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816A - Me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shtag correction service for enhancing marketing effectiveness - Google Patents

Me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shtag correction service for enhancing marketing effectiven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816A
KR20200025816A KR1020180103729A KR20180103729A KR20200025816A KR 20200025816 A KR20200025816 A KR 20200025816A KR 1020180103729 A KR1020180103729 A KR 1020180103729A KR 20180103729 A KR20180103729 A KR 20180103729A KR 20200025816 A KR20200025816 A KR 20200025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ost
hashtag
correction
hash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9890B1 (en
Inventor
김수연
이상훈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8/01017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40341A1/en
Priority to KR1020180103729A priority patent/KR102109890B1/en
Publication of KR20200025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8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8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service which is frequently used as a means of marketing.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hashtag correction service capable of inducing a user to correct a hashtag with the correct hashtag by providing corrective guidance on this when the user incorrectly writes the hashtag while the user uploads a post, and a system therefor.

Description

마케팅 효과 제고를 위한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ME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SHTAG CORRECTION SERVICE FOR ENHANCING MARKETING EFFECTIVENESS}Hashtag correction service method for improving marketing effect and system for same {ME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SHTAG CORRECTION SERVICE FOR ENHANCING MARKETING EFFECTIVENESS}

본 발명은 마케팅의 수단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SNS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게시물을 업로드 하면서 해시태그를 잘못 기재하였을 때 이에 대한 교정안내를 해 줌으로써 올바른 해시태그로 수정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는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SNS service that is widely used as a means of marketing. Specifically, when a user uploads a post and incorrectly writes a hash tag,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correction to a correct hash tag by providing a correction guide. Hashtag correction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스마트 단말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의 이용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해시태그(hashtag)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에 업로드 되는 게시글을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도입된 것으로, 업로드 되는 게시글에 대한 요약 또는 게시글과 관련한 키워드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As the spread of smart terminals expands,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lso increases. A hashtag is introduced to efficiently classify posts uploaded to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The hashtag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summary of uploaded posts or keywords related to the posts.

해시태그는 마케팅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데,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들은 온라인 상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해시태그가 많이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마케팅 효과를 높이는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Hash tag can also be used as a marketing means, service providers that provide a product or service is used to enhance the marketing effect by exposing a lot of hash tags related to the product or service online.

한편, 마케팅 수단으로 SNS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 주체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홍보하고자 하는 대상이 정확한 명칭으로 입력되어 온라인 상에 노출되기를 희망하지만, 해시태그 입력은 전적으로 이를 업로드 하는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시태그를 잘못 입력, 즉 글자를 실수로 틀리게 입력하였거나 또는 명칭을 잘못 알고 입력한 경우 온라인 상에 잘못 표시된 명칭이 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subject who uses SNS service as a marketing means hopes that the object they want to promote is entered with the correct name and exposed online, but since the hashtag input is entirely made by the user who uploads it, the user Incorrectly inputting a hashtag, ie, a character is mistakenly entered incorrectly, or a wrong name is entered frequently causes an incorrectly displayed name to be exposed online.

상당수의 키워드 검색 결과가 해시태그 기반으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위와 같이 잘못 입력된 상품명 또는 서비스명이 해시태그로 입력되는 경우 임의의 사용자가 키워드 검색을 하더라도 검색 결과물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 주체 입장에서는 마케팅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잘못된 상품명 또는 서비스명이 빈번하게 노출되는 경우 많은 소비자들이 실제 상품명 또는 서비스명이 무엇인지 혼란을 겪을 수 있어 역시 마케팅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Considering that a large number of keyword search results are based on hashtags, if a mistyped product name or service name is entered as a hashtag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user searches for a keyword, it will not be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s. The marketing effect may be halved, and if a wrong brand name or service name is frequently exposed, many consumers may experience confusion about what the actual brand name or service name is and thus may also cause a problem that the marketing effect is halved.

이처럼 사용자의 실수 또는 오해에 의해 잘못 입력된 해시태그에 따른 마케팅 효과 반감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해시태그 입력이 잘못 되었음을 알리고 교정할 수 있게 유도할 필요성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Thu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half the marketing effect caused by a wrongly inputted hashtag by a user's mistake or misunderstanding, it is necessary to induce a user to notify and correct a wrong hashtag input. We propose a method for providing hashtag correction service and a system for the same.

한국공개공보 10-2006-0111920 (2006.10.31. 공개)Korean Publication 10-2006-0111920 (Published October 31, 2006)

본 발명은 사용자가 SNS 게시물을 업로드 하였을 때에 해당 게시물이 어느 서비스 주체에 대응되는 것인지를 먼저 특정한 후, 상기 서비스 주체와 대응되는 해시태그가 정확하게 입력이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정확하게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교정안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uploads an SNS post, the user first specifies which service subject corresponds to the post, and then determines whether the hash tag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subject is correctly inputted, and determines that the post is not correctly inputted. If the purpose is to deliver a calibration guide message to the user.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해시태그를 실수에 의해 또는 오해에 의해 잘못 입력한 경우 이를 교정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서비스 주체가 SNS를 통한 마케팅 효과를 온전히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is to induce the user to correct the hash tag by mistake or misunderstanding, so that the service subject can fully enjoy the marketing effect through SNS.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SNS 서버에 게시물 ― 상기 게시물은 적어도 하나의 해시태그를 포함함 ― 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SNS 서버가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for providing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user terminal forwarding the upload request to the SNS server, the post includes at least one hash tag; And determining, by the SNS server, whether or not correction is necessary for the hash tag included in the post.

또한, 상기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SNS 서버가 상기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SNS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교정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if the SNS server determines that the hash tag needs to be corrected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correct the hash tag, the SNS server guides the correc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message.

또한, 상기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SNS 서버가 상기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 내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를 특정하는 단계; 서비스 주체에 대응되는 키워드와 상기 게시물 내 해시태그를 비교하여 상기 해시태그의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hash tag calibr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the SNS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hash tag needs to be corrected, including: specifying a service princip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nformation in the post; And comparing a hash tag in the post with a keyword corresponding to a service subject to determine whether the hash tag needs to be correc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SNS 서버가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게시물 ― 상기 게시물은 적어도 하나의 해시태그를 포함함 ― 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by an SNS server includes receiving an upload request for a post from a user terminal, the post including at least one hash tag;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correction is necessary for the hashtag included in the post.

또한, 상기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교정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ash tag calibr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calibration guid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sh tag needs to be calibrated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calibrate the hash tag. .

또한, 상기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 내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를 특정하는 단계; 서비스 주체에 대응되는 키워드와 상기 게시물 내 해시태그를 비교하여 상기 해시태그의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e hash tag calibr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determining whether the calibration is necessary may include: specifying a service princip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nformation in the post; And comparing a hash tag in the post with a keyword corresponding to a service subject to determine whether the hash tag needs to be corrected.

또한, 상기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 내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주체로부터 사전에 제공 받은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게시물 내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는 위치정보, 레퍼런스 이미지 또는 레퍼런스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hash tag corre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specifying a service princip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nformation in the post may include comparing reference data previously provided from the service principal with at least one information in the post. The reference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reference image, or reference text.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SNS 서버에 게시물 ― 상기 게시물은 적어도 하나의 해시태그를 포함함 ― 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SNS 서버가 상기 게시물에 대해 알림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알림대상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서버로 업로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해시태그에 대해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for providing a hashtag correction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he user terminal forwarding the upload request to the SNS server, the post includes at least one hashtag; Determining whether the SNS server is a notification target for the pos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otification target is a notification target, transmitting an upload notification to a service server; And determining, by the service server, whether correction is necessary for the hash tag included in the pos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가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SNS 서버로부터,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게시물이 업로드 되었음을 알리는 업로드 알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해시태그에 대해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by a service server includes receiving an upload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a post has been uploaded from an SNS server by an arbitrary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correction is necessary for the hashtag included in the post.

본 발명에 따르면 잘못 입력된 해시태그에 교정 필요성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도 잘못된 입력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서비스 주체 입장에서도 SNS를 이용한 마케팅 효과를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ecessity of correcting the wrong input hashtag can be guid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have an opportunity to correct the wrong input, and the service subject can enhance the marketing effect using SNS. It works.

도 1은 잘못된 해시태그의 입력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교정 필요여부 판단 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할 때에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할 때에 레퍼런스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put of a wrong hash ta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sh tag calibr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igure 3 shows the detailed steps of the calibration necessity determination step.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wh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correction is necessary.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a reference image wh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correction is necessary.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s of th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effects thereof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interpreted or us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escription, including the embodiments herein, has a variety of applications. Accordingly, certain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invention better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전화기(phone) 등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를 의미하며, 해당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terminal is a mobile station,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a user equipment, an access terminal, a personal computer. It refers to all kinds of device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and a phone, and may include all or some functions of the corresponding device.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figures and described below are only examples of possible implementations.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used in other implemen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while one or mor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resented by separate blocks, one or mor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expression "comprising" certain components merely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components as an "open" express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a direct connection or connection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do.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 상황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First, the situation of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임의의 사용자가 음식점을 방문한 후 방문한 음식점의 간판 사진을 찍어 게시물에 업로드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가령 사용자는 [MOLINA's]라는 이름의 식당(도 1의 왼쪽)을 방문한 후 이를 SNS에 남기기 위해 게시물을 작성하여 업로드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의 오른쪽과 같은 게시물을 작성한 후 이를 업로드 할 수 있다. 도 1의 오른쪽에 도시된 것은 SNS 서버에서 제공하는, 또는 SN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게시물 편집창(10)의 일 예시인데, 여기에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입력할 수 있는 제1입력영역(11), 그리고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제2입력영역(12)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입력영역(12)에 해시태그(13)를 입력할 수 있는데, 도 1은 사용자가 식당 이름인 #MOLINA를 해시태그로 입력하고자 하였으나, 실수로 #MOLIMA를 입력한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1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user takes a picture of a visited restaurant and uploads it to a post after visiting a restaurant. For example, a user can visit a restaurant named [MOLINA's] (left of FIG. 1) and then create and upload a post to leave it on SNS. For example, a user can create and upload a post like the right side of FIG. have. 1 is an example of a post editing window 10 provided by an SNS server or provided by an application for using an SNS service, and includes a first input area for inputting an image or a video. (11) and a second input area 12 for inputting text. A user may input a hash tag 13 in the second input area 12.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user attempts to input a restaurant name #MOLINA as a hash tag, but mistakenly enters #MOLIMA. will be.

이와 같은 해시태그 오입력 사례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상당히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위의 경우처럼 단순히 오타를 입력한 경우, 식당의 이름을 잘못 알았거나 식당에서 제공하는 음식 이름을 잘못 안 경우 등이 존재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사례들은 비단 음식점에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관광지, 예를 들어 산, 바다, 강 이름을 잘 모름으로부터 비롯된 오입력도 존재할 수 있다. Hashtag typos such as these occur quite often among users, for example, if you just typed a typo, as in the above example, you misunderstood the name of the restaurant or the name of the food provided by the restaurant. In addition, these examples are not limited only to restaurants, but there may also be misinputs resulting from not knowing general tourist attractions such as mountains, seas and river names.

본 발명은 이처럼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또는 오해에 의해 잘못 입력된 해시태그에 대하여 교정의 필요여부를 판단하고, 교정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에게 안내를 해 줌으로써 해시태그 교정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hash tag correction by determining whether a correction is necessary for a hash tag that is incorrectly input by a user mistake or a misunderstanding, and guiding the user when the correction is necessary.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2 illustrates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할 때,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SNS 서버(500)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서비스 서버(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First, a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for providing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Referring to FIG. 2, the system may include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NS server 500 in a basic configura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service server 300.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가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 그리고 이러한 명령어들을 실제 실행시키는 중앙제어유닛(CPU)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기(100)는 게시물을 편집하고 업로드 요청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00)의 종류로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PC, 랩탑 등 휴대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기(100)의 종류는 반드시 휴대가 가능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irst, the user terminal 100 is a device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for executing a program, and a central control unit (CPU) for actually executing the instructions, and the user terminal 100 mentioned in the present description. Can be understood as a generic term for a device with the ability to edit posts and make upload requests. The type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preferably portabl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PC, a laptop, and the like. However, the type of the user terminal 1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portable device.

다음으로 SNS 서버(500)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가 운영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SNS 서버(50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게시물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업로드 된 게시물을 서버 내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기본적인 SNS 서비스를 제공한다. SNS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 및 그 종류에 대해서는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Next, the SNS server 500 refers to a server operated by a person who provides an SNS service to a plurality of users. The SNS server 500 provides a basic SNS service by receiving a post upload request directly from a user and storing the uploaded post in the server. Since the process and the type of SNS service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easily understoo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SNS 서버(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부가적으로 서비스 서버(300)가 시스템 내 구성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300)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주체에 의해 운영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장치 역시 중앙제어유닛과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서비스 주체에는 음식점 운영주체, 관광지 관리주체, 관광지 내에서 열리는 축제를 운영하는 주체, 물건을 판매하는 사업장 주체 등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The hash tag corre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basically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NS server 500, but additionally, the service server 300 may be further included as a system configuration. . The service server 300 refers to a device operated by a service entity that provides a product or a service, and the device also includes a central control unit and a memory. For reference, the service subject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include a subject that provides a product or a service, such as a restaurant operator, a tourist manager, a festival operating in a tourist destination, a business entity selling goods, and the like.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게시물을 SNS 서버(500)로 업로드 요청한 경우, SNS 서버(500)가 해당 게시물 내 해시태그에 대해 교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교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교정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again, a process of providing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the hash tag corre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user uploads a post to the SNS server 500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whether the SNS server 500 needs to correct the hash tag in the post. If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alibration is necessary,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calibration guid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제1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전에 서비스 서버(300)와 SNS 서버(500) 사이에 레퍼런스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S210) 레퍼런스 데이터에는 상기 서비스 주체를 특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주체의 위치정보, 서비스 주체의 명칭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주체가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레퍼런스 이미지, 레퍼런스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서비스 주체가 사전에 지정한 레퍼런스 텍스트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가령 서비스 주체가 특정 식당이라고 가정할 때 레퍼런스 데이터들에는 식당의 위치정보(주소 또는 GPS/GIS 정보), 식당 이름, 상기 식당에서 판매하는 음식 이미지, 상기 식당의 외관(간판) 이미지, 상기 식당에서 제공하는 플레이트 이미지, 상기 식당에서 소비자에게 음식을 제공할 때의 테이블 세팅 이미지, 상기 식당에서 사전에 지정한 복수의 음식 이름들, 상기 식당 이름의 축약어 등이 레퍼런스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위치정보는 해당 서비스 주체의 특정된 위치를 포함하여 일정 범위의 영역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식당의 위치점이 P인 경우 P점을 중심으로 반경 50m가 위치정보로 나타내어질 수도 있다.The hash tag correc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started by sharing reference data between the service server 300 and the SNS server 500 in advance. The reference data may includ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rvice subject, fo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subject, name of the service subject, and the like, and reference images related to goods or services provided by the service subject. , Reference images, and the like, and further, reference texts previously designated by the service subject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service subject is a particular restaurant, reference data includes the restaurant's location information (address or GPS / GIS information), the restaurant's name, the image of the food sold in the restaurant, the image of the restaurant's exterior (signboard), The reference data may include a plate image provided, a table setting image when a food is provided to a consumer in the restaurant, a plurality of food names predefined in the restaurant, abbreviations of the restaurant name, and the like. For referenc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s a range of a range including a specific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ervice subject. For example, when the location point of a restaurant is P, a radius of 50m around the point P may be represented as location information. have.

위 레퍼런스 데이터의 공유가 되어 있음을 전제로, 제1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서 게시물 편집 및 해시태그 입력을 한 후 (S220) 해당 게시물에 대해 SNS 서버(500)로 업로드 요청을 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S230) S220 단계 및 S230 단계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된 SNS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시물을 편집하고, 업로드 버튼을 누름으로써 SNS 서버(500) 측으로 해당 게시물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는데, 상기 게시물에는 이미지(사진), 음성, 영상 등의 콘텐츠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해시태그 및 그 외의 텍스트, 그리고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 요청 시 당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및 단말기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 식별자에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화번호, 사용자의 아이디, 사용자 단말기(100)의 제품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외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 또는 상기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문자, 숫자, 문자와 숫자의 조합, 생체정보 등도 포함될 수 있다.On the premise that the reference data is shared, the method for providing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include an SNS for a post after the user edits a post and inputs a hash tag on the user terminal 100 (S220). It may begin with the step of making an upload request to the server 500. (S230) Steps S220 and S230 may be understood as a step in which a user requests an upload of the post to the SNS server 500 by editing a post using an SNS application installed in his terminal and pressing an upload button. The post may include content such as an image (photo), a voice, a video, a hash tag and other text directly input by the user,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when the post is requested to be uploaded. And a terminal identifier. In this case, the terminal identifier may include a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an ID of the user, a product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like, and all other types of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user who can specify the user. Letters, numbers, combinations of letters and numbers, biometrics may be included.

S230 단계 이후, SNS 서버(500)는 상기 업로드 요청이 된 게시물에 대해 해시태그의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240) 도 3을 참조하여 교정 필요여부 판단 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해당 단계는 상기 게시물 내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를 특정하는 단계(S241), 서비스 주체가 특정이 되었을 경우 상기 게시물 내 해시태그가 상기 서비스 주체가 사전에 공유 또는 요청한 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여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2)로 구분될 수 있다.After step S230, the SNS server 500 may determine whether the hash tag needs to be corrected for the post that has been the upload request. Referring to FIG. 3, in more detail,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correction is necessary is described. In step S241, a service subjec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nformation in the post is specified (S241). The hash tag in the post may be divided into a step S242 of determining whether a correction is necessary by comparing whether or not the service principal is the same as a keyword previously shared or requested.

먼저 S241 단계는 게시물 내 해시태그가 교정이 필요한 것인지를 직접 판단하기에 앞서 그 게시물이 어떤 서비스 주체를 대상으로 작성된 것인지, 즉 어느 서비스 주체와 대응이 되는 것인지를 특정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사전에 서비스 주체에 의해 제공된 레퍼런스 데이터들을 활용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위치정보, 레퍼런스 이미지, 레퍼런스 텍스트가 활용될 수 있다.First, in step S241, before deciding directly whether a hashtag in a post needs to be corrected, it is a step of specifying which service subject the post is written to, which service subject corresponds to. This step may be performed by utilizing reference data provided by the service entity in advance, and typically, location information, reference image, and reference text may be utilized.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앞서도 언급하였듯 서비스 주체는 위치정보를 사전에 공유해 둘 수 있는데, SNS 서버(500)는 서비스 주체의 위치정보를 상기 게시물 내 포함되어 있는 위치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게시물이 어느 서비스 주체와 대응되는지를 특정할 수 있다. 가령 사전에 서비스 주체에 의해 공유된 위치정보가 P이고, 상기 게시물 내 포함되어 있는 위치정보 역시 P인 경우 SNS 서버(500)는 해당 게시물이 상기 서비스 주체와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사전에 서비스 주체에 의해 공유된 위치정보가 P 및 P를 중심으로 한 특정 범위이고, 상기 게시물 내 포함되어 있는 위치정보가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 P'일 때 SNS 서버(500)는 해당 게시물이 상기 서비스 주체와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Referring first to the embodiment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4, as mentioned earlier, the service principal can share the location information in advance, SNS server 500 inclu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rvice subject in the post By comparing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pecify which service subject corresponds to the post. For example, if the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hared by the service subject is P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ost is also P, the SNS server 500 may determine that the post corresponds to the service subject. Alternative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shared by the service entity in advance is a specific range centering on P and P,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ost is P 'included in the range, the SNS server 500 may post the corresponding pos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is corresponds to the service subject.

다음 도 5(a)를 참조하여 레퍼런스 이미지를 활용하는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SNS 서버(500)는 사전에 공유되어 있는 레퍼런스 이미지와 상기 게시물 내에 포함된 콘텐츠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서비스 주체를 특정할 수도 있다. 이 과정은 공지된 다양한 이미지 분석기법들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미지 내 객체들을 분리하는 이미지 분석기법, 이미지 내 RGB 값을 비교함으로써 유사도를 판단하는 이미지 분석기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단계에서는 레퍼런스 이미지와 게시물 내 콘텐츠 이미지의 유사도를 비교하고 그 유사도 값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서비스 주체와 대응되는 것으로 특정할 수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5 (a), the SNS server 500 may specify a service subject by comparing a reference image previously shared with a content image included in the post. have. This process may be a variety of known image analysis methods, such as image analysis method for separating the objects in the image, image analysis method for determining the similarity by comparing the RGB values in the image may be used. That is, in this step,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ontent image in the post may be compared, and if the similarity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t may be specified that it corresponds to the service subject.

도 5의 (b)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로, 특정 음식점이 판매하는 메뉴가 레퍼런스 이미지로 공유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사용자는 게시물을 업로드 할 때에 음식점에서 먹은 메뉴를 찍어 이를 올릴 수 있는데, 이 때 동일한 음식점에서 제공되는 동일한 메뉴의 경우 이미지 분석 시 유사도가 높게 측정될 수 있다. 특히, 음식물의 색깔, 음식물이 놓이는 플레이트의 색깔 및 모양, 플레이트 또는 실버웨어의 테이블 위 배열 모양 등 이미지 내에서 객체의 색깔 또는 모양, 객체가 테이블 위 배열된 모양 등은 레퍼런스 이미지와 게시물 내 콘텐츠 이미지를 비교할 시 주된 부분으로 비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SNS 서버(500)는 해당 게시물과 대응되는 대상이 상기 서비스 주체임을 특정할 수 있다.5 (b) is an embodiment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menu sold by a particular restaurant is shared as a reference image. When the user uploads a post, the user may take a picture of a menu eaten at a restaurant and upload it. In this case, the same menu provided in the same restaurant may have a high similarity when analyzing an image. In particular, the color or shape of an object within the image, such as the color of the food, the color and shape of the plate on which the food is placed, the shape of the table on the plate or silverware, and the shape of the object on the table. When compared to the main part can be compared, accordingly, the SNS server 500 may specify that the target corresponding to the post is the service subject.

참고로 도 5(b)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레퍼런스 이미지가 상기 서비스 주체에 의해 판매되는 메뉴(음식)를 포함하는 이미지인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앞서도 언급하였듯 레퍼런스 이미지는 이 외에 다양한 객체, 예를 들어 음식점의 외관 및 간판, 음식점의 실내 공간(가구 및 가구의 배치) 등을 찍은 사진일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주체가 음식점이 아닌 관광지를 운영하는 자(법인)인 경우 관광지 입구를 찍은 사진, 관광지 내 주요 명소의 사진, 관광지 내 걸려 있는 축제 현수막 사진 등 해당 서비스 주체를 특정할 수 있는 이미지 분석용 객체가 포함된 것이라면 제한 없이 레퍼런스 이미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For reference, Figure 5 (b) has been described as only the reference image is an image including a menu (food) sold by the service subject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s mentioned above, the reference image is a variety of other objects, For example, it may be a picture of the exterior and signboard of a restaurant, an interior space of a restaurant (arrangement of furniture and furniture), and a photograph of an entrance to a tourist attraction if the service principal is a person who operates a tourist site (not a restaurant). If the image includes an object for analyzing an image that can identify the subject of the service, such as a picture of a main attraction in a tourist spot or a picture of a festival banner hanging in the tourist spot, the reference image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위치정보, 레퍼런스 이미지 이외에 SNS 서버(500)는 레퍼런스 텍스트를 활용하여 서비스 주체를 특정할 수도 있다. 업로드 요청 된 게시물은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텍스트에는 복수 개의 해시태그 및 해시태그를 제외한 콘텐츠 텍스트(사용자가 해시태그 외에 추가로 입력한 텍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SNS 서버(500)는 상기 게시물 내 해시태그들, 또는 해시태그 외 콘텐츠 텍스트를 사전에 서비스 주체로부터 공유 받은 레퍼런스 텍스트들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게시물이 상기 서비스 주체와 대응되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 서버(500)는 게시물 내 복수의 해시태그들과 레퍼런스 텍스트들 간 일치하는 키워드가 몇 개인지, 또는 상기 게시물 내 콘텐츠 텍스트와 레퍼런스 텍스트들 간 일치하는 키워드가 몇 개인지를 보아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SNS 서버(500)는 해시태그 또는 콘텐츠 텍스트와 레퍼런스 텍스트를 비교할 때에 각 키워드들 각각에 대한 유사도를 별도로 연산할 수도 있다. 가령, 도 1의 MOLINA's의 예시에서, SNS 서버(500)가 사전에 레퍼런스 텍스트로 MOLINA를 공유 받았는데 상기 게시물 내 포함된 해시태그가 MOLIMA인 경우 총 6개의 문자 중 5개의 문자가 배열 및 알파벳이 동일함을 인지하여 유사도 판단에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ference image, the SNS server 500 may specify a service subject by using the reference text. The post requested to upload may include text, which may include a plurality of hashtags and content texts other than hashtags (text entered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hashtag). The SNS server 500 may determine whether the post corresponds to the service subject by comparing hashtags in the post or content text other than the hashtag with reference texts previously shared from the service subject. For example, the SNS server 500 shows similarity based on how many keywords match the plurality of hashtags in the post and the reference texts, or how many keywords match the content text and the reference texts in the post. Can be determined. On the other hand, the SNS server 500 may separately calculate the similarity for each of the keywords when comparing the hash tag or the content text and the reference text.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MOLINA's of FIG. 1, when the SNS server 500 has previously shared MOLINA as reference text and the hashtag included in the post is MOLIMA, 5 characters out of a total of 6 characters are identical in arrangement and alphabet. Can be used to determine similarity.

이상과 같이 S241 단계에서는 SNS 서버(500)가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정보 및 사전에 서비스 주체로부터 공유 받은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게시물에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 설명에서는 위치정보, 레퍼런스 이미지, 레퍼런스 텍스트가 각각 별개로 서비스 주체를 특정하는 데에 활용되는 예시만을 기재하였으나, 상기 S241 단계는 어느 하나의 레퍼런스 데이터에 기초하여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레퍼런스 데이터들 중 여러 개가 복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 실시예에서 SNS 서버(500)는 위치정보, 레퍼런스 이미지, 레퍼런스 텍스트를 모두 참조하여 각 레퍼런스 데이터 별로 상기 게시물이 상기 서비스 주체에 대응되는 것일 확률을 연산한 후, 이들 값을 평균 또는 합산내어 최종적으로 상기 게시물이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를 특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히 위치정보에 의한 확률 연산은 상기 게시물과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들의 후보군을 크게 줄여주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레퍼런스 이미지, 레퍼런스 텍스트 등의 연산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게시물에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를 더욱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step S241, the SNS server 500 may specify the service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post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ost with reference data previously shared by the service subject.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example in which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reference text are used to separately specify a service subject are described. However, the step S241 is not performed based on any one reference data.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everal of these can be used in combination.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NS server 500 refers to al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reference text, calculates the probability that the post corresponds to the service subject for each reference data, and then averages these values. Alternatively, the service subject may be finally added to the post. 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probability oper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may function to greatly reduce the candidate group of service subjects corresponding to the post, and in addition, when additional calculations such as reference images and reference texts are performed, You will be able to specify the service principal more accurately.

한편, S241 단계에서 게시물에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가 특정된 이후, SNS 서버(500)는 사전에 서비스 주체로부터 공유 받은 키워드들과 상기 게시물 내 해시태그를 비교함으로써 해시태그의 오입력 여부, 즉 해당 해시태그의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한다. 서비스 주체가 특정이 되었다면 상기 서비스 주체에 대응되는 키워드들, 즉 상기 서비스 주체로부터 사전에 공유 받은 레퍼런스 텍스트들 역시 특정할 수 있으므로, 이 키워드들과 상기 게시물 내 해시태그를 비교할 수 있게 되는데, SNS 서버(500)는 이 비교과정에서 상기 게시물 내 해시태그가 오입력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service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post is specified in step S241, the SNS server 500 compares the keywords shared by the service subject in advance with the hash tag in the post whether the hash tag is incorrectly input, that is, the corresponding hash Determine if the tag needs to be calibrated. If a service subject is specified, keywords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subject, that is, reference texts shared in advance from the service subject may also be specified, so that these keywords may be compared with hash tags in the post. 5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hash tag in the post is incorrectly input in this comparison process.

이상 도 3을 참조하여 SNS 서버(500)가 업로드 요청 된 게시물의 해시태그에 대하여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0)에 대해 살펴보았다.The SNS server 500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step S240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correction is necessary for the hash tag of the uploaded post.

다시 도 2를 참조할 때, S240 단계에서 상기 해시태그가 교정이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해당 해시태그가 정확한 명칭으로 입력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SNS 서버(500)는 해당 게시물에 대해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게 되며, 반대로 상기 해시태그가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SNS 서버(500)는 상기 업로드 요청을 한 사용자 단말기(100)로 교정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250) 교정안내 메시지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해시태그들 중 어느 해시태그가 오입력 되었는지를 알리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게시물과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가 사용자가 애초 의도하였던 서비스 주체와 일치하는지, 상기 게시물 내 해시태그를 수정할 의사가 있는지 등을 묻는 내용이 더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shtag does not need correction in step S240,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shtag is input with the correct name, the SNS server 500 may perform a special action on the post. On the contrar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shtag needs to be corrected, the SNS server 500 may transmit a calibration guid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00 that has made the upload request. (S250) The calibration guide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hashtags of the hashtags input by the user are incorrectly input, and furthermore, whether the service subject corresponding to the post matches the service subject originally intended by the user, The post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asking whether there is a willingness to modify the hashtag in the post.

한편, SNS 서버(500)로부터 교정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00)를 이용해 게시물을 편집, 즉 해시태그를 수정할 수 있으며 이 수정된 게시물에 대해 SNS 서버(500) 측으로 재 업로드 요청을 할 수 있다. (S260, S270)On the other hand, the user who receives the calibration guide message from the SNS server 500 can edit the post using the user terminal 100, that is, modify the hashtag and re-upload the modified post to the SNS server 500 side You can request (S260, S270)

이 후, SNS 서버(500)는 재차 업로드 요청이 된 게시물에 대해 교정 필요여부를 재차 판단할 수 있는데(S280), 본 단계에서의 교정 필요여부 판단은 앞선 S240 단계와 동일한 과정으로도 수행될 수 있고, 또는 수정이 된 해시태그를 상기 특정된 서비스 주체의 레퍼런스 텍스트들과 비교해 봄으로써 해당 교정이 필요하였던 해시태그가 바르게 교정이 되었는지만을 확인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SNS server 500 may again determine whether or not correction is necessary for the post that has been uploaded again (S280).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correction is necessary in this step may be performed by the same process as in the previous step S240. Alternatively, the modified hashtag may b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texts of the specified service principal to confirm only that the hashtag that needs to be corrected is correctly corrected.

한편, 부가적으로 SNS 서버(500)는 서비스 서버(300) 측에 교정결과를 리포트 함으로써 서비스 주체에게 교정 내용, 교정 성과 등을 알릴 수 있다. (S290)On the other hand, the SNS server 500 may report the calibration result to the service server 300 side to inform the service subject of the calibration contents, calibration results, and the like. (S290)

이상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system therefor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비교할 때, 제1실시예서는 SNS 서버(500)에 의해 교정 필요여부 판단이 이루어졌다면, 제2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교정 필요여부 판단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즉,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주체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해 상술한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hen comparing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first embodiment, if the calibration necessity determination is made by the SNS server 500,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alibration necessity determination is determined by the service server 300. Is done. That is, the subject who determines whether or not correction is necessary is different. Hereinafter,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2실시예는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서 게시물 편집 및 해시태그 입력을 한 후 (S610) 해당 게시물에 대해 SNS 서버(500)로 업로드 요청을 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S620) 이 때 업로드 요청되는 게시물에는 콘텐츠 이미지, 해시태그, 콘텐츠 텍스트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업로드 당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역시 포함될 수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started from a step in which a user edits a post and inputs a hash tag on the user terminal 100 (S610) and then uploads a request to the SNS server 500 for the corresponding post. At this time, the post requested to be uploaded may include a content image, a hash tag, and a content text, and may also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t the time of upload.

S620 단계 이후, SNS 서버(500)는 상기 업로드 요청 된 게시물에 대해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대신, 해당 게시물이 사전에 계약을 맺은 서비스 주체에 대응되는 게시물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 주체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비스 서버(300)로 업로드 알림을 전송(S630)할 수 있는데, 이 때 SNS 서버(500)는 상기 게시물 내 위치정보를 판단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게시물이 업로드 된 위치정보와 상기 서비스 주체로부터 사전에 공유 받은 위치정보가 동일하거나 범위 내인 경우 서비스 서버(300)에 상기 게시물의 업로드 사실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SNS 서버(500)가 서비스 서버(300)에 전달하는 업로드 알림에는 상기 게시물 내 포함되어 있는 위치정보, 콘텐츠 이미지, 콘텐츠 텍스트, 해시태그,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After step S620, the SNS server 500 determines whether the post is a post corresponding to a service subject contracted in advance, instead of determining whether the post is requested to be corrected for the uploaded post, and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subjec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pload notific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0 may be transmitted (S630), the SNS server 500 may use the location information in the post as a criterion. That is, if the location information uploaded from the pos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shared from the service principal are the same or within the range, the service server 300 is notified of the upload of the post. The upload notification that the SNS server 500 delivers to the service server 300 includes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content image, content text, hashtag, and terminal identifier of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post. Can be.

S630 단계 이후, 서비스 서버(300)는 자체적으로 상기 게시물 내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S640)하게 되는데, 이 때 교정 필요여부 판단 단계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S240 단계와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단계는 서비스 서버(300)가 직접 수행하는 것이므로, 제1실시예의 SNS 서버(500)가 상기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사전에 공유 받은 레퍼런스 데이터를 활용하였던 것과 달리, 서비스 서버(300)가 직접 저장해 두고 있는 레퍼런스 데이터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같은 맥락에서, 제1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서버(300)와 SNS 서버(500)가 사전에 레퍼런스 데이터를 공유하는 별도의 단계가 포함될 수 있었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레퍼런스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는 필요치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After the step S630, the service server 300 itself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rrection necessary for the hash tag in the post (S640), 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of the need for calibration is the same process as the step S24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t can proceed to. However, since this step is performed by the service server 300 directly, unlike the SNS server 500 of the first embodiment utilizing reference data previously shared from the service server 300, the service server 300 The difference is that it utilizes the reference data it stores. In the same context, in the first embodiment, a separate step in which the service server 300 and the SNS server 500 share the reference data may be included in advance,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tep of sharing the reference data is not necessary. Can understand.

한편, 서비스 서버(300)는 S640 단계에서 상기 게시물의 해시태그에 대하여 특별히 교정이 필요치 않다고 판단한 경우, 더 이상의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해시태그에 대해 교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교정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S650) 상기 교정안내 메시지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해시태그들 중 어느 해시태그가 오입력 되었는지를 알리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rvice server 300 determines that no special correction is necessary for the hash tag of the post in step S640, it may not take any further action. The calibration guide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In operation S650, the calibration guide message may include information informing which hashtags of the hashtags input by the user are incorrectly input.

S650 단계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서 게시물을 편집, 즉 해시태그를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된 게시물에 대해 SNS 서버(500) 측으로 재차 업로드 요청을 할 수 있다. (S660, S670)After the step S650, the user can edit the post on the user terminal 100, that is, modify the hashtag, and may request the upload again to the SNS server 500 for the modified post. (S660, S670)

이 후, SNS 서버(500)는 재차 업로드 요청이 된 게시물에 대해 상기 서비스 서버(300)로 업로드 알림을 전달(S680)할 수 있으며, 업로드 알림을 수신한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수정된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 필요여부를 다시 판단(S690)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SNS server 500 may deliver an upload notification to the service server 300 for the post that has been uploaded again (S680), and the service server 300 that receives the upload notification may modify the hash. Whether the tag needs to be calibrated may be determined again (S690).

이상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method for providing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ystem therefor have been described.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그 범위를 제한해놓은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들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된 순차적인 순서에 불과하며, 다른 추가적인 단계들이 제공되거나, 일부 단계가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are not limitative in scope. In addition, the flowchart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sequential orders illustrated to achieve the most desirable results in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additional steps may be provided or some steps may be omitted. .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과 이를 실행하는 구현물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현물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또는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에 관한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technical features and implementa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may be implemented in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including the structures and structural equivalents described herein,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It can be implemented. Also, an implementation implementing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herein is a module relating to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encoded on a program storage medium of tangible type for controlling or by the operation of a computer program product, ie a processing system. It may be implemented.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chine readable storage device, a machine readable storage substrate, a memory device, a composition of materials affecting a machine readable propagated signal,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100 사용자 단말기
300 서비스 서버
500 SNS 서버
100 user terminal
300 service server
500 SNS Server

Claims (10)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SNS 서버에 게시물 ― 상기 게시물은 적어도 하나의 해시태그를 포함함 ― 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SNS 서버가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hashtag correction service,
The user terminal forwarding an upload request to the SNS server for the post, the post including at least one hashtag;
Determining, by the SNS server, whether a hash tag included in the post needs to be corrected;
Containing,
How to provide hashtag correction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SNS 서버가 상기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SNS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교정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SNS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hash tag needs correc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hash tag needs to be corrected, an SNS server transmitting a calibration guid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How to provide hashtag correction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SNS 서버가 상기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 내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를 특정하는 단계;
서비스 주체에 대응되는 키워드와 상기 게시물 내 해시태그를 비교하여 상기 해시태그의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NS server needs to correct the hash tag,
Specifying a service princip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nformation in the post;
Comparing a hash tag in the post with a keyword corresponding to a service subject to determine whether the hash tag needs correction;
Containing,
How to provide hashtag correction service.
SNS 서버가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게시물 ― 상기 게시물은 적어도 하나의 해시태그를 포함함 ― 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SNS server provides a hash tag correction service,
Receiving an upload request from a user terminal for a post, wherein the post includes at least one hashtag; And
Determining whether the hash tag included in the post needs to be corrected;
Containing,
How to provide hashtag correction service.
제4항에 있어서,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해시태그에 대한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교정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fter determining whether you need to calibrate,
Transmitting a calibration guid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hash tag needs to be corrected;
Further comprising,
How to provide hashtag correction ser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게시물 내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를 특정하는 단계;
서비스 주체에 대응되는 키워드와 상기 게시물 내 해시태그를 비교하여 상기 해시태그의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Determining whether the calibration is necessary,
Specifying a service princip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nformation in the post;
Comparing a hash tag in the post with a keyword corresponding to a service subject to determine whether the hash tag needs correction;
Containing,
How to provide hashtag correction ser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물 내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대응되는 서비스 주체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주체로부터 사전에 제공 받은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게시물 내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Specifying a service principal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information in the post,
Comparing the reference data provided in advance from the service principal with at least one information in the post,
How to provide hashtag correction ser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는,
위치정보, 레퍼런스 이미지 또는 레퍼런스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ference data is,
Including at least one of location information, reference image, or reference text,
How to provide hashtag correction service.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SNS 서버에 게시물 ― 상기 게시물은 적어도 하나의 해시태그를 포함함 ― 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SNS 서버가 상기 게시물에 대해 알림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알림대상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서버로 업로드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및
서비스 서버가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해시태그에 대해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hashtag correction service,
The user terminal forwarding an upload request to the SNS server for the post, the post including at least one hashtag;
Determining whether the SNS server is a notification target for the post,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otification target is a notification target, transmitting an upload notification to a service server; And
Determining, by the service server, whether the hash tag included in the post needs correction;
Containing,
How to provide hashtag correction service.
서비스 서버가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SNS 서버로부터, 임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게시물이 업로드 되었음을 알리는 업로드 알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시물에 포함된 해시태그에 대해 교정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시태그 교정 서비스 제공 방법.
In the method by which the service server provides hashtag correction service,
Receiving an upload notification from the SNS server, indicating that the post has been uploaded from any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a correction is necessary for the hashtag included in the post;
Containing,
How to provide hashtag correction service.
KR1020180103729A 2018-08-24 2018-08-31 Me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shtag correction service for enhancing marketing effectiveness KR1021098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0178 WO2020040341A1 (en) 2018-08-24 2018-08-31 Hashtag correction service method for improving marketing effectiveness and system therefor
KR1020180103729A KR102109890B1 (en) 2018-08-31 2018-08-31 Me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shtag correction service for enhancing marketing effective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729A KR102109890B1 (en) 2018-08-31 2018-08-31 Me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shtag correction service for enhancing marketing effectiven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816A true KR20200025816A (en) 2020-03-10
KR102109890B1 KR102109890B1 (en) 2020-05-12

Family

ID=6980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729A KR102109890B1 (en) 2018-08-24 2018-08-31 Me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shtag correction service for enhancing marketing effectiven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890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920A (en) 2005-04-25 2006-10-31 봉래 박 System or method of detecting mis-written word and supplying information to correct it
KR20100006371A (en) * 2008-07-09 2010-01-19 (주)지란지교소프트 A decision method and system of suitability for web contents using white/black list
KR20120012311A (en) * 2010-07-30 2012-02-09 중소기업은행 A method managing for error reporting of a posting
US20120308206A1 (en) * 2007-10-07 2012-12-06 Fall Front Wireless Ny, Llc Digital network-based video tagging with tag filtering
KR20180059117A (en)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인디씨에프 Method for Attaching Hash-Tag Using Image Recognition Process and Software Distributing Server Storing Software for the same Method
KR101886738B1 (en) * 2017-08-03 2018-08-09 주식회사 카카오 Apparatus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effect to postings in social network services
KR102013186B1 (en) * 2018-02-20 2019-08-22 오라클엔터 주식회사 E-commerce system using influenc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920A (en) 2005-04-25 2006-10-31 봉래 박 System or method of detecting mis-written word and supplying information to correct it
US20120308206A1 (en) * 2007-10-07 2012-12-06 Fall Front Wireless Ny, Llc Digital network-based video tagging with tag filtering
KR20100006371A (en) * 2008-07-09 2010-01-19 (주)지란지교소프트 A decision method and system of suitability for web contents using white/black list
KR20120012311A (en) * 2010-07-30 2012-02-09 중소기업은행 A method managing for error reporting of a posting
KR20180059117A (en) * 2016-11-25 2018-06-04 주식회사 인디씨에프 Method for Attaching Hash-Tag Using Image Recognition Process and Software Distributing Server Storing Software for the same Method
KR101886738B1 (en) * 2017-08-03 2018-08-09 주식회사 카카오 Apparatus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effect to postings in social network services
KR102013186B1 (en) * 2018-02-20 2019-08-22 오라클엔터 주식회사 E-commerce system using influe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890B1 (en)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1726B2 (en) Method and terminal for sharing content
US10262038B2 (en) Answerer extraction system, answerer extra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80072833A (en) Gallery of messages with a shared interest
US20180032499A1 (en) Automatically Generating Spelling Suggestions and Corrections Based on User Context
EP29578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EP2896162B1 (en) Determining addi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US109296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type of text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356498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sharing a hosted application
US10860187B1 (en) Object oriented interactions
CN109255035B (en) Method and device for constructing knowledge graph
CN110795910A (en) Tex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US201503729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content messaging
US20200304446A1 (en) Message communication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200025816A (en) Me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ashtag correction service for enhancing marketing effectiveness
CN115174506A (en) Sess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KR20150078148A (en)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matched with sentence and method thereof
CN111158838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WO2020040341A1 (en) Hashtag correction service method for improving marketing effectiveness and system therefor
CN110147426B (en) Method for determining classification label of query text and related device
KR20210039614A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translation messenger of multiple language
US202303703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ing service
US10311524B2 (en) Hashtag segmentation
US202303678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ing service
CN112698807B (en) Voice broadcast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30025408A1 (en) Customized social media f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