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096A -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nning model of forest restor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nning model of forest resto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096A
KR20200025096A KR1020180101940A KR20180101940A KR20200025096A KR 20200025096 A KR20200025096 A KR 20200025096A KR 1020180101940 A KR1020180101940 A KR 1020180101940A KR 20180101940 A KR20180101940 A KR 20180101940A KR 20200025096 A KR20200025096 A KR 20200025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st restoration
forest
desolation
area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9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5285B1 (en
Inventor
김동엽
서준표
우충식
강민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180101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285B1/en
Publication of KR20200025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0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2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device for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The device for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comprises: an input unit which receives environment information on all directions for at least one candidate region for restoring a forest;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the candidate region as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based 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n all directions of the candidate region; and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a torrential stream exists in the determined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nd sets a forest restoration plan 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in accordance with the existence of the determined torrential stream.

Description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nning model of forest restoration}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nning model of forest restoration}

본 발명은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본 발명은 북한의 산림을 복원하기 위한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for restoring forests in North Korea.

사방사업은 산림 유역에서의 산사태와 토석류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실질적인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시행되는 것으로, 황폐지를 복원하거나 산지의 붕괴, 토석/나무 등의 유출 또는 모래의 날림 등을 방지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을 설치하거나 식물을 파종/식재하는 사업 또는 이에 부수되는 경관의 조성이나 수원의 함양을 위한 사업을 말한다.All-round projects are implemented to effectively prevent or reduce the damage of landslides and soils in forest basins, and to prevent or prevent deterioration of land, collapse of mountain areas, spills of soil, trees, or flying san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 plant, planting or planting plants, or creating a landscape or accompanying water sources.

북한에 위치하는 산림의 경우, 시대를 거듭할수록 산림의 조성과 관리에 대한 중앙의 지원이 소홀해지고, 부족한 농경지 때문에 다락밭을 장려하면서 산림의 파괴가 가속화 되었다.In the case of forests located in North Korea, the destruction of forests has accelerated as the central support for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s has been neglected over time, and the attic was encouraged by insufficient agricultural land.

북한당국도 산림파괴에 대한 인식을 하고 산림복원을 위한 제도적 보완의 일환으로서 조림과 육림을 지방단위로 이양하고 기관이나 단체가 책임지는 담당림제를 실시하여 만회하려 했지만 산림관리를 지방에 이양함으로써 산림에 대한 통제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더욱 1990년대 이후 경제난이 극심해지면서 생계를 위한 뙈기밭 개간이 확대되고 무분별한 땔감채취에 의한 산림의 대규모 파괴를 자체적으로 규제하고 복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lso recognized the destruction of the forests and attempted to make up for them by transferring the reforestation and the forest to the local level as a part of the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for forest restoration and carrying out the responsible forest system in charge of the institution or group. The control over was not efficient. In addition, since the economic crisis has increased since the 1990s, there has been a limit to self-regulation and restoration of large-scale destruction of forests due to widespread reclamation of crops for livelihood and indiscriminate collection of firewood.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황폐화된 북한의 산림을 복원하기 위한 체계적인 계획 모델 생성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ystematic planning model for restoring the deteriorated forests of North Korea.

한국 등록 특허 제10-1441463호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41463 (registered)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정 지역에 대하여 산림복원 계획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특정 지역을 분석하는 단계를 세분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산림복원 계획을 보다 체계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analyzing the steps of analyzing the specific area in order to create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for a specific area, the forest restoration to make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re systemat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lanning model.

또한, 본 발명의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은 특정 지역 분석 단계별로 산림복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명확한 기준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r standard for establish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for each specific area analysis step.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는, 산림을 복원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지역에 대한 사방 환경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후보 지역에 대한 사방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후보 지역을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황폐계류(torrential stream)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황폐계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림복원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ll-round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andidate region for restoring the forest, and restoring the candidate region according to all-round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the candidate region. Determination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ed by the target region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 torential stream in the determined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nd restore the forest restoration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waste stream It may include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or for generating a plan model.

또한, 상기 사방 환경 정보는 고도 정보, 경사도 정보 및 지상하천 또는 강우에 따른 유로와 관련된 유역(watershe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ur-sided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altitude information, slope information and watersh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low path according to the ground stream or rainfall.

또한, 상기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는,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황폐계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는,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 내 유역(watershed)에 대한 지리 정보를 고려하여 황폐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황폐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황폐계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desolation mooring presenc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desolation mooring exists in the forest restoration subject area determined by the forest restoration subject area determining unit. The existence determination unit may calculate the desolation index in consider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on the watershed 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nd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e desolation mooring in consideration of the calculated desolation index.

또한, 상기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는,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하여 산출된 황폐지수에 따라 미리 정의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판정하는 황폐계류 상태 등급 판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는, 상기 판정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고려하여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할 수 있다.The desolation mooring state determin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desolation mooring state class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pre-determining desolation mooring state grade according to the desolation index calculated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nd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The generation unit may set a forest restoration plan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desolation mooring state grade.

또한, 상기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는,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 내 유역의 수계밀도(drainage density), 경계(boundary) 길이, 평균 고도, 투수계수, 침식계수, 면적 및 유역 내 조림지(plantation) 면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황폐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esolation mooring unit, the watershed density (drainage density), boundary length, average altitude, permeability coefficient, erosion coefficient, area and the plantation area in the watershed with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The desolation index may be calculated using at least one calculation factor.

또한, 상기 유역의 수계밀도는, 유로 연장(river length), 지류 길이(tributary length) 및 유역 면적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density of the watershed may be calculated using a river length, a tributary length and a watershed area.

또한, 상기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는,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로부터 결정된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고려하여,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한 야계사방(野溪砂防) 실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est restoration planning model generation unit, considering the desolation mooring state grade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ed by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ation unit, whether or not to carry out a night-time deadline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野溪 砂防) Can be determined.

또한, 상기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는, 상기 결정된 야계사방 실시 여부 결과에 따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야계사방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 미리 정해진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 상기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을 사방댐 설치 대상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human injury concern area whe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is executed 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of the night-time defense project. Whe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corresponds to the human injury damage reg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is an installation target area for all four dams.

또한, 상기 후보 지역의 경사도 및 상기 후보 지역이 소속된 산지의 경사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미리 정의된 산지 유형을 분류하는 산지 유형 분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mountain range type classification unit classifying a predefined mountain type according to a slope of the candidate area and a direction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to which the candidate area belongs.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후보 지역의 고도 및 상기 각 후보 지역이 소속된 산지의 경사가 향하는 방향을 기반으로 미리 정의된 산지 유형으로 분류하기 위한 산지 유형 분류 지표를 생성하는 지표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산지 유형 분류부는, 상기 생성된 산지 유형 분류 지표를 기반으로 산림을 복원하고자 하는 또 다른 후보 지역의 산지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dex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index for classifying into a predefined mountain type based on an elevation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andidate areas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slope of the mountain to which the candidate area belongs is headed.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may classify the mountain type of another candidate region to restore the forest based on the generated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index.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방법은, 산림을 복원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지역에 대한 사방 환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후보 지역에 대한 사방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후보 지역을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황폐계류(torrential stream)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황폐계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comprising receiving environmen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andidate region for restoring a forest, and everywhere for the candidate region. Determining the candidate region as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ccording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torential stream exists in the determined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nd restoring the fores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waste stream. It may include establish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for the target area.

또한, 상기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 내 유역(watershed)에 대한 지리 정보를 고려하여 황폐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황폐지수를 기반으로 미리 정의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판정함에 따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황폐계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정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고려하여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setting the forest restoration plan, calculating the desolation index in consider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on the watershed (watershed) within the determined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nd based on the calculated desolation index, a desolation mooring stat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esolation mooring exists 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ccording to the grade, and the determining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may include: A forest restoration plan can be established for the area to be restored.

또한, 상기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고려하여,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한 야계사방(野溪砂防) 실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tting of the forest restoration pla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carry out a night-time deadlock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decremented mooring state grade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또한, 상기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야계사방 실시 여부 결과에 따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야계사방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 미리 정해진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 상기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을 사방댐 설치 대상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setting the forest restoration plan, i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in accordance with th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night forest, whethe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life loss concern area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corresponds to the human injury damage area,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may be determined as a target area for installation of a four-side dam.

또한, 상기 후보 지역의 고도 및 상기 후보 지역이 소속된 산지의 경사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미리 정의된 산지 유형을 분류하는 산지 유형 분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lassifying a mountain type according to an altitude of the candidate area and a direction of a mountain type that is predefined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 slope of a mountain to which the candidate area belong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방법이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medium having a computer readable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performing on a computer.

본 발명의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은, 특정 지역에 대한 산림복원 계획을 보다 빠른 시간 안에 체계적으로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ystematically establish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for a specific region in a shorter time.

또한, 본 발명은 객관적인 지표로 특정 지역이 산림복원 대상 지역인지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determine whether a specific region is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s an objective indicato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보 지역을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지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체화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 계수 결정 기준표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역 침식 계수를 결정하는 기준표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역 내 조림지 면적을 결정하는 기준표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method performed by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candidate region as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nd a method of classifying a mountain type of the determined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 time.
4 is a permeability coefficient determination re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table for determining the watershed erosion coeffic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ference table for determining the plantation area in the waters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It is possible to, bu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block",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에서는 황폐화된 산림을 복원시키기 위한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산림복원 계획 모델은 북한에 위치하는 산림을 복원시키기에 적합한 모델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의 구성을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for restoring a degraded forest, and in particular,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odel suitable for restoring a forest located in North Korea.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orest performed by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which shows the method of generating a restoration plan model over time.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는, 입력부(100),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200), 산지 유형 분류부(300),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400) 및 산림복원 계획 설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put unit 100,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determination unit 200,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whether there is desolation mooring The determination unit 400 and the forest restoration plan setting unit 500 may be included.

도2를 참고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00)는 S210 단계에서 산림을 복원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지역에 대한 사방 환경 정보를 입력받는다. Referring to FIG. 2, first, the input unit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ll-round environmen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andidate area for restoring a forest in step S210.

예컨대, 입력부(100)가 상기 후보 지역에 대하여 입력 받는 사방 환경 정보는 상기 후보 지역에 위치하는 산지의 고도 정보, 경사도 정보, 사면(aspect) 방위, 상기 후보 지역 내 유역(watershed)에 대한 지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ll-round environment information input by the input unit 100 to the candidate region may include altitude information, slope information, perspective orient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 watershed within the candidate region. And the lik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200)는 S220 단계에서 상기 입력부(100)가 입력 받은 후보 지역의 사방 환경 정보를 기초로 상기 후보 지역이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산림복원 대상 지역을 결정한다.Next,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a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on the basis of the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candidate region received by the input unit 100 in step S220.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y are located, the area to be restored is determined.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200)가 상기 후보 지역이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본 발명의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500)는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된 후보 지역에 실시할 사방사업의 구체화를 위해 산림복원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산림복원 계획이란 일 예로 사방사업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ation unit 200 determines that the candidate region corresponds to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performed in the candidate region determined as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llow forest restoration plans to be formulated for the project. The forest restoration pla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an all-round project as an example.

여기서,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500)가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된 후보 지역에 대한 산림복원 계획을 순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산지 유형 분류부(300)와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400)가 상기 입력부(100)가 입력 받은 사방 환경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가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된 후보 지역에 대하여 체계적인 산림복원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된다. Here, in order to systematically establish a forest restoration plan for a candidate region determined as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500 determines whether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and desolation mooring exi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400 analyzes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based on all-round environment information inputted by the input unit 100, and accordingly,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is applied to the candidate region determined as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 systematic forest restoration plan can be developed.

이하에서는, 후보 지역을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부터 산림복원 계획 모델을 생성하기까지의 단계를 도3 내지 도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teps from determining a candidate region as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to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ning mode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00)가 입력 받은 후보 지역에 대한 사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지역을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지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체화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 candidate region as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by using all-round environment information on the candidate region input by the input unit 100 and classifying the mountain type of the determined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showing the method of making it concrete over time.

먼저, S210 단계에서 입력부(100)가 후보 지역에 대한 사방 환경 정보를 입력 받으면, 본 발명의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200)는 상기 사방 환경 정보를 통해 후보 지역의 고도를 기 설정된 기준 고도와 비교함에 따라 상기 후보 지역이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1차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고도는 예를 들어 900 m 내지 1100 m일 수 있고, 후보 지역의 고도가 상기 900 내지 1100 m 이상이면,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후보 지역의 고도가 900 내지 1000 m 이하이면,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본 발명의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200)는 상기 후보 지역을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input unit 100 receives the all-round environment information about the candidate area in step S210,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determination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altitude of the candidate area and the preset reference altitude through the all-round environment information. As a result of comparison,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the candidate area corresponds to a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For example, the preset reference altitude may be, for example, 900 m to 1100 m, and if the altitude of the candidate area is 900 to 1100 m or mor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arget altitude does not correspond to a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When the altitude is 900 to 1000 m or less,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ation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candidate region as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상술한 바와 같이, 후보 지역이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200)에 의해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되면, S212 단계 및 S213 단계에서, 본 발명의 산지 유형 분류부(300)는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된 후보 지역(이하,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라 함)의 황폐유형을 분류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ndidate region is determined as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by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ation unit 200, in step S212 and S213, the mountain area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Classify the type of desolation of the determined candidate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est restoration are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지 유형 분류부(300)가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하여 분류하는 황폐 유형으로는 제1 황폐 유형 및 제2 황폐 유형이 있는데, 여기서 제1 황폐 유형은 개간(reclamation)산지일 수 있고, 제2 황폐 유형은 무립목지(dentuded area) 또는 산간 나지(bare land)일 수 있다. 황폐 유형은 산지의 황폐 진행 상태 및 정도에 따라 초기 단계로부터 척악임지, 임간나지, 초기황폐지, 황폐이행지, 민둥산, 특수황폐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에서는 북한의 현지상황을 고려하여 개간산지, 무립목지, 산간나지로만 구분하여 제1 황폐 유형 및 제2 황폐 유형을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The desolation types classified by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desolation type and a second desolation type, where the first desolation type is a reclamation mountain. And the second type of devastation may be a dended area or a bare land. Desolation type may be divided into the cultivated forest land, forest land, early desolation land, desolation land, Mindongsan, special wasteland, etc. from the initial stage depending on the state and extent of desolation of mountainous reg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Considering the local situation,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first type of wasteland and the second type of wasteland by classifying it into cleared mountain, non-wood, and mountainous land.

이와 같이 분류될 수 있는 황폐 유형은 입력부(100)로 입력되는 사방 환경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산지 유형 분류부(300)는 이러한 사방 환경 정보를 토대로 미리 정해진 유형에 따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황폐 유형을 제1 황폐 유형 또는 제2 황폐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The desolation type that may be classified as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all-round environment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100, and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may be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ype based on the all-round environment information. The waste type of can be classified as either the first waste type or the second waste type.

산지 유형 분류부(300)는 황폐 유형 분류에 따라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 제1 황폐 유형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경사도를 기준 경사도와 비교함으로써 산지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지 유형 분류부(300)는 S214 단계에서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경사도가 기준 경사도보다 낮을 경우,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된 후보 지역이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2차 판단함으로써, 산림복원 계획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산지 유형 분류부(300)는 S214 단계에서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경사도가 기준 경사도보다 높거나 같을 경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지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is the first desolation type according to the desolation type classification,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may classify the land type by comparing the inclination of the forest restoration area with a reference slope.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3, when the slope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is lower than the reference slope in step S214, the candidate region determined as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is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By making a second determination that it is not an area, forest restoration planning can be stopp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lope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lope in step S214,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may classify the mountain type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즉, 산지 유형 분류부(300)는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200)에 의해 결정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황폐 유형이 제1 황폐 유형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한해, 다시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2차 판단할 수도 있다.That is,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is again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on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olation type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ed by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ation unit 200 is the first desolation type. It may be determined second.

여기서, 본 발명의 산지 유형 분류부가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된 후보 지역의 산지 유형으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후보 지역의 고도, 경사도 및 후보 지역이 소속된 산지의 경사가 향하는 방향과 관련된 사방 환경 정보를 이용한다.Here, in order to classify the mountain area type classific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the mountain type of the candidate region determined as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vation, the slope, and the direction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region to which the candidate region belongs is used.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지 유형 분류부(200)가 분류할 수 있는 산지 유형으로는 제1 산지 유형과 제2 산지 유형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산지 유형은 일반적인 산지사방을 실시할 수 있는 형태의 산지 유형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산지 유형은 일반적이지 않고 특수한 산지사방을 실시하여야 하는 형태의 산지 유형에 해당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untain type that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200 may classif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ountain type and a second mountain type. For example, the first mountain range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a mountain type of a type capable of carrying out a general mountainous square, and the second mountain type may correspond to a mountain type of a type in which a special mountainous square is to be performed. Can be.

일 실시예에 따른 S214 단계의 경우, 산지 유형 분류부(300)는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된 후보 지역의 경사도에 따라 산림복원 계획 동작을 중단하거나, 상기 후보 지역을 제1 산지 유형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경사도란 예를 들어 20 내지 30도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In the step S2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rest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may stop the forest restoration pl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lope of the candidate region determined as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or determine that the candidate region is the first mountain type. Can be. Here, the reference inclination may be assumed to be 20 to 30 degrees, for exampl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지 유형 분류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후보 지역의 고도 및 상기 각 후보 지역이 소속된 산지의 경사가 향하는 방향을 기반으로 미리 정의된 산지 유형으로 분류하기 위한 산지 유형 분류 지표를 생성하는 지표 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지표 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산지 유형 분류 지표를 이용하여 새롭게 산림을 복원하고자 하는 또 다른 후보 지역의 산지 유형을 용이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is a predefined mountain type based on the altitude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andidate area and the direction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region to which each candidate area belongs. The mountain range type may further include an index gener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a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index for classifying, and the mountain type of another candidate region to newly restore the forest by using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index generated from the index generator. It can be implemented to facilitate the classif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산지 유형 분류부(300)가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황폐 유형이 제2 황폐 유형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S213), S214 단계와 마찬가지로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경사도와 상기 기준 경사도를 비교한다(S215). 예를 들어, 제2 황폐 유형에 따른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경사도가 기준 경사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지 유형은 제1 산지 유형인 것으로 분류하고, 제2 황폐 유형에 따른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경사도가 기준 경사도보다 높거나 같은 경우, S216 단계로 진행된다.In addition, when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 desolation type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is the second desolation type (S213), the slope and the reference slope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re compared as in step S214. (S215). For example, when the slope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second desolation typ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slope, the forest type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is classified as the first mountain type and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ccording to the second desolation type If the slope of the area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lop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16.

S216 단계는,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따른 산지의 경사가 향하는 방향(사면(aspect) 방위)을 고려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지 유형 분류부(300)가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지가 남쪽 사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산지 유형을 분류한다. 이에 따라, S230 단계에서,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지가 남쪽 사면에 해당한다면 제2 산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남쪽 사면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제1 산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Step S216 is a step of considering the direction (slope orientation)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area according to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more specifically, the mountainous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is south of the mountain region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Classify mountain type by determining whether it is a slope. Accordingly, in step S230, if the mountain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corresponds to the south slope, it may be classified as a second mountain type, and if it is not the south slope, it may be classified as the first mountain type.

산지 유형 분류부(300)에 의해 제1 산지 유형 및 제2 산지 유형으로 분류되기 위해 이용되는 기준들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산지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예시로는 아래 <표1>과 같은 분류 기준이 있을 수 있다.The criteria used by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to classify the first mountain type and the second mountain type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ountain type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re may be classification criteria as shown in Table 1.

산지 유형Production type 분류 기준Classifier 제1 산지 유형First mountain type 개간산지 중 경사도 20 내지 30도 이상인 지역Areas with an inclination of 20-30 degrees or more among the clearing areas 무립목지나 나지 중 해발 1000m 미만인 지역이며, 경사도 30도 이상인 급경사 지형이고, 북쪽 사면에 위치하여 지표침식이나 산사태 발생위험도가 낮은 지역인 곳으로 지정된 지역Areas that are less than 1000m above sea level or bare land, are steep slopes with a slope of more than 30 degrees, and are located on the northern slope and are designated as areas with low risk of surface erosion or landslides. 경사도는 30도 미만이고, 지표침식 발생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정된 남쪽 사면에 위치한 황폐산지Slope is less than 30 degrees and desolate mountain area on the southern slope designated as potential for surface erosion 제2 산지 유형Second mountain type 무립목지와 나지이고, 해발 1000m 미만인 지역이며, 경사도 30도 이상이고, 남쪽 사면에 위치하여 지표침식이나 산사태 발생위험도가 높은 곳으로 지정된 지역Indigenous land and bare land, less than 1000m above sea level, more than 30 degrees of inclination, located on the southern slope and designated as high risk of surface erosion or landslide

산지 유형 분류는 이후 단계에서 산림복원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야계사방(野溪砂防) 실시 및 사방댐 설치 계획 이외에 추가로 단비 산출(인건비, 재료비, 경비 등)에 있어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기 위함이다.Mountain type classification is to establish concrete plan for calculation of unit cost (labor cost, material cost, expense, etc.) in addition to the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forest restoration plan and the installation of four-side dam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in the later stage.

다시, 도2를 참조하면, S240 단계에서, 본 발명의 황폐계류(torrential stream) 존재 여부 판단부(4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S230 단계에서 산지 유형 분류부(300)에 의해 산지 유형이 분류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황폐계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Referring back to FIG. 2, in step S240,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classifies the mountain type by the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unit 300 in step S230 as described above. Determination of desolation mooring in the area to be restored.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400)는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 내 유역(watershed)에 대한 지리 정보를 고려하여 황폐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황폐지수를 이용하여 황폐계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황폐지수 산출 방법은 아래 <수학식1>과 같다.The desolation mooring determination unit 400 may calculate the desolation index in consider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on the watershed with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nd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e desolation mooring using the calculated desolation index. The desolation index calcul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in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Kb는 황폐지수, H는 유역 수계밀도, O는 유역 경계 길이(유역의 경계(boundary)의 총 연장), Vs는 유역 평균 고도 차이, P는 유역 투수계수, E는 유역 침식계수, S는 유역 면적(유역 경계 내의 면적), L은 주하천 연장(유역 내 본류의 총 길이), Sz는 유역 내 조림지 면적이다.Where K b is the desolation index, H is the basin water density, O is the basin boundary length (total extension of the basin's boundary), V s is the basal mean altitude difference, P is the basin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E is the basin erosion coefficient. Where S is the basin area (area within the watershed boundary), L is the main stream extension (total length of main stream in the basin), and S z is the plantation area in the basin.

상기 유역 수계밀도(H)는 유역의 수계 밀도로서, 유역 면적과 유역 내 전체 수계의 길이의 합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유역 수계밀도 산출식은 아래 <수학식2>와 같다.The basin water density (H) is the watershed density of the watershed, and can be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basin area and the length of the entire water system in the watershed. The watershed density calculation formula is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L은 주하천 연장, Li는 지류의 길이, S는 유역 면적이다.Where L is the main stream extension, L i is the length of the tributary, and S is the basin area.

또한, 유역 평균 고도 차이(Vs)의 산출식은 아래 <수학식3>과 같다.In addition, the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watershed average altitude difference (V s ) is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Vp는 유역 평균 고도(km)이고, Vu는 유출지점 고도(km)이다.Where V p is the basin average altitude (km) and V u is the runoff altitude (km).

또한, 유역 투수계수(P)는 유역 내 토양의 평균적인 투수 특성을 나타내는 지수로서, 입력부(100)에 입력된 사방 환경 정보를 기초로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한 투수 특성을 고려하여 투수 계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투수 계수 결정 기준표는 도4와 같다.In addition, the watershed permeability coefficient (P) is an index indicating the average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soil in the watershed, and determines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in consideration of the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based on the four-sided environment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100.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determination re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in FIG. 4.

또한, 유역 침식계수(E)는 유역이 침식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나타내는 계수로서 하천경사와 유역 내 황폐지 면적 비율로 결정될 수 있고, 유역 침식 계수를 결정하는 기준표는 도5와 같다.In addition, the watershed erosion coefficient (E) is a coefficient indicating how sensitive the watershed is to erosion and may be determined by the ratio of river slope and wasteland area in the watershed, and a reference table for determining the watershed erosion coefficient is shown in FIG. 5.

또한, 유역 내 조림지 면적(Sz)은 수치임상도의 임상특성을 활용하여 속성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역 내 조림지 면적을 결정하는 기준표는 도6과 같다.In addition, the plantation area (S z ) in the watersh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perty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numerical clinical diagram, and the reference table for determining the plantation area in the watershed is shown in FIG. 6.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황페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400)는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하여 산출된 황폐지수에 따라 미리 정의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더욱 판정하고, 판정된 상태 등급을 이용하여 황폐계류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폐지수를 고려하여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판정하는 기준으로는 아래 <표2>와 같을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existence of the desolation mooring judging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determines a predetermined depletion mooring state grade according to the desolation index calculated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nd uses the determined state grade. The presence of desolate mooring can be determined. Considering the desolation index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desolation mooring status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may be as shown in Table 2 below.

황폐지수(Kb)Desolation Index (K b ) 유역 특성Watershed characteristics 등급ranking 0.8 ≤ Kb <0.8 ≤ K b < 황폐계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Very likely to exist desolate moorings 1One 0.6 ≤ Kb < 0.80.6 ≤ K b <0.8 황폐계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음Highly likely to exist desolate moorings 22 0.4 ≤ Kb < 0.60.4 ≤ K b <0.6 황폐계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지 않음(보통)Not likely to exist desolate mooring (usually) 33 0.2 ≤ Kb < 0.40.2 ≤ K b <0.4 황폐계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낮음Low probability of devastation 44 Kb < 0.2K b <0.2 황폐계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낮음Very unlikely to have desolate moorings 55

본 발명의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400)는 2등급까지를 황폐계류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3등급 내지 5등급은 황폐계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400)는 황폐계류 상태 등급이 3등급으로 판정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경우, 주기적으로 유역을 모니터링 해야 하는 지역으로서 지정할 수 있다.The desolation mooring determination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at there is a desolation mooring up to the second grade, grades 3 to 5 may be implemented to determine that there is no desolation mooring. In addition, the desolation mooring presence determination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designated as a region for periodically monitoring the watershed in the case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determined as the depletion mooring state grade 3 grad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500)는 S240 단계에서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400)에 의해 판단된 황폐계류 존재 여부에 따라 S250 단계에서 산림복원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일 예로,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500)는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400)가 판단한 결과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황폐계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야계사방(野溪砂防) 실시 대상 지역으로 결정 하고, 황폐계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야계사방 미실시 대상 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Next,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stablish a forest restoration plan in step S250 according to whether there is a desolation mooring determined by the existence of desolation mooring unit 400 in step S240. For example, if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500 determines that there is a desolation mooring 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s determined by the existence of the desolation mooring determination unit 400,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500 is a target area for performing the night killing.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solation mooring does not exist, it can be determined as a target area for the night birds.

이렇게, 본 발명의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500)는 분류된 산지 유형 및 황폐계류 존재 여부에 따라 사방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계획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As such,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plan model for performing all-round project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mountain type and the presence of desolate moorings.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500)는 야계사방 실시 대상 지역으로 결정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 미리 정해진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을 사방댐 설치 대상 지역으로 결정함에 따라, 산림복원 계획 모델을 생성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ed as the area subject to the night-floor managemen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human injury concern region,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When the restoration target area corresponds to the area of concern for human injury, the forest restoration planning model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the forest restoration area as the four-side dam installation area.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록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Al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n other word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each or some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a. In addi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such as a USB memory, a CD disk, a flash memory, and the like, and can be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rding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the lik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입력부
200: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
300: 산지 유형 분류부
400: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
500: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
100: input unit
200: Decision-making area for forest restoration
300: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400: determination of the existence of desolation mooring
500: forest restoration planning model generator

Claims (15)

산림을 복원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지역에 대한 사방 환경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후보 지역에 대한 사방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후보 지역을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황폐계류(torrential stream)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황폐계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림복원 계획 모델을 생성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ll-environmental information on at least one candidate region for restoring the forest;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ing unit which determines the candidate region as a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ccording to all-round environment information on the candidate region; And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torrent stream exists in the determined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nd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according to the determined waste stream;
Forest restoration planning model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방 환경 정보는 고도 정보, 경사도 정보 및 지상하천 또는 강우에 따른 유로와 관련된 유역(watershe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our-sided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es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device comprising altitude information, slope information and watersh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flow path according to the ground stream or rainf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는,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황폐계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는,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 내 유역(watershed)과 관련된 유역 정보를 고려하여 황폐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황폐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황폐계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desolation mooring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desolation mooring 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determined by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determination unit,
The desolation mooring determination unit,
A deforestation plan planning model gene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desolation index in consideration of the watersh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tershed (watershed) with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nd considering the calculated desolation index.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는,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하여 산출된 황폐지수에 따라 미리 정의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판정하는 황폐계류 상태 등급 판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는, 상기 판정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고려하여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esolation mooring determin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desolation mooring state rating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predefined desolation mooring state rating according to the desolation index calculated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further comprises set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of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desolation mooring state lev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황폐계류 존재 여부 판단부는,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 내 유역의 수계밀도(drainage density), 경계(boundary) 길이, 평균 고도, 투수계수, 침식계수, 면적 및 유역 내 조림지(plantation) 면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산출인자를 이용하여 상기 황폐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desolation mooring determination unit,
The desolation using at least one calculation factor of the drainage density, boundary length, average altitude, permeability coefficient, erosion coefficient, area and plantation area in the watershed in the watershed target area; Forest restoration planning model gener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index.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역의 수계밀도는, 유로 연장(river length), 지류 길이(tributary length) 및 유역 면적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watershed density of the watershed is a forest restoration planning model gene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ed using a river length (tributary length), the basin length (tributary length) and the watershed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는,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 결정부로부터 결정된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고려하여,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한 야계사방(野溪砂防) 실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Forest restoration plan,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carry out a night-time deadline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in consideration of the desolation mooring status grade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ed by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determination unit Model generation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부는,
상기 결정된 야계사방 실시 여부 결과에 따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야계사방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 미리 정해진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 상기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을 사방댐 설치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unit,
In the case of carrying out a night-time deadline 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of the night-time deadloc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arget area for forest restoratio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area of concern for human injury,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case of the area of concern for human injury, the forest restoration planning model gene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s a four-side dam installation targe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지역의 경사도 및 상기 후보 지역이 소속된 산지의 경사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미리 정의된 산지 유형을 분류하는 산지 유형 분류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후보 지역의 고도 및 상기 각 후보 지역이 소속된 산지의 경사가 향하는 방향을 기반으로 미리 정의된 산지 유형으로 분류하기 위한 산지 유형 분류 지표를 생성하는 지표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지 유형 분류부는, 상기 생성된 산지 유형 분류 지표를 기반으로 산림을 복원하고자 하는 또 다른 후보 지역의 산지 유형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mountain area type classification unit classifying a predefined mountain type according to a slope of the candidate area and a direction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to which the candidate area belongs; And
And an index generator for generating a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index for classifying into a predefined mountain type based on an altitude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andidate areas and a direction of a slope of a mountain to which each candidate area belongs.
The mountain range type classification unit,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lassifying the mountain type of another candidate region to restore the forest based on the generated mountain type classification index.
산림을 복원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지역에 대한 사방 환경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후보 지역에 대한 사방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후보 지역을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황폐계류(torrential stream)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황폐계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방법.
Receiving all-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candidate area for forest restoration;
Determining the candidate area as a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ccording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the candidate area; And
Determining whether a torrent stream exists in the determined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nd set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xistence of the waste stream;
Forest restoration planning model generation method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산림복원 대상 지역 내 유역(watershed)과 관련된 유역 정보를 고려하여 황폐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황폐지수를 기반으로 미리 정의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판정함에 따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황폐계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판정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고려하여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의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Setting the forest restoration plan,
A desolation index is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watersh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watershed 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nd a predetermined desolation mooring state grad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alculated desolation index.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mooring;
Determining the target area for forest restoration,
And set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depleted mooring state gra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한 황폐계류 상태 등급을 고려하여,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대한 야계사방(野溪砂防) 실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Setting the forest restoration plan,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carry out nocturnal obstruction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desolation mooring state grade for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reg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림복원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야계사방 실시 여부 결과에 따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에 야계사방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 미리 정해진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이 상기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산림복원 대상 지역을 사방댐 설치 대상 지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Setting the forest restoration plan,
In the case of carrying out a night-time deadline in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esult of the night-time deadloc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arget area for forest restoratio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area of concern for human injury,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the case of the area of concern for human injury, the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gener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the forest restoration target area as the four-side dam installation target are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지역의 고도 및 상기 후보 지역이 소속된 산지의 경사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미리 정의된 산지 유형을 분류하는 산지 유형 분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forest type classification step of classifying a predefined mountain range according to an elevation of the candidate region and a direction of the slope of the mountain region to which the candidate region belongs.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산림복원 계획 모델 생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 매체.A storage medium having a computer readable program recorded thereon for performing a method for generating a forest restoration plan mode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claims 10 to 14.
KR1020180101940A 2018-08-29 2018-08-29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nning model of forest restoration KR1021552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940A KR102155285B1 (en) 2018-08-29 2018-08-29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nning model of forest resto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940A KR102155285B1 (en) 2018-08-29 2018-08-29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nning model of forest resto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096A true KR20200025096A (en) 2020-03-10
KR102155285B1 KR102155285B1 (en) 2020-09-14

Family

ID=6980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940A KR102155285B1 (en) 2018-08-29 2018-08-29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nning model of forest resto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28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661A (en) * 2020-12-15 2022-06-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Reveget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lidar data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CN116297223A (en) * 2023-03-24 2023-06-23 南京大学 Forest deforestation recovery remote sensing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753A (en) 2022-06-14 2023-12-21 신태진건설주식회사 Forest Restoration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762A (en) * 2009-11-13 2011-05-19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Decis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 forest management based on a heuristic method
KR101441463B1 (en) 2014-02-04 2014-09-17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FOREST RESOURCES CLASSIFICATION SYSTEM APPLIED METHOD FOR SORTING FOREST RESOURCES WITH AIRSHOOTING LiDAR
KR101588319B1 (en) * 2014-11-25 2016-01-25 대한민국 Apparatus for evaluating dredge of debris barrier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762A (en) * 2009-11-13 2011-05-19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Decis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 forest management based on a heuristic method
KR101441463B1 (en) 2014-02-04 2014-09-17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FOREST RESOURCES CLASSIFICATION SYSTEM APPLIED METHOD FOR SORTING FOREST RESOURCES WITH AIRSHOOTING LiDAR
KR101588319B1 (en) * 2014-11-25 2016-01-25 대한민국 Apparatus for evaluating dredge of debris barrier and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은재. GIS를 이용한 산지계류의 황폐위험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림과학부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년 8월, pp.1-59 (2012.08.)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661A (en) * 2020-12-15 2022-06-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Reveget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lidar data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CN116297223A (en) * 2023-03-24 2023-06-23 南京大学 Forest deforestation recovery remote sensing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16297223B (en) * 2023-03-24 2023-11-21 南京大学 Forest deforestation recovery remote sensing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285B1 (en)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50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lanning model of forest restoration
Gornitz et al. Enhancing New York City's resilience to sea level rise and increased coastal flooding
Nikam et al. SVM-based model for short-term rainfall forecasts at a local scale in the Mumbai urban area, India
Ribeiro Neto et al. Methodologies for generation of hazard indicator maps and flood prone areas: municipality of Ipojuca/PE.
Sanuy et al. Probabilistic characterisation of coastal storm-induced risks using Bayesian networks
Dewata et al. Management of flood hazard areas in pasaman river basin of west pasaman regency west sumatra province
Kansal et al. Hotspot identification for urban flooding in a satellite town of National Capital Region of India
De Leo et al. Coastal erosion triggered by political and socio-economical abrupt changes: The case of Lalzit Bay, Albania
Hasan et al. Use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assess flood susceptibility in the coastal area of Bangladesh
Sidek et al. Towards impact-based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in Malaysia: A case study at Kelantan river
Alam et al. Comparative assessment of urban flood risks due to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in the turnhout valley of Belgium
Diman et al. Dam flooding caused a prolonged flooding
Naharuddin et al. Soil loss estimation for conservation planning in the Dolago Watershed Central Sulawesi, Indonesia
Chubey et al. Integration of RADARSAT and GIS modelling for estimating future Red River flood risk
Fitrian et al. The potential for flooding in Koro Bakara watershed area, East Luwu due to the land conversion
Cheng et al.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tidal flat landscape patterns and driving forces in the Yangtze River Delta, China
Wood et al. Current and future sinkhole susceptibility in karst and pseudokarst areas of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Andriani et al. Optimization of land use to reduce surface runoff and erosion in kuranji watershed
Falihin et al. The Mapping Flood Vulnerability Level at Lilirilau, Soppeng Regency
Davies et al. Multi-Hazard Risk Model, Flooding Case Study: Selection of River System and Potential Hazard Cascades.
Logan Global warming and the Sacramento-San Joaquin delta
Kamin et al.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pplication for flood prediction at Sungai Sembrong
Bukari et al. Flood Prone Areas Detection Through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nd Water Balance Model in Batu Pahat
Onwuka et al. Analyse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various measures employed by people in the control of flooding in six communities in Awka Anambra State of Nigeria
Galderisi et al. The RI. PRO VA. RE Project. A Risk Mitigation Approach to Support the Regeneration of Inland Are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