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904A - Bandage - Google Patents
Band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8904A KR20200018904A KR1020180094296A KR20180094296A KR20200018904A KR 20200018904 A KR20200018904 A KR 20200018904A KR 1020180094296 A KR1020180094296 A KR 1020180094296A KR 20180094296 A KR20180094296 A KR 20180094296A KR 20200018904 A KR20200018904 A KR 202000189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ting
- coating portion
- main body
- adhesive material
- banda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28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 A61F13/00004—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06—Wound bandages emergency bandages, e.g. for first 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9—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53—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 A61F2013/00561—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with adhesive connec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easy removing of the protection she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795—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 A61F2013/00817—Plasters special helping devices handles or handling ta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붕대에 관련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ique related to bandages.
붕대는 각종 상처에 대하여 이를 감아서 환부를 보호 및 고정하며, 나아가서 견인이나 압박을 가하여 그 치유를 촉진하는 의료보조용 재료로 각종 의료기관, 가정, 학교 등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Bandages are frequently used in various medical institutions, homes, schools, etc. as a medical aid material that wounds and wounds around various wounds to protect and fix the affected areas, and further, by applying traction or pressure to promote healing.
이때, 붕대는 그 용도에 따라 지지붕대, 고정붕대, 포박붕대, 압박붕대, 교정붕대, 권축붕대 등으로 나뉠 수 있으며, 환부의 지혈, 고정 등의 목적에 맞게 각각 적합한 붕대를 사용한다. In this case, the bandage may be divided into a support bandage, a fixed bandage, a foil bandage, a pressure bandage, an orthodontic bandage, a crimp bandage, and the like, and use bandages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hemostasis and fixation of the affected area, respectively.
이러한 붕대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6672호(출원일 : 2001. 01. 06., 등록일 : 2001. 03. 2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3849호(출원일 : 2005. 04. 14., 공개일 : 2005. 05. 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0691(출원일 : 2014. 07. 17., 공개일 : 2016. 01. 28.) 등에 제시된 바 있다. Such bandages ar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6672 (filed: 2001. 01. 06., registered: 2001. 03. 28.),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43849 (filed: 2005. 04 14., Publication Date: May 11, 2005),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10691 (Application Date: July 17, 2014, Publication Date: January 28, 2016)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붕대는 환부에 감싼 후 고정하기 위하여 반창고나 클립과 같은 별도 고정수단을 준비한 뒤 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이때, 고정수단이 미처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붕대를 환부에 감은 뒤 환부에 감긴 붕대 내측으로 넣어버리거나 묶어서 고정하게 된다. In the conventional bandage as described above, there was a hassle to prepare a separate fixing means such as a band-aid or a clip to fix it after wrapping the affected part. In this case, when the fixing means is not provided, the bandage is wound around the affected part and then put into the bandage wound on the wound part or bundled and fixed.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붕대를 환부에 감긴 붕대 내측으로 넣어버리거나 묶어서 고정하게 될 경우에는 붕대 감는 법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가 없는 사람은 환부에 붕대를 제대로 고정하기 어려우며, 붕대를 고정하는데 성공하더라도 환부를 감싼 붕대가 쉽게 느슨해지며 풀리게 될 수 있다.If the bandage is put inside the bandage wound around the wound without bandage or tied together to fix the bandage, a person who does not have a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how to wrap the bandage is difficult to properly fix the bandage on the wound and succeeds in fixing the bandage. Even so, the bandages around the affected area can easily loosen and loose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환부에 감싼 붕대의 고정이 용이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sy technique for fixing a bandage wrapped around an affected part even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붕대는 일면에 접착물질이 소정 영역 도포된 띠 형상의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접착물질이 도포된 제1 도포부분; 및 상기 제1 도포부분과 인접하여 위치하면서 상기 접착물질이 도포된 제2 도포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포부분 및 상기 제2 도포부분은 상기 본체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도포부분과 제2 도포부분이 맞닿아 점착되며, 상기 제1 도포부분과 제2 도포부분의 경계선을 권취 시작점으로 하여 롤 형태로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nd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is object is a band-shaped body is coated with a predetermined region on one surface; It includes, The main body, The first coating portion is coated with the adhesive material; And a second coating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oating part and coated with the adhesive material. The first co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s the first co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is abutted and adhered, the first coating portion and the secon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wound in the form of a roll using the boundary of the coated portion as a starting point for winding.
그리고, 상기 본체의 롤이 풀리면서 특정 부위에 감길 때는 상호 점착된 상기 제1 도포부분과 제2 도포부분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타면에 접하며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roll of the main body is unwinded and wound around a specific part, the first and second coated parts which are mutually adhered to each other are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unfolded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체의 일단에 상호 점착된 제1 도포부분과 제2 도포부분을 펼쳐 제1 도포부분과 제2 도포부분에 도포된 접착물질을 노출시킨 뒤 특정 부위에 감긴 본체 표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본체의 일단이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즉, 특정 부위에 붕대를 감은 후 마무리 고정을 위해 별도의 고정수단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접착물질이 도포된 본체의 일단을 펼쳐 본체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마무리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by unfolding the first co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mutually adher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to expose the adhesive material applied to the first co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and to contact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wound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main body One end can be attached and fixed. In other words, even after the bandage is wound around a specific site, even if a separate fixing means is not prepared for the final fixing, the finishing fixing may be performed by unfolding one end of the main body to which the adhesive material is applied and attaching it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둘째, 붕대의 사용법 및 고정법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가 없는 사람도 별도의 고정수단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를 특정 부위에 감은 뒤 본체의 일단을 특정 부위와 본체 사이 내측 공간으로 밀어 넣거나, 본체의 타단과 일단을 묶어서 고정하지 않더라도 접착물질이 도포된 본체의 일단을 펼쳐 본체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특정 부위를 감싼 본체가 쉽게 느슨해지지 않으면서 제대로 고정되도록 조치할 수 있다. Second, even those who do not have a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how to use the bandage and how to fix it, the body is wrapped around a certain part without a separate fixing means, and then one end of the body is pushed into the inner space between the specific part and the body, or Even if the other end and the one end are not tied together and fixed, the one end of the main body coated with the adhesive material can be extended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wrapping the specific part can be properly fixed without being easily loosened.
셋째, 붕대를 특정 부위에 감은 뒤 마무리 고정을 위하여 접착물질이 도포된 제1 도포부분과 제2 도포부분이 상호 맞닿아 점착되면서 접착물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에, 붕대를 사용하기 전 접착물질이 사용자가 의도한 부분이 아닌 곳에 부착되어 해당 붕대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물질 상면에 별도의 보호부재를 추가적으로 부착할 필요가 없다. 즉, 붕대 전체 구성이 간단해지면서도, 제품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Third, after the bandage is wound around a specific part, the first and second coating parts coated with the adhesive material are adhered to each other and adher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dhesive materia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using the bandage because it is attached to a part other than the one intended by the user, there is no need to additionally attach a protective memb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dhesive material. In other words, while simplify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ndage,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product can be minimized.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붕대가 환부에 감싸진 뒤 고정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1 shows a band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band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band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that the band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fter being wrapped around the affected part.
5 shows a banda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banda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 banda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 bandag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llustrates a bandag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shows a bandag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bandag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shows a bandage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ut already 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of description.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붕대가 환부에 감싸진 뒤 고정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1 to 3 show a banda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llustrates that the band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fter being wrapped around the affected part.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일면에 접착물질(P)이 소정 영역 도포된 띠 형상의 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110)는 양면으로 이루어지며, 환부에 감길 경우 환부에 접하는 일면과 그 반대에 위치한 타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 본체(110)의 일면과 타면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해칭을 부가하여 도시하였다. 1 to 4, the
그리고, 접착물질(P)은 양면테이프, 점착시트, 액상의 접착제 등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마련되어, 본체(110) 일면에 접착층을 형성한다. 이때, 접착물질(P)은 접착물질(P)간이 접하며 점착될 경우의 부착강도가 접착물질(P)이 붕대(100)의 표면에 접하며 접착될 경우의 부착강도보다 약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The adhesive material P is formed of an adhesive or an adhesive such as a double-sided tape, an adhesive sheet, a liquid adhesive, and forms an adhesive layer on one surface of the
이때, 접착물질(P)은 또 다른 접착물질(P)과 접하여 점착되어 있을 경우에 외력을 가하여 손쉽게 서로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나, 접착물질(P)이 붕대(100)의 표면에 접하여 접착될 경우에는 접착물질(P)간이 서로 점착되었을 때 이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가하는 외력보다 강한 외력을 가해야한다. 즉, 접착물질(P)이 도포된 붕대(100)는 환부에 붕대(100)를 감싼 뒤 붕대(100)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dhesive material (P)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when it is in contact with another adhesive material (P), but when the adhesive material (P)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본체(100)는 제1 도포부분(111), 제2 도포부분(112) 및 비 접착부분(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여기서, 제1 도포부분(111)은 접착물질(P)이 도포된다. 그리고, 제2 도포부분(112)은 제1 도포부분(111)과 인접하여 위치하면서 접착물질(P)이 도포된다. Here, the
이때,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은 본체(100)의 일단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2 도포부분(112)은 제1 도포부분(111)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은 본체(100)의 타단부터 환부에 감겨진 뒤 본체(100)의 표면에 접하며 부착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비 접착부분(113)은 제2 도포부분(112)과 인접하여 위치하되, 접착물질(P)이 도포되지 않고 환부에 감겨지는 부분이다. 즉, 본체(110)에는 타단부터 일단까지 상술한 각 부분이 비 접착부분(113), 제2 도포부분(112) 및 제1 도포부분(111)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너비는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 도포된 접착물질(P)이 비 접착부분(113)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접착물질(P)간만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여기서, 본체(110)는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맞닿아 점착되며,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경계선(BL)을 권취 시작점(WS)으로 하여 롤 형태로 감겨져있다. 이때, 본체(110)는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맞닿으면서 접히고, 제1 도포부분(111)의 타면이 비 접착부분(113)의 일면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본체(110)의 일단에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경계선(BL)이 위치하게 된다. Here, the
그리고, 본체(110)의 롤이 풀리면서 특정 부위에 감길 때는 상호 점착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펼쳐진 상태에서 본체(110)의 타면에 접하며 부착 고정된다.When the roll of the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접착물질(P)이 도포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일면이 상호 맞닿아 접혀 접착물질(P)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에, 붕대(100)의 사용 전 접착물질(P)이 비 접착부분(113)에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물질(P)이 도포된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의 상부에 별도의 보호부재를 추가 부착할 필요가 없다.At this time, in the
도3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권취 시작점(WS)에서부터 띠 형상의 본체(110)가 롤 형태로 감아져 있으며, 붕대(100)가 환부와 같은 특정 부위에 감길 때에는 본체(110)의 타단 먼저 특정 부위에 접촉시킨 뒤 본체(110)의 타단부터 일단까지 롤을 풀어가면서 감기게 된다.3 to 4, the
그리고, 본체(110)가 특정 부위에 모두 감아졌을 때, 본체(110)의 일단에 상호 점착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을 펼쳐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에 도포된 접착물질(P)을 본체(110) 표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본체(110)의 일단이 특정 부위에 감아진 본체(110)의 표면 즉, 본체(110)의 타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Then, when the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특정 부위에 붕대(100)를 감은 후 마무리 고정을 위해 별도의 고정수단을 준비하지 않더라도 본체(110)의 일단을 펼쳐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 도포된 접착물질(P)을 노출시킨 뒤, 이를 본체(110)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마무리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이에, 붕대(100)의 사용법 및 고정법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가 없는 사람도 별도의 고정수단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110)를 특정 부위에 감은 뒤 본체(110)의 일단을 특정 부위와 본체(110) 사이 내측으로 밀어 넣어버리거나, 본체(110)의 타단과 일단을 묶어서 고정하지 않더라도 특정 부위를 감싼 본체(110)가 쉽게 느슨해지지 않으면서 제대로 고정되도록 조치할 수 있다. Thus, even those who do not have a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how to use the
참고로, 롤 형태로 감긴 본체(110)의 타단에는 일면과 타면을 구분할 수 있는 표식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일면이 특정 부위와 접하며 감길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는, 본체(110)가 특정 부위에 감긴 뒤 일면에 접착물질(P)이 도포된 본체(110)의 일단이 본체(110)의 타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For reference, the other end of the
한편, 도5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5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붕대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앞서 기술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기술적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기술하였다.5 to 12 show bandag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t this time, in the description of the bandag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5 to 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nd described mainly on the differenc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일면에 접착물질(P)이 소정 영역 도포된 띠 형상의 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100)는 제1 도포부분(111), 제2 도포부분(112) 및 비 접착부분(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이때,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접착물질(P)이 도포되며,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각각 접착물질(P)이 도포되는 도포영역(A1)과 접착물질(P)이 도포되지 않은 비 도포영역(A2)이 존재한다.At this time, the adhesive material (P) is applied to the
여기서, 제1 도포부분(111)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 도포영역(A2)이 배치되고, 비 도포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접착물질(P)이 도포되는 도포영역(A1)이 배치된다.Here, at least one non-coating area A2 is disposed inside the
이때,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일면이 경계선(BL)을 기준으로 상호 맞닿아 점착될 때, 제1 도포부분(111)에 도포된 접착물질(P)이 제2 도포부분(112)의 비 도포영역(A2)에 접하여 접착되지 않도록 제2 도포부분(112)에는 제1 도포부분(111)에 배치된 도포영역(A1)과 비 도포영역(A2)이 경계선(B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대응되어 배치된다.At this time, when one surface of the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도포영역(A1)외에도 비 도포영역(A2)을 구비함에 따라 본체(110)의 롤이 풀리면서 특정 부위에 감긴 뒤 마무리 고정을 위하여 상호 점착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을 분리시킬 때,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모든 영역이 도포영역(A1)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상호 점착된 부착강도가 약화되어 보다 쉽게 접혀있는 본체(110) 일단부분을 펼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일면에 접착물질(P)이 소정 영역 도포된 띠 형상의 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100)는 제1 도포부분(111), 제2 도포부분(112) 및 비 접착부분(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이때,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접착물질(P)이 도포되며,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각각 접착물질(P)이 도포되는 도포영역(A1)과 접착물질(P)이 도포되지 않은 비 도포영역(A2)이 존재한다.At this time, the adhesive material (P) is applied to the
여기서, 제2 도포부분(112)과 비 도포부분(113)의 경계와 인접한 제2 도포부분(112)의 일 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 도포영역(A2)이 배치되고, 비 도포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접착물질(P)이 도포되는 도포영역(A1)이 배치된다.Here, at least one non-coating area A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그리고,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일면이 경계선(BL)을 기준으로 상호 맞닿아 점착될 때, 제2 도포부분(112)에 도포된 접착물질(P)이 제1 도포부분(111)의 비 도포영역(A2)에 접촉되지 않도록 제1 도포부분(111)의 도포영역(A1)과 비 도포영역(A2)은 제2 도포부분(111)과 경계선(B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대응되어 배치된다. Then, when one surface of the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제1 도포부분(111)의 비 도포영역(A2)은 본체(110)의 일단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상호 맞닿으며 점착되었을 때,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상호 맞닿은 비 도포영역(A2)은 비 도포부분(113)과 제2 도포부분(112)의 경계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non-coating region A2 of the
이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본체(110)의 롤이 풀리면서 특정 부위에 감긴 뒤 마무리 고정을 위하여 상호 점착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을 분리시킬 때, 제2 도포부분(112)과 비 도포부분(113)의 경계에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맞닿은 사이에 손가락을 넣되, 손가락을 비 도포영역(A2)에 위치시켜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분을 펼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또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도포영역(A1)외에도 비 도포영역(A2)을 구비함에 따라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모든 영역이 도포영역(A1)으로 형성된 것에 비해 상호 점착된 부착강도가 약화되어 적은 힘으로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분을 펼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제4 실시예>Fourth Example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일면에 접착물질(P)이 소정 영역 도포된 띠 형상의 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100)는 제1 도포부분(111), 제2 도포부분(112) 및 비 접착부분(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7, the
이때,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접착물질(P)이 도포되며,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각각 접착물질(P)이 도포되는 도포영역(A1)과 접착물질(P)이 도포되지 않은 비 도포영역(A2)이 존재한다.At this time, the adhesive material (P) is applied to the
여기서, 제1 도포부분(111)의 상단과 하단에는 비 도포영역(A2)이 배치되고, 비 도포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접착물질(P)이 도포된 도포영역(A1)이 배치된다. 이때, 제2 도포부분(112)의 도포영역(A1)과 비 도포영역(A2)은 제1 도포부분(111)과 경계선(B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대응되어 배치된다. 즉, 제2 도포부분(112)에서 비 도포영역(A2)은 제1 도포부분(111)에 상하 배치된 비 도포영역(A2)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제2 도포부분(112)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non-coating area A2 is dispos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이때, 본체(110)는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경계선(BL)인 권취 시작점(WS)로부터 롤 형태로 감길 경우에 일면에 도포된 접착물질(P) 중 일부가 롤 형태로 감긴 본체(110)의 상/하단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로 일부 유출된 접착물질(P)은 붕대(100)의 상단 및 하단에 끈적임을 유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러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상단 및 하단에 비 도포영역(A2)이 배치됨에 따라 접착물질(P)이 본체(110)의 상/하단을 통해 일부 유출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끈적임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in the
또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도포영역(A1)외에도 비 도포영역(A2)을 구비함에 따라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모든 영역이 도포영역(A1)으로 형성된 것에 비해 상호 점착된 부착강도가 약화되어 적은 힘으로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분을 펼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제5 실시예>Fifth Embodiment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일면에 접착물질(P)이 소정 영역 도포된 띠 형상의 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100)는 제1 도포부분(111), 제2 도포부분(112) 및 비 접착부분(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8, the
이때,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접착물질(P)이 도포되며,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각각 접착물질(P)이 도포되는 도포영역(A1)과 접착물질(P)이 도포되지 않은 비 도포영역(A2)이 존재한다.At this time, the adhesive material (P) is applied to the
여기서, 제2 도포부분(112)은 상/하단 및 비 도포부분(113)과 인접한 일 측에 비 도포영역(A2)이 배치되고, 비 도포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접착물질(P)이 도포된 도포영역(A1)이 배치된다. 이때, 제1 도포부분(111)의 도포영역(A1)과 비 도포영역(A2)은 제2 도포부분(111)과 경계선(B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대응되어 배치된다.Here, the non-coating area A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이때, 본체(110)는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경계선(BL)인 권취 시작점(WS)로부터 롤 형태로 감길 경우에 일면에 도포된 접착물질(P) 중 일부가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이루는 가장자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로 일부 유출된 접착물질(P)은 붕대(100) 외측에 끈적임을 유발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그러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으로 이루어진 접착부위의 가장자리를 따라 비 도포영역(A2)이 배치됨으로써, 접착물질(P)이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을 벗어나 일부 유출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끈적임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in the
또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도포영역(A1)외에도 비 도포영역(A2)을 구비함에 따라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모든 영역이 도포영역(A1)으로 형성된 것에 비해 상호 점착된 부착강도가 약화되어 적은 힘으로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분을 펼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그리고, 본체(110)의 롤이 풀리면서 특정 부위에 감긴 뒤 마무리 고정을 위하여 상호 점착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을 분리시킬 때, 제2 도포부분(112)과 비 도포부분(113)의 경계에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마닿은 사이로 손을 넣어 비 도포부분(113) 측에 위치한 제1 도포부분(111)의 비 도포영역(A2)을 손으로 잡아 보다 쉽게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분을 펼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oll of the
<제6 실시예>Sixth Embodiment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일면에 접착물질(P)이 소정 영역 도포된 띠 형상의 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100)는 제1 도포부분(111), 제2 도포부분(112) 및 비 접착부분(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9, the
이때,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접착물질(P)이 도포되며,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각각 접착물질(P)이 도포되는 도포영역(A1)과 접착물질(P)이 도포되지 않은 비 도포영역(A2)이 존재한다.At this time, the adhesive material (P) is applied to the
여기서, 제1 도포부분(111)은 가장자리에 비 도포영역(A2)이 배치되고, 비 도포영역(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중심영역에 접착물질(P)이 도포된 도포영역(A1)이 배치된다. 이때, 제2 도포부분(112)의 도포영역(A1)과 비 도포영역(A2)은 제1 도포부분(111)과 경계선(BL)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대응되어 배치된다.Here, in the
이때,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가장자리에 비 도포영역(A2)이 배치됨으로써, 접착물질(P)이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을 벗어나 일부 유출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붕대(100) 외측 끈적임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또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도포영역(A1)외에도 비 도포영역(A2)을 구비함에 따라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모든 영역이 도포영역(A1)으로 형성된 것에 비해 상호 점착된 부착강도가 약화되어 적은 힘으로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분을 펼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이때, 본체(110)의 롤이 풀리면서 특정 부위에 감긴 뒤 마무리 고정을 위하여 상호 점착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을 분리시킬 때, 제2 도포부분(112)과 비 도포부분(113)의 경계에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이 맞닿은 사이로 손을 넣어 비 도포부분(113) 측에 위치한 제1 도포부분(111)의 비 도포영역(A2)을 손으로 잡아 보다 쉽게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분을 펼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roll of the
<제7 실시예>Seventh Example
도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일면에 접착물질(P)이 소정 영역 도포된 띠 형상의 본체(1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100)는 제1 도포부분(111), 제2 도포부분(112) 및 비 접착부분(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0, the
여기서,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접착물질(P)이 도포된다. 그리고, 비 접착부분(113)은 제1 영역(113a)과 제2 영역(113b)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영역(113a)은 제2 도포부분(112)과 인접하여 위치하되, 접착물질(P)이 도포되지 않고 특정 부위에 감겨지는 영역이다.Here, the adhesive material P is applied to the
이때, 제2 영역(113a)은 제1 도포부분(111)과 인접하여 위치하되, 접착물질(P)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으로 본체(100)의 일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도포부분(111) 사이에 위치한다. 즉, 본체(110)에는 타단부터 일단까지 상술한 각 부분이 비 접착부분(113)의 제1 영역(113a), 제2 도포부분(112), 제1 도포부분(111) 및 비 접착부분(113)의 제2 영역(113b)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여기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너비는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 도포된 접착물질(P)이 비 접착부분(113)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접착물질(P)간만 상호 맞닿을 수 있도록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Here, the width of the
이때,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본체(110)의 롤이 풀리면서 특정 부위에 감긴 뒤 마무리 고정을 위하여 상호 점착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을 분리시킬 때, 비 도포부분(113)의 제1 영역(113a)의 일면에 위치한 비 도포부분(113)의 제2 영역(113b)을 손으로 잡아 보다 쉽게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분을 펼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제8 실시예><Eighth Embodiment>
도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일면에 접착물질(P)이 소정 영역 도포된 띠 형상의 본체(110) 및 손잡이(H)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100)는 제1 도포부분(111), 제2 도포부분(112) 및 비 접착부분(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1, the
여기서,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접착물질(P)이 도포된다. 이때, 본체(110)의 일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H)가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Here, the adhesive material P is applied to the
이때,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본체(110)의 롤이 풀리면서 특정 부위에 감긴 뒤 마무리 고정을 위하여 상호 점착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을 분리시킬 때, 비 도포부분(113)의 일면에 위치한 손잡이(H)를 손으로 잡아 보다 쉽게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분을 펼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제9 실시예><Example 9>
도1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일면에 접착물질(P)이 소정 영역 도포된 띠 형상의 본체(110) 및 필름(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체(100)는 제1 도포부분(111), 제2 도포부분(112) 및 비 접착부분(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1, the
여기서,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는 접착물질(P)이 도포된다. Here, the adhesive material P is applied to the
그리고, 필름(120)은 제1 도포부분(111) 또는 제2 도포부분(112)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접착물질(P)이 도포된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 중 어느 한 부분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필름(120)의 일면이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 중 어느 한 쪽에 부착되면 필름(120)의 타면은 제1 도포부분(111)의 일면이 제2 도포부분(112)의 일면 방향으로 접혀지면서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 중 다른 한 부분이 부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one surface of the
즉, 필름(120)의 양면에는 각각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일면이 부착되어 본체(110)의 롤이 풀리면서 특정 부위에 감길 때 마무리 고정을 위하여 필름(120)을 사이에 두고 일면이 마주보는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을 분리시킨 뒤 필름(120)을 제거함으로써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분을 펼칠 수 있다.That is, one surface of each of the
이때, 필름(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잡이(H)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를 펼친 뒤 손잡이(H)를 잡아 제1 도포부분(111) 또는 제2 도포부분(112)에 위치한 필름(120)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붕대(100)는 이를 사용하기 전 접착물질(P)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경계선(BL)을 기준으로 제1 도포부분(111)의 일면이 제2 도포부분(112)의 일면 방향으로 접히기에, 접착물질(P)이 도포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의 일면 모두를 커버하도록 필름(120)을 부착시키지 않고 제1 도포부분(111) 혹은 제2 도포부분(112)의 일면에만 부착시키더라도 접착물질(P)이 도포된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을 모두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Here, the
즉, 제1 도포부분(111)과 제2 도포부분(112) 사이에 접착물질(P)이 다른 부분에 묻지 않도록 필름(120)을 위치시킴으로써, 본체(110)를 특정 부위에 감은 뒤 마무리 고정을 위하여 접착물질(P) 간이 점착되어 접혀있는 본체(110)의 일단부분을 펼치는 것에 비해 적은 힘으로 해당 부분을 펼쳐 제1 도포부분(111) 및 제2 도포부분(112)에 도포된 접착물질(P)을 노출시킬 수 있다.That is, by placing the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described below.
100 : 붕대
110 : 본체
111 : 제1 도포부분
112 : 제2 도포부분
113 : 비 접착부분
113a : 제1 영역
113b : 제2 영역
P : 접착물질
A1: 도포 영역
A2 : 비 도포영역
120 : 필름
BL : 경계선
WS : 권취 시작점
H : 손잡이
100: bandage
110: body
111: first coating part
112: second coating portion
113: non-adhesive part
113a: first region
113b: the second region
P: adhesive material
A1: application area
A2: non-coating area
120: film
BL: Boundary Line
WS: winding start point
H: handle
Claims (2)
상기 본체는,
상기 접착물질이 도포된 제1 도포부분; 및
상기 제1 도포부분과 인접하여 위치하면서 상기 접착물질이 도포된 제2 도포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도포부분 및 상기 제2 도포부분은 상기 본체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도포부분과 제2 도포부분이 맞닿아 점착되며, 상기 제1 도포부분과 제2 도포부분의 경계선을 권취 시작점으로 하여 롤 형태로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
A strip-shaped body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is coated with an adhesive material on one surface thereof; Including,
The main body,
A first coating part coated with the adhesive material; And
A second coating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oating part and coated with the adhesive material; Including;
The first co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body,
The main body is bonded to the first co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abuts, it is wound in the form of a roll with a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coa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ating portion as a starting point
bandage.
상기 본체의 롤이 풀리면서 특정 부위에 감길 때는 상호 점착된 상기 제1 도포부분과 제2 도포부분이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타면에 접하며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붕대.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roll of the main body is unwound and wound around a specific part, the first and second coated parts that are mutually adhered to each other are in contact with and fix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n unfolded state.
banda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296A KR102154681B1 (en) | 2018-08-13 | 2018-08-13 | Band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296A KR102154681B1 (en) | 2018-08-13 | 2018-08-13 | Band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8904A true KR20200018904A (en) | 2020-02-21 |
KR102154681B1 KR102154681B1 (en) | 2020-09-10 |
Family
ID=6967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4296A KR102154681B1 (en) | 2018-08-13 | 2018-08-13 | Band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468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3172A (en) * | 2021-08-30 | 2023-03-08 |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Bandag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6024A (en) * | 1997-09-12 | 1999-04-06 | 안한섭 | Medical bandages and general bandages and medical bandages |
KR200367005Y1 (en) * | 2004-08-10 | 2004-11-06 | 김정민 | Itself aseptic fixed bandage |
JP2006527007A (en) * | 2003-06-10 | 2006-11-30 | ビーエスエヌ メディカル,インク. | Weft insertion stretchable elastic band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130006784A (en) * | 2011-06-23 | 2013-01-18 | 강성남 | The compression bandage where the character or color feeling adds |
KR101383836B1 (en) * | 2012-10-18 | 2014-04-21 | 임흥빈 | Medical bandage with fixing apparatus |
-
2018
- 2018-08-13 KR KR1020180094296A patent/KR10215468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6024A (en) * | 1997-09-12 | 1999-04-06 | 안한섭 | Medical bandages and general bandages and medical bandages |
JP2006527007A (en) * | 2003-06-10 | 2006-11-30 | ビーエスエヌ メディカル,インク. | Weft insertion stretchable elastic band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367005Y1 (en) * | 2004-08-10 | 2004-11-06 | 김정민 | Itself aseptic fixed bandage |
KR20130006784A (en) * | 2011-06-23 | 2013-01-18 | 강성남 | The compression bandage where the character or color feeling adds |
KR101383836B1 (en) * | 2012-10-18 | 2014-04-21 | 임흥빈 | Medical bandage with fixing apparatu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3172A (en) * | 2021-08-30 | 2023-03-08 |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 Band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4681B1 (en) | 2020-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636859B2 (en) | Wound dressing | |
RU2542091C2 (en) | Med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plaster | |
US6176850B1 (en) | Adhesive patterns for feminine articles | |
KR0159273B1 (en) | Folded adhesive film dressing | |
US6293281B1 (en) | Wound closure device | |
RU2010129801A (en) | DEVICE FOR SUSPENSING RAS | |
TW201026290A (en) | Conformable wound dressing | |
JPH07500751A (en) | Occlusive dressings and applicators | |
JPH0323063B2 (en) | ||
JP2008512191A (en) | Modular wound dressing system | |
JP2014509880A (en) | Elastic strip | |
EP1121679A1 (en) | Surgical dressing with delivery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 |
BR102016004991A2 (en) |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a body part | |
JP4823240B2 (en) | Bandage bond with support aid for application | |
US20120197173A1 (en) | Wound dressing package and applicator | |
KR20200018904A (en) | Bandage | |
KR200483881Y1 (en) | High transparency ultra thin band aid | |
JP2596722Y2 (en) | Sticking material | |
JP3183622U (en) | Auxiliary paper strip for peeling paper | |
JPH0738138U (en) | Patch material | |
KR102114748B1 (en) | Bandages | |
KR102555573B1 (en) | Bandage | |
JP2003153938A (en) | Adhesive sheet | |
JP3025502U (en) | First aid bandage | |
JP2603623Y2 (en) | Waterproof fingertip first aid band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