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037A -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037A
KR20200021037A KR1020180096417A KR20180096417A KR20200021037A KR 20200021037 A KR20200021037 A KR 20200021037A KR 1020180096417 A KR1020180096417 A KR 1020180096417A KR 20180096417 A KR20180096417 A KR 20180096417A KR 20200021037 A KR20200021037 A KR 20200021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user
scheduling
patter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남구
Original Assignee
유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남구 filed Critical 유남구
Priority to KR1020180096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1037A/ko
Publication of KR2020002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0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09Sleep detection, i.e.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sleep or no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1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mell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tactile sense, e.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전날 특징있던 이벤트를 기반으로 다음날 스케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수면파형을 만들어주기 위하며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수면 보조 및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수면 발란스를 맞쳐줌과 동시에 다음날 스케줄에 따라 가장 필요로 하는 여러가지 요소를 추천해주는 추천시스템이다.
다양한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수면최적화를 유도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생활에 맞추어 수면 스케줄링과 생활스케줄링을 다양한 형태로 추천한다. 추천 시스템으로는 딥러닝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패턴 이미지 검색 및 자연어 처리 및 이미지 생성 시스템과 온라인 추천시스템,GAN을 이용한 최적화된 유사패턴 모형, 증강현실 시스템, 온라인 계약시스템, 맞춤형 동영상 유료 콘텐츠 판매 시스템과 같은 전산처리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관리하며 숙면을 넘어서 수면의 질에 따라 다음날 또는 장기적인 수면 스케줄링을 통한 생활 스케줄과 결핍 부분을 추천하여 최적의 스케줄을 만들어 컨디션을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사용한다.

Description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Scheduling Recommend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Sleep Assist Device}
본 발명은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전날 특징있던 이벤트를 기반으로 다음날 스케줄에 따라 가장 적합한 수면파형을 만들어주기 위하며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수면 보조 및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수면 발란스를 맞쳐줌과 동시에 다음날 스케줄에 따라 가장 필요로 하는 여러가지 요소를 추천해주는 추천시스템이다.
잠 또는 수면(睡眠, sleeping)은 무의식 상태에서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인간은 인생의 1/3을 잠자는 데 소비하게 된다.
이러한, 잠은 하루 생활의 긴장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와 피로를 없애줄 뿐만 아니라, 낮 동안에 활동하느라 사용한 에너지를 보충하는 시간이다.
한편, 우리 몸에서 뇌는 생명유지를 위한 모든 생물학적 기능을 총괄하는 곳으로, 뇌가 적절한 활동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휴식이 필요하며, 이러한 휴식은 대부분 수면 시간에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잠을 제대로 못자게 되면, 뇌는 생화학적, 전기적 균형을 잃고 다음날 생활에서 부딪치는 여러가지 자극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숙면을 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직장인들은 과중한 업무와 잦은 야근 등으로, 수험생들은 많은 학습량으로, 가정주부들은 많은 가사일 등으로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화물 자동차 운전자, 경찰관, 소방관, 간호사, 의사 등과 같이 특수근무형태의 근로자의 경우에는 수면부족 또는 불규칙한 수면 시간으로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발전하고 있는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 및 자연어 처리 및 이미지 생성 시스템과 온라인 추천시스템, 증강현실 시스템, 맞춤형 동영상 유료 콘텐츠 판매 시스템과 같은 전산처리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는 추세이며 숙면을 넘어서 수면의 질에 따라 다음날 또는 장기적인 수면 스케줄링을 통한 생활 스케줄과 결핍 부분을 추천하여 최적의 스케줄을 만들어 컨디션을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추천시스템에 관한 추세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수면 뇌파가 숙면에 적합한 뇌파 패턴에 근접되도록 인간의 다양한 감각에 자극을 주어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수면 보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과 동시에 스케줄을 기획하여 제공한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챗봇 및 스마트 스크린 스킨풋 기술을 활용하여 유용하게 접목시키며 서파, SWR파, 수면방추파 등의 뇌파와 호르몬 및 맥박, 혈류량, 광원, 바이노럴비트, 수면온도, 산소량, 골전도, 전류자극, 자기장자극, 라디오주파수 , 웨어러블을 수면안대, 수면팔찌, 수면 목걸이 등을 활용하여 수면을 스케줄링하고 동시에 사용자의 기록된 패턴과 스케줄을 분석하여 다음날 최적의 스케줄을 만들어 주는 시스템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보조 장치는, 사용자 신체의 적소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수면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와; 수면 시간별로 숙면을 취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기준 뇌파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수면 예상 시간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기상 시간에 의거하여 파악된 수면 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뇌파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읽어와 이를 상기 뇌파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수면 뇌파패턴과 비교하는 뇌파 비교부와;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기 위하여 머리를 넣고 누울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후각, 시각, 청각을 자극하고, 사용자의 머리에 진동을 전달하는 자극 생성부와; 상기 뇌파 비교부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이 상기 상기 기준 뇌파 패턴에 근접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자극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자극 생성부는, 아로마 향, 산소, 이산화탄소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후각을 자극하는 후각 자극부와; 빛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는 시각 자극부와;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는 청각 자극부와; 사용자의 머리에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청각 자극부는, 1/f 변동리듬, 바이놀 비트, 듀얼 바이놀 비트, 화이트 노이즈, 펄스 톤, 펄스 코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부는, 사용자의 관자놀이, 이마, 정수리 중에서 어느 한 곳에 진동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부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기 위해 누웠을 때, 사용자의 등, 엉덩이에 진동을 출력하는 뒷면진동부와, 사용자의 복부에 밴드 형식으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배, 가슴에 진동을 출력하는 앞면 진동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보조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기상 시간과 함께 장기활성, 두뇌활성, 호르몬활성 기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과정과; 자극 생성부를 구성하는 시각 자극부, 후각자극부, 청각 자극부, 진동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켜 수면을 유도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수면 뇌파를 측정하여 수면 예상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예측된 수면 예상 시간과 상기 기상 시간에 의거하여 수면 시간을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파악된 수면 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뇌파 패턴을 메모리부에서 읽어오고, 이를 뇌파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결과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이 상기 기준 뇌파 패턴을 벗어나 있으면,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이 상기 기준 뇌파 패턴에 근접되도록 상기 자극 생성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수면 리듬에 맞추어 진동부의 뒷면 진동부와 앞면 진동부를 구동시켜 장기에 공명을 유도시키는 과정을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수면을 체크하고 바람직한 수면뇌파를 인가하여 스트레스를 받은 사람이면 장기기억을 관장하는 해마의 SWR파의 비중을 줄이고 학습을많이 필요한 사람은 해마의 SWR파의 비중을 높이는 프로세스를 인공지능을 통하여 학습시키고 스트레스 지수와 신체활성도 지수 피로지수 영양지수에 따라 다음날이나 중장기적인 스케줄을 사용자가 가장 원하는 형태로 최적화 하도록 스케줄링을 잡아준다. 이러한 스케줄은 단지 뇌파와 신체적인 리듬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영양이 부족한 상태라면 수면전에 먹는것을 상상할수 있는 암시를 주는 소리와 학습에 대한 동기가 부족한 사람이라면 동기유발을 하는 암시를 주는 수면프로그램과 스케줄링에서는 실생활에 반영을 추천할수 있도록 스케줄에 포함할 수 있다.
추천 시스템으로는 딥러닝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패턴 이미지 검색 및 자연어 처리 및 이미지 생성 시스템과 온라인 추천시스템,GAN을 이용한 최적화된 유사패턴 모형, 증강현실 시스템, 온라인 계약시스템, 맞춤형 동영상 유료 콘텐츠 판매 시스템과 같은 전산처리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관리하며 숙면을 넘어서 수면의 질에 따라 다음날 또는 장기적인 수면 스케줄링을 통한 생활 스케줄과 결핍 부분을 추천하여 최적의 스케줄을 만들어 컨디션을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에 따르면, 인간의 다양한 감각을 자극하여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도와줄수 있으며, 이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수면 최적화를 유지하도록 다음날과 중장기 스케줄링과 이에따른 추천음식, 추천영상, 추천스케줄을 시스템적으로 추천할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복잡하고 바쁜 일상생활을 보다 알차고 효율적으로 메니저처럼 관리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의 장치 부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보조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
이러한 형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수면 최적화를 유지하도록 스케줄을 추천해주며 수면과 생활의 발란스를 맞춰주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수면 보조 장치, 110. 뇌파 측정부, 120. 메모리부,
130. 뇌파 비교부, 140. 자극 생성부, 141. 후각 자극부
143. 시각 자극부, 145. 청각 자극부, 147. 진동부,
150. 제어부, 1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70. 알람부,
180. 온도 제어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수면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수면은 여러 단계로 나눠지는 데, 안구가 빠르게 마구 움직이는 렘(REM: Rapid Eye Movement) 수면과 그렇지 않은 비렘(NREM: Non-Rapid Eye Movement) 수면으로 나뉜다.
급속안구운동이 일어나는 렘 수면은 꿈을 꾸면서 자는 수면으로, 심박동과 호흡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고, 비렘 수면은 다시 수면의 깊이에 따라 얕은 잠인 1단계부터 깊은 잠인 4단계로 분류된다.
수면은 1~2 단계에서부터 3~4단계를 거쳐 렘 수면으로 바뀌게 되며, 숙면을 취하는 경우, 이 과정이 하룻밤 사이에 3~5회 규칙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수면 뇌파가 숙면의 취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뇌파 패턴에 근접되도록 사용자의 다양한 감각에 자극을 주어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보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로, 뇌파 측정부(110), 메모리부(120), 뇌파 비교부(130), 자극 생성부(140), 제어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뇌파 측정부(110)는 사용자 신체의 적소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수면 뇌파를 측정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목에 차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머리에 전극을 부착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헤드셋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수면 시간별로 숙면을 취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뇌파 패턴(이하, '기준 뇌파 패턴'이라 칭함), 뇌파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 눈 운동, 명상, 학습 프로그램, 사용자의 수면중 뇌파기록 및 본 발명에 따른 수면 보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뇌파 비교부(130)는 수면 예상 시간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기상 시간에 의거하여 총 수면 시간을 파악한 후, 수면 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뇌파 패턴을 메모리부(120)에서 읽어와 이를 뇌파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과 비교한 후, 두 뇌파 패턴의 비교 결과 값을 제어부(150)로 인가한다.
자극 생성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이 기준 뇌파 패턴에 근접하도록 사용자의 후각, 시각, 청각을 자극하고, 사용자의 머리에 진동을 전달한다.
전술한, 자극 생성부(140)는 후각 자극부(141), 시각 자극부(143), 청각 자극부(145), 진동부(147)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후각 자극부(141)는 아로마 향(예를 들어, 라벤더, 로즈마리, 레몬, 유칼립투스 등), 산소, 이산화탄소 등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후각을 자극하여 수면을 유도한다.
전술한, 후각 자극부(141)는 사용자가 머리를 넣고 누웠을 때, 사용자의 코가 위치하는 부근에 설치되어, 아로마 향, 산소, 이산화탄소 등이 사용자의 코에 잘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시각 자극부(143)는 일정시간동안 주기적으로 빛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여 수면을 유도한다. 전술한, 시각 자극부(143)는 자연의 고유 리듬인 1/f 변동리듬을 이용하는 1/f 변동스펙트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시각 자극부(143)는 사용자가 머리를 넣고 누웠을 때, 사용자의 눈이 위치하는 부근에 설치되어, 빛이 사용자의 눈에 잘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각 자극부(143)는 LCD, LED 또는 영상기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눈 운동, 수면 전 학습, 수면 유도 프로그램(명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각 자극부(143)가 LCD 또는 LED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는 다양한 색상과 빛 밝기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시각 자극부(143)가 램프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느낌을 주는 초록이나 파랑 등의 다양한 색으로 빛을 출력할 수 있는 광원 램프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청각 자극부(145)는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것으로, 1/f 변동리듬, 바이놀 비트, 듀얼 바이놀 비트, 화이트 노이즈, 펄스 톤, 펄스 코드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한다.
전술한, 청각 자극부(145)는 사용자가 머리를 넣고 누웠을 때, 사용자의 귀가 위치하는 부근에 설치되어, 소리가 사용자의 귀에 잘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시각 자극부(143)와 청각 자극부(145)는 제어부(150)의 제어하에 동시에 구동되어 사용자의 시각과 청각을 함께 자극할 수 있게 되는 데, 이러한 경우, 청각 자극부(145)는 예를 들어, 바이놀 비트를 이용하여 주파수 차이가 나는 두 소리를 들려주어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하며, 시각 제어부(150)는 청각에 자극을 주는 두 신호의 주파수 차이만큼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빛을 점등하여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할 수 있다.
한편, 진동부(147)는 사용자의 머리에 진동을 출력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관자놀이, 이마, 정수리, 목 중에서 어느 한 곳에 진동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머리 부분에 진동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두뇌를 활성시키면서 숙면을 유도하게 된다.
전술한, 진동부(147)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기 위해 누웠을 때, 사용자의 등, 엉덩이에 진동을 출력하는 뒷면진동부와, 사용자의 복부에 밴드 형식으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배, 가슴에 진동을 출력하는 앞면 진동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뒷면 진동부와 앞면 진동부를 통해 사용자의 등, 엉덩이, 배, 가슴 등에 진동을 출력하게 되면, 사용자의 내부 장기가 흔들리면서 공명이 유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장기에 공명을 유도하여 장기를 활성시킴으로써, 장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진동부(147)는 골전도 진동자나, 스피커 진동판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자극 생성부(1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기 위하여 머리를 넣고 누울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개폐 형식으로 구현되어 기상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자극 생성부(140)는 사용자가 사용하던 베개를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자체에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장치가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뇌파 비교부(130)로부터 인가받은 사용자의 뇌파 패턴과 기준 뇌파 패턴의 비교 결과 값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이 기준 뇌파 패턴에 근접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자극 생성부(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뇌파 비교부(130)로부터 인가받은 두 뇌파 패턴의 비교 결과값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 뇌파패턴이 기준 뇌파 패턴을 벗어나 있으면,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자극 생성부(140)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이 기준 뇌파 패턴에 근접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기상 시간에 의거하여 알람부(170)를 제어하여 알람을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수면 스케쥴과 계획표를 입력받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중 뇌파 기록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두뇌활성, 장기활성, 호르몬활성, 신체활성, 숙면유도, 뇌세포보호 등과 같은 기능 선택부를 두어, 여러 기능들 중에서 사용자가 중점을 두고 싶어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얼굴 주변 온도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도이다.
우선, 수면 보조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기상 시간과 함께 장기활성, 두뇌활성, 호르몬활성 등의 선택 기능중에서 사용자가 중점을 두고 싶어하는 기능을 입력받는다(S10).
이후, 수면을 취하기 위해 수면 보조 장치(100)에 머리를 넣고 누운 사용자로부터 시작 명령을 입력받으면, 자극 생성부(140)의 시각 자극부(143), 후각 자극부(141), 청각 자극부(145), 진동부(147)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켜 빛, 향, 소리, 진동 등으로 사용자의 감각에 자극을 주어 사용자의 뇌를 동조시킴으로서, 수면을 유도한다(S12).
상기한 과정 S12를 통해 자극 생성부(140)를 구동시켜 수면을 유도함과 동시에 뇌파 측정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 뇌파를 측정하고(S14), 뇌파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수면 뇌파를 분석하여 제어부(150)가 수면 예상 시간을 예측하면(S16), 뇌파 비교부(130)는 예측된 수면 예상 시간과 상기한 과정 S10에서 입력받은 기상 시간에 의거하여 총 수면 시간을 파악한다(S18).
그리고, 상기한 과정 S18에서 파악된 수면 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뇌파 패턴을 메모리부(120)에서 읽어와, 메모리부(120)에서 읽어온 기준 뇌파 패턴과 뇌파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수면 뇌파를 비교한 후, 두 뇌파 패턴의 비교 결과 값을 제어부(150)로 인가한다(S20).
상기한 과정 S20을 통해 뇌파 비교부(130)로부터 두 뇌파 패턴의 비교 결과값을 인가받은 제어부(150)는 인가받은 두 뇌파 패턴의 비교 결과값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이 기준 뇌파 패턴을 벗어나 있으면, 사용자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자극 생성부(140)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이 기준 뇌파 패턴에 근접되도록 유도한다(S22, S24).
아울러, 수면 리듬에 맞추어 진동부(147)의 뒷면 진동부와 앞면 진동부를 구동시켜 사용자의 장기에 공명을 유도시킨다(S26).
이후, 기상 시간이 도래하게 되면(S28), 알람을 출력시켜 사용자를 깨운다(S30).
추천 시스템으로는 딥러닝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패턴 이미지 검색 및 자연어 처리 및 이미지 생성 시스템과 온라인 추천시스템,GAN을 이용한 최적화된 유사패턴 모형, 증강현실 시스템, 온라인 계약시스템, 맞춤형 동영상 유료 콘텐츠 판매 시스템과 같은 전산처리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관리하며 숙면을 넘어서 수면의 질에 따라 다음날 또는 장기적인 수면 스케줄링을 통한 생활 스케줄과 결핍 부분을 추천하여 최적의 스케줄을 만들어 컨디션을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3)

  1. 사용자가 스케줄을 입력하면 스케줄에 사용자의 스케줄에 따라 최적의 수면파형을 인가해주는 장치로서, 신체의 적소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수면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와;
    수면 시간별로 숙면을 취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기준 뇌파 패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수면 예상 시간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기상 시간에 의거하여 파악된 수면 시간에 대응하는 기준 뇌파 패턴을 상기 메모리부에서 읽어와 이를 상기 뇌파 측정부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과 비교하는 뇌파 비교부와;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기 위하여 머리를 넣고 누울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후각, 시각, 청각을 자극하고, 사용자의 머리에 진동을 전달하는 자극 생성부와;
    상기 뇌파 비교부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 뇌파 패턴이 상기 상기 기준 뇌파 패턴에 근접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상기 자극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
  2.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수면의 질과 패턴에 따라 다음날 또는 장기적인 수면 스케줄링을 통한 생활 스케줄과 생활 결핍 부분을 추천하여 수면은 근간으로 최적의 일과 스케줄을 만들어 컨디션을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
  3.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수면의 질과 패턴에 따라 다음날 또는 장기적인 수면 스케줄링을 통한 생활 스케줄과 생활 결핍 부분을 추천하여 수면은 근간으로 최적의 일과 스케줄을 만들어 컨디션을 유지 관리 할 수 있도록 해주며 특징적으로는 장기기억을 관장하는 서파, SWR파, 수면방추파를 중심으로 학습에 관한 장기기적을 최적화 시키는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
KR1020180096417A 2018-08-19 2018-08-19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 KR20200021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17A KR20200021037A (ko) 2018-08-19 2018-08-19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417A KR20200021037A (ko) 2018-08-19 2018-08-19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37A true KR20200021037A (ko) 2020-02-27

Family

ID=6964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417A KR20200021037A (ko) 2018-08-19 2018-08-19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10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823B1 (ko) * 2023-01-27 2024-02-2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압력신호 기반 수면단계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823B1 (ko) * 2023-01-27 2024-02-20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압력신호 기반 수면단계별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7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memory consolidation
KR102450362B1 (ko) 사용자 건강 분석을 위한 증강 현실 시스템들 및 방법들
Schore The seventh annual John Bowlby memorial lecture: Minds in the making: attachment, the self-organizing brain, and developmentally-oriented psychoanalytic psychotherapy
KR20120108491A (ko) 수면 보조 장치 및 방법
US77491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sleep architecture by sub-awakening non-intrusive stimulations
US2020021529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mitigating negative effects of therapies with transcutaneous vibration
RU2340365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ном и способы управления сном
US11420012B2 (en) Audio tone programmed hygienic and therapeutic sleep and wake eye mask having remotely controlled sunrise and sunset multimodes
EP3052174B1 (en) System for determining timing of sensory stimulation during sleep
US11000669B2 (en) Method of virtual reality system and implementing such method
US6102847A (en) Bio-feedback process and device for affecting the human psyche
KR20200031483A (ko)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 추천 시스템 및 장치
CN110325237A (zh) 用神经调制增强学习的系统和方法
CN105431192A (zh) 双声道睡眠诱导系统
KR20120108488A (ko) 수면 보조 장치 및 방법
Santos et al. An open sensing and acting platform for context-aware affective support in ambient intelligent educational settings
CN115607806A (zh) 一种基于脑电波信号的参数调节方法及相关设备
KR20200021037A (ko)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
KR20200021036A (ko) 수면 보조장치를 이용한 스케줄링 추천 시스템 및 장치
KR20200091261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수면 유도 방법
CA3204589A1 (en) Modeling-guided light therapy for adjusting circadian rhythm
JP2008194487A (ja) 睡眠治療装置及びその方法。
US20200306495A1 (en) Method and system to deliver timed and grouped sensory stimulation
CN116492564A (zh) 睡眠跟踪管理方法及系统、智能终端设备
CN116249486A (zh) 通过音乐和同步的节律性刺激进行神经刺激的方法和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