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285A -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 Google Patents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285A
KR20200021285A KR1020180096848A KR20180096848A KR20200021285A KR 20200021285 A KR20200021285 A KR 20200021285A KR 1020180096848 A KR1020180096848 A KR 1020180096848A KR 20180096848 A KR20180096848 A KR 20180096848A KR 20200021285 A KR20200021285 A KR 20200021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ttom plate
tank
water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0497B1 (ko
Inventor
김광훈
Original Assignee
김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훈 filed Critical 김광훈
Priority to KR102018009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4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1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02P60/64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관상어가 양식되는 양식수조가 이동가능한 컨테이너에 탑재되도록 한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은
내부 바닥에 어류 양식용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배수부가 구비되고, 출입구측에 출입문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중앙에 사용자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이동식 컨테이너;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의 내부 가장자리에 층을 이루어 탑재되고, 어류 양식에 요구되는 각종 환경요인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이 설치되며, 관상어 양식을 위한 양식수가 채워지는 양식수조;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양식수조의 어류에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어와, 상기 양식 수조에 공급되는 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산소 발생기 및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기가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양식수조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값과 미리설정된 임의의 데이터값 비교에 의해 각각의 양식수조별 환경요인을 체크 및 관리하기 위한 제어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smart fish farm of travelling container type}
본 명세서는 스마트약식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상어(觀賞魚)가 양식되는 양식수조가 이동가능한 컨테이너에 탑재되는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해수의 지속적인 공급이 어려운 도심이나 바닷가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는 순환여과방식의 증,양식을 하게 되는 데, 초기 투자비용의 부담으로 양식수조가 조적 수조, 콘크리트 수조, PP 시트(sheet) 등으로 단순한 형태적 모양으로만 제작되고 있다.
한편, 가두리나 육상 양식의 경우 여름철 고 수온기에는 용존산소 부족으로 양식 어류가 전량 폐사하기도 하고, 겨울철 혹한기에는 동사하여 전량 폐사하기도 한다.
종래의 양식수조 시설에서는 양식수조가 원형 형태이거나, 각 내측 모서리를 라운딩처리한 장방형 또는 정사각 형태로서 시공된다. 이는 수류식의 경우 투입되는 먹이 찌꺼기나 어류에서 배출되는 배설물 등의 유기물을 처리하는 방식이 중앙에 설치된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이중 배관장치를 통해 자연 배수되도록 하는 자연 수류식 양식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바닷가나 단수천이 있어 양식수가 풍부한 장소에 설치된다.
최근에는 양식기술의 발달으로 대상 생물을 바다가 아닌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고, 특히 도심지 등에서 건물 또는 건축구조물 등을 이용하여 통제된 시설 내에서 층별, 수조별 다양한 어종의 어류를 양식하는 개념의 복합빌딩양식이 등장하고 있다.
복합빌딩양식이란 IT를 양식기술에 접목시켜 자동화, 무인화를 통해 다양한 어류를 대량으로 양식하는 기술로써, 층별, 수조별 개별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양식어의 질병 예방 및 확산 방지가 용이하여 양식 어류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반면에, 복합빌딩양식은 어류의 양식과정 중에 생물이 소비하고 배출하는 사료찌꺼기 등에 의해 수질이 악화되기 쉽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많은 유지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8-0002549호에 육상 도심 고밀도 축양 양식을 위한 입체 단열 수조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관상어가 양식되는 각각의 양식수조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관상어 양식에 필요한 환경요인(수온, DO, 염도, Ph, 조도 등)을 제어실에서 실시간으로 관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관상어가 양식되는 양식수조가 탑재된 컨테이너를 특정장소 또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도심지 또는 근교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양식수조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의해 다수의 수조로 이루어진 양식장을 스마트관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바닥에 어류 양식용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배수부가 구비되고, 출입구측에 출입문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중앙에 사용자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이동식 컨테이너;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의 내부 가장자리에 층을 이루어 탑재되고, 어류 양식에 요구되는 각종 환경요인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이 설치되며, 관상어 양식을 위한 양식수가 채워지는 양식수조;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양식수조의 어류에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어와,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되는 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산소 발생기 및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기가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양식수조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값과 미리설정된 임의의 데이터값 비교에 의해 각각의 양식수조별 환경요인을 체크 및 관리하기 위한 제어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을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작은 수조에서도 종묘 생산 및 양성이 가능한 관상어를 대상으로 컨테이너안에 사육 수조를 집약적으로 배치, 공간의 효율성을 꽤함으로서 많은 초기자본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관상어가 양식되는 양식수조가 탑재된 컨테이너를 특정장소 또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도심지 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저비용으로 도심의 좁은 부지를 활용하여 관상어의 상업적 양식이 가능하다.
또한, 양식수조에 설치된 용존산소(do) 측정센서 등으로부터 전송된 각종 수집데이터에 의해 다수의 양식수조로 이루어진 양식장을 무인화, 자동화를 통해 스마트관리하여 고부가가치인 관상어 양식에 따른 수입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에서, 수조가 탑재되는 컨테이너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식장에서,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면 구성을 나타내는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양식장에서, 컨테이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양식장에서, 컨테이너의 내부 바닥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양식장에서, 컨테이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양식수조에 설치되는 검출센서 및 이로 부터 제어실에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해 양식수조의 환경요인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양식장에서, 태양광 발전부 및 풍력 발전부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로부터 해당 부하에 인가되는 것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은
내부 바닥에 관상어 등의 어류 양식용 물(즉, 관상어 양식수를 말함)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배수부가 구비되고, 출입구측에 출입문(10)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중앙에 사용자 이동통로(11)가 형성되는 이동식 컨테이너(12)(이하 "컨테이너(12)" 라고 함)(컨테이너(12)는 뒷쪽에 출입문(10)이 개폐가능하게 장착되고, 화물 운반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이동차량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
컨테이너(12)의 내부 가장자리(컨테이너(12)의 좌측 및 우측의 가장자리(13a,13b)와, 앞쪽 가장자리(13c)를 말함)에 층(관상어 종류, 크기 또는 수량에 따라 이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2-3단을 이룰 수 있음)을 이루어 탑재되고, 다종의 관상어의 어류 양식에 요구되는 각종 환경요인(일 예로서, 수온, 용존산소(DO; dissolved oxygen), 염도, Ph, 조도 등)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검출센서들이 설치되며, 관상어 양식을 위한 양식수가 임의레벨로 채워지는 양식수조(13);
컨테이너(12)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양식수조(13)의 어류에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어(blower)와, 컨테이너(12) 내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기(미 도시됨)와, 충전가능한 배터리(33) 및 양식수조(13)에 공급되는 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산소 발생기(24)(또는 산소통이 사용됨)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14);
양식수조(13)에 설치된 검출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값과 미리설정된 임의의 기준 데이터값 비교에 의해 양식수조(13) 내부의 환경요인 각각을 체크 및 관리하기 위한 제어실(15)(control room);을 구비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양식수조(13)는 내부에서 양식되는 관상어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형성된다. 일 예로서 투명창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강화유리재 또는 방탄유리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이동통로(11)는 사용자(양식수조(13) 내부의 환경요인을 체크 및 관리하기 위한 작업자(영업자 또는 관리자)를 말함) 등이 이동하기 위한 통로 및 작업공간을 말한다.
양식수조(13) 내부의 환경요인을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검출결과를 제어실(15)에 각각 전송하기 위한 검출센서로써
양식수조(13) 내의 관상어 양식에 적합한 수온(水溫)을 측정하기 위한 수온 센서(25)와, 산소발생기(24)에 의해 발생되어 산소공급관(미 도시됨)을 통해 양식수조(13)에 공급되는 용존산소량(DO; dissolved oxygen)을 측정하기 위한 용존산소측정센서(26)와, Ph 측정센서(27)와, 염도 측정센서(28) 및 암모니아 아질산 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미 도시됨) 등을 포함한다.
제어실(15)은
수온 센서(25), 용존산소 측정센서(26), Ph 측정센서(27), 염도 측정센서(28) 등에 의해 검출된 양식수조(13)의 환경요인에 대한 측정 검출값이 미리설정된 임의값보다 작거나 큰 경우와, 온도 센서(29)에 의해 측정된 컨테이너(12) 내부 온도가 미리설정된 임의의 온도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31)에 경고메시지 또는 알람이 송출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30);를 더 구비한다.
이로 인해, 양식수조(13) 내부의 환경요인의 측정 검출값이 미리설정된 임의값보다 작거나 큰 경우와, 온도 센서(29)에 의해 측정된 컨테이너(12) 내부 온도가 미리설정된 임의의 온도(일 예로서, 40℃를 말함)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제어부(30)에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31)에 경고메시지 또는 알람이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스마트양식장에 필요한 전기 일부를 자체 충족시킬 수 있도록 컨테이너(12)의 지붕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태양광 모듈에 의해 집광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전부(16);를 더 구비한다.
컨테이너(12)의 지붕에 설치되고, 바람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풍력 발전부(32);를 더 구비한다.
이때, 태양광 발전부(16)의 태양광 모듈에 의해 태양광을 집광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거나 풍력 발전부(32)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고, 생산된 전기를 충전시키기 위한 배터리(33)의 기술내용은 태양광 발전부(16) 및 풍력 발전부(32)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양식수조(13)가 탑재되는 컨테이너(12) 내부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13a,13b)에 배치된 사이드 바닥판(17) 및 사용자 이동통로(11)를 이루는 중앙 바닥판(18)을 탈착가능하게 분할형성함에 따라, 사이드 바닥판(17) 및 중앙 바닥판(18)중 해당 바닥판을 분리시킨 후 사이드 바닥판(17) 및 중앙 바닥판(18) 밑으로 장착되는 임의의 시설물을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이드 바닥판(17) 및 중앙 바닥판(18) 밑으로 장착된 시설물(일예로서, 여과필터(21), 펌프(20) 등을 말함)에 고장 등이 발생될 경우, 시설물이 밑으로 장착된 사이드 바닥판(17) 또는 중앙 바닥판(18)중 해당 바닥판을 분리시킨 후 컨테이너(12) 내부에서 펌프(20) 등을 점검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즉, 컨테이너(12) 내부 바닥판이 분할 형성됨에 따라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
중앙 바닥판(18)의 밑으로 형성되고, 양식수조(13)에 공급되는 어류 양식용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A)(일 예로서, 내부식성을 갖도록 스테인레스스틸재, PVC재 또는 PP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됨);
저수조(A)에 저장된 물을 급수파이프(19)를 통해 양식수조(13)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20) 및 저수조(A)로부터 양식수조(13)에 공급된 사육수의 오폐물을 여과하도록 양식수조(13) 바닥면에 장착되는 여과필터(21);
양식수조(13) 윗쪽으로 임의위치에 설치되고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며, 관상어 양식에 따라 요구되는 조도, 휘도 및 광도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양식수조(13)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22);을 더 구비한다.
전술한 조명등(22)은 사용자가 조명등(22)의 조도, 휘도 및 광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임의색상(Red, Green, Blue)의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정된 조도, 휘도 및 광도에 따라 조명등(22)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제어부(미 도시됨)를 포함한다.
이때, 조명등(22)을 조명제어부에 의해 제어하는 기술내용은 조명등(22)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구성에 속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이드 바닥판(17)과 중앙 바닥판(18)의 경계부에 형성되고, 컨테이너(12) 이동시 양식수조(13) 등으로부터 흘러 넘쳐 사이드 바닥판(17) 및 중앙 바닥판(18)에 떨어져 상면에 형성된 배수공(23a)을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컨테이너(12) 뒷쪽에 형성되는 정화조(미 도시됨)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수 트렌치(23);를 더 구비한다.
이로 인해, 양식수조(13) 등으로부터 흘러 넘치는 관상어 사육수 또는 관상어 배설물 등을 포함하는 오물이 사이드 바닥판(17) 또는 중앙 바닥판(18)위에 흐를 경우, 트렌치커버에 형성된 배수공(23a)을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배수 트렌치(23)(물골을 말함)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시킴에 따라, 사용자 이동통로(11) 바닥면이 오물 등으로 인해 미끄러워 사용자가 이동시 넘어져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컨테이너(12) 내부에서 관상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세균 등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상태로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다.
저수조(A)에 저장된 관상어 양식수를 양식수조(13)에 공급하는 방식은, 펌 프(20)로부터 급수되는 양식수를 양식수조(13)의 외부 바닥면에 설치된 급수밸브(미 도시됨)(일 예로서,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시 개방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사용될 수 있음)를 개방시킨 후 양식수조(13)에 양식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저수조(A)로부터 공급되는 사육수 양이 적을 경우, 펌프(20)로부터 급수되는 양식수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수동형 펌핑장치를 사용하여 급수밸브를 개방시킨 후 양식수조(13)에 양식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10)이 뒷쪽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된 통상적인 이동식 컨테이너(12)의 내부 가장자리에 관상어가 양식되는 양식수조(13)가 층(일 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2단을 이루어 적층됨)을 이루어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2) 내부의 우측 가장자리(13b)에 양식수조(13)가 배치되고, 컨테이너(12) 내부의 좌측 가장자리(13a)에 양식수조(13)가 배치되며, 컨테이너(12) 내부의 앞쪽 가장자리(13c)에 양식수조(13)가 배치된다. 컨테이너(12) 내부의 뒷쪽 우측에 기계실(14)이 배치되고 컨테이너(12) 내부의 뒷쪽 좌측에 제어실(15)이 배치된다.
컨테이너(12)의 중앙에 사용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이동통로(11)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양식수조(13)의 형태는 원통형, 다각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되고 이들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2)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지면쪽으로 임의높이의 저수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저수조(A)에 저장된 관상어 양식수를 펌프(20)(도 2의 "중앙바닥판 6"의 밑으로 배치됨)에 의해 펌핑하되, 펌핑되는 양식수는 내부식성을 갖도록 PVC 재질의 파이프로 성형된 배관(미 도시됨)을 통해 컨테이너(12) 내부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13a,13b)와, 앞쪽 가장자리(13c)에 배치된 양식수조(13)에 각각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수조(A)에 저장된 양식수를 펌프(20)에 의해 다수군으로 이루어진 양식수조(13)에 급수한 이후, 양식수에 포함되어 관상어에 유해한 이물질(저수조(A) 내부에 생성되는 물떼, 양식수조(13) 안의 관상어 배설물, 사료 찌꺼기 등을 말함)을 양식수조(13) 바닥면에 장착된 양식수조 여과필터(21)에 의해 여과시킨 후 양식수조(13)에 공급하게 되고, 이를 다시 여과필터(21)와 재순환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사육수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양식수조(13)의 외부 바닥면에 설치된 급수밸브가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됨)로 형성된 경우 제어부(30)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시켜 양식수조(13)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양식수조(13)가 탑재된 컨테이너(12) 내부에 출입하지 않고도 급수밸브를 개방시켜 양식수조(13)에 양식수를 급수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어부(30)로부터 솔레노이드밸브에 전기적신호를 인가시켜 개방시키는 구성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저수조(A)로부터 공급되는 사육수 양이 적을 경우, 양식수조(13)의 외부 바닥면에 설치된 급수밸브를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통상적인 수동형 펌핑장치를 사용하여 개방시켜 양식수조(13)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수조(13)에 급수된 양식수가 컨테이너(12)의 이동 등으로 출렁거림에 의해 양식수조(13)로부터 흘러 넘쳐 사이드 바닥판(17) 및 중앙 바닥판(18) 위에 떨어져 흐르게 된다.
즉, 양식수조(13)로부터 흘러 넘치는 양식수는 사육되는 관상어 배설물, 사육용 사료 등이 포함된 오물로 이루어져 있어 중앙 바닥판(18)의 표면이 미끄럽다.
이를 감안하여 사이드 바닥판(17)과 중앙 바닥판(18)의 경계부에 형성된 배수공(23a)이 상면에 구비된 배수 트렌치(23)에 의해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식수조(13)로부터 흘러 넘쳐 사이드 바닥판(17) 또는 중앙 바닥판(18) 위에 떨어진 오물은 상면의 배수공(23a)을 통해 배수 트렌치(2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배수 트렌치(23)에 유입된 오물은 집수관(41)(배수 트렌치(23) 배출구를 정화조에 연통시킴)을 통과한 후 컨테이너(12) 뒷쪽에 형성된 정화조(미 도시됨)로 이동된다.
전술한 사이드 바닥판(17) 또는 중앙 바닥판(18) 위를 청소할 경우 발생되는 슬러지 형태의 오물 등을 배수 트렌치(23)를 통해 정화조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식수조(13)로부터 흘러 넘치는 관상어 사육수 또는 관상어 배설물 등을 포함하는 오물을 중앙 바닥판(18)으로부터 제거시킴에 따라, 사용자 이동통로(11) 위에서 작업하는 사용자(또는 작업자를 말함)가 이동시 미끄러져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컨테이너(12) 내부에 번식하여 관상어에 유해한 해충 또는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식수조(13)가 탑재되는 컨테이너(12) 내부의 바닥면을 이루는 사이드 바닥판(17) 및 중앙 바닥판(18)을 탈착가능하게 분할형성한다.
전술한 사이드 바닥판(17)은 컨테이너(12)의 우측 가장자리(13b)에서는 사이드 바닥판 1, 사이드 바닥판 2, 사이드 바닥판 3으로 탈착가능하게 분할 형성하고, 컨테이너(12)의 좌측 가장자리(13a)에서는 사이드 바닥판 4, 사이드 바닥판 5, 사이드 바닥판 6으로 탈착가능하게 분할 형성한다.
전술한 중앙 바닥판(18)은 전후 방향으로 중앙 바닥판 1, 중앙 바닥판 2, 중앙 바닥판 3, 중앙 바닥판 4, 중앙 바닥판 5, 중앙 바닥판 6으로 탈착가능하게 분할 형성한다.
이로 인해, 사이드 바닥판(17) 및 중앙 바닥판(18)을 분리시킨 후 사이드 바닥판(17) 및 중앙 바닥판(18) 밑으로 장착된 임의의 시설물을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중앙 바닥판(18) 밑으로 장착된 시설물이 펌프(20)인 경우, 중앙 바닥판(18)중 컨테이너(12) 뒷쪽에 위치한 중앙 바닥판 6을 분리시킨 후, 펌프(20)를 점검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즉 중앙 바닥판 6을 분리시킨 후 펌프(20)를 공간이 협소한 컨테이너(12) 내부에서도 쉽게 작업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어가 양식되는 양식수조(13) 내부의 환경요인 또는 컨테이너(12) 내부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무인화, 자동화에 의해 관리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온 센서(25)에 의해 양식수조(13) 내의 수온(水溫)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용존산소 측정센서(26)에 의해 양식수조(13) 내의 용존산소량(DO)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Ph 측정센서(27)에 의해 양식수조(13) 내의 수소이온농도지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염도 측정센서(28)에 의해 양식수조(13) 내의 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온도 센서(29)에 의해 컨테이너(12)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온 센서(25), 용존산소 측정센서(26), Ph 측정센서(27) 및 염도 측정센서(29)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각각의 양식수조(13) 내의 환경요인에 대한 검출값에 대한 전기신호는 제어실(15) 내의 제어부(30)에 전송된다. 또한 온도 센서(29)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컨테이너(12) 내부 온도값에 전기신호는 제어부(30)에 전송된다.
이로 인해, 제어부(30)에서는 양식수조(13) 내의 측정된 환경요인에 대한 검출값이 미리설정된 임의값보다 작거나 큰 경우에 제어부(30)에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31)에 경고메시지 또는 알람을 송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식수조(13) 내부의 환경요인을 체크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온도 센서(29)에 의해 측정된 컨테이너(12) 내부 온도가 미리설정된 임의온도보다 높거나(일 예로서, 40℃를 말함) 낮은 경우, 제어부(30)에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31)에 경고메시지 또는 알람을 송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테이너(12) 내부의 현재 온도를 확인한 후, 기계실(14)에 설치된 냉,난방기를 가동시켜 컨테이너(12) 내부 온도를 설정온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출입문
11; 사용자 이동통로
12; 이동식 컨테이너
13; 양식수조
14; 기계실
15; 제어실
16; 태양광 발전부
17; 사이드 바닥판
18; 중앙 바닥판
19; 급수파이프
20; 펌프
21; 여과필터
22; 조명등
23; 배수 트렌치
23a; 배수공
24; 산소발생기
25; 수온센서
26; 용존산소 측정센서
27; Ph 측정센서
28; 염도 측정센서
29; 온도 센서
30; 제어부
31; 이동통신단말기
32; 풍력 발전부
33; 배터리
A; 저수조

Claims (6)

  1. 내부 바닥에 어류 양식용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및 배수부가 구비되고, 출입구측에 출입문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며, 중앙에 사용자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이동식 컨테이너;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의 내부 가장자리에 층을 이루어 탑재되고, 어류 양식에 요구되는 각종 환경요인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이 설치되며, 관상어 양식을 위한 양식수가 채워지는 양식수조;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양식수조의 어류에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어와,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되는 산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산소 발생기 및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 내부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기가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양식수조에 설치된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값과 미리설정된 임의의 데이터값 비교에 의해 각각의 양식수조별 환경요인을 체크 및 관리하기 위한 제어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의 지붕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부와,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의 지붕에 설치되고, 바람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풍력 발전부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가 탑재되는 상기 이동식 컨테이너 내부의 사이드 바닥판 및 상기 사용자 이동통로를 이루는 중앙 바닥판을 탈착가능하게 분할 형성함에 따라, 상기 사이드 바닥판 및 중앙 바닥판중 해당 바닥판을 분리시킨 후 상기 사이드 바닥판 및 중앙 바닥판 밑으로 장착되는 임의의 시설물을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바닥판의 밑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되는 어류 양식용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급수파이프를 통해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상기 저수조로부터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되어 사육과정 중 사육수의 오염원을 여과하도록 상기 양식수조와 연결되어 바닥판 하부에 장착되는 여과필터;
    상기 양식수조 윗쪽으로 임의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양식수조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닥판과 상기 중앙 바닥판의 경계부에 형성되고, 상기 양식수조로부터 상기 사이드 바닥판 및 중앙 바닥판에 흘러 넘쳐 상면의 배수공을 통해 유입되는 오물을 상기 컨테이너 뒷쪽에 형성되는 정화조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수 트렌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는
    상기 양식수조 내의 양식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온 센서와,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산소발생기에 의해 발생되어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되는 용존산소량(DO)을 측정하기 위한 용존산소 측정센서와,
    상기 양식수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Ph 측정센서와,
    상기 양식수조의 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염도 측정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는 내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실은
    상기 수온 센서, 용존산소 측정센서, Ph 센서, 염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양식수조의 환경요인에 대한 측정 데이터값이 미리설정된 임의값보다 작거나 큰 경우와,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컨테이너 내부 온도가 미리설정된 임의의 온도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경고메시지가 송출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KR1020180096848A 2018-08-20 2018-08-20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KR102150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848A KR102150497B1 (ko) 2018-08-20 2018-08-20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848A KR102150497B1 (ko) 2018-08-20 2018-08-20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285A true KR20200021285A (ko) 2020-02-28
KR102150497B1 KR102150497B1 (ko) 2020-09-01

Family

ID=6963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848A KR102150497B1 (ko) 2018-08-20 2018-08-20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4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231A (ko) 2020-04-08 2021-10-18 한국수생명연구소 주식회사 육상 양식장용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KR20220064844A (ko) 2020-11-12 2022-05-19 한사랑 Ict 스마트 농장 관리시스템
WO2023033257A1 (ko) * 2021-08-30 2023-03-09 주식회사 신진테크해양 수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조 모니터링 방법
WO2023052825A1 (es) * 2021-09-30 2023-04-06 Oxzo S.A. Un sistema móvil de generación de oxígeno y aire comprimido in-situ sin acumulación, que incrementa las concentraciones de oxígeno disuelto en las jaulas por demand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345B1 (ko) * 2020-10-21 2022-09-07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컨테이너형 레이다 비행 시험 장비, 레이다 비행 시험 설비 및 방법
KR102301341B1 (ko) 2021-01-29 2021-09-10 박상미 관상어 양식 시스템
KR102368726B1 (ko) 2021-05-31 2022-02-25 주현승 다층식 스마트 양식장치
WO2023062845A1 (ja) * 2021-10-15 2023-04-20 株式会社Ark 閉鎖循環式陸上養殖システム
KR20230111883A (ko) 2022-01-19 2023-07-26 주식회사나우리 치어의 생육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수조 및 이에 의한 치어의 생육 모니터링 방법
KR102456354B1 (ko) 2022-05-31 2022-10-2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두이노 기반 스마트 순환여과양식 실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391A (ja) * 1994-02-26 1995-09-12 O D I:Kk 海水魚の飼育方法
JP2012517224A (ja) * 2009-02-06 2012-08-02 キム,チュンベ リサイクル資材を用いたインキュベーター式養魚場
KR101293737B1 (ko) * 2013-04-29 2013-08-07 대한민국 다층사육이 가능한 전복사육수조
KR101369001B1 (ko) * 2013-05-30 2014-03-26 김선희 산소 발생 어류 양식 컨테이너
KR101648479B1 (ko) * 2015-06-15 2016-08-16 디엔비하우징 주식회사 독립형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컨테이너형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시스템
KR101752608B1 (ko) * 2016-11-15 2017-06-2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Ict를 활용하여 민물뱀장어의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양식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6391A (ja) * 1994-02-26 1995-09-12 O D I:Kk 海水魚の飼育方法
JP2012517224A (ja) * 2009-02-06 2012-08-02 キム,チュンベ リサイクル資材を用いたインキュベーター式養魚場
KR101293737B1 (ko) * 2013-04-29 2013-08-07 대한민국 다층사육이 가능한 전복사육수조
KR101369001B1 (ko) * 2013-05-30 2014-03-26 김선희 산소 발생 어류 양식 컨테이너
KR101648479B1 (ko) * 2015-06-15 2016-08-16 디엔비하우징 주식회사 독립형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컨테이너형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시스템
KR101752608B1 (ko) * 2016-11-15 2017-06-2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Ict를 활용하여 민물뱀장어의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양식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5231A (ko) 2020-04-08 2021-10-18 한국수생명연구소 주식회사 육상 양식장용 순환여과 양식 시스템
KR20220064844A (ko) 2020-11-12 2022-05-19 한사랑 Ict 스마트 농장 관리시스템
WO2023033257A1 (ko) * 2021-08-30 2023-03-09 주식회사 신진테크해양 수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조 모니터링 방법
WO2023052825A1 (es) * 2021-09-30 2023-04-06 Oxzo S.A. Un sistema móvil de generación de oxígeno y aire comprimido in-situ sin acumulación, que incrementa las concentraciones de oxígeno disuelto en las jaulas por demand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497B1 (ko)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1285A (ko) 이동식 컨테이너 타입의 스마트양식장
KR101648479B1 (ko) 독립형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컨테이너형 식물재배 및 어류양식 시스템
CN108012967B (zh) 大型休闲智能无害化水产养殖网箱
CN104135854A (zh) 用于增强水生生物的生长和存活能力的方法和系统
CN104891665B (zh) 一种水域修复养护用循环处理系统
KR102200310B1 (ko) 수직 이중관을 이용한 미세조류 광 배양장치 및 이를 갖는 농수산업용 융복합 건축 구조물
JP5448006B2 (ja) リサイクル資材を用いたインキュベーター式養魚場
KR101422996B1 (ko) 다용도 수경재배기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시스템
DE102009016738A1 (de) Photobioreaktor sowie Verfahren zur Kultivation von Biomasse mittels Photosynthese
KR102433226B1 (ko) 양식 대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7109321A (zh) 用于通过光生物反应器和至少一个光分配器生产光合培养物的设备
KR20200041179A (ko) 복층형 새우 양식장치
KR102654199B1 (ko) 스마트 이끼패널 장치
CN104137795B (zh) 远程控制式珍珠工厂化室内养殖智能系统
CN203748461U (zh) 一种具有高效排污功能的水产温室养殖池塘
KR101505973B1 (ko) 배치식 미세 조류 수거 장치
CN116343129A (zh) 基于遥感影像和神经网络的水体富营养监测及修复方法
KR102456253B1 (ko) 미세조류 광 배양장치를 갖는 농수산업용 융복합 건축 구조물
KR20190106235A (ko) 지능형 다층구조 스마트 육상 실내 양식시스템
CN210352749U (zh) 一种立体式水产养殖系统
KR20190106237A (ko) 다층 구조 수조 모듈
CN205511697U (zh) 塑钢箱式循环水养殖系统
CN108040967B (zh) 一种娃娃鱼养殖池
DE202019106334U1 (de) Kreislaufkultursystem, Verwenden eines Kreislaufkultursystems
CN107907627B (zh) 一种模拟滩涂鱼类栖息生境的受控实验装置和构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