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844A - Method for stratified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rrelation using as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tratified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rrelation using as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844A
KR20200021844A KR1020180097695A KR20180097695A KR20200021844A KR 20200021844 A KR20200021844 A KR 20200021844A KR 1020180097695 A KR1020180097695 A KR 1020180097695A KR 20180097695 A KR20180097695 A KR 20180097695A KR 20200021844 A KR20200021844 A KR 20200021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inuous
variable
variables
subgroup
grou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6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3705B1 (en
Inventor
노오규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7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705B1/en
Publication of KR2020002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8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A method for stratified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nd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nalyzing correlation using the same are provided. A method for stratified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the steps of: classifying analysis data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having the same combination of disturbance variables; classifying each subgroup into high continuous variables and lower continuous variables based on the representative value of the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and generating a high-level group by using the high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and generating a low-level group by using the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Description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stratified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rrelation using as the same}Method for stratified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rrelation using as the same}

본 발명은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연속형 변수에 대해 교란변수를 이용하여 계층화 그룹핑하는 방법, 계층화 그룹핑된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erarchical grouping method of a continuous variable, a correlat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and a device thereof.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lation analysis with variables.

현대 의학에서는 질병을 일으키거나 질병 발생과 관련된 요인을 찾고, 새로 개발된 신약이나 치료법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다양한 통계 분석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빈번하게 이용하게 된다.Modern medicine frequently uses software that is equipped with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algorithms to find the cause of the disease, the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the disease,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newly developed drugs or treatments.

간수치, 콜레스테롤 수치, 혈압, 체질량 지수(BMI), 흡연 여부 등은 병원에서 대표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임상, 역학 변수들로, 치료 또는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측정, 관찰 또는 실험을 통해 확보되는 변수들은 수십건 이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Liver levels, cholesterol,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BMI), and smoking status are typical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variables that can be obtained in hospitals, and are measured, observed, or test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reatment or research. Can be extended to more than a dozen cases.

한편, 연속형 변수(독립 변수)는 특정 종속변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경우가 있다. 연속형 변수는 숫자로 표기되고, 숫자 자체로 크기가 의미가 있는 변수로, 예컨대,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의 양 및/또는 횟수 등일 수 있다. 종속 변수는 연속형 변수(독립 변수)의 값에 의존하는 것으로 가정되는 변수(예를 들어, 환자의 혈압)이다. 이러한 연속형 변수와 종속 변수 사이에 실제로 관계가 있는지(예를 들어, 환자가 받는 약의 양이 환자의 혈압과 관계가 있는지)를 다양한 통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판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continuous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may be correlated with certain dependent variables. Continuous variables are numbers that are numerically significant and in which the size itself is meaningful, such as the amount and / or number of drugs administered to a patient. The dependent variable is a variable (eg, the patient's blood pressure) that is assumed to depend on the value of the continuous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Various statistical algorithms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ctually a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tinuous and dependent variables (eg, whether the amount of medicine the patient receives is related to the patient's blood pressure).

연속형 변수의 그룹핑을 통해 특정 종속변수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단순 그룹핑” 방법(simple grouping)을 사용한다. 단순 그룹핑 방법은 도 1과 같이 특정값(평균값 혹은 중앙값)을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When grouping continuous variables to analyze specific dependent variables and correlations, we usually use the "simple grouping" method. As a simple grouping method, as shown in FIG. 1, a method of dividing into two groups based on a specific value (average value or median value) is widely used.

그러나, 단순 그룹핑 방법의 경우, 교란변수(confounder) 등의 영향으로 상관관계를 밝히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교란변수(연속형 변수의 수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변하는 것들)는 종속 변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어느 인자(변수)가 종속 변수(들)에서의 임의의 관찰된 변화를 야기했는지를 알아내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교란 변수의 존재는 연속형 변수와 종속 변수 간의 인과 관계(causal relationship)에 관한 통계적 추론을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imple grouping method, the correlation may not be revealed due to the influence of a confounder. Disturbance variables (those that systematically vary with the level of the continuous variable) can affect the dependent variable, identifying which factor (variable) caused any observed change in the dependent variable (s). Makes things impossible. Thus, the presence of disturbing variables makes it impossible to make statistical inferences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tinuous and dependent variables.

따라서 연속형 변수의 그룹핑을 통해 해당 연속형 변수가 특정 종속변수와 상관관계가 있으나, 교란변수로 인해 상관관계를 밝히지 못할 경우에도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rough the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at can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inuous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even when the continuous variable has a correlation with a specific dependent variable but the correlation variable cannot be revealed due to the disturbing variable There is a need for.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16121호(발명의 명칭: 연속형 종속변수 예측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이용한 항공 화물 운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자: 2015.10.15.)가 있다.
Related prior arts include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16121 (name of the invention: continuous dependent variable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air freight freight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shed date: October 15, 20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속형 변수의 그룹핑을 통해 해당 연속형 변수가 특정 종속변수와 상관관계가 있으나, 교란변수로 인해 상관관계를 밝히지 못할 경우에도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연속형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inuous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even when the continuous variable has a correlation with a specific dependent variable through grouping of the continuous variable, but the correlation is not revealed due to the disturbing variab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continuous variables, a correlat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and an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ask (s), another task (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 방법은, 장치가 연속형 변수를 계층화 그룹핑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석 데이터를 교란변수들의 조합이 동일한 복수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각 서브그룹을 해당 연속형 변수 분포의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위 연속형 변수와 하위 연속형 변수로 각각 구분하는 단계, 각 서브그룹의 상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상위 그룹을 생성하고, 각 서브그룹의 하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하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method of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the apparatus may include classifying analysis data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having the same combination of disturbance variables, each subgroup. Dividing the group into upper continuous variable and lower continuous variable based on the representative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generating the upper group by the upper continuous variable of each subgroup, and lowering each subgroup Generating a subgroup by the continuous variabl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표값은 중앙값이고, 상기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각 서브그룹별로 연속형 변수 분포를 올림차순으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각 서브그룹별로 연속형 변수 분포에서 중앙값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각 서브그룹별로 중앙값 초과의 연속형 변수를 상위 연속형 변수, 중앙값 미만의 연속형 변수를 하위 연속형 변수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presentative value is a median value, and the dividing may include: arranging the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for each subgroup in an ascending order, selecting a median value in the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for each subgroup, and The method may include dividing the continuous variable above the median into the upper continuous variable and the continuous variable below the median into the lower continuous variable for each subgroup.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해 연속형 변수와 특정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서 연속형 변수, 종속변수, 교란변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연속형 변수에 대해 교란변수를 이용하여 계층화 그룹핑하는 단계, 상기 계층화 그룹핑된 연속형 변수와 상기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 method for analyzing a correlation between a continuous variable and a specific dependent variable with respect to data to be analyzed by a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tinuous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disturbance variable may be obtained from the data. And extracting the hierarchical grouping using the disturbance variable with respect to the extracted continuous variable,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ierarchical grouped continuous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층화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교란변수들의 조합이 동일한 복수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각 서브그룹을 해당 연속형 변수 분포의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위 연속형 변수와 하위 연속형 변수로 각각 구분하는 단계, 각 서브그룹의 상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상위 그룹을 생성하고, 각 서브그룹의 하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하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hierarchical grouping comprises: classifying the data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having the same combination of disturbance variables, and classifying each subgroup based on a representative value of a corresponding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Distinguishing each of the continuous variables may include generating an upper group by upper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and generating a lower group by lower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장치는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연속형 변수에 대해 동일한 교란변수를 가지도록 계층화 그룹핑하는 계층화 그룹핑부, 상기 계층화 그룹핑된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관계 분석부를 포함한다. Correlation analysis apparatus using the hierarchical grouping of the continuous vari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erarchical grouping unit for the hierarchical grouping of the data to be analyzed to have the same disturbance variable for the continuous variable, the layered grouping continuous It includes a correlatio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ype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층화 그룹핑부는, 상기 데이터를 교란변수들의 조합이 동일한 복수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서브그룹을 해당 연속형 변수 분포의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위 연속형 변수와 하위 연속형 변수로 각각 구분하며, 각 서브그룹의 상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상위 그룹을 생성하고, 각 서브그룹의 하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하위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hierarchical grouping unit classifies the data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having the same combination of disturbance variables, and classifies each subgroup based on a representative value of the distribution of the continuous variable. Each of the subgroups may be classified into upper groups by upper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and lower groups may be generated by lower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형 변수를 교란변수를 이용하여 계층화 그룹핑을 함으로써, 연속형 변수가 특정 종속변수와 상관관계가 있으나 교란변수로 인해 상관관계를 밝히지 못할 경우에도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rouping the continuous variable using the disturbance variable, even if the continuous variable has a correlation with the specific dependent variable but the correlation is not revealed due to the disturbing variable, Correlation can be analyz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단순 그룹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관관계를 밝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연속형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연속형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폐 선량과 생존율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환자를 폐 선량에 따라 두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순 그룹핑과 계층화 그룹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단순 그룹핑과 계층화 그룹핑에 의한 고 폐선량 그룹과 저 폐선량 그룹 사이의 전체 생존율, 국소 재발없는 생존율 및 먼 전이없는 생존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simple grouping method.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finding the corre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rrelation analysis method of continuous variables using hierarchical grou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the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rrelation analysis of continuous variables using hierarchical grou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simple grouping and stratified grouping in which patient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lung dose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lung dose and survival rate.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verall survival rate, survival without local recurrence, and survival without distant metastasis between high and low lung dose groups by simple grouping and stratified groupin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관관계를 밝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finding the corre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연속형 변수에 대해 교란변수를 이용한 계층화 그룹핑(stratified grouping)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그러면, 연속형 변수의 그룹핑을 통해 해당 연속형 변수의 특정한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가 있다 하더라도 교란변수로 인해 상관관계를 밝히지 못할 경우에도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stratified grouping using a disturbance variable is performed on a continuous variabl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inuous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analyzed using the result. Then, even if there is a correlation with a specific dependent variable of the continuous variable through grouping of the continuous variable, even if the correlation cannot be revealed due to the disturbing variab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inuous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can be analyzed.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연속형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rrelation analysis method of continuous variables using hierarchical grou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장치는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S310), 그 데이터를 연속형 변수에 대해 교란변수를 이용하여 계층화 그룹핑한다(S320). 이때, 데이터는 연속형 변수(독립변수), 종속변수, 교란변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속형 변수, 교란변수, 종속변수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연속형 변수, 종속변수 및 교란변수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런 후, 장치는 연속형 변수에 대해 동일한 교란변수를 가지도록 계층화 그룹핑한다.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when data to be analyzed is input (S310), the device hierarchically groups the data using a disturbance variable for a continuous variable (S320). In this case, the data may include continuous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disturbing variables, and the like. Therefore, when data is input, the device analyzes the data to obtain information about continuous variables, disturbing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continuous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disturbance variable may be set in advance. The device then groups the hierarchies to have the same disturbances for the continuous variable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단계 S320이 수행되면, 장치는 계층화 그룹핑된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S330). 이때, 장치는 스튜던트의 T 검정(Student's T test), 웰치의 T 검정(Welch's T test), 크루스칼-왈리스 검정(Kruskal-Wallis test) 등 다양한 통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When the step S320 is performed, the device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ierarchical grouped continuous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S330). In this case, the device uses various statistical algorithms such as Student's T test, Welch's T test, Kruskal-Wallis test, etc. Correlation can be analyz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exemplary diagrams for describing the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4를 참조하면, 장치는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교란변수들의 조합이 동일한 복수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한다(S410). Referring to FIG. 4, the device classifies data to be analyzed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having the same combination of disturbance variables (S410).

예를 들어,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도 5의 (a)이고, 연속형변수(exposure)를 제1 교란변수(var_01)와 제2 교란변수(var_02)를 이용하여 계층화 그룹핑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1 교란변수의 값이 1, 0으로 구성되고, 제2 교란변수의 값이 1, 0으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1 교란변수와 제2 교란변수의 조합은 (0,0), (0,1), (1,0), (1,1)이므로, 장치는 도 5의 (b)와 같이 제1 교란변수와 제2 교란변수의 조합이 동일한 4개의 서브그룹을 생성한다. 즉, 장치는 제1 교란변수의 값과 제2 교란변수의 값이 모두 '0'인 조합 (0,0)의 데이터들을 제1 서브그룹(A), 제1 교란변수의 값이 '0'이고, 제2 교란변수의 값이 '1'인 조합 (0, 1)의 데이터들을 제2 서브그룹(B), 제1 교란변수의 값이 '1'이고, 제2 교란변수의 값이 '0'인 조합(1, 0)의 데이터들을 제3 서브그룹(C), 제1 교란변수의 값과 제2 교란변수의 값이 모두 '1'인 조합 (1,1)의 데이터들을 제4 서브그룹(D)으로 생성한다.For example, a case in which the data to be analyzed is (a) of FIG. 5 and the continuous variable (exposure) is grouped using the first disturbance variable var_01 and the second disturbance variable var_02 will be described. Shall be.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value of the first disturbance variable is composed of 1 and 0, and the value of the second disturbance variable is composed of 1 and 0. In this case, since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isturbance variable and the second disturbance variable is (0,0), (0,1), (1,0), (1,1), the apparatus is as shown in FIG.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disturbance variable and the second disturbance variable creates four subgroups. That is, the apparatus collects data of the combination (0,0) in which the value of the first disturbance variable and the value of the second disturbance variable are both '0' in the first subgroup A and the value of the first disturbance variable is '0'. , Data of the combination (0, 1) having the value of the second disturbance variable is' 1 'in the second subgroup (B), the value of the first disturbance variable is' 1', and the value of the second disturbance variable is' The data of the combination (1, 0) of 0 'is combined to the third subgroup (C), the data of the combination (1, 1) of which the value of the first disturbance variable and the value of the second disturbance variable are both' 4 '. Create as a subgroup (D).

단계 S410이 수행되면, 장치는 각 서브그룹의 해당 연속형 변수의 분포를 확인하고(S420), 각 서브그룹별로 해당 연속형 변수 분포의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위 연속형 변수와 하위 연속형 변수로 구분한다(S430). 여기서, 대표값은 중앙값, 평균값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중앙값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장치는 각 서브그룹별로 연속형 변수 분포를 올림차순으로 정렬하고, 각 서브그룹별로 연속형 변수 분포에서 중앙값을 선택한 후, 각 서브그룹별로 중앙값 초과의 연속형 변수를 상위 연속형 변수, 중앙값 미만의 연속형 변수를 하위 연속형 변수로 구분한다. When the step S410 is performed, the apparatus checks the distribu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inuous variable of each subgroup (S420), and based on the representative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for each subgroup, the apparatus determines the upper continuous variable and the lower continuous variable. (S430). Here, the representative value may include a median value, an average value, and the like,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limited to the median value. In this case, the device sorts the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by each subgroup in ascending order, selects the median value in the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by each subgroup, and selects the continuous variable above the median value by each subgroup as the upper continuous variable and the median value. Separate less than continuous variables into lower continuous variables.

단계 S430이 수행되면, 장치는 각 서브그룹의 상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상위 그룹을 생성하고, 각 서브그룹의 하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하위 그룹을 생성한다(S440).When step S430 is performed, the device generates an upper group by upper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and generates a lower group by lower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S440).

예를 들어,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1 서브그룹의 중앙값은 식별번호 20이므로, 1, 18에 해당하는 연속형 변수는 하위 연속형 변수(연보라색), 21, 23에 해당하는 연속형 변수는 상위 연속형 변수(베이지색)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서브그룹의 중앙은 9과 10의 사이이므로, 3, 4, 5, 6, 7, 8, 9 에 해당하는 연속형 변수는 하위 연속형 변수, 10, 12, 13, 15, 16, 17, 25 에 해당하는 연속형 변수는 상위 연속형 변수로 구분될 수 있다. 제3 서브그룹의 중앙은 26과 27의 사이이므로, 14, 19, 22, 24, 26 에 해당하는 연속형 변수는 하위 연속형 변수, 27, 28, 29, 30은 상위 12, 13, 15, 16, 17, 25 에 해당하는 연속형 변수는 상위 연속형 변수로 구분될 수 있다. 제4 서브그룹의 2 에 해당하는 연속형 변수는 하위 연속형 변수, 11 에 해당하는 연속형 변수는 상위 연속형 변수로 구분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B, since the median value of the first subgroup is identification number 20, continuous variables corresponding to 1 and 18 correspond to lower continuous variables (light purple) and 21 and 23. FIG. Continuous variables can be classified into upper continuous variables (beige). Since the center of the second subgroup is between 9 and 10, continuous variables corresponding to 3, 4, 5, 6, 7, 8, and 9 are lower continuous variables, 10, 12, 13, 15, 16, 17 For example, continuous variables corresponding to 25 may be divided into upper continuous variables. Since the center of the third subgroup is between 26 and 27, continuous variables corresponding to 14, 19, 22, 24, and 26 are lower continuous variables, and 27, 28, 29, and 30 are upper 12, 13, 15, Continuous variables corresponding to 16, 17, and 25 may be divided into upper continuous variables. Continuous variables corresponding to 2 of the fourth subgroup may be divided into lower continuous variables, and continuous variables corresponding to 11 may be divided into upper continuous variables.

그런 후, 장치는 (c)와 같이 연속형 변수를 상위그룹(High exposure group)과 하위그룹(Low exposure group)으로 나눈다. 즉, 제1 서브그룹에서 중앙값보다 적은 연속형 변수는 하위 그룹으로, 중앙값보다 큰 연속형 변수는 상위그룹, 제2 서브그룹에서 중앙값보다 적은 연속형 변수는 하위그룹, 중앙값보다 큰 연속형 변수는 상위그룹, 제3 서브그룹에서 중앙값보다 적은 연속형 변수는 하위그룹, 중앙값보다 큰 연속형 변수는 상위그룹, 제4 서브그룹에서 중앙값보다 적은 연속형 변수는 하위그룹, 중앙값보다 큰 연속형 변수는 상위그룹이 될 수 있다.Then, the device divides the continuous variable into a high exposure group and a low exposure group as shown in (c). In other words, continuous variables smaller than the median in the first subgroup are subgroups, continuous variables larger than the median are upper groups, continuous variables smaller than the median in the second subgroup are subgroups, and continuous variables larger than the median in the second subgroup. In the upper group, the third subgroup, the continuous variable smaller than the median is the lower group, the continuous variable larger than the median is the upper group, and in the fourth subgroup, the continuous variable smaller than the median is the subgroup, and the continuous variable larger than the median is Can be a parent group.

여기에서는 교차변수가 2개인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에 이용하는 교차변수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Here, the case where two cross variables are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the number of cross variables used for the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is not limited.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SEX, COPD, CCI, SURG, pT, pN, RM, CTx, PET, RT Dose 총 10개의 교란변수를 연속형 변수 MLD에 대해 계층화 그룹핑하여 Low Lung Dose Group와 High Lung Dose Group을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10 disturbance variables, SEX, COPD, CCI, SURG, pT, pN, RM, CTx, PET, and RT Dose, are hierarchically grouped for continuous variable MLD to group Low Lung Dose Group and High Lung. You can create a Dose Group.

구체적으로, 도 6의 (a)를 참조하면, 10개 교란변수들의 조합에 의해 붉은 테두리선으로 구분된 33개의 서브그룹을 생성된다. 33개의 각 서브그룹은 중앙값에 의해 상위 연속형 변수(베이지색)와 하위 연속형 변수(연보라색)로 각각 구분된다. 각 서브그룹의 하위 연속형 변수에 의해 Low Lung Dose Group이 생성되고, 각 서브그룹의 상위 연속형 변수에 의해 High Lung Dose Group이 생성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a), 33 subgroups separated by red borders are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10 disturbance variables. Each of the 33 subgroups is divided into upper continuous variables (beige) and lower continuous variables (mauve) by the median. Low Lung Dose Group is created by the low continuous variable of each subgroup, and High Lung Dose Group is created by the high continuous variable of each subgroup.

계층화 그룹핑에 의해 생성된 Low Lung Dose Group와 High Lung Dose Group을 연속형 변수인 MLD(Mean Lung Dose)으로 나타내면 도 6의 (b)와 같을 수 있다. A low Lung Dose Group and a High Lung Dose Group generated by the hierarchical grouping may be represented as a continuous variable Mean Lung Dose (MLD) as shown in FIG. 6B.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연속형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correlation analysis of continuous variables using hierarchical grou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연속형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장치는 저장부(710), 출력부(720), 제어부(730), 계층화 그룹핑부(740), 상관관계 분석부(75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an apparatus for correlation analysis of continuous variables using hierarchical grou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710, an output unit 720, a controller 730, and a layered grouping unit. 740, a correlation analyzer 750.

저장부(710)는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연속형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장치(7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저장부(710)는 공지된 저장매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OM, PROM, EPROM, EEPROM, RAM 등과 같이 공지된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710 is configured to store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700 for correlation analysis of continuous variables using hierarchical grouping. The storage unit 710 may use a known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710 may use any one or more of known storage media, such as a ROM, a PROM, an EPROM, an EEPROM, and a RAM.

특히, 저장부(710)에는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과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710)에는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과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관련된 다양한 알고리즘(또는 수학식)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730)는 저장부(710)를 호출하여 필요한 알고리즘을 획득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710 may stor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for hierarchical grouping and correlation analysis of continuous variables.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710 may store various related algorithms (or equations) for hierarchical grouping and correlation analysis of continuous variable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730 may call the storage unit 710 to obtain a necessary algorithm.

출력부(720)는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연속형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장치(7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특히, 출력부(720)는 계층화 그룹핑부(740)에서 계층화 그룹핑에 의해 생성된 그룹, 상관관계 분석부(750)에서 분석된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720)는 LCD, 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720 is a component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700 for correlation analysis of continuous variables using hierarchical grouping. In particular, the output unit 72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group generated by the layered grouping in the layered grouping unit 740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continuous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analyzed in the correlation analyzer 750. have. The output unit 720 may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display devices including LCDs, LEDs, and the like.

제어부(730)는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연속형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장치(7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The controller 730 is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s of various components of the apparatus 700 for correlation analysis of continuous variables using hierarchical grouping. The controller 73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uting device. It may be a general purpos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programmable device elements (CPLD, FPGA) implemented for a particular purpose, an application specific semiconductor computing unit (ASIC), or a microcontroller chip.

계층화 그룹핑부(740)는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연속형 변수에 대해 동일한 교란변수를 가지도록 계층화 그룹핑한다. 즉, 계층화 그룹핑부(740)는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교란변수들의 조합이 동일한 복수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서브그룹의 해당 연속형 변수의 분포를 확인한다. 그런 후, 계층화 그룹핑부(740)는 각 서브그룹별로 해당 연속형 변수 분포의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위 연속형 변수와 하위 연속형 변수로 구분하고, 각 서브그룹의 상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상위 그룹을 생성하고, 각 서브그룹의 하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하위 그룹을 생성한다.The hierarchical grouping unit 740 hierarchically groups the data to be analyzed to have the same disturbance variable with respect to the continuous variable. That is, the hierarchical grouping unit 740 classifies the data to be analyzed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having the same combination of disturbance variables and checks the distribu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inuous variable of each subgroup. Then, the hierarchical grouping unit 740 divides the upper continuous variable and the lower continuous variable based on the representative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for each subgroup, and ranks the upper continuous variable by the upper continuous variable of each subgroup. Create a group and create a subgroup by subcontinuous variables in each subgroup.

상관관계 분석부(750)는 계층화 그룹핑된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The correlation analyzer 750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ierarchical grouped continuous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층화 그룹핑부(740) 및 상관관계 분석부(750)는 외부 단말 장치나 외부 서버 등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로서 장치(7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장치(7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특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yered grouping unit 740 and the correlation analyzer 750 may be program modules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terminal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Such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device 700 as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module,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on a variety of known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device 700. Such program mod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operations described above or execute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장치(700)는 컴퓨터, 노트북, 넷북, PDA 등의 통신단말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의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또한, 장치(700)는 단일의 연산 장치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연산 장치가 서로 연결된 집합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700)는 단일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서버가 연결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evice 700 may be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computer, a notebook, a netbook, a PDA, or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note, a tablet PC, a smart TV, or the like. In addition, the apparatus 70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omputing device or in the form of a collection device in which two or more computing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device 70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server or in a form in which two or more servers are connected.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에 대한 수술 후 방사선 요법의 폐 선량과 사망 위험 가능성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lung dose and the risk of death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해,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비소 세포 폐암 환자 178 명을 분석하였다. 평균 폐 선량(mean lung dose)은 dose-volume 데이터로부터 계산하였고, 단순 그룹핑 방법과 계층화 그룹핑 방법을 사용하여 고폐선량 그룹과 저폐선량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즉, 모든 환자의 중간 폐 선량(median lung dose)을 사용한 단순 그룹핑(simple grouping) 방법과 동일한 교란변수(confounders)를 가지는 각 서브그룹의 중간 폐 선량을 사용한 계층화 그룹핑(stratified grouping)방법을 이용하여 고 폐선량 그룹과 저 폐선량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임상 변수(clinical variables)와 고폐선량 그룹과 저선량 그룹간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For this purpose, 178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ho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were analyzed. Mean lung dose was calculated from dose-volume data and classified into high and low dose groups using simple grouping and stratified grouping. In other words, the simple grouping method using the median lung dose of all patients and the stratified grouping method using the median lung dose of each subgroup having the same confounders. They were divided into high lung dose group and low lung dose group. We compared the clinical variables and survival rates between the high-dose group and the low-dose group.

구체적으로, Staging 평가로는 가슴과 상복부의 기관지 내시경, 전산화 단층 촬영(CT), 뇌 CT 또는 자기 공명 영상, 골 스캔 또는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CT)가 일상적으로 수행되었다. 종격동 림프절 절제술(mediastinal lymph node dissection)을 받은 모든 환자들은 폐엽 절제술(lobectomy) 또는 폐전절제술(pneumonectomy)을 시행받았다. 수술 후 방사선 요법은 병리학적으로 양성(주로 N2), 절제면이 양성 또는 가까운 절제면을 보이는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방사선 요법은 수술 후 4~5 주내에 시작되었고, 3차원 입체 방사선 치료(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는 메가 전압 광자 빔(mega-voltage photon beam)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초기 임상 타겟 볼륨(initial clinical target volume)은 기관지 스텀프(bronchial stump), 종격동 림프절 양성 스테이션(mediastinal nodal stations) 및 그 다음 유출 림프절 마디 스테이션(draining nodal stations)을 포함하였다. 부스트 임상 타겟 볼륨(boost clinical target volume)은 기관지 스텀프를 포함하고 종격동 림프절 양성 스테이션만 포함했다. 계획 타겟 볼륨(planning target volume)은 임상 타겟 볼륨에서 1-1.5 cm의 여백만큼 모든 방향으로 확장하여 설정하였다. 재발 위험에 따라 부스트 계획 타겟 볼륨(boost planning target volume)을 최대 50.4-60 Gy로 조사하였고, 초기 계획 타겟 볼륨에는 총 44-45 Gy을 조사하였다. 양성 절제면(positive resection margin)의 경우, 위험 영역은 66-70 Gy의 용량까지 증가했다. 보조 화학 요법은 4-6주기의 백금 기반 요법(platinum-based regimens)으로 시행되었다. 보조 요법 완료 후 첫 해에는 3 개월마다 추적 관찰을 받았고, 향후 2년동안 6개월마다 추적 관찰을 받고 매년 검진을 받았다. 추적 관찰 중 간단한 흉부 방사선 사진이나 흉부 CT를 시행하였고, 의사의 재량에 따라 PET-CT 스캔을 실시하였다. 기저 동반 질환의 평가를 위해 age-adjusted Charlson comorbidity score를 채택하였고, 각 환자의 첫 방문 시점부터 근치적 수술 날짜까지의 입원 환자 및 외래 환자 기록에서 이전에 확인된 ICD-10 진단 코드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폐 조직의 선량을 계산하기 위해 Varian Eclipse External Beam Planning System 버전 7.1 (Varian Medical System, Palo, Alto, CA)을 사용하였고, 이질성 보정이 적용된 pencil-beam algorithm 이 적용되었다. 각 환자의 평균 폐 선량은 dose-volume 데이터로부터 얻어졌다. 이때, 잔여 폐 전체는 단일 장기로 간주되었다. Specifically, staging evaluations were routinely performed by bronchoscopy, computed tomography (CT), brain CT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bone scan, 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CT in the chest and upper abdomen. All patients who underwent mediastinal lymph node dissection underwent lobectomy or pneumonectomy.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performed in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benign (mainly N2), benign or near resection. Radiation therapy started within 4-5 weeks after surgery, and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was performed using a mega-voltage photon beam. Initial clinical target volumes included bronchial stumps, mediastinal nodal stations, and then draining nodal stations. The boost clinical target volume included bronchial stumps and only mediastinal lymph node positive stations. The planning target volume was set to extend in all directions by a margin of 1-1.5 cm from the clinical target volume. According to the risk of recurrence, the boost planning target volume was investigated up to 50.4-60 Gy and the initial planning target volume was examined for a total of 44-45 Gy. In the case of positive resection margin, the risk area increased to a dose of 66-70 Gy. Adjuvant chemotherapy was performed with 4-6 cycles of platinum-based regimens. In the first year after completion of the adjuvant therapy, follow-up was followed every three months, followed up every six months for the next two years, and yearly examinations. During the follow-up, a brief chest radiograph or chest CT scan was performed, and a PET-CT scan was done at the doctor's discretion. The age-adjusted Charlson comorbidity score was adopted for the assessment of underlying comorbidities, and was determined using the ICD-10 diagnostic code previously identified in the inpatient and outpatient records from the first visit of each patient to the date of radical surgery. It was. To calculate the dose of lung tissue, Varian Eclipse External Beam Planning System version 7.1 (Varian Medical System, Palo, Alto, CA) was used, and a pencil-beam algorithm with heterogeneous correction was applied. Mean lung dose for each patient was obtained from dose-volume data. At this time, the entire remaining lung was considered as a single organ.

또한, 폐 선량과 생존율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환자를 폐 선량에 따라 두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고폐선량 그룹과 저폐선량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해 도 8의 (a)와 같은 모든 환자의 중간 폐 선량(median lung dose)을 사용한 단순 그룹핑(simple grouping) 방법, 도 8의 (b)와 같은 동일한 교란변수(confounders)를 가지는 환자의 각 서브그룹의 중간 폐 선량을 사용한 계층화 그룹핑(stratified grou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때, 교란변수는 성별(male vs female), 만성 폐쇄성 폐 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yes vs no), 합병증 지수(3미만 vs 3이상), 수술 유형(폐엽 절제술(lobectomy) vs 폐전절제술(pneumonectomy)), 병리학적 T-단계(pathologic Tstage)(112 vs 3-4), 병리학적 N-단계(0 vs 1 vs 2), 수술 절제연(surgical margin (+ vs -), 보조 화학 요법의 사용(yes vs no), PET-CT staging의 사용(yes vs no) 및 방사선 요법 용량(radiation therapy dose)(각 개별 투여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두개의 그룹간의 임상 변수와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고 폐선량 그룹과 저 폐선량 그룹 간의 비교는 카테고리 변수에 대한 Fisher's exact test 혹은 chi-squared test를 사용하였고, 연속형 변수에 대해서는 Student t-test 혹은 Kruskal-Wallis rank sum test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국소 재발없는 생존(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 원격 전이가 없는 생존(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및 전체 생존(overall survival)에 영향을 주는 임상 변수를 분석하였다. 생존 시간은 수술적 치료 날짜와 마지막 추적 방문, 사망 또는 재발 날짜 사이의 간격에 의해 정의하였다. 생존은 Kaplan-Meier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s(Cox 비례 위험 회귀 모델)은 단일 변수 및 다변량 분석을 위해 구현하였다. P값이 0.10 미만인 변수는 다변량 분석에 포함되었다. Cox 모델에 interaction term을 추가함으로써 잠재적 교란변수와 폐선량 간의 상호 작용을 시험하였다. 0.05 미만의 양면 P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간주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R software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lung dose and survival rat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lung dose. Simple grouping method using median lung dose of all patients as shown in FIG. 8 (a) to classify into high and low dose group, same disturbance as in FIG. 8 (b) A stratified grouping method using the median lung dose of each subgroup of patients with confounders was used. At this time, the disturbance variables were male (male vs fema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 (yes vs no), complication index (less than 3 vs 3), type of operation (lobectomy vs pneumonectomy) pneumonectomy), pathologic T-stage (112 vs 3-4), pathological N-stage (0 vs 1 vs 2), surgical margin (+ vs-), adjuvant chemotherapy Use (yes vs no), use of PET-CT staging (yes vs no), and radiation therapy doses (each individual dose level). For comparison between high and low dose groups, Fisher's exact test or chi-squared test was used for categorical variables and Student t-test or Kruskal-Wallis rank sum test was used for continuous variables. Also, 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 no distant metastasis Clinical variables that influenced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were analyzed: survival time was defined by the interval between the date of surgical treatment and the last follow-up visit, death or relapse date. Was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s were implemented for single-variable and multivariate analysis, and variables with P values less than 0.10 were included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Interactions between potential disturbances and lung doses were tested by adding an interaction term, and double-sided P values below 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using R software.

상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The analysis results using the method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178 명의 환자 중 145 명(81.5 %)이 남성이었고 연령은 30-78세(중간 값, 62 세)였다. 수술의 유형은 143명의 환자(80.3 %)가 폐엽 절제술/이폐엽절제술(lobectomy/bilobectomy)이었고, 35명의 환자(19.7 %)가 폐전절제술(pneumonectomy)이었다. 편평 상피암(Squamous cell carcinoma)은 79명의 환자(44.4 %)에서 관찰되었고, 선암(adenocarcinoma)은 80명의 환자(44.9 %)에서 발견되었다. 14명의 환자(7.9 %)는 양성 현미경 절제연(positive microscopic resection margin)을 보였다. 방사선 요법의 중간 선량(median dose)은 54 Gy(range, 45.0-70.0 Gy), 평균 폐 선량은 0.0에서 25.3 Gy (중앙값, 12.5)였다. 전체 방사선 치료 시간은 32 일에서 90 일(중앙값, 39)이었다. 증상이 있는 방사선 폐렴(symptomatic radiation pneumonitis)으로 인해 스테로이드를 투여받은 환자는 25명(14.0 %)이었으며, 보존적 요법(conservative therapy)으로는 치료되었고, 36명의 환자(20.2 %)에서 경증에서 중등도의 식도염이 발생했다. cisplatin을 이용한 보조 화학 요법이 60 명의 환자(33.7 %)에서 시행되었고, 화학 요법의 주기 수는 3에서 6 (중앙값, 4)이었다.Of the 178 patients, 145 (81.5%) were male and ages ranged from 30-78 years (median, 62 years). The type of operation was lobectomy / bilobectomy in 143 patients (80.3%) and pneumonectomy in 35 patients (19.7%). Squamous cell carcinoma was observed in 79 patients (44.4%) and adenocarcinoma was found in 80 patients (44.9%). Fourteen patients (7.9%) had a positive microscopic resection margin. The median dose of radiation therapy was 54 Gy (range, 45.0-70.0 Gy) and the mean lung dose was 0.0 to 25.3 Gy (median, 12.5). Total radiotherapy time ranged from 32 to 90 days (median, 39). 25 patients (14.0%) received steroids for symptomatic radiation pneumonitis,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therapy, and mild to moderate in 36 patients (20.2%). Esophagitis developed. Adjuvant chemotherapy with cisplatin was performed in 60 patients (33.7%) and the frequency of chemotherapy was 3 to 6 (median, 4).

단순 그룹핑 및 계층화 그룹핑에 따른 고 폐선량 그룹과 저 폐선량 그룹 사이의 환자 특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Patient characteristics between high and low lung dose groups according to simple grouping and stratified grouping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에서 SD(standard deviation)는 표준편차,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는 만성 폐색성 폐질환, ECOG PS(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PET-CT(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FEV1(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 POCT(postoperative chemotherapy)는 수술 후 화학 요법, PORT(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는 수술 후 방사선 요법을 의미한다. In Table 1, standard deviation (SD) is the standard deviation,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 i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COG PS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and FEV1.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 postoperative chemotherapy (POCT) means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PORT) means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표 1을 참조하면, 단순 그룹핑에서 고 폐선량 그룹은 합병증 지수가 높고, 저폐선량 그룹보다 폐엽 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훨씬 더 많았다. 방사선학적 폐렴(radiation pneumonitis) 및 식도염(esophagitis)의 발생률은 고 폐선량 그룹에서 저폐선량 그룹보다 높았다(폐렴(pneumonitis) 20.9% 대 6.9 %, p = 0.014 ; 식도염(esophagitis) 28.6 % 대 11.5 %, p = 0.008).Referring to Table 1, in the simple grouping, the high lung dose group had a high complication index, and there were much more patients who had lobectomy than the low lung dose group. The incidence of radiation pneumonitis and esophagitis was higher in the high-dose group than in the low-dose group (pneumonitis 20.9% vs. 6.9%, p = 0.014; esophagitis 28.6% vs. 11.5%, p = 0.008).

또한, 계층화 그룹핑에서 폐 선량(lung dose)을 제외하고는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평균, 15.3 Gy 대 11.5 Gy, p <0.001). 방사선 폐렴 및 식도염의 발생률은 2개의 계층화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lung dose in stratified grouping (mean, 15.3 Gy vs. 11.5 Gy, p <0.001). The incidence of radiation pneumonia and esophagit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tratified groups.

평균 178 명의 환자에서 추적 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3 개월에서 123 개월 (중앙값 30)이었고, 5년 생존율은 43.7% 이였다. 5년 국소 재발없는 생존율(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과 원격 전이없는 생존율(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은 각각 53.4 %와 42.5 %였다.The median follow-up period ranged from 3 months to 123 months (median 30) in an average of 178 patients with a 5 year survival rate of 43.7%. Five-year 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 and 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were 53.4% and 42.5%, respectively.

도 9는 단순 그룹핑과 계층화 그룹핑에 의한 고 폐선량 그룹과 저 폐선량 그룹 사이의 전체 생존율, 국소 재발없는 생존율 및 먼 전이없는 생존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단순 그룹핑에서 고 폐선량 그룹과 저 폐선량 그룹 사이의 전체 생존율, 국소 재발없는 생존율 및 먼 전이없는 생존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그룹핑 계층화에서 저 폐선량 그룹의 전체 생존율은 고 폐선량 그룹의 전체 생존율보다 높고(5년 생존율 : 60.1 % 대 35.3 %, p = 0.039), 국소 재발없는 생존율과 먼 전이없는 생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overall survival rate, survival without local recurrence, and survival without distant metastasis between high and low lung dose groups by simple grouping and stratified grouping. Referring to (a) of FIG. 9, in the simple grouping,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survival rate, the survival rate without local recurrence, and the survival without distant metastasis between the high lung dose group and the low lung dose group. Referring to FIG. 9 (b), in the grouping stratification,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the low lung dose group is higher than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the high lung dose group (5 year survival rate: 60.1% vs. 35.3%, p = 0.039), and there is no local recurrenc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without distant metastasis.

단순 그룹핑으로 분류된 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 요인에 대한 단일 변수 및 다변수 분석은 아래 표 2와 같다. Single and multivariate analyzes of clinical factors affecting survival of patients grouped by simple grouping are shown in Table 2 below.

[표 2]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표 2에서 OS(overall survival)는 전체 생존률, LRRFS(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는 국소재발없는 생존, DMFS(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는 먼 전이없는 생존, HR(hazard ratio)는 위험 비율, CI(confidence interval)는 신뢰구간,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는 만성 폐색성 폐질환, ECOG PS(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PET-CT(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FEV1(forced expiratory volume in 1s), POCT(postoperative chemotherapy), PORT(postoperative radiotherapy)를 의미한다. In Table 2, OS (overall survival) is overall survival, LRRFS (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 is local recurrence-free survival, DMFS (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is 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hazard ratio (HR) is risk ratio, CI (confidence interval) is the confidence interval,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 i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ECOG PS),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and force expiratory volume in 1s), postoperative chemotherapy (POCT),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PORT).

표 2를 참조하면, 폐절제술(Pneumonectomy)은 전체 생존율(위험 비, HR = 1.98, p = 0.006)과 원격 전이없는 생존율 (HR = 1.71, p = 0.040)의 부정적인 결정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양성 외과적 절제연(positive surgical margin)은 국소 재발없는 생존율 및 원격 전이없는 생존율에 대한 나쁜 예후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ET-CT staging(no vs. yes)의 사용은 전체 생존율에 중요한 인자(HR = 0.38, p = 0.036)임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2, Pneumonectomy is a negative determinant of overall survival (risk ratio, HR = 1.98, p = 0.006) and survival without distant metastasis (HR = 1.71, p = 0.040). Positive surgical margin can also be seen as a poor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without local recurrence and survival without distant metastasi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use of PET-CT staging (no vs. yes) is an important factor (HR = 0.38, p = 0.036) in overall survival rate.

계층화 그룹핑에서 환자들사이의 단일 변수 및 다변량 분석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The results of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among patients in stratified grouping are shown in Table 3 below.

[표 3]TABLE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폐선량은 전체 생존율에 중요한 예후 인자(HR = 2.08, p = 0.019) 임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3, it can be seen that lung dose i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HR = 2.08, p = 0.019) for overall survival.

또한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dose-volume 파라미터(V-dose: 5Gy 간격으로 V50에서 V50까지의 통계치)의 영향을 단순 그룹핑 및 계층화 그룹핑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In addition, the effects of other dose-volume parameters (V-dose: statistics from V50 to V50 at 5 Gy intervals) on survival were analyzed using simple grouping and stratified grouping.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표 4]TABLE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표 4를 참조하면, 모든 V-dose 파라미터는 단순 그룹핑 방법과 계층화 그룹핑 방법 모두에서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 인자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4, it can be seen that all V-dose parameters a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that affect survival in both the simple grouping method and the stratified grouping method.

한편, 본 발명은 폐 선량 수준이 비소 세포 폐암에 대한 수술 후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사망 위험과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였고, 단순 그룹핑을 사용한 초기 분석에서는 이 연관성을 입증하지 못하였으나, 계층화 그룹핑을 시행한 후에는 폐 선량과 사망위험 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다. 모든 환자 중 특정 피폭선량(exposure) 값에 따라 환자를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순 그룹핑은 도 8의 (a)와 같이 회귀 설정에서 피폭선량(exposure)의 영향을 조사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채택되었다. 비록 단순 그룹핑이 어떤 경우에 유효할지라도, 위험 그룹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에 의해 심하게 교란될 때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that lung dose levels a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death in patients treated with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the initial analysis using simple grouping did not demonstrate this association, but stratified grouping After implemen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ung dose and mortality risk. Among all patients, simple grouping to classify patients into groups according to specific exposure values was adopted as a general method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exposure dose in the regression setting as shown in FIG. Although simple grouping is valid in some cases, it may not work when the risk group is severely disturbed by key variables affecting the outcome.

단순 그룹핑은 표 1과 같이 고 폐선량 그룹과 저 폐선량 그룹 간의 여러 변수에 편향된 분포를 만들었으며, 이러한 불균형은 폐 선량의 영향을 희생하여 죽음의 위험에 처하는 것으로 보였다. 특히 전체 생존율에 나쁜 예후 인자(HR = 1.98, p = 0.006)로 나타난 폐전절제술의 비율은 저 폐선량 그룹이 고폐선량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36.8 % vs. 3.3 %, p <0.001). 결과적으로 단순 그룹핑에 의한 두 그룹간의 생존율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소 재발없는 생존율, 원격 전이없는 생존율 및 전체 생존율에서 거의 동일했다. 단순 그룹핑의 이러한 중요하지 않은 결과를 통해 다변수 분석을 사용하여 교란 변수를 조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Simple grouping created a biased distribution of the variables between the high and low dose groups, as shown in Table 1, and this imbalance appeared to be at risk of death at the expense of the effect of lung dose. In particular, the rate of pneumonectomy with poor prognostic factors (HR = 1.98, p = 0.006)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ow-dose group than in the high-dose group (36.8% vs. 3.3%, p <0.001). As a result, the survival rate between the two groups by simple grouping was almost the same in the survival rate without local recurrence, survival without distant metastasis, and overall survival as shown in FIG. 9 (a). With this insignificant result of simple grouping, it is not meaningful to adjust the disturbing variable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이처럼 단순 그룹핑 방법은 폐의 피폭선량과 생존율간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므로, 계층화 그룹핑 방법을 사용하여 위험 그룹을 분류하여 교란변수를 조절하였다. 계층화 그룹핑은 도 8의 (b)와 같이 환자들을 동일한 교란변수를 가지는 서브그룹으로 나눈 후, 고 폐선량 그룹과 저 폐선량 그룹으로 나누었다. 표 1에서 계층화는 잘 진행되었으며, 수술 유형의 비율을 포함하여 2 가지 위험 그룹간에 교란변수가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Since the simple grouping method does not show a correlation between lung exposure dose and survival rate, the risk group is classified using the stratified grouping method to control disturbance variables. In the stratified grouping, patient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having the same disturbance parameters as shown in FIG. 8 (b), and then divided into high lung dose groups and low lung dose groups. In Table 1, the stratification went well and the disturbance variables were balanced between the two risk groups, including the proportion of the types of surgery.

폐 선량 값이 그룹간에 중복되었지만, 계층화 그룹핑한 후에도 단순 그룹핑의 유의한 폐선량 차이가 유지되었다. 생존율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저 폐선량 그룹의 전체 생존율이 고 폐선량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폐선량은 다변수 분석에서 전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후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국소 재발없는 생존율이나 먼 전이없는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었다.Although lung dose values overlap between groups, significant lung dose differences of simple grouping were maintained even after stratified grouping. The survival rate of the low lung do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high lung dose group as shown in FIG. 9 (b), and the lung dose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ffecting the overall survival rate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rvival without local recurrence or survival without distant metastasis.

계층화 그룹핑에서 생존 결과의 패턴은 수술 후 방사선 요법을 받는 비소 세포 폐암 환자에서 더 높은 폐선량이 잠재적 사망의 위험 증가와 관련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와 받지 않은 환자들을 비교하였고, 방사선치료 시행 자체가 병기가 낮은 경우에는 오히려 해가 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들은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 가운데서의 잠재적인 해로움, 곧 잠재적 사망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평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에서 lung exposure에 따른 잠재적 사망 위험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방사선 유발성 잠재적 사망의 위험은 정상 조직에 대한 방사선 피폭(radiation exposure), 심지어 동일한 처방 선량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사이에서도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의 폐선량에 따른 잠재적 사망의 위험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폐선량이 처방된 선량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 어려웠다. 처방된 선량이 높을수록 종양이 조절될 확률이 높아져 방사선치료의 잠재적 사망의 위험성을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폐 선량은 주로 병리학적 N-단계에 따라 달라지는 타겟 볼륨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방사선 장(radiation fields)에 포함된 폐의 볼륨에 영향을 주는 수술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폐 선량에 따라 방사선 치료의 위험 및 이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잠재적 교란변수를 조절하기 위해 계층화 그룹핑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폐 선량에 따른 사망 위험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계층화 그룹핑이 교란변수를 조정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도 피폭(exposure)의 영향을 탐색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attern of survival outcomes in stratified groupings may confirm that higher lung doses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potential death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undergoing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Existing studies compared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radiotherapy with those who did not, and reported that harm was rather harmful if the radiation therapy itself was low. However, these studies have been limited in assessing the potential harm, or the risk of death, among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isk of death from lung exposure among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therapy was analyzed. The risk of radiation-induced potential death may differ between radiation exposures to normal tissue, even among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at the same prescribed dos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intended to demonstrate the risk of potential death according to lung dose of patients undergoing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However, it was difficult to assess this association because lung dose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escribed dose. The higher the dose prescribed, the more likely the tumor is to be controlled, offsetting the risk of potential death from radiation therapy. Pulmonary dose may also be influenced by target volume, which depends primarily on the pathological N-stage, and may depend on the extent of surgery that affects the volume of the lung contained in the radiation fields. Therefore, stratified grouping was applied to control various potential disturbanc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risk and benefit of radiation therapy according to the lung dose.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isk of death from lung dose were found. These results show that stratified groupings can be an effective way of adjusting disturbance variables and are useful for exploring the effects of exposure in future studies.

심폐-관련 사망(Cardiopulmonary-associated deaths)은 방사선 치료-유도된 잠재적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제안되었으며, 본 발명의 결과는 폐선량이 주로 폐 사망의 증가로 인한 잠재적 사망의 위험 증가와 관련된다는 것을 지지한다. 수술 후 잔존 폐 기능은 수술 후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받은 환자에서 유의한 예후 인자로 보고되었다. 방사선으로 유발된 폐 섬유화와 같은 폐 볼륨의 감소가 폐 선량과 관련되기 때문에, 폐 기능의 추가적인 손실은 폐 선량에 비례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계층화 그룹핑에서 고 폐선량 그룹과 저 폐선량 그룹의 폐 선량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았다(고 폐선량 그룹 vs. 저 폐선량 그룹, 평균 15.3 Gy vs. 11.5 Gy). 폐 선량의 작은 차이는 너무 작아서 방사선 폐렴(radiation pneumonitis)의 발병률에 큰 차이를 유발할 수 없었으나, 사망의 위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폐에 대한 방사선 노출의 상대적으로 작은 차이가 사망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상기시켜 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수술 후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받는 환자의 사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폐 선량을 가능한 한 낮게 유지해야 한다. 또한, 개별 환자는 폐 기능을 포함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다른 선량 한도를 갖게 될 것이다. 또한, 흉부 방사선 요법에서 방사선 폐렴뿐만 아니라 잠재적 사망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한다. 사망의 위험과 잠재적 이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맞춤형 방사선 요법을 제공하기 위해 폐 피폭선량 수준에 따라 개별적인 사망 위험을 결정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Cardiopulmonary-associated deaths have been proposed as the main cause of radiation therapy-induced potential deaths, and the resul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that lung dose is primari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potential deaths due to increased lung deaths. .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has been reported 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treated with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Since a decrease in lung volume, such as radiation-induced lung fibrosis, is associated with lung dose, additional loss of lung function can be assumed to be proportional to lung dose. In stratified groupings, the difference in lung dose between the high and low dose groups was relatively small (high vs. low dose group, average 15.3 Gy vs. 11.5 Gy). Small differences in lung dose were too small to cause a large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radiation pneumonitis, bu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isk of death. These results remind us that relatively small differences in radiation exposure to the lungs may affect the risk of death. In this context, lung dose should be kept as low a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death in patients treated with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addition, individual patients will have different dose limits that are determined by their health status, including lung func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chest radiotherapy increases the risk of death as well as radiation pneumoni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individual risks of death according to pulmonary exposure dose levels to provide tailored radiotherapy to balance the risk of death and potential benefits.

이에, 표 4와 같이 평균 폐 선량에 추가하여 다른 volume-based 파라미터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평균 폐 선량과는 달리 계층화 그룹핑을 사용한 후에도 다른 dose-volume 파라미터가 사망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는 평균 폐 선량이 폐 선량 수준을 나타내는 가장 유용한 dose-volume 파라미터임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폐 선량은 동일한 교란변수를 가진 비소 세포 폐암 환자의 사망 위험과 관련이 있으며, 폐 선량과 잠재적 사망의 위험 증가 사이의 연관성을 제시하였고, 이는 폐 선량에 따라 사망 위험을 평가하는 더 많은 연구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개별화된 방사선 요법을 시행하고 방사선치료의 위험과 이익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us, as shown in Table 4, the effect of the other volume-based parameters in addition to the average lung dose was analyzed. Unlike the average lung dose, other dose-volume paramete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isk of death after stratified grouping. This suggests that mean lung dose is the most useful dose-volume parameter indicative of lung dose level. In conclusion, lung dos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death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the same confounders, suggesting a link between lung dose and an increased risk of potential death, which is more likely to assess mortality risk according to lung dose. The research will help to implement more accurate and individualized radiation therapy and to balance the risks and benefits of radiation therapy.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On the other h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may be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disks, such as floppy disks.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ROM, RAM, flash memory, etc.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code such as produced by a compiler. Contains high-level language codes.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700: 장치
710 : 저장부
720 : 출력부
730 : 제어부
740 : 계층화 그룹핑부
750 : 상관관계 분석부
700: device
710: storage unit
720: output unit
730 control unit
740: layered grouping unit
750: correlation analysis unit

Claims (6)

장치가 연속형 변수를 계층화 그룹핑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석 데이터를 교란변수들의 조합이 동일한 복수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각 서브그룹을 해당 연속형 변수 분포의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위 연속형 변수와 하위 연속형 변수로 각각 구분하는 단계; 및
각 서브그룹의 상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상위 그룹을 생성하고, 각 서브그룹의 하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하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 방법.
In the method in which the device hierarchically grouping continuous variables,
Classifying the analysis data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having the same combination of disturbance variables;
Dividing each subgroup into an upper continuous variable and a lower continuous variable based on a representative value of a corresponding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And
Generating an upper group by upper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and generating a lower group by lower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Hierarchical grouping method of a continuous variab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하는 단계는,
상기 각 서브그룹별로 연속형 변수 분포를 올림차순으로 정렬하는 단계;
상기 각 서브그룹별로 연속형 변수 분포에서 대표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서브그룹별로 중앙값 초과의 연속형 변수를 상위 연속형 변수, 중앙값 미만의 연속형 변수를 하위 연속형 변수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separating,
Sorting the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in ascending order for each subgroup;
Selecting a representative value from the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for each subgroup; And
And classifying the continuous variable above the median into the upper continuous variable and the continuous variable below the median into the lower continuous variable for each subgroup.
장치가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해 연속형 변수와 특정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서 연속형 변수, 종속변수, 교란변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연속형 변수에 대해 교란변수를 이용하여 계층화 그룹핑하는 단계; 및
상기 계층화 그룹핑된 연속형 변수와 상기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방법.
In a method fo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 continuous variable and a specific dependent variable for the data to be analyzed by the device,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continuous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disturbance variable from the data;
Hierarchically grouping the extracted continuous variable using a disturbance variable; And
Analyz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hierarchical grouped continuous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Correlation analysis method using the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교란변수들의 조합이 동일한 복수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각 서브그룹을 해당 연속형 변수 분포의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위 연속형 변수와 하위 연속형 변수로 각각 구분하는 단계; 및
각 서브그룹의 상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상위 그룹을 생성하고, 각 서브그룹의 하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하위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layering grouping step,
Classifying the data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having the same combination of disturbance variables;
Dividing each subgroup into an upper continuous variable and a lower continuous variable based on a representative value of a corresponding continuous variable distribution; And
Generating an upper group by the upper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and generating a lower group by the lower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using the hierarchical grouping of the continuous variables. Relationship Analysis Method.
분석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연속형 변수에 대해 동일한 교란변수를 가지도록 계층화 그룹핑하는 계층화 그룹핑부; 및
상기 계층화 그룹핑된 연속형 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관계 분석부
를 포함하는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장치.
A hierarchical grouping unit which hierarchically groups the data to be analyzed to have the same disturbance variable with respect to the continuous variable; And
Correlatio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ierarchical grouped continuous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Correlation analysis apparatus using the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화 그룹핑부는,
상기 데이터를 교란변수들의 조합이 동일한 복수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서브그룹을 해당 연속형 변수 분포의 대표값에 기초하여 상위 연속형 변수와 하위 연속형 변수로 각각 구분하며, 각 서브그룹의 상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상위 그룹을 생성하고, 각 서브그룹의 하위 연속형 변수들에 의해 하위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변수의 계층화 그룹핑을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layered grouping unit,
The data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subgroups having the same combination of disturbance variables, and each subgroup is divided into an upper continuous variable and a lower continuous variable based on a representative value of the distribution of the continuous variable. An apparatus for correlation analysis using hierarchical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characterized in that an upper group is generated by upper continuous variables and a lower group is generated by lower continuous variables of each subgroup.
KR1020180097695A 2018-08-21 2018-08-21 Method for stratified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rrelation using as the same KR102203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695A KR102203705B1 (en) 2018-08-21 2018-08-21 Method for stratified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rrelation using as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695A KR102203705B1 (en) 2018-08-21 2018-08-21 Method for stratified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rrelation using as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844A true KR20200021844A (en) 2020-03-02
KR102203705B1 KR102203705B1 (en) 2021-01-15

Family

ID=6980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695A KR102203705B1 (en) 2018-08-21 2018-08-21 Method for stratified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rrelation using as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70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0014A (en) * 2011-10-13 2013-04-23 주식회사 이즈텍 Method that automatically explores statistic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generates dynamic report
KR20130098753A (en) * 2012-02-28 2013-09-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Technology credit scoring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768202B1 (en) * 2016-10-25 2017-08-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data using patterning
KR20180041174A (en) * 2016-02-01 2018-04-23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Risk Assessment Methods and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0014A (en) * 2011-10-13 2013-04-23 주식회사 이즈텍 Method that automatically explores statistic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generates dynamic report
KR20130098753A (en) * 2012-02-28 2013-09-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Technology credit scoring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180041174A (en) * 2016-02-01 2018-04-23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Risk Assessment Methods and Systems
KR101768202B1 (en) * 2016-10-25 2017-08-16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data using patte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705B1 (en)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i et al. Effect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pIIIA-N2 non–small cell lung cancer after complete resection and adjuvant chemotherapy: the phase 3 PORT-C randomized clinical trial
Puri et al. Treatment outcomes in stage I lung cancer: a comparison of surgery an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US11495355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treatment plan risk analysis
Thor et al. Modeling the impact of cardiopulmonary irradiation on overall survival in NRG oncology trial RTOG 0617
Hong et al. Predicting emergency visits and hospital admissions during radiation and chemoradiation: an internally validated pretreatment machine learning algorithm
Jegadeesh et al. Evaluating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in locally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results from the National Cancer Data Base
Anthony et al. Incorporation of pre‐therapy 18F‐FDG uptake data with CT texture features into a radiomics model for radiation pneumonitis diagnosis
Yakar et al. Prediction of radiation pneumonitis with machine learning in stage III lung cancer: a pilot study
McCurdy et al. Induction and concurrent taxanes enhance both the pulmonary metabolic radiation response and the radiation pneumonitis response in patients with esophagus cancer
Xu et al. Neoadjuvant chemoradiotherapy or chemotherapy followed by surgery is superior to that followed by definitive chemoradiation or radiotherapy in stage IIIA (N2) nonsmall-cell lung cancer: a meta-analysis and system review
Gazula et al. Comparison of once and twice daily radiotherapy for limited stage small-cell lung cancer
Xia et al. Neutrophil-lymphocyte ratio and platelet-lymphocyte ratio associations with heart and body dose and their effects on patient outcomes in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definitive radiotherapy
Macomber et al. Heart dose and outcomes in radiation treatment for esophageal cancer
Verzoni et al. Predictors of long-term response to abiraterone in patients with metastas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Krishnan et al. Tumor growth inhibition modeling of individual lesion dynamics and interorgan variability in HER2‐negative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docetaxel
Li et al. Estimating survival in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and brain metastases: a verification of the graded prognostic assessment for lung cancer using molecular markers (lung-molgpa)
Kocher et al. Risk-adjustment in hepatobiliarypancreatic surgery
CN113614537A (en) Cancer prognosis
Ogata et al. Dose-volume parameters predict radiation pneumonitis after surgery with induction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KR102203705B1 (en) Method for stratified grouping of continuous variabl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rrelation using as the same
Warner et al. Development of ProCaRS clinical nomograms for biochemical failure-free survival following either low-dose rate brachytherapy or conventionally fractionated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for localized prostate cancer
Ni et al. Heart V5 predicts cardiac events in unresectable lung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radiation
Safe et al. A Comparison between Cure Model and recursive partitioning: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Iranian female with breast cancer
Cheung et al. Computed tomography-based radiomic model predicts radiological response following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in early-stage non-small-cell lung cancer and pulmonary oligo-metastases
Blom-Goldman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lung density changes after 3-D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