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873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873A
KR20200017873A KR1020180093375A KR20180093375A KR20200017873A KR 20200017873 A KR20200017873 A KR 20200017873A KR 1020180093375 A KR1020180093375 A KR 1020180093375A KR 20180093375 A KR20180093375 A KR 20180093375A KR 20200017873 A KR20200017873 A KR 20200017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access
network
u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9434B1 (ko
Inventor
김상범
김성훈
진승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434B1/ko
Priority to US16/537,202 priority patent/US11063820B2/en
Priority to PCT/KR2019/010097 priority patent/WO2020032702A1/en
Priority to EP19846700.3A priority patent/EP3824693B1/en
Priority to CN201980066118.5A priority patent/CN112889344B/zh
Publication of KR2020001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873A/ko
Priority to US17/372,192 priority patent/US117001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은, 네트워크에 접속을 위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 시, 메시지 3를 이용하여, RRCSetupRequest 메시지, RRCResumRequest 메시지, RRCReestablishmentRequest 메시지 중 하나의 RRC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4로 RRCSetup 메시지를 수신하고 SRB1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3를 이용하여 전송한 RRC 메시지에 따라 5G-S-TMSI를 RRCSetupComplete 메시지에 포함할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NETWORK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3GPP에서 정한 5G 통신 시스템은 New Radio (NR) 시스템이라고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었고, NR 시스템에 적용되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5G 통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은, 네트워크에 접속을 위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 시, 메시지 3를 이용하여, RRCSetupRequest 메시지, RRCResumRequest 메시지, RRCReestablishmentRequest 메시지 중 하나의 RRC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4로 RRCSetup 메시지를 수신하고 SRB1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3를 이용하여 전송한 RRC 메시지에 따라 5G-S-TMSI를 RRCSetupComplete 메시지에 포함할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LTE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과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LTE 기지국(eNB), NR 기지국(gNB), EPC(Evolved Packet Core, LTE 코어 네트워크), 5G CN(Core Network, NR 코어 네트워크)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과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고유 식별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 따른 처음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고유 식별자를 할당 받고 네트워크와 연결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으로부터 제1 고유 식별자를 할당 받은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NR 시스템으로부터 제2 고유 식별자를 할당 받은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RRCSetup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제공받는 5G-S-TMSI 정보의 유무에 따라 RRCSetupComplete 메시지에 5G-S-TMSI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다른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 단말의 엑세스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 단말이 엑세스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세스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에서는 5G 또는 NR, LTE 시스템에 대한 규격에서 정의하는 용어와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개시가 이러한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가 규격을 정한 통신 규격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뿐만 아니라 더 많은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 기기들이 네트워크에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수많은 무선 통신 기기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더 큰 공간(space)을 갖는 새로운 식별자를 도입하고, 서로 다른 식별자를 할당하여 무선 통신 기기들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더 큰 공간을 갖는 새로운 식별자를 도입하게 되면, 새로운 식별자를 할당 받은 무선 통신 기기들이 새로운 식별자를 상황에 따라 어떻게 네트워크에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아래에서는 단말이 5G 또는 NR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받은 새로운 식별자를 네트워크 접속 단계, 상태 천이, 네트워크 재설정 등의 과정에서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복수 개의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a-05, 1a-10, 1a-15, 1a-20)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1a-25) 및 S-GW(Serving-Gateway, 1a-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a-35)은 eNB(1a-05, 1a-10, 1a-15, 1a-20) 및 S-GW(1a-30)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기지국들(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a-05, 1a-10, 1a-15, 1a-20)은 셀룰러 망의 접속 노드로서 망에 접속하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즉, 기지국들(1a-05, 1a-10, 1a-15, 1a-20)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단말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하고 스케쥴링을 하여 단말들과 코어 망(CN, Core network)간에 연결을 지원한다.
또한, 기지국들(1a-05, 1a-10, 1a-15, 1a-20)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될 수 있다. eNB(1a-35)는 UE(1a-3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a-05, 1a-10, 1a-15, 1a-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LTE 시스템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MME(1a-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된다. S-GW(1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MME(1a-25) 및 S-GW(1a-30)는 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bearer)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지국들(1a-05, 1a-10, 1a-15, 1a-20)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기지국들(1a-05, 1a-10, 1a-15, 1a-20)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한다.
도 2는 LTE 시스템에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1b-05, 1b-40), RLC(Radio Link Control 1b-10, 1b-35), MAC(Medium Access Control 1b-15, 1b-30)으로 이루어진다. PDCP(1b-05, 1b-40)는 IP header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한다. PDCP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header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순서 재정렬 기능(For split bearers in DC (only support for RLC AM): PDCP PDU routing for transmission and 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at PDCP re-establishment procedure for RLC AM)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at handover and, for split bearers in DC, of PDCP PDUs at PDCP data-recovery procedure, for RLC AM)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1b-10, 1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RL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only for AM data transfer))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only for AM data transfer))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only for AM data transfer))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only for UM and AM data transfer))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MAC(1b-15, 1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MAC의 주요 기능은 하기와 같이 요약된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belonging to one or different logical channels into/from transport blocks (TB) delivered to/from the physical layer on transport channel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물리 계층(1b-20, 1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고 한다) 계층이 존재하며, 이러한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NB, NR gNB 또는 NR 기지국, 1c-10)과 NR CN(New Radio Core Network, 혹은 NG CN: Next Generation Core Network, 1c-05)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 1c-15)은 NR gNB(1c-10) 및 NR CN(1c-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3에서 NR gNB(1c-10)는 LTE 시스템의 eNB(Evolved Node B)에 대응된다. NR gNB(1c-10)는 NR UE(1c-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gNB(1c-10)가 담당한다. 하나의 NR gNB(1c-10)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하며, 제어 및 시그날링을 총괄하는 CU(central unit)과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DU(distributed unit)로 구성된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은 LTE 시스템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의 최대 대역폭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NR CN(1c-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NR CN(1c-0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은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NR CN(1c-05)이 MME(1c-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MME(1c-25)는 기존 기지국인 eNB(1c-30)과 연결된다.
도 4는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NR 기지국에서 각각 NR SDAP(1d-01, 1d-45), NR PDCP(1d-05, 1d-40), NR RLC(1d-10, 1d-35), NR MAC(1d-15, 1d-30)으로 이루어진다.
NR SDAP(1d-01, 1d-4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기능(transfer of user plane data)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의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a QoS flow and a DRB for both DL and UL)
-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 ID를 마킹 기능(marking QoS flow ID in both DL and UL packets)
- 상향 링크 SDAP PDU들에 대해서 relective QoS flow를 데이터 베어러에 맵핑시키는 기능 (reflective QoS flow to DRB mapping for the UL SDAP PDUs).
SDAP 계층 장치에 대해 단말은 RRC 메시지로 각 PDCP 계층 장치 별로 혹은 베어러 별로 혹은 로지컬 채널 별로 SDAP 계층 장치의 헤더를 사용할 지 여부 혹은 SDAP 계층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설정 받을 수 있다. SDAP 헤더가 설정된 경우, SDAP 헤더의 NAS QoS 반영 설정 1 비트 지시자(NAS reflective QoS)와 AS QoS 반영 설정 1 비트 지시자(AS reflective QoS)를 이용하여 단말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에 대한 맵핑 정보를 갱신 혹은 재설정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SDAP 헤더는 QoS를 나타내는 QoS flow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QoS 정보는 원할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우선 순위, 스케쥴링 정보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NR PDCP(1d-05, 1d-40)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 (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여기에서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말하며,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바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1d-10, 1d-3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여기에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 (일련번호, Sequence number의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하는 순으로)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순서와 상관없이(Out-of sequence delivery) 전달할 수도 있으며, segment 인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segment들을 수신하여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전달할 수도 있다.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을 NR MAC 계층에서 수행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 혹은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MAC(1d-15, 1d-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NR MAC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NR PHY 계층(1d-20, 1d-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과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LTE 기지국(eNB), NR 기지국(gNB), EPC(Evolved Packet Core, LTE 코어 네트워크), 5G CN(Core Network, NR 코어 네트워크)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EPC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이며, 5G CN은 AMF(Access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이다.
도 5를 참조하면, 1e-01와 같이 LTE 기지국(eNB)과 EPC만 연결된 경우, 1e-02와 같이 LTE 기지국(eNB)이 EPC와 5G CN 모두와 연결된 경우, 1e-03과 같이 LTE 기지국(eNB)과 5G CN만 연결된 경우, 1e-04과 같이 NR 기지국(gNB)과 5G CN만 연결된 경우 등 다양한 연결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도 5에서 설명한 LTE 기지국(eNB), NR 기지국(gNB), EPC(Evolved Packet Core, LTE 코어 네트워크), 5G CN(Core Network, NR 코어 네트워크) 간의 연결 관계들 포함한 다양한 연결 관계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과 RRC 메시지 정보들을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과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고유 식별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LTE 시스템에서보다 더 많은 무선 통신 기기들을 구분 및 관리하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내에서의 단말 고유 식별자를 LTE 시스템에서의 고유 식별자보다 더 크거나 같은 공간(space)을 갖는 식별자로 도입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서 고유한 식별자인 5G-GUTI(5G Globally Unique Temporary UE Identity) 및 5G-S-TMSI(5G SAE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LTE 시스템의 GUTI와 S-TMSI와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6의 (a)는 LTE 시스템에서 GUTI [80 bits]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에서 GUTI [80 bits]의 구조는 Mobile Country Code(MCC, [12 bits], 1f-05), Mobile Network Code(MNC, [12bits], 1f-10), MME Identifier([24 bits], 1f-15, 1f-20), 그리고 MME TMSI(M-TMSI, [32 bits], 1f-25)로 구성된다. 즉, LTE 시스템에서 GUTI는 한 국가 내의 네트워크 사업자 별로 존재하는 MME의 네트워크 식별자에 MME 내에서 유일하게 할당되는 단말 식별자인 M-TMSI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MME Identifier는 MME Group ID([16 bits], 1f-15)와 MME Code([8bits], 1f-20)로 구성되며, Globally Unique MME Identifier(GUMMEI, [48 bits])는 MCC, MNC, 그리고 MME Identifier로 구성된다. LTE 시스템의 EPC는 처음 접속하는 단말에게 LTE 시스템에서 구분될 수 있는 GUTI를 단말에게 할당해줄 수 있다. 그리고 LTE 기지국들 사이(Access Stratum)에서 구분될 수 있는 식별자인 S-TMSI [40 bits]를 GUTI의 일부분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S-TMSI는 MME Code (1f-20)와 M-TMSI (1f-25)로 구성된다.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전체적으로 단말이 가지는 고유 식별자의 길이는 유지하면서 망 내에서 단말이 가지는, 즉, 5G 또는 NR 기지국들 사이(Access Stratum)에서 구분될 수 있는 식별자인 5G-S-TMSI의 길이를 늘려서 망 내에 접속 가능한 단말의 수를 늘렸다.
도 6의 (b)는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5G-GUTI [80 bits]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5G-GUTI [80 bits]의 구조는 MCC([12 bits], 1f-30), MNC([12 bits], 1f-35), AMF Identifier([24 bits], 1f-40, 1f-45, 1f-50), 그리고 5G-TMSI([32 bits], 1f-55)로 구성된다. 즉,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5G-GUTI는 한 국가 내의 네트워크 사업자 별로 존재하는 AMF의 네트워크 식별자에 AMF 내에서 유일하게 할당되는 단말 식별자인 5G-TMSI의 합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AMF Identifier는 AMF Set ID([10 bits], 1f-40)와 AMF Region ID ([8 bits], 1f-45), 그리고 AMF Pointer([6 bits], 1f-50)로 구성되며, Globally Unique AMF Identifier GUAMI([48 bits])는 MCC, MNC, 그리고 AMF Identifier로 구성된다. 5G 또는 NR 시스템의 5G 또는 NR CN는 처음 접속하는 단말에게 NR 시스템에서 구분될 수 있는 5G-GUTI를 단말에게 할당해줄 수 있다. 그리고 NR 기지국들 사이(Access Stratum)에서 구분될 수 있는 식별자인 5G-S-TMSI [48 bits]를 GUTI의 일부분으로 구성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5G-S-TMSI는 AMF Region ID (1f-45), AMF Pointer (1f-50)와 5G-TMSI (1f-55)로 구성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LTE 시스템에서 보다 8 bits 늘어난 48 bits의 5G-S-TMSI를 설정하여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으며, 이 경우, 5G-S-TMSI를 실어 전달하는 message 3(msg 3, 메시지 3)의 사이즈가 충분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메시지 3의 예로, RRC Setup Request, RRC Resume Request, RRC Reestablishment Request 등의 메시지가 존재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56 bits의 메시지 3를 사용하였고,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도 최소의 상향링크 grant 사이즈는 56 bits로 변함이 없다. 메시지 3의 경우,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요청 메시지이기 때문에 셀 커버리지 내에서 좋은 링크 성능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단말이 전송하는 패킷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단말 커버리지(coverage)를 확장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56 bits 이상의 상향링크 grant가 할당되는 경우에는 셀 접속 커버리지 성능의 열화가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CCCH(Common Control CHannel) 전송을 위한 56 bits의 상향링크 grant와 56 bits 이상의 상향링크 grant(예를 들어, 72 bits)를 구분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MAC 헤더에 별도의 LCID(logical channel Identifier)를 할당했다. 하지만, 56 bits의 상향링크 grant가 할당되는 경우에는 LTE의 S-TMSI와 비교해서 8 bits가 늘어난 5G-S-TMSI를 메시지 3에 전부 실어서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메시지 3에 5G-S-TMSI의 일부분을 전송하고, message 5(msg 5, 메시지 5)에 나머지 부분을 전송해야 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로부터 할당 받은 5G-S-TMSI의 39 bits는 메시지 3로 전달하고, 나머지 9 bits는 메시지 5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3는 RRC Setup Request 메시지, 메시지 5는 RRC Setup Complete 메시지일 수 있다.
56 bits의 상향링크 grant에는 MAC PDU 헤더 [8 bits]와 CCCH(Common Control CHannel)[48 bits]로 구성된 MAC PDU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CCCH 메시지는 메시지 3이며, 예를 들어, RRC Setup Request 메시지가 사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CCCH 메시지의 종류 중, RRC Setup Request 구분하기 위한 2 bits가 필요하며, 추후 확장을 위한 CHOICE 구조에서의 1 bit가 필요하다.
Figure pat00001
또한, RRC Setup Request 메시지의 ue-Identity의 3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CHOICE 구조 2 bits와 최대 39 bits의 5G-S-TMSI의 LSB 정보(전체 비트의 오른쪽에서 39 bits)가 필요하다. 또한, 최대 16개의 establishmentcause를 구분하기 위한 4 bits 정보가 필요하다.
Figure pat00002
즉, 56 bits의 상향링크 grant는 다음의 정보로 구성된다.
- MAC 헤더 [8 bits]
- 상향링크 CCCH의 메시지 구별을 위한 [3 bits]
- RRCSetupReqeust [45 bits] {(ue-Identity: [2 bits]+[39 bits]) +(cause value: [4 bits])}
메시지 5에서는 9 bits의 5G-S-TMSI의 MSB(전체 비트의 왼쪽에서 9 bits)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RC Connection Complete 메시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Figure pat00003
아래에서는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메시지 3와 메시지 5에 단말의 식별자인 5G-S-TMSI를 나누어 실어서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RRC setup request에 39 bits의 5G-S-TMSI 일부분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로부터 할당받은 5G-S-TMSI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5G-S-TMSI의 LSB 39 bits를 포함시키지만, 단말이 해당 네트워크로부터 할당받은 5G-S-TMSI 정보가 전혀 없는 경우에는 39 bits의 random value를 생성 시켜서 메시지 3에 포함시켜 네트워크에 연결을 시도한다. 이후, 단말은 해당 네트워크로부터 message 4(msg 4, 메시지 4)인 RRC Setu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단말의 상태에 따라 전체 5G-S-TMSI 를 이용하거나, 5G-S-TMSI 의 MSB 9 bits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연결 절차를 수행한다.
하지만, 상술한 RRC setup 절차에 의한 동작 이외에도,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RRC resume request 및 RRC Reestablishment request를 보낸 단말이 메시지 3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으로부터 RRC Setup(메시지 4)을 수신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 이러한 경우에 대한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즉, 특정 경우에 메시지 5를 이용하여 어떻게 5G-S-TMSI를 전달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 따른 처음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고유 식별자를 할당 받고 네트워크와 연결을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처음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은 이전에 LTE 시스템과 5G 또는 NR 시스템에 단말 등록을 수행한 적이 없는 단말을 의미한다. 즉, LTE 시스템 혹은 5G 또는 NR 시스템으로부터 제1 고유 식별자(GUTI) 혹은 제2 고유 식별자(5G-GUTI)를 할당 받은 적이 없는 단말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RRC 유휴 모드(RRC IDLE)의 단말은 처음에 네트워크에 접속하려고 할 때 셀을 탐색하기 시작하고, 셀 선택/재선택을 수행하여 적합한 셀(suitable cell)을 찾고 캠프온(camp-on)을 한다. 그리고 캠프 온한 셀과 동기를 맞추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은 CCCH(Common Control Channel)로 메시지 3(예를 들면, 56비트(MAC 헤더 8비트와 CCCH SDU 48비트)을 보낼 때, 기지국이 단말 간의 경쟁 해소(Contention resolution)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40 혹은 39비트)를 갖는 랜덤 값들을 메시지 3(CCCH SDU)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1g-05).
메시지 3(CCCH SDU)을 수신한 기지국은 경쟁 해소를 위해서 상기에서 수신한 메시지 3(CCCH SDU)의 첫 번째 6바이트를 동일하게 복사하고 MAC 제어 정보(MAC Control element, Contention Resolution MAC CE)에 포함하여 메시지 4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1g-10). 메시지 4를 수신한 단말은 경쟁 해소를 확인하고 메시지 5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1g-15). 여기서, 단말은 네트워크에 단말 고유 식별자(예를 들면, IMSI)를 메시지 5의 NAS 컨테이너(dedicatedInfoNAS)에 실어서 보내어 네트워크가 단말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고 단말을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기지국은 메시지 5를 수신하고 메시지 5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여, 코어 네트워크로 단말의 메시지를 라우팅한다. 그리고, 메시지 5에 포함되어 있던 NAS 컨테이너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EPC 혹은 5G 또는 NR CN)로 NAS 메시지(예를 들면, INITIAL CONTEXT REQUEST)에 실어서 전송할 수 있다(1g-20). 코어 네트워크는 단말의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고, 단말을 코어 네트워크에 등록하고 네트워크 시스템(LTE 시스템 혹은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단말을 구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자(GUTI/5G-TMSI 혹은 S-TMSI/5G-S-TMSI)를 할당하기로 결정하고, 할당된 고유 식별자를 단말에게 전달하여 주기 위해 고유 식별자를 NAS 메시지(예를 들면, INITIAL CONTEXT SETUP)에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한다(1g-25). 기지국은 이러한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하여 준다(1g-30). 여기서, 단말은 수신한 메시지를 통해 LTE 시스템에 등록된 경우, 제1 고유 식별자(GUTI)를 확인하고, 5G 또는 NR 시스템에 등록된 경우, 제2 고유 식별자(5G-GUTI)를 확인하여, 단말의 NAS 계층 장치에서 저장한다(1g-30). 그리고, 기지국이 RRC 연결 설정을 위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보내면,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1g-35), 각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을 완료한다. 그 후, 단말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보내어 연결 설정을 완료한다(1g-40). 기지국은 단말과의 연결 설정을 완료하고 코어 네트워크로 초기 연결 및 컨텍스트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전송해준다(1g-45). 그리고, 단말은 네트워크와 연결 설정을 완료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1g-50).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으로부터 제1 고유 식별자를 할당 받은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LTE 시스템으로부터 제1 고유 식별자(GUTI)를 할당 받았던 단말은 이전에 LTE 시스템에 단말 등록을 수행하여 제1 고유 식별자(GUTI)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도 8을 참조하면, RRC 유휴 모드(RRC IDLE)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단말이 트래킹 영역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거나 단말이 상향 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으면 다시 네트워크에 접속을 시도한다. 단말은 먼저 셀을 탐색하기 시작하고, 셀 선택/재선택을 수행하여 적합한 셀(suitable cell)을 찾고 캠프온(camp-on)을 한다. 그리고 캠프 온한 셀과 동기를 맞추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은 CCCH(Common Control Channel)로 메시지 3(예를 들면, 56비트(MAC 헤더 8비트와 CCCH SDU 48비트)을 보낼 때, 기지국이 단말 간의 경쟁 해소(Contention resolution)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랜덤 값들 대신에 이전에 LTE 시스템으로부터 할당 받았던 제1 고유 식별자(GUTI)의 일부분을 기지국 간에 단말을 구별할 수 있는 제1 식별자(예를 들면, S-TMSI)로 정의하고, 이를 메시지 3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이 저장해두었던 제1 고유 식별자(예를 들면, GUTI)의 하위 비트들(예를 들면, 하위 40비트들(LSB))을 제1 식별자(예를 들면, S-TMSI)로서 메시지 3(CCCH SDU)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1h-05).
메시지 3에는 도 7에서 설명한 40 bits의 랜덤 값과 제1 식별자(S-TMSI)를 기지국이 구별할 수 있도록 메시지 3에 포함된 식별자에 해당하는 값이 랜덤 값인지 제1 식별자인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정의하고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비트 지시자를 이용하여 랜덤값 혹은 제1 식별자를 각각 지시할 수 있다. 메시지 3을 수신한 기지국은 경쟁 해소를 위해서 수신한 메시지3(CCCH SDU)의 첫 번째 6바이트(48비트)를 동일하게 복사하고 MAC 제어 정보(MAC Control element, Contention Resolution MAC CE)에 포함하여 메시지 4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1h-10). 메시지 4를 수신한 단말은 경쟁 해소를 확인하고 메시지 5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1h-15). 여기서, 단말은 네트워크에 LTE 시스템으로부터 할당 받고 저장해두었던 제1 고유 식별자(예를 들면, GUTI)를 메시지 5의 NAS 컨테이너(dedicatedInfoNAS)에 실어서 보내어 네트워크가 제1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고 단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기지국은 제1 식별자(S-TMSI)를 확인하고, 메시지 5를 수신한다. 기지국은 메시지 5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여, 코어 네트워크로 단말의 메시지를 라우팅한다. 그리고 메시지 5에 포함되어 있던 NAS 컨테이너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EPC 혹은 5G 또는 NR CN)로 NAS 메시지(예를 들면, INITIAL CONTEXT REQUEST 혹은 SERVICE REQUEST)에 실어서 전송할 수 있다(1h-20). 기지국은 제1 식별자를 확인하고, 단말이 등록된 단말이며, 단말이 재접속하여 서비스 요청하는 것을 확인하는 경우,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단말의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고, 즉, 네트워크 시스템(LTE 시스템 혹은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단말을 구별하고 컨텍스트를 확인하여, 단말에게 연결을 허락하여 주기 위해 제1 고유 식별자(예를 들면, IMSI)를 NAS 메시지(예를 들면, INITIAL CONTEXT SETUP)에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한다(1h-25). 필요한 경우, 기지국은 수신한 NAS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이 RRC 연결 설정을 위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보내면(1h-35), 단말은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각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을 완료한다(1h-35). 그 후, 단말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보내어 연결 설정을 완료한다(1h-40). 기지국은 단말과의 연결 설정을 완료하고 코어 네트워크로 초기 연결 및 컨텍스트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전송해준다(1h-45). 그리고 단말은 네트워크와 연결 설정을 완료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1h-50).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NR 시스템으로부터 제2 고유 식별자를 할당 받은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5G 또는 NR시스템으로부터 제2 고유 식별자(5G-GUTI)를 할당 받았던 단말은 이전에 5G 또는 NR 시스템에 단말 등록을 수행하여 제2 고유 식별자(5G-GUTI)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은 더 많은 무선 통신 기기들을 구분 및 관리하고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서, 제2 고유 식별자(5G-GUTI)를 제1 고유 식별자(GUTI)보다 더 큰 공간(space)을 갖는 식별자로 도입할 수 있으며, 제2 식별자(예를 들면, 48비트 5G-S-TMSI)를 제1의 식별자(40비트 S-TMSI)보다 더 큰 공간을 갖는 식별자로 도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3은 CCCH로 전송되고,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중요한 메시지이기 때문에 커버리지가 중요한 이슈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리지는 가능한 적은 크기의 데이터를 전송하여야만 확대될 수 있으므로, 일 실시예에서는 메시지 3의 크기를 최소의 전송 블록(Transport block)의 크기로 제한하여 커버리지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메시지 3은 크기는 56비트일 수 있다. 하지만, 더 크거나 같은 공간을 갖는 제2 고유 식별자(5G-GUTI)를 도입하고, 그에 따라 더 크거나 같은 공간을 갖는 제2 식별자를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즉, 최소의 전송 블록 크기에 새로운 제2 식별자를 포함하기에 그 크기가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더 큰 제2 식별자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려고 하는 경우, 단말은 메시지 3의 지시자를 이용하여 제2의 식별자의 일부분을 메시지 3에 포함하여 전송한다는 것을 지시하고, 제2 식별자의 나머지 부분을 메시지 5에 포함하여 전송한다는 것을 지시하여 기지국이 더 큰 제2 식별자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RRC 유휴 모드(RRC IDLE)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단말이 트래킹 영역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거나 단말이 상향 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으면 네트워크에 접속을 다시 시도한다. 단말은 먼저 셀을 탐색하기 시작하고, 셀 선택/재선택을 수행하여 적합한 셀(suitable cell)을 찾고 캠프온(camp-on)을 한다. 그리고 상기 캠프 온한 셀과 동기를 맞추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은 CCCH(Common Control Channel)로 메시지 3(예를 들면, 56비트(MAC 헤더 8비트와 CCCH SDU 48비트)을 보낼 때, 기지국이 단말 간의 경쟁 해소(Contention resolution)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랜덤 값들 대신에 이전에 5G 또는 NR 시스템으로부터 할당 받았던 제2 고유 식별자의 일부분을 기지국 간에 단말을 구별할 수 있는 제2 식별자(예를 들면, 5G-S-TMSI)로 정의하고, 이를 메시지 3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식별자(5G-S-TMSI)의 크기가 클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48비트의 크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제2 식별자를 메시지 3과 메시지 5에 나누어서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단말이 저장해두었던 제2 식별자(예를 들면, 5G-S-TMSI)의 하위 비트들(예를 들면, 하위 39비트들(LSB))을 메시지 3(CCCH SDU)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1i-05).
메시지 3에는 제2 식별자 일부를 기지국이 구별할 수 있도록 메시지 3에 포함된 식별자에 해당하는 값이 랜덤 값인지 혹은 제2 식별자인지를 지시하는 지시자들을 정의하고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을 위해 2 bits의 식별자가 사용되며, 이는 여분의 미래의 확장을 고려해서이다. 메시지 3을 수신한 기지국은 경쟁 해소를 위해서 수신한 메시지 3(CCCH SDU)의 첫 번째 6바이트(48비트)를 동일하게 복사하고 MAC 제어 정보(MAC Control element, Contention Resolution MAC CE)에 포함하여 메시지 4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1i-10). 메시지 4를 수신한 단말은 경쟁 해소를 확인하고 메시지 5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1i-15). 여기서, 단말은 메시지 3에 포함하여 전송하였던 제2 식별자 일부를 제외한 제2 식별자의 나머지 부분(예를 들면, MSB 9비트)을 메시지 5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네트워크에 5G 또는 NR 시스템으로부터 할당 받고 저장해두었던 제2 고유 식별자(예를 들면, 5G-GUTI)를 메시지 5의 NAS 컨테이너 (dedicatedInfoNAS)에 실어서 보내어 네트워크가 제2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고 단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기지국은 메시지 3과 메시지 5에 나누어 포함된 제2 식별자(5G-S-TMSI)를 확인하고 메시지 5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하여, 코어 네트워크로 단말의 메시지를 라우팅한다. 그리고, 메시지 5에 포함되어 있던 NAS 컨테이너 정보를 코어 네트워크(EPC 혹은 5G 또는 NR CN)로 NAS 메시지(예를 들면, INITIAL CONTEXT REQUEST 혹은 SERVICE REQUEST)에 실어서 전송할 수 있다(1i-20). 기지국은 제2 식별자를 확인하고, 단말이 등록된 단말이며, 단말이 재접속하여 서비스 요청하는 것을 확인하는 경우, SERVICE REQUEST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는 단말의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고, 즉, 네트워크 시스템(LTE 시스템 혹은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단말을 구별하고 컨텍스트를 확인하여, 단말에게 연결을 허락하여 주기 위해 제2 고유 식별자(예를 들면, IMSI)를 NAS 메시지(예를 들면 INITIAL CONTEXT SETUP)에 포함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한다(1i-25). 필요한 경우, 기지국은 수신한 NAS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이 RRC 연결 설정을 위해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보내면(1i-35), 단말은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각 베어러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을 완료한다(1i-35). 그 후, 단말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보내어 연결 설정을 완료한다(1i-40). 기지국은 단말과의 연결 설정을 완료하고 코어 네트워크로 초기 연결 및 컨텍스트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응답을 전송해준다(1i-45). 그리고 단말은 네트워크와 연결 설정을 완료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1i-50).
도 8 및 도 9에서는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위 레이어(NSA 및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제2 식별자(5G-S-TMSI)를 제공받고, RRC Setup Request 메시지(메시지 3)를 보내고 메시지 4로 RRC Setup 메시지를 수신한 뒤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5G 또는 NR 시스템에서는 fallback case로 RRC Setup 메시지(메시지 4)를 수신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fallback case는 단말이 RRC Reestablishment Request 혹은 RRC Resume Request 메시지를 요청했을 때, 이에 대한 응답으로 기지국이 RRC Setup 메시지를 전달해서 단말에게 RRC 연결의 재수립을 지시하는 경우이다. Fallback의 경우에도 단말은 메시지 4로 RRC Setup 메시지를 받았기 때문에 메시지 5로 RRC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RRC Reestablishment Request 혹은 RRC Resume Request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RRC Setup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위 레이어로부터 제2 식별자(5G-S-TMSI)를 해당 요청에 대한 프로시져(RRC Reestablishment 혹은 RRC Resume)의 초기화 절차에서 제공받지 못하고, 메시지 5의 RRC Setup Complete 메시지에는 제2 식별자(5G-S-TMSI)의 MSB 9 bits가 아닌 전체 제2 식별자(5G-S-TMSI)를 포함하게 된다. 이는 RRC Reestablishment 혹은 RRC Resume 절차 이전에 단말이 상위 레이어로부터 제공받은 유효한 제2 식별자(5G-S-TMSI)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이며, 해당 절차의 메시지 3(RRC Reestablishment Request 혹은 RRC Resume Request 메시지)에서 제2 식별자(5G-S-TMSI)의 LSB 39 bits를 분할해서 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메시지 5인 RRC Setup Complete 메시지에 전체 제 2 식별자(5G-S-TMSI)를 포함한다. 하기 [표 1]에서 제2 식별자(5G-S-TMSI)를 메시지 3 및 메시지 5에 포함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표 1]
Figure pat00004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fallback case를 포함해서 RRCSetup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제공받는 5G-S-TMSI 정보의 유무에 따라 메시지 5 RRCSetupComplete 메시지에 5G-S-TMSI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RRCSetup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제공받는 5G-S-TMSI 정보의 유무에 따라 RRCSetupComplete 메시지에 5G-S-TMSI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j-05 단계에서, RRC 유휴 모드(RRC IDLE)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단말이 트래킹 영역을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거나 단말이 상향 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있으면 네트워크에 접속을 다시 시도한다. 단말은 먼저 셀을 탐색하기 시작하고, 셀 선택/재선택을 수행하여 적합한 셀(suitable cell)을 찾고 캠프온(camp-on)을 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1j-10 단계에서 상기 캠프 온한 셀과 동기를 맞추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은 CCCH(Common Control Channel)로 메시지 3를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3 전송으로 단말의 현재 상태 및 네트워크로의 요청 목적에 따라 하기와 같은 RRC 메시지를 구성해서 전송할 수 있다.
- RRCSetupRequest: 네트워크에 처음 접속하거나, 해당 기지국에 연결했었지만 끊어져서 새로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상위 레이어로부터 5G-S-TMSI를 제공받는 경우와 제공받지 않는 경우에 따라 메시지 구성이 달라짐)
- RRCResumRequest: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다가 특정 이유로 inactive 상태로 천이했지만, 데이터의 발생, RAN area update 등의 이유로 네트워크에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 RRCReestablishmentRequest: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다가 특정 이유(예를 들어 Radio link failure)로 링크 연결이 끊겼지만, 다시 기지국에 연결 시도를 요청하는 경우
상술한 단말 동작은 일반적인 RRCSetupRequest 절차 이전의 단말 동작을 나타내지만, 1j-15 단계는 RRCResumeRequest 및 RRCResumeRequest 전송을 위한 절차 전체를 포함한다. 즉, 단말의 상태에 따라 1j-15 단계에서의 동작은 달라진다. 1j-2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4로 RRCSetup 메시지를 수신하고 SRB1을 수립한다. 앞서 설명했듯이, RRCSetup 메시지는 단말이 요청한 메시지의 종류와 상관없이 기지국이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 관점에서는 어떤 메시지 요청에 따라 RRCSetup 메시지를 수신했는지에 따라 동작이 달라지게 된다. 1j-25 단계에서 단말은 1j-20 단계에서 수신한 RRCSetup 메시지가 어떤 메시지 3(RRCSetupRequest, RRCResumRequest, RRCReestablishmentRequest)의 요청에 따라 트리거링된 것인지에 따라 5G-S-TMSI를 RRCSetupComplete 메시지에 포함할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1j-25 단계에서 단말이 [표 1]의 Case 1(ue-Identity가 5G-S-TMSI의 LSB 39 bits가 포함된 RRCSetupReqeust 메시지로 RRC Setup 메시지가 트리거된 경우)인 경우, 단말은 메시지 3(RRCSetupRequest)을 전송하기 이전에 상위 계층으로부터 5G-S-TMSI을 제공받은 경우이며, 이에 따라 5G-S-TMSI 의 LSB 39 bits가 메시지 3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1j-30 단계에서 단말은 나머지 5G-S-TMSI의 MSB 9 bits를 포함하여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생성한다.
1j-25 단계에서 단말이 [표 1]의 Case 2(ue-Identity가 랜덤 값인 39 bits가 포함된 RRCSetupReqeust 메시지로 RRC Setup 메시지가 트리거된 경우)인 경우, 단말은 메시지 3(RRCSetupRequest)을 전송하기 이전에 상위 계층으로부터 5G-S-TMSI을 제공받지 못한 경우이며, 이에 따라 5G-S-TMSI 대신에, 랜덤 값을 포함했으므로, 1j-35 단계에서 단말은 5G-S-TMSI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생성한다. 즉, 5G-S-TMSI 전체 정보뿐만 아니라 부분 정보도 메시지 5에 포함되지 않는다.
1j-25 단계에서 단말이 [표 1]의 Case 3(RRCReestablishemntReqeust 메시지로 RRC Setup 메시지가 트리거된 경우)인 경우, 단말은 메시지 3(RRCReestablishemntReqeust)을 전송하는 순간에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5G-S-TMSI 을 제공받지 않고, 이전에 네트워크와 연결을 할 때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유효한 5G-S-TMSI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이며, 이에 따라 5G-S-TMSI 관련 정보가 메시지 3(RRCReestablishemntReqeust)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1j-40 단계에서 단말은 전체 5G-S-TMSI 48 bits를 포함하여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생성한다.
1j-25 단계에서 단말이 [표 1]의 Case 4(RRCResumeReqeust 메시지로 RRC Setup 메시지가 트리거된 경우)인 경우, 단말은 메시지 3(RRCResumeReqeust)을 전송하는 순간에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5G-S-TMSI을 제공받지 않고, 이전에 네트워크와 연결을 할 때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유효한 5G-S-TMSI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이며, 이에 따라 5G-S-TMSI 관련 정보가 메시지 3(RRCResumeReqeust)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1j-45 단계에서 단말은 전체 5G-S-TMSI 48 bits를 포함하여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술한 Case 별 단말 동작이 수행되고 난 이후, 단말은 1j-50 단계에서 5G-S-TMSI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contents)를 메시지 5(RRCSetupComplete)에 포함하여 메시지를 세팅한다. 1j-5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1j-50 단계에서 생성된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도 10에서 설명한 단말 동작을 표준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Camping on a cell
- Receiving MIB and SIB 1
- Triggering random access procedure
- Transmitting CCCH SDU in the Msg 3
- Receiving RRCSetupRequest and establish SRB1
- Determine the type ng-5g-s-tmsi to be included in RRCSetupComplete message and set the contents as below:
1> set the content of RRCSetupComplete message as follows:
2> if upper layers provide an 5G-S-TMSI and RRCSetup is received in response to an RRCSetupRequest:
3> Include ng-5G-s-tmsi-part2 in RRCSetupComplete message
3> set the ng-5g-s-tmsi-bits to ng-5G-s-tmsi-part2;
2> else if the RRCSetup is received in response to an RRCReestablishmentRequest or RRCResumeRequest: (or higher layer have provided valid ng-5G-s-tmsi and UE have stored it)
3> Include ng-5G-s-tmsi in RRCSetupComplete message
3> set the ng-5g-s-tmsi-bits set to ng-5g-s-tmsi;
2> else if the RRCSetup is received in response to RRCSetup and upper layer do not provide an 5G-S-TMSI:
3> do not include ng-5G-s-tmsi-part2 nor ng-5g-s-tmsi in the RRCSetupComplete message
- Setting the other contents of RRCSetupComplete
- Transmitting RRCSetupComplete message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k-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k-20), 저장부(1k-30), 제어부(1k-40)를 포함한다.
RF처리부(1k-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RF처리부(1k-10)는 기저대역처리부(1k-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k-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1k-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k-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k-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RF처리부(1k-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k-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k-20)은 RF처리부(1k-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RF처리부(1k-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RF처리부(1k-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RF처리부(1k-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RF처리부(1k-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k-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1k-30)는 제어부(1k-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1k-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k-40)는 기저대역처리부(1k-20) 및 RF처리부(1k-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k-40)는 저장부(1k-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1k-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k-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RF처리부(1l-10), 저대역처리부(1l-20), 백홀통신부(1l-30), 저장부(1l-40), 제어부(1l-50)를 포함한다.
RF처리부(1l-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RF처리부(1l-10)는 기저대역처리부(1l-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RF처리부(1l-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RF처리부(1l-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1l-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1l-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1l-20)는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l-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l-20)은 RF처리부(1l-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l-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1l-20)은 RF처리부(1l-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기저대역처리부(1l-20) 및 RF처리부(1l-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1l-20) 및 RF처리부(1l-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백홀통신부(1l-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1l-30)는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1l-40)는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l-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l-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l-40)는 제어부(1l-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1l-50)는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l-50)는 기저대역처리부(1l-20) 및 RF처리부(1l-10)을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1l-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l-50)는 저장부(1l-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1l-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네트워크 식별자 관리 및 접속 방법을 명확히 할 수 있어, 5G 또는 NR 시스템에서 새로운 식별자를 이용한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5G 또는 NR 시스템)에서 엑세스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New Radio, NR)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gNB)(2a-10)과 AMF(2a-05, New Radio Core Network)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2a-15)은 gNB(2a-10) 및 AMF(2a-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3에서 gNB(2a-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Evolved Node B)(2a-30)에 대응된다. gNB(2a-10)는 NR UE(2a-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2a-20).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gNB(2a-10)가 담당한다. 하나의 gNB(2a-10)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기존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AMF(2a-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AMF(2a-0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AMF(2a-05)이 MME(2a-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MME(2a-25)는 기존 기지국인 eNB(2a-30)과 연결된다. LTE-NR 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단말은 gNB(2a-10)뿐 아니라, eNB(2a-30)에도 연결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2a-35).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 단말의 엑세스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엑세스 아이덴티티(Access Identity)와 엑세스 카테고리 (Access Category)를 기반으로 하는 엑세스 제어 설정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엑세스 아이덴티티는 3GPP 내에서 정의되는, 즉, 표준 문서에 명시화된 지시 정보이다. 엑세스 아이덴티티는 하기 [표 2]와 같이 특정 엑세스를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주로, Access Class 11부터 15로 분류되는 엑세스들과 우선 순위를 가진 멀티미디어 서비스 (Multimedia Priority Service, MPS), 그리고 특수 목적 서비스 (Mission Critical Service, MCS)을 지시한다. Access Class 11부터 15는 사업자 관계자 전용 혹은 공공 목적 용도의 엑세스를 지시한다.
[표 2]
Figure pat00005
엑세스 카테고리는 두 종류로 구분된다. 한 종류는 standardized access category이다. standardized access category는 RAN 레벨에서 정의되는, 즉 표준 문서에 명시화된 카테고리이다. 따라서, 각기 다른 사업자들로 동일한 standardized access category을 적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Emergency에 대응되는 category는 standardized access category에 포함된다. 모든 엑세스들은 standardized access category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된다. 또 다른 종류는 operator-specific (non-standardized) access category이다. operator-specific (non-standardized) access category는 3GPP 외부에서 정의되며, 표준 문서에 명시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업자마다 하나의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가 의미하는 것은 상이하다. 이는 기존의 ACDC(Application specific Congestion control for Data Communication)에서의 카테고리와 그 성격이 동일하다. 단말 NAS에서 트리거된 어떤 엑세스는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에 맵핑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존 ACDC와의 큰 차이점은 해당 카테고리가 어플리케이션에만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다른 요소들, 즉 서비스 종류, 콜 종류, 단말 종류, 사용자 그룹, 시그널링 종류, 슬라이스 종류 혹은 상기 요소들의 조합과도 대응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다른 요소에 속한 엑세스들에 대해 엑세스 승인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엑세스 카테고리는 하기 [표 3]과 같이 특정 엑세스를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엑세스 카테고리 0 번부터 7 번까지는 standardized access category을 지시하는데 이용되며, 엑세스 카테고리 32 번부터 63는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을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표 3]
Figure pat00006
사업자 서버(2b-25)에서 NAS 시그널링 혹은 어플리케이션 레벨 데이터 전송을 통해, 단말 NAS에게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 에 대한 정보 (Management Object, MO)를 제공한다. 이때,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 에 대한 정보에는 각 operator-specific category가 어플리케이션 등 어떤 요소에 대응되는지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엑세스 카테고리 32 번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엑세스에 대응됨을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에 대한 정보에 명시할 수 있다. 기지국(2b-20)은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barring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카테고리 리스트와 각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barring 설정 정보 정보를 단말들에게 제공한다. 단말(2b-05)은 NAS(2b-10)와 AS(2b-15)의 논리적인 블록을 포함한다.
단말 NAS는 트리거된 엑세스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엑세스 아이덴티티와 하나의 상기 엑세스 카테고리에 맵핑시킨다. 이러한 맵핑 동작은 모든 RRC states, 즉, 연결 모드 (RRC_CONNECTED), 대기 모드 (RRC_IDLE), 비활성 모드 (RRC_INACTIVE)에서 수행된다. 각 RRC state의 특성은 하기와 같다.
RRC_IDLE:
- A UE specific DRX may be configured by upper layers;
- UE controlled mobility based on network configuration;
- The UE:
- Monitors a Paging channel;
- Performs neighbouring cell measurements and cell (re-)selection;
- Acquires system information.
RRC_INACTIVE:
- A UE specific DRX may be configured by upper layers or by RRC layer;
- UE controlled mobility based on network configuration;
- The UE stores the AS context;
- The UE:
- Monitors a Paging channel;
- Performs neighbouring cell measurements and cell (re-)selection;
- Performs RAN-based notification area updates when moving outside the RAN-based notification area;
- Acquires system information.
RRC_CONNECTED:
- The UE stores the AS context.
- Transfer of unicast data to/from UE.
- At lower layers, the UE may be configured with a UE specific DRX.;
- For UEs supporting CA, use of one or more SCells, aggregated with the SpCell, for increased bandwidth;
- For UEs supporting DC, use of one SCG, aggregated with the MCG, for increased bandwidth;
- Network controlled mobility, i.e. handover within NR and to/from E-UTRAN.
- The UE:
- Monitors a Paging channel;
- Monitors control channels associated with the shared data channel to determine if data is scheduled for it;
- Provides channel quality and feedback information;
- Performs neighbouring cell measurements and measurement reporting;
- Acquires system information.
다른 옵션으로, 엑세스 카테고리 맵핑에서, 하나의 엑세스는 하나의 standardized access category와 맵핑 가능하다면, 추가적으로 하나의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와 맵핑될 수도 있다. 단말 NAS는 Service Request와 함께 맵핑한 엑세스 아이덴티티와 엑세스 카테고리를 단말 AS에 전달한다.
단말 AS는 모든 RRC state에서 단말 NAS로부터 수신하는 메시지와 함께 엑세스 아이덴티티 혹은 엑세스 카테고리 정보를 제공받는다면, 해당 메시지로 인해 야기되는 무선 접속을 수행하기 전에 이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barring check 동작을 수행한다. barring check 동작을 통해, 무선 접속이 허용되면, 네트워크에 RRC 연결 설정을 요청한다. 일례로, 연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 단말의 NAS는 하기 이유로 인해, 단말 AS에 엑세스 아이덴티티와 엑세스 카테고리를 전송할 수 있다(2b-30). 일 실시예에서는 하기 이유들을 'new session request'로 통칭한다.
- new MMTEL voice or video session
- sending of SMS (SMS over IP, or SMS over NAS)
- new PDU session establishment
- existing PDU session modification
- service request to re-establish the user plane for an existing PDU session
반면, 대기 모드 단말의 NAS는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시, 단말 AS에 엑세스 아이덴티티와 엑세스 카테고리를 전송한다.
단말 AS는 상기 barring 설정 정보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 NAS에 의해 트리거된 엑세스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barring check).
사업자는 Access Class 11부터 15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하는 엑세스 중에서 특정 서비스 종류만을 허용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엑세스 아이덴티티로 지시되는 Access Class 11, 12, 13, 14, 15에 속하는 엑세스를 access category로 구별되는 속성에 따라 엑세스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엑세스 아이덴티티 혹은 엑세스 카테고리의 barring 설정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엑세스 카테고리의 barring 설정 정보는 기존의 ACB(Access Class Barring) 혹은 ACDC의 barring 설정 정보처럼 ac-barringFactor와 ac-barringTi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 단말이 엑세스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말(2c-05)은 NAS(2c-10)와 AS(2c-15)로 구성된다. NAS는 무선 접속과 직접적인 관련없는 과정들, 즉 인증, 서비스 요청, 세션 관리를 담당하며, AS는 무선 접속과 관련있는 과정들을 담당한다. 네트워크는 OAM(어플리케이션 레벨의 데이터 메시지) 혹은 NAS 메시지를 이용하여 NAS에 management object 정보를 제공한다(2c-25). management object 정보에는 각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가 어플리케이션 등 어떤 요소에 대응되는지를 나타낸다. NAS는 트리거된 엑세스가 어떤 operator-specific category에 맵핑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management object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트리거된 엑세스는 신규 MMTEL 서비스(음성 통화, 영상 통화), SMS 전송, 신규 PDU 세션 성립, 기존 PDU 세션 변경 등이 해당된다. NAS는 서비스가 트리거되면, 서비스의 속성과 대응되는 엑세스 아이덴티티와 엑세스 카테고리를 맵핑시킨다(2c-30).
서비스는 어느 엑세스 아이덴티티와도 맵핑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하나 이상의 엑세스 아이덴티티와 맵핑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는 하나의 엑세스 카테고리와 맵핑될 수도 있다. 서비스를 하나의 엑세스 카테고리와 맵핑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가 management object에서 제공하는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와 맵핑되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어느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와도 맵핑이 되지 않는다면, standardized access category 중 대응할 수 있는 하나와 맵핑시킨다. 서비스를 복수 개의 엑세스 카테고리와 맵핑하는 경우, 하나의 서비스는 하나의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와 하나의 standardized access category와 맵핑시킨다. 그러나, 어느 operator-specific access category와도 맵핑이 되지 않는다면, standardized access category 중 대응할 수 있는 하나와 맵핑시킨다.
이러한 맵핑 규칙에서 emergency 서비스는 예외가 될 수 있다. NAS는 맵핑한 엑세스 아이덴티티와 엑세스 카테고리와 함께, new session request 혹은 Service Request을 상기 AS로 전송한다(2c-40). NAS는 연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에서는 new session request, 대기 모드에서는 Service Request를 전송한다. AS는 네트워크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로부터 barring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2c-35). barring 설정 정보의 ASN.1 구조의 일례는 아래와 같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Figure pat00007
AS는 NAS가 맵핑한 엑세스 아이덴티티와 엑세스 카테고리 정보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대응하는 barring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요청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c-45). 일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요청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barring check 라고 칭한다. 단말은 엑세스 제어 설정 정보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barring 설정 정보는 PLMN별 및 access category 별로 제공될 수 있다. BarringPerCatList IE는 하나의 PLMN에 속한 access category들의 barring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PLMN id와 각 access category들의 barring 설정 정보가 리스트 형태로 IE에 포함될 수 있다. access category별 barring 설정 정보에는 특정 access category을 지시하는 access category id(혹은 index), uac-BarringForAccessIdentity field, uac-BarringFactor field와 uac-Barringtime field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barring check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uac-BarringForAccessIdentityList을 구성하는 각 비트들은 하나의 엑세스 아이덴티티와 대응되며, 비트 값이 '0'으로 지시되면, 엑세스 아이덴티티와 관련된 엑세스는 허용된다. 맵핑된 엑세스 아이덴티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uac-BarringForAccessIdentity 내의 대응하는 비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0'이면 엑세스가 허용된다. 맵핑된 엑세스 아이덴티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uac-BarringForAccessIdentity 내의 대응하는 비트들 중 어느 하나도'0'이 아니면, 추가적으로 uac-BarringFactor field을 이용하여 후술되는 추가적인 barring check을 수행한다. uac-BarringFactor α의 범위는 0 ≤ α < 1 이다. 단말 AS는 0 ≤ rand < 1 인 하나의 랜덤 값 rand을 도출하며, 랜덤 값이 uac-BarringFactor보다 작으면 엑세스가 금지되지 않은 것으로, 그렇지 않다면 엑세스가 금지된 것으로 간주한다. 엑세스가 금지된 것으로 결정되면, 단말 AS는 하기 [수식 1]을 이용하여 도출된 소정의 시간 동안 엑세스 시도를 지연시킨다. 단말 AS는 소정의 시간 값을 가지는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타이머를 barring timer라 칭한다.
[수식 1]
"Tbarring" = (0.7+ 0.6 * rand) * uac-BarringTime.
엑세스가 금지되면, 단말 AS는 이를 상기 단말 NAS에게 알린다. 그리고, 도출된 소정의 시간이 만료되면, 단말 AS는 단말 NAS에게 다시 엑세스를 요청할 수 있음(barring alleviation)을 알린다. 이때부터, 단말 NAS은 엑세스를 단말 AS에 다시 요청할 수 있다.
소정의 규칙에 따라, 서비스 요청이 허용되면, AS는 네트워크에 RRC 연결 성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 혹은 RRC connection resume)을 요청하거나, new session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한다(2c-50).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세스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엑세스 제어 정보는 UAC-BarringPerPLMN-List(2d-05)와 UAC-BarringInfoSetList(2d-60)로 구성될 수 있다. uac-BarringFactor, uac-BarringTime, uac-BarringForAccessIdentity로 구성된 barring 설정 정보는 각 access category 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access category 별 barring 설정 정보는 PLMN별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UAC-BarringPerPLMN-List는 각 PLMN별 access category들의 barring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Barring check가 요구되는 access category들에 대해 barring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시그널링 오버헤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좀 더 효율적으로 시그널링하기 위해, 제한된 수의 barring 설정 정보의 리스트를 제공하고, 각 access category 별로 적용되는 barring 설정 정보를 리스트로부터 인덱싱한다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리스트는 UAC-BarringInfoSetList이며, 리스트는 특정 값으로 설정된 barring 설정 정보를 수납하는 UAC-BarringInfoSet(2d-65)들로 구성된다. 또한, 수납된 UAC-BarringInfoSet의 순서에 따라, 하나의 인덱스 값 uac-barringInfoSetIndex이 대응된다. 리스트에 수납 가능한 최대 UAC-BarringInfoSet의 수는 8 이다. 네트워크의 필요에 따라, 최대 수를 넘지 않는 수의 UAC-BarringInfoSet를 포함한 리스트를 브로드캐스팅한다.
각 PLMN의 barring 설정 정보는 UAC-BarringPerPLMN(2d-10)에 수납된다. UAC-BarringPerPLMN는 크게 상기 PLMN을 지시하는 아이디 정보인 plmn-IdentityIndex(2d-15)와 barring 설정 정보가 수납되는 uac-ACBarringListType(2d-20)로 구성된다. barring 설정 정보를 수납하는 구조는 uac-ImplicitACBarringList(2d-25)와 uac-ExplicitACBarringList(2d-30)로 구분된다. Barring check가 요구되는 access category의 수가 일정 이상이면, 시그널링 오버헤드 측면에서 uac-ImplicitACBarringList가 유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엔 uac-ExplicitACBarringList가 유리하다. 기지국은 barring check가 요구되는 access category들의 총 수가 특정 수 이상인지 혹은 access category들의 barring 설정 정보의 양이 특정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구조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barring 설정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 각 시그널링 구조를 살펴보면, uac-ImplicitACBarringList에서는 모든 유효한(정의된) access category에 대해 각각 UAC-BarringInfoSet 중 하나의 인덱스 값 uac-barringInfoSetIndex(2d-40)을 access category number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납된다. 반면, uac-ExplicitACBarringList에서는 Barring check가 요구되는 access category들에 대해서만, access category을 지시하는 지시자, accessCategory(2d-50)와 UAC-BarringInfoSet 중 하나의 인덱스 값 uac-barringInfoSetIndex(2d-55)를 포함하는 UAC-BarringPerCat(2d-45)들을 수납한다. 하나의 UAC-BarringPerCat는 하나의 access category와 대응된다.
일 실시예에서, uac-ImplicitACBarringList 구조에서 barring check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엑세스가 허용되는 access category에 대해 uac-barringInfoSetIndex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barring check 없이 엑세스를 허용하는 access category에 대해서는, 이를 지시하기 위해 하기 옵션 중 하나를 적용한다.
옵션 1) 미리 정의된 UAC-BarringInfoSetIndex을 맵핑시키며, 상기 인덱스 값은 엑세스를 허용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일례로, 총 8개의 uac-barringInfoSetIndex 중에서 가장 작은 인덱스 값 혹은 가장 큰 인덱스 값은 no barring을 의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인덱스에 맵핑되는 UAC-BarringInfoSet는 제공되지 않거나 dummy로 간주된다.
옵션 2) 어떤 UAC-BarringInfoSet와도 대응되지 않은 UAC-BarringInfoSetIndex을 맵핑시킨다. 대응하는 UAC-BarringInfoSet가 없는 인덱스 값은 no barring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옵션 3) 엑세스를 허용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혹은 어떤 정보도 포함하고 있지 않은 UAC-BarringInfoSet에 대응하는 UAC-BarringInfoSetIndex을 맵핑시킨다. 해당 인덱스에 맵핑하는 UAC-BarringInfoSet IE가 존재하나, 통상 UAC-BarringInfoSet에 포함되는 uac-BarringFactor, uac-BarringTime, uac-BarringForAccessIdentity 정보가 UAC-BarringInfoSet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신 no barring을 의미하는 지시자가 포함되거나 혹은 어떤 정보도 포함되지 않는다.
옵션 4) 비트맵 형태의 uac-BarringForAccessIdentity 정보 내에 no barring을 지시하는 신규 1 비트 정보를 추가 정의한다. 이 때, no barring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uac-barringInfoSetIndex에 대응하는 UAC-BarringInfoSet에 포함된 uac-BarringForAccessIdentity 정보는 no barring을 지시하는 0 으로 설정된 1 비트 정보를 가진다. uac-BarringForAccessIdentity 정보는 통상 access identity (그리고 emergency)에 맵핑되는 엑세스가 허용되지는 여부를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추가적으로, 신규 비트 정보가 no barring으로 설정된다면, UAC-BarringInfoSet에 uac-BarringFactor field와 uac-Barringtime field을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2e-05 단계에서 기지국은 barring check가 요구되는 access category들의 총 수가 특정 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access category들의 barring 설정 정보의 양이 특정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2e-10 단계에서 barring check가 요구되는 access category들의 총 수가 특정 수 이상인 경우, 기지국은 uac-ImplicitACBarringList을 구성한다.
2e-15 단계에서 기지국은 모든 access category들에 대해, UAC-BarringInfoSetIndex을 맵핑시킨다.
2e-20 단계에서 기지국은 barring check 없이 엑세스를 허용하는 access category에 대해서는, 이를 지시하기 위해 하기 옵션 중 하나를 적용한다.
옵션 1) 미리 정의된 UAC-BarringInfoSetIndex을 맵핑시키며, 인덱스 값은 엑세스를 허용한다는 것을 지시한다.
옵션 2) 어떤 UAC-BarringInfoSet와도 대응되지 않은 UAC-BarringInfoSetIndex을 맵핑시킨다.
옵션 3) 엑세스를 허용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혹은 어떤 정보도 포함하고 있지 않은 UAC-BarringInfoSet에 대응하는 UAC-BarringInfoSetIndex을 맵핑시킨다. 통상 UAC-BarringInfoSet에 포함되는 uac-BarringFactor, uac-BarringTime, uac-BarringForAccessIdentity 정보는 UAC-BarringInfoSet에 포함되지 않는다.
옵션 4) 비트맵 형태의 uac-BarringForAccessIdentity 정보 내에 no barring을 지시하는 신규 1 비트 정보를 추가 정의한다. 이 때, no barring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uac-barringInfoSetIndex 에 대응하는 UAC-BarringInfoSet에 포함된 uac-BarringForAccessIdentity 정보는 no barring을 지시하는 0 으로 설정된 1 비트 정보를 가진다. uac-BarringForAccessIdentity 정보는 통상 access identity (그리고 emergency)에 맵핑되는 엑세스가 허용되지는 여부를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추가적으로, 신규 비트 정보가 no barring으로 설정된다면, UAC-BarringInfoSet에 uac-BarringFactor field와 uac-Barringtime field을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Barring check가 요구되는 나머지 access category에 대해서는 uac-BarringFactor, uac-BarringTime, uac-BarringForAccessIdentity 정보가 포함된 UAC-BarringInfoSet에 대응하는 하나의 UAC-BarringInfoSetIndex 을 맵핑시킨다.
2e-25 단계에서 모든 access category에 대해, 맵핑된 모든 인덱스 정보를 uac-ImplicitACBarringList에 수납한다.
2e-30 단계에서 만약 그렇지 않다면, 기지국은 uac-ExplicitACBarringList을 구성한다.
2e-35 단계에서 기지국은 Barring check가 요구되는 access category들에 대해서만, 해당 access category을 지시하는 아이디(인덱스 값)과 uac-BarringFactor, uac-BarringTime, uac-BarringForAccessIdentity 정보가 포함된 UAC-BarringInfoSet에 대응하는 하나의 UAC-BarringInfoSetIndex 을 맵핑시킨다.
2e-40 단계에서 기지국은 각 access category에 맵핑한 정보를 UAC-BarringPerCat에 수납하고, access category들의 상기 UAC-BarringPerCat 값들을 uac-ExplicitACBarringList에 수납한다.
2e-45 단계에서 기지국은 구성한 uac-ImplicitACBarringList 혹은 uac-ExplicitACBarringList을 소정의 SIB에 수납하고, SIB을 브로드캐스팅한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2f-05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소정의 SIB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SIB에는 barring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2f-10 단계에서 단말은 하나의 access category에 대응하는 엑세스를 트리거한다. 엑세스는 단말 NAS 혹은 AS 에서 트리거된다.
2f-15 단계에서 단말은 barring 설정 정보의 uac-ACBarringListType가 uac-ImplicitACBarringList 혹은 uac-ExplicitACBarringList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2f-20 단계에서 만약 uac-ImplicitACBarringList라면, 단말은 하기 옵션에 해당하는 access category에 대해서는 barring check을 수행하지 않고, 엑세스가 허용된다고 간주한다.
옵션 1) 엑세스가 허용되는 것을 지시하는 미리 정의된 UAC-BarringInfoSetIndex에 맵핑된 access category
옵션 2) 어떤 UAC-BarringInfoSet와도 대응되지 않은 UAC-BarringInfoSetIndex에 맵핑된 access category
옵션 3) 엑세스를 허용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혹은 어떤 정보도 포함하고 있지 않은 UAC-BarringInfoSet에 대응하는 UAC-BarringInfoSetIndex에 맵핑된 access category
2f-25 단계에서 만약 uac-ExplicitACBarringList라면, 단말은 대응하는 UAC-BarringPerCat가 없는 access category에 대해서는 barring check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엑세스가 허용된다고 간주한다.
2f-3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엑세스가 허용되는 access category 외, 다른 access category에 대한 엑세스가 트리거된거라면, 해당 엑세스에 대해, 저장한 barring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barring check을 수행한다.
2f-35 단계에서 만약 barring check 결과로 엑세스가 허용된다면, 단말은 엑세스에 대한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2f-40 단계에서 만약 barring check 결과로 엑세스가 허용지 않는다면, 단말은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엑세스에 대한 연결 동작을 연기시킨다.
도 19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을 참고하면,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2g-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2g-20), 저장부(2g-30), 제어부(2g-40)를 포함한다.
RF처리부(2g-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RF처리부(2g-10)는 기저대역처리부(2g-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RF처리부(2g-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RF처리부(2g-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2g-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2g-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2g-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g-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g-20)은 RF처리부(2g-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g-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g-20)은 RF처리부(2g-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기저대역처리부(2g-20) 및 RF처리부(2g-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2g-20) 및 RF처리부(2g-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기저대역처리부(2g-20) 및 RF처리부(2g-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처리부(2g-20) 및 RF처리부(2g-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g-3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2g-30)는 제어부(2g-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2g-4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g-40)는 기저대역처리부(2g-20) 및 RF처리부(2g-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2g-40)는 저장부(2g-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2g-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g-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RF처리부(2h-10), 저대역처리부(2h-20), 백홀통신부(2h-30), 저장부(2h-40), 제어부(2h-50)를 포함한다.
RF처리부(2h-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RF처리부(2h-10)는 기저대역처리부(2h-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RF처리부(2h-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서는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RF처리부(2h-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RF처리부(2h-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RF처리부(2h-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저대역처리부(2h-20)는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h-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h-20)은 RF처리부(2h-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h-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기저대역처리부(2h-20)은 RF처리부(2h-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기저대역처리부(2h-20) 및 RF처리부(2h-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기저대역처리부(2h-20) 및 RF처리부(2h-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백홀통신부(2h-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2h-30)는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저장부(2h-40)는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h-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h-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h-40)는 제어부(2h-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2h-50)는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h-50)는 기저대역처리부(2h-20) 및 RF처리부(2h-10)을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2h-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2h-50)는 저장부(2h-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2h-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저장 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다른 일 실시예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다른 시스템, 예를 들어, LTE 시스템, 5G 또는 NR 시스템 등에도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에 접속을 위해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 시, 메시지 3를 이용하여, RRCSetupRequest 메시지, RRCResumRequest 메시지, RRCReestablishmentRequest 메시지 중 하나의 RRC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4로 RRCSetup 메시지를 수신하고 SRB1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3를 이용하여 전송한 RRC 메시지에 따라 5G-S-TMSI를 RRCSetupComplete 메시지에 포함할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093375A 2018-08-09 2018-08-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42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75A KR102429434B1 (ko) 2018-08-09 2018-08-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US16/537,202 US11063820B2 (en) 2018-08-09 2019-08-0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network conn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19/010097 WO2020032702A1 (en) 2018-08-09 2019-08-0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network conn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9846700.3A EP3824693B1 (en) 2018-08-09 2019-08-09 Network access barring method and terminal
CN201980066118.5A CN112889344B (zh) 2018-08-09 2019-08-09 用于在移动通信系统中配置网络连接的方法和装置
US17/372,192 US11700171B2 (en) 2018-08-09 2021-07-0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network conn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75A KR102429434B1 (ko) 2018-08-09 2018-08-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73A true KR20200017873A (ko) 2020-02-19
KR102429434B1 KR102429434B1 (ko) 2022-08-04

Family

ID=6940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375A KR102429434B1 (ko) 2018-08-09 2018-08-0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063820B2 (ko)
EP (1) EP3824693B1 (ko)
KR (1) KR102429434B1 (ko)
CN (1) CN112889344B (ko)
WO (1) WO2020032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515B1 (ko) 2017-08-09 2024-04-29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5g 엔알에서의 액세스 제어
WO2019098118A1 (en) * 2017-11-17 2019-05-23 Nec Corporation Early data transmission authorization control
KR102429434B1 (ko) * 2018-08-09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US11611926B2 (en) * 2018-09-28 2023-03-21 Lg Electronics Inc. Access control for data transmission
US11432260B2 (en) * 2019-07-15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access control parameter update
WO2021030658A1 (en) * 2019-08-14 2021-02-18 Googl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undesired access barring alleviation
CN113630841A (zh) * 2020-05-07 2021-1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站选择方法、装置、基站和存储介质
US20230199697A1 (en) * 2020-05-14 2023-06-22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cking terminal, and storage medium
WO2022000203A1 (zh) * 2020-06-29 2022-01-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接入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
WO2022006828A1 (zh) * 2020-07-09 2022-01-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设备
WO2022151252A1 (zh) * 2021-01-14 2022-07-21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网络的方法和装置
WO2022216704A1 (en) * 2021-04-05 2022-10-13 Ofinno, Llc Connection establishmen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7453B1 (en) 2010-11-05 2017-10-1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eceiving plmn information at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101781445B1 (ko) * 2011-08-11 2017-09-25 인텔 코포레이션 확장된 액세스 제한
KR101528114B1 (ko) * 2011-08-30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장 엑세스 바링과 랜덤 엑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4221422A (zh) * 2012-01-27 2014-12-17 三星电子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中用于有效地控制接入以用于系统负载调节的方法和装置
CN103716854A (zh) * 2013-12-26 2014-04-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公共陆地移动网络plmn接入控制方法及装置
EP3220687B1 (en) * 2014-11-10 2019-06-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blocking network access by acdc
WO2016118104A1 (en) * 2015-01-22 2016-07-28 Intel IP Corporation Communication of congestion control information
US11044776B2 (en) * 2016-03-27 2021-06-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ttempting network access from NB-IoT RAT
JP6694111B2 (ja) * 2016-08-02 2020-05-1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接続試み方法及びユーザ機器と、接続制御方法及び基地局
EP3574682B1 (en) * 2017-01-27 2020-07-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cess barring techniques in a connected mode
KR102661515B1 (ko) * 2017-08-09 2024-04-29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5g 엔알에서의 액세스 제어
BR112020009597A2 (pt) * 2017-11-16 2020-11-03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sem fio, métodos em um terminal sem fio e nós de acesso de uma rede de acesso por rádio
KR102429434B1 (ko) * 2018-08-09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8380* *
3GPP R2-181038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4693B1 (en) 2024-04-03
CN112889344A (zh) 2021-06-01
EP3824693A1 (en) 2021-05-26
US20210336847A1 (en) 2021-10-28
WO2020032702A1 (en) 2020-02-13
EP3824693A4 (en) 2021-09-08
US11063820B2 (en) 2021-07-13
US11700171B2 (en) 2023-07-11
CN112889344B (zh) 2024-05-07
KR102429434B1 (ko) 2022-08-04
US20200052963A1 (en)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43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US202002291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 communica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2066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providing access control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next-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706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capability of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588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ore network suitable for service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00127518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조사 기반의 단말능력 식별자를 이용해 단말 능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1892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ag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erminal supporting multiple sims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103213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and reporting radio link failure informa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202870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maximum number of mimo layers for each bandwidth part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364240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119741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over without suspension of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6416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aging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187351B1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2922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lice-based cell reselec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156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ip address to du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system
US20230081518A1 (en) Device and terminal operation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332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dcch repetitive transmission through plurality of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trps)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243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ilure recovery of master cell group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system
KR20210125882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히스토리 정보를 수집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52244A (ko)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intra-band UL CA를 고려한 Uplink Tx direct current location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3436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숏-타임 스위칭 갭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13052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상태 보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