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168A - 강화된 영역별 패킹 및 뷰포트 독립적 hevc 미디어 프로파일 - Google Patents

강화된 영역별 패킹 및 뷰포트 독립적 hevc 미디어 프로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168A
KR20200024168A KR1020197038960A KR20197038960A KR20200024168A KR 20200024168 A KR20200024168 A KR 20200024168A KR 1020197038960 A KR1020197038960 A KR 1020197038960A KR 20197038960 A KR20197038960 A KR 20197038960A KR 20200024168 A KR20200024168 A KR 20200024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packed
region
width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999B1 (ko
Inventor
예-쿠이 왕
토마스 슈토크하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24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4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the reformatt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only on part of the stream, e.g. a region of the image or a time se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06Content authoring involving a specific file format, e.g. MP4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비디오 파일 내의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1 사이즈 및 제 1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1 세트 및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2 사이즈 및 제 2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값들의 제 1 세트 및 값들의 제 2 세트는 언패킹된 픽처의 좌측-상단 코너 루마 샘플에 대한 상대적 유닛들인,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고; 제 1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1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고; 제 1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고; 제 2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2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고; 그리고 제 2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강화된 영역별 패킹 및 뷰포트 독립적 HEVC 미디어 프로파일
본 출원은:
2018년 7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6/030,585호,
2017년 7월 10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30,525호, 및
2017년 7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32,698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들 각각의 전체 내용은 이로써 참조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저장 및 전송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능력들은 디지털 텔레비전들, 디지털 직접 브로드캐스트 시스템들, 무선 브로드캐스트 시스템들, 개인 디지털 보조기들 (PDA들),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들, 디지털 카메라들, 디지털 레코딩 디바이스들,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들, 비디오 게이밍 디바이스들, 비디오 게임 콘솔들, 셀룰러 또는 위성 무선 전화기들, 비디오 텔레컨퍼런싱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디바이스들에 통합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디바이스들은 MPEG-2, MPEG-4, ITU-T H.263 또는 ITU-T H.264/MPEG-4, 파트 10, 어드밴스드 비디오 코딩 (AVC), ITU-T H.265 (또한 고 효율 비디오 코딩 (HEVC) 으로도 지칭됨) 에 의해 정의된 표준들, 및 그러한 표준들의 확장들에서 기술된 기법들과 같은 비디오 압축 기법들을 구현하여, 디지털 비디오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송신 및 수신한다.
비디오 데이터가 인코딩된 후에, 비디오 데이터는 송신 또는 저장을 위해 패킷화될 수도 있다. 비디오 데이터는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 및 그 확장들, 이를 테면 AVC 와 같은 임의의 다양한 표준들에 부합하는 비디오 파일로 어셈블링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미디어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 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역별 패킹 (region-wise packing) 에 관련된 기법들을 기술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은, 비디오 파일 내의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1 사이즈 및 제 1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1 세트 및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2 사이즈 및 제 2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값들의 제 1 세트 및 값들의 제 2 세트는 제 1 패킹된 영역 및 제 2 패킹된 영역을 포함하는 언패킹된 픽처의 좌측-상단 코너 루마 샘플에 대한 상대적 유닛들 (in relative units) 인,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1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는 단계; 제 1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제 2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2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는 단계; 및 제 2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회로부 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비디오 파일 내의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1 사이즈 및 제 1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1 세트 및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2 사이즈 및 제 2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값들의 제 1 세트 및 값들의 제 2 세트는 제 1 패킹된 영역 및 제 2 패킹된 영역을 포함하는 언패킹된 픽처의 좌측-상단 코너 루마 샘플에 대한 상대적 유닛들인,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고; 제 1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1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고; 제 1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고; 제 2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2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고; 그리고 제 2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명령들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비디오 파일 내의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1 사이즈 및 제 1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1 세트 및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2 사이즈 및 제 2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게 하는 것으로서, 값들의 제 1 세트 및 값들의 제 2 세트는 제 1 패킹된 영역 및 제 2 패킹된 영역을 포함하는 언패킹된 픽처의 좌측-상단 코너 루마 샘플에 대한 상대적 유닛들인,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게 하고; 제 1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1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게 하고; 제 1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게 하고; 제 2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2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게 하고; 그리고 제 2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게 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미디어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비디오 파일 내의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1 사이즈 및 제 1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1 세트 및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2 사이즈 및 제 2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값들의 제 1 세트 및 값들의 제 2 세트는 제 1 패킹된 영역 및 제 2 패킹된 영역을 포함하는 언패킹된 픽처의 좌측-상단 코너 루마 샘플에 대한 상대적 유닛들인,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제 1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1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기 위한 수단; 제 1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 제 2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2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예들의 상세들은 첨부 도면들 및 이하의 설명에서 기재된다. 다른 피처들, 목적들, 및 이점들은 설명 및 도면들로부터, 그리고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기법들을 구현하는 예의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취출 유닛의 컴포넌트들의 예의 세트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전방향 미디어 포맷 (Omnidirectional Media Format; OMAF) 에 대한 영역별 패킹 (RWP) 의 2 개의 예들을 예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엘리먼트들을 예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는 예의 비디오 파일의 엘리먼트들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기법들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는 예의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개시의 기법들은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 (ISOBMFF), ISOBMFF 에 대한 확장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Scalable Video Coding; SVC) 파일 포맷, 어드밴스드 비디오 코딩 (Advanced Video Coding; AVC) 파일 포맷, 고 효율 비디오 코딩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파일 포맷,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파일 포맷, 및/또는 멀티뷰 비디오 코딩 (Multiview Video Coding; MVC) 파일 포맷, 또는 다른 비디오 파일 포맷들 중 임의의 것에 따라 캡슐화된 비디오 데이터에 부합하는 비디오 파일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ISO BMFF 의 초안은, phenix.int-evry.fr/mpeg/doc_end_user/documents/111_Geneva/wg11/w15177-v6-w15177.zip 으로부터 입수가능한, ISO/IEC 14496-12 에서 특정된다. 다른 예의 파일 포맷, MPEG-4 파일 포맷의 초안은, wg11.sc29.org/doc_end_user/documents/115_Geneva/wg11/w16169-v2-w16169.zip 으로부터 입수가능한, ISO/IEC 14496-15 에서 특정된다.
ISOBMFF 는, AVC 파일 포맷과 같은 다수의 코덱 캡슐화 포맷들, 뿐만 아니라 MPEG-4 파일 포맷, 3GPP 파일 포맷 (3GP), 및 디지털 비디오 브로드캐스팅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 파일 포맷과 같은 다수의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포맷들에 대한 기초로서 사용된다.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은 연속적인 미디어에 더하여, 이미지들과 같은 정적 미디어, 뿐만 아니라 메타데이터는 ISOBMFF 에 부합하는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ISOBMFF 에 따라 구조화된 파일들은, 로컬 미디어 파일 플레이백, 원격 파일의 점진적 다운로딩,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에 대한 세그먼트들, 스트리밍될 콘텐츠 및 그 패킷화 명령들에 대한 컨테이너들, 및 수신된 실시간 미디어 스트림들의 레코딩을 포함하여 다수의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박스는, 4 문자 코딩된 박스 타입, 박스의 바이트 카운트, 및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ISOBMFF 에서의 기본 신택스 구조이다. ISOBMFF 파일은 박스들의 시퀀스를 포함하고, 박스들은 다른 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ISOBMFF 에 따르면, Movie 박스 ("moov") 는 파일에 존재하는 연속적인 미디어 스트림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미디어 스트림은 트랙으로서 파일에서 표현된다. ISOBMFF 에 대해, 트랙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Track 박스 ("trak") 에 인클로징되는 한편, 트랙의 미디어 콘텐츠는 Media Data 박스 ("mdat") 에 인클로징되거나 또는 별도의 파일에서 직접 제공되거나 한다. 트랙들에 대한 미디어 콘텐츠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액세스 유닛들과 같은 샘플들의 시퀀스를 포함한다.
ISOBMFF 는 다음의 타입들의 트랙들을 특정한다: 기본 미디어 스트림을 포함하는 미디어 트랙, 미디어 송신 명령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수신된 패킷 스트림을 표현하는 힌트 트랙, 및 시간-동기화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타이밍된 (timed) 메타데이터 트랙.
원래 저장용으로 설계되었지만, ISOBMFF 는 스트리밍을 위해, 예를 들어, 점진적 다운로드 또는 DASH 를 위해 매우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스트리밍 목적들을 위해, ISOBMFF 에 정의된 무비 프래그먼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트랙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트랙에서 사용되는 코딩 또는 캡슐화 포맷 및 그 포맷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화 데이터를 각각 제공하는 샘플 디스크립션 엔트리들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샘플은 트랙의 샘플 디스크립션 엔트리들 중 하나와 연관된다.
ISOBMFF 는 다양한 메커니즘들로 샘플-특정 메타데이터를 특정하는 것을 인에이블한다. Sample Table 박스 ("stbl") 내의 특정 박스들은 공통 요구에 응답하도록 표준화되었다. 예를 들어, Sync Sample 박스 ("stss") 는 트랙의 랜덤 액세스 샘플들을 리스팅하는데 사용된다. 샘플 그룹화 메커니즘은, 파일에서의 샘플 그룹 디스크립션 엔트리로서 특정된 동일한 특성을 공유하는 샘플들의 그룹들로의 4 문자 그룹화 타입에 따른 샘플들의 맵핑을 인에이블한다. 여러 그룹화 타입들이 ISOBMFF 에서 특정되었다.
가상 현실 (VR) 은, 몰입된 사용자의 움직임들에 의해 상관된 자연적인 및/또는 합성의 이미지들 및 사운드들의 렌더링에 의해 생성된 가상의, 비-물리적 세계에서 가상적으로 존재하여, 그 가상의 세계와 상호작용하게 하는 능력이다. 헤드 장착식 디스플레이들 (HMD) 및 VR 비디오 (종종 360 도 비디오로도 또한 지칭됨) 생성과 같은 렌더링 디바이스들에서 이루어진 최근의 진보로, 상당한 품질의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VR 애플리케이션들은 게이밍, 트레이닝, 교육, 스포츠 비디오, 온라인 쇼핑, 엔트레인먼트 등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VR 시스템은 다음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다음의 단계들을 수행한다:
1) 카메라 세트, 이는 카메라 세트 주위의 모든 뷰포인트들을 이상적으로는 집합적으로 커버하는, 상이한 방향들을 포인팅하는 다중 개개의 카메라들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2) 이미지 스티칭, 여기서, 다중 개개의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 픽처들은, 구형 비디오가 되도록, 시간 도메인에서 동기화되고 공간 도메인에서 스티칭되지만, 장방형 포맷, 이를 테면 (세계 지도와 같은) 등장방형 (equi-rectangular) 또는 큐브 맵으로 맵핑된다.
3) 맵핑된 장방형 포맷의 비디오는 비디오 코덱, 예를 들어, H.265/HEVC 또는 H.264/AVC 를 사용하여 인코딩/압축된다.
4) 압축된 비디오 비트스트림(들)은 미디어 포맷으로 저장 및/또는 캡슐화되고, (가능하게는, 때때로 뷰포트로 지칭되는, 사용자에 의해 보여지는 에어리어를 커버하는 서브세트만)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에 송신될 수도 있다.
5) 수신 디바이스는, 가능하게는 파일 포맷으로 캡슐화된 비디오 비트스트림(들) 또는 그 부분을 수신하고, 디코딩된 비디오 신호 또는 그 부분을 렌더링 디바이스 (수신 디바이스와 동일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도 있음) 로 전송한다.
6) 렌더링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헤드 장착식 디스플레이 (HMD) 일 수 있으며, HMD 는 머리 움직임 및 심지어 눈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고, 몰입 경험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비디오의 대응하는 부분을 렌더링할 수도 있다.
360 도 비디오 및 연관된 오디오를 가진 VR 애플리케이션들에 초점을 맞춘, 전방향 미디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인에이블하는 미디어 포맷을 정의하기 위해, 전방향 미디어 포맷 (OMAF) 이 동영상 전문가 그룹 (MPEG) 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 OMAF 는 구형 또는 360 도 비디오의 2 차원 장방형 비디오로의 변환, 그 다음,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 (ISOBMFF) 을 사용하여 전방향 미디어 및 연관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방법과 DASH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를 사용하여 전방향 미디어를 캡슐화, 시그널링, 및 스트리밍하기 위한 방법, 및 마지막으로, 어느 비디오 및 오디오 코덱들, 뿐만 아니라 미디어 코딩 구성들이 전방향 미디어 신호의 압축 및 플레이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젝션 방법들의 리스트를 특정한다. OMAF 는 ISO/IEC 23090-2 가 될 예정이며, 초안 사양은 wg11.sc29.org/doc_end_user/documents/119_Torino/wg11/m40849-v1-m40849_OMAF_text_Berlin_output.zip 으로부터 입수가능하다.
DASH 와 같은 HTTP 스트리밍 프로토콜들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동작들은 HEAD, GET, 및 부분 GET 을 포함한다. HEAD 동작은 주어진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또는 유니폼 리소스 이름 (uniform resource name; URN) 과 연관된 파일의 헤더를, 그 URL 또는 URN 과 연관된 페이로드를 취출하지 않고, 취출한다. GET 동작은 주어진 URL 또는 URN 과 연관된 전체 파일을 취출한다. 부분 GET 동작은 입력 파라미터로서 바이트 범위를 수신하고 파일의 연속적인 수의 바이트들을 취출하며, 여기서, 바이트들의 수는 수신된 바이트 범위에 대응한다. 따라서, 무비 프래그먼트들은 HTTP 스트리밍을 위해 제공될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부분 GET 동작이 하나 이상의 개개의 무비 프래그먼트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무비 프래그먼트에 있어서, 상이한 트랙들의 여러 트랙 프래그먼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HTTP 스트리밍에 있어서,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은, 클라이언트에 액세스가능한 데이터의 구조화된 컬렉션일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해 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요청 및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DASH 는 ISO/IEC 23009-1 에서 특정되고,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표준이다. ISO/IEC 23009-1 은, 매니페스트 또는 매니페스트 파일로도 알려진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디스크립션 (MPD) 의 포맷, 및 미디어 세그먼트 포맷들을 주로 특정한다. MPD 는 서버에서 이용가능한 미디어를 기술하고 DASH 클라이언트가 적절한 미디어 시간에 적절한 미디어 버전을 자율적으로 다운로드하게 한다.
HTTP 스트리밍을 사용하여 3GPP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다중 리프리젠테이션 (representation) 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이한 리프리젠테이션들은 상이한 코딩 특성들 (예를 들어, 비디오 코딩 표준의 상이한 프로파일들 또는 레벨들), (멀티뷰 및/또는 스케일러블 확장들과 같은) 상이한 코딩 표준들 또는 코딩 표준들의 확장들, 또는 상이한 비트레이트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그러한 리프리젠테이션들의 매니페스트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디스크립션 (MPD) 데이터 구조에 정의될 수도 있다.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은 HTTP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액세스가능한 데이터의 구조화된 컬렉션에 대응할 수도 있다. HTTP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해 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요청 및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은, MPD 의 업데이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MPD 데이터 구조에서 기술될 수도 있다.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Period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주기는 다음 Period 의 시작까지, 또는 마지막 주기의 경우에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끝까지 연장할 수도 있다. 각각의 주기는 동일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하나 이상의 리프리젠테이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프리젠테이션은 오디오, 비디오, 타이밍된 텍스트, 또는 다른 그러한 데이터의 다수의 대안적인 인코딩된 버전들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리프리젠테이션들은 인코딩 타입들에 의해,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비트레이트, 해상도, 및/또는 코덱과,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비트레이트, 언어, 및/또는 코덱에 의해 상이할 수도 있다. 용어 리프리젠테이션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정한 주기에 대응하고 특정한 방식으로 인코딩되는 인코딩된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섹션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특정한 주기의 리프리젠테이션들은, 리프리젠테이션들이 속하는 적응 세트를 나타내는 MPD 에서의 속성에 의해 표시된 그룹에 할당될 수도 있다. 동일한 적응 세트에서의 리프리젠테이션들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대역폭 적응을 수행하기 위해, 이들 리프리젠테이션들 사이를 동적으로 그리고 심리스로 스위칭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에 대한 대안들로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특정한 주기 동안의 비디오 데이터의 각각의 리프리젠테이션은 동일한 적응 세트에 할당될 수도 있어서, 그 리프리젠테이션들 중 임의의 리프리젠테이션이 대응하는 주기 동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미디어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한 디코딩을 위해 선택될 수도 있다. 하나의 주기 내의 미디어 콘텐츠는, 일부 예들에 있어서, 존재한다면, 그룹 0 으로부터의 하나의 리프리젠테이션, 또는 각각의 비-제로 그룹으로부터의 많아야 하나의 리프리젠테이션의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주기의 각각의 리프리젠테이션에 대한 타이밍 데이터는 그 주기의 시작 시간에 대해 표현될 수도 있다.
리프리젠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리프리젠테이션은 초기화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리프리젠테이션의 각각의 세그먼트는 자체 초기화될 수도 있다. 존재하는 경우, 초기화 세그먼트는 리프리젠테이션에 액세스하기 위한 초기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초기화 세그먼트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세그먼트는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 (URL), 유니폼 리소스 이름 (URN), 또는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와 같은 식별자에 의해 고유하게 참조될 수도 있다. MPD 는 각각의 세그먼트에 대해 식별자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MPD 는 또한, URL, URN, 또는 URI 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파일 내의 세그먼트에 대한 데이터에 대응할 수도 있는 범위 속성의 형태로 바이트 범위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이한 리프리젠테이션들이 상이한 타입들의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실질적으로 동시 취출을 위해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세그먼트들을 취출할 오디오 리프리젠테이션, 비디오 리프리젠테이션, 및 타이밍된 텍스트 리프리젠테이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대역폭 적응을 수행하기 위한 특정한 적응 세트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즉,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비디오 리프리젠테이션들을 포함하는 적응 세트, 오디오 리프리젠테이션들을 포함하는 적응 세트, 및/또는 타이밍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적응 세트를 선택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소정의 타입들의 미디어 (예를 들어, 비디오) 를 위한 적응 세트들을 선택하고, 다른 타입들의 미디어 (예를 들어, 오디오 및/또는 타이밍된 텍스트) 를 위한 리프리젠테이션들을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DASH 기반 HTTP 스트리밍의 통상적인 절차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 DASH 클라이언트가 스트리밍 콘텐츠, 예를 들어, 무비의 MPD 를 획득한다. MPD 는 상이한 대안적인 리프리젠테이션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스트리밍 콘텐츠의, 비트 레이트, 비디오 해상도, 프레임 레이트, 오디오 언어, 뿐만 아니라 HTTP 리소스들 (초기화 세그먼트 및 미디어 세그먼트들) 의 URL들을 포함한다.
2) MPD 에서의 정보와 DASH 클라이언트에 이용가능한 로컬 정보, 예를 들어 네트워크 대역폭, 디코딩/디스플레이 능력들, 및 사용자 선호들에 기초하여, DASH 클라이언트는 한 번에 하나의 세그먼트 (또는 그 부분) 씩, 원하는 리프리젠테이션(들)을 요청한다.
3) DASH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대역폭 변경을 검출하는 경우, 그것은 이상적으로는 랜덤 액세스 포인트로 시작하는 세그먼트로부터 시작하는, 더 나은 매칭 비트레이트를 가진 상이한 리프리젠테이션의 세그먼트들을 요청한다.
HTTP 스트리밍 "세션" 동안, 과거 위치로 뒤로 또는 미래 위치로 앞으로 탐색하라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DASH 클라이언트는 원하는 위치에 가깝고 그리고 이상적으로는 랜덤 액세스 포인트로 시작하는 세그먼트부터 시작하는 과거 또는 미래의 세그먼트들을 요청한다. 사용자는 또한 인트라 코딩된 비디오 픽처들만을 또는 비디오 스트림의 시간 서브세트만을 디코딩하는데 충분한 데이터를 요청함으로써 실현될 수도 있는, 콘텐츠를 고속 포워딩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DASH 사양의 섹션 5.3.3.1 은 다음과 같이 Preselection 을 기술한다:
Preselection 의 개념은 상이한 Adaptation Set들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엘리먼트들의 적합한 조합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NGA (Next Generation Audio) 코덱들의 목적을 위해 주로 동기부여된다. 그러나, Preselection 개념은 그것이 확장되고 또한 다른 미디어 타입들 및 코덱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방식으로 도입된다.
각각의 Preselection 은 번들에 연관된다. 번들은 단일 디코더 인스턴스에 의해 공동으로 소비될 수도 있는 엘리먼트들의 세트이다. 엘리먼트들은 번들의 어드레스가능한 및 분리가능한 컴포넌트들이고 Preselection들의 사용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동적으로 선택 또는 선택해제될 수도 있다. 엘리먼트들은 1-대-1 맵핑에 의해 또는 단일 Adaptation Set들에의 다중 엘리먼트들의 포함에 의해 Adaptation Set들로 맵핑된다. 더욱이, 하나의 Adaptation Set 에서의 Representation들은 기본 스트림 레벨에서 또는 파일 컨테이너 레벨에서 멀티플렉싱되는 다중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멀티플렉싱 경우에서, 각각의 엘리먼트는 DASH 섹션 5.3.4 에 정의된 바와 같이 Media Content 컴포넌트로 맵핑된다. 따라서, 번들에서의 각각의 엘리먼트는 Media Content 컴포넌트의 @id 에 의해, 또는 단일 엘리먼트만이 Adaptation Set 에 포함된 경우에는, Adaptation Set 의 @id 에 의해 식별 및 참조된다.
각각의 번들은 디코더 특정 정보를 포함하고 디코더를 부트스트랩하는 메인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메인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Adaptation Set 는 메인 Adaptation Set 로 지칭된다. 메인 엘리먼트는 번들에 연관되는 임의의 Preselection 에 항상 포함될 것이다. 추가로, 각각의 번들은 하나 또는 다중 부분 Adaptation Set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분 Adaptation Set들은 단지 메인 Adaptation Set 와 결합하여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Preselection 은 공동으로 소비될 것으로 예상되는 번들에서의 엘리먼트들의 서브세트를 정의한다. Preselection 은 디코더에 대한 고유 태그에 의해 식별된다. 다중 Preselection 인스턴스들은 번들에서의 스트림들의 동일한 세트를 지칭할 수 있다. 단지 동일한 번들의 엘리먼트들은 Preselection 의 디코딩 및 렌더링에 기여할 수 있다.
차세대 오디오의 경우에, Preselection 은 완전한 오디오 경험을 생성하기 위한 게인, 공간 로케이션과 같은 하나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파라미터들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오디오 엘리먼트들과 연관되는 개인화 옵션이다. Preselection 은 전통적인 오디오 코덱들을 사용하는 완전한 믹스들을 포함하는 NGA-등가의 대안적인 오디오 트랙들로서 고려될 수 있다.
번들, Preselection, 메인 엘리먼트, 메인 Adaptation Set 및 부분 Adaptation Set들은 2 개의 의미들 중 하나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01
사전설정 디스크립터는 DASH 섹션 5.3.11.2 에 정의되어 있다. 그러한 디스크립터는 간단한 셋업들 및 하위 호환성을 인에이블하지만, 고급 사용 사례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Figure pct00002
사전설정 엘리먼트는 DASH 섹션들 5.3.11.3 및 5.3.11.4 에 정의되어 있다. Preselection 엘리먼트의 시맨틱스는 DASH 섹션 5.3.11.3 에서의 표 17c 에서 제공되고, XML 신택스는 DASH 섹션 5.3.11.4 에서 제공된다.
양자 모두의 방법들을 사용한 도입된 개념들의 인스턴스화는 다음에서 제공된다.
양자 모두의 경우들에서, Adaptation Set 가 메인 Adaptation Set 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Essential 디스크립터가 DASH 섹션 5.3.11.2 에 정의된 바와 같이 @schemeIdURI 와 함께 사용될 것이다.
DASH 사양은 또한, 다음과 같이 사전설정 디스크립터를 기술한다:
스킴은 "urn:mpeg:dash:preselection:2016" 으로서 Essential Descriptor 로 사용되도록 정의된다. Descriptor 의 값은 콤마에 의해 분리된, 2 개의 필드들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3
Preselection 의 태그
Figure pct00004
프로세싱 순서로 백색 공간 분리된 리스트로서 이 Preselection 리스트의 포함된 엘리먼트들/콘텐츠 컴포넌트들의 id. 제 1 id 는 메인 엘리먼트를 정의한다.
Adaptation Set 가 메인 엘리먼트를 포함하면, Supplemental 디스크립터가 Adaptation Set 에서의 포함된 Preselection들을 기술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Adaptation Set 가 메인 엘리먼트를 포함하지 않으면, Essential Descriptor 가 사용될 것이다.
번들은 동일한 메인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모든 Preselection들에 포함되는 모든 엘리먼트들에 의해 내재적으로 정의된다. Preselection들은 Preselection 에 포함되는 엘리먼트들의 각각에 할당되는 메타데이터에 의해 정의된다. 이 시그널링은 기본 사용 사례를 위해 간단할 수도 있지만 모든 사용 사례에 전체 커버리지를 제공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에 주의한다. 따라서, Preselection 엘리먼트는 보다 고급 사용 사례를 커버하기 위해 DASH 섹션 5.3.11.3 에 도입된다.
DASH 사양은 또한, 다음과 같이 사전선택 엘리먼트의 시맨틱스를 기술한다:
Preselection 디스크립터에 대한 확장으로서, Preselection들은 또한, 표 17d 에서 제공된 바와 같이 Preselection 엘리먼트를 통해 정의될 수도 있다. Preselection들의 선택은 Preselection 엘리먼트에서의 포함된 속성들 및 엘리먼트들에 기초한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rame Packing 에 대하여, DASH 의 섹션 5.8.4.6 은 다음과 같이 Preselection 을 특정한다:
엘리먼트 FramePacking 에 대해, @schemeIdUri 속성은 채용된 프레임-패킹 구성 스킴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다중 FramePacking 엘리먼트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만약 그렇다면, 각각의 엘리먼트는 기술된 Representation들을 선택 또는 거절하기 위한 충분한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주의: 모든 FramePacking 엘리먼트들에 대한 스킴 또는 값이 인식되지 않으면 DASH 클라이언트는 기술된 Representation들을 무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클라이언트는 FramePacking 엘리먼트를 관찰하는 것을 기반으로 Adaptation Set 를 거절할 수도 있다.
디스크립터는 ISO/IEC 23001-8 에서 VideoFramePackingType 에 대해 정의된 URN 라벨 및 값들을 사용하여 프레임-패킹 스킴들을 반송할 수도 있다.
주의: ISO/IEC 23009 의 이 부분은 또한 DASH 섹션 5.8.5.6 에 프레임-패킹 스킴들을 정의한다. 이들 스킴들은 하위 호환성을 위해 유지되지만, ISO/IEC 23001-8 에 정의된 바와 같이 시그널링을 사용하도록 추천된다.
비디오 데이터는 다양한 비디오 코딩 표준들에 따라 인코딩될 수도 있다. 그러한 비디오 코딩 표준들은 ITU-T H.261, ISO/IEC MPEG-1 비주얼, ITU-T H.262 또는 ISO/IEC MPEG-2 비주얼, ITU-T H.263, ISO/IEC MPEG-4 비주얼, ITU-T H.264 또는 ISO/IEC MPEG-4 AVC (그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SVC) 및 멀티뷰 비디오 코딩 (MVC) 확장들을 포함함), 및 ITU-T H.265 및 ISO/IEC 23008-2 로서 또한 알려진 고 효율 비디오 코딩 (HEVC) (그 스케일러블 코딩 확장 (즉, 스케일러블 고 효율 비디오 코딩, SHVC) 및 멀티뷰 확장 (즉, 멀티뷰 고 효율 비디오 코딩, MV-HEVC) 을 포함함) 을 포함한다.
도 1 은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하기 위한 기법들을 구현하는 예의 시스템 (10) 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 예에서, 시스템 (10) 은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서버 디바이스 (60),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와 서버 디바이스 (60) 는 인터넷을 포함할 수도 있는 네트워크 (74) 에 의해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와 서버 디바이스 (60) 는 또한, 네트워크 (74) 또는 다른 네트워크에 의해 커플링될 수도 있거나, 또는 직접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와 서버 디바이스 (60) 는 동일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서의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는 오디오 소스 (22) 및 비디오 소스 (24) 를 포함한다. 오디오 소스 (22) 는, 예를 들어, 오디오 인코더 (26) 에 의해 인코딩될 캡처된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들을 생성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오디오 소스 (22) 는 이전에 레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 컴퓨터화된 합성기와 같은 오디오 데이터 생성기, 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임의의 다른 소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소스 (24) 는 비디오 인코더 (28) 에 의해 인코딩될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카메라, 이전에 레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로 인코딩된 저장 매체, 컴퓨터 그래픽스 소스와 같은 비디오 데이터 생성 유닛,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임의의 다른 소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는 모든 예들에서 서버 디바이스 (60) 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필요는 없지만, 서버 디바이스 (60) 에 의해 판독되는 별도의 매체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원시 (raw)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데이터는 오디오 인코더 (26) 및/또는 비디오 인코더 (28) 에 의해 인코딩되기 전에 디지털화될 수도 있다. 오디오 소스 (22) 는 발화 (speaking) 참가자가 말하는 동안 발화 참가자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고, 비디오 소스 (24) 는 동시에, 발화 참가자의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오디오 소스 (22) 는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비디오 소스 (24) 는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개시에서 기술된 기법들은 라이브, 스트리밍, 실시간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또는 아카이브된 (archived), 사전-레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비디오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오디오 프레임들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프레임들 내에 포함되는 비디오 소스 (24) 에 의해 캡처된 (또는 생성된) 비디오 데이터와 동시에 오디오 소스 (22) 에 의해 캡처되었던 (또는 생성되었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프레임들이다. 예를 들어, 발화 참가자가 일반적으로 발화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안, 오디오 소스 (22) 는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고, 비디오 소스 (24) 는 동시에, 즉, 오디오 소스 (22) 가 오디오 데이터를 캡처하고 있는 동안, 발화 참가자의 비디오 데이터를 캡처한다. 이런 이유로, 오디오 프레임이 하나 이상의 특정한 비디오 프레임들에 시간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오디오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가 동시에 캡처되었고 오디오 프레임 및 비디오 프레임이 각각, 동시에 캡처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황에 대응한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오디오 인코더 (26) 는,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가 레코딩되었던 시간을 나타내는 각각의 인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에서의 타임스탬프를 인코딩할 수도 있고, 그리고 유사하게, 비디오 인코더 (28) 는 인코딩된 비디오 프레임에 대한 비디오 데이터가 레코딩되었던 시간을 나타내는 각각의 인코딩된 비디오 프레임에서의 타임스탬프를 인코딩할 수도 있다. 그러한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오디오 프레임은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오디오 프레임 및 동일한 타임스탬프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는 내부 클록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내부 클록으로부터 오디오 인코더 (26) 및/또는 비디오 인코더 (28) 는 타임스탬프들을 생성할 수도 있거나, 또는, 오디오 소스 (22) 및 비디오 소스 (24) 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각각 타임스탬프와 연관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오디오 소스 (22) 는 오디오 데이터가 레코딩되었던 시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오디오 인코더 (26) 로 전송할 수도 있고, 비디오 소스 (24) 는 비디오 데이터가 레코딩되었던 시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비디오 인코더 (28) 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오디오 인코더 (26) 는,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의 상대적 시간 순서화를 표시하기 위해, 하지만 그 오디오 데이터가 레코딩되었던 절대적 시간을 반드시 표시할 필요는 없이,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에서 시퀀스 식별자를 인코딩할 수도 있고, 유사하게, 비디오 인코더 (28) 는 또한,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상대적 시간 순서화를 표시하기 위해 시퀀스 식별자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시퀀스 식별자는 타임스탬프와 맵핑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상관될 수도 있다.
오디오 인코더 (26) 는 일반적으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을 생성하는 한편, 비디오 인코더 (28)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의 스트림을 생성한다. 데이터 (오디오든 비디오든) 의 각 개개의 스트림은 기본 스트림 (elementary stream) 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기본 스트림은 리프리젠테이션의 단일의, 디지털로 코딩된 (가능하게는 압축된) 컴포넌트이다. 예를 들어, 리프리젠테이션의 코딩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부분은 기본 스트림일 수 있다. 기본 스트림은 비디오 파일 내에 캡슐화되기 전에 패킷화된 기본 스트림 (PES) 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동일한 리프리젠테이션 내에서, 스트림 ID 는 하나의 기본 스트림에 속하는 PES 패킷들을 다른 것으로부터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기본 스트림의 데이터의 기본 유닛은 패킷화된 기본 스트림 (PES) 패킷이다. 따라서,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기본 비디오 스트림들에 대응한다. 유사하게는, 오디오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개별의 기본 스트림들에 대응한다.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는, 비디오 소스 (24) 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구형 비디오 데이터를 캡처 및/또는 생성 (예를 들어, 렌더링) 함으로써, 구형 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구형 비디오 데이터는 또한 프로젝팅된 비디오 데이터로 지칭될 수도 있다.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는 인코딩, 프로세싱, 및 전송의 용이함을 위해 프로젝팅된 비디오 데이터 (또는 구형 비디오 데이터) 로부터 패킹된 비디오 데이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예가 이하 도 3 에 도시된다.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는 상기 기술된 방식으로 다양한 패킹된 영역들의 위치들 및 사이즈들을 정의하는 영역별 패킹 박스 (RWPB) 를 생성할 수도 있다.
ITU-T H.264/AVC 및 도래하는 고 효율 비디오 코딩 (HEVC) 표준과 같은 많은 비디오 코딩 표준들은, 에러 없는 비트스트림들을 위한 신택스, 시맨틱스, 및 디코딩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그것들 중의 어떤 것은 소정의 프로파일 또는 레벨에 부합한다. 비디오 코딩 표준들은 통상적으로, 인코더를 특정하지 않지만, 인코더는 생성된 비트스트림들이 디코더에 대해 표준 호환가능함을 보장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비디오 코딩 표준들의 맥락에서, "프로파일" 은 알고리즘들, 피처들, 또는 툴들의 서브세트, 및 그것들에 적용되는 제약들에 대응한다. H.264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프로파일" 은 H.264 표준에 의해 특정되는 전체 비트스트림 신택스의 서브세트이다. "레벨" 은, 예를 들어, 디코더 메모리 및 컴퓨테이션과 같은 디코더 리소스 소비의 한계들에 대응하며, 이 한계들은 픽처들의 해상도, 비트 레이트, 및 블록 프로세싱 레이트에 관련된다. 프로파일은 profile_idc (프로파일 표시자) 값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는 한편, 레벨은 level_idc (레벨 표시자) 값으로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H.264 표준은, 예를 들어, 주어진 프로파일의 신택스에 의해 부과된 바운드들 내에서, 디코딩된 픽처들의 특정된 사이즈와 같은 비트스트림에서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의해 취해진 값들에 의존하여 인코더들 및 디코더들의 성능에서의 큰 변동을 요구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H.264 표준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특정한 프로파일 내에서 신택스의 모든 가설적 사용들을 다루는 것이 가능한 디코더를 구현하는 것이 실용적이지도 않고 경제적이지도 않다는 것을 추가로 인정한다. 이에 따라, H.264 표준은, 비트스트림에서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들에 부과된 제약들의 특정된 세트로서 "레벨" 을 정의한다. 이들 제약들은 값들에 관한 단순 한계들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 제약들은 값들의 산술적 조합들 (예를 들어, 픽처 폭 곱하기 픽처 높이 곱하기 초당 디코딩된 픽처들의 수) 에 관한 제약들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H.264 표준은, 개개의 구현들이 각각의 지원된 프로파일에 대해 상이한 레벨을 지원할 수도 있음을 추가로 제공한다.
프로파일에 부합하는 디코더는 보통, 프로파일에 정의된 모든 피처들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코딩 피처로서, B-픽처 코딩은 H.264/AVC 의 베이스라인 프로파일에서 지원되지 않지만 H.264/AVC 의 다른 프로파일들에서 지원된다. 레벨에 부합하는 디코더는, 그 레벨에 정의된 한계들을 너머 리소스들을 요구하지 않는 임의의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프로파일들 및 레벨들의 정의들은 해석능력 (interpretability) 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송신 동안, 프로파일 및 레벨 정의들의 쌍은 전체 송신 세션 동안 협상되고 합의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H.264/AVC 에 있어서, 레벨은, 프로세싱될 필요가 있는 매크로블록들의 수, 디코딩된 픽처 버퍼 (DPB) 사이즈, 코딩된 픽처 버퍼 (CPB) 사이즈, 수직 모션 벡터 범위, 2 개의 연속적인 MB들 당 모션 벡터들의 최대 수, 및 B-블록이 8x8 픽셀들 미만의 서브-매크로블록 파티션들을 가질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한계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코더는, 디코더가 비트스트림을 적절히 디코딩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서,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의 캡슐화 유닛 (30) 은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본 스트림들을 비디오 인코더 (28) 로부터 그리고 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본 스트림들을 오디오 인코더 (26) 로부터 수신한다. 일부 예들에서, 비디오 인코더 (28) 및 오디오 인코더 (26) 는 각각, 인코딩된 데이터로부터 PES 패킷들을 형성하기 위한 패킷화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비디오 인코더 (28) 및 오디오 인코더 (26) 는 각각, 인코딩된 데이터로부터 PES 패킷들을 형성하기 위한 개별의 패킷화기들과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캡슐화 유닛 (30) 은, 인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PES 패킷들을 형성하기 위한 패킷화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8) 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비디오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들로 인코딩하여, 다양한 비트레이트들에서 그리고 다양한 특성들, 이를 테면, 픽셀 해상도들, 프레임 레이트들, 다양한 코딩 표준들에 대한 부합, 다양한 코딩 표준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파일들 및/또는 프로파일들의 레벨들에 대한 부합, (예를 들어, 2 차원 또는 3 차원 플레이백을 위한) 하나 또는 다중 뷰들을 갖는 리프리젠테이션들, 또는 다른 그러한 특성들을 가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상이한 리프리젠테이션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리프리젠테이션은, 본 개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예를 들어, 폐쇄된 캡션들을 위한) 텍스트 데이터, 또는 다른 그러한 데이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리프리젠테이션은 오디오 기본 스트림 또는 비디오 기본 스트림과 같은 기본 스트림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PES 패킷은, PES 패킷이 속하는 기본 스트림을 식별하는 stream_id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캡슐화 유닛 (30) 은 기본 스트림들을 다양한 리프리젠테이션들의 비디오 파일들 (예를 들어, 세그먼트들) 로 어셈블링하는 것을 담당한다.
캡슐화 유닛 (30) 은 오디오 인코더 (26) 및 비디오 인코더 (28) 로부터 리프리젠테이션의 기본 스트림들에 대한 PES 패킷들을 수신하고, PES 패킷들로부터 대응하는 네트워크 추상화 계층 (NAL) 유닛들을 형성한다. 코딩된 비디오 세그먼트들은 NAL 유닛들로 조직될 수도 있고, 이들은 비디오 전화, 저장, 브로드캐스트, 또는 스트리밍과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을 다루는 "네트워크 친화적" 비디오 리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한다. NAL 유닛들은 비디오 코딩 계층 (Video Coding Layer; VCL) NAL 유닛들 및 비-VCL NAL 유닛들로 카테고리화될 수 있다. VCL 유닛들은 코어 압축 엔진을 포함할 수도 있고 블록, 매크로블록, 및/또는 슬라이스 레벨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NAL 유닛들은 비-VCL NAL 유닛들일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코딩된 픽처로서 통상 제시되는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의 코딩된 픽처는, 하나 이상의 NAL 유닛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액세스 유닛에 포함될 수도 있다.
비-VCL NAL 유닛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파라미터 세트 NAL 유닛들 및 SEI NAL 유닛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파라미터 세트들은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들 (SPS) 에서) 시퀀스-레벨 헤더 정보 및 (픽처 파라미터 세트들 (PPS) 에서) 드물게 변하는 픽처-레벨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파라미터 세트들 (예를 들어, PPS 및 SPS) 에 있어서, 드물게 변하는 정보는 각각의 시퀀스 또는 픽처에 대해 반복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코딩 효율이 개선될 수도 있다. 더욱이, 파라미터 세트들의 사용은 중요한 헤더 정보의 대역외 송신을 인에이블할 수도 있어서, 에러 내성을 위한 리던던트 송신들에 대한 필요성을 회피시킬 수도 있다. 대역외 송신 예들에 있어서, 파라미터 세트 NAL 유닛들은 SEI NAL 유닛들과 같은 다른 NAL 유닛들과는 상이한 채널 상에서 송신될 수도 있다.
보충 강화 정보 (SEI) 는, VCL NAL 유닛들로부터 코딩된 픽처 샘플들을 디코딩할 필요는 없지만 디코딩, 디스플레이, 에러 내성, 및 다른 목적들과 관련된 프로세스들을 보조할 수도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SEI 메시지들은 비-VCL NAL 유닛들에 포함될 수도 있다. SEI 메시지들은 일부 표준 사양들의 규범 부분 (normative part) 이고, 따라서, 표준 호환성 디코더 구현에 항상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SEI 메시지들은 시퀀스 레벨 SEI 메시지들 또는 픽처 레벨 SEI 메시지들일 수도 있다. 일부 시퀀스 레벨 정보는 SVC 의 예에서의 스케일가능성 정보 SEI 메시지들 및 MVC 에서의 뷰 스케일가능성 정보 SEI 메시지들과 같은 SEI 메시지들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들 예의 SEI 메시지들은, 예를 들어, 동작 포인트들의 추출 및 동작 포인트들의 특성들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추가로, 캡슐화 유닛 (30) 은 리프리젠테이션들의 특성들을 기술하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디스크립터 (MPD) 와 같은, 매니페스트 파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캡슐화 유닛 (30) 은 확장성 마크업 언어 (XML) 에 따라 MPD 를 포맷팅할 수도 있다.
캡슐화 유닛 (30) 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하나 이상의 리프리젠테이션들에 대한 데이터를 매니페스트 파일 (예를 들어, MPD) 과 함께 출력 인터페이스 (32) 에 제공할 수도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32) 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저장 매체에 기입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이를 테면, 범용 직렬 버스 (USB) 인터페이스, CD 또는 DVD 라이터 또는 버너 (burner), 자기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들에 대한 인터페이스, 또는 미디어 데이터를 저장 또는 송신하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캡슐화 유닛 (30) 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리프리젠테이션들의 각각의 데이터를 출력 인터페이스 (32) 에 제공할 수도 있으며, 그 출력 인터페이스 (32) 는 그 데이터를 네트워크 송신 또는 저장 매체들을 통해 서버 디바이스 (60) 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서, 서버 디바이스 (60) 는 개별의 매니페스트 파일 (66) 및 하나 이상의 리프리젠테이션들 (68A-68N)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을 각각 포함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 (64) 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 (62) 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출력 인터페이스 (32) 는 또한 데이터를 직접 네트워크 (74) 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은 적응 세트들로 분리될 수도 있다. 즉,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의 다양한 서브세트들은 특성들의 개별의 공통 세트들, 이를 테면, 코덱, 프로파일 및 레벨, 해상도, 뷰들의 수, 세그먼트들에 대한 파일 포맷, 디코딩되고 예를 들어, 스피커들에 의해 제시될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리프리젠테이션으로 디스플레이될 텍스트의 언어 또는 다른 특성들을 식별할 수도 있는 텍스트 타입 정보, 적응 세트에서 리프리젠테이션들에 대한 장면의 카메라 각도 또는 실세계 카메라 관점을 기술할 수도 있는 카메라 각도 정보, 특정한 청중들에 대한 콘텐츠 적합성 (suitability) 을 기술하는 레이팅 정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매니페스트 파일 (66) 은 특정한 적응 세트들, 뿐만 아니라 적응 세트들에 대한 공통 특성들에 대응하는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의 서브세트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매니페스트 파일 (66) 은 또한 적응 세트들의 개개의 리프리젠테이션들에 대한, 비트레이트들과 같은, 개개의 특성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응 세트는 단순화된 네트워크 대역폭 적응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적응 세트에서의 리프리젠테이션들은 매니페스트 파일 (66) 의 적응 세트 엘리먼트의 자식 (child) 엘리먼트들을 사용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서버 디바이스 (60) 는 요청 프로세싱 유닛 (70) 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2) 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서버 디바이스 (60) 는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서버 디바이스 (60) 의 임의의 또는 모든 피처들은 라우터들, 브리지들, 프록시 디바이스들, 스위치들,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같은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의 중간 디바이스들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64) 의 데이터를 캐싱하고, 서버 디바이스 (60) 의 그것들에 실질적으로 부합하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2) 는 네트워크 (74) 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요청 프로세싱 유닛 (70) 은, 저장 매체 (62) 의 데이터에 대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네트워크 요청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요청 프로세싱 유닛 (70) 은, 1999년 6월, R. Fielding 등에 의한, RFC 2616,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1.1", Network Working Group, IETF 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HTTP) 버전 1.1 을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요청 프로세싱 유닛 (70) 은 HTTP GET 또는 부분 GET 요청들을 수신하고 그 요청들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64) 의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요청들은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중 하나의 리프리젠테이션의 세그먼트를, 예를 들어, 그 세그먼트의 URL 을 사용하여 특정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요청들은 또한, 세그먼트의 하나 이상의 바이트 범위들을 특정할 수도 있고, 따라서, 부분 GET 요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요청 프로세싱 유닛 (70) 은 추가로,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중 하나의 리프리젠테이션의 세그먼트의 헤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HTTP HEAD 요청들을 서비스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요청 프로세싱 유닛 (70) 은 요청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와 같은 요청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해 요청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요청 프로세싱 유닛 (70) 은 eMBMS 와 같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는 기술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DASH 세그먼트들 및/또는 서브-세그먼트들을 생성할 수도 있지만, 서버 디바이스 (60) 는 eMBMS 또는 다른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들 세그먼트들 또는 서브-세그먼트들을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요청 프로세싱 유닛 (70) 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로부터 멀티캐스트 그룹 참여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서버 디바이스 (60) 는, 특정한 미디어 콘텐츠 (예를 들어, 라이브 이벤트의 브로드캐스트) 와 연관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를 포함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멀티캐스트 그룹과 연관된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를 광고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차례로,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하기 위한 요청을 제출할 수도 있다. 이 요청은 네트워크 (74), 예를 들어, 네트워크 (74) 를 구성하는 라우터들 전반에 걸쳐 전파될 수도 있어서, 그 라우터들은 멀티캐스트 그룹과 연관된 IP 어드레스를 위해 예정된 트래픽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와 같은 가입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에 보내도록 야기된다.
도 1 의 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64) 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디스크립션 (MPD) 에 대응할 수도 있는 매니페스트 파일 (66) 을 포함한다. 매니페스트 파일 (66) 은 상이한 대안적인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예를 들어, 상이한 품질들을 가진 비디오 서비스들) 의 디스크립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디스크립션은, 예를 들어, 코덱 정보, 프로파일 값, 레벨 값, 비트레이트, 및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의 다른 기술적 특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MPD 를 취출하여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의 세그먼트들에 어떻게 액세스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특히, 취출 유닛 (52) 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의 구성 데이터 (미도시) 를 취출하여 비디오 디코더 (48) 의 디코딩 능력들 및 비디오 출력 (44) 의 렌더링 능력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구성 데이터는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언어 선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심도 선호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관점들, 및/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레이팅 선호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취출 유닛 (52) 은, 예를 들어, HTTP GET 및 부분 GET 요청들을 제출하도록 구성된 웹 브라우저 또는 미디어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취출 유닛 (52) 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또는 프로세싱 유닛들 (미도시) 에 의해 실행된 소프트웨어 명령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취출 유닛 (52) 에 대하여 기술된 기능성의 전부 또는 부분들은 하드웨어에서, 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필요한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대한 명령들을 실행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취출 유닛 (52) 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의 디코딩 및 렌더링 능력들을, 매니페스트 파일 (66) 의 정보에 의해 표시된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의 특성들과 비교할 수도 있다. 취출 유닛 (52) 은 초기에, 매니페스트 파일 (66) 의 적어도 일부를 취출하여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의 특성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취출 유닛 (52) 은, 하나 이상의 적응 세트들의 특성들을 기술하는 매니페스트 파일 (66) 의 일부를 요청할 수도 있다. 취출 유닛 (52) 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의 코딩 및 렌더링 능력들에 의해 만족될 수 있는 특성들을 갖는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의 서브세트 (예를 들어, 적응 세트) 를 선택할 수도 있다. 취출 유닛 (52) 은 그 후, 적응 세트에서의 리프리젠테이션들에 대한 비트레이트들을 결정하고, 네트워크 대역폭의 현재 이용가능한 양을 결정하며, 그리고 네트워크 대역폭에 의하여 만족될 수 있는 비트레이트를 갖는 리프리젠테이션들 중 하나로부터 세그먼트들을 취출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비트레이트 리프리젠테이션들은 더 높은 품질의 비디오 플레이백을 산출할 수도 있는 한편, 더 낮은 비트레이트 리프리젠테이션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대역폭이 감소할 때 충분한 품질의 비디오 플레이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대역폭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취출 유닛 (52) 은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높은 비트레이트 리프리젠테이션들로부터 취출할 수도 있는 반면에,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대역폭이 낮은 경우에는, 취출 유닛 (52) 은 데이터를 상대적으로 낮은 비트레이트 리프리젠테이션들로부터 취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네트워크 (74) 의 변하는 네트워크 대역폭 이용가능성에 또한 적응하면서 네트워크 (74) 상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취출 유닛 (52) 은 eMBMS 또는 IP 멀티캐스트와 같은, 브로드캐스트 또는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예들에서, 취출 유닛 (52) 은 특정한 미디어 콘텐츠와 연관된 멀티캐스트 네트워크 그룹에 참여하기 위한 요청을 제출할 수도 있다.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여한 후에, 취출 유닛 (52) 은 서버 디바이스 (60) 또는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에 발행된 추가의 요청들 없이도 멀티캐스트 그룹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취출 유닛 (52) 은, 멀티캐스트 그룹의 데이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멀티캐스트 그룹을 떠나기 위한, 예를 들어, 상이한 멀티캐스트 그룹으로 채널들을 변경하거나 또는 플레이백을 중지하기 위한 요청을 제출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4) 는, 선택된 리프리젠테이션의 세그먼트들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취출 유닛 (52) 에 제공할 수도 있고, 이 취출 유닛 (52) 은 차례로 그 세그먼트들을 디캡슐화 (decapsulation) 유닛 (5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디캡슐화 유닛 (50) 은 비디오 파일의 엘리먼트들을 구성 PES 스트림들로 디캡슐화하고, PES 스트림들을 디패킷화 (depacketize) 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취출하고, 예를 들어, 스트림의 PES 패킷 헤더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된 데이터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스트림의 부분인지에 의존하여, 오디오 디코더 (46) 또는 비디오 디코더 (48) 중 어느 하나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오디오 디코더 (46) 는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그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 (42) 으로 전송하는 한편, 비디오 디코더 (48)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스트림의 복수의 뷰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출력 (44) 으로 전송한다.
비디오 인코더 (28), 비디오 디코더 (48), 오디오 인코더 (26), 오디오 디코더 (46), 캡슐화 유닛 (30), 취출 유닛 (52), 및 디캡슐화 유닛 (50) 각각은 적용가능할 경우, 다양한 적합한 프로세싱 회로부, 이를 테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들), 이산 로직 회로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들 중 임의의 것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8) 및 비디오 디코더 (48) 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인코더들 또는 디코더들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결합된 비디오 인코더/디코더 (CODEC) 의 부분으로서 통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오디오 인코더 (26) 및 오디오 디코더 (46) 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인코더들 또는 디코더들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들 중 어느 하나는 결합된 CODEC 의 부분으로서 통합될 수도 있다. 비디오 인코더 (28), 비디오 디코더 (48), 오디오 인코더 (26), 오디오 디코더 (46), 캡슐화 유닛 (30), 취출 유닛 (52), 및/또는 디캡슐화 유닛 (50) 을 포함하는 장치는 집적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이를 테면 셀룰러 전화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서버 디바이스 (60), 및/또는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는 본 개시의 기법들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의 목적들을 위해, 본 개시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및 서버 디바이스 (60) 에 대해 이들 기법들을 기술한다. 그러나,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가 서버 디바이스 (60) 대신 (또는 그에 더하여) 이들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캡슐화 유닛 (30) 은, NAL 유닛이 속하는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헤더, 뿐만 아니라 페이로드,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NAL 유닛이 대응하는 전송 또는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술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NAL 유닛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264/AVC 에서, NAL 유닛은 1-바이트 헤더 및 가변 사이즈의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그의 페이로드에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NAL 유닛은 비디오 데이터의 다양한 입도 레벨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NAL 유닛은 비디오 데이터의 블록, 복수의 블록들, 비디오 데이터의 슬라이스,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전체 픽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캡슐화 유닛 (30) 은 기본 스트림들의 PES 패킷들의 형태로 비디오 인코더 (28) 로부터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캡슐화 유닛 (30) 은 각각의 기본 스트림을 대응하는 프로그램과 연관시킬 수도 있다.
캡슐화 유닛 (30) 은 또한, 복수의 NAL 유닛들로부터 액세스 유닛들을 어셈블링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액세스 유닛은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 또한 오디오 데이터가 이용가능한 경우 그 프레임에 대응하는 그러한 오디오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NAL 유닛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유닛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출력 시간 인스턴스에 대한 모든 NAL 유닛들, 예를 들어,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 대한 모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뷰가 20 fps (frames per second) 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면, 각각의 시간 인스턴스는 0.05 초의 시간 인터벌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 시간 인터벌 동안, 동일한 액세스 유닛 (동일한 시간 인스턴스) 의 모든 뷰들에 대한 특정 프레임들이 동시에 렌더링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액세스 유닛은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코딩된 픽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프라이머리 코딩된 픽처로서 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유닛은 공통 시간 인스턴스의 모든 오디오 및 비디오 프레임들, 예를 들어, 시간 X 에 대응하는 모든 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또한, 특정한 뷰의 인코딩된 픽처를 "뷰 컴포넌트" 로 지칭한다. 즉, 뷰 컴포넌트는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뷰에 대한 인코딩된 픽처 (또는 프레임)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 유닛은 공통 시간 인스턴스의 모든 뷰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액세스 유닛들의 디코딩 순서는 반드시 출력 또는 디스플레이 순서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은, 상이한 대안적인 리프리젠테이션들 (예를 들어, 상이한 품질들을 가진 비디오 서비스들) 의 디스크립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디스크립션 (MPD) 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 디스크립션은, 예를 들어, 코덱 정보, 프로파일 값, 및 레벨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MPD 는 매니페스트 파일 (66) 과 같은 매니페스트 파일의 하나의 예이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어떻게 다양한 프리젠테이션들의 무비 프래그먼트들에 액세스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MPD 를 취출할 수도 있다. 무비 프래그먼트들은 비디오 파일들의 무비 프래그먼트 박스들 (moof 박스들) 에 로케이트될 수도 있다.
매니페스트 파일 (66) (이는, 예를 들어, MPD 를 포함할 수도 있음) 이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의 세그먼트들의 이용가능성을 광고할 수도 있다. 즉, MPD 는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중 하나의 리프리젠테이션의 첫 번째 세그먼트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벽시계 시간 (wall-clock time) 을 표시하는 정보, 뿐만 아니라 리프리젠테이션들 (68) 내의 세그먼트들의 지속기간들을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의 취출 유닛 (52) 은 특정한 세그먼트에 선행하는 세그먼트들의 지속기간들은 물론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세그먼트가 이용가능한 때를 결정할 수도 있다.
캡슐화 유닛 (30) 이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NAL 유닛들 및/또는 액세스 유닛들을 비디오 파일로 어셈블링한 후에, 캡슐화 유닛 (30) 은 비디오 파일을 출력을 위해 출력 인터페이스 (32) 로 전달한다. 일부 예들에서, 캡슐화 유닛 (30) 은 비디오 파일을 로컬로 저장할 수도 있거나, 또는 비디오 파일을 직접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로 전송하기 보다는 비디오 파일을 출력 인터페이스 (32) 를 통해 원격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32) 는, 예를 들어, 송신기, 트랜시버, 예를 들어 광학 드라이브, 자기 미디어 드라이브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데이터를 기입하기 위한 디바이스, 범용 직렬 버스 (USB) 포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 (32) 는 비디오 파일을, 예를 들어 송신 신호,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메모리,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출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54) 는 네트워크 (74) 를 통해 NAL 유닛 또는 액세스 유닛을 수신하고 그 NAL 유닛 또는 액세스 유닛을 취출 유닛 (52) 을 통해 디캡슐화 유닛 (5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디캡슐화 유닛 (50) 은 비디오 파일의 엘리먼트들을 구성 PES 스트림들로 디캡슐화하고, PES 스트림들을 디패킷화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취출하고, 예를 들어, 스트림의 PES 패킷 헤더들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된 데이터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스트림의 부분인지 여부에 의존하여, 오디오 디코더 (46) 또는 비디오 디코더 (48) 중 어느 하나로 인코딩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오디오 디코더 (46) 는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 (42) 으로 전송하는 한편, 비디오 디코더 (48) 는 인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스트림의 복수의 뷰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출력 (44) 으로 전송한다.
콘텐츠 준비 디바이스 (20) 및/또는 서버 디바이스 (60) 는 패킹된 영역들의 경계들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packed_reg_width[i], packed_reg_height[i], packed_reg_top[i], 및 packed_reg_left[i] 에 대한 값들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이하에 더 상세히 기술된, packed_reg_width[i], packed_reg_height[i], packed_reg_top[i], 및 packed_reg_left[i] 의 값들로부터 패킹된 영역들의 경계들 (및 따라서, 사이즈들 및 위치들) 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 는 도 1 의 취출 유닛 (52) 의 컴포넌트들의 예의 세트를 더 상세히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이 예에서, 취출 유닛 (52) 은 eMBMS 미들웨어 유닛 (100), DASH 클라이언트 (110), 및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112) 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eMBMS 미들웨어 유닛 (100) 은 eMBMS 수신 유닛 (106), 캐시 (104), 및 프록시 서버 유닛 (102) 을 더 포함한다. 이 예에서, eMBMS 수신 유닛 (106) 은 예를 들어, tools.ietf.org/html/rfc6726 에서 입수가능한, 2012년 11월, T. Paila 등의,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Network Working Group, RFC 6726 에서 기술된, FLUTE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에 따라, eMBMS 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즉, eMBMS 수신 유닛 (106) 은 예를 들어 BM-SC 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서버 디바이스 (60) 로부터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파일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eMBMS 미들웨어 유닛 (100) 이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때, eMBMS 미들웨어 유닛은 수신된 데이터를 캐시 (104) 에 저장할 수도 있다. 캐시 (104) 는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RAM,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저장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록시 서버 유닛 (102) 은 DASH 클라이언트 (110) 를 위한 서버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록시 서버 유닛 (102) 은 DASH 클라이언트 (110) 에 MPD 파일 또는 다른 매니페스트 파일을 제공할 수도 있다. 프록시 서버 유닛 (102) 은 세그먼트들이 취출될 수 있는 하이퍼링크들은 물론, MPD 파일 내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이용가능성 시간들을 광고할 수도 있다. 이들 하이퍼링크들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에 대응하는 로컬호스트 어드레스 프리픽스 (예를 들어, IPv4 의 경우 127.0.0.1)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DASH 클라이언트 (110) 는 HTTP GET 또는 부분 GET 요청들을 사용하여 프록시 서버 유닛 (102) 으로부터 세그먼트들을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링크 127.0.0.1/rep1/seg3 으로부터 입수가능한 세그먼트의 경우, DASH 클라이언트 (110) 는 127.0.0.1/rep1/seg3 에 대한 요청을 포함하는 HTTP GET 요청을 구성하고 그 요청을 프록시 서버 유닛 (102) 에 제출할 수도 있다. 프록시 서버 유닛 (102) 은 캐시 (104) 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취출하고, 그러한 요청들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DASH 클라이언트 (11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 은 OMAF 에 대한 영역별 패킹 (RWP) 의 2 개의 예들을 예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OMAF 는 영역별 패킹 (RWP) 으로 불리는 메커니즘을 특정한다. RWP 는 프로젝팅된 픽처의 임의의 장방향 영역의 조작들 (리사이징, 리포지션, 회전, 및 미러링) 을 인에이블한다. RWP 는 특정 뷰포트 배향에 대한 강조를 생성하거나 또는 ERP 에서의 극들을 향한 오버샘플링과 같은, 프로젝션들의 약점들을 우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후자가 도 3 의 맨 위에 예로 도시되고 여기서 구 (sphere) 비디오의 극들 근처의 에어리어들은 해상도가 감소된다. 도 3 의 하부에서의 예는 강조된 뷰포트 배향을 도시한다.
최신 OMAF 초안 사양에서의 영역별 패킹 및 N16826 에서의 뷰포트 독립적 HEVC 미디어 프로파일의 기존 설계는 여러 잠재적인 문제들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잠재적인 문제는, 콘텐츠 (즉, 패킹된 픽처) 가 전체 구를 커버하지 않으면, RWP 박스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법들은 RWP 를 사용하지 않고 서브-구 (sub-sphere) 콘텐츠를 인에이블하는 것을 포함한다. N16826 에서의 뷰포트 독립적 HEVC 미디어 프로파일에서, RWP 박스의 존재는 허용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특정된 바와 같이 이 미디어 프로파일은 서브-구 콘텐츠들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다.
제 1 잠재적인 문제와 관련 있는, 제 2 잠재적인 문제는, 프로젝팅된 픽처의 폭 및 높이가 RWP 박스에서 시그널링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박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사이즈가 시그널링되지 않고, 유일한 옵션은 사이즈를, 패킹된 픽처의 사이즈인 VisualSampleEntry 의 폭 및 높이 신택스 엘리먼트들인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상기 도입된 2 개의 잠재적인 문제들에 기초한, 제 3 잠재적인 문제로서, 서브-구 콘텐츠에 대해, 가드 대역이 필요하지 않을 때, 및 리사이징, 리포지셔닝, 회전, 및 미러링과 같은 실제 RWP 동작들이 필요하지 않을 때, RWP 박스의 역할은 단지 프로젝팅된 픽처의 사이즈를 알려주는 것이며, 프로젝팅된 픽처의 영역은 패킹된 픽처에 대응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이러한 목적으로, 오직 프로젝팅된 픽처의 사이즈, 및 패킹된 픽처의 좌측 상단 코너 루마 샘플에 대한 패킹된 픽처의 좌측 상단 코너 루마 샘플의 수평 및 수직 오프셋의 시그널링이 충분할 것이다. RWP 박스들에서의 모든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고 그에 대한 데이터는 저장될 수 있다.
제 4 잠재적인 문제는, 적응 스트리밍을 위해, 하나의 비디오 콘텐츠가 보통 상이한 대역폭들 및 통상적으로 또한 상이한 공간 해상도들을 가진 다중 비트스트림들로 인코딩된다는 것이다. 시그널링된 프로젝팅된 및 패킹된 영역들의 유닛들이 모두 루마 샘플에 있기 때문에, 동일한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상이한 공간 해상도들의 경우에, 인코더는 상이한 공간 해상도들에 대한 상이한 RWP 스킴들을 알아 내야 할 것이고, 각각의 공간 해상도는 별도의 RWP 시그널링을 필요로 할 것이다.
제 5 잠재적인 문제로서, 디코딩된 픽처의 루마 샘플의 로케이션으로부터, 프로젝팅된 픽처에서의 대응하는 루마 샘플 로케이션을 거쳐, 글로벌 좌표 축들의 구 상의 대응하는 로케이션 (각도 좌표들) 까지의 전체 변환 프로세스에서, 프로젝팅된 픽처 상의 2D 데카르트 좌표들 (i,j) 또는 (xProjPicture 및 yProjPicture) 은 정수들이 아닌, 고정 소수점 값들이어야 한다.
제 6 잠재적인 문제는, 디코더/렌더 측 관점에서, 어떠한 프로세스도 프로젝팅된 픽처의 샘플 값들을 생성하기 위해 특정되지도 않고, 그것이 필요하지도 않기 때문에, 프로젝팅된 픽처는 개념에 불과할 뿐이라는 것이다. 제 4, 제 5, 및 제 6 문제들에 기초하여, 본 개시는 상대적 유닛들로 프로젝팅된 및 패킹된 영역들의 사이즈 및 위치 및 프로젝팅된 픽처의 사이즈의 유닛들을 특정하기 위한 기법들을 기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상이한 공간 해상도들의 경우에, 인코더는 상이한 공간 해상도들에 대한 상이한 RWP 스킴들을 알아낼 필요가 없을 것이고, 하나의 RWP 시그널링은 동일한 비디오 콘텐츠의 모든 대안적인 비트스트림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제 7 잠재적인 문제로서, RWP 박스의 컨테이너는 Scheme Information 박스인 한편, 커버리지 및 배향 같은 다른 프로젝팅된 전방향 비디오 특정 박스들의 컨테이너는 프로젝팅된 전방향 비디오 박스이다. 이것은 RWP 박스와 다른 전방향 비디오 특정 정보 간의 관계의 정확성을 체크 및 검증하는 것을 더 복잡하게 만들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기술된 문제들에 대한 잠재적인 솔루션들을 도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다양한 기법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제 1 기법은 단지 프로젝팅된 픽처의 사이즈 및 프로젝팅된 픽처에 대한 패킹된 픽처의 위치 오프셋들을 제공하는 RWP 박스의 버전 1 을 추가하는 것이다. 제 1 예에 따르면, RWP 박스의 버전 1 을 추가하는 것이 제안된다. 프로젝팅된 픽처가 모노스코픽인 경우, RWP 박스는 단지 프로젝팅된 픽처의 사이즈 및 프로젝팅된 픽처에 대한 패킹된 픽처의 위치 오프셋들을 제공한다. 프로젝팅된 픽처가 나란한 (side-by-side) 또는 상부-하부 (top-bottom) 프레임 패킹을 사용하는 스테레오스코픽인 경우, RWP 박스는 단지 프로젝팅된 픽처의 사이즈 및 하나의 뷰에 속하는 각각의 패킹된 픽처 부분의, 동일한 뷰에 속하는 프로젝팅된 픽처 부분에 대한 위치 오프셋들을 제공한다. 제 2 예에 따르면,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RWP 박스의 버전 1 과 동일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것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Projected Omnidirectional Video 박스 또는 Scheme Information 박스에 포함될 수 있는 새로운 박스를 정의하고, 새로운 박스 또는 RWP 박스는 양자 모두가 아닌 둘 중 어느 하나만이 존재할 수 있음을 제한한다.
본 개시의 제 2 기법은 영역별 리사이징, 리포지셔닝, 회전, 및 미러링 없이 서브-구 콘텐츠들의 지원을 위해 RWP 박스의 버전 1 을 지원하도록 요구되는 뷰포트 독립적 HEVC 미디어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다른 예들에서, RWP 박스의 버전 0 의 존재는 허용될 수도 있지만, 존재할 경우, RWP 박스에서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들은, 단지 RWP 박스의 버전 1 과 동일한 정보만이 박스에 의해 전달되도록 제한된다.
본 개시의 제 3 기법에 따르면, RWP 박스의 모든 버전들에 대해, 프로젝팅된 픽처, 패킹된 픽처, 프로젝팅된 영역들, 및 패킹된 영역들의 사이즈들 및 위치 오프셋들은 루마 샘플들의 절대적 유닛들 대신 상대적 유닛들로 특정된다. 본 개시의 제 4 기법에 따르면, Scheme Information 박스로부터의 RWP 박스의 컨테이너는 Projected Omnidirectional Video 박스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 1 기법의 보다 상세한 구현이 이제 기술될 것이다. RWP 박스의 신택스 및 시맨틱스에 대한 변경들이 이하에 도시된다. 영역별 패킹 박스의 신택스 및 시맨틱스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도 있다 (볼드체의 하이라이트들은 추가들이고 [[괄호들]] 은 제거들을 나타낸다. 다른 부분들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신택스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시맨틱스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로, 프로젝팅된 픽처의, 각각, 폭 및 높이를 특정한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양자 모두 0 보다 클 것이다.
proj_picture_voffset 및 proj_picture_hoffset 은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로, 프로젝팅된 픽처에서 패킹된 픽처의, 각각, 수직 오프셋 및 수평 오프셋을 특정한다. 값들은 프로젝팅된 픽처의 좌측-상부 코너를 표시하는 0 으로부터, 각각 proj_picture_height - PackedPicHeight - 1, 및 proj_picture_width - PackedPicWidth - 1 까지의 범위에 있을 것이다.
num_regions 는 패킹된 영역들의 수를 특정한다. 값 0 이 예약된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프로젝팅된 픽처의, 각각, 폭 및 높이를 특정한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양자 모두 0 보다 클 것이다.]]
packed_reg_width[i], packed_reg_height[i], packed_reg_top[i] 및 packed_reg_left[i] 는 각각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와 동일한 폭 및 높이를 가진 패킹된 픽처에서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로 표시된다.
packed_reg_width[i], packed_reg_height[i], packed_reg_top[i], 및 packed_reg_left[i] 는 패킹된 픽처에서 패킹된 영역의, 각각, 폭, 높이, 상부 루마 샘플 로우 (row), 및 최좌측 (left-most) 루마 샘플 컬럼 (column) 을 특정한다.
다음은 디코딩된 픽처 내의 샘플 로케이션들의, 글로벌 좌표 축들에 대한 각도 좌표들로의 맵핑에 대한 변경들을 기술한다. 최신 OMAF 초안 사양의 조항 7.2.2.2 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여기서 볼드체의 하이라이트들은 추가들을 나타내고, [[괄호들]] 은 제거들을 나타낸다. 다른 부분들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조항 7.2.2.2 디코딩된 픽처 내의 루마 샘플 로케이션들의, 글로벌 좌표 축들에 대한 각도 좌표들로의 맵핑은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모노스코픽 프로젝팅된 루마 픽처의 폭 및 높이 (각각 pictureWidth 및 pictureHeight) 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 변수들 HorDiv 및 VerDiv 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Figure pct00010
StereoVideoBox 가 없으면, HorDiv 및 VerDiv 는 1 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Figure pct00011
그렇지 않고, StereoVideoBox 가 존재하고 나란한 프레임 패킹을 표시하면, HorDiv 는 2 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VerDiv 는 1 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Figure pct00012
그렇지 않다면 (StereoVideoBox 가 존재하고 상부-하부 프레임 패킹을 표시한다), HorDiv 는 1 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VerDiv 는 2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 RegionWisePackingBox 가 없으면, pictureWidth 및 pictureHeight 는 각각 폭 / HorDiv 및 높이 / VerDiv 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여기서 폭 및 높이는 VisualSampleEntry 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이다.
- 그렇지 않으면, pictureWidth 및 pictureHeight 는 각각 proj_picture_width / HorDiv 및 proj_picture_height / VerDiv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0 과 동일한 버전을 가진 RegionWisePackingBox 가 존재하면, 다음은 0 에서 num_regions - 1 까지의 범위에서 각각의 패킹된 영역 n 에 대해 적용된다:
- 0 과 동일한 packing_type[n] 을 가진 (즉, 장방형 영역별 패킹을 가진) n 번째 패킹된 영역에 속하는 각각의 동일한 로케이션 (xPackedPicture, yPackedPicture) 에 대해, 다음이 적용된다:
Figure pct00013
프로젝팅된 픽처의 대응하는 샘플 로케이션 (xProjPicture, yProjPicture) 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Figure pct00014
x 는 xPackedPicture - packed_reg_left[n] 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Figure pct00015
y 는 yPackedPicture - packed_reg_top[n] 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Figure pct00016
offsetX 는 0.5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Figure pct00017
offsetY 는 0.5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Figure pct00018
조항 5.4 는 입력들로서 x, y, packed_reg_width[n], packed_reg_height[n], proj_reg_width[n], proj_reg_height[n], transform_type[n], offsetX 및 offsetY 로 인보크되고, 출력은 샘플 로케이션 (i, j) 에 할당된다.
Figure pct00019
xProjPicture 는 proj_reg_left[n] + i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Figure pct00020
yProjPicture 는 proj_reg_top[n] + j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Figure pct00021
조항 7.2.2.3 은 입력들로서 xProjPicture, yProjPicture, pictureWidth, 및 pictureHeight 로 인보크되고, 출력들은 디코딩된 픽처에서 n 번째 패킹된 영역에 속하는 루마 샘플 로케이션 (xPackedPicture, yPackedPicture) 에 대한 (프레임-패킹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에 대한) 구성 프레임 인덱스 및 각도 좌표들을 표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이 디코딩된 픽처 내의 각각의 샘플 로케이션 (x,y) 에 대해 적용된다:
- 1 과 동일한 버전을 가진 RegionWisePackingBox 가 존재하면, hOffset 은 proj_picture_hoffset 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vOffset 은 proj_picture_voffset 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hOffset 및 vOffset 은 양자 모두 0 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xProjPicture 는 x + hOffset + 0.5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 yProjPicture 는 y + vOffset + 0.5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 조항 7.2.2.3 은 입력들로서 xProjPicture, yProjPicture, pictureWidth, 및 pictureHeight 로 인보크되고, 출력들은 디코딩된 픽처 내의 루마 샘플 로케이션 (x,y) 에 대한 (프레임-패킹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에 대한) 구성 프레임 인덱스 및 각도 좌표들을 표시한다.
제 1 기법의 제 1 예의 보다 상세한 구현이 이제 기술될 것이다. 영역별 패킹 박스의 신택스는 상기 예 1 과 동일하다. 영역별 패킹 박스의 시맨틱스는 다음과 같이 최신 OMAF 초안 사양 텍스트에 대해 변경된다 (여기서 볼드체의 하이라이트들은 추가들을 나타내고 [[괄호들]] 은 제거들을 나타낸다. 다른 부분들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로, 프로젝팅된 픽처의, 각각, 폭 및 높이를 특정한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양자 모두 0 보다 클 것이다.
proj_picture_voffset 및 proj_picture_hoffset 은 버전이 1 과 동일한 경우 proj_reg_top[i] 및 proj_reg_left[i] 의 값들을 추론하는데 사용된다.
버전이 1 과 동일한 경우, 변수들 HorDiv1 및 VerDiv1 의 값들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 StereoVideoBox 가 존재하지 않으면, HorDiv1 은 1 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VerDiv1 은 1 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StereoVideoBox 가 존재한다), 다음이 적용된다:
Figure pct00022
나란한 프레임 패킹이 표시되면, HorDiv1 은 2 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VerDiv1 은 1 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Figure pct00023
그렇지 않으면 (상부-하부 프레임 패킹이 표시된다), HorDiv1 은 1 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VerDiv1 은 2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num_regions 는 패킹된 영역들의 수를 특정한다. 값 0 이 예약된다. 버전이 1 과 동일한 경우, num_regions 의 값은 HorDiv1 * VerDiv1 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된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프로젝팅된 픽처의, 각각, 폭 및 높이를 특정한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양자 모두 0 보다 클 것이다.]]
0 과 동일한 guard_band_flag[i] 는 i 번째 패킹된 영역이 가드 대역을 갖지 않음을 특정한다. 1 과 동일한 guard_band_flag[i] 는 i 번째 패킹된 영역이 가드 대역을 갖는 것을 특정한다. 버전이 1 과 동일한 경우, guard_band_flag[i] 의 값은 0 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된다.
packing_type[i] 는 영역별 패킹의 타입을 특정한다. 0 과 동일한 packing_type[i] 는 장방형 영역별 패킹을 표시한다. 다른 값들이 예약된다. 버전이 1 과 동일한 경우, packing_type[i] 의 값은 0 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된다.
proj_reg_width[i] 는 i 번째 프로젝팅된 영역의 폭을 특정한다. proj_reg_width[i] 는 0 보다 클 것이다. 버전이 1 과 동일한 경우, proj_reg_width[i] 의 값은 PackedPicWidth / HorDiv1 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된다.
proj_reg_height[i] 는 i 번째 프로젝팅된 영역의 높이를 특정한다. proj_reg_height[i] 는 0 보다 클 것이다. 버전이 1 과 동일한 경우, proj_reg_height[i] 의 값은 PackedPicHeight / VerDiv1 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된다.
proj_reg_top[i] 및 proj_reg_left[i] 는 프로젝팅된 픽처에서 i 번째 프로젝팅된 영역의, 각각, 상부 루마 샘플 로우 및 최좌측 루마 샘플 컬럼을 특정한다. 값들은 프로젝팅된 픽처의 좌측-상부 코너를 표시하는 0 으로부터, 각각 proj_picture_height - 1, 및 proj_picture_width - 1 까지의 범위에 있을 것이다. 버전이 1 과 동일한 경우, proj_reg_top[i] 의 값은 proj_picture_voffset + i * proj_picture_height * ( 1 - 1 / VerDiv1 ) 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되고, proj_reg_left[i] 의 값은 proj_picture_hoffset + i * proj_picture_width * ( 1 - 1 / HorDiv1 ) 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된다.
transform_type[i] 는 인코딩 전에 패킹된 픽처에 맵핑시키기 위해 i 번째 프로젝팅된 영역에 적용된 회전 및 미러링을 특정한다. 버전이 0 과 동일한 경우, transform_type[i] 의 값은 0 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된다. transform_type[i] 가 회전 및 미러링 양자 모두를 특정하는 경우, 회전이 인코딩 전에 프로젝팅된 픽처로부터 패킹된 픽처까지 영역별 패킹으로 미러링한 후에 적용되었다. …
packed_reg_width[i], packed_reg_height[i], packed_reg_top[i] 및 packed_reg_left[i] 는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와 각각 동일한 폭 및 높이를 가진 패킹된 픽처에서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로 표시된다.
packed_reg_width[i], packed_reg_height[i], packed_reg_top[i], 및 packed_reg_left[i] 는 패킹된 픽처에서 패킹된 영역의, 각각, 폭, 높이, 상부 루마 샘플 로우, 및 최좌측 루마 샘플 컬럼을 특정한다.
버전이 1 과 동일한 경우, packed_reg_width[i], packed_reg_height[i], packed_reg_top[i] 및 packed_reg_left[i] 의 값들은 각각 PackedPicWidth / HorDiv1, PackedPicHeight / VerDiv1, i * PackedPicHeight * ( 1 - 1 / VerDiv1 ), 및 i * PackedPicWidth * ( 1 - 1 / HorDiv1 ) 과 동일한 것으로 추론된다.
제 2 기법의 보다 상세한 구현이 이제 기술될 것이다. 하나의 구현에 따르면, 뷰포트 독립적 HEVC 미디어 프로파일의 정의에서의 다음의 문장
"RegionWisePackingBox 는 SchemeInformationBox 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은 다음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영역별 패킹 박스가 존재하는 경우, 박스의 버전은 1 과 동일할 것이다".
RWP 박스의 버전 0 의 존재를 허용하지만, 존재하는 경우, RWP 박스의 버전 1 과 동일한 정보만이 박스에 의해 전달되도록 RWP 박스에서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들을 제한하는 제 2 기법의 버전에서, 뷰포트 독립적 HEVC 미디어 프로파일의 정의에서의 다음의 문장
RegionWisePackingBox 는 SchemeInformationBox 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는 다음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변수들 HorDiv1 및 VerDiv1 의 값들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 StereoVideoBox 가 존재하지 않으면, HorDiv1 은 1 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VerDiv1 은 1 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그렇지 않으면 (StereoVideoBox 가 존재한다), 다음이 적용된다:
Figure pct00024
나란한 프레임 패킹이 표시되면, HorDiv1 은 2 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VerDiv1 은 1 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Figure pct00025
그렇지 않으면 (상부-하부 프레임 패킹이 표시된다), HorDiv1 은 1 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VerDiv1 은 2 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영역별 패킹 박스가 존재하는 경우, 다음의 제약들 모두가 적용된다:
- num_regions 의 값은 HorDiv1 * VerDiv1 과 동일할 것이다.
- 0 에서 num_regions - 1 까지의 범위에서의 i 의 각각의 값에 대해, 다음이 적용된다
Figure pct00026
guard_band_flag[i] 의 값은 0 과 동일할 것이다.
Figure pct00027
packing_type[i] 의 값은 0 과 동일할 것이다.
Figure pct00028
proj_reg_width[i] 의 값은 PackedPicWidth / HorDiv1 과 동일할 것이다.
Figure pct00029
proj_reg_height[i] 의 값은 PackedPicHeight / VerDiv1 과 동일할 것이다.
Figure pct00030
transform_type[i] 의 값은 0 과 동일할 것이다.
Figure pct00031
packed_reg_width[i] 의 값은 PackedPicWidth / HorDiv1 과 동일할 것이다.
Figure pct00032
packed_reg_height[i] 의 값은 PackedPicHeight / VerDiv1 과 동일할 것이다.
Figure pct00033
packed_reg_top[i] 의 값은 i * PackedPicHeight * ( 1 - 1 / VerDiv1 ) 과 동일할 것이다.
Figure pct00034
packed_reg_left[i] 의 값은 i * PackedPicWidth * ( 1 - 1 / HorDiv1 ) 과 동일할 것이다.
제 3 기법의 보다 상세한 구현이 이제 기술될 것이다. RWP 박스의 정의, 신택스, 및 시맨틱스는 다음과 같이 상기의 제 1 기법에서의 설계에 대해 변경된다 (여기서 볼드체의 하이라이트들은 추가들을 나타내고 [[괄호들]] 은 제거들을 나타낸다. 다른 부분들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정의들은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RegionWisePackingBox 는 프로젝팅된 픽처들이 영역별로 패킹되고 렌더링 이전에 언패킹을 요구함을 표시한다. 프로젝팅된 픽처의 사이즈는 이 박스에서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된다. 패킹된 픽처의 사이즈는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로서 각각 표시된다. RegionWisePackingBox 의 버전이 0 이면,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는 VisualSampleEntry 의, 각각, 폭 및 높이 신택스 엘리먼트들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렇지 않으면,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는 RegionWisePackingBox 의, 각각, packed_picture_width 및 packed_picture_height 신택스 엘리먼트들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패킹된 픽처의 사이즈는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로서 각각 표시된, VisualSampleEntry 의 폭 및 높이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의해 표시된다.]]
신택스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Figure pct00035
시맨틱스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상대적 유닛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 으로, 프로젝팅된 픽처의, 각각, 폭 및 높이를 특정한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양자 모두 0 보다 클 것이다. 이 조항의 나머지에서, "상대적 유닛" 은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와 동일한 상대적 유닛을 의미한다.
packed_picture_width 및 packed_picture_height 는 상대적 유닛으로, 패킹된 픽처의, 각각, 폭 및 높이를 특정한다. packed_picture_width 및 packed_picture_height 는 양자 모두 0 보다 클 것이다.
proj_picture_voffset 및 proj_picture_hoffset 은 상대적 유닛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 으로, 프로젝팅된 픽처에서 패킹된 픽처의, 각각, 수직 오프셋 및 수평 오프셋을 특정한다. 값들은 프로젝팅된 픽처의 좌측-상부 코너를 표시하는 0 으로부터, 각각 proj_picture_height - PackedPicHeight - 1, 및 proj_picture_width - PackedPicWidth - 1 까지의 범위에 있을 것이다.
proj_reg_width[i], proj_reg_height[i], proj_reg_top[i] 및 proj_reg_left[i] 는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와 각각 동일한 폭 및 높이를 가진 프로젝팅된 픽처에서 상대적 유닛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 으로 표시된다.
packed_reg_width[i], packed_reg_height[i], packed_reg_top[i] 및 packed_reg_left[i] 는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와 각각 동일한 폭 및 높이를 가진 패킹된 픽처에서 상대적 유닛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 으로 표시된다.
제 3 기법의 보다 상세한 구현이 이제 기술될 것이다. RWP 박스의 정의, 신택스, 및 시맨틱스는 다음과 같이 상기의 제 1 기법에서의 설계에 대해 변경된다 (여기서 볼드체의 하이라이트들은 추가들을 나타내고 [[괄호들]] 은 제거들을 나타낸다. 다른 부분들은 변하지 않고 유지된다):
정의들은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RegionWisePackingBox 는 프로젝팅된 픽처들이 영역별로 패킹되고 렌더링 이전에 언패킹을 요구함을 표시한다. 프로젝팅된 픽처의 사이즈는 이 박스에서 명시적으로 시그널링된다. 패킹된 픽처의 사이즈는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로서 각각 표시된다. RegionWisePackingBox 의 버전이 0 이면,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는 VisualSampleEntry 의, 각각, 폭 및 높이 신택스 엘리먼트들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그렇지 않으면,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는 RegionWisePackingBox 의, 각각, packed_picture_width 및 packed_picture_height 신택스 엘리먼트들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패킹된 픽처의 사이즈는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로서 각각 표시된, VisualSampleEntry 의 폭 및 높이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의해 표시된다.]]
신택스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Figure pct00036
시맨틱스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상대적 유닛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 으로, 프로젝팅된 픽처의, 각각, 폭 및 높이를 특정한다.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는 양자 모두 0 보다 클 것이다. 이 조항의 나머지에서, "상대적 유닛" 은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와 동일한 상대적 유닛을 의미한다.
packed_picture_width 및 packed_picture_height 는 상대적 유닛으로, 패킹된 픽처의, 각각, 폭 및 높이를 특정한다. packed_picture_width 및 packed_picture_height 는 양자 모두 0 보다 클 것이다.
proj_reg_width[i], proj_reg_height[i], proj_reg_top[i] 및 proj_reg_left[i] 는 proj_picture_width 및 proj_picture_height 와 각각 동일한 폭 및 높이를 가진 프로젝팅된 픽처에서 상대적 유닛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 으로 표시된다.
packed_reg_width[i], packed_reg_height[i], packed_reg_top[i] 및 packed_reg_left[i] 는 PackedPicWidth 및 PackedPicHeight 와 각각 동일한 폭 및 높이를 가진 패킹된 픽처에서 상대적 유닛 [[루마 샘플들의 유닛들]] 으로 표시된다.
도 4 는 예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120) 의 엘리먼트들을 예시하는 개념적 다이어그램이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120) 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64) (도 1), 또는 저장 매체 (62) 에 저장된 다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4 의 예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120) 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디스크립션 (MPD) (122) 및 복수의 리프리젠테이션들 (124A-124N) (리프리젠테이션들 (124)) 을 포함한다. 리프리젠테이션 (124A) 은 옵션의 헤더 데이터 (126) 및 세그먼트들 (128A-128N) (세그먼트들 (128)) 을 포함하는 한편, 리프리젠테이션 (124N) 은 옵션의 헤더 데이터 (130) 및 세그먼트들 (132A-132N) (세그먼트들 (132)) 을 포함한다. 문자 N 은, 편의상 리프리젠테이션들 (124) 의 각각에서 마지막 무비 프래그먼트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예들에서, 리프리젠테이션들 (124) 사이에 상이한 수들의 무비 프래그먼트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MPD (122) 는 리프리젠테이션들 (124) 로부터 분리된 데이터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MPD (122) 는 도 1 의 매니페스트 파일 (66) 에 대응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리프리젠테이션들 (124) 은 도 2 의 리프리젠테이션들 (68)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MPD (122) 는 코딩 및 렌더링 특성들, 적응 세트들, MPD (122) 가 대응하는 프로파일, 텍스트 타입 정보, 카메라 각도 정보, 레이팅 정보, 트릭 모드 정보 (예를 들어, 시간 서브-시퀀스들을 포함하는 리프리젠테이션들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원격 주기들을 취출하기 위한 (예를 들어, 플레이백 동안 미디어 콘텐츠로의 타겟팅된 광고 삽입을 위한) 정보와 같은, 리프리젠테이션들 (124) 의 특성들을 일반적으로 기술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존재할 경우, 헤더 데이터 (126) 는 세그먼트들 (128) 의 특성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포인트들 (RAP들) (스트림 액세스 포인트들 (SAP들) 로도 또한 지칭됨) 의 시간 로케이션들, 세그먼트들 (128) 중 어느 것이 랜덤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는지, 세그먼트들 (128) 내의 랜덤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바이트 오프셋들, 세그먼트들 (128) 의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들 (URL들), 또는 세그먼트들 (128) 의 다른 양태들을 기술할 수도 있다. 존재할 경우, 헤더 데이터 (130) 는 세그먼트들 (132) 에 대한 유사한 특성들을 기술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그러한 특성들은 MPD (122) 내에 완전히 포함될 수도 있다.
세그먼트들 (128, 132) 은 하나 이상의 코딩된 비디오 샘플들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비디오 데이터의 프레임들 또는 슬라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세그먼트들 (128) 의 코딩된 비디오 샘플들의 각각은 유사한 특성들, 예를 들어, 높이, 폭, 및 대역폭 요건들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한 특성들은 MPD (122) 의 데이터에 의해 기술될 수도 있지만, 그러한 데이터는 도 4 의 예에 예시되어 있지 않다. MPD (122) 는,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시그널링된 정보의 임의의 것 또는 그 모두가 추가된, 3GPP 사양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은 특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세그먼트들 (128, 132) 의 각각은 고유한 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 (URL) 와 연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세그먼트들 (128, 132) 의 각각은 DASH 와 같은 스트리밍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취출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와 같은 목적지 디바이스는, HTTP GET 요청을 사용하여 세그먼트들 (128 또는 132) 을 취출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HTTP 부분 GET 요청들을 사용하여 세그먼트들 (128 또는 132) 의 특정 바이트 범위들을 취출할 수도 있다.
도 5 는 도 4 의 세그먼트들 (128, 132) 중 하나와 같은, 리프리젠테이션의 세그먼트에 대응할 수도 있는, 예의 비디오 파일 (150) 의 엘리먼트들을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세그먼트들 (128, 132) 의 각각은 도 5 의 예에서 예시된 데이터의 배열에 실질적으로 부합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디오 파일 (150) 은 세그먼트를 캡슐화한다고 할 수도 있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 및 그 확장들에 따른 비디오 파일들은 "박스들" 로 지칭되는 일련의 오브젝트들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5 의 예에서, 비디오 파일 (150) 은 파일 타입 (FTYP) 박스 (152), 무비 (MOOV) 박스 (154), 세그먼트 인덱스 (sidx) 박스들 (162), 무비 프래그먼트 (MOOF) 박스들 (164), 및 무비 프래그먼트 랜덤 액세스 (MFRA) 박스 (166) 를 포함한다. 도 5 는 비디오 파일의 예를 나타내지만, 다른 미디어 파일들은 ISO 베이스 미디어 파일 포맷 및 그 확장들에 따라, 비디오 파일 (150) 의 데이터와 유사하게 구조화되는 다른 타입들의 미디어 데이터 (예를 들어, 오디오 데이터, 타이밍된 텍스트 데이터 등) 를 포함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파일 타입 (FTYP) 박스 (152) 는 비디오 파일 (150) 에 대한 파일 타입을 일반적으로 기술한다. 파일 타입 박스 (152) 는 비디오 파일 (150) 에 대한 최상의 사용을 기술하는 사양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파일 타입 박스 (152) 는 대안적으로 MOOV 박스 (154), 무비 프래그먼트 박스들 (164), 및/또는 MFRA 박스 (166) 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세그먼트, 이를 테면 비디오 파일 (150) 은, FTYP 박스 (152) 전에 MPD 업데이트 박스 (미도시) 를 포함할 수도 있다. MPD 업데이트 박스는 비디오 파일 (150) 을 포함하는 리프리젠테이션에 대응하는 MPD 가 업데이트될 것임을 표시하는 정보를, 그 MPD 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정보와 함께,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PD 업데이트 박스는 MPD 를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될 리소스에 대한 URI 또는 URL 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MPD 업데이트 박스는 MPD 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MPD 업데이트 박스는 비디오 파일 (150) 의 세그먼트 타입 (STYP) 박스 (미도시) 를 바로 뒤따를 수도 있으며, 여기서 STYP 박스는 비디오 파일 (150) 에 대한 세그먼트 타입을 정의할 수도 있다. 이하 더 상세히 논의되는 도 7 은 MPD 업데이트 박스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도 5 의 예에서의 MOOV 박스 (154) 는 무비 헤더 (MVHD) 박스 (156), 트랙 (TRAK) 박스 (158), 및 하나 이상의 MVEX (movie extends) 박스들 (160) 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MVHD 박스 (156) 는 비디오 파일 (150) 의 일반 특성들을 기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VHD 박스 (156) 는 비디오 파일 (150) 이 원래 생성되었을 때, 비디오 파일 (150) 이 마지막으로 수정되었을 때, 비디오 파일 (150) 에 대한 타임스케일, 비디오 파일 (150) 에 대한 플레이백의 지속기간을 기술하는 데이터, 또는 비디오 파일 (150) 을 일반적으로 기술하는 다른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TRAK 박스 (158) 는 비디오 파일 (150) 의 트랙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TRAK 박스 (158) 는 TRAK 박스 (158) 에 대응하는 트랙의 특성들을 기술하는 트랙 헤더 (TKHD) 박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TRAK 박스 (158) 는 코딩된 비디오 픽처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한편, 다른 예들에서, 트랙의 코딩된 비디오 픽처들은 TRAK 박스 (158) 및/또는 sidx 박스들 (162) 의 데이터에 의해 참조될 수도 있는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비디오 파일 (150) 은 1 초과의 트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MOOV 박스 (154) 는 비디오 파일 (150) 에 트랙들의 수와 동일한 수의 TRAK 박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TRAK 박스 (158) 는 비디오 파일 (150) 의 대응하는 트랙의 특성들을 기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TRAK 박스 (158) 는 대응하는 트랙에 대한 시간 및/또는 공간 정보를 기술할 수도 있다. MOOV 박스 (154) 의 TRAK 박스 (158) 와 유사한 TRAK 박스는, 캡슐화 유닛 (30) (도 4) 이 비디오 파일, 이를 테면 비디오 파일 (150) 에 파라미터 세트 트랙을 포함하는 경우, 파라미터 세트 트랙의 특성들을 기술할 수도 있다. 캡슐화 유닛 (30) 은, 파라미터 세트 트랙을 기술하는 TRAK 박스 내의 파라미터 세트 트랙에서 시퀀스 레벨 SEI 메시지들의 존재를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MVEX 박스들 (160) 은, 예를 들어, 만약 있다면, MOOV 박스 (154) 내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에 더하여, 비디오 파일 (150) 이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을 포함한다는 것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대응하는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의 특성들을 기술할 수도 있다. 비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맥락에서, 코딩된 비디오 픽처들은 MOOV 박스 (154) 에 보다는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코딩된 비디오 샘플들은 MOOV 박스 (154) 에 보다는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에 포함될 수도 있다.
MOOV 박스 (154) 는 비디오 파일 (150) 에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의 수와 동일한 수의 MVEX 박스들 (16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MVEX 박스들 (160) 의 각각은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중 대응하는 무비 프래그먼트의 특성들을 기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MVEX 박스는,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중 대응하는 무비 프래그먼트에 대한 시간 지속기간을 기술하는 MEHD (movie extends header box) 박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캡슐화 유닛 (30) 은 실제 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비디오 샘플에 시퀀스 데이터 세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샘플은 특정 시간 인스턴스에서의 코딩된 픽처의 리프리젠테이션인 액세스 유닛에 일반적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 AVC 의 맥락에서, 코딩된 픽처는 액세스 유닛의 모든 픽셀들을 구성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VCL NAL 유닛들과, 다른 연관된 비-VCL NAL 유닛들, 이를 테면 SEI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캡슐화 유닛 (30) 은 시퀀스 레벨 SEI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시퀀스 데이터 세트를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중 하나의 무비 프래그먼트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캡슐화 유닛 (30) 은,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중 하나의 무비 프래그먼트에 대응하는 MVEX 박스들 (160) 중 하나의 MVEX 박스 내에서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중 하나의 무비 프래그먼트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시퀀스 데이터 세트 및/또는 시퀀스 레벨 SEI 메시지들의 존재를 추가로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SIDX 박스들 (162) 은 비디오 파일 (150) 의 옵션의 엘리먼트들이다. 즉, 3GPP 파일 포맷, 또는 다른 그러한 파일 포맷들에 부합하는 비디오 파일들은 반드시 SIDX 박스들 (162) 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3GPP 파일 포맷의 예에 따르면, SIDX 박스는 세그먼트 (예를 들어, 비디오 파일 (150) 내에 포함된 세그먼트) 의 서브-세그먼트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3GPP 파일 포맷은 서브-세그먼트를 "대응하는 Media Data 박스(들)를 가진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무비 프래그먼트 박스들의 자립형 세트 및 Movie Fragment 박스에 의해 참조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Media Data Box 가 그 Movie Fragment 박스를 뒤따라야만 하고 동일한 트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Movie Fragment 박스에 선행해야만 한다" 로서 정의한다. 3GPP 파일 포맷은 또한, SIDX 박스가 "박스에 의해 문서화된 (서브)세그먼트의 서브세그먼트들에 대한 참조들의 시퀀스를 포함한다. 참조된 서브세그먼트들은 프리젠테이션 시간에 있어서 인접한다. 유사하게, Segment Index 박스에 의해 참조되는 바이트들은 세그먼트 내에서 항상 인접한다. 참조된 사이즈는 참조된 자료에서의 바이트들의 수의 카운트를 제공한다." 를 표시한다.
SIDX 박스들 (162) 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파일 (150) 에 포함된 세그먼트의 하나 이상의 서브-세그먼트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그러한 정보는 서브-세그먼트들이 시작하고 및/또는 종료하는 플레이백 시간들, 서브-세그먼트들에 대한 바이트 오프셋들, 서브-세그먼트들이 스트림 액세스 포인트 (SAP) 를 포함하는지 (예를 들어, 그 SAP 로 시작하는지) 의 여부, SAP 에 대한 타입 (예를 들어, SAP 가 순시 디코더 리프레시 (IDR) 픽처인지, 클린 랜덤 액세스 (CRA) 픽처인지, 브로큰 링크 액세스 (BLA) 픽처인지 등), 서브-세그먼트에서의 (플레이백 시간 및/또는 바이트 오프셋의 관점에서의) SAP 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은 하나 이상의 코딩된 비디오 픽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은 하나 이상의 픽처 그룹들 (GOP들) 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GOP들의 각각은 다수의 코딩된 비디오 픽처들, 예를 들어, 프레임들 또는 픽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은 일부 예들에 있어서 시퀀스 데이터 세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의 각각은 무비 프래그먼트 헤더 박스 (MFHD, 도 5 에는 미도시) 를 포함할 수도 있다. MFHD 박스는 대응하는 무비 프래그먼트의 특성들, 이를 테면, 무비 프래그먼트에 대한 시퀀스 번호를 기술할 수도 있다.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은 비디오 파일 (150) 에 시퀀스 번호의 순서로 포함될 수도 있다.
MFRA 박스 (166) 는 비디오 파일 (150) 의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내의 랜덤 액세스 포인트들을 기술할 수도 있다. 이는 비디오 파일 (150) 에 의해 캡슐화된 세그먼트 내에서 특정한 시간 로케이션들 (즉, 플레이백 시간들) 에 대한 탐색들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트릭 모드들을 수행하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다. MFRA 박스 (166) 는 일반적으로 옵션적이며,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파일들에 포함될 필요가 없다.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비디오 파일 (150) 의 비디오 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코딩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MFRA 박스 (166) 를 반드시 참조할 필요는 없다. MFRA 박스 (166) 는 비디오 파일 (150) 의 트랙들의 수와 동일한, 또는 일부 예들에 있어서, 비디오 파일 (150) 의 미디어 트랙들 (예를 들어, 비-힌트 트랙들) 의 수와 동일한 수의 트랙 프래그먼트 랜덤 액세스 (TFRA) 박스들 (미도시)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 있어서, 무비 프래그먼트들 (164) 은 IDR 픽처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 액세스 포인트들 (SAP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MFRA 박스 (166) 는 SAP들의 비디오 파일 (150) 내의 로케이션들의 표시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비디오 파일 (150) 의 시간 서브-시퀀스가 비디오 파일 (150) 의 SAP들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시간 서브-시퀀스는 SAP들로부터 의존하는 P-프레임들 및/또는 B-프레임들과 같은 다른 픽처들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시간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 및/또는 슬라이스들은 서브-시퀀스의 다른 프레임들/슬라이스들에 의존하는 시간 서브-시퀀스의 프레임들/슬라이스들이 적절히 디코딩될 수 있도록 세그먼트들 내에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계위적 배열에 있어서, 다른 데이터에 대한 예측을 위해 사용된 데이터가 또한 시간 서브-시퀀스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기법들에 따르면, 비디오 파일 (150) 은, 예를 들어, MOOV 박스 (154) 내에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별 패킹 박스 (RWPB)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RWPB 는 패킹된 영역들의 로케이션들, 및 구형 비디오 프로젝션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젝팅된 영역들을 정의하는 RWPB 구조체 (struct)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 은 본 개시의 기법들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 및 프로세싱하는 예의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일반적으로, 도 6 의 방법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도 1) 에 대하여 논의된다. 그러나, 다른 디바이스들이 이 방법 또는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비디오 파일 내의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1 사이즈 및 제 1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1 세트 및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2 사이즈 및 제 2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할 수도 있다 (200). 일부 예들에서, 프로젝팅된 전방향 비디오 박스는 영역별 패킹 박스에 대한 컨테이너일 수도 있다. 값들의 제 1 세트 및 값들의 제 2 세트는 제 1 패킹된 영역 및 제 2 패킹된 영역을 포함하는 언패킹된 픽처의 좌측-상단 코너 루마 샘플에 대한 상대적 유닛들일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비디오 파일 내의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프로젝팅된 픽처 폭 및 프로젝팅된 픽처 높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젝팅된 픽처 폭 및 프로젝팅된 픽처 높이는 또한 상대적 유닛들일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제 1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1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한다 (20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제 1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한다 (204).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제 2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제 2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한다 (206).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제 2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한다 (208).
값들의 제 1 세트는 제 1 폭 값, 제 1 높이 값, 제 1 상부 값, 및 제 1 좌측 값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값들의 제 2 세트는 제 2 폭 값, 제 2 높이 값, 제 2 상부 값, 및 제 2 좌측 값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40) 는 추가적으로 제 1 폭 값으로부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폭을 결정하고; 제 1 높이 값으로부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높이를 결정하고; 제 1 상부 값으로부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상부 오프셋을 결정하고; 제 1 좌측 값으로부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좌측 오프셋을 결정하고; 제 2 폭 값으로부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폭을 결정하고; 제 2 높이 값으로부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높이를 결정하고; 제 2 상부 값으로부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상부 오프셋을 결정하고; 그리고 제 2 좌측 값으로부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좌측 오프셋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 1 폭 값은, 예를 들어, packed_reg_width[i] 값일 수도 있고, 제 1 높이 값은 packed_reg_height[i] 값일 수도 있다. 제 1 상부 값은 packed_reg_top[i] 값일 수도 있고, 제 1 좌측 값은 packed_reg_left[i] 값일 수도 있다. 제 2 폭 값은 packed_reg_width[j] 값일 수도 있고, 제 2 높이 값은 packed_reg_height[j] 값일 수도 있다. 제 2 상부 값은 packed_reg_top[j] 값일 수도 있고, 제 2 좌측 값은 packed_reg_left[j] 값일 수도 있다.
미디어 콘텐츠는 모노스코픽 또는 스테레오스코픽일 수도 있다. 미디어 콘텐츠가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를 포함하면, 제 1 패킹된 영역은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픽처에 대응할 수도 있고, 제 2 패킹된 영역은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픽처에 대응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들에서, 기술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면,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송신될 수도 있고 하드웨어 기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데이터 저장 매체들과 같은 유형의 매체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또는 예를 들어,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반적으로, (1) 비일시적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또는 (2) 신호 또는 캐리어파와 같은 통신 매체에 대응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 매체들은 본 개시에서 기술된 기법들의 구현을 위한 명령들, 코드, 및/또는 데이터 구조들을 취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일 예로,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커넥션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명령들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그러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및 데이터 저장 매체들은 커넥션들, 캐리어파들, 신호들, 또는 다른 일시적 매체들을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 비일시적 유형의 저장 매체들로 지향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상기의 조합들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이를 테면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들),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어레이들 (FPGA들), 또는 다른 등가의 집적 또는 이산 로직 회로부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프로세서" 는, 전술한 구조 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법들의 구현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구조 중 임의의 것을 지칭할 수도 있다. 추가로, 일부 양태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능성은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해 구성되거나, 또는 결합된 코덱에 통합된 전용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그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회로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에서 완전히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법들은 무선 핸드셋, 집적 회로 (IC) 또는 IC들의 세트 (예를 들면, 칩 세트) 를 포함한, 매우 다양한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컴포넌트들, 모듈들, 또는 유닛들은 개시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들의 기능적 양태들을 강조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 기술되지만, 상이한 하드웨어 유닛들에 의한 실현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유닛들은 코덱 하드웨어 유닛에서 결합되거나 또는 적합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와 함께,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상호운용가능한 하드웨어 유닛들의 컬렉션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예들이 기술되었다. 이들 및 다른 예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31)

  1.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비디오 파일 내의 영역별 (region-wise) 패킹 박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1 사이즈 및 제 1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2 사이즈 및 제 2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 및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을 포함하는 언패킹된 픽처의 좌측-상단 코너 루마 샘플에 대한 상대적 유닛들인,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는 단계;
    상기 제 1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제 2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는 제 1 폭 값, 제 1 높이 값, 제 1 상부 값, 및 제 1 좌측 값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는 제 2 폭 값, 제 2 높이 값, 제 2 상부 값, 및 제 2 좌측 값을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폭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높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상부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상부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좌측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좌측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폭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폭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높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높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상부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상부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좌측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좌측 오프셋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폭 값은 packed_reg_width[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높이 값은 packed_reg_height[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 값은 packed_reg_top[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좌측 값은 packed_reg_left[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폭 값은 packed_reg_width[j]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높이 값은 packed_reg_height[j]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부 값은 packed_reg_top[j] 값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좌측 값은 packed_reg_left[j] 값을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파일 내의 상기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프로젝팅된 픽처 폭 및 프로젝팅된 픽처 높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팅된 픽처 폭 및 상기 프로젝팅된 픽처 높이는 상대적 유닛들인,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별 패킹 박스에 대한 컨테이너는 프로젝팅된 전방향 비디오 박스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모노스코픽인,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스테레오스코픽인,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픽처에 대응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픽처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9.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및
    회로부 내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비디오 파일 내의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1 사이즈 및 제 1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2 사이즈 및 제 2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 및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을 포함하는 언패킹된 픽처의 좌측-상단 코너 루마 샘플에 대한 상대적 유닛들인,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고;
    제 1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고;
    상기 제 1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고;
    제 2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는 제 1 폭 값, 제 2 높이 값, 제 1 상부 값, 및 제 1 좌측 값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는 제 2 폭 값, 제 2 높이 값, 제 2 상부 값, 및 제 2 좌측 값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제 1 폭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폭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높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상부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상부 오프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좌측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좌측 오프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폭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폭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높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상부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상부 오프셋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좌측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좌측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폭 값은 packed_reg_width[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높이 값은 packed_reg_height[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 값은 packed_reg_top[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좌측 값은 packed_reg_left[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폭 값은 packed_reg_width[j]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높이 값은 packed_reg_height[j]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부 값은 packed_reg_top[j] 값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좌측 값은 packed_reg_left[j] 값을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비디오 파일 내의 상기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프로젝팅된 픽처 폭 및 프로젝팅된 픽처 높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젝팅된 픽처 폭 및 상기 프로젝팅된 픽처 높이는 상대적 유닛들인,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별 패킹 박스에 대한 컨테이너는 프로젝팅된 전방향 비디오 박스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모노스코픽인,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스테레오스코픽인,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픽처에 대응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픽처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집적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19.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비디오 파일 내의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1 사이즈 및 제 1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2 사이즈 및 제 2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 및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을 포함하는 언패킹된 픽처의 좌측-상단 코너 루마 샘플에 대한 상대적 유닛들인,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게 하고;
    제 1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게 하고;
    상기 제 1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게 하고;
    제 2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는 제 1 폭 값, 제 1 높이 값, 제 1 상부 값, 및 제 1 좌측 값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는 제 2 폭 값, 제 2 높이 값, 제 2 상부 값, 및 제 2 좌측 값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제 1 폭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폭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높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상부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상부 오프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좌측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좌측 오프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폭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폭을 결정하고;
    상기 제 2 높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높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상부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상부 오프셋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좌측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좌측 오프셋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폭 값은 packed_reg_width[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높이 값은 packed_reg_height[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 값은 packed_reg_top[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좌측 값은 packed_reg_left[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폭 값은 packed_reg_width[j]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높이 값은 packed_reg_height[j]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부 값은 packed_reg_top[j] 값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좌측 값은 packed_reg_left[j] 값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제 19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비디오 파일 내의 상기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프로젝팅된 픽처 폭 및 프로젝팅된 픽처 높이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젝팅된 픽처 폭 및 상기 프로젝팅된 픽처 높이는 상대적 유닛들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별 패킹 박스에 대한 컨테이너는 프로젝팅된 전방향 비디오 박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모노스코픽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스테레오스코픽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픽처에 대응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픽처에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7.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비디오 파일 내의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미디어 콘텐츠의 제 1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1 사이즈 및 제 1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제 2 패킹된 영역에 대한 제 2 사이즈 및 제 2 위치를 표시하는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는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 및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을 포함하는 언패킹된 픽처의 좌측-상단 코너 루마 샘플에 대한 상대적 유닛들인,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 및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제 1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
    제 2 언패킹된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을 언패킹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언패킹된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1 프로젝팅된 영역과는 상이한 제 2 프로젝팅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값들의 제 1 세트는 제 1 폭 값, 제 1 높이 값, 제 1 상부 값, 및 제 1 좌측 값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값들의 제 2 세트는 제 2 폭 값, 제 2 높이 값, 제 2 상부 값, 및 제 2 좌측 값을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폭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폭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높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상부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상부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좌측 값으로부터 상기 제 1 패킹된 영역의 제 1 좌측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폭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폭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높이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높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상부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상부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좌측 값으로부터 상기 제 2 패킹된 영역의 제 2 좌측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폭 값은 packed_reg_width[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높이 값은 packed_reg_height[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 값은 packed_reg_top[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좌측 값은 packed_reg_left[i]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폭 값은 packed_reg_width[j]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높이 값은 packed_reg_height[j]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상부 값은 packed_reg_top[j] 값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좌측 값은 packed_reg_left[j] 값을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파일 내의 상기 영역별 패킹 박스로부터, 프로젝팅된 픽처 폭 및 프로젝팅된 픽처 높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팅된 픽처 폭 및 상기 프로젝팅된 픽처 높이는 상대적 유닛들인,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별 패킹 박스에 대한 컨테이너는 프로젝팅된 전방향 비디오 박스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20197038960A 2017-07-10 2018-07-10 강화된 영역별 패킹 및 뷰포트 독립적 hevc 미디어 프로파일 KR102654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30525P 2017-07-10 2017-07-10
US62/530,525 2017-07-10
US201762532698P 2017-07-14 2017-07-14
US62/532,698 2017-07-14
US16/030,585 2018-07-09
US16/030,585 US20190014362A1 (en) 2017-07-10 2018-07-09 Enhanced region-wise packing and viewport independent hevc media profile
PCT/US2018/041432 WO2019014216A1 (en) 2017-07-10 2018-07-10 IMPROVED REGION-BASED DRAWING AND HEVC MULTIMEDIA PROFILE INDEPENDENT OF A DISPLAY WIND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168A true KR20200024168A (ko) 2020-03-06
KR102654999B1 KR102654999B1 (ko) 2024-04-04

Family

ID=64903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960A KR102654999B1 (ko) 2017-07-10 2018-07-10 강화된 영역별 패킹 및 뷰포트 독립적 hevc 미디어 프로파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90014362A1 (ko)
EP (1) EP3652957A1 (ko)
KR (1) KR102654999B1 (ko)
CN (1) CN110832878B (ko)
AU (1) AU2018299989A1 (ko)
BR (1) BR112020000105A2 (ko)
SG (1) SG11201911245YA (ko)
TW (1) TW201909647A (ko)
WO (1) WO2019014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4877B (en) * 2016-10-10 2021-03-31 Canon Kk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s for improving rendering display during streaming of timed media dat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9995A1 (ja) * 2009-02-04 2010-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再生装置、及び集積回路
CN112651288B (zh) * 2014-06-14 2022-09-20 奇跃公司 用于产生虚拟和增强现实的方法和系统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K.Wang,[OMAF] Comments on OMAF DIS text, 119차 회의, 토리노, 2017.05.26.(m40783) *
최병두 등, "OMAF DIS text with updates based on Berlin OMAF AHG meeting agreements", 119차 회의, 토리노, 2017.06.16.(m4084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2957A1 (en) 2020-05-20
US20190014362A1 (en) 2019-01-10
CN110832878B (zh) 2022-02-15
AU2018299989A1 (en) 2019-12-19
KR102654999B1 (ko) 2024-04-04
WO2019014216A1 (en) 2019-01-17
TW201909647A (zh) 2019-03-01
BR112020000105A2 (pt) 2020-07-07
SG11201911245YA (en) 2020-01-30
CN110832878A (zh)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901B1 (ko) 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영역별 패킹, 콘텐츠 커버리지, 및 시그널링 프레임 패킹
KR102614207B1 (ko) Mime 타입 파라미터들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비디오 스트리밍에서의 중요 비디오 정보 시그널링
US10587934B2 (en) Virtual reality video signaling in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US10567734B2 (en) Processing omnidirectional media with dynamic region-wise packing
US11665219B2 (en) Processing media data using a generic descriptor for file format boxes
CN110870323B (zh) 使用全向媒体格式处理媒体数据
KR102654999B1 (ko) 강화된 영역별 패킹 및 뷰포트 독립적 hevc 미디어 프로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