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693A -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 Google Patents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693A
KR20200022693A KR1020180098624A KR20180098624A KR20200022693A KR 20200022693 A KR20200022693 A KR 20200022693A KR 1020180098624 A KR1020180098624 A KR 1020180098624A KR 20180098624 A KR20180098624 A KR 20180098624A KR 20200022693 A KR20200022693 A KR 20200022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ipe
cable pipe
functio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인선
Original Assignee
방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인선 filed Critical 방인선
Priority to KR1020180098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693A/ko
Publication of KR2020002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케이블이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케이블관;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종류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케이블이 상기 제1 케이블과 격리 배치되도록 상기 내부 케이블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케이블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Functional cable pipe unit}
본 발명은,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을 공용으로 보호 혹은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정리가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해져서 제반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시공할 때는 여러 종류의 케이블(cable, 전선), 예컨대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 등이 사용된다.
또한 도심권에서는 미관을 고려하여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하는 추세이다.
통상의 케이블은 구리선이 절연제로 피복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케이블이 건축물의 시멘트나 콘크리트 지표면에 그대로 놓이면 피복이 마찰에 의해 혹은 빗물에 의해 벗겨지거나 부식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관(cable pipe) 내에 배치되는 상태로 시공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는 건축물의 시공이나 지하에 매설 시 서로 다른 종류, 즉 다종의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이 각각 개별적인 케이블관에 수납되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점을 고려해보면, 케이블관의 개수가 많아져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굴착허가 및 이중굴착 등 복구에 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통신 케이블만 하더라도 각 통신사별 그 종류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들을 개별적인 케이블관에 넣어 보관하거나 시공할 경우에는 시공 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리가 어려워 관리가 용이하지 않고, 이로 인해 제반적인 비용이 상승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8-00020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을 공용으로 보호 혹은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정리가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해져서 제반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케이블이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케이블관;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종류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케이블이 상기 제1 케이블과 격리 배치되도록 상기 내부 케이블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케이블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내부 케이블관과 상기 외부 케이블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케이블관과 상기 외부 케이블관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블관과 상기 외부 케이블관은 폴리에틸렌(PE) 재질이며, 상기 내부 케이블관의 외벽 또는 상기 외부 케이블관의 내벽에 차폐시트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블관과 상기 외부 케이블관 사이에 다수 개 배치되되 상기 내부 케이블관과 상기 외부 케이블관 사이의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블관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상기 구획벽체 영역을 관찰하기 위한 윈도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을 공용으로 보호 혹은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정리가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해져서 제반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2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100)는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케이블(10,20)을 공용으로 보호 혹은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정리가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해져서 제반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100)는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의 이중관 구조를 갖는다.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은 폴리에틸렌(PE) 재질일 수 있다. 하지만, 강도가 우수한 메탈(metal)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재질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내부 케이블관(100)은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관(pipe)이다. 이러한 내부 케이블관(1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케이블(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케이블(10)은 예컨대, 전력 케이블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케이블(10)이 반드시 전력 케이블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케이블관(120)은 제1 케이블(10)과 종류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케이블(20)이 제1 케이블(10)과 격리 배치되도록 내부 케이블관(10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관(pipe)이다.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제2 케이블(20)은 예컨대, 다수의 통신 케이블일 수 있다. 제2 케이블(20) 역시, 반드시 통신 케이블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이 이중관을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에는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130)가 마련된다.
이격부재(130)는 한 개 혹은 다수 개일 수 있으며,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중 하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처럼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을 이중관 구조로 형성하고, 내부 케이블관(100) 내에 제1 케이블(10)을, 그리고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에 제2 케이블(20)을 배치하여 시공함으로써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이 섞이지 않게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관리가 우수해질 수 있음은 물론 추후 유지보수 작업 역시 수월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케이블(10,20)을 공용으로 보호 혹은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정리가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해져서 제반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200) 역시,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의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내부 케이블관(100) 내에 제1 케이블(10)이, 그리고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에 제2 케이블(20)이 배치되는 격리 시공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내부 케이블관(100)의 외벽과, 외부 케이블관(120)의 내벽에 차폐시트(240)가 개재된다. 차폐시트(240)는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도면과 달리, 차폐시트(240)가 외부 케이블관(120)의 내벽에만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케이블(10,20)을 공용으로 보호 혹은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정리가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해져서 제반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300) 역시,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의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내부 케이블관(100) 내에 제1 케이블(10)이, 그리고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에 제2 케이블(20)이 배치되는 격리 시공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서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에는 다수의 구획벽체(340)가 마련된다.
구획벽체(340)들은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에 배치되되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의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구획되는 다수의 공간의 부피는 모두 동일하다.
구획벽체(340)들에 의해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의 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경우, 각 공간들마나 해당 케이블을 넣어 시공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통신 케이블인 경우, 통신사마다 상이한 케이블을 각 공간들에 넣어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케이블관(120)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구획벽체(340) 영역을 관찰하기 위한 윈도우(350)가 마련된다, 윈도우(350)로 인해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300)의 내부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케이블(10,20)을 공용으로 보호 혹은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정리가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해져서 제반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400) 역시,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의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내부 케이블관(100) 내에 제1 케이블(10)이, 그리고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에 제2 케이블(20)이 배치되는 격리 시공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에는 제3 실시예처럼 다수의 구획벽체(440)가 마련되는데, 이때, 구획되는 다수의 공간의 부피가 제3 실시예와 달리 상이하다. 따라서 종류가 같은 한 두 케이블은 좁은 공간에 배치 시공하고, 종류가 같은 다발의 케이블은 넓은 공간에 배치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케이블(10,20)을 공용으로 보호 혹은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정리가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해져서 제반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500) 역시,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의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내부 케이블관(100) 내에 제1 케이블(10)이, 그리고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에 제2 케이블(20)이 배치되는 격리 시공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내부 케이블관(100)의 외벽에 케이블 홀더(55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케이블 홀더(550)는 다수 개로서 내부 케이블관(100)의 외벽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케이블 홀더(550)는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500)의 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작업에 유리하다.
이와 같은 케이블 홀더(550)는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케이블(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및 제2 케이블(10,20)을 공용으로 보호 혹은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정리가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해져서 제반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600) 역시,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의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내부 케이블관(100) 내에 제1 케이블(10)이, 그리고 내부 케이블관(100)과 외부 케이블관(120) 사이에 제2 케이블(20)이 배치되는 격리 시공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내부 케이블관(100)의 외벽에 회전체(660)가 연결되며, 회전체(660)에 케이블 홀더(650)가 마련된다. 회전체(660)는 내부 케이블관(100)의 외벽에서 너무 헛돌지 않는 수준으로 내부 케이블관(100)의 외벽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체(660) 역시,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600)의 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작업에 유리하다.
본 실시예처럼 케이블 홀더(650)가 마련되는 회전체(660)를 적용할 경우, 도 10에서 도 11처럼 케이블 홀더(650)가 필요한 위치로 회전체(660)를 회전시켜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전력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케이블을 공용으로 보호 혹은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정리가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해져서 제반 비용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제1 케이블 20 : 제2 케이블
100 :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110 : 내부 케이블관 120 : 외부 케이블관
130 : 이격부재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제1 케이블이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케이블관; 및
    상기 제1 케이블과 종류가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케이블이 상기 제1 케이블과 격리 배치되도록 상기 내부 케이블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케이블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블관과 상기 외부 케이블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케이블관과 상기 외부 케이블관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블관과 상기 외부 케이블관은 폴리에틸렌(PE) 재질이며,
    상기 내부 케이블관의 외벽 또는 상기 외부 케이블관의 내벽에 차폐시트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블관과 상기 외부 케이블관 사이에 다수 개 배치되되 상기 내부 케이블관과 상기 외부 케이블관 사이의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블관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상기 구획벽체 영역을 관찰하기 위한 윈도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KR1020180098624A 2018-08-23 2018-08-23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KR20200022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24A KR20200022693A (ko) 2018-08-23 2018-08-23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24A KR20200022693A (ko) 2018-08-23 2018-08-23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93A true KR20200022693A (ko) 2020-03-04

Family

ID=6978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624A KR20200022693A (ko) 2018-08-23 2018-08-23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6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367B1 (ko) * 2021-01-29 2021-08-20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 덕트
KR102291368B1 (ko) * 2021-01-29 2021-08-20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 벽체형 통신 케이블 덕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085U (ko) 1996-06-11 1998-03-30 민경훈 자동차용 콘솔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085U (ko) 1996-06-11 1998-03-30 민경훈 자동차용 콘솔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367B1 (ko) * 2021-01-29 2021-08-20 주식회사 케이씨엔지니어링 건축용 통신케이블 배선 덕트
KR102291368B1 (ko) * 2021-01-29 2021-08-20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 벽체형 통신 케이블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2693A (ko) 다종 케이블 공용 시공용 기능성 케이블관체
KR101039826B1 (ko) 접이식 조정장치를 갖는 정보통신용 케이블 트레이
KR101597601B1 (ko) 지중배전선로의 보호관
JP2002017030A (ja) 電線共同溝用分岐桝及びそれを用いた電線の分岐布設方法。
CN204536626U (zh) 室外自承式铠装光缆
JP3062509B2 (ja) 流体輸送管を利用した通信線の地下配線方法
CN210443333U (zh) 一种铝芯铠装电缆
KR100731957B1 (ko) 하수관 보호용 복합케이스
CN104020543A (zh) 一种用于小区配线的光缆
CN203839131U (zh) 一种光电复合缆
CN202102155U (zh) 挂壁式光分路器箱
CN105113691A (zh) 有管路的活动房地面
SE529233C2 (sv) Väggmodul och flervåningsbyggnad med väggmodul
CN103606877A (zh) 埋地电缆波纹护套管
CN217214245U (zh) 一种防护效果好的掩埋式复合电缆
KR100987930B1 (ko) 통신선 보호구가 마련된 지중매설용 하수관
JP2006121800A5 (ko)
CN209545056U (zh) 一种高保护性的mpp管
CN202205504U (zh) 管道用通信电缆
JP4232135B2 (ja) 地中ケーブルの分岐方法及びその分岐ます
CN207530508U (zh) 三路电缆穿管
US3939298A (en) Joints for electric cables
CN210052546U (zh) 海底光缆
KR102283260B1 (ko) 지중 케이블용 파형관
JP4117701B2 (ja) ケーブル用地中埋設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