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169A - Device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driven by gear from wind energy comprising parallel multiful generator and driven in the air by balloon - Google Patents

Device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driven by gear from wind energy comprising parallel multiful generator and driven in the air by ballo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169A
KR20200018169A KR1020180094089A KR20180094089A KR20200018169A KR 20200018169 A KR20200018169 A KR 20200018169A KR 1020180094089 A KR1020180094089 A KR 1020180094089A KR 20180094089 A KR20180094089 A KR 20180094089A KR 20200018169 A KR20200018169 A KR 20200018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driven
ballo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0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브릿지
Priority to KR102018009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8169A/en
Publication of KR20200018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1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5/00Othe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B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ar type wind power generator having multiple generators formed in a parallel structure and operated in air by a balloon. More specifically, the gear type wind power generator includes: a balloon installed to fly in the air; a support unit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balloon; a shaft extended downwards and formed at a right angle to the support unit, wherein a first end of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to rotate; a blade connected to the shaft i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unit and rotating by wind; a driving gear connected to the shaft and rotating as the shaft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blade, wherein the driving gear is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haft; a driven gear linked to the driving gear; and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and generating electricity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At least two driven gears are connected to the driving gear.

Description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Device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driven by gear from wind energy comprising parallel multiful generator and driven in the air by balloon}Device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driven by gear from wind energy comprising parallel multiful generator and driven in the air by balloon}

본 발명은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turbine generator of a gear type in which air is driven by a balloon and a plurality of generators form a parallel structure.

풍력발전은 신재생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하여 비교적 최근에 고안된 발전장치로서, 기존의 석탄화력발전을 대체하기 위한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Wind power generation is a relatively recent power generation device designed to produce renewable energy, and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n alternative to replacing existing coal-fired power generation.

풍력 발전기는 날개, 변속장치, 발전기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날개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풍력 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변속장치는 날개에서 발생한 회전력이 중심 회전축을 통해서 변속기어에 전달되어 발전기에서 요구되는 회전수로 높여서 발전기를 회전시킨다. 발전기는 날개에서 발생한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이다.A wind generator consists of three parts: a wing, a transmission, and a generator. The wing is a device that is rotated by the wind and converts wind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The transmission rotates the generator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wing to the transmission gear through the central rotation shaft and increasing it to the number of revolutions required by the generator. A generator is a device that converts mechanical energy generated by the wing into electrical energy.

풍력 발전기는 날개의 회전축의 방향에 따라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직축 풍차와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평축 풍차로 구분된다. 수평축 풍차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하기 편리하나 바람의 방향에 영향을 받는다. 수직축 풍차는 바람의 방향에 관계가 없어 사막이나 평원에 많이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지만 그 소재가 비싸고 수평축 풍차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Wind power generators are divided into a vertical axis windmill with a rotation ax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 horizontal axis windmill with a rotation axis install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wing. The horizontal axis windmill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install, but is affected by the wind direction. The vertical axis windmill can be installed and used in a desert or plain because it is irrelevant to the wind direction, but the material is expensive and the efficiency is inferior to the horizontal axis windmill.

이와 같은 풍력 발전기는 수직기둥을 통상 해상이나 육상에 직립하도록 세우고 상단에 블레이드를 설치하는 형태를 갖는다. Such a wind generator has a form in which a vertical column is usually erected upright on the sea or on land, and a blade is installed on the top.

그러나,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높이면에서 한계가 있어 공중의 풍부한 바람을 충분히 활용하기 용이하지 않으며, 육상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소음이 심하여 인근의 거주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해상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해상 기상조건에 대한 면밀한 대처가 필요하다. However, these wind power generators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height, so they are not easy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abundant wind in the air, and when installed on l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ighboring living environment is poor when installed on land, and when installed at sea, Closer handling of weather conditions is necessary.

이를 위하여 공중에 부양하는 풍력발전장치가 고안된 바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95910호에서는 풍선형 풍력발전을 개시하고 있다. To this end, a wind power generator supporting the air has been devised.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No. 1395910 discloses a balloon-type wind power generator.

위 발명은 부양력을 이용하여 공중에 설치되어 풍력 발전을 수행하고,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발전기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프로펠러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으로 인한 풍력 발전기의 요잉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발전을 제공하는 풍선형 풍력 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밀폐된 공간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수납하여 부양력을 제공하는 부양체; 상기 부양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바람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통로부; 및 상기 통로부에 일렬로 설치되고, 발전장치 내부의 회전자와 프로펠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전부는 상기 통로부를 통과하는 바람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발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복수의 발전기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프로펠러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으로 인한 풍력 발전기의 요잉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발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bove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air by using the buoyancy to perform wind power generation, and a plurality of generators installed therein to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to prevent the yawing of the wind generator caused by the wind discharged from the propeller to provide a stable power gener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lloon-type wind power generator. To this end, a buoyant body for providing a flotation force by storing a gas lighter than air in a closed space; A passage part which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upport body and provides a movement path of the wind; And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units installed in a line in the passage unit and having a rotor and a propeller integrated therein, wherein the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units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wind passing through the passage unit to perform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refore, the plurality of generators are rotated in different directions to prevent the yawing of the wind generator due to the wind discharged from the propeller has the advantage that can provide a stable power generation.

그러나, 복수개의 프로펠러와 이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발전부를 구비하여야 하여 규모가 커지며, 특히, 1개의 프로펠러에 1개의 발전부가 대응되므로 발전효율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다양한 풍향에 대하여 프로펠러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다.However, the scale is increased by having a plurality of propellers and a plurality of power generation units corresponding thereto, and in particular, since one power generation unit corresponds to one propeller,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s not high.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method for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propeller drive for various wind direction.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95910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139591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단일의 주동기어에 복수의 종동기어 및 제너레이터가 병렬로 연결되므로 단일의 프로펠러와 메인 샤프트로써도 보다 많은 전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driven gear and the generator is connected in parallel to a single main gear in the balloon to produce more current even with a single propeller and main shaft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gear-type wind power generator is driven in the air by a plurality of generators in a parallel structure.

또한, 제너레이터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종동기어가 하나의 주동기어와 병렬연결됨으로써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따라서 발전장치의 전체적인 규모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driven gears,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generators,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single main gear, thereby saving installation space, and thus, being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for miniaturizing the overall size of th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generating a plurality of generator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gear-type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parallel structure.

또한, 방향이 일정치 않은 공중 바람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샤프트가 최대한 중력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완충부가 포함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despite the influence of air winds in which the direction is not constant, the gear-driven wind power generator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including a buffer to ensure that the shaft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s much as possible, and a plurality of generators in parallel To do it for another purpose.

또한, 샤프트를 최대한 중력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 및 기어의 회전상태를 가급적 일정하게 하고, 따라서 전기의 생산효율을 균일하면서도 극대화하도록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shaf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s much as possible, the rotation state of the shaft and the gear is as constant as possible, so that the gear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to uniformly maximiz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electricity, a plurality of generators in parallel structure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wind turbine of the type.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중부상을 위해서 마련된 벌룬; 상기 벌룬의 하부에 연결되는 지지부; 제1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와 직교를 이루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지지부 하부에서 샤프트에 결합되고, 바람에 따라서 회전하는 블레이드; 상기 샤프트의 제2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서 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와 연동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서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종동기어는 적어도 2개가 상기 주동기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alloon provided for the aerial injury; A support part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lloon; A shaft rotatably coupled to a first end of the first end and extending downward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A blade coupled to the shaft below the support and rotating in accordance with wind; A main gear coupled to the second end of the shaft and connected to the shaft and rotated as the shaf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ade; A driven gear interlocked with the main gear; And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and generating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wherein the driven gear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wherein at least two of the driven gears are connected to the main gear. It provides a gear-type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plurality of generators in a parallel structure.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는 베벨기어이며, 상기 종동기어에는 제너레이터가 샤프트로부터 방사상 멀어지는 방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gear and the driven gear is a bevel gear, the generator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direction radially away from the shaft.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는 각각 평기어이며, 상기 종동기어에는 제너레이터가 샤프트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gear and the driven gear are each a spur gear, the generator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샤프트 사이에 결합되는 완충부;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buffer unit coupl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the shaft;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상기 샤프트는, 그 상단부가 상기 지지부 내에 매립되되, 상기 지지부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에 마련된 매립홈의 내면과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 사이에 구체 형태의 베어링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haft further includes a bearing having a spherical shape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buried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portion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shaft in order to allow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haft to be embedded in the support portion.

상기 상단부는 구체 형태이며, 상기 지지부 내부의 매립홈은 상기 구체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체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end is a spherical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buried groove i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spherical shape.

상기 샤프트가 상기 완충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연장되되, 상기 샤프트와 상기 완충부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haft extends through the buffer part vertically,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haft and the buffer part.

상기 완충부는, 상기 샤프트에 직교를 이루면서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플레이트;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사방으로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플레이트 전체와 상기 샤프트의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간격을 이루면서 고정되는 복수의 탄성수단; 및 상기 탄성수단과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표면에 면접하는 유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ffer unit is coupled to form a perpendicular to the shaft and rotates with the shaft; A hous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surrounding the plate and a portion of the shaft while being spaced in all directions with the plate; A plurality of elastic mean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t intervals; And flow means coupled to the elastic means and fluidly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plate.

상기 탄성수단 및 유동수단은 상기 플레이트 중 적어도 상기 지지부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means and the flow means is preferably formed on a surface facing at least the support of the plate.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 또는 엔진 마운팅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means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the spring or engine mounting.

상기 제너레이터로부터 지상의 축전장치에는 전기선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electric line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storage device on the ground from the generator.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 및 제너레이터는 함체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ain gear, the driven gear and the generator are accommodated in the enclosure.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은 상기 함체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n gear is preferab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rotatably.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주동기어에 복수의 종동기어 및 제너레이터가 병렬로 연결되므로 단일의 프로펠러와 메인 샤프트로써도 보다 많은 전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a plurality of driven gear and the generator is connected in parallel to a single main gear can be expected to produce more current even with a single propeller and main shaft.

또한, 제너레이터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종동기어가 하나의 주동기어와 병렬연결됨으로써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따라서 발전장치의 전체적인 규모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driven gears connected to the genera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one main gear,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saved, and thus, the effect of miniaturizing the overall size of the power generator can be expected.

방향이 일정치 않은 공중 바람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샤프트가 최대한 중력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pite the effects of uneven air winds, it is expected that the shaft will be place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s much as possible.

또한, 샤프트를 최대한 중력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샤프트 및 기어의 회전상태를 가급적 일정하게 하고, 따라서 전기의 생산효율을 균일하면서도 극대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shaf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s much as possible, the state of rotation of the shaft and gears is as constant as possible, and therefore, the effect of uniformly maximiz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electricity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풍력발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병렬구조를 상하로 복수 배열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풍력발전장치에 완충부를 구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완충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풍력발전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병렬구조를 상하로 복수 배열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7의 풍력발전장치에 완충부를 구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plurality of generators in a parall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parallel structures of FIG. 1 arranged up and down.
3 is a plan view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uffer unit in the wind power generator of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buffer part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f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ind power generator in which a plurality of generato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arallel structure.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parallel structures of FIG. 7 arranged up and down.
9 is a plan view of FIG. 8.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 power generator of FIG. 7 including a buffer part.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It may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ing or includ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exist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and siz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more clea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풍력발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병렬구조를 상하로 복수 배열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2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1의 풍력발전장치에 완충부를 구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plurality of generators in a parall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the parallel structure of Figure 1 arranged up and down, Figure 3 FIG. 2 is a plan view,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 power generator of FIG. 1 including a buffer uni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풍력장치는 공중부상을 위해서 마련된 벌룬; 상기 벌룬의 하부에 연결되는 지지부; 제1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와 직교를 이루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지지부 하부에서 샤프트에 결합되고, 바람에 따라서 회전하는 블레이드; 상기 샤프트의 제2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서 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와 연동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서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종동기어는 적어도 2개가 상기 주동기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wind pow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lloon provided for aerial injury; A support part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lloon; A shaft rotatably coupled to a first end of the first end and extending downward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A blade coupled to the shaft below the support and rotating in accordance with wind; A main gear coupled to the second end of the shaft and connected to the shaft and rotated as the shaf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ade; A driven gear interlocked with the main gear; And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and configured to generate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wherein at least two driven gears are connected to the main gear.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벌룬(101)을 이용하여 풍력발전장치(100)를 공중에 부상시켰는데, 벌룬(101)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공중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기존의 풍력발전장치(100)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서 풍력발전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풍력발전장치(100)에 비하여 보다 강한 풍력을 얻을 기회가 높아지므로, 보다 많은 양의 전기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 power generator 100 is floated in the air by using the balloon 101. When the balloon 101 is used, the height of the air is adjustable, and the existing wind power generator 100 is used. Compared to), since the wind power generation is possible at a higher position, the opportunity to obtain stronger wind power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wind power generator 100, and thus,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a larger amount of electricity may be increased.

상기 벌룬(101)은 그 하부의 플레이트(127)와 복수의 연결체(103)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플레이트(127)는 샤프트(109) 및 블레이드(111) 등을 지지하고 있는데, 이를 지지부(105)라고 한다. 지지부(105)와 벌룬(101)은 연결체(103)로서 연결로프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러한 연결체(103)는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다양한 연결체(103)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체(103)의 재질 또한 특정 재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벌룬(101)이 하부의 풍력발전장치(100)를 잘 지지해 줄 수 있음과 동시에 높은 풍력과 다양한 풍향에도 끊어지지 않는 유연한 재질이면 충분하다. The balloon 101 is connected by the lower plate 127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03, and the plate 127 supports the shaft 109, the blade 111, and the like. 105). Support 105 and the balloon 101 is preferably connected using a connecting rope as the connecting body 103, but the connecting body 103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necting bodies 103 may be used. . The material of the connector 103 is also not limited to a specific material, and the balloon 101 may support the lower wind power generator 100 well, and at the same time, a flexible material that does not break even in high wind and various wind directions is sufficient. Do.

상기 벌룬(101)의 크기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벌룬(101)의 공중 부양을 위한 방법도 제한이 없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ize or type of the balloon 101 is not limited, and the method for levitation of the balloon 101 is not limite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지지부(105)에는 블레이드(111)와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109)가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109)는 블레이드(111)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별도로 구성되더라도 동시에 회전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주동기어(115)와 그 종동기어(117)를 회전하고 제너레이터(119)에 의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한다.The support portion 105 is connected to the shaft 109 which rotates together with the blade 111, the shaft 109 is formed to rotate at the same time even if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blade 111 or separately configured main gear (to be described later) 115 and its driven gear 117 can be rotated to generate power by generator 119.

상기 블레이드(111)는 그 설치방향에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면 블레이드(111)가 도시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아니면 도시된 형태와 90도의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라면 샤프트(109)와 베벨기어 등에 의하여 매개되어 회전방향을 전환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The blade 111 is not limited in the installation direction, for example, the blade 111 may be installed in the form shown, or may be installed to achieve a direction of 90 degrees with the form shown. However, in the latter case,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direction of rotation through the shaft 109 and the bevel gear.

블레이드(111)의 형태는 풍력을 가장 잘 반영하여 높은 회전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레이드(111)의 설계 및 구현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111)의 회전면이 샤프트(109)와 직교를 이룬다. The shape of the blade 111 may be designed to best reflect the wind power to implement a high rotational forc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uch a blade 111 is beyo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surface of the blade 111 is perpendicular to the shaft 109.

상기 지지부(105)는 일정정도의 두께를 갖는 평면의 형상이며, 평면도를 기준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정정도의 두께를 가져야하는 이유는 샤프트(109)의 제1단부(133)인 상단부(133)가 상기 지지부(105)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매립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The support part 105 may have a plan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based on a plan view. The reason for having a certain thickness is because the upper end 133, which is the first end 133 of the shaft 109, should be embedded in the support part 105 in a rotatable state.

상기 샤프트(109)의 제2단부인 하단부에는 상기 샤프트(109)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주동기어(115)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주동기어(115)는 발전장치인 제너레이터(119)와 결합되는 종동기어(117)와 연결되거나, 또는 제너레이터(119)가 주동기어(115)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A main gear 115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109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end of the shaft 109. In addition, the main gear 115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117 is coupled to the generator 119 which is a power generator, or the generator 119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gear 115.

상기 제너레이터(119)로부터 지상의 축전장치에는 전기선(12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동기어(115)와 종동기어(117) 및 제너레이터(119)는 함체(113)에 수용되는데, 상기 주동기어(115)의 회전축은 샤프트(109)이며, 상기 종동기어(117)의 회전축은 상기 함체(113)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된다. An electric wire 121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storage device from the generator 119. In addition, the main gear 115, the driven gear 117 and the generator 119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3,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gear 115 is a shaft 109, the driven gear 117 The rotating shaft is rotatab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3.

주동기어(115)와 종동기어(117)의 구조 및 주동기어(115)와 결합되는 제너레이터(119) 또는 종동기어(117)와 결합되는 제너레이터(119)는 통상적인 형태를 이용하여 적용하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tructure of the main gear 115 and the driven gear 117 and the generator 119 coupled to the main gear 115 or the generator 119 coupled to the driven gear 117 is applied using a conventional form,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함체(113)에는 로프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로프는 지상의 고정수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풍력발전장치(100)를 필요에 따라서 지상으로 귀환시킬 수 있다. A rope may be connected to the enclosure 113, and the rope may be fixed to the ground fixing means. As a result, the wind power generator 100 may be returned to the ground as needed.

한편, 상기 샤프트(109)는 제너레이터(119)와 연결되어 전기를 직접 생산할 수 있으며, 이때 샤프트(109)에는 변속기어가 연결되는데, 상기 변속기어는 발전이 가능하도록 샤프트(109)의 회전속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구성은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형상을 포함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haft 109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119 to produce electricity directly, in which case the transmission gear is connected to the shaft 109, the transmission gear to increas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haft 109 to enable power generation Play a role. Since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descriptions including specific shape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기 위한 주동기어(115)와 종동기어(117)의 결합관계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의 결합관계가 된다. 이 경우, 종동기어(117)에 결합되어 종동기어(117)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너레이터(119)는 종동기어(117)의 수평 외측방향에 설치된다. 종동기어(117)는 주동기어(115)에 다수 결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결합의 수가 많아질수록 투입되어야 하는 풍력의 세기가 더 커져야하나, 만일 충분한 풍력이 존재한다고 하면 발전량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gear 115 and the driven gear 117 to achiev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bevel gear as shown. In this case, the generator 119 coupled to the driven gear 117 and extending from the driven gear 117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outward direction of the driven gear 117. The driven gear 117 may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main gear 115, the higher the number of such coupling, the greater the strength of the wind to be injected, if there is enough wind power can increase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특히, 도 2에서와 같이 주동기어를 동축의 샤프트를 이용하여 상하로 복수개 설치하고 해당 주동기어에 각각 복수의 종동기어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발전량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충분한 풍력이 확보되어야 가능할 것인 바, 이는 공중에서의 풍력을 고려하여 도입하여야 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 when a plurality of main gears are installed up and down using a coaxial shaft, and a plurality of driven gears are connected to the main gears, power genera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However, this will be possible only if sufficient wind power is secured, which must be introduced in consideration of wind power in the air.

상기 베벨기어는 주동기어(115)의 크기가 더 크고 종동기어(117)의 크기가 더 작을수록 더 많은 종동기어(117)가 주동기어(115)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연중 평균 풍력과 발전 효율을 고려하여 주동기어(115)와 종동기어(117)의 크기 및 주동기어(115)에 결합되는 종동기어(117)의 숫자는 조절할 수 있다. Since the bevel gear is larger in size of the main gear 115 and smaller in size of the driven gear 117, more driven gear 117 may be coupled to the main gear 115 so that annual wind power and power generation efficiency may be improv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main gear 115 and the driven gear 117 and the number of the driven gear 117 coupled to the main gear 115 can be adjusted.

한편, 본 발명의 풍력발전장치는 완충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도 4에 나타내었으며, 도 5에는 완충부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완충부의 도입취지와 세부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며, 다만 이러한 도입 취지 및 세부구성은 이는 후술하는 도 10, 도 14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wind turbine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hock absorbing portion, which is shown in Figure 4, Figure 5 shows an enlarged shock absorbing portion. Hereinafter, the purpose of introduction and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uffer unit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urpose of introduction and detailed structure of the shock absorber are equally applied to FIGS. 10 and 14 described later.

벌룬(101)을 이용하게 되면, 일반적인 풍력발전장치(100)와 비교하여 이를 고정하는 장치가 없이 공중에 부유된 상태에 있으므로, 공중에서의 풍력이나 풍향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블레이드(111)의 회전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발전 기능이 저하되며, 궁극적으로는 풍력발전장치(100) 파손의 우려도 높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When using the balloon 101, compared to the general wind power generator 100, since there is no device to fix it in the air floating stat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s affected by the wind or wind direction in the air. Therefore, the stability of the rotation of the blade 111 is lowered, the power generation function is lowered, and ultimately,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to the wind power generator 100. Therefore control is required.

먼저, 상기 지지부(105) 내부에는 샤프트(109)의 상단부(133)를 수용하기 위한 구체 형태의 매립홈(131)이 형성되며, 역시 구체형태를 이루는 샤프트(109)의 상단부(133)가 상기 지지부(105) 내에 매립되되, 상기 샤프트(109)가 지지부(105)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매립홈(131)의 내면과 상기 샤프트(109)의 상단부(133) 사이에 구체 형태의 베어링(129)이 더 포함될 수 있다.즉, 샤프트(109)는 그 상단부(133)가 지지부(105) 내 매립홈(131)에서 지지되어 상기 상단부(133)를 중심으로 시계추처럼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베어링(129)은 상기 샤프트(109)의 상단부(133)가 매립홈(131) 내에서 부드럽게 유동되도록 작용한다. First, the support portion 105 is formed inside the recess 131 of the concrete shape for receiving the upper end 133 of the shaft 109, the upper end 133 of the shaft 109 also forming a concrete shape is A bearing of a spherical shape is embed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uried groove 131 and the upper end 133 of the shaft 109 so that the shaft 109 rotates independently of the support 105. 129 may be further included. That is, the shaft 109 may have an upper end portion 133 supported by a buried groove 131 in the support portion 105, and may flow like a pendulum about the upper end portion 133. At this time, the bearing 129 acts so that the upper end 133 of the shaft 109 smoothly flows in the buried groove 131.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샤프트(109)가 지지부(105)와 상호 유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샤프트(109)가 풍력에 의하여 갑자기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샤프트(109)가 지지부(105)에 유동가능하지 않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샤프트(109)와 지지부(105)의 연결부위에 강한 응력이 작용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러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doing so is to prevent the shaft 109 from being suddenly damaged by the wind by being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05 so as to be mutually flowable. That is, when the shaft 109 is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05 in a non-flowable mann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trong stress acts o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haft 109 and the support portion 105 and breaks. This situation is prevented in advance. To do this.

기본적으로 샤프트(109)는 연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예를 들어 지지부(105)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직교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샤프트(109)의 하부에 결합되는 기어 등의 구성에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샤프트(109)는 이와 같은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블레이드(111) 등 타 구성요소들이 설계되므로 이와 같은 연직하방의 연장 방향을 최대한 유지하여 주는 것이 좋다. Basically, the shaft 109 extends vertically downwards, for example configured to be orthogonal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105, which gravity acts on the configuration of the gear or the lik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aft 109. Because. Since the shaft 109 is designed based on the extension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blade 111 may maintain the vertical downward extension direction as much as possible.

상기 지지부(105) 하부에는 완충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완충부가 샤프트(109)의 연직하방의 연장방향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어느 정도 완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물론, 완전한 연직하방의 연장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아니나, 적어도 샤프트(109)와 블레이드(111)가 바람에 의하여 심하게 요동하는 것을 어느 정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A buffer part is formed below the support part 105, and this buffer part serves to buffer the deviation from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haft 109 in an extension direction to some extent. Of course, it does not maintain the complete vertical downward extension state, but at least serves to buffer to some extent the shaft 109 and the blade 111 is severely shaken by the wind.

완충부는 지지부(105)의 하면에 결합되어 지지부(105)와 함께 움직이게 되며, 그 내부에 플레이트(127), 탄성수단(123), 유동수단(125) 등을 구비하고, 이들 구성들은 하우징(107)에 내장되어 있다. 지지부(105)의 하면에 결합되는 주체는 상기 하우징(107)이 되며, 상기 탄성수단(123)은 상기 하우징(107)의 내면에 결합된다. The shock absorb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05 and moves together with the support portion 105, and includes a plate 127, an elastic means 123, a flow means 125, and the like therein, and these components include a housing 107. Built in). The main bod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05 is the housing 107, the elastic means 123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7.

상기 샤프트(109)는 상기 완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 내의 플레이트(127)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즉, 완충부 내의 플레이트(127)는 블레이드(111)의 회전에 따라서 샤프트(109)가 회전할 때 샤프트(109)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The shaft 109 is formed through the buffer part, and is coupled to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plate 127 in the buffer part. That is, the plate 127 in the buffer portion rotates together with the shaft 109 when the shaft 109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ade 111.

상기 샤프트(109)는 완충부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샤프트(109)가 지나가는데, 상기 관통공과 상기 샤프트(109)는 유격이 있어서 서로 어느 정도 간격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109)는 풍력 및 풍향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공과의 이격거리만큼 단면도 기준으로 좌우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단면도 기준으로 좌우로 유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모든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는 샤프트(109)의 상단부(133)가 구체형태로 되어 지지부(105)의 매립홈(131) 내에서 베어링(129)을 매개로 회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shaft 109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buffer part, and the shaft 109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The through hole and the shaft 109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certain gap, and the shaft 109 ) May flow from side to side based on the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wind and wind direction by the separation distance with the through hole. Although described as being flowed from side to side on the basis of the cross-sectional view, it can actually flow in all directions. This is because the upper end 133 of the shaft 109 may be in a spherical shape and may rotate through the bearing 129 within the buried groove 131 of the support 105.

다음은 완충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완충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Next, the buffer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f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는 상기 샤프트(109)에 직교를 이루면서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109)와 함께 회전하는 플레이트(127); 상기 지지부(105)의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127)와 사방으로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플레이트(127) 전체와 상기 샤프트(109)의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107); 상기 하우징(107)의 내벽에 간격을 이루면서 고정되는 복수의 탄성수단(123); 및 상기 탄성수단(123)과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레이트(127)의 표면에 면접하는 유동수단(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the shock absorbing portion is coupled orthogonal to the shaft 109 and rotates with the shaft 109; A housing 107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art 105 and surrounding the plate 127 and a part of the shaft 109 while being spaced in all directions with the plate 127; A plurality of elastic means 123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07 at intervals; And flow means 125 coupled to the elastic means 123 and fluidly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plate 127.

상기 플레이트(127)는 상기 샤프트(109)가 풍력에 의하여 유동할 때, 함께 유동하는데, 이는 플레이트(127)와 샤프트(109)가 결합된 상태이거나 일체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레이트(127)를 탄성제어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유동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전력생산의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127)를 탄성제어하는 것은 탄성수단(123)인데, 상기 탄성수단(123)은 유동수단(125)을 포함하며, 유동수단(125)은 상기 플레이트(127)의 면상에서 면접하면서 유동가능한 상태에 있다. The plate 127 flows together when the shaft 109 flows by wind, because the plate 127 and the shaft 109 are combined or integral. Therefore, when the elasticity control of the plate 127 can reduce the degree of this flow, and ultimately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tability of the power production. The elastic control of the plate 127 is an elastic means 123, the elastic means 123 includes a flow means 125, the flow means 125 flows while interviewing on the surface of the plate 127 It is in a possible state.

상기 탄성수단(123) 및 유동수단(125)은 상기 플레이트(127) 중 적어도 상기 지지부(105)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며, 이 경우에도 샤프트(109)의 과도한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면의 대향면에도 탄성수단(123) 및 유동수단(125)을 형성할 수 있다. The elastic means 123 and the flow means 125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plate 127 facing at least the support portion 105, and in this case, excessive flow of the shaft 109 may be controlled. However, if necessary, the elastic means 123 and the flow means 125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상기 탄성수단(123)은 플레이트(127)의 기울어짐에 따라서 샤프트(109)와 이격된 위치의 탄성수단(123)은 압축되며, 이 때, 압축된 탄성수단(123)에는 플레이트(127)를 다시 원위치시키려는 복원력이 작용하고, 따라서, 플레이트(127)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샤프트(109)가 최대한 중력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풍력발전장치(100)의 초기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도록 하여 전력 생산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As the elastic means 123 is inclined, the elastic means 123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haft 109 is compressed, and at this time, the compressed elastic means 123 is provided with a plate 127. The restoring force to reinstate acts, and thus, the plate 127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shaft 109 can be directed toward gravity as much as possible. This is to ensure the predictability of the power production by maintaining the initial state of the wind power generator 100 to the maximum, as described above.

상기 탄성수단(123)은 통상적으로 스프링이 될 것이나,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통상 “미미”로 칭함)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엔진 마운팅은 자동차의 엔진 구동시 차체의 진동과 흔들림을 완충하려고 제작한 고무뭉치를 의미하는데, 고무뭉치 또한 어느 정도는 탄성을 가지므로 탄성수단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미도시).The elastic means 123 will typically be a spring, but may also be used for automobile engine mounting (commonly referred to as "mi"), the engine mounting is designed to cushion the vibration and shaking of the vehicle body when driv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Means a rubber ball, the rubber ball also has a certain degree of elasticity can be seen to be included in the elastic means (not show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풍력발전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8은 도 7의 병렬구조를 상하로 복수 배열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9는 도 8을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도 7의 풍력발전장치에 완충부를 구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ind power generator in which a plurality of generators have a parallel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lurality of parallel structures of FIG. 7 arranged up and down, and FIG. FIG. 8 is a plan view,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 power generator of FIG. 7 including a buffer unit.

여기서 도 10은 전술한 도 4 내지 도 6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하여 이하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 10 is replaced with the description of FIG. 4 to FIG. 6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7은 도 1의 경우와는 달리 평기어가 연결된 것이다. 따라서, 도 1에서와 달리 종동기어(217)와 연결되는 제너레이터(119)는 종동기어(217)의 하부에 연결된다. 종동기어(217)는 함체(113)의 내측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경우에 비하여 함체의 좌우 폭을 좁힐 수 있다. 기어의 숫자와 기어의 크기, 주동기어(215)와 종동기어(217)의 관계는 베벨기어에서 설명된 내용과 다르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7 is connected to the spur gears unlike in the case of FIG. 1. Accordingly, unlike in FIG. 1, the generator 119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217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riven gear 217. The driven gear 217 may be fix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enclosure 113.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of FIG. 1,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nclosure can be narrowed. Since the number of gears and the size of the g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gear 215 and the driven gear 217 is not different from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bevel gea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풍력발전장치 101 : 벌룬
103 : 연결체 105 : 지지부
107 : 하우징 109 : 샤프트
111 : 블레이드 113 : 함체
115, 215 : 주동기어 117, 217 : 종동기어
119 : 제너레이터 121 : 전기선
123 : 탄성수단 125 : 유동수단
127 : 플레이트 129 : 베어링
131 : 매립홈 133 : 상단부(제1단부)
135 : 로프
100: wind power generator 101: balloon
103: connecting member 105: support
107: housing 109: shaft
111: blade 113: enclosure
115, 215: main gear 117, 217: driven gear
119 generator 121 electric wire
123: elastic means 125: flow means
127: plate 129: bearing
131: landfill groove 133: upper end (first end)
135: rope

Claims (13)

공중부상을 위해서 마련된 벌룬;
상기 벌룬의 하부에 연결되는 지지부;
제1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와 직교를 이루면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상기 지지부 하부에서 샤프트에 결합되고, 바람에 따라서 회전하는 블레이드;
상기 샤프트의 제2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따라서 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와 연동되는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에 따라서 전기를 생성하기 위한 제너레이터;
를 포함하되,
상기 종동기어는 적어도 2개가 상기 주동기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Balloons prepared for aerial injury;
A support part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alloon;
A shaft rotatably coupled to a first end of the first end and extending downward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A blade coupled to the shaft below the support and rotating in accordance with wind;
A main gear coupled to the second end of the shaft and connected to the shaft and rotated as the shaft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ade;
A driven gear interlocked with the main gear; And
A generator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and generating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nd at least two driven gears are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are connected to the main gear, and a plurality of generators form a parallel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는 베벨기어이며, 상기 종동기어에는 제너레이터가 샤프트로부터 방사상 멀어지는 방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gear and the driven gear is a bevel gear, the driven gear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or is installed in a radially away from the shaft, the gear-type wind power generator in which a plurality of generators form a parallel structur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는 각각 평기어이며, 상기 종동기어에는 제너레이터가 샤프트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gear and the driven gear is a spur gear, respectively, the driven gear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or is install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a plurality of generators of the gear system forming a parallel structure Wind turbi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부와 샤프트 사이에 결합되는 완충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hock absorbing portion coupl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haft. The wind turbine generator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and a plurality of generators form a parallel struc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그 상단부가 상기 지지부 내에 매립되되,
상기 지지부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에 마련된 매립홈의 내면과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 사이에 구체 형태의 베어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haft,
The upper end is embedded in the support,
It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further comprises a spher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uried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and the upper end of the shaft to rotate independently of the support and a plurality of generators in parallel Gear-type wind power generat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구체 형태이며, 상기 지지부 내부의 매립홈은 상기 구체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end portion is a spherical shape, the recessed groove inside the support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spheric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herical shape, a plurality of generators of the wind power generator in parallel structure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완충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연장되되, 상기 샤프트와 상기 완충부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haft extends through the shock absorbing portion up and down, and the gear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shaft and the shock absorb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generators of the wind turbine genera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샤프트에 직교를 이루면서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플레이트;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사방으로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플레이트 전체와 상기 샤프트의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간격을 이루면서 고정되는 복수의 탄성수단; 및
상기 탄성수단과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표면에 면접하는 유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uffer part,
A plate coupled to orthogonal to the shaft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shaft;
A housing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surrounding the plate and a portion of the shaft while being spaced in all directions with the plate;
A plurality of elastic mean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at intervals; And
Flow means coupled to the elastic means and fluidly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plate;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ear-type wind turbine generator of a plurality of generators forming a parallel structu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 및 유동수단은 상기 플레이트 중 적어도 상기 지지부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elastic means and the flow means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at least the support of the plate, the plurality of generators of the wind power generator of the gear system forming a parallel structu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스프링 또는 엔진 마운팅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elastic means is a gear-type wind power generator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spring or engine mounting, a plurality of generators in parall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레이터로부터 지상의 축전장치에는 전기선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ear-type wind power generator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ic line is connected to the power storage device on the ground from the generator and a plurality of generators in parall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기어와 종동기어 및 제너레이터는 함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gear, the driven gear and the generator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is a gear-type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plurality of generators in parall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은 상기 함체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의하여 공중에서 구동되며 복수의 제너레이터가 병렬구조를 이루는 기어방식의 풍력발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ry shaft of the driven gear is driven in the air by a ballo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ab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a plurality of generators of the wind power generator of the gear system forming a parallel structure.
KR1020180094089A 2018-08-10 2018-08-10 Device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driven by gear from wind energy comprising parallel multiful generator and driven in the air by balloon KR202000181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089A KR20200018169A (en) 2018-08-10 2018-08-10 Device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driven by gear from wind energy comprising parallel multiful generator and driven in the air by ballo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089A KR20200018169A (en) 2018-08-10 2018-08-10 Device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driven by gear from wind energy comprising parallel multiful generator and driven in the air by ballo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169A true KR20200018169A (en) 2020-02-19

Family

ID=6966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089A KR20200018169A (en) 2018-08-10 2018-08-10 Device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driven by gear from wind energy comprising parallel multiful generator and driven in the air by ballo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816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10B1 (en) 2011-10-20 2014-05-16 미르텍알앤디 주식회사 Balloon typ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910B1 (en) 2011-10-20 2014-05-16 미르텍알앤디 주식회사 Balloon typ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0901B2 (en)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7939960B2 (en) Aerial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using floating body
US7830033B2 (en) Wind turbine electricity generating system
JP4986049B2 (en) Floating body device for wind power generation
CN103314212A (en) Roll and yaw damper of wind turbine and 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
ES2951389T3 (en) Damping device for onshore and offshore wind turbines
US20160153430A1 (en) Floating wind powered structure
KR20120039127A (en) Horizontal wind power generator
KR100744992B1 (en) Support structure for windmill of wind generator
JP2023127122A (en) Floating body type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KR101167857B1 (en) Airborne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JP2015533992A (en) Floating tidal turbine
KR102063565B1 (en) Device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from wind energy driven in the air by balloon
KR20200018169A (en) Device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driven by gear from wind energy comprising parallel multiful generator and driven in the air by balloon
US20080245286A1 (en) Articulated floating structure
KR20200018170A (en) Device for production of electricity from wind energy comprising parallel multiful generator and driven in the air by balloon
KR100971308B1 (en) The aerial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which uses the possibility mind levitation tube
JP5631146B2 (en) Wind generator and tower-like structure equipped with wind generator
US20150152848A1 (en) Omnidirectional Hybrid Turbine Generator
KR20130142515A (en) A aerial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KR20100118622A (en) Wind power turbines
KR101391865B1 (en) Apparatus for wind power generation with vertical axis
JP6414837B2 (en) Floating wind power generator
KR101195152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wind power generation
KR101102135B1 (en) A aerial wind power gener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