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675A - Ai를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Ai를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675A
KR20200023675A KR1020180095829A KR20180095829A KR20200023675A KR 20200023675 A KR20200023675 A KR 20200023675A KR 1020180095829 A KR1020180095829 A KR 1020180095829A KR 20180095829 A KR20180095829 A KR 20180095829A KR 20200023675 A KR20200023675 A KR 20200023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artificial intelligence
matching system
system based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용
Original Assignee
(주)잡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잡플러스 filed Critical (주)잡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9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3675A/ko
Publication of KR20200023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한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각 항목별 분류 및 상관관계가 분석된 코드 값을 점수화하여 구직자 또는 구인기업에 적합한 결과값을 매칭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AI를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Job matching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구직자가 원하는 기업 또는 구인기업이 원하는 구직자를 매칭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인공지능기술 및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생산성이 급격히 향상되고 제품과 서비스가 지능화되면서 경제·사회 전반에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란,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을 말한다. 인공지능 분야에는 기계 학습, 인공 신경망, 딥 러닝, 인지 컴퓨팅, 뉴로모픽 컴퓨팅 등 여러 분야가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이란, 기계, 즉 컴퓨터를 인간처럼 학습시켜 스스로 규칙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주로 통계적인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한편, 최근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전국 고용률은 전년 동기에 비해 하락했으며, 실업률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고용상황이 좋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17년 5월 기준 국내 청년들의 첫 취업에 소요되는 기간은 평균 12개월이었으나, 이에 비해 첫 직장에서 근속하는 기간은 평균 15개월로 10년 전인 2007년의 18개월보다 더욱 짧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첫 직장을 그만두는 가장 큰 사유로는 근로여건에 대한 불만족이 51.0%로 압도적이었다.
이에 본원발명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일자리 매칭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여 구직자가 원하는 기업 또는 구인기업이 원하는 구직자를 매칭해주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4167호(2018.07.26.등록)에는 인공지능 기반 일자리 및 교육 기관 매칭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1783호(2017.09.19. 등록)에는 개인교육이력을 기반으로 직업 추천 및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취업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구직자가 원하는 기업 또는 구인기업이 원하는 구직자를 매칭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구직자의 근무적응 인성검사 후 결과값을 활용하는 단계; 상기 결과값을 바탕으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화상면접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결과값 및 상기 화상면접 결과를 분석하고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구직자의 봉사 유형을 분류하여 상기 인성검사 결과값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구직자의 직무적성검 결과값과 구직자의 자격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직무별 코드값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구직자의 전공 또는 이수한 전공과목을 직무별 분류코드에 따라 분류하여 점수로 산출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구직자의 근무적응력을 수치화 하여 적합한 기업과 매칭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매칭 후 상기 구직자 및 상기 기업의 평가를 통해 기존 데이터를 보완하여 매칭의 정확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구직자와 구인기업의 매칭 시스템을 통해 구직자의 직무 만족도 극대화 및 부적응 해소로 구인기업의 인재선발 및 인력관리에 소요되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하여 보다 나은 근무환경을 제시할 수 있으며,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 기반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지원자의 희망직무의 우선순위에 따른 점수가 부여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구직자의 근무적응 인성검사 방법 및 그에 따른 화상면접을 진행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구직자의 봉사 유형에 따른 분류값과 인성검사 결과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구직자의 직무적성검사에 따른 분류값과 자격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코드값을 분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구직자의 전공과목과 각 직무별 분류코드를 연계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종합점수를 통해 합격한 구직자와 채용 완료한 기업간의 매칭에 대한 정확도를 검증하고 데이터를 누적 평가하여 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은 각 항목별 분류 및 상관관계가 분석된 코드값을 점수화하여 구직자 또는 구인기업에 적합한 결과값을 매칭해주는 시스템이다. 구직자는 입력된 정보와 인·적성검사로 산출된 결과값으로 구직자에게 적합한 기업별 종합점수를 확인하고, 구인기업은 기업의 직무별 설정 값에 맞춰 환산된 지원자들의 종합점수를 통해 기업체에 적합한 직무역량과 직업 기초소양을 갖춘 인재를 선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구직자의 희망직무, 근무적응 인성검사 및 화상면접, 봉사유형, 직무적성검사, 자격증, 전공 또는 이수한 전공과목을 통해 직무값에 따른 분류코드가 부여되며, 이를 점수로 산출하여 직무적성 및 근무형태의 우선순위에 따른 결과값이 도출되며, 종합점수에 따라 채용이 진행될 수 있다.
도 2는 지원자의 희망직무의 우선순위에 따른 점수가 부여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구직자의 정보입력 모듈에서 희망직무를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하여 코드값으로 분류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희망직무의 우선순위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어 종합점수산출에 포함된다.
도 3은 구직자의 근무적응 인성평가 진행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직업활동에 필요한 인성검사를 통해 구직자의 근면성, 책임감, 협동성, 자주성, 지도성, 감정상태, 집중력, 정서상태, 준법성 등을 평가한다. 구직자의 상기 근무적응 인성평가 결과에 따라 화상면접이 진행되며, 부족한 영역은 통계자료에 의한 연관된 질문으로 반복적인 검증절차를 거쳐 신뢰도 높은 근무적응력을 평가할 수 있다.
도 4는 구직자의 봉사 유형에 따른 분류값과 인성검사 결과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구직자의 봉사기록과 상기 근무적응 인성평가 결과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구직자가 봉사유형에 따른 분류값을 선택하면 선택한 봉사 유형에 따라 인성검사 키워드 점수가 반영되고 봉사유형의 항목별 성향과 인성검사에서 산출된 성향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해당 결과값에 대한 근거있는 평가를 할 수 있다.
도 5는 구직자의 직무적성검사에 따른 분류값과 자격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코드값을 분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직무적성검사와 자격증 항목의 상관관계는 적성검사를 통해 산출된 기술, 사무, 재무, 마케팅, 전산, 안전, 생산, 연구 등의 직무값을 자격증의 직무별 분류 코드값의 상관관계에 따른 분석을 통해 종합점수를 산출한다. 구직자의 직무적성검사를 통해 산출된 직무값과 구직자의 자격증의 직무별 분류 코드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직무별 코드값으로 분류하고, 분류된 코드값을 근무지역, 근무시간, 급여수준, 근무경험 등의 근무형태를 추가로 입력하면 상관관계의 우선순위에 따라 결과가 도출된다.
도 6은 구직자의 전공과목과 각 직무별 분류코드를 연계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구직자의 전공 또는 이수한 전공과목 유형에 따라 각 직무와 연계하여 점수가 산출된다.
도 7은 종합점수를 통해 합격한 구직자와 채용 완료한 기업간의 매칭에 대한 정확도를 검증하고 데이터를 누적 평가하여 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구직자의 정보와 검사를 통해 산출된 결과값으로 종합점수를 산출하여 구인기업에 적합한 구직자의 점수가 노출되면, 해당 정보를 통해 기업의 채용이 진행된다. 합격된 구직자들은 일정 기간 후에 시스템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여 결과값을 기존데이터 값에 반영한다.
본 발명은 구인구직 매칭 후에 매칭 사례들을 일정기간 추적, 기록하여 매칭 적합도를 평가한다. 평가는 구직자 및 기업 모두 상호 평가로 이루어지며, 구직자와 기업이 매칭 시스템을 재이용할 경우 이전 평가 결과값이 기존데이터에 반영되어 새로 제시되는 데이터 및 매칭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은 기존 단발성으로 종료되어왔던 각 분야의 인·적성검사 결과값을 데이터화하여 다양한 항목들의 결과값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업의 인력관리 노하우를 축적하여 비용절감, 생산성 향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5)

  1. 구직자의 근무적응 인성검사 후 결과값을 활용하는 단계;
    상기 결과값을 바탕으로 질문지를 구성하여 화상면접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결과값 및 상기 화상면접 결과를 분석하고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구직자의 봉사 유형을 분류하여 상기 인성검사 결과값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3. 구직자의 직무적성검 결과값과 구직자의 자격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직무별 코드값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구직자의 전공 또는 이수한 전공과목을 직무별 분류코드에 따라 분류하여 점수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5. 구직자의 근무적응력을 수치화 하여 적합한 기업과 매칭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매칭 후 상기 구직자 및 상기 기업의 평가를 통해 기존 데이터를 보완하여 매칭의 정확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KR1020180095829A 2018-08-17 2018-08-17 Ai를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KR20200023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29A KR20200023675A (ko) 2018-08-17 2018-08-17 Ai를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29A KR20200023675A (ko) 2018-08-17 2018-08-17 Ai를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675A true KR20200023675A (ko) 2020-03-06

Family

ID=6980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829A KR20200023675A (ko) 2018-08-17 2018-08-17 Ai를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3675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7888B2 (en) * 2012-05-23 2020-10-27 Woofound, Inc. System and method for businesses to collect personality information from their customers
US10956969B2 (en) * 2011-09-02 2021-03-23 Woofound, Inc. Matching system for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US10970728B2 (en) * 2014-07-22 2021-04-06 Woofou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personality information
KR102298722B1 (ko) 2021-04-01 2021-09-06 주식회사 컴퍼니제이 동영상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인재 매칭 및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10135B1 (ko)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지원자에 대한 채용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319077B1 (ko) 2020-12-18 2021-10-29 주식회사 컴퍼니제이 온라인 지원자 이력 제공 및 채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08645A (ko) * 2020-07-14 2022-01-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딥 러닝 기반 일자리 매칭 시스템
KR102587833B1 (ko) * 2022-08-01 2023-10-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방향 구인구직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597539B1 (ko) * 2022-08-01 2023-11-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학연 연계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783B1 (ko) 2017-05-11 2017-09-25 조영효 개인교육이력을 기반으로 직업 추천 및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취업 시스템 및 방법
KR101884167B1 (ko) 2018-01-11 2018-08-01 이지이노랩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일자리 및 교육 기관 매칭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783B1 (ko) 2017-05-11 2017-09-25 조영효 개인교육이력을 기반으로 직업 추천 및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취업 시스템 및 방법
KR101884167B1 (ko) 2018-01-11 2018-08-01 이지이노랩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일자리 및 교육 기관 매칭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56969B2 (en) * 2011-09-02 2021-03-23 Woofound, Inc. Matching system for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US10817888B2 (en) * 2012-05-23 2020-10-27 Woofound, Inc. System and method for businesses to collect personality information from their customers
US10970728B2 (en) * 2014-07-22 2021-04-06 Woofound, Inc.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personality information
KR102310135B1 (ko)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제네시스랩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지원자에 대한 채용과정을 수행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220008645A (ko) * 2020-07-14 2022-01-2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딥 러닝 기반 일자리 매칭 시스템
KR102319077B1 (ko) 2020-12-18 2021-10-29 주식회사 컴퍼니제이 온라인 지원자 이력 제공 및 채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98722B1 (ko) 2021-04-01 2021-09-06 주식회사 컴퍼니제이 동영상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인재 매칭 및 추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87833B1 (ko) * 2022-08-01 2023-10-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방향 구인구직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597539B1 (ko) * 2022-08-01 2023-11-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학연 연계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3675A (ko) Ai를 기반으로 하는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Van Iddekinge et al. A meta‐analysis of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prehire work experience
Cable et al. Looked over or overlooked? Prescreening decisions and postinterview evaluations.
Jeanneret et al. Generalized work activities.
US20190318315A1 (en) Method for job matching and a system therefor
Moscoso et al. Meta-analytic examination of a suppressor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job performance relationship
KR20200103143A (ko) Ai기술을 활용한 인사평가자 및 승진대상자 평가 방법
Nolte et al. Repeated use of process models: The impact of artifact, technological, and individual factors
Younus et al. The Eff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Job Performance in China'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Ele et al. Effect of job analysis on corporate performance of the selected private sector organizations in Cross River State, Nigeria
US202302300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ject assessment scoring and software analysis
Binh et al. Factors affecting career success: The case of graduate students
Moradi et al. Matching Iranian project manager’s competencies to project type (Case study: IT and construction industry projects)
Barron et al. Malleability of soft-skill competencies
Hayek et al. Machine learning and external auditor perception: An analysis for UAE external auditors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jaola et al. Construction manager's (CMs) skills and project performance
Daniali et al. Determination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establishment of employees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Carlson et al. 12 Research Design in Evaluating Recruitment Effectiveness: Past, Present, Future
Pampouktsi et al. A PERSONNEL EVALUATION APPROACH IN PUBLIC SECTOR
Weigh et al. Auditor Performance Within Moderasi Compliance and the Influence of Audit Structure, Good Governa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Tan et al. Importance of Employ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Improving Human Resources Functions
Teguh et al. Analysis of Pangandaran Regency Government’s Performance Accountability Strengthening
Hosseini Zare et al. Identification the Components of Evaluation of Employee Performance Smart Pattern (Case Study: Bank of Industry and Mine)
Salem et al. Data mining techniques for classifying and predicting Teachers’ performance based on their evaluation reports
Fowler et al. Development of a procurement task classification sch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