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851A - 전자 담배용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 및 반영구적인 가열 모듈을 구비한 전자 담배 - Google Patents

전자 담배용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 및 반영구적인 가열 모듈을 구비한 전자 담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851A
KR20200022851A KR1020180098988A KR20180098988A KR20200022851A KR 20200022851 A KR20200022851 A KR 20200022851A KR 1020180098988 A KR1020180098988 A KR 1020180098988A KR 20180098988 A KR20180098988 A KR 20180098988A KR 20200022851 A KR20200022851 A KR 20200022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porization
heating rod
vaporization tank
hol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완용
Original Assignee
서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완용 filed Critical 서완용
Priority to KR102018009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851A/ko
Publication of KR20200022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7/00Mouthpieces for pipes; Mouthpieces for cigar or cigarette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38Plug-and-socket conta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상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액상통; 액상통 하부에 체결되는, 연결 캡과; 연결 캡 중심에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기화 탱크 홀과; 기화 탱크 홀에 고정된 기화 탱크와; 기화 탱크의 내부는 중공이며 하부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가열봉 홀과; 기화 탱크의 상부에 덮여진 기화 탱크 캡과; 기화 탱크 캡 중심에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마개 공기 유입구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공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원둘레의 마개 증기 배출구; 기화 탱크의 옆면의 일부에 액상이 유입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 개폐문; 개폐문의 입구를 막고 고정되어진 개폐기와; 기화 탱크의 하부에는 홈이 형성된 전자석 고정 홈; 고정 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개폐기 자석과 마주하고 있는 연철봉과; 차단판 하부의 일부에 고정된 기화 제어부; 기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기화 제어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스 콘세트와; 마이너스 콘센트; 가열봉 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가열봉과; 가열봉의 끝 부분에 부착되어 진 전기 연결부와; "전기접속"이 이루어지는 가열 모듈; 상기 가열 모듈을 포함하는 기화 모듈. 연결 캡에는 차단판이 구비되어 액상통의 하단을 막으며 결합되고, 차단판의 하단 내주면에는 나사 결합부가 형성된 외주면과; 외주면은 결합되면서 마이너스 전기적 연결이 되는 중공의 연결 캡 바디; 상기 전원 연결부와 접촉함으로써 플러스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접점; 증기 유도관 내부에 고정 지지된 공기 유도관; 공기 유도관은 중심에 관통 형성된 마개 공기 유입구로 끼워지며, 증기 유도관은 기화 탱크 마개와 증기 배출구를 에워싸는 기화 탱크 캡 결합 연결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연장되어 액상통의 상단으로 결합되어 상부 캡;과 마우스팁;을 포함하는 전자 담배용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과 반영구적인 가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담배.

Description

전자 담배용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 및 반영구적인 가열 모듈을 구비한 전자 담배 {A new electronic cigarette}
본 발명은 전자 담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담배용 심지 없는 기화 모듈 및 가열 모듈 구비한 전자 담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기호 식품으로 많은 사람이 애용하고 있다. 통상의 연초 담배는 말린 담뱃잎이나 그 가루를 얇은 종이로 말아 기다랗게 만든 것으로 일단에는 니코틴을 비롯한 각종 유해 물질을 감소시켜 주는 필터가 마련되어 있다. 연초 담배에 불을 붙이면 담뱃잎 또는 그 가루가 타면서 특유의 연기가 발생하며 사용자는 담배 연기를 필터 쪽으로 흡입하여 담배를 즐기게 되다.
그러나, 연초 담배는 발암 유발 물질인 니코틴, 타르 등 인체에 성분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각종 질병 및 사망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 간접흡연의 피해를 준다.
이로 인해, 전사회적으로 금연을 추구함에 따라 흡연자들의 입지가 점차 좁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애연가들은 담배가 백해무익한 기호품이기에 끊거나 줄여야 한다는 점은 잘 알고 있으면서도 오랜 습관과 중독성 및 관행 때문에 그것을 쉽게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근래에는 담배를 쉽게 끊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다양한 보조기구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며, 그 중 하나가 최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발된 전자 담배이다.
전자 담배는 액상을 기화시킨 수를 담배연기와 유사한 형태로 흡입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사용자가 입에 물고 흡입하면 내부에서는 연기가 생성되어 흡입되며 사용자에게 마치 실제를 피우는 것과 유사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담배는 일반 담배와 달리 악취가 없고 일산화탄소 및 타르가 발생하지 하지 않으므로, 쉽게 금연을 하지 못하는 흡연자들에게 담배 대용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담배는 배터리부, 무화기, 카트리지로, 구성되는 데 배터리부는 액상을 가열하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주는 장치이고, 무화기는 배터리의 전원을 받아 전열선으로 액상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이고, 카트리지는 액상을 저장해두는 저장통으로 무화기 안쪽에 열선이 감겨있는 심지에 액상을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자 담배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전자 담배에서 액상 충전이 어렵다. 전자 담배는 액상을 사용하므로 사용시 주기적으로 액상을 주입하여야 한다. 이때 마개부를 액상통으로부터 분리하여 상부를 개방하고 위로부터 액상을 주입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 액상통의 직경이 1cm 이하로 작기 때문에, 액상 충전시 심지 지지체 내부로 액상이 들어가지 않으면서 액상통에만 들어가도록 충전하는 것이 쉽지 않다. 심지 지지체 내부는 공기 유동관과 연통되므로 액상이 공기 유동관 및 공기 유동관을 통해 배터리부의 상면으로 흘러가게 되는 경우 장치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액상을 충전할 때마다, 조립 상태를 해체(분해)하지 않고 액상을 충전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공기 유동관의 크기가 정해져 있어서 공기와 액상의 비율에 의해서, 흡입하는 액상의 맛이 정해지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따라서 강하게 흡입하며 강한 맛을 원하기도 하고, 약하게 흡입하고, 순한 맛을 원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흡입하는 습관 기호에 따라서, 입술로 공기유동관을 제어하고, 흡입을 강하게, 또는 중간으로, 그리고 약하게 흡입하며, 강한 맛 또는 순한 맛을 느낄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상술된 구조의 전자 담배는 심지 지지체 상에 위치한 심지에 감겨진 열선에 의해 심지에 젖어든 액상이 기화되어 사용자에게 흡입될 때, 액상의 기화되지 않은 고온의 액상 입자가, 열선에 달라붙어 막을 형성하게 되고, 심지에 덩어리 형태로 굳어지면서 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뜨겁게 달궈진 철판에 밀가루 풀을 쑬 때 눋거나 타는 현상과 유사하게, 전자 담배에서는 800도 이상인 열선과 맞닿은 액상 중 일부가 기화되지 않고 막을 형성하여 눋거나 타는 현상이 심지가 신품일 때부터 일어난다. 이 이유는 심지가 액상에 젖어 있기 때문에 빠르게 가열시켜서 수를 발생하여야 하기 때문에, 강한 열선의 전력이 사용되고, 배터리의 소진이 빠르게 일어난다. 따라서 입자의 층이 사용 할수록 더 두꺼워지고 눋거나 타면서 액상의 고유의 맛이 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로 인해 국소적인 화상 및 목 따가움 현상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펀, 상술된 구조에서는 심지모듈을 교체하는 번거로움과 수고로움이 그리고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교체할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반영구적으로 심지가 없이 작동되는 기화 장치가 요구된다.
KR 10-2015-0027854호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건으로, 액상을 주입 시에 전자 담배의 조립 상태를 분해하지 않고 외부에서 자유롭고, 쉽게 액상 을 충천하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습관 기호에 따라서 입술로 공기를 입으로 조절하여 공기를 액상과 혼합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맛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전자 담배용 흡입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심지가 없이 액상을 전달하여, 심지없이 작동하여 액상의 오염을 막고 건강에 이익을 주는 기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심지 모듈을 교체하는 과정은, 가열 모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후 외부에서 분리하여 쉽게 세척하여 끼우는 것으로서 경제적 이익을 주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액상통; 상기 액상통 하부에 체결되는, 연결 캡과; 상기 연결 캡 중심에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기화 탱크 홀과; 상기 기화 탱크 홀에 고정된 기화 탱크와; 상기 기화 탱크의 내부는 중공이며 하부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가열봉 홀과; 상기 기화 탱크의 상부에 덮여진 기화 탱크 캡과; 상기 기화 탱크 캡 중심에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마개 공기 유입구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공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원둘레의 마개 증기 배출구; 상기 기화 탱크의 옆면의 일부에 액상이 유입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 개폐문; 상기 개폐문의 입구를 막고 고정되어진 개폐기와; 상기 기화 탱크의 하부에는 홈이 형성된 전자석 고정 홈; 상기 고정 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개폐기 자석과 마주하고 있는 연철봉과; 차단판 하부의 일부에 고정된 기화 제어부; 상기 기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상기 기화 제어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스 콘세트와; 마이너스 콘센트; 상기 가열봉 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가열봉과; 상기 가열봉의 끝 부분에 부착되어 진 전기 연결부와; "전기접속"이 이루어지는 가열 모듈; 상기 가열 모듈을 포함하는 기화 모듈. 상기 연결 캡에는 차단판이 구비되어 상기 액상통의 하단을 막으며 결합되고, 상기 차단판의 하단 내주면에는 나사 결합부가 형성된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은 결합되면서 마이너스 전기적 연결이 되는 중공의 연결 캡 바디; 상기 전원 연결부와 접촉함으로써 플러스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접점; 증기 유도관 내부에 고정 지지된 공기 유도관; 상기 공기 유도관은 중심에 관통 형성된 상기 마개 공기 유입구로 끼워지며, 상기 증기 유도관은 상기 기화 탱크 마개와 상기 증기 배출구를 에워싸는 상기 기화 탱크 캡 결합 연결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연장되어 상기 액상통의 상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 캡;과 상기 마우스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차단판을 구비하여, 상기 차단판 아래 위치로 나사 결합부가 형성된 하단 내주면과 상기 가열봉의 돌출된 상기 전원 연결부와 배터리부가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 캡 바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개폐기 자석은 네오디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마우스팁의 공기 유입을 조절하여 흡입하는 액상의 맛을 조정하는 공기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마개부의 상부의 일부에 관통구멍으로 연장된 액상 주입구; 상기 액상 주입구를 막아서 액상의 유실을 막는 주입구 뚜껑; 및 상기 상기 마우스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액상 주입구의 입구에 형성된 링 홈; 상기 링 홈에는 고정된 자석 링; 상기 자석 링의 하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틀; 및 상기 틀의 내부에 달라 붙어 있는 쇠구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화 탱크의 가열봉 홀 끼워져 고정되는 가열봉;
상기 가열봉은 상기 가열봉 홀로부터 상기 가열봉을 분리하여 세척하고, 상기 가열봉 홀에 끼워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열봉이 상기 가열봉 홀에 끼워지고, 상기 가열봉에 장착되어진 전기적으로 연결을 하는 플러스 뿌러그와 마이너스 뿌러그; 상기 기화 탱크 하부의 일부에 플러스 콘센트와 마이너스 콘센트가 장착되어 "전기접속"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열봉의 표면을 내열성 세라믹으로 코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단이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고, 기화 탱크와; 상기 기화 탱크의 내부는 중공이며 하부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가열봉 홀과; 기화 탱크 캡 중심에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마개 공기 유입구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원둘레의 마개 증기 배출구; 및 상기 기화 탱크의 상부에 덮여진 상기 기화 탱크 캡; 상기 기화 탱크의 옆면의 일부에 액상이 유입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 개폐문; 상기 개폐문의 입구를 막고 고정되어진 개폐기와; 상기 기화 탱크의 하부에는 홈이 형성된 전자석 고정 홈; 상기 고정 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개폐기 자석과 마주하고 있는 연철봉과; 차단판 하부의 일부에 고정된 기화 제어부; 상기 기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상기 기화 제어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스 콘세트와; 마이너스 콘센트; 상기 가열봉 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가열봉과; 상기 가열봉의 끝 부분에 부착된 전기 연결부와; "전기접속"이 이루어지는 가열 모듈; 상기 가열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화 탱크의 하부 부분이 내부로 삽입되는 중심에 중공의 관통구멍이며, 통채로 형성된 차단판; 상기 가열봉이 연장되어 끝 부분이 플러스로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원 연결부; 및 하단 내주면에는 전기적으로 마이너스로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 캡 바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화 탱크의 상부를 덮는 기화 탱크 캡을 포함하되, 증기 유도관 내부에 고정 지지된 공기 유도관; 상기 공기 유도관은 중심에 관통 형성된 상기 마개 공기 유입구로 끼워지며, 상기 증기 유도관은 상기 기화 탱크 마개와 상기 증기 배출구를 에워싸는 상기 기화 탱크 캡 결합 연결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연장되어 상기 액상통의 상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 캡;과 상기 마우스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 주입 시에 분해하지 않고 외부에서 쉽게 액상 충전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분해, 조립이 없으므로, 근본적으로 누액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증기를 흡입할 때, 마우스캡에 있는 공기 제어부를 사용자의 입술로 조절하여 액상의 맛을 조절하여 강하게, 약하게 느낄 수 있다.
또한, 심지없이 작동하는 기화 모듈은 액상과 차단되어 있다가 필요시에 공급하므로 액상의 오염이 없어서 액상의 맛이 유지된다. 심지가 없으므로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가열 모듈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심지가 타는 현상이 없으므로 위생적인, 이점이 있으며, 가열 모듈을 교체하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장기간 사용 후에도 외부에서 쉽게 가열 모듈을 분리하여 세척하여 다시 끼우면 무화기를 신품으로 교체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기화 탱크의 내부는 보온력에 의해서 낮은 전력으로 기화하여 증기를 발생하므로 배터리를 교체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담배의 부분 분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전자 담배에서 실시예에 따른 무화기부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전자 담배에서 상부 캡과, 마우스팁의 부분 사시도 및 액상 주입구의 작동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전자 담배에서 액상통, 상부 캡, 공기 유도관, 증기 유도관,기화 모듈 및 가열 모듈을 도시한 부품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전자 담배에서 부분 마우스팁과 상부 캡, 및 공기 유도관, 증기 유도관 그리고 부분 기화 모듈 및 가열 모듈의 부분 절개도와 개폐기의 작동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전자 담배에서 기화 모듈에서 가열봉을 분리하고, 끼우는 과정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분 절개도 및 가열봉의 작동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기접속'이란 "가열 모듈(141)의 플러스 뿌러그(143a)와 고정 플러스 콘센트(149a)을 연결하고, 마이너스 뿌러그(143a)를 마이너스 콘센트(149b)에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 것을 가리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담배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담배는, 무화기부(100)와 배터리부(200)를 포함한다.
배터리부(200)는 무화기부(100)의 하면으로 결합되는 데, 내부에 배터리(미도시)를 수용한다. 배터리부(200)의 상단 외주면(2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홈 형태의 접점(220)이 형성된다. 배터리부(200)는 내부에 수용된 양 단자와 외부를 연결하는 양 접점을 구비하는 데, 일 접점은 외주면(210) 나사산 형성부에 형성되고, 다른 접점은 상면 홈 형태의 접점(220)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무화기부(100)와 배터리부(200)가 체결될 때, 무화기부(100)의 하단 내주면과 배터리부의 배터리 마이너스가 외주면(210)이 접촉하고, 가열봉(144)의 배터리 플러스 연결 접점 전원 연결부(143)와 홈 형태의 접점(220)과 접촉하여 플러스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화기부(100) 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3 은 상부 캡(115)과, 마우스팁의 부분 사시도 및 액상 액상 주입구(125)의 작동도이고, 도 4 는 기화 모듈(140), 가열 모듈(141), 공기 유도관(151a), 증기 유도관(152a), 상부 캡(115), 액상통을 도시한 부품 사시도이고, 도 5 은 부분 마우스팁과 상부 캡과 공기 유입부(122), 공기 제어부(123), 흡입구(121) 및 공기 유도관(151a), 증기 유도관(152a) 그리고 부분 기화 모듈(141) 및 가열 모듈(140)의 부분 절개도와 개폐기(146)의 작동도이다.
도 6 는 기화 모듈(140)에서 가열 모듈(141)의 가열봉(144)을 분리하고, 끼우는 과정 및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분절개도와 작동도이다.
가열 모듈(141)의 일부에 플러스와 마이너스로 구분되어 뿌러그(143a, 143b)로 형성되고, 가열봉 홀(144b)의 원둘레의 일부에 콘센트(149a, 149b)가 형성되어, 가열 모듈(141)을 끼워서 고정할 때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면 1, 2,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화기부(100)는, 액상통(110)과, 마우스팁, 상부 캡(115), 공기 유도관(151a), 증기 유도관(152a), 기화 모듈(140), 가열 모듈(141) 및 하부 연결 캡(181)을 포함한다.
액상통(110)은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고, 상단으로 상부 캡(115) 결합되고 하단으로 연결 캡(181)이 결합되어 내부에 액상을 수용한다.
상부 캡(115)은 마개부(117)와 마우스팁(120)을 포함한다. 마개부(117)은 액상통(110)의 상단 내주면에 끼워지는 원통형 몸체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마우스팁(120)이 형성된다. 상부 캡(115)에는 패킹에 의해 고정된 공기 유도관(151a)과, 증기 유도관(152a)이 마개부(117)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마우스팁(120)을 끼워서 고정한다. 마우스팁(120)을 끼울 때 주입구 뚜껑(129)도 끼워진다. 따라서 공기 유입부(122a)와 공기관 연결구(118)이 결합되고, 흡입 연결부(121a)와 증기관 연결 홈(119)와 결합되어 관통한다. 마개부(117)는 액상통(110)과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외주면(116)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체결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마우스팁(120)의 내부의 공기 제어부(123)는 흡입구(12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 되어진, 패킹으로 지지 고정된다.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2, 5, 및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화 모듈(140)은, 기화 탱크(149))는 전자석(148), 개폐기(146), 개폐문(145), 가열봉(144), 가열 모듈(140)은 전열선(142), 가열봉(144), 가열봉 표면(144a), 가열봉 홀(144b), 전원 연결부(143) 플러스 뿌러그(143a), 마이너스 뿌러그(143b)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기화 탱크 캡(150)은 기화 탱크 마개(153), 마개 공기 유입구(151), 마개 증기 배출구(152)을 포함한다.
기화 모듈(140)은 공기 유도관(151a), 증기 유도관(152a) 기화 탱크 캡 (150), 연결 캡(181)과 조립되어 조립체를 이룬다.
본 방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열 모듈(141)의 가열봉(144)의 내부를 다시 더 살펴보면 내부의 전열선(142)은 중공의 내부에 니코룸선의 탄성만으로 스스로 가열봉(144)의 중심에 지지되어진다. 또는 가열봉(144)의 내부에 세라믹을 사용하여 전열선(142)을 지지할 수도 있다.
연결 캡(181)은 개방된 중공의 통채로 형성된 것으로, 기화탱크 홀(187)이 형성되어 기화 탱크(149)를 중심에 고정한다. 기화 탱크 마개(153)는 중공의 관통홀에, 중공의 관통을 이루는 공기 유도관(151a)과 증기 유도관(152a)이 기화 탱크 마개(153)의 마개 공기 유입구(151)와 마개 증기 배출구(152)에 끼워져 유입된 공기와, 액상이 혼합되어 증기를 배출하는 통로가 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부 캡(115), 마개부(117)를 매개로 마우스팁(120)이 끼워져, 사용자가 흡입을 할 때, 마우스 팁(120)의 공기 유입부(122)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흡입관(121)을 통하여 공기와 증기가 혼합되어 흡연이 이루어진다.
이때, 공기 제어부(123)를 사용자의 입술로 조절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된 마우스팁(120)의 공기 제어부(123)를 사용자의 입술이 덮고 있는 데, 길게 형성된 공기 제어부(123)를 사용자의 입술이 전부 막으면 흡입이 안 되고, 막지 않으면 흡입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길게 형성된 공기 제어부(123)의 사용자의 입술의 위치에 따라서 개도가 조절되어, 흡입 양이 조절되어 액상의 맛을 강하고 부드럽게 조절하는 것이다.
따라서 맛의 강약이 이루어지는 것은 공기 제어부(123)의 개도에 의해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 유도관(151a)을 통하여 마개 공기 유입부(151)에 체결되어 기화 탱크(149) 내부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다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유입된 공기는 회오리 바람이 발생할 때, 기화 탱크(149) 내부에는 개폐기(146)의 작동으로 개폐문(145)으로 유입된 미리 정해진 면적만큼의 액상이 존재하는 것을 회오리 바람에 의해서 액상과 공기 바람이 혼합되는 데, 이때 가열 모듈(141)의 가열봉(144a)의 전열선(142)의 발열에 의해서 기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의 유입된 공기의 양과 액상의 비율이 맛을 결정하는 것이고, 기화된 증기가 마개 증기 배출구(152)를 통해서 체결된 증기 유도관(152a)과 흡입구(121)를 통해서 사용자의 구강으로 흡입되는 것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강한 맛을 즐기고 싶으면 사용자의 입술로 공기 제어부(123)의 길게 형성된 관통된 공기 구멍을 많이 덮어서 공기의 유입을 억제하여 액상의 기화가 많이 기화되면, 사용자는 액상의 강한 맛을 느끼게 되며, 공기 구멍을 상대적으로 조금 덮으면 공기의 유입이 많아지므로 상대적으로 공기가 액상의 기화보다 많아서 사용자는 부드러운 맛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입술로 공기 제어부(123)의 덮는 위치를 입술로 감지하는 높고 낮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미도시)가 있어서 사용자가 공기 제어부(123)의 입술로 위치를 감지하여 유입되는 공기 조절이 용이하다.
기화 탱크(149)의 옆면의 일부에 액상이 유입되는 개폐문(145), 입구에 장착되어 개폐기(146), 기화 탱크(149)의 하부 일부에 형성된 고정 홈(148c), 고정 홈(148c)에 고정된 전자석(148)은 개폐기 자석(147)과 마주 보고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전류를 출력하는 기화 제어부(155)는 전자석(148)의 코일(148a)을 구동하여, 연철봉(148b)의 전자력의 척력으로 개폐기 자석(147)을 같은극(N이면N극, S이면S극)을 밀어내면, 액상통(110) 내의 액상에 담긴, 액상은 개폐문(145)으로 흘러서 기화 탱크(149)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채워진다. 기화 제어부(155)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이 흐른 후 전류가 차단되면 코일(148a)은 자력을 잃게 되어 연철봉(148b)이 철의 상태가 된다. 이때 개폐기 자석(147)은 탄성과 자석의 힘에 의해서 개폐문(145)의 입구를 막게 된다. 따라서 개폐기 자석(147)이 연철봉(148b)에 자력의 의해서 달라 붙어 개폐문(145)의 입구를 막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화 탱크(149) 내부는 미리 정해진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정해진 양만큼 액상이 흘러들어 공간이 채워진다.
기화 탱크(149)에는 가열 모듈(141)의 전열선(142)은 가열봉(144) 내부에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로 중앙부에 코일 형태로 감겨지고 가열봉 표면(144a)의 표면은, 열전도가 높은 구리, 은과 같은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전열선(142)은 양 단부가, 마이너스 뿌러그(143b)와 플러스 뿌러그(143a)에 연결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가열 모듈(141)의 가열봉(144)의 내부에 코일 형태의 전열선(142)는 니크롬선의 탄성에 의해서 독립적으로 지지 될 수도 있고, 세라믹 내열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기화 탱크(149) 내에서 가열봉(144)의 내부에 감겨진 전열선(142)에 발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화 탱크(149)는 세라믹 등과 같은 내열 소재로 형성된다.
전열선(142)은 기화 탱크(149) 내에 위치하는 가열봉(144)의 내부 상부쪽에 코일 형태로 감겨지고 양단 각각이 전열선(142) 내부의 통로로 마이너스 뿌러그(143b)와 플러스 뿌러그(143a)에 연결 형성되어 지고 연장되어 전원 연결부(143)에 연결된다. 전열선(142)은 가열봉(144)의 플러스 뿌러그(143a)에서 플러스 콘센트(149a)에 연결되고, 마이너스 뿌러그(143b)에서, 마이너스 콘센트(149b)로 연결되어, 전기가 흐르게 된다.
여기서, 기화 탱크(149)는 보온력과 전기적으로 절연에 바람직한 세라믹과 같은 내열 단열 소재로 형성된다.
가열봉(144)은, 가열봉(144)의 하단의 전원 연결부(143)과 접점(220)이 플러스 접촉하여 배터리부(200)와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열봉 표면(144a)를 세척하는 것은, 종래의 심지 모듈을 교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폐문(145)을 통해서 액상을 전달하여 가열봉 표면(144a)을 적셔주는 것은 전열선(142)을 가열하여 발열에 의해서 기화되어 증기를 만들어 내기 위함이다.
종래의 전자 담배는 심지 모듈을 교체하기 위해서 액상통(110)과 연결 캡(180), 상부 캡(115)의 체결 부분을 주기마다 반복적으로 분리하고 체결하므로써, 체결 부분이 나사가 헐거워지고 액상의 누액이 생기고 망실되었다. 주기적으로 무화기를 교체하게 되어 경제적인 단점이 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 모듈(141)에 의하면, 전열선(142)이 가열봉(144)의 내부에 형성되어 "전기접속"에 의해 전기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장기간 사용 후에 무화기부 내부에서 전열선(142)을 교체가 필요할 때, 외부에서 가열 모듈(141)의 가열봉(144)을 가열봉 홀(144a)로부터 분리하여 가열봉 표면(144a)을 세척(휴지로 닦아서)하여 가열봉 홀(144a)에 끼워서 고정하는 것만으로 사용자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가열봉(144)의 하부 일부에 내열 고무 패킹을 구비하여 가열봉 홀(144a)에 끼워서 누액을 차단을 보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화 모듈(140)은 가열 모듈(141) 및 공기 유도관(151a), 증기 유도관(152a)을 더 포함한다.
기화 탱크 마개(153)은 기화 탱크(149)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된다. 도 2, 5, 6을 참조하면, 기화 탱크 마개(153)는 기화 탱크 캡 연결부(154)의 내부로 끼워질 때, 공기 유도관(151a)은 마개 공기 유입구(151)로 끼워져 기화 탱크(149) 내부의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마개 증기 배출구(152)는 증기 유도관(152a)으로 연장 형성되어, 증기가 상부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증기 유도관(152a)의 내부에 중심에 고정된 공기 유도관(151a)을 포함한다. 이때, 공기 유도관(151a)을 고정하는 것은 패킹, 나사(미도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조적 안정성을 이루면서도 증기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설명하면 공기 유도관(151a)이 지지되어 고정되는 것은 나사 결합 방법이나, 끼움 방식 또는 패킹으로 고정하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기화 탱크 마개(153)가 덮여 있는 기화 탱크(149)의 옆면의 일부에 개폐문(145)이 형성된다. 따라서 액상이 흘러 들어올 수 있다. 따라서 개폐문(145)의 입구를 막고 있는 개폐기(146)는 필요에 따라 열려서 액상을 공급하고, 일반적으로 전자 담배시에는 오프 상태에서도 기화 탱크(149)와 액상의 투입을 막고 있는 개폐기(146)는 액상이 담겨진 상태를 유지하는 데, 비 사용시에도 개폐기 자석(147)의 자력으로 전자석(148)의 연철봉(148b)에 인력으로 붙어서 개폐문(145)의 입구를 막아 액상의 유실을 차단하고 있다. 또한 사용시에도 개폐기(146)를 열고, 닫는 시간 간격에 의해서 액상 공급을 제어하여 증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화 모듈(140)의 도면4를 참조하여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하부의 연결 캡(181)의 중심부의 중공에 기화 탱크(149)가 끼워지고, 기화 탱크(149)의 내부 중심의 하부에 개방된 관통구멍으로 가열봉 홀(144b)에 가열봉(144)이 끼워 고정되며, 기화 탱크(149) 하부의 원둘레 쪽 일부에 전자석(148)이 고정 홈(148c)에 끼워 고정되며, 기화 탱크(149)의 외부 옆면의 일부에 개폐문(145)이 형성되어지고 개폐문(145)의 입구에 개폐기(146)가 장착된다.
또한, 기화 탱크 마개(153)는 중심이 개구이고, 원둘레의 마개 증기 배출구(152)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공의 관통된 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화 탱크(149) 상부에 얹어 공기 유도관(151a)과 결합된다. 이때, 공기 유도관(151a)은 중심의 마개 공기 유입구(151)으로 끼워지며, 증기 유도관(152a)은 기화 탱크 마개(153)을 에워싸는 탱크 결합 홈(154)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그리고, 마우스팁(120)의 공기 연결부(122a)는 공기관 연결부(118)에 타이트하게 끼워지고, 흡입 연결부(121a)은 증기관 연결 홈(119)에 타이트하게 끼워져 무화기부(100)가 조립된 상태가 된다.
기화 탱크 마개(153)는 마개 증기 배출구(152)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공의 관통된 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증기 유도관(152a) 내부에 공기 유도관(151a)을 지지고정하는 패킹 또는 나사(미도시)의 일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의 경로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증기 유도관(151a) 내부에서 고온의 액상이 부딪히게 되고, 증기와 달리 액상 방울은 유동성이 저하되므로 액상 튐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튐 액상이 사용자에게 흡입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무화기부(100)의 작동 과정은 도 1, 2, 5, 및 6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배터리부(200)의 전원 온(미도시)하면서 마우스팁(120)을 입에 물고 흡입을 할 때, 가열 모듈(141)의 전열선(142)은 가열봉(144)의 플러스 뿌러그(143a)와 플러스 콘센트(149a)을 연결하고, 마이너스 뿌러그(143a)를 마이너스 콘센트(149b)에 연결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열선(142)은 발열하여, 가열봉(144)에 일정량의 열을 방출하고, 이렇게 방출된 열에 의해 기화 탱크(149)의 내부에는 온도가 상승할 때, 기화 제어부(155)는 전자석(148)를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 코일(148a)을 구동하면, 전자석(148)는 자기력을 발생하여 척력으로, 개폐기(146)의 자석(147)을 밀어낸다. 이때 액상통(100)의 내부의 액상이 개폐문(145)으로 유입되면, 기화 탱크(149) 내부에는 위의 공기 유도관(151a)으로 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각(미도시)이 진 관통구멍으로부터 품어져 나오는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액상이 와류가 발생할 때, 가열 모듈(141)의 내부의 전열선(142)이 발열되고, 가열봉 표면(144a)의 온도로, 와류된 액상은 기화되어, 기화 탱크(149)의 내부 위에 기화 탱크 마개(153)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도관(152a)으로 관통하여 마우스팁(120)의 흡입구(121)을 통해 사용자의 구강으로 흡입된다.
기화 탱크(149)는 하단 중심부의 가열봉 홀(144b)이 관통되어 있고, 상단 중심부는 기화 탱크 마개(153)이 장착되어 있으며, 기화 모듈(140)은, 보온을 위해서 내열 단열제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단열제로는 세라믹 재질 또는 지르코늄 재질, 바람직하게는 고밀도의 세라믹 재질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전열선(142)에 의해서 가열봉 표면(144a)이 발열할 때, 기화 탱크(149)의 내부 온도를 보온 유지하여 전열선(142)을 소전력으로도 발열이 가능한 효과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가열봉(144)의 내부에 형성된 전열선(142)은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열 절연체로 형성한다. 가열봉(144)은 열전도가 높은 금속으로 철 바람직하게는 구리, 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열봉 표면(144a)의 금속 위에 세라믹 유약으로 형성하거나, 예를 들어 요리용 뚝배기 및 후라이팬 등에 사용하는 도자기 세라믹 재료를 사용하여 가열봉 표면(144)의 표피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시 액상이 눋거나 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무화기를 분해하지 않고, 전열선(142)을 교체할 때, 무화기 기화 탱크(149)로부터 가열 모듈(141)의 전열선(142)이 내장되어 있는 가열봉(144)을 분리하여, 휴지로 세척하여 기화 탱크(149)의 가열봉 홀(144b)에 끼우는 것으로 심지 모듈을 교체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자 담배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비숙련자라도 전자담배 전문매장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가열 모듈(141)의 가열봉(144)을 외부에서 분리해서 세척 (휴지로 닦아서) 기화 탱크(149)의 가열봉 홀(144b)에 끼우는 것으로 종래의 심지 열선을 신품으로 교체하는 것과 같고,무화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부에서 가열 모듈(141)를 분리 하여 세척하여 끼우는 과정을 도면 1, 2, 4,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따라서, 무화기(100)와 배터리부(200)를 분리하면, 가열 모듈(141)의 가열봉(144)의 전원 연결부(143)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때 전원 연결부(143)의 돌출된 부분을 손가락이나 핀셋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가열봉(144)을 도 6의 (1146a), 뽑아서 분리하여, 물 휴지를 사용하여 가열봉 표면(144a)을 세척(닦아서)하여 가열봉 홀(144b)에 도 6의 (1141), 끼워서 고정하는 것으로 가열봉(144)의 세척이 마무리 된다.
가열봉 표면(144a)의 표피가 세라믹에 코팅되어 입자가 달라 붙지 않으므로 가열 모듈(141)의 사용 기간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액상의 맛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심지모듈(코일 모듈)은 액상 전달체가 심지에 젖어서 스며든 액상을 전열선으로 집적 가열하여, 고열로 중탕하여 기화하는 방식이므로 액상의 입자가 전열선에 달라 붙어 연속 쌓여서 덩어리가 된다. 따라서 타거나 맛이 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140)의 작동을 살펴 보면, 사용자가 흡연을 할 때, 공기 유도관(151a)에서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다각도로 형성된 관통구멍에서 뿜어져 나오는 공기 바람에 의해서 회오리 바람이 되어, 가열봉 표면(144a)의 발열에 의해서 액상이 기화되기 직전 상태를 회오리 바람에 기화되어 증기 유도관(152a)을 따라서 마우스팁(120)의 사용자 구강으로 흡입되어 진다.
종래의 심지를 사용하여 액상을 공급하는 방식들은 심지에 열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흡연시 열선에 의해서 심지가 타는 현상이 발생하고, 액상은 심지에서 액상통으로 들어가고, 다시 액상은 심지를 통해서 열선에 집적 접촉되거나 근접되어 기화되고 계속적인 순환이 일어난다. 따라서 액상이 오염된다. 따라서 액상의 본래 맛이 변하게 되며 액상의 입자가 달라 붙어 타게 되고 탄 맛이 목에 화상, 또는 목이 아프게 될 수 있다. 마치 음식을 요리할 때 솜을 넣고, 요리를 하면 맛이 변하는 것과 같이 심지에 근접하거나 전열선을 감아서 가열하는 것은, 액상의 맛이 변한다.
한편, 심지에는 열선이 감겨 있고, 열선이 가열되어 액상이 기화가 되려면 대전력이 필요해 진다. 이 이유는 심지는 중공 상태에서 개방되고, 심지에는 액상이 항상 젖어 있으며 액상에 담궈져 있다. 따라서 면적이 넓고 열전도율에 의해서 열이 분산 되기 때문에 대전력으로 열선을 빠르게 가열하여야 사용자가 원하는 흡연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터리의 소모가 빠르며 자주 배터리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심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위에서 상술한 것과 같은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이유는 기화 탱크(149)의 보온력에 의하여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고 액상과 차단되어 았으므로 저전력으로 가열 모듈(141)의 전열선(142)을 구동해도 빠르게 높은 온도로 올라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액상의 맛은 그대로 유지되고 액상은 순환이 구조적으로 한 번 들어간 액상은 액상통(110)으로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액상과 전열선(142)과 분리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 담배는 항상 액상통(110)에 담겨서 젖어있으며 온도의 차이로 빠르게 순환되므로 따라서 액상은 변하게 된다. 액상의 맛을 그대로 표현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5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담배의 실시예에서 개폐기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을 참조하면 , 개폐기{146}는 기화 모듈(140)의 기화 탱크(149)의 외부에 장착되어 개폐문(145) 입구를 막고 있고, 개폐문(145)과 개폐기(146)의 아래에 기화 탱크(149)의 밑면의 일부 홈에 전자석(148)이 장치되어, 개폐기(146)에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기 자석(147)과 대면하고 있다. 이때, 개폐기 닫힘 상태(1146)를 전면도이고, 개폐기 닫힌 상태(1146c)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개폐기(146)가 닫혀 있는 것은, 개폐기 자석(147)의 자력의 인력 작용으로 전자석(148)의 연철봉(148b)을 당겨서 입구를 막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액상의 흐름을 차단하고 있다. 한편, 개폐기(146)는 반자성체이며, 탄성력이 있고, 형체가 변질이 없으며, 친환경적인 재료가 바람직하다. 개폐기(146)는 탄성판으로 형성되며, 탄성판의 일부의 홈에 개폐기 자석(147)을 장착하고, 기화 탱크(149) 외부의 일부의 개폐문(145)의 입구를 막고 있는 형태로 장착되며, 탄성판을 매개로 형성되어 개폐기(146)가 스무드하게 움직이게 된다.
또한, 개폐기 열림 상태(1146a)의 전면도이고, 개폐기 열림 상태(1146c)의 단면도이며. 또 다른 도면을 살펴 보면, 1146d는 개폐기(146)가 닫혀 있는 상태이고, 1146e는 개폐기(146)가 열림 작동 상태이다. 여기서, 개폐기(146)의 열림을 제한하는 것도 탄성력에 의해서 개폐기(146)의 열림에 제한을 둔다.
따라서, 개폐기(146)가 작동을 하여 개폐문(145)의 입구가 열리게 되는 데, 전자석(148)의 코일(148a)에 전류를 흘리면 연철봉(148b)이 전자석이 되어 대면하고 있는 개폐기 자석(148a)을 척력으로 밀어 개폐문(145)의 입구를 열어 액상이 기화 탱크(149)의 내부로 흐르게 통로를 확보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화 제어부(155)로부터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 전류가 출력되어 코일(148a)을 구동하여 전자석(148)가 미리 설정한 시간 동안 전자석 상태가 되어 개폐기 자석(147)을 척력으로 밀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척력이란 자석의 N극은 N극을 밀고, S극은 S극을 미는 작용이다.
또한, 도 5의 개폐문 닫힘(1146)의 전면도, 개폐문 닫힘(1146c)을 참조한다.
또한, 개폐기(146)가 열린 작동을 하고, 코일(148)에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면 탄성판으로 형성된 개폐기(146)에 의해서 열림이 제한 위치에 있던 개폐기(146)는 다시 닫힘 상태로 된다. 따라서 코일(147)의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개폐기(146)는, 개폐기 자석(147)과 연철봉(148b)의 사이의 자력의 인력에 의해서, 또한 탄성력을 더해서 잡아 당기는 힘의 작용에 의해서 닫힌다.
따라서, 개폐기(146)가 닫힌 후 개폐기 자석(147)에 의해서 강력한 네오디뮴 자석으로 연철봉(148b)에 페라이트 등 일반 자석에 비해 강한 자력으로 붙어 있어, 개폐기(146)가 개폐문(145)를 막아서 액상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다. 개폐기(146)는 개폐문 닫힘(1146)의 전면도, 개폐문 닫힘(1146c) 단면도를 참조한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개폐기 자석(147)이 연철봉(148b)의 철에 붙어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개폐기 자석(147)은 네오디뮴 자석을 포함한다.
또한, 기화 제어부(155)는 전원이 켜지면, 기화 제어부(155)의 타임 데이터를 카운트하여 적어도 한 번 이상 미리 설정된 시간까지 코일(148a)에 전류를 흘려서 전자석(148)의 연철봉(148b)을 전자석의 상태로 한다. 따라서 시간이 초과되어도, 전원이 켜진 상태이면, 적어도 한 번 이상 전술한 내용의 작동을 하게 되는데, 기화 탱크(149)에 공급된 액상이 전부가 기화되기 전에 액상을 공급하여, 연속적인 기화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가 흡입을 길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사용자마다 흡연 습관이 다르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기 위함이다. 흡입을 짧게, 흡입을 길게 할 때, 전원이 계속켜져 있으면 전열선(142)이 계속 발열 상태이므로 액상이 전부 소진되게 되어 증기 발생이 안 되는 것에, 액상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내용의 적어도 한 번 이상 개폐기(146)가 작동을 하여 액상을 공급한다.
기화 탱크(149)의 미리 정해진 면적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기(146)가 작동하여 개폐문(145)으로 유입되는 액상의 양은 정해져 있다. 즉 면적만큼만 채워지고, 흡연 행위를 한 후에 액상이 기화 탱크(149)에 남아 있어도 남아 있는 액상을 뺀 만큼만 채워진다. 즉 기화 탱크(149)의 미리 정해진 내부 면적만큼 유입되어 채워진다.
한편, 흡입 과정에서 남은 액상은 공기 유도관(151a)으로 흘러서 유입되지 않는 것은 공기 유도관(151a)이 일정 정도의 길이로 마개 공기 유입구(151)의 내부로 끼워져 체결되기 때문이다. 마개 증기 배출구(152)는 중공의 관통된 관이 기화 탱크 마개(153)에 하나로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것과 같이 액상이 흘러 마개 공기 유입구(151)로 유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봉(144)의 표피에는 고 입자의 내열 세라믹을 코팅하여 액상의 입자가 달라붙지 않게 코팅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치 세라믹이 코팅되어 있는 후라이팬에 음식을 요리하면 음식이 눋거나 달라붙지 않는 원리와 같다.
종래의 전자 담배용 심지 코일을 교체하는데 있어서 통상적으로 3일에서 7일 이내로 교체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서 번거롭기도 하고 경제적 이유로 3일에서 7일보다 더 빨리 또는 늦게 코일을 교체하기도 함으로서, 건강과 경제적으로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심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위에서 상술한 것과 같은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이유는 기화 탱크(149) 가열봉 홈(144b)에 고정되어 있는 가열봉(144)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기(146)의 열림에 의해서 개폐문(145)으로 흘러 들어온 액상을 가열봉 모듈(141)의해서 기화가 되어 증기가 발생되는 것이다.
가열봉(144)의 표피에는 세라믹이 코팅되어 있어서 액상의 입자가 달라 붙지 않으므로 장 기간 사용할 수 있지만, 건강을 위해서 이른 기간이라도 가열봉(144)을 가열봉 홀(144b)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여 끼워서 고정시키는 과정이 종래의 전자 담배에서는 심지 모듈을 교체하는 과정과 비슷하지만, 종래의 전자 담배에서는 심지 모듈를 교체하는 비용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용의 발생이 없다. 또한 종래의 전자 담배에서는 무화기를 분리하여 번거롭지만, 본 발명에서는 무화기를 분리하지 않고 외부에서 짧은 시간에 쉽고 간편하게 가열 모듈(141)을 분리하여 세척하여 끼워 고정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심지 모듈은 심지(솜)에 전열선이 근접하여 전열선의 발열에 의해 기화하여 증기를 발생하기 때문에 심지 모듈을 신품으로 교체해도, 마치 풀 냄새 같은 냄새(맛)가 처음부터 나면서, 전열선에 액상의 입자가 달라 붙어 기화량이 줄어들면서 단시간에 급격히 맛이 강해지며 탄 맛으로 빠르게 진행하는 것으로 사용자들은 전자 담배를 지속하지 못하고, 예전의 연초 담배로 돌아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봉 표면(144a)의 표피에는 고 입자의 내열 세라믹을 코팅하여 액상의 입자가 달라 붙지 않게 코팅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치 세라믹이 코팅되어 있는 후라이팬에 음식을 요리하면 음식이 눋거나 달라붙지 않는 원리와 같다. 따라서 액상의 맛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 연결부(143)과 배터리부(200)의 플러스 단자(220)와 연결되어, 가열봉(144)의 내부에서 연결되어 플러스 전기 뿌러그(141)에 연결되고, 전열선(142)의 한 선에 연결된다. 전열선(142)의 다른 선은 내부로 마이너스 뿌러그(143b)에 연결된다. 마이너스 뿌러그(143b)에서 마이너스 콘센트(149b)에 연결되고, 마이너스 콘센트(149b)로부터 연결 캡(181)의 일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플러스 뿌러그(141)는 고정 플러스 전기 뿌러그(149a) 연결된다. 고정 플러스 전기 뿌러그(149a)로부터 기화 제어부(155)에 플러스 연결되고, 기화 제어부(155)의 마이너스는 연결 캡(181)의 일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무화기부(100)와 배터리부(200)이 체결될 때, 무화기부(100)의 하단 내주면과 배터리부(200)의 외주면(210)이 접촉하고, 가열 모듈(141)의 전원 연결부(143)의 홈 형태의 접점(220)과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전자 담배는 액상을 사용하므로 사용시 주기적으로 액상을 주입 충전하여야 하는 데, 하루에도 여러 번 무화기의 상 하의 일 부분을 분해하여 액상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이더라도 액상의 일부가 흘리기도 하고 내부 모듈에 배터리 단자 등에 들어가서, 사용자의 불쾌감을 초래하고 배터리부의 상면의 접점들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세척 또는 수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무화기를 분해하고 조립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무화기의 조립 나사가 헐거워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누액이 발생하고 무화기의 망실로 경제적으로 손실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 주입 시에 분해하지 않고 외부에서, 간단하고 쉽게 충전을 할 수 있고, 근본적으로 누액이 생기지 않으며 경제적으로 이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 캡(115)의 마개부(117)의 상부의 일부에 관통구멍으로 연장되어 하부쪽으로 관통되어진 액상 주입구(1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액상 주입구(125) 입구에는 링 홈(128)이 형성되고, 링 홈(128)에는 자석 링(126)이 링 홈(128)에 고정되어 있다.
틀(130)의 하부 밑에서 쇠구슬(127)을 틀(130)로 밀어 넣고 머리가 넓은 나사(미도시)를 조여서 강한 충격에도 쇠구슬(126)이 틀(130)에서 아래로 이탈하지 않도록 보증한다. 차단 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쇠구슬(126)은 금, 은 구리 등 친환경적인 도금이 바람직하다.
틀(130)의 내부에는 쇠구슬(127)이 내장되어 있으며, 틀(130)의 내주면에는 하부에서 상부쪽으로 오목한 홈(미도시)이 액상 주입구(125)와 관통구멍되어 마주보고 있으며, 오목한 홈에 쇠구슬(127)이 자석 링(126)의 자력으로 붙어있고, 액상 주입구를 막고 있다.
이때, 액상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액상제품의 꼭지를 액상 주입구(125)에 넣으면 달라 붙어 있던 쇠구슬(127)이 뒤로 밀리면서도 자석 링(127)의 인력으로 마치 쇠구슬(127)을 밑에서 스프링의 탄성이 밀고 있는 것처럼 쇠구슬(127)이 이탈하지 않으면서 공간이 생기고, 액상제품의 몸체를 누르면 액상이 흘러 들어가서 액상이 충전되게 된다. 그리고, 액상제품의 꼭지가 액상 주입구(125)에서 제거되면 쇠구슬(127)이 자력에 의해서 쇠구슬(127)이 달라 붙어 틀(130)의 내부의 상부의 액상 주입구를 막아서 액상의 유실을 막는다.
그리고, 액상 충전이 완료되면 마우스팁(120)을 끼우는 것으로 주입구 뚜껑(129)이 액상 주입구(125)를 막아서, 액상제품의 사계절 온도의 점성도에 의해 누액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차단한다. 또한 액상 주입구(125)는 공기관 연결부(118)와 증기관 연결 홈(119)보다 낮게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액상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액상이 흘러 넘쳐서 공기관 연결부(118)와 증기관 연결 홈(119)으로 액상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액상 주입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은 온도가 상승하면 묽어져서 누액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마우스팁(120)을 끼울 때, 주입구 뚜껑(129)이 액상 주입구(125)를 막아서 액상의 누액을 차단한다.
따라서 마우스팁(120)을 끼우고 분리하는 것은, 사용자가 구강에서 증기를 흡입(흡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침이 마우스팁(120)의 흡입구(121), 공기 유입부(122), 공기 제어부(123)등으로 흘러 들어갈 수가 있는 데, 이때 마우스팁(120)을 분리하고 세척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마우스팁(120)에 붙어 있는 주입구 뚜껑(129)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통(110)의 하단에는 연결 캡(181)이 결합된다.
연결 캡(180)은 연결 캡 바디(181)를 포함한다.
연결 캡 바디(181) 상단이 차단판(183)으로 막힌 중공의 통채로 내주면(182)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결합부를 구비하여 배터리부(220)의 상단 외주면(210)과 나사체결된다. 연결 캡 바디(181)는 도전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터리부(220)의 일측 접점과 마이너스를 연결하는 도선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무화기부 110: 액상통
115: 상부 캡
116: 외주면
117: 마개부
118: 공기관 연결부
119: 증기관 연결 홈
120: 마우스 팁
121: 흡입구
121a: 흡입 연결부
122: 공기 유입부
122a: 공기 연결부
123: 공기 제어부
124: 액상 주입 모듈
125: 액상 주입구 126: 자석 링 126a: 링 홈
127: 쇠구슬 128: 주입구 홈 129:주입구 뚜껑 130: 틀
140: 기화 모듈
141: 가열 모듈
142: 전열선 143: 전원 연결부 143a: 플러스 뿌러그
143b: 마이너스 뿌러그 144: 가열봉 144a: 가열봉 표면
144b: 가열봉 홀
145: 개폐문 146: 개폐기 147: 개폐기 자석
148: 전자석
148a: 코일 148b: 연철봉 148c: 고정 홈
149: 기화 탱크 149a: 플러스 콘센트 149b: 마이너스 콘센트
150: 기화 탱크 캡
151: 마개 공기 유입구 152: 마개 증기 배출구 153: 기화 탱크 마개
151a: 공기 유도관
152a: 증기 유도관
154: 기화 탱크 캡 연결부
155: 기화 제어부
180: 연결 캡
181: 연결 캡 바디
182: 내주면
183: 차단판
186: 액상통 나사산
187: 기화탱크 홀
200: 배터리부
210: 접점
220: 외주면
1141: 가열봉 고정 상태
1141a: 가열봉 분리 상태
1146: 전면 개폐기 닫힘
1146c: 단면 개폐기 닫힘
1146a: 전면 개폐기 열림
1146b: 단면 개폐기 열림
1146d: 개폐기 닫힘 작동
1146e: 개폐기 열림 열림

Claims (11)

  1. 상 하단이 개방된 중공의 액상통; 상기 액상통 하부에 체결되는, 연결 캡과;
    상기 연결 캡 중심에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기화 탱크 홀과; 상기 기화 탱크 홀에 고정된 기화 탱크와; 상기 기화 탱크의 내부는 중공이며 하부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가열봉 홀과;
    상기 기화 탱크의 상부에 덮여진 기화 탱크 캡과; 상기 기화 탱크 캡 중심에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마개 공기 유입구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공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원둘레의 마개 증기 배출구;
    상기 기화 탱크의 옆면의 일부에 액상이 유입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 개폐문; 상기 개폐문의 입구를 막고 고정되어진 개폐기와; 상기 기화 탱크의 하부에는 홈이 형성된 전자석 고정 홈; 상기 고정 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개폐기 자석과 마주하고 있는 연철봉과; 차단판 하부의 일부에 고정된 기화 제어부; 상기 기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상기 기화 제어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스 콘세트와; 마이너스 콘센트;
    상기 가열봉 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가열봉과; 상기 가열봉의 끝 부분에 부착되어진 전기 연결부와; "전기접속"이 이루어지는 가열 모듈; 상기 가열 모듈을 포함하는 기화 모듈.
    상기 연결 캡에는 차단판이 구비되어 상기 액상통의 하단을 막으며 결합되고, 상기 차단판의 하단 내주면에는 나사 결합부가 형성된 외주면과; 상기 외주면은 결합되면서 마이너스 전기적 연결이 되는 중공의 연결 캡 바디;
    상기 전원 연결부와 접촉함으로써 플러스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접점;
    증기 유도관 내부에 고정 지지된 공기 유도관;
    상기 공기 유도관은 중심에 관통 형성된 상기 마개 공기 유입구로 끼워지며, 상기 증기 유도관은 상기 기화 탱크 마개와 상기 증기 배출구를 에워싸는 상기 기화 탱크 캡 결합 연결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연장되어 상기 액상통의 상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 캡;과 상기 마우스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을 구비하여, 상기 차단판 아래 위치로 나사 결합부가 형성된 하단 내주면과 상기 가열봉의 돌출된 상기 전원 연결부와 배터리부가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 캡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
  3. 제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자석은 네오디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담배.
  4. 제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팁의 공기 유입을 조절하여 흡입하는 액상의 맛을 조정하는 공기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담배.
  5. 제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의 상부의 일부에 관통구멍으로 연장된 액상 주입구;
    상기 액상 주입구를 막아서 액상의 유실을 막는 주입구 뚜껑; 및 상기 상기 마우스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주입구의 입구에 형성된 링 홈; 상기 링 홈에는 고정된 자석 링;
    상기 자석 링의 하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틀; 및 상기 틀의 내부에 달라 붙어 있는 쇠구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
  7. 전자 담배용 가열 모듈로써,
    기화 탱크의 가열봉 홀 끼워져 고정되는 가열봉;
    상기 가열봉은 상기 가열봉 홀로부터 상기 가열봉을 분리하여 세척하고, 상기 가열봉 홀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용 가열 모듈.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봉이 상기 가열봉 홀에 끼워지고, 상기 가열봉에 장착되어진 전기적으로 연결을 하는 플러스 뿌러그와 마이너스 뿌러그;
    상기 기화 탱크 하부의 일부에 플러스 콘센트와 마이너스 콘센트가 장착되어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용 가열 모듈.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봉의 표면을 내열성 세라믹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용 가열 모듈.
  10. 전자 담배용 기화 모듈로써,
    상하단이 중공의 통체로 형성되고, 기화 탱크와; 상기 기화 탱크의 내부는 중공이며 하부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가열봉 홀과;
    기화 탱크 캡 중심에는 관통구멍으로 형성된 마개 공기 유입구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원둘레의 마개 증기 배출구; 및
    상기 기화 탱크의 상부에 덮여진 상기 기화 탱크 캡;
    상기 기화 탱크의 옆면의 일부에 액상이 유입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 개폐문; 상기 개폐문의 입구를 막고 고정되어진 개폐기와; 상기 기화 탱크의 하부에는 홈이 형성된 전자석 고정 홈; 상기 고정 홈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개폐기 자석과 마주하고 있는 연철봉과; 차단판 하부의 일부에 고정된 기화 제어부; 상기 기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상기 기화 제어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스 콘세트와; 마이너스 콘센트;
    상기 가열봉 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가열봉과; 상기 가열봉의 끝 부분에 부착된 전기 연결부와; "전기접속"이 이루어지는 가열 모듈; 상기 가열 모듈을 포함하는 기화 모듈.
    상기 기화 탱크의 하부 부분이 내부로 삽입되는 중심에 중공의 관통구멍이며, 통채로 형성된 차단판; 상기 가열봉이 연장되어 끝 부분이 플러스로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원 연결부; 및
    하단 내주면에는 전기적으로 마이너스로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 캡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용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화 탱크의 상부를 덮는 기화 탱크 캡을 포함하되,
    증기 유도관 내부에 고정 지지된 공기 유도관;
    상기 공기 유도관은 중심에 관통 형성된 상기 마개 공기 유입구로 끼워지며, 상기 증기 유도관은 상기 기화 탱크 마개와 상기 증기 배출구를 에워싸는 상기 기화 탱크 캡 결합 연결부 내측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연장되어 상기 액상통의 상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 캡;과 상기 마우스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담배용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
KR1020180098988A 2018-08-24 2018-08-24 전자 담배용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 및 반영구적인 가열 모듈을 구비한 전자 담배 KR20200022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988A KR20200022851A (ko) 2018-08-24 2018-08-24 전자 담배용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 및 반영구적인 가열 모듈을 구비한 전자 담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988A KR20200022851A (ko) 2018-08-24 2018-08-24 전자 담배용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 및 반영구적인 가열 모듈을 구비한 전자 담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851A true KR20200022851A (ko) 2020-03-04

Family

ID=6978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988A KR20200022851A (ko) 2018-08-24 2018-08-24 전자 담배용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 및 반영구적인 가열 모듈을 구비한 전자 담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8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047A (ko) * 2021-06-09 2022-12-16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7854A (ko) 2013-08-28 2015-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보수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7854A (ko) 2013-08-28 2015-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보수재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6047A (ko) * 2021-06-09 2022-12-16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287B1 (ko) 가열식 담배용 전기 가열기
JP7198226B2 (ja) 燃焼を伴わない空気予熱式のシーシャ装置
US5564442A (en) Battery powered nicotine vaporizer
KR101635340B1 (ko) 전자담배용 기화장치
AU2013382371B2 (en) An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a replacable mouthpiece cover
KR101081481B1 (ko) 전자담배용 무화기 일체형 카트리지
US8205622B2 (en) Electronic cigarette
US20100031968A1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electronic smoking-substitute devices
BR112018016947B1 (pt) Dispositivo de entrega de aroma, sistema de fornecimento de aerossol eletrônico, um componente de um sistema de fornecimento de aerossol eletrônico ou um retentor de artigo de fumo, dispositivo de armazenamento, método para adicionar aroma, sistema de fornecimento de aerossol eletrônico ou um componente de um sistema de fornecimento de aerossol eletrônico
US20150027473A1 (en) Phallic Themed Electronic Vaporizer
KR101022546B1 (ko) 금연보조 흡입장치
KR101552254B1 (ko) 전자 담배
KR20120098343A (ko) 전자 담배
EA036871B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электронного парового ингалятора
KR101375315B1 (ko) 전자 담배용 심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담배
KR101375316B1 (ko) 전자 담배용 심지 모듈
WO2017205838A1 (en) Devices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CA3112534A1 (en) Wicking element for aerosol delivery device
KR200452359Y1 (ko) 전자담배
EP3979866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separable venturi element
JP2022050558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120132005A (ko) 일회용 전자흡입기구
KR101315296B1 (ko) 전자담배
EA037832B1 (ru) Ароматический ингалятор 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типа
KR20200022851A (ko) 전자 담배용 심지가 없는 기화 모듈 및 반영구적인 가열 모듈을 구비한 전자 담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