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811A - Vehicle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Vehicle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811A
KR20200017811A KR1020180093198A KR20180093198A KR20200017811A KR 20200017811 A KR20200017811 A KR 20200017811A KR 1020180093198 A KR1020180093198 A KR 1020180093198A KR 20180093198 A KR20180093198 A KR 20180093198A KR 20200017811 A KR20200017811 A KR 20200017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hicle door
hologram
input pad
virtu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승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7811A/en
Publication of KR2020001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8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3Near field communication [NF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lock control device and a method thereof. The vehicle door lock control device includes: a hologram reproduction unit that reproduces and outputs a virtual input pad of a hologram; a mo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user′s movement on the virtual input pad; a door control unit controlling locking or unlocking of a vehicle door; and a processing unit that recognizes a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compares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with a pre-registered pattern to determine whether to unlock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instructs the door control unit.

Description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VEHICLE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Vehicle door lock control device and method {VEHICLE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 도어의 잠금/해제(lock/unlock)를 제어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 / unlock of a vehicle door.

스마트키(smart key)는 LF(Low Frequency) 통신과 같은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차량 시동 및 차량 도어 잠금/해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키의 도어 잠금/해제 버튼을 조작하면 스마트키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차량으로 전송한다. 이때, 차량 내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차량에 설치된 안테나를 통해 스마트키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해제를 수행한다.A smart key may control a vehicle start and vehicle door lock / unlock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low frequency (LF) communica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door lock / release button of the smart key, the smart key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to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ECU (Electronic Control Unit) in the vehicle receive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key through the antenna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locks or unlocks the vehicle door accordingly.

최근에는 IT 기술과 생체 인식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차량에 지문인식 센서를 장착하여 지문을 스캔하는 방식 또는 터치 패널을 장착하여 비밀번호를 터치 입력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biometric technology, a method of scanning a fingerprint by mounting a fingerprint sensor in a vehicle or a method of touch inputting a password by mounting a touch panel has been applied.

지문인식 기술이 적용된 경우에는 운전자가 키를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으로부터 자유롭게 하였으나, 지문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운전자가 차량을 이용해야 하는 상황 또는 지문 등록이 어려운 운전자가 별도의 지문을 등록할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When fingerprint recognition technology is applied, the driver is free from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a key, but the driver who does not have a fingerprint is required to use the vehicle or the driver who cannot register a fingerprint cannot register a separate fingerprint. There are disadvantages.

또한, 터치 입력 방식(정전용량 또는 압력 등)이 적용된 경우에는 차량 도어 부품 상 터치 패널을 장착해야 하는데 차량 외관 디자인을 해치는 단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a touch input method (capacitance or pressure, etc.) is applied, a touch panel must be mounted on the vehicle door part, which causes a disadvantage of damaging the exterior design of the vehicle.

KR 1020180042518 AKR 1020180042518 A KR 1020150132991 AKR 1020150132991 A

본 발명은 홀로그램(hologram) 및 모션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cking / unlocking of a vehicle door by using hologram and 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는 홀로그램의 가상 입력패드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홀로그램 재생부, 상기 가상 입력패드 상에서 사용자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된 움직임 패턴과 기등록된 패턴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차량 도어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도어 제어부에 지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ehicl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ogram playback unit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a virtual input pad of the hologram, a mo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user movement on the virtual input pad, A door controller which controls locking or unlocking of the vehicle door, and recognizes a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user movement, compares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with a pre-registered pattern, and determines whether to unlock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It includes a processing unit for instructing the control unit.

상기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도어의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홀로그램 재생부를 제어하여 감지된 사용자 전방에 상기 가상 입력패드를 투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hicle door lock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user located around the vehicle door, and the processor controls the hologram reproducing unit to project the virtual input pad in front of the detected user when the user is detected.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감지부는, 근접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unit may detect the user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carried by the user.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LF(Low Frequency)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기술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any one of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Low Frequency (LF) communication technologies.

상기 홀로그램 재생부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 장치, 상기 레이저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가상 입력패드를 생성하기 위한 특정 패턴을 가지는 스캐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ogram reproducing unit may include a laser generator generating laser light, a reflector reflecting the laser light, and a scanner having a specific pattern for generating the virtual input pad.

상기 홀로그램 재생부는, 차량 도어 및 사이드 미러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ogram reproducing unit is mounted at any one of a vehicle door and a side mirro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어 잠금 제어 방법은 홀로그램의 가상 입력패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가상 입력패드 상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과 기등록된 움직임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과 기등록된 움직임 패턴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차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virtual input pad of the hologram, recognizing the user's movement on the virtual input pad, the movement pattern of the recognized user and the pre-registered Comparing the movement pattern, and unlocking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with the previously registered movement pattern.

상기 홀로그램의 가상 입력패드를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차량 도어의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the user located near the vehicle door before outputting the virtual input pad of the hologram.

상기 홀로그램의 가상 입력패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홀로그램 재생부를 제어하여 감지된 사용자 전방에 상기 가상 입력패드를 투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ting of the virtual input pad of the hologram may include controlling the hologram reproducing unit to project the virtual input pad in front of the detected user when the user is detected.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는,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근거리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ecting of the user may include detecting the user using any one of a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short range communication.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LF(Low Frequency)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기술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any one of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Low Frequency (LF) communication technologies.

본 발명은 홀로그램(hologram) 및 모션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므로, 사용자가 차량 도어의 잠금/해제를 위해 스마트키를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locking / unlocking of the vehicle door using a hologram and a 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a smart key for the user to lock / unlock the vehicle door can be eliminated.

또한, 본 발명은 홀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므로 직관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uitive because the user directly enters the password through the virtual keypad generated by the hologram.

또한, 본 발명은 홀로그램으로 생성된 가상 키패드를 사용자 전방의 특정 영역에 나타나도록 하여 비밀번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prevent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password by making the virtual keypad generated by the hologram appear in a specific area in front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로그램 재생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어 잠금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hologram reproducing unit shown in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disturbs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홀로그램 재생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ologram reproduction unit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는 감지부(110), 홀로그램 재생부(120), 모션 인식부(130), 메모리(140), 출력부(150), 도어 제어부(160) 및 처리부(1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door lock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detector 110, a hologram reproducing unit 120, a motion recognition unit 130, a memory 140, an output unit 150, a door control unit 160, and a processing unit. And 170.

감지부(110)는 차량 도어의 주변에 위치하는 객체 즉, 사용자를 감지한다. 감지부(110)는 사용자 감지 시 사용자의 위치도 검출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근접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고, 해당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및/또는 LF(Low Frequency)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detector 110 detects an object located near the vehicle door, that is, a user. The detector 110 may also detect the loca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 is detected. The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In addition, the detector 110 may detect the user by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possessed by the user. Here,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tablet,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 or a notebook computer. The sensing unit 110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perform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A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and / or Low Frequency (LF) may be used.

홀로그램 재생부(120)는 홀로그램 가상 입력패드를 출력하는 장치로, 차량 도어 또는 사이드 미러(side mirror)에 설치(탑재)된다. 여기서, 가상 입력패드는 키패드 또는 키보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홀로그램 재생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발생 장치(121), 반사판(122) 및 스캐너(123)를 포함한다. The hologram reproducing unit 120 is a device for outputting a hologram virtual input pad and is installed (mounted) on a vehicle door or a side mirror. Here, the virtual input pa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keypad or a keyboard. As shown in FIG. 2, the hologram regenerator 120 includes a laser generator 121, a reflector 122, and a scanner 123.

레이저 발생 장치(121)는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을 발생시킨다.The laser generator 121 generates laser light using a laser light source.

반사판(122)는 레이저 발생 장치(121)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광을 스캐너(123)로 반사시킨다.The reflecting plate 122 reflects the laser light output from the laser generating device 121 to the scanner 123.

스캐너(123)는 홀로그램 가상 입력패드를 생성하기 위한 특정 패턴을 가진다. 홀로그램 가상 입력패드는 레이저 광이 스캐너(123)가 가지는 특정 패턴을 통과할 때 발생되는 빛의 간섭 현상으로 생성된다. 홀로그램 가상 입력패드는 2차원 또는 3차원 가상 입력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canner 123 has a specific pattern for generating a hologram virtual input pad. The hologram virtual input pad is generated by interference of light generated when laser light passes through a specific pattern of the scanner 123. The hologram virtual input pad may be implemented as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virtual input pad.

모션 인식부(130)는 모션 인식 카메라로 구현되며,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한다. 모션 인식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램 재생부(120)와 동일 선상에 나란히 설치된다. 모션 인식부(130)는 가상 입력패드 상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인식한다. 모션 인식부(130)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영상으로 획득하여 처리부(170)에 제공한다.The motion recognition unit 130 is implemented as a motion recognition camera and recognizes a user's movement.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30 is installed side by side on the same line as the hologram playback unit 120 as shown in FIG.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30 recognizes a user's finger moving on the virtual input pad.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30 obtains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s an image and provides it to the processor 170.

메모리(140)는 처리부(170)가 기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가상 입력패드의 맵(map) 정보(예: 가상 입력패드의 좌표에 매칭되는 키패드 데이터 테이블) 및 사전에 등록된 움직임 패턴 정보(예: 비밀번호 또는 사인 등)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40 may store software programmed by the processor 170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The memory 140 may store map information of the virtual input pad (eg, a keypad data table matching the coordinates of the virtual input pad) and previously registered movement pattern information (eg, a password or a signature).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및 레지스터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140 may include a flash memory, a hard disk, a secure digital card,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 only memory (ROM). The storage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storage medium (recording medium), such as a 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n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an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 and a register.

출력부(150)는 처리부(170)의 지시에 따라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경고음, 오디오 신호 및/또는 음성 신호를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및/또는 버저(buzzer) 등을 통해 출력한다. The output unit 150 output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processor 170. The output unit 150 outputs a warning sound, an audio signal, and / or a voice signal stored in the memory 140 through a receiver, a speaker, and / or a buzzer.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투명디스플레이 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재생부(120)가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로 사용될 수도 있다.The output unit 150 may output visual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Display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s (TFT LCDs),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s, flexible displays, One or more of a 3D display and a transparent display may be implemented. The hologram reproducing unit 120 may be used as a display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도어 제어부(160)는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제어한다. 도어 제어부(160)는 BCM(Body Control Module)로 구현될 수 있다. 도어 제어부(160)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부(140)과 연결된다. 차량 네트워크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네트워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또는 X-by-Wire(Flexray)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door controller 160 controls locking or unlocking of the vehicle door. The door controller 160 may be implemented as a body control module (BCM). The door controller 160 i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40 through a vehicle network. The vehicle network may be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a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MOST) network, a 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and / or an X-by-Wire (Flexray).

처리부(170)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처리부(17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door lock control device. The processor 170 may include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entral processing units (CPUs), microcontrollers, and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may include at least one.

처리부(170)는 감지부(110)를 통해 차량 도어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한다. 이때, 처리부(170)는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도 확인할 수 있다.The processor 170 detects a user located near the vehicle door through the detector 110. At this time, the processor 170 may also check the detected user location.

처리부(170)는 사용자를 감지하면, 홀로그램 재생부(120)를 제어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전방에 기정해진 위치에 가상 입력패드를 투영시킨다. 사용자는 자신의 전방에 출력되는 가상 입력패드 상에 도어 잠금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password), 핀번호 또는 패턴 등을 입력한다.When the processor 170 senses the user,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hologram reproducing unit 120 to project the virtual input pa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detected user. The user inputs a password, a pin number or a pattern for unlocking the door on the virtual input pad output in front of the user.

처리부(170)는 모션 인식부(130)를 통해 가상 입력패드 상에서 움직이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한다. 처리부(170)는 모션 인식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가상 입력패드 상의 손가락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손가락 위치에 맵핑되는 데이터를 확인한다. 처리부(170)는 인식된 움직임 패턴과 메모리(140)에 기등록된 움직임 패턴을 비교한다. 처리부(170)는 인식된 움직임 패턴과 기등록된 움직임 패턴이 일치하면 도어 제어부(160)에 도어 잠금 해제를 지시한다. 한편, 처리부(170)는 인식된 움직임 패턴과 기등록된 움직임 패턴이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 제어부(160)에 도어 잠금을 지시한다.The processor 170 recognizes a movement pattern of a user's finger moving on the virtual input pad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30. The processor 170 analyzes an image transmitted from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30, detects a finger position on the virtual input pad, and checks data mapped to the detected finger position. The processor 170 compares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with a movement pattern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memory 140. The processor 170 instructs the door controller 160 to release the door lock when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and the registered movement pattern match.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170 instructs the door control unit 160 to lock the door if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and the registered movement pattern do not match.

예컨대, 처리부(170)는 가상 키패드 상에서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면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가상 키패드 상의 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키패드 데이터를 매칭시킨다. 따라서, 처리부(170)는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170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on the virtual keypad, the processor 170 extracts the coordinates on the virtual keypa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and matches the keypad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coordinates. Therefore, the processor 170 may check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어 잠금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door lock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처리부(170)는 감지부(110)를 통해 차량 도어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인식(감지)한다(S110). 감지부(110)는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근거리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감지한다. 또한, 감지부(110)는 사용자의 위치도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rocessor 170 recognizes (detects) a user located near a vehicle door through the detector 110 (S110). The detector 110 detects a user by using any one of a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short rang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detector 110 may also detect the location of the user.

처리부(170)는 사용자가 인식되면 홀로그램 재생부(120)를 제어하여 홀로그램 가상 입력패드를 출력한다(S120). 처리부(170)는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사용자 전방의 기정해진 위치에 가상 입력패드를 출력한다.If the user is recognized, the processor 170 controls the hologram reproducing unit 120 to output a hologram virtual input pad (S120). The processor 170 outputs a virtual input pa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front of the us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user.

처리부(170)는 모션 인식부(130)를 통해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한다(S130). 모션 인식부(130)는 가상 입력패드 상에서 움직이는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획득하여 처리부(170)로 전송한다. 처리부(170)는 수신한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 손가락의 위치에 맵핑(mapping)되는 가상 입력패드의 좌표값을 추출한다.The processor 170 recognizes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s finger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30 (S130). The motion recognition unit 130 obtains an image of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moving on the virtual input pad and transmits the image to the processor 170. The processor 170 analyzes the received image and extracts a coordinate value of a virtual input pad mapped to a position of a user's finger.

처리부(170) 인식된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 패턴과 메모리(140)에 기등록된 움직임 패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S140). 다시 말해서, 처리부(1800는 인식된 움직임 패턴과 기등록된 움직임 패턴을 비교한다.The processor 170 checks whether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of the user's finger matches the movement pattern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memory 140 (S140). In other words, the processor 1800 compares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with the previously registered movement pattern.

처리부(170)는 인식된 움직임 패턴과 기등록된 움직임 패턴이 일치하면, 도어 제어부(160)에 지시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S150).If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matches the previously registered movement pattern, the processor 170 instructs the door controller 160 to unlock the vehicle door (S150).

한편, 처리부(170)는 인식된 움직임 패턴과 기등록된 움직임 패턴이 일치하지 않으면 도어 제어부(160)에 차량 도어의 잠금을 지시하여 차량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S160).On the other hand, if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and the registered movement pattern does not match, the processor 170 instructs the door control unit 160 to lock the vehicle door and maintains the locked state of the vehicle door (S16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감지부
120: 홀로그램 재생부
130: 모션 인식부
140: 메모리
150: 출력부
160: 도어 제어부
170: 처리부
110: detector
120: hologram playback unit
130: motion recognition unit
140: memory
150: output unit
160: door control unit
170: processing unit

Claims (12)

홀로그램의 가상 입력패드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홀로그램 재생부,
상기 가상 입력패드 상에서 사용자 움직임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
차량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된 움직임 패턴과 기등록된 패턴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차량 도어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도어 제어부에 지시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
Hologram playback unit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the virtual input pad of the hologram,
A mo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user movement on the virtual input pad;
A do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locking or unlocking of the vehicle door, and
And a processing unit for recognizing a movement pattern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comparing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with a pre-registered pattern,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lease the vehicle door lock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and instructing the door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의 주변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홀로그램 재생부를 제어하여 감지된 사용자 전방에 상기 가상 입력패드를 투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etector for detecting a user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door,
And the processor controls the hologram reproducing unit to project the virtual input pad in front of the detected user when the user is sen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근접 센서 및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detection unit,
And at least one of a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detection unit,
And detecting the user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possessed by the us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LF(Low Frequency)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기술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Vehicle door lock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any one of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low frequency (LF) communication technolog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재생부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 장치,
상기 레이저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가상 입력패드를 생성하기 위해 반사된 레이저 광이 통과하는 특정 패턴을 가지는 스캐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ogram playback unit,
A laser generator for generating laser light,
A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aser light, and
And a scanner having a specific pattern through which the reflected laser light passes to generate the virtual input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재생부는,
차량 도어 및 사이드 미러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ogram playback unit,
Vehicle door lock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any one of the vehicle door and the side mirror.
홀로그램의 가상 입력패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가상 입력패드 상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과 기등록된 움직임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과 기등록된 움직임 패턴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차량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방법.
Outputting a virtual input pad of the hologram,
Recognizing a user's movement on the virtual input pad;
Comparing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with the previously registered movement pattern, and
And unlocking 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the recognized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movement patter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의 가상 입력패드를 출력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차량 도어의 주변에 위치하는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Before outputting the virtual input pad of the hologram,
And detecting the user located around the vehicle do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의 가상 입력패드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홀로그램 재생부를 제어하여 감지된 사용자 전방에 상기 가상 입력패드를 투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Outputting the virtual input pad of the hologram,
And controlling the hologram reproducing unit to project the virtual input pad in front of the detected user when the user is detec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는,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근거리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Detecting the user,
And detecting the user by using any one of a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sensor, and short range communic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LF(Low Frequency) 중 어느 하나의 통신 기술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 잠금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Vehicle door lock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of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Low Frequency (LF).
KR1020180093198A 2018-08-09 2018-08-09 Vehicle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000178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198A KR20200017811A (en) 2018-08-09 2018-08-09 Vehicle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198A KR20200017811A (en) 2018-08-09 2018-08-09 Vehicle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11A true KR20200017811A (en) 2020-02-19

Family

ID=6966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198A KR20200017811A (en) 2018-08-09 2018-08-09 Vehicle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7811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991A (en) 2014-05-19 2015-1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mart key of vehicle
KR20180042518A (en) 2016-10-17 2018-04-26 주식회사 경신 Smart key for recognizing fingerpr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991A (en) 2014-05-19 2015-1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Smart key of vehicle
KR20180042518A (en) 2016-10-17 2018-04-26 주식회사 경신 Smart key for recognizing fingerpri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4787B2 (en) Method for operating mobile electronic device,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ing the same
US9600729B2 (en)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on of an electronic signature
US8019131B2 (en)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164687B2 (en) NFC tag recognition device and NFC tag recogni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TWI657349B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20120174214A1 (en) Enhancing biometric security of a system
KR20160061163A (en) Method for registration and certification fingerprint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202200123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ntinuous biometric authentic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TWI424329B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the data protection method thereof
US112166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itioning a device controller of an electronic device from an at least partly inactive mode to an at least partly active mode
KR20200017811A (en) Vehicle door lock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25207A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ing touch pattern and method thereof
US20070155322A1 (en) Security methods for input device
CA2854791C (en) System and method of authentication of an electronic signature
US9465441B2 (en) Navigation device
KR20110090635A (en) Doorlock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key thereof
US20200384950A1 (en) In-vehicle apparatus, authent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12002285B2 (en)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unlocking displays as a function of a device geometric form factor
US11600107B2 (en)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unlocking displays as a function of a device geometric form factor
US11710363B2 (en) Control method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using detection sensor and device using thereof
US20240126861A1 (en) Device unlock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9325325B (en) Digital authentication system
US20200320185A1 (en) Detection System,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of Finger Touch Authentication Thereof
KR101749144B1 (en) Fingerprint smart card having a prevention function forged fingerprint
KR10059748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of User Authentication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and it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