중 적어도 일부 감지속성에 대해, 나머지 감지속성과는 별도의 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의 동작 방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 감지속성에는,
    무선랜감지데이터의 감지와 관련하여, 단말장치가 동일한 위치에 머문 시간인 체류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이상탐지단계는,
    상기 2 이상의 감지속성 중 상기 체류시간에 대해서, 상기 데이터 윈도우 내 누적된 유효감지데이터에 대한 사분위수 중 제1사분위에 속하는 유효감지데이터를 이상감지데이터로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맵생성장치.
KR1020180103945A 2018-08-31 2018-08-31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68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45A KR102568597B1 (ko) 2018-08-31 2018-08-31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45A KR102568597B1 (ko) 2018-08-31 2018-08-31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924A true KR20200025924A (ko) 2020-03-10
KR102568597B1 KR102568597B1 (ko) 2023-08-21

Family

ID=6980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945A KR102568597B1 (ko) 2018-08-31 2018-08-31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1833A (zh) * 2022-05-12 2022-09-1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电子科学研究院 一种基于终端进程的互通网络异常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1518A1 (en) * 2012-06-26 2014-01-09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ynamic generation of a radio map
KR20150089633A (ko) * 2014-01-28 2015-08-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와이파이 핑거프린트 기반 실내측위 장치 및 방법
KR20180031150A (ko) * 2016-09-19 2018-03-28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라디오 맵 구축 기능을 가진 핑거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측위 시스템 및 이의 라디오 맵 구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11518A1 (en) * 2012-06-26 2014-01-09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ynamic generation of a radio map
KR20150035745A (ko) * 2012-06-26 2015-04-07 더 거버닝 카운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토론토 라디오 맵의 동적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방법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KR20150089633A (ko) * 2014-01-28 2015-08-05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와이파이 핑거프린트 기반 실내측위 장치 및 방법
KR20180031150A (ko) * 2016-09-19 2018-03-28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라디오 맵 구축 기능을 가진 핑거프린팅 방식을 이용한 측위 시스템 및 이의 라디오 맵 구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1833A (zh) * 2022-05-12 2022-09-1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电子科学研究院 一种基于终端进程的互通网络异常检测方法
CN115051833B (zh) * 2022-05-12 2023-12-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电子科学研究院 一种基于终端进程的互通网络异常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597B1 (ko) 202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2016B2 (en) Accessing service of Internet of Things
CN112104759B (zh) 基于位置来指定mac地址
EP2602677B1 (en) Localiz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localization device
US20180152811A1 (en) Beacon addressing
US9826365B2 (en) Method for deciding location of targe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591552B2 (en) Beacon device for seamless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380516B2 (en) Local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tting information in the system
US20150213138A1 (en) Thing device based on thing searching browser, and mashup method between things
JP2018055638A (ja) 判定装置
KR102568597B1 (ko)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27491B1 (ko) 비콘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광고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1639204B1 (ko) 컴퓨팅 장치의 글로벌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측지 삼각 측량을 사용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메커니즘
KR20200025926A (ko)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43028B1 (ko) 비콘장치의 상태 확인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TW201715903A (zh) 通訊裝置及其控制方法
US10432459B2 (en) Method for the automatic configuration of portable terminals
JP201422059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00025923A (ko)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7067566A (ja) 端末装置および検出プログラム
KR20200025759A (ko)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67360B1 (ko) 라디오맵생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24020A (ko)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33007B1 (ko) 디바이스 디스크립터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US20110219082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local service
JP2016145836A (ja) コンピュータデバイスのグローバルポジショニングを判定するための測地学的三角測量を使用して実現する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