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425A -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Energy Storage System - Google Patents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Energy Stor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425A
KR20200025425A KR1020180102765A KR20180102765A KR20200025425A KR 20200025425 A KR20200025425 A KR 20200025425A KR 1020180102765 A KR1020180102765 A KR 1020180102765A KR 20180102765 A KR20180102765 A KR 20180102765A KR 20200025425 A KR20200025425 A KR 20200025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
biomass
ess
production system
fuel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7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찬
김정근
최종원
이시훈
김상도
남궁훤
이영주
박주형
송규섭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0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425A/en
Publication of KR20200025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4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53/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refining processes
    • C10G53/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two or more refining processes plural serial stage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11Biomass
    • C10G2300/1014Biomass of vegetal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70Catalyst aspects
    • C10G2300/706Catalytic metal recover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4Specific separation steps for separat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production system for a boiler with ash-producing components removed from fue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production system for a boiler with ash-producing components removed. To this end, the ash-producing components causing adverse effects on the heating surfaces of wall surfaces of reactors, heat exchangers, etc. such as fouling, slagging, high temperature corrosion, and clinker production during operation of the boiling from herbaceous, lignocellulosic, and algal biomass are removed via physicochemical methods. After the removal, solid components are applied to the burning or mixing as a solid fuel, and liquid components containing ash-producing components are subjected to water treatment using methods including acid treatment, alkali treatment, hot water treatment, membrane filtration, ion exchange, aggregation, adsorption, and centrifugation.

Description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Energy Storage System}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본계, 목질계, 조류(Algae) 바이오매스로부터 보일러 운전시 파울링, 슬래깅, 고온부식, 크링커 생성 등 반응기 벽면, 열교환기 등 전열면에 악영향을 발생하는 회분유발성분을 물리, 화학적 방법을 통하여 제거하고 제거 후 고상성분은 고형연료로 전소 또는 혼소에 활용되며, 회분유발성분을 포함하는 액상성분은 산처리, 알칼리, 열수처리, 막여과, 이온교환, 응집, 흡착, 원심분리를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처리하는 방법을 적용한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production system that removes ash-induced components in low-temperature biomass associated with ESS, and more specifically, fouling, slagging, and boiler operation from herbal, wood, and algae biomass. The ash-induced components that cause adverse effects on the reactor walls, heat exchangers, etc., such as high-temperature corrosion and clinker formation, are removed through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and after removal, the solid phase components are used for burning or mixing with solid fuels. Containing liquid components include ash-induced components in biomass at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nection with ESS applying the method of water treatment using methods including acid treatment, alkali, hot water treatment, membrane filtration, ion exchange, flocculation, adsorption, and centrifugation. To a removed fuel production system.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가장 많은 요인이며 지구 온난화 문제에 경쟁력이 취약한 에너지원이 화석연료에 기반한 에너지원이다. 따라서 현재 에너지원으로서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는 것 중에 신재생 에너지의 이용 및 보급을 들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에 비하여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저감되어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기 때문이다. Energy sources that generate the most carbon dioxide and are inadequate for global warming are energy sources based on fossil fuels. Therefore, among the issues currently being issued globally as energy sources, the use and dissemin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s possible, which reduces CO2 emissions compared to fossil fuels such as petroleum and coal, which can cope with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Because it is an energy source.

국내에서는 화석연료의 고갈과 더불어 국제조약인 기후변화협약 대응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이 대두되면서 일정규모(500MW) 이상의 발전설비(신재생에너지 설비는 제외)를 보유한 발전사업자(공급의무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토록 의무화한 신재생 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가 도입되었으며 이런 의무공급량 미이행분에 대해서는 공급인증서 평균거래가격의 150% 이내에서 불이행사유, 불이행 횟수 등을 고려하여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법제화 하였다. With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in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treaty, the climate change convention, the total generation volume for power generation companies (suppliers) with power generation facilities (excluding renewable energy facilities) of a certain size (500MW) is emerging. Th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was introduced, which requires a certain percentage of the supply to be made by using renewable energy.In case of non-compliance, the reason for non-compliance is within 150% of the average transaction price of the supply certificate. The government has enacted a law to impose penalties, 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non-compliances.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하여 인정받기 위하여 발전사업자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공급하였음을 증명하는 인증서로 공급의무자는 의무공급량을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구매하여 충당할 수 있는 것으로 공급인증서 발급대상 설비에서 공급된 MWh기준의 신재생에너지 전력량에 대해 가중치를 곱하여 부여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를 실시하고 있고 신재생에너지 원별 가중치는 환경, 기술개발 및 산업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발전원가, 부존잠재량, 온실가스 배출저감에 미치는 효과 등을 고려하여 정부가 재정하고 3년마다 재검토하고 있다. Accordingly, the certificate of proof that the electricity generation company produced and supplied electricity by using renewable energy facilities in order to supply and receive renewable energy, the supplying obligee can purchase the renewable energy supply certificate to satisfy the mandatory supply.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 is given to multiply the weight of renewable energy based on MWh supplied from the facilities subject to the supply certificate. The weight of each renewable energy is based on environme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dustry. The government finances and reviews it every three years, taking into account the effects on vitalization, cost of power generation, potential losses, and GHG emission reduction.

이에 따라 대규모 석탄화력 발전사에서는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비중을 달성하기 위하여 석탄의 이산화탄소 발생을 감축시키는 발전 플랜트 연계 및 개선방안으로 석탄 가스화 복합발전(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초초임계압(Ultra Supercritical, USC)기술, CO2 포집 및 저장기술 등의 청정 석탄 기술(Clean Coal Technology, CCT), 및 바이오매스(bio-mass) 혼소 등을 시도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해결에는 개선 극복해야 할 부분이 다수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As a result, large coal-fired power plants have integrated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and ultra-supercritical (Ultra) systems to link and improve power plants to reduce CO2 emissions from coal in order to achieve this renewable energy supply. While attempting to clean coal technology (CCT) such as supercritical (USC) technology, CO 2 capture and storage technology, and bio-mass mixing, there are many areas that need to be overcome to solve fundamental problems. It exists.

특히, 바이오매스 혼소의 경우에는 석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발열량의 바이오매스를 연소함에 따라 발전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iomass mix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power generation efficiency decreases as the biomass of a relatively low calorific value is burned compared to coal.

또한, 혼소를 위해 투입되는 바이오매스와 석탄의 연소특성이 상이하여 석탄을 대상원료로 설계된 기존 발전 설비 내에서 다단연소가 발생하여 설비 운전에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In additi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biomass and coal input for the mixing is different, causing the multi-stage combustion in the existing power plant designed as coal as a raw material causes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또한, 바이오매스 내에 포함된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무기질 성분에 의한 클링커나 파울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는 석탄에 오일계 바이오매스를 혼합시킨 연료를 적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처럼 단순히 석탄과 오일계 바이오매스를 혼합시킨 연료의 경우, 석탄의 표면이 대체로 오일로 코팅되거나 기공 안으로 오일이 일부 함침하게 된다. 하지만 오일 자체의 낮은 표면장력과 오일계 바이오매스와 석탄 표면의 결합력이 부족하여, 석탄과 바이오매스는 각각 기존의 연소 특성을 유지하므로 결과적으로는 다른 연소 특징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발전소에 적용하면 버너 앞부분에서 오일의 저온 연소 패턴으로 인하여 산소가 우선적으로 과잉 소모하게 되고, 결국 석탄의 연소를 저해하여 미연 탄소(unburned carbon)의 양이 증가하게 되며 발전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linker or fouling occurs by the inorganic component including a metal component contained in the biomas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ique for applying a fuel in which oil-based biomass is mixed with coal has been developed. In the case of a fuel that is simply a mixture of coal and oil-based biomass, the surface of the coal is generally coated with oil or some oil is impregnated into the pores. However, due to the low surface tension of the oil itself and the lack of bonding force between the oil-based biomass and the coal surface, the coal and biomass retain their existi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different combustion characteristics. Therefore, when applied to a power plant, oxygen is preferentially consumed excessively due to the low temperature combustion pattern of oil in the front of the burner, which eventually inhibits the combustion of coal,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unburned carbon and decreas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

또한, 바이오매스 내의 회분의 대표적인 응집현상은 미분탄 연소로에서 각각 연소로의 복사면 및 대류전달면에서 주로 발생되는 슬래깅(slagging)과 클링커(clinker), 파울링(fouling), 유동층 연소로에서의 회분 응집(agglomeration) 등이다. In addition, the representative flocculation of ash in biomass is found in slag, clinker, fouling and fluidized bed combustor, which are mainly generated in the radiant and convective transfer surfaces of pulverized coal combustor, respectively. Ash agglomeration, and the like.

발전플랜트의 과열기튜브 고온염소부식, 절탄기튜브 회막힘 현상에 의한 유속변화로 인해 발생되는 마모, 유동층 연소기의 유동사에 의한 튜브 마모, 슈트블로워의 기계적 마모가 예상되며, 연료성분내의 무기성분인 칼륨과 염소성분이 연소과정에 화학결합을 통해 KCl을 생성하면, KCl(용융온도 776℃)은 점성이 강한 물질로 부착이 잘되며 염소 반응 등에 의한 부식을 가속화 시킨다고 알려져 있다.It is expected to wear due to high temperature chlorine corrosion of the power plant tube, change caused by the flow rate caused by the coagulation tube clogging phenomenon, tube wear caused by the flow sand of the fluidized bed combustor, and mechanical wear of the chute blower. When potassium and chlorine form KCl through chemical bonding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KCl (melting temperature 776 ℃) is known to be highly viscous and accelerates corrosion by chlorine reaction.

연소로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면 공정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이와 같은 현상이 심화되면 조업을 중단해야 하고, 이로 인해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회분의 응집현상은 일반적으로 회분 조성, 온도, 입도, 가스분위기, 조업조건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되며, 특히 고온에서 회분의 일부가 용융이 되면 이와 같은 현상이 가속화된다.The occurrence of these phenomena in the furnace is not only a major factor in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but ultimately, when such phenomena intensify, operations must be shut down, resulting in huge economic losses. Agglomeration of ash is generally affected by ash composition, temperature, particle size, gas atmosphere, operating conditions, etc. Particularly, when a part of the ash is melted at a high temperature, this phenomenon is accelerated.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응하기 위한 다수의 공지된 문헌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On the other hand look at a number of known documents to address the above problems are as follows.

일본공개특허 특개2016-125030호에서는 식물을 미립화해, 미립화한 식물을 상압의 물에 담그어, 상압의 물에 담근 상기 식물을 탈수해, 탈수된 상기 식물을 연료로 이용해, 탈수에 의해 얻어진 용액을 비료로 이용하는 식물성 바이오 연료의 개질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6-125030, a solution obtained by dehydration by atomizing a plant, immersing the atomized plant in water at normal pressure, dehydrating the plant soaked in water at normal pressure, and using the dehydrated plant as a fuel. A method of reforming a vegetable biofuel used as a fertilizer is disclosed.

일본공개특허 특개평11-240902호에서는 수용성 헤미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원재료로부터 수용성 헤미셀룰로오스를 수성 매체로 추출하는 온도가 80이상, 140이하에서, pH값이 2 내지 7인 조건에서 추출한 후, 그 추출액을 1.5배이상 농축해, 그 다음에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헤미셀룰로오스의 제조법이 개시되어 있다.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Hei 11-240902, after extracting the water-soluble hemicellulose from the raw material including the water-soluble hemicellulose into the aqueous medium at 80 or more and 140 or less under conditions of pH 2 to 7, the extract is 1.5 time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water-soluble hemicellulose is disclosed which concentrates as mentioned above and removes an insoluble substance next.

일본등록특허 제 2688509호에서는 밀기울을 수세해 수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0.1~0.4 규정의 알칼리 수용액으로 처리해 헤미셀룰로오스로부터 주로 이루어지는 구분을 알칼리수용액 중에 용출시켜 한계 밖과 막 및 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해 순으로 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미셀룰로오스의 추출정제법을 개시하고 있다.In Japanese Patent No. 2688509, the bran is washed with water to remove the water-soluble substance, and then treated with an aqueous alkali solution of 0.1 to 0.4, eluting the fraction mainly composed of hemicellulose in an alkaline aqueous solution, and then purified out of bounds using a membrane and an ion exchange resin. Disclosed is a method for extracting and purifying hemicellulos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한국등록특허 제10-0476239호에서는 왕겨로부터 수용성 및 불용성 헤미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1) 왕겨에서 단백질 제거 및 왕겨를 세척하는 공정; (2) 왕겨를 0.5 내지 1M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추출하고 여과하는 공정; (3) (2)단계에서 얻은 알칼리 추출용액에 인산을 가해 용액의 pH를 낮추어서 헤미셀룰로오스를 침전으로 회수하는 공정; (4) (3)단계에서 얻어진 침전에 대해 인산 또는 옥살산으로 추가 세척한 다음 oxalate-potassium permanganate처리를 통해 탈색하는 공정; (5) 상기단계에서 얻어진 탈색된 헤미셀룰로오스 분획으로부터 용액의 pH조절을 통해 수용성 및 불용성 헤미셀룰로오스의 선별적인 분리가 가능하되 수용성 헤미셀룰로오스를 회수하는데 있어서 인산을 가해 침전으로 회수하거나 또는 칼슘을 가해 불용성으로 전환한 다음 회수하는 공정; (6) 이와 같은 일련의 연속공정을 통해 얻은 수용성 및 불용성 헤미셀룰로오스를 자연건조 또는 분무건조하여 분말을 얻은 후, 밀링(milling)하고 적절한 크기의 체망을 통과하여 미세분말을 얻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왕겨로부터의 수용성 및 불용성 헤미셀룰로오스의 제조방법 을 개시하고 있다.In Korean Patent No. 10-0476239, in the preparation of water-soluble and insoluble hemicellulose from rice husk, (1) a step of removing protein from chaff and washing chaff; (2) extracting and filtering the chaff with sodium hydroxide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0.5 to 1 M; (3) recovering hemicellulose by precipitation by adding phosphoric acid to the alkaline extraction solution obtained in step (2) to lower the pH of the solution; (4) further washing with phosphate or oxalic acid for the precipitate obtained in step (3) and then decolorizing through oxalate-potassium permanganate treatment; (5)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eparate the water-soluble and insoluble hemicellulose by adjusting the pH of the solution from the decolorized hemicellulose fraction obtained in the above step, but in the recovery of the water-soluble hemicellulose, it is recovered by precipitation by adding phosphoric acid or converted to insoluble by adding calcium. Then recovering; (6) From the rice husks, which consists of a process of obtaining a powder by naturally drying or spray-drying a water-soluble and insoluble hemicellulose obtained through a series of such continuous processes, and then milling and passing a sieve of a suitable size. A method for preparing water-soluble and insoluble hemicellulose is disclosed.

한국특허공보 제10-0413384호에서는 (i) 옥수수껍질로부터 전분 및 단백질을 제거하는 공정; (ii) 전분 및 단백질이 제거된 옥수수껍질을 알칼리 용액으로 추출하고 여과포로 여과하는 공정; (iii) (ii) 단계에서 얻은 알칼리 추출액에 셀룰라제 및 셀로비아제를 처리하여 반응시키는 공정; (iv) (iii) 단계에서 얻은 효소 반응액에 흡착제를 처리하고 막여과를 통하여 여과액을 얻는 공정; (v) 상기 여과액을 정제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413384, (i) removing starch and protein from corn husks; (ii) extracting the corn husk from which starch and protein have been removed with an alkaline solution and filtering with a filter cloth; (iii) a step of reacting the alkaline extract obtained in step (ii) by treating cellulase and cellobiase; (iv) treating the enzyme reaction solution obtained in step (iii) with an adsorbent and obtaining a filtrate through membrane filtration; (v) Disclosed is a method for producing a water-soluble dietary fiber comprising the step of purifying the filtrate.

한국특허공보 제10-1457470호에서는 a) 헤미셀룰로오스를 바이오매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b) 헤미셀룰로오스 추출액으로부터 헤미셀룰로오스를 침전 및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리된 헤미셀룰로오스를 제지공정에 투입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건조 지력이 개선된 종이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57470 discloses a) extracting hemicellulose from biomass; b) precipitating and separating hemicellulose from the hemicellulose extract; And c) introducing the separated hemicellulose into a papermaking process.

한국특허공보 제10-0982599호에서는 칼륨과 망간을 포함한 산화물로 구성되는 양극을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82599 discloses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composed of an oxide including potassium and manganese.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기술들에서는 바이오매스로부터 리그닌을 제거하고 글루코스(glucose)가 주성분인 셀룰로오스와 자일로스(xylose)가 주성분인 헤미셀룰로오스를 추출하기 위해 물리 화학적인 처리를 적용하였으나 산 또는 알칼리와 같은 약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약품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사용된 약품을 회수하는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분리된 성분을 목적하는 원료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순도가 높고 부반응물을 최대한 제거하여야 하는 조건이 수반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100℃이상의 고온에서 처리 공정이 진행되므로 에너지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known to date have applied physicochemical treatments to remove lignin from biomass and extract hemicellulose, which is mainly composed of glucose and xylose, but with drugs such as acids or alkalis. In the case of using, the cost of chemicals increases and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used chemicals is involved, which leads to a complicated process. This was often accompanied. In addition, since the treatment process proceeds at a high temperature of more than 100 ℃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akes a lot of energy costs.

따라서 신재생 에너지의 이용 및 보급을 촉진하고, 바이오매스 연료의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회분에 기인하는 공정 문제를 근원적으로 배제하기 위한 저온조건에서 기존 탄소유래 바이오매스 성분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바이오매스 내의 회분유발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회분 함량이 낮은 연료 물질을 효과적으로 추출 및 분리하고 이를 활용한 ESS가 연계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utilization and dissemination of renewable energy and to secure the supply stability of biomass fuel, the biomas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carbon-derived biomass components at the lowest temperature to fundamentally eliminate process problems caused by ash, is maintaine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a fuel production system for ESS-linked boilers that effectively removes and isolates low ash content by selectively removing only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ash.

일본공개특허 특개2016-125030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6-125030 일본공개특허 특개평11-240902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240902 일본등록특허 제 2688509호Japanese Patent No. 2688509 한국등록특허 제10-0476239호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476239 한국특허공보 제10-041338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413384 한국특허공보 제10-145747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57470 한국특허공보 제10-098259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8259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 초본계, 목질계, 조류(Algae) 바이오매스로부터 보일러 운전시 파울링, 슬래깅, 고온부식, 크링커 생성 등 반응기 벽면, 열교환기 등 전열면에 악영향을 발생하는 회분유발성분을 물리, 화학적 방법을 통하여 제거하고 제거 후 고상성분은 고형연료로 전소 또는 혼소에 활용되며, 회분유발성분을 포함하는 액상성분은 산처리, 알칼리, 열수처리, 막여과, 이온교환, 응집, 흡착, 원심분리를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처리하는 방법을 적용한 ESS를 연계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rom the herbaceous, wood-based, algae biomass, such as fouling, slagging, high temperature corrosion, clinker generation during boiler operation, reactor wall, heat exchanger, etc. The ash-induced components that cause adverse effects on the heat-transfer surface are removed by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and after removal, the solid phase components are used for burning or mixing with solid fuel.The liquid components containing ash-induced components are treated with acid, alkali, and hot wa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production system for a boiler in which ESS is applied to a method of water treatment using a method including membrane filtration, ion exchange, flocculation, adsorption, and centrifuga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공급된 원료의 회분유발성분이 최대로 분리되도록 저온의 촉매로 처리하는 반응기본체(100); 상기 반응기본체에 저온 촉매수를 공급하는 pH조정조(400); 상기 반응기본체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저장조(500); 상기 반응기본체에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주입장치(700); 상기 반응기본체에서 배출된 탈수내 금속이온을 분리하는 금속이온분리장치(600); 및 상기 시스템의 전력을 공급하는 ESS(700); 를 포함하는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uel production system to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of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SS, the reaction body 100 for treating with a low-temperature catalyst so that the ash-induced components of the feedstock is separated to the maximum; PH adjusting tank 400 for supplying a low temperature catalyst water to the reaction base; Washing water storage tank 500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reaction base; A raw material injection device 700 for injecting a raw material into the reaction base; A metal ion separation device 600 for separating metal ions in dehydration discharged from the reaction body; And an ESS 7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Fuel production system to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of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SS.

또한,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를 통과한 상기 탈수액이 소정의 금속이온 농도 이하일 때, 상기 pH조정조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hydration liq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metal ion concentration, it can be supplied to the pH adjustment tank.

또한, 상기 세척액의 금속이온농도가 소정 농도 이상일 때는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로 공급하고, 미만일 때는 상기 세척수저장조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tal ion concentration of the washing liquid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may be supplied to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when less than may be supplied to the wash water storage tank.

또한,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를 통과하지 못한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탈수액은 양이온저장조 및 음이온저장조로 분리하여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hydration liquid containing metal ions that did not pass through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may be supplied separately from the cation storage tank and the anion storage tank.

또한, 상기 ESS는 양이온저장조의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산화물로 구성된 양극, 상기 금속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된 음극 및 상기 금속이온을 포함한 비수전해질을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SS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ve electrode made of an oxide containing a metal ion of the cation storage tank, a negative electrod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occluding and releasing the metal ion, and a nonaqueous electrolyte containing the metal ion.

또한, 상기 금속이온은 알칼리, 알칼리토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l ion may be any one or two or more of alkali, alkaline earth metal.

또한, 상기 양극은 KxMnO2+y (0<x<1, -0.1<y<0.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ode may include KxMnO2 + y (0 <x <1, -0.1 <y <0.1).

또한, 상기 음극은 칼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탄소를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gative electrode may include carbon capable of occluding and releasing potassium.

또한, 상기 ESS는 칼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탄소재료와, In addition, the ESS is a carbon material capable of occluding and releasing potassium,

폴리카르본산 및/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결착제, 를 함유하는 칼륨이온 2차 전지용 음극 또는 칼륨이온 캐패시터용 음극을 구비한 칼륨이온 캐패시터일 수 있다.It may be a potassium ion capacitor having a negative electrode for a potassium ion secondary battery 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potassium ion capacitor containing a binder containing polycarboxylic acid and / or a salt thereof.

또한, 상기 ESS는 양극, 아연 또는 아연 합금 분말 및 겔화제를 함유하는 음극, 및 알칼리 전해액으로 구성되는 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활물질로서 철 (VI) 산염을 이용해 또한 전해액으로서 수산화칼륨 및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이용한 알칼리전지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attery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containing zinc or zinc alloy powder and a gelling agent, and an alkaline electrolytic solution, the ESS uses potassium (VI) acid salt as the active material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also potassium hydroxide and zinc oxide as electrolyte. It may be an alkaline battery using an alkaline solution containing.

본 발명의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에 따르면, 산이나 알칼리 등의 촉매의 저온 반응조건을 통하여 초본계 또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회분유발성분 등을 효과적이면서 쉽게 추출 분리할 수 있어 보일러내 바이오매스 전소 및/또는 혼소를 위한 원료를 선택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uel production system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h-induced components and the like are effectively and easily extracted and separated from herbaceous or wood-based biomass through low-temperature reaction conditions of catalysts such as acids and alkali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ecure raw materials for biomass burning and / or mixing in the boiler.

또한, 발명에서 저온조건에서 산, 알칼리 처리함으로써 폐수처리공정이 단순화 및 비용 절감에 기여하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등의 탄소계 성분의 용출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cid and alkali treatment in the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invention contributes to simplifying and reducing the waste water treatment process, and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dissolution of carbon-based components such as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또한,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알칼리 및 알칼리토 금속, 할로겐족 원소 등의 회분유발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발전연료에 적용 시 연소시스템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클링커, 파울링 및 알칼리 부식 문제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ffectively removing ash-induced components such as alkali, alkaline earth metals and halogen group elements included in the biomass, it can effectively reduce the problems of clinker, fouling and alkali corrosion that may occur during operation of the combustion system when applied to power generation fuel. .

또한, 상기 액상성분(xylose가 대부분인 당)은 기존에 확보한 기술인 저등급 석탄에 함침 후 탄화시키는 하이브리드석탄 공정을 통하여 기존 발전소에 통상 3.5wt%이하의 바이오매스만을 투입 혼소 하는 중요한 원인인 별도의 바이오매스 미분화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기존 석탄 미분화설비를 이용하여도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liquid component (sugar mainly containing xylose) is an important cause of mixing and mixing only the biomass of 3.5 wt% or less into the existing power plant through a hybrid coal process in which carbon is impregnated after being impregnated with low-grade coal, which is a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xisting coal atomization equipment can be used without the biomass atomization device.

또한, 회분유발성분이 제거된 바이오매스의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을 이용하여 성형연료 및 반탄화연료를 생산하므로 유동층 및 미분화 연소로 및 가스화로에 연소 및 가스화 후 바이오매스에 기인하는 회분으로부터 예상되는 클링커 파울링 및 고온부식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duction of molded fuel and semi-carbonized fuel using cellulose, hemicellulose, and lignin of biomass from which ash-induced components have been removed, it is expected from the ash resulting from biomass after combustion and gasification in fluidized bed and micronized combustion furnace and gasifi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undamentally exclude the problems of clinker fouling and high temperature corrosion.

또한, 이온교환 수지 및/또는 멤브레인필터링 공정을 적용하여 바이오매스의 액상성분 중의 회분유발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처리수를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the ion exchange resin and / or membrane filtering process to effectively separate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liquid component of the biomas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cycled treated water.

또한, 연료성분내의 질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연소 중 발생하는 Fuel NOx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fuel NOx generated during combustion by removing the nitrogen component in the fuel component.

또한, 부반응물로 생성되는 금속이온을 이용한 이차전지, 슈퍼캐퍼시터를 연계한 ESS 시스템을 구성하여 에너지 효율 및 폐수 처리에 따른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n ESS system in which secondary batteries and supercapacitors using metal ions generated as side reactions are formed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due to wastewater treat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 전 후의 원료의 성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 전 후의 원료의 미네랄 성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알칼리액 처리 조건에서 pH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알칼리액 처리 조건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알칼리액 처리 조건에서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산성액 처리 조건에서 pH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산성액 처리 조건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산성액 처리 조건에서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 전 후의 바이오매스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가능한 탄소 화합물분의 잔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에서 생성된 금속이온 분리된 탈수의 전기전도도를 증류수와 비교한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 세척공정을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펌핑속도에 따른 컬럼에서의 용액의 체류시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 세척공정을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탈수 유닛에서 배출된 혼합 바이오 용액이 양이온교환수지 컬럼을 통과하여 나오는 시간에 따른 양이온 농도 결과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수 세척공정을 연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탈수 유닛에서 배출된 혼합 바이오 용액이 음이온교환수지 컬럼을 통과하여 나오는 시간에 따른 음이온 농도 결과이다.
1 is a flow chart showing a fuel production system for a boiler removes the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the raw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change in the mineral component of the raw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to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pH change in the alkaline liquid treatment conditions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alkaline liquid treatment conditions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to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change of residence time in the alkaline liquid treatment conditions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pH change in the acidic liquid treatment conditions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boilers removed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acidic liquid treatment conditions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to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change of residence time in the acid solution treatment conditions of the boiler fuel production system to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shows biomass SEM photographs before and after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a boiler from which ash-induced components are linked to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graph showing the remaining amount of biomass combustible carbon compound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fuel production system for a boiler removes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hotograph compa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metal ion separated dehydration generated in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to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tilled water.
14 is a residence time of a solution in a column according to a pumping speed of a fuel production system for a boiler in which ash-induced components are removed in connection with a dehydration wash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ation concentration result of the mixed bio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dehydration unit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dehydration wash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ation exchange resin column; to be.
16 is an anion concentration result of the mixed bio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dehydration unit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linked to the dehydration wash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rough the anion exchange resin column to b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in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s of terms in order to best describe their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료는 보일러용 연료에 사용되는 석탄은 이탄, 갈탄, 아역청탄, 역청탄 또는 무연탄 등 이 기술분야에서 인식되는 저등급 석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fue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y one or more selected among the low-grade coal recognized in the art, such as coal used in the fuel for the boiler is peat, lignite, sub-bituminous coal, bituminous coal or anthracite coal.

또한 상기 원료는 바이오매스일 수 있다. 상기 바이오 매스 원료로는 목질계와 초본계를 사용할 수 있다. 목질계로는 나무 블럭, 우드칩, 통나무, 나무 가지, 나무 부스러기, 낙엽, 목판, 톱밥, 리그닌, 자일란, 리그노셀룰로오스, 야자나무, PKS(palm kernel shell), 야자섬유질, EFB(empty fruit bunches), FFB(fresh fruit bunches), 야자잎, 야자제분찌꺼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초본계로는 옥수수대, 볏짚, 수수대, 사탕수수대, 곡물(쌀, 수수, 커피 등) 허스크, 사탕무잎, 바가스, 기장, 아티초크, 당밀, 아마, 대마, 양마, 면줄기, 담배줄기, 전분질계인 옥수수, 감자, 카사바, 밀, 보리, 라이밀, 기타 전분계 가공 잔재물, 과실류인 아보카도, 자트로파 및 이들의 가공 잔재물 등의 바이오 매스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w material may be biomass. As the biomass raw material, wood based and herbal based may be used. The wood system includes wood blocks, wood chips, logs, tree branches, wood chips, deciduous trees, woodcuts, sawdust, lignin, xylan, lignocellulose, palm trees, palm kernel shell (PKS), palm fibres, and empty fruit bunches (EFB). , FFB (fresh fruit bunches), palm leaves, palm mill residues, etc. can be used. Herbs include corn stalks, rice straw, sorghum, sugar cane, grains (rice, sorghum, coffee, etc.), husks, beets, vargas, millet, artichoke, molasses, flax, hemp, horses, cotton stalks, tobacco stems, Biomass such as starch corn, potato, cassava, wheat, barley, rye wheat, other starch processed residues, fruit avocados, jatropha and their processed residues may be used.

바이오 매스 원료로는 조류(algae)를 사용할 수 있다. 조류로는 녹조류(Green algae), 남조류(Cyanobacteria), 규조류(Diatom), 홍조류, Chlorella, Spirulina, Dunaliella, Porphyridium, Phaeodactylum 등이 사용될 수 있다.Algae may be used as a biomass raw material. Green algae, Cyanobacteria, Diatoms, Diatoms, Red algae, Chlorella, Spirulina, Dunaliella, Porphyridium, Phaeodactylum may be used as the alga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fuel production system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of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flow chart showing a fuel production system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of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공급된 원료의 회분유발성분이 최대로 분리되도록 저온의 촉매로 처리하는 반응기본체(100); 상기 반응기본체에 저온 촉매수를 공급하는 pH조정조(400); 상기 반응기본체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저장조(500); 및 상기 반응기본체에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주입장치(700);를 포함하는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일 수 있다.A reaction base 100 for treating with a low temperature catalyst so as to separate ash-induced components of the supplied raw materials to the maximum; PH adjusting tank 400 for supplying a low temperature catalyst water to the reaction base; Washing water storage tank 500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reaction base; It may be a fuel production system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of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SS including a; raw material injection device 700 for injecting the raw material to the reaction base.

상기 반응기 본체는 반응기보온재(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온재는 보온효과를 갖을 수 있다면 그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reactor body may include a reactor thermal insulation (101).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as long as it can have a heat insulating effect.

상기 반응기보온재는 유리솜, 고무발포, PE폼, 퍼라이트(Perlite), 우레탄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The reactor insulation may be any one or two or more of glass wool, rubber foam, PE foam, Perlite, urethane.

바람직하게는 0.05[g/cm3], 0.035[W/m·k]인 하이플렉스(Hiplex)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g/cm3], 0.035[W/m·k], 질량비 흡수율 3%이하, 5 내지 10 [ng/m2·s·Pa]인 하이플렉스(Hiplex)일 수 있다.Preferably, it may be a Hiplex of 0.05 [g / cm 3 ] and 0.035 [W / m · k]. More preferably, it may be a Hiplex having 0.05 [g / cm 3 ], 0.035 [W / m · k], a mass ratio absorption of 3% or less, and 5 to 10 [ng / m 2 · s · Pa].

상기 조건을 벗어난다면 보온효과를 얻을 수 없다.If it is out of the above conditions, a thermal insulation effect cannot be obtained.

상기 저온의 촉매는 독립적 또는 물과 혼합되어 공급될 수 있다. The low temperature catalyst can be supplied independently or in admixture with water.

상기 촉매는 가온촉매수유입구(1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catalyst may be supplied to the warm catalyst water inlet 110.

상기 세척수는 세척수유입구(1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는 상기 촉매에 혼합 공급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water inlet 120. The wash water may be mixed and supplied to the catalyst.

상기 반응기본체는 온도조절을 위하여 반응승온기(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승온기는 상기 반응기본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면 반응승온기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상기 반응승온기는 1 내지 5℃/min 의 승온속도를 가질 수 있다. The reaction base may include a reaction warmer 130 for temperature control. It is obvious that the shape of the reaction warmer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reaction warmer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body. The reaction warmer may have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1 to 5 ℃ / min.

상기 조건을 벗어난다면 승온효과를 얻을 수 없다.If the above conditions are exceeded, a temperature increase effect cannot be obtained.

추가적으로 벤트부(140)을 통하여 상기 반응기본체의 내압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벤트가 수행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vent may be performed to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condition of the reaction base through the vent 140.

상기 반응기본체의 압력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압기체발생기(150)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high-pressure gas generator 150 to maintain the pressure conditions of the reaction base.

상기 고압기체발생기를 통하여 발생된 고압기체는 탈수플레스부로 공급되기 위한 고압기체제1주입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응기본체에는 고압기체제2주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high pressure gas generated through the high pressure gas generator may have a high pressure gas first injection part for supplying to the dehydration place part, and a high pressure gas second injection part may be formed in the reaction base.

상기 고압기체 조건은 1 내지 5 m3/min * 1 내지 10Kg/cm2일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벗어나면 충분한 압력조건을 얻을 수 없다.The high pressure gas conditions may be 1 to 5 m 3 / min * 1 to 10 Kg / cm 2 . Outside of the above conditions, sufficient pressure conditions cannot be obtained.

상기 고압기체제2주입부로 공급되는 고압기체는 폭기를 위한 효과도 있다. 상기 고압기체는 공기, 산소, 질소, 헬륨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The high pressure gas supplied to the second high pressure gas injection unit also has an effect for aeration. The high pressure gas may be any one or two or more of air, oxygen, nitrogen, and helium.

상기 연료의 금속이온제거 반응, 탈수 및 세척공정이후 연료를 배출하기 위한 고체 연료배출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After the metal ion removal reaction, dehydration and washing process of the fuel may be discharged through a solid fuel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fuel.

상기 pH조정조는 상기 반응기본체에 공급하기 위한 촉매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pH조정조는 상기 촉매와 혼합을 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처리수공급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H조정조에 촉매를 공급하기 위한 촉매저장조(4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촉매를 상기 pH조정조에 공급할 수 있다. 촉매공급부(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료의 탈수 및/또는 세척수로부터 유기산을 형성하기 위한 유기산저장조(44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저장조는 상기 원료로부터 분리된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촉매와의 과반응 통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pH조정조는 내부 촉매 혼합특성을 위하여 교반기(4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반기는 상기 pH조정조의 용량이 100L일 때, 100 내지 500rpm으로 교반회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0rpm일 수 있다. 상기 pH조정조는 온도조절을 위하여 승온기(4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온기는 상기 반응기본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면 승온기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상기 반응승온기는 1 내지 5℃/min 의 승온속도를 가질 수 있다. The pH adjusting tank is a device for supplying a catalyst for supplying the reaction base. The pH adjusting tank may include a treatment water supply unit 210 for supplying water for mixing with the catalyst. A catalyst storage tank 430 may be formed to supply the catalyst to the pH adjusting tank, and the catalyst may be supplied to the pH adjusting tank. Catalyst supply unit 420 may be formed. An organic acid storage tank 440 for forming an organic acid from dehydration and / or wash water of the raw material may be further formed. The organic acid storage tank may be generated through overreaction with any one or two or more catalysts of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separated from the raw material. The pH adjusting tank may be formed with a stirrer 401 for the internal catalyst mixing characteristics. The stirrer may be rotated by stirring at 100 to 500rpm, when the capacity of the pH adjustment tank is 100L, preferably 350rpm. The pH adjustment tank may include a temperature increaser 403 for temperature control. If the temperature increaser can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body is obvious that the form of the temperature increaser is not limited. The reaction warmer may have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1 to 5 ℃ / min.

상기 조건을 벗어난다면 승온효과를 얻을 수 없다.If the above conditions are exceeded, a temperature increase effect cannot be obtained.

상기 pH조정조는 보온재(4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온재는 보온효과를 갖을 수 있다면 그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pH adjusting tank may include a heat insulating material (402).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as long as it can have a heat insulating effect.

상기 보온재는 유리솜, 고무발포, PE폼, 퍼라이트(Perlite), 우레탄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The insulation may be any one or two or more of glass wool, rubber foam, PE foam, Perlite, urethane.

바람직하게는 0.05[g/cm3], 0.035[W/m·k]인 하이플렉스(Hiplex)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g/cm3], 0.035[W/m·k], 질량비 흡수율 3%이하, 5 내지 10 [ng/m2·s·Pa]인 하이플렉스(Hiplex)일 수 있다.Preferably, it may be a Hiplex of 0.05 [g / cm 3 ] and 0.035 [W / m · k]. More preferably, it may be a Hiplex having 0.05 [g / cm 3 ], 0.035 [W / m · k], a mass ratio absorption of 3% or less, and 5 to 10 [ng / m 2 · s · Pa].

상기 조건을 벗어난다면 보온효과를 얻을 수 없다.If it is out of the above conditions, a thermal insulation effect cannot be obtained.

상기 pH조정조에 추가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처리수공급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Treatment water supply unit 410 for supplying additional water to the pH adjustment tank may be formed.

상기 촉매를 상기 반응기본체로 공급하기 위한 가온촉매수배출부(460)가 형성될 수 있다. A warm catalyst water discharge part 460 for supplying the catalyst to the reaction base may be formed.

상기 잉여 생성된 촉매수를 배출하기 위한 pH조정조드레인부(470)가 형성될 수 있다.PH adjusting tank drain portion 470 for discharging the excess catalyst water may be formed.

상기 세척수저장조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공급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저장조에 상기 반응기본체에서 세척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2차탈수공급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저장조에서 생성된 세척수를 상기 반응기본체에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배출부(5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저장조의 잉여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한 세척수드레인부(540)이 형성될 수 있다. A washing water supply unit 510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may be formed. A secondary dehydration supply unit 520 may be formed in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to supply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shing from the reaction body. A washing water discharge unit 530 may be formed to supply the washing water generated in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to the reaction body. A washing water drain unit 540 for discharging excess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may be formed.

상기 반응기본체, 상기 pH조정조, 상기 세척수저장조에는 액체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 측정게이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action body, the pH adjustment tank, the wash water storage tank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level gauge to check the liquid level.

상기 원료유입장치는 상기 바이오매스를 소정 크기의 원료로 형성하는 분쇄유닛; 상기 원료를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 저장된 상기 원료를 후단에 정량 공급하는 원료공급피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aw material inlet device is a grinding unit for forming the biomass into a raw material of a predetermined size; A hopper for storing the raw material; It may include; a raw material supply feeder for quantitatively supplying the raw material stored in the hopper to the rear end.

상기 바이오매스는 1세대 바이오매스, 2세대 바이오매스, 3세대 바이오매스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The biomass may be any one or two or more of a first generation biomass, a second generation biomass, and a third generation biomass.

바람직하게는 억새, EFB(Empty Fruit Bunches), 케나프, 옥수수대, 왕겨, 대나부 중 어느 하나 2 이상 일 수 있다.Preferably, it may be two or more of any one of pampas grass, EFB (Empty Fruit Bunches), kenaf, corn stalk, rice husk, wild boar.

상기 소정 크기는 500mm이하 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size may be 500 mm or less.

바람직하게는 10μm 내지 300mm이하 일 수 있다.Preferably it may be less than 10μm to 30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mm 내지 50mm이하 일 수 있다. More preferably, it may be less than 20mm to 50mm.

상기 입자 사이즈를 벗어날 경우, 분쇄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거나, 회분유발성분의 제거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If it is out of the particle size, the grinding cost is excessively consumed, or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ash-induced components may be lowered.

상기 분쇄유닛은 파쇄(crushing) 및/또는 분쇄(grinding)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쇄유닛은 압축, 충격, 마찰, 전단, 굽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리 특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절단 등 바이오매스의 크기를 줄이는 동시에 표면적을 넓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그 방법에 제한이 되지 않는다.The grinding unit may perform crushing and / or grinding. The grinding unit may use any one or more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mpression, impact, friction, shear and bending, and the method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achieve the purpose of reducing the size of the biomass such as cutting and widening the surface area.

상기 분쇄유닛은 죠크러셔(Jaw crusher), 자이레토리크러셔(Gyratory crusher), 롤크러셔(Roll crusher), 에지러너(Edge runner), 햄머크러셔(Hammer crusher), 볼밀(Ball mill), 제트밀(Jet mill), 디스크크러셔(Disk crusher)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The crushing unit is a jaw crusher, a gyre crusher, a roll crusher, an edge runner, a hammer crusher, a ball mill, a jet mill mill, or a disk crusher.

상기 원료공급피더는 후단에 정량적으로 상기 원료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류피더, 락호퍼가 있다.The raw material supply feed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device capable of supplying the raw material quantitatively at the rear end. Preferably there is a screw feeder, a lock hopper.

상기 회분유발성분이란 연소반응에 사용되는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무기물 성분 중 반응 후단의 반응기 벽면, 열교환기, 후단 배가스 처리 설비의 표면에 물리, 화학적으로 부착되어 파울링, 슬래깅, 부식, 크링커 생성등을 유발하는 회분유발성분을 의미한다.The ash-induced components are physically and chemical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reactor wall, the heat exchanger, and the exhaust gas treatment equipment at the rear stage of the reaction among the inorganic components included in the biomass used in the combustion reaction to generate fouling, slagging, corrosion, and clinker. It means a ash-inducing ingredient causing the back.

상기 회분유발성분은 알칼리, 알칼리토 금속, 할로겐족 원소일 수 있다.The ash-inducing component may be an alkali, an alkaline earth metal, or a halogen group element.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칼륨, 염소일 수 있다. Preferably sodium, potassium, chlorine.

상기 소정 온도의 열수처리를 위한 주입수의 온도는 30℃ 내지 50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30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9℃일 수 있다. 상기 소정 온도의 열수처리를 위한 저온촉매수의 온도는 40℃ 내지 60℃일 수 있다. The temperature of the injection water for the hydrothermal treatment of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may be 30 ℃ to 500 ℃. Preferably it may be 120 ° C to 300 ° C and more preferably 30 ° C to 99 ° C. The temperature of the low temperature catalyst water for the hydrothermal treatment of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may be 40 ℃ to 60 ℃.

상기 온도조건을 벗어나면 상기 원료중에 회분유발성분이 충분히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온도조건은 원료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If the temperature is out of the condition, the ash-inducing component is not sufficiently separated in the raw material. The temperature conditions may vary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

상기 공급원료가 상기 반응기본체내에 체류하는 시간은 10분 내지 10시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류하는 시간은 20분 내지 2시간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체류하는 시간은 30분 내지 1시간일 수 있다. 상기 체류하는 시간을 벗어나면 상기 원료중에 회분유발성분이 충분히 분리되지 않는다. The residence time of the feedstock in the reaction body may be 10 minutes to 10 hours. Preferably the residence time may be 20 minutes to 2 hours, more preferably the residence time may be 30 minutes to 1 hour. If the residence time is exceeded, the ash-inducing component is not sufficiently separated in the raw material.

상기 체류하는 시간조건은 원료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The retention time cond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

상기 연료처리장치는 상기 소정 온도의 열수처리를 통하여 상기 연료는 탄화 또는 반탄화 될 수 있다.The fuel treatment device may be carbonized or semi-carbonized through the hydrothermal treatment of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 연료가 탄화 또는 반탄화되면서 단위 연료당 발열량은 상승할 수 있다. As the fuel is carbonized or semi-carbonized, the calorific value per unit fuel may increase.

상기 탄화 또는 반탄화 연료의 발열량은 저위발열량 기준 3,500kcal/kg 내지 4,500kcal/kg일 수 있다. The calorific value of the carbonized or semi-carbonized fuel may be 3,500 kcal / kg to 4,500 kcal / kg based on the low calorific value.

상기 온도 및 시간조건을 벗어나면 제거성분의 효율이 낮아지거나 공정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Outside the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the efficiency of the removal component is lowered or the process cost is high.

상기 단위공급원료 당 투입되는 저온촉매수양은 바이오매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BTW(Biomass to Water, kg/kg)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5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 내지 0.18일 수 있다(억새 기준, 우드펠릿, 옥수수대 1kg/6kg).The amount of cryocatalyst introduced per unit feedstock depends on the type of biomass and may be defined as BTW (Biomass to Water, kg / kg). It may be preferably from 0.02 to 0.5, more preferably from 0.11 to 0.18 (pampung, wood pellets, corn cobs 1 kg / 6 kg).

상기 BTW비를 벗어나게 되면 유발성분의 분리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When it is out of the BTW ratio,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trigger component is lowered.

상기 반응기본체의 전단 또는 후단에 분리 효율 조절을 위한 물, 산성용액, 염기성용액을 주입할 수 있다. Water, acidic solution and basic solution for controlling separation efficiency may be injected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reaction base.

상기 물은 온수, 열수, 증기일 수 있다.The water may be hot water, hot water, steam.

상기 산성용액은 아세트산, 질산, 염산, 황산, 불산, 개미산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The acid solution may be any one or two or more of acetic acid, nitric acid,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hydrofluoric acid, formic acid.

상기 혼소 조건은 기존 화석연료 대비 1wt% 내지 50wt%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wt% 내지 40wt%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wt% 내지 30wt%일 수 있다.The mixing condition may be 1wt% to 50wt% compared to the existing fossil fuel. Preferably it may be 3wt% to 40wt%, more preferably 5wt% to 30wt%.

상기 반응기본체에서 배출되는 액상성분에 상기 회분유발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The ash-induc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in the liquid component discharged from the reaction base.

상기 액상성분은 소량의 유기화합물 및 회분유발성분을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유기화합물은 탄소, 수소, 질소, 산소, 황 성분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상성분은 헤미셀룰로오스, 유기산, 푸르푸랄, 5-hydroxymethylfufural (5-HMF) 및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quid component may b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organic compounds and ash-induced components. The organic compound may include carbon, hydrogen, nitrogen, oxygen, and sulfur as main components. Preferably, the liquid component may include hemicellulose, organic acid, furfural, 5-hydroxymethylfufural (5-HMF) and inorganic substances.

상기 반응기본체에서 배출되는 고상성분은 상기 회분유발성분이 분리된 가연성 성분을 포함될 수 있다.The solid component discharged from the reaction base may include a combustible component from which the ash-inducing component is separated.

상기 가연성 성분은 유기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가연성 성분은 탄소, 수소, 질소, 산소, 황 성분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성분은 상기 단위 질량당 원료의 탄소, 수소, 질소, 산소, 황에서 탄소 분율은 증가하고, 수소, 질소, 산소, 황 성분은 감소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combustible component may be an organic compound. The flammable component may be composed of carbon, hydrogen, nitrogen, oxygen, and sulfur as main components. The combustible compon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fraction in the carbon, hydrogen, nitrogen, oxygen, sulfur of the raw material per unit mass increases, and the hydrogen, nitrogen, oxygen, sulfur components decrease.

상기 액상성분의 pH는 6이하일 수 있다. PH of the liquid component may be 6 or less.

더욱 바람직하게는 pH는 2.5에서 4이하일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pH may be 2.5 to 4 or less.

상기 액상성분의 pH 최적 조건은 3일 수 있다. The pH optimum condition of the liquid component may be three.

상기 액상성분의 pH는 상기 원료내의 유기산에 의해 pH가 낮아지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유기산으로는 acetic acid, formic acid, propanoic acid, 4-hydroxy-butanoic acid, 2-butenoic acid 등이 있다. The pH of the liquid component has a technical feature that the pH is lowered by the organic acid in the raw material. Examples of the organic acid include acetic acid, formic acid, propanoic acid, 4-hydroxy-butanoic acid, and 2-butenoic acid.

추가적으로 회분유발성분 분리유닛의 반응성 향상을 위해 산액인 acetic acid(C2H4O2), formic acid(HCOOH), propanoic acid(CH3CH2COOH), 4-hydroxy-butanoic acid, 2-butenoic acid, 황산(H2SO4), 염산(HCl), 질산(HNO3), 인산(H3PO4), 과초산(C2H4O3), 초산(CH3COOH), 옥살산(C2H2O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In addition, acetic acid (C 2 H 4 O 2 ), formic acid (HCOOH), propanoic acid (CH 3 CH 2 COOH), 4-hydroxy-butanoic acid, 2-butenoic Acid, sulfuric acid (H2SO4), hydrochloric acid (HCl), nitric acid (HNO3), phosphoric acid (H3PO4), peracetic acid (C2H4O3), acetic acid (CH3COOH), oxalic acid (C2H2O4) may be further added.

상기 산액의 첨가량은 전체 투입 열수량 대비 10wt% 이상 일 수 있다.The addition amount of the acid solution may be 10wt% or more relative to the total amount of hot water input.

상기 산액의 첨가에 의한 pH는 바람직하게는 4이하 일 수 있다.The pH by addition of the acid solution may preferably be 4 or less.

더욱 바람직하게는 pH는 2.5에서 4이하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pH may be 2.5 to 4 or less.

상기 액상성분 중 유기화합물을 분리한 pH가 낮은 수용액은 상기 반응기본체로 재순환 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 low pH aqueous solution from which the organic compound is separated from the liquid component may include recycling to the reaction base.

상기 액상성분 중 유기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해 원심분리, 응집, 흡착, 여과막, 이온교환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One or more of centrifugal separation, agglomeration, adsorption, filtration membrane, and ion exchange resin may be applied to remove the organic compound in the liquid component.

상기 반응기본체에서 반응후 배출되는 원료의 고상성분은 유기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가연성 성분은 탄소, 수소, 질소, 산소, 황 성분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연성 성분은 상기 단위 질량당 원료의 탄소, 수소, 질소, 산소, 황에서 탄소 분율은 증가하고, 수소, 질소, 산소, 황 성분은 감소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solid phase component of the raw material discharged after the reaction from the reaction base may be an organic compound. The flammable component may be composed of carbon, hydrogen, nitrogen, oxygen, and sulfur as main components. The combustible compon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fraction in the carbon, hydrogen, nitrogen, oxygen, sulfur of the raw material per unit mass increases, and the hydrogen, nitrogen, oxygen, sulfur components decrease.

상기 반응기본체에서 탈수 및/또는 세척을 통해 배출되는 탈수 및/또는 세척수성분은 소량의 유기화합물 및 무기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유기화합물은 탄소, 수소, 질소, 산소, 황 성분을 주요 구성성분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화합물은 리그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기물은 Al, Si, P, Ca, Ti, Mn, F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hydration and / or wash water component discharged through dehydration and / or washing in the reaction base may b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an organic compound and an inorganic substance. The organic compound may include carbon, hydrogen, nitrogen, oxygen, and sulfur as main components. Preferably the organic compound may be lignin. Preferably, the inorganic material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Al, Si, P, Ca, Ti, Mn, Fe.

상기 연료처리장치는 상기 고상성분을 적용하여 성형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연료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fuel process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olded fuel unit for manufacturing a molded fuel by applying the solid phase component.

상기 액상성분의 이온성분 분리를 위해 멤브레인필터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 membrane filter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to separate the ionic component of the liquid component.

상기 멤브레인필터유닛은 마이크로필터, 울트라필터, 나노필터, 역삼투막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필터유닛의 전단 또는 후단에 pH, 농도조절을 위한 물, 산성용액, 염기성용액을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필터유닛 전단 또는 후단에 수분증발, 원심분리, 석출, 침전, 응집, 흡착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액상성분내 고체성분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액상성분내 헤미셀룰로오스는 정제분리하여 식이섬유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membrane filter unit may be any one or two or more of a micro filter, an ultra filter, a nano filter, and a reverse osmosis membran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ject water, acidic solution, basic solution for pH, concentration control to the front or rear of the membrane filter unit. In addition, the solid component in the liquid component may be separated by any one or more methods of water evaporation, centrifugation, precipitation, precipitation, aggregation, and adsorption at the front or rear end of the membrane filter unit. Hemicellulose in the liquid componen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dietary fiber by purification.

상기 반응기본체는 탈수 및/또는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The reaction base may be dewatered and / or washed.

상기 보일러내 바이오매스 전소 및/또는 혼소를 위한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에서 생산된 연료일 수 있다.The fuel may be a fuel produced in a fuel production system in which ash-induced components for biomass burning and / or mixing in the boiler are removed.

또한, 상기 바이오매스는 리그노셀룰로오스 기반의 초본,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의미하며 상기 바이오매스에 속하는 물질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1세대 또는 3세대 바이오매스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리그노셀룰로오스의 주요 성분인 셀룰로오스는 글루코오스(glucose)가 β-1,4 결합으로 연결된 안정된 구조의 다당류이다. 또 다른 주요 성분인 5탄당인 자일로스(xylose)의 중합체로 구성되고 그 외에도 5탄당인 아라비노스(arabinose), 6탄당인 만노스(mannose), 갈락토스(galactose), 글루코스, 람노스(rhamnose) 등의 중합체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biomass means a lignocellulosic based herbal, woody biomass, and if the material belonging to the biomass is not limited. It is obvious that the first generation or third generation biomass can also be applied. Cellulose, the main component of lignocellulosic cellulose, is a polysaccharide with a stable structure in which glucose is connected by β-1,4 bonds. It is composed of polymers of xylose, another pentose, and other major components, and arabose, pentose, mannose, galactose, glucose, and rhamnose. It consists of a polymer of.

글루칸(glucan)은 포도당으로 구성되는 다당의 총칭으로 D-글루코오스 끼리의 결합양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부제탄소원자의 배치에 의해 크게 α-글루칸과 β-글루칸으로 나누어진다. α-글루칸에는 아밀로스(α-1,4결합), 아밀로펙틴(α-1,4와 α-1,6결합), 글리코겐(α-1,4와 α-1,6결합), 세균의 덱스트란(α-1,6결합) 등이 포함된다. β-글루칸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셀룰로오스(β-1,4결합), 갈조류의 라미나란(β-1,3결합), 지의류의 리케난(β-1,3과 β-1,4 결합) 등이 있다.Glucan (glucan) is a generic term for polysaccharide composed of glucose, and there are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binding mode of D-glucose. The glucan is largely divided into α-glucan and β-glucan by the arrangement of sub-carbon atoms. α-glucan contains amylose (α-1,4 bond), amylopectin (α-1,4 and α-1,6 bond), glycogen (α-1,4 and α-1,6 bond), bacterial dextran (α-1,6 bond) and the like. Representatives of β-glucan include cellulose (β-1,4 bond), laminaran of brown algae (β-1,3 bond), lichenan (β-1,3 and β-1,4 bond) of lichens, etc. have.

자일란이 포함된 액상 성분에는 자일란(xylan). 글루쿠로노자일란(glucuronoxylan), 아라비노자일란(arabinoxylan), 글루코만난(glucomannan), 자일로글루칸(xyloglucan)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성분으로 자일란이 포함된 액상 성분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투입되는 바이오매스의 성분에 따라 다양한 성분들이 분리될 수 있다.Liquid components containing xylan include xylan. Glucuronoxylan, arabinoxylan, glucomannan, xyloglucan, and the like. The liquid component including xyla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nd various components may be separated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biomass to be added.

당류는 상기 기재된 화합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2세대 바이오매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생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탄소수에 따라 2탄당, 3탄당, 4탄당, 5탄당, 6탄당으로 분류되며, 2탄당으로 글리코알데히드(Glycoaldehyde), 3탄당으로 글리세라알데히드(Glyceraldehyde), 디하드로시아세톤(Dihydroxyacetone), 4탄당으로 에리드로우즈(erythrose), 에리드루로우즈(erythrulose), 5탄당으로 리보우즈(ribose), 아라비노우즈(arabinose), 자일로스(xylose), 리부로우즈(ribulose), 자이루로우즈(xylulose), 6탄당으로 포도당, 글리코우즈(glucose), 과당, 프락토우즈(fructose), 갈락토우즈(galactose), 만노우즈(mannose)가 있을 수 있다. Sugars are not limited to the compounds described above, and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second generation biomass. Therefore, depending on the carbon number, it is classified into saccharides, saccharides, pentoses, pentoses, pentoses, and saccharides. , Erythrose, erythrulose as tetrasaccharide, ribose, arabinose, xylose, ribulose and zirurose as ethanol (xylulose), hexose may be glucose, glucose, fructose, fructose, galactose, mannose.

단당류 2개가 결합한 것 이당류로는 젖당, 유당, 락토우즈, 엿당, 맥아당, 말토우즈, 설탕, 슈크로즈, 트레할로우즈(trehalose), 멜리보우즈(melibiose), 셀로비오즈가 있을 수 있다.Combined Two Monosaccharides Disaccharides can include lactose, lactose, lactose, maltose, maltose, maltose, sugar, sucrose, trehalose, melibiose, and cellobiose.

2~10분자의 당이 결합된 당인 소당류로는 3당류로 라피노우즈, 멜레지토우즈(melezitose), 말토리오즈(maltoriose)가, 4당류로는 스타치오즈, 스트로도우즈(schrodose)가 있으며 올리고당으로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이 있을 수 있다.Small sugars, which are sugars of 2 to 10 molecules combined, are trisaccharides as raffinose, melezitose and maltoriose, and tetrasaccharides as starch and strodose. And oligosaccharides may include galactooligosaccharides, isomaltooligosaccharides and fructooligosaccharides.

다당류로는 단순다당류로 5탄당들이 결합된 펜토산(pentosan)으로 자이란(xylan), 아라반(araban) 등이 있을 수 있다.Polysaccharides are simple polysaccharides, pentosan, in which pentasan is combined, and may include xylan and araban.

6탄당들이 축합된 헥소산(hesoxan)으로는 전분, 녹말(starch), 글루코오스의 중합체로 아밀로우즈, 호정(dextrin), 글리코겐(glycogen), 섬유소(cellulose), 프록탄(fructan), 갈락탄(galactan), 만난(mannan) 등이 있을 수 있다.Hexanes condensed with hexose include starch, starch and glucose polymers of amylose, dextrin, glycogen, cellulose, fructan and galactan. There may be galactan, mannan, etc.

복합다당류로는 한천(agar), 알긴산(alginic acid), 가라지난(carrageenan), 키틴(chitin),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펙틴(pectin) 등이 있을 수 있다. Complex polysaccharides may include agar, alginic acid, carrageenan, chitin, hemicellulose, pectin, and the like.

상기 반응에 참여하는 산으로는 황산(H2SO4), 염산(HCl), 질산(HNO3), 인산(H3PO4), 과초산(C2H4O3), 초산(CH3COOH), 옥살산(C2H2O4)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산은 기재된 산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헤미셀룰로오스와 셀룰로오스의 분해하는 산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 상기 반응에 참여하는 염기로는 sod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우레아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염기는 기재된 염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반응특성을 증진시키는 염기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Acids participating in the reaction include sulfuric acid (H 2 SO 4 ), hydrochloric acid (HCl), nitric acid (HNO 3 ), phosphoric acid (H 3 PO 4 ), peracetic acid (C 2 H 4 O 3 ), acetic acid (CH 3 COOH), oxalic acid (C 2 H 2 O 4 ), and the like. The acid is not limited to the acid described, and any base that participates in the reaction may be sodium hydroxide, calcium hydroxide, urea, etc., as long as any acid decomposes hemicellulose and cellulose. The base is not limited to the base described, and any base may be used as long as it enhances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상기 반응에 참여하는 이온성 액체로는 이미다졸리움계 화합물로 1-에틸아크릴레이트-3-메틸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1-ethylacrylate-3- methylimidazolium chloride),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1-buthyl- 3-methylimidazolium chloride),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 phosphate),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1-butyl-3-methylimidazol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 1-벤질-3-메틸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1-benzyl-3-methylimidazoliumchloride), 1,3-디메틸이미다졸리움메틸 술페이트(1,3-dimethylimidazoliummethyl sulfate),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에틸메틸이미다졸리엄 클로라이드([EMIM]Cl), 에틸메틸이미다졸리엄 브로민([EMIM]Br), 에틸메틸이미다졸리엄 요오드([EMIM]I), 1-에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1-에틸 이미다졸리움 니트레이트, 1-에틸 이미다졸리움 브로마이드, 1-에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1-에틸-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1,2,3-트리메틸 이미다졸리움 메틸 설페이트, 1-메틸 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1-부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1-부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테트라클로로알루미네이트, 1-에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테트라클로로알루미네이트, 1-에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하이드로겐설페이트, 1-부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하이드로겐설페이트, 메틸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1-에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1-부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아세테이트, Tris-2(하이드록시 에틸) 메틸암모늄 메틸설페이트, 1-에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에틸설페이트, 1-에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메탄설포네이트, 메틸-트리-n-부틸암모늄 메틸설페이트, 1-부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1-에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1-에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티오시아네이트, 1-부틸-3-메틸 이미다졸리움 티오시아네이트,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나이트레이트,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아세테이트,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로로보레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나이트레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아세테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로로보레이트, 1-알리-3-메틸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 1-알리-3-메틸이미다졸륨나이트레이트, 1-알리-3-메틸이미다졸륨아세테이트, 1-알리-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로로보레이트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는 기재된 이온성 액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반응특성을 증진시키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The ionic liquid participating in the reaction is an imidazolium compound, 1-ethylacrylate-3-methylimidazolium chloride, 1-butyl-3-methylimidazolium 1-but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1-but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1-but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Phosphate (1-butyl-3-methylimidazolium hexafluoro phosphate), 1-butyl-3-methylimidazol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1-ethyl-3-methylimidazolium 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 1-benz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1,3-dimethylimidazolium methyl sulfate sulfate), 1-but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1- Yl-3-methylimidazolium acetate and the like, and ethylmethylimidazolium chloride ([EMIM] Cl), ethylmethylimidazolium bromine ([EMIM] Br), ethylmethylimidazolium Iodine ([EMIM] I), 1-ethyl-3-methyl imidazolium, 1-ethyl imidazolium nitrate, 1-ethyl imidazolium bromide, 1-ethyl-3-methyl imidazolium chloride, 1- Ethyl-imidazolium chloride, 1,2,3-trimethyl imidazolium methyl sulfate, 1-methyl imidazolium chloride, 1-butyl-3-methyl imidazolium, 1-butyl-3-methyl imidazolium tetra Chloroaluminate, 1-ethyl-3-methyl imidazolium tetrachloroaluminate, 1-ethyl-3-methyl imidazolium hydrogensulfate, 1-butyl-3-methyl imidazolium hydrogensulfate, methylimida Zolium chloride, 1-ethyl-3-methyl imidazolium acetate, 1-butyl-3-meth Tyl imidazolium acetate, Tris-2 (hydroxy ethyl) methylammonium methyl sulfate, 1-ethyl-3-methyl imidazolium ethyl sulfate, 1-ethyl-3-methyl imidazolium methanesulfonate, methyl-tri- n-butylammonium methylsulfate, 1-butyl-3-methyl imidazolium chloride, 1-ethyl-3-methyl imidazolium chloride, 1-ethyl-3-methyl imidazolium thiocyanate, 1-butyl-3 -Methyl imidazolium thiocyanate, 1-but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1-butyl-3-methylimidazolium nitrate, 1-butyl-3-methylimidazolium acetate, 1-butyl- 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1-ethyl-3-methylimidazolium chloride, 1-ethyl-3-methylimidazolium nitrate, 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 1- Ethyl-3-methylimidazoliumtetrafluoroborate, 1-ali-3-methylimidazolium chloride, 1-ali-3-methyl Imidazolium nitrate, 1-methyl-3-Ali are imidazolium acetate, 1-methyl-3-Ali may be a borate as imidazolium tetra flow. The ionic liquid is not limited to the ionic liquid described, and any ionic liquid can be used as long as it enhances the reaction characteristics.

상기 반응기본체에 투입되는 효소, 산, 알칼리, 이온성 액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투입되는 양은 반응조건에 따라 투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amount of one or two or more of enzymes, acids, alkalis and ionic liquids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base may not be added depending on the reaction conditions.

또한, 상기 반응기본체을 통해 상기 고상성분이 고온고압 반응에 참여하면서 푸르푸랄(furfural)등의 화합물이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mpound such as furfural may be produced while the solid phase participates in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action through the reaction base.

상기 반응기본체의 압력조건은 1~20at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0atm일 수 있다. 상기 반응기본체는 원료에 따라 압력조건이 변화할 수 있다. The pressure condition of the reaction base may be 1 ~ 20atm, preferably 1 ~ 10atm. The reaction base may be changed in pressure conditions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

상기 압력조건을 벗어나면 적절한 원료내 금속이온이 분리될 수 없다.Outside the above pressure conditions, metal ions in the appropriate raw materials cannot be separated.

이러한 회분유발성분이 제거된 연료는 유동층, 화격자, 미분화 보일러 및 가스화기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연소 및 가스화 과정 중 연료중 금속원소를 포함하는 무기질 성분에 기인하는 클링커 파울링 등의 막힘현상 및 알칼리계 금속에 기인하는 부식현상을 근원적을 배제할 수 있다. These ash-induced fuels can be used in fluidized beds, grates, micronized boilers and gasifiers, and clogging and alkali-based fouling, such as clinker fouling due to inorganic components, including metal elements in the fuel during combustion and gasification. Corrosion caused by metals can be ruled out.

또한, 상기 반응기본체에서 배출되는 저온의 알칼리 및/또는 산성 탈수의 금속이온성분을 분리하는 금속이온분리장치(6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600 for separating the low-temperature alkali and / or acidic dehydration metal ion component discharged from the reaction base; may include.

또한, 상기 반응기본체에서의 저온 조건은 물의 증발잠열 손실을 배제하기 위한 100℃ 미만일 수 있다. 저온 조건은 물의 증발잠열 손실을 배제하기 위한 40℃ 내지 80℃ 일 수 있다. 저온조건은 60℃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reaction base may be less than 100 ℃ to exclude the latent heat loss of wat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may be 40 ° C. to 80 ° C. to exclude latent heat loss of wat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may be 60 ℃.

또한, 상기 반응기본체에 공급되는 산성액은 별도의 바이오매스의 소킹(Soaking)처리를 통하여 생성된 유기산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id solution supplied to the reaction base may use an organic acid generated through the soaking treatment of a separate biomass.

또한,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는 이온 교환 수지, 이온교환막 및/또는 막을 이용하여 이온성분을 분리할 수 있고, 탈수에 포함된 이온을 제거 분리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이온교환 수지는 Ba2+, Pb2+, Sr2+, Ca2+, Ni2+, Cd2+, Cu2+, Zn2+, Tl+, Ag+, Cs+, Rb+, K+, NH4+, Na+, Li+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양이온교환수지 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al ion separation apparatu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separate the ionic components using an ion exchange resin, an ion exchange membrane, and / or a membrane, and can remove and separate the ions contained in the dehydration. For example, the ion exchange resin may include Ba 2+ , Pb 2+ , Sr 2+ , Ca 2+ , Ni 2+ , Cd 2+ , Cu 2+ , Zn 2+ , Tl + , Ag + , Cs + , Rb + It may be a cation exchange resin capable of selectively separating any one or two or more cations of K + , NH 4 + , Na + , Li + .

또한 상기 이온교환 수지는 Citrate, SO4 2-, Oxalate, I-, NO3 -, CrO4 2-, Br-, SCN-, Cl-, Formate, Acetate, F-, OH-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음이온교환수지 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ion exchange resin is Citrate, SO 4 2-, Oxalate, I -, NO 3 -, CrO 4 2-, Br -, SCN -, Cl -, Formate, Acetate, F -, OH - or any one of 2 It may be an anion exchange resin that can selectively separate the above anions.

여기서, 상기 음이온교환수지와 양이온교환수지는 넓은 pH 영역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강산성 양이온교환수지 또는 강염기성 음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use a strong acid cation exchange resin or a strong base anion exchange resin so that the anion exchange resin and the cation exchange resin can be used in a wide pH range.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는 제1양이온교환모듈(601), 제1음이온교환모듈(602), 제2양이온교환모듈(603), 제2음이온교환모듈(604)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모듈은 양이온 및 음이온교환모듈을 병렬로 복수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모듈은 부분적 또는 전체 모두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이온교환모듈에 탈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may include a first cation exchange module 601, a first anion exchange module 602, a second cation exchange module 603, and a second anion exchange module 604. The ion exchange module may form a plurality of cation and anion exchange module in parallel. The ion exchange module can be operated in part or in whole. A pump for supplying dehydration to the ion exchange module may be formed.

상기 이온교환모듈의 양이온 및 음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탈수는 상기 pH조정조로 공급될 수 있다. 양이온 및 음이온교환수지에서 분리된 이온액은 음이온수저장조(620) 및 양이온수저장조(630)로 공급될 수 있다. Dehydration passing through the cation and anion exchange resin of the ion exchange module may be supplied to the pH adjustment tank. The ionic liquid separated from the cation and anion exchange resin may be supplied to the anion water storage tank 620 and the cation water storage tank 630.

상기 반응기본체에서 배출되는 탈수가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에 공급되지 전에 저장될 수 있는 탈수저장조(610)이 형성될 수 있다. A dehydration storage tank 610 may be formed that may be stored before the dehydration discharged from the reaction body is supplied to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금속이온분리 실험)(Metal Ion Separation Experiment)

탈수 중의 금속이온 분리 실험을 위하여 컬럼(지름 5cm, 길이 24cm, 체적 471cm3)의 아래에 수지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글라스 울을 넣은 뒤, 그 위에 대상으로 하는 이온교환수지 일정량 (양이온교환수지 402g, 음이온교환수지 346g)을 채운 뒤 그 위에 다시 글라스 울로 채운다. For the experiment of separating metal ions in dehydration, glass wool is placed under a column (diameter 5 cm, length 24 cm, volume 471 cm 3) to prevent resin leakage,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ion exchange resin (cation exchange resin 402 g, 346g) of anion exchange resin), and then filled with glass wool again.

모사용액을 펌프로 50rpm, 30rpm, 10rpm의 속도로 컬럼에 보내주고, 컬럼을 통과하여 나오는 용액을 샘플링 하였고 일정 시간 뒤에 샘플링 된 용액을 일정 량 취하여 분석을 진행함으로서 각 이온의 농도를 측정하였다.The mother solution was pumped to a column at a rate of 50rpm, 30rpm, 10rpm, the solution was passed through the column, and the solution was sampled. After a certain time, a certain amount of the sampled solution was taken to analyze the concentration of each ion.

펌핑속도에 따른 컬럼에서의 용액의 체류시간은 그림 14와 같다.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에서 배출된 탈수액의 금속이온농도를 ICP로 분석하였다.The residence time of the solution in the column according to the pumping speed is shown in Figure 14. The metal ion concentration of the dehydration liquid discharged from the metal ion separator was analyzed by ICP.

탈수 유닛에서 배출된 혼합 바이오 용액이 양이온교환수지 컬럼을 통과하여 나오는 시간에 따른 K+, Na+, Mg2+ 양이온의 농도 변화는 도 15에 나타내었다. 탈수 유닛에서 배출된 혼합 바이오 용액이 양이온교환수지 컬럼을 통과하여 나오는 시간에 따른 K+, Na+, Mg2+ 양이온의 농도 변화를 나타내며, K+이온의 경우, 초기 457.092ppm의 농도에서 3분 뒤 6.474ppm으로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9분 뒤 6.833ppm을 보이고 서서히 감소하여 55분에서 5.809ppm의 값을 보였다. Mg2+이온의 경우, 초기 57.114ppm의 농도에서 3분 뒤 1.636ppm으로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9분 뒤 0.454ppm을 보이고 서서히 감소하여 55분에서 0.079ppm 값을 보였다. Na+이온의 경우, 초기 32.687ppm의 농도에서 3분 뒤 180.224ppm으로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9분 뒤 139.157ppm을 보이고, 22분에 75.739ppm을 보인 후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다. K+, Mg2+ 이온은 양이온교환수지 컬럼 통과 3min 후 대부분의 이온이 제거됨을 알 수 있다.The concentration change of K +, Na +, Mg 2 + cations with time when the mixed bio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dehydration unit is passed through the cation exchange resin column is shown in FIG. 15. The mixed bio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dehydration unit shows the change in concentration of K +, Na + and Mg2 + cations over time passing through the cation exchange resin column, and for K + ions, the concentration is 6.474 ppm after 3 minutes at the initial 457.092 ppm concentration. Was decreased sharply, and after 9 minutes, it was 6.833ppm and gradually decreased, and it was 5.809ppm at 55 minutes. In the case of Mg2 + ion, the concentration rapidly decreased to 1.636ppm after 3 minutes at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57.114ppm, 0.454ppm after 9 minutes, and gradually decreased to 0.079ppm at 55min. In the case of Na + ions, the concentration rapidly increased to 180.224ppm after 3 minutes at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32.687ppm, 139.157ppm after 9 minutes, and showed a constant value after 75.739ppm at 22 minutes. K + and Mg 2 + ions can be seen that most of the ions are removed after 3 minutes through the cation exchange resin column.

펌핑속도에 따른 컬럼에서의 용액 체류시간을 고려한 음이온의 시간에 따른 분리결과는 그림 16과 같다.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에서 배출된 탈수액의 금속이온농도를 ICP로 분석하였다.The separ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time of anion considering the solution residence time in the column according to the pumping speed is shown in Figure 16. The metal ion concentration of the dehydration liquid discharged from the metal ion separator was analyzed by ICP.

Cl-이온의 경우, 초기 1051.60ppm의 농도에서 3분 뒤 183.18ppm으로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9분 뒤 169.07ppm을 보이고, 22분 뒤 147.85ppm으로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으며 Cl- 음이온은 음이온교환수지 컬럼 통과 22min 후 대부분의 이온이 제거됨을 알 수 있다. Cl-이온의 경우, 초기 0 mg/g에서 3분 뒤 1.26 mg/g으로 흡착량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9분 뒤부터 1.28 mg/g을 보이고, 22분 뒤 1.31 mg/g으로 거의 일정한 값을 보여 음이온교환수지의 1시간동안 Cl-이온의 흡착량은 약 5.0 mg/g의 값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In the case of Cl-ion, the concentration rapidly decreased to 183.18ppm after 3 minutes at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1051.60ppm, 169.07ppm after 9 minutes, and almost constant value of 147.85ppm after 22 minutes. It can be seen that most of the ions are removed after 22 min through the resin column. In the case of Cl-ion, the adsorption amount increased rapidly from the initial 0 mg / g to 1.26 mg / g after 3 minutes, 1.28 mg / g after 9 minutes, and almost constant value of 1.31 mg / g after 22 minutes. It was found that the adsorption amount of Cl-ion for about 1 hour in the anion exchange resin showed a value of about 5.0 mg / g.

한편,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이온수는 회분유발성분을 포함한 각종 입자상 물질이 함유될 수 있고, 이러한 물질들은 양이온교환수지 또는 음이온교환수지의 이온교환능력을 저하시키고, 게다가 이온교환수지 사이의 공극을 폐쇄시킨다. 또 나노여과막 또는 역삼투막을 사용하는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한 입자상 물질로 인해 투과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전처리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ionized water discharged from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may contain a variety of particulate matter, including ash-induced components, these materials reduce the ion exchange capacity of the cation exchange resin or anion exchange resin, and also between the ion exchange resin Close the voids. 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remove a cation or anion using a nanofiltration membrane or a reverse osmosis membrane, the permeation performance may be drastically reduced due to the above-mentioned particulate matter.

일예로 상기 전처리 유닛은 응집 및/또는 침전공정을 도입하거나, 또는 비교적 기공이 큰 한외여과막이나 정밀여과막으로 입자상 물질을 사전에 제거한 후 이온교환수지, 나노여과막 또는 역삼투막에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treatment unit may introduce a coagulation and / or precipitation process or may remove the particulate matter in advance with a relatively large pore ultrafiltration membrane or microfiltration membrane, and then supply the ion exchange resin, nanofiltration membrane, or reverse osmosis membrane.

또한,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에서 이온성분이 분리된 탈수는 상기 반응기본체로 리사이클될 수 있다.In addition, dehydration from which the ionic component is separated in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may be recycled to the reaction base.

또한, 상기 바이오매스는 입경이 10 ㎛ ~ 10 ㎜ 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biomass may have a particle diameter of 10 μm to 10 mm.

또한,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 후단에는 배출유닛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scharge unit may be further included at the rear end of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폐수처리유닛에는 이온교환수지, 분리막, 응집, 흡착 등이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사익 폐수처리유닛으로부터 제거 분리된 이온물질들은 위탁처리 등을 통해 매립 또는 소각하고, 이들 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는 수계(하천, 강 등)로 방류하는 배출유닛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닛은 펌프 일 수 있다. Obviously, the wastewater treatment unit may include ion exchange resins, separators, flocculation, adsorption, and the like. Ionic materials removed from the harvested wastewater treatment unit are buried or incinerated by consignment treatment, and the treated water from which these substances have been removed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o the water system (river, river, etc.). The discharge unit may be a pump.

(촉매 반응 실시예)(Catalyst Reaction Example)

바이오매스 원시료를 105℃ 오븐에 건조시켜서 수분을 제거한다. 건조된 시료(예 EFB) 일부에 물을 넣어서 점도 5000cP이하로 유지한다. 상기 조건은 EFB의 경우, EFB 대 물의 중량비 1대 3이다. 상기 수용액에 NaOH 1wt%을 투입한다. 상기 처리액을 반응기에 넣고 60℃ 온도에서 10분 유지시킵니다. 교반기는 rpm 10 내지 1000으로 교반한다. 상기 60℃는 분당 2℃ 승온조건으로 반응시간은 40분이다. The biomass feedstock is dried in an oven at 105 ° C. to remove moisture. A portion of the dried sample (eg EFB) is added with water to maintain a viscosity of 5000 cP or less. The conditions are for EFB, the weight ratio of EFB to water is one to three. 1 wt% of NaOH is added to the aqueous solution. Place the treatment solution in the reactor and hold at 60 ° C for 10 minutes. The stirrer is stirred at 10 to 1000 rpm. The reaction time is 60 minutes at 60 ℃ temperature conditions 2 ℃ per minute.

반응 후, 처리액을 1um 필터를 이용해서 고액 분리를 진행한다. 회수된 고체는 105℃ 오븐에서 건조한다. 상기 오븐에서 회수한 시료 1wt% 대 acetic acid 수용액 3wt%의 비율 (처리액과 acetic acid의 비율은 1:1)로 교반한다. After the reaction, the treatment liquid is subjected to solid-liquid separation using a 1um filter. The recovered solid is dried in a 105 ° C. oven. Stir at a ratio of 1 wt% of the sample recovered from the oven to 3 wt% of the aqueous solution of acetic acid (1: 1 ratio of the treatment solution and acetic acid).

상기 처리액을 상기 반응기에 넣고 60℃, 10분 유지시킨다. 상기 과정을 통해서 처리액에 포함된 Na 이온을 상기 반응기에서 acetic acid을 제거한다. The treatment liquid is placed in the reactor and maintained at 60 ° C. for 10 minutes. Na ions contained in the treatment solution through the above process to remove acetic acid in the reactor.

상기 반응이 종료된 처리액을 1um 필터로 고액분리한다. 잔여물은 증류수로 세척한다. The treatment solution in which the reaction is completed is separated into a solid solution by a 1um filter. The residue i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최종적으로 105℃ 오븐에서 건조시켜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이 금속성분이 제거된 바이오매스내 휘발유발성분을 제거한 바이오매스가 배출된다. Finally, the biomass is removed by drying in an oven at 105 ℃ to remove the gasoline-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in which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is removed.

상기 분리된 금속이온을 적용하여 이차전지, 슈퍼캐퍼시터에 적용할 수 있다. The separated metal ions may be applied to secondary batteries and supercapacitors.

바람직하게는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과 연계한 상기 분리된 금속이온을 이용한 ESS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Preferably,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ESS system using the separated metal ions in conjunction with the fuel production system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SS.

상기 금속이온은 알칼리, 알칼리토 금속이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리튬, 나트륨, 칼륨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칼륨일 수 있다.The metal ions may be alkali, alkaline earth metal ions, preferably lithium, sodium, potassium, more preferably potassium.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 전 후의 원료의 성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the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the raw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원료로 고려중인 바이오매스는 초본계, 목본계, 조류(Algae) 등이 있으며, 그 중 도 2에는 초본계 바이오매스인 억새, 옥수수대와 목본계인 소나무를 이용한 연료특성 분석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공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회분 유발성분이 제거된 바이오매스는 dry basis 기준 77~97% 이상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평균적으로 약 10%정도의 발열량 향상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추가적으로 연료 자체의 Fuel NOx 생성물질과 SOx 생성 물질인 N과 S의 수치가 약 80%정도 저감된 것을 볼 수 있다. 석탄에 비해 바이오매스 연료가 가진 낮은 발열량이나 회분에 의한 영향을 본 전처리 공정을 통해 개선이 가능하다.Biomass under consideration as a raw material is herbaceous, woody, algae (Algae), etc. Among them, Fig. 2 shows the results of the fuel characteristics analysis using herbal biomass, silver grass, corn stalk and woody pine. Biomass from the ash-induced components removed through this process showed removal efficiency over 77 ~ 97% on a dry basis, and averaged about 10% calorific valu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s of N and S, which are fuel NOx and SOx generating materials of the fuel itself, are reduced by about 80%. This pretreatment process can improve the low calorific value and the ash effect of biomass fuel compared to coa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 전 후의 원료의 미네랄 성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the change in the mineral component of the raw material before and after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회분 유발성분이 제거된 연료의 회분특성을 나타내었다. Melting point가 349 ℃로 가장 낮게 형성되어 있는 K2O의 경우 제거효율이 99% 이상에 달하고 있으며, 1,132 ℃의 melting point을 가진 Na2O의 경우 제거효율이 95%에 달하고 있다. 이처럼 회분 유발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보일러 튜브나 벽면에 생성되는 슬래깅, 파울링, 클링커 등의 생성 유발물질을 사전에 차단하고 안정적인 보일러 가동율 유지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바이오매스 전소보일러의 경우 가동율 70% 미만)3 shows the ash characteristics of the fuel from which ash-induced components have been removed. K 2 O, which has the lowest melting point of 349 ° C, has a removal efficiency of over 99%, and Na 2 O having a melting point of 1,132 ° C has a removal efficiency of 95%. As such, by removing the ash-causing component, it is possible to block generation substances such as slagging, fouling, and clinker generated in the boiler tube or wall in advance, and maintain a stable boiler operation rate. (Less than 70% utilization rate for typical biomass burner boiler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알칼리액 처리 조건에서 pH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4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pH change in the alkaline liquid treatment conditions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the boiler from which ash-induced components are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알카리영역에서의 회분추출율과 가연성물질인 ALB의 회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특허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는 고체물질인 가연성물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회분유발성분만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잡고 있다. pH 13.4 이상의 영역에서는 회분유발성분의 제거효율이 감소함과 동시에 ALB의 수율도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에, 가장 극대화 조건인 pH 13.3 ~ 13.4 영역에서의 회분추출이 이루어져야한다.4 is a graph showing the ash extraction rate and the recovery rate of the flammable material ALB in the alkaline region. Fuel to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to be developed in this pa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remove only the ash-induced components while maintaining the flammable material as a solid material to the maximum. In the region above pH 13.4, the removal efficiency of ash-induced components decreases and the yield of ALB decreases. Therefore, ash extraction should be made in the pH 13.3 ~ 13.4 region, which is the most maximal condi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알칼리액 처리 조건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5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alkaline liquid treatment conditions of the boiler fuel production system from which the ash-induced components are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앞선 도 4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pH 13.4 조건에서 온도의 영향을 고려한 것이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회분 추출율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80 ℃ 영역에서 가장 극대화된 수치를 볼 수 있다. 하지만 가연성 물질인 ALB의 수율이 낮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분 추출율과 가연성 물질 회수율이 좋은 55~65 ℃ 영역이 적정 온도 범위라 할 수 있다.FIG. 5 considers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under the pH 13.4 condit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FIG. 4.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ash extraction rate generally increases, and the maximum value can be seen in the 80 ℃ range. However, since the yield of ALB, which is a combustible material, is low, a suitable temperature range is 55-65 ° C. where the ash extraction rate and the flammability recovery rate are goo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알칼리액 처리 조건에서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6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change in residence time in the alkaline liquid treatment conditions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boilers removed ash ash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pH 13.4, 온도 60 ℃의 영역에서 체류시간에 따른 영향을 고려한 것이다. 체류시간 10분의 영향에서 회분 추출율이 가장 극대화를 보이고 있으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비슷한 성능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회수율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감소하기 때문에 알카리 영역에서의 체류시간은 10분 이상의 시간은 무의미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Figure 6 considers the effect of residence time in the region of pH 13.4, temperature 60 ℃. The extraction rate of ash is maximized under the influence of residence time of 10 minutes, and it can be seen that similar performance is maintained over time. Since the recovery rate gradually decreases with time, the residence time in the alkaline region is a meaningless condition for more than 10 minutes.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산성액 처리 조건에서 pH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7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pH change in the acid solution treatment conditions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boilers removed ash induction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산성영역에서의 회분추출율과 가연성물질인 ALB의 회수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특허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는 고체물질인 가연성물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회분유발성분만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잡고 있다. pH가 1.7로 증가하면서 회분 유발성분의 제거효율이 증가하나 1.8 이상이 되면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가장 극대화 조건인 pH 1.7 ~ 1.8 영역에서의 회분추출이 이루어져야 한다.7 is a graph showing the ash extraction rate and the recovery rate of the flammable material ALB in the acidic region. Fuel to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to be developed in this pat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remove only the ash-induced components while maintaining the flammable material as a solid material to the maximum. As the pH is increased to 1.7, the removal efficiency of ash-induced components increases, but when it is more than 1.8, it tends to decrease again. As a result, ash extraction should be performed at the pH of 1.7 to 1.8, the most maximal condi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산성액 처리 조건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8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acidic liquid treatment conditions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boilers removed ash ash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앞선 도 7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pH 1.76 조건에서 온도의 영향을 고려한 것이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회분 추출율은 증가하나 60 ℃ 이상의 온도조건에서는 회분 추출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최적 온도 조건은 50~60 ℃ 영역이 적정 범위라 할 수 있다.FIG. 8 considers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under the pH 1.76 condit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FIG. 7.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ash extraction rate increases, but the ash extraction rate decreases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60 ° C. Thus, the optimum temperature conditions may be said to be an appropriate range of 50 ~ 60 ℃ reg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의 산성액 처리 조건에서 체류시간 변화에 따른 회분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9 shows the ash removal rate according to the change in residence time in the acid solution treatment conditions of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boilers removed ash firing compon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pH 1.76, 온도 60 ℃의 영역에서 체류시간에 따른 영향을 고려한 것이다. 체류시간 10분의 영향에서 회분 추출율이 가장 극대화를 보이고 있으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비슷한 성능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회수율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감소하기 때문에 산성 영역에서의 체류시간은 10분 이상의 시간은 무의미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Figure 9 considers the effect of residence time in the region of pH 1.76, temperature 60 ℃. The extraction rate of ash is maximized under the influence of residence time of 10 minutes, and it can be seen that similar performance is maintained over time. Since the recovery rate gradually decreases with time, the residence time in the acidic region is a meaningless condition for more than 10 minutes.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보일러용 연료 생산 시스템 전 후의 바이오매스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0 shows a biomass SEM picture before and after the fuel production system for boilers removed ash ash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처리하지 않은 원 시료(억새)와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억새시료를 SEM을 이용하여 표면 구조 변화를 비교하였다. 원 시료의 경우 표면에 불규칙한 불순물 형태의 미네랄 성분이 다량 포함된 것을 볼 수 있으나,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시료의 경우 깨끗한 상태의 표면 형상을 볼 수 있다. 시료 자체의 구조적인 변화는 일으키지 않으면서, 미네랄성분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에는 본 공정 구성이 가장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FIG. 10 compares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untreated raw sample (mistake) and that of the silver sample from which ash-induced components were removed using SEM. In the case of the original s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surface contains a large amount of mineral components in the form of irregular impurities, but in the case of the sample from which ash-induced components are removed, the surface shape of the clean state can be seen. It can be said that this process configuration is most appropriate to selectively remove only mineral components without causing structural change of the sample itself.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가능한 탄소 화합물분의 잔존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11 is a graph showing the remaining amount of biomass combustible carbon compound pow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기존 바이오에탄올 공정의 전처리를 통한 바이오매스 처리의 경우, 약 20wt%정도의 탄소분만이 잔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 및/또는 염기 처리의 경우, 약 80 wt%이상의 탄소분이 잔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1 shows that only about 20 wt% of carbon content remains in the case of biomass treatment through pretreatment of the existing bioethanol process, and in the case of acid and / or base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out It can be confirmed that more than 80 wt% of carbon content remains.

도 12는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의 작동 순서이다. 12 is an operation sequence of a fuel production system removing ash-induced components in biomass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ESS.

상기 반응기 본체의 운전 절차는 1. 상기 반응기본체의 하부로 탈수이송장치가 80~160 kg/cm2의 유압조건으로 상기 반응기본체로 상승한다. 이후 2. 상기 원료주입장치를 통하여 바이오매스인 원료가 상기 반응기본체로 공급된다. 이후 3. 상기 pH조정조를 통하여 저온의 촉매수가 공급된다. 이때 저온의 촉매수/바이오매스의 질량비율은 1 내지 10일 수 있다. 이후 4. 상기 반응기본체에 상기 고압기체발생기를 통하여 공기가 공급되어 폭기 교반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압력은 3~5 kg/cm2에 0.1~1 m3/min의 공기 유량일 수 있다. 이후 5. 소정의 반응시간 후 소정의 시간을 통하여 상기 고압기체발생기를 통하여 바이오매스를 여과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압력은 3~5 kg/cm2에 0.5~2 m3/min의 공기 유량일 수 있다. 이후 6. 탈수가압장치의 프레스가 80~160 kg/cm2의 유압조건으로 상기 반응기본체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탈수를 진행하기 위하여 상기 고압기체발생기를 통하여 고압 공기를 인입하면서 프레스 가압을 수행하여 탈수를 진행한다. 이후 7. 가압프레스가 상부로 이동하여 탈수를 종료한다. Operation procedure of the reactor body 1. The dehydration transfer devic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action body is raised to the reaction body under a hydraulic condition of 80 ~ 160 kg / cm2. 2. The raw material which is biomass is then supplied to the reaction base through the raw material injection device. 3. The low temperature catalyst water is then supplied through the pH adjustment tank. In this case, the mass ratio of the catalyst water / biomass at low temperature may be 1 to 10. 4. Since air is supplied to the reaction base through the high pressure gas generator, aeration agitation may be performed. The air pressure may be an air flow rate of 0.1 ~ 1 m3 / min in 3 ~ 5 kg / cm2. 5. The biomass may be filtered through the high pressure gas generator through a predetermined time after a predetermined reaction time. The air pressure may be an air flow rate of 0.5 to 2 m3 / min to 3 to 5 kg / cm2. 6. After the press of the dehydrating device can move to the reaction body under the hydraulic conditions of 80 ~ 160 kg / cm2. Thereafter, dehydration is performed by performing pressurization while introducing high pressure air through the high pressure gas generator to proceed with dehydration. 7. The pressurized press moves to the top to finish dehydration.

이후 8. 상기 바이오매스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반응기본체에 상기 세척수저장조로부터 세척수가 투입될 수 있다. 이후 9. 상기 4. 내지 7.의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후 10. 상기 탈수이송장치가 아래로 이동한 후 바이오매스 원료가 배출되어 상기 연료이송장치(810)을 통하여 연료처리장치(8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후 11. 칼륨양이온을 포함하는 분리수는 ESS와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양극 재료 결착제로서는 폴리불화 비닐리덴 대신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코올,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이용할 수 있다.8. The washing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body from the washing water storage tank to wash the biomass. Thereafter, the process of 4. to 7. can be repeated. 10. After the dehydration and transfer device moves downward, the biomass raw material may be discharged and transferred to the fuel processor 800 through the fuel transfer device 810. 11. Separation water containing potassium cations may be associated with the ESS. As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binder, polytetrafluoroethylene, polyethylene oxide, polyvinylacetate, polymethacrylate, polyacrylate, polyacrylonitrile, polyvinyl alcohol, styrene-butadiene rubber, carboxymethyl instead of polyvinylidene fluoride At least 1 sort (s) chosen from cellulose etc. can be used.

양극 재료의 도전제로서는 케첸블랙 대신에 예를 들면 아세틸렌 블랙 및 흑연 등의 다른 탄소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덧붙여 도전제의 첨가량이 적으면 양극 재료의 도전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는 한편, 그 첨가량이 너무 많아 지면 , 양극 재료에 포함되는 양극 활물질의 비율이 적어져 높은 에너지 밀도가 얻을 수 없게 된다.As the conductive agent for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other carbon materials such as acetylene black and graphite may be used instead of Ketjenblack. In addition, when the addition amount of the conductive agent is small, the conductivity of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cannot be sufficiently improved, while when the addition amount is too large, the pro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decreases, and a high energy density cannot be obtained.

양극 집전체로서는 전자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포 알루미늄, 발포 니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As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amed aluminum, foamed nickel, or the like can be used to improve electronic conductivity.

상기 음극은 금속박으로 구성되는 집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egative electrode may include a current collector made of metal foil.

상기 탄소는 집전체상에 도포될 수 있다. The carbon may be applied onto the current collector.

상기 탄소는 흑연일 수 있다. The carbon may be graphite.

상기 비수 전해질은 6 불화인산칼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수 전해질은 고리형 탄산 에스테르, 사슬형 탄산 에스테르, 에스테르류, 고리형 에테르류, 쇠사슬모양 에테르류, 니트릴류 및 아미드류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nonaqueous electrolyte may include potassium hexafluorophosphate. The nonaqueous electrolyte may include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ic carbonates, chain carbonates, esters, cyclic ethers, chain ethers, nitriles and amides. .

비수용매로서는 통상 전지용 비수용매로서 이용되는 고리형 탄산 에스테르, 사슬형 탄산 에스테르, 에스테르류, 고리형 에테르류, 쇠사슬모양 에테르류, 니트릴류, 아미드류 등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nonaqueous solvent include those composed of cyclic carbonate esters, chain carbonate esters, esters, cyclic ethers, chain ethers, nitriles, amides, and the like, and combinations thereof, which are usually used as nonaqueous solvents for batteries. .

상기 탄소재료는, 흑연을 함유할 수 있다.The carbon material may contain graphite.

상기 탄소재료는 인조 흑연이나 아세틸렌 블랙, 케첸블랙, 퍼니스 블랙 등의 무정형 탄소 재료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의 물질 중, 특히 인조 흑연이나 아세틸렌 블랙 등의 무정형 탄소 재료일 수 있다. Examples of the carbon material include particles such as artificial graphite, amorphous carbon materials such as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and furnace black. Among these substances, in particular, it may be an amorphous carbon material such as artificial graphite or acetylene black.

상기 폴리카르본산 및/또는 그 염은,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알칼리 금속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칼리 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lycarboxylic acid and / or its sal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acrylic acid, polyacrylic acid alkali metal salts, carboxymethyl cellulose and carboxymethyl cellulose alkali metal salts.

1: 탈회분 반응기
100: 반응기본체
101: 반응기보온재
110: 가온촉매수유입부
120: 세척수유입부
130: 반응승온기
140: 벤트부
150: 고압기체발생기
151: 고압기체제1주입부
152: 고압기체제2주입부
160: 고체연료배출부
200: 탈수가압장치
210: 탈수프레스
300: 탈수이송장치
310: 이송프레스
320: 제2탈수배출부
330: 제1탈수배출부
340: 금속이온센서
400: pH조정조
401: 교반기
402: 보온재
403: 승온기
410: 처리수공급부
420: 촉매공급부
430: 촉매저장조
440: 유기산저장조
450: 1차μ수공급부
460: 가온촉매수배출부
470: pH조정조드레인부
500: 세척수저장조
510: 세척수공급부
520: 2차탈수공급부
530: 세척수배출부
540: 세척수드레인부
600: 금속이온분리장치
601: 제1양이온교환모듈
602: 제1음이온교환모듈
603: 제2양이온교환모듈
604: 제2음이온교환모듈
610: 탈수저장조
620: 음이온수저장조
630: 양이온수저장조
640: 탈수펌프
650: 금속이온센서
700: 원료주입장치
800: 연료처리장치
810: 연료이송장치
900: ESS
1: deash reactor
100: reaction base
101: reactor insulation
110: warming catalyst inlet
120: washing water inlet
130: reaction warmer
140: vent part
150: high pressure gas generator
151: high pressure gas injection unit
152: high pressure gas injection unit 2
160: solid fuel discharge unit
200: dehydrating pressure device
210: dewatering press
300: dehydration transfer device
310: transfer press
320: second dewatering discharge unit
330: first dewatering discharge unit
340: metal ion sensor
400: pH adjusting tank
401 stirrer
402: insulation
403: a temperature riser
410: treatment water supply unit
420: catalyst supply unit
430 catalyst storage tank
440: organic acid storage tank
450: 1st μ water supply
460: warm catalyst water discharge part
470: pH adjustment tank drain portion
500: washing water storage tank
510: washing water supply unit
520: secondary dewatering supply unit
530: washing water discharge unit
540: washing water drain portion
600: metal ion separator
601: first cation exchange module
602: first negative ion exchange module
603: second cation exchange module
604: second anion exchange module
610: dehydration storage tank
620: anion water storage tank
630: cationic water storage tank
640: dewatering pump
650: metal ion sensor
700: raw material injection device
800: fuel processor
810: fuel feeder
900: ESS

Claims (11)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공급된 원료의 회분유발성분이 최대로 분리되도록 저온의 촉매로 처리하는 반응기본체(100);
상기 반응기본체에 저온 촉매수를 공급하는 pH조정조(400);
상기 반응기본체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저장조(500);
상기 반응기본체에 원료를 주입하는 원료주입장치(700);
상기 반응기본체에서 배출된 탈수내 금속이온을 분리하는 금속이온분리장치(600); 및
상기 시스템의 전력을 공급하는 ESS(700); 를 포함하는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
In a fuel production system that removes ash-induced components in biomass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linked to ESS,
A reaction base 100 for treating with a low temperature catalyst so as to separate ash-induced components of the supplied raw materials to the maximum;
PH adjusting tank 400 for supplying a low temperature catalyst water to the reaction base;
Washing water storage tank 500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reaction base;
A raw material injection device 700 for injecting a raw material into the reaction base;
A metal ion separation device 600 for separating metal ions in dehydration discharged from the reaction body; And
An ESS 70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ystem; Containing
Fuel production system that removes ash-induced components in low-temperature biomass linked with 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를 통과한 상기 탈수액이 소정의 금속이온 농도 이하일 때, 상기 pH조정조로 공급하는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dehydration liquid passing through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metal ion concentration, the fuel production system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of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SS supplied to the pH adjustment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의 금속이온농도가 소정 농도 이상일 때는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로 공급하고, 미만일 때는 상기 세척수저장조로 공급하는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metal ion concentration of the washing liquid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is supplied to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when less than the fuel production system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SS supplied to the wash water storage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분리장치를 통과하지 못한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탈수액은 양이온저장조 및 음이온저장조로 분리하여 공급되는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Dehydration liquid containing metal ions that did not pass through the metal ion separation device is a fuel production system to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low-temperature biomass in conjunction with the ESS supplied by separating into a cation storage tank and an anion storage tan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SS는 양이온저장조의 금속이온을 포함하는 산화물로 구성된 양극, 상기 금속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된 음극 및 상기 금속이온을 포함한 비수전해질을 구비한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SS is a low temperature biomass in connection with a positive electrode composed of an oxide containing a metal ion of a cation storage tank, a negative electrode composed of a material capable of occluding and releasing the metal ion, and an ESS having a nonaqueous electrolyte containing the metal ion. Fuel production system free of ash-induced component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은 알칼리, 알칼리토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인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al ion is a fuel production system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of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nection with any one or two or more of alkali, alkaline earth met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은 리튬, 나트륨, 칼륨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인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metal ion is a fuel production system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of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nection with any one or two or more of lithium, sodium, potassiu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은 KxMnO2+y (0<x<1, -0.1<y<0.1)를 포함하고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anode includes a KxMnO2 + y (0 <x <1, -0.1 <y <0.1) and the fuel production system to remove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of low-temperature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S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은 칼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탄소를 포함하는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negative electrode is a fuel production system removing the ash-induced components in the biomass of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ESS containing carbon that can occlude and release potassiu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SS는 칼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탄소재료와,
폴리카르본산 및/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결착제, 를 함유하는 칼륨이온 2차 전지용 음극 또는 칼륨이온 캐패시터용 음극을 구비한 칼륨이온 캐패시터인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SS is a carbon material capable of occluding and releasing potassium,
Removed ash-induced components in low-temperature biomass in conjunction with ESS, a binder containing polycarboxylic acid and / or a salt thereof, and a potassium ion capacitor containing an anode for a potassium ion secondary battery or a cathode for a potassium ion capacitor. Fuel produc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SS는 양극, 아연 또는 아연 합금 분말 및 겔화제를 함유하는 음극, 및 알칼리 전해액으로 구성되는 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의 활물질로서 철 (VI) 산염을 이용해 또한 전해액으로서 수산화칼륨 및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을 이용한 알칼리전지인 ESS를 연계한 저온조건의 바이오매스내 회분유발성분을 제거한 연료 생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SS uses a ferric (VI) acid salt as an active material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a potassium hydroxide and zinc oxide as an electrolyte in a battery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containing zinc or zinc alloy powder and a gelling agent, and an alkaline electrolyte. Fuel production system that removes ash-induced components in biomass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connection with ESS, which is an alkaline battery using alkaline solution.
KR1020180102765A 2018-08-30 2018-08-30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Energy Storage System KR202000254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65A KR20200025425A (en) 2018-08-30 2018-08-30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Energy Stor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765A KR20200025425A (en) 2018-08-30 2018-08-30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Energy Storage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648A Division KR102251160B1 (en) 2020-10-27 2020-10-27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Energy Storag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25A true KR20200025425A (en) 2020-03-10

Family

ID=6980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765A KR20200025425A (en) 2018-08-30 2018-08-30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Energy Storag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425A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8509B2 (en) 1988-03-28 1997-12-10 日清製粉株式会社 Extraction and purification method of hemicellulose
JPH11240902A (en) 1998-02-25 1999-09-07 Fuji Oil Co Ltd Production of water soluble hemicellulose
KR100413384B1 (en) 2000-10-24 2004-01-03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Method for preparing soluble dietary fiber from corn hull
KR100476239B1 (en) 2002-12-27 2005-03-17 이옥구 A process of producing water soluble and water insoluble hemicellulose
KR100982599B1 (en) 2005-02-07 2010-09-1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ositive electrod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457470B1 (en) 2012-02-23 2014-11-03 무림피앤피 주식회사 Paper with high dry strength containing hemicellulos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2016125030A (en) 2015-01-08 2016-07-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lant biofuel improving method, system and producing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8509B2 (en) 1988-03-28 1997-12-10 日清製粉株式会社 Extraction and purification method of hemicellulose
JPH11240902A (en) 1998-02-25 1999-09-07 Fuji Oil Co Ltd Production of water soluble hemicellulose
KR100413384B1 (en) 2000-10-24 2004-01-03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Method for preparing soluble dietary fiber from corn hull
KR100476239B1 (en) 2002-12-27 2005-03-17 이옥구 A process of producing water soluble and water insoluble hemicellulose
KR100982599B1 (en) 2005-02-07 2010-09-1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ositive electrod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1457470B1 (en) 2012-02-23 2014-11-03 무림피앤피 주식회사 Paper with high dry strength containing hemicellulos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JP2016125030A (en) 2015-01-08 2016-07-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lant biofuel improving method, system and produc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ylova et al.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biomass: a review
KR101879862B1 (en)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thereof
Senthil et al. Biomass-derived biochar materials as sustainable energy sources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s
Che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tivated carbon from hydrochar by phosphoric acid activation and its adsorption performance in prehydrolysis liquor
KR102028442B1 (en) Improvement on Co-firing of Biomass with Coal Biomass Blending ratio,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Boiler-Torrefaction Fuel Production thereof
JP4990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ccharification and decomposition of cellulosic biomass
Liu et al. Removal of inorganic constituents from pine barks and switchgrass
KR102063831B1 (en)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and Generation Connected with Reverse Electrodialysis
Khedulkar et al. Agricultural waste to real worth biochar as a sustainable material for supercapacitor
CN102361963B (en) Process for producing high quality bio-oil in high yield
KR101945186B1 (en) De-mineralized Biomass,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Multi-fuel Production thereof
KR101838293B1 (en) De-sticky material in feedstock,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Boiler-Fuel Production thereof
WO2013166225A2 (en) Processes for producing energy-dense biomass and sugars or sugar derivatives, by integrated hydrolysis and torrefaction
KR102054845B1 (en)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Dehydration and Washing
EP3013970A1 (en) Processes for producing biomass pellets and sugars
Rahman et al. Influence of Washing Medium Pre-treatment on Pyrolysis Yields and Product Characteristics of Palm Kernel Shell.
KR101964623B1 (en) Apparatus for continuous extraction of mineral from biomass
KR102251160B1 (en)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Energy Storage System
CN111566192A (en) Fuel production system for removing ash-producing components in biomass under low-temperature condition combined with dehydration washing process
KR20200025425A (en) De-Ash in Biomass at Low-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of Fuel Production Connected with Energy Storage System
CN110518243A (en) Lignin is preparing the application in lithium battery graphite cathode material
KR101695702B1 (en) MODIFICATION METHOD FOR LOW RANK COAL USING 2nd GENERATION BIOMASS COMPRISED OF HEXOSE
Perez et al. Integrated process of biomass thermochemical conversion to obtain pyrolytic sugars for biofuels and bioproducts
Zhang et al. Sustainable hydrothermal carbon for advanced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KR101709328B1 (en) MODIFICATION METHOD FOR LOW RANK COAL USING 2nd GENERATION BIOMASS COMPRISED OF PENT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