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573A - 대역폭 구성 방법 및 기기 - Google Patents

대역폭 구성 방법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573A
KR20200018573A KR1020207000326A KR20207000326A KR20200018573A KR 20200018573 A KR20200018573 A KR 20200018573A KR 1020207000326 A KR1020207000326 A KR 1020207000326A KR 20207000326 A KR20207000326 A KR 20207000326A KR 20200018573 A KR20200018573 A KR 20200018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drx
indication information
configuration
drx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999B1 (ko
Inventor
지 장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8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0Negotiating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대역폭 구성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의 대역폭 구성 방법은 단말 기기의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역폭 구성 방법 및 기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대역폭 구성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 기기의 소비 전력을 감소하기 위해,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에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전송 메커니즘을 인용하고, 데이터 전송이 없을 경우, 단말 기기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을 수신을 중지하는 것을 통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수 있음으로써, 배터리의 사용 시간을 향상시킨다. DRX의 기본 메커니즘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연결된(Connected) 형태인 단말 기기에 하나의 DRX 주기(Cycle)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DRX 주기는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및 수면 기간(Opportunity for DRX)으로 조성되고, 활성화 기간에서, 단말 기기는 PDCCH를 모니터 및 수신하고, 수면 기간 내에, 단말 기기는 PDCCH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소비 전력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활성화 기간에서, 단말 기기는 방사 주파수 대역폭 전체를 오픈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그러나 뉴 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가능하게 수백 MHz의 방사 주파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고, 단말 기기가 전송 데이터양이 비교적 적을 경우에 여전히 방사 주파수 대역폭 전체를 오픈하면, 불필요한 소비 전력의 소모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 기기의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피하기 위해, 대역폭 구성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본 출원은 단말 기기의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피하기 위하여, 대역폭 구성 방법 및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대역폭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의 대역폭 구성 방법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단말 기기가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따라,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게 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모든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에 모두 방사 주파수 대역폭 전체를 오픈해야 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피할 수 있다.
제1 측면을 결부하여, 제1 측면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DRX 주기 내에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양에 따라, 상기 동작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에 실제 서비스 변화에 따라,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단말 기기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 중 하나인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에서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사전에 대역폭 부분 인덱스 번호 및 대역폭 부분 구성의 대응 관계를 약정한다.
이로써, 네트워크 기기는, DRX 지시 정보를 통해 상이한 단말 기기가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을 사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음으로써, 상이한 단말 기기가 중복되는DRX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에 상이한 주파수에서 동작하게 하여, 시스템 대역폭내의 로딩 밸런스를 구현하고, 네트워크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제1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고; 또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각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제1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에 각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지시하기 위한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또한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1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DRX 주기의 시작 시점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DRX 주기에 포함되는 활성화 기간 내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대역폭 구성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의 대역폭 구성 방법에 따라,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에 의해 송신된,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따라,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모든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에 모두 방사 주파수 대역폭 전체를 오픈해야 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피할 수 있다.
제2 측면을 결부하여, 제2 측면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 중 하나인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에서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DRX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2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전,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인덱스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2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고; 또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각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제2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2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DRX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DRX 지시 정보 및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2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각 대역폭 부분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지시하기 위한 제3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2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또한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측면 및 상기 구현 형태를 결부하여, 제2 측면의 다른 하나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DRX 주기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DRX 주기에 포함된 활성화 기간 내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는,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상호 통신되고, 데이터 신호를 전송 및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프로세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되고, 데이터 신호를 전송 및/또는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말 기기로 하여금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8 측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9 측면에 있어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에 의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상기 명령어가 작동될 경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어느 한 대역폭 구성 방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제3 측면 또는 제5 측면의 네트워크 기기에서 작동될 수 있다.
제10 측면에 있어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에 의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상기 명령어가 작동될 경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 형태 중의 어느 한 대역폭 구성 방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제4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구성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부분의 분할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부분의 분할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구성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아래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컨대, 이동 통신 글로벌 (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시스템,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ET)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유니버설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5G 시스템 또는 뉴라디오(New Radio, NR)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 기기는,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휴대 전화(Mobile Telephone),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송수화기(handset) 및 휴대용 기기(portable equipment), 차량(vehicl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 기기는, 무선 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을 통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핵심망(core network)과 통신할 수 있고, 예컨대, 단말 기기는, 휴대 전화(또는 "셀룰러(cellular)"로 지칭됨),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하는 컴퓨터 등일 수 있으며, 단말 기기는 휴대형, 포켓(pocket)형, 핸드헬드형, 컴퓨터 내장형 또는 차량 탑재형 이동 장치일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서 언급된 네트워크 기기는, 무선 접속망에 속하고 단말 기기에게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은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이 사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기능을 구비하는 기기의 명칭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LTE 시스템에 있어서, 진화된 노드B(Evolved NodeB,eNB 또는 eNodeB)로 지칭되고, 3 세대(3rd Generation,3G) 네트워크에 있어서, 노드B(Node B)로 지칭된다.
도 1은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구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00)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110에 있어서,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S120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계 S110에서의 동작 대역폭은, 송신 대역폭 및 수신 대역폭을 포함한다.
또한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가 S110 단계에서의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DRX) 지시 정보에 따라 결정된 동작 대역폭(0 MHz 아님)은, 단말 기기가 DRX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의 디폴트 동작 대역폭이다. 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기기는, 또한 단말 기기가 주기 내에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양에 따라,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단말 기기가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양이 비교적 클 경우, 단말 기기가 빠른 전송을 구현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교적 넓은 동작 대역폭을 사용하도록 결정한다. 단말 기기기가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양이 비교적 작을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가 비교적 좁은 동작 대역폭을 사용하도록 결정함으로써, 단말 기기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킨다.
선택적으로, 단계 S110 에 있어서, DRX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직접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DRX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을 0 MHz로 지시할 수 있다.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동작 대역폭이 0 MHz인 경우, 단말 기기에 의해 다음의 DRX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에 전송되는 서비스가 없음을 나타내기에, 단말 기기는, DRX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에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또는, 선택적으로, 시스템 대역폭이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으로 분할되는 경우,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사전에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및 각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약정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방송 시그널링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및 각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단말 기기에 알려준다. S110 단계에서의 DRX 지시 정보는,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직접 지시하고, 단말 기기는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따라, 사용해야 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알수 있다. 예컨대, DRX 지시 정보는, 물리적 다운 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의 다운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에 반송되고, DRX 지시 정보는 K 개의 정보 비트를 포함하여, 2K 가지의 동작 대역폭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지시할 수 있으며, 2K 가지의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하며, K의 값은 대역폭 부분 구성의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또는,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제1 구성 정보는,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컨대, M 가지의 대역폭 부분 구성 및 M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가 있고, M 가지의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가 있다고 가정하면, 제1 구성 정보는, M 가지의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와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M 가지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일대일 대응 관계,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M 가지의 직교 시퀀스와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M 가지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일대일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M 가지의 순환 시프트와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M 가지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일대일 대응 관계 및 DRX 지시 정보가 복수 개의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의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에 의해 형성되면, 제1 구성 정보는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의 상이한 조합과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일대일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컨대, 각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의 DRX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가 두 가지인 경우(예컨대, 하나의 시간 주파수 자원에서 DRX 서브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지시 상태”1”로 표시하고, 상기 시간 주파수 자원에서 DRX 서브 지시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지시 상태”0”으로 표시함), N 개의 시간 주파수 자원 위치에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는 2N 개의 상이한 상태로 구성되고, 최대 2N 가지의 대역폭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지시하고, 즉 최대 2N 가지의 대역폭 구성을 지시한다. N의 값을 3으로 예로 들면, 각각 “000”, “001”, “010”, “011”, “100”, “101”, “110” 및 “111” 총 8 가지의 지시 상태로 구성되어, 8 가지의 대역폭 구성을 지시한다.
상응되게, 단말 기기는,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DRX 지시 정보의 시간 주파수 자원 및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결정한다. 또는, 단말 기기는,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사용된 직교 시퀀스 및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결정한다. 또는, 단말 기기는,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사용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 및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결정한다. 또는, 단말 기기는,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 및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결정한다.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결정한 후, 사용해야 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알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예시로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이러한 경우, 단말 기기는, 사용해야 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알면,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 부분의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알수 있고,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대역폭 부분의 개수에 따라,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으며,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에 따라,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단말 기기는, 사용해야 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알면, 사용할 수 있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알 수 있다. 또한 단말 기기는,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에 따라, 어디에서 또는 어떤 대역폭 부분에서 동작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 하나의 예시로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단말 기기가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 부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단말 기기는 사용해야 하는 대역폭 부분을 알면,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이 있고, 각각 대역폭 부분 0, 대역폭 부분 1, 대역폭 부분 2 및 대역폭 부분 3으로 분할되었다고 가정한다. DRX 지시 정보가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0으로 지시한 경우, 단말 기기는 대역폭 부분 0을 사용하도록 결정한다. DRX 지시 정보가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3으로 지시할 경우, 단말 기기는 대역폭 부분 0 또는 대역폭 부분 1을 사용하도록 결정한다.
Figure pct00001
선택적으로, 상기 4 개의 대역폭 부분은, 네트워크 기기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시스템 대역폭을 분할하여 얻은 것일 수 있고, 도 2의 4 개의 대역폭 부분은, 상이한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구비하고, 상이한 대역폭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4 개의 대역폭 부분은, 네트워크 기기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시스템 대역폭을 분할하여 얻은 것일 수 있고, 도 3의 대역폭 부분 0 및 대역폭 부분 1은, 시스템 대역폭에서의 고주파단에 있으며, 동일한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갖지만, 대역폭 크기가 다르고; 대역폭 부분 2 및 대역폭 부분 3은, 시스템 대역폭의 저주파단에 있고, 동일한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갖지만, 대역폭의 크기가 다르다.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대역폭 부분을 분할할 경우,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 기기는, 대역폭 부분 구성에 따라 어느 대역폭 부분에서 동작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예컨대, 도 3의 대역폭 부분 0의 대역폭이 10 MHz이고, 대역폭 부분 1의 대역폭이 20 MHz이며, 대역폭 부분 2의 대역폭이 15 MHz이고, 대역폭 부분 3의 대역폭이 30 MHz라고 가정하고,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가 20 MHz일 경우, 단말 기기는, 동작 대역폭이 20 MHz이고, 동작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는 대역폭 부분 1 의 중심 포인트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는, 사전에 대역폭 부분의 분할 방법을 약정하고, 네트워크 기기도 구성 정보를 통해, 단말 기기에 대역폭 부분의 분할 방법을 알려줄 수 있으며, 구성 정보는, 구체적으로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 포인트의 구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시스템 대역폭이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으로 분할된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상응되게, 단말 기기는,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DRX 지시 정보의 시간 주파수 자원 및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 부분을 직접 결정한다. 또는, 단말 기기는,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사용된 직교 시퀀스 및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 부분을 직접 결정한다. 또는, 단말 기기는,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사용되는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 및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 부분을 직접 결정한다. 또는, 단말 기기는,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 및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 부분을 직접 결정한다. 단말 기기는, 사용할 수 있는 대역폭 부분을 결정한 후, 사용할 수 있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알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L 개마다의 DRX 주기의 경우, L 은 1보다 큰 자연수이고,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 기기의 순간적인 서비스 상황에 따라,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결정한다. 예컨대, 단말 기기에 비교적 큰 다운 링크 서비스 패키지가 도착하면, 단말 기기의 서비스의 빠른 전송을 확보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기기는, DRX 지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기기가 비교적 많은 개수의 대역폭 부분 또는 하나의 비교적 큰 대역폭을 갖는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DRX 주기 내에의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에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한다. 반대인 경우, 단말 기기에 비교적 작은 다운 링크 서비스 패키지만 도착하면, 네트워크 기기는, DRX 지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기기가 비교적 적은 개수의 대역폭 부분 또는 하나의 비교적 작은 대역폭을 구비하는 대역폭 부분을 사용하여, DRX 기간(On duration) 내에 전송을 진행하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S120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DRX 주기의 시작 시점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또는, 상기 DRX 주기에 포함되는 활성화 기간 내의 앞쪽의 서브 프레임(예컨대,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단말 기기에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3을 결부하여, 네트워크 기기측으로부터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구성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아래 도 4를 결부하여, 단말 기기측으로부터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구성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단말 기기측의 관점으로부터 설명된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의 인터랙션과 네트워크 기기측의 설명은 동일하기에,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관련 묘사를 적당히 생략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구성 방법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200)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10에 있어서,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 S220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
본 출원 실시예의 대역폭 구성 방법에 따라,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따라,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모든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에 모두 방사 주파수 대역폭 전체를 오픈해야 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피할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 중의 하나인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에서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된다.
단계 S220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200)은,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S220전에, 상기 방법(200)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인덱스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고; 또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각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200)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S220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정보 및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200)은, 제3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각 대역폭 부분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또한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S210 단계는, 상기 DRX 주기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DRX 주기에 포함되는 활성화 기간 내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도 1 내지 도 4를 결부하여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대역폭 구성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아래는 도 5에 결부하여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네트워크 기기(10)는 아래와 같은 모듈을 포함한다.
처리 모듈(11)에 있어서,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송수신 모듈(12)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따라,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게 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모든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On Duration)내에 방사 주파수 대역폭 전체를 오픈해야 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피할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11)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DRX 주기 내에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양에 따라, 상기 동작 대역폭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 중 하나인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에서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된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모듈(12)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고; 또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각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모듈(12)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모듈(12)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또한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모듈(12)은, 구체적으로 상기 DRX 주기의 시작 시점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DRX 주기에 포함되는 활성화 기간 내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100)에 대응되는 흐름을 참조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기기 중의 각 유닛/모듈 및 상기 다른 조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방법(100) 중의 대응되는 흐름을 구현하기 위함이며, 간결함을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를 도시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20)는 아래와 같은 모듈을 포함한다.
송수신 모듈(21)에 있어서,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DRX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처리 모듈(22)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따라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모든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에 방사 주파수 대역폭 전체를 오픈해야 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 중의 하나인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에서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된다.
상기 처리 모듈(22)은, 구체적으로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모듈(21)은 또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처리 모듈(22)은, 또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인덱스 번호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고; 또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각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모듈(21)은, 또한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 모듈(22)은, 구체적으로 상기 DRX 지시 정보 및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모듈(21)은, 또한 제3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각 대역폭 부분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또한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모듈(21)은, 구체적으로 상기 DRX 주기의 시작 시점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DRX 주기에 포함된 활성화 기간 내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본 출원 실시예의 방법(200)에 대응되는 흐름을 참조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단말 기기 중의 각 유닛/모듈 및 상기 다른 조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방법(200) 중의 대응되는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함을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100)는, 프로세서(110) 및 트랜시버(12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10) 및 트랜시버(120)는 서로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기기(100)는 또한 메모리(130)를 더 포함하며, 메모리(130)와 프로세서(110)는 서로 연결된다. 프로세서(110), 메모리(130) 및 트랜시버(120)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0)는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트랜시버(120)는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 기기에,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를 결정하기 위한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기기로 하여금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따라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게 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모든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에 방사 주파수 대역폭 전체를 오픈해야 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100)는 본 출원 실시예에 대응되는 네트워크 기기(10)를 참조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기기 중의 각 유닛/모듈 및 상기 다른 조작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방법(100) 중의 대응되는 흐름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며, 간결성을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200)는, 프로세서(210) 및 트랜시버(22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210)와 트랜시버(220)는 서로 연결 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기기(200)는 메모리(230)를 더 포함하고, 메모리(230)와 프로세서(210)는 서로 연결된다.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및 트랜시버(220)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해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220)는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DRX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210)는 상기 DRX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DRX 지시 정보에 따라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함으로써, 단말 기기가 모든 DRX 주기 내의 활성화 기간(On Duration) 내에 방사 주파수 대역폭 전체를 오픈해야 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기기(200)는 본 출원 실시예에 대응되는 단말 기기(20)를 참조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단말 기기(200) 중의 각 유닛/모듈 및 상기 다른 작동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방법(200) 중의 대응되는 흐름을 구현하기 위함이며, 간결함을 위하여 여기서 더이상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가능하게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어, 신호의 처리 능력을 구비한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어로 완료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널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기기, 이산 소자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기기, 개별 하드웨어 구성 부재 등일 수 있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공개된 방법을 결부하여, 단계는,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반영되어 직접 수행 완료될 수 있고,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램(Read-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 및 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롬 또는 EEP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레지스터(Register) 등 본 분야의 공지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 프로세서에 위치하여 메모리 중의 정보를 액세스하고, 하드웨어와 결부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롬, 프로그래머블 롬(Programmable ROM,PROM), EP 롬(Erasable PROM,EPROM), EEP 롬 또는 플래시이피름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Cache)로 사용되는 램일수 있다. 예시적이지만 한정적이지 않은 설명을 통해, 수많은 형태의 RAM은 사용 가능하고, 예컨대 정적 램(Static RAM,SRAM), 동적 램(Dynamic RAM,DRAM), 에스디램(Synchronous DRAM,SDRAM), 2배속 SDRAM(Double Data Rate SDRAM,DDR SDRAM), 이에스디램(Enhanced SDRAM,ESDRAM), 에스엘디램(Synchlink DRAM,SLDRAM)과 디알램(Direct Rambus RAM,DR RAM) 등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 및 방법의 메모리는 이러한 메모리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에 의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상기 명령어가 작동될 경우, 상기 컴퓨터는 상기 방법 실시예의 대역폭 구성 방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기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에서 작동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공개된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예시를 결부하여,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형태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수행될지 여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응용 및 설계의 약정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본 기술분야의 전문적인 기술자라면 각 특정 응용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라면, 설명의 용이함 및 간결함을 위하여, 상기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은 전술된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수 있음을 명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여기서 더이상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해해야 할 것은, 이미 공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이상 설명된 장치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일 뿐이며, 예컨대, 상기 유닛의 분할은 다만 하나의 논리 기능의 분할이고, 실제 구현될 경우 다른 분할 형태가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복수 개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생략될수 있거나, 수행되지 않는다. 한 측면에 있어서, 표시되거나 또는 논의된 상호간의 연결 또는 직접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을 통한 간접적 연결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분리 컴포넌트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할된 것일 수 있거나 아닐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난 컴포넌트는 물리적 유닛일 수 있거나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으로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유닛의 단독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도 있으며,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사용될 경우,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면,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또는 기존 기술에 대해 기여를 한 부분 또는 상기 기술 방안의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반영되고, 상기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몇 개의 명령어를 포함하여 하나의 컴퓨터 기기(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모든 또는 부분 단계를 수행하게 한다. 전술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롬, 램,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다만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일 뿐이고,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임의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에서 공개된 기술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대체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기에,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이로써,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응당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34)

  1. 대역폭 구성 방법으로서,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지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가 불연속 수신(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DRX 주기 내에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양에 따라, 상기 동작 대역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 중 하나인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에서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고; 또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각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기기에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또한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DRX 주기 내의 시작 시점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DRX 주기에 포함된 활성화 기간 내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10. 대역폭 구성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DRX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 중 하나이며,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에서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되며;
    상기 DRX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인덱스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고; 또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각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DRX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DRX 지시 정보 및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3 구성 정보 - 각 대역폭 부분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또한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DRX 주기의 시작 시점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DRX 주기에 포함된 활성화 기간 내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역폭 구성 방법.
  18. 네트워크 기기로서,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 -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가 상기 DRX 주기 내에 전송해야 하는 데이터양에 따라, 상기 동작 대역폭을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 중 하나이며,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에서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고; 또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각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3.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4.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 기기에 제3 구성 정보에 송신하기 위한 것 -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또한,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6.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DRX 주기의 시작 시점에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DRX 주기에 포함되는 활성화 기간 내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단말 기기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7. 단말 기기로서,
    불연속 수신(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 - 상기 DRX 지시 정보는 상기 단말 기기가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 - ; 및
    상기 DRX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DRX 지시 정보는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 중 하나이며,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는 복수 개의 대역폭 부분 구성에서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대응되며;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제1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 -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상기 DRX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이고;
    상기 대역폭 부분 구성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전에,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지시 정보의 대역폭 부분 인덱스 번호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이한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 개수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하고; 또는,
    각 대역폭 부분 구성은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각 대역폭 부분 구성에 의해 지시된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크기 및 대역폭 부분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제2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 - 상기 제2 구성 정보는, 상기 DRX 지시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시간 주파수 자원과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직교 시퀀스에 의해 채택된 순환 시프트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및 상기 DRX 지시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DRX 서브 지시 정보의 지시 상태와 대역폭 부분의 대응 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이고;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DRX 지시 정보 및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DRX 주기 내에 사용되는 동작 대역폭 및 상기 동작 대역폭의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2.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또한,
    제3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 -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각 대역폭 부분 인덱스 번호에 대응되는 대역폭 부분 구성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 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성 정보는 또한 각 대역폭 부분의 대역폭 및 중심 주파수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34. 제2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DRX 주기의 시작 시점에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또는
    상기 DRX 주기에 포함된 활성화 기간 내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DRX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기기.
KR1020207000326A 2017-06-09 2017-06-09 대역폭 구성 방법 및 기기 KR102398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7708 WO2018223369A1 (zh) 2017-06-09 2017-06-09 配置带宽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573A true KR20200018573A (ko) 2020-02-19
KR102398999B1 KR102398999B1 (ko) 2022-05-16

Family

ID=6456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326A KR102398999B1 (ko) 2017-06-09 2017-06-09 대역폭 구성 방법 및 기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11290919B2 (ko)
EP (2) EP4080933A1 (ko)
JP (2) JP7122330B6 (ko)
KR (1) KR102398999B1 (ko)
CN (2) CN110710256B (ko)
AU (1) AU2017417291B2 (ko)
BR (1) BR112019025560A2 (ko)
CA (1) CA3066210C (ko)
ES (1) ES2926500T3 (ko)
IL (1) IL271063B2 (ko)
MX (1) MX2019014742A (ko)
PH (1) PH12019502749A1 (ko)
PL (1) PL3627886T3 (ko)
PT (1) PT3627886T (ko)
RU (1) RU2731679C1 (ko)
SG (1) SG11201911696VA (ko)
TW (1) TWI754062B (ko)
WO (1) WO2018223369A1 (ko)
ZA (1) ZA2019083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0933A1 (en) * 2017-06-09 2022-10-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443452B1 (ko) * 2017-07-17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3442148A1 (en) 2017-08-11 2019-02-1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ndwidth part adaptation in downlink communications
CN110839248B (zh) * 2018-08-17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配置方法及设备
CN113972965B (zh) * 2020-07-24 2023-08-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业务的处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US11895635B2 (en) 2021-06-09 2024-02-0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spectrum allocation in wireless networks
CN115379578A (zh) * 2022-08-24 2022-11-2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带宽分配方法、装置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4583A1 (en) * 2008-05-16 2011-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83652A1 (de) * 2001-08-07 2003-0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Sende-/Empfangseinheit und Kommunikationssystem zur Übertragung von Daten von einem Versender an mehrere Empfänger
DE10235470B4 (de) * 2002-08-02 2005-10-06 Siemens Ag Verfahren, Teilnehmergerät sowie Funkkommunikationssystem zum Übertragen von Nutzdatennachrichten
CN101421997B (zh) 2006-04-11 2012-05-0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断续接收分组的方法和设备
US8249004B2 (en) * 2008-03-14 2012-08-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ordinated uplink transmission in LTE DRX operations for a wireless transmit receive unit
CN101686534A (zh) 2008-09-23 2010-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选择下行主载波进行数据传输的方法、终端及系统
KR101330870B1 (ko) 2008-11-21 2013-11-1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10002281A1 (en) 2008-12-30 2011-01-0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iscontinuous reception for carrier aggregation
GB2469800A (en) 2009-04-27 2010-11-03 Nec Corp Communications system
PL3419364T3 (pl) 2009-06-15 2021-08-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oda nieciągłej operacji odbioru dla długotrwałego rozwoju zaawansowanych agregacji nośnych
EP2293486A1 (en) * 2009-09-03 2011-03-09 Panasonic Corporation Feedback scheme for providing feedback on plural transmissions
CN102271318B (zh) 2010-06-01 2015-05-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信道drx参数的配置方法和装置
EP3806368B1 (en) * 2010-06-16 2022-03-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device therefor
KR101857658B1 (ko) * 2010-09-15 201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32771B1 (ko) * 2010-09-15 201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SG188498A1 (en) * 2010-09-16 2013-05-31 Panasonic Corp Terminal device and retransmission control method
WO2012081920A2 (ko) * 2010-12-15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전송 방법 및 장치
EP2595425A1 (en) 2011-11-18 2013-05-22 Panasonic Corporation Active bandwidth indicator for power-saving UEs
US9247563B2 (en) * 2011-12-23 2016-01-26 Blackberry Limited Method implemented in a user equipment
KR101868865B1 (ko) 2012-03-19 2018-06-19 주식회사 골드피크이노베이션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내 공존 간섭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3686866A (zh) * 2012-09-26 2014-03-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资源调整方法及装置
JPWO2015025813A1 (ja) * 2013-08-20 2017-03-02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方法、無線端末及び無線基地局
US9356744B2 (en) 2014-02-06 2016-05-31 Mediatek Inc. Method for deactivated secondary cell measurement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WO2015119448A1 (en) * 2014-02-07 2015-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
US9503918B2 (en) * 2014-03-20 2016-11-22 Intel IP Corporation ENODEB and UE for dynamic cell on and off
KR20170003597A (ko) 2014-04-29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전송기회구간에 대한 채널상태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20180076924A1 (en) 2015-04-08 2018-03-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device of multi-subband based transmission for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with reduced capability and coverage enhancement
EP3281479B1 (en) * 2015-04-09 2019-10-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pdcch monitoring in a carrier aggregation with at least one scell operating in an unlicensed spectrum and a device therefor
ES2751001T3 (es) 2015-08-12 2020-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dimiento y aparato de gestión de la información del sistema almacenada usando un temporizador de validez cuando se aplica el modo de recepción discontinua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móviles
WO2017034238A1 (ko) 2015-08-21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30024A (ko) 2015-09-08 2017-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협대역 단말을 위한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9644084B (zh) * 2016-04-20 2021-10-26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新无线电中的物理信道
US11290245B2 (en) 2016-11-02 2022-03-29 Idac Holdings, Inc. Receiver bandwidth adaptation
EP4300868A3 (en) 2017-05-05 2024-04-03 Apple Inc. Bandwidth part configuration and operation for new radio (nr) wideband user equipment (ue)
EP4080933A1 (en) * 2017-06-09 2022-10-2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Bandwidth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4583A1 (en) * 2008-05-16 2011-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mobile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772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01675A (ja) 2022-07-06
WO2018223369A1 (zh) 2018-12-13
JP7122330B6 (ja) 2022-10-03
TWI754062B (zh) 2022-02-01
PL3627886T3 (pl) 2022-10-03
US11832131B2 (en) 2023-11-28
EP3627886B1 (en) 2022-08-03
IL271063A (en) 2020-01-30
EP4080933A1 (en) 2022-10-26
PH12019502749A1 (en) 2020-10-26
CA3066210A1 (en) 2018-12-13
RU2731679C1 (ru) 2020-09-07
ES2926500T3 (es) 2022-10-26
ZA201908365B (en) 2022-07-27
IL271063B (en) 2022-12-01
EP3627886A1 (en) 2020-03-25
US20200145882A1 (en) 2020-05-07
CN110710256A (zh) 2020-01-17
BR112019025560A2 (pt) 2020-06-16
JP2020529750A (ja) 2020-10-08
IL271063B2 (en) 2023-04-01
MX2019014742A (es) 2020-02-07
AU2017417291A1 (en) 2020-01-16
US20220174550A1 (en) 2022-06-02
AU2017417291B2 (en) 2022-08-11
SG11201911696VA (en) 2020-01-30
KR102398999B1 (ko) 2022-05-16
US11290919B2 (en) 2022-03-29
CN115942442A (zh) 2023-04-07
JP7122330B2 (ja) 2022-08-19
EP3627886A4 (en) 2020-05-20
CA3066210C (en) 2023-03-07
CN110710256B (zh) 2022-12-06
PT3627886T (pt) 2022-09-02
TW201904318A (zh)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8999B1 (ko) 대역폭 구성 방법 및 기기
AU201743142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20190127769A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US11419111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462432B1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EP3554188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communication parameter
KR20190099007A (ko)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US117855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detection range of control channel in multi-beam system
CN112311511A (zh) 数据传输方法和装置
KR102313704B1 (ko) 불연속 수신을 위한 방법과 장치
CN110622602B (zh) 用于数据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