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039A - 냉방장치 - Google Patents

냉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039A
KR20200021039A KR1020180096422A KR20180096422A KR20200021039A KR 20200021039 A KR20200021039 A KR 20200021039A KR 1020180096422 A KR1020180096422 A KR 1020180096422A KR 20180096422 A KR20180096422 A KR 20180096422A KR 20200021039 A KR20200021039 A KR 20200021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oling
refrigerator
cooling spac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영
김연지
Original Assignee
이순영
김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영, 김연지 filed Critical 이순영
Priority to KR1020180096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1039A/ko
Publication of KR2020002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0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 냉방공간부; 에어컨 본체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하기 위해 펼쳤을 때, 일정 높이 이하의 부분은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일정 높이 이상의 부분은 공기가 통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방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
본 발명은,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에어컨보다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름에는 더위를 식히기 위해 선풍기와 에어컨이 많이 사용된다.
선풍기는 전기를 에어컨에 비해 적게 사용하는 장점이 있지만, 날씨가 아주 더울 때에는 더위를 충분히 식혀줄 수 없고, 몸의 한 쪽면만 시원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에어컨은 사람 주변의 공기 전체의 온도를 낮춰서 더위를 충분히 식혀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장시간을 사용하면 전기 비용의 부담이 크다. 따라서 폭염기에 에어컨 사용의 필요성이 커짐에도 불구하고 에어컨을 충분히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에어컨을 사용하여 냉방을 하면서도 전기를 적게 사용하는 냉방장치가 필요하다.
실내 냉방을 할 때, 실내의 텐트 내부 만을 냉방한다면, 실내의 일부 공간만을 냉방하므로 전기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에어콘으로 실내의 텐트 내부를 냉방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제안된 방법들은 비용에 비해 효과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을 절감하는 냉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냉방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 냉방공간부; 에어컨 본체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하기 위해 펼쳤을 때, 일정 높이 이하의 부분은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일정 높이 이상의 부분은 공기가 통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방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 냉방공간부; 에어컨 본체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하기 위해 펼쳤을 때, 바닥부와 측면부가 연결되어 있어서 냉방공간부의 측면과 하부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없고, 위쪽은 막혀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방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 냉방공간부; 에어컨 본체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하기 위해 펼쳤을 때, 상기 냉방공간부의 아래쪽과 측면으로는 공기 밀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밀폐부로는 공기가 통과할 수 없어서, 냉방공간부 내부의 차가운 공기가 공기 밀폐부 내에 머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방장치에 있어서, 에어컨 본체 외부에 있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에어컨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방장치에 있어서, 에어컨 본체는 배출공기 연결부가 착탈될 수 있는 공기 배출부와 배출공기 연결부가 착탈되지 않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방장치에 있어서, 에어컨 본체가 실내 공간 전체를 냉방할 때는, 배출공기 연결부가 착탈되지 않는 공기배출부를 통해 에어컨 본체의 냉방 공기를 배출하고, 에어컨 본체가 냉방공간부를 냉방할 때는 배출공기 연결부가 착탈될 수 있는 공기 배출부를 통해 에어컨 본체의 냉방 공기를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방장치에 있어서,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방공간부측 단부 옆에 온도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에어컨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방장치는, 실내에 설치되고 냉각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냉방공간부; 상기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는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방공간부의 아래쪽과 측면으로는 공기 밀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밀폐부로는 공기가 통과할 수 없어서, 냉방공간부 내부의 차가운 공기가 공기 밀폐부 내에 머무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방장치는, 냉방공간부 내부에 있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장치는 상기 온도센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방장치는, 확장형 냉장고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확장형 냉장고 박스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냉방장치는, 확장형 냉장고 박스 내부의 공기를 냉장고의 공기 흡입부로 전달해주는 흡입공기 연결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 냉장고 시스템은, 실내에 설치되고 냉각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확장형 냉장고 박스; 상기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확장형 냉장고 박스의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는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확장 냉장고 시스템은, 확장형 냉장고 박스 내부의 공기를 냉장고의 공기 흡입부로 전달해주는 흡입공기 연결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는, 냉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컨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4
도 6은 도 5의 냉방공간부의 예의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5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6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7
도 10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조
도 11은 일반적인 냉장고에 냉각공기 배출부를 설치한 예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8에서 확장형 냉장고 박스가 사용되는 예 1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8에서 확장형 냉장고 박스가 사용되는 예 2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예 1)
도 1은 일반적인 에어컨의 개념도이다.
일반적인 에어컨의 에어컨 본체(100)는, 에어컨 공기 흡입부(120)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에어컨 공기 배출부(110)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배출한다. 즉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순환하게 된다.
보통의 경우, 실외기가 에어콘 본체와 연결되어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실외기가 없는 경우도 있다.
도 1에서의 에어컨 공기 흡입부(120)와 에어컨 공기 배출부(120)는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가 있을 수도 있다. 에어컨 본체의 몸체의 같은 면에 에어컨 공기 흡입부(120)와 에어컨 공기 배출부(120)가 있을 수도 있지만, 다른 면에 있을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1이다.
도 2의 냉방장치는 에어컨 본체(100), 냉방공간부(200), 배출공기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도 2의 에어콘 본체(100)는 실내(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 온도를 낮추어줄 수 있다.
배출공기 연결부(300)는 에어컨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한다.
냉방공간부(200)의 예로는 텐트가 있다. 텐트 외에도 플라스틱 몸체, 비닐 몸체 등과 같이 내부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격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냉방공간부가 될 수 있다.
즉 에어컨이 설치된 실내공간 전체를 냉방하는 것보다 텐트와 같이 작은 공간만을 냉방한다면, 냉방을 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배출공기 연결부(300)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므로, 물호스 등과 같이 유체를 이동을 전달할 수 있는 관으로 만들 수 있다.
배출공기 연결부(300)는 에어컨 본체와 착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므로,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310)는 에어컨 본체(100)와 착탈가능한 구조로 만든다.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310)는 에어컨 본체(100)와 부착된 상태에서는,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310)는 에어컨 공기 배출부(110)을 덮어서, 에어컨 공기 배출부(110)를 통해 나오는 냉각된 공기가 배출공기 연결부(300)로 전달된 후, 냉방공간부(200)의 내부로 전달된다.
냉방공간부(200)의 내부로 전달된 공기는 냉방공간부(200)의 미세 구멍을 통해 조금씩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에어콘 본체로부터 계속하여 냉각된 공기가 공급되더라도 냉방공간부(200) 내의 기압이 높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냉방공간부(200)의 미세 구멍은 일부로 만들지 않더라도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공간부(200)를 텐트로 만들 경우, 출입문을 위한 지퍼(자크)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으므로, 그 지퍼의 공기 구멍이 미세 구멍이 될 수 있다.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310)는 에어컨 본체(100)와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드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가장 간단한 예로는 부착할 때 고무줄로 고정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고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착탈가능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310)는 에어컨 본체(100)와 착탈가능한 구조로 만드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방공간부측 연결단부는, 냉각공간부(200)의 착탈가능하게 만들 수도 있고, 분리불가능한 구조로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냉방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 냉방공간부;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몸체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2이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의 냉방공간부의 상부와 하부의 재질이 다르다.
냉방공간부(200)의 하부(210)은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되어 있고, 냉방공간부(200)의 상부(220)은 공기가 통하는 재질로 되어 있다.
에어컨 본체에서 나온 냉각된 공기는 주변 공기보다 온도가 낮으므로, 아래쪽으로 가라앉으려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냉방공간부(200)의 하부(210)만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되어있다면, 냉방공간부의 냉방된 공기가 밖으로 쉽게 빠져나가지 않는다.
만일 냉방공간부(200)의 하부(210)의 높이가 50 cm 정도 된다면, 사람이 냉방공간부(200)의 내부에서 누워잘 때, 지면으로부터 30 cm 이내의 공간에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람이 누원있는 공간은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냉방공간부(200)의 상부(220)은 공기가 통하는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냉방공간 내부의 공기는 조금씩 밖으로 빠져나가면서 에어컨 본체의 찬 공기를 받아들일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냉방공간의 출입문의 경우, 공기가 통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냉방곡간의 출입문은 냉각공간부(200)의 상부(22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냉방공간부가 텐트이고, 냉방공간부의 출입문이 자크(지퍼)로 되어 있다면, 출입문을 형성하는 그 지퍼를 통해 공기가 통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출입문을 열었을 때 그 출입문을 통해 찬 공기가 대량으로 밖으로 빠져나갈 수도 있다.
따라서 냉방곡간의 출입문은 냉각공간부(200)의 상부(22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냉방공간부의 하부(210)는 공기가 밀폐되는 부분이므로 공기밀폐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의 냉방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 냉방공간부; 에어컨 본체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하기 위해 펼쳤을 때, 일정 높이 이하의 부분은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일정 높이 이상의 부분은 공기가 통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3이다.
도 4는 도 3의 냉방장치에 온도센서(130)가 포함된 것이다.
종래의 에어컨은 에어컨 본체 내부에 온도센서를 설치하고 그 온도센서의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에어컨을 제어한다.
이렇게 하면 실내공간 중 일정 위치를 온도를 기준으로 에어컨을 제어할 수 없고, 에어컨 본체의 온도 또는 그 주변의 온도를 기준으로 에어컨을 제어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에어컨 본체 외부에 온도센서를 위치시키고 에어컨 본체에서 그 온도센서의 측정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면, 에어컨 본체는 그 온도센서가 위치한 곳의 온도가 특정한 온도가 되도록 에어컨 본체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온도센서(130)가 냉방공간부(200)의 내부에 있고, 그 측정결과를 에어컨 본체(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에어컨 본체(100)는 그 온도센서가 위치한 곳의 온도가 특정한 온도가 되도록 에어컨 본체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센서는 냉방공간부(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냉방이 되고 있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냉방공간부의 내부 공간 중에서 냉방공간부의 하부(21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4이다.
실시예 4의 냉방장치는, 실시예 2의 냉방장치에서 냉방공간부(200)이 냉방공간부(400)으로 바뀐 점에서 다르다.
냉방공간부(400)는 냉방공간부의 측면부(410)와 냉방공간부의 바닥부(420)으로만 구성되어서 있어서, 냉방공간부(400)의 냉방공간은 위쪽으로 막혀 있지 않다.
따라서 실시예 4의 냉방공간부(400)는 위쪽을 밀폐하는 부분을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실시예 2의 냉방공간부(200)보다 적은 비용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냉방공간부에 출입문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냉방공간 내부와 외부 사이를 이동할 때 더 편리하다.
하지만, 냉방공간부(400)는 옆면과 아래쪽이 밀폐되어 있으므로, 찬 공기가 옆면이나 아래쪽으로 빠져나갈 수 없다.
도 6은 도 5의 냉방공간부의 예의 사시도이다.
도 5의 냉방공간부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만들 수 있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직육면체에서 윗면이 없는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도 6의 냉방공간부는 직육면체 형(직육면체에서 윗면이 없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그 형태는 원통형에서 윗면이 없는 형상이나 그 외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옆면과 아래쪽이 밀폐되어 있다면 어떤 형태라 실시예 4의 냉방공간부가 될 수 있다.
실시예 4의 냉방공간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가능하다.
간단한 예로는 도 6의 형상을 갖는 비닐을 4개의 기둥을 갖는 구조물에 걸치는 것이다. 다른 예로는, 공기가 주입될 경우, 도 6의 형상을 갖도록 하고, 공기를 뺄 경우 접을 수 있는 튜브를 만들 수도 있다. 현재 공기를 넣을 때 다양한 형상을 갖는 물놀이용 튜브가 제작되고 있으므로, 공기를 넣을 때 도 6의 형상을 갖는 튜브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4의 냉방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 냉방공간부; 에어컨 본체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하기 위해 펼쳤을 때, 바닥부와 측면부가 연결되어 있어서 냉방공간부의 측면과 하부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없고, 위쪽은 막혀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4의 냉방공간부는 공기밀폐부(공기가 통과할 수 없는 재질로 된 부분)으로만 구성된 것이며, 냉방공간부의 아래쪽과 측면으로 막혀 있어서, 냉방공간부 내부의 차가운 공기가 공기 밀폐부 내에 머무르도록 한다.
실시예 4의 냉방공간에도, 에어컨 본체와 통신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냉방공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에어컨 본체와 통신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냉방공간부 내부에 부착할 수도 있지만, 온도센서가 분실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방공간부측 단부 옆에 온도센서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온도센서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사용할 때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센서를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방공간부측 단부 옆에 부착해두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5이다.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방공간부측 단부 옆에 온도센서(130)가 부착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에어컨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컨 본체는 냉방공간부 내부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공기 배출부(110)는 일반적인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 외의 별도의 공기 배출부를 에어컨 본체에 설치하여 상기 에어컨 공기 배출부(110)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냉방 모드와 냉방공간부 냉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냉방 모드(실내 전체를 냉방하는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를 이용하여 냉방 공기를 배출하고, 냉방공간부 냉방 모드(냉방공간부만을 냉방하는 모드)에서는 별도의 공기 배출부에 배출공기 연결부를 연결한 후 냉방 공기를 배출하여 냉방공간부를 냉각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별도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를 만들면, 이 별도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는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를 착탈하기에 쉬운 구조로 만들 수 있으므로, 에어컨 공기 배출부와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의 착탈이 쉬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은 실내공간 전체를 냉방하고자 할 때에는 일반적인 에어컨처럼 사용하다가, 냉방공간부(200,400)만을 냉방하고자 할 때(예를 들어, 냉방공간부에서 사용자가 잠을 잘 때)에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배출하여,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
실시예 2의 냉방공간부(200)는 실시예 4의 냉방공간부(400)와 비교할 때, 위쪽이 밀폐되어 있으므로, 겨울에 난방용 실내 텐트로 사용하기에 더 유리한 장점이 있다.
실시예 4의 냉방공간부(400)도 위쪽이 어느 정도는 밀폐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6이다.
도 8은 도 5의 냉방장치에서 냉방공간부(400)의 상부에 냉방공간부의 출입문 형성부(450)을 형성한 것이다. 냉방공간부의 출입문 형성부(450)에 출입문을 형성하는 방법의 예로는 텐트의 출입문처럼 자크(지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것이다.
도 8의 냉방공간부는 도 5의 냉방공간부와 비교할 때, 출입문 형성부가 공기의 흐름을 어느 정도 차단하는 역할을 하므로, 냉방공간부 내부의 냉방된 공기를 더욱 더 효율적으로 보존한다.
그러나 냉방공간부의 출입문 형성부(450)를 통해서는 어느 정도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즉 냉방공간부의 측면부(410)과 냉방공간부의 바닥부(420)을 통해서는 공기가 통과할 수 없도록 하더라도 냉방공간부의 출입문 형성부(450)를 통해서는 어느 정도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실시예 2 내지 6의 냉방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 냉방공간부; 에어컨 본체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때,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하다.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기 위해 펼쳤을 때, 바닥부와 측면부로 형성된 공기 밀폐부로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없고, 출입문은 상기 공기 밀폐부보다 상부에 형성되거나 냉방공간부의 위쪽 방향에 형성되어 있어서, 출입문이 열렸을 때에도 공기 밀폐부 내의 냉기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공기 밀폐부 내의 차가운 공기는 다른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공기 밀폐부 내의 아래쪽에 위치하려는 성질이 있고, 공기 밀폐부의 아래쪽과 측면이 막혀 있다면, 냉방공간부의 출입문이 열리더라도 냉기가 유지되게 된다. 이것은 김치냉장고의 원리(상부개폐식으로 만들어 외부의 더운 공기가 들어가기 힘들게 만드는 원리)와 같다.
또한 에어컨 본체는 냉각뿐만 아니라 제습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
냉각공간부 내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냉각공간부 내에 습도센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컨 본체(100)는 실내(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이다.
상기 냉각공간부(200)를 에어컨 본체와 분리하면 일반 에어컨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각공간부(200)를 에어켄 본체와 분리했을 때, 보관하기 편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예로는 냉각공간부(200)를 텐트와 같은 구조로 만드는 것이다.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접어서 보관이 용이한 구조로 만들 수 있다.
냉각공간부(200) 내부의 사용자가 에어컨 본체의 제어명령(예를 들면, 냉각의 온/오프, 냉각온도 설정 등)을 내리기 위해, 냉각공간부 내에 제어명령 입력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제어명령 입력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에어컨 본체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현재 에어컨 본체에 제어명령을 전달하기 위해서 리모콘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 리모콘이 신호를 전달할 수 있기 위해서는, 리모콘과 에어컨 본체 사이에 불투명한 방해물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냉방공간부(200)의 일부분을 투명한 재질로 만들면, 사용자가 냉각공간부 내부에 있더라도 리모콘으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을 이용하여 냉방장치를 구현하였지만, 실내에 설치되는 냉장고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이나 약품 따위를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기 위한 상자 모양의 장치를 말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7이다.
도 9의 냉방장치는 냉장고(500), 냉방공간부(200), 배출공기 연결부(600)를 포함한다.
도 9의 냉장고(500)는 실내(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음식물 등을 넣어 낮은 온도로 보관할 수 있다.
배출공기 연결부(600)는 냉장고(5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200)의 내부로 전달한다.
냉방공간부(200)의 예로는 텐트가 있다. 텐트 외에도 플라스틱 몸체, 비닐 몸체 등과 같이 내부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격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냉방공간부가 될 수 있다.
배출공기 연결부(600)는 냉장고(500) 냉각공기 배출부(510)로부터 배출되는 냉각된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므로, 물호스 등과 같이 유체를 이동을 전달할 수 있는 관으로 만들 수 있다.
배출공기 연결부(600)는 냉장고(500)와 착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므로,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610)는 냉장고(500)와 착탈가능한 구조로 만든다.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610)는 냉장고(500)와 부착된 상태에서는,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510)를 통해 나오는 냉각된 공기가 배출공기 연결부(600)로 전달된 후, 냉방공간부(200)의 내부로 전달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에는 냉각공기 배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발명을 위해서는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510)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 10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조이다.
일반적인 냉장고에서 냉매는 압축기의 힘에 의해 압축될 때, 응축기에서 열을 방출한다. 그 후 모세관을 거친후 증발기에서 기화(증발)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므로, 그 주위의 온도를 낮춘다.
냉장고 내부에는 냉각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냉각된 공기를 배출하는 냉각공기 배출부(510)를 설치할 수 있으나, 도 11의 방법으로 냉각공기 배출부(51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1은 일반적인 냉장고에 냉각공기 배출부를 설치한 예이다.
도 11에서는 증발기 내부를 통과하는 관을 설치하고 관의 양 끝에는 공기 흡입부(520)와 냉각공기 배출부(510)을 설치한다.
만일 공기가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면, 외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부(520)로 들어온 후 증발기 내부에서 냉각된 후 냉각공기 배출부(510)으로 배출된다.
공기가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팬(fan)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는 냉각된 공기가 무거워지는 성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공기 흡입부(520)을 높은 곳에 두고 냉각공기 배출부(510)를 낮은 곳에 두면, 증발기 내에서 냉각된 공기가 밀도가 높아지므로 그 무게에 의해 냉각공기 배출부(510)로 배출될 수도 있다. 그러나 냉각공기 배출부(510)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능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팬(fan)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공기 배출부(510)를 통해 냉각된 공기가 많이 배출될수록 냉장고 뒷쪽으로 통해 더운 공기가 많이 배출된다. 그러나 이 더운 공기는 밀도가 낮아 위로 떠오르므로, 창문이나 환풍구로 쉽게 빠져나간다.
배출공기 연결부(600)의 냉방공간부측 연결단부는, 냉각공간부(200)의 착탈가능하게 만들 수도 있고, 분리불가능한 구조로 만들 수도 있다.
실시예 7의 냉방장치도 앞의 실시예에서 적용된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냉방공간부를 만들 때, 실시예 2의 냉방공간부처럼, 냉방공간부의 하부를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만들고 상부는 공기가 통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냉방공간부를 만들 때, 실시예 4의 냉방공간부처럼, 냉방공간부를 공기밀폐부(공기가 통과할 수 없는 재질로 된 부분)로만 만들며, 냉방공간부의 아래쪽과 측면으로 막혀 있어서, 냉방공간부 내부의 차가운 공기가 공기 밀폐부 내에 머무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냉방공간부를 실시예 6처럼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냉방공간부의 내부 또는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방공간부측 단부 옆에 온도센서(130)를 설치하고, 그 온도센서는 제어장치(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는 냉방공간부 내부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냉장고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고 냉장고의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하기 위해 펼쳤을 때, 바닥부와 측면부로 형성된 공기 밀폐부로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없고, 출입문은 상기 공기 밀폐부보다 상부에 형성되거나 냉방공간부의 위쪽 방향에 형성되어 있어서, 출입문이 열렸을 때에도 공기 밀폐부 내의 냉기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공기 밀폐부 내의 차가운 공기는 다른 공기보다 무거우므로 공기 밀폐부 내의 아래쪽에 위치하려는 성질이 있고, 공기 밀폐부의 아래쪽과 측면이 막혀 있다면, 냉방공간부의 출입문이 열리더라도 냉기가 유지되게 된다. 이것은 김치냉장고의 원리(상부개폐식으로 만들어 외부의 더운 공기가 들어가기 힘들게 만드는 원리)와 같다.
본 발명의 냉장고가 냉장고 용도로만 사용될 때에는,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510)와 냉장고의 공기 흡입부(520)가 냉장고의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510)와 냉장고의 공기 흡입부(520)를 보온 단열재로 잘 밀봉하여,증발기 내부의 찬 냉기가 냉장고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컨은 1년 중 한여름에만 이용하는데, 실시예 7의 냉장고는 한여름에는 냉장고와 냉방의 용도로 사용되고 한여름 외의 기간에는 냉장고의 용도로 사용되므로 효율적이다.
상기 냉방공간부에 차가운 공기를 공급하지 않으면, 상기 냉방공간부는 겨울철에 난방용 실내 텐트처럼 난방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냉방공간부를 이용하지 않을 때,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510)은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음의 실시예 8은 그러한 예이다.
실시예 8의 냉방장치는, 실시예 7의 냉방장치에 확장형 냉장고 박스가 더 포함되고, 상기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확장형 냉장고 박스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8에서 확장형 냉장고 박스가 사용되는 예 1이다.
도 12에서, 확장형 냉장고 박스(700)는 아이스 박스처럼, 두꺼운 단열재로 되어 있어, 내부의 냉기가 밖으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확장형 냉장고 박스의 덮개(750)을 열면, 확장형 냉장고 박스 내부를 보관할 음식물 등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확장형 냉장고 박스(700)의 일부분에는 확장형 냉장고 박스의 냉기 흡입부(720)가 형성되어 있어서, 냉장고측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기(차가운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배출공기 연결부(800)은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510)로부터 나오는 차가운 공기를 확장형 냉장고 박스(700)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810)는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510)로 결합될 수 있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확장형 냉장고 박스측 연결단부(820)는 확장형 냉장고 박스의 냉기 흡입부(720)에 결합될 수 있다.
냉장고에 저장공간이 부족한 경우, 확장형 냉장고 박스(700)에 음식을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경우 냉장고 문을 열면 그 냉기가 순식간에 빠져나가지만, 도 12의 확장형 냉장고 박스(700)는 그 덮개가 위쪽에 형성되어 있어서 덮개를 열더라도 그 냉기가 순식간에 빠져나가지 않고 조금만 빠져나간다. 따라서 냉장고에서 자주 꺼내먹는 찬 음료수 등을 확장형 냉장고 박스(700)에 저장하면 전기가 절약될 수 있다.
도 12의 배출공기 연결부(800)는 도 9의 배출공기 연결부(600)와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별개로 구비된 것일 수도 있다.
냉장고가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510)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냉장고의 공기 흡입부(52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야 한다. 이때 확장형 냉장고 박스 속의 공기를 흡입한다면, 이미 어느 정도 차가워진 공기를 흡입하게 되므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냉방장치의 실시예 8에서 확장형 냉장고 박스가 사용되는 예 2이다.
도 13이 도 12와 달라진 점은 흡입공기 연결부(900)을 더 포함하는 점이다.
도 13에서, 흡입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910)는 냉장고의 공기 흡입부(520)와 연결되고, 흡입공기 연결부의 확장형 냉장고 박스측 연결단부(920)는 확장형 냉장고 박스의 공기 배출부(730)과 연결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공기 흡입부(520)로는 확장형 냉장고 박스의 냉각된 공기가 유입되므로, 냉장고 외부의 더운 공기가 유입될 때보다 냉각 효율이 향상된다.
냉간공간부(200, 400)의 경우에도 흡입공기 연결부를 추가하여, 냉간공간부 내부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8에서 냉방공간부를 생략한 확장형 냉장고 시스템을 만들 수도 있다.
즉 실내에 설치되고 냉각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확장형 냉장고 박스; 상기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확장형 냉장고 박스의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확장형 냉장고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확장형 냉장고 시스템은 보통 때는 보통의 냉장고와 동일하게 사용하다가, 냉장고 내의 저장공간이 부족할 때, 배출공기 연결부를 냉장고와 확장형 냉장고 박스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확장형 냉장고 박스에도 냉장할 음식물 등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는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 확장형 냉장고 시스템은, 확장형 냉장고 박스 내부의 공기를 냉장고의 공기 흡입부로 전달해주는 흡입공기 연결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100: 에어컨 본체
110: 에어컨 공기 배출부
120: 에어컨 공기 흡입부
130: 온도센서
200: 냉방공간부
210: 냉방공간부 하부
220: 냉방공간부 상부
300: 배출공기 연결부
310: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
400: 냉방공간부
410: 냉방공간부의 측면부
420: 냉방공간부의 바닥부
450: 냉방공간부의 출입문 형성부
500: 냉장고
510: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
520: 냉장고의 공기 흡입부
600: 배출공기 연결부
610: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
700: 확장형 냉장고 박스
720: 확장형 냉장고 박스의 냉기 흡입부
730: 확장형 냉장고 박스의 공기 배출부
750: 확장형 냉장고 박스의 덮개
800: 배출공기 연결부
810: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
820: 배출공기 연결부의 확장형 냉장고 박스측 연결단부
900: 흡입공기 연결부
910: 흡입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
920: 흡입공기 연결부의 확장형 냉장고 박스측 연결단부

Claims (15)

  1.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
    냉방공간부;
    에어컨 본체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하기 위해 펼쳤을 때, 일정 높이 이하의 부분은 공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일정 높이 이상의 부분은 공기가 통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2.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
    냉방공간부;
    에어컨 본체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하기 위해 펼쳤을 때, 바닥부와 측면부가 연결되어 있어서 냉방공간부의 측면과 하부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없고, 위쪽은 막혀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3.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 본체;
    냉방공간부;
    에어컨 본체의 에어컨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에어컨 본체측 연결단부는 에어컨 본체의 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하기 위해 펼쳤을 때, 상기 냉방공간부의 아래쪽과 측면으로는 공기 밀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밀폐부로는 공기가 통과할 수 없어서, 냉방공간부 내부의 차가운 공기가 공기 밀폐부 내에 머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에어컨 본체 외부에 있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에어컨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에어컨 본체는 배출공기 연결부가 착탈될 수 있는 공기 배출부와 배출공기 연결부가 착탈되지 않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에어컨 본체가 실내 공간 전체를 냉방할 때는, 배출공기 연결부가 착탈되지 않는 공기배출부를 통해 에어컨 본체의 냉방 공기를 배출하고,
    에어컨 본체가 냉방공간부를 냉방할 때는 배출공기 연결부가 착탈될 수 있는 공기 배출부를 통해 에어컨 본체의 냉방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방공간부측 단부 옆에 온도센서가 부착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에어컨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8. 실내에 설치되고 냉각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냉방공간부;
    상기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냉방공간부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는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냉방공간부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냉방공간부의 아래쪽과 측면으로는 공기 밀폐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밀폐부로는 공기가 통과할 수 없어서, 냉방공간부 내부의 차가운 공기가 공기 밀폐부 내에 머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냉방공간부 내부에 있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장치는 상기 온도센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확장형 냉장고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확장형 냉장고 박스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확장형 냉장고 박스 내부의 공기를 냉장고의 공기 흡입부로 전달해주는 흡입공기 연결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14. 실내에 설치되고 냉각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확장형 냉장고 박스;
    상기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확장형 냉장고 박스의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공기 연결부;를 포함하고,
    배출공기 연결부의 냉장고측 연결단부는 냉장고의 냉각공기 배출부에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냉장고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확장형 냉장고 박스 내부의 공기를 냉장고의 공기 흡입부로 전달해주는 흡입공기 연결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냉장고 시스템.
KR1020180096422A 2018-08-19 2018-08-19 냉방장치 KR20200021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22A KR20200021039A (ko) 2018-08-19 2018-08-19 냉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22A KR20200021039A (ko) 2018-08-19 2018-08-19 냉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39A true KR20200021039A (ko) 2020-02-27

Family

ID=6964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422A KR20200021039A (ko) 2018-08-19 2018-08-19 냉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10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1762B1 (en) Air cooling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s with attic
CN107388691B (zh) 风冷冰箱、冷冻室加湿的控制方法及系统
CN205641752U (zh) 风冷冰箱
CA1108880A (en) Refrigeration system
WO2016082533A1 (zh) 风冷冰箱及其控制方法
CN106322883A (zh) 一种风冷冰箱及其控制方法
WO2016082534A1 (zh) 风冷冰箱及其控制方法
CN105806003A (zh) 风冷冰箱
CN103561977A (zh) 车辆用空调装置
CN109328669A (zh) 一种全能型粮仓低温恒湿调质机组
CN109595703A (zh) 一种多级冷源泳池热泵除湿机及其工作方法
GB2376291A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air conditioner
US20220228757A1 (en) Variable refrigerant flow (vrf) dehumidification system
CN209497955U (zh) 一种全能型粮仓低温恒湿调质机组
KR101518553B1 (ko) 전자동 시스템 냉풍기
KR20200021039A (ko) 냉방장치
CN106949592A (zh) 外部风量分配系统
KR20200035330A (ko) 냉방장치
KR20200015969A (ko) 냉방장치
CN211854298U (zh) 一种带除湿新风功能的vrv中央空调
KR20200041232A (ko) 냉방장치
CN106594874A (zh) 空气循环系统及空调
CN204460886U (zh) 风冷冰箱
JPS6135909Y2 (ko)
KR20200014149A (ko) 냉방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